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019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019A
KR20090001019A KR1020070065069A KR20070065069A KR20090001019A KR 20090001019 A KR20090001019 A KR 20090001019A KR 1020070065069 A KR1020070065069 A KR 1020070065069A KR 20070065069 A KR20070065069 A KR 20070065069A KR 20090001019 A KR20090001019 A KR 20090001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riving
container
uni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1819B1 (ko
Inventor
주종화
심우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819B1/ko
Priority to US12/034,893 priority patent/US8150276B2/en
Priority to EP08153797.9A priority patent/EP2009511B1/en
Priority to CN2008100979863A priority patent/CN101334610B/zh
Priority to RU2008126326/28A priority patent/RU2397526C2/ru
Publication of KR20090001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03G15/08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the level being measured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15Cartridge systems for cleaning or developing but not being a 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장치와; 현상제가 저장되며,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가지는 현상제 컨테이너와; 현상제 컨테이너의 현상제 잔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공급부의 구동율을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장치 및 현상제 컨테이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제어 구성도,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제 공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제 컨테이너의 현상제 잔량 감소에 따른 공급량의 변화를 나타낸 실시예의 그래프,
도 6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제 컨테이너의 현상제 잔량 감소에 따른 공급부의 단위시간 당 구동시간 비율 변화를 나타낸 실시예의 그래프,
도 7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급부가 구동할 때, 현상제 컨테이너의 현상제 잔량에 따른 공급량의 변화를 나타낸 실시예의 그래프
도 8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제 컨테이너의 현상제 잔량 감소에 따른 공급부의 구동시간 비율을 도 6과 상이하게 제어한 실시예의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100 : 본체케이싱
110 : 컨테이너수용부 120 : 전면커버
130 : 본체단자부 200 : 상담지체
300 : 현상장치 310 : 현상롤러
320 : 컨테이너도킹부 330 : 현상장치 애지테이터
400 : 현상제 컨테이너 410 : 컨테이너케이싱
420 : 현상제배출관 430 : 컨테이너단자부
440 : 공급부 441 : 컨테이너기어부
443 : 오거 445 : 동력전달부
447 : 컨테이너교반기 500 : 본체구동부
510 : 구동원 520 : 본체기어부
600 : 감지부 700 : 제어부
T : 현상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현상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도록 현상제 컨테이너가 장착되는 구조의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에 형성된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형성한다. 이러한 가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현상제가 저장된 현상장치가 상담지체에 이 현상 제를 공급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장치의 현상제를 보충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을 가지며, 이 중에는 현상제가 저장된 현상제 컨테이너가 현상장치에 장착되어 현상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장치 내부의 현상제 양을 감지하여, 그 양이 허용범위를 넘어서는 경우에 현상제 컨테이너의 구동부를 일정 시간 작동시킨다. 이에 현상제 컨테이너에 저장된 현상제가 현상장치에 공급된다.
그런데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그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현상장치에 대한 현상제 컨테이너로부터의 현상제 공급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인쇄매체의 화상 형성이 반복됨에 따라서 현상제 컨테이너에 저장된 현상제 잔량은 계속 감소한다. 따라서 구동부가 일정 시간 작동할 때 현상장치에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 또한 점점 감소하게 된다.
