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577B1 -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577B1
KR101971577B1 KR1020180057847A KR20180057847A KR101971577B1 KR 101971577 B1 KR101971577 B1 KR 101971577B1 KR 1020180057847 A KR1020180057847 A KR 1020180057847A KR 20180057847 A KR20180057847 A KR 20180057847A KR 101971577 B1 KR101971577 B1 KR 101971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 room
dry
p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완일
이범석
신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페
Priority to KR102018005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577B1/ko
Priority to JP2021514263A priority patent/JP7004278B2/ja
Priority to PCT/KR2019/004326 priority patent/WO201922585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드라이 룸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로서,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외기 및 드라이 룸 내부의 내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메인모듈; 메인모듈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부에는 송풍팬에 의한 외기 및 내기가 유입되어 드라이 룸으로 공급되는 후방 챔버를 갖는 후면판; 메인모듈의 양측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부에는 후면판의 후방 챔버와 연통되어 송풍팬에 의한 외기 및 내기가 유입되어 드라이 룸으로 공급되는 측방 챔버를 갖는 측면판; 후면판 및 측면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부에는 후면판의 후방 챔버와 연통되어 송풍팬에 의한 외기 및 내기가 유입되어 드라이 룸으로 공급되는 바닥 챔버를 갖는 바닥판; 메인모듈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한편 드라이 룸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전면판;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Pet dry device}
본 발명은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드라이 룸 내부의 전 공간으로 건조풍을 고루 공급하여 애완동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핵가족화나 독신 가구의 증가에 따른 정서적 요구의 증대 등 다양한 이유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애완동물의 종류도 전통적인 개나 고양이 뿐 아니라, 기타 다른 포유류는 물론 파충류나 양서류 등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데, 아직까지도 가장 주종을 이루는 것은 역시 개나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가 차지하고 있다.
애완동물들도 사람과 같이 위생과 건강을 위해 자주 목욕을 해주어야 하는데, 포유류의 경우 통상적으로 신체에 많은 털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목욕 자체도 쉽지 않은 작업이 될 뿐 아니라 목욕 후에 젖은 털을 사람이 직접 시간과 노력을 들여 건조시켜 주어야 하므로, 애완동물의 관리에 있어 상당한 번거로움을 안기고 있다.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여러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사람의 모발 건조를 위해 사용되는 또는 애완동물 전용의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열풍 건조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애완동물의 경우 털이 젖으면 몸을 흔들어 털어내려고 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건조 중에 자주 몸을 흔들어 주변에 물과 털이 튀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안겨주고 건조 후 청소가 필요하여 번거로움을 가중시키게 된다.
또한, 목욕이 익숙해지기 전이나 애완동물의 습성으로 인해 건조시키는 동안 애완동물이 계속 몸을 움직이거나 다른 곳으로 도망가려 하는 경우가 많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애완동물을 손으로 잡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더욱 번거롭게 되고 건조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된다.
그리고, 헤어드라이어로 털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털이 빠져서 날리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등의 비위생적인 단점도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도록 애완동물의 털을 자동으로 건조시키는 애완동물용 건조기가 개발되었으며, 이와 같은 애완동물용 건조기는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049810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 '펫 드라이 룸'으로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1에는 접이식으로 구성된 본체와, 본체와 분리되는 건조모듈에 의해 무게 및 부피를 크게 줄여주어 보관성 및 휴대성이 좋다는 펫 드라이 룸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펫 드라이 룸은 건조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건풍(건조를 위한 바람)이 일 방향으로만 분사되어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 