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560A -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 Google Patents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560A
KR20210047560A KR1020190131322A KR20190131322A KR20210047560A KR 20210047560 A KR20210047560 A KR 20210047560A KR 1020190131322 A KR1020190131322 A KR 1020190131322A KR 20190131322 A KR20190131322 A KR 20190131322A KR 20210047560 A KR20210047560 A KR 20210047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cat
aroma
main body
c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이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연 filed Critical 이수연
Priority to KR1020190131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7560A/ko
Publication of KR20210047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묘 즉, 고양이의 털에 묻은 각종 이물질 뿐만 아니라 수분을 제거하고, 고양이의 심신을 안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최초 상부에 형성된 제2출입구를 폐쇄하고 제1출입구를 개방하여 상기 제1출입구를 통해 고양이가 하우스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는 친화력을 배양한 후 제1출입구를 폐쇄하고 제2출입구를 개방하여 상기 제2출입구를 통해 고양이가 하우스에 자연스럽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되, 고양이용 아로마를 발향시켜 더욱더 원활한 친화력 배양과 자연스러운 출입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별 작동 또는 기능별 작동이 자동으로 제어되어 고양이의 털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스 내부에서 고양이의 털을 집진함과 동시에 건조시킴으로써, 실내에서 고양이의 털 또는 이물질 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위생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고양이용 아로마향을 하우스 내부에서 발향시켜 하우스에 대한 친화력 배양이 용이하여 자연스럽게 고양이 스스로 출입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편리하게 가정이나 펫관리샵, 수의병원에서 고양이의 위생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Cat smart aroma house}
본 발명은 반려묘 즉, 고양이의 심신을 안정시키는 천연 아로마를 이용하여 고양이 스스로가 클린룸에 들어가 자신의 털에 묻은 각종 이물질 뿐만 아니라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취하기 위한 장치이고, 반려묘 스스로와 거주환경내의 사람에게 해로운 공기 부유 성분을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최초 상부에 형성된 제2출입구를 폐쇄하고 제1출입구를 개방하여 상기 제1출입구를 통해 고양이가 하우스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는 친화력을 배양한 후 제1출입구를 폐쇄하고 제2출입구를 개방하여 상기 제2출입구를 통해 고양이가 하우스에 자연스럽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되, 고양이용 아로마를 발향시켜 더욱더 원활한 친화력 배양과 자연스러운 출입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별 작동 또는 기능별 작동이 자동으로 제어되어 고양이의 털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현대사회에서 생활수준의 향상과 핵가족화에 따른 독신가구의 증가에 따른 정서적 요구의 증대 등 다양한 이유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애견샵, 애견카페, 동물병원 등 애완동물과 관련된 관련업종들도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화에 따른 아파트, 단독주택과 같은 집단 공동주택에 있어서는 애완동물을 집 밖에서 키울 수 없어 자연스럽게 사람과 함께 생활하면서 집안에서 애완동물을 키우게 된다.
한편, 애완동물은 개와 고양이와 같은 전통적인 종류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포유류나 파충류, 양서류 등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데, 아직까지도 가장 주종을 이루는 것은 역시 포유류가 많이 차지하고 있다.
상기 애완동물 가운데 강아지나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은 주거 문화의 변화에 따라 집안에서 사람과 같이 생활하므로 집 밖에서 키우는 애완동물보다 청결에 보다 많은 신경을 써야 하고, 그로 인해 자주 목욕을 시켜 애완동물 특유의 냄새 및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빠진 털이나 털에 포함된 세균이나 진드기,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결 상태를 유지시켜주어야 한다.
특히, 고양이의 경우 털 길이에 상관없이 털빠짐이 심한 동물이고, 빠진 털의 관리는 고양이 애호가에게는 평생의 숙제와도 같아 "고양이는 털 문제만 없다면 완별한 애완동물이다"라고 고양이 키우는 사람들이 입을 모을 정도로 털빠짐에 의한 실내 공기 오염이 심각하다.
