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371Y1 -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371Y1
KR200445371Y1 KR20090004242U KR20090004242U KR200445371Y1 KR 200445371 Y1 KR200445371 Y1 KR 200445371Y1 KR 20090004242 U KR20090004242 U KR 20090004242U KR 20090004242 U KR20090004242 U KR 20090004242U KR 200445371 Y1 KR200445371 Y1 KR 200445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housing
unit
ai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4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제인
Original Assignee
오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제인 filed Critical 오제인
Priority to KR20090004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3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3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1Separating by passing the air through a liquid b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바닥을 통해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여 맑고 청결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신축 건물이나 기존 건물을 비롯하여 어떠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실용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고 먼지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부분적으로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운(down) 시 동작되어 신발 바닥의 먼지를 제거하는 다수의 브러시 유닛;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통해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을 통해 제거되는 먼지를 진공으로 흡입하는 진공흡입기; 및 상기 진공흡입기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기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물과 함께 믹싱하여 배출하는 믹싱배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발, 먼지, 털이, 털이기

Description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shoes's dust}
본 고안은,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바닥을 통해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여 맑고 청결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신축 건물이나 기존 건물을 비롯하여 어떠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실용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나 운동화와 같은 신발은 실외에서 활동할 때 발을 보호하도록 신은 것이기에 실내에 들어갈 때는 실내화로 바꾸어 신거나 신발에 묻은 흙이나 먼지, 이물질, 분진 등(이하, 먼지로 통일함)을 깨끗이 제거하고 들어가야 한다. 그래야만 맑고 청결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일일이 신발의 먼지를 털어내는(제거하는) 일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이에, 자동으로 혹은 반자동으로 신발에 묻은 먼지를 털어내는 신발 먼지 털이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06-0083468호 및 등록 번호 20-0175922호에 신발 먼지 털이기로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문헌을 비롯하여 종전의 신발 먼지 털이기는 자체적인 두께로 인해 실질적으로 건물에 설치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먼지 털이용 브러시로 이루어진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가 작동되는데, 모터의 높이와 벨트가 회전되는 공간을 합하면 대략 20 cm 이상의 높이가 필요하다.
종전의 신발 먼지 털이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는 설계 시부터 검토하고 반영되어야 하는데, 신발 먼지 털이기의 설치를 위해 설계에서부터 반영하는 건축주와 건축사는 실질적으로 전무한 실정이기 때문에 사실상 종래의 신발 먼지 털이기는 아이디어성의 기술에 불과할 뿐 현장에 적용될 수 없는 기술에 불과하다.
만약, 무리를 감수하고 신발 먼지 털이기를 기존 건물에 설치하려면, 도 1에서 절단선 영역인 평슬라브를 잘라낸 후 도 1과 같은 구조로 시공해야 하는데, 최소 10일 정도의 공사기간과 구조적 문제, 금전적 문제, 통행차단 문제를 감수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바 이러한 문제를 떠안고 기존의 신발 먼지 털이기를 설치할 수는 없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신발 먼지 털이기는 신축 건물이나 기존 건물 어느 곳에도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실용 가치가 거의 없으므로 새로운 구조의 연구가 요구된다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의 바닥을 통해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 여 맑고 청결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신축 건물이나 기존 건물을 비롯하여 어떠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실용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고 먼지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부분적으로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운(down) 시 동작되어 신발 바닥의 먼지를 제거하는 다수의 브러시 유닛;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통해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을 통해 제거되는 먼지를 진공으로 흡입하는 진공흡입기; 및 상기 진공흡입기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기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물과 함께 믹싱하여 배출하는 믹싱배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 유닛이 업/다운 이동 가능하게 통과되는 다수의 유닛통과구가 형성되는 상부판; 상기 본체 내에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 유닛이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중부판; 상기 본체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는 하부판; 및 상기 브러시 유닛이 업/다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 내에서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벽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유닛통과구들 사이에 다수의 먼지구멍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은 상기 중부판을 향한 면이 엠보싱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먼지모음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먼지모음통과 상기 본체에는, 상기 에어콤프레셔로부터의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홀과, 상기 진공흡입기 쪽으로 먼지가 흡입되는 