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473A -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473A
KR20230016473A KR1020210098012A KR20210098012A KR20230016473A KR 20230016473 A KR20230016473 A KR 20230016473A KR 1020210098012 A KR1020210098012 A KR 1020210098012A KR 20210098012 A KR20210098012 A KR 20210098012A KR 20230016473 A KR20230016473 A KR 20230016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tatic electricity
dust
main body
brus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2493B1 (ko
Inventor
김병각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8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4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25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ors, e.g. in parallel or in series, stacked separators, dry-wet separator combin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일정 길이만큼 제1롤러와 제2롤러를 제1솔이 감싸면서 무한회전하도록 만들어진 제1솔조립체와, 일정 길이만큼 제1롤러와 제2롤러를 제2솔이 감싸면서 길이 방향으로 무한회전하도록 만들어진 제2솔조립체를 구비하는 먼지흡착부;와, 먼지흡착부의 일측이 고정된 본체를 구비한 먼지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솔들의 마찰로 발생한 1차 정전기와, 가구 또는 바닥과의 마찰로 인한 2차 정전기가 합쳐지면서 정전기력이 상승 및 유지되어 강력한 먼지 흡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Dust removal device using static electricity}
본 발명은 먼지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립하여 회전하는 솔조립체들이 회전하면서 상호 간의 마찰로 솔에 정전기가 발생하고, 정전기를 통해 솔에 먼지가 흡착되도록 한 후, 정전기를 제거하면서 먼지를 흡입 및 포집하여 먼지가 제거되도록 한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지떨이는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지주의 둘레로 정전기에 의한 뛰어난 먼지포집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깃털이나 합성 수지재 솔이 부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먼지떨이는 뛰어난 정전기 발생 효과로 인해 가정의 가구나 벽 등 실내 공간에 있는 먼지를 떨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통의 먼지떨이는 먼지가 붙어있는 가구나 물건 등을 솔로 쓸어내면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솔에 흡착시키고, 먼지가 충분히 흡착되면 실외에서 먼지를 떨어내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먼지가 과도하게 붙어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만약 솔에 먼지가 과도하게 붙게 되면 더 이상의 흡착이 불가함은 물론 이미 흡착된 먼지도 떨어질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주 실외에서 먼지를 떨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솔에 붙은 먼지를 떨어내기 위해서는 솔을 흔들거나 제자리 회전시켜 정전기력보다 큰 외력을 제공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4942호(2019.01.22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3564호(2015.10.08 공개)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솔조립체가 양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정전기를 발생시켜 솔로 먼지를 흡착하고, 정전기제거수단과 흡기팬으로 솔에서 먼지를 떼어낸 후 필터로 포집함으로써, 솔이 회전하는 동안 먼지가 흡착 및 제거가 반복되므로 실외에서 별도로 먼지를 떨어주는 행동이 불필요해짐은 물론 지속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는, 일례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솔조립체를 구비한 먼지흡착부;와, 솔조립체의 일측이 장착된 본체를 구비하는 먼지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솔조립체들은 각각 솔을 구비하고, 본체에서 멀어졌다가 복귀하도록 무한회전하면서 솔들의 상호 간의 마찰로 정전기가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2개의 솔조립체를 구비하고, 솔조립체들이 회전하면서 상호 간의 마찰로 정전기가 발생하도록 설치된 먼지흡착부;와, 솔조립체의 일부위가 삽입되어 고정된 본체, 이 본체에 내장되어 솔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동력원과, 회전하는 솔조립체에서 본체의 내부로 복귀한 일부위에 배치되어 솔조립체의 정전기를 제거하도록 설치된 정전기제거수단을 구비하는 먼지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솔조립체들이 회전하는 동안 상호 마찰로 정전기가 발생하고, 정전기제거수단(230)으로 제거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먼지여과부는 솔조립체들 중 상호 인접한 적어도 1개의 솔조립체의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설치된 감속기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솔조립체는 서로 이격된 제1롤러 및 제2롤러와, 이들 제1,2롤러를 감싸면서 무한회전하도록 장착된 제1솔을 구비한 제1솔조립체와, 서로 이격된 제1홀러 및 제2롤러와, 이들 제1,2롤러를 감싸면서 무한회전하도록 장착된 제2솔을 구비한 제2솔조립체이고, 제1솔조립체와 제2솔조립체가 이웃하여 배치되고 제1,2솔이 상호 마찰되어 정전기가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솔과 제2솔은 합성수지, 동물의 털 및 깃털 등을 포함하여 마찰로 정전기가 발생하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제1,2솔이 동일 재질이거나 서로 다른 재질일 수 있다.
