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259B1 -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259B1
KR101689259B1 KR1020140113151A KR20140113151A KR101689259B1 KR 101689259 B1 KR101689259 B1 KR 101689259B1 KR 1020140113151 A KR1020140113151 A KR 1020140113151A KR 20140113151 A KR20140113151 A KR 20140113151A KR 101689259 B1 KR101689259 B1 KR 10168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igue
stress
blood
composition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808A (ko
Inventor
유의재
최영득
최백희
마영자
한대희
Original Assignee
(주)아스터젠
유의재
최영득
최백희
마영자
한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스터젠, 유의재, 최영득, 최백희, 마영자, 한대희 filed Critical (주)아스터젠
Priority to KR1020140113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2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동물 실험 결과, 조성물 1회 내지 장기 복용시 운동시간이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길고, 또한 피로와 스트레스에 관한 혈액학적 지표인 혈중 LDH, 젖산, SOD 활성 등이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만성증후군에 합당한 사람을 대상으로 인체 실험한 결과, 조성물 1회 내지 장기 복용시 인체의 혈중 젖산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낮고, 피로 또는 스트레스에 관한 항목 설문에서 의의있게 회복 및 예방이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회 복용에 피로 또는 스트레스 회복을 유도하고 장기 복용에 피로 또는 스트레스 예방을 유도함으로써 운동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피로로 인하여 발생하는 젖산의 생성을 낮추고 LDH의 생성량을 낮추는 등 피로의 예방 내지 회복 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혈중 SOD 활성을 낮추어 스트레스 억제 효과를 발휘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동물 독성실험에서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인체에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Composition having effects of preventing or recovering fatigue or stress}
본 발명은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를 예방 내지 회복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로는 생리현상으로 나타나는 피로, 신체 질병에 따른 증상으로서의 피로, 그리고 정신적 원인으로 인한 피로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신체 질병에서 오는 피로의 원인으로는 결핵, 간염, 갑상선 기능 저하증, 불면증, 우울증, 빈혈, 알코올중독,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수면 중 무호흡증후군, 수면 발작, 전신성 홍반성 낭창, 다발성 경화증, 과도한 비만, 에이즈, 암, 요통 등이 있다. 이러한 피로는 충분한 휴식으로도 해결되지 않으며, 일을 그다지 많이 하지도 않았는데 온종일 기진맥진해지는데 이러한 상태의 피로는 근본적인 질병 처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대부분 과로하거나 무리를 했을 때 생기는 피로는 휴식후 대부분 풀리게 된다. 이러한 피로는 정상적으로 건강한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신체적 반응이며 열심히 일한 사람에게 나타나는 생리적 피로이다. 현대인에서 대부분의 만성피로의 90%이상은 이상과 같은 만성질환과는 관계가 없이 생기는 생리적 정신적 피로로 여길 수 있다. 일상생활의 긴장된 생활과 과도한 스트레스는 만성 피로를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피로는 근 수축 활동에 요구되는 힘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상태, 즉 운동수행능력이 감소된 상태라고 할 수 있으며, 육체적인 피로와는 대조적으로 스트레스는 정신적인 과부하로 인해 오는 신체리듬의 불균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넓은 의미의 피로는 일반적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육체적 또는 정신적 활동을 하기 위한 능력의 감소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로는 주로 육체적 피로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상태, 그리고 스트레스는 정신적 피로로 항상성의 혼란이 일어나는 상태를 말한다.
현대 사회의 복잡한 사회 생활속에서 피로와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경우 피로 및 스트레스 예방 및 회복은 일상생활에 주요한 근본이다. 이러한 피로와 스트레스가 쌓이면 휴식을 취하여 체력을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바쁜 시대에서는 스트레스 예방 및 피로의 예방과 회복이 쉽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과로로 인한 피로의 축적은 자칫 만성피로를 유발하고, 소화성 궤양,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많은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다.
