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167B1 - 항숙취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숙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167B1
KR100626167B1 KR1020060058835A KR20060058835A KR100626167B1 KR 100626167 B1 KR100626167 B1 KR 100626167B1 KR 1020060058835 A KR1020060058835 A KR 1020060058835A KR 20060058835 A KR20060058835 A KR 20060058835A KR 100626167 B1 KR100626167 B1 KR 100626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natant
extract
hangover
alcoho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환
이철규
신장식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조일환
이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일환, 이철규 filed Critical 조일환
Priority to KR102006005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167B1/ko
Priority to PCT/KR2007/002571 priority patent/WO200800201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2Leeches; Worms, e.g. cestodes, tapeworms, nematodes, roundworms, earth worms, ascarids, filarias, hookworms, trichinella or ta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ddict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eur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숙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아있는 지렁이를 습식분쇄하고 원침시킨 뒤 그 상등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유효성분으로 룸브로키나제를 함유하는 구인동결건조분말을 포함시키거나 상기 상등액을 포함시키므로써, 숙취를 억제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항숙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숙취를 억제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며, 알콜로부터 위장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항숙취제, 숙취제거제, 구인, 헛개나무, 갈근

Description

항숙취 조성물{ANTI-HANGOVER COMPOSITION}
도1a~도1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대조군의 위장상태사진.
도2a~도2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교예의 위장상태사진.
도3a~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제예4의 위장상태사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제예1의 위장상태사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제예2의 위장상태사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제예3의 위장상태사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제예5의 위장상태사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제예6의 위장상태사진.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46190호(출원번호 10-1998-40476호)
[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97318호(출원번호 10-2000-21296호)
본 발명은 항숙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아있는 지렁이를 습식분쇄하고 원침시킨 뒤 그 상등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유효성분으로 룸브로키나제를 함유하는 구인동결건조분말을 포함시키거나 상기 상등액을 포함시키므로써, 숙취를 억제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항숙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1]에는 헛개나무를 이용한 숙취제거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문헌2]에는 갈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기존 구인건조분말의 사용은 항고지혈증제, 당뇨병치료제, 혈압조절제 및 혈전증 치료제등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신농본초경등의 한의학 고서등에 등재되어 있는 약효에 기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헛개나무와 갈근추출물은 숙취제거 기능을 수행하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그 함유량을 높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새로운 숙취제거 기능을 갖는 조성물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본 발명자들은 구인건조분말의 유효성분이 룸브로키제라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단백분해효소이며, 알코올에 의한 위손상이 단백질 분해효소와 반응하는 단백질분해효소 활성 수용체, 즉 프로테아제 활성 수용체 (protease activating receptor; PAR)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살아있는 지렁이를 습식분쇄하고 원침시킨 뒤 그 상등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유효성분으로 룸브로키나제를 함유하는 구인동결건조분말을 포함시키거나 상기 상등액을 포함시키므로써 숙취를 억제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항숙취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항숙취 조성물은, 구인동결건조분말 또는 구인추출 상등액을 포함한다.
상기 항숙취 조성물에는 헛개나무 추출물과 갈근추출물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첨가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인동결건조분말 또는 구인추출 상등액 : 헛개나무추출물 : 갈근추출물 = 1 : 1~20 : 1~20의 중량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숙취 조성물에는 타우린, 배즙, 사과즙, 고과당, 꿀, 구연산, 사과산, 구연산나트륨, 안식향산나트륨, 소르비톨,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C, 로얄제리, 레몬에센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을 상기 구인동결건조분말 또는 구인추출 상등액의 중량의 0.1~325배를 첨가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인동결건조분말 또는 구인추출 상등액의 중량의 100~2,000배의 정제수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인건조분말 또는 구인추출 상등액에 함유된 룸브로키나제는 세린계열의 단백질분해효소이고 열 또는 pH에 매우 안정하며, 그 활성이 혈전의 성분인 fibrin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이러한 룸브로키나제의 생화학적특성이 단백질임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안정적으로 약효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알코올 소비 세계 최고 수준으로 소주나 위스키 같은 독한 술 소비량에서 우리나라가 세계 4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반적으로 술 소비량이 늘어나기도 했지만 여성과 젊은 층의 술 소비가 늘어난 게 주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1인당 총 알콜 소비량은 6.7리터로 세계 20위권 수준이지만 소주나 위스키처럼 알콜 도수가 높은 증류주 소비량은 4.5리터로 세계에서 4번째로 독한 술의 과다한 섭취로 인한 숙취등의 부작용이 대두되고 있다.
