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347B1 -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347B1
KR101502347B1 KR20140082264A KR20140082264A KR101502347B1 KR 101502347 B1 KR101502347 B1 KR 101502347B1 KR 20140082264 A KR20140082264 A KR 20140082264A KR 20140082264 A KR20140082264 A KR 20140082264A KR 101502347 B1 KR101502347 B1 KR 10150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st
collecting box
open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운
Original Assignee
신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운 filed Critical 신재운
Priority to KR2014008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347B1/ko
Priority to PCT/KR2015/006494 priority patent/WO2016003112A1/ko
Priority to CN201580007731.1A priority patent/CN106170240B/zh
Priority to JP2016552395A priority patent/JP621697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설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며, 일측에 구비된 진공흡입장치의 흡입력에 의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먼지를 흡입하는 매트본체로 이루어진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장치는 포집함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매트본체의 연결관에 연결되는 흡입관을 통해 매트본체의 먼지를 흡입하여 포집함에 포집함과 아울러, 상기 흡입모터와 포집함의 소음을 차감하도록 둘레를 따라 제1,2흡음재가 이중으로 구비된 흡입수단과; 상기 흡입수단의 하측에 형성된 바닥판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수단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외부케이스와; 출입구의 일측 바닥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단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내부에 상기 흡입관이 수용되도록 흡입관수용부를 갖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흡음재를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차감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투시창을 갖는 외부덮개를 통해 포집된 먼지를 육안으로 확인함과 아울러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고, 가이드램프를 통해 시인성을 확보하여 야간 또는 정전시 출입자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안전성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Shoes dust mat like device that removes}
본 발명은 시설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입구멍에 설치된 개폐부재에 의해 매트본체의 면적에 무관하게 사람이 밟고 있는 곳의 유입구멍만 개폐하여 흡입력을 집중함은 물론 개폐수단의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진공흡입장치에 흡음재를 부가함에 따라 먼지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차감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진공흡입장치에 포집된 먼지를 육안으로 확인함과 아울러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고, 가이드램프를 통해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의 출입구 바닥에는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는 다수의 유입공이 상판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기와 진공흡입력을 생성하는 모터로 이루어진 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유입공이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흡입수단이 작동되며, 이에 출입자가 상판 위에서 이물질을 털고 통과하더라도 신발에 이물질이 그대로 남아 실내 오염원이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 선 출원된 ① 등록특허 10-0496038호와 ② 공개특허 10-2011-0119441호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제안된 종래 구성을 살펴보면 ①의 경우 상판에 형성된 유입공에 개폐수단이 구비되며, 출입자가 상판을 밟을 경우 개폐되도록 스프링이 장착된 구조이고, 이러한 구조의 개폐수단이 유입공의 위치마다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②의 경우 상기 ①과 스프링의 종류 및 형상이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는 몸체의 상판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개폐수단 중 출입자의 신발에 의해서 눌려지는 몇 개의 개폐수단이 승강 동작이 되면서 해당 유입공이 개방된 부분만 흡입력이 집중됨에 따라 출입자의 신발 바닥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 개폐수단은 탄성력을 갖기 위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결합하여 설치해야하며, 유입공마다 조립해야 하고, 구성에 비해 조립 부속품의 소요가 너무 많으며, 조립이 번거롭고 조립공정 수가 많아 전체적인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는 구조상 상기한 탄성부재는 포집통로에 설치되는데 유입공을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탄성부재에 끼어 개폐수단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아 흡입력이 떨어짐은 물론 이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해 자주 수리해야 하는 번거로우며, 상판을 받쳐주는 지지부재가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빈약하여 사용자의 중량에 의해 상판이 파손 또는 휘어짐 등이 발생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공보 제10-1374017호(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를 제안하여 실시하였으나, 제작에 따른 비용 감소 및 제품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계량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의 구성에서 진공흡입장치에 내장된 흡입모터와 포집함의 둘레에 제1,2흡음재를 부가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차감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상기 진공흡입장치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을 갖는 외부덮개를 포함함으로써, 포집된 먼지를 육안으로 확인함과 아울러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고, 가이드램프를 