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186A - 댐퍼 및 그 댐퍼를 구비한 도어핸들 - Google Patents

댐퍼 및 그 댐퍼를 구비한 도어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186A
KR20090042186A KR1020080104681A KR20080104681A KR20090042186A KR 20090042186 A KR20090042186 A KR 20090042186A KR 1020080104681 A KR1020080104681 A KR 1020080104681A KR 20080104681 A KR20080104681 A KR 20080104681A KR 20090042186 A KR20090042186 A KR 20090042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rod
lev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9125B1 (ko
Inventor
야스히코 세토
나오토 진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04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05B85/13Inner door handles with a locking knob forming part of the inside door hand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2Means for damping the movement of lock parts, e.g. slowing down the return movement of a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18Mono-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27Telescopic characterised by the piston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6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during contraction being different from the damping effects during extension, i.e. respons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과제) 피스톤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이상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댐퍼 및 그 댐퍼를 구비한 도어핸들을 얻는다.
(해결수단) 로드(150)의 원판부(152)와 캡(28)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한 경우, 피스톤(52)을 실린더(24) 내에 압입했을 때에, 상기 간극에서 빠져나가서 실린더(24) 내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도 많으므로, 실린더(24) 내의 소리가 외부로 새어나가지만, 본 발명에서는 로드(54)와 캡(28)의 사이의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하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52)을 실린더(24) 내로 압입했을 때에 실린더(24) 내에서는 빠져나가는 공기의 양도 극히 적고, 실린더(24) 내에서 발생한 이상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댐퍼 및 그 댐퍼를 구비한 도어핸들{DAMPER AND DOOR HANDLE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댐퍼 및 그 댐퍼를 구비한 도어핸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통형상 실린더 내의 공기를 피스톤에 의해 압축함으로써 감쇠효과를 얻는 에어댐퍼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는 피스톤의 외주면에 환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 내에 실린더의 내주벽에서 슬라이드하는 실링(seal ring)을 장착해서 홈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일방향으로의 제동력을 발휘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2개의 공기실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역지밸브를 형성하고, 피스톤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역지밸브를 개폐시키는 것에 의해, 감쇠효과의 유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피스톤의 중앙부에 원추형상의 오리피스를 형성해서 피스톤의 이동방향에 따라 감쇠력을 바꾸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에어댐퍼를 이용하는 경우, 피스톤의 이동시에 피스톤에 형성된 홈이나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이상음이 발생해서 외부로 새어나가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240824호
특허문헌 2 : 일본국 등록특허공보 제2696208호
특허문헌 3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54692호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해서, 피스톤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이상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댐퍼 및 그 댐퍼를 구비한 도어핸들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에어댐퍼에 있어서,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 형성된 공기실 내의 공기를 압축 가능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에서 노출되는 로드와,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벽을 슬라이드하는 실부재와, 상기 실부재와 상기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서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공기통로와, 상기 실린더의 상기 개구부 에 삽입되며, 상기 로드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구의 내형(內形) 치수가 로드의 외형(外形) 치수와 거의 동일한 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 내에 피스톤을 삽입해서 왕복 이동시켜서, 실린더 내에 형성된 공기실 내의 공기를 압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기실 내의 공기가 압축되는 것에 의해 피스톤에 감쇠효과가 작용하게 된다.
피스톤에는 로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에서 노출되게 되어 있다. 또 피스톤에는 실린더의 내주벽을 슬라이드하는 실부재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실부재와 피스톤부재의 사이에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서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공기통로를 통해서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이 서로 연이어 통하기 때문에,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부재를 충분히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의 개구부에는 캡을 삽입하고 있다. 이 캡에는 로드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의 내경 치수와 로드의 외형 치수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관통구의 내형 치수와 로드의 외형 치수가 거의 동일하다」라는 것은 적어도, 관통구 내에서 로드가 이동 가능해야 하므로, 로드의 외형 치수가 관통구의 내형 치수보다 커지는 일이 없고, 예를 들어, 같은 치수이더라도 관통구의 내형 치수를 +공차로 형성하고, 로드의 외형 치수를 -공차로 형성하는 등의 의미 이다. 