먼지흡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유닛은, 상기 상부판의 유닛통과구를 통해 통과되고 하단부가 상기 중부판의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유닛 본체; 상기 유닛 본체 내에서 업/다운 이동 가능하되 상기 상부판에 대하여 업/다운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업/다운 이동체; 상기 업/다운 이동체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가 상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업/다운 이동체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체; 상기 업/다운 이동체 내에서 상기 회전체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는 프로펠러; 상기 유닛 본체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에어홀에 마련되어 상기 업/다운 이동체가 다운(down)될 때 상기 에어홀을 개방하고, 상기 업/다운 이동체가 업(up)될 때 상기 에어홀을 차폐하는 밸브; 및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업/다운 이동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밸브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은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이며, 상기 밸브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을 지지하는 핀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믹싱배출기는,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통 형상의 배출기 몸체; 상기 배출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기로부터의 먼지가 흡입되는 먼지흡입 라인; 및 상기 배출기 몸체의 타측에 연결되며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기 몸체의 상단부는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기 몸체의 내부에는 먼지가 포집된 물이 안내되는 다수의 안내벽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안내벽은 상호간 지그재그(zigzag) 식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기 몸체의 일측에는 청소용 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청소용 홀에는 캡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진공흡입기로 전기를 인가하는 전기인가부; 및
상기 다수의 브러시 유닛 중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신발에 의해 가압되는 브러시 유닛의 동작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진공흡입기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신발의 바닥을 통해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여 맑고 청결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신축 건물이나 기존 건물을 비롯하여 어떠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실용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믹싱배출기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4는 하우징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브러시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구도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고 먼지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상부 영역에서 하우징(10)에 대해 부분적으로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운(down) 시 동작되어 신발 바닥의 먼지를 제거하는 다수의 브러시 유닛(20)과, 하우징(10)에 연결되어 하우징(10)을 통해 브러시 유닛(20)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셔(30)와, 하우징(10)에 연결되어 브러시 유닛(20)을 통해 제거되는 먼지를 진공으로 흡입하는 진공흡입기(40)와, 진공흡입기(40)에 연결되어 진공흡입기(40)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물과 함께 믹싱하여 배출하는 믹싱배출기(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는 도 2의 구조들이 도 4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신축 건물이나 기존 건물을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브러시 유닛(20)들을 밟아 브러시 유닛(20)들이 다운(down)되면 브러시 유닛(20)들 쪽으로 유입된 에어와 함께 먼지가 흡입되어 제거되는 구조 및 동작을 갖는다.
따라서 신발의 바닥을 통해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여 맑고 청결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신축 건물이나 기존 건물을 비롯하여 어떠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실용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는 도 4의 전체 높이가 대략 50 mm 이내로 조정이 가능하고, 또한 브러시 유닛(20)의 폭도 20 mm 이내로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축 건물이나 기존 건물을 비롯하여 어떠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먼지란 단순한 먼지 외에도, 흙이나 이물질, 분진 등을 통틀어 가리키는 용어로 정의한다.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우징(10)은 본 실시예의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에서 가장 큰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1)와, 본체(11)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며 브러시 유닛(20)들이 업/다운 이동 가능하게 통과되는 다수의 유닛통과구(12a)가 형성되는 상부판(12)과, 본체(11) 내에 결합되며 브러시 유닛(20)들이 체결되는 체결부(13a)를 구비하는 중부판(13)과, 본체(11)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는 하부판(14)과, 브러시 유닛(20)이 업/다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본체(11) 내에서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벽판(15)을 구비한다.
본체(11)에는 상부판(12), 중부판(13), 하부판(14) 및 다수의 지지벽판(15)이 결합되므로 본체(11)는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한다.
도면에는 본체(11)가 사각통 구조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도면 형상을 따를 필요는 없다. 예컨대, 본체(11)는 원통형 구조나 기타 다각형 구조가 되어도 무방 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총 24개의 브러시 유닛(20)이 마련되므로 상부판(12)에 형성되는 유닛통과구(12a) 역시 24개가 된다. 하지만, 브러시 유닛(20)의 개수가 조정된다면 상부판(12)에 형성되는 유닛통과구(12a)의 개수 역시 그에 대응되게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부판(12)에는 유닛통과구(12a)들 사이에 다수의 먼지구멍(12b)이 더 형성된다.
먼지구멍(12b)은 유닛통과구(12a)보다는 작은 사이즈로 마련되어 미세 먼지나 이물질 등을 낙하시키는 통로로 사용된다. 하지만, 반드시 먼지구멍(12b)이 유닛통과구(12a)보다 작은 사이즈로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 먼지구멍(12b)은 구성상 생략될 수도 있다.