최근 웰빙 열풍으로 삶의 여유를 즐기고,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운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관심으로 운동선수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운동수행능력 향상과 효율적인 피로회복을 위한 과학적인 식품섭취에 대하여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운동수행능력 관련 선행 특허문헌으로는 제10-0892272호, 제10-1221618호, 제10-1381112호, 제10-1327645호 등이 있다. 이들 선행 특허문헌들은 홍삼, 울금, 노근, 홍경천, 대황, 신선초 등 천연물의 추출물에 대한 운동수행능력 효과를 확인하여 특허받은 사례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로 또는 스트레스에 예방과 회복을 위한 새로운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 등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회복할 수 있는 새로운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을 위한 새로운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데커신과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제1성분; 쌀눈 추출물; 및,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제1성분은 당귀를 추출한 것이거나 합성물질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조성물에서 제1성분이 되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는 당귀(Angelica gigas)로부터 추출, 분리 및 정제하여 얻을 수 있는데, 구체적인 추출 및 정제 방법은 문헌(지형준 등, 생화학회지, 1, 25-32(1970); 및 Korean J.Pharmacogn., 21, 64-68(1990)) 및 특허 등록번호 10-2385092호에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매, 추출조건 등을 달리하더라도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얻을 수 있는 추출방법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는 당귀 추출과정에서 부수되는 다른 물질들, 가령 염류, 유기 염류, 복합체 등이 포함된 상태로도 이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는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문헌(Tetsuhiro Nemoto 등., Tetrahedron Letters, 41, 9569-9574(2000); Lan Xie 등 J. Med. Chem., 42, 2662-2672(1999); 특허출원 제2000-25749호; 및 특허 등록 제10-0417624호)에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조건 등을 달리하더라도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얻을 수 있는 합성방법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한편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는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염 또는 라이신, 에탄올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염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할 수 있다.
쌀눈 추물물은 100℃ 이상에서 정제수로 추출한 열수추출물이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쌀눈을 30~40배의 정제수에 투입한 후 100℃ 이상에서 8~12시간 가열하여 추출한다. 이와 같은 추출조건에서 쌀눈에 포함한 다양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쌀눈에 포함된 대표적인 유효성분으로는, 가바(학습 능력 및 기억력 능력 향상, 스트레스 감소, 간기능 개선), 옥타골사놀(생리활성기능, 지구력 향상, 체지방 감소, 근육량 증가), 알파토코페롤(비타민E의 일종으로, 황산화 기능, 세포노화 방지, 면역기능 향상), 감마오리자놀(두뇌 영양 공급, 에너지대사 촉진, 비만 방지), 식이섬유(장내 유용 미생물 증진, 변비예방, 대장활성 기능), 비타민B1(각기병 예방, 학습능력 향상), 비타민B2(성장촉진, 피부/모발 건강유지, 학습능력 향상), 비타민B6(단백질 핵산 대사 촉진, 노화방지, 신경질환 예방), 리놀레산(피부영양 공급, 성장 촉진) 등이 있다.
무말랭이 추출물은 100℃ 이상에서 정제수로 추출한 열수추출물이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말랭이를 500~600배의 정제수에 투입한 후 100℃ 이상에서 8~12시간 가열하여 추출한다. 무말랭이는 철, 칼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아토피, 알레르기 피부, 혈액순환에 좋고, 세포노화를 방지하고, 이뇨와 소염작용이 있고, 소화흡수, 장내노폐물 제거에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하게 제품화할 수 있는데 각종 건강식품 및 제약품, 드링크제, 건강음료, 화장품 등이 있고, 물이 첨가되는 모든 식품과 제약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가령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의약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약학제제로 제조되거나, 제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첨가물을 더 포함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아스타아제, GABA, Glutathione, 아스파라긴산, 메티오닌, 타우린, 과당, 비타민 C, 비타민 B, 카테킨, 미네랄, 구연산, 허브향, 구연산나트륨, 감미료 중에서 하나 이상을 식품첨가제로 더 포함한 건강기능음료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감미료로는 흑설탕 및/또는 효소처리스테비아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동물 실험 결과, 조성물 1회 내지 장기 복용시 운동시간이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길고, 또한 피로와 스트레스에 관한 혈액학적 지표인 혈중 LDH, 젖산, SOD 활성 등이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만성증후군에 합당한 사람을 대상으로 인체 실험한 결과, 조성물 1회 내지 장기 복용시 인체의 혈중 젖산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낮고, 피로 또는 스트레스에 관한 항목 설문에서 의의있게 회복 및 예방이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회 복용에 피로 또는 스트레스 회복을 유도하고 장기 복용에 피로 또는 스트레스 예방을 유도함으로써 운동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피로로 인하여 발생하는 젖산의 생성을 낮추고 LDH의 생성량을 낮추는 등 피로의 예방 내지 회복 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혈중 SOD 활성을 낮추어 스트레스 억제 효과를 발휘한다고 할 것이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동물 독성실험에서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인체에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동물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회 투여에 따른 수영시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동물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회 투여에 따른 혈중 LD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동물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회 투여에 따른 혈중 젖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동물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회 투여에 따른 혈중 SOD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인체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회 섭취에 따른 인체 혈중 젖산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인체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회 섭취에 따른 실험자의 피로 또는 스트레스 현상의 설문 평가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동물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장기 투여에 따른 수영시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동물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장기 투여에 따른 혈중 LD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동물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장기 투여에 따른 혈중 젖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동물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장기 투여에 따른 혈중 SOD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인체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장기 섭취에 따른 인체 혈중 젖산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인체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장기 섭취에 따른 실험자의 피로 또는 스트레스 현상의 설문 평가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본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아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음료 형태로 제조하였다. 아래의 조성범위는 기능성, 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이다.
