KR100965961B1 -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961B1
KR100965961B1 KR1020090005186A KR20090005186A KR100965961B1 KR 100965961 B1 KR100965961 B1 KR 100965961B1 KR 1020090005186 A KR1020090005186 A KR 1020090005186A KR 20090005186 A KR20090005186 A KR 20090005186A KR 100965961 B1 KR100965961 B1 KR 100965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hedra
lactic acid
acid bacteria
fermentation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명
김호준
구병수
전송희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4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황의 산업적 이용을 위하여 마황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에 의해서 발효시킨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 마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장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감신경계 흥분 작용이 있어 식욕억제, 열생산 및 대사량 증가, 운동수행능력 향상 등의 효과를 보이는 마황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마황을 활용한 다양한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마황, 유산균, 발효, 정장

Description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Ephedra sinica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황의 산업적 이용을 위하여 마황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에 의해서 발효시킨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 마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장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황(Ephedra sinica)은 마황과(Ephedr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전 세계에서 교감신경 흥분물질로 수천 년간 사용되어 온 약재이다. 특히 마황은 교감신경계 흥분 작용이 있어 식욕억제, 열생산 및 대사량 증가, 운동수행능력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하여 비만치료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많은 문헌에서 마황의 체중감량 효과가 인정이 되고 있으며 식품으로서 사용이 금지되기까지 미국에서도 체중조절 건강보조식품의 주성분으로 인기를 얻고 있었다. 한의학계에서도 비만치료시 가장 많이 활용된 처방은 사상처방으로 태음조위탕과 조위승청탕 등이었으며 단미로는 마황이 빈도가 가장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마황에는 알칼로이드가 0.3~1% 정도 함유되어있으며 알칼로이드의 주성분은 L-에페드린으로 노르에페드린(norephedrine), (+)-슈도에페드린((+)-pseudoephedrine), 노르슈도에페드린(norpseudoephedrine) 등 여러 에페드린 화합물이 있다. 그밖에 휘발성의 벤질 메틸아민과 적은량의 정유가 있으며 추출액 상태로는 칼륨과 칼슘이 함유되어 있다. 마황의 주요 성분인 L-에페드린은 1885년 처음으로 추출되었으며 아시아, 유럽, 미국 등지에서 서식하는 40여종의 마황 중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마황(Ephedra sinica)를 비롯한 아시아 종에서 알칼로이드 성분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의학에서 보약은 몸의 전체적 기능을 조절하고 저항능력을 키워주며 기력을 보충하는 치료법의 일종으로 몸속의 영양과 관련된 물질, 즉 혈(血)과 기(氣)를 북돋워주는 역할을 하는 천연물의 추출물이다. 하지만, 같은 보약을 먹더라도 사람마다 효과는 천차만별이어서, 아무런 효과가 없거나 심지어 소화장애, 설사 등의 부작용이 생기도 하기 때문에 이를 표준화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있어왔다.
그 중 한가지가 발효한약인데, 발효한약은 한약을 미리 발효시킨 것으로, 한약재를 적합한 처방에 맞게 선별한 다음 종균으로 발효시킨 후 이를 여과시켜 만든다. 하지만, 대부분의 한약의 발효는 약재의 분쇄물을 이용하여 수행되지만, 약재 에 따라서는 미생물의 생육이 저조하거나, 관능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로 적절하게 발효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마황이 가지는 다양한 생리적 효과를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마황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에 의해서 발효시키는 경우 발효가 잘 이루어지고, 우수한 관능을 가지는 발효 한약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마황 나노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마황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산균 배양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산균 마황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유산균 마황 발효물을 포함하는 정장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마황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 발효배지에 첨가하고, 이를 유산균으로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마황의 발효가 잘 이루어지며, 우수한 관능을 가지는 특유의 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a) 마황 분말 또는 나노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마황 분말 또는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산균 배양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a) 단계에서는 유산균 발효 배지에 첨가하기 위하여 마황 나노 추출물을 제조한다. 마황 나노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마황 분말 제조 후 식품 재료의 나노 입자화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황 분말의 제조는 마황(Ephedra sinica)을 통상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황 나노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식품 재료의 나노 입자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초임계유체 추출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초임계유체 추출공정은 다른 추출공정에 비하여 입자 내에 독성용매나 계면활성제가 없는 관계로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할 수 있으며, RESS(Rapid Expansion of Supercritical Solutions), GAS(Gas Anti-Solvent), SAS(Supercritical fluid Anti-Solvent), ASES(Aerosol Solvent Extraction System), SEDS(Solution Enhanced Dispersion by Supercritical Fluids), PGSS(Particles from Gas Saturated Solutions), RPSS(Reactive Precipitaion in Supercritical Solution) 방법을 사용한다(Byrappa K et al., Adv Drug Deliv Rev. 2008 Feb 14;60(3):299-327; Yasuji T et al., Adv Drug Deliv Rev. 2008 Feb 14;60(3):388-98; Moribe K et al., Adv Drug Deliv Rev. 2008 Feb 14;60(3):328-38; Pasquali I et al., Adv Drug Deliv Rev. 2008 Feb 14;60(3):399-410; Motohashi N et al., J Biochem Biophys Methods. 