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82042A1 -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82042A1
WO2014182042A1 PCT/KR2014/004010 KR2014004010W WO2014182042A1 WO 2014182042 A1 WO2014182042 A1 WO 2014182042A1 KR 2014004010 W KR2014004010 W KR 2014004010W WO 2014182042 A1 WO2014182042 A1 WO 20141820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st
housing
elastic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40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준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
Publication of WO20141820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820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inhalation apparatus of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inhalation apparatus of a shoe installed at a floor of a doorway of a specific facility to remove dust from a shoe of a person and to suck and remove the dust. It is about.
  • the shoe's dust suction device is particularly used for the removal of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n the bottom of a shoe.
  • the dust suction device of the conventional shoe is disclosed throug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10029 an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19441.
  • the dust inhalation apparatus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10029 is installed so that the su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ach suction hole formed in the housing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actuating member to be opened or closed so that the suction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inhaler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of the area where the foot of the person is located moves downward while the corresponding suc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is opened, and the suction force transmitted from the inhaler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sucked.
  •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dhered to the bottom of the shoe can be separated and removed through the open suction hole.
  • the dust suction device As shown in Figure 2, the dust s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19441 is such that a plurality of adjacent elastic actuating members of the elastic actuating members i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is bound in a bundle through the unit binding means Thus, when any one of the elastic actuating members bound by the unit binding means is pressed, other elastic actuating members in the vicinity are simultaneously opera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dust suction device of a shoe to operate the unit integral type elastic actuating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suction port even without the number of elastic bodies and the binding means as the number of suction port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st suction device of the shoe constituting the lower plat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uction port so that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hoe is sucked more effectively.
  • the suction portion of the through-hol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ed housing so that the opening is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having a lowering elastic force whenever the pressure of the shoe occurs;
  • a suction device in which dust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open suction port to be supplied with power to suck through the inlet pipe, and operate a motor, wherein the outlet pipe of the housing and the inlet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Dust suction of the sho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ibrating device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by operating the vibration motor is supplied with power so as to vibrate the contact area of the suction unit horizontally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of the shoe Achieved by the device.
  • the suction unit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 suction holes at regular intervals, is connected to the vibrating device and the horizontal vibration plate;
  • a lower plate configured to form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o accommodate the separated dust, and to form a groove along the inner sidewall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rim so that the upper plate is placed;
  •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actuat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holes while maintaining an elastic stat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 the suction part comprises: an upper plate constituting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suction holes at regular intervals; A lower plate configured to form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o accommodate the separated dust, and to form a groove along the inner sidewall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rim so that the upper plate is plac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lastic actuating member which maintains an elastic stat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opens and closes the suction holes and is connected to the vibrating device to vibrate horizontally.
  • the bottom plate has an inclined portion whose bottom surface is downward in the outflow pipe direction so that the introduced dust can move to the outflow pipe side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of the suction device.
  •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includes: opening and closing means having a plurality of head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to protrude from a smooth plane and face the side wall of the suction ho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lastic body for maintaining the elastic stat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the lower plate to push up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so that the head is in contact with the suction hole.
  • the elastic body is preferably a cylindrical or coiled spring.
  • the lower plate of the housing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forms an inclined portion
  • the elastic body is inclined portion so that the elastic bodies located at different inclined inside the housing can have the same elastic force from the horizontal opening and closing means It is preferr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 the housing lower plat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forms an inclined portion, so that the elastic bodies located at different inclinations inside the housing can have the same elastic force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parallel to the inclined por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length.
  • the inlet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is opened and closed at the same tim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elastic bodies and the binding means as many as the inlet number,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 FIG. 1 is a view showing a dust suc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shoe
  • FIG. 2 is a view showing a dust suction device of another conventional shoe
  • FIG. 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st suction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ul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FIG. 5;
  •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dust suction device for sho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ust suction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ust s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ction unit 100, which operates to suck the dust of the shoe whenever the pressure of the shoe is greatly applied, the power supplied to suck the dust of the motor motor It comprises a suction device 200 for operating the vibration device 300 for operating the vibration motor by receiving power to vibrate the suction unit 100 to the left and right.
