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054B1 - 먼지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먼지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054B1
KR101255054B1 KR1020120015200A KR20120015200A KR101255054B1 KR 101255054 B1 KR101255054 B1 KR 101255054B1 KR 1020120015200 A KR1020120015200 A KR 1020120015200A KR 20120015200 A KR20120015200 A KR 20120015200A KR 101255054 B1 KR101255054 B1 KR 10125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pace
plate
suction device
dus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옥남
Original Assignee
(주)테스토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스토닉 filed Critical (주)테스토닉
Priority to KR102012001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054B1/ko
Priority to PCT/KR2012/008009 priority patent/WO2013122300A1/ko
Priority to US14/378,695 priority patent/US994321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47Furniture or stationary devices with suc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1Pressure, vacuum level or air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먼지 흡입장치가 개시된다. 먼지 흡입장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홀을 통해 먼지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제1 공간부와, 상기 제1 공간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와 독립적으로 영역이 분할된 제2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 및 외부에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상단이 상기 유입홀의 내측에 밀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2 공간부로 연장된 탄성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먼지 흡입장치{A device for suctioning a dusts}
본 발명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와 연결된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묻은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먼지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외의 출입이 빈번한 출입구에는 실내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수분이나 먼지 등을 흡착시키기 위한 매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 매트는 일반적인 가정뿐만이 아니라 공장, 연구소, 병원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오염원이 침투되어서는 안 되는 시설물의 출입구에서 상기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먼지 및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매트는 수분이나 먼지를 흡착하기 위해 대부분 직물로 이루어진 매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직물로 이루어진 종래의 매트는 외부에서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이 매트에 흡착된 후에 곰팡이가 발생 되거나, 상기 곰팡이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으며, 사용자가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소독 또는 세탁을 하지 않을 경우에 세균 발생의 진원지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종래의 매트는 직물조직의 단순함으로 인하여 수분이나 먼지에 대한 흡착성이 낮고 세탁 후에도 청결함이 유지되지 못하며 오랜 사용 후에는 형태가 부분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 신발에 묻은 먼지를 제거 또는 흡입하기 위한 다양한 먼지 흡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먼지 흡입장치(10)는 출입자가 발판 형태로 이루어진 매트(20)의 상부를 밝게 되면, 상기 출입자의 발이 위치된 영역의 스프링 부재(30)가 하향 되면서 흡입공(22)이 개방되고, 상기 흡입공(22)을 통해 신발의 바닥면에 묻은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된다.
또한 상기 흡입공(22)으로 유입된 먼지는 흡입기(40)가 작동되면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흡입기(40) 내부로 흡입되면서 상기 신발 바닥에 묻은 먼지 및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먼지 흡입장치(10)는 흡입공(22)으로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이 스프링 부재(30)가 설치된 곳에 소정의 두께로 적층 되면서 상기 스프링 부재(30)의 하향 이동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신발 바닥의 먼지 및 이물질이 흡입공(22)을 통해 유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유발되어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0029호 (공개일: 2009년01월28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먼지가 흡입되는 공간과 탄성체가 위치한 공간을 각각 독립적인 공간으로 개별 분리시켜 먼지에 의한 탄성 작동 부재의 오작동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물질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홀을 통해 먼지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제1 공간부와, 상기 제1 공간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와 독립적으로 영역이 분할된 제2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 및 외부에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상단이 상기 유입홀의 내측에 밀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2 공간부로 연장된 탄성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물질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되고, 내부 영역이 독립적으로 분할된 하우징; 및 상기 유입홀의 내측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탄성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판은 양단이 상판을 향해 상측으로 절곡된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상면에 구비된 댐핑부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은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격판을 향해 연장된 지지 부재; 상기 탄성 작동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공간부는 상기 격벽과 상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부는 상기 이격판과 격벽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공간부에 적층된 먼지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은 상기 유입홀의 주변에 개구되고 상기 상판 주변의 공기 또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질이 흡입되는 보조홀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 작동 부재는 상기 유입홀에 삽입된 헤드; 상기 헤드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이격판은 상기 헤드의 하측에 구비된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먼지 흡입장치는 유입홀로 