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888B1 -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888B1
KR101310888B1 KR1020130033515A KR20130033515A KR101310888B1 KR 101310888 B1 KR101310888 B1 KR 101310888B1 KR 1020130033515 A KR1020130033515 A KR 1020130033515A KR 20130033515 A KR20130033515 A KR 20130033515A KR 101310888 B1 KR101310888 B1 KR 101310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ust
suction
housing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윤
Original Assignee
(주) 리드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리드북스 filed Critical (주) 리드북스
Priority to KR102013003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면에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재되어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되 복수의 헤드가 일체로 연동하며, 복수의 헤드는 높이가 다른 작동헤드와 오픈헤드로 구성되어 작동시 작동헤드에 의해 하강하여 오픈헤드가 상기 흡입공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헤드유닛; 상기 헤드유닛의 하부에 장착되어 헤드유닛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구; 상기 하우징에 연통하면서 상기 공간부에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Device for removing dust}
본 발명은 신발 등에 대한 먼지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시 신발 등으로부터 많은 량과 넓은 범위에 대해 먼지를 흡입함으로써 하우징으로의 먼지흡입율을 높이고, 하우징에 모아진 먼지를 흡입기로의 먼지흡입율을 높임에 따라 전체적으로 먼지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먼지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장, 병원, 또는 식료품점과 같은 시설에서는 시설내 출입시 신발 등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토록 하고 있다. 또한, 먼지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컴퓨터, 전자제품 등 각종 기기의 보급에 따라 최근에는 공장은 물론 일반 가옥, 건물 에 있어서도 먼지를 제거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황사의 영향에 의해 건물내 입주자 등의 건강을 위해 실외로부터 실내로 출입시 사전에 먼지를 제거하여야 할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다양한 먼지흡입장치가 제시되고 있는 바,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98142호에서는 상부에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흡입력이 전달되게 하여 상기 흡입공으로부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흡입되게 설치되는 흡입기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각 흡입공이 개방 또는 폐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기에서 전달되는 흡입 압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탄성 작동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이 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상기 탄성 작동 부재들 중 인접한 복수의 탄성 작동 부재가 단위 결속수단을 통해 한 묶음으로 결속되게 하여 상기 단위 결속수단을 통해 결속된 탄성 작동 부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탄성 작동 부재가 눌리면 상기 단위 결속수단을 통해 묶인 주변의 다른 탄성 작동 부재들도 동시에 작동이 이루어지게 구성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를 제시한다.
그러나 본 기술의 경우 출입자가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된 헤드를 밟으면 탄성체의 상하방향 길이가 축소되면서 헤드의 하강이 이루어져 흡입공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흡입공의 개방은 헤드의 외주연과 흡입공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완전한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아 하우징으로 신발의 먼지가 흡입되는 량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의 경우 신발로부터 상기 흡입공을 통해 하강한 먼지를 흡입기를 통해 흡입할 시에 일측의 흡입기로부터의 흡입력이 이격된 부분에까지 미치기가 어렵고 하우징의 내부에 작동부재가 구성되어 기류에 간섭이 발생하는 바 흡입기로의 먼지흡입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9814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신발 등으로부터 하우징으로 먼지흡입률을 높이고, 하우징에 모아진 먼지를 하우징 외부의 흡입기로 먼지흡입률을 높여 전체적으로 먼지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먼지흡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면에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재되어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되 복수의 헤드가 일체로 연동하며, 복수의 헤드는 높이가 다른 작동헤드와 오픈헤드로 구성되어 작동시 작동헤드에 의해 