  • the suction part 100 allows the suction port of the upper plate on which the shoe bottom is placed to be opened by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whenever the pressure of the shoe is generated so that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suction port is sucked into the suction device 200.
  • the suction part 100 is formed with a through-flow outlet tub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the outlet pipe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of the suction device 200, the suction of the suction device 200 Air flow extends to the inlet of the housing where it is sealed.
  • suction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vibrator 300 so that the upper plate on which the shoe sole is placed vibrates so that the dust on the sole of the shoe is effectively separated by vibrating the upper plate left and right each time the vibrating apparatus is operated.
  • the vibration device 300 is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the upper plate of the suction unit 100 to generate a continuous upper plate vibration, or to operate each time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is lowered by the shoe pressure to vibrate the upper plate. Can be.
  •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lowering and lifting of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is controlled by a circuit connected to the vibrating apparatus and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 Figure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ust suction device of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 the suction p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nsisting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120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t is configured by.
  • the lower plate 130 in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downward inclined portion toward the outlet pipe 101 side.
  • the suction part 100 has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housing composed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to have a closed space according to the closing of the suction holes, and each suction hole 111 formed in the housing. It is formed to be capable of opening or closing the configuration consists of an elastic actuating member 120 to allow the suction pressure delivered from the suction device 200 to be selectively delivered.
  • the housing forms a space part by allowing the upper plate 110 to be plac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lower plate 130 having a rectangular shape to accommodat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hoe.
  • the upper plate 110 has a plat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11 penetrate through the end thereof, and is formed in a shape opposite to a head to be described below.
  • the sidewall of the suction hole 11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head surface, but is formed with an appropriate diameter so that the head does not penetrate through the upper plate on which the suction hole is formed.
  • the lower plate 130 is provided with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edge dimension along the lower plate edge such that the edge of the upper plate 110 is caught on the inner sidewall of the upper edge of the lower plate edge, and the dust flowing through the suction hole of the upper plate 110 is removed. Accept it.
  • the upper plate 110 on the lower plate 130 it is preferable to form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side wall along the upper plate circumference.
  • the lower plate 130 constitutes a bottom surface which forms an inclined portion 131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outflow pipe 101 so that the introduced dust can move to the outflow pipe 101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of the suction device.
  • the lower plate 130 has an inclined surface upwardly connected from one edge of the outlet pipe 101 to the other edge thereof to form an inclined portion 131 therein.
  •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120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and maintains an elastic state to push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respectively.
  •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120 has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which a plurality of heads 121 protruding from a smooth plane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uction port position, and a hea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head 121. It is composed of an elastic body 125 for push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 each head is not connected to a separate fastening means, but is formed in an integral form of a rectangular shape.
  •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120 is a through-hole formed between the head 121, the elastic body 125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d.
  • the elastic body 125 has a cylindrical or coiled spring form.
  • One end of the elastic body 125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d 121 of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1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lower plate 130.
  • the housing lower plate 13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125 forms the inclined portion 131, and the elastic body 125 so that all the elastic bodies located at different inclinations inside the housing may have the same elastic force.
  • the elastic body 125 pushes the lower plate 130 and the head 121 in the housing by the restoring force, respectively, so that the surfaces of the inlet 111 and the head 121 face each other, thereby closing the inlet and by the pressure of the shoe.
  • the elastic body 125 has elastic force.
  • the shoe (S) of the person is to press the head of the part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wherein the elastic actuation member is operated by a unit consisting of several head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ead .
  • the head pressed by the shoes of the person at the suction part descends and the suction hole formed in the housing upper plate is opened 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elastic body.
  • the upper plate of the suction unit generates a continuous vibration by the vibration motor,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shoe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is moved along the slope to the outflow pipe.
  • the elastic body When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shoes of the spectato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suction holes, the elastic body generates a restoring force and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suction holes formed in the housing upper plate are closed again.
