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241B1 -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 Google Patents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241B1
KR102647241B1 KR1020210040233A KR20210040233A KR102647241B1 KR 102647241 B1 KR102647241 B1 KR 102647241B1 KR 1020210040233 A KR1020210040233 A KR 1020210040233A KR 20210040233 A KR20210040233 A KR 20210040233A KR 102647241 B1 KR102647241 B1 KR 102647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air
drying space
be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900A (ko
Inventor
임형규
Original Assignee
임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5603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39047B1/ko
Application filed by 임형규 filed Critical 임형규
Priority to KR102021004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2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공간의 압력을 대기압 이하로 유지하여 외부 공기가 항상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드라이 도중 발생한 털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조 공간을 구비하고, 건조 공간의 일 측에 구비된 내기 유입부 및 상기 내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내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건조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외기 유입부를 포함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PET DRYING ROOM TO MAINTAIN NEGATIVE PRESSURE}
본 발명은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공간의 압력을 대기압 이하로 유지하여 외부 공기가 항상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드라이 도중 발생한 털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독신 가구의 증가, 인구의 고령화 등에 따라 애완동물과의 교감을 통한 정서적 위로를 얻기 위해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
아파트뿐만 아니라 단독주택의 경우에도 실내에서 애완동물과 같이 생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애완동물의 오염된 털이나 이물질은 사람의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위생 청결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애완동물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펫샵(Pet Shop)에 애완동물의 목욕을 의뢰하거나, 개인이 직접 애완동물을 목욕시키게 되는데, 목욕 후 털을 잘 건조시키지 않으면 감기나 피부병의 원인이 된다.
건조를 위해 일반 헤어드라이어나 거치대에 거치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를 사용하면 건조 과정에서 빠진 털을 포집할 수 없고, 건조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을 수용하여 털을 말릴 수 있는 펫 드라이룸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등록 제10-1724043호)은 애완동물용 드라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 하, 좌, 우 4 방향에서 건풍을 분사하여 목욕이 끝난 건조대상(애완동물)의 젖은 털, 피부 등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드라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애완동물의 드라이 도중 발생되는 털이 외부로 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공간의 압력을 대기압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드라이 도중 발생되는 털 등이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공간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공간의 압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개의 필터부만 설치되는 구조의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건조 공간을 구비하고, 건조 공간의 일 측에 구비된 내기 유입부 및 상기 내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내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건조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외기 유입부를 포함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또한 내기 배출부에는 상기 내기 배출부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건조 공간의 또 다른 일 측에 구비된 내기 공급부 및 상기 내기 유입부와 상기 내기 공급부와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부는 상기 내기 유입부 및 상기 내기 공급부 사이에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내기 배출부는 상기 필터의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내기 배출부로 건조 공간 및 하우징 내측에서 순환하는 내기를 배출함으로써, 건조 공간의 내기 압력을 대기압 이하인 음압으로 유지하여 애완동물의 드라이 도중 발생되는 털 등이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건조 공간 외부로의 유출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댐퍼에 의해 내기 배출부의 단면적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건조 공간의 공기 압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공간을 순환하는 공기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재사용하기 위해 외기 유입부 및 내기 유입부 각각에 필터(필터부)를 설치하는 것이 아닌 한 개의 필터부만 설치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필터부의 설치 및 유지보수 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댐퍼를 통해 내기 배출부의 단면적 크기를 최대로 확대함으로써, 건조 공간의 음압 정도(대기압과의 차이)를 크게 하여 건조 공간 외부로 드라이 도중 발생한 털 등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내기 배출부의 단면적이 댐퍼에 의해 확대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어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 공간에 안착된 펫을 그루밍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댐퍼에 의해 내기 배출부의 단면적 크기가 감소된 상태로 스마트 펫 하우스 역할을 