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029A - 흡진 장치 - Google Patents

흡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029A
KR20090010029A KR1020087025257A KR20087025257A KR20090010029A KR 20090010029 A KR20090010029 A KR 20090010029A KR 1020087025257 A KR1020087025257 A KR 1020087025257A KR 20087025257 A KR20087025257 A KR 20087025257A KR 20090010029 A KR20090010029 A KR 20090010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ousing
airflow
inlets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1559B1 (ko
Inventor
타카히로 토츠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선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선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선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09001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4Rigid cleaning-gratings; Tread plates or scrapers for cleaning the soles of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7Fume suction nozzles arranged on a closed or semi-closed surface, e.g. on a circular, ring-shaped or rectangular surface adjacent the area where fumes are produ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흡진 장치(1)는 내부에 공간(50)을 형성해 기체를 위한 복수의 입구(53)와 1개 이상의 출구(57)를 구비한 하우징(10); 그 입구(53)를 개폐하기 위해서 입구의 각각에 대응해서 제공된 복수의 가동 부재(40); 그 가동 부재(40)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입구(53)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출구(57)에 이르는 기류(A, S)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류 발생 장치(20); 및 상기 기류(A, S)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유로 제어 장치(13)을 구비한다.
Figure P1020087025257
흡진 장치

Description

흡진 장치{DUST S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흡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류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를 이용해서 인간 또는 차량으로부터의 흡진를 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청정성이 요구되는 공장, 병원, 또는 식료품점과 같은 시설에서는 시설내에 들어가는 인간 또는 반입되는 차량에 부착된 진흙 또는 먼지를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먼지에 의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전자 기기의 보급에 따라 최근에는 공장과 같은 시설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건물, 그리고 일반 가옥에 있어서도 인간의 구두나 대차 차륜에 부착된 진흙 또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싶은 요구가 있다.
상술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8-322782호 공보에는 집진기 또는 전기 청소기의 흡인력을 미치게 함으로써 먼지를 모으는 제진 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진 매트에는 보행자의 구두창으로부터 진흙 또는 먼지를 닦아내기 위한 불식면(拂拭面)이 제공되어 있고, 그 불식면에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불식면의 하부에는 다수의 지지 기둥에 의해 획정된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 다. 그 불식면에 보행자의 체중이 실리면 그 슬릿은 탄성 변형해서 개구되어 흡인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구두창에 부착되어 있는 진흙 또는 먼지가 그 흡인구로부터 흡인되어서 불식면 하부의 공기 통로를 통해 집진기 또는 전기 청소기에 집진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1-224548호 공보에는 브러시가 상면에 제공되어 탄성으로 상방으로 바이어싱(biasing)되어 있는 가동 부재가 브러시에 의해 보행자의 구두창의 진흙 또는 먼지를 긁어내는 한편, 보행자의 체중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해서 흡인구를 형성하고, 그 흡인구를 통해 그 진흙 또는 먼지가 집진기에 의해 흡인되는 흡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흡진 장치의 흡인구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다수 제공된 지지 기둥 또는 가동 부재의 근방을 통과한 후에 집진기에 도달하는 유로를 취한다.
따라서, 그 유로를 흐르는 공기는 다수의 지지 기둥 또는 가동 부재에 의한 유체 저항을 받아 집진기의 흡진 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일본 특허 공개 2001-224548호 공보에 기재된 흡진 장치에 있어서는 유효한 제진 면적을 늘리기 위해서는 가동 부재의 수를 늘릴 필요성이 있는 한편, 가동 부재의 수를 늘리면 흡진 장치 본체 내부의 유체 저항의 증가가 현저해진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사용을 위한 흡진 효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동 부재의 수를 억제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한, 가동 부재에 의한 유체 저항을 가능한 한 적게 하기 위해서 가동 부재의 이차원적 배열을 연구해서 기류가 받는 유체 저항의 최적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8-32278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1-224548호 공보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흡진 장치내를 흐르는 기류의 유체 저항을 장치내의 가동 부재의 수 또는 이차원적 배열에 의존하지 않고 낮게 억제하여 흡진 장치의 흡진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흡진 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기체를 위한 복수의 입구와 1개 이상의 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서 입구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된 복수의 가동 부재; 상기 가동 부재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입구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출구에 이르는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류 발생 장치; 및 상기 기류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유로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기류 발생 장치는 상기 입구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부의 기체를 도입해서 기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기류의 각각은 인접하는 가동 부재에 의한 간섭을 피해서 흐르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흡진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 외부로부터 도입된 기류가 유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서 기류의 유체 저항이 될 수 있는 가동 부재를 피하도록 하우징 내부를 흐른다. 이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 있어서 기류가 받는 유체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체" 및 "기류"는 본 발명이 사용되는 분위기내의 기체 및 그 흐름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체"는 통상의 실내 또는 실외 환경에 있어서는 공기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체"는 공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특수한 상황에 있어서는 "기체"에는 산소 및 질소가 안정적으로 혼합된 인공 공기, 또는 산소 부화 공기가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곡물 저장 등에 있어서의 탄산 가스나 질소와 같은 통상의 공기 조성에 한정되지 않는 특수한 분위기를 형성하는 기체가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먼지"는 통상은 인간의 구두창 또는 의복, 또는 짐수레, 자전거, 또는 포크리프트(forklift)와 같은 차량의 차륜에 부착되는 흙, 진흙, 모래, 먼지 또는 티끌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면 비 또는 눈이 섞인 상태의 진흙, 또는 물 또는 얼음이 섞인 상태의 먼지도 포함된다.
