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965A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965A
KR20220084965A KR1020210015908A KR20210015908A KR20220084965A KR 20220084965 A KR20220084965 A KR 20220084965A KR 1020210015908 A KR1020210015908 A KR 1020210015908A KR 20210015908 A KR20210015908 A KR 20210015908A KR 20220084965 A KR20220084965 A KR 20220084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ntrance
management device
sanitary
sanitar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선
김태홍
차현병
오주현
한병준
이상윤
김현주
이철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11444737.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623555B/zh
Priority to US17/550,956 priority patent/US20220186958A1/en
Publication of KR2022008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공기 송풍력을 발생하는 팬조립체와 보관공간을 제공하는 기능모듈과 출입자에게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 및 공기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개폐유닛은 기능모듈 혹은, 덕트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으로만 공기가 공급되거나 혹은, 두 곳으로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Hygiene management device for entrance hall}
본 발명은 출입구를 출입하는 출입자에 대한 위생을 관리하도록 제공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와 특정한 실내 공간 사이는 출입구로 연결된다. 즉, 외부에서 실내 공간으로 들어가거나 실내 공간에서 외부로 나가기 위해서는 출입구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출입구의 실내쪽에는 현관이 제공되며, 상기 현관에서 외출 혹은, 외출에서의 복귀를 위한 준비 혹은, 정비를 하게 된다.
한편, 실외의 오염원이 실내로 유입됨을 방지하기 위해 출입자는 현관 밖에서 오염을 제거하여 처리하거나 혹은, 현관에서 오염을 제거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40630호(선행문헌 1)에서는 출입자에 대한 에어샤워를 진행하여 출입자의 의복 등에 있는 먼지 등의 오염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117286호(선행문헌 2)에서는 에어샤워에 더해 광촉매램프를 천장에 설치하여 출입자의 의복 등에 있는 먼지 등의 오염을 제거함과 동시에 바이러스 등의 유해물질을 정화하도록 하였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46715호(선행문헌 3)에서는 조명등기구와 공기청정장치를 일체로 하여 현관과 같은 출입공간에서 출입자의 오염제거를 수행하였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55303호(선행문헌 4)에서는 내부에 소정의 샤워공간을 가지는 샤워부스를 별도로 설치하여 출입자가 샤워부스 내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전술된 선행문헌들은 출입자에 대한 오염제거가 수행되더라도 의류의 일부 부위에는 오염이 잔존한다. 이를 고려할 때, 출입자가 해당 의류를 입은 상태로 실내에 진입하면 사실상 실내로 오염이 유입될 수밖에 없다.
또한, 가정의 출입구 공간(예컨대, 현관)의 어느 한 측벽에는 신발장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신발장은 단순히 신발을 보관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 해당 신발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지 않았다.
물론, 최근에는 신발 관리를 위한 다양한 구조의 신발장이나 신발관리기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발 관리를 위한 신발장은 출입자의 위생 관리를 위한 장치와는 별개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각 장치는 서로의 기능을 공유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신발 관리 혹은, 출입자의 위생 관리를 동시에 만족하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0001)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40630호 (선행문헌0002)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117286호 (선행문헌0003)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46715호 (선행문헌0004)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55303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자의 신체에 대한 오염 제거와는 별개로 의류나 신발과 같은 소지품의 오염 제거가 수행되도록 하여 출입자가 실내에 진입할 때 실내에 오염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나 신발 등의 관리를 위한 기능모듈을 제공하고, 이 기능모듈 내부로도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모듈 내로 소독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기능모듈에 보관되는 의류나 신발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구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출입자를 향해 분사되는 공기가 기능모듈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출입구 공간의 어느 한 측벽에 구비되는 기능모듈에는 덕트유닛으로부터 공기를 전달받는 유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기능모듈 혹은, 덕트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공기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개폐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기능모듈의 전면이 출입구 공간의 내부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기능모듈의 전면에는 개폐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기능모듈의 내면에는 소독제의 분사를 위한 소독제 분사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소독제 분사노즐은 분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기능모듈의 내면에는 소독제 분사노즐과 보관품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소독제 분사노즐은 소독제 저장탱크에 저장된 소독제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소독제 저장탱크 내에 저장되는 소독제는 차아염소산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소독제 저장탱크 내에는 차아염소산수의 생성을 위한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두 전극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발판에는 표면을 통해 출입구 공간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흡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팬조립체의 공기 유입측에는 팬조립체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공기관리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공기관리모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팬조립체는 기능모듈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덕트유닛은 하단이 팬조립체와 연결되고 상단은 기능모듈을 지나 공기분사기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유입유로의 공기 입구는 기능모듈의 벽면을 관통하여 덕트유닛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덕트유닛은 출입구 공간 내의 측벽과 마주보는 기능모듈의 배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유입유로의 공기 출구는 기능모듈 내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기능모듈 내의 후방측 모서리는 기능모듈 내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덕트유닛 내에 개폐유닛이 위치되면서 상기 덕트유닛을 개폐하는 제1셔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덕트유닛과 유입유로간의 연통 부위에 제1셔터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제1셔터는 덕트유닛을 완전히 폐쇄하거나 혹은, 적어도 일부만 개방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제1셔터는 덕트유닛과 유입유로가 모두 개방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제1셔터는 유입유로만 개방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제1셔터는 덕트유닛을 유동하는 공기가 유입유로의 공기 입구로 안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다음의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의류나 신발 등의 관리를 위한 기능모듈 내부로도 덕트유닛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해당 출입자의 외투 등과 같은 의복에 대한 위생 관리가 가능하다. 