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659B1 -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 Google Patents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659B1
KR100712659B1 KR1020050080820A KR20050080820A KR100712659B1 KR 100712659 B1 KR100712659 B1 KR 100712659B1 KR 1020050080820 A KR1020050080820 A KR 1020050080820A KR 20050080820 A KR20050080820 A KR 20050080820A KR 100712659 B1 KR100712659 B1 KR 100712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iabetes
group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066A (ko
Inventor
정두수
Original Assignee
정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두수 filed Critical 정두수
Priority to KR102005008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6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연자육, 감초, 지골피, 맥문동, 차전자, 황금, 백복령, 황기, 두충, 우담, 잠분, 인진, 서목태, 백강잠, 천화분, 하수오, 한수석, 인삼 및 란피를 소정의 배합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특히, 당뇨병의 주요증상에 속하는 혈관장애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대동맥 등의 혈관이 수축되고 잘 이완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의 당뇨 합병증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당뇨, 합병증, 한약, 생약, 연자육, 혈관장애

Description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Herbal composition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abetes and diabetic complications}
도 1은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경과일수에 따른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의 혈장 혈당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경과일수에 따른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의 평균 동맥압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KCl 수축 후 본 발명의 추출물 투여농도에 따른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의 대동맥 이완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노르에피네프린 투여농도에 따른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의 대동맥 수축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아세틸콜린 투여농도에 따른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의 대동맥 이완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뇨병의 주요증상에 속하는 혈관장애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당뇨병 및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등의 당뇨 합병증을 치료 및 예방하는 한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가장 많이 발생되는 비전염성 만성질환으로서, 췌장에서 생산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작용에 이상이 있는 때에 식사를 통하여 섭취된 당분이 간장이나 근육 또는 지방세포 등에 적절히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중에 축적되어 공복시 60-120㎎/㎗, 식사후 2시간 경과시 140㎎/㎗를 넘지 않는 정상인의 혈당보다 훨씬 높은 혈당을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과다한 양의 혈당이 신사구체를 손상시켜 당분이 그대로 통과하여 뇨로 배설되거나 혈액중의 콜레스테롤 혹은 중성지방으로 되어 늘어나게 되는 현상을 나타낸다. 이외에도 고혈압, 신장염, 뇌졸증, 심장병,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진전을 막아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당뇨병 환자에게는 관상동맥, 뇌혈관 및 말초혈관의 동맥경화성 병변이 비당뇨 성인에 비하여 빈번히 발생되며, 이와 같은 대혈관 합병증은 성인 당뇨병 환자 사망률의 약 80%에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당뇨병 환자에게 발생한 동맥경화성 질환, 고혈압 및 지질대사 이상은 일반 성인에게 발생하는 것과 다른 증상 및 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예방 및 치료법에 주의를 요한다.
당뇨병 환자에게 고혈압의 빈도는 비당뇨 성인에 비하여 약 1.5∼2배 가량 높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당뇨병 발병 시 혈압이 보통 정상으로써 초기에 이들의 고혈압 빈도는 일반인과 거의 비슷하고, 이 상태가 5∼10년간 유지되다가 당뇨병성 신증이 나타나면서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이 상승하여 고혈압의 빈도가 증가한다. 한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당뇨병으로 진단받을 당시에 고혈압을 흔히 동반하고 있고, 신기능장애보다 먼저 나타나며, 당뇨병성 신증이 나타나면 고혈압의 빈도는 더욱 증가한다. 당뇨병 환자에게는 경미한 혈압의 증가가 동반되어도, 여러 대혈관성 합병증 및 미세혈관합병증, 신기능저하 등 그 영향이 심각하다.
한의학에서는 기원전 700년경 황제내경이라는 한의서에서 소모성 질환 일반을 가리키는 소갈증의 하나로 당뇨병을 다루기 시작했다. 천화분, 대황, 창출 등의 약재를 집중 투여하면서 침치료를 병행하는 청열생진법을 2~3개월 시행하는 치료 방법이 오래된 치료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또 다른 민간요법으로 천화분과 산약으로도 불리는 마를 이용하여 왔다. 천화분은 오래전부터 당뇨병에 따른 갈증을 없애는데 좋아서 당뇨병의 성약이라고 하였으며 마는 당뇨 환자의 위장을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다.
근래에도 한약재를 이용한 당뇨병의 치료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5-70704호에는 한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목단피(Moutan Radicis Cortex)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에서 인슐인의 작용을 증가시켜 포도당의 흡수를 증가시키며, 알파-글루코아밀라제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므로, 혈당강화효과가 우수함을 알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05-70704호에는 AMPK(5′AMP- 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을 높이는데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연교(forsythiae fruc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들 이외에도, 다양한 생약재 또는 그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 예방 및 치료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한국특허공개 제2003-59719호, 제2003-59951호 및 제2003-59952호에는 당뇨병과는 무관한 병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순기산, 소풍순기원 및 변방소풍순기원 복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당뇨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을 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하고자 하고 있다.
