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414U - 이물질 제거용 발판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414U
KR20140001414U KR2020120007696U KR20120007696U KR20140001414U KR 20140001414 U KR20140001414 U KR 20140001414U KR 2020120007696 U KR2020120007696 U KR 2020120007696U KR 20120007696 U KR20120007696 U KR 20120007696U KR 20140001414 U KR20140001414 U KR 201400014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oreign material
foreign matter
scaffold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7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414U/ko
Publication of KR20140001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4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4Rigid cleaning-gratings; Tread plates or scrapers for cleaning the soles of foot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물질 제거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신발 밑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신발 밑바닥에 공급하여 신발 밑바닥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물질 제거용 발판은 신발에 묻은 먼지, 빗물 등의 이물질이 깨끗이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가게 하여 실내 오염을 방지토록 하고, 사람이 발판에 올라섰을 때에만 작동 가능하도록 하여 신발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는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며 에너지의 낭비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용 발판{REMOVAL OF FOREIGN SUBSTANCE FOOTSTEPS}
본 고안은 이물질 제거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밑바닥에 묻은 이물질 및 물기를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많은 사람이 출입하게 되는 사무실, 병원, 학교 등과 같은 공공장소 또는 가정의 현관에는 출입자들의 신발에서 흙이나 먼지, 빗물 등의 이물질이 떨어진다. 신발 털이용 발판은 고무판의 상측에 복수 개의 융기 모가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3150호는 신발에 진동을 가하여 이물질 분리를 촉진하고,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흡입부재로 흡입하여 집진부재로 집진을 간단히 수행하는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물질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에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걸림턱에 안치되고 제1유입공을 형성하는 발판부재, 상기 발판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털이솔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신발의 이물질을 털어주며 제2유입공을 형성하는 융단부재, 상기 융단부재에 사람의 신발이 접촉될 때 센서부재로 하중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부재의 감지에 의해 본체를 지지하면서 상부에 진동을 가하여 이물질을 털어주는 털이부재 및 상기 털이부재의 진동에 의해 털어진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배출관로를 통해 흡입되는 흡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신발에 진동을 가하여 이물질 분리를 촉진하고,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흡입부재로 흡입하여 집진부재로 집진을 간단히 수행하므로 실내오염을 최대한 방지하고, 신발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케이스의 중앙부분에 하중을 감지하는 압전소자 또는 레이저소자를 위치시키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하중의 감지가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 내벽면에 다수의 토출공을 형성하여 본체의 구석에 위치한 이물질을 분사하여 이물질을 배출효율을 증진하고, 배출되는 공기를 본체 상체에 위치한 탄성체의 탄성차단돌기에서 공기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배출시 공기가 상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21511호는 신발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실내 오염을 방지하고 실내공기 정화 및 환기가 가능한 다기능 출입구용 신발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판과, 내부에는 상기 상판의 통공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본체를 갖는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배출구와 제 1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이물질을 흡입하여 토출하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갖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와 제 2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와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발판부의 상기 제 2연결관으로부터 분기된 제 3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로부터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공기분사부와 상기 흡입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발판부의 내부에 흡입덕트나 격실을 형성시켜 흡입력이 균일하게 작용하게 함으로써 흡입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실내 공기 중의 미세먼지나 세균, 바이러스까지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신발 털이용 발판은 융기모의 사이에 흙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어 신발에 묻은 흙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거나 신발의 측면에 묻은 흙 등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3150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21511호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신발에 묻은 먼지, 빗물 등의 이물질이 깨끗이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가게 하여 실내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사람이 발판에 올라섰을 때에만 작동 가능하도록 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이물질 제거용 발판은 신발 밑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신발 밑바닥에 공급하여 신발 밑바닥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바닥이 고르고 판판한 기반부, 상기 기반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반부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 부재용 홀, 상기 기반부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신발 밑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내는 이물질 제거 부재 및 상기 기반부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 부재를 감싸고 있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반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 부재용 홀 및 에어 홀을 포함하고, 사람이 신발을 신고 올라설 수 있는 상판,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내측에 위치해 상기 이물질 제거 부재 및 에어 홀을 포함하는 중간판 및 상기 이물질 제거용 발판의 내측에 위치해 상기 상판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모이는 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반부는 상기 상판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해 주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탄력을 가지는 탄력부재 및 상기 지지대의 및 상기 탄력부재를 감싸고 있으며, 내부가 뚫려있는 지지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이물질 제거 부재가 상기 이물질 제거용 홀을 관통할 시, 상기 상판 및 상기 중간판 사이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 부재가 펼쳐지지 않도록 보호해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공급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에어를 공급해 주기 위한 에어가 담겨있는 에어 펌프, 상기 에어펌프에서 공급된 에어를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분사해 주기 위한 분사노즐,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시켜주는 에어 연결부 및 상기 탄력부재가 하중을 받으면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판에 형성되며, 하중을 받으면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 상기 센서부재에서 감지한 신호를 에어 펌프에 전달해 주는 센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용 발판은 신발에 묻은 먼지, 빗물 등의 이물질이 깨끗이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가게 하여 실내가 오염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용 발판은 사람이 발판에 올라섰을 때에만 작동 가능하도록 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용 발판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을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에 사람이 올라간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용 발판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을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용 발판은 이물질 제거부 및 에어 공급부를 포함한다.
