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261A - 진공 청소기용 헤드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261A
KR20180109261A KR1020170038585A KR20170038585A KR20180109261A KR 20180109261 A KR20180109261 A KR 20180109261A KR 1020170038585 A KR1020170038585 A KR 1020170038585A KR 20170038585 A KR20170038585 A KR 20170038585A KR 20180109261 A KR20180109261 A KR 20180109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ng
collecting roller
main body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창
Original Assignee
(주)포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브코리아 filed Critical (주)포브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3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9261A/ko
Publication of KR20180109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헤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부에는 먼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유입된 먼지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에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바닥과 접촉되는 다수의 브러시가 형성되는 제1집진롤러;와, 상기 본체의 입구에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집진롤러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집진롤러의 브러시와 접촉되는 다수의 브러시가 형성되는 제2집진롤러;와, 상기 집진롤러로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집진롤러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1집진롤러와 제2집진롤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게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바닥과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구동수단을 통해서 집진롤러가 자연스럽게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헤드와 같이 전기로 작동되는 복잡한 구동장치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개의 집진롤러 브러시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되므로 집진롤러에 집진된 먼지의 낙하 이탈을 최소화하여 청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구동수단의 마찰패드가 바닥과 마찰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집진롤러를 구동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헤드에서 구비되는 바퀴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아 더욱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수단을 구동하는데 별도의 에너지 사용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진공청소기 사용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청소는 진공청소기와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간편히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헤드{Head for vacuum cleaners}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과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구동수단을 통해서 집진롤러가 자연스럽게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헤드와 같이 전기로 작동되는 복잡한 구동장치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개의 집진롤러 브러시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되므로 집진롤러에 집진된 먼지의 낙하 이탈을 최소화하여 청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내부 공간을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로 진공 청소기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집진실과 구동실을 가지며 외부로 노출된 바퀴에 의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집진호스와, 상기 집진호스 끝단에 형성되어 외부의 먼지를 유입시키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진공청소기용 헤드는 하부에 먼지를 유입하기 위한 입구와 상부에 유입된 먼지를 상기 집진호스로 안내하기 위한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 측에는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에 접촉되어 먼지를 집진하는 브러시 롤러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헤드는 브러시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구동장치가 요구됨으로, 헤드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이로 인해 헤드를 제작 및 조립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 및 재료가 소모되어 제품의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헤드의 하부에는 용이한 이송을 위해 바닥과 접촉되는 바퀴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바퀴 역시 제품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헤드는 하나의 브러시 롤러를 통해 바닥의 먼지를 집진하는 구조이므로, 브러시 롤러에 집진된 먼지가 입구 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다시 바닥으로 낙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청소기를 통한 청소효율이 다소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헤드에 장착되는 구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기 사용이 요구되므로, 진공청소기 작동시 너무 많은 전기에너지가 소요되어 소비자가 청소기를 사용하는데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바닥과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구동수단을 통해서 집진롤러가 자연스럽게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헤드와 같이 전기로 작동되는 복잡한 구동장치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개의 집진롤러 브러시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되므로 집진롤러에 집진된 먼지의 낙하 이탈을 최소화하여 청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구동수단의 마찰패드가 바닥과 마찰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집진롤러를 구동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헤드에서 구비되는 바퀴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아 더욱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구동수단을 구동하는데 별도의 에너지 사용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진공청소기 사용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간단한 청소는 