음주에 의해 체내로 흡수된 알코올의 약 10%는 호흡이나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고, 나머지 90%의 대부분은 위점막이나 간에서 대사되게 된다. 이때 알코올 대사량의 약 90~95%는 간에서 산화되어 분해되게 된다. 알코올은 보통 세가지 경로를 통해 산화되는데, 첫체 위점막 또는 간에 존재하는 알코올 탈수소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작용, 둘째 소포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솜 에탄올 산하계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MEOS)작용, 셋째 퍼옥시 솜(peroxisome)에 존재하는 카탈라제 (catalase)의 작용등을 거쳐 이산화탄소(CO2)와 물로 분해된다.
적당량의 알코올 섭취는 위에서 기술한 것처럼 생체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산화되는데, 과다한 알코올 섭취는 이러한 대사체계의 균형이 파괴하어 세포내 항상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간질환, 위염, 췌장염, 고혈압, 중풍, 식도염, 당뇨병, 및 심장병등의 질환을 야기시킨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숙취현상이란 술에 몹시 취한 뒤의 수면에서 깬 후에 특이한 불쾌감이나 두통, 속쓰림, 소화불량, 또는 집중력 감퇴 등이 1∼2일간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숙취현상은 아직까지 그 원인이 분명하지 않으나 알코올 그 자체의 독성보다는 알코올의 1차 분해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의한 것, 즉 과도히 섭취된 알코올은 아세트산으로 빠르게 분해되어 대사되지 못하고 아세트알데하이드 형태로 체내에 존재하며 간세포와 뇌세포 손상을 가져오며 발한(sweat), 급맥 (rapid pulse), 피부발열(skin flushing), 오심(nausea) 및 구토(vomiting)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Leiber CC, Gastroenterol 1994; 106, 1085-1105). 지금까지 숙취현상에 대한 치료는 먼저 체내의 알코올분을 없애야 하고, 토기가 있으면 적극적으로 토하고, 또 비타민 B1이나 수분을 보급하여 분해를 촉진시키거나 커피, 차, 과즙 등과 같이 이뇨작용(利尿作用)이 있는 것을 마시는 것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장에는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해 활성화되는 수용체, 즉 프로테아제 활성 수용체가 많이 분포하고 있는데 이는 위장의 보호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 수용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면 숙취를 예방할 수 있거나 또는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구인동결건조분말 또는 구인추출 상등액의 숙취 억제 및 치료효과를 실시한 바 그 효과를 입증하여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구인동결건조분말의 제조
환형동물문, 빈모강에 속하는 구인, 즉 붉은 지렁이 (Lumbricus rubellus), 줄지렁이 (Eisenia fetida), 붉은 큰 지렁이 (Lumbricus terrestris), 또는 붉은줄지렁이 (Eisenia andrei)등을 사료 및 낚시미끼용을 목적으로 사육하는 곳에서 구입하였다. 생구인 10kg을 먼저 증류수로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습식분쇄한 다음 3,000×g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8.5kg을 얻었다. 얻은 상등액을 규조토를 이용하여 불용물질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구인동결건조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와같은 구인동결건조분말은 생구인 10kg에서 1.2kg을 얻었으며, 그것의 카제인 분해 역가는 단위 g당 870유니트였다.