또한, 고양이는 고양이 과의 특성에 따라 사냥의 습성을 가진 야행성 동물이기 때문에 실내에서도 어둡거나 먼지가 많은 구석 등에서 빈번하게 활동하며, 이때에 털에 정전기 등이 발생하여 집안 곳곳의 미세먼지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 등을 털에 뭍히고 활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고양이 뿐만 아니라 개와 같이 털이 많은 동물들의 털을 실내 공기중에서 제거하기 위한 애완동물 전용 공기청정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비산되는 털을 모두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실내 공기의 청정도는 유지할 수 있으나 애완동물의 털을 집적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므로 애완동물 특히 고양이의 털 관리는 별도로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실내 공기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에서 사람과 같이 생활하는 개나 고양이 같은 털이 많은 애완동물은 통상 일주일에서 열흘을 주기로 목욕을 시켜 청결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양이의 경우 개보다 목욕 하는 것을 매우 싫어하는 성격 탓에 주기적으로 목욕을 통한 털 관리가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자주 빗질을 하여 털을 손질하고 손질된 털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다. 또한, 고양이의 경우 상기에 명시된 동물적 특성(어둡고 구석진 곳을 활보하는 특성)에 따라 털 관리 주기가 강아지보다 짧고 빈번하게 요구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고양이의 경우 주기적인 빗질을 통한 털 관리 또한 고양이의 성격 탓에 어려움이 많고, 자칫 털 관리가 소홀해지면 곰팡이성 피부병에 걸릴 위험이 있으며, 환부에서 빠진 털을 통해서 다른 고양이나 사람에게 병을 전염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부지런하게 털을 관리해야줘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양이의 경우 빗을 이용하여 털을 관리할 때, 드라이기를 함께 사용하여 털을 건조시켜 주기도 하는데, 고양이를 실내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드라이어를 사용하면 빠진 털이 실내로 비산되어 실내를 오염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호흡기로 털이 들어가 비염 등의 질병을 야기시키게 된다.
덧붙여 설명하면, 애완동물 특히 고양이의 미세한 털은 바람에 흩날려 공기를 오염시키는데, 애완동물의 털에는 박테리아나 기타 미생물이 기생하여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호흡기 질환이나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주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사람이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일반 드라이기는 부피 때문에 작은 모터를 사용하여 고속으로 회전시켜 바람을 내기 때문에 사람은 들을 수 없는 초음파를 포함한 매우 짜증스러운 소음이 발생되어 사람보다 통상 5배 이상의 예민한 청력을 지닌 애완동물 특히 고양이에게 매우 짜증스러운 소음을 들려주게 될 뿐만 아니라 공포감을 주게되어 털의 관리가 더욱더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애완동물의 털을 전문적으로 깎아주거나 다듬어 주는 애완동물 미용실이나 동물병원에 애완동물 특히 고양이를 주로 맡기고 있으나, 많은 비용이 발생되고, 맡기기 위한 이동 시간과 관리를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문가나 애묘인 본인에게 위협감을 느낀 고양이들은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사람의 팔목 등을 할퀴게 되며,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전문 수의병원에서 조차 고양이는 케이지(이동형 애견 애묘 박스)에 넣어둔 상태로 진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털이 많은 애완동물 중 고양이의 경우 고양이와 사람 모두의 건강을 위해 수시 또는 주기적으로 털을 관리해줘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가정에서 쉽게 털을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15799호(2019.08.2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09560호(2016.03.3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하우스 내부에서 고양이를 건조시킴으로써, 실내에서 고양이의 털 또는 이물질 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양이를 안정시키는 고양이용 아로마향을 하우스 내부에서 발향시켜 고양이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아로마향에 의해 하우스에 대한 친화력 배양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별 작동 또는 기능별 작동이 자동으로 제어될 때, 하우스에 친화력이 배양된 고양이가 자연스럽게 스스로 출입되도록 유도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가정 또는 펫관리샵 등에서 고양이의 털 위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무엇보다 고양이 스스로가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부에 반려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 제1출입구가 형성되며, 상부에 제2출입구가 형성는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아로마향을 발산하는 발향부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후방으로 흡입한 후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상기 본체의 내부로 배출하는 흡배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내측에 설치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반려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감지되면 흡배기구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발향시간에 따라 발향부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흡배기부는 작동시키지 않고 발향부만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질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질값이 기 설정된 공기질범위 내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흡배기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내측에 설치되는 상태표시무드램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질값에 따라 상기 상태표시무드램프의 색을 다르게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출입구는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반사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향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아로마향을 무화시키는 초음파부와 무화된 상기 아로마향을 흡수하는 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후면에 관통형성되는 흡기구와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덕트 및 내측면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기부는 정화된 공기를 상기 에어덕트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상기 에어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정화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는 하우스 내부에서 고양이의 털을 집진함과 동시에 건조시킴으로써, 실내에서 고양이의 털 또는 이물질 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 위생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고양이용 