즉, 출입자는 외투를 기능모듈에 보관함으로써 외투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에 의해 실내가 오염됨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기능모듈 혹은, 덕트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을 향해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상황에 따라 출입구 공간이나 기능모듈 내로의 선택적인 공기 공급이 가능하다. 예컨대, 출입구 공간에 출입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능모듈 내에만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기능모듈 내에 보관되는 의복으로 소독제를 분사할 수 있다. 이로써 기능모듈에 보관되는 의복을 실내로 반입하지 않고도 위생관리가 가능하며, 실내는 의복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의복으로 분사되는 소독제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의복의 전 부위로 소독제가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소독제 저장탱크에 소독제가 저장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소독제 저장탱크에 소독제를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소독제 저장탱크가 필터하우징에 설치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소독제 저장탱크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팬조립체의 공기 유입측에 공기관리모듈이 위치된다. 이로써 출입구 공간 및 기능모듈 내를 순환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출입자 혹은, 기능모듈 내로 공급할 수 있어서 오염된 공기 공급으로 인한 재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발판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발판의 전 부위로 공기 유동이 고르게 분사되면서 출입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충분한 에어 샤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발판의 어느 한 부위(예컨대, 공기 흡입측)으로 기류가 집중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기능모듈 내의 후방측 모서리에 유입유로의 공기 출구가 형성된다. 이로써 기능모듈 내의 바닥으로 먼지나 물이 흘러 내리더라도 상기 먼지나 물이 유입유로를 막거나 혹은, 유입유로로 역류되어 팬조립체로 흘러내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개폐유닛이 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써 상황에 따라 에어 샤워를 위한 공기 공급을 선택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개폐유닛이 제1셔터와 제2셔터를 함께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필요나 상황에 따라 기능모듈, 덕트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을 향해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를 상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를 하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를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
도 8은 도 6의 “B”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C”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제1셔터와 제2셔터가 모두 개방되었을 때 공기 흐름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제2셔터가 차단되었을 때 공기 흐름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D”부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제1셔터는 개방되고 제2셔터는 차단된 상태의 요부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제1셔터가 차단되었을 때 공기 흐름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E”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제1셔터는 차단되고 제2셔터는 개방된 상태의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에 소독제 분사노즐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F”부 확대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소독제 분사노즐에 의한 분사 각도가 조절될 경우의 소독제가 분사되는 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소독제 저장탱크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소독제 저장탱크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24는 도 23의 “G”부 확대도
도 25는 도 24의 밸브에 대한 동작 상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에 소독제 분사노즐이 기능모듈의 후벽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27은 도 26의 “H”부 확대도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발판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발판을 일부 절개한 절개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I”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실내 공간으로 드나드는 출입구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주거 공간에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가 설치될 경우 상기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현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현관이 출입구 공간으로 될 수 있다.
사무 공간에 출입구용 위생장치가 설치될 경우 상기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해당 사무 공간의 출입구에 마련되는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를 각 방향에서 본 상태도이다.
즉, 첨부된 도 1은 상부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하부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측면도이며, 도 5는 정면도이다.
또한, 첨부된 도 6은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공기 송풍력을 발생하는 팬조립체(300)와 보관공간을 제공하는 기능모듈(600) 및 출입자에게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500)를 포함한다. 특히, 팬조립체(300)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기능모듈(600)이나 공기분사기 중 어느 한 곳으로만 공급되거나 혹은, 두 곳으로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팬조립체(3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300)는 공기 송풍력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팬조립체(300)는 출입구 공간 내의 어느 한 측벽에 위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출입구 공간의 측벽 저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300)는 팬하우징(310) 및 송풍팬(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팬하우징(310)은 상기 팬조립체(3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송풍팬(320)은 상기 팬하우징(310) 내에 설치된다.
