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044B1 - 폴더블 펫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폴더블 펫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044B1
KR102239044B1 KR1020190056037A KR20190056037A KR102239044B1 KR 102239044 B1 KR102239044 B1 KR 102239044B1 KR 1020190056037 A KR1020190056037 A KR 1020190056037A KR 20190056037 A KR20190056037 A KR 20190056037A KR 102239044 B1 KR102239044 B1 KR 102239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rying space
door
dry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430A (ko
Inventor
김수경
Original Assignee
(주)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붐테크 filed Critical (주)붐테크
Priority to KR102019005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04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430A/ko
Priority to KR1020210040230A priority patent/KR102647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펫 드라이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펼침 상태에서 애완동물의 드라이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접힘 가능한 폴더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공간효율 및 휴대성 등이 증대된 폴더블 펫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조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 공간의 일 측에 구비된 내기 유입부 및 상기 건조 공간의 또 다른 일 측에 구비된 내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건조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제공하는 힌지결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더블 펫 드라이어{FOLDABLE PET DRYER}
본 발명은 폴더블 펫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펼침 상태에서 애완동물의 드라이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접힘 가능한 폴더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공간효율 및 휴대성 등이 증대된 폴더블 펫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독신 가구의 증가, 인구의 고령화 등에 따라 애완동물과의 교감을 통한 정서적 위로를 얻기 위해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
아파트뿐만 아니라 단독주택의 경우에도 실내에서 애완동물과 같이 생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애완동물의 오염된 털이나 이물질은 사람의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위생 청결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애완동물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펫샵(Pet Shop)에 애완동물의 목욕을 의뢰하거나, 개인이 직접 애완동물을 목욕시키게 되는데, 목욕 후 털을 잘 건조시키지 않으면 감기나 피부병의 원인이 된다.
건조를 위해 일반 헤어드라이어나 거치대에 거치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를 사용하면 건조 과정에서 빠진 털을 포집할 수 없고, 건조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을 수용하여 털을 말릴 수 있는 펫 드라이룸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공개특허 제20-2010-0008637호)은 애완동물의 목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샤워가 끝난 후 애완견을 말려주기 위한 드라이 장치, 상기 드라이 장치에 의해 털을 건조시킨 후 환풍 동작에 의해 애완견으로부터 빠진 털이 걸리도록 하기 위한 걸림 장치를 갖는 환풍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드라이 장치 및 환풍 장치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의 목욕장치가 폴더블 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공간효율이 낮으며, 포장 및 운송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구조를 제공하여 공간효율이 극대화되고 포장 및 운송이 용이한 폴더블 펫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건조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 공간의 일 측에 구비된 내기 유입부 및 상기 건조 공간의 또 다른 일 측에 구비된 내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제공하는 힌지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하우징의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펼침 상태에서는 애완동물의 드라이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접힘 상태에서 공간효율이 극대화되는 동시에 포장 및 운송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의 폴더블 펫 드라이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에서의 폴더블 펫 드라이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펼침 상태의 폴더블 펫 드라이어의 하면에 애완동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건조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우징에 도어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의 폴더블 펫 드라이어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에서의 폴더블 펫 드라이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폴더블 펫 드라이어(1)는 하우징(11) 및 힌지결합수단(13)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펫 드라이어(1)를 '본 드라이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은 건조 공간(DS)을 구비한다. 또한 힌지결합수단(13)은 하우징(11)에 구비되고, 하우징(11)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제공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1)은 후술할 힌지결합수단(13)을 기준으로 일 측에 제1바디(111) 및 타 측에 제2바디(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 측은 도 2의 힌지결합수단(13)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6시 방향)을 의미하고, 타 측은 도 2의 힌지결합수단(13)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12시 방향)을 의미한다. 힌지결합수단(13)은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가 'ㄴ' 자 형상이 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펼침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예시적으로 힌지결합수단(13)은 하우징(11)(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이 대략'='자 형상이 되도록 접힘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바디(112)는 수평 배치되어 애완동물(펫)이 안착되는 하면을 구성하고, 제1바디(111)는 상기 제2바디(112)에 수직(도 1을 기준으로 12시-6시 방향) 배치되어 상기 건조 공간(DS)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평 배치라 함은 지면에 대해 수평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데 도 1을 기준으로 3시-9시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2바디(112)에 애완동물(펫)이 안착됨으로써,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가 구비하는 건조 공간(DS)에 애완동물이 안착된다.