아로마향을 하우스 내부에서 발향시켜 하우스에 대한 친화력 배양이 용이하여 자연스럽게 고양이 스스로 출입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편리하게 가정이나 펫관리샵, 수의병원에서 고양이의 위생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대별로 작동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기능인 아로마향 발향 또는 건조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으로 작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고양이의 위생을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하우스 내부에 고양이가 위치된 것을 감지하여 흡배기부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흡배기부에서 흡입한 후 정화하여 다시 상기 하우스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우스 내부의 공기가 최대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아로마향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고양이의 유도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에 형성된 제1출입구에 외부에서만 내부의 확인이 가능한 반사유리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하우스 내부의 확인이 용이하고, 하우스 내부에 위치한 고양이에게 안정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하우스 내부에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고, 공기질에 따라 점등되는 무드램프의 색을 다르게 표시하여 하우스 내부 공기질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배기부를 본체의 후방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워의 소음이 상기 하우스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고양이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효과와,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 및 상기 흡배기부의 유지보수 및 세척이 용이한 효과 및 제1,2출입구 및 후방에 형성된 흡기구를 통해 하우스 내부의 청소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우스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우스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개략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상부덮개가 분리된 하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상부덮개가 분리된 하우스를 나타낸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아로마 투입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흡배기부가 제거된 본체를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체의 외측면이 제거된 하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체의 외측면이 제거된 하우스를 나타낸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체의 외측면에 제거된 하우스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체의 외측면에 제거된 하우스를 나타낸 저면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흡배기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흡배기부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본 발명은 반려묘 즉, 고양이의 털에 묻은 각종 이물질 뿐만 아니라 수분을 제거하고, 고양이의 심신을 안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우스 내부에서 고양이의 털을 집진함과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어 실내에서 고양이의 털 또는 이물질 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스 출입의 거부감을 제거하기 위해 고양이용 아로마향을 발향시켜 하우스에 대한 친화력 배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친화력 배양 후 자연스럽게 고양이가 상부에 형성된 제2출입구(120)를 통해 출입하도록 하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별 작동 또는 기능별 작동이 자동으로 제어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가정이나 펫관리샵에서 고양이의 털 위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내부에 반려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 제1출입구(110)가 형성되며, 상부에 제2출입구(120)가 형성는 본체(100);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아로마향을 발산하는 발향부(200); 및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후방으로 흡입한 후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배출하는 흡배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0)는 내측에 설치되는 감지센서(10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는 상기 감지센서(101)에 의해 반려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감지되면 흡배기부(3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설정한 발향시간에 따라 발향부(200)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흡배기부(300)는 작동시키지 않고 발향부(200)만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0)는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질측정센서(10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공기질측정센서(102)에 의해 측정된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질값이 기 설정된 공기질범위 내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흡배기부(3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0)는 내측에 설치되는 상태표시무드램프(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공기질측정센서(102)에 의해 측정된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질값에 따라 상기 상태표시무드램프(130)의 색을 다르게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출입구(110)는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반사유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향부(200)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아로마향을 무화시키는 초음파부(210);와 무화된 상기 아로마향을 흡수하는 폼(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0)는 후면에 관통형성되는 흡기구(150);와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덕트(160); 및 내측면에 형성되는 배기구(1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기부(300)는 정화된 공기를 상기 에어덕트(160)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00)는 상기 에어덕트(16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구(17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정화팬(16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본체(100)는