하는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내기 배출부의 단면적이 댐퍼에 의해 확대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1)을 '본 드라이룸'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드라이룸(음압유지 펫 드라이룸(1))은 하우징(11) 및 도어(12)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건조 공간(DS)을 구비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1)은 연결부(13P), 연결부(13P) 일 측에 연결되는 제1바디(111) 및 연결부(13P) 타 측에 연결되는 제2바디(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 측은 도 1에서 연결부(13P)를 기준으로 상측(또는 우측)을 의미하고, 타 측은 도 1에서 연결부(13P)를 기준으로 좌측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2바디(112)는 수평 배치되어 건조 공간(DS)의 하면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평 배치라 함은 지면에 대해 수평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1을 기준으로 3시-9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바디(111)는 제2바디(112)에 대하여 수직 배치(도 1을 기준으로 12시-6시 방향)되어 건조 공간(DS)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13P)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는 드라이를 위한 'ㄴ'자 형상의 건조 공간(DS)을 제공할 수 있으나, 건조 공간(DS)의 형상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조 공간(DS)에는 펫(애완동물)이 안착(수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12)는 하우징(11)과 건조 공간(DS)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도어(12)는 개폐 가능하도록 하우징(1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어(12)가 개방된 상태(도 2 참조)에서 하우징(11)에 의해 구비된 건조 공간(DS)에 펫(애완동물)이 안착되고, 이후에 도어(12)에 하우징(11)에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11)에 의해 구비된 건조 공간(DS)이 폐쇄됨으로써, 건조 공간(DS)에 펫이 수용될 수 있다. 또는 도어(12)가 하우징(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12)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형성되어 개폐될 수 있고,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어(12)가 하우징(11)에 결합되는 구성과 도어(12)의 슬라이드 되는 구성은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도어(12)에 의해 건조 공간(DS)이 폐쇄된다는 것은 완전한 폐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후술하는 외기 유입부(121)에 의해 건조 공간(DS)에 외기가 유입되는 상태의 부분적인 폐쇄(도 1 참조)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은 건조 공간의 일 측에 구비된 내기 유입부(113) 및 내기 유입부(113)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내기 배출부(115)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건조 공간(DS)의 내기가 내기 유입부(113)를 통과하여 후술하는 하우징(11)의 통로부(11P)를 경유하여 내기 배출부(115)를 통해 하우징(11)의 외부로 배출한다. 후술하겠지만 하우징(11)은 통로부(11P)에 팬(FA) 등이 구비되어 건조 공간(DS)의 내기를 내측 배출부(115)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내기는 건조 공간(DS) 및 하우징(11)의 내측 공간의 내측 공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내측 배출부(115)를 통해 건조 공간(DS)의 내기가 배출됨으로써 건조 공간(DS)은 항상 음압(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도어(12)는 외기 유입부(121)를 포함하고, 건조 공간(DS)이 대기압 이하의 음압을 형성함으로써,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외기가 건조 공간(DS)으로 유입된다. 여기에서 외기라 함은 본 드라이룸 외측의 공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내기 배출부(115)를 통해 건조 공간(DS)의 내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펫(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건조 공간(DS)으로 신선한 외기를 바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펫의 드라이 도중 발생하는 털 등을 내기 배출부(115)로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드라이 도중 발생하는 털 등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후술할 필터부(FI)가 내기 유입부(113) 및 내기 배출부(115)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 건조 공간(DS) 외측으로 드라이 도중 발생되는 펫의 털 등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은 건조 공간(DS)의 또 다른 일 측에 구비된 내기 공급부(114) 및 상기 내기 유입부(113)와 내기 공급부(114)가 연통하여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통로부(11P)를 포함할 수 있다. 팬(FA) 등에 의해 건조 공간(DS)의 내기가 내기 유입부(113)를 통과하여 통로부(11P)를 통해 그 일부가 내기 배출부(115)로 배출되고, 일부를 제외한 내기가 내기 공급부(114)를 통해 건조 공간(DS)으로 재공급된다. 이때 상술한바와 같이 건조 공간(DS)은 음압이 형성되므로,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외기가 건조 공간(DS)으로 유입된다.
이때 외기유입부(121), 내기 유입부(113), 내기 배출부(115) 및 내기 공급부(114)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은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1]
a = c
[식 2]
a + d = b - c
여기서, a는 외기 유입부(121)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b는 내기 유입부(113)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c는 상기 내기 배출부(115)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d는 상기 내기 공급부(114)를 통과하는 양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내기 유입부(113)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b가 100일 경우, 외기 유입부(121)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a는 5 내지 10, 내기 배출부(115)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c는 5 내지 10, 내기 공급부(114)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d는 90 내지 95일 수 있다.