통해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설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며, 일측에 구비된 진공흡입장치의 흡입력에 의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먼지를 흡입하는 매트본체로 이루어진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장치는 포집함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매트본체의 연결관에 연결되는 흡입관을 통해 매트본체의 먼지를 흡입하여 포집함에 포집함과 아울러, 상기 흡입모터와 포집함의 소음을 차감하도록 둘레를 따라 제1,2흡음재가 이중으로 구비된 흡입수단과; 상기 흡입수단의 하측에 형성된 바닥판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수단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외부케이스와; 출입구의 일측 바닥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단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내부에 상기 흡입관이 수용되도록 흡입관수용부를 갖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포집함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모터의 둘레에는 상기 포집함과 바닥판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흡입모터를 보호하는 모터커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모터커버와 흡입모터의 사이에 제1흡음재가 채워지며, 상기 모터커버와 포집함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으로 제2흡음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트본체에 연결관이 돌출된 부분에는 상기 매트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출입자로부터 연결관을 보호하는 연결관보호커버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보호커버는 'ㄷ'자형 채널 형상으로 상기 연결관의 일부분을 덮으며, 상기 매트본체의 일측에 연장되어 고정설치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공을 따라 상기 제1커버로부터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매트본체는 상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먼지수용부를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측을 덮는 판 형상으로 다수의 개폐구멍이 격자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관통 형성되며, 이 개폐구멍에 대응하여 출입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개폐구멍을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부재가 구비된 중판과; 상기 중판의 상측을 덮는 판 형상으로 상기 개폐구멍에 대응하여 다수의 유입구멍이 관통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흡음재를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차감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투시창을 갖는 외부덮개를 통해 포집된 먼지를 육안으로 확인함과 아울러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고, 가이드램프를 통해 시인성을 확보하여 야간 또는 정전시 출입자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안전성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서 진공흡입장치의 조립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서 흡입수단의 분해상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서 진공흡입장치의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서 매트본체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서 매트본체의 조립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서 매트본체의 단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서 매트본체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서 매트본체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며, 일측에 구비된 진공흡입장치(10)의 흡입력에 의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먼지를 흡입하는 매트본체(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진공흡입장치(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함(120)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모터(11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매트본체(20)의 연결관(410)에 연결되는 흡입관(121)을 통해 매트본체(20)의 먼지를 흡입하여 포집함(120)에 포집함과 아울러, 상기 흡입모터(110)와 포집함(120)의 소음을 차감하도록 둘레를 따라 제1,2흡음재(115,125)가 이중으로 구비된 흡입수단(100)과; 상기 흡입수단(100)의 하측에 형성된 바닥판(210)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수단(1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외부케이스(200)와; 출입구의 일측 바닥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하단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내부에 상기 흡입관(121)이 수용되도록 흡입관수용부(310)를 갖는 베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집함(120)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모터(110)의 둘레에는 상기 포집함(120)과 바닥판(210)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흡입모터(110)를 보호하는 모터커버(1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모터커버(130)와 흡입모터(110)의 사이에 제1흡음재(115)가 채워지며, 상기 모터커버(130)와 포집함(120)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내측으로 제2흡음재(125)가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흡입수단(100)은 바닥판(210)의 중앙에 상측이 개방된 포집함(120)이 설치되고, 이 포집함(120)의 일측에는 상기 매트본체(20)의 연결관(410)에 연결되는 흡입관(121)이 상기 포집함(120)에 통공하여 연장 형성되며, 상기 포집함(120)의 반대 측에는 상기 연결관(410)을 통해 상기 매트본체(20)의 먼지수용부(401)로부터 상기 포집함(120)으로 먼지가 포집되도록 흡입모터(110)가 구비고, 상기 흡입모터(110)의 둘레에는 흡입모터(110)의 작동소음이 흡수하는 제1흡음재(115)가 감겨짐과 더불어 그 둘레를 커버하는 모터커버(130)가 상기 바닥판(210)과 포집함(12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포집함(120)과 모터커버(130)의 둘레에는 상기 제1흡음재(115)을 통해 흡음되지 못한 소음은 이차적으로 흡음하여 외부케이스(200)의 바깥쪽으로 흡입모터(110)의 작동소음이 들리지 않도록 제2흡음재(125)가 감싸진다.
