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829B1 -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8829B1 KR101318829B1 KR1020130053055A KR20130053055A KR101318829B1 KR 101318829 B1 KR101318829 B1 KR 101318829B1 KR 1020130053055 A KR1020130053055 A KR 1020130053055A KR 20130053055 A KR20130053055 A KR 20130053055A KR 101318829 B1 KR101318829 B1 KR 1013188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housing
- elastic
- dust
- sho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모터를 통해 수평 진동하는 상판에 의해 신발의 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되며, 흡입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하판에 의해 흡입구 방향으로 먼지가 이동하게 되어 흡입력이 크지 않아도 먼지의 이탈 및 흡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된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의 흡입구들이 신발의 압력이 발생할 때마다 탄성력을 가지며 하강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흡입부와; 개방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먼지를 유입시켜 유입관을 통해 흡입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과 상기 유입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흡입장치와; 상기 흡입부의 신발이 닿는 부위를 수평으로 진동시켜 신발의 이물질을 이탈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있는 진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시설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먼지를 이탈시키고 이탈된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 연구소, 병원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오염원이 침투되어서는 안될 시설물의 출입구에는 출입자의 신체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설치된다.
그러한 장치들 중의 하나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는 특히 신발의 바닥에 붙은 먼지 등 이물질의 제거에 사용된다.
종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에 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10029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19441호 등을 통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10029호에 따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는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에 흡입력이 전달되도록 설치되는 흡입기, 및 하우징에 형성된 각 흡입공이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입기에서 전달되는 흡입압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탄성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출입자가 발판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의 상부를 밟게 되면, 출입자의 발이 위치된 영역의 탄성 작동부재가 하향 동작되면서 하우징의 상부에 관통 형성된 해당 흡입공이 개방되고, 흡입기에서 하우징 내부에 전달되는 흡입력이 흡입공으로 전달됨에 따라서 개방된 흡입공을 통해서 신발의 하부에 붙은 먼지 등 이물질이 분리 제거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먼지 흡입장치에서는 하우징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탄성 작동부재들 중에서 출입자의 신발에 의해서 눌리는 몇 개의 탄성 작동부재들만이 하강하여 해당 흡입공이 개방이 됨에 따라서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만이 제거될 수 밖에 없었다.
즉, 출입자의 신발 주위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의 제거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19441호가 안출되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19441호에 따른 먼지 흡입장치는 하우징의 하측에 탄성 작동부재들 중 인접한 복수의 탄성 작동부재가 단위 결속수단을 통해 한 묶음으로 결속되게 하여 단위 결속수단을 통해 결속된 탄성 작동부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탄성 작동부재가 눌리면 주변의 다른 탄성 작동부재들도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먼지 흡입장치는 흡입공에 대응하는 수만큼 탄성작동부재가 필요하고, 탄성작동부재가 한 단위로 묶여 동작이 되게 하기 위한 별도의 결속수단이 필요하여 제작상의 어려움이 따른다.
이 밖에도 종래기술들에 있어서, 신발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은 흡입기의 흡입력에 의해서만 이탈될 수 있으므로 신발 밑창에 강력하게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은 제거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발로부터 이탈된 먼지가 하판으로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흡입구로부터 거리가 먼 곳의 먼지는 흡입구까지 유입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구 개수만큼의 탄성체 및 결속수단 없이도 단위 일체형의 탄성 작동부재가 동작하여 흡입구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상판 혹은 개폐수단을 진동시키는 진동모터를 구성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로부터 이탈된 먼지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되도록 흡입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하판을 구성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된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의 흡입구들이 신발의 압력이 발생할 때마다 탄성력을 가지며 하강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흡입부와; 개방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먼지를 유입시켜 유입관을 통해 흡입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과 상기 유입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흡입장치와; 상기 흡입부의 신발이 닿는 부위를 수평으로 진동시켜 신발의 이물질을 이탈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있는 진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통공된 흡입공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수평 진동하는 상판과; 하우징의 하부를 구성하여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수직 테두리의 상단 내 측벽을 따라 홈을 형성하여 상판이 놓이도록 하는 하판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며 흡입공들을 개폐시키는 탄성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통공된 흡입공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상판과; 하우징의 하부를 구성하여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수직 테두리의 상단 내 측벽을 따라 홈을 형성하여 상판이 놓이도록 하는 하판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며 흡입공들을 개폐시키며, 상기 진동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수평 진동하는 탄성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판은, 유입된 먼지가 상기 흡입장치의 유입관에 