2000 Jul 5;43(1-3):313-28). 상기와 같이 추출된 마황 나노 추출물의 첨가량은 유산균 배지 대비 1 내지 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b) 단계에서는 유산균의 발효를 위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마황 분말 또는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한다. 유산균 배양배지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하는 균주의 요구조건을 적절하게 만족시켜야 한다. 상기 배지는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탄소원의 예에는, 포도당, 자당, 유당, 과당(fructose), 말토즈, 전분, 셀룰로즈와 같은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와 같은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셀롤 및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된다. 이들 탄소원은 단독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질소원의 예에는,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추출물, 옥수수 침지액(CSL), 및 대두밀과 같은 유기 질소원 및 요소,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과 같은 무기 질소원이 포함된다. 이들 질소원은 단독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지에는 인원으로서,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수소이칼륨 및 대응되는 소듐-함유 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황산마그네슘, 황산망간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아세트산 나트륨, 시트르산 이암모늄(diammonium citrate), CaCl2, Tween-80, 아미노산, 비타민, 및 적절한 전구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배양 중에 수산화암모늄,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인산 및 황산과 같은 화합물을 적절한 방식으로 첨가하여, pH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산균 배양배지로 MRS 배지 또는 변형된 MRS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c) 단계에서는 마황 분말 또는 나노 추출물이 첨가된 유산균 배양배지에 유산균을 접종 및 배양하여 유산균 마황 발효물을 제조한다.
유산균 발효를 위한 유산균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 코커스(Lact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비셀라(Weissella)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의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을 의미하며, 상기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1010∼1011CFU/㎖로 농축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은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코커스 컨퓨서스(Lactococcus confusus)의 혼합 균주일 수 있다.
유산균의 배양 및 발효는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당업자라면 선택되는 균주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은 다양한 문헌(예를 들면, James et al., Biochemical Engineering, Prentice-Hall International Editions)에 개시되어 있다. 세포의 성장방식에 따라 현탁배양과 부착배양을 배양방법에 따라 회분식과 유가식 및 연속배양식의 방법으로 구분된다.
또한, 배양 중에는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호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 (예, 공기)를 주입할 수도 있다. 배양시의 온도는 보통 25 ℃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35 ℃ 내지 40 ℃이며, 7시간 내지 40시간 동안 배양할 수 있다.
배양 종료 후에 배양물과 균체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분리(centrifugation) 또는 여과(filtration)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는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균체의 제거는 통상적인 균체의 제거를 위한 방법을 통해 유산균 균체가 실질적으로 제거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독성이 저감된 유산균 마황 발효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유산균 마황 발효물을 포함하는 정장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유산균 마황 발효물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마황 발효물을 기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 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유산균 마황 발효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마황 발효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본 발명의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식품의 전체 중량에 대해 약 0.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감신경계 흥분 작용이 있어 식욕억제, 열생산 및 대사량 증가, 운동수행능력 향상 등의 효과를 보이는 마황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마황 을 활용한 다양한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방법>
1. 발효에 사용된 유산균주
발효에 사용된 유산균 혼합균주는 Bifidobacterium longum spp., Lactobacillus casei spp., Lactococcus confusus spp.의 혼합배양액을 사용하여 MRS 배지에 2회 계대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2. 마황 미세분말 및 마황 나노추출물의 제조
마황(Ephedra sinica) 미세분말은 국내산 마황을 구입하였으며 수분함량 10%이하로 건조시킨 후 50~100㎛ 크기로 밀링 가공하여 제조하였다. 마황 나노추출물의 경우 분쇄한 마황 건초에 물을 첨가한 후 초음파 추출에 의해 나노입자화를 시킨 후 나노여과를 수행하여 50~100nm 나노입자를 함유한 나노추출액(Brix 20.41)을 제조하였다
각 첨가물의 일반성분은 AOAC(Henneberg-Stohmann 개량법에 의한 조섬유 정량,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ll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 mists. Washington, D.C.)법에 준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수분(moisture) 단백질 지방 전체 당류(total brix) 셀룰로스 회분(ash)
미세분말 5.79 2.11 1.22 10.33 67.31 13.34
나노추출물 73.51 1.15 0.96 20.21 - 4.17
3. 발효물 제조방법
마황의 나노추출액과 미세분말을 MRS 배지를 기반으로 한 배지에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각각 1.0, 2.0, 4.0, 6.0%씩 첨가하여 고압살균기로 92℃에서 10분간 살균하였다. 살균이 끝난 시료는 42℃로 냉각한 후 유산균 혼합균주를 2% 접종하고 42℃의 항온기에서 15시간 발효하면서 3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산도, pH 및 유산균 수를 측정하였으며, 발효물의 산도가 1.0%에 도달하였을 때의 시료를 채취하여 점도, 관능검사, 유기산 및 에페드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항목 Lactococcus confusus spp. Lactobacillus casei spp. Bifidobacterium longum spp.