상부판(12)에 형성되는 유닛통과구(12a)를 통해 통과되는 브러시 유닛(20)은 중부판(13)에 체결된다. 즉 브러시 유닛(20)의 하단부는 중부판(13)에 형성되는 체결부(13a)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 경우, 상부판(12)은 브러시 유닛(20)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겸한다.
따라서 만약 브러시 유닛(20)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고장나거나 이들을 청소해야 할 경우에는 상부판(12)만을 제거한 상태에서 중부판(13)으로부터 브러시 유닛(20)들을 나사 방식으로 풀면 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모든 장치를 전부 뜯어 일일이 분해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 지만, 본 고안의 경우에는 해당 브러시 유닛(20)만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매우 간편하다 할 수 있다.
참고로, 브러시 유닛(20)들과 중부판(13) 간의 결합은 도면과 달리 압입 방식이나 후크 방식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하부판(14)은 본체(11)의 하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판(14)은 중부판(13)을 향한 면이 엠보싱 처리됨으로써 사이사이의 굴곡을 통해 에어의 유동 효율을 배가시키기에 유리하다. 엠보싱 처리란 볼록볼록한 형태를 말하나 파 형상의 부드러운 굴곡면일 수도 있다.
다수의 지지벽판(15)은 중부판(13)을 세로 방향으로 지지하는 격벽의 일종이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지지벽판(15)은 구성상 생략될 수도 있다. 지지벽판(15)은 중부판(13)에 대해 상부판(12)을 지지하는 역할 외에도 에어나 먼지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에어콤프레셔(30)는 하우징(10)을 통해 브러시 유닛(20)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진공흡입기(40)는 브러시 유닛(20)을 통해 제거되는(흡입되는) 먼지를 진공으로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에어콤프레셔(30)와 진공흡입기(40)는 하우징(10)의 본체(1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 및 도 4와 같이, 하우징(10)의 본체(11)의 외면에 먼지모음통(16)을 더 결합시킨 후, 먼지모음통(16)에 에어콤프레셔(30)와 진공흡입기(40)의 라인(30a,40a)들이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먼지모음통(16)이 결합될 때는 도 4와 같이 하우징(10)의 본체(11)의 외면과 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에어의 유입 공간 또는 먼지의 흡입 공간이 된다. 물론 이 둘의 경로는 다르다.
부연하면, 먼지모음통(16)과 본체(11)에는, 에어콤프레셔(30)로부터의 라인(30a)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홀(16a,11a)과, 진공흡입기(40)의 라인(40a) 쪽으로 먼지가 흡입되는 먼지흡입홀(16b,11b)이 형성된다.
이때, 에어공급홀(16a,11a)을 통한 에어의 공급은 하부판(14)과 중부판(13) 사이의 공간을 통해 브러시 유닛(20) 쪽으로 이루어지고, 먼지흡입홀(16b,11b)을 통한 먼지의 흡입은 본체(11)를 통해 직접 먼지모음통(16) 쪽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야만 에어와 먼지의 충돌 없이 원활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믹싱배출기(5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믹싱배출기(50)는, 진공흡입기(40)에 연결되어 진공흡입기(40)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물과 함께 믹싱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믹싱배출기(50)는,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통 형상의 배출기 몸체(51)와, 배출기 몸체(51)의 일측에 연결되어 진공흡입기(40)로부터의 먼지가 흡입되는 먼지흡입라인(52)과, 배출기 몸체(51)의 타측에 연결되며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라인(53)과, 배출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먼지가 포집된 물이 안내되는 다수의 안내벽(54)을 구비한다.
이때, 배출기 몸체(51)는 도 3과 같이, 그 상단부의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 낮은 쪽으로 먼지가 포집된 물이 배출된다.
그리고 다수의 안내벽(54)은 상호간 지그재그(zigzag) 식으로 경사지게 배치 된다. 다수의 안내벽(54)은 먼지가 물과 잘 섞일 수 있도록, 또한 섞이는 시간 및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면처럼 지그재그(zigzag) 식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도 3과 같이, 먼지흡입라인(52)을 통해 A 방향으로 먼지가 흡입되고, 동시에 물공급라인(53)을 통해 B 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면, 먼지가 물에 침지되며(포집되며), 포집된 물은 상호간 지그재그(zigzag) 식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다수의 안내벽(54)에 의해 C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결과적으로 한쪽의 낮은 상단부를 통해 D 방향으로 배출된다.
