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381B1 -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 Google Patents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381B1
KR101124381B1 KR1020090078597A KR20090078597A KR101124381B1 KR 101124381 B1 KR101124381 B1 KR 101124381B1 KR 1020090078597 A KR1020090078597 A KR 1020090078597A KR 20090078597 A KR20090078597 A KR 20090078597A KR 101124381 B1 KR101124381 B1 KR 101124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uction hole
diaphragm
scaffold body
disc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041A (ko
Inventor
강원규
Original Assignee
강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규 filed Critical 강원규
Priority to KR102009007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3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진공을 이용하여 신발 밑창에 묻어 있는 흙과 같은 먼지 등을 자동으로 흡입하여 털어낼 수 있게 하는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판유닛은 내부가 빈 함체형상을 가지는 발판본체와, 발판본체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어주는 진공형성부, 및 발판본체 내부에서 발판본체의 상부 측으로 돌출되게 탄성 지지되는 다수의 제어핀으로 이루어진다. 제어핀은 발판본체의 상부를 밟으면 발판본체 내부로 가압됨과 아울러 신발에 묻은 흙 또는 이물질을 발판본체 내부로 흡입되게 하고, 발판본체의 상부에 신발이 이격되면 발판본체 상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발판본체 내부가 진공이 되도록 발판본체의 상부를 폐쇄한다.

Description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FOOTING BOARD UNIT USING VACUUM}
본 발명은 진공을 이용하여 신발 밑창에 묻어 있는 흙과 같은 먼지 등을 자동으로 흡입하여 털어낼 수 있게 하는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또는 실내의 진입로에는 신발 밑창에 묻어 있는 흙과 같은 먼지 등을 털어낼 수 있도록 발판이 제공된다. 이렇게 제공된 발판을 사용자가 밟고 지나가면 신발에 묻은 일부의 흙과 같은 먼지 등이 발판 속으로 떨어지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발판은,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격판과,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격판이 격자형으로 구성된 발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격자형 발판은 사용자가 직접 다리를 움직여야만 신발에 묻은 흙과 같은 먼지 등이 털어지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서면 자동으로 신발에 묻은 흙, 또는 이물질(물기, 눈)을 털어내는 발판이 개발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73506 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0229987 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0419369 호"를 들 수 있다.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73506 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0229987 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0419369 호"에 개시된 발판은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서면 자동으로 신발에 묻은 흙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흡입식 발판들은 흙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다수의 흡입공이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비 또는 눈이 내리는 날씨에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발에 묻은 흙 또는 이물질을 흡입할 때 신발이 밀착된 흡입공 이외에 다른 흡입공 측에서도 흡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활한 흡입을 위해서는 진공발생장치를 대형화 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진공발생장치의 대형화로 인해 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가혹한 날씨에도 건물의 외부에 설치하여 신발에 묻은 흙 또는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털어 낼 수 있게 하는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신발에 묻은 흙 또는 이물질 제거 시 신발이 올라 선 부분에서만 흡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진공발생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어 소음이 없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하는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함체형상의 받침하우징과,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되고 받침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상판과, 받침하우징의 내부를 상하로 분할하는 격판을 가지며, 받침하우징의 바닥면 상부에는 격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 1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격판의 상부면 상에는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 2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발판본체;
진공라인에 의해 받침하우징과 연결되는 진공발생기를 가지며, 진공라인에는 발판본체 내부의 진공압을 감지하는 진공감지센서가 배치되며, 진공감지센서와 진공발생기 사이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제공되는 진공형성부; 및
격판과 상판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공을 단속하는 원판부와, 원판부의 상부면에서부터 원판부와 마주보는 흡입공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부는 원판부의 하부에 지지되고 하부는 격판에 지지되면서 원판부가 흡입공을 폐쇄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을 가지는 제어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받침하우징에는 진공라인과 연결되는 연결구가 제공되며, 격판에는 흡입공과 마주보는 다수의 진공안내공이 제 2 지지돌기에 간섭되지 않게 형성되고, 원판부의 상부면 상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고무패킹판이 돌출부를 통해 끼워져 안착되는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판유닛은 다수의 제어핀이 상판의 흡입공을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가혹한 날씨에도 건물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판유닛은 사람이 밟은 부분의 제어핀 만이 가압되어 흡입공을 개방하기 때문에 소형의 진공발생기로도 원활하게 신발에 묻은 흙과 같은 먼지를 털어낼 수 있고, 진공발생기의 소형화로 인해 소음이 없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100)은,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을 가지는 발판본체(110)와, 발판본체(110)와 연결되어 발판본체(110)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어주는 진공형성부(130), 및 발판본체(110) 내부에서 발판본체(110)의 상부 측으로 돌출되게 탄성 지지되는 다수의 제어핀(150)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어핀(150)은 신발이 발판본체(110)을 밟으면 발판본체(110) 내로 가압됨과 아울러 신발에 묻은 흙과 같은 먼지가 발판본체(110) 내부로 흡입되게 하고, 발판본체(110)에서 신발이 이격되면 발판본체(110) 상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발판본체(110) 내부가 진공이 되도록 발판본체(110)의 상부를 폐쇄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판본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판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함체형상을 가지는 받침하우징(112)과, 받침하우징(112)의 상부를 덮는 상판(118)을 구비한다. 또한 발판본체(110)는 받침하우징(112)의 내부를 상하로 분할하는 수평한 격판(122)을 더 구비한다.
