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356B1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356B1
KR100408356B1 KR10-2001-0018167A KR20010018167A KR100408356B1 KR 100408356 B1 KR100408356 B1 KR 100408356B1 KR 20010018167 A KR20010018167 A KR 20010018167A KR 100408356 B1 KR100408356 B1 KR 100408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floating
main body
chambe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450A (ko
Inventor
고이케도시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Landscapes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청소기 본체를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는 것에 의해 청소기 본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청소기본체를 균형좋게 마루면에서 확실하게 부상시키기 위해,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기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전송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청소기본체를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장치를 구비하고, 부상장치를 상부에 전동기실과 연통하는 연통구를 갖고 하부에 복수의 부상 배기취출구, 배기를 저장하는 배기균압실 및 복수의 부상 배기구가 마련된 부상체와; 부상체의 주위에 한쪽끝이 마루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된 스커트부재에 의해 구성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청소기본체를 거의 일정한 높이로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청소기본체를 가볍고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 본체를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는 것에 의해 청소기 본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27은 일본국 특개평 6-133900호(종래기술1)에 기재된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20)은 청소기 본체로서, 내부에는 집진주머니(122)가 착탈 가능하게(자유롭게) 수용되는 집진실(121), 전동송풍기(124)가 수용된 전동기실(123)이 마련되어 있다. (125)는 집진실(121)의 앞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호스로서, 그의 선단부에는 마루용 흡입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126)은 전동기실(123)의 바닥부(123a)에서 청소기본체(120)의 바닥부(120a)와 연통해서 개구되는 제1 배기구, (127)은 제1 배기구(126)의 주위에 있어서 청소기본체(120)의 바닥부(120a)에 마련된 제1 스커트, (128)은 제1 스커트(127)의 외주에 마련된 제2 스커트이다. (129)는 제1 스커트(127)과 제2 스커트(128) 사이에 있어서 바닥부(120a)에 마련된 제2 배기구, (130)은 청소기본체(120)의 뒷벽에 마련한 배기의 배출구이다. 또한, X는 마루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종래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는 전동송풍기(124)로부터의 배기는 제1 배기구(126)에서 배출되어 마루면X와 충돌하고 청소기본체(120)을 마루면X에서 부상시킨다. 그리고, 배기는 제1 스커트(127)과 제2 스커트(128) 사이로 유입되고, 제2 배기구(129)를 통과해서 배출구(130)에서 청소기본체(120)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전동송풍기(124)를 운전하는 것에 의해, 그의 배기압에 의해서 청소기본체(120)이 마루면X에서 부상하므로, 마루면X와 청소기본체(120)의 마찰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에 청소기본체(120)을 적은 노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4-341229호(종래기술2)에는 전동송풍기 및 집진실을 갖는 청소기본체 하부에 외주에 볼록부가 마련된 수압(受壓)실을 형성하고, 이 수압실에 바닥면 외주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 배기구에서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공급해서 수압실내의 압력을 높이고, 청소기본체를 부상시키도록 한 부상식 전기청소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8-299230호(종래기술3)에는 흡입압을 발생시키는 전동송풍기, 청소기본체의 하부에 마련한 마루노즐, 마루노즐의 하면에 마련된 전동송풍기의 배기류를 불어 내보내는(취출하는) 취출구, 이 취출구의 외주에 마련한 마루노즐을 부상시키는 부상판, 마루노즐을 이동가능하게 하는 롤러,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재를 승강가능하게 하는 유지부재 및 롤러에 대해 상시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롤러지지부재는 배기류의 압력을 받는 수압부를 갖고, 이 수압부에 배기류의 압력이 가해지면 롤러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수압부에 배기류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탄성부재에 의해서 롤러가 아래쪽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하도록 한 업라이트(up-right)형 전기청소기가 기재되어 있다.
종래기술1의 전기청소기는 예를 들면 사용전에 청소기본체(120)을 이동시킬 때 차륜에 의해서 주행시키는 경우, 제1, 제2 스커트(127), (128)이 마루면X를 문지르기(닳게 하기) 때문에 제1, 제2 스커트(127), (128)이 마모되거나 마루면X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쓰레기)를 말아올려(일으켜)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동송풍기(124)의 배기를 직접 마루면으로 내뿜고 있기 때문에, 마루면의 먼지가 날려 올라갈 뿐만 아니라 청소기본체(120)의 전동송풍기(124)의 모터나 코드릴(도시하지 않음) 등의 무거운 부품이 내장된 쪽이 집진실(121)의 집진주머니(122) 등의 가벼운 부품이 내장된 측에 비해 내려앉기 때문에 청소기본체(120)이 경사진 상태로 부상해서 불균형을 이루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기술2의 부상식 전기청소기는 전동송풍기의 배기를 직접 마루면으로 내뿜고 있기 때문에 마루면에 동압(動壓)이 작용하고, 그 때문에 수압실내의 배기압이 불균형을 이루게 되어 청소기본체를 수평으로 부상시키는 것이 곤란하다.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내장하는 부품의 무거운쪽 측의 배기압을 강하게 하고 가벼운쪽 측의 배기압을 약하게 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지만,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된다.
또, 코드릴에서 코드를 인출했을 때에는 코드의 길이에 따라 청소기본체의 중심(重心)이 변화하기 때문에 청소기본체의 부상이 항상 불균형을 이루게 된다.
다음에, 종래기술3의 업라이트형 전기청소기는 취출유로와 취출구의 단면적의 관계가 불명확하고, 이 때문에 공기실내의 배기압이 균압화되기 어렵다. 또, 취출구는 1개소에 마련되어 있지만, 청소기본체의 중심 바로 아래에 마련되어 있지 않는한 부상이 불균형을 이루게 되고, 부상이 불균형을 이루게 되면 마루면과 부상판 사이에서 공기실내로 외기가 침입하거나 내부의 배기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공기실내의 압력이 저하해서 청소기본체의 부상이 곤란하게 된다.
특히, 업라이트형 전기청소기는 마루면에 대해서 청소기본체를 기울여 사용하기 때문에 중심이 항상 변화해서 불균형을 이루게 될 뿐만 아니라, 마루면과 부상판 사이에서 외기가 침입하거나 배기가 빠져나가거나 해서 청소기본체의 부상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청소기본체를 균형좋게 마루면에서 확실하게 부상시킬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부상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스커트부재의 설명도,
도 6은 도 1의 청소기 본체에 차륜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주요부 설명도,
도 9는 도 8의 작용설명도,
도 10은 도 8의 전기적 회로도,
도 11은 도 8의 다른 예의 전기적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일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주요부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1은 도 19의 주요부의 다른 예의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관한 전기청소기 본체의 주요부의 설명도,
도 24는 도 23의 다른 예의 설명도,
도 25는 도 23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
도 26은 도 23의 다른 예의 설명도,
도 27은 종래의 부상식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1예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청소기본체, 2 앞면판, 4 뒷면판, 6 저면판, 11 집진실, 12 집진체, 14 전동기실, 15 전동송풍기, 18 코드릴(code reel)실, 19 코드릴, 28 개폐밸브, 30 본체배기구, 32 제어실, 33 제어부, 50 부상장치, 51 부상체, 59 연통구, 61 배기균압실, 61a 배기통기로, 62 부상 배기구, 63 부상 배기취출구, 70 스커트부재, 71 시트재, 72 부상 배풍구, 73 접힘부(folded portion), 75 스커트 고정기구, 78 배기실, 80 부상공간, 81 차륜부재, 86 차륜, 87 캐스터, 89 충전용 전원 접속부, 90충전지실, 91 충전지, 92 배기압 센서, 95 모터, 96 흡진팬, 97 냉각팬, 98 흡진팬 케이싱, 99 냉각팬 케이싱, 100 배기구, 101 팬, 102 팬 케이싱, 103 격벽, 105 분리배기구, 107 간막이판, 108 통기구멍, 110 망형상 부재, 111 소공(小孔), 112 리브.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기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상기 청소기본체를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장치를 구비하고, 이 부상장치를 상부에 상기 전동기실과 연통하는 연통구를 갖고 하부에 복수의 부상 배기취출구, 상기 배기를 저장하는 배기균압실 및 복수의 부상 배기구가 마련된 부상체와; 이 부상체의 주위에 한쪽끝이 마루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된 스커트부재에 의해서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기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상기 청소기본체를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장치를 구비하고, 이 부상장치를 상부에 상기 전동기실과 연통하는 연통구를 갖고 하부에 복수의 부상 배기취출구, 상기 배기를 저장하는 배기균압실 및 복수의 부상 배기구가 마련된 부상체와; 이 부상체에 부착되고 중앙에 부상 배풍구(排風口)를 갖고 상기 부상 배기취출구를 아래쪽에서 막도록 덮는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스커트부재에 의해서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기실을 갖는 청소기본체, 이 청소기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상기 청소기본체를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송풍기를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팬에 의해서 구성하고, 이 팬의 배기를 상기 부상장치로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의 일부를 상기 모터의 냉각용으로서 분류한 것이다.