제20-0462906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서 '애완동물용 건조장치'가 제안된 바 있고, 국내 등록실용 제20-0471579호(이하 '선행기술문헌3'이라 한다)에서 '애완견 드라이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국내 등록실용 제20-0476748호(이하 '선행기술문헌4'라 한다)에서 '애완동물 건조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2에서는 건풍(온풍)이 건조대상의 하부에서만 분사되고, 선행기술문헌3에서도 역시 건조대상의 일측에서만 건풍이 분사되며, 선행기술문헌4에서도 역시 건조대상의 일 측방향에서만 건풍이 분사되어 애완동물의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049810호 국내 등록실용 제20-0462906호 국내 등록실용 제20-0471579호 국내 등록실용 제20-047674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애완동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드라이 룸 내부 전 공간으로 건조풍을 고루 공급하여 애완동물의 젖은 털 및 피부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드라이 룸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드라이 룸 내부로 재공급함으로써 드라이 룸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애완동물의 털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는, 내부에 드라이 룸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로서,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외기 및 드라이 룸 내부의 내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메인모듈; 메인모듈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부에는 송풍팬에 의한 외기 및 내기가 유입되어 드라이 룸으로 공급되는 후방 챔버를 갖는 후면판; 메인모듈의 양측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부에는 후면판의 후방 챔버와 연통되어 송풍팬에 의한 외기 및 내기가 유입되어 드라이 룸으로 공급되는 측방 챔버를 갖는 측면판; 후면판 및 측면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부에는 후면판의 후방 챔버와 연통되어 송풍팬에 의한 외기 및 내기가 유입되어 드라이 룸으로 공급되는 바닥 챔버를 갖는 바닥판; 메인모듈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한편 드라이 룸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전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모듈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상면 흡입구와 드라이 룸과 마주하여 드라이 룸의 내기가 유입되는 전면 흡입구 및 유입된 외기와 내기가 양측부로 배출되어 메인모듈 내부로 공급되는 배출구를 갖는 필터하우징이 구비되고, 필터하우징에 삽입되는 한편 메인모듈 내로 유입되는 외기와 내기를 모두 정화하여 내.외기용 정화 필터를 하나로 일원화하여 필터하우징 외측에서 한번에 교체 가능하도록 한 통합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통합 필터는 그 내부가 빈 중공부재로 구비되어, 필터하우징의 상면 흡입구와 전면 흡입구를 통한 외기와 내기가 그 표면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되고, 그 내부에서 외기와 내기가 혼합되면서 내주면과 접하여 재차 필터링되어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면판과 도어 사이 및 측면판에는 드라이 룸을 환기시키는 한편 건조시 드라이 룸 내부에 음압 형성을 위한 통기구와 환기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에 따르면,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드라이 룸 전 내측면에서 건조풍이 고루 공급됨으로써 드라이 룸 내에서 애완동물의 젖은 털 및 피부를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이 룸 내부의 공기는 송풍팬에 의해서 통합 필터로 배출되어 정화된 후 다시 드라이 룸으로 재공급되는 순환에 의해 드라이 룸 내부에는 음압이 형성됨으로써 건조과정에서 애완동물의 털이 날려 드라이 룸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외형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에 구비되는 메인모듈과 후면판의 분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로 공급되는 외기의 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드라이 룸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에 형성" 및 "측면에 형성" 등은, 당해 구성요소들이 직접 접하여 적층 형성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구성요소들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형성되어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에 형성된다" 라는 것은 제 1 구성요소에 제 2 구성요소가 직접 접하여 형성되는 의미는 물론,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의 사이에 제 3 구성요소가 더 형성될 수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드라이 룸(700)이 제공되는 박스 형태의 본체(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100)는 상면의 메인모듈(200)과, 양측의 측면판(300)과, 후면판(400), 바닥판(500), 전면판(600) 및 전면판(600)에 구비되는 도어(610)를 포함하여 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메인모듈(200)과 바닥판(500), 후면판(400), 양 측면판(300), 전면판(600) 및 도어(610)에 의해 구획되는 본체(100)의 내부 공간은 애완동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드라이 룸(700)으로 제공된다.
