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946B1 - 먼지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먼지흡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7946B1 KR101287946B1 KR1020130038110A KR20130038110A KR101287946B1 KR 101287946 B1 KR101287946 B1 KR 101287946B1 KR 1020130038110 A KR1020130038110 A KR 1020130038110A KR 20130038110 A KR20130038110 A KR 20130038110A KR 101287946 B1 KR101287946 B1 KR 1012879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device
- unit
- dust suction
- housing
- inlet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먼지흡입장치로서, 상기 먼지흡입장치는, 상부에 복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된 하우징;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에 연결되는 헤드, 및 상기 바디의 둘레에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을 상향 가압하며 탄성 지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유닛의 상향 가압에 의해, 상기 바디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유입홀 각각의 내측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유입홀 상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유입홀을 폐쇄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유입홀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헤드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하향 이동되면 개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원은 먼지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대형 쇼핑몰, 공장, 아파드 등과 같은 건물의 출입구에는 신발 밑창에 묻어 있는 흙과 같은 먼지 등을 털어낼 수 있도록 발판, 매트 등이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발판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격판과,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격판이 격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매트는 수분이나 먼지를 흡착하기 위해 대부분 직물로 이루어진 매트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판이나 매트는 사용자가 직접 다리를 움직여 신발에 묻은 흙과 같은 먼지 등을 털어내야만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매트는 먼지가 흡착된 후에 곰팡이가 발생될 수 있고, 청결 유지를 위해서 주기적인 소독 또는 세탁이 필요하며, 매트 자체의 형태 변형 등으로 인해 사용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과 관련하여, 일본 공개 특허 특개2001-224548호(발명의 명칭: 제진 장치)에는 원형 흡입구가 형성된 흡진 박스의 내부에, 원형 흡입구를 막도록 흡진 박스의 외부로 돌출된 반구면상의 상면을 갖는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반구면상의 상면이 눌러졌을 때 원형 흡입구와 반구면상의 상면과의 사이에 생긴 틈으로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하는 제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제진 장치는 원형 흡입구의 개폐가 가동부재의 반구면상의 상면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반구면상의 상면이 원형 흡입구를 빈틈없이 막고 있어, 가동부재를 비스듬하게 누를 경우, 가동부재가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이동되면서 정위치(반구면상의 상면의 중심이 원형 흡입구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로 되돌아오지 못하고 원형 흡입구에 대하여 치우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렇게 비스듬한 외력의 작용이 수차례 반복되다 보면 반구면상의 상면이 이동 경로를 이탈하여 흡진 박스 내에 끼이게 될 수도 있었다. 즉, 다양한 방향의 외력 작용에 대하여 원형 흡입구의 개폐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지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동부재를 비스듬하게 누를 경우, 반구면상의 상면이 원형 흡입구의 둘레에 걸려 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물질의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유입홀을 개폐하는 부재가 비스듬한 방향의 외력을 받으면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거나, 하방으로 이동되더라도 흡진 박스 내부에 끼이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한 먼지흡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먼지흡입장치는, 상부에 복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된 하우징;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에 연결되는 헤드, 및 상기 바디의 둘레에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을 상향 가압하며 탄성 지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유닛의 상향 가압에 의해, 상기 바디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유입홀 각각의 내측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유입홀 상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유입홀을 폐쇄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유입홀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헤드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하향 이동되면 개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유닛은, 하향 이동 시 상기 하우징의 상측과 내부가 상기 유입홀을 통해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홀의 내주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구동유닛이 유입홀 상으로 돌출되는 부분과 별도로 유입홀을 개폐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구동유닛과 유입홀의 내주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어, 구동유닛이 비스듬하게 하강하여 정위치로 되돌아오지 못하거나 하우징 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비스듬한 방향에서 가압되더라도 원활하게 하향 이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흡입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흡입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흡입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흡입장치에 포함된 구동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흡입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흡입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흡입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흡입장치에 포함된 구동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흡입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보았을 때 위쪽이 상측, 아래쪽이 