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818B1 -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818B1
KR102554818B1 KR1020200179988A KR20200179988A KR102554818B1 KR 102554818 B1 KR102554818 B1 KR 102554818B1 KR 1020200179988 A KR1020200179988 A KR 1020200179988A KR 20200179988 A KR20200179988 A KR 20200179988A KR 102554818 B1 KR102554818 B1 KR 102554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conveyor belt
washing
cag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394A (ko
Inventor
안상희
안현욱
Original Assignee
안상희
안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희, 안현욱 filed Critical 안상희
Priority to KR102020017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8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4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의 분사에 의한 세척과 삼푸를 수행하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 이후에 건조를 위한 건조 열풍을 취출하는 건조수단을 가지는 애완동물 세척기에, 상기 세척 이후의 건조단계의 개시 또는 건조 중에, 상기 애완동물을 기립시켜 상기 애완동물의 전신을 건조시킬 수 있는 기립유도유니트(200)로서; 상기 애완동물 세척기(100)의 바닥에 배설되는 장방형의 저상 박스체의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는 폭방향 양 측단의 직립한 판체로서 비전도성 소재의 프레임인 케이지프레임(211,212), 상기 케이지프레임(211,212)의 길이 방향 양측 단에 현가되는 한 쌍의 벨트샤프트와 벨트드럼, 상기 한 쌍의 벨트샤프트와 벨트드럼 사이에 현가되고 그 표면이 고흡습성의 소재로 피복된 컨베이어벨트(230), 상기 컨베이어벨트(230)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260), 상기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의 전방 및 양 측단의 끼임방지리드(215,216,217), 상기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의 컨베이어벨트(230)의 구동회전이 종료되는 후방 위치의 후방벽면체(250)의 커베이어벨트(230)의 하단부에 슬라이드 취출가능한 이물질수납박스(270), 상기 컨베이어벨트(230)가 종료되는 위치의 후방벽면체(250)에 장착되는 컨베이어벨트(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설되는 스크레이퍼(280)를 구비하는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DEVICE UNIT FOR MAKING PET STAND IN PET WASHER}
본 발명은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을 세척하기에 적합한 구성의 애완동물 세척기에서, 세척이 종료된 애완동물을 기립하도록 유도하여 세척 이후의 애완동물의 몸에 잔류하는 수분 내지 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개,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크게 늘어나면서 애완동물의 주기적인 세척(목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로 대두하고 있다.
특히, 가정이나 애완견, 애완묘를 돌보는 가축병원이나 관리업체가 대폭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일정 기간동안 양육을 위탁하는 경우도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주기적으로 세척 내지 목욕을 시켜주어야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가정에서 애완견이나 애완묘를 세척하는 일은 무척 고되고도 번거로운 일이다. 따라서 상당수의 애완견주 또는 애완묘주(이하 '애완견'으로 통일하여 칭한다.)는 애완동물선터에 세척을 위탁하게 되나, 그 비용이 상당한 것이고 특히, 여러마리의 애완견을 양육하는 경우에는 비용부담이 매우 크게 된다.
따라서 종래로부터도 이러한 애완동물의 세척을 반자동,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의 안출이 있었다.
주요한 선원기술로서는 특허문헌 1이 있으며, 애완동물 및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그 일측에 외부의 용수공급원에 연결되는 급수관로(101)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 사용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관로(103)가 형성된 욕조(100)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에 있어서; 전원이 입력되면 초음파 발생신호를 출력하는 초음파발생 회로기판(113)과, 상기 욕조(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초음파발생 회로기판(113)으로부터 초음파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112)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자(112)로부터 발진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입수된 동물의 몸체 주위의 물이 진동되어 애완동물이 세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특허문헌 2는, 상부가 개방된 통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원형의 삽입홀이 천공형성된 수조부; 상부가 개방된 통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측면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배수용슬릿이 형성된 세척조; 상부가 개방된 통의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회동축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수조부와 상기 세척조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조의 상단에는 상기 수조부에 상부에 접하여 상기 세척조를 상기 수조부에 결합시키는 결합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부의 상단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랜지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특허문헌 3은, 상방향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애완동물을 세척하는 물이 수용되는 물통; 및 상방향이 개방된 망형 구조물로서 상기 물통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그 내부에 상기 애완동물이 배치되며, 일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력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입력구와 상기 분사구 사이에 폐쇄 관로가 형성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지지대-분사망;으로 구성되어, 상기 애완동물을 상기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며, 상기 입력구를 통하여 유체를 입력하면, 상기 분사구를 통하여 상기 유체가 분사되어 상기 애완동물을 세척하거나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출원 제 10 - 2002 - 0027676 호 특허 제 10 - 1670013 - 0000 호 특허 제 10 - 1913963 - 0000 호
없슴.