조성물의 성분과 조성비
재료 조성범위 조성비 비고
유효성분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0.01~10 0.8 국산 당귀 추출물을 특허 등록번호 제10-0385092호에 기재된 방법대로 배양, 추출
쌀눈 추출물 0.01~20 4 정제수 11000g에 쌀눈 300g을 투입하여 100℃이상에서 10시간 추출한 추출액
무말랭이 추출물 0.01~20 0.2 정제수 11000g에 무말랭이 20g을 투입하여 100℃이상에서 10시간 추출한 추출액
첨가물 종합비타민 0.01~5 0.06 디아스타아제, GABA, Glutathione, 아스파라긴산, 메티오닌, 타우린, 과당(꿀물), 비타민 C, 비타민 B, 카테킨, 미네랄, 감미료, 구연산, 허브향, 구연산나트륨
감미료 0.01~5 4 흑설탕
50~99.96 90.94 정제수
합계 100 100 -
[실시예 2] 피로 또는 스트레스 회복 효과
1. 동물실험
(1)실험방법
25×40×17cm 크기의 투명한 플라스틱 용기에 증류수를 15cm 채우고 25±1℃ 온조에 동일시간에 동일 조건으로 온조 하나에 쥐 한 마리씩 넣고 수영시간을 측정하였다. 피로 유발을 위해 수영시 쥐 체중의 5%에 해당하는 납줄을 쥐의 목 배면에 고정하여 매달고 수영을 시켰다. 수영종료는 5초간 코가 수면 아래로 잠길 정도의 수영이 진행되어 가라앉게 될 때까지로 정하였으며, 이때 실험을 종료하였다. 실험은 흰쥐를 실험군(5마리)과 대조군(5마리)으로 나누고, 수영 시작 30분전에 실험군에는 [표 1]의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고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경구 투여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평균치와 평균오차를 구하였고, 각 군 간의 비교는 Student's t test를 사용하였으며, p값이 5% 미만일 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2)운동 수행능력 변화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영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아래 [표 2] 및 도 1과 같이 나타냈다.
조성물 투여에 따른 쥐의 수영시간(sec.)
  대조군 실험군
평균 279.00 449.00
표준편차 10.95 18.17
위의 [표 2]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수영시간 연장효과가 관찰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로 또는 스트레스 회복을 유도하여 운동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혈중 LDH의 변화
수영 종료 후 즉시 채혈하고, 각각 혈액을 분주한 뒤 4℃, 3000rpm에서 각각 5분,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뒤 혈액 LDH을 측정하였다. LDH 측정은 UV-Rate법을 이용하여 측정용 kit (Asan Pharm.Co.)를 사용하여 Prime Automatic Clinical Chemistry Analyzer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아래 [표 3] 및 도 2와 같이 나타냈다.
조성물 투여에 따른 혈중 LDH 변화(IU/L)
  대조군 실험군
평균 2399.00 1196.40
표준편차 135.48 70.80
위 [표 3]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우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혈청 LDH 상승억제효과를 보였다.
(4)혈중 젖산의 변화
수영 종료 후 즉시 채혈하고, 채혈후 sst-tube 와 Naf-tube에 각각 혈액을 분주한 뒤 4℃ 3000 rpm에서 각각 5 분, 15 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뒤 혈액 젖산을 측정하였다. 혈청을 분리하여 젖산 측정은 효소적측색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아래 [표 4] 및 도 3과 같이 나타냈다.
조성물 투여에 따른 혈중 젖산의 변화 (mg/dL)
  대조군 실험군
평균 30.36 14.36
표준편차 2.09 1.21
혈청 젖산 함량은 위 [표 4]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낮게 나타냈다. 젖산이 피로감이 누적 될 때 근육 등에 쌓이는 피로 물질인 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젖산 함량을 감소시켜 피로 또는 스트레스를 회복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5)혈중 SOD 활성의 변화
수영 종료 후 즉시 채혈하고, 채혈후 각각 혈액을 분주한 뒤 4℃ 3000rpm에서 각각 5분,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뒤 혈액 SOD의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SOD는 활성산소를 제거시키는 효소로서 몸 안에 필요 이상의 활성산소가 생겼을 때 이를 중화하는 작용을 하며, 스트레스로 인해 활성산소가 발생하면 강한 활성을 나타낸다. 혈중 SOD의 활성 측정을 위해 먼저 생쥐의 혈장 0.1㎖, 시약 A(pH7.0 수용액에 최종농도 0.2mM 히드록실아민 및 0.2mM 히포키산틴을 함유하거나, 또는 최종농도 1.77mM 히드록실아민 O-술폰산 및 0.2mM 히포키산틴을 함유한 감압하에 동결건조된 파우더를 첨가한 시약) 0.2㎖와 증류수 또는 KCN(최종농도 1mM, 0.5㎖)을 혼합하였다. 여기에 0.2㎖ 시약 B(최종함유농도 1.25mU/㎖ XOD, 0.1mM EDTA-2Na, 20.8mM KH2PO4 그리고 15.6mM Na2B4O7)를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1㎖)을 37℃에서 30분간 교반없이 방치 후 시약 C(착색시약으로서 최종농도 300㎍/㎖ 술폰산, 5㎍/㎖ N-1-naphthylethylenediamine, 16.7% 아세트산)를 2.0㎖ 처리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최종 혼합물을 20분간 실온에서 보관한 후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SOD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 아래 [표 5] 및 도 4와 같이 나타냈다.