  • Figure 7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dust suction device of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 Dust s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ction unit 400 which operates to suck the dust of the shoes whenever the pressure of the shoe is largely applied, the suction device to operate the motor by receiving power to suck the dust of the shoe, th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ibration device for operating the vibration motor by receiving power to vibrate the suction unit 400 from side to side.
  • the suction part 400 is opened by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whenever the suction port of the upper plate on which the shoe sole is placed is opened by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so that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suction port is sucked into the suction device.
  • the suction part 400 is formed with a through-flow outlet tube 401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the outlet tube 401 is connected to the inlet tube of the suction device suction of the suction device Air flow extends to the inlet of the housing where it is sealed.
  • the suction part 4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using composed of an upper plate 410 and a lower plate 430, and an elastic actuating member 420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 the lower plate 4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wnward inclined portion to the outlet pipe 401 side.
  • the suction part 400 has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nd a housing composed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to have a closed space according to the closing of the suction holes, and each suction hole 411 formed in the housing. It is formed to be capable of opening or closing the configuration comprises an elastic actuating member 420 to selectively transfer the suction pressure from the suction device.
  • the housing forms a space by allowing the upper plate 410 to be plac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lower plate 430 having a rectangular shape to accommodat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hoe.
  • the upper plate 410 is a plate-like shape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411 penetrated at the end thereof, and is formed in a shape opposite to the head to be described below.
  • the side wall of the suction hole 41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i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hemispherical head surface, it is formed with a suitable diameter so that the head does not penetrate the upper plate on which the suction hole is formed.
  • the lower plate 430 is provided with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edge dimension along the lower plate edge such that the edge of the upper plate 410 is caught on the inner sidewall of the upper edge of the lower plate edge, and the dust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hole of the upper plate 410 is formed. Accept it.
  • the lower plate 430 constitutes a bottom surface which forms an inclined portion 431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pipe 401 so that the introduced dust can move to the outlet pipe 401 connected to the inlet pipe of the suction device.
  • the lower plate 430 has an inclined surface upwardly connected from one edge of the outlet pipe 401 to the other edge thereof to form an inclined portion 431 therein.
  •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420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late 410 and the lower plate 430 and maintains an elastic state to push the upper plate 410 and the lower plate 430, respectively.
  •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420 has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which several heads 421 having a shape protruding from a smooth plane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ort positions, and a hea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head 421. It is composed of an elastic body 425 for push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4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s are not connected by separate fastening means, but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vibrating device to vibrat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vibrate left and right every time the vibrating device is operated so that dust on the bottom of the shoe is effectively released.
  • the vibrating devic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suction unit 400 to generate vib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continuously while the head is restrained from the suction port, and when the elastic operation member is lowered by the shoe pressure. It can operate every time to vibrat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 Brush 429 is formed at the top of the head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t is preferable that the brush can remove the dust of the sole of the shoe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vibrates the shoe and the brush.
  •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420 has a through hole formed between the heads 421, and an elastic body 425 is installed below the head.
  • the elastic body 425 may have a cylindrical or coil spring shape.
  • One end of the elastic body 425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d 421 of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4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lower plate 430.
  • the housing lower plate 43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425 forms an inclined portion 431
  • the elastic actuating member 420 and the upper plate 410 are both inclined portion of the lower plate 430
  • the elastic bodies 425 also have the same length to each other so that the elastic bodies have the same elastic force.
  • the elastic body 425 pushes the lower plate 430 and the head 421 into the housing by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urfaces of the inlet 411 and the head 421 face each other, thereby closing the inlet port and by the pressure of the shoe.
  • the elastic body 425 has elastic force.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모터를 통해 수평 진동하는 상판에 의해 신발의 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되며, 흡입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하판에 의해 흡입구 방향으로 먼지가 이동하게 되어 흡입력이 크지 않아도 먼지의 이탈 및 흡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된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의 흡입구들이 신발의 압력이 발생할 때마다 탄성력을 가지며 하강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흡입부와; 개방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먼지를 유입시켜 유입관을 통해 흡입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과 상기 유입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흡입장치와; 상기 흡입부의 신발이 닿는 부위를 수평으로 진동시켜 신발의 이물질을 이탈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있는 진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본 발명은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시설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먼지를 이탈시키고 이탈된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 연구소, 병원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오염원이 침투되어서는 안될 시설물의 출입구에는 출입자의 신체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다양한 장치가 설치된다.