하강하여 오픈헤드가 상기 흡입공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헤드유닛; 상기 헤드유닛의 하부에 장착되어 헤드유닛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구; 상기 하우징에 연통하면서 상기 공간부에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헤드유닛은, 작동시 작동헤드 및 오픈헤드가 하강하되, 작동헤드의 상단은 상기 흡입공의 내주연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헤드의 외주연과 상기 흡입공의 내주연 사이에서 먼지가 흡입되며, 상기 오픈헤드는 상기 흡입공의 하면과 이격되어 흡입공 전체에서 먼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헤드유닛은, 중앙에 작동헤드와 상기 작동헤드에서 방사형으로 복수의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는 오픈헤드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상기 작동헤드와 상기 오픈헤드가 교번으로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헤드유닛은, 판형상으로 복수의 유동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상기 작동헤드와 상기 오픈헤드가 교번으로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관통하는 슬라이드홀이 구성되도록 하여 편심이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타당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모여진 먼지를 흡입함에 있어 그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예로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 테두리에는 복수의 흡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흡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에는 상기 흡입기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공간부를 상,하 공간부로 구획하며 복수의 집진공이 형성된 구획판이 형성되어, 상 공간부에 상기 헤드유닛 및 상기 탄성구가 구성되도록 함에 따라 하 공간부로 먼지가 집진되도록 한후에 간섭없이 흡입기에 의한 흡입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 공간부에는 복수의 부압유도테두리가 형성되되, 부압유도테두리는 하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면에서 상기 흡입기와 연통하는 부분에서 상호 좁아드는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하우징에서 상기 흡입기로 먼지흡입율을 높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는 작동시 전체로서 먼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도록 함에 의해 하우징으로 먼지흡입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는 유닛단위로 작동함에 의해 넓은 영역에서 흡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는 하우징 내부로 흡진된 먼지에 흡입기에 의한 흡입력의 작용범위를 넓힘으로써 하우징에서 흡입기로의 먼지흡입률을 높여 하우징 내부에 먼지가 침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헤드유닛의 제 1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헤드유닛의 제 2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헤드유닛의 제 3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도 4에 도시된 헤드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이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하우징 외주연에 흡입관이 구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의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하우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하 공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발에서 흡입되는 먼지를 내부로 흡수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흡수된 먼지를 외부로 흡입하는 흡입기(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먼지흡입장치는 신발 등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으로 먼지흡입률을 높이고, 하우징(10)에 모아진 먼지를 상기 흡입기(14)로의 먼지흡입률을 높여 전체적으로 먼지제거율을 높여야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에 의해 먼지제거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은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으나, 도 1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는 사각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재하중 등에 의해 그 재질이 고려될 것이나, 수지 또는 금속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스테인레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102)에는 원형의 흡입공(11)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흡입공(11)에는 이에 대응하는 헤드유닛(12)이 구성된다. 