상술하였듯이 힌지결합수단(13)은 하우징(11)에 구비되어 하우징(11)(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에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제공하는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 사이에 구비되어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가 상호 힌지 회동되도록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1)은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가 힌지결합수단(13)에 각각 연결되어 힌지 회전됨으로써, 펼침 상태에서는 펫(애완동물)의 드라이를 위한 건조 공간(DS)을 제공하고, 접힘 상태에서는 부피가 축소되므로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어 포장,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3은 펼침 상태의 폴더블 펫 드라이어의 제2바디에 애완동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은 건조 공간(DS)의 일 측에 구비된 내기 유입부(113) 및 건조 공간(DS)의 또 다른 일 측에 구비된 내기 공급부(114)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내기 유입부(113)는 하우징(11)의 펼침 상태에서 제1바디(111)의 상측(도 1을 기준으로 12시 방향)에 구비되고, 내기 공급부(114)는 제2바디(112) 또는 제1바디(111) 또는 둘 모두에 구비되되, 제1바디(111)에 구비되는 내기 공급부(114)는 제1바디(111)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술하였듯이 본 드라이어가 'ㄴ' 자 형상이 되도록 하우징(11)이 펼침 상태에 놓인다고 하였는데, 본 드라이어가 'ㄴ'자 형상으로 펼침 상태에 놓임으로써, 내기 공급부(114)를 통해 건조 공간(DS)에 안착된 애완동물로 내기를 공급한 이후에, 상기 내기를 다시금 내기 유입부(113)를 통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공간(DS) 내의 내기를 원활히 이동(순환)시키는 동시에 건조 공간(DS) 내의 드라이 도중 발생한 털 등이 내기 유입부(113)로 용이하게 배출(후술하는 통로부(11P) 유입되도록 한다)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내기란 건조 공간(DS) 및 후술하는 통로부(11P) 내의 공기로서, 드라이 도중 발생되는 펫의 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건조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우징에 도어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드라이어(폴더블 펫 드라이어(1))는 건조 공간(DS)을 형성하도록 하우징(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도어(12)는 제1바디(111), 제2바디(112) 또는 둘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내기 공급부(114) 및 내기 유입부(113)를 통해 건조 공간(DS) 및 후술하는 통로부(11P)에서 공기가 이동(순환)되도록 도어(12)는 하우징(11)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드라이어는 하우징(11)이 도어(12)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드라이어의 역할을 수행(도 3 참조)하며, 하우징(11)에 도어(12) 결합되는 경우 드라이룸으로서 역할을 수행(도 4 참조)한다는 이점이 있다. 즉 도어(12)를 하우징(11)에 결합함으로써, 드라이 도중 발생되는 펫의 털 등이 건조 공간(DS) 및 후술하는 통로부(11P)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도어(12) 및 하우징(11)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그루밍(빗질) 및 드라이를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펼침 상태에서 도어(12)를 연결하여 건조 공간(DS)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11)의 접힘 상태 이전에 도어(12) 및 하우징(11)의 결합을 해제하여 하우징(11)이 접힘 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어(12) 및 하우징(11)은 볼팅 결합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12)가 하우징(11)과 착탈 가능한 구조이므로, 도어(12)를 하우징(11)에 연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애완동물을 용이하게 건조 공간(DS)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건조 공간(DS)에 애완동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도어(12)를 하우징(11)에 결합(연결)시킴으로써, 애완동물을 건조 공간(DS)에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의 접힘 상태 이전에 도어(12)의 결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하우징(11)의 접힘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 및 도어(12)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하우징(11) 및 도어(12) 각각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부(11P)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후술할 팬(FA) 등에 의해 내기 유입부(113)를 통해 건조 공간(DS)의 내기가 통로부(11P)로 유입되고, 통로부(11P)를 이동한 내기가 내기 공급부(114)를 통해 건조 공간(DS)으로 이동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바디(111)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제1통로부(111P)를 포함하며, 제2바디(112)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되는 제2통로부(112P)를 포함하는데 제1통로부(111P) 및 제2통로부(112P)는 연결부(13P)를 통해 연통되는 구조이다.
이때, 통로부(11P)는 내기 유입부(113) 및 내기 공급부(114) 사이에 필터(FI)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드라이 도중 발생되는 펫의 털 등을 포함하는 내기가 내기 유입부(113)를 통해 통로부(11P)내 구비되는 필터(FI)에 의해 여과되어 내기 공급부(114)를 통하여 재공급 되므로, 펫이 수용되는 건조 공간(DS)의 청결 상태를 유지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통로부(11P)는 건조 공간(DS) 및 통로부(11P)의 공기(내기)를 이동시키는 팬(FA)을 구비하되, 팬(FA)은 내기의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FI)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팬(FA)은 건조 공간(DS)의 내기를 내기 유입부(113)를 통해 통로부(11P)로 유입시키고, 통로부(11P) 내 내기를 다시금 내기 공급부(114)를 통해 건조 공간(DS)으로 이동시킨다. 즉, 내기 순환 경로는 건조 공간(DS) - 내기 유입부(113) - 통로부(11P) - 내기 공급부(114) - 건조 공간(DS)이다.