1개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입구의 각각으로부터 도입된 각 기류는 인접하는 가동 부재에 의한 간섭을 피하도록 흐른 후 유로 제어 장치에 의해 1개 이상의 유로에 합류되고 나서 하우징의 1개 이상의 출구로 안내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각 입구로부터 도입된 각 기류는 입구 및 가동 부재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내부에 있어서 가동 부재에 의한 유체 저항이 낮게 억제된 채 1개 이상의 기류에 모여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유로 제어 장치는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가동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제 1 공간과, 하우징의 출구를 구비한 제 2 공간으로 분리하는 경계벽을 구비하고, 이 경계벽은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공을 갖는다. 제 1 공간내를 흐르는 각 기류는 상기 연통공의 위치 설정에 따라서 제어되어서 제 2 공간에 도입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 내부의 공간이 경계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므로 제 1 공간에 배치된 가동 부재가 제 2 공간내를 흐르는 기류에 간섭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없어진다. 따라서, 하우징내에 다수의 가동 부재를 설치하고 있어도 가동 부재의 이차원적 배열에 배려할 필요 없이 각 기류가 제 1 공간내에서 받는 유체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내부의 제 1 및 제 2 공간은 각각 층상에 형성되어서 제 2 공간이 제 1 공간의 하층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공간의 바로 아래로부터 제 2 공간에 기류를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유체 저항이 존재하는 제 1 공간을 통과하는 유로를 최단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그 유로를 실질적으로 제 1 공간의 두께 상당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공간내에 배치된 가동 부재는 하우징의 복수의 입구 중 하우징상을 통과하는 흡진 대상에 대응하는 영역내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류 발생 장치는 그 개방된 입구를 통해 하우징 외부의 기체를 하우징 내부에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흡진 대상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입구로부터는 하우징 외부의 기체가 하우징 내부에 인입되지 않으므로 기류 발생 장치의 흡인 일률을 흡진 대상에만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진 대상"은 본 발명에 의한 흡진 장치에 의해 흡인되는 먼지가 부착되어 있는 인간 또는 차량 등의 물체의 전체 또는 일부를 나타낸다. 통상은 이동하는 보행자나 차량이 흡진 대상이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흡진 장치상에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인간 또는 차량이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복수의 입구를 구비한 상부벽을 더욱 갖고, 그 상부벽은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으로 분리하는 경계벽을 현수 지지(懸垂支持)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경계벽을 지지하기 위한 내부 구조재를 경계벽상에 있는 제 1 공간내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경계벽 아래에 있는 제 2 공간내에 있어서, 경계벽을 지지하기 위한 내부 구조재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 2 공간내에 있어서 하우징 전체의 구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한 내부 구조재의 수를 최소화해서 유체 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상부벽에는 가열 수단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흡진 대상에 부착된 먼지가 눈 또는 얼음으로 뭉쳐져 있어도 그 눈 또는 얼음을 용융해서 물이 섞인 상태의 먼지로서 흡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수단은 하우징의 상부벽의 하면에 배치되어서 그 상부벽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가열 수단이 흡진 대상과는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가열 수단이 흡진 대상의 먼지에 의해 더럽혀지거나 흡진 대상과 접촉함으로써 마모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흡진 장치는 흡인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한다. 흡인 압력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거해서 기류 발생 장치가 제어되어서 하우징 내부에 기체를 흡인하는 압력이 소정 압력으로 유지된다.
예를 들면, 흡진 대상에 대응하는 영역이 광범위한 경우는 하우징의 상부벽에 있어서 기체가 도입되는 입구의 수가 증가한다. 이때, 하우징 내부에 도입되는 기체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흡인 압력이 저하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 내부의 압력 저하가 흡인 압력 센서에 의해 검지되어서 그 압력 저하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흡진 장치는 흡진 대상의 접근을 감지하는 에어리어 센서를 더 구비한다. 에어리어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기류 발생 장치 작동이 제어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흡진 대상이 본 흡진 장치에 접근했을 경우에만 기류 발생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흡진 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기체를 위한 복수의 입구와 1개 이상의 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서 상기 입구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된 복수의 가동 부재; 상기 하우징내의 공간을 상기 가동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제 1 공간과 상기 출구를 구비한 제 2 공간으로 분리하여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공을 구비한 경계벽; 및 상기 가동 부재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입구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출구에 이르는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류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복수의 입구 중 상기 하우징상을 통과하는 흡진 대상에 대응하는 영역내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류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는 상기 개방된 입구, 상기 제 1 공간, 상기 연통공, 및 상기 제 2 공간의 순으로 도입된 후에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흡진 대상에 대응하는 영역내의 입구로부터 하우징내에 도입된 기류는 하우징 내부에 있어서 유체 저항을 생기게 하는 가동 부재를 갖는 제 1 공간 이외에 제 2 공간을 흐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공간내에 다수의 가동 부재를 설치하고 있어도 그 이차원적 배열에 배려할 필요 없이 각 기류가 하우징 내부 전체에서 받는 유체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은 한정으로서가 아니라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할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한 것이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에 의해 표시된 범위를 일부 파단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도 3 상당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기류 발생 유닛이 2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작동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도 3 상당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01 : 흡진 장치 10, 110, 210 : 하우징
11 : 상부벽 13 : 경계벽
18 : 히터 20 : 기류 발생 유닛
30 : 흡기관 40, 240 : 가동 부재
50, 250 : 내부 공간 54 : 연통공
56, 256 : 지지 부재 A : 기류
L : 하중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이하에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제 1 실시예는 도 1∼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흡진 장치(1)는 전체적으로는 하우징(10) 및 기류 발생 유닛(2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중공의 평판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가상선으로 도시된 인간(80)이 하우징(10)상에 탑승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재료는, 예를 들면 그 위에 탑승하는 인간(80)의 하중, 비바람 등의 영향, 그 밖의 사용 환경을 고려해서 결정된다. 하우징(10) 재료의 예로서는 종래의 수지 또는 금속 재료가 사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이다. 또한, 하우징(10)상에 탑승하는 물체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에서는 인간(80)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차 등의 차량(도시되지 않음)이어도 좋다.