하측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의 다양한 실제적인 적용에 있어서는, 상측이 비스듬히 바라보게 되는 방향과 같이 전반적으로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흡입장치(1)(이하 '본 먼지흡입장치(1)'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먼지흡입장치(1)는, 외부에서 실내로 들어오는 출입구에 구비되는 경우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 먼지흡입장치(1)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같이, 원하지 않는 곳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먼지흡입장치(1)는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내부 영역은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영역 각각은 독립된 영역으로 분할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분할된 각각의 영역마다 개별적으로 이물질을 빨아들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100)의 내부가 분할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각각의 영역에 보다 강한 흡입력이 전달될 수 있어, 배출을 위한 이물질의 유동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영역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50)으로 분할될 수 있다. 격벽(15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내부 영역을 수평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복수개로 구획된 하우징(100)의 내부 영역 각각으로부터 나오는 이물질이 모이도록 각각의 영역과 연결되는 이물질 배출구(17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배출구(17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배출구(170)는 일측이 집진기(7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물질 배출구(170)는 집진기(700)의 흡입력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 영역 각각으로부터 이물질을 모아, 이를 집진기(700)로 보낼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부에 복수개의 유입홀(111)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입홀(111)은 신발(S) 밑창 등에 묻어 있는 흙과 같은 이물질이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복수개의 유입홀(111)은 하우징(10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먼지흡입장치(1)가 병원, 대형 쇼핑몰, 백화점 등과 같이 유동 인구가 많은 건물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경우, 유입홀(111)은 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소정의 간격은 동일한 간격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간격일 수도 있다.
유입홀(111)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111)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먼지흡입장치(1)가 병원, 대형 쇼핑몰, 백화점 등에 구비되는 경우, 유동 인구수가 많으므로 유입홀(111)은 보다 많은 양의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비교적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유입홀(111)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유입홀(111)의 크기는 유입홀(111)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개의 유입홀(111)은 모두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각각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유입홀(111)은 하우징(100)의 상측으로부터 헤드(330)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지지부재(350)가 하향 이동되면 개방된다.
여기서, 헤드(330)에 가해진 압력은 하우징(100)의 상측에서 헤드(330)를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가해진 압력일 수도 있고, 연직 방향으로 가해진 압력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신발(S)이 헤드(330)를 누르면, 탄성유닛(500)에 의해 구동유닛(300) 전체가 하측으로 탄성이동 된다. 이에 따라, 유입홀(111)의 하측을 막고 있는 지지부재(350)가 하측으로 탄성 이동되어 유입홀(111)의 하측과 이격됨으로써, 유입홀(111)이 개방되고, 개방된 유입홀(111)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흡입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입홀(111)의 상부 둘레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발(S)에 묻어있는 이물질의 일부는 상판(110) 상에 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판(110) 상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그대로 방치해두면 원하지 않는 곳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떨어질 염려가 있다.
이에, 유입홀(111)의 상부 둘레를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이물질이 유입홀(111)의 내주면에 의해 흘러 들어와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원하지 않는 곳에 존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유입홀(111)이 형성된 상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유입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유닛(131)을 구비하는 하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판(110)과 하판(130)은 사이에 구동유닛(300)과 탄성유닛(500)이 구비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먼지흡입장치(1)의 수명 연장을 위해, 상판(110) 및 하판(130)은 높은 강성과 내부식성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판(110) 및 하판(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플라스틱 사출물에는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성분, 항균 기능을 갖는 성분, 탈취 기능을 갖는 성분 등이 함유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흡입장치(1)가 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판(110)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먼지흡입장치(1)의 작동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흡입장치(1)의 작동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예를 들어, 상판(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예를 들어, LED, LCD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판(110)에는 무드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돌출유닛(131)은 하판(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판(1315)과 돌출유닛(131)은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출유닛(131)은 더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고, 돌출유닛(131)의 하단과 하판(130) 사이에 틈이 형성될 여지가 없으므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돌출유닛(131)은 탄성유닛(500)을 탑재할 수 있다.