앞서 알려진 복합 생약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생약재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당뇨병 예방 및 치료에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본 발명자는 한방재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생약재를 대상으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연자육을 포함하여 총 19종의 한방재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당뇨병과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뇨병과 당뇨 합병증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한약조성물과 그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은, 연자육 20중량부에 대하여 감초 7∼13중량부, 지골피 7∼13중량부, 맥문동 7∼13중량부, 차전자 7∼13중량부, 황금 7∼13중량부, 백복령 7∼13중량부, 황기 9∼17중량부, 두충 7∼13중량부, 우담 7∼13중량부, 잠분 7∼13중량부, 인진 7∼13중량부, 서목태 7∼13중량부, 백강잠 7∼13중량부, 천화분 7∼13중량부, 하수오 2∼4중량부, 한수석 2∼4중량부, 인삼 2∼4중량부 및 란피 2∼4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은 연자육(蓮子肉), 감초(甘草), 지골피(地骨皮), 맥문동(麥門冬), 차전자(車前子), 황금(黃芩), 백복령(白茯笭), 황기(黃朞), 두충(杜沖), 우담(牛膽), 잠분(蠶糞), 인진(茵蔯), 서목태(鼠目太), 백강잠(白疆蠶), 천화분(天花粉), 하수오(何首烏), 한수석(寒水石), 인삼(人蔘) 및 란피(卵皮)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성분 중 연자육(蓮子肉; Nelumbinis Semen)은 연밥씨를 말하는데, 몸과 마음을 안정시키고 오장을 편하게 해 주며, 진정 및 강장 작용을 한다. 원기를 보해 주기도 하고, 신경 쇠약, 불면증, 가슴뜀, 건망증, 불안 신경증, 우울증 등 정신 신경계 계통에 두루 효과가 있는 한약재이다. 또한, 피로 회복에 좋고 갈증을 해소시켜 주며 혈압을 내려 주는 작용을 해 숙면에 도움을 준다. 민간요법으로는 백강잠과 쌍기자 등의 한약재와 함께 사용되어 `백쌍연환'으로 복용되기도 한다.
감초(甘草; Glycyrrhiza uralensis)는 모든 약 성분을 중화하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에는 '감초는 5장6부의 한열(寒熱)과 사기(邪氣)를 다스리며 눈 코 입 귀와 대소변의 생리를 정상으로 되게 하고 모든 혈맥을 소통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영양 상태를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모든 약의 독성을 해독하고 72가지 석약(石藥)과 1200가지 초약(草藥)을 서로 조화하여 약효를 잘 나타나게 하므로 별명을 국노(國老)라 한다.'고 적혀 있다. 감초는 여러 가지 극성약이나 독성약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여 극약이나 독약으로 인한 약물중독을 치료하고, 세균으로 인한 독에도 중화작용 및 해독작용을 한다. 또한, 부신피질호르몬처럼 조정작용도 있어 급박한 증상을 푸는 것으로,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동통이나 신경의 긴장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며, 항알러지 작용을 하고,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에도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골피(地骨皮; Licii Radicis Cortex)는 구기자 나무의 뿌리껍질이다. 달고 차며, 폐장, 간장 및 신장에 주로 작용한다. 열을 식혀 혈을 서늘하게 하는 청열양혈(淸熱凉血) 작용과 폐장기 열을 식히는 청폐열(淸肺熱) 작용을 한다. 폐열로 인한 해수, 천식, 토혈, 코피, 소변출혈, 골증노열(骨蒸勞熱; 결핵같은 소모성 질환) 등의 증에 유효하며, 혈당을 내리고, 심혈관 계통에 작용하여 혈압강하의 효능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맥문동(麥門冬; Liliope koreana NAKAI)은 폐를 자양하고, 위를 강화하며, 체내의 열을 해소하고, 림프액, 세포액 등과 같은 신체에 필요한 조직액이나 체액을 만드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약리실험에 의하면 강심 작용, 이뇨 작 용, 가래삭임 작용, 기침멈춤 작용, 영양 작용이 있다고도 한다. 여자의 음을 보하고 폐를 편안히 하며, 심열(심화로 생기는 병)을 다스리고 뇨를 잘 배설하게 한다. 폐와 위장을 보하는 가운데 특히 자양강장의 효과가 뛰어나서 일반적으로 신체 허약에 널리 쓰고 기력이 뚝 떨어지는데 약용하면 힘이 솟는다. 또한, 젓을 잘 나오게 하고 변비를 없앤다. 목구멍과 입안이 마르면서 생기는 갈증을 다스리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전자(車前子; Psyllium)는 대량의 점액질이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단백질 및 지방산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안압을 내리고 이뇨작용을 촉진하는 뛰어난 효능이 있다. 또한, 식이섬유가 풍부해 변비에도 효험이 있다. 소변 보기가 힘들고 줄기가 약한 남자, 여름철 더위를 잘 먹고 설사를 하는 사람, 눈이 어둡고 성욕이 없는 남자 등에게 특히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금(黃芩; Scutellaria baicalensis Geoge)은 '속썩은풀'이라고도 불리워지는 것으로, 폐열을 제거하고, 대장의 습열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열독(熱毒), 골증(骨蒸),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하고, 열로 나는 갈증을 멎게 하고, 황달, 이질, 설사, 담열(痰熱), 위열(胃熱)을 낫게 한다. 소장을 잘 통하게 하고, 유옹, 등창, 악창과 돌림열병[天行熱疾]을 낫게 한다. 속이 마르고 퍼석퍼석하기[飄] 때문에 폐 속에 화(火)를 사(瀉)할 수 있고, 담을 삭게 하고, 기가 잘 돌게 한다. 수태음경에 들어가며 뿌리가 가늘고 단단하면서 속이 비지 않는 것은 하초의 병을 낫게 하고, 대장의 화(火)를 사한다. 물에 넣어서 가라앉는 것을 약에 쓴다. 술로 축 여 볶으면 약 기운이 올라가고, 동변에 축여 볶으면 내려간다. 보통 때는 생것을 쓴다[입문].'고 설명하고 있다.
