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961A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4961A KR20220084961A KR1020210015904A KR20210015904A KR20220084961A KR 20220084961 A KR20220084961 A KR 20220084961A KR 1020210015904 A KR1020210015904 A KR 1020210015904A KR 20210015904 A KR20210015904 A KR 20210015904A KR 20220084961 A KR20220084961 A KR 202200849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entrance
- duct
- management device
- ex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72 peristal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출입구 공간 의 바닥에 발판(100)이 위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관리모듈(2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에서 공기가 정화되고 온도가 설정될 수 있으며, 팬조립체(300)에 의해 덕트(400)를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덕트(400)를 통해 유동된 공기는 출입구 공간의 천정 쪽에 있는 제2덕트(420)를 거쳐 공기분사기(500)로 전달될 수 있다.상기 공기분사기(500)는 그 분사구(518)가 향하는 방향이 조절가능하여 상기 발판(100) 상에 있는 출입자에게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고, 상기 발판(100)에서 이 분사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출입구를 출입하는 출입자에 대한 위생을 관리하는 위생관리장치이다.
외부와 특정한 실내 공간 사이의 연결을 위해 출입구가 있는데, 이 출입구가 있는 현관과 같은 공간은 특정한 실내 공간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한다. 사람이 실내 공간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출입구 공간인 현관을 거쳐야 하는데, 실내 공간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관 또는 현관 외부에서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외에서 오염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게 되면 실외를 오염시켜 주변 또는 주위 사람들에게 오염을 전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관에서 출입자의 오염을 제거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 공간으로 오염물질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한 에어커튼이 있다. 이는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는 정도이나 출입자가 출입 시에 외부의 공기가 함께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1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9-0040630호인 가정현관용 에어샤워장치가 제시되었다. 선행문헌1에서는 출입자에 대한 에어샤워를 진행하여 출입자의 의복 등에 있는 먼지 등의 오염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토출된 공기가 출입자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면서 오염을 제거하기는 하지만, 출입자에게 가해지는 공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도록 되어 있어 주로 출입자의 머리와 상체 상부에 주로 공기가 가해져서 하체와 신발 등의 오염이 제대로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현관 내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현관 공간의 측면 쪽에 있어 현관 바닥에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남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출입자의 입출과정에서 실외의 오염물질이 현관 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2인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117286호 현관에어샤워 시스템의 경우 에어샤워에 더해 광촉매램프를 천정에 설치하여 출입자의 의복 등에 있는 먼지 등의 오염을 제거함과 동시에 바이러스 등의 유해물질을 정화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2에서도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현관 바닥에 남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광촉매램프가 천정에서 광을 조사하게 되어 있어 출입자의 하체와 신발 등에 대한 오염이 제대로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출입자의 입출과정에서 실외의 오염물질이 현관 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선행문헌3인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46715호 출입공간의 조명일체형 공기청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조명등기구와 공기청정장치를 일체로 하여 현관과 같은 출입공간에서 출입자의 오염제거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3도 단순히 공기를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하는 구조가 조명등기구에 일체로 되어 있는 정도이고, 흡입구가 출입공간의 측면에 있어서 출입공간 내의 오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도 출입자의 입출과정에서 실외의 오염물질이 현관 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4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55303호 현관문 일체형 에어샤워장치는 내부에 소정의 샤워공간을 가지는 샤워부스를 별도로 설치하여 출입자가 샤워부스 내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샤워부스는 현관 내의 공간에 별도로 구획되어 있어 현관 내부에서 전체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져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공기가 단순히 상부에서 하부로 토출되는 구조이어서 오염을 제거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선행문헌4에서는 샤워부스 바닥부에 흡입구가 있어서 샤워부스 내부의 이물질을 잘 흡입하기는 하지만, 샤워부스 바닥부의 강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 바닥부의 높이를 높게 만들어야 하는 불리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에서 출입자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에서 분사되어 출입자의 상부에서 하부로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된 공기가 출입구 공간의 바닥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에서 출입구 공간의 바닥에 설치된 발판이 출입자의 하중을 버티면서도 발판을 통한 공기흡입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는 출입자의 출입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입구 공간의 바닥에 위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판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지지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발판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통과하는 공기의 질을 관리하는 공기관리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팬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팬조립체에서 나온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에는 자외선을 제공하는 광원이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상부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판은 안착면과 흡입유로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안착되어 발판의 표면을 형성하고 내부가 빈 복수의 지지바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아는 서로 인접한 것 사이에 상기 흡입유로에 연통되는 흡입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소정 영역에는 상기 흡입유로와 안착단이 교대로 형성되는 흡입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에서 나온 자외선을 발판의 상부로 전달하기 위해 광전달부재가 인접한 지지바아 사이의 간격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바아의 폭방향 양측을 따라서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덕트는 출입구 공간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는 제1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출입구 공간의 천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발판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2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분사기는 분사기프레임이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덕트나 출입구 공간의 천정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기프레임에 연결된 제1승강기구와 제2승강기구가 상기 분사기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사기프레임과 상기 덕트 또는 출입구 공간의 천정과의 사이에는 상대 회전 가능한 연결링크 또는 유니버셜조인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강기구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동기어와,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무한궤도 형식의 구동부재와,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제2연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분사기프레임에 설치되고 내면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랙슬롯이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랙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분사기는 덕트를 통해 유동된 공기를 출입구 공간의 천정 쪽에서 하부를 향해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이 출입자의 출입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 있도록 동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분사기는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구가 형성되는 분사기프레임과 상기 분사기프레임과 상기 덕트 또는 출입구 공간의 천정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분사기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 승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사기프레임과 상기 덕트 또는 출입구 공간의 천정과의 사이에는 상대 회전 가능한 연결링크 또는 유니버셜조인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강기구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동기어와,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무한궤도 형식의 구동부재와,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제2연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분사기프레임에 설치되고 내면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랙슬롯이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랙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승강기구와 제2승강기구는 각각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한 쌍의 제1연동기어, 구동부재, 제2연동기어, 피니언기어, 랙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승강기구와 제2승강기구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감아지고 풀어지고 타단부가 분사기프레임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승강기구와 제2승강기구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 내부의 피스톤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의 외부로 돌출되며 일단부가 상기 분사기프레임에 연결되는 승강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관리모듈이 설치되는 출입구 공간의 일측 벽면에는 기능모듈이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기능모듈은 신발이나 의류 혹은, 소지품의 위생적 관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은 출입자가 표면을 밟고 위치하며 표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덕트는 상기 팬조립체에서 나온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출입구 공간의 측벽을 따라 위치되는 제1덕트와 출입구 공간의 천정에 위치되며 제1출구와 제2출구가 구비되는 제2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분사기는 다수개의 승강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은, 안착면과 흡입유로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안착되어 발판의 표면을 형성하고 내부가 빈 복수의 지지바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바아는 서로 인접한 것 사이에 상기 흡입유로에 연통되는 흡입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바아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의 사각기둥이며, 상기 발판의 표면을 형성하는 면의 폭방향 양측을 따라서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흡입유로와 안착단이 교대로 있는 흡입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착단 상에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광원이 설치된 기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에서 나온 광은 상기 지지바아의 사이에 위치된 광전달부재를 통해 발판 상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보빈에 감아지고 풀어지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는 승강로드가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어 입출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생관리장치에서는 출입구 공간에 위치한 출입자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출입자의 옷 등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공기분사기의 분사구가 향하는 방향을 출입자의 출입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내로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 맞춰서 위생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분사기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된 공기를 출입자가 서 있는 발판의 표면을 통해 흡입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출입구 공간 내에 남아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없도록 흡입하여 처리할 수 있어서, 보다 위생적으로 출입자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판의 표면을 구성하는 지지바아가 중공의 사각기둥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 지지바아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볍고 두께가 얇으면서도 출입자의 하중을.