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409B1 -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409B1
KR101893409B1 KR1020170086248A KR20170086248A KR101893409B1 KR 101893409 B1 KR101893409 B1 KR 101893409B1 KR 1020170086248 A KR1020170086248 A KR 1020170086248A KR 20170086248 A KR20170086248 A KR 20170086248A KR 101893409 B1 KR101893409 B1 KR 101893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chamber
noise reduction
reduction chamber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식
김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Priority to KR102017008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손쉽게 제거됨은 물론, 제거된 이물질이 매트에 흡착되지 않도록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상판과, 상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출입자의 가압에 따라 탄성적으로 상하이동하며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며 이물질을 제거하는 매트볼조립체가 구비된 하판을 포함하는 매트; 및 상기 매트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집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볼조립체는 상부에 상방으로 볼록한 반원구 형태인 매트볼과, 상기 매트볼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면이 방사상의 톱니 형태를 가지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볼조립체는 상부가 하부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매트볼조립체의 내부나 스프링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고 매트내부의 진공면적을 줄이므로 집진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shoes}
본 발명은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발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흡착되지 않으면서 흡입이 용이하고 소음이 저감되는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공장, 학교, 빌딩 등과 같은 각종 시설의 출입구 바닥에는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가 설치되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고자 한다.
종래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는 다수의 유입공이 상판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기와 진공흡입력을 생성하는 모터로 이루어진 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의 경우 유입공이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흡입수단이 작동되는바, 출입자가 상판 위에서 이물질을 털고 지나가더라도 신발에 이물질이 그대로 남아 실내를 오염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출입자가 올라서 있는 경우에만 흡입구의 개폐수단이 작동되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5134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제시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공(11a)이 형성된 상판(11)을 포함하며 내부 공간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상판(11)의 통공에 삽입 설치되어 상부로부터 하중 압력이 가해질 경우 개별적으로 흡입통로가 열려지기 위한 다수의 흡입구 개폐수단(20)과, 상기 본체(10) 내부 공간에 유입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임펠러(31)와 상기 임펠러(31)의 구동모터(33)와 상기 본체(10) 내부 공간으로부터 연결된 흡입관(37)과 임펠러(31) 상에 구비되는 이물질 포집주머니(35)로 이루어진 흡입 구동부(30)와, 상기 본체(10)의 하방 일측에 설치되어 상판(11)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부(40)와, 상기 상판(11) 위에 덮여지는 통기성 필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인용발명에서의 흡입구 개폐수단(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스프링 탄지부가 형성된 베이스부(21a)와, 상기 베이스부(21a)의 상부에 상기 상판의 통공(11a)에 삽입되며 주면이 요철형성된 요철통로부(21b)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개폐자(21)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12)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개폐자(21)를 탄력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23)과, 상기 개폐자(21)의 베이스부(21a) 상면에 부여되는 패킹(25)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스프링(23)에 의해 출입자가 올라서 있는 경우에만 흡입구의 개폐수단(20)이 작동하기는 하나, 상판(11) 위에 통기성 필터(50)가 덮여 있어 흡입구의 개폐수단(20)에 의한 이물질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통공(11a)으로 빠져나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인용발명에서 통기성 필터(50)를 제외하더라도 흡입구 개폐수단(20)을 구성하는 요철통로부(21b)의 상단면은 소정의 모양을 형성하고 있기는 하나 평평한 상태이므로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손쉽게 제거됨은 물론, 제거된 이물질이 매트에 흡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음이 효과적으로 저감되는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는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상판과, 상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출입자의 가압에 따라 탄성적으로 상하이동하며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며 이물질을 제거하는 매트볼조립체가 구비된 하판을 포함하는 매트; 및 상기 매트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집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볼조립체는 상부에 상방으로 볼록한 반원구 형태인 매트볼과, 상기 매트볼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면이 방사상의 톱니 형태를 가지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판에는 다수의 체결홈이 형성되되, 상기 매트볼조립체는 상방로 개구된 원통 형태로 하부에 상기 체결홈과 억지끼움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스프링수용구와, 상기 스프링수용구 내에 구비되어 매트볼을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매트볼의 하부에 흡입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개구된 원통 형태로 상기 스프링수용구 및 스프링을 감싸도록 형성된 이동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트볼조립체는 