유입된 먼지를 외부로 흡입하는 흡입기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먼지 흡입장치는 유입홀로 유입된 먼지를 외부로 흡입하는 흡입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장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먼지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제1 공간부와, 상기 제1 공간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와 독립적으로 영역이 분할된 제2 공간부와, 상기 제1 공간부로 유입된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기와 연결된 하우징; 외부에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상단이 상기 유입홀의 내측에 밀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2 공간부로 연장된 탄성 작동 부재; 및 출입구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흡입기에 인가된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흡입기에 전원을 인가한 후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t초간 흡입기에 전원을 인가한 후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먼지 및 이물질이 별도의 분할된 영역에 적층 되면서 상기 이물질에 의한 탄성체의 오작동이 방지되면서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신발에 묻은 이물질과 먼지 흡입 장치 주변에 부유하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정, 사무실, 병원 및 연구소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먼지 흡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먼지 흡입 장치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종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 장치의 종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 장치의 종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의한 먼지 흡입 장치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 장치의 사용 상태도.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지 흡입 장치(1)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홀(112)을 통해 먼지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제1 공간부(102)와, 상기 제1 공간부(102)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102)와 독립적으로 영역이 분할된 제2 공간부(104)를 가지는 하우징(100); 및 외부에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112)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상단이 상기 유입홀(112)의 내측에 밀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2 공간부(104)로 연장된 탄성 작동 부재(200)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지 흡입 장치(1)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탄성 작동 부재(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을 직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형상으로의 변경도 가능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판(110)과, 하판(120)과, 격벽(130) 및 이격판(140)을 포함하며 수분 및 이물질에 의한 부식 및 산화가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10)은 플라스틱 또는 에폭시로 형성되고 3mm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두께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판(110)은 상면에 원하는 형상, 로고 및 문양을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판(110)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유입홀(112)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112)을 통해 신발 바닥에 묻은 먼지 및 이물질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홀(112)의 직경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하우징(100)의 전체 크기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상판(110)은 먼지 또는 이물질에 대한 멸균 및 항균 작용을 위해 세라믹과 같은 광물이 파우더 형태로 원재료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먼지 및 이물질에 포함된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항균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10)은 상면에 다수개의 유입홀(112)이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고,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을 위해 소정의 직경으로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홀(112)의 직경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먼지 흡입장치에 개구된 유입홀에 비해 공장, 병원과 같은 시설에서 사용되는 먼지 흡입장치에 개구된 유입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정 보다는 공장 및 병원을 왕래하는 출입자가 상대적으로 많고, 상기 출입자의 신발 바닥면에 묻은 이물질 또한 출입자수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하판(120)은 먼지 흡입장치(1)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판(110)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상판(110)을 향해 상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2)와, 상기 절곡부의 상면에 구비된 댐핑부(124)를 포함한다.
절곡부(122)는 하판(120)의 양단이 상판을 향해 수직 상부로 연장된 후에 내측을 향해 90°각도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판(120)에 절곡부(122)를 형성하는 이유는 후술할 댐핑부(124)를 통해 상판(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하우징(100) 전체로 분산 시키고, 상기 댐핑부(124)를 통한 지지도 동시에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댐핑부(124)는 절곡부(122)의 상면에 구비되고 고무, 실리콘 또는 판 스프링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댐핑 기능이 있는 다른 구성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댐핑부(124)는 상판(110)을 향해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110)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일 예로 댐핑부(124)가 고무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판(11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탄성 압축 변형되면서 상기 상판(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격판(140)은 상기 하판(120) 상부로 소정의 이격거리(h1)를 가지며 위치하고, 상기 이격거리(h1)를 통해 상기 댐핑부(124)에 하중이 가해질 때 부분적으로 하측으로 처지면서 하판(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이격거리(h1)는 1mm이하의 거리로 이격 된다.
이격판(140)은 양단이 상기 상판(110)을 향해 수직 상부로 연장된 절곡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142)는 상기 상판(11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판(1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함께 지지할 수 있다.