이때, 상기 모터커버(130)의 상측에는 상기 흡입모터(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핀(131)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포집함(120)의 상부에는 이 포집함(120)의 상부를 개폐함과 아울러 투명재질의 포집함덮개(123)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상측 중앙에는 상기 포집함덮개(123)가 통과하는 개구부(220)가 관통 형성되고, 이 개구부(220)에는 상기 포집함(120)에 구비된 포집낭(127)의 먼지 포집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235)을 갖는 외부덮개(230)가 더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포집함(12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흡입관(121)을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포집낭(127) 및 포집함(120)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램프(129)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300)의 상측 둘레에는 체결고리(3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하측 둘레에는 상기 체결고리(320)와 대응되는 고정클램프(25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200)를 포함하는 진공흡입장치(10)를 상기 베이스(300)로부터 간편하게 착탈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둘레 일측에는 상기 흡입모터(110)의 작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2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흡입모터(110)에 대응되는 상기 포집함(120)의 내측에는 상기 포집낭(127)을 통과하는 미세먼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필터(117)가 더 구비되며, 상기 포집함덮개(123)의 하측에는 포집함(120)에 발생하는 소음이 포집함덮개(123)를 통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흡음재(124)를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트본체(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본체(20)는 상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먼지수용부(401)를 갖는 함체(400)와; 상기 함체(400)의 상측을 덮는 판 형상으로 다수의 개폐구멍(510)이 격자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관통 형성되며, 이 개폐구멍(510)에 대응하여 출입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개폐구멍(510)을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부재(520)가 구비된 중판(500)과; 상기 중판(500)의 상측을 덮는 판 형상으로 상기 개폐구멍(510)에 대응하여 다수의 유입구멍(610)이 관통 형성된 상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5에 의하면, 상기 함체(400)의 바닥에는 다수의 체결공(405)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중판(500)이 상기 함체(400)에 고정되도록 상기 중판(500)에는 상기 체결공(405)과 대응되는 체결홈(535)이 형성된 결합돌부(53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405)을 통해 상기 함체(400)의 하측에서 체결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홈(535)과 체결된다.
또한, 도 8에 의하면, 상기 매트본체(20)의 바깥쪽 둘레에는 출입자가 상판(600) 위에 안전하게 올라설 수 있도록 구배를 갖는 마감패널(800)이 더 구비되며, 출입문(30)의 일측에 접근하는 출입자를 감지하여 상기 진공흡입장치(10)에 작동신호를 보내는 출입센서(31)이 설치되거나, 출입문(30)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진공흡입장치(10)의 일측에 상기 매트본체(20)를 통과하는 출입자를 감지하여 진공흡입장치(10)에 작동신호를 보내는 모션센서(11)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개폐부재(520)는 상기 개폐구멍(510) 및 유입구멍(610)에 관통삽입되며, 돔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두 개의 개폐돌기(521a) 및 이 개폐돌기(521a)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리브(521b)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브라켓(521)과; 상기 개폐돌기(521a)에 인접되는 연결리브(521b)의 단부와 상기 중판(500)에 서로 연결되어 상기 개폐돌기(521a)를 상기 중판(500) 측으로 탄성 복귀시키는 탄성부재(52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520)는 출입자의 안전 및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야광도료, 축광도료, 형광도료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배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트본체(20)에 연결관(410)이 돌출된 부분에는 상기 매트본체(20)에서 연장 형성되어 출입자로부터 연결관(410)을 보호하는 연결관보호커버(420)가 더 구비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보호커버(420)는 'ㄷ'자형 채널 형상으로 상기 연결관(410)의 일부분을 덮으며, 상기 매트본체(20)의 일측에 연장되어 고정설치되는 제1커버(421)와; 상기 제1커버(421)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공(424)을 따라 상기 제1커버(421)로부터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410)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커버(423)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400)의 먼지수용부(401)에는 상기 매트본체(20)를 통과하는 출입자가 정전 또는 야간 시 진행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램프(430)가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가이드램프(430)를 통해 발생하는 불빛이 상기 중판(500) 및 상판(600)의 개폐구멍(510)과 유입구멍(610)을 통해 외부로 발광되며, 투명재질의 개폐부재(520)를 사용하여 더욱 발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작용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로 구성되는 매트본체(20)를 시설의 출입문(30) 측 정면 바닥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매트본체(20)의 연결관(410)에 연결되는 흡입관(121)을 따라 상기 매트본체(20)에 인접하여 진공흡입장치(10)를 설치한 상태에서 출입자가 상기 출입문(30)을 통해 출입할 경우, 상기 출입문(30)이 개폐되면서 출입문(30)에 설치된 감지수단(31)에 의해 상기 진공흡입장치(10)가 흡입작동한다.