이와 같이, 팬(FA)은 필터(FI)의 내기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후단에 구비되어 펫의 털 등이 여과된 내기만이 통과됨으로 팬(FA)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팬(FA)의 수명 연장).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은 상기 내기의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FI)의 후단에 구비된 내기 배출부(115)를 포함하고, 도어(12)는 통공된 외기 유입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 및 도어(12)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12)가 외기 유입부(121)를 포함함으로써, 펫이 안착되는 건조 공간(DS)에 신선한 외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외기는 본 드라이어(건조 공간(DS) 및 통로부(11P)) 외측의 대기를 의미한다.
이때, 건조 공간(DS) 및 통로부(11P)의 내기를 본 드라이어(드라이룸)의 외측으로 배출하지 않은 경우, 건조 공간(DS) 내의 드라이 도중 발생한 펫의 털 등이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본 드라이어의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은 필터(FI)의 후단에 구비되는 내기 배출부(115)를 포함함으로써, 건조 공간(DS)내 내기의 압력을 항상 대기압 미만으로 유지하여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건조 공간(DS)내의 털(드라이 도중 발생한 펫의 털) 등이 본 드라이어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신선한 외기가 건조 공간(DS)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하였듯이 단일개의 필터(FI)가 내기 유입부(113) 및 내기 공급부(114) 사이에 구비되는 동시에, 내기 유입부(113) 및 내기 배출부(115)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필터(FI)를 복수개 구비할 필요 없이 한 개의 필터(FI)만으로 드라이 도중 발생한 펫의 털 등을 여과하여 건조 공간(DS)으로 공급 및, 본 드라이룸의 외측(하우징(11) 및 건조 공간(DS)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어, 필터(FI)를 복수개 구입하고 복수개의 필터(FI)를 유지보수 할 필요가 없으므로 필터(FI)에 관한 비용이 절약된다는 이점이 있다.
내기 배출부(115)는 팬(FA)에 근접하여 팬(FA)에 후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팬(FA)이 구비되는 통로부(11P) 내의 내기는 팬(FA)의 후단에서 팬(FA)에 근접할수록 내기 순환 경로 방향으로의 이동속도가 빠르며, 팬(FA)과의 거리가 멀수록 내기 순환 경로 방향으로의 이동속도가 느리므로, 내기 배출부(115)를 팬(FA)의 후단에서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내기가 원활하게 내기 배출부(115)를 통해 본 드라이어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신선한 외기가 용이하게 건조 공간(DS)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외기 유입부(121)는 도어(12)가 하우징(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12)의 하측(도 1을 기준으로 6시 방향)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술하였듯이 제2바디(112)는 건조 공간(DS)의 하면을 구성하고, 제1바디(111)는 제2바디(112)에서 수직 배치되어 측면을 구성하는데, 외기 유입부(121)는 제2바디(112)에 인접한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기 유입부(121)가 도어(12)의 하측에 구비됨으로써, 본 드라이어의 내기 순환 경로 상 건조 공간(DS)에 수용된 펫에 신선한 외기(통로부(11P)를 통과하지 않은 공기)를 바로 공급할 수 있다. 반대로, 외기 유입부(121)가 도어(12)의 상측에 구비되는 경우, 팬(FA)에 의한 본 드라이룸의 내기 순환 경로 상,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공급된 신선한 공기가 펫에 바로 제공되지 않고, 내기 유입부(113)를 통과할 수 있다.