그러한 장치들 중의 하나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는 특히 신발의 바닥에 붙은 먼지 등 이물질의 제거에 사용된다.
종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에 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10029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19441호 등을 통해 개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10029호에 따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는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에 흡입력이 전달되도록 설치되는 흡입기, 및 하우징에 형성된 각 흡입공이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입기에서 전달되는 흡입압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탄성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출입자가 발판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의 상부를 밟게 되면, 출입자의 발이 위치된 영역의 탄성 작동부재가 하향 동작되면서 하우징의 상부에 관통 형성된 해당 흡입공이 개방되고, 흡입기에서 하우징 내부에 전달되는 흡입력이 흡입공으로 전달됨에 따라서 개방된 흡입공을 통해서 신발의 하부에 붙은 먼지 등 이물질이 분리 제거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먼지 흡입장치에서는 하우징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탄성 작동부재들 중에서 출입자의 신발에 의해서 눌리는 몇 개의 탄성 작동부재들만이 하강하여 해당 흡입공이 개방이 됨에 따라서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만이 제거될 수 밖에 없었다.
즉, 출입자의 신발 주위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의 제거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19441호가 안출되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119441호에 따른 먼지 흡입장치는 하우징의 하측에 탄성 작동부재들 중 인접한 복수의 탄성 작동부재가 단위 결속수단을 통해 한 묶음으로 결속되게 하여 단위 결속수단을 통해 결속된 탄성 작동부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탄성 작동부재가 눌리면 주변의 다른 탄성 작동부재들도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먼지 흡입장치는 흡입공에 대응하는 수만큼 탄성작동부재가 필요하고, 탄성작동부재가 한 단위로 묶여 동작이 되게 하기 위한 별도의 결속수단이 필요하여 제작상의 어려움이 따른다.
이 밖에도 종래기술들에 있어서, 신발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은 흡입기의 흡입력에 의해서만 이탈될 수 있으므로 신발 밑창에 강력하게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은 제거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발로부터 이탈된 먼지가 하판으로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흡입구로부터 거리가 먼 곳의 먼지는 흡입구까지 유입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구 개수만큼의 탄성체 및 결속수단 없이도 단위 일체형의 탄성 작동부재가 동작하여 흡입구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상판 혹은 개폐수단을 진동시키는 진동모터를 구성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로부터 이탈된 먼지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되도록 흡입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하판을 구성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된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의 흡입구들이 신발의 압력이 발생할 때마다 탄성력을 가지며 하강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흡입부와; 개방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먼지를 유입시켜 유입관을 통해 흡입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과 상기 유입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흡입장치와; 상기 흡입부의 신발이 닿는 부위를 수평으로 진동시켜 신발의 이물질을 이탈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있는 진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통공된 흡입공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수평 진동하는 상판과; 하우징의 하부를 구성하여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수직 테두리의 상단 내 측벽을 따라 홈을 형성하여 상판이 놓이도록 하는 하판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며 흡입공들을 개폐시키는 탄성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통공된 흡입공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상판과; 하우징의 하부를 구성하여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수직 테두리의 상단 내 측벽을 따라 홈을 형성하여 상판이 놓이도록 하는 하판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며 흡입공들을 개폐시키며, 상기 진동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수평 진동하는 탄성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판은, 유입된 먼지가 상기 흡입장치의 유입관에 연결된 유출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상기 유출관 방향으로 하향된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 작동부재는, 평활한 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흡입공의 측벽과 면착되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헤드가 단위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헤드가 흡입공과 면착되도록 상기 개폐수단을 밀어올리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는 원통형 혹은 코일형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우징 하판은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어,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다른 경사에 위치하는 탄성체들이 수평의 개폐수단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가 경사부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우징 하판은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어,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다른 경사에 위치하는 탄성체들이 경사부와 평행한 개폐수단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에 의하면, 단위 일체형의 탄성 작동부재가 동작함에 따라 탄성 작동부재의 면적에 해당하는 흡입구를 동시에 개폐시킴으로써 흡입구 개수만큼의 탄성체 및 결속수단이 필요없게 되어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진동모터를 통해 수평 진동하는 상판에 의해 신발의 이물질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흡입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하판에 의해 흡입구 방향으로 먼지가 이동하게 되어 흡입력이 크지 않아도 먼지의 이탈 및 흡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부분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는 크게 신발의 압력이 가해질 때마다 신발의 먼지를 흡입하도록 동작하는 흡입부(100), 상기 신발의 먼지를 흡입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동작시키는 흡입장치(200), 상기 흡입부(100)를 좌우로 진동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모터를 동작시키는 진동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부(100)는 신발 바닥이 놓이게 되는 상판의 흡입구가 신발의 압력이 발생할 때마다 탄성 작동부재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먼지가 흡입장치(200)로 흡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부(100)는 하우징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게 통공형의 유출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관은 상기 흡입장치(200)의 유입관과 연결되어 있어 흡입장치(200)의 흡입기류가 밀폐되어 있는 하우징의 흡입구까지 미치게 된다.