이때, 상기 매트본체(20)의 상판(600)으로 출입자가 올라서면 출입자가 밟고 있는 부분의 개폐부재(520)만 출입자의 하중에 의해 유입구멍(610)을 개폐함으로써, 출입자의 신발 부분에만 상기 진공흡입장치(10)의 흡입력이 집중하여 먼지수용부(401)로 먼지가 흡입됨과 아울러, 연결관(410) 및 흡입관(121)을 통해 포집함(120)으로 신발의 먼지가 포집된다.
여기서, 상기 포집함(120)에 구비된 포집낭(127)에 먼지가 포집된 후 사용자가 투시창(235)을 통해 포집낭(127)이 부풀어 오른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필요 시 다른 포집낭(127)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보호커버(420)의 제2커버(423)를 제1커버(421)의 가이드공(424)을 따라 개폐한 후 연결관(410)과 흡입관(121)을 임의로 분리하여 상기 매트본체(20)의 주변을 간편하게 흡입청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흡음재를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차감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투시창을 갖는 외부덮개를 통해 포집된 먼지를 육안으로 확인함과 아울러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고, 가이드램프를 통해 시인성을 확보하여 야간 또는 정전시 출입자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안전성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진공흡입장치 20: 매트본체
30: 출입문 31: 감지수단
100: 흡입수단 110: 흡입모터
115: 제1흡음재 117: 필터
120: 포집함 121: 흡입관
123: 포집함덮개 124: 제3흡음재
125: 제2흡음재 127: 포집낭
129: 살균램프 130: 모터커버
131: 방열핀 200: 외부케이스
210: 바닥판 220: 개구부
230: 외부덮개 235: 투시창
240: 표시부 250: 고정클램프
300: 베이스 310: 흡입관수용부
320: 체결고리 400: 함체
401: 먼지수용부 405: 체결공
410: 연결관 420: 연결관보호커버
421: 제1커버 423: 제2커버
424: 가이드공 430: 가이드램프
500: 중판 510: 개폐구멍
520: 개폐부재 521: 개폐브라켓
521a: 개폐돌기 521b: 연결리브
523: 탄성부재 530: 결합돌부
535: 체결홈 600: 상판
610: 유입구멍 800: 마감패널

Claims (10)

  1. 시설의 출입구 바닥에 설치되며, 일측에 구비된 진공흡입장치(10)의 흡입력에 의해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먼지를 흡입하는 매트본체(20)로 이루어진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장치(10)는 포집함(120)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모터(11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매트본체(20)의 연결관(410)에 연결되는 흡입관(121)을 통해 매트본체(20)의 먼지를 포집하는 포집함(120)을 갖는 흡입수단(100)과;
    상기 흡입수단(100)의 하측에 형성된 바닥판(210)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수단(1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외부케이스(200)와;
    출입구의 일측 바닥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하단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내부에 상기 흡입관(121)이 수용되도록 흡입관수용부(310)를 갖는 베이스(300)로 구성되며,
    상기 흡입수단(100)의 둘레 및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모터(110)와 포집함(120)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차감하도록 제1,2흡음재(115,125)가 이중 구조로 더 구비되고,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둘레 일측에는 상기 흡입모터(110)의 작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2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포집함(120)의 내측 및 포집함덮개(123)의 하측에는 포집낭(127)을 통과하는 미세먼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필터(117)와, 상기 포집함(120)에 발생하는 소음이 포집함덮개(123)를 통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흡음제(124)가 각각 더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300)로부터 외부케이스(200)를 분리시켜 진공흡입장치(1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300)의 상측 둘레엔 체결고리(3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하측 둘레엔 상기 체결고리(320)와 대응 결합되는 고정클램프(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함(120)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모터(110)의 둘레에는 상기 포집함(120)과 바닥판(210)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흡입모터(110)를 보호하는 모터커버(1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모터커버(130)와 흡입모터(110)의 