격벽(130)은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횡 방향으로 구획한다. 격벽(130)은 하우징(100)의 내부 영역을 독립적으로 분할 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격벽(130)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를 분할하는 이유는 유입홀(112)을 통해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을 탄성 작동 부재(200)와 별도의 공간에 분리시킨 상태에서 후술할 흡입기(300)를 이용하여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격벽(130)은 탄성 작동 부재(200)가 삽입되기 위해 유입홀(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 삽입홀(13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134)에 탄성 작동 부재(200)가 삽입되며 상기 삽입홀(134)은 탄성 작동 부재(20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격벽(130)은 하측에 구비되고 이격판(140)을 향해 연장 형성된 지지 부재(13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132)는 격벽(130)이 하측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하우징(100)은 상기 격벽(130)에 의해 내부가 제1 공간부(102)와 제2 공간부(104)로 각각 구획된다. 제1 공간부(102)는 유입홀(112)을 통해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이 적층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제2 공간부(104)와 독립적인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즉 제1 공간부(102)에는 먼지 및 이물질만이 유입되고, 제2 공간부(104)에는 별도의 먼지 및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된다.
제1 공간부(102)는 격벽(130)과 상판(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탄성 작동 부재(200)가 유입홀(112)을 개방할 경우에만 상기 유입홀(112)을 통해 제1 공간부(102)의 영역으로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된다.
제2 공간부(104)는 제1 공간부(102)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상기 유입홀(112)을 통해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며 탄성 작동 부재(200)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탄성 작동 부재(200)는 유입홀(112)에 삽입된 헤드(210)와, 상기 헤드(210)의 하측에 구비되고 헤트(2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220)를 포함한다.
헤드(210)는 상부가 반구 형상의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다수개의 브러시(202)가 구비되며, 상기 브러시(202)는 신발의 바닥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바닥면에 잔존하는 먼지 및 이물질을 상판(110)으로 떨어뜨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탄성체(220)는 헤드(210)의 하측 중앙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권취된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나, 다른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진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탄성체(220)는 상기 헤드(210)의 하측을 항시 탄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헤드(210)는 별도의 하중이 가해지기 이전까지는 유입홀(112)을 항시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탄성체(220)는 이격판(140)에 구비된 탄성체 지지부재(204)에 삽입된다.
앞서 설명한 이격판(140)은 헤드(210)의 하측에 구비된 스토퍼(14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144)는 헤드(210)와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스토퍼(144)는 헤드(210)가 하향 되는 길이에 따라 상부로 돌출된 길이가 서로 다른 스토퍼가 사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제조과정에서 먼지 흡입장치의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흡입기(300)는 앞서 설명한 배출구(111)에 튜브를 매개로 연결되고, 일정 기간 먼지 흡입 장치(1)를 사용한 후에 흡입기(300)를 통해 제1 공간부(102)에 적층된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간헐적으로 작동시켜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상판(110)은 유입홀(112)의 주변에 다수개의 보조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홀(114)은 상기 유입홀(112)과 함께 신발 주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형성된다. 보조홀(114)은 항시 개구된 상태가 유지되며 탄성 작동 부재(200)의 개폐 상태와 상관없이 상판(110) 주위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된다.
상판(110)은 후술할 제1 공간부(102)에 적층된 먼지가 배출되는 배출구(111)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111)는 흡입기(300)에 구비된 튜브가 결합 된다. 참고로 상기 흡입기(300)는 통상의 진공 청소기와 같이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진공 압력이 발생되는 진공 장치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먼지 흡입 장치와의 차이점은 격벽이 미포함되고, 가정용으로 용도가 한정되며 하우징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는 차이점을 갖는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먼지 흡입 장치(1a)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홀(112)이 형성되고, 내부 영역이 독립적으로 분할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횡 방향으로 구획하고 하면에 스토퍼(142)가 형성된 이격판(140)과, 상기 유입홀(112)의 내측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112)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탄성 작동 부재(2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먼지를 외부로 흡입하는 흡입기(300)(도 3 참조)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상판(110)과, 하판(120) 및 이격판(140)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은 도 3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격판(140)은 하판(120)의 상부로 소정의 이격거리(h2)를 가지며 이격되어 위치하고, 하면에 다수개의 스토퍼(142)가 형성된다. 상기 이겨거리(h2)는 1mm 이상 3mm이하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거리(h2)와 후술할 탄성 작동 부재(200)의 높이를 더해도 2cm이내의 높이로 이루어지면서 최소한의 두께로 안정적인 먼지 흡입을 도모할 수 있다.