잘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출입구 공간을 많이 차지 하지 않으면서 출입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또 발판을 통한 공기 흡입이 원활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판에 자외선을 제공하는 광원이 설치되어 있어 공기를 사용한 먼지 등의 제거와 동시에 출입자의 신발과 하체 부분에 대한 살균소독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판에 흡입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유로를 차폐하면서 발판의 표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지지바아가 내부가 빈 중공형상이어서 가벼우면서도 출입자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판의 흡입영역에 흡입유로와 안착단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단에 자외선 광원이 있는 기판이 위치될 수 있어서, 출입자에 대한 살균소독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바아의 사이에 위치되는 광전달부재를 사용하여 발판의 내부에서 발생된 자외선광을 발판의 상부로 전달할 수 있어서, 자외선광을 출입자에게 보다 잘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바아의 상면 양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흡입유로로의 공기 흡입이 원활하게 일어나고 광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된 광이 발판의 상부로 보다 넓은 영역으로 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덕트는 출입구 공간의 벽면을 따라 설치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제1덕트와 출입구 공간의 천정을 따라 설치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제2덕트를 가져 공기의 유동이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분사기는 제1 및 제2승강기구에 의해 설치각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공기분사기에 의한 공기의 분사가 보다 원활하게 그리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분사기는 연결링크 또는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공기분사기가 보다 견고하게 출입구 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나의 실시례의 제1 및 제2승강기구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무한궤도 형상의 구동부재에 의해 전달하고 피니언기어와 랙기어를 활용해서 승강구동을 수행하므로, 승강구동의 정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른 실시례의 제1 및 제2승강기구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보빈을 회전하여 와이어를 감고 풀도록 동작되므로, 제1 및 제2승강기구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공기분사기의 각도조정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실시례의 제1 및 제2승강기구는 엑츄에이터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공기분사기의 각도조정을 수행하므로, 각도 조정 동작이 매우 신속하게 일어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설치되는 출입구 공간의 일측 벽면에는 기능모듈이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기능모듈에 의해 다양한 물품의 위생관리가 가능하게 될 수 있고, 이들 물품의 취급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승강기구를 사용하여 공기분사기와 출입구 공간의 천정 측과 연결을 수행하면서 공기분사기의 각도조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분사기의 동작이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공기분사기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발판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발판을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관리모듈의 내부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관리모듈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분사기와 덕트의 제2출구 부분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분사기와 덕트의 제2출구 부분의 구성을 보인 덕트의 길이방향 단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분사기에서 제1 및 제2 승강기구가 구비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D11-D11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승강기구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승강기구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승강기구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기안내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의 (a)는 일측 공기안내유니트의 중요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b)는 타측 공기안내유니트의 중요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자가 발판 상에 위치되고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공기분사기가 실외문 쪽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공기분사기가 실내문 쪽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승강기구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공기안내유니트에 의해 분사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2의 (a)는 출입구 공간의 하부 중앙을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상태이고, (b)는 출입구 공간의 하부를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발판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발판을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관리모듈의 내부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관리모듈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분사기와 덕트의 제2출구 부분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분사기와 덕트의 제2출구 부분의 구성을 보인 덕트의 길이방향 단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분사기에서 제1 및 제2 승강기구가 구비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D11-D11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승강기구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승강기구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승강기구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기안내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의 (a)는 일측 공기안내유니트의 중요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b)는 타측 공기안내유니트의 중요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자가 발판 상에 위치되고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공기분사기가 실외문 쪽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공기분사기가 실내문 쪽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승강기구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공기안내유니트에 의해 분사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2의 (a)는 출입구 공간의 하부 중앙을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상태이고, (b)는 출입구 공간의 하부를 향해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본 발명에 의한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례의 위생관리장치는 특정한 실내 공간으로 들고 나는 출입구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주거공간을 위해 본 위생관리장치가 사용되는 경우는 현관 내에 위생관리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사무공간을 위해 본 위생관리장치가 사용되는 경우는 해당 사무공간의 출입구에 별도로 구획된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들 현관과 출입구에 별도로 구획된 공간을 출입구 공간(10)이라고 명명하는데, 출입구 공간(10)은 도 18과 도 19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출입구 공간(10)의 바닥에는 발판(1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판(10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적어도 1명 이상의 출입자가 올라설 수 있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발판(100)이 사각형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출입구 공간(10)의 바닥 형태에 따라, 상기 발판(100)의 형상은 다양한 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발판(100) 상에는 적어도 1명 이상의 출입자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판(100)은 출입자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발판(100)은 아래에서 설명될 팬조립체(300)의 구동에 의해 출입구 공간(10)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발판(100)의 골격을 베이스플레이트(11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기 발판(10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측벽(112)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전체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몇 개의 조각으로 나눠져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안착면(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114)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114)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안내리브(1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리브(116)는 상기 출입구 공간(10)을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내리브(116)는 출입구 공간(10)의 실외문(12)이나 실내문(14)(도 18 참고)과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내리브(116)는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바아(13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안내리브(116)는 다수개가 상기 안착면(114)에 나란히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리브(116)의 사이에는 지지바아(3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 중 소정의 면적에는 흡입영역(1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영역(118)은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흡입영역(118)은 상기 안착면(114)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영역(118)에는 흡입유로(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120)는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120)는 