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775A -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 Google Patents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775A
KR20090019775A KR1020087026103A KR20087026103A KR20090019775A KR 20090019775 A KR20090019775 A KR 20090019775A KR 1020087026103 A KR1020087026103 A KR 1020087026103A KR 20087026103 A KR20087026103 A KR 20087026103A KR 20090019775 A KR20090019775 A KR 20090019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complex
polymer processing
cleaning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엘 톰슨
Original Assignee
커뮤니티 엔터프라이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커뮤니티 엔터프라이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커뮤니티 엔터프라이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9001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77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5Organic per-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0Maintenance
    • B29C33/72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3Cleaning or purging, e.g. of the injection uni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4Fillers; Abrasives ; Abrasive compositions; Suspending or absorbing ag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C11D3/12; Specific features concerning abrasives, e.g. granulometry o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49Polyolefins; Halogenated polyolefins; Natural or synthetic rubber; Polyarylolefins or halogenated polyaryl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20Industrial or commercial equipment, e.g. reactors, tubes or eng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 화학적 친화성 타입의 복합세정제에 관한 것으로, 주로 높은 등급의 기계적 교반을 수반하는 사출성형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복합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 또는 레진과 유기 페록사이드 같은 교차결합제(crosslinking agent)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제, 팽창제 및 윤활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복합세정제는, 열가소성 재료에는 높은 융착성 및 혼화성을 갖지만 기계장치 내부의 뜨거운 철강표면에는 낮은 융착성을 보이므로, 레진 등 고분자 재료를 사출, 성형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 스크류 등 장치 속에 잔류하는 레진 등의 잔류물을 손쉽고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CLEANING COMPOSITION FOR POLYMER MACHINERY}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 화학적 친화성 타입의 복합세정제에 관한 것으로, 주로 높은 등급의 기계적 교반을 수반하는 사출성형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복합세정제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재료/수지(polymeric material/resin)가 사출 성형 기계에서 처리될 때, 원통형 배럴 안에서 회전하는 기다란 스크류에 의해서 용융과 혼합이 일어난다. 처리 과정에서, 특히 작업과정의 사이에서, 스크류는 하나의 폴리머 등급(polymer grade)에서 다른 폴리머 등급으로 교체하여 돌리기에 앞서 자주 세척 또는 청소가 필요하게 된다. 정상적인 처리의 경우에도, 불가피하게 일부 레진(resin)은 자재의 덩어리 집단이 스크류 장치를 통해서 이동하는 것보다 느리게 이동하게 되고, 이 부분은 결국 높은 열에 노출되어 분해되기 시작한다. 탄소 베이스의 고분자 재료는, 종종 산화되고 챠르(char)가 생겨, 스크류의 표면에 단단하고 진한 탄소점착 부위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단단한 레진 펠렛 (resin pellets) 사이에 공기가 채워져 있는 상류 용융 영역 (upstream melting zone) 이 가열된 폴리머의 접촉부로 산소를 가져오면서 발생한다. 오염되지 않은 제품의 생산을 위해서는 이 잔여 물질을 정기적으로 제거해야만 하며, 또한 수작업으로 기계를 해체하는 일은 매우 노동 집약적이고 힘든 일이다.