내부에 반려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 제1출입구(110)가 형성되며, 상부에 제2출입구(12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출입구(110)를 통해 고양이의 출입을 유도하여 하우스에 대한 친화력을 배양시키고, 하우스에 대한 친화력이 배양된 후 상기 제1출입구(110)를 폐쇄하고 상기 제2출입구(120)를 통해 자연스럽게 고양이가 출입하도록 하여 고양이에게 안정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스 내부에서 이후에 설명될 흡배기부(300) 등을 이용한 공기 순환을 통해 털의 건조 및 이물질 등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출입구(110)는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반사유리(140)를 포함하여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반사유리(140)는 내부에서 외부가 보이지 않고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는 즉, 본체(100)의 내부인 수용공간이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나 본체(100)의 내부인 수용공간에서 외부가 확인이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있는 고양이가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공간으로 인식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반사유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에 의해 상기 제1출입구(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도록 할 수 있고, 종래의 다양한 방법 즉, 미닫이 혹은 탈부착 등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부가하여, 상기 제1출입구(110)는 상기 반사유리(140)를 수용공간 내부에 있는 고양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루버(11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루버(112)는 필요시 상기 반사유리(140)를 개방하여 상기 제1출입구(110)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공간에서 외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상기 반사유리(140)가 개방되어도 수용공간이 고양이에게 안정적인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1출입구(110)는 전방에 상기 루버(112)가 끼움결합 또는 걸림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져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단턱(미표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2출입구(120)는 고양이가 하우스의 내부 즉, 본체(100)의 상부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100)의 상부면은 고양이가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착홈(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착홈(12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상기 제2출입구(120)가 형성되어 고양이가 상기 제2출입구(120)를 통해 자연스럽게 출입하기 전에 상기 안착홈(122)을 통해 친화력이 배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122)은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상부덮개(1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덮개(124)는 상기 제2출입구(12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앞서 설명된 제1출입구(110)를 통해 하우스에 대한 친화력을 배양할 때, 상기 제2출입구(120)를 폐쇄하여 고양이가 상기 제1출입구(110)만을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친화력이 배양된 후 상기 제1출입구(110)를 폐쇄한 후 상기 제2출입구(120)를 개방하여 고양이가 상기 제2출입구(120)만을 통해 스스로 자연스럽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출입구(120)를 폐쇄하여 상기 제2출입구(120)를 통해 하우스의 내부 즉, 본체(100)의 수용공간의 공기를 더욱더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2출입구(120)가 상기 안착홈(122)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는 이유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정화팬(162)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본체(100)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형성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본체(100)는 내측에 설치되는 감지센서(1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감지센서(101)는 수용공간에 위치한 고양이를 감지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흡배기부(300)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하우스는 본체(100)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101)에 의해 반려묘 즉, 고양이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용공간에서 감지되면 흡배기부(3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센서(101)를 통해 고양이가 건조 또는 위생을 관리하기 위해 수용공간에 위치되었다고 판단되면 흡배기부(300)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고양이의 털을 건조 또는 털의 이물질을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어패널(103)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전면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감지센서(101)는 이물질 등에 의해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체(100)의 내측 상부면 즉, 수용공간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감지센서(101)에 의해 고양이가 감지되면 흡배기부(3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고양이의 털을 건조 또는 털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본체(100)는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질측정센서(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공기질측정센서(102)는 수용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흡배기부(300)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공기질측정센서(102)에 의해 측정된 상기 본체 내부 즉, 수용공간의 공기질값이 기 설정된 공기질범위 내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흡배기부(300)를 작동시켜 고양이의 털의 건조 또는 털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앞서 설명된 감지센서(101)로부터 고양이가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흡배기부(3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공기질측정센서(102)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질값을 기 설정된 공기질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범위 내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정화할 필요가 있는 즉, 고양이의 털의 건조 또는 털의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흡배기부(300)를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400)는 감지센서(101)로부터 고양이가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흡배기부(3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공기질측정센서(102)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질값을 