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739B1 -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739B1
KR100809739B1 KR1020070024066A KR20070024066A KR100809739B1 KR 100809739 B1 KR100809739 B1 KR 100809739B1 KR 1020070024066 A KR1020070024066 A KR 1020070024066A KR 20070024066 A KR20070024066 A KR 20070024066A KR 100809739 B1 KR100809739 B1 KR 100809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rum
drum
nozzle assembly
rotation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장근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1/899,78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80172827A1/en
Priority to EP07019520A priority patent/EP1949839A1/en
Priority to CN2007101823078A priority patent/CN101229034B/zh
Priority to RU2007139593/12A priority patent/RU2364310C1/ru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739B1/ko
Priority to US12/231,070 priority patent/US2009000005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는 오물 흡입구를 포함하는 노즐 본체 및 외주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노즐 본체의 오물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을 포함하며, 회전드럼은 노즐 본체가 이동하면 복수 개의 돌기와 피 청소면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드럼, 회전제한수단, 돌기, 래칫, 마찰력, 흡입노즐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Suction nozz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 노즐 조립체를 구비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흡입 노즐 조립체를 아래에서 본 저면도,
도 3은 도 2의 흡입 노즐 조립체의 브러시 유닛을 선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a 및 4b는 도 3의 회전드럼에 사용되는 다른 예에 의한 회전제한수단을 나타내며, 도 4a는 회전드럼이 회전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4b는 회전드럼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회전드럼에 사용되는 회전제한수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 및 6b는 도 3의 회전드럼의 드럼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3의 회전드럼의 제거수단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제거수단의 일 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9a 내지 9f는 도 3의 회전드럼의 제거수단의 돌기의 여러 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3의 회전드럼의 제거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흡입 노즐 조립체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흡입 노즐 조립체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회전드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다른 예에 의한 회전제한수단을 구비하는 도 12의 흡입 노즐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200;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2,101,201; 노즐 본체 5; 본체
10; 브러시 유닛 11; 하우징
13; 브러시 14,102,202; 오물 흡입구
20; 회전드럼 29,129; 회전제한수단
30,40; 래칫부 31,41; 래칫 휠
33,43; 래칫 폴 45; 회전 휠
46; 고정 돌기 50; 드럼 본체
60; 제거수단 61; 바닥판
62,63,64,65,66,67,68; 복수 개의 돌기
221,222; 회전드럼 231,232; 회전제한수단
241,242; 복수 개의 돌기 251,252; 회전방지턱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피 청소면의 오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할 수 있는 흡입 노즐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흡입 노즐 조립체는 피 청소면과 접하며, 피 청소면에 있는 오물을 흡입하는 오물 흡입구를 구비한다. 청소기 본체의 진공발생수단이 동작하여 흡입력이 발생하면, 피 청소면의 오물이 오물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다.
그러나, 흡입력만을 이용하여 카펫과 같은 피 청소면을 청소할 경우에는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애완동물의 털과 같이 가는 오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 머리카락이나 애완동물의 털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피 청소면에 있는 머리카락이나 애완동물의 털 등을 뭉치게 하여 오물 흡입구 쪽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피 청소면에 있는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과 같이 가는 오물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흡입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오물 흡입구를 포함하는 노즐 본체; 및 외주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 본체의 오물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노즐 본체가 이동하면 상기 복수 개의 돌기와 피 청소면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는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회전드럼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회전드럼과 일체로 설치되는 래칫 휠;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래칫 휠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래칫 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노즐 본체를 앞으로 밀 때 상기 회전드럼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회전드럼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드럼은 드럼 본체; 및 상기 드럼 본체에 조립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는 봉 형상, 리브 형상, 고리형상 중의 어느 하 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 개의 돌기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리브 형상의 돌기 중 일부는 분할 리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으로 상기 노즐 본체에는 브러시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발명의 목적은, 오물 흡입구를 포함하는 노즐 본체; 외주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 본체의 오물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회전드럼; 및 상기 제1회전드럼과 나란하게 상기 오물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제2회전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회전드럼은 상기 노즐 본체가 이동하면 상기 복수 개의 돌기와 피 청소면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회전드럼은 각각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노즐 본체가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회전드럼은 회전하고 제2회전드럼은 회전하지 않고, 상기 노즐 본체가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회전드럼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2회전드럼은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회전드럼 각각에 일체로 설치되는 래칫 휠;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래칫 휠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래칫 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흡입 노즐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흡입 노즐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1)는 노즐 본체(2)와 브러시 유닛(10)을 포함한다.
