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227B1 -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227B1
KR101445227B1 KR1020140086949A KR20140086949A KR101445227B1 KR 101445227 B1 KR101445227 B1 KR 101445227B1 KR 1020140086949 A KR1020140086949 A KR 1020140086949A KR 20140086949 A KR20140086949 A KR 20140086949A KR 101445227 B1 KR101445227 B1 KR 10144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ction
flow member
discharge hol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비
Priority to KR102014008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상호 이격하여 수직하게 관통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매트가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상측을 마감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와, 상기 통공의 하부에서 승·하강되고, 가압체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매트 상부면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통공의 테두리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흡입부와, 상기 통공의 중심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되는 제2흡입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유동부재와, 상기 유동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탄성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유동부재가 슬라이딩되면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공이 상기 유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Pressure-type suctioning device for foreign substance}
본 발명은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의 상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공기 흡입부가 개방되어 매트 상부면에 접하는 물체의 이물질을 집중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병원, 학교 등과 같은 공공장소 또는 가정, 공장의 출입구 처럼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많은 사람이 출입하는 곳에서는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떨어진다.
이때,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출입구에 떨어지는 경우는 물론, 건물 내부의 복도나 사무실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 실내 미관을 헤칠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를 오염시켜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호흡기 계통의 질환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이물질이 건물 내부에 떨어진 상태로 난방기 또는 냉방기를 가동하게 되는 경우, 오염된 공기가 쉽게 떠돌아 다니기 때문에 실내 환경 오염의 정도가 더욱 심해진다.
이에 건물의 출입구에는 신발 밑창에 묻어 있는 흙과 같은 먼지 등을 털어낼 수 있도록 발판이나 매트 등이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발판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격판이 격자형으로 배열되며, 매트는 수분이나 먼지를 흡착하기 위해 대부분 직물로 이루어진 것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판이나 매트는 사용자가 직접 다리를 움직여 신발에 묻은 흙과 같은 먼지 등을 털어내야만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매트는 먼지가 흡착된 후에 곰팡이가 발생될 수 있고, 청결 유지를 위해서 주기적인 소독 또는 세탁이 필요하며, 매트 자체의 형태 변형 등으로 인해 사용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0029호(공개일 2009.01.28)에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발판 형태로 이루어진 매트(111)의 상부를 밟게 되면, 출입자의 발이 위치된 영역의 스프링 부재(112)가 하향 되면서 흡입공(113)이 개방되고, 흡입공(113)을 통해 신발(S)의 바닥에 묻은 먼지 및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먼지 흡입장치(100)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먼지 흡입장치(100)는 신발 바닥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되는 흡입공(113)을 통해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나, 가압되는 영역에 비해 이물질이 흡입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적은 영역에 해당하여 신발 바닥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신발 바닥의 가압에 의해 흡입되는 영역을 넓게 하고자 흡입공(113)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물질에 의해 흡입공(113)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9804호(공고일 2013.11.11)에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출입자의 신발(S)이 하우징(210) 상부로 노출된 상태의 헤드(211)를 누르게 되면, 수 개의 헤드(211)가 일체로 연결되어 탄성체(212)에 의해 지지되는 작동 부재(214)가 하강하면서 해당 영역의 흡입공(213)들이 개방되어 신발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200)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200)는 수 개의 헤드(21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작동 부재(214)에 의해 신발 하부 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 흡입공(213)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여러 부위에서 제거하는 효과는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먼지 흡입장치(100)와 같이 가압 영역에 비해 흡입 영역이 상대적으로 적어 효과적인 이물질 제거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상존하였고, 이에 더해 신발의 이물질 제거와 관련이 없는 부분의 공기도 흡입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하게 되어 유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가압체의 가압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부위가 개방되도록 하여 이물질을 흡입하면서도, 가압된 영역에서 보다 많은 이물질을 집중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무실, 병원, 공장 및 가정의 출입구나 물품을 이송하는 이동 경로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 가압체에 묻은 이물질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호 이격하여 수직하게 관통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매트가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상측을 마감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통공의 하부에서 승·하강되고, 가압체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매트 상부면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통공의 테두리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흡입부와, 상기 통공의 중심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되는 