상부가 하부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매트볼조립체의 내부나 스프링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하판은 일측에 집진기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주흡입구가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조명바가 매트볼조립체가 구비되지 않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되, 상기 조명바는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주흡입구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이물질의 흡입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매트는 측면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집진기 내에 구비된 집진모터의 공회전시 과열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매트는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며, 상판 모서리(250)를 둥글게 라운딩 처리하여 출입자가 사용시 하중에 의한 상판 모서리 터짐현상을 방지하고 매트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이 방사상의 톱니 형태를 가지는 이물질 제거부를 통해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손쉽게 제거되고, 제거된 이물질은 상방으로 볼록한 반원구 형태인 매트볼을 따라 매트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되어 매트볼조립체에 이물질이 흡착되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수용구와 하판과의 결합을 통해 매트볼조립체가 스프링에 의한 안정적인 상하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스프링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끼지않고 다수개의 볼조립체가 일체형의 공간을 가지고 있어서 매트내의 공간을 줄이는 역할을 하여 진공도를 높인다. 조명바 설치를 통해 출입자에 대한 편의제공과 더불어 이물질이 집진기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여(공기의 속도를 높이는 역할) 매트 내에 이물질이 흡착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종래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에 적용된 개폐수단(20)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에 적용되는 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에 적용되는 매트볼조립체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에 적용되는 매트볼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에 적용되는 매트볼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에 적용되는 매트볼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에 적용되는 하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에 적용되는 집진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손쉽게 제거됨은 물론, 제거된 이물질이 매트에 흡착되지 않도록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상판과, 상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출입자의 가압에 따라 탄성적으로 상하이동하며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며 이물질을 제거하는 매트볼조립체가 구비된 하판을 포함하는 매트; 및 상기 매트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집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볼조립체는 상부에 상방으로 볼록한 반원구 형태인 매트볼과, 상기 매트볼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면이 방사상의 톱니 형태를 가지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가 올라서서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는 매트(A)와, 상기 매트(A)와 연결되어 내부에 구비된 집진모터(410)를 통해 매트(A)로 흡입력을 제공하여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한 후, 이물질을 모으고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B)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A)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다수의 흡입공(110)이 형성된 상판(100)과, 상기 흡입공(110)을 개폐하며 이물질을 제거하는 매트볼조립체(210)가 구비되어 상기 상판(100)에 하방으로 결합되는 하판(200)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100)은 흡입공(110) 뿐만 아니라, 추후 설명할 조명바(230)가 하판(200)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조명바(23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조명바(230)에 대응되도록 관통된 조명설치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판(200)에 구비되는 매트볼조립체(2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매트볼조립체(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상판(100)에 형성된 흡입공(110)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출입자의 가압에 따라 탄성적으로 상하이동한다. 즉, 출입자가 매트(A)에 올라서는 경우 출입자의 체중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매트볼조립체(210)의 상부는 아래로 이동하게 되며, 출입자가 이동하는 경우 아래로 이동된 매트볼조립체(210)의 상부는 위로 이동하며 원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매트볼조립체(210)의 상부가 상하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공(110)을 개폐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트볼조립체(210)의 상부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볼록한 반원구 형태를 가지는 매트볼(211)과, 상기 매트볼(21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이물질제거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212)는 출입자가 매트(A) 위에 올라설 시, 신발과 가장 처음으로 맞닿게 되며, 상면이 방사상의 톱니 형태를 가지므로,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긁어내며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이물질제거부(212)를 통해 손쉽게 제거된 이물질은 매트볼(211)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내려가며 매트(A)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거된 이물질은 매트볼조립체(210)에 흡착되지 않고 매트(A)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매트볼조립체(210) 중 상기 이물질제거부(212)에서의 이물질 흡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물질제거부(212)는 하방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형태, 