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114B1 -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114B1
KR100599114B1 KR1020040056795A KR20040056795A KR100599114B1 KR 100599114 B1 KR100599114 B1 KR 100599114B1 KR 1020040056795 A KR1020040056795 A KR 1020040056795A KR 20040056795 A KR20040056795 A KR 20040056795A KR 100599114 B1 KR100599114 B1 KR 10059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pump
rotational speed
flow path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8504A (ko
Inventor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114B1/ko
Priority to US11/060,467 priority patent/US7263302B2/en
Priority to CNB2005100779632A priority patent/CN100403184C/zh
Priority to EP05253776A priority patent/EP1621939A1/en
Publication of KR2006000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10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toner concen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기를 연결하는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는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센싱부, 현상제 펌프의 기준 회전속도를 저장하는 회전속도 저장부, 및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고 센싱부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계산된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와 회전속도 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 펌프의 기준 회전속도를 토대로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조립 또는 제작상의 결함, 현상제 슬러지의 침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액체현상제 누설 및/또는 막힘과 같은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액체현상제 누설 및/또는 막힘에 따른 화상품질 저하와 주변 구성부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액체현상제, 현상제유로, 펌프, 회전속도, 이상, 검출

Description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developer passage,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가 적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부분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 공급 펌프와 센싱부를 예시하는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센싱부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사용되는 센싱부의 검출신호와 현상제공급 펌프의 DC모터를 제어하는 PWM신호를 예시하는 그래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플로우 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가 적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부분 개략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100': 프린터 11: 화상형성 유니트
14, 16, 114, 114', 116: 모터 15, 150: 현상제 카트리지
18, 19, 118, 118', 119: 펌프
20, 22, 23, 24, 122, 123, 124: 연결튜브
21, 121: 현상제공급 유니트 29, 125, 125': 콘트롤러
26, 126: 현상기 111: 현상제 유로
129, 129': 모터제어 유니트 130, 130': 엔진제어 유니트
131, 131', 132, 132', 133, 133': 센싱부
151, 151': 회전속도 저장부 155, 155': 알림부
160, 160': 디스플레이부 170, 170': 스피커
200, 200': 이상상태 검출장치
본 발명은 액체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시 액체현상제를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현상기에 공급하고 회수하도록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기를 연결하는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감 지할 수 있는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현상제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장치, 예를들면,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화상형성시 액체현상제를 현상기에 공급하는 현상제공급 시스템을 구비한다. 이 현상제 공급시스템은 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기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과, 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기와 분리되어 연결튜브를 통해 연결된 분리형으로 나누어진다.
분리형 현상제공급 시스템은 통상 현상시 현상제공급 펌프 및/또는 현상제 회수 펌프를 사용하여 액체현상제를 연결튜브를 통해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현상기로 공급하고 현상기에서 현상제 카트리지로 회수한다.
도 1은 분리형 현상제공급 시스템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를 도시한다.
이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는 화상형성 유니트(11)와 현상제공급 유니트(21)를 구비한다.
화상형성 유니트(11)는 OPC 드럼(Organic Photoconductive Drum)과 같은 감광체(1),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33), 대전부(6), 제전부(7), 현상기(26), 및 크리닝 블레이드(8)를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부분들은 상호 작용하여 대전, 제전, 노광, 현상 등과 같은 화상형성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감광체(1)위에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기(26)는 액체현상제(48)를 저류하는 현상쳄버(27), 감광체(1) 하부에 위치한 현상롤러(2), 액체 현상제(48)에 전기력을 부가하여 현상롤러(2)에 대전 현상제층을 형성하는 디포지트(Deposit) 롤러(5), 디포지트 롤러(5)에 의해 현상롤러(2)에 형성된 대전 현상제층을 일정한 토너량 또는 농도(% Solid)를 갖는 현상제층으로 규제하여 현상롤러(2)와 감광체(1) 사이의 닙(Nip)으로 공급하는 메터링(Metering) 롤러(3), 및 현상롤러(2)를 크리닝하는 크리닝 롤러(4)를 구비한다.
현상쳄버(27)에 액체현상제(48)를 공급하기 위하여, 현상장치(26)의 상부에는 현상제공급 유니트(21)가 배치되어 있다.