노즐 본체(2)는 오물흡입통로(미도시)가 형성되며, 노즐 본체(2)의 전단에는 브러시 유닛(10)이 설치된다. 또한, 노즐 본체(2)는 흡입 노즐 조립체(1)가 피 청소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바퀴(4)가 설치된다. 노즐 본체(2)는 진공청소기의 본체(5)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사용되는 흡입 노즐 조립체(1)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체(5)에 설치된 진공발생수단(미도시)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면, 브러시 유닛(10)의 오물 흡입구(14)를 통해 피 청소면의 오물이 흡입된다.
브러시 유닛(10)은 노즐 본체(2)의 전단에 설치된다. 브러시 유닛(10)의 하면에는 오물 흡입구(14)가 형성되며, 오물 흡입구(14)는 노즐 본체(2)의 오물흡입통로와 연통된다. 이때, 브러시 유닛(10)은 노즐 본체(2)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브러시 유닛(10)은 브러시(13), 회전드럼(20), 및 하우징(11)을 포함한다.
브러시(13)는 하우징(11)의 오물 흡입구(1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브러시(13)의 표면에는 피 청소면과 접촉할 수 있는 길이의 다수 개의 털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브러시(13)가 회전하면, 피 청소면에 있는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회전드럼(20)은 하우징(11)에 브러시(13)의 앞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피 청소면에 있는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 등과 같이 가는 오물을 뭉치게 하여 브러시(13) 쪽으로 유도한다. 이와 같은 회전드럼(20)은 회전제한수단(29), 드럼본체(50), 및 제거수단(60)을 포함한다.
회전제한수단(29)은 회전드럼(20)이 흡입 노즐 조립체(1)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 방향으로는 회전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회전드럼(20)이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양 방향으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제한수단(29)은 드럼 본체(50)의 양측 또는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회전제한수단(29)의 일 예로서 래칫부(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래칫부(30)는 회전드럼(20)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의 래칫부(30)는 회전드럼(20)과 동축 상으로 회전드럼(2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래칫 휠(31)과 래칫 휠(31)의 일측에 하우징(11) 또는 노즐 본체(2)에 설치된 래칫 폴(33)을 포함한다. 래칫 폴(33)은 회전드럼(20)이 회전하여도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래칫 휠(31)의 외주에는 복수 개의 경사된 이(齒)(32)가 형성되어 있다. 래 칫 휠(31)이 이(32)의 경사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래치 휠(31)의 이(32)가 래칫 폴(33)에 걸리지 않으므로 래칫 휠(31)이 회전할 수 있다. 래칫 휠(31)이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는 래칫 휠(31)의 이(32)의 수직면(32a)이 래칫 폴(33)에 걸려 회전할 수 없다. 즉, 회전드럼(20)은 래칫 휠(32)의 이의 경사면(32b)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나, 그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시계방향으로는 래칫 휠(31)이 래칫 폴(33)에 걸리게 되어 회전드럼(20)이 회전하지 않고, 반 시계방향으로는 래칫 휠(31)이 래칫 폴(33)에 걸리지 않으므로 회전드럼(20)이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3의 경우에는 흡입 노즐 조립체(1)를 화살표 A와 같이 앞으로 밀면 회전드럼(2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흡입 노즐 조립체(2)를 뒤(화살표 A의 반대방향)로 당기면 회전드럼(20)이 회전하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b에는 회전제한수단(29)인 래칫부(4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의 래칫부(40)의 래칫 휠(41)은 상술한 래칫부(30)의 래칫 휠(31)과 유사하나, 래칫 폴(43)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래칫 휠(41)이 도 4b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는 래칫 휠(41)의 이(42)의 수직면(42a)이 래칫 폴(43)에 걸려 회전할 수 없다. 