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031B1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031B1
KR100403031B1 KR10-2001-0006684A KR20010006684A KR100403031B1 KR 100403031 B1 KR100403031 B1 KR 100403031B1 KR 20010006684 A KR20010006684 A KR 20010006684A KR 100403031 B1 KR100403031 B1 KR 100403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exhaust
main body
cleaning
electric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131A (ko
Inventor
고이케도시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Landscapes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전기청소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청소기본체를 청소면에서 부상시켜 사용하고 있을 때, 흡인공기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극단적으로 감소하더라도 청소기본체의 부상을 유지해서 사용할 수 있고 또 상용흡입기구에 의해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흡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집진실과 전동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본체; 청소기본체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청소기본체를 청소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부재 및; 전동송풍기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전동송풍기의 배기상태에 따라서 외기를 청소기본체내로 도입하는 개폐밸브를 갖는 부상보조부재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배기량이 감소하고 청소기본체내의 압력이 감소한 경우라도 개폐밸브에서 외기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부상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부상상태를 검지하고 부상상태에 따라서 부상보조부재로부터의 외기도입을 제어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24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6-133900호에 개시된 종래의 전기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00)은 청소기본체로서 집진실(101)과 전동송풍기(102)를 내장하고 있다. (103)은 집진실(101)의 앞쪽에 착탈 자유롭게(가능하게) 장착된 호스로서, 그의 선단측에 마루용 흡입기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104)는 전동송풍기(102) 근방에 형성된 제1 배기구, (105)는 제1 배기구(104)를 덮도록 청소기본체(100)의 바닥부(100A)에 형성된 제1 확장부(스커트), (106)은 제1 확장부(105)의 외주에 마련된 제2 확장부, (107)은 제1 확장부(105)와 제2 확장부(106) 사이의 바닥부(100A)에 마련된 복수의 제2 배기구, (108)은 청소기본체(100)의 뒷면에 형성된 배출구이다. 또, X는 청소면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전기청소기는 전동송풍기(102)로부터의 배기는 청소면X와 직접 충돌해서 그의 배기압에 의해 청소기본체(100)을 청소면X에서 부상시킨다. 그 후, 배기는 제1 확장부(105)와 제2 확장부(106) 사이로 유입하고 제2 배기구(107)을 통과해서 배출구(108)에서 청소기본체(100)밖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동송풍기(102)를 운전하는 것에 의해, 배기압에 의해서 청소기본체(100)이 청소면X에서 부상하기 때문에, 청소면X와 청소기본체(100)의 마찰저항이 감소하여 청소기본체(100)을 끌고 다니는 노력이 적어 조작이 편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기청소기는 사용중에 있어서 마루용 흡입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청소면X에 의해 막히거나 흡입호스(103)에 물건이 끼이거나 또 집진실(101)이 먼지로 가득차게 되면, 전동송풍기(102)로부터의 배기량이 극단적으로 감소하여 청소기본체(100)이 청소면X에서 부상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소기본체를 청소면에서 부상시켜 사용하고 있을 때, 흡인공기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극단적으로 감소하더라도 청소기본체의 부상을 유지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루용 흡입기구에 의해 먼지를 효율좋게 흡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부상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부상보조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부상보조기구의 동작시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부상부재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부상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청소기본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부상보조기구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부상보조기구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일부 절단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를 도시한 저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7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전동송풍기를 도시한 일부 절단 측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부상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8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8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전기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4는 종래의 전기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집진실과 전동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본체; 상기 청소기본체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상기 청소기본체를 청소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부재 및; 상기 전동송풍기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상태에 따라서 외기를 상기 청소기본체내로 도입하는 개폐밸브를 갖는 부상보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부상보조부재를 상기 전동송풍기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집진실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량에 따라서 상기 개폐밸브를 개폐조작하는 부상력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집진실과 흡진용 팬 및 자체냉각용 팬을갖는 전동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본체 및; 상기 청소기본체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상기 흡진용 팬의 배기에 의해 상기 청소기본체를 청소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체냉각용 팬의 배기는 상기 부상부재내 또는 상류측에서 상기 흡진용 팬의 배기와 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흡진용 팬의 배기량이 감소한 경우, 자체냉각용 팬의 배기를 상기 흡진용 팬의 배기와 합류시키는 개폐체를 부상부재내 또는 상류측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흡진용 팬, 자체냉각용 팬 및 모터를 갖는 전동송풍기; 집진용 공기흡입기구; 집진실 및; 상기 전동송풍기의 하류에 마련되어 청소기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용 공기흡입구, 집진실 및 흡진용 팬을 통과한 공기를 재차 상기 집진용 공기흡입구로 순환시키는 순환풍로를 마련하고, 상기 자체냉각용 팬 및 모터를 수납하는 수납실을 상기 개구와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집진용 공기흡입구로 먼지(진애)를 효율좋게 흡인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실시예]
<실시예1>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전기청소기 전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청소기본체의 단면도, 도 3은 저면도, 도 4는 부상부재의 평면도, 도 5는 부상보조기구의 단면도, 도 6은 부상보조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부상부재의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청소기본체에서부상보조기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청소기본체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청소기본체로서, 흡기풍로(2A)와는 별도로 배기환류로(2B)를 갖는 마루용 흡입기구(3), 연장관(4) 및 호스(5)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흡기풍로(2A)와 배기환류로(2B)의 합류개소는 마루용 흡입기구(3)의 저면부(도시하지 않음)와 청소면X로 형성되는 공간(도시하지 않음)이다.