상기 흡입영역(118)을 지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1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서 가장 낮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120)를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부재(130) 사이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아래에서 설명될 공기관리모듈(2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흡입영역(118)에는 상기 흡입유로(120) 사이에 안착단(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122)은 상기 흡입유로(120)의 표면보다는 높은 표면을 가지고 상기 안착면(114)의 표면보다는 낮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단(122)에는 기판(124)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단(122)은 도면에서는 상기 흡입영역(118) 전체에서 일정한 높이의 표면을 가지고 있으나, 지지바아(130)의 견고한 지지를 위해서는 중간 중간에 상기 안착면(114)의 표면과 같은 높이의 표면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각각의 안착단(122)의 폭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각각의 안착단(122)의 폭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판(124)에는 광원(126)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광원(126)은 살균과 소독을 위한 자외선(Far-UV)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광원(126)은 상기 기판(124)에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126)에서 나오는 자외선광을 전달하기 위해 광전달부재(128)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전달부재(128)는 상기 발판(100)의 상부로 자외선광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광전달부재(128)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안착단(122)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폭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띠모양이다. 상기 광전달부재(128)은 상기 기판(124)에 실장된 다수개의 광원(126)에서 나오는 자외선광을 상기 발판(100)의 상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에는 다수개의 지지바아(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30)는 다수개가 차례로 인접하게 나란히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판(100)의 상면을 상기 지지바아(130)의 일측 표면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안착면(114)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30)는 상기 안내리브(116)의 사이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30)는 횡단면이 사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3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3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관통공(1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바아(130)는 중공 사각 기둥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바아(130)가 중공형상을 가지게 되면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체 발판(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안착면(114)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30)에서 상기 흡입영역(118)을 통과하는 부분은 상기 안착단(122)의 돌출부 또는 상기 안착단(122)에 위치된 기판(124) 상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30)의 상면 폭방향 양단을 따라서는 경사면(1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34)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광전달부재(128)를 통해 전달된 자외선광이 발판(100)의 상부로 넓게 펴져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134)중에서 상기 광전달부재(128)가 없는 쪽에 있는 것은 상기 흡입유로(120)로의 공기흡입이 보다 원활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아(130)는 각각의 길이가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일측 끝에서 타측 끝 사이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안내리브(116)나 상기 흡입유로(12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의 지지바아(130)가 차례로 배치되어 발판(100)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12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인접하는 지지바아(130) 사이에 흡입슬롯(136)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지지바아(130) 사이의 간격이 흡입슬롯(136)으로 되어 출입구 공간(10) 내의 공기가 팬조립체(30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슬롯(136)은 상기 안내리브(116)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슬롯(136)의 폭보다 큰 이물질은 상기 흡입유로(120)로 들어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아(130) 들은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상기 흡입유로(120)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120)를 통해 유동된 공기를 관리하기 위해 공기관리모듈(200)이 있다.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은 상기 흡입유로(120)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 공기의 습도와 온도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의 골격을 고정프레임(210)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0) 내부에는 내부공간(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212)은 상기 고정프레임(210)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212)에는 입출힌지(214)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210)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되게 입출프레임(21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출힌지(214)는 일측은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내부공간(212) 양측 내면에 고정될 수 있고, 타측은 상기 입출프레임(216)의 양측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출프레임(216)은 상기 입출힌지(214)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상기 내부공간(212)의 내외부로 입출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입출프레임(216)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입출프레임(216)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연통로(2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로(218)는 상기 흡입유로(12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입출프레임(216)에는 제1슬롯(220), 제2슬롯(222), 제3슬롯(224)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롯(220), 제2슬롯(222), 제3슬롯(22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출프레임(216)의 상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롯(220)에는 제1필터(221)가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슬롯(222)에는 제2필터(223)가 위치될 수 있으며, 제3슬롯(224)에는 제3필터(225)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통로(218)는 상기 입출프레임(216)을 전후로 관통하고, 상기 제1슬롯(220), 제2슬롯(222), 제3슬롯(224)은 상기 입출프레임(216)의 상면으로 개방되게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로(218) 내에 상기 제1슬롯(220), 제2슬롯(222), 제3슬롯(224)에 있는 제1필터(221), 제2필터(223), 제3필터(225)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221), 제2필터(223), 제3필터(225)는 각각 특정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필터(221)는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필터(223)는 먼지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필터(225)는 항균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출프레임(216)의 하부 일측에는 예를 들어 상기 제1필터(22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거된 수분이 모아지는 물받이(22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물받이(228)의 입구는 상기 제1슬롯(2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228)에 모인 물을 상부로 전달하기 위해 연결파이프(229)가 상기 입출프레임(216)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입출프레임(216)의 상부에는 드레인용기(23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드레인용기(230)는 상기 연결파이프(229)를 통해 전달된 물을 모아두는 곳이다. 상기 드레인용기(230)는 상기 입출프레임(216)이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전방으로 돌출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레인용기(230)를 입출프레임(216)에서 분리하여 물을 버릴 수 있다. 상기 물받이(228)에서 드레인용기(230)로 물을 전달하는 것은 펌프를 이용하거나 모세관현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입출프레임(216)에는 전면커버(23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232)는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232)는 상기 입출프레임(216)을 차폐하면서 상기 입출프레임(216)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유로(120)를 통해 유동된 공기를 상기 연통로(218)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120)와 연결되어 고정연결덕트(234)가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연결덕트(234)의 입구에는 상기 흡입유로(1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연결덕트(234)는 상기 전면커버(232)의 배면에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연결덕트(234)의 좌우 폭은 상기 발판(100)에 형성된 흡입영역(118)의 대응되는 가장자리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상기 고정연결덕트(234)의 출구 측에는 회동연결덕트(23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회동연결덕트(236)는 상기 고정연결덕트(234)에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 각도 만큼의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회동연결덕트(236)는 상기 고정연결덕트(234)와 별개로 만들어지고, 상기 고정연결덕트(234)에 조립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232)의 배면 또는 상기 입출프레임(216)에는 이동덕트(2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238)는 상기 전면커버(232) 또는 상기 입출프레임(216)과 함께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238)의 하부에 형성된 입구에는 상기 회동연결덕트(236)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238)의 출구는 상기 입출프레임(216)의 연통로(218)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연결덕트(234)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회동연결덕트(236)를 통해 상기 이동덕트(238)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이동덕트(238)에서 상기 연통로(218)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덕트(238)의 출구는 항상 상기 연통로(218)를 향하고 있고, 상기 이동덕트(238)는 상기 연통로(218)가 형성된 입출프레임(216)과 함께 움직이므로 이동덕트(238)에서 나온 공기는 상기 연통로(218)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후단에는 열교환기(24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40)는 상기 제3필터(225)와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50)는 열교환기케이스(24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케이스(242)를 전후로 관통하여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케이스(242)의 출구는 아래에서 설명될 팬조립체(300)의 하우징입구(312)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50)는 상기 연통로(218)를 통과하여 나온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동작을 위해 열교환사이클의 구성요소들이 있을 수 있다. 도면부호 244는 압축기이다.