기 설정된 공기질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공기질범위 내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정화할 필요가 없는 즉, 고양의 털의 건조 또는 털의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흡배기부(300)를 불필요하게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감지센서(101)와 공기질측정센서(102)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흡배기부(300)의 작동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하우스가 고양이에게 심리적으로 안정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같은 심리를 안정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는 고양이가 자연스럽게 본 발명의 하우스 내부를 출입하게 됨에 따라 자동으로 고양이의 털의 상태에 따라 고양이의 털의 건조 또는 위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고양이의 건강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를 청결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질측정센서(102)는 본 발명의 하우스 내부 즉, 본체(100)의 내부인 수용공간의 수분, 미세먼지, 화학적 공기 상태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종래에 사용되는 공기질측정센서(102)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고,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상태를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본체(100)는 내측에 설치되는 상태표시무드램프(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상태표시무드램프(130)는 상기 제어부(400)에서 상기 공기질측정센서(102)로부터 전달된 공기질값을 기 설정된 상태범위와 비교하여 색으로 사용자가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질 즉, 고양이의 털의 상태가 어느정도 정화되었는지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공기질측정센서(102)에 의해 측정된 상기 본체(100) 내부 즉, 수용공간의 공기질값에 따라 상기 상태표시무드램프(130)의 색이 다르게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질 즉, 고양이의 털의 상태가 어느정도 정화되었는지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상태표시무드램프(130)는 수용공간의 공기질에 따라 제어부(400)에 의해 색이 다르게 점등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상기 수용공간의 상태 즉, 고양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고양이가 하우스를 통해 건조 또는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우스 내부에 있는 고양이를 이동시키거나 본 발명의 하우스 작동을 강제고 중지시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상태표시무드램프(130)는 수용공간에 있는 고양이에게 자극을 주지 않기 위해 종래에 사용되는 무드램프와 같이 은은한 빛을 발산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대한 빛의 확인이 명확하게 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의 상부면 전방 즉, 본체(100) 내측 상부면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태표시무드램프(130)의 상태표시는 일예로, 매우좋음(파란색), 좋음(녹색), 나쁨(빨간색) 등으로 단계별로 나뉠 수 있고, 점등됨에 따라 앞서 설명된 반사유리(140)에 의해 외부에서 내부의 조명색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효과가 실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본체(100)는 후면에 관통형성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흡배기부(300)와 연통되는 흡기구(150)와,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흡배기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정화된 공기가 이동되는 에어덕트(160) 및 내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정화된 공기가 본체(100)의 내부 즉, 수용공간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구(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흡기구(15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흡배기부(300)와 연통되어 상기 흡배기부(300)의 작동에 따라 본체(100)의 내부 즉, 수용공간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고, 상기 흡배기부(300)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한 후 상기 에어덕트(160)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에어덕트(160)는 정화되어 공급된 공기를 본체(100)의 내측면 즉,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관통형성되는 배기구(17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 즉, 수용공간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있는 고양이의 털을 건조 또는 털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흡배기부(300)에서 정화된 공기가 에어덕트(160)로 이동하는 방법은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흡기구(150)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공급배기구(180)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본체(100)는 후면에 관통형성되되, 상기 흡기구(150)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공급배기구(1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덕트(16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면과 외측면 및 전면과 후면에 의해 밀폐되나 상기 공급배기구(180)를 통해 흡배기부(300)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전달받아 이동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본체(100)는 상기 에어덕트(16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구(17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정화팬(16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화팬(162)에 의해 에어덕트(160)로 이동된 정화된 공기가 수용공간으로 원활하게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정화팬(162)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흡배기부(300)에서 사용되는 블로워(320)와 같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아닌 DC모터를 사용하는 DC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용공간에 있는 고양이에게 상기 수용공간이 보다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공간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정화팬(162)은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배기구(170)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배기구(170)는 본체(100)의 내측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본 발명의 도면에 전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과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체(100)의 