이러한 헤드유닛(12)은 사용자에 의한 하중이 상기 헤드유닛(12)의 상단을 가압하게 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유닛(12)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하우징(10)에 내재되어 상기 흡입공(11)을 개폐하되 복수의 헤드(121, 122)가 일체로 연동하며, 복수의 헤드(121, 122)는 높이가 다른 작동헤드(121)와 오픈헤드(122)로 구성되어 작동시 작동헤드(121)에 의해 하강하여 오픈헤드(122)가 상기 흡입공(11)에서 이격되도록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헤드유닛(12)은, 작동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헤드(121) 및 오픈헤드(122)가 일체로 하강하되, 작동헤드(121)의 상단은 상기 흡입공(11)의 내주연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헤드(121)의 외주연과 상기 흡입공(11)의 내주연 사이에서 먼지가 흡입되며, 상기 오픈헤드(122)는 상기 흡입공(11)의 하면과 이격되어 흡입공(11) 전체에서 먼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작동시"라 함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0)에 발을 올려 놓음에 따라 사용자의 신발이 가압을 하여 상기 헤드유닛(12)을 하강시킴에 의해 상기 흡입공(11)이 열리도록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시 사용자의 신발은 해당영역에 위치하는 작동헤드(121)를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며, 작동헤드(121)의 하강에 따라 일체로 연동하는 오픈헤드(122)도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과정에 있어 상기 작동헤드(121)와 상기 오픈헤드(122)는 그 높이가 달라 상기 작동헤드(121)는 기존의 발명들과 같이 상기 작동헤드(121)의 상단부 외주연과 상기 흡입공(11)의 내주연 사이에서 먼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바, 작동시 개방되는 영역이 작아 그만큼 먼지흡입량이 적어지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작동헤드(121)보다 높이가 작은 오픈헤드(122)가 일체로 연동하도록 하여 작동시 오픈헤드(122)에 대향하는 흡입공(11)은 전체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하여 먼지흡입량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오픈헤드(122)는 작동전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오픈헤드(122)의 상단이 상기 흡입공(11)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거나 조금 노출되는 정도로 대향하는 흡입공(11)을 밀봉하도록 하고, 작동시에는 상기 오픈헤드(122)의 상단이 상기 흡입공(11)과 완전히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흡입공(11)이 전체로서 열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유닛(12)의 구조에 의해 공간부(101)로 먼지의 흡입량을 증대시켜 그만큼 사용자의 신발로부터 먼지제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헤드(121)와 상기 오픈헤드(122)의 형상은 상단부가 테이퍼진 돌기형상으로 상기 작동헤드(121)보다 상기 오픈헤드(122)의 상단이 완만한 곡면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높이차가 유발되도록 함이 타당하다. 또한 각각의 작동헤드(121) 및 오픈헤드(122)에는 내부에 장착공간(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하우징(10)의 하면과 탄성구(13)에 의해 장착이 되도록 하는 바, 탄성구(13)는 작동헤드(121) 및 오픈헤드(122)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구(13)는 탄성재질을 사용하면 무방할 것으로 그 예로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탄성구(13)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서 돌출된 돌출돌기(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흡입기(14)는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01)에 연통하여 상기 공간부(101)에 부압이 걸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간부(101)로 낙하된 먼지를 흡입하여 하우징(10)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한편 본 발명의 헤드유닛(12)은 복수의 작동헤드(121)와 오픈헤드(122)가 일체로 연동하도록 하여 작동헤드(121)에 의한 하강에 의해 오픈헤드(122)가 상기 흡입공(11)을 완전히 오픈하도록 하는 것으로 복수의 작동헤드(121)와 오픈헤드(122)가 일체로 연동하게 하기 위한 유닛으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3가지 실시 예를 제시한다.
첫 번째 실시 예가 도 2에 도시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의 헤드유닛(12a)은 중앙에 작동헤드(121)와 상기 작동헤드(121)에서 방사형으로 복수의 프레임(123)에 의해 연결되는 오픈헤드(122)로 구성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중앙의 작동헤드(121)에서 십자형으로 프레임(123)이 구성되고 각각의 프레임(123)에 4개의 오픈헤드(122)가 구성된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프레임(123) 및 오픈헤드(122)의 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에 기해 작동시 사용자의 신발영역에 있는 헤드유닛(120a) 중 각각의 작동헤드(121)에 하중이 실리면서 하강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작동헤드(121)와 일체로 연동하는 각각 유닛의 오픈헤드(122)가 하강하여 사용자의 신발영역 뿐 아니라 그 주변부의 작동헤드(121)가 부분적으로 열리고, 특히 오픈헤드(122)가 완전히 열리게 됨으로써 넓은 영역에서 기존 발명보다 다량의 먼지가 