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611A - 시소키 대응 스위치 - Google Patents

시소키 대응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611A
KR20090023611A KR1020087030851A KR20087030851A KR20090023611A KR 20090023611 A KR20090023611 A KR 20090023611A KR 1020087030851 A KR1020087030851 A KR 1020087030851A KR 20087030851 A KR20087030851 A KR 20087030851A KR 20090023611 A KR20090023611 A KR 20090023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witch
push button
operation knob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2136B1 (ko
Inventor
슈지 이나가키
Original Assignee
코박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박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코박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2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6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16Separate bridge contact
    • H01H2205/022Conductive rub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06Only mechanic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22Asymmetric; Elliptic; Squa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6Lever; Rock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과제]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보다 확실히 전류가 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시 클릭감이 우수한 이점을 가지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스위치(1)는 누름 조작되는 키탑(5), 키탑(5)에 의해 눌러지는 지점(P)의 주위에서 회동하고, 작용부(6b)를 가지는 조작 손잡이(6), 및 조작 손잡이 작용부(6b)에 의해 아래로 눌러지는 접촉 고무 스위치(10)을 포함한다. 고무 스위치(10)는 조작 손잡이 작용부(6b)에 의해 윗면이 눌러지고, 아랫면에 가동접점(14)이 형성되는 누름 버튼부(12), 및 누름 버튼부(12)의 주위로부터 비스듬히 아랫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스커트부(13)를 가진다. 조작 손잡이(6)의 회동지점(P)측의 스커트부(13c)는 두께가 얇고, 반회동지점측의 스커트부(13a)는 두께가 얇다. 또한, 누름 버튼부(12)의 윗면은 회동지점측이 높은 경사면이다.

Description

시소키 대응 스위치{Switch for Seesaw Key}
본 발명은 가전제품, 휴대전화 또는 차량의 각 부분 등을 조작하기 위한 접촉 고무 스위치를 이용하는 시소키 대응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 또는 차량에 탑재되는 스위치에는 접촉 고무 스위치(contact rubber switch)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는 누름 조작되는 키탑(key top) 또는 조작 손잡이(operation knob)로, 상기 키탑 또는 조작 손잡이는 주로 누르는 고무 스위치로 구성된다. 키탑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고무 스위치가 눌러지게 되고, 상기 스위치의 아랫면에 형성된 가동접점이 기판상에 형성된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상기 접점들 간에 전류를 통하게 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들은 조작 손잡이가 지점(pivot point) 주위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타입의 스위치에 있어서, 키탑을 눌러 조작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조작 손잡이는 기울어진 상태로 접촉 고무 스위치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경우, 가동접점은 때때로 수평 위치에서 머무르지 않고, 하강하여 접점들 사이에서 불충분하게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초래한다. 이와 같은 접촉 고무 스위치에서는, 상기 가동접점을 누름 조작하는 동안에 고무의 변형에 의하여 전류가 통하게 된다. 이러한 조작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버튼의 조작이 완료되는 것을 보여주고, 명료한 클릭감을 얻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가동접점을 누를 때, 고정접점과 평행한 각도를 테이퍼 면으로 하는 시소 스위치, 또는 조작 손잡이와 당접한 당접부를 윗 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조작 손잡이의 접촉면적을 작게 한 시소 스위치 등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또한, 조작 손잡이로 푸셔(pusher)를 누르고, 상기 푸셔로 고무 접촉 스위치의 가동접점을 누르게 하는 것이 있으며, 고무 접점 스위치로 조작 손잡이가 푸셔에 당접하기 전에 접하는 탄성부를 설치한 스위치도 있다(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이러한 스위치는 충분한 클릭감을 얻을 수 없고, 부품의 수가 증가하여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미심사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63-60234호
