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419B1 -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419B1
KR102410419B1 KR1020200066996A KR20200066996A KR102410419B1 KR 102410419 B1 KR102410419 B1 KR 102410419B1 KR 1020200066996 A KR1020200066996 A KR 1020200066996A KR 20200066996 A KR20200066996 A KR 20200066996A KR 102410419 B1 KR102410419 B1 KR 102410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air
clothes
machine room
hair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9562A (ko
Inventor
황순신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룰루랄라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룰루랄라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룰루랄라랩
Priority to KR1020200066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419B1/ko
Publication of KR20210149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 부착된 털은 물론이고 반려동물이 착용하고 있던 옷의 털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옷의 털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기계실이 내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의 상부면에 에어토출구와 에어흡입구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기계실의 하부면에도 에어토출구와 에어흡입구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옷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옷고정수단을 가진 옷걸이부가 설치되고, 도어가 전방에 설치되어진 옷털제거본체와; 상기 기계실 하부면 양측의 에어토출구 및 에어흡입구와 연통되면서 반려동물이 내부로 들어와 몸에 붙은 털을 제거하거나 젖은 털을 건조할 수 있는 터널방식의 하우징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격실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옷털제거본체 내에 배치되어진 제1에어분사관의 강력한 에어를 이용하여 옷에 부착된 털을 탈리시킬 수 있는 에어펌프수단과; 상기 기계실의 에어토출구와 에어흡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털집진필터부재와; 상기 옷털제거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옷털제거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면서 반려동물의 움직임 및 상황을 감지하여 관리자의 스마트앱으로 알려주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옷털제거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면서 에어펌프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 및 에어공급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화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the apparatus for removing of the hair attached to companion animal and clothes}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털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양이나 개와 같은 반려동물의 털을 제거함은 물론, 반려동물이 착용하고 있던 옷에 묻은 털 및 사람의 옷에 붙은 반려동물의 털도 제거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육되는 반려동물로는 개나 고양이가 있다.
생활수준의 향상 및 핵가족화와 맞물려서 이러한 반려동물들을 사육하는 가구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농촌보다는 도시에서의 사육빈도가 크게 늘고 있다.
그런데, 도시에서는 사람이 거주하는 주거환경 속에서 반려동물들을 한 가족처럼 밀착하여 생활하도록 사육하기 때문에,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등의 긍정적 효과 못지않게 부정적인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각종 분비물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털 등이 애완동물 사육에 있어서 문제점이 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의 털은 손질을 게을리하는 경우에 쉽게 헝클어지고 더러워지는 것은 물론 애완동물 자체의 피부질환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털을 보다 청결하게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각종 기능성 빗이나 브러시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털을 손질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의 도구들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털 손질은 매우 번거롭고 힘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근자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20-2002-0014059호에 개시된 털제거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의 구성을 보면 도 1과 같이 외부의 털 또는 먼지 등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과, 흡입수단 앞 근방에 가이드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및 제 2필터와, 제 2필터에 걸러진 굵은 입자의 털 또는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수단과, 집진수단 앞쪽 하부에 설치되며 흡입수단에 의해 외부의 털 또는 먼지 등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로 구비된 하부본체와; 하부본체의 고정부재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 1상부본체와, 제1상부본체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하부본체에 설치된 수평레일에 의해 자유롭게 수평이동되는 제2상부본체와, 상기 제 2상부본체가 제1상부본체로 부터 자유롭 개방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착탈수단과; 상기 제 1상부본체 또는 제 2상부본체 내에 설치되며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온/오프기능을 갖는 온/오프스위치와; 상기 온/오프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흡입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반려동물의 털제거장치는 본체 내에 흡입수단 및 필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털수거장치를 설치하여, 공기 중에 분산되어 날리는 반려동물의 털 또는 먼지, 벌레 등을 지속적으로 집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반려동물에게 착용하였던 옷에 부착된 털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역시 사람의 손이 가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반려동물에 부착된 털은 물론이고 반려동물이 착용하고 있던 옷의 털 및 및 사람의 옷에 붙은 반려동물의 털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계실이 내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의 