상기 팬하우징(31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312) 및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관(3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공(312)은 상기 팬하우징(310)의 전면(출입자를 면)에 형성되고, 상기 출구관(314)(첨부된 도 3 참조)은 상기 팬하우징(310)의 둘레면(상면)에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송풍팬(320)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방사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팬(320)은 유입공(3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출구관(314)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20)은 팬하우징(310)의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되는 팬모터(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조립체(300)의 전면인 공기 유입측에는 공기관리모듈(20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은 덕트유닛(400)으로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먼지나 습기 및 세균 등)을 제거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은 흡입덕트(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210)는 출입구 공간 내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덕트(210)는 출입구 공간의 바닥에 공기 입구가 위치되고, 공기관리모듈(200) 내에 공기 출구가 위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은 필터하우징(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220)의 내에는 필터(221)가 구비된다. 즉, 흡입덕트(210)를 통해 공기관리모듈(200) 내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하우징(220) 내의 필터(221)를 통과한 후 팬조립체(300)의 팬하우징(310)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필터(221)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으며, 먼지나 냄새 성분, 수분, 세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거하는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220)은 공기관리모듈(200)로부터 출입구 공간 내로 취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터하우징(220)은 공기관리모듈(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의 경우 필터하우징(220)의 상면은 출입구 공간 내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손쉽게 필터(221)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하우징(220)의 공기 유출측과 팬하우징(310) 사이에는 온도조절부(230)(첨부된 도 7 및 도 9 참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조절부(2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온도조절부(230)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시스히터나 전열관히터 혹은, 열교환기와 같이 온도 혹은, 발열 제어가 가능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덕트유닛(40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덕트유닛(400)은 상기 팬조립체(300)에서 형성된 기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덕트유닛(400)은 상기 기류를 출입구 공간의 상부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유닛(400)은 제1덕트(410)와 제2덕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덕트(410)는 출입구 공간 중 상기 팬조립체(300)가 위치된 측의 벽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덕트(410)의 제1입구(412)는 상기 팬하우징(310)의 출구관(31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의 출구관(314)은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덕트(410)의 제1입구(412)는 상기 제1덕트(410)의 하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출구관(314)에 연결된다.
상기 제1덕트(410)의 제1입구(412)는 상기 출구관(314)과의 연결 부위가 여타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협소하거나 혹은, 출구관(314)과의 연결 부위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덕트(420)는 출입구 공간의 천장 쪽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1덕트(410)를 통과한 공기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덕트(420)의 일단은 상기 제1덕트(410)에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제2덕트(420)와 제1덕트(410)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공기분사기(5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기(500)는 제2덕트(42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출입자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기(500)는 출입구 공간의 천장에 위치되며, 덕트유닛(400)의 제2덕트(420)에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기분사기(500)는 출입구 공간의 천장에 매립 설치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기분사기(500)는 상기 제2덕트(420)로부터 연장되는 또 다른 유로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제2덕트(420)의 상면 혹은, 둘레면 중 어느 한 벽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2덕트(420)의 적어도 둘 이상의 면에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제2덕트(420)의 바닥면이 상기 공기분사기(500)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분사기(500)는 다수의 분사공 혹은, 슬롯이 관통 형성된 그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기분사기(500)는 분사노즐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며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기능모듈(60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모듈(600)은 출입구 공간에 의복의 보관을 위한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상기 기능모듈(600)의 예로서는 의류관리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의류관리기의 내부에 의류를 두면, 의류의 먼지를 제거하거나 살균 작용을 할 수 있다. 또는 의류의 주름을 펴는 등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능모듈(600)의 다른 예로서는 신발관리기, 우산관리기, 신발보관기, 우산보관기 등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고, 사용자의 소지품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참고로 이들 기능모듈(600)들은 단독으로 있지 않고 몇 개가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능모듈(600)은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팬조립체(300)는 상기 기능모듈(600)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모듈(600)의 배면은 출입구 공간의 측벽과 마주보게 위치되고, 기능모듈(600)의 전면은 출입구 공간 내의 출입자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능모듈(600)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610)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610)는 회전식 도어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610)는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가 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덕트유닛(400)의 