이물질 제거부는 기반부, 이물질 제거 부재용 홀(201), 이물질 제거 부재(400) 및 가이드(410)로 구성될 수 있다.
기반부는 바닥이 고르고 판판한 상판(200), 중간판(210) 및 하판(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판(200), 중간판(210) 및 하판(220)은 이물질 및 물기에 접촉되므로 부식이 일어나기 어려운 내식성에 강한 소재를 사용해야 하며, 이러한 소재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둘레를 둘러싼다.
예를 들면, 내식성에 강하고 강도가 큰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판(200)은 사람이 신발을 신고 올라서는 얇은(예를 들면, 2cm 정도)판으로, 기반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사람의 두 발이 올라갈 수 있도록 충분한(예를 들면, 가로, 세로 50cm 정도)크기로 되어있다.
사람이 올라가면 탄력부재(510)의 수축으로 인해 상판(200)은 아래로 내려가고, 상판(200)에서 사람이 내려오면 탄력부재(510)의 팽창으로 인해 상판(200)은 위로 올라간다.
상판(200)은 이물질 제거 부재가 통과하는 이물질 제거용 홀(201) 및 에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통과하는 에어 홀(2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판(210)은 기반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200)과 크기가 같고, 평행하며, 상판(200)과 같이 얇은(예를 들면, 2cm 정도)판으로 되어있을 수 있다.
중간판(210)은 에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통과하는 에어 홀(211), 신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재(400) 및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400)를 감싸는 가이드(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판(220)은 기반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거된 이물질이 모이도록 하는 경사부(230)를 더 포함한다.
경사부(230)에 의해 서랍(222)에 모인 이물질은 서랍(222)을 빼서 제거할 수 있다.
기반부의 상판(200)과 하판(220)의 좌측과 우측에 지지대(520), 탄력부재(510) 및 지지관(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520)는 상판(200)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판(200)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며, 단단한 소재의 합금,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력부재(510)는 지지대(5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520)가 아래로 내려오면 수축되고, 지지대(520)가 위로 올라가면 팽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력부재(510)는 판 스프링으로 되어있어,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지관(500)은 내부가 뚫려있어서 이물질 제거용 발판(100)을 사용하지 않을 시, 탄력부재(510)만 감싸고 있다가 이물질 제거용 발판(100)을 사용할 때에 상판(200)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지지대(520)가 탄력부재(510)를 수축시킬 때, 탄력부재(510) 및 지지대(520)를 감쌀 수 있다.
이물질 제거용 홀(201)은 이물질 제거 부재(4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판(200)에 가로, 세로 일정한 간격으로 뚫려 배치되어있는 구멍으로, 예를 들면, 이물질 제거용 홀(201)은 지름 5 ~ 10cm정도의 원형으로 되어있을 수 있다.