도 4a와 같이 래칫 휠(41)이 반 시계방향의 힘을 받는 경우에는 래칫 휠(41)의 이(42)의 경사면(42b)이 래칫 폴(43)에 걸리지 않으므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흡입 노즐 조립체(1)를 앞으로 밀 때 회전드럼(20)이 회전하고, 흡입 노즐 조립체(1)를 뒤로 당기면 회전드럼(20)이 회전하지 않도록 래칫부(30,40)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흡입 노즐 조립 체(1)를 앞으로 밀 때, 회전드럼(20)이 회전하지 않고, 흡입 노즐 조립체(1)를 뒤로 당기면 회전드럼(20)이 회전하도록 래칫부(30,40)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회전제한수단(29)은 회전드럼(20)이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회전드럼(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계속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각도만큼만 회전하도록 하고, 반대 방향으로도 비슷하게 정해진 각도만큼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에는 이와 같은 형태의 회전제한수단(29)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제한수단(29)은 회전 휠(45)과 고정 돌기(46)를 포함한다. 회전 휠(45)은 회전드럼(20, 도 2 참조)과 동축 상으로 회전드럼(2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회전 휠(45)의 외주에는 복수 개의 홈(45a)이 형성된다. 고정 돌기(46)는 회전 휠(45)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45a)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위치하며, 흡입 노즐 조립체(1)의 하우징(11)에 설치되어 있어 회전드럼(20)이 회전하여도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휠(45)의 회전범위는 회전 휠(45)의 홈(45a) 속에 위치한 고정 돌기(46)에 의해 제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휠(45)은 5개의 홈(45a)을 갖으며, 고정 돌기(46)는 5개의 홈(45a) 중 어느 한 개의 홈 내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회전 휠(45)과 일체로 설치된 회전드럼(20)은 회전 휠(45)의 홈(45a)과 고정 돌기(46)에 의해 제한되는 각도 범위 내에서 시계방향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드럼 본체(5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각 기둥(50)이나 원통 형상(50')으로 형성할 수 있다. 드럼 본체(50,50')와 회전제한수단(29)의 래칫 휠(31,41)이나 회전 휠(45)은 일체로 형성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래칫 휠(31,41)과 회전 휠(45)이 드럼 본체(50,50')와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제거수단(60)은 피 청소면에 있는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과 같이 가는 오물을 모아 오물 흡입구(14) 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드럼 본체(50, 50')에 삽입된다. 제거수단(60)은 바닥부(61)와 복수 개의 돌기(62)로 형성된다. 바닥부(61)는 드럼 본체(50,50')의 형태에 대응하여 6각 기둥이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 및 도 10에는 6각 기둥 형상의 바닥부(61)를 갖는 제거수단(60, 60')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 개의 돌기(62)는 피 청소면과 접촉하여 피 청소면에 있는 가는 오물을 모아 오물 흡입구(14, 도 2 참조) 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62)를 갖는 제거수단(60)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 개의 봉 형상의 돌기(62)는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7에는 6각 기둥 형상의 바닥부(61)의 일면에 복수 개의 봉(62)이 3줄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봉(62)의 형상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봉(62)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f는 돌기(63,64,65,66,67,68)가 리브 형상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리브 형상이란 바닥부(61)에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길쭉하게 융기한 형상을 말한다. 복수 개의 리브 형상의 돌기(63,64,65,66,67,68)는 다양 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9a는 복수 개의 리브(63)가 회전드럼(20)의 회전축(도 2 및 도 7의 C 참조)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 경우이고, 도 9b는 복수 개의 리브(64)가 V자 형상으로 배열된 경우이고, 도 9c는 복수 개의 리브(65)가 회전드럼(20)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된 경우이다. 도 9d는 복수 개의 리브(66)가 6각 기둥의 일면(61)에 일렬로 배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복수 개의 리브(66)는 6각 기둥의 일면(61)의 중심선(61a)에 대해 대칭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9e와 도 9f는 각각 복수 개의 리브 형상의 돌기(64,63)가 도 9a와 도 9b와 유사한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나, 일부 돌기(67,68)가 분할 리브로 된 것이 다르다. 여기서, 분할 리브(67,68)는 리브가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분할된 것을 말한다. 도 9e 및 도 9f에서는 분할 리브(67,68)가 3개로 분할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다.