한편, 먼지여과부는 정전기 제거로 솔조립체에서 분리된 먼지를 후방으로 흡입하기 위해 본체의 후부에 내장된 흡기팬 및 모터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먼지여과부는 흡기팬에 의한 후방으로의 기류 생성을 위해 본체에서 솔조립체가 삽입되는 전면에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해 가공된 개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개구에서 유입된 공기가 솔조립체에서 분리된 먼지를 후방으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먼지여과부는 솔조립체와 흡기팬 사이에 배치되고, 솔조립체에서 분리된 후 개구에서 유입된 공기와 혼재하는 먼지를 여과하도록 설치된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먼지여과부는 필터에서 여과된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솔조립체와 필터 사이에 마련된 포집공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먼지여과부는 포집공간에 포집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본체에 가공된 배출문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먼지여과부는 개구에서 유입된 공기가 포집공간, 필터 및 흡기팬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본체에 가공된 배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길이를 갖는 1쌍의 솔조립체가 양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호 간의 마찰하는 솔들에게 1차 정전기가 발생됨으로써, 가구 또는 바닥과의 마찰로 인한 2차 정전기와 더불어 정전기력이 상승 및 유지되어 강력한 먼지 흡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전기제거장치로 솔들의 정전기를 방전되면 솔에 붙은 먼지가 떨어지고, 흡기되는 공기와 함께 먼지가 필터로 유동되며, 필터에 여과된 먼지는 포집공간에 남고 깨끗한 공기만 배기됨으로써, 먼지가 완벽히 제거된 솔로 다시 먼지를 흡착하게 되어 깨끗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먼지가 포집공간에 포집됨으로써, 종래처럼 솔에 먼지가 많이 붙으면 실외에서 먼지를 떨어주는 별도의 행동이 불필요해지므로, 청소의 수고로움이 덜어지고, 빠른 시간에 청소를 마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솔들은 합성수지, 동물의 털 및 깃털을 포함하는 정전기가 잘 발생하는 재질로 제작되고, 이웃한 솔들은 상호 다른 재질로 배치됨으로써, 마찰로 인한 정전기 발생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내부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흡착부(100)와 먼지여과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먼지흡착부(100)는 제1솔조립체(110)와 제2솔조립체(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솔조립체(110,120)는 측면상 양측부에 배치된 제1롤러(r1) 및 제2롤러(r2), 이들 양립된 제1,2롤러(r1,r2)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무한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솔(111) 및 제2솔(121)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1솔(111) 및 제2솔(121)의 회전 방향을 '제1롤러(r1)와 제2롤러(r2)를 왕복하는' 또는 '길이방향'이라고 기재한다.