상부면에 에어토출구와 에어흡입구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기계실의 하부면에도 에어토출구와 에어흡입구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옷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옷고정수단을 가진 옷걸이부가 설치되고, 도어가 전방에 설치되어진 옷털제거본체와; 상기 기계실 하부면 양측의 에어토출구 및 에어흡입구와 연통되면서 반려동물이 내부로 들어와 몸에 붙은 털을 제거하거나 젖은 털을 건조할 수 있는 터널방식의 하우징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격실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옷털제거본체 내에 배치되어진 제1에어분사관의 강력한 에어를 이용하여 옷에 부착된 털을 탈리시킬 수 있는 에어펌프수단과; 상기 기계실의 에어토출구와 에어흡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털집진필터부재와; 상기 옷털제거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옷털제거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면서 반려동물의 움직임 및 상황을 감지하여 관리자의 스마트앱으로 알려주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옷털제거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면서 에어펌프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 및 에어공급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화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 양측에 에어펌프수단과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몸에 붙은 털을 탈리시키거나 젖은 털을 건조할 수 있는 제2에어분사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계실의 격실내에 설치되면서 기계실 상부면의 에어토출구를 통해 옷털제거본체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여 옷털제거본체 내부의 비산되는 털을 기계실 상부면의 에어흡입구로 유도하여 털집진필터부재로 털을 수집할 수 에어공급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하우징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투명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옷에 붙은 털을 탈리하여 집진할 수 있는 옷털제거본체를 상부에 설치하고, 반려동물이 내부로 들어와 몸에 붙은 털을 제거하거나 젖은 털을 건조할 수 있는 터널방식의 하우징본체를 하부에 설치하므로서 반려동물에 부착된 털은 물론이고 반려동물이 착용하고 있던 옷의 털 및 및 사람의 옷에 붙은 반려동물의 털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옷털제거본체 내부의 제1에어분사관을 통해 따뜻한 에어를 공급하여 세탁후 젖은 옷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하우징본체 내부의 제2에어분사관을 통해 따뜻한 에어를 공급하여 목욕을 마친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려동물의 털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옷의 털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옷의 털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옷의 털제거장치의 제1에어분사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옷의 털제거장치의 제1에어분사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옷의 털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옷의 털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옷의 털제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옷의 털제거장치의 제1에어분사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옷의 털제거장치의 제1 에어분사관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옷의 털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 옷의 털제거장치의 옷털제거본체(10)는 도 3과 같이 기계실(30)이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기계실(30)은 그 중간에 격실(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30)의 상부면(31) 양측에는 에어토출구(35)와 에어흡입구(3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에어토출구(35)와 에어흡입구(32)에는 털집진필터부재(50)가 각각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30)의 하부면(33) 양측에도 에어토출구(36)와 에어흡입구(3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에어토출구(36)와 에어흡입구(34), 또는 에어흡입구(34)에만 털집진필터부재(50)가 각각 설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옷털제거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반려동물의 옷(70)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집게와 같은 다수의 옷고정수단(16)을 가진 옷걸이부(15)가 설치되는데, 상기 옷고정수단(16)을 가진 옷걸이부(15)가 옷털제거본체(10)의 내측 하부에도 설치하여 상하에서 반려동물의 옷을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또, 상기 옷털제거본체(10)의 전방에는 일측 힌지(11a)에 의해 일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투명한 도어(11)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11)의 일측에는 그 내부가 밀폐 가능하도록 잠금수단(11b)이 설치된다.
상기 옷털제거본체(10)의 하부에는 반려동물이 내부로 들어와 몸에 붙은 털을 제거하거나 젖은 털을 건조할 수 있는 터널방식의 하우징본체(20)가 설치되는데, 상기 하우징본체(20)의 양측이 트이도록 형성하여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이 자연스럽게 들어와 나가도록 하여도 되고, 하우징본체(20)의 개구된 양측에 투명한 도어(25)를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기계실(30)의 격실내에는 에어펌프수단(60)이 설치되는데, 상기 에어펌프수단(60)은 찬공기와 더운공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에어펌프수단(60)의 일측으로는 기계실(30) 상부면의 에어토출구(35)를 통해 옷털제거본체(10)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여 옷털제거본체(10) 내부의 비산되는 털을 기계실(31) 상부면의 에어흡입구(32)로 유도하여 털집진필터부재(50)로 털을 수집할 수 있는 에어공급관(61)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에어펌프수단(60)의 에어 분사속도를 달리하여 옷의 위치를 수시로 변경함으로써 옷의 곳곳에 에어가 미치도록 하여 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옷털제거본체(10) 내에는 에어펌프수단(60)과 연결된 제1에어분사관(36)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1에어분사관(36)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그 양측으로 분기되어 상측에어분사관(38)과 하측에어분사관(37)이 구성되고, 상기 상측에어분사관(38)과 하측에어분사관(37)의 단부에는 여러 각도로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노즐공(37a)(38a)가 무수히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옷(70)을 털게 된다.