또한, 복수 개의 돌기(69)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0에는 6각 기둥의 바닥부(61)의 일면에 고리형상의 돌기(69)가 2열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제거수단(60)이 드럼 본체(50)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거수단(60)은 드럼 본체(5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거수단(60)은 고무나 우레탄 등으로 형성한다. 특히, 제거수단(60)의 복수 개의 돌기(63,64,65,66,67,68)는 펠트(felt)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은 브러시(13)와 회전드럼(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노즐 본체(2)의 오물흡입통로와 연통되는 오물 흡입구(14) 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 노즐 조립체(1)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진공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하고 흡입 노즐 조립체(1)를 앞으로 밀면, 즉 도 3에서 브러시 유닛(10)을 화살표 A 방향으로 밀면, 브러시(13)는 회전하고 흡입력에 의해 피 청소면의 오물이 오물 흡입구(14)를 통해 흡입 노즐 조립체(1)로 흡입된다.
흡입 노즐 조립체(1)가 앞으로 이동하면, 브러시(13)의 앞에 설치된 회전드럼(20)은 피 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드럼(20)의 래칫부(30)의 래칫 휠(31)이 래칫 폴(33)에 걸리지 않으므로 회전드럼(20)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드럼(2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피 청소면에 있는 가는 오물 등을 브러시(13)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흡입 노즐 조립체(1)를 뒤로 당기면, 즉 도 3에서 브러시 유닛(10)을 화살표 A와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회전드럼(20)은 회전하지 않는다. 즉, 흡입 노즐 조립체(1)가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드럼(20)은 피 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다. 그러나, 회전드럼(20)의 래칫부(30)의 래칫 휠(31)이 래칫 폴(33)에 걸리게 되므로 회전드럼(2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회전드럼(20)이 정지한 상태에서 흡입 노즐 조립체(1)를 당기면 피 청소면과 회전드럼(20)의 복수 개의 돌기(63)가 서로 마찰하여 분산되어 있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 등과 같이 가는 오 물을 모으게 된다. 가는 오물이 모여 뭉쳐지면 흡입력에 의해 쉽게 오물 흡입구(14)를 통해 흡입된다.
이상에서는 흡입 노즐 조립체(1)에 브러시(13)가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흡입 노즐 조립체(1)는 브러시(13)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브러시를 구비하지 않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흡입 노즐 조립체(100)는 노즐 본체(101)와 회전드럼(120)을 포함한다. 노즐 본체(101)는 오물 흡입구(102)가 형성되며, 회전드럼(1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오물 흡입구(102)는 진공발생수단(미도시)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오물이 흡입되는 곳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드럼(120)의 앞과 뒤로 오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드럼(120)이 오물 흡입구(102)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오물 흡입구는 회전드럼(120)의 앞에만 형성하거나, 회전드럼(120)의 뒤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드럼(120)의 구조 및 그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의 흡입 노즐 조립체(1)의 회전드럼(2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200)는 노즐 본체(201)와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을 포함한다.