이때, 제1,2솔조립체(110,120)는 일부위가 후술된 먼지여과부(200)의 본체(210)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롤러(r1)가 본체(2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제2롤러(r2)가 본체(21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 제1롤러(r1)는 본체(210)에 내장된 동력원(220, 도 2 참조)에 의해 제자리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이로 인해 제1솔(111) 또는 제2솔(121)이 제1롤러(r1)와 제2롤러(r2)를 왕복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들 제1솔(111)과 제2솔(121)은 양립되어 길이 방향에 대해 제1솔(111)은 시계방향으로 제2솔(12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호 접촉하여 마찰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1,2솔(111,121)은 정전기 발생에 탁월한 공지된 직물, 섬유, 극세사 또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또, 필요에 의해 제1,2솔(111,121)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솔(111)과 제2솔(121) 간의 마찰력이 극대화되도록 제1솔(111)이 정속으로 회전하면 제2솔(121)은 도 2에서처럼 감속기(310)에 의해 다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1솔(111)과 제2솔(121)에는 상호 간의 마찰로 정전기가 1차 발생하고, 청소할 때 가구 또는 바닥과 마찰되면서 2차 정전기가 발생 및 유지됨으로써, 강한 정전기의 발생이 유도되어 먼지 흡착력이 현저히 상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제1,2솔(111,121)은 도면에서 뻣뻣하게 그려졌지만, 유연할 수도 있고, 직물, 합성수지, 동물의 털, 깃털 등을 포함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재질일 수 있다. 이때, 제1솔(111)과 제2솔(121)의 재질을 다르게 하여 쉽게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솔(111)이 합성수지라면 제2솔(121)은 깃털일 수 있다.
이외에, 먼지흡착부(100)는 3개 이상의 솔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3개의 솔조립체가 대략 삼각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4개의 솔조립체가 대략 사각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이들 솔조립체의 솔들이 상호 마찰되어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먼지여과부(200)는 본체(210), 동력원(220), 정전기제거수단(230), 포집공간(240), 필터(250)와, 흡기팬(260) 및 모터(27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210)는 제1,2솔조립체(110,120)의 일부가 삽입되고, 동력원(220), 정전기제거수단(230), 필터(250)와, 흡기팬(260) 및 모터(270)가 내장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1,2솔조립체(110,120)의 일부위가 본체(210)의 일측면을 관통 및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위아래 1쌍의 제1롤러(r1)가 내부에 고정되며, 제1롤러(r1)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동력원(220)이 내장될 수 있다.
또, 본체(210)는 제1,2솔조립체(110,120)이 삽입되는 일측면에 가공된 개구(2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개구(211)는 외부의 공기가 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일 수 있다. 따라서, 본체(210) 내부의 기류가 후방으로 형성되면 개구(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먼지가 혼재되어 포집공간(24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210)에는 위아래 제1롤러(r1) 근처에 각각 설치된 정전기제거수단(230)이 내장될 수 있다. 또, 본체(210)에는 제1,2솔(111,121)과 일정 거리를 두고 필터(250)가 설치되고, 제1,2솔(111,121)과 필터(250) 사이에는 제1,2솔(111,121)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가 포집되는 포집공간(240)이 마련될 수 있다. 또, 본체(210)에는 필터(250)에서 포집공간(240) 반대측에 위치한 흡기팬(260)과 모터(270)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동력원(220)은 제1솔(111)과 제2솔(121)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동력원(220)은 2개가 제1솔(111)과 제2솔(121)에 각각 설치되거나, 1개가 제1솔(111)과 제2솔(121)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동력원(220)은 일례로 제1솔(111) 및 제2솔(121)이 같은 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동력원(220)은 다른 예로 제1솔(111)은 정속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2솔(121)은 낮은 속도로 회전하도록 감속기(310)가 개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정전기제거수단(230)은 제1,2솔(111,121)에 생성된 정전기를 방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전기제거수단(230)은 본체(210)에 내장되고, 무한회전하는 제1,2솔(111,121) 중에서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일부위에 설치되어 정전기를 방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기제거수단(230)은 정전기를 램프 또는 LED 등의 빛 에너지로 변환하거나 부저 등의 소리 에너지로 변환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 정전기제거수단(230)에 의해 정전기가 제거된 후, 제1솔(111)과 제2솔(121)이 되돌아 본체(210)에서 나갈 때 서로 접촉하여 마찰되면서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제1솔(111)과 제2솔(121)이 본체(210)에서 나갈 때 서로 접촉하여 정전기가 발생하고, 청소하면서 바닥에 닿아 정전기가 재차 발생 또는 유지되며, 제1솔(111)과 제2솔(121)이 본체(210)에 회귀하면 정전기제거수단(230)에 의해 정전기가 방전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또한, 포집공간(240)은 본체(2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1,2솔조립체(110,120)와 필터(250)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이 포집공간(240)에는 정전기제거수단(230)에 의해 제1,2솔(111,121)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가 필터(250)를 통과하지 못하고 남겨질 수 있다. 물론, 포집공간(240) 내부의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문(미도시)이 본체(2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배출문은 청소시 닫혀서 포집공간(240)이 폐쇄되도록 하고, 청소 이후 열어서 포집공간(240) 내의 먼지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배출문을 통해 수명이 다 된 필터(250)를 교체할 수도 있다.