믹싱배출기(50)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고가의 필터 없이 단순히 물만 필요한 만큼 보충하면 되기 때문에 관리가 적어지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위생환경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배출기 몸체(51)의 하단부에는 청소용 홀(55)이 더 형성되고, 청소용 홀(55)에는 캡(56)이 더 결합된다.
따라서 일정 시간 후에는 캡(56)을 제거하여 청소용 홀(55) 쪽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한 후에, 다시 캡(56)을 닫고 새로운 깨끗한 물을 보충하면 관리가 간편해진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핵심 부품 중에 하나인 브러시 유닛(20)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브러시 유닛(20)은 하우징(10)의 상부 영역에서 하우징(10)에 대해 부분적으로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운(down) 시 동작되어 신발 바닥의 먼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브러시 유닛(20)은, 상부판(12)의 유닛통과구(12a)를 통해 통과되고 하단부가 중부판(13)의 체결부(13a)에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유닛 본체(21)와, 유닛 본체(21) 내에서 업/다운 이동 가능하되 상부판(12)에 대하여 업/다운 이동 거리(H, 도 5 참조)가 제한되는 플랜지(22a)를 구비하는 업/다운 이동체(22)와, 업/다운 이동체(22)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브러시(23)와, 브러시(23)가 상부에서 연결되며 업/다운 이동체(22)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체(24)와, 업/다운 이동체(22) 내에서 회전체(24)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는 프로펠러(25)와, 유닛 본체(21)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에어홀(21a)에 마련되어 업/다운 이동체(22)가 다운(down)될 때 에어홀(21a)을 개방하고 업/다운 이동체(22)가 업(up)될 때 에어홀(21a)을 차폐하는 밸브(26)와, 유닛 본체(21)와 업/다운 이동체(22) 사이에 마련되어 밸브(26)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27)을 구비한다.
업/다운 이동체(22)가 유닛 본체(21) 내에서 상부판(12)에 대하여 업/다운 이동 거리(H, 도 5 참조)가 제한되도록, 플랜지(22a)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대략 한글 'ㄷ'자 구조를 갖는다.
브러시(23)는 실질적으로 신발의 바닥에 접촉되어 그 주변의 구조물에 의해 회전되면서 신발의 바닥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브러시(23)는 일정한 색상으로 염색될 수도 있으며, 필요의 문자나 그림이 도안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 향상을 기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브러시 유닛(20)에서 복귀스프링(27)은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 으로 적용되는데, 밸브(26)에는 복귀스프링(27)을 지지하는 핀(28)이 더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브러시 유닛(20)이 24개 마련되지만 이의 개수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특히, A/S가 요구되는 부분은 브러시 유닛(20)이고,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쉽게 교체 가능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간단한 A/S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24개의 브러시 유닛(20) 모두가 동작되는 것이 아니라 24개의 브러시 유닛(20) 중에서 실제로 신발이 가압되는 부분만이 동작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소모와, 기기의 피로현상 및 마모현상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부연하면, 본 실시예의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는, 에어콤프레셔(30) 및 진공흡입기(40)로 전기를 인가하는 전기인가부(미도시)와, 다수의 브러시 유닛(20) 중에서 실질적으로 신발에 의해 가압되는 브러시 유닛(20)의 동작 신호를 감지하여 에어콤프레셔(30) 및 진공흡입기(40)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 갖춰지는 경우, 신발에 의해 브러시 유닛(20)이 가압될 때에만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에어콤프레셔(30)와 진공흡입기(40)가 동작될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후에 전기가 에어콤프레셔(30)와 진공흡입기(40)로 인가되어 먼지가 털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전자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될 경우, 신발의 먼지가 털어지는 그 시점에서만 전기가 인가되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소모와, 기기의 피로현상 및 마모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기본 상태로서 작동 전이다. 다시 말해, 신발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업/다운 이동체(22)는 업(up)되어 있고, 에어홀(21a)은 밸브(26)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구성들은 동작되지 않는다. 특히 이러한 경우, 에어콤프레셔(30)와 진공흡입기(40) 역시 동작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사용자가 신발로 브러시 유닛(20)을 밟는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24개의 브러시 유닛(20) 중에서 몇몇에만 신발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그러면 도 6과 같이, 업/다운 이동체(22)가 정해진 범위 내에서 다운(down)된다. 이처럼 업/다운 이동체(22)가 다운(down)되면 이에 연동되어 복귀스프링(27)이 압축되고 또한 밸브(26)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에어홀(21a)이 개방된다.