(6)은 청소기본체(1)의 앞쪽에 형성된 집진실로서, 상부에 개폐뚜껑(7)을 갖고, 내부에 먼지를 집적하는 집진주머니(8)이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집진주머니(8)에는 호스(5)의 흡기풍로(2A) 끝부가 삽입되고, 흡기풍로(2A)의 외주에 부착된 실(seal)고리(9)의 선단부가 집진주머니(8)에 당접해서 집진주머니(8)내의 먼지가 후술하는 환류실(21)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청소기본체(1)의 뒤쪽에는 완충(쿠션)부재(10)에 의해 전후가 지지된 전동송풍기(11)을 수납하는 전동기수납실(12)와 뒷부에 전동송풍기(11)로부터의 배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3)을 갖는 배출실(14), 아래쪽에 전동기수납실(12)와 배출실(14)를 연통하는 터널형상의 배출접속풍로(15) 및 상부에 전동송풍기(11)의 회전수 등을 제어하는 제어기판(16)을 수납하는 제어실(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18)은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1A)에서 대략 무게중심위치에 형성된 부상배기구로서, 전동기수납실(12) 및 배출접속풍로(15)와 각각 연통되어 있다. (19)는 부상배기구(18)과 배출접속풍로(15)의 개폐를 전환하는 전환밸브로서, 부상배기구(18)을 상시 닫는 방향으로 부세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있다. (20)은 집진실(6)의 앞쪽에 형성된 환류실(21)의 바닥면에 갖는 환류구이다. (22)는 개폐뚜껑(7)에 마련된 외기도입구(23)과 연통하여 집진실(6)내가 소정 압력 이하로 되었을 때 외기를 외기도입구(23)에서 도입하는 부상보조기구이다. 부상보조기구(22)는 외기도입구(23)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4) 및 이 개폐밸브(24)를 상시 닫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압축용수철(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6)은 부상부재로서, 평면부(27)과 외주부(28)로 형성되는 단면이 오목형상인 부상판(29), 상기 부상판(29)의 바닥부 외주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하단이 청소면X까지 수직 하강하는 비통기성이고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확장부(30) 및 상기 확장부(30)의 안쪽이고 부상판(29)의 바닥부 거의 전역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중앙에 부상오목부(31A)를 갖는 비통기성이고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부상풍선(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상부재(26)은 청소기본체(1)의 아래쪽에 형성된 걸어맞춤오목부(32)와 부상부재(26)의 외주부(28)에 형성된 걸어맞춤볼록부(33)에 의해 청소기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다. 또한, 청소기본체(1)과 부상판(29)의 걸어맞춤시에 있어서, 외주부(28)은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1A)와 기밀 상태로 당접하고 있다. 또, 부상풍선(31)의 하단부는 확장부(30)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후술하는 고정기구(39)에 의해 간극t가 확보되므로, 전동송풍기(11)의 구동시에 있어서 부상풍선(31)과 청소면X 사이에는 부상공간통로 Y가 형성된다.
(34)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1A)와 평면부(27)에 의해 형성되는 부상환류로이고, (35)는 부상배기통로로서, 부상배기구(18)과 부상풍선(31)의 입구(36)을기밀상태으로 연통시키고 있다. 부상부재(26)을 청소기본체(1)에 부착하면, 부상배기통로(35)의 상단에 마련된 볼록부재(37)이 전환밸브(19)를 압압해서 전환밸브(19)가 배출접속풍로(15)를 닫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38)은 부상풍선(31)의 바닥면에 복수개 형성된 부상구로서, 부상오목부(31A)를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또한, 부상풍선(31)의 바닥면의 일부 또는 전면을 통기성의 재료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부상구(38) 대신으로 해도 좋다. (39)는 부상풍선(31)이 전동송풍기(11)의 배기에 의해 소정 이상으로 부풀지 않은 경우, 도 2에 도시한 형상을 확보하기 위해 부상풍선(31)의 표면과 이면 사이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고정기구로서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고정기구(39)는 착탈 가능하지 않고, 용착이나 봉재 등에 의한 고착이라도 좋다.