또한, 필터(250)는 제1,2솔(111,121)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를 포집공간(240)에 남기고,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보내기 위한 부재이다. 이 필터(250)는 본체(210)의 후부에 위치한 흡기팬(260)과 포집공간(240) 사이에 배치되고, 후방의 흡기팬(260)에 의해 전방의 포집공간(240)의 공기가 통과하여 후방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필터(250)는 포집공간(240)에서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여과하면서 깨끗한 공기만 통과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흡기팬(260) 및 모터(270)는 포집공간(240) 내의 공기를 흡기하도록 본체(210)의 후부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모터(270)는 흡기팬(260)을 작동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흡기팬(260)에 의해 필터(250)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본체(210)에 배기구(212)가 가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는 도 2에서 보듯이, 제어부(300)와 감속기(3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어부(300)는 흡기팬(260)을 구동할 수 있는 모터(270)의 동작 여부, 정전기제거수단(230)의 동작 여부, 감속기(310)의 작동 여부, 제1,2솔(111,121)의 회전 속도조절 등을 조절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제어부(300)는 모터(270), 정전기제거수단(230), 감속기(310)의 고장 여부와, 설정된 제1,2솔(111,121)의 회전 속도 차이 유지 등을 검수하고,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감속기(310)는 제1솔(111)과 제2솔(121) 중 어느 하나의 회전을 감속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감속기(310)는 제1솔(111)의 제1롤러(r1)와, 제1롤러(r1)를 회전시키는 동력원(2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솔(111)의 제1롤러(r1)의 회전 속도가 제2솔(121)의 제1롤러(r1)의 회전 속도보다 늦을 수 있다. 이처럼, 제1솔(111)과 제2솔(121)의 회전 속도 차이로 인해 제1솔(111)과 제2솔(121)의 마찰이 활발히 일어나므로 정전기력을 최대로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작동>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270)에 의해 흡기팬(260)이 가동하고, 동력원(220)에 의한 제1롤러(r1)들의 제자리 회전으로 인해 제1솔조립체(110)가 시계방향으로, 제2솔조립체(1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이TEk.
이때, 본체(210)의 전면의 개구(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흡기팬(260)에 의해 포집공간(240)을 지나 필터(250)를 통과한 후, 배기구(212)를 통해 본체(210)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또, 제1솔조립체(110)와 제2솔조립체(120)가 길이방향으로 무한회전하면서 제1솔(111)과 제2솔(121)에 마찰로 인한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청소를 하게 되면 제1솔(111)과 제2솔(121)에 먼지가 흡착될 수 있다. 이때, 제1,2솔(111,121)은 바닥과 마찰되어 이미 발생한 정전기를 유지 및 새로운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솔(111)과 제2솔(121)에 흡착된 먼지가 본체(210)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정전기제거수단(230)에 의해 제1솔(111)과 제2솔(121)의 정전기가 소멸되면서 제1솔(111)과 제2솔(121)에서 먼지가 떨어질 수 있다. 이때, 먼지가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포집공간(240)으로 유동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제1,2솔(111,121)에 정전기가 발생하고, 제거되는 과정은 제1,2솔(111,121)이 회전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끝으로, 포집공간(240)의 후방으로 유동한 먼지가 필터(250)에 의해 여과되어 포집공간(240) 내에서 포집되고, 깨끗한 공기는 필터(250)를 통과하고 흡기팬(260)을 지나 배기구(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먼지흡착부
110:제1솔조립체 111:제1솔
120:제2솔조립체 121:제2솔.