제1덕트(410)는 상기 기능모듈(600)의 배면에 위치되며, 상기 제1덕트(410)의 하단은 팬조립체(300)와 연결되고 상단은 해당 기능모듈(600)보다 상측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410)의 전면과 상기 기능모듈(600)의 배면은 단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서로 별개로 형성되면서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모듈(600)의 배면에는 상기 제1덕트(410)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유로(6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620)의 공기 입구(621)는 상기 기능모듈(600)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덕트(410) 내부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유입유로(620)의 공기 출구(622)는 상기 기능모듈(600)의 내부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유로(620)에 의해 상기 기능모듈(600) 내의 보관 공간과 제1덕트(410)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유입유로(620)의 공기 출구(622)는 상기 기능모듈(600) 내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기능모듈(600) 내의 가장 저부 공간에서 상부 공간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공간 내의 전 부위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기능모듈(600) 내에 보관되는 보관물품에 따라 기능모듈(600) 내의 바닥에는 물이 고이거나 먼지가 쌓일 수 있다. 이로써 기능모듈(600) 내의 가장 낮은 바닥면에 유입유로(620)의 공기 출구(622)가 위치된다면 팬조립체(300)로 물 혹은, 먼지가 흘러내릴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첨부된 도 6 및 도 9와 같이 상기 기능모듈(600) 내의 후방측 모서리는 기능모듈(600) 내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출구(622)는 상기 후방측 모서리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기능모듈(600) 내의 바닥면보다 높은 후방측 모서리에 공기 출구(622)를 형성함에 따라 물이나 먼지가 누출되거나 먼지로 인해 유입유로(620)가 막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개폐유닛(70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700)은 팬조립체(300)로부터 발생된 공기 유동이 선택적으로 기능모듈(600) 혹은, 덕트유닛(400)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개폐유닛(700)의 동작에 따라 팬조립체(300)로부터 제1덕트(41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기능모듈(600)에만 제공되거나 혹은, 기능모듈(600)과 제2덕트(420)로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출입자에 대한 에어 샤워를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개폐유닛(700)이 상기 제1덕트(410)로부터 제2덕트(420)로의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동작된다.
만일, 출입자의 에어 샤워가 종료되거나 출입자가 없다면 제1덕트(410)로부터 제2덕트(420)로의 공기가 유동됨을 차단하도록 동작된다. 이로써 기능모듈(600) 내부로만 공기가 공급되면서 불필요한 공기 분사를 방지한다.
상기 개폐유닛(700)은 제1셔터(7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셔터(711)는 상기 제1덕트(410)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1덕트(410) 내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셔터(711)는 모터(도시는 생략됨)의 구동력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는 상기 제1덕트(410)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1셔터(711)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셔터(711)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덕트(410)의 어느 한 부위를 차단하거나 혹은,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셔터(711)의 좌우 폭 및 전후 폭은 상기 제1덕트(410) 내의 좌우 폭 및 전후 폭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셔터(711)의 두께는 좌우 폭 혹은, 전후 폭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제1셔터(711)는 상기 제1덕트(410)의 내부 중 유입유로(620)와의 연통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입유로(620)와의 연통 부위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셔터(711)는 제1덕트(410)와 유입유로(620)의 연통 부위가 모두 개방되도록 동작되거나 혹은, 유입유로(620)만 개방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즉, 제1셔터(711)는 제1덕트(410)를 차단함으로써 팬조립체(300)로부터 생성된 공기 유동이 모두 기능모듈(600) 내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셔터(711)가 제1덕트(410)를 차단하도록 동작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셔터(711)가 상기 유입유로(620)를 향해 공기 유동을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배치진다.
이와 함께, 제1셔터(711)는 제1덕트(410)를 일부만 개방함으로써 팬조립체(300)로부터 생성된 공기 유동이 기능모듈(600)과 제2덕트(420) 내로 나뉘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유닛(700)은 제2셔터(721)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덕트(410)의 개방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제2셔터(721)가 유입유로(620)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개폐유닛(700)이 제1셔터(711)와 제2셔터(721)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된다면 더욱 다양한 공기 유동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셔터(711)와 제2셔터(721)를 동작하여 제2덕트(420)와 유입유로(620)가 모두 제1덕트(41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개방할 수 있다. 이로써 출입자의 에어 샤워 및 기능모듈(600) 내로의 공기 공급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셔터(711)와 제2셔터(721)를 동작하여 제2덕트(420)는 제1덕트(41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개방되면서도 유입유로(620)는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에어 샤워를 위한 공기 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기능모듈(600) 내로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첨부된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셔터(711)와 제2셔터(721)를 동작하여 제2덕트(420)는 제1덕트(41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없도록 차단되면서도 유입유로(620)는 개방할 수 있다. 이로써 에어 샤워의 종료 후 기능모듈(600) 내로만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출입구 공간의 바닥에는 발판(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판(100)은 출입자가 올라설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발판(100)이 사각형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출입구 공간의 형태에 따라, 상기 발판(100)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트랙형, 다각형 등 다양한 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발판(100) 상에는 적어도 1명 이상의 출입자가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판(100)은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직하방에 위치되면서 출입자가 에어 샤워를 위해 서 있어야할 위치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발판(100)은 출입구 공간의 바닥에 매립될 수도 있다.