(40)은 확장부(30)과 부상풍선(31) 주위 사이에 형성되는 부상외주로Z의 상부에서 부상판(29)에 복수개 형성된 부상환류구로서, 부상구(38)과 부상환류로(34)를 연통시키고 있다. (41)은 바닥부(1A)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캐스터, (42)는 바닥부(1A)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한쌍의 차륜이다. 부상판(29)에는 캐스터(41)을 수납하는 캐스터수납실(43)과 한쌍의 차륜(42)를 수납하는 차륜수납실(4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청소기본체(1)을 캐스터(41)과 한쌍의 차륜(42)에 의해 청소면X상에 탑재하고, 청소기본체(1)에 내장된 전동송풍기(11)을 구동시킨다. 외기는 마루용 흡입기구(3)에서 청소면X상의 먼지와 함께 마루용 흡입기구(3)과 연장관(4) 및호스(5)의 각 흡기풍로(2A)를 통과하여 집진주머니(8)내로 진입한다. 여기서, 외기중의 먼지는 집진주머니(8)에 포획된다. 그 후, 외기는 집진실(6)에서 전동기수납실(12)의 전동송풍기(11)에 흡인되고, 소정 압력을 얻어 전동기수납실(12)내로 배출된다. 이 때, 외기는 전동송풍기(11)을 공냉시키는 것에 의해 고온화한다. 볼록부재(37)의 압압에 의해 전환밸브(19)는 이동해서 배출접속풍로(15)를 닫고 있으므로, 고온, 고압화된 외기는 부상배기구(18)에서 부상부재(26)내의 부상배기통로(35)를 통과하여 부상판(29)의 거의 전역에 부착된 부상풍선(31)내로 분출된다.
분출된 외기는 부상풍선(31)을 크게 부풀리려고 하지만, 복수개 마련된 한쌍의 정지기구(39)에 의해 제한되고, 소정의 높이까지 부상풍선(31)을 균일하게 부풀린다. 그리고, 캐스터(41)과 한쌍의 차륜(42)를 청소면X에서 확실하게 대략 평행하게 부상시킨다. 또, 외기는 부상구(38)에서 부상오목부(31A)로 배출되고, 확장부(30)과 청소면X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내를 그의 배기압력으로 균일화해서 확실하게 부상풍선(31) 즉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키고 부상공간통로Y로 들어간다. 즉, 확장부(30) 이외는 청소면X에서 확실하게 부상한다. 또한, 이 때, 확장부(30)과 청소면X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내를 이동하는 외기는 청소면X상의 먼지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청소면X와 접하는 것에 의해 청소면X로 방열해서 자신의 온도를 저온화시킨다. 또한, 부상구(38)을 부상풍선(31)의 바닥면 외주부에 형성하고 외기를 청소면X와 직접 충돌시켜도 좋다.
그 후, 먼지를 포함한 외기는 부상외주로Z 내를 이동하지만, 확장부(30)이청소면X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확장부(30) 밖으로 유출하지 않고, 부상환류구(40)에서 부상환류로(34)로 배출된다. 그리고, 바닥면(1A)와 충돌해서 바닥면(1A)를 밀어 올리면서 환류구(20)에서 환류실(21)로 들어간다. 환류실(21)의 외기는 호스(5), 연장관(4) 및 마루용 흡입기구(2)의 각각의 배기환류로(2B)를 통과해서 마루용 흡입기구(2)에서 흡기풍로(2A)와 합류하고, 각각의 먼지는 집진주머니(8)에 포집된다. 또한, 전동송풍기(11)로부터의 고온배기의 가일층의 온도저하방법으로서, 부상판(29)를 방열성의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하거나 표면적을 늘리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방열효과를 향상시키면 좋다는 것은 물론이다. 또, 확장부(30)이나 부상풍선(31)의 재료를 소취재(消臭材)로 구성하면, 집진주머니(8)이나 전동송풍기(11)로부터의 배기를 소취(냄새를 없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상 사용에 있어서는 전동송풍기(11)로부터의 배기량과 배기압에 의해 청소기본체(1)이 청소면X에서 부상하고, 청소기본체(1)을 끌고 다니는 것이 가벼워 편안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 문지방 등을 타고 넘을 때에 있어서도 부상부재(26)의 확장부(30)이나 부상풍선(31)이 연질이고 또한 부상풍선(31)내는 공기이기 때문에 청소기본체(1)에는 충격이 전해지지 않음과 동시에 문지방을 타고 넘을 때의 힘도 작게 되는 것이다.
통상 사용에 있어서의 부상보조기구(22)의 개폐밸브(24)의 상태를 도 5에 도시한다.