연결된 유출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상기 유출관 방향으로 하향된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 작동부재는, 평활한 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흡입공의 측벽과 면착되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헤드가 단위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헤드가 흡입공과 면착되도록 상기 개폐수단을 밀어올리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는 원통형 혹은 코일형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우징 하판은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어,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다른 경사에 위치하는 탄성체들이 수평의 개폐수단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가 경사부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우징 하판은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어,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다른 경사에 위치하는 탄성체들이 경사부와 평행한 개폐수단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에 의하면, 단위 일체형의 탄성 작동부재가 동작함에 따라 탄성 작동부재의 면적에 해당하는 흡입구를 동시에 개폐시킴으로써 흡입구 개수만큼의 탄성체 및 결속수단이 필요없게 되어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진동모터를 통해 수평 진동하는 상판에 의해 신발의 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흡입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하판에 의해 흡입구 방향으로 먼지가 이동하게 되어 흡입력이 크지 않아도 먼지의 이탈 및 흡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부분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는 크게 신발의 압력이 가해질 때마다 신발의 먼지를 흡입하도록 동작하는 흡입부(100), 상기 신발의 먼지를 흡입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동작시키는 흡입장치(200), 상기 흡입부(100)를 좌우로 진동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모터를 동작시키는 진동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부(100)는 신발 바닥이 놓이게 되는 상판의 흡입구가 신발의 압력이 발생할 때마다 탄성 작동부재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먼지가 흡입장치(200)로 흡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부(100)는 하우징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게 통공형의 유출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관은 상기 흡입장치(200)의 유입관과 연결되어 있어 흡입장치(200)의 흡입기류가 밀폐되어 있는 하우징의 흡입구까지 미치게 된다.
따라서 흡입장치(200)가 가동중인 상태에서 탄성 작동부재에 의해 개방된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들어온 먼지는 유출관 및 유입관을 통해 흡입장치(200)로 흡입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100)는 신발 바닥이 놓이게 되는 상판이 진동하도록 진동장치(300)와 연결되어 있어 진동장치가 가동될 때마다 상판이 좌우 진동함으로써 신발 바닥의 먼지가 효과적으로 이탈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장치(300)는 흡입부(100)의 상판 일 측단과 연결되어 있어, 계속적인 상판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탄성 작동부재가 신발 압력에 의해 하강할 때마다 작동하여 상판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작동부재의 하강 및 승강에 따른 진동장치의 작동은 상기 진동장치 및 탄성 작동부재와 연결된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하판 상에서 상기 상판이 수평 진동을 할 수 있도록, 상판 둘레를 따라 하판과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입부(100)는 상판(110)과 하판(130)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 작동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하우징에 있어서, 하판(130)이 유출관(101) 측으로 하향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부(100)는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의 폐쇄에 따라 밀폐된 공간을 갖도록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각 흡입공(111)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토록 형성되어 있어 흡입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흡입 압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탄성 작동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은, 신발로부터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 형태의 하판(130)의 테두리 상단을 따라 상판(110)이 놓이게 되도록 하여 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상판(110)은 그 끝단에 다수의 흡입공(1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판재형이고, 하기에 설명될 헤드와 대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공(111)의 측벽은 반구형의 상기 헤드면과 면착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흡입공이 형성된 상판 상으로 헤드가 관통되지 않도록 적절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판(130)은 상기 상판(110)의 테두리가 하판 테두리의 상단 내 측벽에 걸리도록, 하판 테두리를 따라 상판 테두리 치수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의 흡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를 수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판(130) 상에서 상기 상판(110)이 수평 진동을 할 수 있도록, 상판 둘레를 따라 하판 측벽과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판(130)은 유입된 먼지가 흡입장치의 유입관에 연결된 유출관(10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출관(101) 방향으로 하향된 경사부(131)를 형성하는 바닥면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판(130)은 그 내부에서 유출관(101)이 위치하는 일 측 모서리로부터 상향된 경사면이 타 측 모서리까지 연결되어 경사부(131)를 형성한다.
상기 탄성 작동부재(120)는 상기 상판(110)과 하판(130) 사이에 위치하며 상판(110)과 하판(130)을 각각 밀어내도록 탄성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 작동부재(120)는 평활한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인 수개의 헤드(121)가 상기 흡입구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헤드(121)의 상부에 헤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밀어내는 탄성체(1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 작동부재(120)의 개폐수단은 각 헤드들이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직사각 형태의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작동부재(120)는 헤드(121) 사이에서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헤드의 하측에 탄성체(125)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125)는 원통형 혹은 코일의 스프링 형태를 가진다.