조성물 투여에 따른 혈중 SOD 활성 (NU/ml)
  대조군 실험군
평균 980.20 790.20
표준편차 83.72 41.89
위 [표 5] 및 도 4에서와 같이 혈청 SOD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낮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스트레스로 인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스트레스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2. 인체 실험
(1)혈중 젖산 농도 측정
가. 실험방법
신촌 지역의 대학교 재학생으로 기숙사에 기숙하는 학생 중 만성피로증후군에 해당하는 20-2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인체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들 중 1개월 이내에 약물이나 보약 등의 섭취 경험이 없고 특별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학생 5명을 실험군 (5명)과 대조군(5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실험대상자는 아래 [표 6]과 같이 양 군간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실험 대상자
  대조군 실험군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나이(yr) 23.40 1.82 23.40 1.52
신장(cm) 170.60 2.07 173.20 1.79
체중(kg) 65.00 1.58 62.20 6.42
체지방(%) 14.20 1.92 14.60 2.30
피로 또는 스트레스 유발을 위하여 24시간전부터 운동과 음주, 흡연 및 과다한 식사는 금지토록 하였으며, 오전 10시경 실험실에 도착하여 안정을 취한 후 실험을 시작하였다. 스트레스 유발로는 트레드밀(treadmill) 운동부하검사을 이용하였다. 피검자의 자각적 인지에 의한 주관적 운동 강도와 더불어 호흡 곤란, 안면홍조, 보행 불규칙, 안면 표정 등을 관찰하면서 운동 종료 시점에서 언어적 강화로 최대 운동을 유도하도록 하였다. 운동부하검사시 실험실의 온도는 20-25℃, 습도는 60% 이하로 동일하게 유지토록 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운동 시작 30분 전 안정된 상태에서 [실시예1]에 따른 조성물 1병을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심리적 효과를 최대한 배제하기 위하여 섭취 음료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다. 대조군의 경우 동일한 병에 생리 식염수를 넣어 복용하게 하였다. 실험결과에 대한 자료의 분석은 Pharmacologic static package Ver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구하고, ANOVA test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정하였다.
나. 혈중 젖산 농도 측정 결과
혈중 젖산 농도를 측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섭취에 따른 피로회복능력을 분석하였으며, 혈중 젖산 농도의 측정은 조성물 복용 직전의 안정시(안정기), 운동 직후, 운동직후 5분(회복기 5분)과 운동직후 10분(회복기 10분)으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측정 결과 아래 [표 7] 및 도 5와 같았다.