상기하는 다양한 왜완동물의 세척장치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의 기히 2019년 6월 24일자, 출원번호 제10-2019-0075131호로 '애완동물 세척장치'를 안출하여 출원하 바있다.
본 선출원의 발명은 대부분의 세척과정 즉, 세척수의 분사 - 건조를 함체의 장치바디 내에서 효율적으로 수행하였으나 설계적인 관점에서 예측하지 못한 중대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는 박스체의 세척바디 내에 수용되어 피세척되는 애완동물의 습성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어두운 박스체의 세척바디 내에 세척을 위하여 수용되는 애완동물은 본능적으로 웅크러 앉게 되고, 웅크러 앉은 상태에서 세척 및 건조가 이루어지면 애완동물의 상반신은 유효하게 수분이나 물기는 건조수단에 의하여 제거되나, 웅크리고 앉아있는 상태에서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반식, 특히 다리부분에 세척수가 애완동물의 털을 따라 흘러내려 잔류하게 되므로 상방에서 아무리 건조풍을 불어 주어도 하반신부의 수분의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축축한 상태로 세척기에 꺼내어 하반신부를 수건으로 건조시켜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는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 이후 건조단계에서 애완동물의 유효한 기립을 유도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전신의 건조, 특히 다리부분의 털의 건조가 수행될 수 있도로 하는 장치를 부가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선원으로 출원한 애완동물 세척기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지만 어떠한 형태의 자동, 반자동의 애완동물 세척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세척수의 분사에 의한 세척과 삼푸를 수행하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 이후에 건조를 위한 건조 열풍을 취출하는 건조수단을 가지는 애완동물 세척기에, 상기 세척 이후의 건조단계의 개시 또는 건조 중에, 상기 애완동물을 기립시켜 상기 애완동물의 전신을 건조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를 더 제공하고,
상기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는 상기 건조단계의 개시 또는 건조 중간에 상기 애완동물을 기립시키는 자극을 부여하는 수단인 것을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하고,
주요한 구성으로서, 상기 기립유도유니트는 상기 애완동물 세척기의 바닥에 배설되는 장방형의 저상 박스체의 컨베이어벨트케이지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케이지는 폭방향 양 측단의 직립한 판체로서 비전도성 소재의 프레임인 케이지프레임, 상기 케이지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측 단에 현가되는 한 쌍의 벨트샤프트와 벨트드럼, 상기 한 쌍의 벨트샤프트와 벨트드럼 사이에 현가되고 그 표면이 고흡습성의 소재로 피복된 컨베이어벨트,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컨베이어벨트케이지의 전방 및 양 측단의 끼임방지리드, 상기 컨베이어벨트케이지의 컨베이어벨트의 구동회전이 종료되는 후방 위치의 후방벽면체의 커베이어벨트의 하단부에 슬라이드 취출가능한 이물질수납박스,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종료되는 위치의 후방벽면체에 장착되는 컨베이어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설되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는 다양한 구성과 종류의 애완동물 세척기에 적용되어 세척 이후의 건조단계에 적용됨으로써,
종래구성으로서 수행되지 않았던 애완동물의 하반신부의 수분과 물기를 완전한 건조로써 제거할 수 있게 하여 애완동물 세척기의 전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는 유용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 세척기가 적용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발명자의 선출원에서의 애완동물 세척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 세척기가 적용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발명자의 선출원에서의 애완동물 세척기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 세척기가 적용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발명자의 선출원에서의 애완동물 세척기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애완동물 세척기에 적용되는 기립유도유니트가 설치된 도 1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 