사이에 제1흡음재(115)가 채워지며, 상기 모터커버(130)와 포집함(120)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내측으로 제2흡음재(125)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함(120)의 상부에는 이 포집함(120)의 상부를 개폐함과 아울러 투명재질의 포집함덮개(123)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상측 중앙에는 상기 포집함덮개(123)가 통과하는 개구부(220)가 관통 형성되고, 이 개구부(220)에는 상기 포집함(120)에 구비된 포집낭(127)의 먼지 포집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235)을 갖는 외부덮개(2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커버(130)의 상측에는 상기 흡입모터(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핀(13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함(12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흡입관(121)을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포집낭(127) 및 포집함(120)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램프(12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본체(20)에 연결관(410)이 돌출된 부분에는 상기 매트본체(20)에서 연장 형성되어 출입자로부터 연결관(410)을 보호하는 연결관보호커버(4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보호커버(420)는 'ㄷ'자형 채널 형상으로 상기 연결관(410)의 일부분을 덮으며, 상기 매트본체(20)의 일측에 연장되어 고정설치되는 제1커버(421)와;
    상기 제1커버(421)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공(424)을 따라 상기 제1커버(421)로부터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410)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제2커버(4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본체(20)는 상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먼지수용부(401)를 갖는 함체(400)와;
    상기 함체(400)의 상측을 덮는 판 형상으로 다수의 개폐구멍(510)이 격자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관통 형성되며, 이 개폐구멍(510)에 대응하여 출입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개폐구멍(510)을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부재(520)가 구비된 중판(500)과;
    상기 중판(500)의 상측을 덮는 판 형상으로 상기 개폐구멍(510)에 대응하여 다수의 유입구멍(610)이 관통 형성된 상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20)는 출입자의 안전 및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야광도료, 축광도료, 형광도료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배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400)의 먼지수용부(401)에는 상기 매트본체(20)를 통과하는 출입자가 정전 또는 야간 시 진행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램프(4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KR20140082264A 2014-07-02 2014-07-02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KR101502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2264A KR101502347B1 (ko) 2014-07-02 2014-07-02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PCT/KR2015/006494 WO2016003112A1 (ko) 2014-07-02 2015-06-25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CN201580007731.1A CN106170240B (zh) 2014-07-02 2015-06-25 垫式鞋灰尘去除装置
JP2016552395A JP6216979B2 (ja) 2014-07-02 2015-06-25 マット式の履物の塵埃除去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2264A KR101502347B1 (ko) 2014-07-02 2014-07-02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347B1 true KR101502347B1 (ko) 2015-03-13

Family

ID=53027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2264A KR101502347B1 (ko) 2014-07-02 2014-07-02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16979B2 (ko)
KR (1) KR101502347B1 (ko)
CN (1) CN106170240B (ko)
WO (1) WO201600311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817B1 (ko) 2017-09-26 2018-10-24 김성주 살균발판