개폐밸브(24)는 압축용수철(25)에 의해 외기도입구(23)을 확실하게 닫고 있다. 그러나, 통상 사용중에 있어서, 마루용 흡입기구(2)가 청소면X에 흡착하거나호스(5) 등의 흡인풍로(2A)에 먼지가 막히거나 집진주머니(8)이 먼지로 가득차게 되면, 전동송풍기(11)로부터의 배기량은 극단적으로 감소 즉 집진실(6)내의 압력도 감소하여 청소기본체(1)의 부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실(6)내의 압력은 부상보조기구(22)의 개폐밸브(24)를 외기도입구(23)에서 분리시키고, 외기를 집진실(6)내로 침입시킨다. 침입한 외기는 전동송풍기(11)내로 흘러 들어와서 전동송풍기(11)을 공냉시킴과 동시에 배기량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청소기본체(1)을 확실하게 청소면X에서 부상시켜 그의 부상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당연히, 집진실(6)내의 압력이 정상상태로 되돌아가면, 개폐밸브(24)는 외기도입구(23)을 막고 외기의 침입을 차단하여 마루용 흡입기구(2)로부터의 먼지를 포함한 외기를 집진주머니(8)로 이동시키는 것은 물론이다.
즉, 부상보조기구(2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전동송풍기(11)을 통과하는 풍량이 소정량 이하로 되었을 때에도 청소기본체(1)의 부상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전동송풍기(11)의 냉각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부상보조기구(22)를 집진실(6)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부상보조기구(22)로부터의 외기는 아무런 장해 없이 순조롭게 또한 확실하게 전동송풍기(11)로 들어가기 때문에 본체부상 및 냉각효과는 더욱 확실하게 된다. 또한, 부상보조기구(22)는 그의 동작시에 있어서 침입 외기가 전동송풍기(11)로 들어가는 구성이면 좋고, 집진실(6)에 마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예를 들면 확장부(30)이나 부상풍선(31)이 더러워져 세정하는 경우또는 마모되어 교환하는 경우 등, 부상부재(26)을 청소기본체(1)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청소를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밸브(19)는 부상배기구(18)측으로 이동하여 부상배기구(18)을 닫고, 배출접속풍로(15)를 개구한다. 그 결과, 전동송풍기(11)로부터의 배기는 배출접속풍로(15)를 통과하여 배출구(13)에서 배기되고,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키지 않고 일반적인 청소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루용 흡입기구(2)로부터의 외기가 유입을 저해받은 경우에는 부상보조기구(22)에서 외기가 전동송풍기(11)로 흡인되어 전동송풍기(11)의 공냉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 환류구(20)은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다소 외기가 들어오지만, 마루용 흡입기구(2)로부터의 먼지 흡인에는 특별히 지장이 없는 것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 전환밸브(19)와 동등한 부재를 마련하여 환류구(20)의 개폐를 실행하 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부상부재(26)을 청소기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사용하기 편리하고 사용용도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2>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것으로서, 도 9는 부상보조기구A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부상보조기구A의 동작을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22A)는 개폐뚜껑(7)에 부착된 부상보조기구A로서, 전동기(45)와 상기 전동기(45)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외기도입구(23)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4A)로 형성되어 있다. (46)은 집진실(6)내의 압력을 검지하고, 소정 압력 이하에서 전동기(45)를 구동시키고 또 소정 압력으로 되돌아가면 전동기(45)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력센서, (47)은 압력센서(46)으로부터의 출력을 받아 전동기(45)를 소정 각도 좌우로 회전시키고 외기도입구(23)을 개폐시키기 위한 제어기판A로서, 각각 전동송풍기(11)의 상류에서 집진실(6)에 마련되어 있다. 압력센서(46), 제어기판A(47)에 의해 부상력 제어수단은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개폐밸브(24A)가 상시 외기도입구(23)을 닫고 있다. 그런데, 마루용 흡입기구(2)가 막힌 경우 등의 원인으로 집진실(6)내의 통과풍량이 감소하면, 집진실(6)내의 압력이 저하한다. 이 때, 제어기판A(47)은 압력센서(46)에 의해 검출된 집진실(6)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이면, 전동기(45)의 회전운동을 지시해서 회전운동시켜 외기도입구(23)을 개구하고 외기를 집진실(6)내로 유입시킨다(도 10에 도시함). 또, 집진실(6)내가 소정 압력으로 되돌아가면, 재차 전동기(45)를 회전운동시켜 외기도입구(23)을 닫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청소기 사용중에 있어서 청소기본체의 부상상태를 계속할 수 있다.
또, 제어기판A(47)을 외기도입구(23)과 전동송풍기(11) 사이에 배치하면, 외기도입구(23)으로부터의 외기에 의해 제어기판A(47)을 확실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46)은 전동송풍기(11)의 하류측 예를 들면 부상부재(26)내에 마련해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압력센서(46)은 청소기본체(1)의 부상에 필요한 배기량이 부상부재(26)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면 좋은 것이고, 또 설치개소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다. 또, 실시예2에서는 청소기본체(1)의 부상에 필요한 배기량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압력센서를 사용하였지만, 압력검지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풍량이나 전동송풍기(11)의 전류를 검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 외기도입구(23)을 개폐하는 밸브는 전동기(4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전자력이라도 좋다.