노즐 본체(201)는 청소기의 본체(미도시)와 연통되는 오물흡입통로(미도시)를 포함하며, 하면에는 오물이 흡입되는 오물 흡입구(202)가 형성된다.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은 노즐 본체(201)의 오물 흡입구(20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은 피 청소면과 마찰하며, 피 청소면에 있는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 등과 같이 가는 오물을 모아 뭉치게 하여 오물 흡입구(202)로 흡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은 오물 흡입구(202)의 중앙에 설치되어,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 사이로 최대의 흡입력이 걸리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은 각각 회전제한수단(231,232), 드럼 본체, 및 제거수단을 포함한다. 회전제한수단(231,232), 드럼 본체, 제거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회전드럼(20)의 회전제한수단(29), 드럼 본체(50), 제거수단(60)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 중 한 개의 회전드럼(221,222)이 회전하면, 다른 회전드럼(222,221)은 정지하도록 회전제한수단(231,232)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전제한수단(231,232)이 설치된 예가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 중 앞쪽에 위치한 회전드럼(221), 즉 제1회전드럼(221)과 동축 상으로 설치된 제1회전제한수 단(231)은 제1회전드럼(221)이 반 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고, 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 중 뒤쪽에 위치한 회전드럼(222), 즉 제2회전드럼(222)과 동축 상으로 설치된 제2회전제한수단(232)은 제2회전드럼(222)이 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고, 반 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회전제한수단(231,232)이 본 실시예와 같이 각각 래칫부로 형성된 경우에는 제1회전드럼(221)에 설치된 제1래칫 휠(233)은 반 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고, 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2회전드럼(222)과 동축 설치된 제2래칫 휠(237)은 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고, 반 시계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200)의 작용에 대해 도 12,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a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200)를 앞으로 밀 때,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의 각각에 설치된 제1 및 제2회전제한수단(231,232)의 동작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흡입 노즐 조립체(200)를 전방으로 밀면, 제1 및 제2회전드럼(221,222)은 피 청소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제1회전드럼(221)은 제1회전제한수단(231)에 의해 반 시계방향의 회전이 허용되므로, 흡입 노즐 조립체(2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1회전드럼(221)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그러나, 제2회전드럼(222)은 제2회전제한수단(232)에 의해 반 시계방 향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흡입 노즐 조립체(2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회전드럼(222)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 노즐 조립체(200)를 전방으로 밀면, 제2회전드럼(222)은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제2회전드럼(2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242)가 피 청소면과 마찰하여 가는 오물을 긁어 모은다. 이때, 제1회전드럼(221)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제2회전드럼(222)에 의해 긁어 모여진 오물을 오물 흡입구(202)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가는 오물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한편, 도 13b는 사용자가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200)를 뒤로 당길 때,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의 각각에 설치된 제1 및 제2회전제한수단(231,232)의 동작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흡입 노즐 조립체(200)를 후방으로 당기면, 제1 및 제2회전드럼(221,222)은 피 청소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제1회전드럼(221)은 제1회전제한수단(231)에 의해 시계방향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흡입 노즐 조립체(2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회전드럼(221)은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제2회전드럼(222)은 제2회전제한수단(232)에 의해 시계방향의 회전이 허용되므로, 흡입 노즐 조립체(2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2회전드럼(22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 노즐 조립체(200)를 후방으로 당기면, 제1회전드럼(221)은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제1회전드럼(2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 수 개의 돌기(241)가 피 청소면과 마찰하여 가는 오물을 긁어 모은다. 이때, 제2회전드럼(22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제1회전드럼(221)에 의해 긁어 모여진 오물을 오물 흡입구(202)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을 설치하면, 한 개의 회전드럼(221,222)은 오물을 모으고, 다른 한 개의 회전드럼(222,221)은 오물을 오물 흡입구(202)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한 개의 회전드럼(20)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피 청소면에 있는 가는 오물을 흡입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와 같이 한 쌍의 회전드럼(221,222)을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200)가 상술한 회전제한수단(231,232)과 다른 회전제한수단을 갖는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제한수단은 노즐 본체(201, 도 12 참조)에 설치되며, 각각 제1 및 제2회전드럼(261,262)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회전방지턱(251,252)을 포함한다. 