백복령(白茯笭)은 '흰솔풍령'이라고도 한다. 맛은 달고 심심하며 성질이 평(平)하여 보(補)하는 작용이 있고 이뇨작용을 하지만 강하지 않다. 옛날부터 강장제로 사용되었다. 폐경(肺經), 비경(脾經), 심경(心經), 신경(腎經) 및 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하여 비장을 보하고 가래를 삭이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약리실험 결과에 의하면 이뇨작용,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 진정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면역 부활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비장이 허(虛)하여 몸이 붓는 경우와 담음병에 사용한다. 그밖에, 게우는 데나 복수, 설사, 건망증, 수면장애 등에도 처방한다. 위, 간, 이자, 신장 등의 질병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질병을 앓고 난 후 허약한 사람, 만성 위장병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이용된다. 또한, 남녀의 임독성 질병은 물론 모든 성병과 부인병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기(黃朞)는 달고 약간 따뜻하며, 비장과 폐장에 주로 작용한다. 기운을 보하고 양기를 올리는 보기승양(補氣升陽) 작용, 표피를 단단히 하여 땀이 나지 않게 하는 고표지한(固表止汗) 작용, 피부에 종기 등을 치료하는 탁독배농(托毒排膿) 작용, 수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부종을 치료하는 이수퇴종(利水退腫) 작용과 소아의 여러 질환에도 사용된다. 비장의 기운 허약으로 인하여 얼굴빛이 희거나 황색을 띠는 증상, 사지권태 무력감, 대변이 묽은 증상에 쓴다. 또한, 기운이 허약하여 조혈기관이 약화됨으로써 나타나는 권태감, 무력감 및 얼굴빛이 창백하여 광택 이 없고, 토혈, 변혈, 피하출혈, 자궁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활용된다. 기운을 상승시키는 효능이 있어 위하수증, 탈항, 장기탈수, 기운하강 등의 증상에 유효하다. 기운이 허약해서 얼굴빛이 노랗고 어지러우며 기운이 없고 말하기 힘들고 식은땀이 나면서 가슴이 뛰고 잠을 이루지 못하는 증상에도 쓰인다. 또한,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이 오래도록 낫지 않을 때 활용되고, 기허 무력으로 과다하게 수분이 체내에 정체되어 배설되지 못하는 증상과 기운이 없고 혈행장애로 인한 피부마비와 감각마비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충(杜沖; Eucommia ulmoides)은 두충나무과에 속한 두충나무의 껍질이다. 일반적으로 '두중'이라고도 하며, 달고 약간 매운 맛을 가졌으며 따뜻하고 무독하다. 주로 간장과 신장에 효능을 발휘한다. 간장과 신장을 보하는 기능, 근육과 골격을 강화시키는 기능 및 임신중 태아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간신의 기능부족으로 나타나는 요통, 무릎이 시리고 연약해지는 증상 등에 근육의 탄력을 강화시키면서 골질형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간신의 기능을 강화시켜 몸이 차서 나타나는 양위, 하복부냉감, 소변을 자주보는 증상 등에 사용하고 방광의 수축력을 높인다. 간장과 신장이 허약해서 일어나는 임신 중의 태동불안, 자궁출혈 또는 유산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또한, 간신부족으로 인한 고혈압을 다스린다. 두충의 약리 작용을 보면, 혈관 평활근에 직접적인 확장작용을 일으켜 혈압을 내리고, 항노화작용이 있고,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두충의 잎은 관상동맥 혈류량을 증가시킨다. 동물의 부신피질호르몬을 증강시키며 항염증작용을 보이고, 진정 진통작용과 신체 면역 기능을 조절하여 세포면역의 억제와 증강작용을 보인다. 출혈시간을 단축시키고 이뇨작용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담(牛膽)은 소 쓸개로서, 데옥시콜린산(UDCA)이 다른 쓸개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다. 데옥시콜린산은 담석의 용해 배출에 도움이 되며, 백일기침균에 대한 억균작용이 있어서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잠분(蠶糞)은 누에가 배설하는 똥으로서, 당뇨, 세포 재생, 장의 정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진(茵蔯)은 비타민 A의 함량이 많아 암예방에 효과적이고, 발암물질의 생성이나 활성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단히 강한 혈청 지질의 억제작용이 있어 동맥경화 및 고혈압을 예방하는데 좋은 치료제이다. 동의보감에 기록된 자료에 의하면 인진쑥은 약쑥과는 달리 황달, 간염, 지방간, 간질환, 간경화, 간암, B형간염, 위염, 위장질환, 변비, 장질환, 부인병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비타민 C가 많아 감기에 도움이 되며 한여름의 더위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목태(鼠目太)는 검정콩의 일종으로서, 껍질은 까맣고 크기는 보통 검정콩보다 훨씬 작아 마치 쥐눈 같다고 하여 '쥐눈이콩'이라고도 한다.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질환 등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 해독력이 뛰어나 체내에 들어가 파괴된 인체조직을 빠른 속도로 회복시켜주고 갖가지 독성을 풀어주는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강잠(白疆蠶)은 한방에서는 다양한 증세에 사용하는데, 특히 풍증 따위를 다스리는 데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밖에도 수면촉진작용과 항경련작용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화분(天花粉;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은 오래전부터 당뇨병에 따른 갈증을 없애는데 좋아서 '당뇨병의 성약'이라 했다. 가슴에 있는 담(痰)을 내려주는 효능이 있고, 고름을 없애며 기운을 북돋는 작용이 있어 각종 염증성 질환을 다스리고, 몸의 조직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이 뛰어나다. 황달로 얼굴과 몸이 누렇게 뜨고, 입술과 입안이 마를 때도 사용하면 잘 듣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선염에 뛰어나고, 젖몸살을 앓는 듯한 느낌이 들 때도 효과가 좋다. 일부에서 예전에는 유산을 목적으로 사용하였으며, 포상기태와 같은 증상을 치료할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고, 자궁암에 사용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수오(何首烏; Pleuropterus Multflorus)는 '새박덩굴' 또는 '박주가리' 라는 덩굴풀로 우리나라 각지 산야에 널리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이 풀뿌리를 건조시켜 분쇄한 것을 말하며, 옛날부터 정력과 기를 보호하고 머리를 검게 하여 주는 식물로 일컬어져 왔고, 인삼 대용품으로도 사용한다. 자양강장, 양혈, 보간, 갈증해소 및 당뇨에 효능이 뛰어나고, 허약 체질 개선 및 정력제로 좋은 건강식품이라고 알려져 있다.