특허문헌 2: 미심사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63-112724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 제2005-5139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보다 확실히 전류가 통하며, 조작시 클릭감이 우수한 이점이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위치는 기판상에 배치된 고정접점에 전류가 통할 수 있도록 누르는 스위치에 있어서, 누름 조작을 하는 키탑, 상기 키탑에 의해 눌러지는 지점의 주변에서 회동하고, 작용부를 가지는 조작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작용부에 의해 눌러지는 접촉 고무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 스위치는 상기 조작 손잡이 작용부에 의해 윗면이 눌러지고, 아랫면에서 가동접점이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가지고, 상기 스커트부의 두께는 상기 조작 손잡이의 회동지점측의 부분에서 얇고, 반회동지점측의 부분에서 두꺼운 것으로, 상기 누름 버튼부의 윗면은 회동지점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이러한 스위치는 조작 손잡이가 지점 주변에서 회동하는 것과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조작 손잡이가 회동하는 동안에 조작 손잡이는 경사진 상태로 누름 버튼부에 당접한다. 이 때문에, 가동접점이 직전으로 내려가지 못하고, 충분한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스커트부의 두께를 조작 손잡이의 회동지점측의 부분에서 얇게 하고, 반회동지점측의 부분에서 두껍게 하는 것으로, 누름 버튼부의 윗면을 회동지점측이 높은 경사를 가지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도 3에서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대하여 평행하게 면을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양호한 접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작 손잡이의 작용부는 조작 초기 단계에 상기 고무 스위치의 누름 버튼부 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조작 손잡이의 회동지점측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지점측의 스커트부가 변형되며, 그 후 상기 조작 손잡이의 반회동지점측에 접촉하여 누르고, 상기 반회동지점측의 스커트부를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초기단계(예압상태)에서, 회동지점측의 스커트부가 변형되어 누름 버튼부의 회동지점측이 내려가게 하고, 누름 버튼부의 윗면을 균일하게 조작 손잡이의 작용부에 당접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촉 고무 스위치의 누름 버튼부는 회동지점측이 높은 경사면을 가지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회동지점측 이외의 부분을 둘러싸는 외주부, 및 상기 중앙부와 외주부를 분리하는 얇은 베이스를 가지는 슬릿을 가진다. 상기 조작 손잡이의 작용부는 상기 접촉 고무 스위치의 누름 버튼부에 당접하는 경우, 상기 누름 버튼부의 중앙부의 윗면에 접촉하고, 외주부에는 당접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 조작 손잡이의 작용부에서 누름 버튼부가 눌러질 때, 상기 누름 버튼부의 중앙부가 슬릿의 저부에 대하여 회동하기 쉽고, 중앙부의 윗면 및 외주부의 윗면을 조작 손잡이의 작용부에 당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촉 고무 스위치는 상기 키탑의 예압 단계에서 상기 가동접점이 회동지점의 아랫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누름 조작 중 상기 가동접점의 경사각도가 단계적으로 작아지고, 최후에, 상기 가동점점이 상기 고정접점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접촉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누름 조작의 마지막 단계에서, 상기 조작 손잡이의 반회동지점측의 더 두꺼운 스커트부가 순간적으로 변형되고, 사용자에게 누름 조작이 완료되는 것을 표시하는 클릭감을 유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누름 조작의 마지막 단계에 더 두꺼운 스커트부가 순간적으로 변형하는 때의 힘이 키탑에서 걸리게 되어, 사용자에게 누름 조작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명료한 클릭감을 유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 버튼부의 가동접점을 기판 상의 고정접점과 거의 평행한 상태에서 면접촉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접촉 고무 스위치의 형상을 비교할 때, 부품수가 증가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2도는 도 1의 스위치에 사용되는 접촉 고무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A)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다.
제3도는 도 1의 스위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의 접촉 고무 스위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4(A)는 측면도, 도 4(B)는 평면도이다.
제5도는 도 4의 스위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 부호의 설명 *
1 스위치 2 기판
3 고정접점 4 케이스
5 키탑 6 조작 손잡이
10,10' 접촉 고무 스위치
11 지지부 12,22 누름 버튼부
13 스커트부 14 가동접점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2도는 도 1의 스위치에 사용되는 접촉 고무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A)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다.