즉, 상기 상측에어분사관(38)에서 분사된 에어는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반려동물의 옷(70)의 일면 상부측에 골고루 분사되고, 상기 하측에어분사관(37)에서 분사된 에어는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반려동물의 옷(70)의 다른면 하부측에 골고루 분사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반려동물의 옷(70)이 분사된 에어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날리면서 반려동물의 옷(70) 전체에 에어와 접촉되므로 반려동물의 옷(70)에 부착된 털의 탈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부 양측에 에어펌프수단(60)과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몸에 붙은 털을 탈리시키거나 젖은 털을 건조할 수 있는 제2에어분사관(80)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2에어분사관(80)에도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에어노즐공(81)이 여러 각도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에어분사관(80)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는 반려동물로부터 털만 제거하려면 다소 차가운 바람을, 목욕한 반려동물의 털을 말리려고 하면 따뜻한 에어를 공급한다.
상기 옷털제거본체(10)의 전방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옷털제거본체(10)의 전방에는 반려동물의 움직임 및 상황을 감지하여 관리자의 스마트앱으로 알려주는 감지센서부(13)가 설치되는데, 감지센서부(13)에 카메라가 설치되어도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옷털제거본체(10)의 전방에는 에어펌프수단(60)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 및 에어공급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화면부(14)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려동물의 옷에 부착되어 있는 털을 제거하고자 하면, 도 3과 같이 옷털제거본체(10)의 내측 상부의 다수 옷고정수단(16)에 털을 제거하고자 하는 옷(70)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옷고정수단(16)을 옷털제거본체(10)의 내측 하부에도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옷을 상하에서 고정하여도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옷털제거본체(10) 전방의 전원스위치(12)를 동작시켜 기계실(31) 내부의 에어펌프수단(60)이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에어펌프수단(60)과 연결된 제1에어분사관(36)으로 에어가 공급된 후 상측에어분사관(38)과 하측에어분사관(37)으로 분기되며, 이렇게 분기된 에어는 상측에어분사관(38)과 하측에어분사관(37)의 단부에 형성되어진 에어노즐공(37a)(38a)을 통해 분사되어 반려동물의 옷(70)을 털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에어분사관(38)에서 분사된 에어는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반려동물의 옷(70)의 일면 상부측에 골고루 분사되고, 상기 하측에어분사관(37)에서 분사된 에어는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반려동물의 옷(70)의 다른면 하부측에 골고루 분사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반려동물의 옷(70)이 분사된 에어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날리면서 반려동물의 옷(70) 전체에 에어와 접촉되므로 반려동물의 옷(70)에 부착된 털의 탈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측에어분사관(38)에서 분사된 에어는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반려동물의 옷(70)의 일면 상부측에 골고루 분사되고, 상기 하측에어분사관(37)에서 분사된 에어는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반려동물의 옷(70)의 다른면 하부측에 골고루 분사되며, 이때 상기 반려동물의 옷(70)이 분사된 에어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날리면서 반려동물의 옷(70) 전체에 에어와 접촉되므로 반려동물의 옷(70)에 부착된 털의 탈리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탈리된 털은 상기 기계실(31)의 상부면 일측의 에어흡입구(32)로 흡입이 진행되면서 이에 설치되어진 털집진필터부재(50)에 털이 집진된다.
또한, 상기 에어펌프수단(60)의 일측에 에어공급관(61)이 설치되어 있어 기계실(30) 상부면의 에어토출구(35)를 통해 옷털제거본체(10)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한 후 옷털제거본체(10) 내부의 비산되는 털을 기계실(31) 상부면의 에어흡입구(32)로 유도하여 털집진필터부재(50)로 털을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옷털제거본체(10)를 이용하여 세탁된 옷을 건조하고자 하면, 에어펌프수단(60)에서 약 50도에서 70도 사이의 더운 에어를 소정의 시간동안 공급하여 건조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털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에어공급관(61)의 작동은 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반려동물에 붙어있는 털을 제거하고자 하면, 하우징본체(20)의 도어(25)를 개방하여 반려동물을 유인하여 가둔 다음 에어펌프수단(60)을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에어펌프수단(60)에서 발생한 에어는 하우징본체(20) 내부의 제2에어분사관(80)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에어분사관(80)으로 공급된 에어는 그 단부에 여러 각도로 부수히 형성된 에어노즐공(81)을 통해 분사되므로 반려동물에게 붙어있는 털을 비산시킴과 동시에 에어펌프수단(60) 일측의 에어공급관(61)을 가동시켜 비산된 털이 도 6과 같이 기계실(30)의 하부면 일측의 에어흡입구(34)로 유도한 다음 이에 설치되어진 털집진필터부재(50)로 털을 집진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본체(20)를 이용하여 목욕한 반려동물의 털을 건조하고자 하면, 에어펌프수단(60)으로 약 30도 정도로 가열된 에어를 하우징본체(20) 내부의 제2에어분사관(80)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에어분사관(80)으로 공급된 에어를 그 단부에 여러 각도로 무수히 형성된 에어노즐공(81)을 통해 분사하여 반려동물의 젖은 털을 건조한다.