상기 열교환기(240)는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을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240) 대신에 히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의 배면, 다시 말해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에서 공기가 나오는 출구에는 팬조립체(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300)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팬조립체(300)의 구성이 단면도로 표시되어 있는데, 팬조립체(300)의 단면은 도 6의 다른 부분의 단면위치와는 다르지만 편의상 해당 위치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상기 팬조립체(300)의 외관을 팬하우징(310)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의 일측에는 하우징입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입구(312)는 상기 공기관리모듈(200) 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소정의 하우징 내부공간(3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의 타측에는 하우징출구(3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입구(312)는 상기 열교환기케이스(242)의 출구와 연통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출구(316)는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40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10)의 내부에는 팬(31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318)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팬하우징(310)의 전면에 있는 하우징입구(31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팬하우징(310)의 일측 외면에 있는 하우징출구(316)를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팬(318)이 원심팬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출구(316)는 상기 팬(318)의 원심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관리모듈(200)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기능모듈(3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모듈(350)의 예로서는 의류관리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의류관리기의 내부에 의류를 두면, 의류의 먼지를 제거하거나 살균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의류관리기는 의류의 주름을 펴는 등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능모듈(350)의 다른 예로서는 신발관리기, 우산관리기, 소지품관리기, 신발보관기, 우산보관기, 소지품보관기 등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이들 기능모듈(350) 들은 단독으로 있지 않고 몇 개가 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기능모듈(350)은 실내와 직접 연통될 수도 있다. 즉, 기능모듈(350)의 내측이 실내로 개방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덕트(400)는 상기 팬조립체(300)에서 형성된 기류를 출입구 공간의 상대적으로 상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덕트(400)는 제1덕트(410)와 제2덕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410)는 출입구 공간의 측벽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410)의 제1입구(412)는 상기 팬조립체(300)의 하우징출구(316)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입구(412)는 유동단면적이 상기 제1덕트(41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덕트(410)에는 상기 기능모듈(35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분지유로(도시되지 않음)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분지유로와 상기 제1덕트(410)의 내부에는 별도의 댐퍼가 있어서 공기의 유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덕트(420)는 출입구 공간(10)의 천정 쪽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420)는 상기 제1덕트(410)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ㅈ으제2덕트(420)는 아래에서 설명될 공기분사기(50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덕트(420)에는 제1출구(422)와 제2출구(42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출구(422)는 상기 제2덕트(420)의 상대적으로 상류부에 있을 수 있고, 상기 제2출구(424)는 상기 제1출구(422)보다 상기 제2덕트(420)의 상대적으로 하류부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출구(422)는 상기 제2출구(424)보다 상기 제1덕트(410)에 더 가까이 있다.
도 8에서 도 11에 따르면, 상기 제2덕트(420) 또는 출입구 공간(10)의 천정에는 공기분사기(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기(500)는 상기 덕트(400)를 통해 전달된 공기를 출입구 공간(10) 내부에 있는 사용자에게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기(500)는 상기 제1출구(422)와 제2출구(424)를 통해 전달된 공기를 다양한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특히, 출입자가 출입구 공간(10)으로 출입하는 방향으로 상기 공기분사기(500)가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 범위만큼 상기 공기분사기(500)가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골격을 분사프레임(510)이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프레임(510)의 상면중 적어도 일부를 장착판(51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착판(512)의 일부 영역에는 관통부(51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관통부(514)는 상기 장착판(51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514)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덕트(420)의 제1출구(422) 및 제2출구(42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514)는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을 관통하여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저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루버(516)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루버(516)는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의 저면 전체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루버(516)는 상기 관통부(514)에 해당되는 위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루버(516) 사이를 통해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루버(516)가 설치된 상기 관통부(514)가 분사구(518)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저면에는 2개의 분사구(5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루버(516)는 도시된 도면에서는 동작되지 않고 고정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루버(516)의 양단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분사구(518)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을 추가로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분사기(500)에는 제1 및 제2 승강기구(520,520')가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승강기구(520,520')는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동작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승강기구(520)와 제2승강기구(520')는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 측에 설치되어 공기분사기(500)의 저면이 향하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승강기구(520,520')는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승강기구(520)는 공기분사기(500)에서 내부문(14)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제2승강기구(520')는 공기분사기(500)에서 외부문(12)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승강기구(520,520')의 구성 중 일부는 상기 덕트(400) 또는 출입구 공간(10)의 천정에 설치될 수 있고, 나머지는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520,520')에 의해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의 특정 부분이 승강함에 의해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저면이 향하는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승강기구(520,520')의 구성은 동일할 수 있고 설치 위치만 달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승강기구(520)를 기준으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장착브라켓(522)은 상기 덕트(400) 또는 출입구 공간(10)의 천정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제1승강기구(520)의 장착브라켓(522)과 제2승강기구(520')의 장착브라켓(522)이 모두 하나의 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덕트(400) 또는 출입구 공간(10)의 천정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0과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장착브라켓(522)에는 구동모터(52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24)는 승강기구(520,520')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24)의 출력축에는 구동기어(52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526)와 맞물려서 종동기어(52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528)는 상기 장착브라켓(5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528)는 한 쌍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528)가 한 쌍이 사용됨에 따라, 상기 종동기어(538)와 관련된 구성들도 각각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들 한 쌍의 구성 중 일측만을 설명한다. 단, 일측 종동기어(528)에 연결되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부재(536)의 동작에 의한 공기분사기(500)의 승강방향을 맞추기 위해 추가의 기어열(528')을 둘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528)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연동축(530)이 있고, 상기 연동축(530)에는 제1연동기어(53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연동기어(532)는 케이싱(53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동기어(532)는 상기 케이싱(534) 내에 설치된 구동부재(536)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싱(534)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34)의 일측 부분의 횡단면은 'ㄷ'자 형상으로 되고 그 내부에는 무한궤도 형상으로 된 상기 구동부재(53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36)의 예는 타이밍벨트나 체인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36)로서 체인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연동기어(532)와 제2연동기어(532')는 스프라켓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34)은 타원 형상의 장축이 단축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34)의 길이는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회동 각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34)에는 케이싱(534)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슬롯(5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슬롯(534')은 상기 케이싱(534)의 타원형상에서 장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34)에서 상기 제1연동기어(532)가 설치된 반대쪽 단부에는 제2연동기어(53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동기어(532')는 상기 케이싱(53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동기어(532')와 동축으로 피니언기어(538)가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538)는 상기 제2연동기어(532')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538)는 아래에서 설명될 랙슬롯(54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538)는 상기 랙슬롯(542)에 있는 랙기어(543)와 맞물려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2연동기어(532')와 피니언기어(538)의 동작에 의해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의 특정 위치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의 일측에는 랙가이드(5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랙가이드(540)에는 상기 랙기어(543)가 안내되는 랙슬롯(542)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가이드(540)는 상기 장착판(5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랙가이드(540)의 랙슬롯(542)에는 랙기어(5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543)는 상기 피니언기어(538)와 맞물려 동작되어 상기 피니언기어(538)가 상대적으로 상기 랙슬롯(542)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38)가 랙슬롯(542)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피니언기어(438)의 위치가 상기 랙슬롯(542) 내에서 변경되면서 상기 피니언기어(438)와 동심인 제2연동기어(532')가 설치된 상기 케이싱(534)의 설치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각도조절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강기구(520,520')만으로 공기분사기(500)의 하중을 지탱하지 않고 별도의 구성을 둘 수도 있다. 상기 장착판(512)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덕트(400) 또는 출입구 공간(10)의 천정에 타단부가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서 상대 회전이 가능한 연결링크(545)를 사용하여 상기 장착판(512)과 상기 덕트(400) 또는 출입구 공간(10)의 천정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545)의 양단에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제1장착편(547)과 제2장착편(549)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편(547)는 상기 덕트(400)나 출입구 공간(10)의 천정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2장착편(549)은 상기 장착판(5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나 연결링크(545) 등은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기하학적 중심 위치에 두는 것이 좋다.