제3도는 도 1의 스위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스위치(1)은 기판(2) 위에 탑재되고, 상기 기판(2) 위에 형성된 고정접점(3)의 한 쌍의 접점(도시하지 않음)에 전류가 통하게 하기 위하여 눌러진다. 스위치(1)은 손가락으로 누름 조작되는 키탑(5), 상기 키탑(5)에 의해 눌러지는 조작 손잡이(6) 및 조작 손잡이(6)로 아랫방향으로 눌러지는 접촉 고무 스위치(10)를 제공한다. 기판(2)는 예를 들어, 화이버글라스 시트 코 어(fiberglass sheat core) 및 에폭시 수지로 만들어진 기판이다. 기판(2) 위에서는 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의 일부에는 기판(2)의 표면에 노출된 고정접점(3)이 형성된다. 고정접점(3)은 예를 들어, 도전성 잉크를 사용하는 인쇄 등으로 형성된다.
키탑(5)은 원주상의 본체(5a), 본체(5a)의 아랫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5b) 및 본체(5a)의 아랫면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푸셔 로드(pusher rod)(5c)를 가진다. 키탑(5)은 기판(3)의 상부를 덮는 케이스(4)에서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탑재된다. 특히, 케이스(4)는 키탑(5)의 본체(5a)가 통과 가능한 원형의 개구(4a)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4a)의 측면에는 소정의 높이의 환상의 오목부(4b)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4b) 내에 플랜지(5b)가 수용된다. 키탑(5)는 플랜지(5b)가 상기 오목부(4b) 내를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에 의해, 상하방향(스트로크 방향)으로 안내된다.
키탑(5)의 아랫방향에는 조작 손잡이(6)이 배치된다. 조작 손잡이(6)는 평탄한 플레이트상의 부재이고, 기단부(6a)는 케이스(4)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속된다. 키탑(5)의 푸셔 로드(5c)는 조작 손잡이(6)의 선단부(작용부)(6b)에 당접한다. 키탑(5)이 눌러지면, 조작 손잡이(6)의 선단부(6b)가 푸셔 로드(5c)에서 눌러지고, 조작 손잡이(6)는 지점(P)의 주위에서 회동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6)의 회동지점(P)의 높이는 접촉 고무 스위치(10)의 최고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러한 예로 조작 손잡이(6)은 수평보다 약간 윗 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상태로부터 수평보다 약간 아랫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상태로 회동하게 된다.
조작 손잡이(6)의 선단부(작용부)(6b)의 아랫방향에는 접촉 고무 스위치(10)가 배치된다. 고무 스위치(10)은 기판(2) 위에서 지지되는 지지부(11), 조작 손잡이(6)의 작용부(6b)에 의해 윗면이 눌러지는 누름 버튼부(12) 및 상기 누름 버튼부(12)의 주위로부터 지지부(11)에 연결되고, 비스듬히 아랫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커트부(13)를 가진다. 누름 버튼부(12)의 아랫면에는 가동접점(14)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접점(14)은 기판(2)에 형성된 고정접점(3)의 윗방향에 위치한다. 조작 손잡이(6)의 작용부(6b)에서 고무 스위치(10)의 누름 버튼부(12)가 눌러지면, 상기 누름 버튼부(12)는 아랫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접점(14)은 고정접점(3)에 당접하여 고정접점(3)의 한 쌍의 접점 간에 전류가 통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접촉 고무 스위치(1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고무 스위치(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2) 위에서 지지되는 지지부(11), 조작 손잡이(6)의 작용부(6b)에 의해 윗면이 눌러지는 누름 버튼부(12) 및 상기 누름 버튼부(12)의 주위로부터 지지부(11)로 비스듬히 아랫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커트부(13)을 가진다. 각 부는 탄성이 있는 고무로 일체로 성형된다. 이와 같은 고무로는 실리콘 고무를 사용한다.