상기 통로부(11P)는 내기 유입부(113)와 내기 공급부(114)의 사이 및 내기 유입부(113) 및 내기 배출부(115) 사이에 필터부(FI)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내기 배출부(115)는 필터부(FI)의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후단이라 함은 내기의 이동 경로 상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내기 유입부(113)를 통해 유입된 내기가 통로부(11P)에서 필터부(FI)를 통과하여 일부가 내기 배출부(115)로 배출되고 일부를 제외한 내기가 내기 공급부(114)를 통과하여 건조 공간(DS)으로 재공급된다.
이와 같이, 필터부(FI)가 내기 유입부(113)와 내기 공급부(114)의 사이 및 내기 유입부(113) 및 내기 배출부(115)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외기 유입부(121), 내기 공급부(114) 및 내기 배출부(115) 각각의 전단에 복수의 필터부(FI)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한 개의 필터부(FI)만을 구비할 수 있고, 따라서 필터부(FI)의 구매 및 유지보수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하는 동시에 내기 유입부(113)를 통과하는 내기에 포함된 펫의 털 등을 여과한 후에 내기 공급부(114)로 공급 또는 내기 배출부(115)로 배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내기 배출부(115)는 팬(FA)에 근접하여 팬(FA)에 후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팬(FA)이 구비되는 통로부(11P) 내의 내기는 팬(FA)의 후단에서 팬(FA)에 근접할수록 내기 순환 경로 방향으로의 이동속도가 빠르며, 팬(FA)과의 거리가 멀수록 내기 순환 경로 방향으로의 이동속도가 느리므로, 내기 배출부(115)를 팬(FA)의 후단에서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내기가 원활하게 내기 배출부(115)를 통해 본 드라이어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신선한 외기가 용이하게 건조 공간(DS)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어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 공간에 안착된 펫을 그루밍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내기 배출부(115)에는 내기 배출부(115)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댐퍼(1151)가 구비될 수 있다. 건조 공간(DS)을 청소하거나 건조 공간(DS)에 안착된 펫을 빗질(그루밍)하기 위해 건조 공간(DS)을 개방(도어(12)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형성되어 제1바디(111) 또는 제2바디(112)의 결합을 해제하거나 도어(12) 및 하우징(11)의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하는 경우, 펫의 그루밍 도중 발생하는 펫의 털 등이 건조 공간(DS)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댐퍼(1151)에 의해 내기 배출부(115)의 단면적 크기를 크게 하여 내기의 배출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건조 공간(DS)내의 압력과 대기압의 차이를 더욱 크게(음압을 더욱 크게)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내기 유입부(113)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b가 100일 경우, 외기 유입부(121)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a는 90 내지 95, 내기 배출부(115)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c는 90 내지 95, 내기 공급부(114)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d는 5 내지 1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댐퍼(1151)를 통해 내기 배출부(115)의 단면적 크기를 확대함으로써, 더욱 많은 양(도 1에서 댐퍼(1151)에 의해 내기 배출부(115)의 크기가 축소된 상태에서 내기 배출부(115)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과 비교)의 외기가 건조 공간(DS)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루밍(빗질, 드라이) 도중 발생되는 펫의 털 등이 건조 공간(DS)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반대로, 외기 유입부(121)의 단면적의 크기가 작아 건조 공간(DS)의 외측으로 털 및 먼지 등의 유출 가능성이 적은 동시에, 내기 배출부(115) 단면적의 도 2와 같이 크기가 클 경우, 통로부(11P)에 구비되는 필터부(FI) 및 팬(FA)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많고, 공기의 유속이 큼으로써, 필터부(FI) 및 히터(H)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도 1과 같이, 댐퍼(1151)를 통해 내기 배출부(115)의 단면적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내기의 배출량 및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고, 따라서 필터부(FI) 및 히터(H)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댐퍼(1151)를 통해 내기 배출부(115)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과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펫의 털 및 먼지 등이 건조 공간(DS)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필터부(FI) 및 팬(FA)의 효율을 유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도 5의 댐퍼에 의해 내기 배출부의 단면적 크기가 감소된 상태로 스마트 펫 하우스 역할을 하는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1과 같이 댐퍼(1151)를 통해 내기 배출부(115)의 단면적 크기를 감소(도 2에서 배출부(115) 단면적 크기와 비교) 시키는 경우, 건조 공간(DS)을 포함하는 본 드라이룸은 팬(FA), 히터(H)가 구동되는 경우,(후술하는 펫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펫이 