상기 전동송풍기를 모터, 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흡진팬 및 냉각팬으로 구성하고, 상기 흡진팬의 배기를 부상장치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상기 스커트부재의 부상 배풍구의 개구면적을 스커트부재의 절곡부의 면적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이것보다 크게 형성하였다.
또, 상기 스커트부재의 부상 배풍구의 주위를 적어도 2중 구조로 하였다.
또, 상기 스커트부재의 대략 중앙부에 다수의 부상 배풍구를 마련하였다.
상기 부상장치내에 배기 압력을 검출하는 배기압 센서를 마련하고, 이 배기압 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부상장치로 유입하는 배기량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또, 상기 부상장치로부터의 배기를 전동송풍기의 모터를 냉각시킨 배기와 합류시켰다.
상기 어느 하나의 부상장치를 청소기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부상장치의 균압체를 청소기본체와 일체로 구성하였다.
또, 상기 어느 하나의 전기청소기의 전동송풍기를 구동하는 충전지를 집진실 또는 그의 하부에 수용하였다.
또, 상기 어느 하나의 부상 배기취출구의 근방에 스커트부재와의 사이에 간극(틈)을 형성하는 리브를 마련하였다.
[발명의 실시예]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종단면도, 도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부상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청소기본체로서, 호스의 접속구(3)을 갖는 앞면판(2), 뒷면판(4), 좌우의 측면판(5a), (5b), 바닥면판(6), 전후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마련된 팬흡기구멍(8)을 갖는 주격벽(7) 및 주격벽(7)의 후방부측에 마련한 상면판(9)에 의해 주격벽(7)의 전방부측 상부가 개구된 대략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1)은 앞면판(2)와 주격벽(7) 사이에 형성된 집진실로서, 내부에는 예를 들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주머니 또는 사이클론(cyclone) 집진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집진수단(이하, 이들을 일괄해서 집진체(12)라고 한다)이 수용되어 있고, 상부 개구부에는 개폐덮개(10)이 마련되어 있다.
(14)는 주격벽(7)과 그의 뒤쪽에 마련한 격벽(16) 사이에 형성된 전동기실로서, 전동송풍기(15)가 수용되어 있다. (18)은 격벽(16)과 그의 뒤쪽에 마련한 격벽(17) 사이에 형성된 코드릴실로서, 코드릴(19)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13)은 전동기실(14)와 코드릴실(18)의 바닥판이다.
(20)은 통기구(20a)를 갖고 바닥면판(6)과 바닥판(13) 사이에 형성된 하부 배기통로, (21)은 단면이 대략 コ형상으로 폭좁게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면판(9)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뒷면판(4)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바닥면판(6)에 세워 마련된 간막이 부재로서, 뒷면판(4)와의 사이에는 후방부 배기통로(22)가 형성되어 있고, 또 격벽(17)과의 사이에는 하부 배기통로(20)와 연통하는 상부 배기통로(23)이 형성되어 있다.
(24)는 주격벽(7)의 근방에 있어서 바닥면판(6)에 마련한 바닥면판 배기구멍, (25a)는 바닥면판(6)에 마련되고, 후방부 배기통로(22)에 개구된 바닥면판 배기구, (25b)는 앞면판(2)의 근방에 있어서 바닥면판(6)에 마련되고 집진 전실(前室)(11a)에 개구된 바닥면판 배기구(이하, 양자를 합쳐서 바닥면판 배기구(25)라 한다)이다.
(27)은 바닥면판 배기구멍(24)의 위쪽에 있어서 전동기실(14)의 바닥판(13)에 마련된 전동기실 배기구멍, (28)은 이 전동기실 배기구멍(27)과 하부 배기통로(20)의 통기구(20a)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로서, 예를 들면 스테핑모터나 전자력 플런저(plunger) 등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한, 연통구(59)의 선단부에 후술하는 볼록부(59a)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59a)에 의해 통기구(20a)를 개폐해도 좋다.
(29)는 뒷면판(4)의 중앙부의 약간 위쪽에 마련되고 후방부 배기통로(22)와 연통하는 본체 부상 배기구, (30)은 간막이부재(21)의 양측에 있어서 뒷면판(4)에 마련된 복수의 본체배기구이다.
(31)은 청소기본체(1)의 상면판(9)상에 장착된 커버로서, 내부에는 제어실(32)가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전기부품이 탑재되어 제어회로 등이 형성된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33)이 수용되어 있다. (34), (35)는 격벽(16), (17)에 각각 마련된 배기구멍이다. (36)은 상면판(9)에 마련되고 전동기실(14)와 제어실(32)를 연통시키는 배기구멍, (37)은 상면판(9)에 마련되고 후방부 배기통로(22) 및 상부배기통로(23)과 제어실(32)를 연통시키는 배기구멍, (38)은 커버(31)의 뒷벽에 마련한 제어실 배기구이다. 또한, (39)는 앞면판(2) 및 뒷면판(4)의 하부 외면에 마련된 걸어맞춤 오목부(또는 걸어맞춤 볼록부, 이하 동일)이다.
(40)은 호스(도시하지 않음)의 한쪽 끝에 마련되고 앞면판(2)에 마련한 접속구(3)에 접속되는 접속체로서, 내관(41)과 외관(42)로 이루어지고, 내관(41)은 외관(42)에서 돌출해서 집진실(11)의 집진체(12)내로 개구된다. (43)은 내관(41)에 마련되고, 예를 들면 집진실(11)내에 마련된 집진체(12)의 부착판에 당접해서 집진체(12)내의 먼지가 집진실(11)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리형상의 실(seal)재이다. (44)는 내관(41)에 마련되고 집진 전실(11a)에 개구되는 환류구, (45)는 외관(42)에 마련되고 기기 외부로 개구되는 외관배기구, (45a)는 호스(도시하지 않음)의 선단부에 형성된 마루용 흡입기구까지 연통하는 환류풍로이다.
(50)은 부상장치로서, 부상체(51), 이 부상체(51)에 부착된 스커트부재(70) 및 스커트부재(70)을 부상체(5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스커트 고정기구(75)로 이루어져 있다.
부상체(51)은 상부가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 외경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서, 하부가 단부(53)을 거쳐서 약간 축소된 본체부(52)를 갖고, 본체부(52)의 전방부측 상부에는 내벽에 청소기본체(1)의 앞면판(2)에 마련한 걸어맞춤 오목부(39)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볼록부(또는 걸어맞춤 오목부, 이하 동일)(56)을 갖고, 바깥쪽으로 경사진 착탈 손잡이(54)가 마련되어 있고, 후방부측 상부에는 내벽에 청소기본체(1)의 뒷면판(4)에 마련한 걸어맞춤 오목부(39)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56)을 갖는 걸어맞춤부재(5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52)의 상부는 상부판(57)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고, 상부판(57)의 하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바닥판(58)이 마련되어 있다. (59)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에 마련한 바닥면판 배기구멍(24)에 대응해서 상부판(57)에 마련된 통형상의 연통구이다. (60)은 연통구(59)를 대략 중앙으로 해서 그의 외주에 있어서 바닥판(58)에 세워 마련된 둘레벽으로서, 그의 내측에는 배기균압실(61)이 형성되어 있고, 연통구(59)는 이 배기균압실(61)내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둘레벽(60)의 상단부와 상부판(57) 사이에는 간극g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g의 개구면적B는 연통구(59)의 개구면적A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고, A≥B로 되어 있다.
(62)는 본체부(52)의 외주 근방에 있어서, 상부판(57)과 바닥판(58)을 연통해서 상하로 개구되는 복수의 부상 배기구, (63)은 부상 배기구(62)의 내측에 있어서 바닥판(58)에 마련된 복수의 부상 배기취출구이다. 또한, 이 부상 배기취출구(63) 중의 1개의 개구면적C는 연통구(59)의 개구면적 A보다 작고, A>C로 형성되어 있다. (64)는 본체부(52)의 외벽면에 마련된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또는 걸어맞춤 볼록부, 이하 동일)이다. 또한, (65)는 부상 배기취출구(63)의 내측에 있어서 바닥판(58)에 마련되고 스커트부재(70)을 세트할 때의 위치결정용 마크이다.