세척기의 기립유도유니트만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 세척기의 기립유도유니트의 구성근거가 되는 애완동물의 습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 세척기의 기립유도유니트의 완성된 구성의 애완동물 세척기의 내부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 세척기의 기립유도유니트의 완성된 구성의 애완동물 세척기의 후방부 사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애완동물 세척기가 적용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발명자의 선출원에서의 애완동물 세척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애완동물 세척기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립유도유니트가 설치된 도 1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기립유도유니트만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설명도, 도 7은 기립유도유니트의 구성근거가 되는 애완동물의 습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기립유도유니트의 완성된 구성의 애완동물 세척기의 내부사진, 도 9는 기립유도유니트의 완성된 구성의 애완동물 세척기의 후방부 사진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자의 선출원의 애완동물 세척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다른 다양한 종류의 세척기의 구성에서 건조과정을 구비하는 장치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고 그러한 적용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선출원된 본 발명의 발명자의 '애완동물 세척기'에서는 도 1내지 4와 같이,
애완동물세척기(100)는, 박스타입으로 육면체 형상의 장치바디(101)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바디(101)의 양측에는 외부에서 세척에 필요한 물을 공급받아 세척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02)를 가지는 세척수탱크(103)를 하나 이상 가지고, 장치바디(101)의 내부 중앙위치에는 세척하고자 하는 애완동물을 수용하여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세척실(105)을 형성하고, 상기 세척실(105)의 전방에는 개폐도어(106)를 장착하는 데 상기 개폐도어(106)에는 애완동물의 얼굴이나 코를 내밀어 세척과정에서 호흡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호흡홀(107)을 형성하였다.
세척실(105)의 바닥에는 애완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세척시에는 세척수가 신속하게 배수되도록 하면서 건조시 열풍이 애완동물의 배부위와 전,후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양측으로 경사진 다수개의 배수로(108)를 가지는 바닥매트(109)를 안치하고, 세척실(105)의 상부에는 망체 또는 바 또는 판상부재로 이루어진 안전가드(110)를 설치하여 애완동물이 세척과정에서 움직여 건조수단(150)과 닿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세척실(105)의 양측면에는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수단(115)을 장착하고, 상기 세척실(105)의 아래측에는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순환시키고 배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세척수순환수단(130)을 구비하고, 상기 세척실(105)의 상부에는 세척이 완료된 애완동물의 표면에 묻어있는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150)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분사수단(115)은, 세척수순환수단(130)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세척실(105)의 중앙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패널(116)을 고정하고, 상기 분사패널(116)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 또는 분사공(117)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세척수순환수단(130)을 세척수탱크와 함께, 순환수조(140)와 세척실(105) 바닥면 후방 저면에 설치되는 순환펌프(142) 사이는 흡입관(143)을 연결하고, 상기 순환펌프(142)와 분사패널(116)과 연결되는 분사관(146)으로 연결하여 세척수탱크(103)의 가열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척실(105)의 상부 일측에는 세척에 필요한 세제를 순환수조(140)로 공급하기 위한 주지된 세제펌프(113)를 장착하도록 한다.