첨부된 도면에는 받침하우징(112), 상판(118) 및 격판(122)이 사각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상을 사각형상 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받침하우징(112)에는 후술하는 진공형성부(1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관 형상의 연결구(114)가 일체로 제공된다. 그리고 받침하우징(112)의 바닥면 상부에는 받침하우징(112)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판(122)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 1 지지돌기(11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구(114)는 후술하는 진공형성부(130)와의 용이한 연결을 위해 받침하우징(112)의 어느 하나의 일측면, 또는 받침하우징(112)의 양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연결구(114)가 받침하우징(112)의 양측면 상에 제공되면 하나의 연결구(114)에만 진공형성부(130)를 연결시키고 나머지 연결구(114)는 폐쇄시킨다.
한편, 상판(118)은 통상의 볼트(bolt)에 의해서 받침하우징(112)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판(118)에는 다수의 흡입공(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하우징(1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판(118)과 마주보는 격판(122)에는 흡입공(120)과 마주보는 다수의 진공안내공(124)이 형성되며, 격판(122)의 상부면 상에는 상판(118)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 2 지지돌기(126)가 진공안내공(124)에 간섭되지 않게 돌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판(118)의 상부면 상에는 부직포로 된 집진필터판(F) 및 다수의 기공(氣孔)이 형성된 고무판(P)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발판본체(110)에는 진공형성부(130) 및 다수의 제어핀(150)이 배치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진공형성부(130)는 통상의 진공발생기(13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진공발생기(132)는 통상의 링브로워를 채택한다. 진공발생기(132)는 진공라인(134)을 통해 발판본체(110)의 연결구(114)와 연결된다. 그리고 진공라인(134)에는 연결구(114)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발판본체(110) 내부의 진공상태를 감지하는 진공감지센서(136)가 제공되고, 진공감지센서(136)와 진공발생기(132) 사이에는 솔레노이드밸브(138)가 제공된다. 한편, 진공형성부(130)는 진공발생기(132), 진공감지센서(136) 및 솔레노이드밸브(138)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진공발생기(132), 진공감지센서(136) 및 솔레노이드밸브(138)를 제어하는 마이컴(140)을 더 구비한다.
즉, 발판본체(110) 내부에 진공압이 떨어지면 진공감지센서(136)가 이를 감지하여 마이컴(140)으로 신호를 보내고, 마이컴(140)은 진공발생기(132)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솔레노이드밸브(138)를 개방시킨다. 반대로 미리 설정한 진공압 이상으로 발판본체(11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 진공감지센서(136)가 이를 감지하여 마이컴(140)으로 신호를 보내고, 마이컴(140)은 진공발생기(132)의 작동을 중지시킴과 아울러 솔레노이드밸브(138)를 차단시킨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제어핀(150)은 발판본체(110)의 격판(122)과 상판(118) 사이에 배치된다. 제어핀(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부(152), 돌출부(156) 및 압축스프링(158)을 구비한다.
원판부(152)는 격판(122)과 상판(118)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공(120)을 단속하면서 흡입공(120)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흡입공(120)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큰 외주면 직경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이렇게 제공되는 원판부(152)의 상부면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고무패킹판(154)이 돌출부(156)를 통해 끼워져 원판부(152)의 상부면 상에 안착된다.