돌출유닛(131)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내측에 탄성유닛(500)을 탑재할 수도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돌기형상 등과 같이 탄성유닛(500)의 하부가 꽂힐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탄성유닛(500)은 유입홀(111)의 하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유닛(500)은 유입홀(111)에 삽입되는 후술하는 구동유닛(300)이 탄성 이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돌출유닛(131)의 상단면에는 탄성유닛(500)의 하부가 삽입되는 돌출유닛홈(13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유닛(500)의 하부는 돌출유닛(131)의 내측에 탑재될 수 있다.
신발(S)의 밑창에는 흙, 먼지뿐만 아니라,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묻을 수 있다. 신발(S)의 밑창이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묻은 상태에서 구동유닛(300)과 접촉될 경우, 이러한 이물질은 유입홀(111)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탄성유닛(500)은 구동유닛(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이 높은 금속 물질로 제조된다. 하지만, 이러한 금속으로 제조된 탄성유닛(500)에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묻을 경우, 탄성유닛(500)은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유닛(500)의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먼지흡입장치(1)는 탄성유닛(500)을 돌출유닛홈(1313)에 삽입하여 돌출유닛(131)의 내측에 탑재함으로써,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탄성유닛(500)으로 유입되어 탄성유닛(50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유닛(500)을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교체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돌출유닛홈(1313)의 바닥면에는 탄성유닛(500)의 하단이 고정 체결되는 체결부(131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탄성유닛(500)의 하단이 체결부(1315)에 꽂힘으로써, 탄성유닛(500)이 이탈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유닛(300)을 안정적으로 상향 가압하며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체결부(1315)는, 예를 들어, 돌출유닛(131) 및 하판(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밀성을 높일 수 있고, 체결부(1315)를 보다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돌출유닛(131)은, 구동유닛(300)의 상하 방향의 탄성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외주면이 바디홈(313)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바디홈(313)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된다는 것은, 도 3을 참조하면, 구동유닛(300)의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 이동 시, 돌출유닛(131)의 외주면과 바디홈(313)의 내주면이, 소정의 접촉 관계를 유지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일부만이 접촉되거나, 마찰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공차를 두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접촉된 정도나 공차의 정도는, 구동유닛(300)의 탄성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을 정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바디홈(313)의 내주면이 이와 마주보는 돌출유닛(131)의 외주면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구동유닛(300)이 탄성 이동되는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돌출유닛(131)의 외주면과 바디홈(313)의 내주면은, 지지부재(350)에 의하여 유입홀(111)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방향으로 일부 중첩된다는 것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출유닛(131)의 외주면 일부와 바디홈(313)의 내주면 일부가 서로 마주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먼지흡입장치(1)가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 유입홀(111)이 개방된 순간에 유입홀(111)을 통해 많은 양의 빗물이 한꺼번에 유입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에 물이 차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홀(111)을 통해 들어오는 수분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량이 많아 돌출유닛홈(1313)으로 들어오게 되는 경우에는 탄성유닛(500)이 돌출유닛(131)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만으로 탄성유닛(5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없다.
이에, 탄성유닛(500)은 바디홈(313)과 돌출유닛홈(1313)의 내에서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유닛(500)이 물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돌출유닛홈(1313)으로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유입홀(111)이 폐쇄된 상태에서 돌출유닛(131)의 외주면 일부와 바디홈(313)의 내주면 일부는 밀착될 수 있다.
본 먼지흡입장치(1)는 구동유닛(300)을 포함한다.
구동유닛(300)은 바디(31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탄성유닛(500)의 상향 가압에 의해, 바디(310)는 하우징(100) 내에서 유입홀(111) 각각의 내측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바디(310)는 헤드(33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하측으로 탄성 이동 된다.
또한, 구동유닛(300)은 바디(310)의 상측에 연결되는 헤드(330)를 포함한다.
탄성유닛(500)의 상향 가압에 의해, 헤드(300)는 유입홀(111) 상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헤드(330)는 하우징(100)의 상측으로부터 신발(S)의 밑창 등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헤드(33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하측으로 탄성이동 된다.
헤드(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재(331)를 제외한 단면이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헤드(330)의 단면은, 예를 들어,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일 수도 있다.