또, 관통구의 내형 형상은 환형상 또는 각형상이어도 좋고, 로드의 외형 형상은 상기 관통구의 내형 형상에 맞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피스톤(52)을 실린더(24) 내로 압입했을 때에 상기 간극에서 빠져나가서 실린더(24) 내에서 토출되는 피스톤을 실린더 내로 압입했을 때에, 공기통로를 통해서 피스톤의 외측으로 빠져나간 공기가 상기 로드와 실린더 사이의 간극에서 토출되지만, 실린더의 개구부에 캡을 설치하고, 상기 캡의 관통구와 로드의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에 의해(관통구의 내형 치수와 로드의 외형 치수가 거의 동일하도록 한다), 실린더 내에서 발생하는 이상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는 피스톤의 스트로크만큼의 길이가 필요하며, 또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린더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강도가 다르지만, 실린더의 개구부에 대략 환형상의 캡을 설치하되, 상기 캡의 길이를 실린더보다 짧게 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보다 치수 정밀도를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24)와 피스톤(52)의 간극를 메우기 위해서 필요한 치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의 발명은 에어댐퍼에 있어서,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실린더 내에 형성된 공기실 내의 공기를 압축 가능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에서 노출되는 로드와,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벽을 슬라이드하는 실부재와, 상기 실부재와 상기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서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형 치수와 상기 로드의 외형 치수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실린더의 내형 치수와 로드의 외형 치수를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와 로드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청구항 1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실린더의 내형 치수와 로드의 외형 치수가 거의 동일하다」라는 것은 적어도,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이 이동 가능해야 하므로, 로드의 외형 치수가 실린더의 내형 치수보다 커지는 일이 없고, 예를 들어, 같은 치수이더라도 실린더의 내형 치수를 +공차로 형성하고, 로드의 외경 치수를 -공차로 형성하는 등의 의미이다. 또, 실린더의 내형 형상은 환형상 또는 각형상이어도 좋고, 로드의 외형 형상은 상기 실린더의 내형 형상에 맞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댐퍼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또는 상기 실린더가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로드가,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축심부와, 이 축심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로드의 외형을 구성하는 복수의 벽부를 포함해서 구성되고, 상기 벽부는 대략 원판형상을 이루되, 이 벽부의 외경 치수가 상기 관통구 또는 상기 실린더의 내경 치수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피스톤에 연결된 축심부에서 벽부가 복수 돌출되어 상기 로드의 외형을 구성하고 있다. 이 벽부를 대략 원판형상으로 하고, 상기 벽부의 외경 치수가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는 관통구 또는 실린더의 내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솔리드(solid)형상의 로드의 경우, 절삭 등에 의해 상기 로드를 형성할 때, 로드 표면의 치수 정밀도는 문제없지만, 성형에 의해 로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로드의 표면에 수축 캐버티가 발생해서 치수 정밀도를 얻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대략 원판형상의 벽을 형성함으로써, 벽부와 벽부의 사이는 소위 커팅부가 형성되게 되어, 로드의 수축 캐버티가 억제되어 로드(벽부)의 외경 치수의 정밀도를 올릴 수 있다. 또, 벽부를 로드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부품 점수를 늘리는 일도 없다.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기재된 에어댐퍼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간극이 상기 캡의 관통구의 깊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벽부의 간극을 캡의 관통구의 깊이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로드가 캡 내를 통과할 때, 적어도 1개의 벽부는 반드시 캡과 대면하게 된다. 벽부의 외경 치수가 캡의 관통구의 내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관통구가 벽부에 의해서 폐색되어, 피스톤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이상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 및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기재된 에어댐퍼에 있어서, 상기 벽부가 상기 축심부의 전장(全長)에 걸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 및 청구항 8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벽부를 축심부의 전장에 걸쳐서 연결하고 있다. 즉, 원주형상(솔리드형상)의 로드이다.
청구분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댐퍼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가 O링이고,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O링을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환형상 홈과, 상기 환형상 홈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실과 대기를 연이어 통하게 하되, O링이 상기 로드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유로(流路)면적이 작아지는 오리피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피스톤의 외주부와 O링을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환형상 홈을 형성하고 있다. 이 환형상 홈에 오리피스를 형성해서, 공기실과 대기를 연이어 통하게 해서, O링이 로드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유로 면적이 작아지도록 한다.
따라서 피스톤을 실린더의 개구부측에서 내측으로 이동시킬 때, 실린더의 공기실 내의 공기가 공기통로를 통해서 실린더의 개구부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실린더의 내주벽과의 마찰에 의해 O링이 로드측으로 이동해서 유로 면적이 작아진다.
이에 비해서, 피스톤을 실린더의 내측에서 개구부측으로 이동시킬 때, 실린더의 개구부측의 공기가 공기통로를 통해서 피스톤의 단면과 실린더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실 내로 이동하는데, 이때 실린더의 내주벽과의 마찰에 의해 O링이 로드의 반대측으로 이동해서 유로 면적이 커진다.
즉, 피스톤을 실린더의 개구부측에서 내측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피스톤을 실린더의 내측에서 개구부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비해, 공기통로의 유로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공기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이 커져서 피스톤에 작용하는 감쇠력이 커진다.