돌출부(156)는 원판부(152)의 상부면에서부터 원판부(152)와 마주보는 흡입공(120)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돌출부(156)는 상판(118)에 올라서는 신발의 밑창과 접촉된다. 한편, 상판(118)에 올라선 신발에 의해서 돌출부(156)가 가압되어 원판부(152)가 흡입공(120)을 개방하게 되면 신발에 묻은 흙과 같은 먼지 등이 흡입공(120)을 통해 발판본체(110) 내부로 흡입되는데, 이를 위해 돌출부(156)는 흡입공(120)을 통해 안내되는 흙과 같은 먼지가 원활하게 흡입공(120)을 통해 안내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한편, 압축스프링(158)의 상부는 원판부(152)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압축스프링(158)의 하부는 격판(122)의 상부면 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압축스프링(158)은 원판부(152)가 항상 흡입공(120)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100)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도어의 주변영역에 설치된다.
우선, 다수의 제어핀(150)이 내장된 발판본체(110)를 도어의 주변영역에 배치한 상태 하에서 발판본체(110)에 형성된 연결구(114)에 진공라인(134)을 결합시켜 발판본체(110)와 진공형성부(130)를 서로 연결시킨다. 진공형성부(130)는 사람 의 출입에 간섭되지 않는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발판본체(110)와 진공형성부(130)의 연결이 완료되면, 진공형성부(130)를 작동시켜 발판본체(110)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든다. 이때, 발판본체(110)의 상판(118)에 형성된 흡입공(120)은 압축스프링(158)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어핀(150)의 원판부(152) 및 고무패킹판(154)에 의해 폐쇄된다.
한편, 제어핀(150)의 돌출부(156)가 돌출된 상판(118)을 신발을 신을 사람이 밟으면, 사람의 체중에 의해서 돌출부(156)가 발판본체(110) 내부로 가압되는데, 이렇게 돌출부(156)가 가압되면, 가압되는 돌출부(156)에 의해서 돌출부(156)와 연결된 원판부(152)는 압축스프링(158)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원판부(152)가 하강함에 따라 흡입공(120)을 개방되어 신발에 묻은 흙과 같은 먼지 등을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흡입공(120)을 통해 흙과 같은 먼지 등이 흡입되면서 발판본체(110) 내부의 진공압이 떨어지면 진공형성부(130)는 발판본체(11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흡입공(120)을 통해 신발에 묻은 흙 또는 먼지 등이 직접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판(118)의 상부에 부직포로 된 집진필터판(F) 또는 다수의 기공(氣孔)이 형성된 고무판(P)이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사람이 발판본체(118)의 상판(118)을 밟고 지나가면, 압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158)은 복원되고, 압축스프링(158)이 복원됨에 따라 돌출부(156)의 연장단부는 다시 흡입공(120)을 관통하여 상판(118)의 외부로 노출되고 원판부(152)는 흡입공(120)을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발판본체(110) 내부의 진공압이 미리 설 정한 진공압 이상이 되면 이를 진공감지센서(136)가 마이컴(140)으로 신호를 보내고, 마이컴(140)은 진공발생기(132)의 작동을 중지시킴과 아울러 솔레노이드밸브(138)를 차단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발판유닛(100)은 다수의 제어핀(150)이 상판(118)의 흡입공(120)을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가혹한 날씨에도 건물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사람이 밟은 부분의 제어핀(150) 만이 가압되어 흡입공(120)을 개방하기 때문에 소형의 진공발생기(132)로도 원활하게 신발에 묻은 흙과 같은 먼지를 털어낼 수 있고, 진공발생기의 소형화로 인해 소음이 없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판본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110 : 발판본체
112 : 받침하우징 118 : 상판
122 : 격판 130 : 진공형성부
132 : 진공발생기 150 : 제어핀
152 : 원판부 156 : 돌출부
158 : 압축스프링

Claims (8)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함체형상의 받침하우징과,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상판과, 상기 받침하우징의 내부를 상하로 분할하는 격판을 가지며, 상기 받침하우징의 바닥면 상부에는 상기 격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 1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격판의 상부면 상에는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 2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발판본체;
    진공라인에 의해 상기 받침하우징과 연결되는 진공발생기를 가지며, 상기 진공라인에는 상기 발판본체 내부의 진공압을 감지하는 진공감지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진공감지센서와 상기 진공발생기 사이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제공되는 진공형성부; 및
    상기 격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공을 단속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상부면에서부터 상기 원판부와 마주보는 상기 흡입공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부는 상기 원판부의 하부에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격판에 지지되면서 상기 원판부가 상기 흡입공을 폐쇄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을 가지는 제어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하우징에는 상기 진공라인과 연결되는 연결구가 제공되며, 상기 격판에는 상기 흡입공과 마주보는 다수의 진공안내공이 상기 제 2 지지돌기에 간섭되지 않게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의 상부면 상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고무패킹판이 상기 돌출부를 통해 끼워져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부면 상에는 부직포로 된 집진필터판와 다수의 기공 형성된 고무판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진공감지센서는 연결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진공발생기, 상기 진공감지센서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마이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는 상기 흡입공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흡입공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큰 외주면 직경을 가지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단면이"+"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판유닛.