상기 탄성체(125)는 일 단이 상기 탄성 작동부재(120)의 헤드(121)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 하판(13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125)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우징 하판(130)은 경사부(131)를 형성하고 있는 바,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다른 경사에 위치하는 탄성체들이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125) 역시 하우징 전체 상/하 폭에 맞춰 경사부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체(125)는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하판(130)과 헤드(121)를 각각 밀어내어 흡입구(111)와 헤드(121)의 면이 서로 면착되도록 하여 흡입구를 폐쇄시키고 신발의 압력에 의해 헤드(121)가 하강하면 탄성체(125)가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출입자가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된 헤드(121)를 밟으면 탄성체(125)의 상하방향 길이가 축소되면서 헤드(121)가 하강하여 흡입공(111)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가 설치된 출입구를 통해 출입자는 잠시 멈춰서서 신발에 붙은 먼지 등의 물질이 흡입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입자의 신발(S)은 일부분이 하우징 상부로 노출된 상태의 헤드를 누르게 되는데, 이때 탄성 작동부재는 몇 개의 헤드가 일체로 연결되어 헤드 구성되는 단위별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출입자의 신발(S)에 의해서 직접 눌리지 않은 헤드라 하더라도 출입자의 신발에 의해 눌린 헤드와 함께 탄성 작동부재에 형성되어 출입자의 신발에 의해 눌린 헤드와 함께 작동하게 된다.
흡입부에서 출입자의 신발에 의해 눌린 헤드가 하강하며 탄성체의 길이를 축소시킴으로써 하우징 상판에 형성된 흡입공이 개방된다.
이때, 출입자의 신발 하부 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 설치된 작동부재가 작동이 되면서 해당 영역의 흡입공들이 개방된다.
또한 흡입부의 상판은 진동모터에 의해 계속적인 진동을 발생하게 되고, 신발로부터 이탈되어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먼지들은 경사부를 따라 하강하여 유출관까지 이동하게 된다.
출입자의 신발로부터 이탈된 먼지들이 흡입공들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면 탄성체는 복원력이 발생하여 탄성 작동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하우징 상판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공들은 다시 닫힌 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는 크게 신발의 압력이 가해질 때마다 신발의 먼지를 흡입하도록 동작하는 흡입부(400), 상기 신발의 먼지를 흡입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동작시키는 흡입장치, 상기 흡입부(400)를 좌우로 진동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모터를 동작시키는 진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부(400)는 신발 바닥이 놓이게 되는 상판의 흡입구가 신발의 압력이 발생할 때마다 탄성 작동부재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먼지가 흡입장치로 흡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부(400)는 하우징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게 통공형의 유출관(4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관(401)은 상기 흡입장치의 유입관과 연결되어 있어 흡입장치의 흡입기류가 밀폐되어 있는 하우징의 흡입구까지 미치게 된다.
따라서 흡입장치가 가동 중인 상태에서 탄성 작동부재에 의해 개방된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들어온 먼지는 유출관 및 유입관을 통해 흡입장치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부(400)는 상판(410)과 하판(430)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 작동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하우징에 있어서, 하판(430)이 유출관(401) 측으로 하향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부(400)는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의 폐쇄에 따라 밀폐된 공간을 갖도록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각 흡입공(411)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토록 형성되어 있어 흡입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흡입 압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탄성 작동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은, 신발로부터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 형태의 하판(430)의 테두리 상단을 따라 상판(410)이 놓이게 되도록 하여 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상판(410)은 그 끝단에 다수의 흡입공(4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판재형이고, 하기에 설명될 헤드와 대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공(411)의 측벽은 반구형의 상기 헤드면과 면착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흡입공이 형성된 상판 상으로 헤드가 관통되지 않도록 적절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판(430)은 상기 상판(410)의 테두리가 하판 테두리의 상단 내 측벽에 걸리도록, 하판 테두리를 따라 상판 테두리 치수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의 흡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를 수용하도록 한다.
상기 하판(430)은 유입된 먼지가 흡입장치의 유입관에 연결된 유출관(40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출관(401) 방향으로 하향된 경사부(431)를 형성하는 바닥면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판(430)은 그 내부에서 유출관(401)이 위치하는 일 측 모서리로부터 상향된 경사면이 타 측 모서리까지 연결되어 경사부(431)를 형성한다.