청구항 10 및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차량용 도어핸들에 있어서, 차량용 도어 패널에 고정되는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도어 패널을 로크 또는 로크 해제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상기 도어 패널의 로크방향으로 탄지시키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린더 또는 로드를 상기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연결수단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로드 또는 실린더를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제 1 연결수단과 함께 상기 레버의 회전동작을 로드의 직선동작으로 바꿔서 제동력을 발휘시키는 제 2 연결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 및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차량용 도어 패널에 고정되는 본체부에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해서, 레버의 회전이동(개폐동작)에 의해 도어 패널을 로크 또는 로크 해제 시킨다. 또, 레버에는 이 레버를 도어 패널의 로크방향(폐지(閉止)방향)으로 탄지시키는 탄지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를 개방시키면, 상기 탄지수단에 탄지력이 축적되게 되는데, 개방시킨 상태에서 레버를 놓으면 탄지수단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레버가 폐지되게 된다.
이때, 제 1 연결수단에 의해 실린더(또는 로드)를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 제 2 연결수단에 의해 로드(또는 실린더)를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해서, 제 1 연결수단과 함께 레버의 회전동작을 로드의 직선동작으로 바꿔서 제동력을 발휘시킨다.
레버는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의 이동 궤적은 원호를 그리게 된다. 한편, 에어댐퍼에서는 실린더를 따라서 피스톤이 이동하기 때문에, 피스톤의 이동 궤적은 직선을 그린다. 따라서 레버와 로드를 연결시킨 경우, 레버의 회동 이동에 추종해서 로드를 이동시키도록 하면, 피스톤과 실린더가 간섭되게 된다. 따라서 제 1 연결수단 및 제 2 연결수단에 의해 실린더 또는 로드를 레버 또는 본체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레버의 회전동작을 로드의 직선동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피스톤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이상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10)에는 상기 사이드 도어(10)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핸들(12)이 설치되어 있다. 일례로서 이 도어핸들(12)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14)를 적용시킨다.
도어핸들(12)은 본체부(16)와 레버(18)로 대별(大別)되어 있고, 본체부(16)에서는 고정편(16A)이 돌출되어 차량 패널(도시 생략)에 고정 가능하게 된다. 또, 본체부(16)의 표면에는 레버(18)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20)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0) 내에는 도시하지 않는 고정축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축에 레버(18)의 기부(基部)가 부착되어, 이 기부를 회전중심으로 해서 레버(18)가 오목부(20)에서 돌출되는 방향(개방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레버(18)의 기부에는 상기 레버(18)의 이면측에 연결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18)와 일체가 되어 레버(18)의 개폐동작에 맞추어 회동 이동한다. 이때, 오목부(20)의 저부에는 관통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서 연결부(21)가 본체부(16)의 이면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연결부(21)에는 도어 로크기구(도시 생략)가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18)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도어 로크기구가 해제 되어 사이드 도어(10)가 개방 가능하게 된다.
또, 오목부(20)에는 레버(18) 기부측의 상부(혹은 하부)에 로크 해제부(22)가 수용되어 있다. 이 로크 해제부(22)는 레버(18)의 기부측을 중심으로 해서 오목부(20)에서 돌출되는 방향(개방방향)을 향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탑승자에 의한 조작이나 차량 주행 등에 의해, 도어 로크기구가 시정(施錠)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레버(18)의 개방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사이드 도어(10)를 개방시킬 수 없다. 이러한 경우, 로크 해제부(22)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어 로크기구의 시정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오목부(20) 내의 고정축에는 탄지수단으로서의 비틀림 스프링(도시 생략)이 장착되어 있으며, 레버(18)의 개방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탄지력이 축적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킨 레버(18)에서 손을 떼면,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레버(18)가 폐지(閉止)방향으로 탄지되어 오목부(20) 내에 수용되게 된다.
이때, 연결부(21)에는 에어댐퍼(14)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21)는 레버(18)의 개폐동작에 맞추어 회동 이동하므로, 상기 에어댐퍼(14)를 이용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폐지방향으로 탄지되는 레버(18)에 감쇠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레버(18)를 조용히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에어댐퍼(14)는 실린더(24)와 피스톤부재(26)와 캡(28)으로 대별되며, 실린더(24) 내에 수용된 피스톤부재(26)가 캡(28)에 의해 빠짐 방지된다.
(실린더)
우선, 실린더(2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24)는 저부를 가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일단부에 개구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4)의 개구부(30)측에는 실린더(24)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연결편(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편(32)의 중앙부에는 연결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구멍(34)은 본체부(16)의 하면측에 형성된 축부(36)가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 결구멍(34)에 축부(36)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E링(38)이 삽입되어 E링(38)에 의해 연결편(32)을 빠짐 방지해서 실린더(24)가 축부(36)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실린더(24)의 개구부(30)측에는 복수의 슬릿(40)(여기에서는 4개)이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슬릿(40)의 사이에는 서로 대면하는 걸림편(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편(42)은 서로 같은 폭 치수로 되어 있으며,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걸림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구멍(44)을 통해서 캡(28)이 실린더(24)에 장착 가능하게 된다.