(70)은 예를 들면 내마모성 및 내슬라이드성을 갖는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시트재(71)에 의해서 형성된 스커트부재로서, 시트재(71)은 부상체(51)의 본체부(52)의 바닥부 형상에 대응하고, 그의 외형보다 큰 바깥쪽 가장자리를 갖고, 본체부(52)의 바닥판(58)에 마련한 마크(65)와 거의 동일한 안쪽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는 띠형상으로 이음매없이 형성되어 있고, 그의 안쪽 가장자리부의 내측에는 부상 배풍구(7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마모성이나 내슬라이드성을 얻기 위해, 시트재(71)의 외표면에 코팅처리를 실시하면 더욱 향상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 스커트부재(70)의 시트재(71)의 안쪽 가장자리부는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접힘부(73)을 형성하고, 그의 끝부를 용착, 봉착(74) 등에 의해 접합한 것으로서, 이것에 의해 시트재(71)의 안쪽 가장자리부를 무겁게 해서 후술하는 마루면으로의 당접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 도 5의 (b)는 상기 스커트부재(70)의 접힘부(73)내에 예를 들면 와이어와 같은 분동(73a)를 삽입해서 무겁게 하여 마루면에 대한 당접효과를 더욱 높인 것이다.
도 5의 (c)는 시트재(71)의 안쪽 가장자리부에 내마모성이 뛰어난 U자형상의 연질재(73b)를 부착해서 용착, 봉착(74) 등에 의해 일체로 접합한 것이다.
또, 도 5의 (d)는 적어도 시트재(71)의 안쪽 가장자리부 근방에 2매 이상의 시트재(71a), (71b)를 중첩시켜 용착, 봉착(74) 등에 의해 일체로 접합한 것이고, 이 경우 도 5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외측의 시트재(71a)를 내측의 시트재(71b)보다 길게 해서 접합하고, 외측의 시트재(71a)를 마루면에 당접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마루면의 오목볼록 등에 대해서 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재(71)의 안쪽 가장자리부는 상기와 같이 절곡시키는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로 구성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을 일괄해서 접힘부(73)이라고 한다.
(75)는 내형이 부상체(51)의 본체부(52)의 축소부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 스커트 고정기구로서, 내벽면에는 부상체(51)의 본체부(52)에 마련한 걸어맞춤 오목부(64)에 걸어맞추는 복수의 걸어맞춤 볼록부(또는 걸어맞춤 오목부, 이하 동일)(76)이 마련되어 있다. (77)은 앞면측에 마련한 휨부(범퍼)이다.
(79)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과 부상체(51)의 상부판(57) 사이에 형성된 배기실(78)내에 설치된 마루면상의 먼지 등을 포집하는 집진필터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각부로 이루어지는 부상장치(50)의 청소기본체(1)로의 부착수순의 일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부상체(51)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를 반대로 지그 등의 위에 탑재한다. 다음에, 스커트부재(70)을 부상체(51)의 바닥판(58)상에 탑재하고, 그 부상 배풍구(72)를 바닥판(58)에 마련한 마크(65)에 맞춘다.
이 상태에서, 스커트 고정기구(75)를 스커트부재(70)상에 씌우고, 부상체(51)의 본체부(52)와 스커트 고정기구(75) 사이에 스커트부재(70)의 시트재(71)을 끼운 상태에서 단부(53)에 당접할 때까지 압력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스커트 고정기구(75)의 내벽면에 마련한 걸어맞춤 볼록부(76)이 본체부(52)에 마련한 걸어맞춤 오목부(64)에 걸어맞춰지고, 부상체(51), 스커트부재(70) 및 스커트 고정기구(75)는 일체로 결합된다. 이 때, 스커트부재(70)의 시트재(71)의 안쪽 가장자리부의 근방은 부상체(51)의 바닥판(58)을 따라서 또한 바닥판(58)과 소정의 간극을 거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도 1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스커트부재(70)의 부상 배풍로(배풍구)(72)의 개구면적D는 시트재(71)의 절곡부(부상체(51)의 본체부(52)보다 내측 부분)의 면적E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이것보다 약간 크게 되도록 D≥E로 형성된다.
또, 부상체(51)의 바닥판(58)에 마련한 부상 배기취출구(63)은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와 대향해서 개구된다.
다음에, 부상체(51)의 상부판(57)상에 집진필터(79)를 배치하고, 부상체(51)의 단부(53)의 내측을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부상체(51)의 착탈손잡이(54) 및 걸어맞춤부재(55)에 마련한 걸어맞춤 볼록부(56)을 청소기본체(1)에 마련한 걸어맞춤 오목부(39)에 걸어맞추면 부상장치(50)은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와 일체로 결합된다. 이 때, 부상체(51)에 마련한 연통구(59)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에 마련한 바닥면판 배기구멍(24)와 연통하고, 또 바닥면판 배기구(25)는 바닥면판(6)과 부상체(51)의 상부판(57) 사이에 형성된 배기실(78)에 개구된다.
이상, 부상장치(50)의 청소기본체(1)로의 부착수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부상체(51)을 청소기본체(1)에 부착하고, 다음에 스커트부재(70), 스커트 고정기구(75)를 순차 부착하는 등 적절히 변경할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선단부에 직접 또는 파이프를 거쳐서 마루용 흡입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된 호스의 접속체(40)을 청소기본체(1)의 접속구(3)에 접속하고, 집진실(11)내에 배치된 집진체(12)에 그의 내관(41)을 삽입한다.
또, 코드릴(19)에서 코드를 인출해서 전원에 접속한다. 그리고, 호스 등에 마련한 전원스위치를 온(ON)해서 전동송풍기(15)를 구동시키면, 마루용 흡입기구에서 흡입된 먼지는 호스, 접속기구(40)을 거쳐서 집진체(12)에 포집되고, 공기는 주격벽(7)의 팬흡기구멍(8)에서 전동송풍기(15)로 유도되어(보내져) 전동송풍기(15)를 냉각시킨다.
전동송풍기(15)를 냉각시킨 공기는 소정의 압력(외기 PO보다 높은 PM)을 얻고 배출구(15a)에서 전동기실(14)로 배출되고, 그의 일부는 배기구멍(34)에서 코드릴실(18), 배기구멍(35), 상부 배기통로(23)을 거쳐서 뒷면판(4)에 마련한 본체배기구(30)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고, 그 동안에 코드릴(19)를 냉각시킨다. 또, 일부의 배기는 배기구멍(36)에서 제어실(32)로 보내져 제어부(33)을 냉각시키고 제어실 배기구(38)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배기는 전동기실(14)의 바닥판(13)에 마련한 전동기실 배기구멍(27)에서 연통구(59)를 거쳐서 배기균압실(61)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연통구(59)의 개구면적A와 배기균압실(61)의 둘레벽(60)의 상단부와 상부판(57) 사이의 간극g의 개구면적B는 A≥B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배기균압실(61)내로 유입된 풍속V, 압력PM의 배기는 풍속이 V에서 v로, 압력이 PM에서 p로 각각 저하하고, 배기균압실(61)내의 배기는 동압(動壓)에서 정압(靜壓)화되고, 균일화된다. 그리고, 간극g를 거쳐서 균압체(51)의 바닥판(58)에 마련한 복수의 부상 배기취출구(63)에서 배출되고 스커트부재(70)의 시트재(71)의 절곡부(이하,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라 한다)로 내뿜어진다.
이것에 의해,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는 강력한 배기압으로 마루면에 압압되어 기밀하게 유지되므로, 마루면과 균압체(51)의 바닥판(58) 사이에 형성된 부상공간(80)내에는 외기압PO보다 높은 압력PM의 배기가 충만된다. 이 결과,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를 제외한 부상장치(50) 및 이것에 결합된 청소기본체(1)(이하, 단지 청소기본체(1)이라 한다)이 마루면에서 대략 수평으로 부상한다. 이 때, 스커트부재(70)의 접힘부(73)은 마루면과 접촉하고 있다. 또한, 부상 배기취출구(63)을 외측을 향해서 경사지게 개구하면, 배기를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로 확실하게 내뿜어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마루면에 대한 밀착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전동송풍기(15)의 배기를 전동기실 배기구멍(27)에서 직접 마루면으 로 내뿜으면, 마루면상의 먼지가 날려 올라갈 뿐만 아니라 청소기본체(1)의 부상이 불균형을 이루게 되어 기울어지거나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송풍기(15)의 배기를 일단 배기균압실(61)로 배출시키고, 정압화된 배기를 배기균압실(61)의 주위에 마련한 부상 배기취출구(63)에서 마루면(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으로 불어 내보내도록 했으므로, 마루면상의 먼지가 날려 올라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청소기본체(1)을 대략 수평으로 균형좋게 부상시킬 수 있다.