상기 발판(100)은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발판(100)과 공기관리모듈(200)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발판(100)과 공기관리모듈(200)과 팬조립체(300)와 덕트유닛(400)과 공기분사기(500) 및 기능모듈(600)은 단일의 이동 설치 가능한 장치(혹은, 구조물)가 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출입자가 출입구 공간으로 진입되면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상기 출입자의 진입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출입문(실외문)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이거나 출입구 공간에 마련되는 움직임 센서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센서는 발판(100)에 구비되는 압전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의 경우 발판(100)에 출입자가 올라섬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출입자의 진입이 감지되고 출입자가 발판(100)에 올라서면 팬조립체(300)의 송풍팬(320)이 동작된다. 물론, 송풍팬(320)은 실외문이 개방될 때부터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출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320)이 동작될 때에는 덕트유닛(400) 내의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제1셔터(711)가 동작된다. 즉, 상기 제1셔터(711)는 제1덕트(410) 내부가 개방되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320)이 동작되면 덕트유닛(400)을 향한 기류가 생성된다. 이러한 기류에 의해 출입구 공간 내의 공기는 공기관리모듈(200)을 지나 팬조립체(300)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공기는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을 지나는 과정에서 필터하우징(220) 내의 필터(221)를 통과하게 되고, 이의 과정에서 해당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필터(221)를 통과한 공기는 온도조절부(230)를 통과하면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상승(또는, 하락)될 수 있고, 해당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부(230)를 통과한 공기는 팬하우징(310) 내로 유입된 후 송풍팬(320)의 안내에 의해 토출관(314)을 통과하여 제1덕트(410)로 제공된다. 계속해서, 상기 공기는 제1덕트(410) 및 제2덕트(420)를 순차적으로 유동한 후 공기분사기(500)를 통해 출입구 공간 내의 출입자에게 분사되면서 에어 샤워를 수행한다.
상기 에어 샤워에 사용된 공기는 다시금 출입구 공간 내에서 공기관리모듈(200)로 흡입된 후 팬조립체(300) 및 덕트유닛(400)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며, 이러한 공기 순환은 에어 샤워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만일, 제2셔터(721)가 유입유로(620)를 차단하도록 동작되면 공기는 첨부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를 향해서만 분사된다. 제2셔터(721)가 유입유로(620)를 개방하도록 동작되면 공기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로 분사되면서도 기능모듈(600) 내로도 공급된다.
따라서, 출입자의 의복이나 신발 혹은, 신체에 붙어 출입구 공간으로 유입된 먼지나 수분 혹은, 오염물 등은 출입구 공간에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출입자가 에어 샤워를 마친 후 실내로 진입하기 위해 발판(100)을 벗어나면 공기분사기(500)로의 공기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된다. 즉, 출입자가 발판(100)을 벗어나면 제1덕트(410)에 위치된 제1셔터(711)가 동작되면서 해당 제1덕트(410)로부터 제2덕트(420)로의 공기 유동을 차단한다. 물론, 출입자가 제1셔터(711)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2덕트(420)로의 공기 유동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덕트(420)로의 공기 유동이 차단되어 공기분사기(500)를 통한 공기 분사가 중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1셔터(711)에 의해 제2덕트(420)로의 유동이 차단된 공기는 온전히 유입유로(620)를 통해 기능모듈(600) 내로 제공된다. 이로써, 상기 공기는 기능모듈(600) 내부에 보관되는 보관품(의복 등)으로 제공되면서 해당 보관품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분리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출입자는 출입구 공간으로의 진입시 혹은, 에어 샤워가 이루어진 후 착용하고 있던 외투나 모자 혹은, 신발 등의 의복을 기능모듈(600) 내에 보관할 수 있다.
이렇게 기능모듈(600) 내에 보관된 의복은 유입유로(620)를 통해 기능모듈(600) 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한 관리를 받게 된다. 즉, 상기 공기(건조 공기 혹은, 고온의 공기)는 의복으로 분사되면서 해당 의복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의복으로부터 분리하거나 혹은, 젖은 상태의 의복을 건조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공기는 출입자가 실내로 진입한 이후에도 기능모듈(600) 내로 계속하여 제공되면서 해당 기능모듈(600)에 보관된 의복을 관리하게 된다.
이로써, 출입자는 출입구 공간에서 신체에 대한 오염물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실내 공간으로 오염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특히, 출입자의 외투나 모자, 장갑 혹은, 신발 등의 의복은 기능모듈(600)에 보관되면서 충분한 시관동안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관리되기 때문에 상기 의복으로 인한 실내 공간의 오염 역시 방지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출입자)의 별도 조작으로 송풍팬(320)의 동작이 정지되거나 일정 동작시간이 경과되면 기능모듈(600) 내로의 공기 공급이 중단된다.