때로는 덜 효율적이기는 하지만, 가장 쉬운 청소 방법은, 단순하게 하나의 레진에서 다른 레진으로 뒤 따라가고, 스크류가 깨끗해질 때까지 자재를 돌리는 것이다. 이는 밝은 색에서 직접 어두운 색으로 변환하는 경우에 유용할 것이다. 하지만, 많은 경우에 있어서는, 앞에서 사용하던 자재의 흔적이 모두 제거되기 전에 많은 사출(shot)을 해야만 한다. 뒤이어 투입되는 레진이 점성도(粘性度)가 낮은 것이거나, 앞의 레진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공될 경우에는, 이들이 스크류를 잘 타고 흘러 스크류에 잔유 물질을 거의 남기지 않는다. 그래서 일응 깨끗해 보이지만 실은 색선(色線), 기포, 기타 다른 결함을 나타내는 잔유 물질의 흔적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보다 효과적인 방법은, 청소용 상용 합성세제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합성세제의 사용은 레진만을 쓰는 것보다 비용이 많이 들지만, 보다 철저한 청소를 위하여 동원되는 것이다. 상용 합성세제는 3가지 넓은 카테고리가 있다. 하나는 “물리적 합성세제”라 불리는 것으로, 높은 점성 및/또는 연마재 충전물에 의해서 스크류를 문지르고 잔유물을 제거한다. 어떤 경우는, 부드러워지지만 완전히 녹지는 않는 성형 아크릴 같은 레진을 사용한다. 또 어떤 경우에는, 스크류와 배럴에 내적 융융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거품제(foaming agent)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물리적 세제는 일반적으로 높은 점성 때문에 스크류로부터 내보내기가 어렵고, 스크류의 구석진 곳(dead area)에 잔류하는 합성세제는 뒤따라 이어지는 생산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
두 번째로 일반적인 타입의 합성세제는 “화학적 합성세제”라 불리는 것이다. 많은 화학적 합성세제는 사용 전에 레진과 섞어야만 하는 액체 베이스의 액상체이다. 그들은 보통 스크류 잔유물을 부드럽게 하고, 성기게 하기위하여 용해제나 세척제를 함유하고 있다. 어떤 화학적 합성세제는 폴리머 잔유물을 낮은 분자량의 물질로 화학 분해하기 위하여 알카리성 소금을 사용한다. 이러한 세제는 일반적으로 화학성분이 잔유물에 침투하도록 하기 위하여 담금시간 (soak time)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타입의 화학적 세제는 생산이 재개된 후에는 스크류에 남아있지 않아야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다음단계 레진의 통합성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액체 베이스의 합성세제는 스팀 발생이 위험스럽게 증가하고, 또한 배럴과 스크류의 강철을 부식시킬 수 있다.
세 번째 타입의 청소제는 폴리머 잔유물과의 “화학적 친화 제품”이다. 이러한 타입의 세제는 물리적 합성세제의 속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주된 세척 메커니즘(mechanism)은 잔유물과 세척제가 결합하여 섞이는 것이며, 반면 금속과는 덜 엉겨 붙게 하는 것이다. 친화성은 혼합레진이나 융화제를 사용해서 얻을 수 있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서로 연결된 폴리머 체인 세그먼트 (polymer chain segment)들을 포함하고 있는 코폴리머(共重合體; copolymer)들을 융합하거나 블록화 한다.
본 발명의 복합세정제는, 열가소성 재료에는 높은 융착성 및 혼화성을 갖지만 기계장치 내부의 뜨거운 철강표면에는 낮은 융착성을 보인다. 이는 복합세정제 분자가 서로 화학적으로 교차결합하고, 또한 스크류에 잔류하는 폴리머와도 화학적으로 서로 교차결합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재료와 교차결합제(crosslinking agent)가 포함된 물질을 사용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고분자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고, 폴리에칠렌 (polyethylene), 폴리스티렌 (polystyrene), 및/또는 스티렌-베이스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styr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일 수 있다. 고분자 재료 (polymeric material)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페록사이드 (organic peroxide)나 촉매 (catalyst)를 포함하며, 이는 디큐밀 페록사이드(dicumyl peroxide), 벤조일 페록사이드 (benzoyl peroxide), 큐민 하이드로 페록사이드 (cumene hydroperoxide), 터티어리 부틸 하이드로 페록사이드 (tertiary butyl hydroperoxide), 터티어리 부틸 페라세테이트 (tertiary butyl peracetate), 터티어리 부틸 퍼벤조에이트 (tertiary butyl perbenzoate), 및/또는 디터티어리 부틸 아조디소부틸니트릴 (ditertiary butyl azodiisobutylnitrile)일 수 있다. 복합제 (compound)는 연마제 등의 하나 이상의 충전제를 포함하고, 이는 칼시움 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월라스토나이트 (wollastonite), 마이카 (mica), 펠드스파 (feldspar) 및/또는 유리 (glass)일 수 있다. 