이물질 제거용 홀(201)의 사이에는 에어 홀(202)이 있는데, 에어 홀(202)은 중간판(210)에서 상판(200)으로 에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뚫린 구멍이며, 예를 들면, 에어 홀(202)은 지름 1cm ~ 2cm정도의 원형으로 되어있을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재(400)는 중간판(210)의 하부에서 상부로 부채꼴 모양처럼 형성되어 있으며, 사람이 상판(200)에 올라가지 않았을 때는 가이드(410)에 감싸져 있다가, 상판(200)이 탄력부재(510)의 수축으로 인해 아래로 내려왔을 때, 가이드(410)가 상판(200)에 의해 함께 내려가면서 이물질 제거 부재용 홀(201)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제거부재(400)는 신발 밑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와이어 브러쉬와 같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재(400) 사이에는 에어 홀(211)이 있는데, 에어 홀(211)은 하판(220)에서 중간판(210)으로 에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뚫린 구멍으로, 예를 들면, 에어 홀(211)은 지름 3cm ~ 5cm정도의 원형으로 되어있을 수 있다.
가이드(410)는 중간판(210)의 상부에 부착되어 이물질 제거 부재(400)를 감싸 상판(200) 및 중간판(210) 사이에서 이물질 제거 부재(400)가 펼쳐지지 않도록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410)는 상부와 하부로 나눠져 있는데, 상부의 좌측은 ㄴ자 형상으로 되어있고, 상부의 우측은 ㄴ자가 좌우 대칭된 형상으로 이루어져있으며, 하부의 좌측은 ㄱ자 형상으로 되어있고, 하부의 우측은 ㄱ자가 좌우 대칭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부에 하부가 걸려 빠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가이드(410)의 상부와 가이드(410)의 하부 사이에는 탄력부재가 있어서 상판(200)에 의해 상부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에어 공급부는 에어펌프(300), 분사노즐(310), 에어 연결부(320) 및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펌프(300)는 신발에 묻은 물기를 제거해 주기 위한 에어가 들어있으며, 센서부에서 신호가 오면 에어를 에어 연결부(320)에 공급해줄 수 있다.
분사노즐(310)은 이물질 제거부의 중간판(210) 및 하판(220)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에어펌프(300)에서 공급된 에어를 이물질 제거부에 분사해 줄 수 있다.
에어 연결부(320)는 에어펌프(300) 및 분사노즐(310)을 연결시켜주며, 에어펌프(300)에서 나온 에어는 에어 연결부(320)를 통해서 분사노즐(310)로 전달 해 줄 수 있다.
센서부는 센서부재(600) 및 센서 연결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재(600)는 탄력부재(5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탄력부재(510)에 변화가 생겼을 때,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재(600)는 탄력부재(510)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탄력부재(510)의 수축에 따라 눌리고, 팽창에 따라 펴지는 스위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연결부(610)는 센서부재(600)가 변화를 감지했을 시, 에어펌프(300)가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감지된 신호를 에어 펌프(3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판(200)에 이물질 제거용 홀(201) 및 에어 홀(202)이 있고, 지지대(520)가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판(200) 하부에는 경사면(230)에 걸쳐져 있는 중간판(210)이 있으며, 중간판(210)에는 이물질 제거 부재(400)와 이물질 제거 부재(400)를 감싸고 있는 가이드(410) 및 에어 홀(211)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에 사람이 올라간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판(200)에 사람이 신발을 신고 올라가면, 사람의 하중에 의해서 상판(20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대(520)가 탄력부재(510)를 눌러 수축시킴으로써, 상판(200)이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이때, 상판(200)이 아래로 내려가면, 중간판(210)에 있던 가이드(410)가 함께 아래로 내려가 이물질 제거 부재(400)가 상판(200)에 있는 이물질 제거용 홀(201)을 관통하게 된다.
이때, 탄력부재(510)의 변화를 센서부재(600)가 감지하여, 감지한 신호를 센서 연결부(610)가 에어펌프(300)로 전달해 에어를 에어 연결부(320)를 통해 분사노즐(310)로 이물질 제거부에 공급 할 수 있다.