현상제공급 유니트(21)는 제1 현상제 유입부(16)와 제1 현상제 배출부(17)를 구비하고 현상제저장 쳄버를 구성하는 현상제 카트리지(15), 제1 및 제2 연결 튜브(22, 23)를 통해 현상제 카트리지(15)의 제1 현상제 배출부(17)와 현상 쳄버(27)의 제2 현상제 유입부(13) 사이에 배치된 현상제공급 펌프(18), 및 제3 및 제4 연결 튜브(24, 20)를 통해 현상제 카트리지(15)의 제 1 현상제 유입구(16)와 회수쳄버(28)의 제2 현상제 유출구(14) 사이에 배치된 현상제 회수 펌프(19)로 구성된다.
현상제공급 펌프(18)와 현상제 회수펌프(19)는 각각, 콘트롤러(29)에서 발생된 미리 정해진 PWM 듀티 값을 갖는 제1 및 제2 PWM 신호(PWM1, PWM2)에 의해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는 제1 및 제2 DC모터(14, 1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 명령이 인가 됨에 따라, 감광체(1)에는 제전부(7)에 의해 표면 전위가 제거된 후 대전부(6)와 레이저 스캐닝유니트(33)에 의해 인쇄할 화상에 대 응하는 전하층, 즉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분에는 디포지트 롤러(5)와 메터링 롤러(3)에 의해 현상쳄버(27)의 액체 현상제(48)로부터 현상 롤러(2)에 형성된 고 토너량을 갖는 현상제층이 부착되어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이 때, 현상제공급 펌프(18)는 콘트롤러(29)로부터의 제 1 PWM 신호(PWM1)에 의해 전원(도시하지 않음)에서 제1 DC모터(14)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이 제어되어 현상제 카트리지(15)내의 액체현상제(48)를 현상쳄버(27)로 공급하며, 현상제회수 펌프(19)는 콘트롤러(29)로부터의 제 2 PWM 신호(PWM2)에 의해 전원에서 제2 DC모터(16)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이 제어되어 현상쳄버(27)에서 오버플로우된 회수쳄버(27)내의 액체현상제(48)를 현상제 카트리지(15)로 회수한다.
한편, 현상기(26)에 의해 감광체(1)에 현상된 토너 화상은 도시하지 않은 전사 벨트(도시하지 않음)와 전사롤러(도시하지 않음)등에 의해 기록지에 전사된 후, 정착 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록지에 정착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전사벨트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1)에 남은 현상제(48)는 크리닝 블레이드(8)에 의해 페현상제 저장통(12)으로 회수되고, 감광체(1)는 제전부(7), 대전부(6),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33) 및 현상기(26)를 통해 다음 화상의 정전잠상 형성 및 현상을 진행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그 후, 프린터(10)가 인쇄를 완료하면, 현상제공급 펌프(18)는 콘트롤러(29)로부터의 제1 PWM 신호(PWM1)에 의해 전원에서 제1 DC모터(14)에 공급되는 구동 전압이 현상제 공급시와 반대극성으로 제어되어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쳄버 (27)내에 남아있는 액체 현상제(48)를 현상제 커트리지(15)로 회수하고, 인쇄동작을 종료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프린터(10)는 액체현상제(48)를 현상제 카트리지(15)에서 현상기(26)에 공급하고 회수하는 현상제 유로에서 액체현상제(48)가 누설되거나 막힐 경우 이를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현상제공급 펌프(18)와 현상제회수 펌프(19)가 액체현상제(48)를 현상제 카트리지(15)에서 현상기(26)에 공급하고 회수하기 위해 구동될 때, 제1 및 제2 현상제 유입부(16, 13), 제1 및 제2 현상제 배출부(17, 14), 제1, 제2, 제3 및 제4 연결튜브(22, 23, 24, 20), 제1, 제2, 제3 및 제4 연결튜브(22, 23, 24, 20)와 현상제공급 펌프(18) 및 현상제회수 펌프(19) 사이의 공간 등으로 이루어진 현상제유로가 조립 또는 제작상의 결함, 현상제 슬러지의 침전 등에 의해 액체현상제(48)를 누설하거나 액체현상제(48)의 침전물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액체현상제(48)가 누설되면, 누설된 현상제는 누설 현상제유로 주변의 프린터 구성부품들을 오염시키게 된다.
또, 액체현상제(48)가 누설되거나 막히면, 현상제공급 펌프(18) 및/또는 현상제회수 펌프(19)는 액체현상제(48)의 부하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변하는 제1 및 제2 DC모터(14, 16)에 의해 구동되므로, 회전속도가 변하게 된다.
