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171B1 -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 Google Patents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171B1
KR100736171B1 KR1020020080739A KR20020080739A KR100736171B1 KR 100736171 B1 KR100736171 B1 KR 100736171B1 KR 1020020080739 A KR1020020080739 A KR 1020020080739A KR 20020080739 A KR20020080739 A KR 20020080739A KR 100736171 B1 KR100736171 B1 KR 100736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shing
animals
dog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594A (ko
Inventor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정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수 filed Critical 정은수
Priority to KR102002008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17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Brush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애완견 및 애완 동물들을 자동으로 목욕 시킬 수 있는 목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애완견 및 동물들의 목부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양측으로 형성된 뚜껑체를 힌지에 의해 개폐가 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본체의 벽면 내부로 외부의 세척수 공급관으로 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다수개의 세척수 공급통로들을 형성하고 상기 세척수 공급통로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본체의 내부로 분사하여 주는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공을 본체의 내벽면으로 형성시킨 다음 본체의 내부로는 좌우 각각 한 쌍의 상,하측 세척로울러를 구비하여 이들 상,하측 세척로울러들을 세척로울러의 자회전 수단 및 세척로울러의 회전이동 수단에 의해 자회전 및 회전이동을 시켜 상기 세척수 분사공으로 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젖어 있는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몸과 세척로울러들이 접촉을 하면서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몸에 묻은 이물질들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목욕장치를 제공한다.
본체,뚜껑체,케이스,세척수 분사공,열풍 분사공,케이스,유동 아암,상,하측 세척로울러,양방향 실린더,모우터

Description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BATH APPARATUS FOR PET}
도1은 본발명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의 구성을 투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발명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발명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본체 102-개구부
103-세척수 공급통로 104-세척수 분사공
105-열풍 공급통로 106-열풍 공급공
107-부로아 108-배수관
111-뚜껑체 112-지지부
113-힌지 114-세척수 공급관
115-세척수 공급통로 116-세척수 분사공
117-외부 공급관 118-건조용 팬
121-세척수 공급관 122-세제 공급통
123-샴푸 공급통 124-소독수 공급통
125-연결관 126-샤워기
131-케이스 132-작동공
133-양방향 실린더 134-피스톤
135-연결구 136-너트
141-유동 아암 142-브라켓
143-장공 144-구동축
145-구동 스플로킷 151-모우터
152-출력축 153-출력 스플로킷
154-구동 체인 161-연동 체인
162-연동 스플로킷 163-연동축
164-하측 세척로울러 165-종동 체인
167-종동축 168-상측 세척로울러
169-브러쉬
본발명은 애완견 및 애완 동물들을 자동으로 목욕 시킬 수 있는 목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애완견 및 동물들의 목부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양측으로 형성된 뚜껑체를 힌지에 의해 개폐가 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본체의 벽면 내부로 외부의 세척수 공급관으로 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다수개의 세척수 공급통로들을 형성하고 상기 세척수 공급통로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본체의 내부로 분사하여 주는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공을 본체의 내벽면으로 형성시킨 다음 본체의 내부로는 좌우 각각 한 쌍의 상,하측 세척로울러를 구비하여 이들 상,하측 세척로울러들을 세척로울러의 자회전 수단 및 세척로울러의 회전이동 수단에 의해 자회전 및 회전이동을 시켜 상기 세척수 분사공으로 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젖어 있는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몸과 세척로울러들이 접촉을 하면서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몸에 묻은 이물질들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세척수의 공급과 이물질 제거 그리고 건조와 배수까지 자동적인 목욕이 가능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깨끗하게 애완견 및 동물들을 목욕시킬 수 있고 주변으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제,샴프,소독수등도 세척수와 함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인 목욕이 가능한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목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가 다원화 되고 가족이 핵가족화 됨에 따라 애완견 및 고양이나 원숭이와 같은 동물들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애완견 및 동물들과같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상기의 애완견 및 동물들이 사람들과 같은 주거공간에서 생활함에 따라 애완견 및 동물들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므로 애완견 및 동물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목욕을 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애완견을 목욕시키기 위해서는 주거 공간 내의 화장실을 이용하게 되는데 애완견 및 동물으로 부터 빠지는 털과, 애완견 및 동물들의 무모한 움직임으로 인하여 화장실이 더럽혀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바쁜 현대인들이 애완견 및 동물을 목욕시키거나 애완견 및 동물의 털을 말리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므로 애완견을 기르고 싶어도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 기르기를 꺼려하는 가정이 많다.