위에서 설명된 상기 제1 및 제2 승강기구(520,520')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례의 제1 및 제2 승강기구(1520,1520')는 와이어(1528)를 사용하여 공기분사기(5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덕트(400)의 저면 또는 출입구 공간(10)의 천정에 장착브라켓(1522)에 의해 구동모터(152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524)의 출력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보빈(1526)이 상기 덕트(400)의 저면 또는 출입구 공간(10)의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빈(1526)에는 와이어(1528)가 감아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와이어(1528)의 일단부는 보빈(1526)에 고정된 상태로 감아지고, 타단부는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분사기프레임(5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528)는 적어도 2개 이상이 하나의 보빈(1526)에 나눠져 감아져 있을 수 있고, 각각의 타단부가 공기분사기(500)의 분사기프레임(5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1528)를 사용하는 제1 승강기구(1520)와 제2 승강기구(1520')는 상기 와이어(1528)를 보빈(1526)에 감고 푸는 것에 의해 공기분사기(500)의 동작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는 다른 구성의 제1 및 제2 승강기구(2520,2520')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엑츄에이터(2524)를 사용하여 공기분사기(500)의 동작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2524)가 상기 덕트(400) 또는 출입구 공간(10)의 천정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2524)의 구성은 실린더(2526)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피스톤(2528)이 있을 수 있고, 상기 피스톤(2528)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2526)의 외부로 돌출된 정도가 달리되는 구동로드(253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피스톤(2528)는 상기 실린더(2526) 내부에서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로드(2530)의 선단은 공기분사기(500)의 분사기프레임(510)에 설치된 연결편(2532)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4의 구성에서는 상기 엑츄에이터(2534)의 구동로드(2530)가 입출된 정도를 달리하여 공기분사기(400)의 동작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덕트(400)의 제1출구(422)와 제2출구(424)에서 상기 공기분사기(500) 양측의 분사구(518)로 공기를 전달하는 공기안내유니트(5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덕트(400)의 제1출구(422)와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의 일측 분사구(518)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제2출구(424)와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의 타측 분사구(518)의 사이에 각각 공기안내유니트(550)가 설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출구(424)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공기안내유니트(550)를 참고로 설명한다.
베인프레임(552)은 상기 공기안내유니트(51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인프레임(552)의 형상은 상기 분사구(518)의 가장자리를 따른 형상 및 제2출구(424)의 가장자리를 따른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베인프레임(552)의 내부에는 일종의 유로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출구(424)와 상기 분사구(518)를 연결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상기 베인프레임(552)에서 상기 제2출구(424)를 향해 돌출되어 연결목(5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목(552)은 상기 베인프레임(552) 부분의 유동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유동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목(552)과 상기 제2출구(424) 사이에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관(55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름관(556)은 신축이 가능하므로,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덕트(400)에 대해 상기 베인프레임(552)이 분사기프레임(510)과 함게 움직이더라도 상기 연결목(552)과 제2출구(424) 사이의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출구(424)와 베인프레임(552) 사이에서 공기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베인프레임(552)의 내부에는 베인회동중심부재(558)가 양측 내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회동중심부재(558)에는 다수개의 베인(560,560')이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560,560')의 양단이 각각 양측의 상기 베인회동중심부재(55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회동중심부재(558)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베인프레임(552)의 대응되는 부분이 동일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인(560,560')은 상기 분사구(518)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설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베인(560,560')은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의 판인 상류부(561)와 하류부(561')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류부(561)와 하류부(561')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연결곡면부(561')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베인(560,560')의 형상은 제1출구(42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사용되는 공기안내유니트(550)의 것과 제2출구(424)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사용되는 공기안내유니트(550)의 것이 조금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의 (a)에는 제2출구(424)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베인(560)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16의 (b)에는 제1출구(4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베인(560')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6의 (a)에 있는 베인(56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상류부(561)와 하류부(561')를 연장한 가상의 연장면은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만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베인(560)은 상기 베인프레임(552)에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인(560)의 상류부(561)의 시작부분은 상기 제2덕트(420)의 상류를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하류부(561')는 끝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발판(100)의 중간부분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의 (b)에 있는 베인(56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상류부(561)와 하류부(561')를 연장한 가상의 연장면은 서로 거의 평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인(560')의 상류부(561)의 시작부분은 상기 제2덕트(420)의 상류를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베인(560)의 상류부(561)와 상기 베인(560')의 상류부(561)의 경사방향은 거의 같을 수 있다. 단지 상기 베인(560')의 상류부(561)가 제2덕트(420)의 내부로 돌출된 정도가 상대적으로 짧다. 상기 하류부(561')는 끝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발판(100)의 중간부분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베인(560,560')은 상기 상류부(56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덕트(42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560,560')의 상기 하류부(561')는 주로 상기 베인프레임(55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560,560')의 상류부(561)는 상기 제2덕트(420) 내에서 공기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2덕트(420) 내에 더 많은 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덕트(420) 내에서 공기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베인(560,560')의 상류부(561)의 시작부분이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1출구(422)와 제2출구(424)에 있는 베인(560)을 비교해도 그러하다. 즉, 상기 제1출구(422)에 있는 베인(560')의 상류부(561)의 시작부분에 비해 제2출구(424)에 있는 베인(560)의 상류부(561)의 시작부분이 더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3에서도 볼 수 있다. 이는 제2덕트(420) 내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1출구(422)와 제2출구(424) 각각의 전체 영역을 통해 균일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베인(560,560')의 상류부(561)에서 하류부(561')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출구(422)에 위치되는 것이 제2출구(424)에 위치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 수 있다. 이는 제2덕트(420)의 말단으로 가면서 허비되는 공기가 없이 분사구(518)로 많은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인(560,560')의 하류부(561')는 상기 베인프레임(552)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하부 영역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베인(560,560')이 상기 베인회동중심부재(558)에 대해서 회전된 상태에 따라 상기 하류부(561')가 공기를 안내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베인(560,560')들의 동작 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베인구동부재(56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인구동부재(562)는 상기 베인회동중심부재(558)와 같이 각각의 베인(560,56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인구동부재(562)는 상기 베인회동중심부재(558)가 베인(560,560')과 연결된 부분에서 상기 분사구(518) 쪽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베인(560,560')과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인구동부재(562)는 주로 상기 베인(560,560')의 하류부(56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인구동부재(562)는 상기 베인(560,560')의 양측에 하나 씩 2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베인구동부재(562)가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인구동부재(562)는 상기 베인프레임(55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구동부재(562)의 일부가 상기 베인프레임(55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인프레임(552)에는 이동슬롯(5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슬롯(564)은 상기 베인프레임(552)의 양쪽 외측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슬롯(564)에는 연결핀(566)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566)은 일단부가 상기 베인구동부재(56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566)의 타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링크(57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566)의 길이 구간 중 일부를 둘러서는 롤러(568)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568)는 상기 이동슬롯(564) 내에서 상기 연결핀(566)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착판(512)에는 상기 베인(560,560')의 구동을 위한 베인모터(5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모터(570)의 회전축에는 모터기어(5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기어(570')에 맞물려서 제1구동기어(571)와 제2구동기어(57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어(571)는 제1출구(422)에 설치된 베인(560')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구동기어(572)는 제2출구(424)에 설치된 베인(560)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어(571)와 제2구동기어(572)는 각각 별도의 구동링크(574)를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링크(574)에는 각각 랙부(57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랙부(576)의 일측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게 연결부(578)가 있을 수 있고, 상기 연결부(578)의 양측에 직교하게 구동부(580)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80)에는 상기 베인프레임(552)에 형성된 이동슬롯(564)을 따라 이동되는 연결핀(56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링크(574)는 랙부(576), 연결부(578), 구동부(58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므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구동링크(574)의 처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구동부(580)를 상기 장착판(512)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대(582)를 둘 수 있다. 상기 지지대(582)는 양측에 있는 상기 구동부(580)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하나의 구동링크(574)에 2개가 사용될 수 있다. 도면부호 584는 상기 구동링크(574)의 이동행정의 일단을 설정하는 스톱퍼이다.