특히, 메인모듈(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면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210)을 포함하고, 하우징(210)에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제어장치들이 탑재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메인모듈(200)의 하우징(210)에 탑재되는 제어장치에는 컨트롤러(230)가 구비되고, 컨트롤러(230)는 하우징(210)의 전면부(도어(610)가 구비되는 측의 부위)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메인모듈(200)의 하우징(210) 내부에는 컨트롤러(230)에 의해 제어되어 드라이 룸(700) 내로 건조풍(외기 및 내기)을 순환시키는 송풍팬(240)이 구비되고, 이러한 송풍팬(240)에 의해 외부 공기(외기)는 메인모듈(200)의 하우징(210) 내로 흡입되며 본체(100) 내부의 공기(내기)는 순환 이송되어 본체(100) 내부로 재공급된다. 이러한 송풍팬(240)은 시로코팬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거나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송풍팬(240)에 의한 공기의 이송 경로 상에는 본체(10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250)가 구비되고, 이러한 히터(250)는 외기와 내기의 혼합 공기 즉 건조풍이 토출되는 송풍팬(240)의 토출부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히터(250) 역시도 컨트롤러(23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메인모듈(200)의 하우징(210) 상면에는 송풍팬(240)에 의한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1)가 형성되고, 하우징(210)의 하면에는 송풍팬(240)에 의한 혼합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구(211) 하부의 하우징(210) 내에는 외기가 유입되면서 외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통합 필터(220)가 구비되고, 배출구(212)에는 송풍팬(240)의 토출부가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필터(220)는 흡입구(211) 하부의 하우징(210) 내에 구비되는 내부가 빈 삼각형상의 필터하우징(221) 내에 삽입되어 회전불가한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필터하우징(221)은 메인모듈(200)의 흡입구(211)로 유입되는 외기가 바로 흡입되도록 개구된 상면 흡입구(221a)와, 드라이 룸(700)과 마주하여 드라이 룸(700) 내의 내기가 유입되는 전면 흡입구(221b)와, 유입된 외기와 내기가 그 양측부로 배출되도록 개구된 배출구(221c)를 포함한다.
이때, 필터하우징(221)의 상면 흡입구(221a)와 배출구(221c)는 완전히 개구된 형태를 취하나, 드라이 룸(700)과 마주하는 전면 흡입구(221b)는 그릴 구조로 개구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드라이 룸(700)에서 내기와 같이 배출될 수 있는 애완동물의 털을 그릴 구조로서 걸러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통합 필터(220)는 상기와 같은 필터하우징(221)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필터하우징(221)으로 유입되는 외기와 내기를 한번에 모두 정화시켜 송풍팬(24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즉, 통합 필터(220)는 필터하우징(221)에 대응한 외형을 가지며 그 양측 단부가 개구된 중공부재로 형성되되, 통합 필터(220)는 필터하우징(221)의 상면 흡입구(221a)로 유입되는 외기가 통과되면서 필터링되는 상면부(220a)와, 필터하우징(221)의 전면 흡입구(221b)로 유입되는 드라이 룸(700) 내의 내기가 통과되면서 필터링되는 전면부(220b)와, 상면부(220a)와 전면부(220b)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외기 및 내기가 그 내부에서 혼합되면서 접하여 재차 필터링되는 내주면(220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통합 필터(220)의 상면부(220a)와 전면부(220b)를 통해 필터하우징(221)으로 유입되는 외기와 내기가 모두 정화되므로 기존에 별개로 각각 구비되던 외기용 정화 필터와 내기용 정화 필터를 하나의 필터로 일원화할 수 있고, 통합 필터(220)의 오염시는 필터하우징(221) 외측에서 통합 필터(220)를 한번에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통합 필터(220)에서 필터링된 외기와 내기의 혼합 공기는 필터하우징(221)의 개구된 양측 배출구(221c)를 통해 배출되어 송풍팬(240)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송풍팬(240)의 흡입력에 의해 메인모듈(200)의 흡입구(211)로 흡입된 외기는 필터하우징(221)의 상면 흡입구(221a)로 흡입되어 통합 필터(220)의 상면부(220a)를 통과하면서 1차 필터링되고, 드라이 룸(700) 내의 내기는 필터하우징(221)의 전면 흡입구(221b)로 흡입되어 통합 필터(220)의 전면부(220b)를 통과하면서 1차 필터링되며, 이와 같이 1차 필터링된 외기와 내기는 통합 필터(220) 내부에서 혼합되면서 통합 필터(22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2차 필터링된 후, 필터하우징(221)의 양측 배출구(221c)를 통해 배출되어 송풍팬(240)으로 공급된다.