종균 source 종균(접종균수: 1.5 x 109) 종균(접종균수: 2.0 x 109) 종균(접종균수: 1.0 x 109)
Seed pH 4.2 6.8 7.15
접종량 0.5% 0.5% 0.5%
배지
조성(%)
Glucose (4)
Soy-peptone A3 (1.0)
Yeast extract (1.0)
K2HPO4 (0.1)
Sodium acetate (0.1)
Diammonium citrate (0.1)
MgSO4 (0.01)
MnSO4 (0.005)
Glucose (3)
Soy-peptone A3 (1.5)
Yeast extract (0.5)
K2HPO4 (0.1)
Diammonium citrate (0.1)
MgSO4 (0.01)
MnSO4 (0.005)
Glucose (2.5)
Soy-peptone A3 (1.0)
Casein peptne (2.0)
Yeast extract (1.5)
K2HPO4 (0.1)
Sodium acetate (0.1)
Diammonium citrate (0.1)
L-Cystein (0.05)
Glutamic acid (0.05)
Ascorbic acid (0.05)
Tween-80 (0.05)
CaCl2 (0.05)
MgSO4 (0.01)
MnSO4 (0.005)
FeSO4 (0.001)
나노추출액(v/v) 0%, 1%, 2%, 3% 0%, 1%, 2%, 3% 0%, 1%, 2%, 3%
배양조건 37℃ shaking incubator,
호기조건
37℃ incubator,
혐기조건
37℃ incubator(paraffin oil),
혐기조건
배양시간 10hrs 13hrs 13hrs
회수조건 CF(3000rpm, 10min) CF(3000rpm, 10min) CF(3000rpm, 10min)
4. 발효물의 분석
1) 유산균 수 측정
멸균수에 십진희석하여 유산균 배지(BCP plate count agar, Eiken Chemical Co. Ltd, Japan)에 접종한 후 37℃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균 수를 계측하였다.
2) 산생성량 측정
발효물의 적정산도는 Richmond의 방법(Richmond, M. L., Barfuss, D. L., Harte, B. R., Gray, J. I., Stine, C. M. 1982. Separation of carbohydrates in dairy produc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y. J. Dairy Sci. 65: 1394-1400)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pH는 pH meter(420A; Orion Research Inc.,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발효물의 점도 측정
발효물의 산도가 1.0%에 도달하였을 때 4℃의 냉장고에서 24시간 냉장한 후 100 mL를 채취하여 Brookfield viscometer(Brookfield Engineering Lab. Inc. USA), rotor No. 4를사용하여 20 rpm에서 1분간 점도를 측정하였다.