공간부(101)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작동시 신발영역 전체에 걸쳐 먼지가 흡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신발영역에 있어 최소한의 넓은 범위의 먼지를 흡입하도록 하여 필요없는 부분의 흡입공(11)이 열림에 의한 부압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두 번째 실시 예가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의 헤드유닛(12b)은 작동헤드(121)와 오픈헤드(122)가 교번으로 프레임(123)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유닛(12b)을 격자화 시켜 제작 및 장착을 용이하게 하며 첫 번째 실시 예보다 부압손실은 있을 수 있으나 넓은 영역에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에서 먼지가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헤드유닛(12b)에 있어 작동헤드(121)와 오픈헤드(122)가 교번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바, 도 3에서는 작동헤드(121)와 오픈헤드(122)가 1:1로 교번하도록 구성된 예를 제시하나, 이는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기해 작동시 사용자의 신발영역에 있는 헤드유닛(120b)에 있어 신발과 접하는 각각의 작동헤드(121)에 하중이 실리면서 하강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닛내부에 있는 각각의 작동헤드(121) 및 오픈헤드(122)가 하강하여 사용자의 신발영역 뿐 아니라 그 주변부로 유닛 전체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작동헤드(121)가 부분적으로 열리고, 특히 오픈헤드(122)가 완전히 열리게 되어 보다 넓은 영역에서 기존 발명보다 다량의 먼지가 공간부(101)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3번째 실시 예가 도 4에 도시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의 헤드유닛(12c)은 판형상으로 복수의 유동공(125)이 형성된 몸체(124)와, 상기 몸체(124)에서 복수의 작동헤드(121)와 오픈헤드(122)가 교번으로 돌출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첫 번째 및 두 번째 실시 예에 있어 헤드유닛(12a,b)의 재질을 고무 등 연성으로 구성하는 경우 작동헤드(121)와 오픈헤드(122)를 프레임(123)으로 연결함에 따라 일체연동에 있어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작동헤드(121)와 오픈헤드(122)를 판형상의 몸체(124)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판형상의 몸체(124)를 구성함에 따라 흡입공(11)으로 유입된 먼지가 하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필요한 바, 상기 몸체(124)에는 복수의 유동공(125)이 형성되도록 하여 흡입공(11)을 통해 유입된 먼지가 상기 유동공(125)을 거쳐 공간부(101) 하부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도 헤드유닛(12b)을 격자화 시켜 제작 및 장착을 용이하게 하며 첫 번째 실시 예보다 부압손실은 있을 수 있으나 넓은 영역에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에서 먼지가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도 작동헤드(121)와 오픈헤드(122)가 교번으로 구성되도록 함에 있어 도 4에서는 작동헤드(121)와 오픈헤드(122)가 1:1로 교번하도록 구성된 예를 제시하나, 이는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기해 작동시 사용자의 신발영역에 있는 헤드유닛(12c)에 있어 신발과 접하는 각각의 작동헤드(121)에 하중이 실리면서 하강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닛내부에 있는 각각의 작동헤드(121) 및 오픈헤드(122)가 하강하여 사용자의 신발영역 뿐 아니라 그 주변부로 유닛 전체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작동헤드(121)가 부분적으로 열리고, 특히 오픈헤드(122)가 완전히 열리게 되어 보다 넓은 영역에서 기존 발명보다 다량의 먼지가 공간부(101)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헤드유닛(12c)에는 상기 몸체(124)에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03)가 관통하는 슬라이드홀(126)이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103)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면(102)과 하면(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재하중에 의한 상면(102)의 변형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대(103)가 관통하는 슬라이드홀(126)이 구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몸체(124)가 작동중 편심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각각의 작동헤드(121) 및 오픈헤드(122)의 작용에 있어 에러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작동과정에서 몸체(124)에 편심이 작용하는 경우 각각의 작동헤드(121) 및 오픈헤드(122)가 각각 대향하는 흡입공(11)을 완전히 밀봉하지 못하여 부압의 손실을 가져옴에 따라 전체 기기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몸체(124)에 슬라이드홀(126)을 구성하여 지지대(103)가 관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의 공간부(101)에 모여진 먼지를 흡입기(14)를 통해 흡입함에 있어 부압이 공간부(101) 전체에 걸쳐 작용되기가 어려워 부분적으로 먼지가 침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 예를 제시한다.