한편, 필터하우징(221)의 양측 배출구(221c)를 통해 배출된 혼합 공기는 시로코팬으로 이루어진 송풍팬(240)의 구조적 특성상, 송풍팬(240)의 양 흡입구로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으므로 송풍팬(240)에 의한 공기(건조풍)를 흐름을 신속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송풍팬(240)으로 유입된 내.외기의 혼합 공기는 히터(250)를 통하면서 가열되면 본체(100)의 드라이 룸(700)에 열풍으로 공급될 수 있고, 가열되지 않으면 본체(100)의 드라이 룸(700)에 건풍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건풍 또는 열풍은 드라이 룸(700)을 이루는 후면판(400)의 후방 챔버(410) 내로 공급되고, 후면판(400)의 후방 챔버(410)에 공급된 건조풍 중 일부는 드라이 룸(700)으로 직접 공급되며, 나머지는 측면판(300)의 측방 챔버(310)와 바닥판(500)의 바닥 챔버(510)로 유입된 후, 각각 측면과 바닥면을 통해 드라이 룸(700)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후면판(400)은 메인모듈(200)의 하우징(210) 후단부에 구비되어 드라이 룸(700)의 후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드라이 룸(700)을 향하는 내측부에는 송풍팬(240)에 의한 외기와 내기의 혼합 공기가 유입되는 후방 챔버(410)가 형성된다.
후방 챔버(410)는 그 상면부에 송풍팬(240)에서 토출된 건조풍(혼합 공기)이 공급되는 유입구(411)가 형성되고, 드라이 룸(700)을 향하는 전면부에는 드라이 룸(700) 내로 혼합 공기(건조풍)를 직접 분사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분사구(413)가 구비되며, 그 양측부와 전면 하부에는 각각 후술될 측방 챔버(310)와 바닥 챔버(510)로 혼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412)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후방 챔버(410)의 유입구(411)로 유입된 일부의 혼합 공기는 분사구(413)를 통해 건조풍으로 드라이 룸(700)의 후면으로 직접 공급되어 애완동물의 얼굴이나 등 부위를 건조시킬 수 있고, 나머지 혼합 공기는 각 배출구(413)를 통해 측방 챔버(310)와 바닥 챔버(510)로 각각 배출되어 공급된다.
또한, 측면판(300)은 메인모듈(200)의 하우징(210)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드라이 룸(700)의 양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드라이 룸(700)을 향하는 내측부에는 후방 챔버(410)에 의한 혼합 공기가 유입되는 측방 챔버(310)가 구비된다.
측방 챔버(310)는 그 후단부에 후방 챔버(410)의 배출구(412)와 연통되는 유입구(311)가 형성되고, 드라이 룸(700)을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드라이 룸(700) 내로 혼합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구(312)가 구비되며, 분사구(312) 하부의 외측면부에는 평상시 드라이 룸(700)의 환기와 건조시 드라이 룸(700)의 음압 형성을 위한 환기구(330)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이런 환기구(330)에 의한 드라이 룸(700)의 음압 형성에 대해서는 후술될 통기구(620)에서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이로써, 측방 챔버(310)는 유입구(311)를 통해 후방 챔버(410)로부터 배출된 혼합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모든 혼합 공기는 분사구(312)를 통해 건조풍으로 드라이 룸(700)의 양측면으로 분사되어 애완동물의 몸통 양 측부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측방 챔버(310)의 내측면부에는 후술될 도어(610)의 베어링휠(612)(613)이 결합되어 안내되는 레일홈(320)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레일홈(32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드라이 룸(700)의 내부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세로부와, 세로부의 상단부에서 드라이 룸(700) 내부로 연장되어 드라이 룸(700) 내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가로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레일홈(320)은 후술될 도어(610)를 개폐시킬 때 도어(610)의 회전을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바닥판(500)은 드라이 룸(70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후면판(400)과 양 측면판(300) 및 후술될 전면판(6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런 바닥판(500)은 드라이 룸(700)을 향하는 내측부에 다수의 바닥 챔버(510)가 서로 연통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바닥 챔버(510)는 그 후단부에 후방 챔버(410)의 배출구(412)와 연통되는 유입구(511)가 형성되고, 드라이 룸(700)을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드라이 룸(700) 내로 혼합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구(512)가 구비된다.
그리고, 다수의 바닥 챔버(510) 위에는 애완동물이 올라설 수 있는 패드(520)가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고, 패드(520)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바닥 챔버(510)의 분사구(512)에서 분사된 혼합 공기가 드라이 룸(700)의 바닥면으로 공급되어 애완동물의 몸통 하부 즉 배 부위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패드(520)는 애완동물의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전면판(600)은 양 측면판(300)과 바닥판(500)의 전면에 결합되어 드라이 룸(700)의 전면을 구성하는 부분이고, 그 중앙부에는 도어(610)가 설치될 수 있는 관통된 출입구가 마련된다.