건조수단(150)은, 세척실(105)의 상부에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흡입필터(151)를 장착하여 개폐 가능한 커버(152)를 가지는 건조실(153)을 구비하는 데, 상기 건조실(153)의 중앙부 하측에는 열발생을 위한 히터(154)를 설치하고, 상기 히터(154)의 상부에는 열풍을 세척실(105)로 공급하기 위한 건조홴(155)을 장착하고, 건조홴(155)의 전방에는 세척실(105)의 상부에서 커버(151) 저면에 소정의 소통공간(156)을 가지도록 프론트격벽(157)을 설치하여 건조홴(155)에 의하여 세척실(105)로 유입된 건조공기가 재순환될 수 있도록 하고, 건조홴(155)의 후방에는 세척실(105)의 상부에서 건조실(153) 상부까지 리어격벽(158)으로 완전 차단시키고 세척실(105)과 연통된 배기공간(159)을 형성하여 건조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발명자의 선출원의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세척기(100)의 사용상태 및 발견된 주용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애완동물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세척실(105)의 개폐도어(106)를 개방시켜 애완동물을 수용시킨 후 컨트롤러(111)을 조작하여 예비세척을 수행한 후 삼푸세척을 수행하고, 다시 세척수로 삼푸를 제거하는 헴굼을 수행한 후 건조를 통하여 털이나 애완동물의 표면을 건조시킴으로서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하는 구성과 작동으로서의 선출원의 애완동물 세척기는 하기와 같은 주요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도 4에서와 같이, 도시된 애완견을 세척실(105)에 안치하여 세척-삼푸세척하는 경우, 애완견은 어두운 세척실(105)에서 어두운 환경적인 위압감으로 인하여 세척실(105) 바닥의 바닥매트(109)에 웅크러 앉게 된다. 이는 애완견의 습성으로서 건조 과정에서 기립하여 있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척이나 샴푸세척이 이루어지면 애완견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몸 전체의 세척 및 샴푸세척은 이루어지나, 일단 세척수의 분사가 멈추게 되고 건조 단계에 들어가게 되면 웅크러 앉은 애완견의 하반신 특히, 배, 털이 많은 다리부분에서의 건조는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애완견의 몸 전체가 건조되지 못하고 하반신은 축축한 채로 세척실(105)로부터 꺼내어지게 되어 후속적으로 수건으로 이를 닦아 건조시킬 수 밖에 없어 애완동물 세척기의 완전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그러한 애완동물의 습성을 파악하여 구성된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를 상기하는 선원 장치에 부가하여 더 제공함으로써 완전 자동화가 가능한 애완동물 세척기를 제공한다.
도 5 이하의 본 발명의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가 개시되며,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200)는 본 발명자의 선출원의 상술하는 구성이나 다른 장치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하는 구성의 애완동물 세척기(100)에 부가하여 세척실(105)의 바닥의 바닥매트(109)가 부설되는 위치에 기립유도유니트(U)가 더 설치된다. 기립유도유니트(200)는 애완동물 세척기(100)에 일체로 구성하여도 되나 분리되는 유니트로서 구성하여 기존의 애완동물 세척기에 장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기립유도유니트(200)는 도 6의 분리된 사시구성도에서와 같이, 개략적으로 콘베이어벨트 형상의 기립유도유니트로서, 전체 부재가 조립구성되는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를 형성한다.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컨베이어벨트(230)의 폭 방향 양측단에 직립하고 전체가 아크릴이나 합성수지재 등의 비전도성 소재로 되는 판체로서 프레임을 구성하게 되는 케이지프레임(211,212)을 가지고,