실시예 2; 동결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숙취 음료의 제조
헛깨나무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에서 나온 어떤 의학책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중국의 <본초강목>, <본초습유>, <당본초>, <성혜방> 등에서는 술독을 푸는 데 으뜸가는 약으로 기록되어 있다. <성혜방>에는 ‘술은 성질이 독하여 이를 마시고 나서 술독이 잘 풀리지 않으면 답답하여 날뛰게 된다. 술을 지나치게 마셔서 중독된 것을 치료하려면 헛깨나무 줄기를 잘게 썬 것 1냥 (35그램)을 물 한 대접에 넣고 물이 절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마시면 그 효력이 빠르기가 번개와 같다.’ 라고 기술되어있다. 또한 갈근은 <동의보감>에 ‘성질은 평하고 (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은 달며 독이 없다. 풍한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낫게 하며 땀구멍을 열어 주며 술독을 푼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구인동결건조분말의 효능 강화제로서 숙취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헛깨나무 추출물과 갈근추출물을 첨가하였다. 즉, 실시예1에서 제조된 구인동결건조분말을 주재로 하고, 강화제로서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한 헛깨나무추출물과 갈근추출물을 각각 표1의 조성이 되도록 혼합 탱크에 넣고, 이를 50℃로 가온하여 배합물들이 완전히 용해되도록 충분히 교반하였다. 배합이 완료되면 다시 침전물이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3,000×g에서 10분간 저온 원심분리하고 필터로 여과한 후, 타우린, 배즙, 고과당등과 기타성분을 표1의 조성이 되도록 첨가하여 제조예1에서 제조예5까지의 기능성 항숙취 음료 (anti-hangover beverage)를 얻었다.
표1. 구인동결건조분말을 이용한 항숙취음료의 제조예
Figure 112006046436081-pat00001
실시예 3; 알코올 상해 모델에서의 위장 보호 효과
실험동물은 5주령의 수컷 SD 흰쥐 (체중 200~250g)를 사용하였다. 절식은 적어도 24h이상 실시하였으며 절식시간 동안 분변을 섭취하지 못하도록 철망케이지에서 사육하였다. 실시예2에 기술된 제조예 1에서부터 6의 항숙취음료를 알코올에 의한 위장상해 유발 30분전에 투여하였다. 위장상해는 무수알코올을 각 개체에 1mL을 경구투여하여 유발하였다. 알코올투여 1시간 후에 각 동물을 케타민으로 마취시킨 후 먼저 복부대동맥에서 채혈하고 그 다음에 간과 위를 적출하였다.
채혈된 혈액은 저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7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다음, 다시 10배량의 2% trichloroacetic acid를 첨가하고 다시 원심분리하여 분석용 혈청을 얻었다. 이 혈청 10㎕를 취한 후 알콜측정 킷트시약 3ml씩을 첨가하여 잘 섞은 다음, 37℃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알콜 표준용액을 대조로 하여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혈중 알콜농도를 정량하였다.
적출된 간장으로부터 최등(2000)의 방법에 따라 미토콘드리아, 마이크로좀 및 시토졸 분획으로 나누고 알콜 및 알데히드 분해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알콜분해효소로서 alcohol dehydrogenase(ADH)의 활성측정은 알콜이 1분당 acetaldehyde로 분해되는 양으로써 알콜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50mM sodium pyrophosphate buffer (pH 8.8)을 시험관에 1.3ml씩 넣고, 95% 에탄올 0.1ml, 10mM β-NAD 1.5ml, 간장의 시토졸 분획 0.1ml을 넣고 잘 섞은 후, 즉시 흡광도측정기를 사용하여 340nm에서 5분간 흡광도를 측정하여 1분동안 분해되는 에탄올의 mole수로써 ADH의 활성을 정량하였다. 또한 알데히드 분해효소로서 aldehyde dehydrogenase(ALDH)의 활성측정은 acetaldehyde가 1분 동안 acetic acid로 산화되는 양으로서 aldehyde dehydrogenase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각 시험관에 증류수 2.32ml, 1.0M Tris-HCl buffer (pH 8.0) 0.3ml, 20mM β-NAD 0.1ml, 100mM acetaldehyde 용액 0.05ml, 3M KCl 0.1ml, 1M 2-mercaptoethanol 0.03ml을 첨가한 다음, 미토콘드리아 분획 0.1ml을 넣고 잘 혼합한 후, 즉시 흡광도측정기를 사용하 여 340nm에서 5분간 흡광도를 측정하여 1분동안 분해되는 아세트알데히드의 mole수로써 ALDH의 활성을 정량하였다.