종래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의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목욕장치가 출현되고 있는바, 그중 대표적인 선행기술은 실용신안등록 제278938호 " 애완동물용 세척기"(출원번호 : 2002-7983)가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애완견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본체를 구비한뒤 상기 본체의 내부로 물을 채운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로 애완견이 들어가면 덮개를 닫은뒤 시작보턴을 누르면 상기 본체의 저면으로 배선되어 있는 공기배출선으로 공기가 배출되면서 물을 진동시키게 하는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애완견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애완견의 머리부는 일반적인 샤워기에 의해 세척을 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공기배출선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물을 진동시키는 힘에 의해 애완견의 몸을 세척하기 때문에 세척력이 매우 저하되어진다.
따라서, 매우 많은 시간 동안을 자동 목욕에 투자를 하여야 했고 깨끗한 목욕을 할수 없게 된다.
그리고, 세제나 샴푸 그리고 소독수등은 별도로 사용을 하여야 했기 때문에 애완견의 목욕을 한번 시키기 위해서는 필요한 목욕 용품을 모두 늘어 놓고 목욕을 시키게 되는 비능률적이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발명의 목적은,
세척수의 공급과 이물질 제거 그리고 건조와 배수까지 자동적인 목욕이 가능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깨끗하게 애완견 및 동물들을 목욕시킬 수 있고 주변으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제,샴프,소독수등도 세척수와 함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인 목욕이 가능토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목부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양측으로 형성된 뚜껑체를 힌지에 의해 개폐가 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본체의 벽면 내부로 외부의 세척수 공급관으로 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다수개의 세척수 공급통로들을 형성하고 상기 세척수 공급통로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본체의 내부로 분사하여 주는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공을 본체의 내벽면으로 형성시킨 다음 본체의 내부로는 좌우 각각 한 쌍의 상,하측 세척로울러를 구비하여 이들 상,하측 세척로울러들을 세척로울러의 자회전 수단 및 세척로울러의 회전이동 수단에 의해 자회전 및 회전이동을 시켜 상기 세척수 분사공으로 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젖어 있는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몸과 세척로울러들이 접촉을 하면서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몸에 묻은 이물질들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목부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12)가 양측으로 형성된 뚜껑체(111)를 힌지(113)에 의해 개폐가 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본체(101)의 벽면 내부로 형성되어 외부의 세척수 공급관(121)으로 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다 수개의 세척수 공급통로(103)와,
상기 세척수 공급통로(103)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본체(101)의 내부로 분사하여 주는 본체(101)의 내벽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공(104)과,
상기 세척수 분사공(104)으로 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젖어 있는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몸과 접촉을 하면서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몸에 묻은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주는 좌우 각각 한 쌍의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와,
상기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들을 자회전 시키기 위한 세척로울러의 자회전 수단과,
상기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들을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세척로울러의 회전이동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세척로울러의 자회전 수단은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들이 결합되어 있는 종동축(167)과 연동축(163)들을 회전용이토록 지지하고 있는 유동 아암(141)과,
상기 유동 아암(141)에 의해 지지된 종동축(167)과 연동축(163)들을 종동 체인(165)으로 연결하기 위해 종동축(167)과 연동축(163)에 결합되는 종동 스플로킷(166) 및 연동 스플로킷(162)과,
상기 연동 스플로킷(162)을 회전시키기 위해 연동 스플로킷(162)과 연동 체인(161)으로 연결된 구동 스플로킷(145)을 결합하고 있는 케이스(131)내부의 구동축(144)과,
상기 구동축(144)을 회전 시키기 위해 구동축(144)의 구동 스플로킷(145)과 구동체인(154)으로 연결된 출력 스플로킷(153)을 결합하고 있는 모우터(151)의 출력축(152)으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세척로울러의 회전이동 수단은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가 결합된 유동 아암(141)의 하측부로 연장 형성되는 브라켓(142)의 장공(143)과,
상기 장공(143)으로 결합되는 연결구(135)와,
상기 연결구(135)로 끝단부를 결합하여 너트(136)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스 (131)내부에 안착된 양방향 실린더(133)의 피스톤(134)으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는 스폰지 재질로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는 브러쉬(169)로 더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뚜껑체(111)에서도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뚜껑체(111)의 벽면 내부로 형성되어 외부 공급관(117)으로 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다수개의 세척수 공급통로(115)와,
상기 세척수 공급통로(115)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본체(101)의 내부로 분사하여 주는 뚜껑체(111)의 내벽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공(116)을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101)의 내부로 외부의 부로아(107)에서 발생된 열풍을 공급하여 목욕이 끝난 애완견 및 동물의 몸을 건조시키기 위해 본체(101)의 벽면 내부로 형성되어 외부의 부로아(107)로 부터 열풍을 공급받는 다수개의 열풍 공급통로 (105)와,
상기 열풍 공급통로(105)와 연결되어 열풍을 본체(101)의 내부로 공급하여 주는 본체(101)의 내벽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열풍 공급공(106)을 더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뚜겅체(111)에서 바람을 공급하여 목욕이 끝난 애완견 및 동물의 몸을 건조시키기 위해 뚜껑체(111)의 내면 중앙으로 장착되는 건조용 팬(118)을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101)의 세척수 공급통로(103)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세제를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세척수 공급관(121)상으로 결합되는 세제 공급통(122)과,
상기 세척수에 샴푸를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세척수 공급관(121)상으로 결합되는 샴푸 공급통(123)과,
상기 세척수에 소독수를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세척수 공급관(121)상으로 결합되는 소독수 공급통(124)을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목욕을 시키기 위한 애완견 및 동물을 본체(101)의 내부로 들여 보낸다.