건조 공간(DS)에 안착되는 경우에 팬(FA) 및 히터(H)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스마트 펫 하우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공간(DS) 내에서 펫의 안착(수용) 여부와 상관없이 팬(FA)이 구동되는 경우 본 드라이룸이 배치된 실내 공간의 공기 중 미세먼지 등을 필터(FI)로 여과하는 공기청정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하우징(11)은 내측에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부(11P)를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하우징(11)은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바디(111)는 제1통로부(111P)를 포함하고 제2바디(112)는 제2통로부(112P)를 각각 포함할 수 있고, 제1통로부(111P) 및 제2통로부(112P)는 각각 연결부(13P)를 통해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상술하였듯이 필터부(FI)는 내기 유입부(113)와 내기 공급부(114)의 사이와 동시에 내기 유입부(113) 및 내기 배출부(115) 사이에 구비되는데 필터부(FI)는 제1통로부(111P) 또는 제2통로부(112P)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팬(FA) 및 히터(H)가 제1통로부(111P) 또는 제2통로부(112P)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술한 외기 유입부(121)는 도어(12)가 하우징(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1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제2바디(112)가 건조 공간(DS)의 하면을 구성한다고 하였는데, 따라서 제2바디(112)에 인접하는 도어(12)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12) 및 하우징(11)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기 유입부(121)가 도어(12)의 상측(애완동물의 키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 외기 유입부(121)로 유입된 공기가 내기의 순환 경로 상 애완동물에 바로 제공되지 않고, 바로 내기 유입부(113)를 통과하여 통로부(11P)를 경유하여 내기 공급부(114)를 통해 건조 공간(DS)으로 공급된다. 이와 달리 내기의 순환 경로 상 애완동물의 키보다 낮은 도어(12)의 하측에 외기 유입부(121)를 구비함으로써, 건조 공간(DS)에 수용되는 펫(애완동물)에 신선한 외기를 통로부(11P)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외기 유입부(121)는 건조 공간(DS)에 수용되는 애완동물의 코 높이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은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필터부(FI)는 제1바디(111)의 제1통로부(111P)에 구비되고, 제1바디(111)는 제1통로부(111P)를 개방하는 개폐부(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폐부(1111)는 제1통로부(111P)의 개구된 부분을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덮개 및 상기 덮개와 연결되는 힌지부에 의해 제1통로부(111P)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즉, 본 드라이룸을 사용하여 펫을 드라이 하는 경우 개폐부(1111)에 의해 제1통로부(111P)의 개구된 부분을 밀폐하여 내기 유입부(113), 통로부(11P), 내기 공급부(114)로 공기를 순환시키되, 내기 배출부(115)로 내기를 배출하고, 외기 유입부(121)로 외기를 유입시킨다. 반면에 본 드라이룸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필터부(FI) 등을 유지보수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개폐부(1111)를 통해 제1통로부(111P)의 개구된 부분을 개방하여 필터부(FI) 등을 용이하게 유지보수(필터부(FI)에 포집된 먼지, 털 등을 제거하거나 필터부(FI) 등을 교체) 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FI), 팬(FA) 및 히터(H)는 내기의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부(FI) - 팬(FA) - 히터(H) 순으로 배치되고, 개폐부(1111)는 필터부(FI)의 배치에 대응하여, 내기의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부(FI)의 전단(예시적으로 제1바디(11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1바디(111) 외부에서 팬(FA) 또는 히터(H)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사용자가 필터부(FI)에 포집된 먼지나 털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필터부(FI) 등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필터부(FI)는 Pre filter(FIa), 항균필터(FIb) 및 HEPA Filter(F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부(FI)는 펫의 털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및 초미세먼지까지 제거할 수 있으므로 건조 공간(DS)을 더욱 청결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기 배출부(115)로 배출되는 내기에서 바이러스 및 초미세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본 드라이룸이 배치되는 공간을 더욱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상술하였듯이 본 드라이룸은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드라이룸은 온도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하고, 본 드라이룸의 하우징(11)은 쿨러(C)(도 1 내지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 온도에 미달되는 경우, 팬(FA)과 히터(H)를 동시에 구동시켜 난방(건조 공간(DS)을 난방)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필터부(FI)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팬(FA) 및 쿨러(C) 구동시켜 냉방(건조 공간(DS)을 냉방)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드라이룸은 건조 공간(DS) 만을 선택적으로 냉난방 함으로써, 1인 가구 등에 있어서, 주거공간에 홀로 있는 펫을 위해 주거공간 전체를 냉난방할 필요 없이 본 드라이룸의 건조 공간(DS)을 국소적으로 냉난방 할 수 있고, 따라서 펫에 냉난방을 위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건조 공간(DS)의 온도에 대응하여 냉난방을 제공함으로써 펫이 안착되는 건조 공간(DS)을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하였듯이 본 드라이룸은 스마트 펫 드라이룸(도 6 참조)일 수 있다. 