상기 탄성 작동부재(420)는 상기 상판(410)과 하판(430) 사이에 위치하며 상판(410)과 하판(430)을 각각 밀어내도록 탄성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 작동부재(420)는 평활한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인 수개의 헤드(421)가 상기 흡입구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헤드(421)의 상부에 헤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밀어내는 탄성체(4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 작동부재(420)의 개폐수단은 각 헤드들이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직사각 형태의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진동하도록 진동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진동장치가 가동될 때마다 개폐수단이 좌우 진동함으로써 신발 바닥의 먼지가 효과적으로 이탈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장치는 흡입부(400)의 개폐수단 일 측단과 연결되어 있어, 헤드가 흡입구로부터 구속된 상태에서 계속적인 개폐수단 진동을 발생시키다가, 탄성 작동부재가 신발 압력에 의해 하강할 때마다 작동하여 개폐수단을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의 헤드 상단에는 브러쉬(429)가 형성되어 있어 신발과 브러쉬가 닿아 개폐수단이 진동함에 따라 브러쉬가 신발 바닥의 먼지를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작동부재(420)는 헤드(421) 사이에서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헤드의 하측에 탄성체(425)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425)는 원통형 혹은 코일의 스프링 형태를 가진다.
상기 탄성체(425)는 일 단이 상기 탄성 작동부재(420)의 헤드(421)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 하판(43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425)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우징 하판(430)은 경사부(431)를 형성하고 있는 바, 상기 탄성 작동 부재(420)와 상판(410)은 모두 하판(430)의 경사부와 평행 상태를 가지게 되며, 이에 탄성체들이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425) 역시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체(425)는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하판(430)과 헤드(421)를 각각 밀어내어 흡입구(411)와 헤드(421)의 면이 서로 면착되도록 하여 흡입구를 폐쇄시키고 신발의 압력에 의해 헤드(421)가 하강하면 탄성체(425)가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400: 흡입부 110, 410 : 상판
111, 411 : 흡입공 120, 420 : 탄성 작동부재
121, 421 : 헤드 125, 425 : 탄성체
130, 430 : 하판 131, 431 : 경사부
200 : 흡입장치 300 : 진동장치
111, 411 : 흡입공 120, 420 : 탄성 작동부재
121, 421 : 헤드 125, 425 : 탄성체
130, 430 : 하판 131, 431 : 경사부
200 : 흡입장치 300 : 진동장치
Claims (8)
- 삭제
- 밀폐된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의 흡입구들이 신발의 압력이 발생할 때마다 탄성력을 가지며 하강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흡입부와;
개방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먼지를 유입시켜 유입관을 통해 흡입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과 상기 유입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흡입장치와;
상기 흡입부의 신발이 닿는 부위를 수평으로 진동시켜 신발의 이물질을 이탈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있는 진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입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통공된 흡입공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수평 진동하는 상판과;
하우징의 하부를 구성하여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수직 테두리의 상단 내 측벽을 따라 홈을 형성하여 상판이 놓이도록 하는 하판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며 흡입공들을 개폐시키는 탄성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작동부재는,
평활한 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흡입공의 측벽과 면착되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헤드가 단위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헤드가 흡입공과 면착되도록 상기 개폐수단을 밀어올리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우징 하판은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어,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다른 경사에 위치하는 탄성체들이 수평의 개폐수단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가 경사부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밀폐된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의 흡입구들이 신발의 압력이 발생할 때마다 탄성력을 가지며 하강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흡입부와;
개방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먼지를 유입시켜 유입관을 통해 흡입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과 상기 유입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흡입장치와;
상기 흡입부의 신발이 닿는 부위를 수평으로 진동시켜 신발의 이물질을 이탈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있는 진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입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통공된 흡입공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상판과;
하우징의 하부를 구성하여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수직 테두리의 상단 내 측벽을 따라 홈을 형성하여 상판이 놓이도록 하는 하판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며 흡입공들을 개폐시키며, 상기 진동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수평 진동하는 탄성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작동부재는,
평활한 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흡입공의 측벽과 면착되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헤드가 단위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헤드가 흡입공과 면착되도록 상기 개폐수단을 밀어올리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우징 하판은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어,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다른 경사에 위치하는 탄성체들이 수평의 개폐수단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가 경사부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삭제