헤드(330)는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유입홀(111)의 내측으로 탄성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유입홀(111)의 두께(b)는 헤드(330)의 두께(a)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유입홀(111)의 두께(b)라 함은, 유입홀(111)이 형성되는 상하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는 경우에 따라, 하우징(100)의 상판(110) 중, 유입홀(111)이 형성된 부분의 상판(110)의 두께로 이해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330)의 두께(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30)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부재(331)를 포함한 두께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입홀(111)의 두께(b)가 헤드(330)의 두께(a) 보다 큰 경우, 헤드(330)에 압력이 가해져 하향으로 이동할 때, 헤드(330)가 유입홀(111)의 하측으로 빠져나오지 않고, 유입홀(111) 내에서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상측으로부터 압력을 받은 헤드(330)가 유입홀(111)의 하측으로 빠져나와 하우징(100) 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헤드(330)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33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331)는 신발(S)의 밑창과 접촉되면서 밑창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재(331)는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출부재(331)의 사이에 형성된 홈의 바닥면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출부재(331)에 의해 신발(S)의 밑창으로부터 제거되어 돌출부재(331)의 사이에 형성된 홈의 바닥면에 떨어진 이물질이 유입홀(111) 쪽으로 흘러 들어감으로써, 이물질이 보다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다.
돌출부재(331)는 방사상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돌출부재(331)는 브러쉬일 수도 있다.
또한, 구동유닛(300)은 지지부재(35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350)는 바디(310)의 둘레에 형성된다.
탄성유닛(500)의 상향 가압에 의해, 지지부재(350)는 유입홀(111)을 폐쇄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즉, 지지부재(350)는 탄성 이동되면서 유입홀(111)을 하측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재(350)는, 헤드(330)가 눌러지는 경우 바디(310)와 함께 하측으로 탄성 이동되어 유입홀(111)을 개방하고, 헤드(330)가 눌러지는 상태가 아닌 경우 탄성유닛(500)에 의해 바디(310)가 상향 가압되어 함께 상측으로 탄성 이동됨으로써 유입홀(111)을 폐쇄한다.
종래의 제진 장치는 가동부재의 반구면상의 상면에 의해 흡입구가 개폐되는 반면, 본 먼지흡입장치(1)는 유입홀(111) 상으로 돌출되는 구동유닛(300)의 일부와는 별도로, 구동유닛(300)의 둘레에 형성된 지지부재(350)를 통해 유입홀(111)을 개폐한다.
본 먼지흡입장치(1)는 지지부재(350)가 평소에는 유입홀(111)을 폐쇄하고 있다가, 하우징(100)의 상측으로부터 헤드(330)에 압력이 가해지면 하향 이동되어 유입홀(111)을 개방한다. 즉, 구동유닛(300)은 지지부재(350)가 하향 이동되면 유입홀(111)을 통해 하우징(100)의 상부와 내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유입홀(111)과의 사이에 갭을 갖거나 그 내부에 연통되는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갭 또는 통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틈(1111)일 수 있다.
지지부재(350)의 상면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350)의 상면에 고무패킹이 구비되거나, 고무가 코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부재(350)는 상판(110)의 하면과 보다 밀착될 수 있고, 지지부재(350)가 상판(110)의 하면과 반복적으로 접촉되는 경우에도 지지부재(350)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헤드(330), 바디(310), 및 지지부재(3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이하게 구동유닛(300)이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헤드(330), 바디(310), 및 지지부재(350) 모두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헤드(330)와 바디(310) 또는 바디(310)와 지지부재(35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330)는 항균 기능을 갖는 성분,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성분, 광촉매 탈취 기능을 갖는 성분 등이 포함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유닛(300)은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바디(310)와 지지부재(350)도 이러한 성분이 포함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310), 및 지지부재(3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는 광촉매 살균 탈취 기능을 갖는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이물질이 흡입되어 많은 오염물질이 존재하므로, 바디(310) 및 지지부재(350)의 내부가 보다 빠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구동유닛(300)은, 하향 이동 시, 하우징(100)의 상측과 내부가 유입홀(111)을 통해 연통될 수 있도록, 유입홀(111)의 내주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1111)을 가질 수 있다.