한편, 이와 동시에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에어콤프레셔(30)와 진공흡입기(40)가 동작되도록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에어콤프레셔(30)와 진공흡입기(40)로 전기가 인가되어 동작된다.
그러면 에어콤프레셔(30)로부터의 라인(30a)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면서 프로펠러(25)와 회전체(24)가 에어의 힘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이어 브러시(23)를 통해 신발의 바닥에 묻은 먼지를 떨어내도록 한다.
신발의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먼지는 하우징(10)의 내부를 경유하여 진공흡입기(40)의 라인(40a) 쪽으로 이동된 후, 믹싱배출기(50) 쪽으로 향한다.
믹싱배출기(50) 쪽으로 향하는 먼지가 도 3과 같이, 먼지흡입라인(52)을 통해 A 방향으로 흡입되고, 물공급라인(53)을 통해 B 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면, 먼지가 물에 침지되며(포집되며), 포집된 물은 상호간 지그재그(zigzag) 식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다수의 안내벽(54)에 의해 C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결과적으로 한쪽의 낮은 상단부를 통해 D 방향으로 배출되어 폐수관로로 보내짐으로써 간단하게 신발에 묻은 먼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신발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이를 감지한 센서가 신호를 보내어 에어콤프레셔(30)와 진공흡입기(40)의 동작이 중지되며, 도 5와 같이 복귀스프링(27)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업/다운 이동체(22)는 업(up) 됨에 따라 에어홀(21a)은 밸브(26)에 의해 차폐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의 바닥을 통해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여 맑고 청결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신축 건물이나 기존 건물을 비롯하여 어떠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실용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신발 먼지 털이기의 적용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믹싱배출기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4는 하우징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브러시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구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본체
12 : 상부판 13 : 중부판
14 : 하부판 15 : 지지벽판
20 : 브러시 유닛 21 : 유닛 본체
22 : 업/다운 이동체 23 : 브러시
24 : 회전체 25 : 프로펠러
26 : 밸브 27 : 복귀스프링
30 : 에어콤프레셔 40 : 진공흡입기
50 : 믹싱배출기 51 : 배출기 몸체
52 : 먼지흡입라인 53 : 물공급라인
54 : 안내벽 55 : 청소용 홀

Claims (11)

  1.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고 먼지가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부분적으로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운(down) 시 동작되어 신발 바닥의 먼지를 제거하는 다수의 브러시 유닛;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통해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을 통해 제거되는 먼지를 진공으로 흡입하는 진공흡입기; 및
    상기 진공흡입기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기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물과 함께 믹싱하여 배출하는 믹싱배출기를 포함하되,
    상기 믹싱배출기는, 내부에 물이 충전되는 통 형상의 배출기 몸체; 상기 배출기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입기로부터의 먼지가 흡입되는 먼지흡입라인; 및 상기 배출기 몸체의 타측에 연결되며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기 몸체의 상단부는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해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 유닛이 업/다운 이동 가능하게 통과되는 다수의 유닛통과구가 형성되는 상부판;
    상기 본체 내에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 유닛이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중부판;
    상기 본체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는 하부판; 및
    상기 브러시 유닛이 업/다운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 내에서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벽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에는 상기 유닛통과구들 사이에 다수의 먼지구멍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상기 중부판을 향한 면이 엠보싱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먼지모음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먼지모음통과 상기 본체에는, 상기 에어콤프레셔로부터의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홀과, 상기 진공흡입기 쪽으로 먼지가 흡입되는 먼지흡입홀이 형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유닛은,
    상기 상부판의 유닛통과구를 통해 통과되고 하단부가 상기 중부판의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유닛 본체;
    상기 유닛 본체 내에서 업/다운 이동 가능하되 상기 상부판에 대하여 업/다운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업/다운 이동체;
    상기 업/다운 이동체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브러시;