한수석(寒水石)은 성질은 차고[寒] 맛은 맵고[辛] 달며[甘] 독이 없다. 5장에 있는 열, 위(胃)에 있는 열, 몸에 있는 열, 답답하고 그득한 증, 피부 속이 불같이 뜨거운 증 등을 낫게 하고 갈증을 멈추고 부종을 내린다. 일명 '응수석(凝水石)' 또는 '작석(鵲石)'이라고도 하며, 그 빛은 운모 비슷하고 잘 꺾어지는 것이 좋은데 이것은 소금의 정기[鹽之精]이다[본초].
인삼(人蔘; ginseng)은 항암 효과가 있고, 원기를 보하며, 몸이 마르지 않게 하고, 혈이 생기게 하는 작용을 한다.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이 달며, 약간 쓰고, 독이 없다. 생체의 비특이성 면역력과 각종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력을 증강시키고, 생체기능 장애를 조절하여 정상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로방지 효과가 확실하며, 뇌와 근육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침에 잘 일어나지 못하는 사람에게 좋다. 또한, 진액을 만들어 당뇨병을 낫게 하며, 폐의 기운을 보하여 천식을 멈추게 한다. 이 밖에도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설사를 치료하며, 독성을 제거하고, 상처를 아물게 한다. 그러나, 몸에 열이 많은 사람, 코피를 자주 흘리거나 각혈을 하는 사람, 혈압이 높아서 목이 뻣뻣한 사람 등 체질에 맞지 않는 사람에게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란피(卵皮)는 '알껍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달걀 또는 참새알과 같은 조류의 알껍질이라면 제한됨이 없이 포함되며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른 한약 성분들과 함께 사용되어 항당뇨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은 연자육 2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황기는 9∼17중량부, 감초, 지골피, 맥문동, 차전자, 황금, 백복령, 두충, 우담, 잠분, 인진, 서목태, 백강잠 및 천화분은 각 7∼13중량부, 하수오, 한수석, 인삼 및 란피는 각 2∼4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들 성분은 모두 한약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건조된 약재 형태의 것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자육 2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황기는 11.7∼14.3중량부, 감초, 지골피, 맥문동, 차전자, 황금, 백복령, 두충, 우담, 잠분, 인진, 서목태, 백강잠 및 천화분은 각 9.0∼11.0중량부, 하수오, 한수석, 인삼 및 란피는 각 2.7∼3.3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각 성분이 상,하한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당뇨병 환자의 혈관 수축 증상 등에 따른 심기능 약화 현상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크지 않게 된다.
상기한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열수추출하여 열수추출액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추출액 또는 이를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상 건조추출물을 당뇨병과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수추출은 100∼125℃ 온도에서 1∼3시간동안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추출액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추출액 또는 이를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상 건조추출물을 당뇨병과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는 에탄올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은 상기한 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라면 그 제형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산제, 전탕액, 환약 등과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한약조성물
건조된 연자육 200g, 황기 130g, 감초, 지골피, 맥문동, 차전자, 황금, 백복령, 두충, 우담, 잠분, 인진, 서목태, 백강잠 및 천화분 각 100g, 하수오, 한수석, 인삼 및 란피 각 30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이들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한약조성물의 열수추출물
3차 증류수 1ℓ가 담긴 플라스크에 제조예 1의 혼합물 500g을 투입한 후, 100℃ 온도에서 2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열수추출액을 얻었다. 수집된 열수추출액을 거즈로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45℃ 온도, 1기압에서 감압여과기(Eyela사 제품, 일본 소재)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조건에 따라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열수추출 건조물 130g을 얻었다.
<제조예 3> 한약조성물의 알코올 추출물
제조예 1의 혼합물 1㎏에 에탄올 수용액 2ℓ를 가한 후,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초음파처리기를 사용하여 초음파로 15분간 2회 추출하여 3ℓ의 알코올 추출액을 얻었다. 수집된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여액을 45℃ 온도, 1기압에서 감압여과기(Eyela사 제품, 일본 소재)로 농축한 후, 통상의 조건에 따라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알코올추출 건조물 90g을 얻었다.