4) 관능검사
발효물의 산도가 1.0%에 도달하였을 때 4℃의 냉장고에서 24시간 냉장한 후 20명의 검사원으로 overall acceptability, taste, odor 및 texture를 채점시험법에 따라 실시하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각 처리구에 대한 유의성을 p<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5) 발효물의 유기산분석
발효물 중 유기산 농도는 문헌(Saidi, B. Warthesen, J. J. 1989. Analysis and stability of orotic acid in milk. J. Dairy Sci. 72: 2900-2905)에 기재된 방법을 수정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발효물을 5 g 채취하여 12% TCA 용액을 1 mL 첨가하고 원심분리기(Mega 17R; Hanil Science Industry, Korea)를 사용하여 5,000 g에서 5 min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분리된 상등액을 채취하여 0.2 ㎛ 멤브레인 필터(Sartorius AG, Germany)를 사용하여 거른 후 HPLC 시스템(600E Multisolvent DeliverySystem; Waters Associates, USA)을 사용하여 유기산 농도를 분석하였다. 샘플은 7725i 인젝터(Rheodyne, USA)를 사용하여 20㎕를 주입하였고, UV-검출기는 Dual λ Absorbance Detector(2487; Waters Associates, USA)를 사용하여 210 nm에서 측정하였으며, 컬럼은 SUPEL COGEL C-610H(38 cm ⅹ7.8 mm, Sigma-Aldrich Co., USA)를 사용하였고, 컬럼의 온도는 Waters Column Heater Module(serial #F98CHM095M)을 사용하여 40℃를 유지하였고, 이동상은 0.1% 인산(phosphoric acid)을 사용하여 0.5 mL/min의 유속으로 30분간 분석하였다. 분석프로그램은 Autochro-WIN 2.0 plus(Young Lin Instrument Co., Ltd., Korea)를 사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유기산의 표준물질은 Sigma-Aldrich Co.(USA)에서 구입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1. pH 및 적정산도의 변화
마황의 나노추출액과 미세분말을 MRS 배지에 각각 1.0, 2.0, 4.0, 6.0% 씩 첨가하여 15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pH와 적정산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표 3 및 표 4와 같다. pH와 적정산도의 변화는 대조군에 비하여 미세분말에서는 첨가효과가 보이지 않았으나 미세분말과 나노추출액을 첨가한 처리구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른 pH의 감소와 적정산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배양 3시간에 대조군은 pH 5.72, 적정산도가 0.87%인데 비하여 나노추출액을 4.0% 첨가구에서 모두 pH 4.69이하, 적정산도는 1.05%이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세분말 첨가구에서도 배양 3시간 이후에 pH 5.03~5.18, 적정산도 0.89~1.09%로 나타나 모든 첨가구가 대조군에 비하여 pH의 저하와 적정산도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노추출액의 첨가에 따른 적정산도의 변화는 나노추출액이 배양 3시간에 pH 4.65~4.91, 적정산도가 0.98~1.05%로서 미세분말보다 월등한 pH 저하와 적정산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마황 나노추출액 첨가에 의해 우수한 유산균의 발효촉진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첨가물 함량
(%)
발효시간(시간)
0 3 6 9 12 15
대조군(미첨가) 0.0 6.84 5.72 4.69 4.43 4.47 4.39
미세분말 1.0 6.69 5.18 4.61 4.45 4.41 4.31
2.0 6.64 5.03 4.51 4.35 4.31 4.12
4.0 6.49 5.05 4.49 4.40 4.35 4.27
6.0 6.31 5.03 4.58 4.46 4.31 4.17
나노추출물 1.0 6.61 4.91 4.84 4.31 3.91 3.81
2.0 6.56 4.65 4.01 3.92 3.87 3.72
4.0 6.52 4.69 4.06 3.88 3.80 3.67
6.0 6.43 3.96 3.72 3.51 3.41 3.39
첨가물 함량
(%)
발효시간(시간)
0 3 6 9 12 15
대조군(미첨가) 0.0 0.33 0.87 1.34 1.63 1.67 1.77
미세분말 1.0 0.39 0.89 1.35 1.47 1.79 1.89
2.0 0.47 1.07 1.44 1.77 2.03 1.96
4.0 0.48 1.09 1.47 1.92 2.29 2.25
6.0 0.57 1.08 1.57 2.05 2.39 2.47
나노추출물 0.5 0.37 0.98 1.33 1.63 1.92 2.19
1.0 0.38 1.15 1.54 1.68 1.95 2.23
2.0 0.39 1.05 1.58 1.77 1.99 2.27
4.0 0.43 1.27 1.69 1.89 2.02 2.35
2. 총 유산균수의 변화