참고로 상기 베인모터(570)와 상기 연결링크(545) 및 제2장착편(549)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구동링크(574)의 랙부(576)의 길이나 연결부(578)와의 연결 위치를 도시된 것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에서 도 22를 참고하여 위생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위생관리장치가 설치된 출입구 공간(10)으로 출입자가 진입하기 위해서는 실외문(12)을 개방한다. 상기 실외문(12)이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공기분사기(500)에서는 실외에서 출입구 공간(10)으로 공기가 진입하지 않도록 상기 실외문(12) 쪽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분사기(500)의 저면이 상기 실외문(12) 쪽을 경사지게 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승강기구(520) 쪽의 분사기프레임(510) 부분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하고, 제2승강기구(520') 쪽의 분사기프레임(510) 부분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구동모터(524)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기어(526), 종동기어(538) 그리고 제1연동기어(532)를 통해 구동력이 상기 구동부재(536)로 전달된다. 상기 구동부재(536)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연동기어(532')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연동기어(532')와 일체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538)가 상기 랙가이드(540)의 랙기어(543)와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랙슬롯(54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슬롯(542)을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538)가 이동함에 의해 상기 제2연동기어(532')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케이싱(534)의 각도가 달라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34)이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되면(도 20의 (a)), 그 위치에서의 분사기프레임(510)은 상대적으로 덕트(400)에 가깝다. 반대로 상기 케이싱(534)과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게 되면(도 20의 (b)), 해당 위치의 분사기프레임(510)은 상기 덕트(400)에서 멀어진다. 즉, 분사기프레임(510)의 해당 부분의 높이가 낮아진다.
도 18의 상태는 제1승강기구(520)가 있는 쪽의 분사기프레임(510)의 높이가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2승강기구(520')가 있는 쪽의 분사기프레임(510)의 높이가 높아진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공기분사기(500)는 상기 실외문(12) 쪽을 향해 공기를 경사지게 하부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19에서와 같이, 제1승강기구(520)가 있는 쪽의 분사기프레임(51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상기 제2승강기구(520')가 있는 쪽의 분사기프레임(51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면 상기 공기분사기(500)는 실내문(14) 쪽을 향해 공기를 경사지게 하부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도 12와 도 14에 도시된 실시례의 승강기구(1520,1520').(2520,2520')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분사기프레임(510)의 높이가 조정되는 것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될 수 있다. 즉, 와이어(1528)가 보빈(1526)에 감아지고 풀어지는 것과, 승강로드(2520)가 실린더(2526)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것에 의해 분사기프레임(510)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출입자가 상기 실외문(12)을 열고 출입구 공간(10)에 진입하고, 실외문(12)을 닫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100) 상에 위치하면, 상기 팬조립체(300)가 동작하면서, 먼저 상기 발판(100)을 통해 공기의 흡입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발판(100)에서는 상기 흡입영역(118)을 통해서 공기의 흡입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에 의해 덮여 있는 상기 흡입영역(118)의 흡입유로(120)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120)로는 상기 지지부재(130) 사이에 형성된 흡입슬롯(136)을 통해서 공기가 흡입되어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 사이에 형성된 흡입슬롯(136)은 그 유동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으므로, 상대적으로 강한 흡입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유로(120)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출입자의 하중을 잘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지지부재(130) 사이의 흡입슬롯(136)은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상기 흡입유로(120)로 들어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30) 사이에 위치된 광전달부재(128)를 통해서는 상기 광원(126)에서 나온 살균을 위한 자외선광이 발판(100)의 상부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광전달부재(128)를 통해 조사된 자외선광은 출입자의 신발과 하체 부분에 집중적으로 조사되면서 살균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120)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공기관리모듈(200)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공기관리모듈(200)로는 상기 흡입유로(120)와 연통된 고정연결덕트(234)를 통해 공기가 들어갈 수 있다. 상기 고정연결덕트(234)로 들어간 공기는 회동연결덕트(236)와 이동덕트(238)를 거쳐서 상기 연통로(218)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연통로(218)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제1필터(221), 제2필터(223), 제3필터(225)에 의해 수분제거, 미세먼지제거, 살균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40) 또는 히터를 통과하면서는 공기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연통로(218)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조립체(300)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팬조립체(300)로 들어간 공기는 팬(318)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덕트(400)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덕트(400)로 들어간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기능모듈(350)로 선택적으로 전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덕트(400)의 제1덕트(410)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제2덕트(420)로 유동되고, 상기 제2덕트(420)의 제1출구(422)와 제2출구(424)로 차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출구(422)와 제2출구(424)에는 상기 베인(560,560')이 위치되어 있어 유동되던 공기가 상기 베인(560,560')에 의해 안내되어 제1출구(422)와 제2출구(424)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제1출구(422)와 제2출구(424)에 각각 다수개의 베인(560,560')이 소정 높이차와 소정 간격을 두고 있으므로, 공기가 제1출구(422)와 제2출구(424)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서는 상기 베인(560,560')에 의해 공기가 안내되면서 분사구(518)를 통해 발판의 중앙 부분을 향해 경사지게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인(560,56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베인모터(570)에 의해 구동링크(574)가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링크(574)가 직선운동함에 의해 상기 베인구동부재(562)가 이동하면서 상기 베인(560,560')이 상기 베인회동중심부재(558)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인(560,560')의 소정 각도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인(560,560')의 하류부(561')가 향하는 방향이 조정되면서 상기 분사구(518)를 통한 공기 분사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출구(422)에 위치되는 베인(560')들과 제2출구(424)에 위치되는 베인(560')들은 상기 베인모터(57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각각의 구동링크(572)에 의해 베인모터(570) 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베인모터(57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질 수 있다.
도 22의 (a)에는 상기 구동링크(572)가 상기 베인모터(570)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에는 상기 베인(560,560')의 하류부(561')가 하부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공기가 베인(560)의 하류부(561')를 따라 안내되어 공기분사기(500)의 하부 중앙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이는 제1출구(422)에 대응되는 분사구(518)와 제2출구(424)에 대응되는 분사구(518)에서 모두 그러하다. 따라서 2개의 분사구(518)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상대적으로 발판(100)의 중앙을 향해 모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류부(561)들은 모두 제2덕트(420)의 상대적으로 상류를 향하고 있고, 제2덕트(420)의 하류로 갈수록 상기 상류부(561)들이 제2덕트(420) 내부로 더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2의 (b)에는 상기 구동링크(572)가 상기 베인모터(57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베인(560,560')의 하류부(561')가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공기가 공기분사기(500)의 하부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분사구(518)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발판(100)의 상부 전체를 향해 퍼져서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시된 실시례들에서는 제1승강기구(520,1520,2520)와 제2승강기구(520',1520',2520')가 분사기프레임(510)의 양측 가장자리 쪽에 위치되어서 공기분사기(500)의 각도를 조정하였다. 하지만, 같은 구성의 승강기구(520,1520,2520),(520',1520',2520')를 다수개 씩 사용하여 공기분사기(500)의 각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분사기프레임(510)의 4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승강기구들을 둘 수도 있다.