이때, 제1 및 제2회전드럼(261,262)은 회전방향으로 경사지며, 펠트(felt)로 만들어진 복수 개의 돌기(261a,262a)를 포함한다. 즉, 제1회전드럼(261)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돌기(261a)는 제1회전드럼(261)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복수 개의 돌기(261a)가 제1회전방지턱(251)에 걸리지 않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제2회전드럼(262)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돌기(262a)는 제2회전드럼(26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복수 개의 돌기(262a)가 제2회전방지턱(252)에 걸리지 않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흡입 노즐 조립체(200, 도 12 참조)를 전방으로 밀어 제1 및 제2회전드럼(261,262)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 경우에는, 제1회전드럼(261)은 복수 개의 돌기(261a)가 제1회전방지턱(251)에 걸리지 않으므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제2회전드럼(262)은 복수 개의 돌기(262a)가 제2회전방지턱(252)에 걸리므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흡입 노즐 조립체(200)를 후방으로 당기어 제1 및 제2회전드럼(261,26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 경우에는, 제1회전드럼(261)은 복수 개의 돌기(261a)가 제1회전방지턱(251)에 걸리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제2회전드럼(262)은 복수 개의 돌기(262a)가 제2회전방지턱(252)에 걸리지 않으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및 제2회전드럼(261,262)의 외주면에 형성된 펠트로 된 복수 개의 돌기(261a,262a)는 제1 및 제2회전드럼(261,262)이 경사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제1 및 제2회전방지턱(251,252)에 의해 탄성 변형하였다가 원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나, 제1 및 제2회전드럼(261,262)이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제1 및 제2회전방지턱(251,252)이 복수 개의 돌기(261a,262a)의 아래쪽에 걸리므로 제1 및 제2회전드럼(261,262)이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는 흡입 노즐 조립체를 밀거나 당길 때 피 청소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드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피 청소면에 있는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과 같이 가는 오물을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는 일 방향으로는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는 정지하는 회전드럼을 포함하므로, 피 청소면의 가는 오물을 쉽게 긁어 모아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는 흡입 노즐 조립체를 밀고 당길 때, 한 개는 회전하고 나머지 한 개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회전드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피 청소면에 있는 가는 오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16)

  1. 오물 흡입구를 포함하는 노즐 본체; 및
    외주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 본체의 오물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노즐 본체가 이동하면 상기 복수 개의 돌기와 피 청소면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회전드럼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회전드럼과 일체로 설치되는 래칫 휠;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래칫 휠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래칫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노즐 본체를 앞으로 밀 때 상기 회전드럼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회전드럼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드럼 본체; 및
    상기 드럼 본체에 조립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는 봉 형상, 리브 형상, 고리형상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리브 형상의 돌 기 중 일부는 분할 리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으로 상기 노즐 본체에는 브러시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11. 오물 흡입구를 포함하는 노즐 본체;
    외주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 본체의 오물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회전드럼; 및
    상기 제1회전드럼과 나란하게 상기 오물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제2회전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회전드럼은 상기 노즐 본체가 이동하면 상기 복수 개의 돌기와 피 청소면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드럼은 각각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노즐 본체가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회전드럼은 회전하고 상기 제2회전드럼은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노즐 본체가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회전드럼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2회전드럼은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회전드럼 각각에 일체로 설치되는 래칫 휠; 및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래칫 휠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래칫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드럼은 각각 드럼 본체; 및
    상기 드럼 본체에 조립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는 봉 형상, 리브 형상, 고리형상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KR1020070024066A 2007-01-24 2007-03-12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KR100809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99,781 US20080172827A1 (en) 2007-01-24 2007-09-07 Suction nozz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EP07019520A EP1949839A1 (en) 2007-01-24 2007-10-05 Suction nozz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CN2007101823078A CN101229034B (zh) 2007-01-24 2007-10-17 用于真空吸尘器的吸尘管嘴组件