마황을 1.0~6.0% 첨가하여 발효한 발효물에서의 총 유산균수 변화는 하기 표 5와 같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양 3시간에 대조군이 6.37ⅹ107 cfu/mL의 유산균수를 나타낸 것에 비하여 나노추출액을 첨가한 발효물은 1.81ⅹ107 cfu/mL~3.57ⅹ107 cfu/mL를 나타내고 있어 나노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산균 증식효과도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나노추출액의 첨가가 선별한 혼합유산균의 총 균수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미세분말을 첨가한 발효물은 3.02ⅹ105 cfu/mL~4.13ⅹ105 cfu/mL를 나타내고 있어 나노추출액을 첨가한 발효물 보다 총 유산균수가 낮게 나타나 유산균의 증식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황의 가공형태에 따른 차이를 보면 나노추출액은 배양 9시간에 6.01ⅹ108 cfu/mL로 최고의 증식을 하였으며, 이는 표 1의 첨가물의 일반성분분석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나노추출액의 첨가에 의한 유산균의 생육촉진 효과가 나노추출액 내에 고형분 함량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미세분말 첨가구에 나타난 발효물 분리현상은 분말의 셀룰로스 함량이 67.31% 이상 함유되어 유산균의 발효가 진행됨에 따른 발효가 저해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나노추출액을 첨가하여 발효한 경우, 유산균의 생육이 미세분말의 첨가 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은 나노추출액 첨가물 중 총 고형분(brix)의 함량이 20% 이상 함유되어 있고 나노추출액으부터 유리된 고형분의 입자크기 (50~100nm)가 미세분말의 고형분 입자크기 (50~100㎛)보다 작아서 이에 따른 유산균의 생육활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첨가물 함량
(%)
발효시간(시간)
0 3 6 9 12 15
대조군(미첨가) 0.0 5.37ⅹ106 6.37ⅹ107 5.77ⅹ108 3.11ⅹ109 7.72ⅹ107 4.82ⅹ107
미세분말 1.0 1.28ⅹ105 3.42ⅹ105 4.78ⅹ106 2.51ⅹ106 1.53ⅹ106 4.27ⅹ105
2.0 1.53ⅹ105 3.17ⅹ105 4.72ⅹ106 2.47ⅹ106 1.23ⅹ106 4.17ⅹ105
4.0 1.81ⅹ105 4.13ⅹ105 5.38ⅹ106 4.87ⅹ106 2.17ⅹ106 7.01ⅹ105
6.0 0.90ⅹ105 3.02ⅹ105 3.20ⅹ106 1.78ⅹ106 8.78ⅹ105 2.80ⅹ105
나노추출물 1.0 5.18ⅹ106 1.81ⅹ107 1.03ⅹ108 5.32ⅹ108 4.26ⅹ107 3.04ⅹ106
2.0 3.28ⅹ106 3.00ⅹ107 2.33ⅹ108 5.62ⅹ108 6.02ⅹ107 3.12ⅹ106
4.0 4.46ⅹ106 3.57ⅹ107 2.80ⅹ108 6.01ⅹ108 7.21ⅹ107 3.36ⅹ106
6.0 3.96ⅹ106 2.20ⅹ107 1.12ⅹ108 2.92ⅹ108 5.20ⅹ107 2.13ⅹ106
3. 유기산 함량의 변화
마황의 미세분말과 나노추출액을 첨가하여 발효물 제조 시 배양 후 6시간째 발효물에 함유된 몇 가지 유기산 함량을 HPLC로 측정하여 하기 표 6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6시간 발효 후 대조군의 락트산(lactic acid) 양이 12.82이었고, 이와 비슷하게 나노추출액을 1.0% 첨가한 발효물에서도 12.37이었다. 타르타르산(tartaric acid)은 대조군이 3.32인데 비해 나노추출액에서는 1.89~2.45 mM로 그 양이 상당량 감소하였다. 아세트산(Acetic acid) 함량 또한 모든 처리구에서 0.13~0.35 mM로 상당량 감소하였다. 이소부틸산(Isobutylic acid)의 함량은 미세분말과 나노추출액을 첨가한 발효물에서 18.82 mM 이상 생산하여 유산균에 의해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생산하였다. Kwag 등(Kwag, J. H., Lee, J. C., Kim, T. H., Chung, P. K., Lee, K. K. 1989.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utyric acid bacterium from infant feces.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7: 56-62)에 의하면 부틸산(butylic acid)는 사람의 장내 상피세포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속과 같은 병원성 미생물과 암세포의 생육을 억제한다고 보고한 바, 유산균에 의한 이소부틸산(isobutylic acid)의 생산량 증가는 발효물의 기능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한가지 요인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미세분말과 나노추출액을 MRS 배지에서 발효시켰을 때 유산균에 의해 락트산이 생성되어 그 양이 크게 증가하고, 타르타르산과 아세트산은 유산균에 의해 이용되어 그 양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첨가물 함량
(%)
유기산(mM)
타르타르산 락트산 아세트산 이소부틸산
대조군(미첨가) 0.0 3.32 12.82 0.43 21.22
미세분말 1.0 2.41 6.78 3.11 20.68
2.0 1.76 6.82 2.36 24.71
4.0 1.23 6.93 0.29 30.20
6.0 3.25 7.28 0.37 25.68
나노추출물 1.0 2.21 12.37 0.33 25.39
2.0 2.26 13.86 0.35 25.17
4.0 1.89 14.53 0.29 21.65
6.0 2.45 17.32 0.13 18.82
상관계수(R2) 0.999482 0.997462 0.999267 0.996458 0.999044
4. 점도