US10271711B2 (en) * 2015-07-08 2019-04-30 Chili JIAN Shoe sole cleaning apparatus
KR102345136B1 (ko) * 2020-07-29 2022-01-03 (주)니나노 신발 세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114B1 (ko) * 2017-04-13 2019-10-16 (주)테스토닉 구슬이 적용된 먼지 흡입장치
CN110742571A (zh) * 2019-10-29 2020-02-04 西南石油大学 一种模块化鞋底真空吸尘垫
KR102480441B1 (ko) * 2022-05-06 2022-12-22 운생동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134A (ko) * 2002-12-20 2004-06-26 이진수 진공 신발 털이기
KR20060062145A (ko) * 2004-12-03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팬모터의 소음감소장치
KR101374017B1 (ko) * 2013-01-07 2014-03-25 신재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4156U (ja) * 1983-05-10 1984-11-21 篠田ゴム株式会社 マツト
JP3452859B2 (ja) * 2000-02-15 2003-10-06 株式会社パイオニア風力機 除塵装置
CN2638665Y (zh) * 2003-08-21 2004-09-08 见大广 全自动鞋底尘污清洁机
KR20050102254A (ko) * 2004-04-21 2005-10-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현관용 진공청소기
US8092564B2 (en) * 2006-04-14 2012-01-10 Sun Engineering Co., Ltd. Dust collection system
US7725974B2 (en) * 2006-11-02 2010-06-01 Hughes Randall L Shoe and foot cleaning and disinfecting system
KR100821510B1 (ko) * 2007-04-16 2008-04-14 신재학 출입구용 진공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134A (ko) * 2002-12-20 2004-06-26 이진수 진공 신발 털이기
KR20060062145A (ko) * 2004-12-03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팬모터의 소음감소장치
KR101374017B1 (ko) * 2013-01-07 2014-03-25 신재운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1711B2 (en) * 2015-07-08 2019-04-30 Chili JIAN Shoe sole cleaning apparatus
KR101910817B1 (ko) 2017-09-26 2018-10-24 김성주 살균발판
KR102345136B1 (ko) * 2020-07-29 2022-01-03 (주)니나노 신발 세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16979B2 (ja) 2017-10-25
JP2016537164A (ja) 2016-12-01
CN106170240B (zh) 2018-09-21
CN106170240A (zh) 2016-11-30
WO2016003112A1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347B1 (ko)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KR100645375B1 (ko) 오물역류 방지부재를 구비한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90095333A (ko) 먼지봉투 또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선택 장착할 수 있는진공청소기
ATE448724T1 (de) Staub- und schmutzsammeleinheit für staubsauger
KR101486754B1 (ko) 매트식 신발 먼지 제거장치
ITRA20070042A1 (it) Centralina per impianti aspirapolvere centralizzati .
WO2012146616A1 (en) Vacuum cleaner comprising a water filter and a cyclone unit
KR101278518B1 (ko) 흡입판
US20220125254A1 (en) Vacuum cleaner
EA021774B1 (ru) Пылесос с емкостью для воды, не имеющий средств крепления указанной емкости
RU2380025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основного корпуса пылесоса
KR200459414Y1 (ko) 전기청소기용 바닥감지장치
KR200364238Y1 (ko) 이동식 집진기
CN111957132B (zh) 一种应用于空气净化装置的安装结构以及空气净化装置
CN211884847U (zh) 减噪盒和通气治疗设备
RU25637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стельных принадлежностей
JP2014181858A (ja) エアシャワー装置
JP2017089951A (ja) 送風装置
JP6043960B2 (ja) 電気掃除機
KR102592405B1 (ko) 흡배기 모드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청소기
KR102551517B1 (ko) 진동 및 소음 완충이 가능한 슬림형 진공 청소기
CN215755855U (zh) 一种带轿厢内部通风装置的观光电梯
KR102248311B1 (ko) 렌지 후드 조립체
RU2414843C2 (ru) Пылесос с двумя корпусами, изготовленными из пенополипропилена
CN205478274U (zh) 一种医用泵阀过滤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