복합제는 또한 팽창제 (blowing agent)나 윤활제 (lubrica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리에칠렌 (polyethylene), 폴리스티렌 (polystyrene), 및/또는 스티렌-베이스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styr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충전제(filler), 및 교차결합제 (cross-lonking agent)를 포함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폴리머 가공장치를 위한 복합세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중량의 구성으로는, 폴리에칠렌 (polyethylene) 5~25%, 폴리스티렌 (polystyrene) 30~60%, 스티렌-베이스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styr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10~20%, 광물 충전제(mineral filler) 20~40%, 및 교차결합제 (cross-lonking agent) 0.05~0.25%로 할 수 있다. 또한, 중량 구성으로, 폴리에칠렌 (polyethylene) 10~15%, 폴리스티렌 (polystyrene) 40~50%, 스티렌-베이스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styr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10~15%, 광물 충전제(mineral filler) 25~30%, 및 교차결합제 (cross-lonking agent) 0.1~0.2%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리머 세정장치의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동 세척방법에는: (a) 폴리머 세정장치의 용융처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물질 및 교차결합제를 포함하는 복합세정제 (Cleaning compound)를 투입하는 단계; (b) 용융처리부의 잔유물에 복합세정제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c) 용융처리부로부터 복합세정제와 잔유물을 제거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 세척방법은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기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세정장치를 활용한 처리를 위하여 새로운 열가소성 재료를 용융처리부로 투입하는 단계; - 세정장치로부터 새로운 열가소성 재료만이 토출될 때까지 세정장치를 가동하는 단계; 및/또는 - 용융처리부 상의 잔유물과 복합세정제를 여기시키는 단계. 또한, 용융처리부는, 세정장치의 배럴, 세정장치의 스크류 및/또는 세정장치의 노즐일 수 있다.
본 발명 세정제의 하나의 성분 은,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표준 D-1238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융인덱스 0.5 - 5.0 상의 고 분자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high molecular weight high density polyethylene)이다. 이 성분은 액상 케리어 (fluid carrier)로 작용하고, 다른 성분들을 위한 분자 백본 (molecular backbone)이 된다. 폴리에틸렌은 전체에서 중량으로 5% ~ 25% 차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15% 차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성분 은, 용융인덱스 2.0 ~5.0의 열-안정적 폴리스티렌(heat-stabilized polystyrene)이다. 폴리스티렌 레진 및 그 코폴리머는 화씨 400도 (섭씨 204도)이상의 온도에서 장시간 노출되면 갈색 또는 챠르(char)로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통상적인 가공 온도가 자주 이를 초과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폴리스티렌 (general purpose polystyrene)이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 (styrene- acrylonitrile copolymer)보다는, 열-안정적 폴리스티렌 (heat stabilized polystyrene)이 선호된다. 방향 폴리머(aromatic polymer)가 되는, 폴리스티렌은, 알리파틱 폴리에틸렌(aliphatic polyethylene)이 가지고 있지 않은 폴리머 범주에서 친화성을 가지고 있다. 폴리에틸렌은 전체에서 중량으로 30% ~ 60% 차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 ~ 50% 차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성분 은, 폴리에틸렌 페이즈 (polyethylene phase)와 폴리스틸렌 페이즈 (polystyrene phase) 사이에서 융화제 (compatibilizer)로 작용하는 스티렌 베이스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styr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이다. 