적출된 위의 유문부를 결찰한 후 분문을 통해 3mL의 2% 포르말린 용액을 주입하여 10분간 고정하였다. 고정 후 대만부를 절개하고 생리식염수로 세척하고 고정판에 잘 펴서 고정한 후 사진을 찍었다. 사진은 도1a~도3c로서, 도1a~도1c는 대조군의 위장상태사진이며, 도2a~도2c는 비교예의 위장상태사진이며, 도3a~도3c는 조제예4의 위장상태사진이며, 도4는 조제예1의 위장상태사진, 도5는 조제예2의 위장상태사진, 도6은 조제예3의 위장상태사진, 도7은 조제예5의 위장상태사진, 도8은 조제예6의 위장상태사진이다. 상기 사진에서의 손상된 부위의 면적을 영상분석기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2와 같다. 대조군은 증류수만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이고, 비교예 실험군에는 시중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CJ사 의 숙취음료인 'C제품'을 사용하였다. 구인동결건조분말이 함유된 모든 조제예에서 혈중알코올농도가 감소되었으며, 알콜 디하이드로게나제와 알데히드 디하이드로게나제의 활성이 증가되었고, 위장상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게 억제되었다.
표2. 동물실험에서의 항숙취효과
Figure 112006046436081-pat00002
※ 각 수치는 평균±표준오차로 표시.
*; 95% 신뢰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냄.
**; 99% 신뢰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냄.
실시예 4;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한 숙취예방 및 치료 효과
실험방법은 음주를 자주하며 숙취증상이 현저한 성인남자를 151명을 모집하여 구인동결건조분말의 숙취예방 및 치료효과를 실험하였다. 먼저 설문을 통해 평소 숙취가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고 이들에게 실시예3의 조제예4의 항숙취 음료를 음주 한시간 전에 음용하게 하였다. 음주 다음날 다시 설문하여 숙취해소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표3는 임상시험 지원자들의 약물투여전 속쓰림의 정도를 분석한 것이다. 지원자의 89%가 음주후 속쓰림등의 숙취증상을 호소한 반면, 11% 정도는 증상을 갖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이들에게 구인동결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음료를 복용케 한 후 음주한 지원자들의 다음날 숙취현상을 조사한 결과는 표4과 표5와 같다. 표3에서와 같이 약간이나마 효과를 나타낸 지원자는 전체의 86%를 차지했으며 이중 36%는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비해 효과가 없었다고 응답한 지원자는 전체의 14%에 불과하였다. 기타 두통, 구토등의 숙취현상에 대해서도 지원자의 92%가 양성적 효과를 나타내었다고 응답하였다.
표3. 임상시험자들의 음주 후 속쓰림의 정도 (약물 투여전)
Figure 112006046436081-pat00003
표4. 임상시험자들의 음주 후 속쓰림의 개선 정도 (약물 투여후)
Figure 112006046436081-pat00004
표5. 임상시험자들의 음주 후 기타 숙취증상 (두통, 구토등)의 개선정도
Figure 112006046436081-pat00005
실시예 5; 구인추출 상등액의 제조
환형동물문, 빈모강에 속하는 구인, 즉 붉은 지렁이 (Lumbricus rubellus), 줄지렁이 (Eisenia fetida), 붉은 큰 지렁이 (Lumbricus terrestris), 또는 붉은줄지렁이 (Eisenia andrei)등을 사료 및 낚시미끼용을 목적으로 사육하는 곳에서 구입하였다. 생구인 10kg은 먼저 증류수로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습식분쇄한 다음 3,000×g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얻은 상등액을 규조토를 이용하여 불용물질을 여과하여 구인추출 상등액 8.5kg을 제조하였다.
상기 구인추출 상등액의 중량은 구인동결건조분말의 중량의 약 7배이다.