도 4에서 나타난 화살표는 에어펌프(300)에서 공급 된 에어가 이물질 제거부의 중간판(210) 및 하판(220)의 사이로 들어와, 에어 홀(202,211)을 통해 상판(200)의 상부로 전달되는 형상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이물질 제거용 발판
200,210,220 : 기반부
230 : 경사부
222 : 서랍
201,202,211 : 홀
300,310,320 : 에어 공급부
400 : 이물질 제거용 부재
410 : 가이드
500 : 지지관
510 : 탄력부재
520 : 지지대
600,610 : 센서부

Claims (7)

  1. 신발 밑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신발 밑바닥에 공급하여 신발 밑바닥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는 에어 공급부;
    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바닥이 고르고 판판한 기반부;
    상기 기반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반부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 부재용 홀;
    상기 기반부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신발 밑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내는 이물질 제거 부재; 및
    상기 기반부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 부재를 감싸고 있는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 부재용 홀 및 에어 홀을 포함하고, 사람이 신발을 신고 올라설 수 있는 상판;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내측에 위치해 상기 이물질 제거 부재 및 에어 홀을 포함하는 중간판; 및
    상기 이물질 제거용 발판의 내측에 위치해 상기 상판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모이는 하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부는
    상기 상판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해 주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탄력을 가지는 탄력부재; 및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탄력부재를 감싸고 있으며, 내부가 뚫려있는 지지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이물질 제거 부재가 상기 이물질 제거용 홀을 관통할 시, 상기 상판 및 상기 중간판 사이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 부재가 펼쳐지지 않도록 보호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에어를 공급해 주기 위한 에어가 담겨있는 에어 펌프;
    상기 에어펌프에서 공급된 에어를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분사해 주기 위한 분사노즐;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시켜주는 에어 연결부; 및
    상기 탄력부재가 하중을 받으면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판에 형성되며, 하중을 받으면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
    상기 센서부재에서 감지한 신호를 에어 펌프에 전달해 주는 센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발판.
KR2020120007696U 2012-08-29 2012-08-29 이물질 제거용 발판 KR201400014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96U KR20140001414U (ko) 2012-08-29 2012-08-29 이물질 제거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96U KR20140001414U (ko) 2012-08-29 2012-08-29 이물질 제거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14U true KR20140001414U (ko) 2014-03-10

Family

ID=5244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696U KR20140001414U (ko) 2012-08-29 2012-08-29 이물질 제거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41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1834A (zh) * 2017-11-16 2018-04-13 重庆市璧山区川江金属配件厂 一种汽车踏板清洁装置
KR101890904B1 (ko) * 2018-06-07 2018-08-22 이정신 애완동물 발 세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1834A (zh) * 2017-11-16 2018-04-13 重庆市璧山区川江金属配件厂 一种汽车踏板清洁装置
KR101890904B1 (ko) * 2018-06-07 2018-08-22 이정신 애완동물 발 세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3437B2 (ja) ビーズを用いた塵埃吸引装置
US6532618B2 (en) Floor mat with incorporated vacuum system
KR20110043150A (ko)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US20070271723A1 (en) Door Threshold Vacuum
KR101098103B1 (ko)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KR101124381B1 (ko)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KR102272240B1 (ko) 공동주택 현관 입구의 논슬립 및 공기청정 먼지 흡입 발판
KR20140001414U (ko) 이물질 제거용 발판
KR100496038B1 (ko) 진공 신발 털이기
KR101287946B1 (ko) 먼지흡입장치
KR100821510B1 (ko) 출입구용 진공청소장치
KR101428802B1 (ko) 진공 흡입식 발판
KR101893409B1 (ko)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884333B1 (ko)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KR20140092581A (ko) 신발 소독장치
KR100841258B1 (ko) 신발 털이 장치
US20080173658A1 (en) Device for removing dirty shoe covers
KR200229987Y1 (ko) 신발 털이용 발판
KR200307578Y1 (ko) 진공 신발 털이기
KR101266854B1 (ko) 흡입판
KR102029897B1 (ko) 미끄럼 방지 패드
KR102606170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먼지 흡입 매트
KR102581049B1 (ko)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KR101348781B1 (ko) 신발털이기의 셀 구조
CN113495506B (zh) 防护系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