100: 발판
110: 베이스플레이트
112: 측벽 114: 안착면
116: 안내리브 118: 흡입영역
120: 흡입유로 122: 안착단
124: 기판 126: 광원
128: 광전달부재 130: 지지바아
132: 관통공 134: 경사면
136: 흡입슬롯
200: 공기관리모듈 210: 고정프레임
212: 내부공간 214: 입출힌지
216: 입출프레임 218: 연통로
220: 제1슬롯 221: 제1필터
222: 제2슬롯 223: 제2필터
224: 제3슬롯 225: 제3필터
228: 물받이 229: 연결파이프
230: 드레인용기 232: 전면커버
234: 고정연결덕트 236: 연결회동덕트
238: 이동덕트 240: 열교환기
242: 열교환기커버 244: 압축기
300: 팬조립체 310: 팬하우징
312: 하우징입구 314: 하우징 내부공간
316: 하우징출구 318: 팬
350: 기능모듈
400: 덕트 410: 제1덕트
412: 제1입구 420: 제2덕트
422: 제1출구 424: 제2출구
500: 공기분사기 510: 분사기프레임
512: 장착판 514: 관통부
516: 루버 518: 분사구
520: 제1승강기구 520': 제2승강기구
522: 장착브라켓 524: 구동모터
526: 구동기어 528: 종동기어
528': 기어열 530: 연동축
532: 제1연동기어 532': 제2연동기어
534: 케이싱 534': 관통슬롯
536: 구동부재 538: 피니언기어
540: 랙가이드 542: 랙슬롯
543: 랙기어 545: 연결링크
547: 제1장착편 549: 제2장착편
550: 공기안내유니트 552: 베인프레임
554: 연결목 556: 주름관
558: 베인회동중심부재 560, 560': 안내베인
561: 상류부 561': 하류부
561”연결곡면부 562: 베인구동부재
564: 이동슬롯 566: 연결핀
568: 회전롤 570: 베인모터
570': 모터기어 571: 제1구동기어
572: 제2구동기어 574: 구동링크
576: 랙부 578: 연결부
580: 구동부 582: 지지대
584: 스톱퍼
112: 측벽 114: 안착면
116: 안내리브 118: 흡입영역
120: 흡입유로 122: 안착단
124: 기판 126: 광원
128: 광전달부재 130: 지지바아
132: 관통공 134: 경사면
136: 흡입슬롯
200: 공기관리모듈 210: 고정프레임
212: 내부공간 214: 입출힌지
216: 입출프레임 218: 연통로
220: 제1슬롯 221: 제1필터
222: 제2슬롯 223: 제2필터
224: 제3슬롯 225: 제3필터
228: 물받이 229: 연결파이프
230: 드레인용기 232: 전면커버
234: 고정연결덕트 236: 연결회동덕트
238: 이동덕트 240: 열교환기
242: 열교환기커버 244: 압축기
300: 팬조립체 310: 팬하우징
312: 하우징입구 314: 하우징 내부공간
316: 하우징출구 318: 팬
350: 기능모듈
400: 덕트 410: 제1덕트
412: 제1입구 420: 제2덕트
422: 제1출구 424: 제2출구
500: 공기분사기 510: 분사기프레임
512: 장착판 514: 관통부
516: 루버 518: 분사구
520: 제1승강기구 520': 제2승강기구
522: 장착브라켓 524: 구동모터
526: 구동기어 528: 종동기어
528': 기어열 530: 연동축
532: 제1연동기어 532': 제2연동기어
534: 케이싱 534': 관통슬롯
536: 구동부재 538: 피니언기어
540: 랙가이드 542: 랙슬롯
543: 랙기어 545: 연결링크
547: 제1장착편 549: 제2장착편
550: 공기안내유니트 552: 베인프레임
554: 연결목 556: 주름관
558: 베인회동중심부재 560, 560': 안내베인
561: 상류부 561': 하류부
561”연결곡면부 562: 베인구동부재
564: 이동슬롯 566: 연결핀
568: 회전롤 570: 베인모터
570': 모터기어 571: 제1구동기어
572: 제2구동기어 574: 구동링크
576: 랙부 578: 연결부
580: 구동부 582: 지지대
584: 스톱퍼
Claims (25)
- 출입구 공간의 바닥에 위치되고 표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발판,
상기 발판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통과하는 공기의 질을 관리하는 공기관리모듈,
상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팬조립체,
상기 팬조립체에서 나온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덕트를 통해 유동된 공기를 상기 발판을 향해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이 출입자의 출입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 있도록 구성되는 공기분사기를 포함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내부에는 표면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흡입유로가 상기 공기관리모듈과 연통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는 자외선을 제공하는 광원이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상부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안착면과 흡입유로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안착되어 발판의 표면을 형성하고 내부가 빈 복수의 지지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아는 서로 인접한 것 사이에 상기 흡입유로에 연통되는 흡입슬롯이 형성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소정 영역에는 상기 흡입유로와 안착단이 교대로 형성되는 흡입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단 상에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광원이 설치된 기판이 더 구비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나온 자외선을 발판의 상부로 전달하기 위해 광전달부재가 인접한 지지바아 사이의 간격에 위치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의 폭방향 양측을 따라서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흡입슬롯의 입구 또는 상기 광전달부재에서 나온 자외선이 조사되는 출구가 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출입구 공간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팬조립체와 연통되는 제1덕트와,
상기 제1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출입구 공간의 천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발판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제2덕트를 포함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기는 분사기프레임이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덕트나 출입구 공간의 천정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기프레임에 연결된 제1승강기구와 제2승강기구가 상기 분사기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승강기구에 의해 동작각도가 설정되며, 상기 분사기프레임의 저면에 상기 덕트를 통해 전달된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프레임과 상기 덕트 또는 출입구 공간의 천정과의 사이에는 상대 회전 가능한 연결링크 또는 유니버셜조인트가 더 구비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강기구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동기어와,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무한궤도 형식의 구동부재와,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제2연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분사기프레임에 설치되고 내면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랙슬롯이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랙가이드를 포함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출입구 공간의 바닥에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의 질이 관리되는 공기관리모듈,
상기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팬조립체,
상기 팬조립체에서 나온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덕트를 통해 유동된 공기를 출입구 공간의 천정 쪽에서 하부를 향해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이 출입자의 출입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 있도록 동작하게 구성되는 공기분사기를 포함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기는,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구가 형성되는 분사기프레임과,
상기 분사기프레임과 상기 덕트 또는 출입구 공간의 천정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분사기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프레임과 상기 덕트 또는 출입구 공간의 천정과의 사이에는 상대 회전 가능한 연결링크 또는 유니버셜조인트가 더 구비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승강기구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동기어와,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무한궤도 형식의 구동부재와,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제2연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분사기프레임에 설치되고 내면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랙슬롯이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랙가이드를 포함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기구와 제2승강기구는 각각 하나의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구동되는 한 쌍의 제1연동기어, 구동부재, 제2연동기어, 피니언기어, 랙가이드를 구비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기구와 제2승강기구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감아지고 풀어지고 타단부가 분사기프레임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기구와 제2승강기구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 내부의 피스톤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의 외부로 돌출되며 일단부가 상기 분사기프레임에 연결되는 승강로드를 포함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관리모듈이 설치되는 출입구 공간의 일측 벽면에는 기능모듈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기능모듈은 신발이나 의류 혹은, 소지품의 위생적 관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출입자가 표면을 밟고 위치하며 표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발판,
상기 발판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통과하는 공기의 질을 관리하는 공기관리모듈,
상기 공기관리모듈과 연통되고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팬조립체,