지지부(11)는 기판(2)의 표면에 접하도록 기판(2)에 탑재된다. 지지부(11)에는 기판(2)의 표면에 설치되는 고정접점(3)에 대응하는 개구(11a)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버튼부(12)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고체 형상 부재이고, 조작 손잡이(6)의 회동지점(P)측(지점측, 도면의 우측)의 주부(12a) 및 조작 손잡이(6)의 반회동지점 측(반지점측)의 보조부(12b)를 가진다. 주부(12a)의 윗면(12d)는 회동지점(P)에 윗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고, 보조부(12b)의 윗면(12d)는 거의 수평인 평탄면이다. 이러한 예로, 경사 윗면(12d)는 누름 버튼부(12)의 전체 윗면의 면적의 약 2/3 정도이고, 평탄 윗면(12d)는 약 1/3정도가 된다. 상기 윗면의 최고부(지점측의 가장자리(12e))의 높이는 고무 스위치(10)이 눌러지지 않는 자유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6)의 회동지점(P)의 높이보다 약간 윗 방향에 위치한다.
주부(12a)의 아랫면에는,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원주상의 돌출부(12g)가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12g)의 아랫면은 거의 수평한 면(고정접점(3)과 거의 평행한 면)이고, 상기 돌출부(12g)에는 가동접점(14)가 형성된다. 가동접점(14)은 예를 들어, 돌출부(12g)의 아랫면에, 금도금, 또는 금속이나 카본 등의 도전체를 설치하여 형성된다. 가동접점(14)의 중심은 경사 윗면(12c)의 거의 중심에 위치한다.
보조부(12b)의 아랫면은 주부(12a)의 아랫면(가동접점(14))보다 더 높게 배치된다.
스커트부(13)는 누름 버튼부(12)의 주위로부터 지지부(11)의 개구(11a)의 가장자리 쪽으로 비스듬히 아랫방향 및 외곽방향으로 연장된다. 누름버튼부(12) 주위의 4개의 변 중에서, 반회동지점 측의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스커트부(13a)는 그 이외의 3개의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스커트부(13b, 13c, 13d)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더욱이, 도 2(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반지점측의 변 이외의 3개의 변에 있어서, 스커트부(13c)는 주부(12a)의 측면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랫방향으로 연장된 다. 반면에, 반지점측의 변에 대하여는 스커트부(13a)는 보조부(12b)의 아랫면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비스듬히 아랫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조작 손잡이(6)의 지점측 이외의 스커트부(13a, 13b, 13d) 주위의 슬릿(13e)은 누름 버튼부(12)의 가압시 스커트부(13)의 변형응력이 지지부(11)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슬릿(13e)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변형력이 지지부(11)에 가해져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슬릿(13e)이 형성되는 경우, 압력이 분산되어, 클릭감에 영향이 미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 설계의 변화에 의해 상기 슬릿(13e)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도 2(A)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한 조작 손잡이(6)는 자유 상태(조작 손잡이(6)가 접촉 고무 스위치(10)의 윗면에 탑재되고, 접촉 고무 손잡이(10)에 조작 손잡이(6)의 자중이 걸리는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 손잡이(6)의 작용부(6b)의 아랫면이 누름 버튼부(12)의 윗면의 지점측의 가장자리(12e)에 당접하고, 반지점측의 가장자리(12f)에는 당접하지 않는다. 조작 손잡이(6)의 회동지점(P)의 높이는 누름 버튼부(12)의 윗면의 최고부(가장자리(12e))의 높이보다 약간 아랫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작 손잡이(6)는 회동지점(P)로부터 약간 비스듬히 윗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누름 버튼부(12)에 당접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스위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고무 스위치(10)는 케이스(4) 내부에서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탑(5)의 플랜지(5b)는 케이스(4)의 오목부(4b)의 최상부 벽에 접하여 있다. 또한, 키탑(5)의 푸셔 로드(5c)는 누름 버튼부(12)의 주 부(12a)의 윗면(12c)의 거의 중심(가동접점(14)의 거의 중심)에 접하는 것에 의해 조작 손잡이(6)의 작용부(6b)에 당접한다. 이 때, 조작 손잡이(6)은 거의 수평의 상태가 될 때까지 회동하고, 고무 스위치(10)의 누름 버튼부(12)의 윗면에는 압력이 가해진다(예압상태). 이와 같은 예압을 가하는 것에 의해,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고무 스위치(10)는 조금 밀어 넣어지게 되고, 그 반발력이 키탑(5)을 밀어 올려 그 밀어 올리는 힘이 플랜지(5b)로 압력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누름 버튼부(12)는 조작 손잡이(6)에서 눌러질 때, 지점측의 스커트부(13c)는 두께가 얇게 변형되기 쉽게 되어 외부 방향으로 구부러지듯 변형된다. 반면에, 반지점측의 스커트부(13a)는 두께가 두껍게 변형되기 때문에,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누름 버튼부(12)는 지점측의 가장자리(12e)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회동지점의 반지점측에서의 가장자리(12f)는 조작 손잡이(6)에 당접한다. 또한, 누름 버튼부(12)의 경사 윗면(12c) 및 평탄 윗면(12d) 사이의 부분과 조작 손잡이(6)의 아랫면의 사이에서는 약간 공간이 있다. 그러므로, 누름 버튼부(12)의 아랫면의 가동접점(14)은 도 2(A)에서 보여주는 수평상태(고정접점(3)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이기 때문에, 지점측이 아래로 기울어지게 된다.