<시험예 1> 급성 독성실험
(1) 경구투여
약 160g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Sprague-Dawley)계 랫트(중앙실험동물(주), 한국 소재) 15마리를 온도(23±1℃) 및 습도(50 ±10%)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병원균이 없는 사육실(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육실내 면역무균실)내에 케이지마다 5마리씩 넣고 1주동안 멸균처리한 실험동물용 사료(정도산업(주) 제품, 한국 소재)와 멸균처리한 증류수를 충분히 공급하여 주고 사육하였다. 이후, 1군당 5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다.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0.5% 메틸셀룰로오즈 용액에 현탁한 후, 3군에 대하여 서로 다른 양, 5g/㎏, 10g/㎏ 및 20g/㎏으로 1회 경구투여하였다. 제조예 2의 추출물을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추출물로 대체하여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2) 독성실험 및 결과
이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 및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제조예 2 및 3의 추출물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이할 만한 임상증상을 나타내거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학적 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모두 랫트에 20g/㎏ 투여할 때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경구투여 중간치사량(LD50)은 20g/㎏ 이상이므로, 추출물은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그 외 통상의 방법에 따라 흰쥐에 대하여 동일 추출물을 복강내 투여하여 동일한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에서도, 복강내 투여에 의한 중간치사량(LD50)은 20g/㎏ 이상이므로, 추출물은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1) 군의 분류
약 160∼165g의 위스터(wister)계 수컷 랫트(중앙실험동물(주), 한국 소재) 90마리를 온도(23±1℃) 및 습도(50±10%)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병원균이 없는 사육실(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육실내 면역무균실)내에 케이지 마다 5마리씩 넣고 1주동안 멸균처리한 실험동물용 사료(정도산업(주) 제품, 한국 소재)와 멸균처리한 증류수를 충분히 공급하여 주고 사육하였다. 이후, 1군당 30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다.
(2) 한약조성물 및 스트렙토조토신의 준비
본 발명의 실시예 대상군에 투여하기 위하여 제조예 2 및 3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미리 준비하고, 비교예 대상군 및 실시예 대상군에 투여하기 위하여 스트렙토조토신(STZ; Streptozotocin)도 미리 준비하였다. 스트렙토조토신은 선택적으로 췌장의 베타세포를 사멸시키는 작용으로 인슐린 생성 및 분비를 막음으로써 당뇨를 유발하는 물질로서 사용된다.
(3)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의 준비
상기 (1)에서 준비된 3군 중 1군의 랫트에 대하여는 스트렙토조토신을 전혀 투여하지 않았다. 이들은 당뇨가 유발되지 않은 정상 쥐로서 대조군(control group)으로 사용된다.
상기 (1)에서 준비된 다른 1군의 랫트에 대하여 스크렙토조토신 복강투여일을 기준으로 하여 3일전부터 (2)의 한약조성물을 4g/㎏의 용량으로 1일 2회씩 3일 동안 경구투여한 후, 스트렙토조토신을 60㎎/㎏의 용량으로 복강내 1회 투여한 다음, (2)의 한약조성물을 4g/㎏의 용량으로 1일 2회씩 40일간 경구투여하였다. 이들은 당뇨 유발 전, 후에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을 투여한 당뇨 실험쥐로서 실험군으로 사용된다.
한편, (1)에서 준비된 또 다른 1군의 랫트에 대하여 실험군과 동일 시기에 스트렙토조토신을 60㎎/㎏의 용량으로 1회 복강투여하였다. 이들은 당뇨를 유발하였지만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당뇨 실험쥐로서 비교군으로 사용된다.
<시험예 2> 몸무게 변화
실시예에서 준비된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 각 30마리를, 스트렙토조토신을 최초 투여한 날을 기준일로 하여 10일 경과군 각 7마리, 20일 경과군 각 7마리, 30일 경과군 각 7마리, 40일 경과군 각 9마리로 세분하여 10일, 20일, 30일 및 40일 경과시의 최종 몸무게 및 심박동수(Heart Rate)를 각각 측정하고, 그 결과 각각을 평균한 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최초 몸무게 (g) 최종 몸무게 (g) 심박동수 (bpm)
10일 경과 대조군 161±8 187±9 362±8
실험군 165±8 180±10 353±11
비교군 163±7 171±12 345±13
20일 경과 대조군 165±10 243±11* 369±9
실험군 160±17 223±10* 357±12
비교군 159±7 184±7 343±10
30일 경과 대조군 160±7 267±13* 354±15
실험군 164±17 241±18* 333±15
비교군 163±7 191±8 314±18
40일 경과 대조군 161±10 305±11* 348±16
실험군 168±15 267±10* 317±15
비교군 161±6 214±25 327±11
*는 각 비교군의 수치와 비교하여 볼 때 student t-test에 의해 P<0.05인 것임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몸무게 증가율이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당뇨병이 유발되었음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한 현상은 경과일수가 경과할수록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반면,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몸무게 증가율이 소폭 둔화되었으며, 비교군과 비교하여 볼 때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낸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항당뇨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혈장 혈당량 변화
시험예 2에서 세분된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을 대상으로 하여, 스트렙토조토신을 최초 투여한 날로부터 10일, 20일, 30일 및 40일 경과시의 혈장 혈당(plasma glucose)량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각각 측정하고, 그 결과를 평균한 값을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혈장 혈당량 (단위: ㎎/㎗)
10일 경과 대조군 128.8 (17.5)
실험군 209.8 (15.7)
비교군 281.7 (42.8)
20일 경과 대조군 138.8 (18.1)
실험군 327.3* (23.6)
비교군 413.9 (18.3)
30일 경과 대조군 131.5 (14.7)
실험군 359.2* (28.3)
비교군 463.7 (32.3)
40일 경과 대조군 140.3 (25.8)
실험군 356.1* (27.5)
비교군 453.8 (35.7)