상기 팬조립체에서 나온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출입구 공간의 측벽을 따라 위치되는 제1덕트와 출입구 공간의 천정에 위치되며 제1출구와 제2출구가 구비되는 제2덕트를 포함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제1출구 및 제2출구를 통해 나온 공기를 출입구 공간의 천정 쪽에서 하부를 향해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다수개의 승강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이 조정되는 공기분사기를 포함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안착면과 흡입유로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안착되어 발판의 표면을 형성하고 내부가 빈 복수의 지지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아는 서로 인접한 것 사이에 상기 흡입유로에 연통되는 흡입슬롯이 형성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의 사각기둥이며, 상기 발판의 표면을 형성하는 면의 폭방향 양측을 따라서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흡입유로와 안착단이 교대로 있는 흡입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단 상에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광원이 설치된 기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광원에서 나온 광은 상기 지지바아의 사이에 위치된 광전달부재를 통해 발판 상부로 전달되는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보빈에 감아지고 풀어지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흡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승강로드가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어 입출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흡입구용 위생관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111441936.4A CN114623551B (zh) | 2020-12-14 | 2021-11-30 |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
US17/550,404 US20220184266A1 (en) | 2020-12-14 | 2021-12-14 | Hygiene management device for entrance h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4512 | 2020-12-14 | ||
KR20200174512 | 2020-12-1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4961A true KR20220084961A (ko) | 2022-06-21 |
Family
ID=82221136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5907A KR20220084964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KR1020210015905A KR20220084962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20210015904A KR20220084961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KR1020210015902A KR20220084959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KR1020210015900A KR20220084957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20210015908A KR20220084965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KR1020210015901A KR20220084958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KR1020210015903A KR20220084960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KR1020210015906A KR20220084963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5907A KR20220084964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KR1020210015905A KR20220084962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5902A KR20220084959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KR1020210015900A KR20220084957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20210015908A KR20220084965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KR1020210015901A KR20220084958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KR1020210015903A KR20220084960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KR1020210015906A KR20220084963A (ko) | 2020-12-14 | 2021-02-04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9) | KR2022008496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8881B1 (ko) * | 2022-07-12 | 2023-01-13 | 김명희 | 주택 출입구 토탈 케어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0630A (ko) | 2007-10-22 | 2009-04-27 | 청아공조(주) | 가정현관용 에어 샤워장치 |
KR20190055303A (ko) | 2017-11-14 | 2019-05-23 |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현관문 일체형 에어샤워장치 |
KR20200046715A (ko) | 2018-10-25 | 2020-05-07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출입공간의 조명일체형 공기청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20200117286A (ko) | 2019-04-03 | 2020-10-14 | 주식회사 삼화이엔지 | 현관 에어샤워 시스템 |
-
2021
- 2021-02-04 KR KR1020210015907A patent/KR20220084964A/ko unknown
- 2021-02-04 KR KR1020210015905A patent/KR20220084962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2-04 KR KR1020210015904A patent/KR2022008496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2-04 KR KR1020210015902A patent/KR20220084959A/ko unknown
- 2021-02-04 KR KR1020210015900A patent/KR20220084957A/ko unknown
- 2021-02-04 KR KR1020210015908A patent/KR20220084965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2-04 KR KR1020210015901A patent/KR2022008495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2-04 KR KR1020210015903A patent/KR20220084960A/ko unknown
- 2021-02-04 KR KR1020210015906A patent/KR2022008496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0630A (ko) | 2007-10-22 | 2009-04-27 | 청아공조(주) | 가정현관용 에어 샤워장치 |
KR20190055303A (ko) | 2017-11-14 | 2019-05-23 |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현관문 일체형 에어샤워장치 |
KR20200046715A (ko) | 2018-10-25 | 2020-05-07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출입공간의 조명일체형 공기청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KR20200117286A (ko) | 2019-04-03 | 2020-10-14 | 주식회사 삼화이엔지 | 현관 에어샤워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4958A (ko) | 2022-06-21 |
KR20220084964A (ko) | 2022-06-21 |
KR20220084959A (ko) | 2022-06-21 |
KR20220084963A (ko) | 2022-06-21 |
KR20220084965A (ko) | 2022-06-21 |
KR20220084962A (ko) | 2022-06-21 |
KR20220084960A (ko) | 2022-06-21 |
KR20220084957A (ko) | 2022-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672104T3 (es) | Procedimiento para suministrar aire en una cabina de pulverización (realizaciones) y una unidad de ventilación para implementar el procedimiento (realizaciones) | |
KR200464937Y1 (ko) | 수직형 에어 커튼 장치 | |
KR20220084961A (ko) |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 |
KR102384058B1 (ko) | 먼지제거장치 | |
KR20140092952A (ko) | 공기조화기 | |
JP2007003091A (ja) | エアシャワ装置 | |
EP0516085B1 (de) | Raumklimagerät | |
KR20140009743A (ko) | 부가기능을 갖는 에어커튼 및 그를 사용한 횡류형 에어커튼 시스템 | |
CN114617515B (zh) |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 |
CN114623551B (zh) |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 |
CN114623552B (zh) |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 |
KR20090107980A (ko) | 에어커튼 | |
KR102273313B1 (ko) |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 |
KR102337075B1 (ko) |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 |
CN114949282B (zh) | 一种行李消毒机 | |
JP4101783B2 (ja) | 扉用換気装置 | |
JP5685135B2 (ja) | クリーンルームの除塵システム | |
CN114623554A (zh) |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 |
RU201418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стерильной воздушной завесы | |
KR102226580B1 (ko) | 회전형 에어샤워장치 | |
KR200407992Y1 (ko) | 기둥덕트 분사형 에어샤워장치 | |
KR102389455B1 (ko) | 살균소독용 조립식 방역소독부스 | |
JP6675341B2 (ja) | シートシャッターフレームの通気機構 | |
CN114623555B (zh) | 出入口用卫生管理装置 | |
KR102493713B1 (ko) | 원단 패턴 성형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