(캡)
이어서, 캡(28)에 대해 설명한다. 캡(28)은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외경 치수는 실린더(24)의 내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캡(28)의 외주면에서는 걸림구멍(44)에 걸리는 걸림돌조(46) 및 슬릿(40) 내에 삽입 가능한 리브(4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캡(28)의 일단부에는 실린더(24)의 개구단부에 맞닿음 가능한 스토퍼(50)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40)과 리브(48)의 위치관계에 따라 실린더(24)의 둘레방향에 대해 캡(28)을 위치 맞춤시킨 상태에서 실린더(24) 내에 캡(28)을 삽입시키면, 슬릿(40)에 의해 실린더(24) 개구부(30)측의 지름이 커져서 캡(28)을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캡(28)의 걸림돌조(46)가 걸림구멍(44)에 걸린 상태에서 스토퍼(50)가 실린더(24)의 개구단부에 맞닿아서 캡(28)이 이동 규제된다. 이 상태로 캡(28)이 실린더(24)에 장착된다.
그런데, 이 실린더(24) 내에는 피스톤부재(26)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캡(28)은 이 피스톤부재(26)가 실린더(24) 내에 삽입된 후, 실린더(24)에 장착되게 된다.
(피스톤부재)
이어서, 피스톤부재(26)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스톤부재(26)는 피스톤(52)과 로드(54)로 나뉜다. 로드(54)의 일단부에는 피스톤(52)이 형성되어 있고, 로드(54)의 타단부에는 연결편(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편(56)의 중앙부에는 연결구멍(5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구멍(58)은 연결부(21)에 형성된 축부(60)가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스톤(52)은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실린더(24)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작은 외경 치수로 이루어져서, 실린더(24)의 내주벽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스톤(52) 외주면의 중앙부에는 환형상 홈(6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형상 홈(62) 내에는 O링(64)이 수용된다. 이 O링(64)은 환형상 홈(6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피스톤(5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피스톤(52)의 이동시에는 상기 O링(64)이 실린더(24)의 내주벽을 슬라이드한다.
이때, 도 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상 홈(62)의 폭은 O링(64)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피스톤(52)의 이동방향을 따라 O링(64)이 환형상 홈(6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환형상 홈(62)에는 공기실(72)과 대기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오리피스(6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리피스(66)는 피스톤(52)의 로 드(54)측에서는 가는 홈(68)으로 되어 있고, 피스톤(52)의 단면측에서는 굵은 홈(70)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52)을 실린더(24)의 내측에서 개구부(30)측으로 이동시킬 때(화살표 A 방향), O링(64)은 환형상 홈(62)의 굵은 홈(70)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실린더(24) 개구부(30)측의 공기는 오리피스(66)를 통해서 피스톤(52)의 단면과 실린더(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실(72) 내로 이동하는데, 실린더(24)의 내주벽과의 마찰에 의해 O링(64)이 굵은 홈(70)으로 이동해서, 오리피스(66)의 가는 홈(68)에서 굵은 홈(70)으로 공기가 흐른다.
이에 비해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52)을 실린더(24)의 개구부(30)측에서 내측으로 이동시킬 때(화살표 B 방향), O링(64)은 환형상 홈(62)의 가는 홈(68)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실린더(24)의 공기실(72) 내의 공기는 오리피스(66)를 통해서 실린더(24)의 개구부(30)측으로 이동하는데, 실린더(24)의 내주벽과의 마찰에 의해서 O링(64)이 가는 홈(68)측으로 이동해서, 오리피스(66)의 굵은 홈(70)에서 가는 홈(68)으로 공기가 흐른다.
즉, 피스톤(52)을 실린더(24)의 개구부(30)측에서 내측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피스톤(52)을 실린더(24)의 내측에서 개구부(30)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비해 오리피스(66)의 유로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오리피스(66)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저항이 커져서 피스톤(52)에 작용하는 감쇠력이 커진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54)에는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극(캡(28)의 길이 이하)으로 배열된 복수의 원판부(74, 벽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 원판부(74)가 서로 교차하는 십자형상의 리브(76,7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리브(76,78)의 단면(端面)이 원판부(74)의 외주면과 한 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리브(76)가 리브(78)보다 폭이 넓어지도록 하고 있지만, 리브(76)의 폭과 리브(78)의 폭이 같아도 좋다.
그리고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부(74)의 외경 치수(리브(76,78)의 외형 치수)가 피스톤(52)의 외경 치수보다 작고, 캡(28)의 내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캡(28)을 +공차로 형성 하고, 로드(54)를 -공차로 형성하는 등, 가능한 한 간극을 없애도록 한다).