이러한 전면판(600)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610)는 그 양측 단부에 힌지브라켓(611)이 각각 구비되고, 힌지브라켓(611)의 상,하부에는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는 베어링휠(612)(613)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도어(610) 양측의 베어링휠(612)(613)은 양 측면판(300)의 레일홈(320)에 각각 결합되어 구비되되, 도어(6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부의 베어링휠(612)은 레일홈(320)의 가로부에 위치되어 구비되고 하부의 베어링휠(613)은 레일홈(320)의 세로부에 위치되어 구비되며, 도어(610)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하부의 베어링휠(612)(613) 모두가 레일홈(320)의 가로부에 위치되어 구비된다.
이때, 각 베어링휠(612)(613)은 경사진 레일홈(320)의 가로부와 세로부에서 각각 구름되면서 도어(61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할 수 있고, 도어(610)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하의 베어링휠(612)(613)이 레일홈(320)의 가로부에 모두 위치되므로 도어(610)의 자중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610)가 전면판(600)의 출입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 양측부가 힌지브라켓(611)과 복수의 베어링휠(612)(613)에 의해 측면판(300)의 레일홈(320)에 각각 힌지 결합됨으로써 도어(610)를 전면판(600)에 직접 결합되지 않아도 도어(610)를 전면판(600)에 견고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도어(610)와 전면판(600) 사이에는 드라이 룸(700)에 들어가 있는 애완동물의 질식사를 예방하기 위한 통기구(620)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통기구(620)는 도어(610)와 전면판(600) 사이의 전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드라이 룸(700)을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통기구(620)는 평상시 즉 송풍팬(240)이 작동하지 않는 비건조시는 드라이 룸(700)을 환기시키게 되고, 송풍팬(240)의 작동에 의한 건조시는 전술한 측면판(300)의 환기구(330)와 더불어 드라이 룸(700)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드라이 룸(700)을 형성하는 메인모듈(200)의 하우징(210)과, 후면판(400)의 후방 챔버(410), 양 측면판(300)의 측방 챔버(310), 바닥판(500)의 바닥 챔버(510), 전면판(600)과 도어(610) 사이의 통기구(620), 환기구(330)가 모두 연통되어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건조시 송풍팬(240)이 작동되면, 드라이 룸(700) 내에는 송풍팬(240)에 의한 흡입력이 작용되어 드라이 룸(700)의 내기는 송풍팬(240)과 드라이 룸(700)을 순환하게 되고, 통기구(620)와 환기구(330)에 의해 드라이 룸(700)으로는 지속적으로 외기가 흡입되어 유입되므로, 드라이 룸(700) 내부는 음압이 형성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드라이 룸(700)의 음압 형성에 의해 건조시 드라이 룸(700)에서 발생되는 애완동물 털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어(610)에는 드라이 룸(700) 내에서 건조되는 애완동물을 육안으로 직접 관찰할 수 있도록 한 확인창(614)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는 송풍팬(240)이 작동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외기(내부가 빈 화살표)가 메인모듈(200)의 흡입구(211)를 통해 유입되고, 드라이 룸(700) 내부의 내기(내부가 해칭된 화살표)는 필터하우징(221)의 전면 흡입구(221b)를 통해 필터하우징(221)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외기와 내기는 각각 필터하우징(221) 내부에 구비된 통합 필터(220)의 상면부(220a)와 전면부(220b)를 통하면서 1차 필터링되고, 통합 필터(220) 내부에서 외기와 내기가 혼합 유동되면서 통합 필터(220)의 내주면(220c)과 접촉되어 2차 필터링된 후, 필터하우징(221)의 양측 배출구(221c)를 통해 배출되어 송풍팬(240)으로 공급된다.
송풍팬(240)으로 공급된 외기와 내기의 혼합 공기(내부가 검정색으로 채워진 화살표)는 도 5에서와 같이, 송풍팬(240)에서 토출되면서 히터(250)에 의해 가열되면 열풍으로, 미가열되면 건풍으로 후면판(400)의 후방 챔버(410)로 공급된다.