도 3(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키탑(5)을 아랫방향으로 눌러 조작 손잡이(6)로 누름 버튼부(12)를 아래로 누르는 경우, 조작 손잡이(6)는 회동지점(P)로부터 거의 아랫방향으로(수평면에 대하여 아랫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는 것에 의해 회동한다.
그러므로, 두께가 얇고, 변형되기 쉬운 지점측의 스커트부(13b)는 더 외측방향으로 구부러지듯 변형된다. 동시에 지점측의 스커트부(13b)에 비교해서 두께가 두껍게 변형되고, 반지점측의 스커트부(13a)를 거의 외측방향으로 구부러지듯 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누름 버튼부(12)의 경사윗면(12c) 및 평탄윗면(12d)는 조작 손잡이(6)의 아랫면에 거의 면접촉하는 것과 같이 누름 버튼부(12)는 탄성 변형된다. 그러므로, 가동접점(14)은 여전히 지점측이 아랫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게 되지만,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각도는 도 2(A)의 상태에 비하여 더 작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 3(C)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키탑(5)를 플랜지(5b)가 케이스(4)의 오목부(4b)의 최하부의 벽에 접할 때까지 눌러 조작 손잡이(6)로 누름 버튼부(12)를 아랫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조작 손잡이(6)는 도 3(B)의 상태로부터 더 아랫방향으로(수평면에 대하여 더 아랫방향으로) 기울어져 회동된다.
결과적으로, 더 적게 변형될 수 있는 반지점측의 스커트부(13a)는 순간적으로 변형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없다. 그러나, 반지점측의 스커트부(1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께가 더 두꺼운 것으로, 누름 버튼부(12)의 보조부(12b)의 아랫면으로부터 경사를 가지고, 아랫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스커트부(13a)는 그다지 외측 방향으로는 구부러져 있지 않다. 반대로, 변형되기 쉬운 지점측의 스커트부(13b)는 외측방향으로 구부러져 더 변형된다. 이에 의해, 누름 버튼부(12)는 내측(회동지점(P)측)으로 이동아랫면서, 아랫방향으로 향해 눌러진다. 그리고 나서, 가동접점(14)의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각도가 거의 없게 되고, 고정접점(3)에 거의 수평하게 되어 양접점(3, 14)는 면에 당접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누름 버튼부(12)에서 형성된 가동접점(14)는 기판(2) 상의 고정접점(3)에서 거의 면에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양자간의 접촉불량 등을 초래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도 3(C)에서 보여주는 최후의 단계에 있어서, 두꺼운 스커트부(13a)가 순간적으로 변형될 때의 힘이 키탑(5)에 걸리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명료한 클릭감을 제공하게 된다.