10: 옷털제거본체 11: 도어
16: 옷고정수단 20: 하우징본체
30: 기계실 31: 상부면
32: 에어흡입구 34: 에어흡입구
35: 에어토출구 36: 에어토출구
50: 털집진필터부재 60: 에어펌프수단
61: 에어공급관 80: 제2에어분사관

Claims (4)

  1. 기계실이 내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의 상부면에 에어토출구와 에어흡입구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기계실의 하부면에도 에어토출구와 에어흡입구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옷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옷고정수단을 가진 옷걸이부가 설치되고, 도어가 전방에 설치되어진 옷털제거본체와;
    상기 기계실 하부면 양측의 에어토출구 및 에어흡입구와 연통되면서 반려동물이 내부로 들어와 몸에 붙은 털을 제거하거나 젖은 털을 건조할 수 있는 터널방식의 하우징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격실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옷털제거본체 내에 배치되어진 제1에어분사관의 강력한 에어를 이용하여 옷에 부착된 털을 탈리시킬 수 있는 에어펌프수단과;
    상기 기계실의 에어토출구와 에어흡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털집진필터부재와;
    상기 옷털제거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옷털제거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면서 반려동물의 움직임 및 상황을 감지하여 관리자의 스마트앱으로 알려주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옷털제거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면서 에어펌프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 및 에어공급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화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 양측에 에어펌프수단과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몸에 붙은 털을 탈리시키거나 젖은 털을 건조할 수 있는 제2에어분사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격실내에 설치되면서 기계실 상부면의 에어토출구를 통해 옷털제거본체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여 옷털제거본체 내부의 비산되는 털을 기계실 상부면의 에어흡입구로 유도하여 털집진필터부재로 털을 수집할 수 에어공급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투명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KR1020200066996A 2020-06-02 2020-06-02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KR102410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996A KR102410419B1 (ko) 2020-06-02 2020-06-02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996A KR102410419B1 (ko) 2020-06-02 2020-06-02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562A KR20210149562A (ko) 2021-12-09
KR102410419B1 true KR102410419B1 (ko) 2022-06-20

Family

ID=7886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996A KR102410419B1 (ko) 2020-06-02 2020-06-02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63134A1 (en) * 2022-02-22 2023-08-24 Daniel Parker Automated animal washing device
CN114908541B (zh) * 2022-06-24 2024-03-19 木卫智能科技(深圳)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7599A (ja) 2017-01-27 2018-08-02 有限会社米田精密金型製作所 愛玩動物用の檻
KR101938694B1 (ko) 2018-10-16 2019-04-10 박맹기 반려동물용 멀티하우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886A (ko) * 2010-11-11 2012-05-21 유바스 주식회사 이동 형 클린룸 살균장치
US8707900B1 (en) * 2012-09-19 2014-04-29 Krystalka Ronette Womble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care and maintenance of animals
JP5751652B1 (ja) * 2014-05-30 2015-07-22 株式会社ドリーム産業 トリミングボックス
KR20190054251A (ko) * 2017-11-13 2019-05-22 김기병 의류 더스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17599A (ja) 2017-01-27 2018-08-02 有限会社米田精密金型製作所 愛玩動物用の檻
KR101938694B1 (ko) 2018-10-16 2019-04-10 박맹기 반려동물용 멀티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562A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7459B2 (ja) ペットドライルー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トレイ
KR102410419B1 (ko)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KR200462906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US8757096B2 (en) Animal drying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US20050217602A1 (en) Pet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KR101790322B1 (ko) 브러시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TWI643551B (zh) 修毛用箱
KR20150142807A (ko) 펫 드라이 룸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KR20190001102A (ko)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WO2006040365A1 (es) Máquina automática de hidromasaje para mascotas
GB2144317A (en) Drying animals and collecting hair
KR101971577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JP3166426U (ja) ペット用乾燥装置
WO2020235753A1 (ko)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KR102554818B1 (ko)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KR100460591B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KR200417604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200331705Y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20160026939A (ko) 애완동물 입식목욕기
KR200241156Y1 (ko) 애완동물 목욕 및 미용 보조장치
JP2018042492A (ja) ペットドライルーム
KR102239047B1 (ko)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20210002783U (ko) 반려동물 드라이 하우스
KR102624910B1 (ko) 애완동물 털갈이 도움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