진공청소기와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간편히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헤드는 하부에는 먼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유입된 먼지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에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바닥과 접촉되는 다수의 브러시가 형성되는 제1집진롤러;와, 상기 본체의 입구에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집진롤러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집진롤러의 브러시와 접촉되는 다수의 브러시가 형성되는 제2집진롤러;와, 상기 집진롤러로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집진롤러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1집진롤러와 제2집진롤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게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구동수단을 통해 상기 제1집진롤러와 제2집진롤러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되어 바닥에 있는 먼지가 상기 집진롤러에 용이하게 집진되어 상기 본체의 입구로 안내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집진롤러의 양단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집진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바닥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상기 제1집진롤러를 회전시키는 마찰패드와, 상기 제1집진롤러의 일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집진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제1풀리와, 상기 제2집진롤러의 일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집진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제2풀리와,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를 서로 연결하되, 내부가 "X" 형태로 크로스 되어 상기 제1풀리와 제2풀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크로스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집진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브러시와 접촉 마찰되어 상기 브러시에 집진된 먼지를 이탈 분리시키되, 상기 브러시와 접촉되는 일측은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는 이탈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부재를 통해 상기 브러시에서 이탈 분리되는 먼지를 수집홈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와,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가이드를 통해 안내되는 먼지를 수집 저장하는 수집홈과,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수집홈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헤드에 의하면, 바닥과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구동수단을 통해서 집진롤러가 자연스럽게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헤드와 같이 전기로 작동되는 복잡한 구동장치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개의 집진롤러 브러시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되므로 집진롤러에 집진된 먼지의 낙하 이탈을 최소화하여 청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구동수단의 마찰패드가 바닥과 마찰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집진롤러를 구동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헤드에서 구비되는 바퀴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아 더욱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수단을 구동하는데 별도의 에너지 사용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진공청소기 사용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청소는 진공청소기와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간편히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헤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용 헤드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용 헤드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헤드의 종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용 헤드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용 헤드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헤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헤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헤드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용 헤드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용 헤드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헤드의 종 단면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용 헤드의 사용상태도를,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용 헤드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헤드(100)는 본체(10)와, 제1집진롤러(20)와, 제2집진롤러(30)와, 구동수단(4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하부에는 먼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입구(1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유입된 먼지가 배출되는 출구(12)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상부는 통상의 진공청소기의 집진호스 끝단에 장착되어 사용되므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호스 끝단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탈착수단(미도시)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입구(11)로 유입된 먼지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출구(12)로 유통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집진롤러(20)는 상기 본체(10)의 입구(10)에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바닥과 접촉되는 다수의 브러시(21)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집진롤러(20)는 후설될 상기 구동수단(40)을 통해 회전되면서 바닥에 접촉되는 상기 브러시(21)를 통해 먼지를 집진하여 상기 본체(10)의 입구(11) 측으로 안내하고, 그 입구(11) 측으로 안내된 먼지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브러시(21)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본체(10)의 출구(12) 측으로 이송 유통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집진롤러(30)는 상기 본체(10)의 입구(11)에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집진롤러(11)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집진롤러(20)의 브러시(21)와 접촉되는 다수의 브러시(31)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집진롤러(30)는 상기 구동수단(40)을 통해 상기 제1집진롤러(20)와 맞물리면서 회전되므로, 상기 제1집진롤러(20)의 브러시(21)에 집진된 먼지를 상기 제2집진롤러(30)의 브러시(31)를 통해 지지하여(물어) 상기 본체(10)의 입구(11) 측으로 안내함으로, 상기 제2집진롤러(30)를 통해 상기 제1집진롤러(20)의 브러시(21)에 집진된 먼지의 낙하 이탈이 안정적으로 방지되도록 한다.