한편, 부상공간(80)내의 배기는 복수의 부상 배기구(62)에서 배기실(78)로 보내져 먼지필터(79)에서 여과된 후, 그의 일부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에 마련한 바닥면판 배기구(25a)에서 후방부 배기풍로(22)를 거쳐서 본체 부상 배기구(29)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고, 또 상면판(9)에 마련한 배기구멍(37), 제어실(32)를 거쳐 제어실 배출구(38)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어 부상공간(80)내의 배기압PM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 집진필터(79)에 의해 여과된 배기실(78)내의 배기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에 마련한 바닥면판 배기구(25b)에서 집진 전실(11a), 접속기구(40)의 내관(41)과 외관(42) 사이를 거쳐 외관 배기구(45)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고, 또 내관(41)의 환류구(44)에서 내관(41)내로 유도되고, 흡인된 호스내의 공기와 함께 재차 집진체(12)내로 흡인되어 환류된다.
여기서, 부상공간(80)내의 배기를 접속체(40)에 마련한 환류구(44)에서 집진실(11)로 환류시키는 것에 의해, 부상공간(80)내의 배기를 확실하게 배기실(78)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부상공간(80)내의 배기가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와 마루면 사이에서 유출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실내에 먼지가 날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접속체(40)의 외관(42)를 외관 배기구(45)를 생략하고 호스를 거쳐서 마루용 흡입기구까지 연장시키고, 배기를 마루면으로 배출시켜 먼지와 함게 흡인시키고 집진실(11)로 환류시키도록 해도 좋다.
그러나, 청소할 마루면이 플로어링(flooring)인 경우에는 부상 배기취출구(63)에서 불어낸 배기는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를 마루면에 확실하게 밀착시켜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을 유지하고, 청소기본체(10)을 확실하게 부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 개폐밸브(28)에 의해 전동기실 배기구멍(27)의 개도(開度;열림정도)를 약간 작게 하고 하부 배기통로(20)의 통기구(20a)를 약간 개구해서 배기의 일부를 기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에 의해 청소기본체(1)의 부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 마루면이 융단인 경우에는 스커트부재(70)이 마루면에 밀착하기 어렵기 때문에 배기의 일부가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 아래에서 실내로 새어들어와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이 저하하여 청소기본체(1)이 충분히 부상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개폐밸브(28)에 의해 전동기실 배기구멍(27)의 개구면적을 크게 함과 동시에 하부 배기통기로(20)의 통기구(20a)의 개구면적을 작게하거나 또는 폐쇄해서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을 높이고,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를 융단에 압착시켜 실내로 새어 들어오는 배기를 차단하거나 또는 가능한 한 적게하는 것에 의해, 청소기본체(1)의 부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배기균압실(61)에서 부상 배기취출구(63)을 거쳐서 부상공간(80)내로 배기된 배기는 거의 동량의 배기가 부상 배기구(62), 배기실(78), 배기구(25) 등을 거쳐 기기 외부로 배출되고 또는 그의 일부를 환류시키도록 했으므로, 부상공간(80)내는 외기압PO보다 높은 거의 일정한 압력PM으로 유지되고, 청소기본체(1)의 부상을 거의 일정한 높이로 안정하게 해서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어 청소기본체(1)을 가볍고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스커트부재(70)의 부상 배풍로(72)의 개구면적D를 시트재(71)의 절곡부의 면적E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약간 크게 형성했으므로, 청소기본체(1)의 이동에 있어서 마루면에 대한 시트재(71)의 저항이 적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기본체(1)의 이동에 있어서는 스커트 고정기구(75)의 앞면측에 휨부(77)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문지방 등의 타고넘음이 용이하고, 또 청소기본체(1) 및 부상장치(50)을 장해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음에, 부상장치(50) 대신에 차륜에 의해 청소기본체(1)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 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있어서, (81)은 차륜부재로서,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후에 내벽면에 청소기본체(1)의 앞면판(2)와 뒷면판(4)에 마련한 걸어맞춤 오목부(39)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볼록부(85)(또는걸어맞춤 오목부, 이하 동일)를 갖는 걸림부재(83), (84)가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82)를 갖고, 이 베이스플레이트(82)의 후방부 양측에는 차륜(86)이 부착되고 전방부측의 중앙부에는 캐스터(87)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 것이다.
이 차륜부재(81)을 청소기본체(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청소기본체(1)에서 부상장치(50)을 분리하고, 차륜부재(81)의 베이스플레이트(82)를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에 당접시키고, 그 걸림부재(83), (84)의 걸어맞춤 볼록부(85)를 청소기본체(1)의 걸어맞춤 오목부(39)에 걸어맞추면 좋다.
본 예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서 청소기본체(1)에 부상장치(50) 또는 차륜부재(81)을 간단히 부착할 수 있고, 또 스커트부재(70)이 더러워지거나 파손되었을 때에는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한 전기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상장치(50)에 직접 차륜(86)이나 캐스터(87)을 마련하고, 전동송풍기(15)의 운전시에만 차륜(86)이나 캐스터(87)이 마루면에서 부상하도록 해도 좋다.
[실시예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예1과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1에 있어서의 배기풍로 및 전동송풍기의 구동전원을 변경한 것이다.
도 7에 있어서, (90)은 전동기실(14)의 격벽(16)의 후방부측에 마련한 충전지실로서, 충전지(91)이 설치되어 있다. (22)는 충전지실(90)의 격벽(17)과 뒷면판(4) 사이에 형성된 후방부 배기통로로서, 하부는 하부 배기통로(20) 및 바닥면판(6)에 마련한 바닥면판 배기구(25)를 거쳐서 배기실(78)과 연통하고 있고, 상부는 상면판(9)에 마련한 통기구(37a)를 거쳐서 제어실(32)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88)은 바닥면판 배기구(25)의 개도를 제어하는 제2 개폐밸브로서, 개페밸브(28)과 마찬가지로 스테핑모터 등에 의해 그의 개구면적이 제어되어 기기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량이 조절된다. (89)는 제어실(32)의 뒷벽에 마련한 충전지(91)의 충전용 전원의 접속부이다.
(40)은 호스의 한쪽 끝에 접속되어 청소기본체(1)의 앞면판(2)에 마련한 접속구(3)에 접속되는 접속체로서, 그의 선단부는 집진체(12)내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호스 등에 마련한 전원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충전지(91)에서 전동송풍기(15)로 통전되어 이것을 구동시키고, 실시예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마루면의 먼지를 흡인해서 집진체(12)내로 포집하고, 공기는 집진체(12)에 의해 여과되어 전동송풍기(15)로 흡인되어 이것을 냉각시킨다.
또, 전동송풍기(15)에서 배출된 배기를 부상장치(50)으로 배출해서 균압화하고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키는 작용도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부상공간(80)으로부터의 배기는 부상 배기구(62)에서 배기실(78)로 유입되어 집진필터(79)에 의해 여과된 후, 후방부측에 마련한 바닥면판 배기구(25)에서 후방부 배기통로(22)로 유도되고 뒷면판(4)에 마련한 본체 배기구(30)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상장치(50)을 차륜부재(81)과 교환하고, 차륜을 사용해서 청소기본체(1)을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고, 또는 차륜(86) 및 캐스터(87)을 청소기본체(1)의 하부에 마련하고 전동송풍기(15)의 운전시에만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예 1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사용시에 그 때마다 코드를 인출해서 상용전원에 접속할 필요가 없고, 또 상용전원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한 전기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충전지(91)의 충전상태를 예를 들면 청소기본체(1)이나 호스에 마련한 표시기에 의해 표시하도록 하고, 충전전기량이 저하했을 때에는 제어실(32)에 마련한 접속부(89)에 충전용 전원을 접속해서 충전시키면 좋다. 또한, 충전지(91)은 부상체(50)의 위쪽이면 청소기본체(1)의 어디에 수용해도 좋다.