이 성분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styrene-butadiene-styrene),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의 블록 코폴리머 (block copolymer) 일 수 있다. 이들은 크라톤 지 (KRATON G)라는 상표로 미국 텍사스주 휴스톤의 크라톤 폴리머사 (Kraton Polymer US, LLC)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고도의 열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전체에서 중량으로 10% ~ 20% 차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15% 차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네 번째 성분 은, 연마재로 작용하는 무기 광물 충전제 (inorganic mineral filler)이다. 월라스토나이트 (wollastonite), 마이카 (mica), 펠드스파 (feldspar) 또는 유리 (glass)도 사용될 수 있지만 칼시움 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가 선호되는 충전제이다. 충전제는 전체에서 중량으로 20% ~ 40% 차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 ~ 30% 차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성분 은, 교차결합제 (crosslinking agent) 또는 촉매제(catalyst)이다. 선호되는 교차결합제 (crosslinking agent)는 디큐밀 페록사이드(dicumyl peroxide)와 같은 유기 페록사이드 (organic peroxide)이다. 이는 미국 뉴저지주 깁스타운의 “지오 스페셜티 케미컬 (Geo Specialty Chemicals)”에서 디아이-컵 (DI-CUP)이라는 상표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고 유용한 촉매제의 예로서는, 벤조일 페록사이드 (benzoyl peroxide), 큐민 하이드로 페록사이드 (cumene hydroperoxide), 터티어리 부틸 하이드로 페록사이드 (tertiary butyl hydroperoxide), 터티어리 부틸 페라세테이트 (tertiary butyl peracetate), 터티 어리 부틸 퍼벤조에이트 (tertiary butyl perbenzoate), 디터티어리 부틸 아조디소부틸니트릴 (ditertiary butyl azodiisobutylnitrile)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이들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페록사이드는 열 속에서 분해되어 알콕시 기(基)(alkoxy radicals)를 방출한다. 반면 이 알콕시 기(基)는 폴리머 분자들로부터 수소(hydrogen), 특히 CH2 유닛을 포함하는 알리파틱 체인(aliphatic chains)을 수집하여 폴리머 기 (polymer radicals)를 형성한다. 두 폴리머 기의 재결합은 폴리머 체인 사이에서 카본과 카본의 강한 결합 (strong carbon-to-carbon bond)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교차결합제 (crosslinking agent)는 전체에서 중량으로 0.1% ~ 0.2% 포함된다.
하기 표는 본원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중량 퍼센트로 요약한 것이다:
구성요소 넓은 범위 선호범위
폴리에틸렌 5 - 25 10 - 15
폴리스티렌 30 - 60 40 - 10
스티렌-베이스 엘라스토머 10 - 20 10 - 15
미네랄 충전제 20 - 40 25 - 30
유기 페록사이드 0.05 - 0.25 0.1 - 0.2
세정제와 잔유 폴리머 사이의 화학적 교차결합은 세정장치의 금속 부품과의 재 융착 (re-adhesion)을 방지하는데 유용하고, 또한 세정제를 세정장치의 배럴로부터 최종 토출시킬 때 잔유물을 확실히 잡아 내보낼 수 있게 한다.
세척중인 잔유 폴리머 속에 존재하는 알리파틱 분자들 간의 교차 결합을 형성하는 이외에도, 세정제 안에서의 폴리에틸렌 분자들 간의 화학적 교차결합은 점성을 높여주고 또한 복합 세정제가 가열된 배럴 속에 있는 동안 열분해로 인해 분자량이 감소하는 것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화학적 팽창제 (chemical blowing agent)의 첨가로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면,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sodium bicarbonate)와 사이트릭 액시드 (citric acid)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열을 가하면 카본 디옥사이드 (carbon dioxide)를 형성하는 작용을 한다. 카본 디옥사이드 (carbon dioxide)는, 배럴 내부 압력 하에서, 액체로 남아서 폴리머 잔유물을 용해하는 용해제로 작용한다. 압력이 느슨해짐에 따라, 카본 디옥사이드 (carbon dioxide)는 증발하여, 세정제에 압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세정제와 폴리머 잔유물 및 세정장치 금속 벽체간의 접촉을 강화 개선시켜 주게 된다.