이격판(140)은 상판(110)에 가해진 하중에 의해 탄성 작동 부재(200)가 하향 이동될 때 상기 하중의 일부를 후술할 댐핑부(124)와 함께 분산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 작동 부재(200)의 과도한 이동을 스토퍼(142)에 의해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이격거리(h2)에 의해 후술할 헤드(210)의 수직 이동거리가 증가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이물질이 제3 챔버(102a)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 장치(1a)는 앞서 설명한 먼지 흡입 장치(1)와는 다르게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획된 제3 챔버(102a)로 먼지 및 이물질이 탄성 작동 부재(200)에 구비된 탄성체(220)에 적층될 수 있으나, 가정에서 사용되므로 먼지 및 이물질 적층에 의한 오작동 발생은 최소화될 수 있다.
탄성 작동 부재(200)는 유입홀(112)에 삽입된 헤드(210)와, 상기 헤드(210)의 하측에 구비되고 헤트(2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220)를 포함한다. 헤드(210)는 상부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다수개의 브러시(202)가 구비된다. 미 설명된 도면부호 122는 하판(120)에 구비된 절곡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장치는 가정 또는 사무실에 구비된 출입구로 출입하는 출입자의 유무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에 따라 흡입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장치는 주요 구성이 도 3에 도시된 먼지 흡입 장치와 동일하므로 주요 구성 요소에 따른 도면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지 흡입장치(1b)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홀(112)이 형성되고, 내부 영역이 독립적으로 분할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횡 방향으로 구획하고 하면에 스토퍼(142)가 형성된 이격판(140)과, 상기 유입홀(112)의 내측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112)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탄성 작동 부재(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먼지를 외부로 흡입하는 흡입기(300)와, 출입구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400)와, 상기 감지센서(400)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흡입기(300)에 인가된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기(500)를 포함한다.
제어기(500)는 상기 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t초간 흡입기에 전원을 인가한 후에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어기(500)는 흡입기(300)에 인가되는 전원의 단속을 위해 전원을 단속하는 별도의 단속기(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400)에서 전송하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감지센서(400)는 근접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도어 또는 출입문의 오픈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오픈 감지센서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열거하지 않은 다른 센서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장치는 사무실, 병원, 공장 등 주로 대형 건물에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 및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먼지 흡입장치(1)는 출입자의 출입이 빈번한 출입구(미도시)에 설치된다. 출입자는 신발(S)에 묻은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상판(110)을 밝고 있거나, 상기 상판(110)을 밝은 상태에서 천천히 걸어간다.
상기 출입자가 상판(110)의 모서리 부분을 밝은 상태에서 하우징(100)에 가해진 하중은 상판(110)과 밀착된 이격판(140)의 절곡부(142)를 통해 댐핑부(124)로 전달되고, 상기 댐핑부(124)는 탄성 압축 변형되면서 상기 출입자에 의해 가해진 가압력의 일부를 지지 분산한다. 이와 동시에 이격판(140)은 하측을 향해 소정의 이격거리(h1) 만큼 하향 이동되면서 하판(120)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출입자에 의해 가해진 가압력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 분산한다.
출입자의 신발(S)은 바닥면이 최초 브러시(202)와 접촉되면서 상기 신발(S)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먼지 및 이물질이 상판(110)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헤드(210)는 출입자의 체중에 의해 탄성체(220)를 탄성 압축시키면서 유입홀(112)의 하측으로 하향 이동된다.
또한 신발(S)의 면적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헤드(210)가 하향 되면서 폐쇄 상태의 유입홀(112)은 일시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고, 신발(S)에 묻어있는 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유입홀(112)을 통해 제1 공간부(102)로 유입된다. 헤드(210)는 상면을 누르는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에 탄성체(2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유입홀(112)을 향해 헤드(210)가 이동되어 상기 유입홀(112)을 폐쇄시킨다.
헤드(210)는 하향 이동된 후에 스토퍼(144)에 의해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현재의 상태가 유지된다. 만약 출입자가 상판(110)을 따라 걸어갈 경우에 상기 신발(S)의 면적에 해당되는 다수개의 헤드(210)가 시간 차이를 두고 가압력에 의해 하향 이동되었다가 원위치되고, 이와 함께 다수개의 유입홀들은 일시적으로 개방되었다가 폐쇄된다.