[실시예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주요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한, 실시예 1 또는 2와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청소를 하는 마루면의 상태(플로어링, 융단, 다다미(속에 짚을 넣은 돗자리) 등)에 의해서 배기에 의한 스커트부재(70)의 마루면에 대한 밀착도가 다르기 때문에 부상공간(80)내의 배기압력이 상이하고, 예를 들면 마루면이 융단인 경우에는 털의 길이나 양에 따라 창소기본체(1)이 충분히 부상할 수 없는경우가 있다. 그래서, 개폐밸브(28)에 의해서 전동기실 배기구멍(27) 및 하부 배기통로(20)의 통기구(20a)의 개도를 조절해서 청소기본체(1)의 부상이 마루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부상공간(80)내를 항상 소정압으로 유지해서 청소기본체(1)을 소정의 높이로 부상시키고 또한 이 높이 위치에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도 8에 있어서, (92)는 배기실(78)내에 설치된 배기압센서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93)에 전원스위치SW, 배기압센서(92) 및 예를 들어 스테핑모터SM과 같은 구동수단(94)가 직렬로 접속되고, 또 전원(93)에는 전동송풍기(15) 및 제어부(33)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압센서(92)는 상시 배기실(78)내의 배기압을 검출해서 그 검출신호를 제어부(33)으로 송신한다.
마루면이 예를 들면 플로어링이고 배기실(78)내의 압력이 높을 때에는 제어부(33)은 구동수단(94)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개폐밸브(28)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고, 전동기실 배기구멍(27)의 개구면적을 작게함과 동시에 하부 배기통로(20)의 통기구(20a)를 일부 개구해서 일부의 배기를 하부 배기통로(20)에서 후방부 배기통로(22)를 거쳐서 기기 외부로 배출하고,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을 저하시켜 부상한 청소기본체(1)을 소정의 높이 위치에 유지한다.
또, 마루면이 예를 들면 융단이고 일부의 배기가 스커트부재(70)의 아래쪽에서 실내로 새어 들어오기 때문에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이 낮아 청소기본체(1)이 충분히 부상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33)은 배기실(78)내의 배기압센서(92)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구동수단(94)로 제어신호를 보내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밸브(2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전동기실 배기구멍(27)의 개구면적을 크게 함과 동시에 배기통로(20)의 통기구멍(20a)의 개구면적을 작게 하거나 또는 폐쇄해서 더욱 많은 배기를 배기균압실(61)로 보내고, 높은 압력의 배기를 부상 배기취출구(63)에서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로 내뿜어 절곡부를 마루면에 대해 압압하고,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을 상승시켜 청소기본체(1)을 소정 높이로 부상시킨다.
상기 설명에서는 배기압센서(92)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전동기실 배기구멍(27)에 마련한 개페밸브(28)을 제어하고, 전동기실, 배기실(27) 및 배기통로(20)의 배기구(20a)의 개도를 조정하고,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을 제어해서 청소기본체(1)을 거의 일정 높이 위치로 부상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개폐밸브(28)을 생략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압센서(92)의 검출신호를 받은 제어부(33)은 이것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동송풍기(15)로 보내고, 전동송풍기(15)의 출력을 제어해서 배기압을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설명에서는 배기압센서(92)를 배기실(78)내에 설치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배기센서(92)는 배기균압실(61)내 또는 부상공간(80)내 등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위치이면 다른 장소에 마련해도 좋다.
본 실시예예 의하면, 마루면의 상태에 대응해서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조정하고, 청소기본체(1)을 항상 거의 일정한 높이로 부상시키도록 했으므로,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전기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4]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예 1 또는 2와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있어서, (51a)는 실시예 1, 2에서 설명한 부상장치(50)의 부상체(51)과 거의 동일한 구조의 부상체로서,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과 부상체(51a)의 상부판(57) 사이에는 배기실(78)이 형성되고, 상부판(57)과 바닥판(58) 사이에는 배기균압실(61)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면판(6)과 상부판(57) 사이에는 격벽(7)의 근방에 있어서 전동기실(14)와 배기균압실(61)을 연통시키는 연통구(59)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부상체(51a)에는 실시예1,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커트 고정기구(75)에 의해 스커트부재(70)이 장착되고 이들에 의해 부상장치(50)을 구성하고 있다.
(40)은 앞면판(2)에 마련한 접속구(3)에 접속된 호스의 접속체로서, 집진체(12)내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앞면판(2)에는 복수의 전방부 배기구(2a)가 마련되어 있다. (86)은 청소기본체(1)의 후방부 양측에 마련한 차륜, (31a)는 제어실(32)에 마련한 본체 핸들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기실(14)내의 배기는 연통구(59)에서 배기균압실(61)내로 배출되어 균압화되고, 부상 배기취출구(63)에서 불어 내보내어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를 마루면에 압착시키고 부상공간(80)내에 배기를 충만시켜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킨다.
그리고, 부상공간(80)내의 배기는 부상체(51a)의 후방부측에 마련한 부상 배기구(62)에서 배기실(78)내로 유입되고,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의 전방부측에 마련한 바닥면판 배기구(25)에서 집진 전실(11a)를 거쳐 전방부 배기구(2a)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앞면판(2)에 마련한 전방부 배기구(2a)에서 배기를 배출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 전방부 배기구(2a)를 생략하고 부상 배기구(62)를 부상체(51a)의 전방부측에 마련함과 동시에 바닥면판 배기구(25)를 바닥면판(6)의 후방부측에 마련하고 배기를 뒷면판(4)에 마련한 본체배기구(30)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상체(51a)를 청소기본체(1)과 일체로 구성했으므로, 부상장치(50)의 세트가 용이하다. 또, 청소기본체(1)의 후방부측에 차륜(86)을 마련했으므로, 청소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호스에 의해 청소기본체(1)의 전방부측을 들어올려 끌면 차륜(86)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당연히 청소기본체(1)의 부상시에는 차륜(86)은 마루면과 비접촉이다.
[실시예 5]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예 1∼4와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51a)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된 부상체로서,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과 상부체(51a)의 상부판(57) 사이에는배기실(78)이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벽에는 복수의 부상체 배기구(30a)가 마련되어 있다.
또, 상부판(57)의 하부에는 바닥판(58)이 마련되고 상부판(57)과의 사이에 배기통기로(61a)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58)의 외주에는 경사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복수의 부상 배기취출구(63)이 마련되어 있다. (62)는 부상체(51a)의 둘레벽의 근방에 있어서 상부판(57)에 마련된 복수의 부상 배기구이다.
그리고, 부상체(51a)의 둘레벽에는 청소기본체(1)의 둘레벽에 고정된 스커트 고정기구(75)에 의해 스커트부재(7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75a)는 스커트 고정기구(75)에 배기실(78)에 마련한 부상체 배기구(30a)에 대응해서 마련된 복수의 스커트 고정기구 배기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송풍기(15)로부터의 배기는 연통구(59)에서 배기통기로(61a)내로 배출되고 부상 배기취출구(63)에서 불어 내보내져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를 마루면에 압착시키고, 외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배기를 부상공간(80)내에 충만시켜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킨다.
그리고, 부상공간(80)내의 배기는 상부판(57)에 마련한 부상 배기구(62)에서 배기실(78)내로 유입되고, 부상체 배기구(30a), 스커트 고정기구 배출구(75a)를 거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어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상체(51a)를 청소기본체(1)과 일체로 구성했으므로, 부상장치(50)의 세트가 용이하다.
[실시예 6]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예 1∼5와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51a)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에 일체로 또한 그의 둘레벽이 청소기본체(1)의 둘레벽보다 약간 내측에 위치해서 마련된 부상체로서,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의 아래쪽에는 중앙에서 외주를 향해서 상측으로 만곡되고 둘레벽이 경사방향 외측을 향해서 형성된 바닥판(58)이 마련되어 있고,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과의 사이에 배기균압실(6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둘레벽과 부상체(51a)의 둘레벽 사이에는 경사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복수의 부상 배기취출구(63)이 마련되어 있다.
(61b)는 부상체(51a)의 둘레벽의 상하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뻗어 나온) 대략 역 L자형상의 제2 둘레벽으로서, 그의 수평부에는 부상공간(80)과 연통하는 복수의 부상 배기구(6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스커트부재(70)은 복수의 스커트부재 배기구(75a)를 갖고, 청소기본체(1)에 고정되는 스커트 고정기구(75)에 의해 제2 둘레벽(61b)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송풍기(15)로부터의 배기는 연통구(59)에서 배기균압실(61)내로 배출되어 균압화되고, 부상 배기취출구(63)에서 취출되어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를 마루면에 압착시키고 외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배기를 부상공간(80)내에 충만시켜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킨다.