후방 챔버(410)로 공급된 일부 혼합 공기는 후방 챔버(410)의 분사구(413)를 통해 드라이 룸(700) 내로 분사되어 애완동물의 얼굴이나 등 부위를 건조시키게 되고, 나머지 혼합 공기는 측면판(300)의 측방 챔버(310)와 바닥판(500)의 바닥 챔버(510)로 공급된다.
측방 챔버(310)와 바닥 챔버(510)로 공급된 혼합 공기는 측방 챔버(310) 및 바닥 챔버(510)의 각 분사구(312)(512)를 통해 모두 드라이 룸(700) 내로 분사되어 애완동물의 몸통 옆구리 부위나 배 부위를 건조시키게 된다.
게다가, 송풍팬(240)의 작동시는 도 4에서와 같이, 전면판(600)과 도어(610) 사이의 통기구(620)로 신선한 외기가 강제 흡입되어 드라이 룸(700)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건조되는 동안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건조시 도 5에서와 같이, 송풍팬(240)의 작동에 의한 흡입력이 드라이 룸(700)에 작용되어 드라이 룸(700) 내부의 내기가 빨려나와 순환되고 통기구(620)와 환기구(330)를 통해 외기가 지속적으로 드라이 룸(700)으로 유입되므로 드라이 룸(700)에는 음압이 유지되어 건조시 발생될 수 있는 애완동물 털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후 드라이 룸(700)에 애완동물이 남아 있어도 도어(610)와 전면판(600) 사이의 통기구(620)에 의해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지므로 애완동물의 질식사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본체 200 : 메인모듈
210 : 하우징 211 : 흡입구
212 : 배출구 220 : 통합 필터
220a : 상면부 220b : 전면부
220c : 내주면 221 : 필터하우징
221a : 상면 흡입구 221b : 전면 흡입구
221c : 배출구 230 : 컨트롤러
240 : 송풍팬 250 : 히터
300 : 측면판 310 : 측방 챔버
311 : 유입구 312 : 분사구
320 : 레일홈 330 : 환기구
400 : 후면판 410 : 후방 챔버
411 : 유입구 412 : 배출구
413 : 분사구 500 : 바닥판
510 : 바닥 챔버 511 : 유입구
512 : 분사구 520 : 패드
600 : 전면판 610 : 도어
611 : 힌지브라켓 612,613 : 베어링휠
614 : 확인창 620 : 통기구
700 : 드라이 룸

Claims (4)

  1. 내부에 드라이 룸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로서,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외기 및 드라이 룸 내부의 내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메인모듈;
    메인모듈의 후단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부에는 송풍팬에 의한 외기 및 내기가 유입되어 드라이 룸으로 공급되는 후방 챔버를 갖는 후면판;
    메인모듈의 양측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부에는 후면판의 후방 챔버와 연통되어 송풍팬에 의한 외기 및 내기가 유입되어 드라이 룸으로 공급되는 측방 챔버를 갖는 측면판;
    후면판 및 측면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부에는 후면판의 후방 챔버와 연통되어 송풍팬에 의한 외기 및 내기가 유입되어 드라이 룸으로 공급되는 바닥 챔버를 갖는 바닥판;
    메인모듈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한편 드라이 룸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전면판;을 포함하고,
    메인모듈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상면 흡입구와 드라이 룸과 마주하여 드라이 룸의 내기가 유입되는 전면 흡입구 및 유입된 외기와 내기가 양측부로 배출되어 메인모듈 내부로 공급되는 배출구를 갖는 필터하우징이 구비되고,
    필터하우징에 삽입되는 한편 메인모듈 내로 유입되는 외기와 내기를 모두 정화하여 배출시키는 통합 필터가 구비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통합 필터는 그 내부가 빈 중공부재로 구비되어, 필터하우징의 상면 흡입구와 전면 흡입구를 통한 외기와 내기가 그 표면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되고, 그 내부에서 외기와 내기가 혼합되면서 내주면과 접하여 재차 필터링되어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면판과 도어 사이 및 측면판에는 드라이 룸을 환기시키는 한편 건조시 드라이 룸 내부에 음압 형성을 위한 통기구와 환기구가 각각 구비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KR1020180057847A 2018-05-21 2018-05-21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KR101971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47A KR101971577B1 (ko) 2018-05-21 2018-05-21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JP2021514263A JP7004278B2 (ja) 2018-05-21 2019-04-11 ペット乾燥装置
PCT/KR2019/004326 WO2019225858A1 (ko) 2018-05-21 2019-04-11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47A KR101971577B1 (ko) 2018-05-21 2018-05-21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577B1 true KR101971577B1 (ko) 2019-04-23

Family

ID=6628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847A KR101971577B1 (ko) 2018-05-21 2018-05-21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04278B2 (ko)
KR (1) KR101971577B1 (ko)