키탑(5)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는 경우, 스커트부(13)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온다. 이에 의해, 키탑(5)의 플랜지(5b)는 케이스(4)의 오목부(4b)의 상부 벽에 접하게 될 때까지, 조작 손잡이(6)은 누름 버튼부(12)에 의해 위로 눌러지고, 상승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의 접촉 고무 스위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4(A)는 측면도, 4h 4(B)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위치의 작용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예의 스위치(1')는 도 1의 스위치(1)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지만, 누름 버튼부(22)의 구조는 다르다. 이러한 예로는 도 4(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누름 버튼부(22)는 원형의 언덕 상의 중앙부(22a)와, 상기 중앙부(22a) 및 슬릿(22c)을 이격시켜 형성되는 외주부(22b)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5에 있어서, 도 1의 스위치(1)의 각부위와 동일한 구조, 작용을 가지는 부위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중앙부(22a)는 도 1의 누름 버튼부(12)의 주부(12a)에 상당하는 부분으로, 윗면(22d)은 회동지점(P)에 향해 윗방향으로 경사를 가진다. 또한, 중앙부(22a)의 아랫면에는 아랫방향에서 돌출된 원주상의 돌출부(22f)가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22f)의 아랫면은 거의 수평면(고정접점(3)과 거의 평행한 면)이고, 상기 돌출부(22f)의 아랫면에 가동접점(14)이 형성된다.
외주부(22b)는 도 1의 누름 버튼부(12)의 보조부(12b)에 상당한 것으로, 중앙부(22a)의 회동지점(P)측과 다른 주변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외주부(22b)의 윗면은 수평으로, 중앙부(22a)의 윗면(22d)의 최하부와 동일한 높이이다. 또한, 슬릿(22c)의 아랫 부분(22g)은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도 4(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6)은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 손잡이(6)의 작용부(6b)의 아랫면은 누름 버튼부(22)의 중앙부(22a)의 지점측의 선(22e)에 당접하여, 외주부(22b)에는 당접하지 않는다. 조작 손잡이(6)는 회동지점(P)로부터 거의 윗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누름 버튼부(12)에 당접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스위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A)에서 보여주는 예압상태에서는 도 3(A)와 동일하게, 누름 버튼부(22)는 조작 손잡이의 지점측의 가장자리(22e)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누름 버튼부(22)의 중앙부(22a) 및 외주부(22b)의 사이에서는 슬릿(22c)이 존재하므로, 슬릿(22c)의 저부(22g)는 변형되기 쉽다. 그 때문에, 중앙부(22a)는 슬릿(22c)의 저부(22g)에 대하여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쉽게 된다. 이러한 결과, 누름 버튼부(22)의 중앙부(22a)의 윗면(22d) 및 외주부(22b)의 윗면에서 조작 손잡이(6)의 아랫면은 거의 밀착하여 당접한다. 그리고, 가동접점(14)은 회동지점(P)측은 아랫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 5(B)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키탑(5)을 아랫방향으로 눌러 조작 손잡이(6)로 누름 버튼부(12)를 아래로 누르는 경우, 조작 손잡이(6)는 회동지점(P)로부터 거의 아랫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회동한다. 그러므로, 가동접점(14)은 아직 지점측이 내려가도록 경사를 가지지만,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각도는 도 5(A)의 상태에 비하여 작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 5(C)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키탑(5)을 아랫방향의 최저점까지 눌러 조작 손잡이(6)에서 누름 버튼부(22)를 아래로 누르면, 도 3(C)와 동일하게 가동접점(14)은 거의 수평하게 되어 고정접점(3)에 접한다. 동시에, 도 3(C)와 동시에 스커트부(13)가 변형된다.