그리고, 상기 애완견 및 동물의 머리를 본체(101)의 양측면으로 형성된 개구부(102)중 한곳으로 통과시킨뒤 본체(101)와 힌지(113)로 연결된 뚜껑체(111)를 닫는다.
그리고, 시작보턴(도시안됨)을 누르면 먼저 세척수의 급수가 이루어진다.
상기의 세척수는 세척수 공급관(121)으로 공급되면서 연결관(125)을 통해 본체(101)의 벽면 내부로 형성된 세척수 공급통로(103)로 공급되어진다.
또한, 상기 세척수 공급통로(103)로 공급된 세척수는 본체(101)의 내벽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공(104)을 통해 분사되면서 애완견 및 동물의 몸에 세척수를 적시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세척수의 공급시에는 세척수 공급관(121)으로 세제,샴푸,소독수등을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세척수 공급관(121)으로 장착되어 있는 세제 공급통(122),샴푸 공급통(123),소독수 공급통(124)들의 밸브들을 순차적으로 또는 선벽적으로 개방을 함으로서 세제,샴푸,소독수들을 애완견 및 동물의 몸으로 공급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척수에 세제,샴푸,소독수등을 혼합하여 공급한 뒤에는 세척로울러 작동 보턴(도시안됨)을 누르게 된다.
상기 세척 로울러 작동보턴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은 본체 (101)내부 양측의 케이스(131)에 내장된 양방향 실린더(133)와 본체(101)외부 일측부로 장착된 모우터(151)가 동시에 작동을 하게 된다.
먼저, 상기 모우터(151)의 작동에 의해 출력축(152)과 출력스플로킷(153)이 회전을 하면서 구동체인(154)을 회전 이동 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체인(154)은 양측의 유동 아암(141)하측부로 결합되어 있는 구동축(144)의 구동 스플로킷(145)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 스플로킷(145)의 회전에 의해 연동 체인(161)이 회전이동을 하면서 연동 스플로킷(162)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연동 스플로킷(162)의 회전에 의해 이와 연결된 연동축(163)과 하측 세척로울러(164)를 자회전 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 스플로킷(145)의 회전력은 종동 체인(165)의 회전 이동에 의해 종동 스플로킷(166)으로 전달되어 종동축(167)과 상측 세척로울러(168)를 자회전 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들의 자회전에 의해 애완견 및 동물들의 털들을 비벼 주기 때문에 애완견 및 동물들의 털이나 피부에 묻어 있는 이물질 들을 깨끗하게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는 도1에 나타낸 와같이 스폰지 재질을 사용 하거나 도3에 나타낸 바와같이 브러쉬(169)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폰지 재질의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는 털이 없는 동물들이나 털이 부드러운 동물 또는 피부가 약한 동물들에게 사용되며 상기의 브러쉬 (169)를 채용한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는 털이 있는 동물중 털이 뻣뻣한 동물 이나 피부가 두꺼운 동물에게 사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모우터(151)와 동시에 작동되는 양방향 실린더(133)는 양쪽의 피스톤(134)을 주기적으로 전,후진시키는 일을 반복하게 된다.