따라서 흡입장치(200)가 가동중인 상태에서 탄성 작동부재에 의해 개방된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들어온 먼지는 유출관 및 유입관을 통해 흡입장치(200)로 흡입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100)는 신발 바닥이 놓이게 되는 상판이 진동하도록 진동장치(300)와 연결되어 있어 진동장치가 가동될 때마다 상판이 좌우 진동함으로써 신발 바닥의 먼지가 효과적으로 이탈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장치(300)는 흡입부(100)의 상판 일 측단과 연결되어 있어, 계속적인 상판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탄성 작동부재가 신발 압력에 의해 하강할 때마다 작동하여 상판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작동부재의 하강 및 승강에 따른 진동장치의 작동은 상기 진동장치 및 탄성 작동부재와 연결된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하판 상에서 상기 상판이 수평 진동을 할 수 있도록, 상판 둘레를 따라 하판과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입부(100)는 상판(110)과 하판(130)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 작동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하우징에 있어서, 하판(130)이 유출관(101) 측으로 하향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부(100)는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의 폐쇄에 따라 밀폐된 공간을 갖도록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각 흡입공(111)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토록 형성되어 있어 흡입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흡입 압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탄성 작동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은, 신발로부터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 형태의 하판(130)의 테두리 상단을 따라 상판(110)이 놓이게 되도록 하여 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상판(110)은 그 끝단에 다수의 흡입공(1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판재형이고, 하기에 설명될 헤드와 대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공(111)의 측벽은 반구형의 상기 헤드면과 면착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흡입공이 형성된 상판 상으로 헤드가 관통되지 않도록 적절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판(130)은 상기 상판(110)의 테두리가 하판 테두리의 상단 내 측벽에 걸리도록, 하판 테두리를 따라 상판 테두리 치수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의 흡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를 수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판(130) 상에서 상기 상판(110)이 수평 진동을 할 수 있도록, 상판 둘레를 따라 하판 측벽과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판(130)은 유입된 먼지가 흡입장치의 유입관에 연결된 유출관(10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출관(101) 방향으로 하향된 경사부(131)를 형성하는 바닥면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판(130)은 그 내부에서 유출관(101)이 위치하는 일 측 모서리로부터 상향된 경사면이 타 측 모서리까지 연결되어 경사부(131)를 형성한다.
상기 탄성 작동부재(120)는 상기 상판(110)과 하판(130) 사이에 위치하며 상판(110)과 하판(130)을 각각 밀어내도록 탄성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 작동부재(120)는 평활한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인 수개의 헤드(121)가 상기 흡입구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헤드(121)의 상부에 헤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밀어내는 탄성체(1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 작동부재(120)의 개폐수단은 각 헤드들이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직사각 형태의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작동부재(120)는 헤드(121) 사이에서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헤드의 하측에 탄성체(125)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125)는 원통형 혹은 코일의 스프링 형태를 가진다.