하우징(10)의 상면을 구성하는 평판 형상의 상부벽(11)에는 실질적으로 원형 상의 기류 입구(53)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기류 입구(53)에는 대응하는 가동 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부재(40)는 인간(80)에 의한 하중이 가동 부재(40)의 상부에 걸리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동 부재(40)와 기류 입구(53)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기류 입구(53)가 개방 상태가 된다. 가동 부재(4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도 2∼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슬로프(slope)(60)가 배치되어 있다. 슬로프(60)는 인간(80)이 하우징(10)의 단부에 방해되지 않게 하우징(10)상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슬로프(60)는 하우징(10)의 설치시 또는 메인터넌스시에는 제거가 가능한 한편, 인간(80)의 통과에 의해 용이하게 변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슬로프(60)는 표면에 미끄러짐 방지의 오목부가 형성된 체커 플레이트(checker plate)와 같은 금속판을 슬로프 형상으로 절곡 성형하거나 또는 고무, 엘라스토머, 또는 목재를 슬로프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한편, 기류 발생 유닛(20)은 집진부(21) 및 기류 발생부(23)를 구비한다. 집진부(21)와 기류 발생부(23)는 메인터넌스시에 유닛(20)을 분리 가능하게 하도록 패스너(fastener)(32)에 의해 밀봉 접속되어 있다. 기류 발생부(23)는 종래 기술의 모터 및 팬(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해서 부압을 발생시킨다.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전동 모터이며, 전원 스위치(33)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된다. 부압에 의해 발생한 기류는 흡기관(30)을 통과하고, 유닛(20)으로의 흡기구(31)를 통해 집진부(21)에 도입된다. 그 후, 기류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큰 먼지가 유닛(20)의 하부에 배치된 더스트 트레이(dust tray)(22)로 저류한다. 또한, 기류는 소정의 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먼지가 여과된다. 여과된 공기는 기류 발생부(23)를 통과해서 유닛(20)의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24)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흡기관(30)은 소정의 재료로 만들어진 가요성 튜브이며, 유닛(20)에 의해 생기는 부압 즉, 흡인 압력하에 있어서도 기류를 확보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다. 또한, 이 필터는 물 및 수분을 포함하는 먼지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들이 흡인되어도 유닛(20)은 작동 가능하다.
따라서, 외부 분위기의 공기는 하우징(10)의 상부벽(11)에 형성된 복수의 기류 입구(53), 하우징(10)의 내부, 하우징(10)의 측부벽(15)에 형성된 1개의 기류 출구(57), 흡기관(30), 및 흡기구(31)를 통과해서 기류 발생 유닛(20)내에 흡인된다. 기류 발생 유닛(20)내에 흡인된 기류는 유닛(20)의 상부에 형성진 배기구(24)로부터 외부 분위기로 배출된다.
도 2에는 하우징(10)의 구조가 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외형은 전체적으로는 상부벽(11), 저부벽(14), 서로 대향하는 측부벽(15), 및 서로 대향하는 단부 뚜껑(17)에 의해 형성된 상자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장의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을 절곡 가공해서 저부벽(14) 및 측부벽(15)을 홈통 형상으로 구성하는 한편, 측부벽(15)의 가로 방향 단부를 더욱 절곡 가공해서 상부벽 유지부(16)를 형성한다. 나사 고정 등의 소정의 고정 방법에 의해 상부벽(11)의 가로 방향 단부가 상부벽 유지부(16)에 유지되어서 양쪽의 측부벽(15)에 고정된다. 상부벽(11), 저부벽(14), 및 측부벽(15)에 의해 구성된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통형상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용접 또는 나사 고정과 같은 소정의 고정 방법을 이용해서 단부 뚜껑(17)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외형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에 있어서 기류 입구(53) 이외의 부분에 부주의한 간극이 형성되면 제 1 실시예에 의한 흡진 장치의 사용에 의도된 대로의 부압이 유지될 수 없다. 따라서, 상부벽(11), 저부벽(14), 측부벽(15), 및 단부 뚜껑(17)의 장착 개소에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제의 소정의 밀폐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저부벽(14)과 상부벽(11)의 사이에 상부벽(11)을 지지하는 부재료로서 단부 뚜껑(17)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인간(80)에 의해 상부벽(11)에 미치는 하중을 지지하는 데도 유리하도록 저부벽(14)과 상부벽(11)의 사이에 량부재(梁部材)(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보강 구조를 더욱 제공해도 좋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 공간(50)은 경계벽(1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분리되고, 상층의 제 1 공간(51)과 하층의 제 2 공간(52)으로 획정된다. 경계벽(13)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이다. 경계벽(13)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의 외형을 구성하는 상부벽(11), 저부벽(14), 및 측부벽(15)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제조된다. 이에 따라, 경계벽(13)에 충분한 강성을 갖게 하고, 저부벽(14)과 경계벽(13)의 사이에, 예를 들면 지지 기둥(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2∼도 4를 참조하여 경계벽(1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경계벽(13)의 측단면도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경계벽(13)에는 상층의 제 1 공간(51)과 하층의 제 2 공간(52)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공(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연통공(54)의 이차원적 배치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통공(54)의 각각은 상부벽(11)에 있어서 기류 입구(53)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오목부(12)의 실질적으로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상부벽(11)과 경계벽(13)의 사이에 접속된 지지 부재(56)도 도시되어 있다. 지지 부재(56)는 실질적으로 각기둥 형상이며, 서로 인접한 연통공(5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56)의 상단이 상부벽(11)에, 하단이 경계벽(13)에, 용접 또는 나사 등을 사용하여 고정되어서 상부벽(11)이 지지 부재(56)를 통해 경계벽(13)을 현수 지지한다. 사용된 지지 부재(56)의 개수 및 그 이차원적 배치는 현수 지지되는 하중, 즉 경계벽(13) 및 가동 부재(40)의 중량, 및 하우징(10)의 전체적인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56)의 형상은 도 4에 그 단면이 도시되어 있는 각기둥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원주 형상과 같은 그 밖의 형상이어도 좋다.
이어서, 도 2∼도 4를 참조하여 가동 부재(4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는 상부벽(11)에 형성된 기류 입구(53)에 배치된 가동 부재(4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40)의 상부에 있는 밀폐돔(41)이 기류 입구(53)를 밀폐하고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기류 발생 유닛(20)이 동작중에 있어도 기류 입구(53)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50)내에 유입하는 기류는 실질 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밀폐돔(41)의 상부에는 브러시(42)가 설치되어 인간(80)의 구두창에 부착된 진흙 또는 먼지를 떨어지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부벽(11)의 기류 입구(53)의 주변에는 하부에 움푹 팬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2)는 그 외주로부터 내주를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42)에 의해 인간(80)의 구두창으로부터 떨어진 진흙 또는 먼지는 낙하해서 오목부(12)에 들어가고, 기류 입구(53)로부터 유입하는 공기와 함께 내부 공간(50)내에 용이하게 도입된다. 또한, 브러시(42)의 길이는 사용 용도에 따라서 조절된다. 예를 들면, 인간(80)의 구두창 또는 차량의 차륜 표면의 홈의 깊이 또는 형상에 따라서 조절된다. 또는, 먼지의 종류에 따라 조절된다.