조성물 복용에 따른 인체 혈중 젖산 농도의 변화 (mM/L)
안정기 운동직후 회복 5분 회복 10분
대조군 평균 1.68 9.75 10.00 7.57
표준편차 0.22 0.14 0.23 0.36
실험군 평균 1.66 8.63 8.61 5.72
표준편차 0.07 0.10 0.08 0.10
위 [표 7] 및 도 6에서와 같이 혈중 젖산 농도 측정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복용한 모든 실험군에서 운동 직후나 운동 후, 회복 5분 10분에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젖산의 농도가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중 젖산 농도를 낮춤으로써 피로 또는 스트레스 회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2)피로 또는 스트레스 회복 설문 조사
가. 조사방법
신촌 지역의 대학교 재학생으로 기숙사에 기숙하는 학생 중 만성피로증후군에 해당하는 20-2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인체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들 중 1개월 이내에 약물이나 보약 등의 섭취 경험이 없고 특별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학생 5명을 실험군 (5명)과 대조군(5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실험대상자는 아래 [표 8]과 같이 양 군간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실험 대상자
  대조군 실험군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나이(yr) 23.80 1.78 23.80 1.64
신장(cm) 172.20 1.30 173.60 1.34
체중(kg) 65.20 1.48 62.40 6.58
체지방(%) 14.60 2.30 15.00 3.08
피로 또는 스트레스 유발을 위하여 24시간전부터 운동과 음주, 흡연 및 과다한 식사는 금지토록 하였으며, 오전 10시경 실험실에 도착하여 안정을 취한 후 실험을 시작하였다. 스트레스 유발로는 트레드밀(treadmill) 운동부하검사을 이용하였다. 피검자의 자각적 인지에 의한 주관적 운동 강도와 더불어 호흡 곤란, 안면홍조, 보행 불규칙, 안면 표정 등을 관찰하면서 운동 종료 시점에서 언어적 강화로 최대 운동을 유도하도록 하였다. 운동부하검사시 실험실의 온도는 20-25℃, 습도는 60% 이하로 동일하게 유지토록 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운동 시작 30분 전 안정된 상태에서 [실시예1]에 따른 조성물 1병을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심리적 효과를 최대한 배제하기 위하여 섭취 음료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다. 대조군의 경우 동일한 병에 생리 식염수를 넣어 복용하게 하였다. 복용 후 피로 및 스트레스 유발 운동검사 종료 후 30분후에 설문을 평가하였으며, 설문은 각 항복별로 최소치를 1로 하고 최대치를 5로 하여 5단계(1-5)의 스케일(scale)의 길이에 표시 작성하도록 하였다(적은 경우, 아주 약함, 최소; 1------2------3------4------5: 최대, 강한 경우, 많은 경우).
나. 설문 조사결과
피로 또는 스트레스 회복에 따른 설문 평가는 아래 [표 9] 및 도 6과 같이 나타냈다.
조성물 복용에 따른 피로 또는 스트레스에 대한 현상 평가
  대조군 실험군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미열 2.40 0.50 1.05 0.50
두통 2.40 0.53 1.65 0.61
운동후 피로 4.60 0.67 2.56 0.58
근육약화 3.50 0.71 2.50 0.61
신경과민 3.80 0.20 3.10 0.51
집중 불능 3.80 0.69 2.90 0.72
불쾌감 3.70 0.71 2.45 0.56
권태감 4.10 0.50 2.50 0.56
집중력저하 4.10 0.51 2.60 0.90
관절통 2.80 0.26 2.50 0.71
위 [표 9]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군은 피로 또는 스트레스에 따른 피로 증상 항목인 미열, 두통, 운동 후 피로, 근육약화, 신경과민, 집중 불능, 불쾌감, 권태감, 집중력저하, 관절통 등이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적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로 또는 스트레스 회복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3] 피로 또는 스트레스 예방 효과
1. 동물실험
(1)실험방법
25×40×17cm 크기의 투명한 플라스틱 용기에 증류수를 15cm 채우고 25±1℃ 온조에 동일시간에 동일 조건으로 온조 하나에 쥐 한 마리씩 넣고 수영시간을 측정하였다. 피로 유발을 위해 수영시 쥐 체중의 5%에 해당하는 납줄을 쥐의 목 배면에 고정하여 매달고 수영을 시켰다. 수영종료는 5초간 코가 수면 아래로 잠길 정도의 수영이 진행되어 가라앉게 될 때까지로 정하였으며, 이때 실험을 종료하였다. 실험은 흰쥐를 실험군(5마리)과 대조군(5마리)으로 나누고, 실험군에는 [표 1]의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고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경구 투여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조성물과 생리식염수는 각각 5일 동안 투여하였고, 스트레스 유발 수영 시작 30분전에도 투여하였다. 실험결과는 평균치와 평균오차를 구하였고, 각 군 간의 비교는 Student's t test를 사용하였으며, p값이 5% 미만일 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2)수영시간 변화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영시간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아래 [표 10] 및 도 7과 같이 나타냈다.
조성물 장기 투여에 따른 쥐의 수영시간(sec.)
  대조군 실험군
평균 287.00 439.00
표준편차 11.40 11.40
위 [표 10]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수영시간 연장효과가 관찰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로 또는 스트레스를 예방하여 운동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3)혈중 LDH의 변화
수영 종료 후 즉시 채혈하고, 채혈후 각각 혈액을 분주한 뒤 4℃ 3000 rpm에서 각각 5분,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뒤 혈액 LDH을 측정하였다. LDH 측정은 UV-Rate법을 이용하여 측정용 kit(Asan Pharm.Co.)를 사용하여 Prime Automatic Clinical Chemistry Analyzer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아래 [표 11] 및 도 8과 같이 나타냈다.
조성물 장기 투여여부에 따른 혈중 LDH 변화(IU/L)
  대조군 실험군
평균 2419.00 1155.20
표준편차 152.17 109.56
위 [표 11] 및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장기 복용시킨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혈청 LDH 상승억제효과를 보였다.