이는 현상장치에 대한 현상제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현상장치 내부의 현상제 유동 및 압력이 불안정해지며 현상장치에 대한 현상제의 공급 불량이 발생한다. 이는 현상제가 균일하게 대전되는 것을 방해하며, 결과적으로 인쇄매체 상에 화상 불량이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현상제 컨테이너로부터 현상장치에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장치와; 현상제가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가지는 현상제 컨테이너와; 상기 현상제 컨테이너의 현상제 잔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급부의 구동율을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율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상제 잔량 레벨이 낮아질수록 상기 구동율을 단계적 혹은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율은 상기 공급부의 단위시간 당 구동시간 비율이거나 혹은 상기 구동율은 상기 공급부의 구동속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장치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며, 현상제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가지는 현상제 컨테이너의 공급부 제어방법은, 상기 현상제 컨테이너의 현상제 잔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급부의 구동율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율 증가 단계는, 상기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율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율 증가 단계는, 상기 현상제 잔량 레벨이 낮아질수록 상기 구동율을 단계적 혹은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율은 상기 공급부의 단위시간 당 구동시간 비율이거나 혹은 상기 구동율은 상기 공급부의 구동속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장치와, 현상제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가지는 현상제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현상제 컨테이너의 현상제 잔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급부의 구동율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율 증가 단계는, 상기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율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율 증가 단계는, 상기 현상제 잔량 레벨이 낮아질수록 상기 구동율을 단계적 혹은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율은 상기 공급부의 단위시간 당 구동시간 비율이거나 혹은 상기 구동율은 상기 공급부의 구동속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매체 상에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 색상의 현상제(T)에 대응하는 현상장치(300)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현상장치(300) 및 이에 대응하는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경우만 설명하며, 여타 현상장치(300)의 경우는 상기 실시예를 준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 치(1)는 본체케이싱(100) 내부에, 외주면에 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200)와, 상담지체(200)에 현상제(T)에 의한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300)를 가진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케이싱(100)에 대해 고정 결합되거나 혹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내부에 현상제(T)가 저장된 현상제 컨테이너(400)를 가진다. 이 현상제 컨테이너(400)는 내부의 현상제(T)를 현상장치(300)에 공급하기 위해 구동되는 공급부(440)를 가지며, 공급부(400)는 본체케이싱(100)에 설치된 본체구동부(5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는 현상제 컨테이너(400) 내부에 설치되며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을 감지하는 감지부(600)와, 공급부(5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가진다. 제어부(700)는 감지부(600)에 의해 감지된 현상제(T)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급부의 구동율을 변화, 바람직하게는 구동율을 증가시킨다.
본체케이싱(100)은 현상제 컨테이너(400)를 수용하도록 전면에 마련된 컨테이너수용부(110)와, 컨테이너수용부(110)를 포함한 본체케이싱(100)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120)를 가진다.
컨테이너수용부(110)는 본체케이싱(10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연통된다. 컨테이너수용부(110)는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본체케이싱(100)에 장착되어,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T)를 현상장치(3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수용한다.
컨테이너수용부(110)는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수용되면, 현상제 컨테이너(400) 및 현상장치(300)가 연결되어 현상제(T)의 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컨 테이너수용부(110)는 이러한 현상제(T)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본체구동부(500)로부터 공급부(440)로의 구동력 전달 구성, 자세하게는 후술할 본체기어부(520) 및 컨테이너기어부(441)의 커플링(coupling) 혹은 맞물림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컨테이너수용부(110)는 감지부(600)의 감지 신호가 제어부(7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후술할 컨테이너단자부(430)와 접촉하는 본체단자부(130)가 설치된다. 본체단자부(130)는 제어부(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후술할 컨테이너단자부(430)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제어부(700)에 전달한다.
상담지체(200)는 외주면에 전위차에 의한 잠상이 형성되며, 이에 현상장치(300)로부터 현상제(T)가 공급됨으로써 현상제(T)에 의한 가시 화상이 형성된다. 이 가시 화상은 상담지체(200)로부터 인쇄매체 상에 전사된다.
현상장치(300)는 내측잠상이 형성된 상담지체(200)의 외주면에 현상제(T)를 공급한다. 현상장치(300)는 그 내부에 현상제(T)가 저장되며, 이를 상담지체(200)에 공급하도록 상담지체(200)에 대응하게 회전하는 현상롤러(310)를 가진다.
현상장치(300)는 상담지체(200)에 현상제(T)를 공급함에 따라서 그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T)의 양이 감소하므로, 현상장치(300)에 현상제(T)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수용부(110)에 수용 지지된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현상장치(300)에 장착된다. 이 때 현상제 컨테이너(400) 내부의 현상제(T)가 현상장치(300)로 이동 가능하도록,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장착되며 현상장치(300) 내부와 연통된 컨테이너도킹부(320)가 현상장치(300) 상측에 설치된다.
현상장치(300)는 현상제(T)가 저장된 내부에 설치된 현상장치 애지테이 터(330)를 가진다. 현상장치 애지테이터(330)는 현상롤러(310)에 평행하게 연장된 스크루 형상을 가지고 회전함으로써, 현상제(T)를 현상롤러(310)에 공급하며 현상장치(300) 내의 현상제(T)를 교반함으로써 현상제(T)의 유동성을 높인다.