도 3에는 상부벽(11)에 형성된 기류 입구(53)를 폐쇄 상태로 하고 있는 가동 부재(40) 및 개방 상태로 하고 있는 가동 부재(4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도,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지만, 개방 상태에 있는 부재와 폐쇄 상태에 있는 부재를 구별하기 위해서 개방 상태에 있는 부재에는 데쉬를 붙인 번호를 이용한다.
가동 부재(40)는 전체적으로는 헤드(43) 및 베이스(44)를 구비한다. 헤드(43) 및 베이스(44)는 양쪽 모두 수지와 같은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실질적으로 원주 형상이다. 헤드(43)와 베이스(44)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46)에 의해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44)의 하면에는 보스(boss)(45)가 형성되어 있고, 경계벽(13)에 형성된 설치 구멍(55)과 맞물려 고정된다. 고정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서,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보스(45)를 설치 구멍(55)에 고정해도 좋고, 나사(도시되지 않음)를 경계벽(13)의 이측(裏側)으로부터 베이스(44)에 나합되게 해서 베이스(44)를 경계벽(13)에 고정해도 좋다. 한편, 헤드(43)는 탄성체(46)에 의해 상방, 즉 상부벽(11)의 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헤드(43)는 탄성체(46)의 작용에 의해 중심축에 대하여 상하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부재(40)의 헤드(43)의 상면에는 나일론 브러시와 같은 브러시(42)가 이식되어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반구 형상의 밀폐돔(41)이 브러시(42)의 근원 및 헤드(43)를 둘러싸도록 제공되어 있다. 밀폐돔(41)과 헤드(43)는 접착제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밀폐돔(41)과 헤드(43)를 일체적으로 성형해도 좋다. 또한, 브러시(42)는 밀폐돔(41)의 상면에 직접 이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의 우측에는 브러시(42)에 하중(L)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의 가동 부재(40)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밀폐돔(41)은 헤드(43)가 탄성체(46)에 의해 상방으로 바이어싱됨으로써 상부벽(11)에 형성된 기류 입구(53)의 주변에 밀착된다. 그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밀폐돔(41)은 수지 또는 고무와 같은 재료로 제조된다. 이 밀착성에 의해 기류 입구(53)의 밀폐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기류 발생 유닛(20)의 흡인력을 하중(L)이 걸림으로써 개방 상태가 된 가동 부재(40)에 대응한 기류 입구(53)에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류 입구(53)의 밀폐 상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밀폐돔(41)을 실질적으로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고, 기류 입구(53)를 그것에 대응하는 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밀폐돔(41)이 그 반구 형상의 외주를 따라 정위치로부터 벗어났을 경우에 있어서도 밀폐돔(41)이 기류 입구(53)의 주변 전체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가동 부재(40)의 폐쇄 상태시에 밀폐돔(41)과 기류 입구(53)를 밀착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의 좌측에는 브러시(42')에 하중(L)이 걸려 있는 상태, 즉 개방 상태의 가동 부재(4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간(80)이 브러시(42')상에 올라감으로써 탄성체(46) 바이어싱에 역방향, 즉 하방의 하중(L)이 헤드(43')에 걸리고, 헤드(43')는 하방으로 변위해서 개방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부벽(11)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2)의 내측 주변과 밀폐돔(41')의 사이에 간극(53'), 즉 기류 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중(L)의 방향은 연직 하방을 향하는 화살표에 의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중(L)은 경사 각도를 갖는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는 것도 좋다. 특히, 차량의 차륜이 통과할 경우에는 차륜은 브러시(42')에 대하여 측방으로부터 접근하기 때문에 하중(L)이 경사 하방을 향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브러시(42')의 높이가 높게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도 하중(L)이 경사 하방을 향할 가능성이 높다. 하중(L)이 경사 하방을 향했을 경우 오목부(12)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와 밀폐돔(41) 사이의 거리는 가동 부재(40')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불균일해지지만 간극(53')은 확보된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예에 의한 흡진 장치(1)의 작동상 하중(L)이 경사 하방을 향하고 있어도 흡진 장치(1)의 흡진 효율에는 특히 영향이 없다.
또한, 하우징(10)상 전체에 하중(L)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와 같이 모든 가동 부재(40)가 완전히 폐쇄 상태인 경우 하우징(10) 및 유닛(20)에 외기의 유입이 전혀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상태에서 기류 발생 유닛(20)이 작동하고 있으면 내부 공간(50)내에 과잉 부압이 생기고, 기류 발생 유닛(20)의 모터에 과잉 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0)에 있어서는 과잉 부압이 하우징(10)내에 적용되어도 그 부압에 의해 임의의 수의 가동 부재(40)가 탄성체(46) 바이어싱의 역하방으로 변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류 발생 유닛(20)이 작동중에 모든 가동 부재(40)에 하중(L)이 결려 있지 않을 경우이어도 모든 가동 부재(40)가 완전히 폐쇄 상태로 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10)상 전체에 하중(L)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이어도 외기의 유입을 확보하는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가동 부재(40)의 탄성체(46)의 자동적인 변위를 이용하는 것 외에 하우징(10) 또는 유닛(20) 중 어느 하나에 소정의 부압으로 작동하는 벤트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50)을 흐르는 기류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우징(10)의 내부 공간(50), 즉 제 1 공간(51) 및 제 2 공간(5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류 발생 유닛(20)에 의해 부압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42')에 의해 떨어진 진흙 또는 먼지를 포함한 외기가 상부벽(11)의 오목부(12)의 내측 둘레 가장자리와 밀폐돔(41')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53')으로부터 제 1 공간(51)내에 유입한다. 제 1 공간(51)과 제 2 공간(52)을 분리하는 경계벽(13)에는 복수의 연통공(5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간극(53') 근방의 각 연통 공(54)에 대응하여 도 3의 점선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흐르는 기류(A)가 형성된다. 기류(A)는 제 1 공간(51)에 유입된 후 연통공(54)을 통과해서 제 2 공간(52)내에 유입한다. 이때, 각 연통공(54)은 대응하는 간극(53')의 실질적으로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류(A)는 실질적으로 제 1 공간의 상하 방향의 두께만큼을 통과해서 제 2 공간(52)에 도입된다. 즉, 가동 부재(40')의 베이스(44'), 탄성체(46'), 또는 지지 부재(56)가 기류(A)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제 2 공간(52)에 도입된 각 기류(A)는 그 후 제 2 공간(52)내에서 합류해서 흡인 기류(S)를 형성하고, 도 1에 도시된 기류 출구(57)를 통해 제 2 공간(52)에 유체적으로 접속된 흡기관(30)에 도입된다. 