(4)혈중 젖산의 변화
수영 직후 즉시 채혈한 후 sst-tube 와 Naf-tube에 각각 혈액을 분주한 뒤 4℃ 3000 rpm에서 각각 5분, 15 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뒤 혈액 젖산을 측정하였다. 혈청을 분리하여 젖산 측정은 효소적측색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아래 [표 12] 및 도 9와 같이 나타냈다.
조성물 장기 투여여부에 따른 혈중 젖산의 변화 (mg/dL)
  대조군 실험군
평균 31.00 12.22
표준편차 2.75 0.98
위 [표 12]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장기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낮았다.
(5)혈중 SOD 활성의 변화
수영 종료 후 즉시 채혈하여 각각 혈액을 분주한 뒤 4℃, 3000rpm에서 각각 5분,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뒤 혈액 SOD의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혈중 SOD의 활성 측정을 위해 먼저 생쥐의 혈장 0.1㎖, 시약 A(pH7.0 수용액에 최종농도 0.2mM 히드록실아민 및 0.2mM 히포키산틴을 함유하거나, 또는 최종농도 1.77mM 히드록실아민 O-술폰산 및 0.2mM 히포키산틴을 함유한 감압하에 동결건조된 파우더를 첨가한 시약) 0.2㎖와 증류수 또는 KCN(최종농도 1mM, 0.5㎖)을 혼합하였다. 여기에 0.2㎖ 시약 B(최종함유농도 1.25mU/㎖ XOD, 0.1mM EDTA-2Na, 20.8mM KH2PO4 그리고 15.6mM Na2B4O7)를 첨가하고, 이러한 혼합물(1㎖)을 37℃에서 30분간 교반없이 방치 후 시약 C(착색시약으로서 최종농도 300㎍/㎖ 술폰산, 5㎍/㎖ N-1-naphthylethylenediamine, 16.7% 아세트산)를 2.0㎖ 처리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최종 혼합물을 20분간 실온에서 보관한 후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SOD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 아래 [표 13] 및 도 10과 같이 나타냈다.
조성물 장기 복용에 따른 혈중 SOD 활성(NU/ml)
  대조군 실험군
평균 990.40 776.20
표준편차 74.23 33.81
위 [표 13]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혈청 SOD는 조성물을 장기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낮았다.
2. 인체 실험
(1)혈중 젖산 농도 측정
가. 실험방법
신촌 지역의 대학교 재학생으로 기숙사에 기숙하는 학생 중 만성피로증후군에 해당하는 20-2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인체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들 중 1개월 이내에 약물이나 보약 등의 섭취 경험이 없고 특별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학생 5명을 실험군 (5명)과 대조군(5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실험대상자는 아래 [표 14]와 같이 양 군간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실험 대상자
  대조군 실험군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나이(yr) 24.00 1.41 24.20 0.84
신장(cm) 171.60 2.70 173.80 1.92
체중(kg) 63.60 5.41 62.80 6.57
체지방(%) 14.80 2.28 15.20 2.59
피로 또는 스트레스 유발을 위하여 24시간전부터 운동과 음주, 흡연 및 과다한 식사는 금지토록 하였으며, 오전 10시경 실험실에 도착하여 안정을 취한 후 실험을 시작하였다. 스트레스 유발로는 트레드밀(treadmill) 운동부하검사을 이용하였다. 피검자의 자각적 인지에 의한 주관적 운동 강도와 더불어 호흡 곤란, 안면홍조, 보행 불규칙, 안면 표정 등을 관찰하면서 운동 종료 시점에서 언어적 강화로 최대 운동을 유도하도록 하였다. 운동부하검사시 실험실의 온도는 20-25℃, 습도는 60% 이하로 동일하게 유지토록 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실시예1]에 따른 조성물 1병을 매일 5일 동안 섭취하도록 하였고, 심리적 효과를 최대한 배제하기 위하여 섭취 음료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다. 대조군의 경우 동일한 병에 생리 식염수를 넣어 복용하게 하였다. 모든 실험결과는 평균치와 평균오차를 나타내었고, 각 군 간의 비교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p 값이 5% 미만일 때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나. 혈중 젖산 농도 측정 결과
혈중 젖산 농도를 측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섭취에 따른 피로 또는 스트레스 예방능력을 분석하였으며, 혈중 젖산 농도의 측정은 조성물 복용 직전의 안정시(안정기), 운동 직후, 운동직후 5분(회복기 5분)과 운동직후 10분(회복기 10분)으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측정 결과 아래 [표 15] 및 도 11과 같았다.