<실시예3>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관한 것으로서, 도 11은 전기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12는 도 11의 청소기본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26A)는 청소기본체(1)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부상부재로서, 평면부(27)과 외주부(28)에 의해 형성된 단면이 오목형상인 부상판(29A)가 설치된다. (50)은 부상환류로(34)와 외기를 연통시키는 외주부(28)에 형성된 부상배기구로서,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실시예3에서는 부상환류로(34)내의 배기를 부상배기구(50)에서 직접 본체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동송풍기(11)의 배기저항이 예를 들면 마루용 흡입기구(3)까지 환류하는 형태의 것에 비해 적어 전동송풍기(11)로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부상환류로(34) 내 등에 청소면X로부터의 먼지를 포획하는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부상배기구(50)으로부터의 배기를 청정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4>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4를 도시한 청소기본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4에서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부상부재(26A)가 더러워져 세정하는 경우 또는 마모해서 교환하는 경우 등, 부상부재(26A)를 청소기본체(1)에서 분리해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51)은 전동송풍기(11)로부터의 배기를 부상배기구(18)까지 이동시키는 본체배기통로, (52)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배기부재로서, 부상판(29)와 대략 동일형상의 배기판(53), 이 배기판(53)의 바닥면측에 마련된 캐스터(41) 및 한쌍의 차륜(48)을 갖고 있다. (33)은 배기부재(52)의 외주부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로서, 청소기본체(1)의 하부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32)와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다. (54)는 배기판(53)의 상면측과 바닥면(1A)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우회로로서, 부상배기구(18)과 부상배기구(50)을 연통시킨다.
이상과 같이, 부상부재(26A) 대신에 배기부재(52)를 청소기본체(1)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부상식이 아니라 캐스터(41)과 한쌍의 차륜(48)에 의해 이동하는 전기청소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기우회로(54)에는 전동송풍기(11)로부터의 배기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음재(도시하지 않음)를 수납하거나 배기통로를가능한 한 길게 마련하는 것에 의해 머플러효과를 얻어 소음(消音)을 도모할 수 있는 것 등의 배려를 하면 더욱 양호한 효과를 얻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5>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5를 도시한 청소기본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26B)는 청소기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부상부재로서, 부상재(29A)의 상부에 부상환류로(34)가 형성되고, 하면에 확장부(30)과 부상외주로Z를 거쳐서 부상배기통로(35)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그의 하면이 청소면X와의 사이에 미소 간극t를 갖는 내측 확장부(55)가 마련되어 있다. K는 내측 확장부(55)와 청소면X로 구성되는 부상공간, (56)은 부상배기통로(35)의 하단에 마련된 차폐면으로서, 부상배기통로(35)를 통과하는 전동송풍기(11)로부터의 배기가 청소면X와 직접 충돌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57)은 부상배기통로(35)에 복수개 형성된 우회구이다.
전동송풍기(11)로부터의 배기는 차폐면(56)에 의해 부상배기통로(35)와 대향하는 청소면X와 직접 충돌하지 않고 복수개 형성된 우회구(57)에서 부상공간K내로 균등하게 배출되어 균일한 부상력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부상공간 K내의 부상배기는 균등하게 미소 간극t에서 부상외주로Z로 들어간다. 즉, 청소기본체(1)은 청소면X에서 기울어지는 일 없이 부상하는 것이다. 또한, 부상공간K나 부상외주로Z상의 먼지는 부상배기구(50)에서 실내로 방출되지만, 부상환류로(34) 등에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면 먼지를 부상환류로(34)내에서 포획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본체(1)의 바닥면에 캐스터(41)이나 한쌍의 차륜(48)을 마련해 두는 것에 의해, 부상부재(26B)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6>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관한 것으로서, 도 15는 청소기본체(1)에 부상부재를 부착한 청소기본체의 일부 절단 단면도, 도 16은 청소기본체의 저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26C)는 청소기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부상부재로서, 아래쪽에 부상풍선(31B)를 갖고, 이 부상풍선(31B)의 주위에서 확장부(30A)가 수직 하강되어 청소면X와 접촉하고 있다. (38A)는 부상풍선(31B)의 하면에 마련된 부상구, (58)은 부상오목부(31A)와 부상환류로(34)를 연통시키는 환류통로이다.
전동송풍기(11)로부터의 배기는 부상풍선(31B)를 부풀게 해서 청소기본체(1)을 청소면X에서 부상시킨다. 또, 배기는 부상구(38A)에서 청소면X와 충돌하여 확장부(30A)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저해된다. 그리고, 부상풍선(31B)를 청소면X에서 부상시키고 배기는 부상오목부(31A)에서 환류통로(58)을 통과하여 부상환류로(34)로 들어가고 부상배기구(50)에서 외부로 방출된다.