제2흡입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유동부재와, 상기 유동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탄성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유동부재가 슬라이딩되면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공이 상기 유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부재와 지지부재의 결합면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과 결합 가능하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동부재는 내부 영역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하부 외면에 적어도 두 개가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오목부와 외면 사이의 영역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하부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유동부재의 외측 하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저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흡입부는 상기 유동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통공을 하부에서 수밀하게 마감하는 상기 유동부재의 상측이 상기 통공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흡입되고, 상기 제2흡입부는 상기 유동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관통공이 배출공과 점차 일치되어 상기 배출공이 개방되면서 상기 제1흡입부와 연동하여 흡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배출공에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유동부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함몰부의 개구된 하측을 마감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체의 가압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부위가 개방되도록 하여 이물질을 흡입하면서도, 가압된 영역에서 보다 많은 이물질을 집중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사무실, 병원, 공장 및 가정의 출입구나 물품을 이송하는 이동 경로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 가압체에 묻은 이물질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먼지 흡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유동부재, 탄성부재 및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대한 측단면도로, (가)는 유동부재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고, (나)는 유동부재가 가압된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의 측단면도로, (가)는 유동부재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고, (나)는 유동부재가 가압된 상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케이스 내에 삽입되는 유동부재, 탄성부재 및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는 크게 하우징(10), 유동부재(20), 탄성부재(30), 지지부재(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하우징(10)은 내부에는 수용공간(11)이 마련되고, 상측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공(13)이 상호 이격하여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매트(12)가 개구된 상측을 마감하도록 형성된다.
유동부재(20)는 수용공간(11)으로 삽입되어 통공(13)의 하부에서 승·하강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상부가 매트(12)보다 돌출되어 통공(13)이 수밀하게 마감되도록 형성되고, 가압체에 의해 매트(12)의 상부면에 압력이 가해지면 그 압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매트(12) 상부면의 공기가 제1흡입부(21) 및 제2흡입부(22)에 의해 흡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유동부재(20)는 내부 영역에서 하측으로 함몰되는 오목부(23)와, 오목부(23)의 하부에서 외면으로 적어도 두 개가 관통되는 관통공(24)과, 오목부(23)와 외면 사이의 영역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25)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제1흡입부(21)는 통공(13)의 테두리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되고, 제2흡입부(22)는 제1흡입부(21)와 연동하여 통공(13)의 중심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된다.
탄성부재(30)는 함몰부(25)에 삽입되어 유동부재(20)의 내측 상부면에 탄성 지지되는 것으로, 가압체에 의해 매트(12)의 상부면에 압력이 가해지면 하강하는 유동부재(20)를 지지하였다가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 하강된 유동부재(20)가 승강되도록 하여 개방되었던 통공(13)이 다시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재(40)는 유동부재(20)가 슬라이딩되면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되, 탄성부재(30)가 이탈되지 않으면서 유동부재(20)의 외측 하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공(42)이 형성되어 오목부(23)의 외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41)와, 슬라이딩부(41)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저면부(4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배출공(42)은 유동부재(20)가 하강된 상태에서 관통공(24)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유동부재(20)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도록 형성되며, 유동부재(20)가 하강함에 따라 관통공(24)이 배출공(42)과 점차 일치되어 제1흡입부(21)와 연동하여 제2흡입부(22)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부(41)의 외면에는 배출공(42)에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유동부재(20)에 삽입된 탄성부재(30)를 지지하고, 함몰부(25)의 개구된 하측을 마감하는 고정편(4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첨부한 도면에서 관통공(24) 및 배출공(42)은 원형의 형상으로 오목부(23) 및 슬라이딩부(41)의 하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공(24) 및 배출공(42)의 형상을 길이방향의 장홀로 형성하거나, 오목부(23) 및 슬라이딩부(41)의 하단부에 근접한 높이에 형성하는 등 이물질의 용이한 흡입과 오목부(23) 내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에는 유동부재(20)가 승·하강되는 동안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5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부재(50)는 유동부재(20)와 지지부재(40)의 결합면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턱(51)과, 걸림턱(51)과 결합 가능하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홈(5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23)의 외면에 걸림턱(51)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부(41)의 내면에 걸림홈(52)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의 조립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상부에는 매트(12)가 결합되고, 수용공간(11)으로는 유동부재(20)에 탄성부재(30)가 삽입된 상태로 지지부재(40)가 결합되어 다수의 통공(13) 하측으로 각각 결합된다.