이러한 예에 의해 누름 버튼부(22)에 스커트(22c)를 설치하는 경우, 누름 버튼부(22)의 전체 윗면이 조작 손잡이(6)의 아랫면에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항상 슬릿(22c)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Claims (5)

  1. 기판 상에 배치된 고정접점에 전류가 통할 수 있도록 눌러지는 스위치에 있어서,
    눌러서 조작되는 키탑;
    상기 키탑에 의해 눌러지고, 지점의 주위에서 회동하는 작용부를 가지는 조작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 작용부에 의해 아래로 눌러지는 접촉 고무 스위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고무 스위치는 상기 조작 손잡이 작용부에 의해 윗면이 눌리고, 아랫면에 가동접점에 가동접점이 형성되는 누름 버튼부; 및 상기 누름 버튼부의 주위로부터 비스듬히 아랫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스커트부;를 가지고,
    상기 스커트부의 두께는 상기 조작 손잡이의 회동접점측의 부분에서 얇고, 반회동지점측의 부분에서 두꺼운 것으로, 상기 누름 버튼부의 윗면은 회동지점측이 높은 경사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상기 조작 손잡이의 작용부는 조작 초기에 상기 고무 스위치의 누름 버튼부의 상기 조작 손잡이의 회동지점측의 가장자리에 접하고, 상기 회동지점측의 스커트부가 변형된 후 상기 조작 손잡이의 반회동지점측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눌러지고, 상기 반회동지점측의 스커트부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의 스 위치.
  3. 상기 접촉 고무 스위치의 누름 버튼부는
    회동지접측이 높은 경사면을 가지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회동지점측 이외의 부분을 둘러싸는 외주부; 및
    상기 중앙부 및 외주부와 격리된 얇은 두께의 슬릿;을 가지고,
    상기 조작 손잡이의 작용부는
    상기 접촉 고무 스위치의 누름 버튼부에 당접하는 경우, 상기 누름 버튼부의 중앙부의 윗면에 접촉하고, 외주부에는 당접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의 스위치.
  4. 상기 접촉 고무 스위치는
    상기 키탑의 예압단계에서 상기 가동접점이 회동지점으로 향하여 아랫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누르는 조작중 상기 가동접점의 경사각도가 단계적으로 작아지고,
    최종적으로,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에 대하여 거의 평행으로 되도록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스위치.
  5. 누르는 조작의 최후 단계에서, 상기 조작 손잡이의 반회동지점측의 두꺼운 스커트부는 순간적으로 변형되고, 사용자에게 누름 조작이 완료된 것을 표시하는 클릭감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스위치.
KR1020087030851A 2006-06-22 2007-01-23 시소키 대응 스위치 KR101312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72205 2006-06-22
JP2006172205 2006-06-22
PCT/JP2007/050946 WO2007148446A1 (ja) 2006-06-22 2007-01-23 シーソーキー対応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611A true KR20090023611A (ko) 2009-03-05
KR101312136B1 KR101312136B1 (ko) 2013-09-26

Family

ID=3883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851A KR101312136B1 (ko) 2006-06-22 2007-01-23 시소키 대응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08593B2 (ko)
EP (1) EP2034499A4 (ko)
KR (1) KR101312136B1 (ko)
CN (1) CN101473394B (ko)
WO (1) WO2007148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9928B (zh) * 2010-01-20 2013-11-27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及其应用的电子装置
DE102010027799A1 (de) * 2010-04-15 2011-10-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sowie Hausgerät mit einer Bedienvorrichtung
DE102010024900B3 (de) * 2010-06-24 2011-05-26 Sick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Sensors mit einem Bedienelement und optoelektronischer Sensor mit einem Bedienelement
WO2012153587A1 (ja) * 2011-05-10 2012-11-15 株式会社コバック 2段式スイッチ
JP6155580B2 (ja) * 2012-09-11 2017-07-05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
CN103811216B (zh) * 2013-11-12 2015-10-21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具有按键收纳功能的键盘
CN107833777B (zh) * 2017-12-04 2020-10-02 漳州聚安美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短行程微动开关
TWI702626B (zh) * 2018-03-30 2020-08-21 英屬開曼群島商康而富控股股份有限公司 具有較佳按壓手感的觸控按鍵
JP2022174844A (ja) * 2021-05-12 2022-11-25 任天堂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およびキー構造
IT202100031763A1 (it) * 2021-12-20 2023-06-20 Bitron Spa Duomo siliconico a scatto innovativo, dispositivo di comando per dispositivi commutatori e relativo dispositivo commutator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4414A1 (de) 1980-11-26 1982-06-24 Licentia Gmbh Elektrische schalteranordnung