고분자량 실리콘 (high molecular' weight silicone) 또는 플루로폴리머 응축액 (fluoropolymer concentrate)과 같은 윤활제의 적은 분량이 복합 세정제와 스크류 및 배럴의 금속 벽체 사이의 윤활성을 향상시켜 세척 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특히 복합세정제와 거기에 들러붙은 잔유물의 혼합물을 세정장치로부터 퇴출시키는데 유용하다. 윤활제는 또한 복합세정제와 세정장치의 금속벽체간의 미끄럼성을 증가시켜, 무기 연마제의 비비는 힘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의 복합세정제는, 높은 등급의 기계적 교반을 수반하는 경우에 가장 잘 작용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분자간의 화학적 결합은, 통상적으로는 폴리머 용융체의 높은 점성 때문에 존재하지 않는, 물리적 근접성을 요구한다. 미국 오하이오주 영스타운의 “스파이렉스 코포레이션 (Spirex Corporation)에서 생산하고 있는 것과 같은 양방향 논-리턴 밸브를 갖춘 사출기계(bidirectional non-return valve)가 본 발명의 복합 세정제를 사용할 때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비교예 및 실시예>
비교예 - 미국 오하이오주, 바타비아의 “신시내티 밀라크론 (Cincinnati Milacron)”에서 제조된, 42mm 배럴의 A 65톤 사출성형기에서, 인덱스 5의 검은색 아크릴로니트릴 - 부타디엔 - 스티렌 (ABS) 레진을 가공하였다. 레진 소스 (resin source)가 제거되고, 모든 잔여 레진이 배럴로부터 토출된 후, 미국 뉴저지주, 파시퍼니의 “아사클린 썬 플라스테크 (Asaclean Sun Plastech) 에서 제조하여, “아사클린 어드밴티지 (ASACLEANAdvantage™)” 라는 상표의 그레이드로 판매되는 상용 복합 세정제 16 온스를 배럴에 통과시켜서 뽑아내었다. 피드 스크류 (feed screw)를 꺼내서 조사 하였다. 스크류의 이행 용융 영역(transition melting zone) 속의 스크류 날개부의 구석 부분을 따라 가며, 많은 양의 ABS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1 - 상기에 설명한 사출성형기에 다시 검은색 ABS 레진을 채우고, 한 시간 동안 가동했다. 레진 소스가 제거되고, 모든 잔여 레진이 배럴로부터 토출된 후, 본 발명의 복합 세정제 16 온스를 배럴에 통과시켜 뽑아냈다. 피드 스크류 (feed screw)를 꺼내어 조사 하였다. 스크류 날개에서 ABS 레진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실시예 2 - 일본 “도시바 기계 (Toshiba Machine Co.)에서 제조된, 40mm 배럴의 A 180톤 사출성형기에서, 용융 인덱스 25의 붉은색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가공하였다. 본 발명에 기술된 복합세정제 10 온스로 세척을 행한 후, 하얀 폴리프로필렌을 투입하였다. 아홉 번째 사출 후, 하얀 부분에서 빨 간색이 발견되지 않았다.
실시예 3 - “신시내티 밀라크론 (Cincinnati Milacron)”에서 제조된, 55mm 배럴의 A 160톤 사출성형기에서, 용융 인덱스 5의 붉은색 ABS를 12시간 동안 가공하였다. 본 발명에 기술된 복합세정제 16 온스로 세척을 행한 후, 용융 인덱스 25의 탠(tan) 색갈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ethylene-vinyl-acetate; EVA) 를 투입하였다. 여섯 번째 사출 후, 탠(tan) 부분에서 빨간색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복합세정제는, 열가소성 재료에는 높은 융착성 및 혼화성을 갖지만 기계장치 내부의 뜨거운 철강표면에는 낮은 융착성을 보이므로, 레진 등 고분자 재료를 사출, 성형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 스크류 등 장치 속에 잔류하는 레진 등의 잔류물을 손쉽고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은 예시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별첨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그 동등물 (equivalents)에 의거 이 분야에 속하는 통상적인 기술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응용과 변형을 생각해 낼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재료 (polymeric material)와 교차결합제(crosslinking agent)가 포함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세정제는,
    상기 고분자 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재료(thermoplastic materia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세정제는,
    각각의 상기 열가소성 재료(thermoplastic material)가,
    폴리에칠렌 (polyethylene), 폴리스티렌 (polystyrene), 및/또는 스티렌-베이스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styr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세정제는,
    충전제(fill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filler)는,
    연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filler)는,
    칼시움 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월라스토나이트 (wollastonite), 마이카 (mica), 펠드스파 (feldspar) 및 유리 (glas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세정제는,
    상기 교차결합제(crosslinking agent)가, 유기 페록사이드 (organic per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세정제는,
    상기 교차결합제(crosslinking agent)가, 디큐밀 페록사이드(dicumyl peroxide), 벤조일 페록사이드 (benzoyl peroxide), 큐민 하이드로 페록사이드 (cumene hydroperoxide), 터티어리 부틸 하이드로 페록사이드 (tertiary butyl hydroperoxide), 터티어리 부틸 페라세테이트 (tertiary butyl peracetate), 터티어리 부틸 퍼벤조에이트 (tertiary butyl perbenzoate), 및/또는 디터티어리 부틸 아조디소부틸니트릴 (ditertiary butyl azodiisobutylnitrile)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세정제는,