출입자가 상판(110)을 경유하여 반대편 모서리 부분을 밝은 상태에서 하우징(100)에 가해진 하중은 상판(110)과 밀착된 이격판(140)의 절곡부(142)를 통해 댐핑부(124)로 전달되고, 상기 댐핑부(124)는 탄성 압축 변형되면서 상기 출입자에 의해 가해진 가압력의 일부를 지지 분산한다. 이와 동시에 이격판(140)은 하측을 향해 소정의 이격거리(h1) 만큼 하향 이동되면서 하판(120)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출입자에 의해 가해진 가압력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 분산한다.
상기 유입홀(112)과 함께 보조홀(114)(도 5 참조)을 통해서는 상판(110) 주변의 먼지 및 이물질 들이 상기 유입홀(112)이 개구되기 이전 상태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제1 공간부(102)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탄성 작동 부재(300)의 작동에 상관 없이 신발(S) 주변의 먼지 및 상판(110)에 잔존하는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제1 공간부(102)에 유입된 먼지는 제2 공간부(104)로 이동되지 않고 소정의 두께로 적층된 상태가 유지되며, 탄성 작동 부재(300)에 구비된 탄성체(220)가 제1 공간부(102)로 유입된 먼지에 의한 오작동 및 이물질이 적층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신발에 잔존하는 먼지 및 이물질들이 유입홀(112)을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판(110)과 브러시(202)를 통해서는 외측으로 다량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발생되며 상판(110)과 인접한 영역에 잔존하는 세균 바이러스에 대한 멸균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1 공간부(102)에 적층된 먼지 및 이물질에 의한 냄새가 제거된다.
먼지 흡입장치(1)는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된 후에 제1 공간부(102)에 적층된 다량의 먼지가 배출구(111)를 통해 흡입기(300)로 이동되고, 출입구를 통과하는 출입자에 대한 먼지 및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탄성 작동 부재(200)는 다수개의 헤드가 연결부재(206)를 매개로 서로 간에 결속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결속된 어느 하나의 헤드가 하향 이동될 경우에 다른 헤드 또한 함께 하향 이동되면서 유입홀(112)을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발(S)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된 헤드와 연결부재(206)를 매개로 결속된 다른 헤드가 함께 하향 이동되면서 신발(S) 바닥면과 신발 주변의 먼지 및 이물질에 대한 제거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장치는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며 내부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장치(1a)는 앞서 설명한 먼지 흡입장치(1)와 전반적인 작동 상태는 유사하며, 유입홀(112)을 통해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이 제3 챔버(102a)에 적층되고, 출입자에 의해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댐핑부(200)는 탄성 압축 변형되면서 하중을 지지 분산한다.
이격판(140)은 하판(120)을 향해 하향 이동될 수 있으나, 스토퍼(142)에 의해 상기 하판(120)의 상면에 지지 되면서 부분적인 댐핑이 이루어진다.
먼지 흡입장치(1a)는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된 후에 제3 챔버(102a)에 적층된 다량의 먼지가 배출구(111)를 통해 흡입기(300)로 이동되고, 출입구를 통과하는 출입자에 대한 먼지 및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먼지 흡입장치(1b)는 출입자가 출입문 또는 도어를 오픈하고 실내로 들어올 경우에 감지센서(400)에 의해 상기 출입자의 출입 상태가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는 제어기(500)에 전송된다.
제어기(500)는 수신된 신호를 통해 출입자가 출입한 상태로 판단하고, 흡입기(300)가 t초간 작동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흡입기(300)를 작동시킨다.
출입자가 상판(110)을 따라 걸어가면서 상기 출입자의 신발은 바닥면이 최초 브러시(202)와 접촉되고, 상기 신발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먼지 및 이물질이 상판(110)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헤드(210)는 출입자의 체중에 의해 탄성체(220)를 탄성 압축시키면서 유입홀(112)의 하측으로 하향 이동되고, 유입홀(112)을 통해 먼지 및 이물질이 제1 공간부(102)로 이동된다. 또한 보조홀(114)을 통해 신발 주변의 먼지가 제1 공간부(102)로 유입된다.