즉 원뿔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물질제거부(212)의 경사가 과도한 경우 출입자가 딛고 서는 경우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소정의 경사란 5~20°정도 경사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매트볼조립체(210)는 매트볼(211)의 탄성적인 이동을 위해 스프링(2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214)은 하판(200)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14)을 하판(200)에 고정시키는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200)에는 다수의 체결홈(10)이 형성되고, 상방으로 개구된 원통 형태로 하부에 상기 체결홈(10)과 억지끼움되는 체결돌기(20)가 형성된 스프링수용구(213)에 의해 고정될 수 있어 안정성과 제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볼조립체(21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개구된 원통 형태로 상기 스프링수용구(213) 및 스프링(214)을 감싸도록 상기 매트볼(211)의 하부에 형성된 이동구(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14)은 스프링수용구(213)와 이동구(215)에 의해 전체가 수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바, 매트볼조립체(210)의 상부, 즉 매트볼(211), 이물질제거부(212) 및 이동구(215)가 상하이동하는 과정에서 분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구(215)는 흡입공(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구(215)를 포함하는 매트볼조립체(210)를 하판(200)과 상판(100)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구(215)의 상단면은 상판(100)의 하단면과 맞닿게 되고 상기 흡입공(110)을 통해 매트볼(211)과 이물질제거부(212)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흡입공(110)보다 직경이 큰 이동구(215)에 의해 상기 매트볼(211) 및 이물질제거부(212)가 과도하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214)의 탄성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하판(20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B)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주흡입구(220)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주흡입구(220)는 집진기(B)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직접 또는 호스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매트볼조립체(210)를 통해 매트(A) 내부로 떨어진 이물질은 집진기(B)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주흡입구(220)로 모이게 되며, 하판(200)에 설치된 다수의 매트볼조립체(210) 사이로 형성된 통로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는 어두운 상황이나 비상상황에서 출입자를 유도할 수 있도록 조명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하판(200)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조명바(2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바(23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매트볼조립체(210)가 구비되지 않는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시 하판(200)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판(200)의 가장자리와 조명바(230) 사이에 이물질이 이동되는 흡입통로(240)가 형성되어, 이물질의 주흡입구(220)로의 이동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바(230)는 주흡입구(220)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주흡입구(220)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하판(200)의 가장자리로 떨어진 이물질까지 매트(A)에 흡착되지 않고 집진기(B)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바(230)와 하판(200)의 가장자리 간의 이격된 정도는 일정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상기 조명바(230)가 주흡입구(230) 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작아지도록 또는 넓어지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매트(A)의 측면(또는 가장자리)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집진기(B)내에 구비된 집진모터(410)가 공회전을 하는 경우 공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식히기 위함이다. 즉, 집진모터(410)의 과열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집진기(B)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A)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모이는 포집실(300)과, 상기 포집실(300)의 일측에 형성되고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모터(410)가 구비된 모터실(400)을 포함하며, 이물질을 흡입하고 공기를 배출함에 있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실(500)과, 상기 포집실(300), 모터실(400) 및 소음저감실(500)을 감싸는 집진기커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기(B)에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내부에 흡음보드(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포집실(300), 모터실(400), 소음저감실(500) 및 집진기커버(600) 내측에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보드(30)가 구비될 수 있다. 소음저감실(500)에는 흡음보드(30)과 다른 소재의 흡음보드를 사용하며, 소음저감을 위해 이 흡음보드에 S자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공기유통로를 만든다. 