내측 하부면 즉, 수용공간의 하부면에 배기구(170)가 형성되어 정화팬(162)이 설치되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면에 안착한 고양이에게 직접적으로 정화된 공기가 불어나가게되어 고양이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배기구(170)와 상기 배기구(170)와 대응되어 설치되는 정화팬(162)은 도면에 전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의 상부에 형성되거나 설치되는 경우 정화된 공기가 에어덕트(160)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방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면 정화된 공기가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순환되지 않고 빠르게 흡기구(150)를 통해 다시 흡배기부(300)로 흡입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구(170)와 상기 배기구(170)와 대응되어 설치되는 정화팬(162)은 도면에 전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의 측면에 형성되거나 설치되는 경우 정화된 공기가 에어덕트(160)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과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측면 전방과 측면 후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용공간에 안착되어 있는 고양이게에 직접적으로 정화된 공기가 불어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배기부(30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도 상기 수용공간이 고양이에게 안정적인 공간으로 적용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발향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 하부 즉,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고양이가 좋아하는 캣닢 또는 마따따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로마향을 발산하는 것으로서, 하우스에 대한 친화력 배양이 더욱더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고양이를 하우스의 내부 즉,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는 최초 반려묘 즉, 고양이가 하우스 내부로 출입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상기 발향부(200)를 이용하여 아로마향을 발산하게 함으로써, 하우스 내부 즉, 수용공간에 대한 친화력을 더욱더 용이하게 배양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향부(200)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중앙에 즉, 본체(100)의 내측 하부면에 내입 설치되어 아로마향을 무화시키는 초음파부(210)와, 상기 초음파부(210)에 액상의 아로마를 공급하는 아로마투입부(230) 및 무화된 상기 아로마향을 흡수하는 폼(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로마투입부(230)는 본체(100)의 일측 또는 타측 하부에 초음파부(210)의 하부까지 연통되는 공급통(232)과, 상기 공급통(232)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2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도어(234)를 개방하여 공급통(232)에 액상의 아로마를 투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발향부(200)는 사용자가 액상의 아로마를 상기 공급통(232)에 공급한 후 제어부(400)에 초음파부(210)가 작동되어 상기 액상의 아로마가 무화됨으로써, 수용공간 내부에 아로마향이 발향되어 고양이를 유도한다.
이때, 상기 폼(220)은 무화된 아로마가 흡수되도록 하여 수용공간의 내부에 빠르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발향된 아로마향이 흡배기부(300)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양이를 아로마향이 발향되는 위치에 더욱더 효율적으로 안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앞서 설명된 정화된 공기에 의해 수용공간의 거부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초음파부(210)는 일반적으로 가습기에 사용되는 무화장치와 유사하게 액상의 아로마를 무화시키는 초음파진동자(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폼(220)은 무화된 아로마를 흡수하여 천천히 발향되도록 하는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은 하부면에 장착홈(미표시)이 형성되고, 상기 폼(220)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면에 형성된 장착홈(미표시)에 견고하게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음파부(210)의 상부에 결합 또는 부착되되, 상부면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면과 수평이 되도록 결합 또는 부착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흡배기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 즉, 수용공간의 공기를 앞서 설명된 흡기구(150)를 통해 후방으로 흡입한 후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상기 본체(100)의 내부 즉, 수용공간으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기 즉, 수용공간의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하고 있는 고양이의 털의 건조 또는 털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배기부(300)는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앞서 설명된 에어덕트(160)와 정화팬(162) 및 배기구(170)를 통해 다시 수용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발향되는 아로마향의 유출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더욱더 효율적으로 고양이를 수용공간으로 유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은 최초 상기 흡배기부(300)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흡입될 때, 제1출입구(110) 또는 제2출입구(12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일부 유입되거나 다시 상기 흡배기부(30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내부로 공급될 때, 제1출입구(110) 또는 제2출입구(120)를 통해 외부로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여 내부의 공기가 안정적으로 유지됨과 동시에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흡배기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본체(100)의 흡기구(150)와 연통되는 메인흡기구(350)가 형성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메인흡기구(350)를 통해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 즉,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후방으로 흡입하는 블로워(320) 및 상기 하우징(310)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흡기구(350)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는 메인배기구(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의 후면과 전면이 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형성된 공급배기구(180)와 메인배기구(360)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공간에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필터가 설치되어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정화되도록 한다.