제어부(500)는 상판(110)을 통해 이동하는 출입자의 평균 시간 동안만 흡입기(300)가 작동되도록 전원을 인가하고, 이후에는 상기 흡입기(300)에 인가되는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출입자가 출입구를 통해 출입이 있는 경우에만 흡입기(300)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면서 먼지 흡입장치(1b)를 통한 먼지 및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02, 104 : 제1,2 챔버
112 : 유입홀
120 : 하판
130 : 격벽
140 : 이격판
200 : 탄성 작동 부재
210 : 헤드
220 : 탄성체

Claims (13)

  1. 이물질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홀을 통해 먼지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제1 공간부와, 상기 제1 공간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와 독립적으로 영역이 분할된 제2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 및
    외부에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상단이 상기 유입홀의 내측에 밀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2 공간부로 연장된 탄성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먼지 흡입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입홀이 구비된 상판;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된 하판;
    상기 하판 상부로 소정의 이격거리(h1)를 가지며 위치하는 이격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횡 방향으로 구획하고 상기 상판과 이격판 사이에 위치한 격벽을 포함하는 먼지 흡입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양단이 상판을 향해 상측으로 절곡된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상면에 구비된 댐핑부를 포함하는 먼지 흡입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격판을 향해 연장된 지지 부재;
    상기 탄성 작동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먼지 흡입장치.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는,
    상기 격벽과 상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부는,
    상기 이격판과 격벽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흡입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공간부에 적층된 먼지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먼지 흡입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유입홀의 주변에 개구되고 상기 상판 주변의 공기 또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질이 흡입되는 보조홀을 더 포함하는 먼지 흡입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작동 부재는,
    상기 유입홀에 삽입된 헤드;
    상기 헤드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헤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먼지 흡입장치.
  9. 제2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판은,
    상기 헤드의 하측에 구비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먼지 흡입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흡입장치는,
    유입홀로 유입된 먼지를 외부로 흡입하는 흡입기를 더 포함하는 먼지 흡입장치.
  11. 이물질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되고 내부 영역이 독립적으로 분할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횡 방향으로 구획하고 하면에 스토퍼가 형성된 이격판; 및
    상기 유입홀의 내측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탄성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먼지 흡입장치.
  12. 이물질이 유입되는 다수개의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먼지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제1 공간부와, 상기 제1 공간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와 독립적으로 영역이 분할된 제2 공간부와, 상기 제1 공간부로 유입된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기와 연결된 하우징;
    외부에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유입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상단이 상기 유입홀의 내측에 밀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2 공간부로 연장된 탄성 작동 부재; 및
    출입구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흡입기에 인가된 전원을 단속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먼지 흡입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흡입기에 전원을 인가한 후에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먼지 흡입장치.
KR1020120015200A 2012-02-15 2012-02-15 먼지 흡입장치 KR10125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00A KR101255054B1 (ko) 2012-02-15 2012-02-15 먼지 흡입장치
PCT/KR2012/008009 WO2013122300A1 (ko) 2012-02-15 2012-10-04 먼지 흡입장치
US14/378,695 US9943212B2 (en) 2012-02-15 2012-10-04 Dust su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00A KR101255054B1 (ko) 2012-02-15 2012-02-15 먼지 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054B1 true KR101255054B1 (ko) 2013-04-16

Family

ID=4844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200A KR101255054B1 (ko) 2012-02-15 2012-02-15 먼지 흡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43212B2 (ko)
KR (1) KR101255054B1 (ko)
WO (1) WO2013122300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946B1 (ko) 2013-04-08 2013-07-19 이수영 먼지흡입장치