그리고, 기류 발생 유닛(20)에 의해 흡인된다. 또한, 기류 출구(57)는 제 2 공간(52)에만 형성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하우징(10)의 두께, 즉 높이를 작게 했을 경우이어도 소정의 유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흡기관(30)의 직경이 그다지 작아질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흡기관(30)이 제 1 공간(51)에 일부 걸치도록 해서 제 2 공간(52)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기류 출구(57)가 제공되는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1개의 하우징(10)에 대하여 기류 출구(57)를 2개 이상 형성해서 각 기류 출구(57)에 기류 발생 유닛(20)을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하우징(10)과 기류 발생 유닛(20)의 사이에는 2개 이상의 유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대비를 위해 도 8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하우징(210)내의 기류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의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서 제 1 실시예에 대응하는 도 3에 도시된 부재 번호에 200을 더한 번호로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0)과는 달리 종래 기술의 하우징(210)에는 제 1 공간(51)과 제 2 공간(52)이 획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가동 부재(240, 240') 및 지지 부재(256)가 수용되어 있는 점에서 하우징(210)내의 내부 공간(250)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0)의 제 1 공간(51)에 상당한다. 이 종래 기술의 하우징(210)에 있어서는 간극(253')으로부터 도입된 기류(B)는 내부 공간(250)내에서 합류해서 흡인 기류(S)를 형성한다. 이때, 가동 부재(240, 240') 및 지지 부재(256)는 기류(B 및 S)의 유로를 차단하고, 기류(B 및 S)의 유체 저항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따라, 기류(B 및 S)가 기류 발생 유닛(20)에 의해 흡인되는 흡인 효율이 저하한다. 더욱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는 기류(B 및 S)는 먼지를 포함한 채 내부 공간(250)을 통과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탄성체(246, 246')와 같은 가동 부재(240, 240')의 가동 부분에 먼지가 부착된다. 이에 따라, 가동 부재(240, 240')의 가동 성능이 저하한다.
[실시예 2]
도 5에 제 2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0)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상부벽(11)의 하면에 설치된 히터(18) 이외에는 도 1∼도 4에 도시된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히터(18)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발열 저항체(도시되지 않음)를 실리콘 고무 시트 등으로 샌드위칭한 구조를 갖는 면형상의 실리콘 고무 히터이다. 히터(18)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제의 상부벽(11)의 하면, 즉 이면에 접착 등 에 의해 부착되어 상부벽(11)을 가열한다. 금속제의 상부벽(11)은 양호한 열전도율을 갖기 때문에 그 가열에 의해 하우징(10)상에 올라가는 구두창(81)에 부착된 눈이 용융된다.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두창(81)으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해 가동 부재(40')가 개방 상태가 되면 히터(18)에 의해 용융된 눈은 물이 되고, 밀폐돔(41')의 표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기류(A)에 의해 기류 발생 유닛(20)(도 1 참조)까지 운반된다. 또한, 구두창(81)에 부착된 눈은 고체 상태인채로도 기류 발생 유닛(20)까지 운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부벽(11)에 부착된 히터(18)의 전원은 유닛(2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흡기관(30)을 따라 배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과 도 5를 비교하면 아는 것이지만 가동 부재(40, 40')에 대한 구두창(81)의 하우징(10)에 대한 크기는 도 5에 있어서는 구두창(81)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게 실제보다도 작게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3]
도 6에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흡진 장치(101)는 도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흡진 장치(1)를 실질적으로 경면 대상으로 배열한 것이다. 도 6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의 차이를 나타낼 필요가 있는 부재에 대하여는 100을 더한 번호로 나타내지만 그 이외의 동등한 부재에 대하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번호와 같은 번호를 붙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포크리프트와 같은 차량이 하우징(110, 110')상을 통과할 경우에 차량으로부터의 하중을 2개의 하우징(110, 110') 사이에서 분산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1개의 하우징(110)에 걸리는 하중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0)의 내부 용적과 실질적으로 같은 내부 용적을 확보하면서도 각 하우징(110, 110')의 가로 방향의 길이, 즉 폭을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하우징(10)의 역반분의 길이로 할 수 있다. 하우징(110, 110')의 이 가늘고 긴 형상은, 예를 들면 카트나 포크리프트 등의 4륜 차량에 대한 사용에 적합하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110)의 폭이 짧아지기 때문에 하우징(110)의 외형이 강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면 하우징(110)상에 걸리는 하중의 대부분을 상부벽(11), 측부벽(15), 상부벽 유지부(16), 및 단부 뚜껑(17)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저부벽(14)에 기초해서 상부벽(11)을 지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지 기둥과 같은 내부 구조재를 제 2 공간(52)(도 2 및 도 3 참조)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110)에 있어서 제 2 공간(52)내를 흐르는 기류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7에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예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 4 실시예에 의한 흡진 장치(1)는 전체적으로는 하우징(10), 기류 발생 유닛(20), 및 에어리어 센서(7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에도 도시되어 있는 제 1 실시예의 기류 발생 유닛(2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역할이 에어리어 센서(70)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흡진 장치(1)는 흡입팬(27)으로부터의 배기 압력을 모니터하는 흡입 압력 센서(28)를 더 구비한다. 에어리어 센서(70) 및 흡입 압력 센서(28)가 구비되어 있는 것 외에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등하지만 도 7에서는 기류 발생 유닛(20)내의 전기적인 구성 요소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 및 흡입팬(27)으로부터 나오는 흰 화살표는 각각 배기 라인(29a 및 29b)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하우징(10)으로부터 기류 발생 유닛(20)내에 있는 흡입팬(27)으로 연장된 배기 라인(29a)의 일부가 도 1에 도시된 흡기관(30)을 구성한다.