그리고, 부상공간(80)내의 배기는 제2 둘레벽(61b)에 마련한 부상배기구(62) 및 스커트 고정기구(75)에 마련한 스커트 고정기구 배출구(75a)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어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상체(51a)를 청소기본체(1)과 일체로 구성했으므로, 부상장치(50)의 세트가 용이하다.
[실시예 7]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예 1∼6과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상장치(50)의 부상체(51a)를 청소기본체(1) 하부에 이것과 일체로 구성하고, 그 바닥면판(6)과 바닥판(58) 사이에 배기통기로(61a)를 형성하고, 그의 외주에 복수의 부상 배기취출구(63)을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배기통기로(61a)의 외주에 마련한 부상 배기구(62)의 상부에 있어서 부상체(51a)의 둘레벽에 부상체 배기구(30a)를 마련하고 스커트 고정기구(75)에 마련한 스커트 고정기구 배기구(75a)와 연통시킨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기실(14)로부터의 배기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에 마련한 바닥면판 배기구(24)에서 배기통기로(61a)로 배출되고, 풍속V, 압력PM을 약간 저하시켜 부상 배기취출구(63)에서 불어 내보내어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를 마루면에 압착시키고, 외기보다 높은 압력의 배기를 부상공간(80)내에 충만시켜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킨다.
그리고, 부상공간(80)내의 배기는 부상 배기구(62)에서 부상체 배기구(30a) 및 스커트 고정기구 배기구(75a)를 거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어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상체(51a)를 청소기본체(1)과 일체로 구성하고 또한 전동기실(14)내의 배기를 배기통로(61a)를 거쳐서 직접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로 내뿜도록 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부상장치(50)의 세트도 용이하다.
[실시예8]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예 1∼7과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있어서, (15)는 전동기실(14)내에 수용된 전동송풍기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송풍기(15)는 모터(95), 이 모터(95)에 의해 구동되어 마루면의 먼지 등을 흡인하는 흡진팬(96) 및 모터(95)를 냉각시키는 냉각팬(97)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흡진팬(96)은 청소기본체(1)의 주격벽(7)에 마련하여 팬흡기구멍(8)의 후방부측에 설치된 흡진팬 케이싱(98)내에 수용되고, 또 냉각팬(97)은 모터(95)와 일체로 마련된 냉각팬 케이싱(99)내에 수용되어 있고, 냉각팬(97) 및 흡진팬(96)은 모터(95)의 출력축에 부착되어 있다. (100)은 흡진팬 케이싱(98)의 외주벽에 마련한 복수의 배기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스위치를 온해서 모터(95)를구동시키면, 흡진팬(96) 및 냉각팬(97)이 동시에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마루면상의 먼지 등은 마루용 흡입기구에서 흡인되고 호스를 거쳐서 집진체(12)내로 집진되고, 승압된 공기는 집진체(12)에 의해 여과되어 흡진팬 케이싱(98)내로 흡인된다. 그리고, 배기구(100)에서 배기되고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에 마련한 마루면판 배기구멍(24)에서 배기통기로(61a)를 거쳐서 부상 배기취출구(63)에서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를 향해서 불어 내보내지고, 절곡부를 마루면에 압착해서 부상공간(80)내에 충만된다. 이것에 의해, 청소기본체(1)은 대략 수평으로 부상한다.
그리고, 부상공간(80)내의 배기는 복수의 부상 배기구(62)에서 바닥면판 배기구(25)를 거쳐서 후방부 배기풍로(22)에서 필터(22a)를 거쳐 본체 배기구(30)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또, 바닥면판 배기구(25)에서 집진 전실(11a)를 거쳐 앞면판 배기구(2a)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어 부상공간(80)내의 압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다.
한편, 전동기실(14)에는 냉각팬(97)의 회전에 의해서 제어실 흡기구(38a), 제어실(32)를 거쳐서 전동기실 흡기구(36a)에서 흡인된 외기가 유입되고, 이 외기에 의해서 모터(95)가 냉각되고, 그 배기는 모터배기구(95a)에서 격벽(17)의 배기구(35)를 거쳐서 후방부 배기풍로(22)로 유입되고 필터(22a)를 거쳐서 본체 배기구(30)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흡진팬(96)과 냉각팬(97)을 갖는 전동송풍기(15)를 마련하고,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키는 배기는 흡진팬(96)의 배기를 이용하고,모터(95)는 냉각팬(97)에 의해서 유입된 외기에 의해서 냉각시키도록 했으므로, 고온의 배기가 부상공간(80)에 충만되는 일이 없고, 이 때문에 스커트부재(70)이 고온에 의해서 열화하거나 마루면이 변형되거나 변색될 우려가 없다. 또, 부상공간(80)으로부터의 배기를 후방부 배기풍로(22)내로 유입시키면, 모터(95)를 냉각시킨 배기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실시예 9]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예 1∼8과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있어서, (15)는 전동기실(14)내에 수용된 전동송풍기로서, 모터(95)의 앞면측에는 팬(101)이 마련되어 있다. (102)는 앞벽의 중심부에 흡기구를 갖고 팬(101)이 수용된 팬 케이싱으로서, 뒷벽의 내측에 격벽(103)이 마련되어 있고, 격벽(103)의 전방부측의 둘레벽에는 복수의 배기구(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 격벽(103)의 외주에는 복수의 분류배기구(105)가 마련되어 있고, 뒷벽의 중심부에는 모터(95)에 개구되는 통기구멍(10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팬(101)에 의해서 집진실(11)에서 흡인된 배기는 흡기구에서 팬 케이싱(102)내로 유도되고, 배기구(104)에서 바닥면 배기구멍(24), 연통구(59)를 거쳐서 배기균압실(61)로 유입되고, 배기균압실(61)에서 균압화된 후 부상 배기취출구(63)에서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 및 마루면을 향해서 불어 내보내지고, 부상공간(80)에 충만되어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킨다.
그리고, 부상공간(8)내의 배기는 부상 배기구(62), 배기실(78)을 거쳐서 바닥면판 배기구(25)에서 집진 전실(11a)로 보내지고, 2중관으로 이루어지는 접속체(40)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마루용 흡입기구를 거쳐 순환하여 부상공간(80)내의 배기압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다.
한편, 팬 케이싱(102)내의 배기의 일부는 격벽(103)에 마련한 분류배기구(105)를 거쳐 통기구(106)에서 모터(95)내에 페치되고, 모터(95)를 냉각시킨 후 모터배기구(95a)에서 전동기실(14)내로 배기되고, 배기구(34), 코드릴실(18)을 거쳐 필터(22a)에 의해 여과되고, 본체 배기구(30)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그 동안에 코드릴(19)를 냉각시킨다.
또한, 청소기본체(1)의 부상용 배기는 청소기본체(1)이 마루면에서 부상하는데 필요한 배기량을 확보하면 좋으므로, 예를 들면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상공간(80)내의 배기압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기압센서를 마련함과 동시에 바닥면판 배기구멍(24)에 개폐밸브를 마련하고 배기압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개폐밸브를 제어하고, 바닥면판 배기구멍(24)의 개구면적을 조정해서 부상에 필요한 배기량을 확보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팬(101)에 의해서 흡인된 집진실(11)로부터의 배기는 팬 케이싱(102)내에서 청소기본체(1)의 부상용 배기와 모터(95)의 냉각용 배기로 분류된다. 그리고, 청소기본체(1)의 부상용 배기는 모터(95)를 냉각시키지 않으므로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이 때문에 스커트부재(70)이 열화하거나 마루면이 뜨거워져 변형이나 변색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또 마루용 흡입구기구를 경유해서 반복해서 순환시켜도 배기온도가 상승하는 일은 없다. 또한, 부상공간(80)으로부터의 배기를 본체 배기구(30)에서 배출시키도록 하면, 실시예 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기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실시예 10]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예 1∼9와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청소기본체(1)의 주격벽(7)과 격벽(17) 사이에 전동기실(14)가 형성되고, 격벽(17)과 뒷면판(4) 사이에 하부 배기통로(20)과 연통하는 후방부 배기통로(2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기실(14)에는 실시예 9의 전동송풍기(15)와 마찬가지의 모터(95)와 팬(101)로 이루어지는 전동송풍기(15)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95)의 하부의 바닥판(13)에는 하부 배기통로(20)과 연통하는 복수의 배기구멍(35)가 마련되어 있다.