마황의 미세분말과 나노추출액을 첨가하여 발효물의 제조시 배양 후 적정산도가 1.0±0.2%로 되었을 때 4℃로 냉각 저장하고, 12시간 냉장 후 발효물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표 7의 결과에 의하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나노추출액 형태의 마황을 첨가한 발효물에는 첨가량의 증가에 관계 없이 비슷한 점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미세분말 형태의 마황을 첨가한 발효물에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였고, 특히 미세분말을 6% 첨가한 발효물에는 분리현상이 일어나 점성이 매우 낮았으며, 미세분말을 6% 첨가한 처리구는 118cp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7.0배 이하로 매우 낮은 점도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미세분말 형태의 첨가물이 높을수록 발효물의 총 고형분은 증가하지만 낮은 점도를 나타내는 것은 발효물의 점도를 형성하는 배지성분들 중 스킴밀크 등의 응고현상을 미세분말 첨가물 중 셀룰로스 함유량과 고형분 미세입자 크기에 의해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첨가물 함량 (%) 점도 (cp)
대조군(미첨가) 0.0 826
미세분말 1.0 415
2.0 361
4.0 212
6.0 118
나노추출물 1.0 829
2.0 835
4.0 839
6.0 821
5. 관능검사
마황의 미세분말과 나노추출액을 첨가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여 배양 후 적정산도가 1.0±0.2%로 되었을 때 4℃로 냉각 저장하고, 12시간 냉장 후 발효물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표 8의 결과에 의하면 대조군에 비하여 미세분말 첨가구는 모든 관능 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얻었으나, 나노추출액의 첨가구에서는 향취의 경우 대조군이 3.22±0.51인데 비하여 나노추출액의 1.0% 첨가구에서 3.23±0.43으로서 대조군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또한 나노추출액의 1.0~2.0%내 첨가구는 다른 관능검사 요인에서도 맛, 입안에서의 느낌, 색과 기호도 모두 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미세분말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관능검사가 좋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는 나노추출액의 첨가물은 나노크기의 입자들이 발효물에 용해되어 있는 반면, 미세분말의 첨가물은 입자크기가 크고 거칠은 상태로 분산되어 존재함에 따라 발효물 제조 중 응고현상을 저해하여 관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마황을 이용하여 발효물을 제조시 나노추출액의 첨가물을 사용하여 첨가량이 크지 않은 1.0~2.0%의 범위 내에서 발효물 제조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첨가물 Content (%) 향(Odor) 맛(Taste) 식감(Mouth Feel) 색(Color) 전체적인 느낌(Overall Acceptability)
대조군(미첨가) 0.0 3.22±0.51 3.02±0.67 3.21±0.75 4.11±0.74 3.21±0.61
미세분말 1.0 2.31±0.75 2.11±0.62 2.21±0.73 3.23±1.03 2.07±0.72
2.0 2.47±0.61 1.73±0.62 2.11±0.65 2.45±0.67 1.93±0.62
4.0 1.69±0.74 1.39±0.55 1.62±0.62 2.08±0.56 1.63±0.61
6.0 1.58±0.77 1.28±0.52 1.49±0.56 1.32±0.50 1.31±0.53
나노추출물 1.0 3.23±0.43 3.04±0.59 3.17±0.53 3.62±0.71 2.91±0.64
2.0 3.22±0.44 2.56±0.63 2.89±0.63 3.34±0.81 2.53±0.64
4.0 2.97±0.45 2.56±0.51 2.83±0.57 2.81±0.42 2.53±0.72
6.0 2.81±0.63 2.26±0.41 2.53±0.63 2.31±0.55 2.09±0.62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감신경계 흥분 작용이 있어 식욕억제, 열생산 및 대사량 증가, 운동수행능력 향상 등의 효과를 보이는 마황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마황을 활용한 다양한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a) 분쇄기로 분쇄한 마황분말을 초음파 추출에 의해 나노입자가 함유된 마황 나노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마황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유산균 배양배지에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코커스 컨퓨서스(Lactococcus confusus)의 혼합균주인 유산균을 접종하고 배양중에 소포제를 사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배양배지는 포도당, 자당, 유당, 과당(fructose), 말토즈, 전분, 셀룰로즈,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 글리세롤, 에탄올 및 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탄소원;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대두밀, 요소,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질소원;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수소이칼륨, 인산이수소나트륨 및 인산수소이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인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50~1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25 내지 40℃의 온도에서 7 내지 40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추출물을 유산균 배지 대비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황 유산균 발효물.