그러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 테두리에 흡입관(15)이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흡입관(15)에는 상기 공간부(101)와 연통하는 복수의 흡입홀(151)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15)은 일측에서 상기 흡입기(14)와 연결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이렇게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흡입기(14)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만 연결하는 경우 상기 공간부(101)에 있어 상기 흡입기(14)와 멀리 떨어진 부분에는 상기 흡입기(14)의 흡입력 즉 부압이 미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 모여진 먼지가 그대로 침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는 바, 본 실시 예와 같이 흡입기(14)를 흡입관(15)을 매개로 연결토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흡입공(11)을 통해 공간부(101)로 모여진 먼지는 상기 흡입관(15)의 흡입홀(151)이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을 형성하는 모든 방향에 구성됨에 따라 전방향에서 흡입력이 작용하게 되어 각각의 흡입홀(151)로 흡입된 먼지는 흡입관(15)을 타고 흡입기(14)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흡입기(14)에 의한 흡입위치와 이격된 구석부분의 경우도 상기 흡입관(15)에 의해 흡입력이 미치도록 함으로써 공간부(101)에서 먼지제거효율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공간부(101)를 상,하 공간부(101-1,2)로 구획하며 복수의 집진공(161)이 형성된 구획판(16)이 형성되어, 상 공간부(101-1)에 상기 헤드유닛(12) 및 상기 탄성구(13)가 구성되도록 함에 따라 하 공간부(101-2)로 먼지가 집진되도록 한후에 간섭없이 흡입기(14)에 의한 흡입이 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이렇게 구성하는 이유는 공간부(101)에 헤드유닛(12), 탄성구(13) 등이 구성됨에 의해 흡입기(14)의 흡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에는 간섭이 발생하게 되어 부압형성에 방해를 받게 되어 그에 따라 공간부(101)에 모여진 먼지가 충분히 흡입기(14)로 흡입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는 바, 상기 공간부(101)를 상기 구획판(16)에 의해 상,하 공간부(101-1,2)로 구획하여 상 공간부(101-1)에서 헤드유닛(12), 탄성구(13)의 작용으로 흡입공(11)으로부터 먼지를 유입하고, 이렇게 유입된 먼지는 상기 구획판(16)의 집진공(161)을 통해 하 공간부(101-2)로 유도하고, 이렇게 하 공간부(101-2)에 유도된 먼지는 내부에 어떠한 구성이 없음으로 인해 흡입력에 의한 기류의 간섭발생을 제어하여 모여진 먼지가 흡입기(14)로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이에 더하여 상기 하 공간부(101-2)에는 복수의 부압유도테두리(17)가 구성되어 하 공간부(101-2)에서 흡입력이 미치기 어려운 구석부분의 먼지까지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 공간부(101-2)를 형성하는 하면에는 복수의 부압유도테두리(17)가 형성되도록 하되, 각각의 부압유도테두리(17)는 하 공간부(101-2)에서 상기 흡입기(14)와 연통하는 부분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부분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 공간부(101-2)에서 상기 흡입기(14)가 연결되는 부분(A부분)에서 가장 이격된 부분(B부분)으로 복수의 부압유도테두리(17)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됨에 의해 상기 흡입기(14)의 흡입력이 가장 덜 미치는 부분(B부분)에 부압이 크게 걸리도록 함으로써 B부분의 경우도 모여진 먼지가 상기 흡입기(14)를 통해 흡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1에서는 상기 부압유도테두리(17)가 3개가 구성되도록 하는 바, 각각의 부압유도테두리(17)는 상기 흡입기(14)의 흡입력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각의 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는 부분에서 시작하여 A부분에서 끝나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부압유도테두리(17)는 상호 좁혀지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부압유도테두리(17)는 그 높이가 하 공간부(101-2)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것이나 본 출원인의 경험에 의하면 부압유도테두리(17)의 높이는 하 공간부(101-2) 높이의 5/1 내지 4/1정도가 하 공간부(101-2) 전체의 기류형성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부압형성에 의한 먼지흡입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흡입공
12 : 헤드유닛 13 : 탄성구
14 : 흡입기

Claims (9)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면에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재되어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되 복수의 헤드가 일체로 연동하며, 복수의 헤드는 높이가 다른 작동헤드와 오픈헤드로 구성되어 작동시 작동헤드에 의해 하강하여 오픈헤드가 상기 흡입공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헤드유닛;
    상기 헤드유닛의 하부에 장착되어 헤드유닛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구;