컨테이너도킹부(320)는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현상장치(300)에 장착 시 후술할 현상제배출관(420)이 도킹된다. 이에 공급부(440)가 구동함에 따라서 현상제배출관(420)으로부터 배출된 현상제(T)가 현상장치(30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현상제 컨테이너(400)는 현상장치(300)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T)를 내부에 저장한다. 현상제 컨테이너(400)는 컨테이너수용부(110)에 수용 지지됨으로써 현상장치(300)에 장착되며, 공급부(440)의 구동에 의해 내부의 현상제(T)가 현상장치(300)에 공급된다. 현상제 컨테이너(400)에 저장된 모든 현상제(T)가 소진되면, 현상제 컨테이너(400)를 컨테이너수용부(110)로부터 이탈시킨 후 새로운 현상제 컨테이너(400)로 교체한다.
현상제 컨테이너(400)는 원통 형상의 컨테이너케이싱(410)과, 현상장치(300)에 장착되는 방향의 컨테이너케이싱(410) 전면 하부에 설치된 현상제배출관(420)과, 컨테이너케이싱(410) 전면에 설치된 컨테이너단자부(430)와, 컨테이너케이싱(410) 내부의 현상제(T)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동하는 공급부(440)를 포함한다.
현상제배출관(420)은 컨테이너케이싱(410) 내부와 연통되도록 컨테이너케이싱(410) 외측에 돌출된다. 현상제배출관(420)은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컨테이너수용부(110)에 수용 지지되면, 컨테이너수용부(110) 일측에 마련된 컨테이너도킹부(320)에 도킹된다. 이에 공급부(440)가 구동하면 컨테이너케이싱(410) 내부의 현 상제(T)가 현상제배출관(420)으로 배출된 후, 현상장치(300)로 이동한다.
컨테이너단자부(430)는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컨테이너수용부(110)에 수용 지지되면 본체단자부(130)와 접촉한다. 컨테이너단자부(430)는 감지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부(600)에서 형성된 감지 신호를 제어부(7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컨테이너단자부(430)는 그 외에도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고유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이러한 정보가 제어부(700)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유 정보는 예를 들면 현상제(T)의 색상 정보 및 정품 여부 등 다양하게 지정된다.
공급부(440)는 컨테이너케이싱(410)에 설치되며 내부의 현상제(T)가 현상장치(300)로 공급되도록 구동한다. 공급부(440)는 컨테이너케이싱(410)의 외측 및 내측에 상호 연동하도록 설치되며,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본체케이싱(100) 및 현상장치(300)에 장착되면 본체구동부(500)와 커플링 구조를 형성한다. 이로써 현상제(T) 공급을 위한 구동력이 본체구동부(500)로부터 공급부(440)로 전달된다.
공급부(440)는 컨테이너케이싱(410) 외측에 설치되며 본체기어부(520)에 맞물려 연동하는 컨테이너기어부(441)와, 현상제(T)가 저장된 컨테이너케이싱(410) 내측에 설치되며 컨테이너기어부(441)에 연동하는 오거(auger)(443)와, 오거(443)가 컨테이너기어부(441)에 연동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동력전달부(445)와, 컨테이너케이싱(410) 내측에 설치되며 현상제(T)를 교반하는 컨테이너교반기(447)를 가진다.
컨테이너기어부(441)는 현상제배출관(420)이 배치된 컨테이너케이싱(410)의 전면 중앙영역에 설치된다.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현상장치(300)에 장착되면 컨테이너기어부(441)는 본체구동부(500), 자세하게는 후술할 본체기어부(520)와 서로 맞물린다. 이에 본체기어부(520)가 구동함에 따라서 컨테이너기어부(441) 또한 구동하게 된다.
오거(443)는 컨테이너케이싱(410) 내측에 설치되면, 컨테이너기어부(441)에 연동하여 구동함으로써 컨테이너케이싱(410) 내측의 현상제(T)가 현상제배출관(42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오거(443)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컨테이너케이싱(410)의 내부 하측의 일 영역으로부터 현상제배출관(420)까지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나선형 블레이드가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나선형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서 현상제(T)가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445)는 회전축, 기어 등의 구성에 의하여 컨테이너기어부(441) 및 오거(443) 사이를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동력전달부(445)는 본체구동부(500)에 맞물린 컨테이너기어부(441)가 구동함에 따라서 이 구동력을 오거(443)에 전달하여, 오거(443)가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동력전달부(445)의 구성은 한정된 것이 아니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설계 변경이 적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교반기(447)는 컨테이너케이싱(410) 내측의 동력전달부(445)에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현상제(T)를 교반시킨다. 컨테이너교반기(447)는 현상제(T)가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필름으로 마련된다.