다만, 소음저감실(500)의 경우 공기의 순환을 통해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집실(300), 모터실(400) 및 집진기커버(600)에 흡음보드(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진기(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50), 카메라(60), 스피커(70), 조명(80) 등이 구비되어 출입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50)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여 출입자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집진기(B)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60)는 출입자의 모습을 촬영하여 녹화함으로써 수상한 출입자의 출입을 방지하고 비상상황 발생시 녹화영상을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60)는 출입자에게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비상시 대피요령 등과 같은 안내음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80)은 어두운 상황이나 화재 등 긴급상황 발생시 출입자의 긴급대피를 위해 출입문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포집실(30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흡입구(330)가 형성되어, 매트(A)의 주흡입구(2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상기 흡입구는 포집실(300)의 내측에 구비된 이물질봉투(340)에 연결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을 이물질봉투 내로 포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와 인접한 포집실(300)의 내측에는 이물질봉투를 고정시키기 위한 이물질봉투지지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실(300)에는 센서타이머컨트롤러(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타이머컨트롤러(320)를 통해 집진모터의 작동여부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모터실(400)에는 집진모터(410)가 포집실(300)과 인접하여 구비되며, 포집실(30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모터실(400)로 이동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외부로의 배출은 상기 모터실(400)의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420)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배기구(420)의 형성 위치는 상기 소음저감실(500)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는 소음저감실(50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소음저감실(5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이 집중되는 모터실(400)을 둘러싸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실(4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소음저감실(500)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소음저감실(50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지점에 헤파필터(40)가 구비되어 외부로 유해한 미세먼지가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음저감실(5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소음저감실은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실(400)과 포집실(300)의 하방에 설치되는 제1 소음저감실(500a)과, 상기 제1 소음저감실(500a)과 연통되며 상기 모터실(400)의 측방과 상방에 설치되는 제2 소음저감실(5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소음저감실(500)은 모터실(400)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뿐만 아니라, 모터실(400)과 인접하여 소음 저감이 필요한 포집실(300)의 일부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므로 소음저감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소음저감실(500a)에 형성된 유로(510a)가 제2 소음저감실(500b)에 형성된 유로(510b)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소음저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제1 소음저감실(500a)에 형성된 유로(510a)와 제2 소음저감실(500b)에 형성된 유로(510b)의 형태는 다양하게 제작 될 수 있다. 제1 소음저감실(500a)의 경우 포집실(300)과 모터실(400)의 하방에 설치되고 모터실(400)에 형성된 배기구(420)가 모터실(400)의 하단에 제1 소음저감실(500a)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므로, 공기가 제1 소음저감실(500a)로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서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할 필요가 있는바, 제1 소음저감실(500a)에 형성된 유로(510b)를 좁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경우, 상기 배기구(420)를 통해 제1 소음저감실(500a)로 들어온 공기는 모터실(400)의 하방, 포집실(400)의 하방, 다시 모터실(400)의 하방을 거쳐 모터실(400)의 측방과 상방을 거쳐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즉, 집진기(B) 내 공기 순환을 통해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A : 매트 B : 집진기
10 : 체결홈 20 : 체결돌기
30 : 흡음보드 40 : 헤파필터
50 : 센서 60 : 카메라
70 : 스피커 80 : 조명
100 : 상판 110 : 흡입공
120 : 조명설치공 130 : 유입공
200 : 하판 210 : 매트볼조립체
211 : 매트볼 212 : 이물질제거부
213 : 스프링수용구 214 : 스프링
215 : 이동구 220 : 주흡입구
230 : 조명바 240 : 흡입통로
250 : 둥근모서리
300 : 포집실 310 : 이물질봉투지지대
320 : 센서타이머컨트롤러 330 : 흡입구
340 : 포집봉투
400 : 모터실 410 : 집진모터
420 : 배기구
500 : 소음저감실 500a : 제1 소음저감실
500b : 제2 소음저감실 510(510a, 510b) : 유로
600 : 집진기커버

Claims (4)

  1. 다수의 흡입공(110)이 형성된 상판(100)과, 상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출입자의 가압에 따라 탄성적으로 상하이동하며 상기 흡입공(110)을 개폐하며 이물질을 제거하는 매트볼조립체(210)가 구비된 하판(200)을 포함하는 매트(A); 및 상기 매트(A)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집진기(B);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볼조립체(210)는 상부에 상방으로 볼록한 반원구 형태인 매트볼(211)과, 상기 매트볼(21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면이 방사상의 톱니 형태를 가지는 이물질제거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200)에는 다수의 체결홈(10)이 형성되되,
    상기 매트볼조립체(210)는 상방으로 개구된 원통 형태로 하부에 상기 체결홈(10)과 억지끼움되는 체결돌기(20)가 형성된 스프링수용구(213)와, 상기 스프링수용구(213) 내에 구비되어 매트볼(211)을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214)과, 상기 매트볼(211)의 하부에 흡입공(1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개구된 원통 형태로 상기 스프링수용구(213) 및 스프링(214)을 감싸도록 형성된 이동구(2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판(200)은 일측에 집진기(B)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주흡입구(220)가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조명바(230)가 매트볼조립체(210)가 구비되지 않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되,
    상기 조명바(230)는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주흡입구(220)의 양측으로 설치되되, 상기 조명바(230)와 하판(200)의 가장자리 간의 이격은 주흡입구(220)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이물질의 흡입통로(240)를 형성하고,