(107)은 복수의 통기구멍(108)을 갖고 집진실(1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간막이판으로서, 이 간막이판(107)과 바닥면판(6) 사이에는 충전지실(90)이 마련되어 있고, 충전지(91)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충전지(90)이 수명에 도달했을 때에는 개폐뚜껑(10)을 개방하고, 집진실(11)에서 손을 집어넣어 간막이판(107)을 빼내고 새로운 충전지(90)과 교환하면 좋다.
(51b)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에 그의 둘레벽보다 약간 내측에 있어서 청소기본체(1)에 일체로 형성된 부상체 둘레벽, (58)은 대략 접시형상의 바닥판으로서 부상체 둘레벽(51b)의 내벽에 예를 들면 볼록부와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바닥부에는 복수의 부상 배기취출구(6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부상체 둘레별(51b)의 외주에는 스커트 고정기구(75)에 의해 스커트부재(7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57)은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과 바닥판(58) 사이에 있어서 통기구(59)의 선단부 외주에 마련된 상부판으로서, 그의 외주와 바닥판(58) 사이에는 복수의 배기구(61a)가 마련되어 있고, 또 상부판(57)과 바닥면판(6) 사이에는 배기실(78)이 형성되고, 상부판(57)과 바닥판(58) 사이에는 배기균압실(61)이 형성되어 있다.
(25a)는 바닥면판(6)에 마련되고 배기실(78)과 하부 배기통로(20)을 연통시키는 바닥면판 배기구, (25b)는 충전지실(90)의 앞면측에 있어서 바닥면판(6)에 마련된 바닥면판 배기구로서, 배기실(78)과 전방부측의 하부 배기통로(20)을 연통시킨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충전지(91)에서 전동송풍기(15)로의 통전, 충전지(91)의 충전 등은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전동송풍기(15)에 의해서 집진실(11)에서 흡인된 배기는 팬케이싱(102)내로 유도되고, 배기구(104)에서 바닥면판 배기구(24), 연통구(59)를 거쳐서 배기균압실(61)로 유입되고, 배기균압실(61)에서 균압화된 후 부상 배기 취출구(63)에서 스커트부재(70)의 절곡부를 향해서 불어 내보내지고, 절곡부를 마루면(도면에는 융단이 도시되어 있다)에 압착해서 정압화된 배기를 부상공간(80)에 충만시켜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킨다.
또, 배기균압실(61)에서 균압화된 배기의 일부는 배기구(61a)에서 배기실(78)로 유입되고, 바닥면판 배기구(25a), (25b)에서 하부 배기통로(20)을 거쳐서 본체 배기구(30) 및 상부 배기구(2a)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고 배기균압실(61)내, 따라서 부상공간(80)내의 배기압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이 때, 집진실(11)내의 배기의 일부는 간막이판(107)에 마련한 통기구(108)에서 충전지실(90)으로 유입되고, 충전지(91)을 냉각시켜 재차 통기구(108)에서 집진실(11)로 되돌아가 전동송풍기(15)로 흡인된다.
한편, 팬케이싱(102)내의 배기의 일부는 모터(95)내에 페치되고, 모터(95)를 냉각시킨 후 모터 배기구(5a)에서 전동기실(14)내로 배기되고, 배기구멍(35), 하부 배기통로(20), 후방부 배기통로(22)를 거쳐서 필터(22a)에 의해 여과되어 본체 배기구(30)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예 9의 경우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지만, 또 충전지(91)을 집진실(11)의 아래쪽에 마련했으므로, 전동송풍기(15)와의 중량 밸런스(균형)가 좋아 청소기 본체(1)의 부상이 안정하게 된다.
또, 충전지(91)을 전동송풍기(15)의 상류측에 마련하여 공냉하도록 했으므로 공냉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충전지(9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기균압실(61)은 다른 실시예에도 실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실시예 10과 동일한 부분에는 이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실시예 10과 거의 마찬가지이지만,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에는 연통구(59)의 주변에 복수의 바닥면판 배기구(25)가 마련되어 있고, 또 하부 배기통로(20)의 집진실(11)의 하부에는 충전지(91)이 수용되어 있다.
또, 부상장치(50)에 있어서는 상부판(57)을 작게 형성하고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판(6)과 바닥판(58) 사이에 배기균압실(61)을 형성하고 있지만,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커트부재(70)의 바닥부에 마련한 부상 배풍로(72)를 다수의 소공으로 형성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커트부재(70)의 부상 배풍로(72)보다 약간 크게 다수의 소공(111)을 갖는 망형상의 부재(110)을 부상 배풍로(72)의 내측 또는 외측의 외주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해서 부상 배풍로(72a)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커트부재(70)에 큰 부상 배풍로(72)를 마련하지 않고 스커트부재(70)의 바닥부의 부상 배풍로(72)와 거의 대응하는 영역에 다수의 소공(111)로 이루어지는 부상 배풍로(72a)를 마련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작용은 실시예 10과 거의 마찬가지이며, 전동송풍기(15)의 배기구(104)에서 배기된 배기는 연통구(59)에서 배기균압실(61)로 유입되고, 여기에서 균압화되어 부상 배기 취출구(63)에서 스커트부재(70)을 향해서 불어 내보내지고, 부상공간(80)에 배기를 충만시켜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킨다. 또, 바닥면판 배기구(25)에서 하부 배기통로(20)으로 유입된 배기는 전후로 분리되어 흐르고, 일부는 본체배기구(30)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충전지(91)을 냉각시키고 전방부 배기구(2a)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또, 부상한 청소기본체(1)을 이동시키는데 있어서는 스커트부재(70)의 바닥부가 다수의 소공(111)(또는 메시)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해물이 부상공간(80)내로 침입하기 어려우므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 관한 스커트부재(7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효과는 실시예 10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이지만, 부상장치(50)의 스커트부재(70)의 바닥부에 다수의 소공(111)을 마련했으므로 부상시에 부상공간(80)내로 장해물이 침입할 우려가 없어 청소기본체(1)의 이동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12]
도 22는 본 실시예 2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 양측에 차륜(86)이 마련되고, 전방부 중앙부에 캐스터(87)이 부착된 청소기본체(1)에 있어서, 그의 바닥부의 차륜(86)과 캐스터(87)(이하, 양자를 일괄해서 차륜(86), (87)이라고 한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부상장치(50)을 마련한 것이다. 또한, 부상장치(50)의 위쪽에는 부품으로서 무거운 전동송풍기나 코드릴 또는 충전지 등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시(전원 스위치가 오프(OFF)인 상태)는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을 차륜(86), (87)에 의해마루면상을 이동시키고, 청소를 실행할 때 전원스위치를 온(ON)으로 하면,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상장치(50)이 작동해서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키고 마루면상을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때 부상장치(50)은 차륜(86), (87)이 마루면에서 떨어져 있는 높이까지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킨다.
본 실시예는 청소기본체(1)에 차륜(86), (87)과 부상장치(50)의 양자를 마련했으므로, 청소를 시작하기 전 및 청소를 개시하고 나서 청소기본체(1)을 가볍게 편안히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전기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에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상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23의 예는 부상장치(50)을 구성하는 부상체(51)의 부상 배기 취출구(63)을 청소기본체(1)의 중심위치의 주위에 복수개 마련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마루면이 경사면 등에서 중심위치가 변화해도 청소기본체(1)은 안정한 부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4의 예는 스커트 고정기구(75)를 하부가 개구된 대략 ヨ형상으로 형성해서 외주측에 외부 스커트(70a)를 부착함과 동시에 상부에 복수개의 보조배기구(75b)를 마련하고, 부상체(51)과의 사이에 스커트부재(70)을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내측의 스커트부재(70)과 마루면 사이에서 배기가 누설된 경우에는 이 배기는 스커트부재(70)과 외부 스커트(70a) 사이를 통해서 보조배출구(75b)에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고, 마루면을 따라서 기기 외부로 배출되는 일이 없으므로 마루면의 먼지가 날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의 예는 스커트부재(70)을 거의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의 하단부에 예를 들면 금속부재나 자석, 와이어 등의 스커트부재(70)보다 비중이 높은 분동(73a)를 부착하는 것 등에 의해 하단부를 무겁게 구성하고, 스커트 부착기구(75)에 의해서 부상체(51)에 매달아서 부착하고, 청소기본체(1)이 부상했을 때에도 스커트부재(70)의 하단부가 항상 마루면과 당접해서 부상공간(80)내를 거의 기밀하게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경우, 부상 배기취출구(63)으로부터의 배기는 스커트부재(70)의 내면으로 내뿜어지므로, 마루면의 먼지를 직접 날려 올리는 일 없이 스커트부재(70)을 풍압에 의해 확실하게 마루면에 압압한다. 당연히 마루면과의 실효과가 향상한다.