케이지프레임(211,212)의 길이 방향 양단 측에는 통상적인 기술의 한 쌍의 벨트샤프트와 벨트드럼(도시하지 아니함)이 현가되고 벨트샤프트는 베어링축수부(221,222)에 의하여 지지된다. 벨트샤프트와 벨트드럼 사이에 현가되는 컨베이어벨트(230)는 통상의 고무, 합성고무재의 무한궤도 형상이나, 그 표면은 흡습성이 좋은 고발포 우레탄을 피복하고 충분한 수분의 흡습이 가능하도록 두께 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와 케이지프레임(211,212)은 모두 아클릴 등의 비전도성 소재로 구성하여야 하며, 이는 만일에 유발될 수 있는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수를 사용하는 세척기에서는 매우 주요한 요소이다.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가 연통하는 후방측(세척기(100)의 배면측) 후방벽면체(250)의 후방에는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의 컨베이어벨트(230)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하여 벨트샤프트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60)가 장착되어 있고 기어전동 또는 벨트전동으로 컨베이어벨트(230)를 구동하는 벨트샤프트를 회전시키게 되며 그러한 기술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구동모터(260)에 의한 컨베이어벨트(230)의 회전구동 속도는 저속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완속으로 하여 컨베이어벨트(230)의 회전이 매우 낮은 속도, 예를 들면 1 ~ 100 mm/sec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컨베이어벨트(230)의 구동목적이 단순히 애완동물에게 외적인 동적 자극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고 완속으로 하여야 애완동물이 그에 맞추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건조가 수행되기 때문이다.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의 전방 및 양 측단의 끼임방지리드(215,216,217)가 길이가 긴 판상의 세장부재로서 장착되어 컨베이어벨트(230)와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 사이에서의 애완동물의 발끼임을 방지하게 한다.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의 컨베이어벨트(230)의 구동회전이 종료되는 후방 위치의 후방벽면체(250)에는 컨베이어벨트(23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수납박스(270)가 서랍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물질수납박스(270)는 애완동물의 세척 및 건조과정에서의 배변이나 털에 묻어있다가 세척에 의하여 바닥으로 적하된 이물질을 수납하여 외부로 배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위의 이물질수납박스(270)와 협동하는 부재로서, 컨베이어벨트(230)가 종료되는 위치의 후방벽면체(250)에는 컨베이어벨트(230)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설되어 탈착가능하게 제공되는 스크레이퍼(280)가 제공되어 있다.
스크레이퍼(280)는 컨베이어벨트(230)를 타고 온 배변이나 털 등이 자중으로 이물질수납박스(270)로 적하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이를 긁어서 이물질수납박스(270)로 자동투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크레이퍼(28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빗(Comb) 형상으로 하거나 톱니형상 등의 스크레이퍼에지를 가진다.
상술하는 구성이 구체적으로 실물로 만들어진 것이 도 8과 도9 로서, 위의 구성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하는 구성의 기립유도유니트(200)의 작동을 도 7과 함께 설명한다.
도 7의 상도에서와 같이, 세척 또는 건조 단계에서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 상에 웅크러 앉은 애완동물은 컨베이어벨트(230)가 세척기의 전방 측으로 향하는 완속구동을 개시하게 되면 본능적인 습성으로 경계심을 발하게 되어 도 7의 하도와 같이 모든 애완동물은 100% 기립하게 된다.
그에 따라, 애완동물의 몸의 털을 따라 흘러내린 수분이 하반신부, 특히 배와 털이 많은 다리부에 축적되어 있는 부위 역시 건조장치의 열풍에 의하여 극히 효율적으로 건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립유도유니트(200)는 세척단계 이후의 건조단계의 시작부에서 구동되는 것이 애완동물의 하반신부의 건조에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의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를 설명하고 있지만, 동일한 기술적인 사상으로 다른 수단으로서는 세척실(105) 내방에 고휘도의 LED와 같은 발광등(도시하지 아니함)을 장착하거나, 음성스피커(도시하지 아니함)를 별도로 부착하여 건조단계의 개시와 함께 발광등이 발광하거나 음성스피커를 통하여 다른 애완동물(애완견의 경우, 다른 애완견)의 발성을 발하게 하면 역시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밝혀졌다.