본체구동부(500)는 본체케이싱(100)에 설치되며, 구동력을 생성하여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컨테이너수용부(110)에 수용될 때 공급부(440)에 이 구동력을 전 달한다. 본체구동부(500)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510)과, 구동원(510)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본체기어부(520)를 가진다.
본체기어부(520)는 기어, 캠, 커넥팅로드 등의 구조를 가지며 구동원(510)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현상제 컨테이너(400)로 전달한다. 본체기어부(520)는 자세하게는 컨테이너수용부(110)의 일 영역에 설치된다. 이에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컨테이너수용부(110)에 수용되면, 본체기어부(520) 및 컨테이너기어부(441)는 상호 기어 열이 맞물린다. 이로써 구동원(510)으로부터의 구동력은 본체기어부(520)를 통해 컨테이너기어부(441)로 전달된다.
감지부(600)는 현상제 컨테이너(400)에 설치되며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이 감지 신호를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한 감지부(600)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600)는 컨테이너케이싱(410) 하측에 설치된 압전센서(piezo sensor)로 마련됨으로써, 감지부(600)에 가해지는 현상제(T)의 하중을 감지한다. 혹은 발광 및 수광의 원리를 응용한 포토커플러(photo coupler)에 의해 현상제(T)의 잔량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지부(600)의 다른 구성으로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도록 하는 구성 예가 있다. 현상제(T)가 저장된 컨테이너케이싱(410) 내측에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전극을 설치한 후 컨테이너케이싱(410) 외측에서 두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에 의하여 두 전극 사이에 유전체인 현상제(T)가 개재된 형태가 되어 일종의 커패시터 를 형성한다. 컨테이너케이싱(410) 내의 현상제(T)의 양이 변화하게 되면 이 커패시터로부터의 총 전하량 또한 변화하며, 이를 감지함으로써 현상제(T)의 하중을 환산할 수도 있다.
감지부(600)의 다른 구성으로써 컨테이너케이싱(410) 내부 상측에 도트 카운터(dot counter)를 설치하여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현상제(T)의 양을 계산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현상제(T)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600)의 구성은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감지부(600)는 컨테이너단자부(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현상장치(300)에 장착되면 감지 신호를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감지부(600)가 현상제(T) 잔량을 감지하는 시점은 특정 시점에서 수행되거나 혹은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다.
제어부(700)는 공급부(440) 및 본체구동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공급부(4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700)가 공급부(440)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원(510)을 온 오프하거나 혹은 구동원(510) 및 본체기어부(520) 사이의 동력 전달을 차단 및 허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그런데 현상제 컨테이너(400)에 저장된 현상제(T)는 그 잔량이 계속 감소하므로, 제어부(700)가 공급부(440)를 동일한 시간 및 속도로 구동시키면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현상제(T)의 공급량이 점차 감소한다. 현상장치(300)에 대한 현상제(T)의 공급량이 일정하지 못하면, 최종적으로 인쇄매체 상에 형상된 화상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700)는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에 대응하여 공급부(44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단위시간 당 현상제(T) 공급량을 일정하게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제어부(700)는 감지부(600)로부터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700)는 수신한 현상제(T)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 단위시간 당 공급부(440)의 구동율을 증가시킨다. 즉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이 감소함에 따라서 공급부(440)의 구동율을 단계적 혹은 점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현상제(T)의 단위시간 당 공급량을 일정하게 조정한다.
이러한 공급부(440)의 구동율 증가는 다양한 방법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일례로, 현상제(T)의 1회 공급 시에 소정 단위시간 동안 제어부(700)가 공급부(440)를 온 오프 구동시키는 경우,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 감소에 따라서 단위시간 당 공급부(440)의 구동시간 비율을 증가시킨다.