본 예에 의하면, 스커트부재(70)의 부상체(51)로의 착탈이 용이하고, 특히 분동(73a)가 없는 경우에도 배기압에 의해 스커트부재(70)이 확실하게 마루면에 압접되어 그의 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청소기본체(1)을 안정하게 부상시킬 수 있다.
도 16의 예는 예를 들면 실시예 10(도 18)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바닥판(58)의 바닥부의 외주에 있어서 부상 배기취출구(63)에 대해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복수의 리브(112)를 마련하고, 비통전시에 있어서도 스커트부재(70)과 바닥판(58) 사이에 항상 일정한 간극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통전시에 부상공간(80)내로 원활하게 배기가 도입되어 단시간에 또한 안정하게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실시예를 조합 또는 일부를 편성해 넣는 것 등에 의해 절적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기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전송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청소기본체를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장치를 구비하고, 부상장치를 상부에 전동기실과 연통하는 연통구를 갖고 하부에 복수의 부상 배기취출구, 배기를 저장하는 배기균압실 및 복수의 부상 배기구가 마련된 부상체와; 부상체의 주위에 한쪽끝이 마루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된 스커트부재에 의해 구성했으므로, 청소기본체를 거의 일정한 높이로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청소기본체를 가볍고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기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청소기본체를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장치를 구비하고, 부상장치를 상부에 전동기실과 연통하는 연통구를 갖고 하부에 복수의 부상 배기취출구, 배기를 저장하는 배기균압실 및 복수의 부상 배기구가 마련된 부상체와; 이 부상체에 부착되고 중앙에 부상 배풍구를 갖고 부상 배기취출구를 아래쪽에서 막도록 덮는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스커트부재에 의해서 구성했으므로,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기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청소기본체를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장치를 구비하고, 전동송풍기를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팬에 의해서 구성하고, 팬의 배기를 부상장치로 배출함과 동시에 배기의 일부를 상기 모터의 냉각용으로서 분류하도록 했으므로, 청소기본체의 부상용 배기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이 때문에 스커트부재의 열화나 마루면의 변형, 변색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또 마루용 흡입기구를 경유하여 반복해서 순환시켜도 배기온도가 상승하는 일은 없다.
상기 전동송풍기를 모터, 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흡진팬 및 냉각팬으로 구성하고 집진팬의 배기를 부상장치로 배출하도록 했으므로, 청소기본체의 부상용 배기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이 때문에 스커트부재의 열화나 마루면의 변형, 변색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또 마루용 흡입기구를 경유하여 반복해서 배기를 순환시켜도 배기온도가 상승하는 일은 없다.
상기 스커트부재의 부상 배풍구의 개구면적을 스커트부재의 절곡부의 면적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이것보다 크게 형성했으므로, 부상한 청소기본체를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마루면과의 저항이 적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커트부재의 하단부를 적어도 2중 구조로 했으므로, 마루면과의 접촉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동시에 마루면과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한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스커트부재의 대략 중앙부에 다수의 부상 배풍구를 마련했으므로, 부상시에 부상공간내로 장해물이 침입할 우려가 없어 청소기본체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부상장치내에 배기 압력을 검출하는 배기압 센서를 마련하고, 이 배기압 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부상장치로 유입되는 배기량을 제어하도록 했으므로, 유입배기량이 자동적으로 조정되어 청소기본체의 부상을 항상 거의 일정한 높이위치에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부상장치로부터의 배기를 전동송풍기의 모터를 냉각시킨 배기와 합류시키도록 했으므로, 기기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부상장치를 청소기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했으므로, 스커트부재 및 그 밖의 부재의 변환이 용이하다.
또, 부상장치의 부상체를 청소기본체와 일체로 구성했으므로, 부상장치의 세트가 용이하다.
상기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전동송풍기를 구동하는 충전지를 집진실 또는 그의 하부에 수용했으므로, 전동송풍기와의 중량 밸러스가 좋아 청소기본체를 안정하게 부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부상 배기취출구의 근방에 스커트부재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리브를 마련했으므로, 비통전시에 있어서도 스커트부재와 바닥판 사이에 항상 일정한 간극을 형성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통전시에 부상공간으로 원활하게 배기가 도입되어 단시간에 또한 안정하게 청소기본체를 부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기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상기 청소기본체를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부상장치를
    상부에 상기 전동기실과 연통하는 연통구를 갖고 하부에 복수의 부상배기 취출구, 상기 배기를 저장하는 배기 균압실 및 복수의 부상 배기구가 마련된 부상체와;
    이 부상체의 주위에 한쪽끝이 마루면과 접촉하도록 절곡부가 마련된 스커트부재에 의해서 구성하고,
    상기 스커트부재는 연질재로서 내마모처리를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기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상기 청소기본체를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부상장치를
    상부에 상기 전동기실과 연통하는 연통구를 갖고 하부에 복수의 부상배기 취출구, 상기 배기를 저장하는 배기 균압실 및 복수의 부상 배기구가 마련된 부상체와;
    이 부상체에 부착되고 중앙에 부상 배풍구를 갖고 상기 부상배기 취출구를 아래쪽에서 막도록 덮는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스커트부재에 의해서 구성하고,
    상기 부상배기 취출구로부터의 상기 배기에 의해 상기 스커트부재를 마루면측으로 펴서 넓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기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이 청소기본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상기 청소기본체를 마루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송풍기를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팬에 의해서 구성하고, 이 팬의 배기를 상기 부상장치로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의 일부를 상기 모터의 냉각용으로서 분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2001-0018167A 2000-11-16 2001-04-06 전기청소기 KR100408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48990 2000-11-16
JP2000348990 2000-11-16
JP2000-390399 2000-12-22
JP2000390399A JP3890889B2 (ja) 2000-11-16 2000-12-22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450A KR20020038450A (ko) 2002-05-23
KR100408356B1 true KR100408356B1 (ko) 2003-12-06

Family

ID=2660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167A KR100408356B1 (ko) 2000-11-16 2001-04-06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90889B2 (ko)
KR (1) KR100408356B1 (ko)
CN (1) CN121581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5449B2 (en) 2003-12-24 2009-01-13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Vacuum cleaner
JP5894896B2 (ja) * 2012-09-28 2016-03-3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837731B2 (ja) * 2014-04-28 2021-03-03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集塵機
JP6378984B2 (ja) * 2014-09-09 2018-08-22 シャープ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CN105193349B (zh) * 2015-10-12 2018-07-13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及其电机组件
CN105231958B (zh) * 2015-11-12 2017-11-14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CN106618376A (zh) * 2017-02-27 2017-05-10 袁泽天 一种智能除螨吸尘器
CN106859487A (zh) * 2017-02-27 2017-06-20 袁泽天 一种智能除螨吸尘器
CN111021297B (zh) * 2019-10-14 2021-12-24 长沙中联重科环境产业有限公司 垃圾抽吸系统及具有其的扫路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5813C (zh) 2005-08-24
JP3890889B2 (ja) 2007-03-07
CN1353968A (zh) 2002-06-19
KR20020038450A (ko) 2002-05-23
JP2002209806A (ja) 200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7164B2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CN108309143B (zh) 移动清洁机器人清洁头
US20150250371A1 (en) Robot cleaner, automatic exhaust station and robot cleaner system having the same
KR100408356B1 (ko) 전기청소기
US20230099702A1 (en) Debris bin assembly, cleaning robot and system thereof
US20060021185A1 (en) Intake nozzl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JP3849747B2 (ja) 電気掃除機
KR100403031B1 (ko) 전기청소기
JP3766921B2 (ja) 電気掃除機
JP2003079542A (ja) 電気掃除機
CN220024909U (zh) 一种清洁设备
CN220192915U (zh) 水气分离器及清洁设备
CN220024910U (zh) 一种清洁设备
US20240000277A1 (en) Ground Cleaning Device
JP3482137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H11187992A (ja) 電気掃除機
JP3468396B2 (ja) 電気掃除機
JP3788565B2 (ja) 電気掃除機
KR100553166B1 (ko) 충전식 진공탱크를 구비한 청소기
KR20240009277A (ko) 청소기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JP3828696B2 (ja) 電気掃除機
JP2002272650A (ja) 電気掃除機
KR20220142911A (ko) 집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스테이션
KR20220077758A (ko)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JP2001231724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