*는 P<0.01인 것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표준오차(SE; standard error)임
상기 표 2 및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혈당이 증가하였으며, 가장 낮은 혈당을 나타내는 10일 경과시에 측정된 혈당도 280㎎/㎗ 이상으로 나타나 당뇨병이 유발되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반면, 실험군은 비교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된 혈당량을 나타낸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항당뇨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평균 동맥압 변화
시험예 2에서 세분된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을 대상으로 하여, 스트렙토조토신을 최초 투여한 날로부터 10일, 20일, 30일 및 40일 경과시의 평균동맥압(MAP; Mean arterial pressure)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각각 측정하고, 그 결과를 평균한 값을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평균 동맥압 (단위: mmHg)
10일 경과 대조군 118.3 (5.3)
실험군 113.6 (7.0)
비교군 104.7 (4.3)
20일 경과 대조군 120.8 (4.6)
실험군 110.8 (8.2)
비교군 101.6 (7.8)
30일 경과 대조군 115.4 (3.9)
실험군 112.9* (5.8)
비교군 94.1 (4.8)
40일 경과 대조군 121.7 (7.6)
실험군 118.6* (7.8)
비교군 91.5 (8.3)
*는 P<0.01인 것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표준오차(SE; standard error)임
상기 표 3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혈압이 감소되었으며 경과일수가 증가할수록 더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당뇨병에 기인한 혈관 수축 등에 의하여 심기능이 약화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 실험군은 비교군에 비하여 혈압이 증가하여 대조군과 비슷하게 회복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당뇨병에 의한 혈압 감소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수축 및 이완 반응 변화
(1) 생리식염수(PSS, Physiological salt solution) 준비
NaCl 136.9mM, KCl 5.4mM, CaCl2 1.5mM, MgCl2 1.0mM, NaHCO3 23.8mM, 글루코오스 5.5mM 및 EDTA 0.01mM의 조성을 갖는 생리식염수를 준비하였다.
(2) 대동맥 표본의 작성 및 수축이완 측정 방법
스트렙토조토신을 최초 투여한 날을 기준일로 하여 40일 경과한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의 랫트 각 9마리는 안정상태에서 후두부를 강타하여 실신시킨 후 양쪽 경동맥을 절단하여 충분히 방혈시켰다. 방혈 후 좌측흉부를 절개하여 대동맥을 조심스럽게 적출하였다. 적출한 대동맥은 (1)에서 준비된 생리식염수가 함유된 접시(dish)에서 지방조직을 제거하고, 현미경하에서 대동맥을 분리하여 폭이 2㎜ 정도의 링(ring) 표본을 만들었다. 이때 생리식염수의 실험조건은 37℃ 온도에서 95% O2 및 5% CO2의 혼합가스로 충분히 포화한 후 사용하였고, 실험 중에도 37℃에서 95% O2 및 5% CO2의 혼합가스를 공급하여 pH 7.4로 유지하였다. 링의 한쪽 끝은 고정기로 고정하고, 다른 한쪽 끝은 장력변환기(Force Displacement Transducer, FT03, GRASS)에 연결하여 조직 표본용 용기(bath, 5㎖)에 옮겨 생리현상기록기(physiograph)로 기록하였다.
대동맥 링 표면에는 1g의 레스팅 텐션(resting tension)을 주어 약 30분간 안정시킨 후, 25mM 등장(isotonic) 고농도 KCl과 생리식염수의 처치를 반복적으로 시행하였다.
(3) 시험 대상 - KCl 수축 후 추출물 투여농도에 따른 이완 반응 변화
상기 (2)에서 적출한 각 군의 대동맥을 대상으로 하며, 70mM KCl에 대한 수축반응이 일정하게 유지된 후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여 추출물 투여농도에 따른 대동맥의 이완율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평균한 값을 하기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때, 1∼300㎍/㎖ 농도의 추출물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대동맥내에 투여하며, 이완값은 KCl에 대한 수축을 100%(이완 0%)로 하여 각 농도에 따른 이완율을 기록하였다. 당뇨병이 유발된 동물의 대동맥 이완율은 정상적인 동물의 대동맥 이완율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이 보통이다.
이완율 (%) 추출물 투여량 log [추출물] (단위: ㎍/㎖)
1 3 10 30 100 300
대조군 0.98 (2.53) 1.75 (1.78) 3.68 (5.13) 15.87 (3.11) 58.45 (4.87) 51.55 (5.78)
실험군 1.1 (1.83) 2.7 (3.1) 3.8 (3.8) 8.3 (3.8) 37.4* (4.17) 35.8* (3.5)
비교군 2.1 (3.76) 1.7 (2.53) 2.75 (3.51) 4.87 (5.33) 8.78 (6.38) 12.65 (5.37)
*는 P<0.01인 것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표준오차(SE; standard error)임
상기 표 4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군의 대동맥 이완율은 투여농도가 100㎍/㎖ 이상에서부터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실험군과 비교군의 최대 이완율을 비교하여 볼 때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비교군의 이완율은 정상상태인 대조군의 이완율과 비교하여 엄청난 차이를 나타낸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당뇨병에 의해 혈소판, 콜레스테롤 침적 등을 쉽게 하여 대동맥 등의 혈관이 수축되어 잘 이완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의 당뇨 합병증 발생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 시험 대상 - 노르에피네프린 투여농도에 따른 수축 반응 변화
상기 (2)에서 적출한 각 군의 대동맥을 대상으로 하며, 본 발명의 에탄올 추출물 100㎍/㎖를 실험 시작 1분전에 전투여하였으며,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용기(bath) 내에 이 추출물은 계속 남아있게 된다. 혈관수축제인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을 처리하여 투여농도에 따른 대동맥의 수축율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평균한 값을 하기 표 5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0.003∼30μM 농도의 노르에피네프린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대동맥내에 투여하며, 수축율은 기준선(baseline)을 기준으로 KCl에 대한 수축을 100%으로 하여 각 농도에 대한 수축율을 기록하였다. 당뇨병이 유발된 동물의 대동맥 수축율은 정상적인 동물의 대동맥 수축율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이 보통이다.