상기 탄성체(125)는 일 단이 상기 탄성 작동부재(120)의 헤드(121)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 하판(13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125)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우징 하판(130)은 경사부(131)를 형성하고 있는 바,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다른 경사에 위치하는 탄성체들이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125) 역시 하우징 전체 상/하 폭에 맞춰 경사부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체(125)는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하판(130)과 헤드(121)를 각각 밀어내어 흡입구(111)와 헤드(121)의 면이 서로 면착되도록 하여 흡입구를 폐쇄시키고 신발의 압력에 의해 헤드(121)가 하강하면 탄성체(125)가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출입자가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된 헤드(121)를 밟으면 탄성체(125)의 상하방향 길이가 축소되면서 헤드(121)가 하강하여 흡입공(111)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가 설치된 출입구를 통해 출입자는 잠시 멈춰서서 신발에 붙은 먼지 등의 물질이 흡입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입자의 신발(S)은 일부분이 하우징 상부로 노출된 상태의 헤드를 누르게 되는데, 이때 탄성 작동부재는 몇 개의 헤드가 일체로 연결되어 헤드 구성되는 단위별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출입자의 신발(S)에 의해서 직접 눌리지 않은 헤드라 하더라도 출입자의 신발에 의해 눌린 헤드와 함께 탄성 작동부재에 형성되어 출입자의 신발에 의해 눌린 헤드와 함께 작동하게 된다.
흡입부에서 출입자의 신발에 의해 눌린 헤드가 하강하며 탄성체의 길이를 축소시킴으로써 하우징 상판에 형성된 흡입공이 개방된다.
이때, 출입자의 신발 하부 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 설치된 작동부재가 작동이 되면서 해당 영역의 흡입공들이 개방된다.
또한 흡입부의 상판은 진동모터에 의해 계속적인 진동을 발생하게 되고, 신발로부터 이탈되어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먼지들은 경사부를 따라 하강하여 유출관까지 이동하게 된다.
출입자의 신발로부터 이탈된 먼지들이 흡입공들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면 탄성체는 복원력이 발생하여 탄성 작동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하우징 상판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공들은 다시 닫힌 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는 크게 신발의 압력이 가해질 때마다 신발의 먼지를 흡입하도록 동작하는 흡입부(400), 상기 신발의 먼지를 흡입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동작시키는 흡입장치, 상기 흡입부(400)를 좌우로 진동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모터를 동작시키는 진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부(400)는 신발 바닥이 놓이게 되는 상판의 흡입구가 신발의 압력이 발생할 때마다 탄성 작동부재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먼지가 흡입장치로 흡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부(400)는 하우징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게 통공형의 유출관(4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출관(401)은 상기 흡입장치의 유입관과 연결되어 있어 흡입장치의 흡입기류가 밀폐되어 있는 하우징의 흡입구까지 미치게 된다.
따라서 흡입장치가 가동 중인 상태에서 탄성 작동부재에 의해 개방된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들어온 먼지는 유출관 및 유입관을 통해 흡입장치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부(400)는 상판(410)과 하판(430)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 작동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하우징에 있어서, 하판(430)이 유출관(401) 측으로 하향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부(400)는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의 폐쇄에 따라 밀폐된 공간을 갖도록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각 흡입공(411)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토록 형성되어 있어 흡입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흡입 압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탄성 작동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은, 신발로부터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직사각 형태의 하판(430)의 테두리 상단을 따라 상판(410)이 놓이게 되도록 하여 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상판(410)은 그 끝단에 다수의 흡입공(4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판재형이고, 하기에 설명될 헤드와 대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공(411)의 측벽은 반구형의 상기 헤드면과 면착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흡입공이 형성된 상판 상으로 헤드가 관통되지 않도록 적절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판(430)은 상기 상판(410)의 테두리가 하판 테두리의 상단 내 측벽에 걸리도록, 하판 테두리를 따라 상판 테두리 치수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의 흡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를 수용하도록 한다.