다른 일례로, 단위시간 당 공급부(440)의 구동시간 비율을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공급부(440)의 구동속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 감소에 따라서 공급부(440)의 구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방법의 실시예에서는 공급부(440)의 구동속도는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제어부(700)가 단위시간 동안에 공급부(440)를 온 오프시킴으로써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를 현상장치(300)에 공급한다. 이 단위시간 동안에 1회의 현상제(T) 공급 사이클이 이루어지며, 이는 화상형성장치(1)의 사용 중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현상제(T) 공급 사이클이 시작하면(S100), 제어부(700)는 지정된 시간 동안 공급부(440)를 구동시킴으로써 현상제(T)가 현상장치(300)에 공급되도록 한다(S110). 이 때 감지부(600)는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700)로 전달한다(S120).
제어부(700)는 감지부(600)로부터 전달된 현상제(T) 잔량이 사전에 지정되어 제어부(700)에 저장된 레벨값 이하인지 판단한다(S130). 현상제(T) 잔량이 지정된 레벨 이하이면, 이에 대응하여 단위시간 당 공급부(440) 구동시간 비율을 증가시켜 지정한다(S140). 반면 현상제(T) 잔량이 지정된 레벨값 이하가 아닌 경우, 제어부(700)는 공급부(440) 구동시간 비율을 변화시키지 않는다(S150).
이러한 과정이 완료하면 1회의 현상제(T) 공급 사이클이 종료한다(S160). 그리고 시간의 경과 등 소정 조건이 갖춰지면, 다음 현상제 공급 사이클이 시작된다(S100).
제어부(700)는 공급부(440)를 구동시키기에 앞서, 단위시간 당 공급부(440)의 구동시간 비율의 지정값을 확인한다. 여기서 이전 회의 현상제(T) 공급 사이클에서 공급부(440) 구동시간이 증가되게 지정되었다면, 제어부(700)는 이 지정값에 따라서 공급부(440)를 구동시킨다(S110).
이에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이 감소하더라도, 단위시간 당 공급부(440)의 구동시간 비율이 증가되므로, 1회의 현상제(T) 공급 사이클 시 현상제(T)의 공급량은 매회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만일 이전 회의 공급 사이클에서 공급부(440) 구동시간이 변화 지정되지 않았다면, 제어부(700)는 이전 회의 공급 사이클에서와 동일한 시간비율로 공급부(440)를 구동시킨다(S11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서, 단위시간 당 현상제(T) 공급량을 일정하게 하는 실험 데이터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1회 현상제(T) 공급 사이클이 수행되는 단위시간을 4초로 하고, 이 단위시간 동안 공급부(440)는 온 오프 구동하여 현상제(T)가 공급되게 한다. 그리고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최초 잔량은 80g이다.
도 5는 매회 공급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서,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에 대한 단위시간 당 현상제(T) 공급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단위시간 동안에 공급부(440)는 동일한 구동속도로 동일한 시간비율로 구동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상제(T) 잔량이 감소함에 따라서 단위시간 동안 현상장치(300)에 공급되는 현상제(T)의 양도 감소한다.
이에 단위시간 동안 현상제(T)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 감소에 대응하여 단위시간 당 공급부(440)의 구동시간 비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 현상제(T) 잔량 감소에 따른 단위시간 동안의 공급부(440)의 구동시간 증가 및 현상제(T) 공급량에 관한 데이터는 하기 표 1에 나타 난 바와 같다.