US4492829A (en) * 1982-02-25 1985-01-08 Rogers Corporation Tactile membrane keyboard with asymmetrical tactile key elements
FR2554630B1 (fr) * 1983-11-04 1986-09-19 Thomson Brandt Contacteur du type bouton-poussoir et son utilisation sur des claviers
JPS618821A (ja) * 1984-06-22 1986-01-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イツチ
US4604509A (en) * 1985-02-01 1986-08-05 Honeywell Inc. Elastomeric push button return element for providing enhanced tactile feedback
US4771139A (en) * 1986-06-27 1988-09-13 Desmet Gregory L Keyboard with metal cover and improved switches
JPS6360234A (ja) 1986-08-29 1988-03-16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通電加熱用ロ−ル電極の駆動方法
JPS63112724A (ja) 1986-10-29 1988-05-17 Yukiya Sato 炭化繊維布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H072158B2 (ja) 1990-06-28 1995-01-18 三洋電機株式会社 床用吸込具
JPH0458924U (ko) * 1990-09-25 1992-05-20
US5228561A (en) * 1991-04-01 1993-07-20 Hewlett-Packard Company Long traveling button switch with enhanced user feedback
JP2595132Y2 (ja) * 1992-02-14 1999-05-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JP3299041B2 (ja) * 1994-06-20 2002-07-0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0822738A (ja) 1994-07-05 1996-01-23 Sega Enterp Ltd 多段階プッシュスイッチ
US5564560A (en) * 1995-06-07 1996-10-15 Garmin Corporation Dual function button
JP2000067698A (ja) * 1998-08-20 2000-03-03 Olympus Optical Co Ltd スイッチ操作用ゴム部材
KR100342959B1 (ko) * 1998-12-31 2002-07-05 양윤홍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JP3941357B2 (ja) 2000-08-21 2007-07-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JP2002175746A (ja) * 2000-12-06 2002-06-21 Yazaki Corp 多段クリックスイッチ
US6940030B2 (en) * 2003-04-03 2005-09-06 Minebea Co., Ltd. Hinge key switch
JP4217546B2 (ja) 2003-06-12 2009-02-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
JP4682618B2 (ja) * 2004-12-28 2011-05-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FR2913524B1 (fr) * 2007-03-05 2009-04-17 Itt Mfg Enterprises Inc Commutateur electrique a effort de rappel vari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3394B (zh) 2012-03-28
EP2034499A4 (en) 2012-01-11
WO2007148446A1 (ja) 2007-12-27
CN101473394A (zh) 2009-07-01
EP2034499A1 (en) 2009-03-11
US20090277765A1 (en) 2009-11-12
US8008593B2 (en) 2011-08-30
KR101312136B1 (ko) 2013-09-26
JPWO2007148446A1 (ja) 2009-11-12
JP4044957B2 (ko) 200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136B1 (ko) 시소키 대응 스위치
US6396006B1 (en) Pressing and rotating operation type electronic parts and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ing the electronic parts
US5278374A (en) Assembly with an asymmetrical resilient spring
CN107887213B (zh) 具有机械式开关的按键结构及机械式开关
US4291201A (en) Push-button dial assembly for telephones
JP2007227024A (ja) キースイッチ装置
US6621017B2 (en) Push-button switch and multiple switch using the same
US9773626B1 (en) Keyboard
JPH08124453A (ja) キースイッチ
US11670465B2 (en) Key structure
EP1133720B1 (en)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US6844509B2 (en) Switch device having self-cleaning function
JP3457568B2 (ja) キースイッチ
JP4044957B1 (ja) シーソーキー対応スイッチ
JP3206366B2 (ja) キースイッチ
JPWO2017204341A1 (ja) 押釦スイッチ
JP3457658B2 (ja) キースイッチ
TWI643224B (zh) 按鍵及包含該按鍵之鍵盤
JP2001250450A (ja) 押釦スイッチ
JP3318321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CN111292990A (zh) 键盘装置及其按键结构
JP3045296B2 (ja) キ―スイッチ
JPH11136U (ja) 入力装置
JP3392841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286297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