반대로, 상기 제2집진롤러(30)의 브러시(31)에 집진된 먼지 역시 상기 제1집진롤러(20)의 브러시(21)에 지지되므로, 상기 제2집진롤러(30)의 브러시(31)에 집진된 먼지의 낙하 이탈이 안정적으로 방지되어 상기 본체(10)의 입구(11) 측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맞물려 회전하는 상기 집진롤러(20,30)를 통해 바닥의 먼지를 효율적으로 집진 청소할 수 있어 진공청소기의 청소효율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집진롤러(20,30)로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집진롤러(20,30)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1집진롤러(20)와 제2집진롤러(3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게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집진롤러(20)의 양단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집진롤러(20)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바닥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상기 제1집진롤러(20)를 회전시키는 마찰패드(41)와, 상기 제1집진롤러(20)의 일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집진롤러(20)와 함께 회전하는 제1풀리(42)와, 상기 제2집진롤러(30)의 일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집진롤러(30)와 함께 회전하는 제2풀리(43)와, 상기 제1풀리(42)와 제2풀리(43)를 서로 연결하되, 내부가 "X" 형태로 크로스 되어 상기 제1풀리(42)와 제2풀리(4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크로스 벨트(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를 바닥에 밀착하여 일 방향으로 밀면 상기 마찰패드(41)가 지면에 마찰되는 마찰력으로 상기 제1집진롤러(20)와 함께 회전되며, 이때 상기 제1집진롤러(20)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제1풀리(42)가 크로스 벨트(44)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제2풀리(43)를 회전시켜 상기 제2풀리(43)와 함께 상기 제2집진롤러(30)가 상기 제1집진롤러(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마찰패드(41)는 바닥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제작하나, 이러한 재질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또한, 상기 크로스 벨트(44) 내부에 "X" 형태로 교차되는 부분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풀리(42)와 제2풀리(43)의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집진롤러(20,30)의 상부에 위치하는 브러시(21,31)와 접촉 마찰되어 상기 브러시(21,31)에 집진된 먼지를 이탈 분리시키되, 상기 브러시(21,31)와 접촉되는 일측은 톱니(51) 모양으로 형성되는 이탈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부재(50)를 통해 상기 집진롤러(20,30)에 집진되어 상기 본체(10)의 입구(11) 측으로 안내되는 먼지가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집진롤러(20,30)에 집진된 먼지가 효과적으로 흡입 집진되게 유도하여 청소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부재(50)를 통해 상기 브러시(21,31)에서 이탈 분리되는 먼지를 수집홈(62)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61)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가이드(61)를 통해 안내되는 먼지를 수집 저장하는 수집홈(62)과, 상기 본체(1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 내부의 수집홈(6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덮개(63)를 더 포함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청소가 요구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용 헤드(100)를 진공청소기와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에 밀착시켜 이송시키면, 상기 구동수단(40)을 통해 상기 집진롤러(20,3)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바닥의 먼지를 집진하여 상기 본체(10)의 입구(11) 측으로 안내하고, 그 안내된 먼지는 상기 이탈부재(50)에 접촉되어 낙하되며, 그 낙하되는 먼지는 상기 안내가이드(61)에 안내되어 상기 수집홈(62)에 수집 저장되므로, 진공청소기와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간편히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집홈(62)에 수집된 먼지는 상기 개폐덮개(63)를 열어 외부로 노출시켜 간편히 제거 청소할 수 있으며, 청소가 완료되면 상기 개폐덮개(63)로 다시 상기 수집홈(62)을 외부로부터 폐쇄한 후에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용 헤드(100)는 바닥과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상기 구동수단(40)을 통해서 상기 집진롤러(20,30)가 자연스럽게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헤드와 같이 전기로 작동되는 복잡한 구동장치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제품의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개의 상기 집진롤러(20,30) 브러시(21,31)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되므로 상기 집진롤러(20,30)에 집진된 먼지의 낙하 이탈을 최소화하여 청소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구동수단(40)의 마찰패드(41)가 바닥과 마찰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집진롤러(20,30)를 구동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헤드에서 구비되는 바퀴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아 더욱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0)을 구동하는데 별도의 에너지 사용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진공청소기 사용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청소는 진공청소기와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용 헤드(100)만을 통해 간편히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헤드(100)는 다음과 같이 바닥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한다.
먼저,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용 헤드(100)와 진공청소기의 집진호스를 연결한 상태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를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에 밀착시켜 일 방향으로 밀면 구동수단(40)의 마찰패드(41)와 바닥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제1집진롤러(20)와 제2집진롤러(30)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한다.