현상제 잔량(g) 80 75 68 63 55 48 42 37 30 24 17 10 7
공급부 구동시간 (초) 3.0 3.0 3.0 3.5 3.5 3.5 3.5 3.5 3.5 4.0 4.0 4.0 4.0
공급부 정지시간 (초) 1.0 1.0 1.0 0.5 0.5 0.5 0.5 0.5 0.5 0 0 0 0
현상제 공급량(g) 0.34 0.34 0.33 0.35 0.34 0.34 0.33 0.32 0.32 0.33 0.33 0.32 0.31
도 6 및 도 7은 표 1에 나타난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 변화에 따른 공급부(440)의 구동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급부(440)의 단위시간 당 구동시간 비율을 변화시켰을 때, 현상제 컨테이너(400)로부터 현상장치(300)에 공급되는 현상제(T) 양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표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이 감소함에 따라서, 단위시간 당 공급부(440)의 구동시간을 3.0초로부터 단계적으로 3.5초 및 4.0초로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서 단위시간 당 현상제(T) 공급량은 0.33g 전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 5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인 도 7을 비교하면 그 차이가 확연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매회 현상제(T) 공급 사이클 동안에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단위시간 당 공급부(440)의 구동율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이로써 매회 현상제(T) 공급 사이클 혹은 단위시간 당 현상장치(300)에 대한 현상제(T)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가 모두 소진되어, 새로운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현상장치(300)에 장착되면, 제어부(700)는 공급부(440)의 구동시간을 초기화한다. 예를 들면,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상제(T) 잔량 감소에 따라서 공급부(440)의 구동시간이 4.0초로 지정된 상태에서 새로운 현상제 컨테이너(400)로 교체될 수 있다. 교체된 현상제 컨테이너(400)는 80g의 현상제(T)가 저장된 상태로, 이에 제어부(700)는 공급부(440)의 구동시간을 초기값인 3.0초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현상제 컨테이너(400)가 교체된 후 첫번째 공급 사이클에서는 3.0초 동안 공급부(440)가 구동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위시간 당 공급부(440)의 구동시간 비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달리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잔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공급부(440) 구동시간 비율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 실험 데이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현상제(T) 잔량이 감소함에 따라서, 단위시간 당 현상장치(300)에 대한 현상제(T) 공급량의 감소 폭이 급격해짐을 나타낸다. 공급부(440) 구동시간의 초기값이 3.0초이고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 양의 초기값이 80g이라 할 때, 현상제(T) 잔량이 70g 이하가 되는 시점에서부터 현상제(T) 공급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T) 잔량이 80g으로 가득 찬 시점에서부터 현상제(T) 공급량의 감소가 시작되는 시점까지는 공급부(440)의 구동시간을 3.0초로 유지한다. 그리고 감지부(600)에 의해 현상제(T) 잔량을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현상제(T) 잔량 감소에 대응하여 공급부(440)의 구동시간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공급부(440)의 구동시간이 4.0초가 되면 구동시간이 단위시간과 동일해지므로, 더 이상 공급부(440)의 구동시간은 증가하지 않는다. 이렇게 공급부(440)의 단위시간 당 구동시간 비율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현상장치(300)에 대한 현상제(T)의 단위시간 당 공급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현상제 컨테이너(400)의 현상제(T)가 모두 소진되어 새로운 현상제 컨테이너(400)로 교체되면, 제어부(700)는 공급부(440)의 단위시간 당 구동시간을 초기화시키고 감지부(600)가 현상제(T) 잔량을 감지하도록 한다.
감지부(600)에 의한 현상제(T) 잔량의 감지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제어부(700)에 계속적으로 전달한다. 제어부(700)는 현상제(T) 잔량에 대응하여 공급부(440) 구동시간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제어부(700)에 의한 이러한 구동시간 증가 비율은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며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시간 당 현상제 컨테이너로부터 현상장치에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인쇄매체 상에 형성되는 화상을 불량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장치와;
    현상제가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가지는 현상제 컨테이너와;
    상기 현상제 컨테이너의 현상제 잔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급부의 구동율을 변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상제 잔량 레벨이 낮아질수록 상기 구동율을 단계적 혹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율은 상기 공급부의 단위시간 당 구동시간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율은 상기 공급부의 구동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장치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며, 현상제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가지는 현상제 컨테이너의 공급부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컨테이너의 현상제 잔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급부의 구동율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컨테이너의 공급부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율 증가 단계는, 상기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컨테이너의 공급부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율 증가 단계는, 상기 현상제 잔량 레벨이 낮아질수록 상기 구동율을 단계적 혹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컨테이너의 공 급부 제어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율은 상기 공급부의 단위시간 당 구동시간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컨테이너의 공급부 제어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율은 상기 공급부의 구동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컨테이너의 공급부 제어방법.