    상기 매트(A)는 측면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130)이 형성되어, 집진기(B) 내에 구비된 집진모터(410)의 공회전시 과열현상을 방지하며,
    상기 이물질제거부(212)는, 하방으로 5~20°의 경사를 갖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집진기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모이는 포집실(300);
    상기 포집실(3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집진모터(410)가 구비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모터실(400)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실(4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모터실(400)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소음저감실(500)에 형성된 유로(510)를 따라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포집실(300), 모터실(400) 및 소음저감실(500)을 감싸는 집진기커버(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실(300), 모터실(400) 및 집진기커버(600)에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보드(30)가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소음저감실(500)은 모터실(400)과 포집실(300)의 하방에 설치된 제1 소음저감실(500a)과, 상기 제1 소음저감실(500a)과 연통되며 상기 모터실(400)의 측방과 상방에 설치된 제2 소음저감실(500b)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소음저감실(500a)은 'U'자 형상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소음저감실(500b)은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되, 일면은 상기 제1 소음저감실(500a)과 수직을 이루어 상기 제1 소음저감실(500a)과 상기 제2 소음저감실(500b)의 전체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 소음저감실(500a)에 형성된 유로(510a)는 제2 소음저감실(500b)에 형성된 유로(510b)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흡음보드(30)에는 S자 형상의 공기유통로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86248A 2017-07-07 2017-07-07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893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248A KR101893409B1 (ko) 2017-07-07 2017-07-07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248A KR101893409B1 (ko) 2017-07-07 2017-07-07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409B1 true KR101893409B1 (ko) 2018-08-30

Family

ID=6345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248A KR101893409B1 (ko) 2017-07-07 2017-07-07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4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936B1 (ko) * 2020-05-15 2021-07-30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이중필터를 적용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313693B1 (ko) * 2021-05-06 2021-10-18 이병문 버스 출입자 정보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집진 발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5601A (ko) * 2022-02-21 2023-08-29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2859B2 (ja) * 2000-02-15 2003-10-06 株式会社パイオニア風力機 除塵装置
KR101287946B1 (ko) * 2013-04-08 2013-07-19 이수영 먼지흡입장치
KR101627330B1 (ko) *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2859B2 (ja) * 2000-02-15 2003-10-06 株式会社パイオニア風力機 除塵装置
KR101287946B1 (ko) * 2013-04-08 2013-07-19 이수영 먼지흡입장치
KR101627330B1 (ko) *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936B1 (ko) * 2020-05-15 2021-07-30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이중필터를 적용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WO2021230437A1 (ko) * 2020-05-15 2021-11-18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이중필터를 적용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313693B1 (ko) * 2021-05-06 2021-10-18 이병문 버스 출입자 정보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집진 발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5601A (ko) * 2022-02-21 2023-08-29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KR102581049B1 (ko) 2022-02-21 2023-09-21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409B1 (ko)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275299B1 (ko) 에어 워셔
RU2666299C1 (ru) Вентилятор в сборе
JP7203437B2 (ja) ビーズを用いた塵埃吸引装置
KR101539020B1 (ko) 저소음 저발열 구조의 클린룸 진공청소기
US10791861B2 (en) Shoe cover removal apparatus
KR20190023212A (ko) 공기청정기
US20070199288A1 (en) Filter system for an air cleaner
JP3141997U (ja) 害虫捕獲器
KR20200072436A (ko) 네일 관리시 발생하는 분진 흡입장치
TWI507646B (zh) 空氣清淨機
KR101273861B1 (ko)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JP2007212073A (ja) 換気装置
KR100821510B1 (ko) 출입구용 진공청소장치
KR101287946B1 (ko) 먼지흡입장치
KR100496038B1 (ko) 진공 신발 털이기
KR20200108769A (ko) 환풍기 역류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풍기.
JP6268269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KR102094801B1 (ko) 신발 청소 장치
KR102051252B1 (ko) 환풍기 역류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풍기.
JP5466446B2 (ja) 花粉除去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建物
KR102283936B1 (ko) 이중필터를 적용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KR20210121928A (ko) 공기청정기
KR200418435Y1 (ko) 렌지 후드
KR200307578Y1 (ko) 진공 신발 털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