    팽창제 (blowing agen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세정제는,
    윤활제 (lubrican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11. 폴리에칠렌 (polyethylene), 폴리스티렌 (polystyrene), 스티렌-베이스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styr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충전제(filler) 및 교차결합제(crosslinking agen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합세정제는,
    폴리에칠렌 (polyethylene) 5-25 중량%;
    폴리스티렌 (polystyrene) 30-60 중량%;
    스티렌-베이스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20 중량%;
    미네랄 충전제(mineral filler) 20-40 중량% 및
    교차결합제(crosslinking agent) 0.05-0.25 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합세정제는,
    폴리에칠렌 (polyethylene) 10-15 중량%;
    폴리스티렌 (polystyrene) 40-50 중량%;
    스티렌-베이스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15 중량%;
    미네랄 충전제(mineral filler) 25-30 중량% 및
    교차결합제(crosslinking agent) 0.1-0.2 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14.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재료 및 교차결합제를 포함하는 복합세정제(cleaning compound)를 폴리머 세정장치의 용융처리부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용융처리부의 잔유물에 복합세정제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융처리부로부터 복합세정제와 잔유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의 세척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세척방법에는,
    세정장치를 활용한 처리를 위하여 새로운 열가소성 재료를 용융처리부로 투입하는 단계; 및
    세정장치로부터 새로운 열가소성 재료만이 토출될 때까지 세정장치를 가동하 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의 세척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세척방법에는,
    용융처리부 상의 잔유물과 복합세정제를 여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의 세척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용융처리부는,
    세정장치의 배럴, 세정장치의 스크류 및 세정장치의 노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가공장치의 세척방법.
KR1020087026103A 2006-04-10 2007-04-05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KR200900197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01,645 2006-04-10
US11/401,645 US20070238636A1 (en) 2006-04-10 2006-04-10 Cleaning composition for polymer machin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775A true KR20090019775A (ko) 2009-02-25

Family

ID=3857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103A KR20090019775A (ko) 2006-04-10 2007-04-05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238636A1 (ko)
EP (1) EP2007560A4 (ko)
JP (1) JP2009533525A (ko)
KR (1) KR20090019775A (ko)
CN (1) CN101421084A (ko)
BR (1) BRPI0710094A2 (ko)
CA (1) CA2647180A1 (ko)
MX (1) MX2008013144A (ko)
WO (1) WO200712057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0506B2 (en) * 2009-07-14 2011-12-20 MSI Technology LLC. Reactive purge compound for polymer purging
CN103242970A (zh) * 2012-02-09 2013-08-14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洗用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2703251A (zh) * 2012-06-12 2012-10-03 张兰兰 积碳的清洗物料及其制备方法
CN103506803B (zh) * 2012-06-20 2016-05-25 杭州迅塑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快速拆装双螺杆挤出机螺杆的方法
KR101307496B1 (ko) * 2012-11-22 2013-09-11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고분자 가공용 퍼징제
CN107081887B (zh) * 2017-05-03 2019-11-19 山东新巨丰泰东包装有限公司 一种挤出机冲料法
CN108587808A (zh) * 2018-04-17 2018-09-28 东莞市蓝鲸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注塑机螺杆炮筒的清洁剂及其制备方法
US11578144B2 (en) 2018-05-23 2023-02-14 2569924 Ontario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plastics processing equipment
CN109384991A (zh) * 2018-09-30 2019-02-26 金旸(厦门)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交联型洗机母料及其制备方法