    상기 하우징에 연통하면서 상기 공간부에 흡입력을 인가하는 흡입기;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헤드유닛은, 작동시 작동헤드 및 오픈헤드가 하강하되, 작동헤드의 상단은 상기 흡입공의 내주연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헤드의 외주연과 상기 흡입공의 내주연 사이에서 먼지가 흡입되고, 상기 오픈헤드는 상기 흡입공의 하면과 이격되어 흡입공 전체에서 먼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중앙에 작동헤드와 상기 작동헤드에서 방사형으로 복수의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는 오픈헤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작동헤드와 상기 오픈헤드가 교번으로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판형상으로 복수의 유동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상기 작동헤드와 상기 오픈헤드가 교번으로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관통하는 슬라이드홀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 테두리에는 복수의 흡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흡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에는 상기 흡입기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공간부를 상,하 공간부로 구획하며 복수의 집진공이 형성된 구획판이 형성되어, 상 공간부에 상기 헤드유닛 및 상기 탄성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 공간부의 하면에는 복수의 부압유도테두리가 형성되되, 복수의 부압유도테두리는 상기 하 공간부에 있어 상기 흡입기와 연통하는 부분에서 가장 이격된 부분으로 상호 좁아드는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KR1020130033515A 2013-03-28 2013-03-28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KR101310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515A KR101310888B1 (ko) 2013-03-28 2013-03-28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515A KR101310888B1 (ko) 2013-03-28 2013-03-28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888B1 true KR101310888B1 (ko) 2013-09-25

Family

ID=4945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515A KR101310888B1 (ko) 2013-03-28 2013-03-28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8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217B1 (ko) * 2014-03-25 2014-12-29 (주) 리드북스 먼지흡입 바닥 매트
KR101533259B1 (ko) * 2013-11-29 2015-07-03 (주) 리드북스 신발바닥 먼지흡입 매트
KR101627333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판넬
KR101627330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장치
WO2020037949A1 (zh) * 2018-08-23 2020-02-27 胡双安 门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785A (ja) 2002-08-02 2002-12-24 Paionia Furyokuki:Kk 清掃装置
KR20090010029A (ko) * 2006-04-14 2009-01-28 가부시키가이샤 선 엔지니어링 흡진 장치
KR20110119441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지.엠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KR101098103B1 (ko) 2011-02-01 2011-12-26 에스앤이지텍(주)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785A (ja) 2002-08-02 2002-12-24 Paionia Furyokuki:Kk 清掃装置
KR20090010029A (ko) * 2006-04-14 2009-01-28 가부시키가이샤 선 엔지니어링 흡진 장치
KR20110119441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지.엠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KR101098103B1 (ko) 2011-02-01 2011-12-26 에스앤이지텍(주)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259B1 (ko) * 2013-11-29 2015-07-03 (주) 리드북스 신발바닥 먼지흡입 매트
KR101477217B1 (ko) * 2014-03-25 2014-12-29 (주) 리드북스 먼지흡입 바닥 매트
KR101627333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판넬
KR101627330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장치
EP3132734A1 (en) 2015-08-12 2017-02-22 Daeshin MC Corporation Dust suction apparatus
US10159399B2 (en) 2015-08-12 2018-12-25 Daeshin Mc Corporation Dust suction apparatus
WO2020037949A1 (zh) * 2018-08-23 2020-02-27 胡双安 门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888B1 (ko) 먼지제거율을 향상시킨 먼지흡입장치
KR101627330B1 (ko) 먼지 흡입장치
CN110545706B (zh) 适用珠子的灰尘吸入装置
JP4768033B2 (ja) ロボット掃除機
JP6854393B2 (ja) 空気流入弁を備えた塵埃吸引エアマット
KR101198142B1 (ko)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JP2018525185A (ja) 靴底クリーナー
KR101318829B1 (ko)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CN108006737B (zh) 一种吸油烟机
WO2018120276A1 (zh) 一种带活动部件的吸油烟机
KR20130040394A (ko)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CN205350020U (zh) 一种新型真空吸盘
KR101287946B1 (ko) 먼지흡입장치
KR101533259B1 (ko) 신발바닥 먼지흡입 매트
KR101893409B1 (ko)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CN203759744U (zh) 点验钞机吸尘结构
JP6170741B2 (ja) 吸引式清浄装置
KR20150074780A (ko) 신발바닥 먼지흡입 및 소독 매트
CN106424074B (zh) 一种板料用环保底部吸尘机构
KR101266854B1 (ko) 흡입판
JP6829433B2 (ja) 集塵機
KR200469804Y1 (ko)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CN107468034A (zh) 一种自清洁功能的地毯
CN109393643A (zh) 一种防尘鞋子
JP4277742B2 (ja) 吸引式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