이때, 유동부재(20)는 가압체에 의해 하강되도록 통공(13)에서 매트(12)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되, 돌출되는 높이는 유동부재(20)가 매트(12)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하강하였을 때 유동부재(20)의 하단부가 저면부(43)에 이격되고, 관통공(24)과 배출공(42)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오목부(23)-관통공(24)-배출공(42)이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수용공간(11)에 연결되어 수용공간(1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 압력 및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C)이 결합된다.
더불어, 제1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가압체는 보행자가 착용하는 신발인 것으로 설명한다.
보행자가 건물의 출입을 위해 출입구에 설치된 매트(12)의 상면을 밟게 되면, 매트(12)의 상면으로 돌출된 유동부재(20)는 보행자의 체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동부재(20)가 하강함에 따라 수밀하게 폐쇄되었던 통공(13)이 개방되는데, 통공(13)과 유동부재(20)의 상부면이 이격되면서 제1흡입부(21)인 통공(13)의 테두리부에서 흡입이 가능해진다.
또한, 관통공(24)과 배출공(42)이 일치되어 오목부(23)-관통공(24)-배출공(42)이 연통되고, 연통된 상태에서 유동부재(20)의 외면이 저면부(43)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제2흡입부(22)인 통공(13)의 중심부에서 흡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흡입부(21)와 제2흡입부(22)는 기본적으로 동시에 흡입되는 것이나, 유동부재(20) 상부면의 형상, 유동부재(20)의 상면이 매트(12)에서 돌출되는 높이, 그리고 관통공(24)과 배출공(42)이 동일선상에 놓이는 위치에 따라, 가압 초기에는 제1흡입부(21)와 제2흡입부(22) 중 어느 하나부터 순차적으로 흡입되다가 완전히 가압되면 모두 흡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흡입부(21)와 제2흡입부(22)를 통해 신발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의 대부분이 흡입되므로, 신발에 흡착된 이물질을 보다 집중적이고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의 (나)와 같이, 오목부(23)와 슬라이딩부(41)로 걸림턱(51)과 걸림홈(52)이 각각 형성되어, 유동부재(20)가 승·하강되는 동안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되거나 유동되는 것이 방지면서 유동부재(20)의 승·하강을 안내하므로, 유동부재(20)가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면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오목부(23)의 개구된 상측으로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관통공(24)이나 배출공(4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거름망(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으며, 오목부의 상면 또는 매트 상면으로는 미사용시 이물질의 유입 및 적층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라이딩부(41)의 외측에 배출공(42)의 위치보다 상측으로 고정편(44)이 형성되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이를 통해, 제2흡입부(22)로 흡입되는 이물질이 탄성부재(30)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탄성부재(30)의 내구성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동부재(20)가 안정적으로 승·하강되어 제품의 오작동을 방지를 통한 내구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고정편(44)의 길이는 함몰부(25)에 삽입된 탄성부재(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도 유동부재(20)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에 대한 제3실시예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오목부(23)의 하면이 탄성 지지되도록 슬라이딩부(41)의 내측에 보조탄성부재(31)가 설치되는 점에서 제1 및 제2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이를 통해, 탄성부재(30)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고, 유동부재(20)가 원활하게 승·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행자의 체중보다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사무실, 병원, 공장 및 가정의 출입구나 물품을 이송하는 이동 경로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여 가압체에 묻은 이물질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하우징 11 : 수용공간
12 : 매트 13 : 통공
20 : 유동부재 21 : 제1흡입부
22 : 제2흡입부 23 : 오목부
24 : 관통공 25 : 함몰부
30 : 탄성부재 31 : 보조탄성부재
40 : 지지부재 41 : 슬라이딩부
42 : 배출공 43 : 저면부
44 : 고정편 50 : 고정부재
51 : 걸림턱 52 : 걸림홈
C : 제어유닛

Claims (4)

  1. 상호 이격하여 수직하게 관통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매트가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상측을 마감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통공의 하부에서 승·하강되고, 가압체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매트 상부면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통공의 테두리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되는 제1흡입부와, 상기 통공의 중심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되는 제2흡입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유동부재;