에어리어 센서(70)는 주지의 광전형 센서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에어리어 센서(70)는 소위 투과 타입의 센서이며,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등의 광신호(73)를 발광부(71)로부터 발사하고, 인간(80)(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대상물에 의해 차단되는 광량의 변화를 수광부(72)에 의해 검출해서 출력 신호를 얻는다. 발광부(71)는 하우징(10)의 근방에 있는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고, 수광부(72)는, 예를 들면 기류 발생 유닛(20)의 도시되지 않은 일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발광부(71)와 수광부(72)가 에어리어 센서(70)내에 일체적으로 배치된 소위 반사 타입의 센서를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는 발광부(71)로부터 발사된 광신호(73)가 인간(80)에 반사되어서 수광부(72)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반사 타입의 에어리어 센서(70)는 하우징(10)의 근방에 있는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도 또는 기류 발생 유닛(20)의 도시되지 않은 일부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72)로부터 얻어진 전기적인 출력 신호(74) 가 소정의 배선에 의해 제어부(25)로 송신되고, 제어부(25)는 모터(26)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모터(26)에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흡입팬(27)이 회전해서 기류 발생 유닛(20)이 작동한다. 또한, 출력 신호(74)는 무선에 의해 제어부(25)로 송신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반사 타입의 에어리어 센서(70)가 하우징(10)의 근방에 있는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에어리어 센서(70)로부터 제어부(25)까지의 배선을 행하지 않고 해결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흡입팬(27)으로부터 배기구(24)까지 통하는 배기 라인(29b)의 소정의 위치에는 주지의 전자식 압력 센서와 같은 흡입 압력 센서(28)가 물리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흡입 압력 센서(28)는 흡입팬(27)으로부터의 배기 라인(29b)의 압력을 전기적인 출력 신호(76)로 변환하고, 출력 신호(76)는 소정의 배선에 의해 제어부(25)로 송신된다. 제어부(25)는 흡입팬(27)이 작동하고 있는 사이 출력 신호(76)를 모니터하고 있고, 출력 신호(76)가 소정값으로 유지되도록 모터(26)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또한, 모터(26)의 회전수 제어는 펄스폭 변조 제어와 같은 주지의 방법에 의해 행해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제 4 실시예에 의한 흡진 장치(1)에 있어서는 흡진 대상인 인간(80)(도 1 참조) 또는 차량(도시되지 않음)이 하우징(10)상을 통과하는 사이에만 기류 발생 유닛(20)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방 상태가 되는 기류 입구(53)(도 1 참조)의 수에 따라서 모터(26)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인간(80) 또는 차량이 하우징(10)을 통과할 때에 하우징(10)상을 차지하는 영 역의 대소에 관계없이 유닛(20)의 흡진 효율을 소정값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제 4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경계벽(13)을 지지 부재(56)에 의해 상부벽(11)으로부터 현수 지지하는 대신에 경계벽(13)을 저부벽(14)에 설치한 지지 기둥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또한 경계벽(13)에 설치한 지지 기둥에 의해 상부벽(11)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경계벽(13)과 저부벽(14) 사이의 제 2 공간(52)에 지지 기둥이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제 2 공간(52)에 지지 기둥을 제공하지 않는 구조의 경우보다는 유체 저항이 증가하여 기류 발생 유닛(20)의 흡진 효율이 저하한다. 그러나, 하우징(10)의 외형 또는 강도에 따라서 제 2 공간(52)내의 지지 기둥의 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 2 공간(52)에 있어서의 유체 저항을 억제한다고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내의 제 2 공간(52)을 다른 경계벽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분할해도 좋다. 다른 경계벽을 저부벽(14)과 경계벽(13)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다른 경계벽에 경계벽(13)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갖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하 방향으로 분할되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공간의 각각에 대응하는 기류 발생 유닛(2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폐돔(41) 및 헤드(43)가 하중(L)에 의해 변위 가능하면 기류 입구(53)의 개방 상태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인간(80)의 구두창(81)에 접촉하는 브러 시(42)를 돌기 형상의 다른 부재로 대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밀폐돔(41)에는 브러시(42)와 같은 부재를 제공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밀폐돔(41)의 상부를 구두창(81)에 직접 접촉시키기 위해서 밀폐돔(41)의 상부가 상부벽(11)상에 돌출하도록 밀폐돔(41)과 기류 입구(53)의 위치 관계를 조절하면 좋다. 또는, 밀폐돔(41)을 3각뿔 형상으로 형성해서 그 3각뿔의 정점이 구두창(81)에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Claims (11)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기체를 위한 복수의 입구와 1개 이상의 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서 상기 입구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된 복수의 가동 부재;
    상기 가동 부재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입구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출구에 이르는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류 발생 장치; 및
    상기 기류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유로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류 발생 장치는 상기 입구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부의 기체를 도입해서 기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기류의 각각은 인접한 가동 부재에 의한 간섭을 피해서 흐르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의 각각으로부터 도입된 각 기류는 인접한 가동 부재에 의한 간섭을 피하도록 흐른 후 상기 유로 제어 장치에 의해 1개 이상의 유로에 합류되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출구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제어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상기 가동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제 1 공간과 상기 출구를 구비한 제 2 공간으로 분리하는 경계벽을 구비하고,
    상기 경계벽은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공을 갖고,
    상기 제 1 공간내를 흐르는 각 기류는 상기 연통공의 위치 설정에 따라서 제어되어서 상기 제 2 공간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은 각각 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하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복수의 입구 중 상기 하우징상을 통과하는 흡진 대상에 대응하는 영역내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류 발생 장치는 상기 개방된 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의 기체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입구를 구비한 상부벽을 더 갖고,
    상기 상부벽은 상기 경계벽을 현수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에는 가열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상부벽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벽을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흡인 압력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흡인 압력 센서에 의거해서 상기 기류 발생 장치가 제어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도입되는 기체의 압력이 소정 압력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진 대상의 접근을 감지하는 에어리어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에어리어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기류 발생 장치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장치.