확장부(30A)를 부상풍선(31B)의 하면 주위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부상풍선(31B)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1A) 전역으로 전개할 수 있고 청소기본체(1)이 기우는 일 없이 균등하게 부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7>
도 17∼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7에 관한 것으로서, 도 17은 전기청소기의 전동송풍기를 도시한 일부 절단 측면도, 도 18은 청소기본체의 단면도, 도 19는 부상부재의 평면도, 도 20은 부상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청소기본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중, 화살표는 외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11A)는 전동송풍기로서, 흡진용 팬(60)을 수납하고 흡인구(61)과 분출구(62)를 갖는 흡진팬부(63), 흡진용 팬(60)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자체냉각용 팬(64)를 수납하고 자체냉각흡인구(65)와 자체냉각배기구(66)을 갖는 자체냉각팬부(67) 및 뒤쪽에 전동기배기구(68)을 갖고 흡진용 팬(60)과 자체냉각용 팬(64)를 회전시키는 전동기(6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70)은 흡진팬부(63)을 덮고 흡진용 팬(60)의 회전진동 등을 흡수하기 위한 앞쪽 쿠션(완충부재)으로서, 분출구(62)와 연통하는 앞쪽 쿠션배기구(71)을 갖고 있다. (80)은 전동기(69)의 뒤쪽을 덮고 전동기(69)의 회전진동 등을 흡수하기 위한 뒤쪽 쿠션으로서, 전동기배기구(68)과 연통하는 뒤쪽 쿠션 배기구(81)을 갖고 있다.
청소기본체(1)의 뒤쪽은 흡진팬부(63)과 앞쪽 쿠션(70)을 수납하는 흡진팬부실(82), 자체냉각팬부(67)과 전동기(69)와 뒤쪽 쿠션(80)을 수납하는 전동기실(83) 및 전동기배기구(68)과 연통하는 배출구(13)을 갖는 배출실(14)로 구획되어 있다. (84)는 집진실(6)의 아래쪽에서 흡진팬부실(82)와 환류실(21)을 연통시키는 터널형상의 순환관로이다. (18A)는 청소기본체(1)의 바닥부(1A)에 형성된 부상배기구로서, 흡진팬부실(82)와 순환관로(84) 및 후술하는 부상부재(26D)의 부상배기통로(35)와 연통되어 있다. (85)는 상시 부상배기구(18A)를 닫도록 힘을 받고(도시하지 않음), 후술하는 부상부재(26D)가 청소기본체(1)에 부착되었을 때, 부상배기구(18A)를 개구하고 순환관로(84)를 닫는 풍로전환벨브A이다. (86)은 상시 환류구(20)을 닫도록 힘을 받고(도시하지 않음), 후술하는 부상부재(26D)가 청소기본체(1)에 부착되었을 때, 환류구(20)을 개구하고 순환관로(84)를 닫는 부상풍로전환밸브B이다.
(26D)는 청소기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부상부재로서, 부상판(29)와 확장부(30) 및 부상풍선(31)로 구성되어 있다. (87)은 배출실(14)에 형성된 보조배기구(88)과 부상풍선(31)을 연통시키는 보조연통구로서, 부상배기구(18A)보다 입구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89)는 부상배기통로(35)에 형성되고 풍로전환밸브A(85)를 이동시켜 순환관로(84)를 닫는 압압부재A, (90)은 부상환류로(34)에 형성되고 풍로전환밸브B(86)을 이동시켜 순환관로(84)를 닫기 위한 압압부재B이다. (91)은 제어실(17)에 마련된 외기도입용 냉각구, (92)는 제어실(17)과 전동기실(83)을 연통시키는 중간구이다.
전동송풍기(11A)를 운전하면, 흡진용 팬(60)과 자체냉각용 팬(67)은 회전을 개시한다. 그 결과, 흡진용 팬(60)에 의해 흡인되는 외기는 마루용 흡입기구(3)에서 먼지와 함께 집진주머니(8)로 들어가고 여과되어 청정공기로 되고, 흡진용 팬(60)에 의해 고압력을 갖는 배기로 된다. 그리고, 배기공기에 의해 부상풍선(31)을 부풀려 청소기본체(1)을 청소면X에서 부상시킨다. 그 후,부상환류로(34)를 통과하여 환류실(21)에서 마루용 흡입기구(3)으로 들어가 흡기풍로(2A)에 흡인된다. 또, 자체냉각용 팬(64)가 회전하면, 외기는 냉각구(91)에서 들어와 제어실(17)을 공냉시키면서 중간구(92)를 거쳐서 전동기실(83)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자체냉각흡인구(65)에서 전동기(69)를 공냉시키고 전동기배기구(68)에서 배출실(14)로 들어가고 배출구(13) 및 보조연통구(87)에서 배출된다. 보조연통구(87)에서 배출된 자체냉각용 팬(67)로부터의 외기는 부상풍선(31)로 들어가 흡진용 팬(60)의 배기와 합류한다. 또, 자체냉각용 팬(67)로부터의 외기와 흡진용 팬(60)의 배기의 합류는 부상부재(26D)의 상류측에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흡진팬부실(82)와 배출실(14)를 연통시키도록 하고, 그 연통부에 온도에 따라 개폐하는 혼합밸브 등을 마련하도록 하면 좋다.