즉, 상기 양측의 피스톤(134)이 전,후진을 반복하면 피스톤(134)의 끝단부와 연결구(135)및 너트(136)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유동 아암(141)의 브라켓(142)이 구동축(144)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왕복 회전이동을 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42)의 흔들림에 의해 유동 아암(141)의 상측부도 구동축(144)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이동을 반복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유동 아암(141)에 장착된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역시 좌, 우 회전이동을 반복하면서 본체(101)내부의 애완견 및 동물의 몸을 눌렀다 놨다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애완견 및 동물의 털 및 피부에 묻어 있는 이물질들을 더욱 깨끗하게 제거 할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 아암(141)의 브라켓(142)에 형성된 장공(143)은 연결구 (135)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장공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방향 실린더(133)와 모우터(151)는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된뒤 정지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양방향 실린더(133)와 모우터(151)의 작동이 정지 되면 세제,샴푸,소독수가 포함되지 않은 맑은 세척수들을 일정시간 동안 공급을 하여 애완견 및 동물의 몸에 묻은 세제,샴프,소독수등을 완전하게 제거한뒤 단수를 하고 건조를 시키게 된다.
상기의 건조는 건보 보턴(도시안됨)을 누름으로 인해 시작된다.
즉, 상기 건조 보턴을 누르면 본체(101)의 일측부로 도1과 같이 장착되어 있는 부로아(107)가 작동되면서 열풍을 본체(101)벽면 내부의 열풍 공급통로(105)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풍 공급통로(105)의 열풍은 본체(101)의 내벽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열풍 공급공(106)을 통해 분사되어 젖어 있는 애완견 및 동물의 털이나 피부를 열풍에 의한 신속한 건조를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발명에서는 뚜껑체(111)에서도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 는바, 뚜껑체(111)의 일측으로 결합된 세척수 공급관(114)으로 외부 공급관(117)을 연결하면 외부 공급관(117)의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관(114)을 통해 뚜껑체(111)내부의 세척수 공급통로(115)로 공급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공급통로(115)로 공급된 세척수는 뚜껑체(111)내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공(116)을 통해 본체(101)내부로 분사되어지므로 애완견 및 동물들의 등 부위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체(111)의 중앙부에는 건조용 팬(118)을 장착함으로서 애완견 및 동물의 등부위를 신속하게 건조시켜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발명 세척수 공급관(121)과 연결된 샤워기(126)는 종래와 동일하게 본체(101)의 개구부(102)로 머리부를 내놓고 있는 애완견 및 동물의 머리부를 세척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목부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양측으로 형성된 뚜껑체를 힌지에 의해 개폐가 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본체의 벽면 내부로 외부의 세척수 공급관으로 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다수개의 세척수 공급통로들을 형성하고 상기 세척수 공급통로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본체의 내부로 분사하여 주는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공을 본체의 내벽면으로 형성시킨 다음 본체의 내부로는 좌우 각각 한 쌍의 상,하측 세척로울러를 구비하여 이들 상,하측 세척로울러들을 세척로울러의 자회전 수단 및 세척로울러의 회전이동 수단에 의해 자회전 및 회전이동을 시켜 상기 세척수 분사공으로 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젖어 있는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몸과 세척로울러들이 접촉을 하면서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몸에 묻은 이물질들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세척수의 공급과 이물질 제거 그리고 건조와 배수까지 자동적인 목욕이 가능하게 되므로 신속하고 깨끗하게 애완견 및 동물들을 목욕시킬 수 있고 주변으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제,샴프,소독수등도 세척수와 함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인 목욕이 가능토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목부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12)가 양측으로 형성된 뚜껑체(111)를 힌지(113)에 의해 개폐가 용이토록 결합하고 있는 본체(101)의 벽면 내부로 형성되어 외부의 세척수 공급관(121)으로 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다수개의 세척수 공급통로(103)와,
    상기 세척수 공급통로(103)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본체(101)의 내부로 분사하여 주는 본체(101)의 내벽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세척수 분사공(104)과,
    상기 세척수 분사공(104)으로 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젖어 있는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몸과 접촉을 하면서 애완견 및 동물들의 몸에 묻은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주는 좌우 각각 한 쌍의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와,
    상기 다수개의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들을 자회전 시키기 위한 세척로울러의 자회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애완견 및 동물 목욕장치에 있어서,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가 결합된 유동 아암(141)의 하측부로 연장 형성되는 브라켓(142)의 장공(143)과,
    상기 장공(143)으로 결합되는 연결구(135)와,