상기 하판(430)은 유입된 먼지가 흡입장치의 유입관에 연결된 유출관(40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출관(401) 방향으로 하향된 경사부(431)를 형성하는 바닥면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판(430)은 그 내부에서 유출관(401)이 위치하는 일 측 모서리로부터 상향된 경사면이 타 측 모서리까지 연결되어 경사부(431)를 형성한다.
상기 탄성 작동부재(420)는 상기 상판(410)과 하판(430) 사이에 위치하며 상판(410)과 하판(430)을 각각 밀어내도록 탄성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 작동부재(420)는 평활한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인 수개의 헤드(421)가 상기 흡입구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헤드(421)의 상부에 헤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밀어내는 탄성체(4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 작동부재(420)의 개폐수단은 각 헤드들이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직사각 형태의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진동하도록 진동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진동장치가 가동될 때마다 개폐수단이 좌우 진동함으로써 신발 바닥의 먼지가 효과적으로 이탈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장치는 흡입부(400)의 개폐수단 일 측단과 연결되어 있어, 헤드가 흡입구로부터 구속된 상태에서 계속적인 개폐수단 진동을 발생시키다가, 탄성 작동부재가 신발 압력에 의해 하강할 때마다 작동하여 개폐수단을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의 헤드 상단에는 브러쉬(429)가 형성되어 있어 신발과 브러쉬가 닿아 개폐수단이 진동함에 따라 브러쉬가 신발 바닥의 먼지를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작동부재(420)는 헤드(421) 사이에서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헤드의 하측에 탄성체(425)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425)는 원통형 혹은 코일의 스프링 형태를 가진다.
상기 탄성체(425)는 일 단이 상기 탄성 작동부재(420)의 헤드(421)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 하판(43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425)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우징 하판(430)은 경사부(431)를 형성하고 있는 바, 상기 탄성 작동 부재(420)와 상판(410)은 모두 하판(430)의 경사부와 평행 상태를 가지게 되며, 이에 탄성체들이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425) 역시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체(425)는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하판(430)과 헤드(421)를 각각 밀어내어 흡입구(411)와 헤드(421)의 면이 서로 면착되도록 하여 흡입구를 폐쇄시키고 신발의 압력에 의해 헤드(421)가 하강하면 탄성체(425)가 탄성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0, 400: 흡입부 110, 410 : 상판
111, 411 : 흡입공 120, 420 : 탄성 작동부재
121, 421 : 헤드 125, 425 : 탄성체
130, 430 : 하판 131, 431 : 경사부
200 : 흡입장치 300 : 진동장치

Claims (8)

  1. 밀폐된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의 흡입구들이 신발의 압력이 발생할 때마다 탄성력을 가지며 하강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도록 하는 흡입부와;
    개방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먼지를 유입시켜 유입관을 통해 흡입하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유출관과 상기 유입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흡입장치와;
    상기 흡입부의 신발이 닿는 부위를 수평으로 진동시켜 신발의 이물질을 이탈시키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있는 진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통공된 흡입공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수평 진동하는 상판과;
    하우징의 하부를 구성하여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수직 테두리의 상단 내 측벽을 따라 홈을 형성하여 상판이 놓이도록 하는 하판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며 흡입공들을 개폐시키는 탄성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통공된 흡입공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상판과;
    하우징의 하부를 구성하여 이탈된 먼지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수직 테두리의 상단 내 측벽을 따라 홈을 형성하여 상판이 놓이도록 하는 하판과;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며 흡입공들을 개폐시키며, 상기 진동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수평 진동하는 탄성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유입된 먼지가 상기 흡입장치의 유입관에 연결된 유출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상기 유출관 방향으로 하향된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작동부재는,
    평활한 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흡입공의 측벽과 면착되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헤드가 단위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과 하판 사이에서 탄성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헤드가 흡입공과 면착되도록 상기 개폐수단을 밀어올리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원통형 혹은 코일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우징 하판은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어,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다른 경사에 위치하는 탄성체들이 수평의 개폐수단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가 경사부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하단과 연결되는 하우징 하판은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어,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다른 경사에 위치하는 탄성체들이 경사부와 평행한 개폐수단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PCT/KR2014/004010 2013-05-10 2014-05-07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WO201418204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055 2013-05-10