  11.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장치와, 현상제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현상제를 상기 현상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가지는 현상제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컨테이너의 현상제 잔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급부의 구동율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율 증가 단계는, 상기 현상제 잔량이 소정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율 증가 단계는, 상기 현상제 잔량 레벨이 낮아질수록 상기 구동율을 단계적 혹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율은 상기 공급부의 단위시간 당 구동시간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율은 상기 공급부의 구동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065069A 2007-06-29 2007-06-29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01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069A KR101101819B1 (ko) 2007-06-29 2007-06-29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034,893 US8150276B2 (en) 2007-06-29 2008-02-21 Image forming apparatus to adjust driving rate of a supply uni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EP08153797.9A EP2009511B1 (en) 2007-06-29 2008-03-3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supplying developer
CN2008100979863A CN101334610B (zh) 2007-06-29 2008-05-21 图像形成装置及其控制方法
RU2008126326/28A RU2397526C2 (ru) 2007-06-29 2008-06-27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управлени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069A KR101101819B1 (ko) 2007-06-29 2007-06-29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019A true KR20090001019A (ko) 2009-01-08
KR101101819B1 KR101101819B1 (ko) 2012-01-05

Family

ID=3981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069A KR101101819B1 (ko) 2007-06-29 2007-06-29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50276B2 (ko)
EP (1) EP2009511B1 (ko)
KR (1) KR101101819B1 (ko)
CN (1) CN101334610B (ko)
RU (1) RU239752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2330B2 (ja) * 2009-05-27 2011-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残量表示制御方法
JP5743426B2 (ja) 2010-05-11 2015-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で行われる制御方法
WO2012070664A1 (en) * 2010-11-24 2012-05-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9217954B2 (en) * 2014-05-16 2015-12-22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dvanced toner dispensing and emptying of toner cartridge components in image forming devices
JP6550938B2 (ja) * 2015-06-08 2019-07-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滑剤調整制御方法
JP6160684B2 (ja) * 2015-12-15 2017-07-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8475A (ja) * 1984-02-24 1985-09-12 Mita Ind Co Ltd トナ−制御装置
JPH0695249B2 (ja) * 1985-08-20 1994-11-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トナ−補給方法
JP2513620B2 (ja) 1986-02-17 1996-07-03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2769320B2 (ja) * 1988-02-05 1998-06-2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制御方法
JP2916774B2 (ja) 1988-06-28 1999-07-05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
JPH06324564A (ja) * 1993-05-11 1994-11-25 Brother Ind Ltd 画像記録装置
JP3307098B2 (ja) * 1994-09-06 2002-07-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現像剤供給制御方式
JP3720720B2 (ja) * 2000-03-01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17094B2 (ja) * 2004-03-31 2011-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32986B2 (ja) * 2004-05-19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7319828B2 (en) 2004-07-14 2008-01-15 Sharp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gent detecting mechanism section of developing apparatus
KR100599114B1 (ko) * 2004-07-21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KR100605169B1 (ko) * 2004-07-23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상제 공급방법
JP2006072145A (ja) * 2004-09-03 2006-03-16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US7684079B2 (en) 2004-12-02 2010-03-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RU2304808C1 (ru) 2004-12-02 2007-08-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тим устройством
JP4847033B2 (ja) * 2005-03-24 2011-12-28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CN100476622C (zh) * 2005-04-13 2009-04-08 佳能株式会社 电摄影成像设备
US7512373B2 (en) * 2005-09-15 2009-03-3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supplier capable of supplying developer at increased speed
KR101248870B1 (ko) 2006-08-25 201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 공급장치, 그 토너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현상장치 및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9511B1 (en) 2013-11-27
RU2397526C2 (ru) 2010-08-20
RU2008126326A (ru) 2010-01-10
EP2009511A1 (en) 2008-12-31
KR101101819B1 (ko) 2012-01-05
US20090214229A1 (en) 2009-08-27
CN101334610B (zh) 2012-12-12
CN101334610A (zh) 2008-12-31
US8150276B2 (en) 201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819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175605B2 (en) Network system comprising customer replaceable unit
EP3196706B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cartridge for the same, imaging cartridge for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oner level in developing chamber of the same
US20010021327A1 (en) Toner cartridge and printer to which the toner cartridge is attached
US10139776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76978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509450B2 (ja) 現像剤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搬送方法、現像剤搬送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00041292A (ko) 화상형성장치
JP3627528B2 (ja) 現像装置
KR102390147B1 (ko) 현상 카트리지와 본체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JP2006072145A (ja) 画像形成装置
JP6841080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27605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KR20150049641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20210191290A1 (en) Detecting toner injection amount of toner refill cartridge
US8185019B2 (en) Image-forming device forming images using liquid carrier and liquid developer
JP3383141B2 (ja) トナー残量検出装置
JP339028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43707A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7452130B2 (ja) 粉体供給装置
JP2007322529A (ja) 液体現像剤の液位制御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11505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0121840Y1 (ko) 토너엔드 검지장치
JP2017156535A (ja) トナー供給装置、画像形成装置
JP202116270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