- 삭제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원통형 혹은 코일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3055A KR101318829B1 (ko) | 2013-05-10 | 2013-05-10 |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PCT/KR2014/004010 WO2014182042A1 (ko) | 2013-05-10 | 2014-05-07 |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US14/274,626 US20140331442A1 (en) | 2013-05-10 | 2014-05-09 | Dust Suction Apparatus for Sho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3055A KR101318829B1 (ko) | 2013-05-10 | 2013-05-10 |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8829B1 true KR101318829B1 (ko) | 2013-10-16 |
Family
ID=4963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3055A KR101318829B1 (ko) | 2013-05-10 | 2013-05-10 |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331442A1 (ko) |
KR (1) | KR101318829B1 (ko) |
WO (1) | WO2014182042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8994B1 (ko) * | 2019-06-27 | 2020-06-04 | 주식회사 아이에스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이물질 제거 바닥패널 |
CN111685707A (zh) * | 2020-05-08 | 2020-09-22 | 邯郸学院 | 一种用于计算机方面的计算机实验室清洁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23753A (zh) * | 2014-11-28 | 2015-02-04 | 张汉桥 | 鞋底清理装置 |
CN104983382B (zh) * | 2015-07-08 | 2018-02-27 | 蹇驰丽 | 一种鞋底清洁器 |
USD999465S1 (en) * | 2018-11-26 | 2023-09-19 | DG Technologies LLC | Shoe disinfecting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9988Y1 (ko) | 2003-10-06 | 2004-01-28 | 박충배 | 신발장 |
KR101096161B1 (ko) | 2009-10-21 | 2011-12-19 | 김성환 |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
KR20130040394A (ko) * | 2011-10-14 | 2013-04-24 | 에스앤이지텍(주) |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86531A (en) * | 1972-07-07 | 1974-01-22 | J Borg | Portable self-cleaning door mat |
US4027355A (en) * | 1973-12-17 | 1977-06-07 | Mead George N J | Pneumatic cleaning mat and method of making same |
FI73125C (fi) * | 1984-10-05 | 1987-09-10 | Veli Veijo Antero Miettinen | Rengoeringsanordning foer skor. |
US5870797A (en) * | 1996-02-23 | 1999-02-16 | Anderson; Kent George | Vacuum cleaning system |
US6532618B2 (en) * | 2001-06-01 | 2003-03-18 | Robert Koch | Floor mat with incorporated vacuum system |
KR200419369Y1 (ko) * | 2006-04-03 | 2006-06-20 |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 도어 바닥용 안전발판 |
KR101271559B1 (ko) * | 2006-04-14 | 2013-06-11 | 가부시키가이샤 선 엔지니어링 | 흡진 장치 |
US8973197B2 (en) * | 2010-12-31 | 2015-03-10 | Julian Omidi | Sanitizing floor mat |
-
2013
- 2013-05-10 KR KR1020130053055A patent/KR1013188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4
- 2014-05-07 WO PCT/KR2014/004010 patent/WO201418204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5-09 US US14/274,626 patent/US20140331442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9988Y1 (ko) | 2003-10-06 | 2004-01-28 | 박충배 | 신발장 |
KR101096161B1 (ko) | 2009-10-21 | 2011-12-19 | 김성환 |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
KR20130040394A (ko) * | 2011-10-14 | 2013-04-24 | 에스앤이지텍(주) |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8994B1 (ko) * | 2019-06-27 | 2020-06-04 | 주식회사 아이에스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이물질 제거 바닥패널 |
CN111685707A (zh) * | 2020-05-08 | 2020-09-22 | 邯郸学院 | 一种用于计算机方面的计算机实验室清洁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82042A1 (ko) | 2014-11-13 |
US20140331442A1 (en) | 2014-1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8829B1 (ko) |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
KR101627330B1 (ko) | 먼지 흡입장치 | |
KR101198142B1 (ko) |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
KR101255054B1 (ko) | 먼지 흡입장치 | |
KR100683074B1 (ko) | 로봇청소기 | |
KR102033114B1 (ko) | 구슬이 적용된 먼지 흡입장치 | |
US9919252B2 (en) | Air purifier device with coupling mechanism | |
KR101599634B1 (ko) | 가습기능이 구비된 도자기형 공기정화기 | |
JP6854393B2 (ja) | 空気流入弁を備えた塵埃吸引エアマット | |
JP4851460B2 (ja) | サクション・ポンプを作動する方法及び排気弁を備えたサクション・ポンプ | |
KR101486754B1 (ko) |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 |
KR101697707B1 (ko) | 림프 순환을 돕는 피부운동 마사지기 | |
KR20110043150A (ko) |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 |
KR101273861B1 (ko) |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 |
KR101310888B1 (ko) |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 |
US20180161831A1 (en) | Automatic door and dust removal device thereof | |
KR101893409B1 (ko) |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 |
KR101533259B1 (ko) | 신발바닥 먼지흡입 매트 | |
JP6170741B2 (ja) | 吸引式清浄装置 | |
KR200469804Y1 (ko) |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
KR20150074780A (ko) | 신발바닥 먼지흡입 및 소독 매트 | |
KR101266854B1 (ko) | 흡입판 | |
KR101627333B1 (ko) | 먼지 흡입판넬 | |
JP6829433B2 (ja) | 集塵機 | |
JP5105590B2 (ja) | 空気吸込み口の清掃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