즉, 피스톤(52)의 외경 치수는 캡(28)의 내경 치수보다 크다. 따라서 피스톤(52)을 실린더(24)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피스톤(52)이 캡(28)의 단면에 맞닿아서 이동 규제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18)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키면(가상의 선으로 나타낸다), 레버(18)에 연결된 연결부(21)의 회동 이동에 의해, 축부(60) 및 연결편(56)을 통해서 피스톤(52) 및 로드(54)가 실린더(24)에서 빠져 나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레버(18)가 본체부(16)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18)의 이동 궤적은 원호를 그리게 된다. 한편, 에어댐퍼(14)에서는 실린더(24)를 따라 피스톤(52)이 이동하기 때문에, 피스톤(52)의 이동 궤적은 직선을 그리게 된다.
즉, 레버(18)와 로드(54)를 연결시킨 경우, 레버(18)의 회동이동에 추종해서 로드(54)를 이동시키려고 하면, 피스톤(52)과 실린더(24)가 간섭해서 피스톤(52)을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로드(54)의 연결편(56)의 연결구멍(58)에 축부(60)를 관통시켜서, 이 축부(60)에 대해서 로드(54)가 회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실린더(24) 연결편(32)의 연결구멍(34)에 본체부(16)측의 축부(36)를 관통시켜서, 상기 축부(36)에 대해서 실린더(24)가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레버(18)의 회전동작을 로드(54)의 직선동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레버(18)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레버(18)에서 손을 떼면, 레버(18)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레버(18)가 폐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 레버(18)의 이동에 의해 연결부(21)가 회동 이동해서 축부(60) 및 연결편(56)을 통해 피스톤(52) 및 로드(54)가 실린더(24) 내로 압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4(B) 참조).
이것에 의해, 실린더(24)의 공기실(72) 내의 공기가 압축되어 피스톤부재(26)에 감쇠효과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18)를 조용하게 폐지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도어핸들(12)에 고급감을 줄 수 있다.
이때, 피스톤(52)이 실린더(24) 내에서 이동할 때, 전술한 것처럼 오리피스(66) 내를 공기가 통과하는데, 이때, 공기의 흐름에 의해 오리피스(66) 내에는 난류(亂流)가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이상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54) 원판 부(74)의 외경 치수(리브(76,78)의 외형 치수)가 캡(28)의 내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즉, 로드(54)와 캡(28) 사이의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150)의 원판부(152)와 캡(28)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한 경우에는 피스톤(52)을 실린더(24) 내로 압입했을 때에 상기 간극에서 빠져나가서 실린더(24) 내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으므로, 실린더(24) 내의 소리가 외부로 새어나가게 된다.
한편,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로드(54)와 캡(28) 사이의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또한 도 5(B)와의 비교설명의 편의상, 로드(54)와 캡(28) 사이의 간극이 보이도록 하고 있다), 피스톤(52)을 실린더(24) 내로 압입했을 때에 이동하는 피스톤(52)의 오리피스(66)에서 발생하는 이상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로드(54)의 축방향을 따라서 원판부(74)를 형성하고, 각 원판부(74)를 십자형상의 리브(76)에 의해 연결하도록 해서 로드(54)를 형성하면 원판부(74)와 원판부(74)의 사이에는 소위 커팅부(80)가 형성되게 된다.
성형품에서는 성형 후 체적수축이 발생하는데, 성형품의 두께가 변한 경우,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서서히 차가워지는데 비해서, 두께가 얇은 부분은 빨리 냉각된다. 따라서 두께가 얇은 부분의 수축이 빨라지는 것에 의해, 이 두께가 얇은 부분측으로 재료가 인장되어, 전체적인 수축이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집중된다. 그 결과,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외면에 오목한 홈이 생기는, 소위 수축 캐버티가 발생 한다. 이러한 수축 캐버티를 방지할 때에는 성형품의 두께를 가능한 한 균일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얇게 하기 위해서, 상기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등 여분의 두께를 없애도록 한다(소위 커팅).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원판부(74) 및 리브(76,78)의 외주벽의 수축 캐버티가 억제되어, 로드(54) 외경 치수의 정밀도를 올릴 수 있으며, 로드(54)의 외주벽과 캡(28) 내주벽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원판부(74) 및 리브(76,78)를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부품 점수를 늘리는 일도 없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드(54)의 외주벽과 캡(28)의 내주벽의 간극을 작게 하도록 하고 있다. 실린더(24)는 피스톤(52)의 스트로크만큼의 길이가 필요하며, 또, 일단부가 개구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실린더(24)의 타단측에 비해 일단측이 강도도 낮고, 이 실린더(24)에서 개구부(30)측의 치수 정밀도를 얻는 것은 성형상 곤란하다.