200:먼지여과부
210:본체 211:개구
212:배기구 220:동력원
230:정전기제거수단 240:포집공간
250:필터 260:흡기팬
270:모터.
300:제어기
310:감속기.
r1:제1롤러 r2:제2롤러.

Claims (11)

  1. 일정 길이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솔조립체를 구비한 먼지흡착부(100);와
    상기 솔조립체의 일측이 장착된 본체(210)를 구비하는 먼지여과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솔조립체들은 각각 솔을 구비하고, 본체(210)에서 멀어졌다가 복귀하도록 무한회전하면서 솔들의 상호 간의 마찰로 정전기가 발생하도록 이루어진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2. 일정 길이를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2개의 솔조립체를 구비하고, 솔조립체들이 회전하면서 상호 간의 마찰로 정전기가 발생하도록 설치된 먼지흡착부(100);와
    상기 솔조립체의 일부위가 삽입되어 고정된 본체(210), 본체(210)에 내장되어 솔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동력원(220)과, 회전하는 솔조립체에서 본체(210)의 내부로 복귀한 일부위에 배치되어 솔조립체의 정전기를 제거하도록 설치된 정전기제거수단(230)을 구비하는 먼지여과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솔조립체들이 본체(210)에서 멀어졌다 복귀하도록 회전하는 동안 상호 마찰로 인한 정전기 발생과, 정전기제거수단(230)으로 인한 정전기 제거가 반복되도록 이루어진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먼지여과부(200)는 솔조립체들 중 상호 인접한 적어도 1개의 솔조립체의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설치된 감속기(31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솔조립체는 서로 이격된 제1롤러(r1) 및 제2롤러(r2)와, 이들 제1,2롤러(r1,r2)를 감싸면서 무한회전하도록 장착된 제1솔(111)을 구비한 제1솔조립체(110)와, 서로 이격된 제1홀러(r1) 및 제2롤러(r2)와, 이들 제1,2롤러(r1,f2)를 감싸면서 무한회전하도록 장착된 제2솔(121)을 구비한 제2솔조립체(120)이고,
    상기 제1,2솔조립체(110,120)가 이웃하여 배치되고, 제1,2솔(111,121)이 상호 마찰되어 정전기가 발생하도록 이루어진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제1솔(111)과 제2솔(121)은 합성수지, 동물의 털 및 깃털 등을 포함하여 마찰로 정전기가 발생하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제1,2솔(111,121)이 동일 재질이거나 서로 다른 재질인 것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6. 청구항 2에서,
    상기 먼지여과부(200)는 정전기 제거로 솔조립체에서 분리된 먼지를 후방으로 흡입하기 위해 본체(210)의 후부에 내장된 흡기팬(260) 및 모터(27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7. 청구항 6에서,
    상기 먼지여과부(200)는 흡기팬(260)에 의한 후방으로의 기류 생성을 위해 본체(210)에서 솔조립체가 삽입되는 전면에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해 가공된 개구(211)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개구(211)에서 유입된 공기가 솔조립체에서 분리된 먼지를 후방으로 운반하도록 이루어진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먼지여과부(200)는 솔조립체와 흡기팬(250) 사이에 배치되고, 솔조립체에서 분리된 후 개구(211)에서 유입된 공기와 혼재하는 먼지를 여과하도록 설치된 필터(25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9. 청구항 8에서,
    상기 먼지여과부(200)는 필터(250)에서 여과된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솔조립체와 필터(250) 사이에 마련된 포집공간(24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10. 청구항 9에서,
    상기 먼지여과부(200)는 포집공간(240)에 포집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필터(250)를 교체하기 위해 본체(210)에 가공된 배출문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11. 청구항 9에서,
    상기 먼지여과부(200)는 개구(211)에서 유입된 공기가 포집공간(240), 필터(250) 및 흡기팬(26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본체(210)에 가공된 배기구(212)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KR1020210098012A 2021-07-26 2021-07-26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KR10253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12A KR102532493B1 (ko) 2021-07-26 2021-07-26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12A KR102532493B1 (ko) 2021-07-26 2021-07-26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73A true KR20230016473A (ko) 2023-02-02