KR101330699B1 (ko) * 2013-07-15 2013-11-18 이수영 먼지흡입시스템
KR101445227B1 (ko) 2014-07-10 2014-09-29 주식회사 에코비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
KR101486754B1 (ko) 2013-08-27 2015-01-28 신재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KR101627333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판넬
KR101627330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장치
WO2018190491A1 (ko) * 2017-04-13 2018-10-18 신동준 공기유입밸브가 구비된 먼지 흡입 에어 매트
KR102480441B1 (ko) * 2022-05-06 2022-12-22 운생동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KR20240014776A (ko) 2022-07-26 2024-02-02 조미순 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쿠션코일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114B1 (ko) * 2017-04-13 2019-10-16 (주)테스토닉 구슬이 적용된 먼지 흡입장치
US10827898B2 (en) 2017-06-15 2020-11-10 Robert J. Moran Self-cleaning carpet
WO2018232329A1 (en) * 2017-06-15 2018-12-20 Moran Robert J Self-cleaning carp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134A (ko) * 2002-12-20 2004-06-26 이진수 진공 신발 털이기
KR20090010029A (ko) * 2006-04-14 2009-01-28 가부시키가이샤 선 엔지니어링 흡진 장치
KR20110119441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지.엠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KR101098103B1 (ko) * 2011-02-01 2011-12-26 에스앤이지텍(주)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4298A (en) * 1961-03-30 1962-11-20 Lera M Jones Vacuum door mat
US7725974B2 (en) * 2006-11-02 2010-06-01 Hughes Randall L Shoe and foot cleaning and disinfecting system
KR101124381B1 (ko) 2009-08-25 2012-03-16 강원규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134A (ko) * 2002-12-20 2004-06-26 이진수 진공 신발 털이기
KR20090010029A (ko) * 2006-04-14 2009-01-28 가부시키가이샤 선 엔지니어링 흡진 장치
KR20110119441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지.엠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KR101098103B1 (ko) * 2011-02-01 2011-12-26 에스앤이지텍(주)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946B1 (ko) 2013-04-08 2013-07-19 이수영 먼지흡입장치
WO2014168326A1 (ko) * 2013-04-08 2014-10-16 주식회사 네프론 먼지흡입장치
KR101330699B1 (ko) * 2013-07-15 2013-11-18 이수영 먼지흡입시스템
KR101486754B1 (ko) 2013-08-27 2015-01-28 신재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KR101445227B1 (ko) 2014-07-10 2014-09-29 주식회사 에코비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
KR101627330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장치
KR101627333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판넬
EP3132734A1 (en) 2015-08-12 2017-02-22 Daeshin MC Corporation Dust suction apparatus
US10159399B2 (en) 2015-08-12 2018-12-25 Daeshin Mc Corporation Dust suction apparatus
WO2018190491A1 (ko) * 2017-04-13 2018-10-18 신동준 공기유입밸브가 구비된 먼지 흡입 에어 매트
KR101913389B1 (ko) * 2017-04-13 2018-10-30 신동준 공기유입밸브가 구비된 먼지 흡입 에어 매트
KR102480441B1 (ko) * 2022-05-06 2022-12-22 운생동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KR20240014776A (ko) 2022-07-26 2024-02-02 조미순 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쿠션코일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43212B2 (en) 2018-04-17
WO2013122300A1 (ko) 2013-08-22
US20160015244A1 (en)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054B1 (ko) 먼지 흡입장치
KR102033114B1 (ko) 구슬이 적용된 먼지 흡입장치
KR10266512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7330B1 (ko) 먼지 흡입장치
JP6854393B2 (ja) 空気流入弁を備えた塵埃吸引エアマット
KR101096161B1 (ko)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KR101330699B1 (ko) 먼지흡입시스템
JP2018510746A (ja) 消毒用踏み込みマット
KR101273861B1 (ko)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KR101287946B1 (ko) 먼지흡입장치
KR101318829B1 (ko)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KR101310888B1 (ko)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KR100903404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KR20040055134A (ko) 진공 신발 털이기
KR101278518B1 (ko) 흡입판
KR101428802B1 (ko) 진공 흡입식 발판
KR101533259B1 (ko) 신발바닥 먼지흡입 매트
KR102606170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먼지 흡입 매트
KR101266854B1 (ko) 흡입판
KR20150074780A (ko) 신발바닥 먼지흡입 및 소독 매트
KR20140092581A (ko) 신발 소독장치
KR102640634B1 (ko) 출입이 용이한 에어 샤워장치
JP2020201028A (ja) 集塵装置
KR101270095B1 (ko) 송풍 및 흡입에 의한 살균 여과 장치
KR20140001414U (ko) 이물질 제거용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