상기 블로워(32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기 즉, 수용공간의 내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메인흡기구(350)의 후방에 흡기홀(미표시)이 위치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홀(미표시)이 측방향으로 위치된다.
즉, 본 발명의 흡배기부(300)는 메인흡기구(350)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흡인한 후 정화하여 하우징(310)의 내부로 배출하고, 정화되어 배출된 공기는 하우징(310)의 내부에서 메인배기구(360)를 통해 상기 본체(100)와 하우징(310)의 사이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후변에 형성된 공급배기구(180)를 통해 에어덕트(160)의 내부로 정화된 공기가 이동되며, 정화팬(162)과 배기구(170)를 통해 수용공간의 내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흡배기부(300)는 상기 메인흡기구(35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흡기구(150)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블로워(320)에 흡입되기 전에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필터부(330)는 블로워(320)에 의해 후방으로 흡입되는 수용공간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330)는 상기 본체(100)의 흡기구(150) 후방에 결합되어 고양이의 털을 포집하는 집진필터(332)와. 상기 집진필터(33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메인흡기구(350)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용공간 내부 공기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필터(3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진필터(332)와 활성탄필터(334)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의 고양이 털과 오염된 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본 발명의 흡배기부(300) 즉, 하우징(310)은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필터부(330)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흡입성능이 저하된 경우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집진필터(332)와 활성탄필터(334)는 물로 세척하여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언급된 유지보수는 상기 본체(100)와 흡배기부(300)의 사이를 주로 청소하여 흡배기부(30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흡배기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 착탈됨으로써, 상기 블로워(320)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수용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있는 고양이에게 보다 안정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배기부(300)는 내부에 전원공급부(미표시)가 내장되어 있고, 후면 즉, 하우징(310)의 후면에 상기 전원공급부의 발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잇는 방열부(미표시)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흡배기부(300)는 상기 필터부(330)를 통과하여 상기 블로워에 흡입되기 전에 공기를 살균하는 UV램프(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UV램프(340)는 상기 메인흡기구(350)의 측면 또는 상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330)를 통과한 공기가 블로워(320)의 내부로 흡입되기 전에 다시한번 살균되도록 하여 살균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는 제어패널(103)을 통해 사용자가 시간대별 작동, 기능별 작동이 가능하도록 자동으로 설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하우스에 대한 친화력이 배양된 고양이가 스스로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털의 건조 또는 위생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패널(103)은 본체(100)의 전면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40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발향시간에 따라 발향부(200)를 제어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고양이를 하우스 내부로 유도함으로써, 감지센서(101)와 공기질측정센서(102)를 통해 자동으로 고양이의 상태 즉,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질의 상태에 따라 흡배기부(300)가 작동되도록 하여 고양이 털의 건조 또는 털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내의 공기가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400)를 통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흡배기부(300)는 작동시키지 않고 발향부(200)만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에 고양이의 심리적 안정을 필요로 할 때, 흡배기부(300)는 작동되지 않고 발향부(200)만 작동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하우스 내부에서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배기부(300)는 사용자가 제어패널(103)을 이용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수용공간 내부로 정화되어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어 고양이의 털의 건조 또는 털의 이물질 제거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는 아로마향을 발향시켜 하우스에 대한 고양이의 친화력 배양이 용이하고, 친화력이 배양된 뒤 고양이의 유도가 원활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대별 또는 기능별 또는 발향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양이가 스스로 자연스럽게 하우스 내부로 들어가면 고양이 털의 건조 또는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져 고양이의 위생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본체 101 : 감지센서
102 : 공기질측정센서 110 : 제1출입구
120 : 제2출입구 130 : 상태표시무드램프
140 : 반사유리 150 : 흡기구
160 : 에어덕트 162 : 정화팬
170 : 배기구 200 : 발향부
210 : 초음파부 220 : 폼
300 : 흡배기부 400 : 제어부

Claims (10)

  1. 내부에 반려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 제1출입구(110)가 형성되며, 상부에 제2출입구(120)가 형성는 본체(100);와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아로마향을 발산하는 발향부(200); 및