종래의 제진 장치는 가동부재의 반구면상의 상면에 의해 흡입구가 개폐되므로, 반구면상의 상면이 흡입구를 빈틈없이 막고 있어, 반구면상의 상면을 비스듬하게 누를 경우 가동부재가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이동되면서 정위치(반구면의 중심이 원형 흡입구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로 되돌아오지 못하고 원형 흡입구에 대하여 치우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비스듬한 외력의 작용이 수차례 반복되는 경우, 반구면상의 상면이 이동 경로를 이탈하여 흡진 박스 내에 끼이게 될 수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가동부재를 비스듬하게 누를 경우, 반구면상의 상면이 원형 흡입구의 둘레에 걸려 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제진 장치는 다양한 방향의 외력 작용에 대하여 원형 흡입구의 개폐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기 어렵고, 이물질을 제대로 흡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먼지흡입장치(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300)과 유입홀(111)의 내주와의 사이에 틈(1111)이 형성되므로, 구동유닛(300)이 비스듬하게 하강하여 정위치를 이탈하거나, 하우징(100) 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먼지흡입장치(1)는 비스듬한 방향에서 구동유닛(300)을 가압하여도 구동유닛(300)이 유입홀(111)의 둘레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하향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먼지흡입장치(1)는 다양한 방향의 외력 작용에 대하여 유입홀(111)의 개폐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물질을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다.
틈(1111)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틈(111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약간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유닛(300)의 하단면에는 탄성유닛(500)의 상부가 삽입되는 바디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탄성유닛(500)의 상부는 구동유닛(300)의 내측에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홀(111)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들어오는 이물질이 탄성유닛(5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홈(313)의 바닥면(도 2 기준 상면)에는 탄성유닛(500)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는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홈의 내주면이 탄성유닛(500)의 외주면과 밀착됨으로써, 탄성유닛(500)은 안정적으로 구동유닛(300)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먼지흡입장치(1)는 탄성유닛(500)을 포함한다.
탄성유닛(500)은 지지부재(350)에 의해 유입홀(111)이 폐쇄되도록 구동유닛(300)을 상향 가압하며 지지한다.
탄성유닛(500)은, 구동유닛(300)을 상측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상측으로부터 구동유닛(30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유닛(500)은 탄성 압축되어 구동유닛(300)이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유닛(500)은,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탄성유닛(500)은 구동유닛(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우수한 내부식성 및 내산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흡입장치(1)는 집진기(70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기(700)는 유입홀(111)로 유입된 이물질을 하우징(100)의 외부로 흡입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집진기(700)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배출구(미도시)에 튜브 등과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하우징(100) 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이 때, 집진기(700)는 조건부로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입구에 사람이 들어오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 집진기(700)가 작동되거나, 또는 구동유닛(300)에 외력이 가해져 눌러지는 경우에 집진기(700)가 작동될 수 있다.
또는, 집진기(700)는 일정 시간 동안에만 계속하여 작동되거나, 항상 작동될 수도 있다.
집진기(700)의 내부에는 광촉매 살균 탈취 기능 및 자외선 살균 기능을 갖는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램프는, 예를 들어, 일정 시간마다 집진기(700)의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기(700)는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집진기(700)의 내부에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는 공기로부터 미세한 입자를 여과하는 고성능 필터인 헤파 필터일 수 있다.
또한, 집진기(700)에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는 사람이 출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집진기(700)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집진기(700)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기(7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LEC, LCD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집진기(700)에는 무드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무드등은, 예를 들어, 사람이 출입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 켜지는 것일 수 있다.
종래의 제진 장치는 가동부재의 반구면상의 상면이 원형 흡입구를 막고 있어, 반구면상의 상면이 정위치(반구면상의 상면의 중심이 원형 흡입구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구속점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의 제진 장치는 반구면상의 상면이 비스듬하게 눌러지는 경우, 가동부재가 비스듬하게 이동되면서 정위치로 되돌아오지 못하고 원형 흡입구에 대하여 치우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비스듬한 외력이 반복적으로 수차례 작용되는 경우, 반구면상의 상면이 이동 경로를 이탈하여 흡진 박스 내에 끼일 수 있었다. 또한, 가동부재를 비스듬하게 누를 경우, 반구면상의 상면이 원형 흡입구의 둘레에 걸려 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없었다.