현상제공급 펌프(18) 및/또는 현상제회수 펌프(19)의 회전속도가 변하면, 현상쳄버(27)에 공급되는 액체현상제(48)의 공급량 및/또는 회수쳄버(28)에서 회수되는 액체현상제(48)의 회수량이 설정한 값과 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현상쳄버 (27) 및/또는 회수쳄버(28), 특히 현상쳄버(27)에 공급되는 액체현상제(48)의 수위가 변동된다. 그 결과, 디포지트롤러(5)와 메터링롤러(3)에 의해 현상롤러(2)에 형성되는 현상제의 농도가 변화되며,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화상의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현상제 유로의 누설이나 막힘에 의해 현상제회수 펌프(19)가 현상제공급 펌프(18) 보다 현저하게 낮은 속도로 동작하거나 현상제공급 펌프(18)가 현상제회수 펌프(19) 보다 현저하게 높은 속도로 동작할 경우, 현상제공급 펌프(18)에 의해 공급되는 액체현상제(48)의 양이 현상제회수 펌프(19)에 의해 회수되는 액체현상제(48)의 양 보다 많게 되며, 이에 따라 회수쳄버(28)로 회수된 액체현상제(48)가 회수쳄버(28) 너머로 오버플로우되어 주변을 오염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액체현상제(48)를 현상제 카트리지(15)에서 현상기(26)에 공급하고 회수하는 현상제유로에서 액체현상제(48)가 누설되거나 막힐 경우 이를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잉크 카트리지와 현상기를 연결하는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는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상기와 현상제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현상제유로, 및 현상제유로에 배치되고 액체현상제를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현상기로 공급하고 회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상제 펌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센싱부, 현상제 펌프의 기준 회전속도를 저장하는 회전속도 저장부, 및 현상제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고 센싱부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계산된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와 회전속도 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 펌프의 기준 회전속도를 토대로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속도 저장부는 정상상태에서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선결된 PWM 듀티값을 갖는 PWM 신호에 의해 제어하여 얻은 회전속도값을 기준 회전속도로 저장한다. 이 때, PWM 듀티값은 50%이고, 기준 회전속도는 2250±5% RPM(즉, 2137∼2363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콘트롤러는 50% PWM 듀티 값을 갖는 PWM신호를,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에 출력하여 현상제 펌프를 제어하고,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가 2250±5% RPM을 벗어날 때 현상제유로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콘트롤러는 현상제 펌프가 액체현상제를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현상기로 공급하는 제1 운전모드와 현상제 펌프가 액체현상제를 현상기에서 현상제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제2 운전모드 중 적어도 한 운전모드에서 센싱부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계산한다.
이 때, 현상제 펌프가 하나의 현상제 펌프로 구성될 경우, 제1 운전모드에서 는 현상제 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현상제 펌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1 시간(T1)이 경과한 후에 현상제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계산하고, 제2 동작모드에서는 현상제 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현상제 유로에서 현상제 카트리지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현상제 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계산한다. 이 때, 제1 및 제2 시간(T1, T2)은 각각 1∼2sec 및 10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현상제 펌프가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로 구성될 경우, 제1 운전모드에서는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를 모두 구동하고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현상제 회수펌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3 시간(T3)이 경과한 후에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계산하고, 제2 동작모드에서는 현상제 공급펌프만 구동하고 현상제 공급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 현상제가 현상제 유로에서 현상제 카트리지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현상제 공급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계산한다. 이 때, 제3 및 제2 시간(T3, T2)은 각각 4∼5sec 및 10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는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는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 중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액체현상제를 사용하여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를 구비하는 화상형성 유니트; 액체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기와 현상제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현상제유로와, 현상제유로에 배치되고 액체현상제를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현상기로 공급하고 회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상제 펌프를 구비하는 현상제공급 유니트; 및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이상상태 검출유니트를 포함하며; 이상상태 검출유니트는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센싱부, 현상제 펌프의 기준 회전속도를 저장하는 회전속도 저장부, 및 현상제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고 센싱부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계산된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와 회전속도 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 펌프의 기준 회전속도를 토대로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속도 저장부는 정상상태에서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선결된 PWM 듀티값을 갖는 PWM 신호에 의해 제어하여 얻은 회전속도값을 기준 회전속도로 저장한다. 이 때, PWM 듀티값은 50%이고, 기준 회전속도는 2250±5% 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콘트롤러는 50% PWM 듀티 값을 갖는 PWM신호를,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에 출력하여 현상제 펌프를 제어하고,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가 2250±5% RPM을 벗어날 때 현상제유로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콘트롤러는 현상제 펌프가 액체현상제를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현상기로 공급하는 제1 운전모드와 현상제 펌프가 액체현상제를 현상기에서 현상제 카트 리지로 회수하는 제2 운전모드 중 적어도 한 운전모드에서 센싱부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계산한다.