본 드라이룸(스마트 펫 드라이룸)은 온도 감지부(미도시)와 상관없이 팬(FA) 및 히터(H)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드라이룸은 습도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하고, 본 드라이룸의 하우징(11)은 가습기(HU)(도 1 내지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습도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 습도에 미달되는 경우, 본 드라이룸은 가습기(HU)를 구동시키고, 습도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습도가 기 설정된 기준 습도를 초과하는 경우, 본 드라이룸은 구동중인 가습기(HU)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드라이룸은 건조 공간(DS)의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1인 가구 등에 있어서, 주거공간에 홀로 있는 펫을 위해 주거공간 전체의 습도를 조절할 필요 없이 본 드라이룸의 건조 공간(DS)의 습도를 조절 할 수 있고, 따라서 펫이 수용되는 공간에 대해 습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건조 공간(DS)의 습도에 대응하여 가습기(HU)를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펫이 안착되는 건조 공간(DS)을 적정 습도로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하였듯이 본 드라이룸은 스마트 펫 드라이룸(도 6 참조)일 수 있다. 본 드라이룸(스마트 펫 드라이룸)은 습도 감지부(미도시)와 상관없이 팬(FA) 및 가습기(HU)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드라이룸은 펫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하고, 펫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건조 공간(DS)에서 펫이 감지될 경우, 팬(FA), 히터(H), 쿨러(C) 및 가습기(HU)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드라이룸은 펫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하고, 펫 감지부에 연동되어 팬(FA), 히터(H), 쿨러(C) 및 가습기(HU)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됨으로써, 펫의 관리자(본 드라이룸 이용자)를 통한 별도의 제어 없이 펫이 안착(수용)되는 건조 공간(DS)의 온도, 청결 상태, 습도 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펫의 관리자가 본 드라이룸이 배치된 실내 공간에 없는 상황(1인가구 등)에서도 애완동물(펫)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펫 드라이룸(본 드라이룸)(도 6 참조)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드라이룸은 건조 공간(DS)을 음압으로 유지하여 드라이 도중 발생되는 펫의 털 등이 본 드라이룸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감지부(미도시), 습도 감지부(미도시), 펫 감지부(미도시), 팬(FA), 히터(H), 쿨러(C) 및 가습기(HU) 등을 통해 건조 공간(DS)의 환경(온도, 습도 등)을 국소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펫 하우스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드라이룸은 필터(FI)를 구비함에 따라 본 드라이룸이 배치되는 공간에서 펫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을 위한 공기 청정기로서의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H), 쿨러(C) 및 가습기(HU) 중 적어도 하나는 팬(FA)과 함께 구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1
하우징: 11
통로부: 11P
제1바디: 111
제1통로부: 111P
개폐부: 1111
제2바디: 112
제2통로부: 112P
내기 유입부: 113
내기 공급부: 114
건조 공간: DS
필터부: FI
팬: FA
히터: H
쿨러: C
가습기: HU
내기 배출부: 115
댐퍼: 1151
도어: 12
외기 유입부: 121
연결부: 13P

Claims (10)

  1. 건조 공간을 구비하고, 건조 공간의 일 측에 구비된 내기 유입부 및 상기 내기 유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내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건조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외기 유입부를 포함하는 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가습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기 배출부에는 상기 내기 배출부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건조 공간의 또 다른 일 측에 구비된 내기 공급부 및 상기 내기 유입부와 상기 내기 공급부와 연통하여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부를 포함하고,상기 통로부는 상기 내기 유입부 및 상기 내기 공급부 사이에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내기 배출부는 상기 필터의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연결부, 연결부 일 측에 연결되는 제1바디 및 연결부 타 측에 연결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수직 배치되어 상기 건조 공간의 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바디는 수평 배치되어 상기 건조 공간의 하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바디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제1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제2통로부를 포함하고,