RU2007139593/12A RU2364310C1 (ru) 2007-01-24 2007-10-26 Узел всасывающей насадки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US12/231,070 US20090000057A1 (en) 2007-01-24 2008-08-28 Suction nozzle assembly usable with vacuum cleaner having hair collecting memb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hair b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714907P 2007-01-24 2007-01-24
US60/897,149 2007-0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739B1 true KR100809739B1 (ko) 2008-03-06

Family

ID=3939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066A KR100809739B1 (ko) 2007-01-24 2007-03-12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09739B1 (ko)
CN (1) CN101229034B (ko)
RU (1) RU2364310C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56B1 (ko) * 2008-05-22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KR20180135676A (ko) * 2017-06-13 2018-12-21 정회길 수동식 진공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3662B2 (ja) * 2013-07-03 2017-03-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CN105919513A (zh) * 2016-06-13 2016-09-07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滚刷体及包含该滚刷体的清洁器具
CN114340460B (zh) * 2019-08-14 2023-12-22 三星电子株式会社 真空清洁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112U (ko) * 1991-01-28 1992-08-14 엘지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발판위치 선택장치
KR950010838A (ko) * 1993-10-28 1995-05-15 다까노 야스아끼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JP2001321304A (ja) * 2000-05-17 2001-11-20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2002143046A (ja) * 2000-11-08 2002-05-21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の回転ブラシ着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23259A (en) * 1971-07-14 1973-07-11 Wessel H Carpet or floor cleaning appliances
GB2266230B (en) * 1992-04-22 1995-11-29 Gold Star Co Nozzle head for vacuum cleaner with duster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112U (ko) * 1991-01-28 1992-08-14 엘지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발판위치 선택장치
KR950010838A (ko) * 1993-10-28 1995-05-15 다까노 야스아끼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JP2001321304A (ja) * 2000-05-17 2001-11-20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2002143046A (ja) * 2000-11-08 2002-05-21 Sanyo Electric Co Ltd 床用吸込具の回転ブラシ着脱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56B1 (ko) * 2008-05-22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KR20180135676A (ko) * 2017-06-13 2018-12-21 정회길 수동식 진공청소기
KR102025847B1 (ko) * 2017-06-13 2019-09-26 정회길 수동식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9034B (zh) 2010-12-15
CN101229034A (zh) 2008-07-30
RU2007139593A (ru) 2009-05-10
RU2364310C1 (ru)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564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RU2361502C1 (ru) Всасывающий узел и пылесос, содержащий указанный узел
RU2571810C1 (ru) Пылесос
US20090000057A1 (en) Suction nozzle assembly usable with vacuum cleaner having hair collecting memb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removing hair by using the same
KR100809739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 노즐 조립체
US20100205768A1 (en) Brush assembly of vacuum cleaner
EP1949841A1 (en) Suction brush assembly
TWI653023B (zh) 清掃機
KR20080086690A (ko) 노즐조립체
WO2015118981A1 (ja) 床面吸込具及びこの床面吸込具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15146958A (ja) 床面吸込具及びこの床面吸込具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H0686743A (ja) 掃除機
EP1949839A1 (en) Suction nozzle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JP2008043351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101476156B1 (ko) 털 수거부재를 갖는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조립체, 이를구비한 진공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털제거방법
JPWO2019026307A1 (ja) 電気掃除機の回転ブラシ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US8011061B2 (en)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
US11540685B2 (en) Nozzle for cleaner, and vacuum cleaner
JP2004329618A (ja) 手動清掃具
JP2012205799A (ja) 吸込口体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掃除機
KR20150075642A (ko) 로봇청소기의 흡입구
KR20090129114A (ko) 청소기
JP2004237127A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JP3131175U (ja) ペット用ブラシ
JP2022177601A (ja) 吸込口体の回転ブラシおよびそれを備えた吸込口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