이 때, 현상제 펌프가 하나의 현상제 펌프로 구성될 경우, 제1 운전모드에서는 현상제 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현상제 펌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1 시간(T1)이 경과한 후에 현상제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계산하고, 제2 동작모드에서는 현상제 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현상제 유로에서 현상제 카트리지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현상제 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계산한다. 이 때, 제1 및 제2 시간(T1, T2)은 각각 1∼2sec 및 10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현상제 펌프가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로 구성될 경우, 제1 운전모드에서는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를 모두 구동하고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현상제 회수펌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3 시간(T3)이 경과한 후에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측정하고, 제2 동작모드에서는 현상제 공급펌프만 구동하고 현상제 공급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현상제 유로에서 현상제 카트리지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현상제 공급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측정한다. 이 때, 제3 및 제2 시간(T3, T2)은 각각 4∼5sec 및 10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는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와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 중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기를 연결하는 현상제유로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회전속도와 기준 회전속도를 토대로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는 액체현상제를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현상기로 공급하는 제1 운전모드로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및 액체현상제를 현상기에서 현상제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제2 운전모드로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한 단계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운전모드로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는 각각, 50% PWM 듀티 값을 갖는 PWM신호를,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에 출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제1 운전모드로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에서 현상제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2 운전모드로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에서 현상제 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한 단계로 구성된다.
현상제 펌프가 하나의 현상제 펌프로 구성될 경우, 현상제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현상제 펌프를 구동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현상제 펌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1 시간(T1)이 경과한 후 현상제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수행되고, 현상제 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현상제 펌프를 구동한 시점에서 액체 현상제가 현상제 유로에서 현상제 카트리지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현상제 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제1 및 제2 시간(T1, T2)은 각각 1∼2sec 및 10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현상제 펌프가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로 구성될 경우, 현상제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를 모두 구동하고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를 구동한 시점에서 액체 현상제가 현상제 회수펌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3 시간(T3)이 경과한 후에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현상제 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현상제 공급펌프만 구동하고 현상제 공급펌프를 구동한 시점에서 액체 현상제가 현상제 유로에서 현상제 카트리지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현상제 공급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제3 및 제2 시간(T3, T2)은 각각 4∼5sec 및 10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는 검출된 현상제 펌프의 제1 및 제2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와 기준 회전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현상제 펌프의 제1 및 제2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회전속도를 벗어날 때 현상제유로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 때, 기준 회전속도는 2250±5% 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은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단계는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소리로 알리는 단계중 적어도 한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세한 설명에서, 종래기술의 구성부분과 동일한 본 발명의 구성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200)가 적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를 도시한다.
이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는 화상형성 유니트(도시하지 않음)와 현상제공급 유니트(121)를 포함한다.
화상형성 유니트의 구성 및 작용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프린터(1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현상제공급 유니트(121)는 현상제 카트리지(150), 현상제유로(111), 현상제공급 펌프(118), 및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200)를 포함한다..
현상제 카트리지(150)는 액체현상제(148)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공간을 구성하는 하우징(101), 및 하우징(101)내의 액체현상제(148)를 교반하는 액체현상제 교반기(135)를 구비한다. 하우징(101)은 장방형 함체 형태를 갖는다.
현상제유로(111)는 제1 및 제2 연결튜브(122, 123)와 제3 연결튜브(124)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연결튜브(122, 123)는 현상제 카트리지(150)의 제1 현상제 배출부(117)와 현상기(126)의 현상쳄버(127)의 제 2 현상제 유입부(113) 사이를 연결하며, 제1 현상제 배출부(117) 및 제 2 현상제 유입부(113)와 함께 후술하는 현상제 공급펌프(118)에 의해 액체현상제(48)를 하우징(101)에서 현상쳄버(127)로 공급하거나 현상쳄버(127)에서 하우징(101)으로 회수하는 현상제공급 관로를 구성한다.
제1 현상제 배출부(117)는 하우징(101)의 상부에 설치된 제1 암피팅(117a), 및 제1 암피팅(117a)과 연결되도록 제1 암피팅(117a)과 대향하게 제1 연결튜브(122)의 단부에 설치된 제1 수피팅(117b)을 구비한다. 제1 암피팅(117a)은 하우징(101)의 바닥까지 연장된 현상제흡입 튜브(140)를 가진다.