그러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집진롤러(20)와 제2집진롤러(30)의 브러시(21,31)에 집진된 먼지는 낙하가 방지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입구(11) 측으로 안내되며, 그 안내된 먼지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본체(10)의 출구(12) 측으로 유통 배출되어 바닥의 효율적인 청소가 간편히 수행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 본체 11. 입구
12. 출구 20. 제1집진롤러
21, 31. 브러시 30. 제2집진롤러
40. 구동수단 41. 마찰패드
42. 제1풀리 43. 제2풀리
44. 크로스 벨트 50. 이탈부재
51. 톱니 61. 안내가이드
62. 수집홈 63. 개폐덮개
100. 진공 청소기용 헤드

Claims (4)

  1. 하부에는 먼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입구(1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유입된 먼지가 배출되는 출구(12)가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입구(10)에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바닥과 접촉되는 다수의 브러시(21)가 형성되는 제1집진롤러(20);
    상기 본체(10)의 입구(11)에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집진롤러(11)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집진롤러(20)의 브러시(21)와 접촉되는 다수의 브러시(31)가 형성되는 제2집진롤러(30); 및
    상기 집진롤러(20,30)로 회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집진롤러(20,30)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1집진롤러(20)와 제2집진롤러(3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게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구동수단(40)을 통해 상기 제1집진롤러(20)와 제2집진롤러(30)가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되어 바닥에 있는 먼지가 상기 집진롤러(20,30)에 용이하게 집진되어 상기 본체(10)의 입구(11)로 안내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제1집진롤러(20)의 양단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집진롤러(20)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바닥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상기 제1집진롤러(20)를 회전시키는 마찰패드(41)와,
    상기 제1집진롤러(20)의 일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집진롤러(20)와 함께 회전하는 제1풀리(42)와,
    상기 제2집진롤러(30)의 일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집진롤러(30)와 함께 회전하는 제2풀리(43)와,
    상기 제1풀리(42)와 제2풀리(43)를 서로 연결하되, 내부가 "X" 형태로 크로스 되어 상기 제1풀리(42)와 제2풀리(4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크로스 벨트(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헤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집진롤러(20,30)의 상부에 위치하는 브러시(21,31)와 접촉 마찰되어 상기 브러시(21,31)에 집진된 먼지를 이탈 분리시키되, 상기 브러시(21,31)와 접촉되는 일측은 톱니(51) 모양으로 형성되는 이탈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헤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부재(50)를 통해 상기 브러시(21,31)에서 이탈 분리되는 먼지를 수집홈(62)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61)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가이드(61)를 통해 안내되는 먼지를 수집 저장하는 수집홈(62)과,
    상기 본체(1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 내부의 수집홈(6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덮개(6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헤드.
KR1020170038585A 2017-03-27 2017-03-27 진공 청소기용 헤드 KR20180109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585A KR20180109261A (ko) 2017-03-27 2017-03-27 진공 청소기용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585A KR20180109261A (ko) 2017-03-27 2017-03-27 진공 청소기용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261A true KR20180109261A (ko) 2018-10-08

Family

ID=6386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585A KR20180109261A (ko) 2017-03-27 2017-03-27 진공 청소기용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92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3513A (zh) * 2019-07-29 2019-11-05 联峰钢铁(张家港)有限公司 一种无扬尘清扫装置
KR20230016473A (ko) * 2021-07-26 2023-02-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AU2019449365B2 (en) * 2019-06-07 2023-08-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acuum cleaner head and electric vacuum clea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449365B2 (en) * 2019-06-07 2023-08-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acuum cleaner head and electric vacuum cleaner
CN110403513A (zh) * 2019-07-29 2019-11-05 联峰钢铁(张家港)有限公司 一种无扬尘清扫装置
CN110403513B (zh) * 2019-07-29 2024-04-16 联峰钢铁(张家港)有限公司 一种无扬尘清扫装置
KR20230016473A (ko) * 2021-07-26 2023-02-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3549B2 (en) Vacuum cleaner
CN100446710C (zh) 表面清洁设备
KR101369234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핸디형 진공청소기
KR102485720B1 (ko) 청소기
RU22778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JP2015029911A (ja) 真空掃除機のための掃除機ヘッド
KR102033936B1 (ko) 로봇청소기
KR20130103593A (ko) 청소기 헤드
JP2009050687A (ja) スティック型真空掃除機
KR20070028411A (ko) 표면 처리 기기용 툴
JP6516820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ユニット
KR20180109261A (ko) 진공 청소기용 헤드
KR20130095823A (ko) 청소기 헤드
US20050198771A1 (en) Vacuum cleaner
KR20180068204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20130095824A (ko) 청소기 헤드
JP2019170664A (ja) 集塵装置
JP2012205799A (ja) 吸込口体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掃除機
KR101629300B1 (ko) 진공청소기
GB2350782A (en) Mobile textile cleaning machine with powder collection troughs
KR102672231B1 (ko) 청소기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EP4059397A1 (en) Transport of dirt in a suction head for use in a vacuum cleaner
CN210383848U (zh) 洗鞋机
KR20100088354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