수축율 (%) 노르에피네프린 투여량 log [노르에피네프린] (단위: μM)
0.003 0.01 0.03 0.1 0.3 1 3 10 30
대조군 0.8 (2.58) 2.58 (6.16) 10.55 (5.87) 48.51 (5.63) 75.78 (7.6) 81.43 (7.89) 85.37 (9.15) 102.78 (8.57) 108.78 (7.27)
실험군 1.1383 (0.88) 3.07 (3.38) 9.15 (4.72) 35.31* (7.16) 60.68* (5.83) 73.1* (8.32) 75.05* (5.78) 83.71 (7.27) 87.23 (8.2)
비교군 1.75 (3.78) 3.77 (1.65) 5.46 (3.85) 15.56 (6.07) 35.18 (7.39) 42.96 (5.78) 53.97 (8.78) 71.71 (5.35) 83.62 (8.17)
*는 P<0.01인 것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표준오차(SE; standard error)임
상기 표 5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군의 대동맥 수축율은 투여농도가 30μM 이상에서부터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실험군은 0.1∼3μM 투여농도에서 비교군과 비교하여 볼 때 유의성 있는 수축율 감소를 보였다. 또한, 비교군의 수축율은 정상상태인 대조군의 수축율과 비교하여 엄청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당뇨병에 의해 혈소판 및 콜레스테롤 침적 등을 쉽게 하여 대동맥 등의 혈관이 수축되어 잘 이완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의 당뇨 합병증 발생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5) 시험 대상 - 아세틸콜린 투여농도에 따른 이완 반응 변화
상기 (2)에서 적출한 각 군의 대동맥을 대상으로 하며, 에탄올 추출물 100㎍/㎖를 실험 시작 1분전에 전투여하였으며,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용기(bath) 내에 이 추출물은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생리식염수로 안정화시킨 후에 혈관이완제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대동맥내에 투여한 후, 투여농도에 따른 대동맥의 이완율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평균한 값을 하기 표 6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아세틸콜린은 0.003∼30μM의 농도로 투여되며, 이완율은 기준선(baseline)을 기준으로 KCl에 대한 수축을 100%(이완 0%)으로 하여 각 농도에 대한 이완율을 기록하였다. 당뇨병이 유발된 동물의 대동맥 이완율은 정상적인 동물의 대동맥 이완율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이 보통이다.
이완율 (%) 아세틸콜린 투여량 log [아세틸콜린] (단위: μM)
0.003 0.01 0.03 0.1 0.3 1 3 10 30
대조군 0 (0) 0 (5.01) 11.25 (3.17) 38.99 (5.65) 52.46 (4.07) 63.47 (5.11) 72.13 (6.15) 93.83 (4.48) 97.58 (5.37)
실험군 0 (0) 0 (0) 8.37 (3.14) 31.58* (5.1) 38.38* (4.84) 52.18* (3.18) 61.51* (5.15) 78.18* (6.31) 83.91* (4.87)
비교군 0 (0) 0 (0) 5.16 (1.53) 13.58 (5.27) 23.27 (3.17) 32.15 (4.28) 43.16 (7.63) 55.18 (5.48) 67.38 (7.11)
*는 P<0.01인 것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표준오차(SE; standard error)임
상기 표 6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군은 0.1∼30μM 처리농도에서 비교군과 비교하여 볼 때 유의성 있는 이완율 증가를 나타낸다. 또한, 비교군의 이완율은 정상상태인 대조군의 이완율과 비교하여 엄청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당뇨병에 의해 혈소판 및 콜레스테롤 침적 등을 쉽게 하여 대동맥 등의 혈관이 수축되어 잘 이완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의 당뇨 합병증 발생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당뇨병과 이로 인한 당뇨 합병증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특히, 당뇨병의 주요증상에 속하는 혈관장애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대동맥 등의 혈관이 수축되어 잘 이완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의 당뇨 합병증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연자육 20중량부에 대하여 감초 7∼13중량부, 지골피 7∼13중량부, 맥문동 7∼13중량부, 차전자 7∼13중량부, 황금 7∼13중량부, 백복령 7∼13중량부, 황기 9∼17중량부, 두충 7∼13중량부, 우담 7∼13중량부, 잠분 7∼13중량부, 인진 7∼13중량부, 서목태 7∼13중량부, 백강잠 7∼13중량부, 천화분 7∼13중량부, 하수오 2∼4중량부, 한수석 2∼4중량부, 인삼 2∼4중량부 및 란피 2∼4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2. 제1항에서, 연자육 20중량부에 대하여 감초 9.0∼11.0중량부, 지골피 9.0∼11.0중량부, 맥문동 9.0∼11.0중량부, 차전자 9.0∼11.0중량부, 황금 9.0∼11.0중량부, 백복령 9.0∼11.0중량부, 황기 11.7∼14.3중량부, 두충 9.0∼11.0중량부, 우담 9.0∼11.0중량부, 잠분 9.0∼11.0중량부, 인진 9.0∼11.0중량부, 서목태 9.0∼11.0중량부, 백강잠 9.0∼11.0중량부, 천화분 9.0∼11.0중량부, 하수오 2.7∼3.3중량부, 한수석 2.7∼3.3중량부, 인삼 2.7∼3.3중량부 및 란피 2.7∼3.3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의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한약조성물을 열수추출하여 수득되는 열수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용 조성물.