결국,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의류나 신발 등의 관리를 위한 기능모듈(600) 내부로도 공기가 순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해당 출입자의 외투 등과 같은 의복에 대한 위생 관리가 가능하다. 이로써, 실내로의 오염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기능모듈(600) 혹은, 덕트유닛(40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을 향해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상황에 따라 출입구 공간이나 기능모듈(600) 내로의 선택적인 공기 공급이 가능하다. 예컨대, 출입구 공간에 출입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능모듈(600) 내에만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를 기준으로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된 실시가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모듈(600)은 의복의 보관 기능뿐 아니라 의복의 살균 기능도 추가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기능모듈(600)에 의복을 보관하면 기능모듈(600) 내에서 해당 의복이 살균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첨부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모듈(600)에는 소독제 분사노즐(6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독제 분사노즐(630)은 기능모듈(600) 내에 보관된 보관품(의복)을 향해 소독제를 분사하여 오염물질 및 세균을 살균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소독제 분사노즐(630)은 상기 기능모듈(600)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독제 분사노즐(630)은 기능모듈(600) 내의 어느 한 측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소독제 분사노즐(630)은 의류(보관품)와의 거리에 따라 분사 각도(혹은, 분사 범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의 폭에 따라 분사 각도(분사 범위)가 달라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의류를 향해 최대한 넓은 부위로 살균제가 분사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소독제 분사노즐(630)은 수동 조작으로 분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자동 제어로 분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기능모듈(600)의 내면에는 소독제 분사노즐(630)과 보관품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6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거리센서(640)에 의해 소독제 분사노즐(630)과 의류 간의 거리를 센싱한 후 상기 거리에 따라 분사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거리센서(640)는 초음파 센서, 광센서 등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제 분사노즐(630)은 소독제 저장탱크(222)에 저장된 소독제를 제공받아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독제 저장탱크(222)는 공기관리모듈(200)의 필터하우징(2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필터하우징(220)은 필터(221)의 교체를 위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소독제 저장탱크(222)를 필터하우징(220)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소독제는 차아염소산수가 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2는 소독제 저장탱크(222)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3은 소독제 저장탱크(222)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독제 저장탱크(222) 내에는 상기 차아염소산수의 생성을 위한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두 전극판(222a,222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두 전극판(222a,222b) 중 양극의 전극판(222a)은 소독제 저장탱크(222)의 바닥에 구비되는 접점(222c)을 통해 외부 전원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하우징(220)에는 소독제 저장탱크(222)가 장착되는 장착홈(223)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223) 내의 바닥에는 상기 소독제 저장탱크(222)의 접점(222c)과 통전되는 통전판(223a)이 구비되며, 상기 통전판(223a)은 외부 전원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제 저장탱크(222)와 소독제 분사노즐(630)은 연결파이프(631)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파이프(631)를 통해 소독제 저장탱크(222)에 저장된 소독제가 상기 소독제 분사노즐(63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파이프(631)는 필터하우징(220)의 벽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소독제 저장탱크(222)와 연결파이프(631)는 커플러(222d)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소독제 저장탱크(222)의 저면에 커플러(222d)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파이프(631)는 장착홈(223) 내의 바닥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소독제 저장탱크(222)를 장착홈에 장착할 경우 상기 커플러(222d)와 연결파이프(631)가 연결되고, 소독제 저장탱크(222)를 장착홈(223)으로부터 취출할 경우 상기 커플러(222d)와 연결파이프(631)가 분리된다.
상기 커플러(222d)에는 밸브(222e)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밸브(222e)는 연결파이프(631)의 가압에 의해 유로(커플러)를 개방하고, 상기 연결파이프(631)가 분리될 때에는 탄력 복귀되면서 유로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첨부된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제 분사노즐(630)은 기능모듈(600)의 후방측 벽면(도어가 설치되는 벽면과는 반대측 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의류의 앞이나 등 부위가 기능모듈(600) 내의 전방측 벽면(도어의 내면)이나 후방측 벽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면 상기 소독제 분사노즐(630)은 기능모듈(600)의 후방측 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의복의 넓은 부위가 향하는 벽면에 상기 소독제 분사노즐(630) 위치되도록 하여 해당 의복에 대한 살균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소독제 분사노즐(630)은 도어(610)의 내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출입구 공간 내의 공기가 발판을 통해 공기관리모듈(200)로 흡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출입자로부터 발판(100)으로 떨어진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발판(100)에 쌓이지 않고 바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공기관리모듈(200)로 공기가 흡입되는 부위가 출입구 공간 내의 어느 한 모서리 부위로 구성된다면 해당 모서리 부위로 기류가 형성되어 그 반대측 모서리 부위로는 공기 유동이 미미하게만 이루어진다.