    상기 본체(100)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후방으로 흡입한 후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배출하는 흡배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내측에 설치되는 감지센서(10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는
    상기 감지센서(101)에 의해 반려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감지되면 흡배기부(3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설정한 발향시간에 따라 발향부(2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흡배기부(300)는 작동시키지 않고 발향부(200)만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질측정센서(10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공기질측정센서(102)에 의해 측정된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질값이 기 설정된 공기질범위 내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흡배기부(3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내측에 설치되는 상태표시무드램프(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공기질측정센서(102)에 의해 측정된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기질값에 따라 상기 상태표시무드램프(130)의 색을 다르게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입구(110)는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반사유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부(200)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아로마향을 무화시키는 초음파부(210);와
    무화된 상기 아로마향을 흡수하는 폼(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후면에 관통형성되는 흡기구(150);와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덕트(160); 및
    내측면에 형성되는 배기구(1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배기부(300)는
    정화된 공기를 상기 에어덕트(160)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에어덕트(16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구(17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정화팬(16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KR1020190131322A 2019-10-22 2019-10-22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KR20210047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322A KR20210047560A (ko) 2019-10-22 2019-10-22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322A KR20210047560A (ko) 2019-10-22 2019-10-22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560A true KR20210047560A (ko) 2021-04-30

Family

ID=75740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322A KR20210047560A (ko) 2019-10-22 2019-10-22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75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1019A1 (en) * 2021-08-31 2023-03-09 Signify Holding B.V. Temporal and spatial photogeneration of olfactory moleculesspec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560B1 (ko) 2014-07-22 2016-04-06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KR102015799B1 (ko) 2019-06-13 2019-08-29 이종필 글로브 박스형 펫 드라이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560B1 (ko) 2014-07-22 2016-04-06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KR102015799B1 (ko) 2019-06-13 2019-08-29 이종필 글로브 박스형 펫 드라이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1019A1 (en) * 2021-08-31 2023-03-09 Signify Holding B.V. Temporal and spatial photogeneration of olfactory moleculesspe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605B2 (en) Pet dry room and tray used therefor
KR200472302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874517B1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애완동물용 하우스
KR101263488B1 (ko) 축산 농장용 소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46455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애완동물 케어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US20200008394A1 (en) Pet healthcare apparatus with bacteriostatic and sterilization system
KR20110134049A (ko) 축사출입용 인체 살균장치
KR102261579B1 (ko) 의류 관리 및 실내 공기 개선을 위한 현관 수납장
KR102137572B1 (ko) 반려동물용 토탈케어 시스템
US20210220497A1 (en) Shoe management device
KR101636009B1 (ko)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KR20210047560A (ko) 반려묘용 스마트 아로마 하우스
KR102105444B1 (ko) 양문형도어가 구비된 애완동물 건조장치
KR20210093104A (ko) 신발관리장치
JP2005342496A (ja) 手指乾燥装置
JPH1014429A (ja) 動物収容箱
KR102015799B1 (ko) 글로브 박스형 펫 드라이룸
KR20220060065A (ko) 이동식 방역기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KR20200084733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펫 헬스케어 시스템
KR200398311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20030072279A (ko) 애완동물용 하우스
JPH034851A (ja) 無菌ベツド装置
KR20220084965A (ko)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