흡기풍로(2A)가 먼지 등에 의해 막혀 흡인외기량이 감소하면, 흡진용 팬(60)으로부터의 배기량도 극단적으로 감소하여 부상풍선(31)이 줄어들지만, 자체냉각용 팬(67)로부터의 배기의 대부분이 부상풍선(31)로 들어가 청소기본체(1)의 부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은 흡진용 팬(60)의 배기에 의해 청소기본체(1)을 부상시켜 그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만일 흡진용 팬(60)으로부터의 배기가 감소했을 때에도 자체냉각용 팬(67)로부터의 배기가 커버하기 때문에, 청소기본체(1)은 상시 부상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부상보조기구(22)를 병용하면, 자체냉각용 팬(67)로부터의 고온배기의 냉각화에 도움이 된다. 또, 흡진용 팬(60)과 자체냉각용 팬(67)을 전동송풍기(11A)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흡진용 팬(60)에 관한 풍로가 먼지 등에의해 막히더라도 전동기(69)의 냉각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부상부재(26D) 내로 들어가는 외기도 통상은 그의 대부분이 흡진용 팬(60)으로부터의 것으로서 고온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청소면X에 대해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효과도 있다.
또,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상부재(26D)를 청소기본체(1)에서 분리해서 사용하면, 풍로전환밸브A(85)와 풍로전환밸브B(86)은 각각 이동하여 부상배기구(18A)와 환류구(20)을 각각 닫고 순환관로(84)를 개구한다. 흡진용 팬(60)의 배기는 배기환류로(2B)를 통과하여 마루용 흡입기구(3)에 의해 먼지를 떠오르게 하고 흡기풍로(2A)로 흡인되어 간다. 이 때, 흡진용 팬(60)의 배기는 고온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배기환류로(2B)나 마루용 흡입기구(3)을 내열재료 등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좋다. 한편, 자체냉각용 팬(67)로부터의 배기는 전동기(69)를 공냉시킨 후, 배출구(13) 및 보조배기구(88)에서 배기된다.
또한, 흡진용 팬(60)의 배기에 자체냉각용 팬(67)로부터의 배기를 흡진용 팬(60)의 배기가 소정 이상으로 고온화되지 않을 정도로 혼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체냉각용 팬(67)로부터의 배기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진팬부실(82)와 배출실(14)를 연통시키도록 하고, 그 연통부에 온도에 따라 개폐하는 혼합밸브 등을 마련하도록 하면 좋다.
<실시예8>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8을 도시한 청소기본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93)은 보조배기구(88)을 개폐하는 개폐체로서, 부상풍선(31)내의 압력이 감소하면 개폐체(93)이 이동하여 보조배기구(88)을 개구하고, 부상풍선(31)내의 압력이 소정 범위에 도달하면 보조배기구(88)을 닫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부상보조기구(22)와 마찬가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만일 흡진용 팬(60)의 배기가 감소하면, 개폐체(93)은 보조배기구(88)을 개구하고 자체냉각용 팬(67)로부터의 배기를 부상풍선(31)내에 유입시켜 압력을 상승시키고, 청소기본체(1)의 부상을 확보한다. 당연히, 부상풍선(31)내의 압력이 되돌아가면, 보조배기구(88)을 닫고 흡진용 팬(60)의 배기에 의해 청소기본체(1)의 부상은 확보되는 것이다.
도 22와 도 23은 실시예1 내지 실시예8에 관한 실린더식 전기청소기의 형상을 포트식의 전기청소기로 치환한 다른 실시예이다.