실시예 6; 구인추출 상등액을 함유하는 숙취 음료의 제조
실시예 2에서 구인동결건조분말 대신에 약 7배중량의 구인추출 상등액을 이용하여 숙취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알코올 상해 모델에서의 위장 보호 효과
실시예 3에서 실시예 2의 숙취 음료를 사용하는 대신에 실시예 6의 숙취 음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8;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한 숙취예방 및 치료 효과
실시예 4에서, 실시예3의 조제예4를 이용하는 대신에, 실시예7의 조제예4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6~8의 결과는 실시예 2~4의 결과와 동일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항숙취 조성물은, 숙취를 억제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며, 알콜로부터 위장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구인동결건조분말 또는 구인추출 상등액을 포함하는 항숙취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헛개나무 추출물과 갈근추출물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숙취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구인동결건조분말 또는 구인추출 상등액 : 헛개나무추출물 : 갈근추출물 = 1 : 1~20 : 1~20의 중량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숙취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타우린, 배즙, 사과즙, 고과당, 꿀, 구연산, 사과산, 구연산나트륨, 안식향산나트륨, 소르비톨,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C, 로얄제리, 레몬에센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을 상기 구인동결건조분말 또는 구인추출 상등액의 중량의 0.1~325배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숙취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동결건조분말 또는 구인추출 상등액의 중량의 100~2,000배의 정제수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숙취 조성물.
KR1020060058835A 2006-06-28 2006-06-28 항숙취 조성물 KR100626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835A KR100626167B1 (ko) 2006-06-28 2006-06-28 항숙취 조성물
PCT/KR2007/002571 WO2008002019A1 (en) 2006-06-28 2007-05-28 Anti-hangover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835A KR100626167B1 (ko) 2006-06-28 2006-06-28 항숙취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167B1 true KR100626167B1 (ko) 2006-09-20

Family

ID=3763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835A KR100626167B1 (ko) 2006-06-28 2006-06-28 항숙취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6167B1 (ko)
WO (1) WO20080020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78B1 (ko) * 2013-09-06 2015-06-03 한미약품 주식회사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290466B2 (en) * 2008-09-10 2014-06-12 Pt. Dexa Medica Composition of thrombolytic agent and anti thrombosis and also its production method
WO2015026891A1 (en) 2013-08-21 2015-02-26 Paha Designs, Llc Energ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8545A (en) * 1982-10-02 1986-02-04 Amano Seiyaku Kabushiki Kaisha Thrombolytic agent
KR900012617A (ko) * 1987-10-28 1990-09-01 요오이찌 이시이 혈전증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367259B1 (ko) * 2000-04-21 2003-01-14 김재광 갈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CN100420459C (zh) * 2002-01-17 2008-09-24 (株)生命之树 枳椇的不溶于低级醇的提取物和从中分离的多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478B1 (ko) * 2013-09-06 2015-06-03 한미약품 주식회사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2019A1 (en)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53801A (zh) 降尿酸、降嘌呤治疗痛风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360674B1 (ko) 치매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102299934B1 (ko)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8034316A1 (fr) Préparation de composés capable de reduction rapide de stress oxidatif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RU2419449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лекарственным гепатитом
KR100626167B1 (ko) 항숙취 조성물
KR101784870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3319575A1 (de) Therapeutisch wirksame zusammensetzungen, nahrungsmittel und getraenke
KR20170142756A (ko) 굼벵이를 포함하는 간 및 혈액순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89259B1 (ko)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
KR100392876B1 (ko) 숙취제거용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6668185A (zh) 预防和治疗牛羊尿结石症的药物组合物
KR100376305B1 (ko) 간장보호용 건강식품 조성물
WO201007561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proanthocyanidin, proteolytic enzyme and aloe vera/agave species substance
JPH0739349B2 (ja) 血圧調節剤
KR100542809B1 (ko) 혈당 강하용 생약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제재
CN114947129A (zh) 一种降尿酸的大叶菊苣白芷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100712659B1 (ko)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JP2003061613A (ja) 肝臓保護用健康食品組成物(Healthyfoodcompositionforprotectinghepatic)
RU2390348C1 (ru) Средство &#34;стабинорм&#34; для лечения синдрома хронической усталости
CN101559081A (zh) 蚌肉提取物在制备治疗和预防糖尿病的药物中的应用
CN109223766A (zh) 改善人体微循环提高人体免疫力的组合物和制备工艺
JPH11222437A (ja) カキ由来粉末を含むniddm治療用の医薬組成物および健康食品
RU2274467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язвенной болезни желудка и двенадцатиперстной кишки с эрадикацией helicobacter pylori, протекающей на фоне хрон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печени
KR19980043964A (ko) 종합기침약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