    필터부, 팬 및 히터는 상기 제1통로부 또는 상기 제2통로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바디의 제1통로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통로부를 개방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 팬 및 히터는 내기의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부 - 팬 - 히터 순으로 배치되고,상기 개폐부는 상기 내기의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필터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부, 상기 내기 유입부, 상기 내기 배출부 및 상기 내기 공급부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은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하고,[식 1]a = c[식 2]a + d = b - c여기서, a는 상기 외기 유입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b는 상기 내기 유입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c는 상기 내기 배출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 d는 상기 내기 공급부를 통과하는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1020210040233A 2019-05-14 2021-03-29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102647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233A KR102647241B1 (ko) 2019-05-14 2021-03-29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038A KR102239047B1 (ko) 2019-05-14 2019-05-14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1020210040233A KR102647241B1 (ko) 2019-05-14 2021-03-29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038A Division KR102239047B1 (ko) 2019-05-14 2019-05-14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900A KR20210036900A (ko) 2021-04-05
KR102647241B1 true KR102647241B1 (ko) 2024-03-12

Family

ID=9029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233A KR102647241B1 (ko) 2019-05-14 2021-03-29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2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736Y1 (ko) 2004-02-11 2004-04-29 주식회사 다이와테쿠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101971577B1 (ko) * 2018-05-21 2019-04-23 주식회사 페페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8763B1 (ja) * 2013-09-14 2014-04-23 株式会社ドリーム産業 ペット用ボックスドライヤー
KR101680824B1 (ko) * 2014-06-11 2016-11-30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드라이 룸
KR101628187B1 (ko) * 2014-07-22 2016-06-08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다기능 팬 모듈
KR101963814B1 (ko) * 2017-06-26 2019-04-01 주식회사 몰트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736Y1 (ko) 2004-02-11 2004-04-29 주식회사 다이와테쿠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101971577B1 (ko) * 2018-05-21 2019-04-23 주식회사 페페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900A (ko)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655B1 (ko) 펫 드라이 룸
US11528882B2 (en) Air filtration and control system for an animal housing
KR200472302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680824B1 (ko) 펫 드라이 룸
KR101263993B1 (ko) 창문형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KR101937181B1 (ko)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CN105611829B (zh) 修剪箱
KR200462906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971577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KR101400831B1 (ko) 연속식 에어샤워부스
KR101776947B1 (ko) 애완동물 하우스
CN208175742U (zh) 一种宠物烘干装置
KR102647241B1 (ko)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102239047B1 (ko)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US20090007582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N107270403A (zh) 空气组合式中央空调风柜机
KR101762354B1 (ko) 온도조절기능을 갖는 환기장치
KR101122252B1 (ko) 창문형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2647239B1 (ko) 폴더블 펫 드라이어
KR20030072279A (ko) 애완동물용 하우스
KR20180067773A (ko) 애완동물을 위한 이동식 드라이룸
KR102239044B1 (ko) 폴더블 펫 드라이어
KR20200065388A (ko) 반려동물용 클린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