100; 애완동물 세척기
200: 기립유도유니트
210: 컨베이어벨트케이지
211,212: 케이지프레임
230: 컨베이어벨트

Claims (4)

  1. 세척수의 분사에 의한 세척과 삼푸를 수행하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 이후의 건조단계의 개시 또는 건조 중에 애완동물의 전신을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수단을 가지는 애완동물 세척기(100)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세척기(100)는 상기 건조단계에서 상기 애완동물을 기립시키는 기립유도유니트(200)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립유도유니트(200)는 상기 애완동물 세척기(100)의 바닥에 배설되는 저상 박스체의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 내에서 구동모터(260)에 의하여 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는,
    폭방향 양 측단의 직립한 판체로서 비전도성 소재의 프레임인 케이지프레임(211,212), 상기 케이지프레임(211,212)의 길이 방향 양측 단에 현가되는 한 쌍의 벨트샤프트와 벨트드럼, 상기 한 쌍의 벨트샤프트와 벨트드럼 사이에 현가되고 그 표면이 고흡습성의 소재로 피복된 컨베이어벨트(230), 상기 컨베이어벨트(230)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260), 상기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의 전방 및 양 측단의 끼임방지리드(215,216,217), 상기 컨베이어벨트케이지(210)의 컨베이어벨트(230)의 구동회전이 종료되는 후방 위치의 후방벽면체(250)의 컨베이어벨트(230)의 하단부에 슬라이드 취출,입 가능한 이물질수납박스(270), 상기 컨베이어벨트(230)가 종료되는 위치의 후방벽면체(250)에 장착되는 컨베이어벨트(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설되는 스크레이퍼(28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30)의 회전구동 속도는 1 ~ 100 mm/sec 의 완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4. 삭제
KR1020200179988A 2020-12-21 2020-12-21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KR102554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988A KR102554818B1 (ko) 2020-12-21 2020-12-21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988A KR102554818B1 (ko) 2020-12-21 2020-12-21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394A KR20220089394A (ko) 2022-06-28
KR102554818B1 true KR102554818B1 (ko) 2023-07-11

Family

ID=8226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988A KR102554818B1 (ko) 2020-12-21 2020-12-21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8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156Y1 (ko) 2001-04-28 2001-10-12 김경희 애완동물 목욕 및 미용 보조장치
JP2005514022A (ja) 2001-12-26 2005-05-19 ヴィーン リック ヴァンダー 自動足浴装置および自動足浴方法
JP2017006006A (ja) 2015-06-16 2017-01-12 不二精機株式会社 動物用運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676A (ko) 2000-10-04 2002-04-15 송재인 하이브리드 아이씨의 몰딩구조
KR20140040326A (ko) * 2012-09-25 2014-04-03 윤태수 애완동물용 털건조, 피부치료, 정신치료 힐링시스템 및 기기
KR101670013B1 (ko) 2014-05-26 2016-10-27 김철희 애완동물 세척 장치
KR102031225B1 (ko) * 2016-09-06 2019-10-24 주식회사 마리프테크 애완동물 목욕장치
KR20180002645U (ko) * 2017-02-28 2018-09-05 정영수 애완동물 샤워 장치
KR101913963B1 (ko) 2017-09-13 2018-10-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자동세척 목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156Y1 (ko) 2001-04-28 2001-10-12 김경희 애완동물 목욕 및 미용 보조장치
JP2005514022A (ja) 2001-12-26 2005-05-19 ヴィーン リック ヴァンダー 自動足浴装置および自動足浴方法
JP2017006006A (ja) 2015-06-16 2017-01-12 不二精機株式会社 動物用運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394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605B2 (en) Pet dry room and tray used therefor
US20110297103A1 (en) Pet bathtub
US20050217602A1 (en) Pet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KR20080068977A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US5782206A (en) Litter box having a grooming device
KR20150142807A (ko) 펫 드라이 룸
KR20110011502U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2043685B1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US3871331A (en) Animal litter disposal unit
KR200390032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101353093B1 (ko) 배설물 자동처리기능이 구비된 애완동물용 변기장치
KR102410419B1 (ko)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옷의 털제거장치
KR102554818B1 (ko) 애완동물 세척기에서의 애완동물 기립유도유니트
KR102063213B1 (ko) 다기능 펫 드라이룸
KR101971577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GB2144317A (en) Drying animals and collecting hair
JP7269703B2 (ja) 洗濯乾燥機
KR20130002687A (ko) 애완동물용 샤워 부스
KR102354338B1 (ko)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EP0861590B1 (en) Automatic machine for the washing and drying of animals
KR200318534Y1 (ko) 애완동물 자동 세척기
KR200398311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KR102293912B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CN214155820U (zh) 一种畜牧兽医用的清洗装置
KR100736171B1 (ko)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