KR1020090078597A 2009-08-25 2009-08-25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KR101124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597A KR101124381B1 (ko) 2009-08-25 2009-08-25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597A KR101124381B1 (ko) 2009-08-25 2009-08-25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041A KR20110021041A (ko) 2011-03-04
KR101124381B1 true KR101124381B1 (ko) 2012-03-16

Family

ID=4393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597A KR101124381B1 (ko) 2009-08-25 2009-08-25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3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802B1 (ko) * 2013-04-10 2014-08-13 강은규 진공 흡입식 발판
KR101627333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판넬
KR101627330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8487A (zh) * 2011-12-05 2012-06-13 陈智勇 鞋底雨水清洁器
KR101255054B1 (ko) 2012-02-15 2013-04-16 (주)테스토닉 먼지 흡입장치
KR101351632B1 (ko) * 2012-03-27 2014-01-16 (주)테스토닉 먼지 흡입 장치
KR200469804Y1 (ko) * 2012-06-28 2013-11-11 주식회사 지.엠 신발의 먼지 흡입장치
KR101348781B1 (ko) * 2012-10-09 2014-01-07 주식회사 제이피시시스템 신발털이기의 셀 구조
KR101577816B1 (ko) * 2014-03-20 2015-12-28 김상용 차량 바닥부의 이물질 제거용 매트
KR101470491B1 (ko) * 2014-08-13 2014-12-08 김순태 차량용 진공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134A (ko) * 2002-12-20 2004-06-26 이진수 진공 신발 털이기
KR100821510B1 (ko) * 2007-04-16 2008-04-14 신재학 출입구용 진공청소장치
KR20090010029A (ko) * 2006-04-14 2009-01-28 가부시키가이샤 선 엔지니어링 흡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134A (ko) * 2002-12-20 2004-06-26 이진수 진공 신발 털이기
KR20090010029A (ko) * 2006-04-14 2009-01-28 가부시키가이샤 선 엔지니어링 흡진 장치
KR100821510B1 (ko) * 2007-04-16 2008-04-14 신재학 출입구용 진공청소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802B1 (ko) * 2013-04-10 2014-08-13 강은규 진공 흡입식 발판
KR101627333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판넬
KR101627330B1 (ko) 2015-08-12 2016-06-07 대신엠씨 주식회사 먼지 흡입장치
EP3132734A1 (en) 2015-08-12 2017-02-22 Daeshin MC Corporation Dust suction apparatus
US10159399B2 (en) 2015-08-12 2018-12-25 Daeshin Mc Corporation Dust su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041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381B1 (ko) 진공을 이용한 발판유닛
KR101098103B1 (ko)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JP2020516435A (ja) ビーズを用いた塵埃吸引装置
JP2020516434A (ja) 空気流入弁を備えた塵埃吸引エアマット
KR101273861B1 (ko) 흡입식 신발털이장치
KR101287946B1 (ko) 먼지흡입장치
EP2730706A1 (en) Water valve apparatus
KR100496038B1 (ko) 진공 신발 털이기
CN104523212A (zh) 吸尘地垫
KR200466067Y1 (ko) 발선풍기
KR101893409B1 (ko)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GB2195074A (en) Ventilating sole for footwear
KR101428802B1 (ko) 진공 흡입식 발판
KR101533259B1 (ko) 신발바닥 먼지흡입 매트
CN209518826U (zh) 一种室内地面的除尘装置
US5570489A (en) Liquid extra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KR200406366Y1 (ko) 폐공기 배출용 일방향 통풍겉창
KR200451021Y1 (ko)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KR20140092581A (ko) 신발 소독장치
KR20120074449A (ko) 진공청소기
KR101348780B1 (ko) 신발털이기의 셀 구조
KR100502519B1 (ko) 남자소변기용 발판
KR101056647B1 (ko)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
KR200330214Y1 (ko) 신발바닥의 물기 제거장치
KR101211468B1 (ko) 욕실용 슬리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