KR102532493B1 KR102532493B1 (ko) 2023-05-12

Family

ID=8522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012A KR102532493B1 (ko) 2021-07-26 2021-07-26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49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285A (en) * 1973-01-29 1975-12-09 Fukuba Future Research Floor sweeper
JP2005305194A (ja) * 2005-07-22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US8230540B1 (en) * 2007-04-24 2012-07-31 Nelson Marc O Cordless sweeper
KR101484942B1 (ko) 2010-08-26 2015-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5154836A (ja) * 2014-02-20 2015-08-27 株式会社コーワ 電気掃除機の吸込具体
KR20150113564A (ko) 2014-03-31 2015-10-08 한국과학기술원 정전식 청소기
KR20180109261A (ko) * 2017-03-27 2018-10-08 (주)포브코리아 진공 청소기용 헤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285A (en) * 1973-01-29 1975-12-09 Fukuba Future Research Floor sweeper
JP2005305194A (ja) * 2005-07-22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US8230540B1 (en) * 2007-04-24 2012-07-31 Nelson Marc O Cordless sweeper
KR101484942B1 (ko) 2010-08-26 2015-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5154836A (ja) * 2014-02-20 2015-08-27 株式会社コーワ 電気掃除機の吸込具体
KR20150113564A (ko) 2014-03-31 2015-10-08 한국과학기술원 정전식 청소기
KR20180109261A (ko) * 2017-03-27 2018-10-08 (주)포브코리아 진공 청소기용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493B1 (ko)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021B1 (ko) 이중 회전 애지테이터를 구비한 표면 청소 헤드
EP1330976B1 (en) Vacuum cleaner having an ion generator
RU2571810C1 (ru) Пылесос
US20150250368A1 (en) Cleaning membe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KR20180043561A (ko) 정전기 에어필터
CN101229030A (zh) 吸入刷组件
KR102532493B1 (ko)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제거장치
KR100809739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TWI661165B (zh) 空氣清淨機
KR20180086899A (ko)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CN105496328A (zh) 一种便携式家用静电除虫灰尘收集器
KR20200007832A (ko) 청소 롤러로부터 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해 코밍 유닛을 구비한 청소기
JP2008002780A (ja) 空気調和機の除塵方法と空気調和機
JP2016016012A (ja) 清掃具
KR101825900B1 (ko) 미세먼지 포집 및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청소장치
JP3129636U (ja) 花粉等の吸取装置
AU2008203850A1 (en) Suction nozzle assembly usable with vacuum cleaner having hair collecting memb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hair by using the same
JP2006071135A (ja) フィルタ清掃装置とそれを備えた空調装置
KR101396694B1 (ko) 전동식 칠판 지우개
JP2011257077A (ja) 空気調和機
JP2019030652A (ja) 掃除具及び集塵ヘッド
JP7298938B2 (ja) 空気清浄器及び空気清浄器ユニット
JP6760526B1 (ja) 集塵デバイス
JP2005024135A (ja) 空気調和機
KR20130055242A (ko) 반데그라프 정전식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