조성물 장기 투여에 따른 인체 혈중 젖산 농도의 변화(mM/L)
  안정기 운동직후 회복 5분 회복 10분
대조군 평균 1.68 9.80 10.21 7.79
표준편차 0.22 0.14 0.23 0.36
실험군 평균 1.01 6.15 5.62 3.62
표준편차 0.07 0.10 0.08 0.10
위 [표 15] 및 도 11에서와 같이 혈중 젖산 농도 측정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장기 복용한 모든 실험군에서 안정기에도 이미 대조군에 비해 혈청 젖산 농도가 의의있게 낮았으며, 운동 직후나 운동 후, 회복 5분, 10분에도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젖산의 농도가 감소하였다. 이에 본 조성물은 피로 또는 스트레스에 따른 혈정 젖산 농도를 낮춤으로써 피로 또는 스트레스 예방에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2)피로 또는 스트레스 예방 설문 조사
가. 조사방법
신촌 지역의 대학교 재학생으로 기숙사에 기숙하는 학생 중 만성피로증후군에 해당하는 20-2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인체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들 중 1개월 이내에 약물이나 보약 등의 섭취 경험이 없고 특별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학생 5명을 실험군 (5명)과 대조군(5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실험대상자는 아래 [표 16]과 같이 양 군간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실험 대상자
대조군 실험군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나이(yr) 24.20 1.64 24.60 1.14
신장(cm) 172.20 2.58 174.20 1.30
체중(kg) 64.40 3.64 636.00 6.22
체지방(%) 15.60 0.89 16.00 1.87
피로 또는 스트레스 유발을 위하여 24시간전부터 운동과 음주, 흡연 및 과다한 식사는 금지토록 하였으며, 오전 10시경 실험실에 도착하여 안정을 취한 후 실험을 시작하였다. 스트레스 유발로는 트레드밀(treadmill) 운동부하검사을 이용하였다. 피검자의 자각적 인지에 의한 주관적 운동 강도와 더불어 호흡 곤란, 안면홍조, 보행 불규칙, 안면 표정 등을 관찰하면서 운동 종료 시점에서 언어적 강화로 최대 운동을 유도하도록 하였다. 운동부하검사시 실험실의 온도는 20-25℃, 습도는 60% 이하로 동일하게 유지토록 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실시예1]에 따른 조성물 1병을 각각 매일 5일 동안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심리적 효과를 최대한 배제하기 위하여 섭취 음료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다. 대조군의 경우 동일한 병에 생리 식염수를 넣어 복용하게 하였다. 복용 후 피로 및 스트레스 유발 운동검사 종료 후 30분후에 설문을 평가하였으며, 설문은 각 항복별로 최소치를 1로 하고 최대치를 5로 하여 5단계(1-5)의 스케일(scale)의 길이에 표시 작성하도록 하였다(적은 경우, 아주 약함, 최소; 1------2------3------4------5: 최대, 강한 경우, 많은 경우).
나. 설문 조사결과
피로 또는 스트레스 회복에 따른 설문 평가는 아래 [표 17] 및 도 12와 같이 나타냈다.
조성물 장기 복용에 따른 피로 또는 스트레스에 대한 현상 평가
대조군 실험군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미열 2.50 0.51 0.70 0.54
두통 2.50 0.52 1.60 0.56
운동후 피로 4.80 0.68 2.30 0.61
근육약화 4.00 0.75 2.40 0.68
신경과민 4.10 0.21 3.00 0.45
집중 불능 3.90 0.78 2.80 0.68
불쾌감 3.95 0.78 2.40 0.69
권태감 4.50 0.55 2.10 0.75
집중력저하 4.30 0.55 2.10 0.80
관절통 2.90 0.28 2.00 0.69
위 [표 17]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장기 섭취한 실험군은 피로 또는 스트레스에 따른 피로 증상 항목인 미열, 두통, 운동 후 피로, 근육약화, 신경과민, 집중 불능, 불쾌감, 권태감, 집중력저하, 관절통 등이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적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로 또는 스트레스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4] 독성실험
6주령의 SD계 쥐를 이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5 마리씩 분리하여 [실시예1]에 따른 조성물을 용해시켜 1g/㎏/㎖의 용량으로 5일간 경구 투여하였으며 9일간 관찰하였다. 조성물을 투여한 후 동물의 폐사 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조성물을 투여한 결과 사망한 쥐는 없었으며, 육안 관찰시 모든 쥐의 건강상태는 양호하였다. 조성물 투여 후 모든 쥐에서 체중이 약간 증가된 것 이외에 특기할만한 임상증상은 없었으며, 일상 활동은 정상적이었다.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등에서도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9일 후 모든 쥐를 해부하여 각 조직 및 기관을 검사한 결과, 모든 조직 및 기관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체에 안전하다고 유추할 수 있다.