즉, 발판(100)의 상면 중 공기관리모듈(200)과 먼 부위에 출입자가 위치된다면 공기관리모듈(200)과 가까운 부위에 출입자가 위치될 때보다 에어 샤워의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를 고려할 때, 첨부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00)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기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출입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최대한 발판(100)의 전 부위를 향해 고르게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첨부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100)의 상면에는 복수의 흡입유로(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흡입유로(110)는 공기관리모듈(200)의 흡입덕트(210)가 위치된 곳을 향하여 공기 유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210)의 공기 입구는 상기 발판(100)의 둘레를 관통하여 상기 각 흡입유로(110)와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판(100)의 둘레에는 연통유로(120)(첨부된 도 28 참조)가 형성되고, 상기 각 흡입유로(110)는 상기 연통유로(120)에 연통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흡입덕트(210)는 상기 연통유로(120)에 연결된다.
이와 함께, 상기 발판(100)의 상면에는 복수의 하부지지바아(130)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바아(130)는 다수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발판(100)의 상면에 형성된 흡입유로(110)들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지지바아(130)는 횡단면이 사각형상인 각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지지바아(130)가 중공 형상을 갖도록 하여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체 발판(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각 하부지지바아(130)들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각 하부지지바아(130) 사이의 저부에 상기 흡입유로(110)가 각각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출입자로부터 낙하된 먼지나 이물질은 상기 각 하부지지바아(130) 사이의 틈새(G)를 통과하여 공기와 함께 상기 흡입유로(110)에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100. 발판 110. 흡입유로
120. 연통유로 130. 하부지지바아
200. 공기관리모듈 210. 흡입덕트
220. 필터하우징 221. 필터
222. 소독제 저장탱크 222a,222b. 전극판
222c. 접점 222d. 커플러
223. 장착홈 223a. 통전판
230. 온도조절부 400. 덕트유닛
410. 제1덕트 412. 제1입구
420. 제2덕트 500. 공기분사기
600. 기능모듈 610. 도어
620. 유입유로 630. 소독제 분사노즐
631. 연결파이프 632. 커플러
640. 거리센서 700. 개폐유닛
711. 제1셔터 721. 제2셔터

Claims (20)

  1. 출입구 공간에 위치되면서 에어 샤워를 위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샤워기;
    출입구 공간에 위치되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흡입기;
    출입구 공간에 위치되면서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한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보관관리기;
    출입자의 복귀가 감지될 때 상기 에어샤워기나 에어흡입기와 보관관리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온라인에 연결되어 실외의 환경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환경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에어샤워기의 공기 분사 강도 혹은, 보관관리기의 온도 및 습도 조절이 달리 이루어지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샤워기는 출입구 공간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에어흡입기는 출입구 공간의 바닥에 위치되며,
    상기 보관관리기는 출입구 공간의 어느 한 측벽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샤워기에는 에어 샤워를 위한 공기를 송풍하는 제1송풍팬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흡입기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기류를 생성하는 제2송풍팬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송풍팬의 공기 유입측에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관리기에는
    보관 공간 내의 공기 순환을 위한 제3송풍팬과,
    상기 보관 공간 내를 순환하는 공기 중의 습도를 조절하거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관관리기에 위치되고,
    상기 보관관리기에는 상기 제어부가 취득한 정보 및 각 기기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사용자 조작으로 상기 제어부에 의한 각 기기가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관리기는,
    출입자의 상의나 외투 등의 의류를 관리하는 의류관리기와,
    출입자의 신발이나 모자 등의 착용물을 관리하는 신발관리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10. 출입구 공간으로 출입자의 복귀를 확인하는 출입자 감지단계;
    상기 출입자의 복귀가 확인될 경우 온라인을 통해 실외의 환경정보를 취득하는 환경정보 취득단계;
    상기 취득한 실외의 환경정보를 기초하여 에어샤워기의 운전조건과, 에어흡입기의 운전조건 및 보관관리기의 운전조건을 각각 결정하는 운전조건 결정단계;
    상기 결정된 각 운전조건에 따라 에어샤워기와 에어흡입기 및 보관관리기의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 수행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의 환경 정보에는,
    날씨, 온도, 습도, 대기오염정보, 감염재생산지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샤워기의 운전조건은
    에어샤워기의 운전 수행여부와, 공기의 분사강도와, 공기의 분사 시작시점과, 공기 분사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흡입기의 운전조건은
    에어흡입기의 운전 수행여부와, 공기의 흡입강도와, 공기의 흡입 시작시점과, 공기의 흡입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관리기의 운전조건은
    보관관리기의 운전 수행여부와, 보관공간 내부에 대한 설정 온도와, 설정 습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조건 결정단계에서는,
    날씨가 흐릴 경우가 맑을 경우보다 보관관리기의 보관 공간이 더욱 건조하게 유지되도록 운전조건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조건 결정단계에서는,
    대기오염이 높을 경우 대기오염이 낮은 경우보다 에어샤워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분사 강도가 더욱 높게 제어되도록 운전조건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조건 결정단계에서는,
    대기오염이 높을 경우 대기오염이 낮은 경우보다 에어샤워기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분사시간이 더욱 길게 제어되도록 운전조건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조건 결정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 기기별 운전조건이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각 기기별 운전조건은 사용자가 변경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각 기기별 운전조건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각 기기별 운전조건으로 운전 수행단계가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수행단계에 의한 운전 수행이 종료되면,