KR1020130053055A KR101318829B1 (ko) 2013-05-10 2013-05-10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2042A1 true WO2014182042A1 (ko) 2014-11-13

Family

ID=4963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4010 WO2014182042A1 (ko) 2013-05-10 2014-05-07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31442A1 (ko)
KR (1) KR101318829B1 (ko)
WO (1) WO20141820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3753A (zh) * 2014-11-28 2015-02-04 张汉桥 鞋底清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3382B (zh) * 2015-07-08 2018-02-27 蹇驰丽 一种鞋底清洁器
USD999465S1 (en) * 2018-11-26 2023-09-19 DG Technologies LLC Shoe disinfecting device
KR102118994B1 (ko) * 2019-06-27 2020-06-04 주식회사 아이에스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이물질 제거 바닥패널
CN111685707B (zh) * 2020-05-08 2023-05-09 邯郸学院 一种用于计算机方面的计算机实验室清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369Y1 (ko) * 2006-04-03 2006-06-20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도어 바닥용 안전발판
KR101096161B1 (ko) * 2009-10-21 2011-12-19 김성환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KR20130040394A (ko) * 2011-10-14 2013-04-24 에스앤이지텍(주)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6531A (en) * 1972-07-07 1974-01-22 J Borg Portable self-cleaning door mat
US4027355A (en) * 1973-12-17 1977-06-07 Mead George N J Pneumatic cleaning mat and method of making same
FI73125C (fi) * 1984-10-05 1987-09-10 Veli Veijo Antero Miettinen Rengoeringsanordning foer skor.
US5870797A (en) * 1996-02-23 1999-02-16 Anderson; Kent George Vacuum cleaning system
US6532618B2 (en) * 2001-06-01 2003-03-18 Robert Koch Floor mat with incorporated vacuum system
KR200339988Y1 (ko) 2003-10-06 2004-01-28 박충배 신발장
US8092564B2 (en) * 2006-04-14 2012-01-10 Sun Engineering Co., Ltd. Dust collection system
US8973197B2 (en) * 2010-12-31 2015-03-10 Julian Omidi Sanitizing floor ma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369Y1 (ko) * 2006-04-03 2006-06-20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도어 바닥용 안전발판
KR101096161B1 (ko) * 2009-10-21 2011-12-19 김성환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KR20130040394A (ko) * 2011-10-14 2013-04-24 에스앤이지텍(주)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3753A (zh) * 2014-11-28 2015-02-04 张汉桥 鞋底清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829B1 (ko) 2013-10-16
US20140331442A1 (en)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82042A1 (ko)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WO2018190609A1 (ko) 구슬이 적용된 먼지 흡입장치
WO2013122300A1 (ko) 먼지 흡입장치
WO2016028096A1 (ko) 로봇 청소기
WO2018190491A1 (ko) 공기유입밸브가 구비된 먼지 흡입 에어 매트
WO2018128301A1 (ko) 상하 좌우 회전식 로봇 청정기
WO2016163673A1 (ko) 공기청정기
WO2015099323A1 (en) Humidifier
EP3860417A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WO2016117893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WO2015064956A1 (ko) 공조용 필터장치
WO2018034419A1 (ko) 공기청정기
WO2021095964A1 (ko) 호환 가능한 하부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장치
WO2019132546A1 (ko) 핵산 추출용 카트리지
WO2020111845A1 (ko)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KR101198142B1 (ko)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WO2019231157A1 (en) Cleaning appliance
WO2015088181A1 (ko) 정압 부항 장치
WO2012005398A1 (ko) 자동청소기
WO2013047953A1 (ko) 밀폐 스크린 도어장치
WO2018021710A1 (ko)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WO2023177053A1 (ko) 간편하고 안정적인 설치구조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WO2020262784A1 (ko) 창틀 프레임의 배수공에 설치되는 방충캡
WO2014021684A2 (ko) 환기 시스템
WO2014168326A1 (ko) 먼지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947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947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