그러나 피스톤(52)을 빠짐 방지하는 캡(28)의 경우, 상기 캡(28)의 길이를 실린더(24)보다 짧게 할 수 있고, 또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캡(28)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강도가 거의 동일하며, 실린더(24)보다 치수 정밀도를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24)와 피스톤(52)의 간극를 메우기 위해서 필요한 치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54) 원판부(74)의 간극을 캡(28)의 관통구(28A)의 깊이(H) 이하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6(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54)가 캡(28) 내를 통과할 때에 적어도 1개의 원 판부(74)가 반드시 상기 캡(28)과 대면하게 된다. 즉, 피스톤(52)의 스트로크 전역에 있어서, 반드시 원판부(74)가 캡(28)의 관통구(28A) 내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원판부(74)의 외경 치수는 캡(28)의 관통구(28A) 내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피스톤(52)의 스트로크 전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28A)가 원판부(74)에 의해 폐색되게 되어, 실린더(24) 내에서 이동하는 피스톤(52)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형상 로드(92)의 축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각주형상의 관통구멍(94)을 복수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로드(92)의 두께를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로드(92) 외주벽의 수축 캐버티가 억제되어, 로드(92)의 외경 치수의 정밀도를 올릴 수 있다. 또, 이것 외에도 도시하지 않지만, 로드의 축방향을 따라서 중공부를 형성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캡(28)을 실린더(24)의 개구부(30) 내에 삽입하도록 했지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100)과 로드(102)의 외경 치수가 같으면, 상기 캡은 불필요해진다. 레버(18)의 개폐 각도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피스톤(100)의 스트로크는 정해져 있고, 캡이 없어도 피스톤(100)이 실린더(104)에서 빠지는 일은 없다.
또, 이 경우, 로드(102)의 외주벽과 실린더(104) 내주벽의 간극을 작게 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캡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54)의 원판부(74)의 간극을 캡(28)의 관통구(28A)의 깊이(H) 이하로 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하나의 원판부(98)가 반드시 실린더(104) 내에 있어서 피스톤(100)보다 개구부측에 배치되도록 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부(98)의 간극은 다소 넓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댐퍼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54)의 축방향을 따라서 원판부(74)를 형성하고, 각 원판부(74)를 십자형상의 리브(76)에 의해 연결하는 것에 의해 커팅부(80)를 형성해서, 로드(54)의 외주벽에 수축 캐버티가 발생하지 않도록 했지만, 절삭에 의해 로드(54)를 가공하는 경우나 재료의 선정 등에 의해 수축 캐버티가 억제되는 경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106)의 형상이 원주 형상이어도 좋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캡(28)(도 3 참조) 혹은 실린더(104)(도 8 참조)를 대략 원통형상으로 하고, 그 내형 형상이 환형상이 되도록 했지만, 캡(28) 및 실린더(104)의 내형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형상 이어도 좋다. 이 경우, 로드(54)의 원판부(74) 및 로드(102)의 원판부(98)의 형상은 상기 캡(28) 혹은 실린더(104)의 내형 형상에 맞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핸들의 댐퍼는 조작용 핸들이 폐지상태로 돌아올 때에 조작핸들을 댐퍼에 의해 제동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한 댐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댐퍼는 도어핸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글러브박스, AV 기기 등의 덮개체에 이용해도 좋다.
도 1은 도어핸들이 설치된 사이드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가 적용된 도어핸들을 하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A,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의 피스톤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의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 (B)는 (A)의 비교예
도 6(A,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의 작용을 설명하는 동작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도어핸들 14 - 에어댐퍼
16 - 본체부 18 - 레버
24 - 실린더 26 - 피스톤부재
28 - 캡 28A - 관통구
30 - 개구부 32 - 연결편(제 1 연결수단)
34 - 연결구(제 1 연결수단) 36 - 축부(제 1 연결수단)
52 - 피스톤(피스톤부재) 54 - 로드(피스톤부재)
56 - 연결편(제 2 연결수단) 58 - 연결구(제 2 연결수단)
60 - 축부(제 2 연결수단) 62 - 환형상 홈
64 - O링(실부재) 66 - 오리피스(공기통로)
72 - 공기실 74 - 원판부(벽부)
76 - 리브(축심부) 78 - 리브(축심부)
92 - 로드(피스톤부재) 98 - 원판부(벽부)
100 - 피스톤(피스톤부재) 102 - 로드(피스톤부재)
104 - 실린더 106 - 로드(피스톤부재)
150 - 로드(피스톤부재) 152 - 원판부(벽부)

Claims (11)

  1.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 형성된 공기실 내의 공기를 압축 가능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에서 노출되는 로드와,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벽을 슬라이드하는 실부재와,
    상기 실부재와 상기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서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공기통로와,
    상기 실린더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로드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구의 내형 치수가 상기 로드의 외형 치수와 거의 동일한 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2.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실린더 내에 형성된 공기실 내의 공기를 압축 가능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에서 노출되는 로드와,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벽을 슬라이드하는 실부재와,
    상기 실부재와 상기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서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형 치수와 상기 로드의 외형 치수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또는 상기 실린더가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로드가,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축심부와, 이 축심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로드의 외형을 구성하는 복수의 벽부를 포함해서 구성되고,
    상기 벽부는 원판형상을 이루되, 이 벽부의 외경 치수가 상기 관통구 또는 상기 실린더의 내경 치수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또는 상기 실린더가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로드가,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축심부와, 이 축심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로드의 외형을 구성하는 복수의 벽부를 포함해서 구성되고,
    상기 벽부는 원판형상을 이루되, 이 벽부의 외경 치수가 상기 관통구 또는 상기 실린더의 내경 치수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간극이 상기 캡의 관통구의 깊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간극이 상기 캡의 관통구의 깊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벽부가 상기 축심부의 전장에 걸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벽부가 상기 축심부의 전장에 걸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가 O링이고,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O링을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환형상 홈과, 상기 환형상 홈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실과 대기를 연이어 통하게 하되, O링이 상기 로드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유로 면적이 작아지는 오리피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댐퍼.