    각 기기별 동작 시간 혹은, 동작 횟수를 토대로 각 기기별 사용요금을 계산하는 사용요금 계산단계와,
    미리 설정된 결제자에게 상기 계산된 사용요금의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요청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KR1020210015908A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20220084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444737.9A CN114623555B (zh) 2020-12-14 2021-11-30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US17/550,956 US20220186958A1 (en) 2020-12-14 2021-12-14 Hygiene management device for entrance h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512 2020-12-14
KR20200174512 2020-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965A true KR20220084965A (ko) 2022-06-21

Family

ID=82221136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906A KR20220084963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10015904A KR20220084961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1020210015902A KR20220084959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1020210015907A KR20220084964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1020210015901A KR20220084958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1020210015905A KR20220084962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10015900A KR20220084957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10015903A KR20220084960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1020210015908A KR20220084965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906A KR20220084963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10015904A KR20220084961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1020210015902A KR20220084959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1020210015907A KR20220084964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1020210015901A KR20220084958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1020210015905A KR20220084962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10015900A KR20220084957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10015903A KR20220084960A (ko) 2020-12-14 2021-02-04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9) KR202200849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881B1 (ko) * 2022-07-12 2023-01-13 김명희 주택 출입구 토탈 케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630A (ko) 2007-10-22 2009-04-27 청아공조(주) 가정현관용 에어 샤워장치
KR20190055303A (ko) 2017-11-14 2019-05-2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현관문 일체형 에어샤워장치
KR20200046715A (ko) 2018-10-25 2020-05-07 삼성물산 주식회사 출입공간의 조명일체형 공기청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17286A (ko) 2019-04-03 2020-10-14 주식회사 삼화이엔지 현관 에어샤워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630A (ko) 2007-10-22 2009-04-27 청아공조(주) 가정현관용 에어 샤워장치
KR20190055303A (ko) 2017-11-14 2019-05-2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현관문 일체형 에어샤워장치
KR20200046715A (ko) 2018-10-25 2020-05-07 삼성물산 주식회사 출입공간의 조명일체형 공기청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17286A (ko) 2019-04-03 2020-10-14 주식회사 삼화이엔지 현관 에어샤워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881B1 (ko) * 2022-07-12 2023-01-13 김명희 주택 출입구 토탈 케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962A (ko) 2022-06-21
KR20220084958A (ko) 2022-06-21
KR20220084959A (ko) 2022-06-21
KR20220084957A (ko) 2022-06-21
KR20220084960A (ko) 2022-06-21
KR20220084964A (ko) 2022-06-21
KR20220084961A (ko) 2022-06-21
KR20220084963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997B1 (ko) 현관 에어샤워 시스템
KR102200404B1 (ko) 연무식 분사구조를 갖는 고성능 살균 샤워기
JP5312416B2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及び除菌・消臭方法
KR101433288B1 (ko)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KR102303659B1 (ko) 방역게이트
KR20220084965A (ko)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20090008761U (ko) 에어클린 및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현관
KR20140026050A (ko) 연속식 에어샤워부스
JP5058294B2 (ja) 空気調和機
KR102194621B1 (ko) 에어샤워 시스템
KR102216154B1 (ko) 비말감염 방지수단을 구비한 공공시설물
JP2017223403A (ja) 除湿機および乾燥システム
KR20210000288A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220065323A (ko) 에어 샤워식 순환 소독 부스 조립체
KR20150095489A (ko) 흡연부스용 공기순환시스템
KR102273313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KR102337075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KR102450800B1 (ko) 스탠드형 에어샤워 방역 시스템
US20220186958A1 (en) Hygiene management device for entrance hall
KR101482132B1 (ko) 벽걸이형 증발식 가습기
KR102268973B1 (ko) 공동주택 에어샤워 시스템
TW200933097A (en) Air conditioner
KR200379898Y1 (ko) 클린룸
KR102194302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180027672A (ko) 욕실관리기 및 욕실관리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