    상기 브러시가 상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업/다운 이동체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체;
    상기 업/다운 이동체 내에서 상기 회전체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는 프로펠러;
    상기 유닛 본체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에어홀에 마련되어 상기 업/다운 이동체가 다운(down)될 때 상기 에어홀을 개방하고, 상기 업/다운 이동체가 업(up)될 때 상기 에어홀을 차폐하는 밸브; 및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업/다운 이동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밸브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스프링은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이며,
    상기 밸브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을 지지하는 핀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 몸체의 내부에는 먼지가 포집된 물이 안내되는 다수의 안내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내벽은 상호간 지그재그(zigzag) 식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진공흡입기로 전기를 인가하는 전기인가부; 및
    상기 다수의 브러시 유닛 중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신발에 의해 가압되는 브러시 유닛의 동작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진공흡입기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KR20090004242U 2009-04-10 2009-04-10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KR200445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242U KR200445371Y1 (ko) 2009-04-10 2009-04-10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242U KR200445371Y1 (ko) 2009-04-10 2009-04-10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371Y1 true KR200445371Y1 (ko) 2009-07-22

Family

ID=4700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4242U KR200445371Y1 (ko) 2009-04-10 2009-04-10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37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100B1 (ko) 2010-09-08 2011-08-04 장웅수 신발 털이기
KR101287946B1 (ko) 2013-04-08 2013-07-19 이수영 먼지흡입장치
KR102230294B1 (ko) * 2019-09-17 2021-03-18 이두찬 무동력 회전 브러시 청소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매트
KR20220154308A (ko) 2021-05-12 2022-11-22 케이스타주식회사 신발 바닥면의 세정수단이 구비되는 먼지 털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939Y1 (ko) 2002-02-06 2002-05-13 김태식 신발 털이 장치
KR200276498Y1 (ko) * 2002-02-20 2002-05-24 김태식 계단형 신발 털이 장치
KR20060083468A (ko) * 2005-01-17 2006-07-21 류창환 자동 신발 먼지 털이기
KR100841258B1 (ko) * 2007-06-11 2008-06-25 박길우 신발 털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939Y1 (ko) 2002-02-06 2002-05-13 김태식 신발 털이 장치
KR200276498Y1 (ko) * 2002-02-20 2002-05-24 김태식 계단형 신발 털이 장치
KR20060083468A (ko) * 2005-01-17 2006-07-21 류창환 자동 신발 먼지 털이기
KR100841258B1 (ko) * 2007-06-11 2008-06-25 박길우 신발 털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100B1 (ko) 2010-09-08 2011-08-04 장웅수 신발 털이기
KR101287946B1 (ko) 2013-04-08 2013-07-19 이수영 먼지흡입장치
WO2014168326A1 (ko) * 2013-04-08 2014-10-16 주식회사 네프론 먼지흡입장치
KR102230294B1 (ko) * 2019-09-17 2021-03-18 이두찬 무동력 회전 브러시 청소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매트
KR20220154308A (ko) 2021-05-12 2022-11-22 케이스타주식회사 신발 바닥면의 세정수단이 구비되는 먼지 털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161B1 (ko)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US7472452B2 (en) Door threshold vacuum
KR200445371Y1 (ko)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US10039264B2 (en) Grooming box
KR101145811B1 (ko) 신발 털이 장치
CN111720914B (zh) 空气净化器及空气净化系统
CN109549611A (zh) 一种多功能智能鞋底消毒清洗机
KR20140118434A (ko) 산업용 진공 청소기
WO2017003320A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очиститель обуви
KR100496038B1 (ko) 진공 신발 털이기
KR101119118B1 (ko) 필터장치가 구비된 진공청소기
KR200479197Y1 (ko) 신발바닥 세척장치
KR100821510B1 (ko) 출입구용 진공청소장치
KR101278518B1 (ko) 흡입판
KR20100011431U (ko) 신발 먼지 제거기
KR102410419B1 (ko)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KR20180109261A (ko) 진공 청소기용 헤드
CN111685707A (zh) 一种用于计算机方面的计算机实验室清洁装置
KR20130059500A (ko) 공기분사수단이 구비된 진공 청소기
KR101266854B1 (ko) 흡입판
JP2004351268A (ja) 電気掃除機
KR200274939Y1 (ko) 신발 털이 장치
JP2013184023A (ja) 吸引式ハンドドライヤー
JP3756355B2 (ja) 吸引式無用物収容装置
KR102581049B1 (ko)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