  10. 차량용 도어핸들에 있어서,
    차량용 도어 패널에 고정되는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도어 패널을 로크 또는 로크 해제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상기 도어 패널의 로크방향으로 탄지시키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린더 또는 로드를 상기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연결수단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로드 또는 실린더를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제 1 연결수단과 함께 상기 레버의 회전동작을 로드의 직선동작으로 바꿔서 제동력을 발휘시키는 제 2 연결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11. 차량용 도어핸들에 있어서,
    차량용 도어 패널에 고정되는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도어 패널을 로크 또는 로크 해제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상기 도어 패널의 로크방향으로 탄지시키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청구항 9에 기재된 실린더 또는 로드를 상기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연결수단과,
    청구항 9에 기재된 로드 또는 실린더를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제 1 연결수단과 함께 상기 레버의 회전동작을 로드의 직선동작으로 바꿔서 제동력을 발휘시키는 제 2 연결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핸들.
KR1020080104681A 2007-10-25 2008-10-24 에어댐퍼 및 그 에어댐퍼를 구비한 도어핸들 KR101009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77492 2007-10-25
JP2007277492A JP5048453B2 (ja) 2007-10-25 2007-10-25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備えたドアハンド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186A true KR20090042186A (ko) 2009-04-29
KR101009125B1 KR101009125B1 (ko) 2011-01-18

Family

ID=4057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681A KR101009125B1 (ko) 2007-10-25 2008-10-24 에어댐퍼 및 그 에어댐퍼를 구비한 도어핸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53101A1 (ko)
EP (1) EP2204592B1 (ko)
JP (1) JP5048453B2 (ko)
KR (1) KR101009125B1 (ko)
CN (1) CN101836009B (ko)
WO (1) WO200905444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106A (ko) 2016-12-22 2018-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317205A (zh) * 2017-01-17 2018-07-24 东莞市祥昱实业有限公司 一种阻尼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0478B2 (ja) * 2010-06-18 2014-04-0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
US8376424B2 (en) * 2010-09-27 2013-02-19 Ford Global Technologies Door handle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
JP2012237407A (ja) * 2011-05-12 2012-12-06 Nifco Inc エアダンパー装置
JP2014046741A (ja) * 2012-08-30 2014-03-17 Shigeru Co Ltd 車両用サンバイザ
ITUD20130009A1 (it) * 2013-01-25 2014-07-26 Vapsint S R L Dispositivo ammortizzatore
JP6184795B2 (ja) * 2013-08-02 2017-08-23 不二ラテックス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ユニット
US9828793B2 (en) * 2014-11-06 2017-11-28 Architectural Builders Hardware Mfg., Inc. Door latch with low operating noise
US10233994B2 (en) * 2015-04-16 2019-03-19 Piolax, Inc. Damper device
JP6393234B2 (ja) * 2015-05-15 2018-09-19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
GB2541396A (en) * 2015-08-17 2017-02-22 Titus D O O Dekani Improvements in dampers
KR101867172B1 (ko) * 2015-09-18 2018-06-1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댐퍼
CN105673757A (zh) * 2016-04-11 2016-06-15 常州气弹簧有限公司 气弹簧及其可降噪活塞组件
US10907377B2 (en) 2016-11-07 2021-02-02 Architectural Builders Hardware Mfg., Inc. Quiet panic device having sound dampening materials
CN207027350U (zh) * 2017-05-26 2018-02-23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用于安装平面车门外把手的定位工装
NZ762892A (en) 2017-08-08 2022-09-30 Schlage Lock Co Llc Door hardware noise reduction and evaluation
JP6961801B2 (ja) * 2018-03-28 2021-11-0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
DE112019001567T5 (de) 2018-03-28 2020-12-10 Piolax Inc. Dämpfer