  7. 제6항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정장용 식품 조성물.
KR1020090005186A 2009-01-21 2009-01-21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0965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186A KR100965961B1 (ko) 2009-01-21 2009-01-21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186A KR100965961B1 (ko) 2009-01-21 2009-01-21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961B1 true KR100965961B1 (ko) 2010-06-24

Family

ID=4237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186A KR100965961B1 (ko) 2009-01-21 2009-01-21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4473A (zh) * 2022-04-25 2022-07-22 广州千物百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乳酸菌发酵植物提取液的发酵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477A (ko) * 2003-05-30 2004-12-08 최용대 한약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KR100670612B1 (ko) * 2005-09-08 2007-01-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약재의 추출 수율 증진을 위한 복합 추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477A (ko) * 2003-05-30 2004-12-08 최용대 한약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요구르트
KR100670612B1 (ko) * 2005-09-08 2007-01-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약재의 추출 수율 증진을 위한 복합 추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4473A (zh) * 2022-04-25 2022-07-22 广州千物百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乳酸菌发酵植物提取液的发酵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prasob et al. B vitamins and prebiotic fructooligosaccharides of cashew apple fermented with probiotic strains Lactobacillus spp.,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Bifidobacterium longum
El-Sayed et al. Production of UF-soft cheese using probiotic bacteria and Aloe vera pulp as a good source of nutrients
CN102318806B (zh) 一种益生菌发酵南瓜、胡萝卜蔬菜粉的制备方法
KR101274664B1 (ko) 뽕잎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102149951B1 (ko) 복합 발효를 이용한 gaba 증진된 대추 발효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9349479B (zh) 一种发酵大枣饮料及其制备方法
Muhialdin et al. Metabolomic changes and biological activities during the lacto-fermentation of jackfruit juice using Lactobacillus casei ATCC334
Sirilun et al. Lactic acid bacteria mediated fermented soybean as a potent nutraceutical candidate
AbdulAlim et al. Development of new functional fermented product: Mulberry-whey beverage
KR101359368B1 (ko) Gaba가 함유된 발효물의 제조방법
Kim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beverage using Lactobacillus acidophilus F46 having cinnamoyl esterase activity
CN109349480B (zh) 一种发酵茯苓饮料及其制备方法
JP6955808B1 (ja) 蜂蜜発酵物の製造方法
KR101690779B1 (ko) 홍삼농축분말 및 복분자완숙과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물
KR101131069B1 (ko) 가바 생성능을 가진 식물성 유산균을 이용한 가바 함유 토마토 발효물의 제조방법
Zhu et al. Physic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stirred‐type yogurt enriched with Lentinula edodes stipe powder
KR102133721B1 (ko) 감 잎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387269B1 (ko) 보리를 포함하는 gaba 함유량이 높은 요구르트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요구르트
KR20160126591A (ko) 인삼류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인삼류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WO2024030943A1 (en) Oat fermentation products, products prepared therefrom and uses thereof
KR100965961B1 (ko) 유산균 마황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90072923A (ko) 식용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음료 및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5783B1 (ko) 흑삼발효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Khider et al. Development of Functional Synbiotic Flavored Fermented Skim Milk Drinks Supplemented with Doum (Hyphaene thebaica L.) and Carob (Ceratonia siliqua) Fruits Powder for Nutritional, Antimicrobial an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CN113287699A (zh) 一种沙枣酵素及其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