  1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기체를 위한 복수의 입구와 1개 이상의 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서 상기 입구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된 복수의 가동 부재;
    상기 하우징내의 공간을 상기 가동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제 1 공간과 상기 출구를 구비한 제 2 공간을 분리하고,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공을 구비한 경계벽; 및
    상기 가동 부재의 개방 동작시에 상기 입구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출구에 이르는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류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복수의 입구 중 상기 하우징상을 통과하는 흡진 대상에 대응하는 영역내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류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는 상기 개방된 입구, 상기 제 1 공간, 상기 연통공, 및 상기 제 2 공간의 순으로 도입된 후에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진 장치.
KR1020087025257A 2006-04-14 2006-04-14 흡진 장치 KR101271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07921 WO2007122682A1 (ja) 2006-04-14 2006-04-14 吸塵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029A true KR20090010029A (ko) 2009-01-28
KR101271559B1 KR101271559B1 (ko) 2013-06-11

Family

ID=3862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257A KR101271559B1 (ko) 2006-04-14 2006-04-14 흡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92564B2 (ko)
EP (1) EP2014217B1 (ko)
KR (1) KR101271559B1 (ko)
CN (1) CN101415361B (ko)
HK (1) HK1127876A1 (ko)
WO (1) WO2007122682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1146A (zh) * 2011-05-27 2011-09-14 贵阳维隆塑胶有限公司 一种种畜专用激光二维码耳标改性材料及制备方法
WO2011136448A1 (ko) * 2010-04-27 2011-11-03 주식회사 지.엠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KR101124381B1 (ko) * 2009-08-25 2012-03-16 강원규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KR101255054B1 (ko) * 2012-02-15 2013-04-16 (주)테스토닉 먼지 흡입장치
KR101278518B1 (ko) * 2013-03-13 2013-06-25 김기운 흡입판
KR101310888B1 (ko) * 2013-03-28 2013-09-25 (주) 리드북스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KR101486754B1 (ko) * 2013-08-27 2015-01-28 신재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KR102480441B1 (ko) * 2022-05-06 2022-12-22 운생동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2842B2 (en) 2004-04-27 2008-08-1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diagnostic and protection system
US7275377B2 (en) * 2004-08-11 2007-10-02 Lawrence Kates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frigerant-cycle systems
US8590325B2 (en) 2006-07-19 2013-11-2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Protection and diagnostic module for a refrigeration system
US20080216494A1 (en) 2006-09-07 2008-09-11 Pham Hung M Compressor data module
US20090037142A1 (en) 2007-07-30 2009-02-05 Lawrence Kates Portable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frigerant-cycle systems
US9140728B2 (en) 2007-11-02 2015-09-2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sensor module
US20110272440A1 (en) * 2008-03-26 2011-11-10 Robert Heller Shoe cover removal apparatus
TR200900720A2 (tr) * 2009-01-30 2010-08-23 Yildirim Nursel Esnek kapaklı ayakkabı temizleme sistemi.
ITUD20090093A1 (it) * 2009-05-11 2010-11-12 Martik S R L Dispositivo di pulizia a spazzole e relativo procedimento
US8402596B2 (en) * 2010-06-17 2013-03-26 Inventive Solutions, Llc Directional atomizer system for cleaning chandeliers
WO2012015932A2 (en) * 2010-07-27 2012-02-02 Protexer, Inc. Shoe cover removal apparatus
HU229815B1 (hu) * 2010-11-26 2014-08-28 Richard Magony Eljárás szennyfogó felület mûködtetésére, valamint szennyfogó felületegység és azokból összeállított szennyfogó felület
US8533901B2 (en) * 2011-01-03 2013-09-17 Bennie E. Williams Self-contained cleaning device for shoe soles
US9285802B2 (en) 2011-02-28 2016-03-15 Emerson Electric Co. Residential solutions HVAC monitoring and diagnosis
US8964338B2 (en) 2012-01-11 2015-02-2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ressor motor protection
US9310439B2 (en) 2012-09-25 2016-04-1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a control and diagnostic module
US9828710B2 (en) * 2012-11-26 2017-11-28 Abm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thread from an entraining air flow
US9803902B2 (en) 2013-03-15 2017-10-3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for refrigerant charge verification using two condenser coil temperatures
CN105074344B (zh) 2013-03-15 2018-02-23 艾默生电气公司 Hvac系统远程监测和诊断
US9986889B2 (en) * 2013-03-15 2018-06-05 Carl Looney Vacuum-based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US9551504B2 (en) 2013-03-15 2017-01-24 Emerson Electric Co. HVAC system remote monitoring and diagnosis
EP2981772B1 (en) 2013-04-05 2022-01-1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Heat-pump system with refrigerant charge diagnostics
DE102013104562A1 (de) 2013-05-03 2014-11-06 Itec-Ingenieurbüro für Hygiene Und Lebensmitteltechnik GmbH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Schuhsohlen
KR101318829B1 (ko) * 2013-05-10 2013-10-16 주식회사 지.엠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CN103271713A (zh) * 2013-05-28 2013-09-04 哈尔滨德洪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鞋底、鞋面污物灰尘清除装置
US9273471B2 (en) 2013-06-14 2016-03-01 George L. Fischer Non-slip surfaces and methods for creating same
KR101502347B1 (ko) * 2014-07-02 2015-03-13 신재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CN105172645B (zh) * 2015-04-28 2019-02-12 郑在洪 汽车脚垫