  4. 제3항의 열수추출액을 동결건조시켜 수득되는 분말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의 한약조성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되는 용매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용 조성물.
  6. 제5항의 용매추출액을 동결건조시켜 수득되는 분말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용 조성물.
KR1020050080820A 2005-08-31 2005-08-31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KR100712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820A KR100712659B1 (ko) 2005-08-31 2005-08-31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820A KR100712659B1 (ko) 2005-08-31 2005-08-31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066A KR20070025066A (ko) 2007-03-08
KR100712659B1 true KR100712659B1 (ko) 2007-05-02

Family

ID=3809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820A KR100712659B1 (ko) 2005-08-31 2005-08-31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6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94B1 (ko) * 2007-01-30 2008-05-06 김대권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27435B1 (ko) 2008-05-21 2009-11-19 조신영 당뇨병 개선 및 완화용 환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661464A (zh) * 2017-10-27 2018-02-06 于忠和 一种治疗痛风的中药的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911A (ko) * 1995-01-23 1996-08-17 김광희 누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강하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970061261A (ko) * 1996-02-12 1997-09-12 김박광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제 조성물 및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10084486A (ko) * 2000-02-25 2001-09-06 정두순 당뇨병의 한방혈당강하치료 완화제 제조방법
KR20020094179A (ko) * 2001-06-12 2002-12-18 표점덕 당뇨병용 건강 보조제
KR20040003888A (ko) * 2002-07-04 2004-01-13 주식회사 싸이클로젠 혈당 강하용 생약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제재
KR20040026276A (ko) * 2002-09-23 2004-03-31 김우영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제조방법
KR20040063291A (ko) * 2003-01-06 2004-07-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하수오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당뇨병관련 질환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20040079285A (ko) * 2003-03-07 2004-09-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인진호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당뇨병 관련 질환치료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911A (ko) * 1995-01-23 1996-08-17 김광희 누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강하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970061261A (ko) * 1996-02-12 1997-09-12 김박광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제 조성물 및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10084486A (ko) * 2000-02-25 2001-09-06 정두순 당뇨병의 한방혈당강하치료 완화제 제조방법
KR20020094179A (ko) * 2001-06-12 2002-12-18 표점덕 당뇨병용 건강 보조제
KR20040003888A (ko) * 2002-07-04 2004-01-13 주식회사 싸이클로젠 혈당 강하용 생약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제재
KR20040026276A (ko) * 2002-09-23 2004-03-31 김우영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제조방법
KR20040063291A (ko) * 2003-01-06 2004-07-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하수오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당뇨병관련 질환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20040079285A (ko) * 2003-03-07 2004-09-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인진호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당뇨병 관련 질환치료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94B1 (ko) * 2007-01-30 2008-05-06 김대권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927435B1 (ko) 2008-05-21 2009-11-19 조신영 당뇨병 개선 및 완화용 환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661464A (zh) * 2017-10-27 2018-02-06 于忠和 一种治疗痛风的中药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066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010B1 (ko)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CN103099959B (zh) 一种治疗溃疡性结肠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597071A (zh) 用于治疗仔猪缺铁性贫血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749824B (zh) 一种绞股蓝降糖降压保健茶及其制备方法
RU2419449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лекарственным гепатитом
CN101804110B (zh) 一种抗血栓和降血脂的中药制剂
CN102846824B (zh) 一种治疗寒湿血瘀阻络型糖尿病足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712659B1 (ko) 당뇨병 및 이로 인한 합병증 치료 및 예방용 한약조성물
CN104721672A (zh) 一种治疗粘连性肠梗阻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522213A (zh) 适宜三高人群饮用的茶饮及其制备方法
CN104524481B (zh) 一种治疗肠易激综合征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10652552A (zh) 一种伤口愈合配方及制备方法
CN110151851A (zh) 一种以金银花甘草药对为基础的复合物及其应用
CN104888174A (zh) 一种治疗脾胃虚寒型消化性溃疡的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822660A (zh) 一种治疗心脑血管疾病的中药制剂
CN103007145B (zh) 一种治疗小儿轮状病毒肠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198261A (zh) 一种治疗老年慢性结肠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435190A (zh) 用于治疗寒热错杂型哮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384785A (zh) 一种用于治疗病毒性感冒的外用中药药液及其制备方法
CN104353043A (zh) 一种治疗五更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076305A (zh) 一种治疗人体代谢症候群及杀菌消炎的中药制内服外用原液合剂
CN104258224A (zh) 一种治疗肺肾阴虚型慢性支气管炎的五味子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14767794B (zh) 一种治疗动脉斑块的中药
CN103860976B (zh) 一种治疗婴幼儿皮炎的药物组合物
KR10193481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