외기 유입부(121)는 펫의 얼굴 높이(펫의 코 높이)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2)가 하우징(11)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드라이어)에서도, 내기 배출부(115)를 통해 필터(FI)에 의해 여과된 내기가 배출됨으로써, 건조 공간(DS)의 내기(외기가 포함될 수 있다)가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통로부(11P)로 이동된다. 따라서 그루밍(빗질) 시에도 펫의 털 등이 본 드라이어(건조 공간(DS))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필터(FI)는 제1바디(111)의 제1통로부(111P)에 구비되고, 제1바디(111)는 제1통로부(111P)를 개방하는 개폐부(1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개폐부(1111)는 예시적으로 제1통로부(111P)에 구비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힌지 회전에 따라 제1통로부(111P)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즉, 본 드라이어는 펫을 드라이 또는 그루밍 하는 경우 개폐부(1111)에 의해 제1통로부(111P)를 밀폐시켜(제1통로부(111P)의 개구된 부분을 밀폐) 건조 공간(DS), 내기 유입부(113), 통로부(11P), 내기 공급부(114) 상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되, 내기 배출부(115)로 내기를 배출시킨다(도어(121)가 결합되는 경우 외기 유입부(121)로 외기를 유입시키기도 한다). 반면에 본 드라이어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FI) 등을 유지보수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개폐부(1111)를 통해 제1통로부(111P)를 개방(제1통로부(111P)의 개구된 부분을 개방)하여 필터(FI) 등을 용이하게 유지보수(필터(FI)에 포집된 먼지, 털 등을 제거하거나 필터(FI) 등을 교체)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개폐부(1111) 상기 내기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FI)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술하였듯이, 팬(FA)이 필터(FI)의 후단에 구비된다고 하였으므로, 통로부(11P)의 개구된 부분 및 개폐부(1111)는 내기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FI)의 전단에 구비됨으로써, 팬(FA)에 방해를 받지 않고 필터(FI)에 포집된 먼지나 털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필터(FI) 등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드라이어는 통로부(11P)에 히터(H)를 구비할 수 있는데, 히터(H) 또한 내기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FI)의 후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폴더블 펫 드라이어: 1
하우징: 11
통로부: 11P
제1바디: 111
제1통로부: 111P
개폐부: 1111
제2바디: 112
제2통로부: 112P
내기 유입부: 113
내기 공급부: 114
건조 공간: DS
필터: FI
팬: FA
히터: H
내기 배출부: 115
댐퍼: 1151
도어: 12
외기 유입부: 121
힌지결합수단: 13
연결부: 13P

Claims (9)

  1. 건조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 공간의 일 측에 구비된 내기 유입부 및 상기 건조 공간의 또 다른 일 측에 구비된 내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제공하는 힌지결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로부는 상기 내기 유입부 및 상기 내기 공급부 사이에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통로부는 상기 건조 공간 및 상기 통로부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을 더 구비하되, 상기 팬은 내기의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내기의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의 후단에 구비된 내기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통공된 외기 유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로부의 내기는 내기 배출부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고,
    상기 외기 유입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힌지결합수단을 기준으로 일 측에 제1바디 및 타 측에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결합수단은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가 'ㄴ' 자 형상이 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펼침 동작을 제공하고, 상기 제2바디는 수평 배치되어 애완동물이 안착되는 하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2바디에 수직 배치되어 상기 건조 공간의 측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 각각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제1통로부 및 제2통로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제1바디의 제1통로부에 구비되고,
    제1바디는 상기 제1통로부를 개방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내기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KR1020190056037A 2019-05-14 2019-05-14 폴더블 펫 드라이어 KR10223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037A KR102239044B1 (ko) 2019-05-14 2019-05-14 폴더블 펫 드라이어
KR1020210040230A KR102647239B1 (ko) 2019-05-14 2021-03-29 폴더블 펫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037A KR102239044B1 (ko) 2019-05-14 2019-05-14 폴더블 펫 드라이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230A Division KR102647239B1 (ko) 2019-05-14 2021-03-29 폴더블 펫 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430A KR20200131430A (ko) 2020-11-24
KR102239044B1 true KR102239044B1 (ko) 2021-04-12

Family

ID=7367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037A KR102239044B1 (ko) 2019-05-14 2019-05-14 폴더블 펫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0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655B1 (ko) 2017-07-17 2018-03-21 임형규 펫 드라이 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401A (ko) * 2008-05-30 2009-12-03 (주) 에띠라 접이식 히터가 구비된 모발 건조장치
KR101035243B1 (ko) * 2009-01-21 2011-05-19 최영민 접이식 발 건조기
JP5478763B1 (ja) * 2013-09-14 2014-04-23 株式会社ドリーム産業 ペット用ボックスドライヤー
KR101764164B1 (ko) * 2015-10-28 2017-08-02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드라이 룸 겸용 애완동물용 가방
KR20190050892A (ko) * 2017-11-04 2019-05-14 김은영 대형견 발 전용 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655B1 (ko) 2017-07-17 2018-03-21 임형규 펫 드라이 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430A (ko)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605B2 (en) Pet dry room and tray used therefor
KR200472302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US20210337766A1 (en) Multi-house for pets
KR20110011502U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US20200008394A1 (en) Pet healthcare apparatus with bacteriostatic and sterilization system
KR101710121B1 (ko) 반려동물 드라이 룸
KR101971577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WO2017150805A1 (ko) 브러시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CN105611829A (zh) 修剪箱
KR20190001102A (ko)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KR20150049810A (ko) 펫 드라이 룸
CN110419458A (zh) 料理装置以及用料理装置制得的毛发料理设备及料理方法
KR102239044B1 (ko) 폴더블 펫 드라이어
KR20210036337A (ko) 폴더블 펫 드라이어
KR20180045246A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JP3166426U (ja) ペット用乾燥装置
KR102410419B1 (ko)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CN209672423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浴霸装置
KR200398311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102239047B1 (ko)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KR102647241B1 (ko) 음압유지 펫 드라이룸
CN117322352B (zh) 一种共享智能宠物美容寄存柜
JP2007259746A (ja) ペットの静風乾燥機
KR20210047560A (ko)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KR20210119738A (ko) 펫드라이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