RU2603120C1 (ru) * 2015-06-29 2016-11-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жетФилд" (ООО "ДжетФилд")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очиститель обуви
KR101627330B1 (ko) *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장치
KR101627333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판넬
US9907422B2 (en) 2015-08-20 2018-03-06 Protexer, Inc. Bootie level alert
KR101913389B1 (ko) * 2017-04-13 2018-10-30 신동준 공기유입밸브가 구비된 먼지 흡입 에어 매트
KR102033114B1 (ko) * 2017-04-13 2019-10-16 (주)테스토닉 구슬이 적용된 먼지 흡입장치
CN110192802A (zh) * 2018-02-27 2019-09-03 蔡正飞 边界除尘净化系统
CN108338771B (zh) * 2018-03-06 2020-12-11 嘉兴恒益安全服务股份有限公司 一种压踩式鞋底除污方法及装置
FR3088395B1 (fr) * 2018-11-08 2020-11-20 Tallano Tech Systeme d'aspiration des particules de freinage a commande optimisee
USD999465S1 (en) * 2018-11-26 2023-09-19 DG Technologies LLC Shoe disinfecting device
CN109649339B (zh) * 2018-11-27 2022-03-01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客车电驱动系统自动除尘装置及其工作方法
DE202019102102U1 (de) * 2019-04-12 2020-07-14 Herbert Jücker Staubschutzvorrichtung
KR102118994B1 (ko) * 2019-06-27 2020-06-04 주식회사 아이에스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이물질 제거 바닥패널
CN111568145A (zh) * 2020-05-22 2020-08-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消毒地毯、地毯消毒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518521B (zh) * 2020-11-19 2021-11-23 姚传利 一种竹制品清理装置
KR102512653B1 (ko) 2021-06-10 2023-03-22 (주)제이앤에스이엔지 개량된 포집 회수구조를 갖는 차량용 매트 구조체
CN114653708B (zh) * 2022-03-09 2023-07-25 云南曲靖钢铁集团凤凰钢铁有限公司 一种无缝钢管圆管高纯度管坯冶炼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42839A (en) * 1966-09-20 George Attle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ed pressure and vacuum shoe drying and cleaning
CA893202A (en) * 1969-10-24 1972-02-15 Attle George Apparatus for combined pressure and vacuum shoe drying and cleaning
US3610270A (en) * 1969-12-02 1971-10-05 George Attle Apparatus for combined pressure and vacuum shoe drying and cleaning
US3786531A (en) 1972-07-07 1974-01-22 J Borg Portable self-cleaning door mat
US4027355A (en) * 1973-12-17 1977-06-07 Mead George N J Pneumatic cleaning mat and method of making same
AU482992B2 (en) * 1976-06-24 1977-05-19 Ding Dong-Tsang Automatic foot-operated footwear cleaner
GB2189991B (en) * 1986-05-01 1989-12-13 Georges Toufic Safi A door mat
JPH01129823A (ja) 1987-11-16 1989-05-2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制御装置
JPH0341665A (ja) 1989-07-10 1991-02-22 Seiko Epson Corp ディスク駆動装置
JPH0718365Y2 (ja) * 1989-09-01 1995-05-01 株式会社岡本 自動靴拭マット
JPH0652765A (ja) 1992-07-28 1994-02-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ルチレンジタイマーの仕様切り換え装置
JPH0652765U (ja) * 1992-12-25 1994-07-19 有限会社トータス 靴底等の自動清掃装置
JP3279873B2 (ja) 1995-05-31 2002-04-30 アマノ株式会社 除塵マット
US5870797A (en) * 1996-02-23 1999-02-16 Anderson; Kent George Vacuum cleaning system
JP3481466B2 (ja) * 1997-07-24 2003-12-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線引炉、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線引方法
JP3452859B2 (ja) * 2000-02-15 2003-10-06 株式会社パイオニア風力機 除塵装置
CN2435046Y (zh) * 2000-06-09 2001-06-20 梁林生 鞋底清洁机
CN2529605Y (zh) * 2002-02-07 2003-01-08 张士勇 鞋底清洁装置
JP3607268B2 (ja) 2002-08-02 2005-01-05 株式会社パイオニア風力機 清掃装置
JP4277742B2 (ja) 2004-06-10 2009-06-10 三共空調株式会社 吸引式清浄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381B1 (ko) * 2009-08-25 2012-03-16 강원규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WO2011136448A1 (ko) * 2010-04-27 2011-11-03 주식회사 지.엠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CN102181146A (zh) * 2011-05-27 2011-09-14 贵阳维隆塑胶有限公司 一种种畜专用激光二维码耳标改性材料及制备方法
KR101255054B1 (ko) * 2012-02-15 2013-04-16 (주)테스토닉 먼지 흡입장치
WO2013122300A1 (ko) * 2012-02-15 2013-08-22 (주)테스토닉 먼지 흡입장치
US9943212B2 (en) 2012-02-15 2018-04-17 Testonic Co., Ltd. Dust suction device
KR101278518B1 (ko) * 2013-03-13 2013-06-25 김기운 흡입판
KR101310888B1 (ko) * 2013-03-28 2013-09-25 (주) 리드북스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KR101486754B1 (ko) * 2013-08-27 2015-01-28 신재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KR102480441B1 (ko) * 2022-05-06 2022-12-22 운생동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22682A1 (ja) 2007-11-01
US8092564B2 (en) 2012-01-10
US20100011962A1 (en) 2010-01-21
EP2014217B1 (en) 2012-06-06
CN101415361A (zh) 2009-04-22
CN101415361B (zh) 2011-09-21
HK1127876A1 (en) 2009-10-09
EP2014217A4 (en) 2010-07-21
EP2014217A1 (en) 2009-01-14
KR101271559B1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559B1 (ko) 흡진 장치
KR102154578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KR101826935B1 (ko) 분리 장치를 구비한 자동 진공 청소기
KR101802233B1 (ko)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US4334337A (en) Compact wet-dry electric vacuum cleaner
SE509317C2 (sv) Munstycksarrangemang för en självgående dammsugare
JP2012228619A (ja) ロボット掃除機
JP2013223531A (ja) 自走式空気清浄機
KR20170007866A (ko) 자동 진공 청소기
CN102589076A (zh) 换热器杀菌和加湿设备
JP2023024668A (ja) 加湿空気清浄機
KR100408356B1 (ko) 전기청소기
SE465949B (sv) Centralenhet foer centraldammsugare
JP6897158B2 (ja) 吸着ユニット及び空気清浄機
CN215305523U (zh) 吸尘风路组件、集尘桩及清洁系统
CN210014617U (zh) 一种鸭蛋加工用可对鸭蛋进行固定的风干装置
JP2006204458A (ja) 電気掃除機
CN215078049U (zh) 基座
US20230302870A1 (en) Vehicle roof comprising an environment sensor and a cooling feature
JP2017110859A (ja) 空気調和機
JP2023022534A (ja) 除湿機
KR20180103528A (ko) 청소 로봇
CN114593079A (zh) 风机组件、集尘桩及清洁系统
KR20210000004U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KR20170032086A (ko) 결로현상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