반면, 본 먼지흡입장치(1)는 구동유닛(300)이 상면에 해당하는 헤드(330)의 상면이 아닌 헤드(330)의 하측에 구비된 지지부재(350)를 통해 유입홀(111)을 개폐하고, 구동유닛(300)과 유입홀(111)의 내주 사이에 틈(1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구동유닛(300)은 틈(1111)이 형성된 범위 내에서만 치우치면서 탄성 이동되므로, 구동유닛(300)이 다시 정위치로 돌아올 수 있어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유닛(300)은 하우징(100)의 내측에 끼일 염려가 없고, 비스듬한 방향에서 가압되더라도 원활하게 하향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먼지흡입장치(1)는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도 구동유닛(300)이 원활하게 상하 방향으로 탄성 이동될 수 있어, 유입홀(111)의 개폐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지될 수 있고, 이물질의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먼지흡입장치(1)는 탄성유닛(500)을 돌출유닛(131)의 내측에 탑재하거나, 탄성유닛(500)이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어,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하우징(100)의 내측에 쌓이더라도 탄성유닛(5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먼지흡입장치 100: 하우징
300: 구동유닛 500: 탄성유닛
110: 상판 111: 유입홀
130: 하판 131: 돌출유닛
150: 격벽 170: 이물질 배출부
1111: 틈 1313: 돌출유닛홈
1315: 체결부 350: 지지부재
313: 바디홈 310: 바디
330: 헤드 331: 돌출부재
300: 구동유닛 500: 탄성유닛
110: 상판 111: 유입홀
130: 하판 131: 돌출유닛
150: 격벽 170: 이물질 배출부
1111: 틈 1313: 돌출유닛홈
1315: 체결부 350: 지지부재
313: 바디홈 310: 바디
330: 헤드 331: 돌출부재
Claims (17)
- 먼지흡입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복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된 하우징;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에 연결되는 헤드, 및 상기 바디의 둘레에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을 상향 가압하며 탄성 지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유닛의 상향 가압에 의해, 상기 바디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유입홀 각각의 내측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유입홀 상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유입홀을 폐쇄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유입홀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헤드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가 하향 이동되면 개방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하향 이동시 상기 하우징의 상측과 내부가 상기 유입홀을 통해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홀의 내주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갖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틈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입홀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유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유닛을 구비하는 하판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유닛에는 상기 탄성유닛이 탑재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유닛의 상단면에는 상기 탄성유닛의 하부가 삽입되는 돌출유닛홈이 형성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유닛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탄성유닛의 하단이 고정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단면에는 상기 탄성유닛의 상부가 삽입되는 바디홈이 형성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의 상하 방향의 탄성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외주면이 상기 바디홈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상기 바디홈에 삽입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유닛의 외주면과 상기 바디홈의 내주면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유입홀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부 중첩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유입홀의 내측으로 탄성 이동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의 두께는 상기 헤드의 두께보다 큰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의 상부 둘레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로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흡입하는 집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상기 바디, 및 상기 지지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영역은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각각의 영역으로부터 나오는 이물질이 모이도록 상기 각각의 영역과 연결되는 이물질 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인 먼지흡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8110A KR101287946B1 (ko) | 2013-04-08 | 2013-04-08 | 먼지흡입장치 |