WO (1) WO201922585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6874A (zh) * 2019-11-26 2020-03-24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家庭宠物洗浴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00131431A (ko) * 2019-05-14 2020-11-24 임형규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20210036900A (ko) * 2019-05-14 2021-04-05 임형규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96337A (zh) * 2024-01-25 2024-04-02 东莞市净诺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带有净化空气功能的宠物烘干箱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376Y1 (ko) * 2006-11-24 2008-02-13 주식회사 세미클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KR200462906Y1 (ko) 2010-06-07 2012-10-09 우장근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200471579Y1 (ko) 2012-07-06 2014-03-05 조혜승 애완견 드라이 장치
KR200472302Y1 (ko) * 2012-08-02 2014-04-18 이기영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200476748Y1 (ko) 2014-10-01 2015-03-30 김용원 애완동물 건조장치
KR20150049810A (ko) 2013-10-31 2015-05-08 (주)에이치엔씨 펫 드라이 룸
KR101680824B1 (ko) * 2014-06-11 2016-11-30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드라이 룸
KR101840655B1 (ko) * 2017-07-17 2018-03-21 임형규 펫 드라이 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9903A (en) 1984-08-13 1985-12-24 Bloom Phyllis R Pet dryer
JP5751652B1 (ja) 2014-05-30 2015-07-22 株式会社ドリーム産業 トリミング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376Y1 (ko) * 2006-11-24 2008-02-13 주식회사 세미클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KR200462906Y1 (ko) 2010-06-07 2012-10-09 우장근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200471579Y1 (ko) 2012-07-06 2014-03-05 조혜승 애완견 드라이 장치
KR200472302Y1 (ko) * 2012-08-02 2014-04-18 이기영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20150049810A (ko) 2013-10-31 2015-05-08 (주)에이치엔씨 펫 드라이 룸
KR101680824B1 (ko) * 2014-06-11 2016-11-30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드라이 룸
KR200476748Y1 (ko) 2014-10-01 2015-03-30 김용원 애완동물 건조장치
KR101840655B1 (ko) * 2017-07-17 2018-03-21 임형규 펫 드라이 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431A (ko) * 2019-05-14 2020-11-24 임형규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20210036900A (ko) * 2019-05-14 2021-04-05 임형규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102239047B1 (ko) * 2019-05-14 2021-04-12 임형규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102647241B1 (ko) * 2019-05-14 2024-03-12 임형규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CN110896874A (zh) * 2019-11-26 2020-03-24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家庭宠物洗浴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04278B2 (ja) 2022-01-21
JP2021523740A (ja) 2021-09-09
WO2019225858A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577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KR101840655B1 (ko) 펫 드라이 룸
KR101680824B1 (ko) 펫 드라이 룸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KR200462906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2137572B1 (ko) 반려동물용 토탈케어 시스템
KR101937181B1 (ko)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KR101938694B1 (ko) 반려동물용 멀티하우스
KR20160011469A (ko)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KR20190001102A (ko)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KR20080068977A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101557129B1 (ko) 펫 드라이 룸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KR200390032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20180045246A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102063213B1 (ko) 다기능 펫 드라이룸
GB2144317A (en) Drying animals and collecting hair
KR102010363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KR102041948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용 도어의 구조
KR20180067773A (ko) 애완동물을 위한 이동식 드라이룸
KR200437871Y1 (ko) 애완동물 건조기
KR102015799B1 (ko) 글로브 박스형 펫 드라이룸
KR200373466Y1 (ko) 애완동물용 세척장치
KR102647241B1 (ko)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200340451Y1 (ko) 애완동물용 통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