CN109485904A (zh) * 2018-10-25 2019-03-19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成型机清理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705432A (zh) * 2018-12-14 2019-05-03 金旸(厦门)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交联发泡型洗机母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6599A (en) * 1966-09-12 1969-11-04 Gen Tire & Rubber Co Metal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US3654940A (en) * 1970-11-25 1972-04-11 Chemed Corp Method for removing resinous or rubber deposits with organic peroxides
US4731126A (en) * 1986-04-16 1988-03-15 The Dow Chemical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for purging polymeric residues
JP2802998B2 (ja) * 1988-12-28 1998-09-2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金型清掃用ゴム系組成物
CA2016368A1 (en) * 1989-05-22 1990-11-23 Hiroshi Takasu A cleaning resin composition
JP2844366B2 (ja) * 1989-10-27 1999-01-06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金型清浄化用ゴム系組成物
US5236514A (en) * 1990-06-06 1993-08-17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urging composition for cleaning thermoplastic processing equipment
DE69122355T2 (de) * 1990-11-20 1997-04-17 Asahi Chemical Ind Reinigungszusammensetzung für eine Formmaschine sowie Reinigungsmethode
US5139694A (en) * 1991-05-08 1992-08-18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Cleaning composition for resin processing equipment
JP2967842B2 (ja) * 1991-10-24 1999-10-25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金型清掃用ゴム系材料
US5443768A (en) * 1993-12-21 1995-08-22 The Ferro Corporation Abrasive and purge compositions
US5424012A (en) * 1994-01-11 1995-06-13 Cylatec Corp. Method for purging thermoplastic extruders
JP3764239B2 (ja) * 1996-12-10 2006-04-05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装置成形用金型洗浄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金型クリーニング方法
US6022420A (en) * 1997-03-04 2000-02-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urging compound
US6060445A (en) * 1997-03-31 2000-05-09 Eval Company Of America Polymer clea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US6551411B1 (en) * 1999-03-24 2003-04-22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Detergent composition
JP2002210748A (ja) * 2001-01-18 2002-07-30 West Japan Plastic Products Industrial Association プラスチック成形機用洗浄剤
JP4076167B2 (ja) * 2004-03-25 2008-04-16 オーケーファスト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及び熱可塑性樹脂加工装置の洗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7560A2 (en) 2008-12-31
JP2009533525A (ja) 2009-09-17
MX2008013144A (es) 2008-10-27
EP2007560A4 (en) 2010-01-20
US20070238636A1 (en) 2007-10-11
WO2007120577A3 (en) 2008-07-31
CA2647180A1 (en) 2007-10-25
WO2007120577A2 (en) 2007-10-25
BRPI0710094A2 (pt) 2011-08-02
CN101421084A (zh)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9775A (ko) 폴리머 가공장치용 복합세정제
JP4936483B2 (ja) 洗浄剤及びこれを用いた樹脂成形機の洗浄方法
Paul et al. The potential for reuse of plastics recovered from solid wastes
JP2006335913A (ja) 洗浄用樹脂組成物
CN104629315A (zh) 一种再生pc和abs的共混合金
JP2009107160A (ja) 成形機用洗浄剤組成物
JP3761502B2 (ja) プラスチック成形用機能性薬剤、その用途および使用方法
JP4619840B2 (ja) 洗浄用樹脂組成物
EP0346956B1 (en) A cleaning resin composition
JP2006341598A (ja) プラスチック成形機の洗浄剤
CN104974870A (zh) 一种新型挤出机螺杆用清洗料及其制备方法
JP5199215B2 (ja) 樹脂洗浄剤組成物、および熱可塑性樹脂加工装置の洗浄方法
JP2005231108A (ja) 成形機用洗浄剤
JP2017080928A (ja) パージ材
CN101665583A (zh) 一种聚碳酸酯的回收方法
JP5451416B2 (ja) 成形機用洗浄剤
CN111138829A (zh) 一种聚苯醚再生料及其制备工艺
JPH09183133A (ja) 洗浄剤組成物
US6682604B1 (en) Restoration of contaminated polymer articles
JP2005179455A (ja) 射出成形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皮体
CN106674723A (zh) 一种塑料挤出机或者注塑机螺杆清洗剂
JP5530076B2 (ja) 洗浄用樹脂組成物
JP2011126995A (ja) 再生abs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2020794A (ja) 成形機用洗浄剤
KR20230159432A (ko) 세정용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