특히, 도 22에 있어서의 호스(5)의 청소기본체(1)과의 접속부는 회전 자유롭게(화살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부상하고 있는 본체와 호스(5)가 용이하게 회전하므로, 청소중인 청소기본체(1)의 방향전환이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8의 전동송풍기의 전원은 상용전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전지 등이라도 좋은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이용하여 청소기본체를 청소면에서 부상시키는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전동송풍기의 상류측에 소정 압력에 의해 외기를 청소기본체내로 도입하는 개폐밸브를 갖는 부상보조부재를마련했으므로, 예를 들면 배기량이 감소하고 청소기본체내의 압력이 감소한 경우에도 개폐밸브에서 외기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부상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전동송풍기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집진실에 부상보조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부상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전동송풍기의 냉각도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청소기본체내의 소정 압력 등에 의해 개폐밸브의 개폐조작을 제어하는 부상력 제어수단을 마련했으므로, 부상상태를 검지하고 부상상태에 따라서 부상보조부재로부터의 외기도입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흡진용 팬과 자체냉각용 팬을 갖는 전동송풍기의 배기에 의해 본체를 부상시키므로, 흡진용 팬의 배기량이 감소하더라도 자체냉각용 팬의 배기에 의해 부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흡진용 팬과 자체냉각용 팬을 갖는 전동송풍기를 구비했으므로, 청소기본체를 부상시키는 경우, 흡진용 팬으로부터의 배기량이 감소하더라도 자체냉각용 팬의 배기에 의해 부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집진실과 전동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본체;
    상기 청소기본체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상기 청소기본체를 청소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부재 및;
    상기 전동송풍기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상태에 따라서 외기를 상기 청소기본체내로 도입하는 개폐밸브를 갖는 부상보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집진실과 흡진용 팬 및 자체냉각용 팬을 갖는 전동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본체 및;
    상기 청소기본체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상기 흡진용 팬의 배기에 의해 상기 청소기본체를 청소면에서 부상시키는 부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체냉각용 팬의 배기는 상기 부상부재내 또는 상류측에서 상기 흡진용 팬의 배기와 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 흡진용팬, 자체냉각용 팬 및 모터를 갖는 전동송풍기; 집진용 공기흡입구; 집진실 및; 상기 전동송풍기의 하류에 마련되어 청소기 내외를 연통시키는 개구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용 공기흡입구, 집진실 및 흡진용 팬을 통과한 공기를 재차 상기집진용 공기흡입구로 순환시키는 순환풍로를 마련하고,
    상기 자체냉각용 팬 및 모터를 수납하는 수납실을 상기 개구와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2001-0006684A 2000-02-15 2001-02-12 전기청소기 KR100403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36494 2000-02-15
JP2000036494A JP2001224534A (ja) 2000-02-15 2000-02-15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131A KR20010082131A (ko) 2001-08-29
KR100403031B1 true KR100403031B1 (ko) 2003-10-23

Family

ID=1856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684A KR100403031B1 (ko) 2000-02-15 2001-02-12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224534A (ko)
KR (1) KR100403031B1 (ko)
CN (1) CN11454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479B1 (ko) * 2001-12-20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하우징
JP2003260012A (ja) * 2002-03-12 2003-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CN100545462C (zh) * 2003-05-20 2009-09-30 东芝泰格有限公司 电动送风机以及具有该电动送风机的电气设备
DE102011078383A1 (de) * 2011-06-30 2013-01-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Nebenluftventil, Staubsauger und Montageverfahren
KR101494380B1 (ko) * 2013-04-19 2015-02-23 김병미 진공청소기
JP6837731B2 (ja) * 2014-04-28 2021-03-03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集塵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589A (ja) * 1993-05-26 1994-11-29 Sharp Corp 排気圧浮上式電気掃除機
KR200144823Y1 (ko) * 1994-05-23 1999-06-15 최진호 배출공기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본체 부상장치
JPH11187992A (ja) * 1997-12-26 1999-07-13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KR20000001729U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자기 부상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589A (ja) * 1993-05-26 1994-11-29 Sharp Corp 排気圧浮上式電気掃除機
KR200144823Y1 (ko) * 1994-05-23 1999-06-15 최진호 배출공기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본체 부상장치
JPH11187992A (ja) * 1997-12-26 1999-07-13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KR20000001729U (ko) * 1998-06-30 2000-01-25 전주범 자기 부상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8914A (zh) 2001-08-22
KR20010082131A (ko) 2001-08-29
JP2001224534A (ja) 2001-08-21
CN1145453C (zh)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311B1 (ko) 진공청소기
EP0289987B1 (en) Vacuum cleaner
KR100813537B1 (ko) 스팀진공청소기
US6381803B1 (en) Vacuum cleaner
KR100403031B1 (ko) 전기청소기
US6609270B2 (en) Discharge grill mounting structure of upright vacuum cleaner
JP3849747B2 (ja) 電気掃除機
KR100408356B1 (ko) 전기청소기
JP3766921B2 (ja) 電気掃除機
JP3968626B2 (ja) 電気掃除機
JP2500939B2 (ja) 電気掃除機
JP2006334052A (ja) 電気掃除機
KR100813542B1 (ko) 스팀진공청소기용 모터 어셈블리
JP2001231724A (ja) 電気掃除機
JP2001128902A (ja) 電気掃除機
JP2003079542A (ja) 電気掃除機
KR100416159B1 (ko) 전기청소기
JPH11318770A (ja) 電気掃除機
JP4559610B2 (ja) 電気掃除機
JP2001346725A (ja) 電気掃除機
JP2002315696A (ja) 電気掃除機
JPH07143946A (ja) 電気掃除機
JP2003116759A (ja) 電気掃除機
JP3828696B2 (ja) 電気掃除機
JP3781661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