    상기 유동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탄성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
    상기 유동부재가 슬라이딩되면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공이 상기 유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와 지지부재의 결합면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과 결합 가능하도록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동부재는 내부 영역에서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하부 외면에 적어도 두 개가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오목부와 외면 사이의 영역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하부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유동부재의 외측 하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저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이물질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부는 상기 유동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통공을 하부에서 수밀하게 마감하는 상기 유동부재의 상측이 상기 통공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흡입되고, 상기 제2흡입부는 상기 유동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관통공이 배출공과 점차 일치되어 상기 배출공이 개방되면서 상기 제1흡입부와 연동하여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이물질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배출공에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유동부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함몰부의 개구된 하측을 마감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편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40086949A 2014-07-10 2014-07-10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 KR10144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949A KR101445227B1 (ko) 2014-07-10 2014-07-10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949A KR101445227B1 (ko) 2014-07-10 2014-07-10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227B1 true KR101445227B1 (ko) 2014-09-29

Family

ID=5176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949A KR101445227B1 (ko) 2014-07-10 2014-07-10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2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103B1 (ko) 2011-02-01 2011-12-26 에스앤이지텍(주)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KR101255054B1 (ko) 2012-02-15 2013-04-16 (주)테스토닉 먼지 흡입장치
KR101287946B1 (ko) 2013-04-08 2013-07-19 이수영 먼지흡입장치
KR101374017B1 (ko) 2013-01-07 2014-03-25 신재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103B1 (ko) 2011-02-01 2011-12-26 에스앤이지텍(주)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KR101255054B1 (ko) 2012-02-15 2013-04-16 (주)테스토닉 먼지 흡입장치
KR101374017B1 (ko) 2013-01-07 2014-03-25 신재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KR101287946B1 (ko) 2013-04-08 2013-07-19 이수영 먼지흡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2692B2 (en) Dust suction device utilizing beads
JP2020516434A (ja) 空気流入弁を備えた塵埃吸引エアマット
KR101098103B1 (ko)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KR20110119441A (ko)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US20070271723A1 (en) Door Threshold Vacuum
JP2018510746A (ja) 消毒用踏み込みマット
KR102038348B1 (ko) 신 바닥 클리닝 장치
KR101273861B1 (ko)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KR101445227B1 (ko) 가압식 이물질 흡입장치
CN104523212A (zh) 吸尘地垫
KR101310888B1 (ko)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KR101287946B1 (ko) 먼지흡입장치
KR101318829B1 (ko)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JP6170741B2 (ja) 吸引式清浄装置
CN204379222U (zh) 吸尘地垫
KR200445371Y1 (ko) 신발의 먼지 털이 장치
KR101428802B1 (ko) 진공 흡입식 발판
KR20140092581A (ko) 신발 소독장치
KR101266854B1 (ko) 흡입판
KR101609864B1 (ko)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ATE444691T1 (de) Bartheke
KR101551482B1 (ko) 욕실화
KR20150062619A (ko) 신발바닥 먼지흡입 매트
KR102326761B1 (ko)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짐받이 장치
KR102029897B1 (ko) 미끄럼 방지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