Claims (4)

  1. 데커신과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제1성분; 쌀눈 추출물; 및,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제1성분은, 당귀를 추출한 것이거나 합성물질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에 기인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
  2. 제1항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의약첨가제를 더 포함하거나, 제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첨가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에 기인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
  3. 제2항에서,
    상기 식품첨가물은, 디아스타아제, GABA, Glutathione, 아스파라긴산, 메티오닌, 타우린, 과당, 비타민 C, 비타민 B, 카테킨, 미네랄, 구연산, 허브향, 구연산나트륨, 감미료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에 기인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
  4. 제3항에서,
    상기 감미료는, 흑설탕과 효소처리스테비아 중 하나 이상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에 기인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
KR1020140113151A 2014-08-28 2014-08-28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 KR101689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151A KR101689259B1 (ko) 2014-08-28 2014-08-28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151A KR101689259B1 (ko) 2014-08-28 2014-08-28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808A KR20160025808A (ko) 2016-03-09
KR101689259B1 true KR101689259B1 (ko) 2017-01-02

Family

ID=5553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151A KR101689259B1 (ko) 2014-08-28 2014-08-28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2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527A (ko) 2020-12-14 2022-06-21 김용숙 근육 증강, 운동능력 향상 및 운동피로 회복용 조성물
KR20230050930A (ko)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지바이오 당귀 추출물 함유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개선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품,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14394A (ko) 2022-07-25 2024-02-01 (주)우리스마트바이오 당귀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항염증성 건강기능식품, 피부개선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피부개선 기능성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0881A (ja) * 2006-02-27 2007-09-13 Oriza Yuka Kk 抗疲労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367A (ko) * 1998-04-04 1999-11-05 구화삼 숙취 제거용 용융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0881A (ja) * 2006-02-27 2007-09-13 Oriza Yuka Kk 抗疲労用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un Liang 외 5인.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Guibitang and Fermented Guibi-tang and their Ability to Inhibit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Natural Product Sciences. Vol. 17, No. 4, 2011년, pp, 363-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527A (ko) 2020-12-14 2022-06-21 김용숙 근육 증강, 운동능력 향상 및 운동피로 회복용 조성물
KR20230050930A (ko)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지바이오 당귀 추출물 함유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개선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품,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14394A (ko) 2022-07-25 2024-02-01 (주)우리스마트바이오 당귀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항염증성 건강기능식품, 피부개선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피부개선 기능성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808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rlaan et al. Sufficient levels of 25-hydroxyvitamin D and protein intake required to increase muscle mass in sarcopenic older adults–The PROVIDE study
JP7069490B2 (ja) ユウリコマ・ロンギフォリア抽出物並びに免疫系の増強及び/又は刺激におけるその使用
US10709754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hyperuricemia or metabolic disorders related with hyperuricemia comprising extract of Alpinia oxyphylla as effective ingredient
CN107691952A (zh) 一种抗运动性疲劳、促进运动后恢复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210128664A1 (en) Agent for Activating Astrocyte Glucose Metabolism
KR101689259B1 (ko)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에 기한 피로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 또는 회복용 조성물
Scognamiglio et al. The effects of oral amino acid intake on ambulatory capacity in elderly subjects
WO2017213176A1 (ja) アスタキサンチンを含有する飲食品組成物
KR101160088B1 (ko) 알코올성 지방간과 고지혈증 억제 및 숙취 억제 조성물
Amruthesh Dentistry and Ayurveda-III (basics-ama, immunity, ojas, rasas, etiopathogenesis and prevention)
CN107362245A (zh) 一种具有抗氧化和降同型半胱氨酸的组合物
CN101143203A (zh) 一种具有护肝养胃功能的复方口服液
KR101645589B1 (ko)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귀추출물, 쌀눈 추출물, 무말랭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숙취 예방, 숙취 해소, 간장 보호 또는 피로 회복용 조성물
JP2018177748A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TWI745609B (zh) 具抗氧化活性之組合物
JP2012180331A (ja) 筋損傷の早期回復の誘導用の経口摂取剤
RU2384341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псориаза
JP7011400B2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RU2635373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для повышения общей работоспособности
KR20210076885A (ko) 변비 개선 및 항비만에 도움이 되는 한방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한방추출물을 이용한 곤약 젤리
CN103960398B (zh) 一种含鱼眼草减肥茶及其制备方法
AKINTUNDE EFFECTS OF Alafia barteri AQUEOUS AND ETHANOL LEAF AND ROOT EXTRACTS ON OXIDATIVE STRESS PARAMETERS IN THE BRAIN & HEART OF ARTHRITIC MICE.
Donsu et al. Averrhoa carambola Benefits to Reduce Hyphertension
CN1108813C (zh) 一种解毒化瘀消炎止痛提神益气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17838829A (zh) 一种改善炎症关联性疲劳的中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