PCT/KR2014/000957 WO2014168326A1 (ko) | 2013-04-08 | 2014-02-05 | 먼지흡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8110A KR101287946B1 (ko) | 2013-04-08 | 2013-04-08 | 먼지흡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7946B1 true KR101287946B1 (ko) | 2013-07-19 |
Family
ID=4899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8110A KR101287946B1 (ko) | 2013-04-08 | 2013-04-08 | 먼지흡입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7946B1 (ko) |
WO (1) | WO2014168326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5227B1 (ko) | 2014-07-10 | 2014-09-29 | 주식회사 에코비 |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 |
KR101893409B1 (ko) * | 2017-07-07 | 2018-08-30 |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
KR20180115409A (ko) * | 2017-04-13 | 2018-10-23 | (주)테스토닉 | 구슬이 적용된 먼지 흡입장치 |
KR20190069025A (ko) * | 2017-12-11 | 2019-06-19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의 돌물림 제거 장치 |
WO2021230437A1 (ko) * | 2020-05-15 | 2021-11-18 |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 이중필터를 적용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4548A (ja) | 2000-02-15 | 2001-08-21 | Paionia Furyokuki:Kk | 除塵装置 |
KR200445371Y1 (ko) | 2009-04-10 | 2009-07-22 | 오제인 |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
KR101098103B1 (ko) | 2011-02-01 | 2011-12-26 | 에스앤이지텍(주) |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
KR101255054B1 (ko) | 2012-02-15 | 2013-04-16 | (주)테스토닉 | 먼지 흡입장치 |
-
2013
- 2013-04-08 KR KR1020130038110A patent/KR10128794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4
- 2014-02-05 WO PCT/KR2014/000957 patent/WO201416832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4548A (ja) | 2000-02-15 | 2001-08-21 | Paionia Furyokuki:Kk | 除塵装置 |
KR200445371Y1 (ko) | 2009-04-10 | 2009-07-22 | 오제인 |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
KR101098103B1 (ko) | 2011-02-01 | 2011-12-26 | 에스앤이지텍(주) |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
KR101255054B1 (ko) | 2012-02-15 | 2013-04-16 | (주)테스토닉 | 먼지 흡입장치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5227B1 (ko) | 2014-07-10 | 2014-09-29 | 주식회사 에코비 |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 |
KR20180115409A (ko) * | 2017-04-13 | 2018-10-23 | (주)테스토닉 | 구슬이 적용된 먼지 흡입장치 |
KR102033114B1 (ko) * | 2017-04-13 | 2019-10-16 | (주)테스토닉 | 구슬이 적용된 먼지 흡입장치 |
US11432692B2 (en) | 2017-04-13 | 2022-09-06 | Testonic Co., Ltd. | Dust suction device utilizing beads |
KR101893409B1 (ko) * | 2017-07-07 | 2018-08-30 |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
KR20190069025A (ko) * | 2017-12-11 | 2019-06-19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의 돌물림 제거 장치 |
KR102005515B1 (ko) * | 2017-12-11 | 2019-07-30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의 돌물림 제거 장치 |
WO2021230437A1 (ko) * | 2020-05-15 | 2021-11-18 | 주식회사 미래에스비 | 이중필터를 적용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68326A1 (ko) | 2014-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7946B1 (ko) | 먼지흡입장치 | |
JP7203437B2 (ja) | ビーズを用いた塵埃吸引装置 | |
KR101972037B1 (ko) | 가습청정장치 | |
KR101627330B1 (ko) | 먼지 흡입장치 | |
KR101255054B1 (ko) | 먼지 흡입장치 | |
KR20180065164A (ko) | 복합형 공기청정기 | |
KR101994087B1 (ko) | 습식 공기청정기 | |
CN101516469B (zh) | 过滤器组件 | |
KR102379346B1 (ko) | 공기청정기 | |
CN104949213A (zh) | 空气净化器 | |
KR101330699B1 (ko) | 먼지흡입시스템 | |
KR101098103B1 (ko) |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 |
CN101516470A (zh) | 过滤器组件 | |
KR102090867B1 (ko) |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 |
CN104949212A (zh) | 空气净化器 | |
KR20120113163A (ko) | 가습 장치 | |
CN105848547A (zh) | 表面清洁设备 | |
JP2009544442A5 (ko) | ||
KR101273861B1 (ko) |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 |
KR101893409B1 (ko) |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 |
KR101318829B1 (ko) |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
KR102032401B1 (ko) | 공기청정기 | |
KR101428802B1 (ko) | 진공 흡입식 발판 | |
JP7256877B2 (ja) | 空気処理装置 | |
KR200459414Y1 (ko) | 전기청소기용 바닥감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