CN110952846A (zh) * 2019-12-11 2020-04-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内扣手总成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4793A (en) * 1948-12-23 1952-10-21 Lynn W Storm One-way seal
FR2205150A5 (ko) * 1972-10-30 1974-05-24 Allinquant Fernand
DE2345503C2 (de) * 1973-09-08 1983-04-14 Stabilus Gmbh, 5400 Koblenz Ausstellvorrichtung für schwenkbare Klappen
DE7422901U (de) * 1974-07-05 1974-10-31 Stabilus Gmbh Gasfeder mit Ölkissenabdichtung
DE2619176C2 (de) * 1976-04-30 1982-10-21 Stabilus Gmbh, 5400 Koblenz Gasfeder mit aufgehobener Ausschubkraft bei eingefahrener Kolbenstange
JP2696208B2 (ja) 1987-02-02 1998-01-14 株式会社 ニフコ シリンダ型エアダンパー
JPH061998Y2 (ja) * 1988-01-25 1994-0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
JPH067513Y2 (ja) * 1988-03-09 1994-02-23 株式会社ニフコ 回転体の回転緩衝装置
JPH0496634U (ko) * 1991-01-29 1992-08-21
US5275387A (en) * 1992-04-09 1994-01-04 Power Components, Inc. Gas spring
FR2696775B1 (fr) * 1992-10-09 1994-12-30 Manducher Sa Perfectionnements aux poignées de porte à palettes basculantes.
JP2000054692A (ja) * 1998-08-07 2000-02-22 Kanto Auto Works Ltd 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US6062352A (en) * 1998-08-24 2000-05-16 Piolax, Inc. Air damper
JP3312244B2 (ja) * 1998-08-24 2002-08-0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エアダンパー
JP4260949B2 (ja) * 1998-12-07 2009-04-30 株式会社ニフコ エアダンパ
JP3912966B2 (ja) * 2000-08-25 2007-05-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エアダンパー
JP3666813B2 (ja) * 2002-09-04 2005-06-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グローブボックス装置のダンパ取付け構造
JP2005240824A (ja) * 2004-02-24 2005-09-08 Nifco Inc エアーダンパーおよびグローブボックス
JP4536580B2 (ja) * 2004-05-13 2010-09-01 株式会社ニフコ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装置
JP4041812B2 (ja) * 2004-07-14 2008-02-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ダンパ
TWI271313B (en) * 2005-05-12 2007-01-21 Benq Corp Paper-feeding mechanism
CN102234030B (zh) * 2010-05-05 2014-07-02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取纸机构及其取纸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106A (ko) 2016-12-22 2018-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317205A (zh) * 2017-01-17 2018-07-24 东莞市祥昱实业有限公司 一种阻尼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03270A (ja) 2009-05-14
CN101836009A (zh) 2010-09-15
EP2204592B1 (en) 2019-04-03
CN101836009B (zh) 2012-11-28
WO2009054444A1 (ja) 2009-04-30
EP2204592A4 (en) 2017-09-13
JP5048453B2 (ja) 2012-10-17
US20100253101A1 (en) 2010-10-07
KR101009125B1 (ko) 2011-01-18
EP2204592A1 (en)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125B1 (ko) 에어댐퍼 및 그 에어댐퍼를 구비한 도어핸들
EP1617099B1 (en) Air damper
US8336350B2 (en) Key and lock assemblies
JPH11182607A (ja) 緩衝装置
JP2004076852A (ja) ダンパ
JP2010265990A (ja) エアダンパ
KR0141856B1 (ko) 에어댐퍼
US20100025173A1 (en) Damping device with adjustable variable damping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for the damping of movable furtniture parts
US7204184B2 (en) Guide system with pneumatic stop for a movable component
JP2009286165A (ja) 回動装置
US8336685B2 (en) Damper
EP1489334B1 (en) Rotary damper
US20050252740A1 (en) Rotary damper
JPH02129424A (ja) シリンダ型エアダンパー
US20100270114A1 (en) Damping device with multistage variable damping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for damping moveable furniture parts
JPH08105481A (ja) エアダンパ
KR102062391B1 (ko) 도어 클로저
JP6786707B2 (ja) エアダンパー
JPH10115338A (ja) 回転ダンパ
KR102616042B1 (ko) 자동차용 에어댐퍼
JP4195141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4145062B2 (ja) 回転ダンパー
JP6795688B2 (ja) ダンパー
JPH08219218A (ja) 流体圧ダンパ
JPH08135710A (ja) 緩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