    상기 연결구(135)로 끝단부를 결합하여 너트(136)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스 (131)내부에 안착된 양방향 실린더(133)의 피스톤(134)으로 구성된 세척로울러의 회전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로울러의 자회전 수단은 상,하측 세척로울러(168)(164)들이 결합되어 있는 종동축(167)과 연동축(163)들을 회전용이토록 지지하고 있는 유동 아암 (141)과,
    상기 유동 아암(141)에 의해 지지된 종동축(167)과 연동축(163)들을 종동 체인(165)으로 연결하기 위해 종동축(167)과 연동축(163)에 결합되는 종동 스플로킷(166) 및 연동 스플로킷(162)과,
    상기 연동 스플로킷(162)을 회전시키기 위해 연동 스플로킷(162)과 연동 체인(161)으로 연결된 구동 스플로킷(145)을 결합하고 있는 케이스(131)내부의 구동축(144)과,
    상기 구동축(144)을 회전 시키기 위해 구동축(144)의 구동 스플로킷(145)과 구동체인(154)으로 연결된 출력 스플로킷(153)을 결합하고 있는 모우터(151)의 출력축(152)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의 세척수 공급통로(103)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세제를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세척수 공급관(121)상으로 결합되는 세제 공급통(122)과,
    상기 세척수에 샴푸를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세척수 공급관(121)상으로 결합되는 샴푸 공급통(123)과,
    상기 세척수에 소독수를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세척수 공급관(121)상으로 결합되는 소독수 공급통(124)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KR1020020080739A 2002-12-17 2002-12-17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KR100736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739A KR100736171B1 (ko) 2002-12-17 2002-12-17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739A KR100736171B1 (ko) 2002-12-17 2002-12-17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594A KR20040053594A (ko) 2004-06-24
KR100736171B1 true KR100736171B1 (ko) 2007-07-06

Family

ID=3734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739A KR100736171B1 (ko) 2002-12-17 2002-12-17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40262A1 (en) * 2022-01-28 2023-08-03 Heping LIU Automatic bath cleaning machine for pet do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055B1 (ko) * 2019-01-16 2020-10-30 김동환 목욕 기능을 구비한 애완견 하우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3897A1 (en) 1996-05-23 1997-11-27 Maasland N.V. A construction including an accommodation for animals
KR20010109039A (ko) * 2000-06-01 2001-12-08 최영 애완견 다기능 욕조기
KR200291042Y1 (ko) 2002-07-08 2002-10-07 정대용 애완동물 목욕 및 건조장치
KR20030069384A (ko) * 2002-02-20 2003-08-27 이명철 애완견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89805A (ko) * 2002-05-20 2003-11-28 한선우 애완동물 세척장치
KR20040017500A (ko) * 2002-08-21 200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애완동물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3897A1 (en) 1996-05-23 1997-11-27 Maasland N.V. A construction including an accommodation for animals
KR20010109039A (ko) * 2000-06-01 2001-12-08 최영 애완견 다기능 욕조기
KR100341002B1 (ko) 2000-06-01 2002-06-20 김인웅 애완견 다기능 욕조기
KR20030069384A (ko) * 2002-02-20 2003-08-27 이명철 애완견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89805A (ko) * 2002-05-20 2003-11-28 한선우 애완동물 세척장치
KR200291042Y1 (ko) 2002-07-08 2002-10-07 정대용 애완동물 목욕 및 건조장치
KR20040017500A (ko) * 2002-08-21 200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애완동물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40262A1 (en) * 2022-01-28 2023-08-03 Heping LIU Automatic bath cleaning machine for pet do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594A (ko)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9502A (en) Apparatus for washing animals
US5448966A (en) Automatic animal washing system
US20110297103A1 (en) Pet bathtub
CN211153289U (zh) 自动宠物洗刷机
KR102043685B1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CN111281237A (zh) 一种全自动洗手机
WO2022265143A1 (ko) 다용도 세척 브러시
KR100736171B1 (ko)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CN109792962B (zh) 宠物洗澡机
KR20040067817A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및 방법
KR20180053847A (ko) 자동 손 세척장치
JP3161371U (ja) ペット用バスタブ
KR200318534Y1 (ko) 애완동물 자동 세척기
CN214155820U (zh) 一种畜牧兽医用的清洗装置
CN215774872U (zh) 一种智能全自动宠物洗澡机
KR200407355Y1 (ko) 고추 세척 및 건조 살균기
CN210076296U (zh) 宠物洗澡机
CN216931328U (zh) 智能化猫砂盆
KR200492146Y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세척장치
KR100460591B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KR200343507Y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JP2001037363A (ja) ペット用運動装置
CN212955822U (zh) 一种宠物用品清洁消毒设备
CN216146974U (zh) 一种宠物排泄物收集装置
WO2004062357A1 (en) A pet’s paw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