제3 연결튜브(124)는 현상제 카트리지(150)의 제1 현상제 유입부(116)와 현상기(126)의 회수쳄버(128)의 제2 현상제 배출부(114) 사이를 연결하며, 제1 현상제 유입부(116) 및 제2 현상제 배출부(114)와 함께 현상기(126)의 현상쳄버(127)에서 회수쳄버(128)로 오버플로우된 액체현상제(148)를 현상제 카트리지(150)의 하우징(101)으로 회수하는 현상제회수 관로를 구성한다.
제1 현상제 유입부(116)은 하우징(101)의 상부에서 제1 암피팅(117a)과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 암피팅(116a), 및 제2 암피팅(116a)과 연결되도록 제2 암피팅(116a)과 대향하게 제3 연결튜브(124)의 단부에 설치된 제2 수피팅(116b)을 구 비한다.
현상제공급 펌프(118)는 액체현상제(148)를 하우징(101)에서 현상쳄버(127)로 공급하거나 현상쳄버(127)에서 하우징(101)으로 회수하도록 현상제유로(111)의 제1 및 제2 연결 튜브(122, 123) 사이에 배치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공급 펌프(118)는 케이싱(145), 케이싱(145) 하부에 배치된 DC모터(114), DC모터(114)의 제1 축(135)과 연결된 제1 동력전달 기어(136), 제1 동력전달 기어(136)와 맞물린 제2 동력전달 기어(137)의 제2 축(138)에 동축 형성된 제1 펌프기어(139), 및 제1 펌프기어(139)와 맞물리도록 케이싱(145)에 회동할 수 있게 고정된 제3 축(144)에 고정된 제2 펌프기어(143)로 구성된다.
DC모터(114)가 일방향(이하 정회전이라함) 또는 타방향(이하 역회전이라함)으로 회전할 때, 현상제공급 펌프(118)는, 제1 및 제2 동력전달기어(136, 137)와 제1 및 제2 펌프기어(139, 143)가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액체현상제(148)를 현상기(126)의 현상쳄버(127)로 공급하거나, 현상쳄버(127)에서 현상제 카트리지(115)로 회수한다.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200)는 센싱부(131), 회전속도 저장부(151), 및 콘트롤러(125)를 포함한다.
센싱부(131)는 현상제 공급 펌프(118)의 DC모터(114)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펌프기어(139)의 상면에 설치된 자석(140), 및 제1 펌프기어(139)가 회전할 때 자석(140)의 자기장을 검출하도록 자석(140)과 대향하게 케이싱(145)에 설치된 홀센 서(141)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싱부(131')는 각각, 현상제 공급 펌프(118)의 DC모터(114)의 제1 축(135)에 고정된 제1 동력전달 기어(136) 또는 제 2 동력전달 기어(137)에 원주상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구멍(140'), 및 구멍(140')과 대향하게 케이싱(145)에 고정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광센서(141')로 구성될 수 있다.
어떤 형태로 형성되든, 센싱부(131, 또는 131')는 자석(140)이 홀센서(141)를 통과하거나 구멍(140')이 광센서(141')를 통과 할 때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신호, 즉 '1'의 값(하이 신호)의 검출신호(INT1)를 발생하여 콘트롤러(125)에 출력한다.
회전속도 저장부(15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트롤러(125)가 현상제유로(111)의 이상상태를 판단할 때 기준이 되는 현상제공급 펌프(118)의 정회전 및 역회전시의 기준 회전속도, 예를들면 2250±5% RPM(즉, 2137∼2363RPM)을 저장한다. 이 기준 회전속도(2250±5% RPM)은 현상제유로(111)가 정상상태일 때,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50%의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50% 듀티(Duty)값을 갖는 PWM 신호에 의해 전원(도시하지 않음)에서 DC모터(114)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이 제어될 때 얻어진 값으로 설정된다.
콘트롤러(129)는 모터제어 유니트(129)와 엔진제어 유니트(130)로 구성된다.
모터제어 유니트(129)는 센싱부(131)에서 출력된 검출신호를 엔진제어 유니트(130)에 출력하고, 엔진제어 유니트(13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DC모터 (114)의 구동을 제어한다.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현상기(126)의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 현상기(126)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DC모터(114)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제어신호(CTRL1), 즉 DC모터(114)의 속도를 가변시키는 PWM신호, 및 DC모터(114)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신호, 및 DC모터(114)의 동작시작 및 멈춤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신호를 모터제어 유니트(129)에 출력하여 DC모터(114)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프린터(100)가 온된 후 웜업될 때 또는 외부에서 제어패널과 같은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이상상태 검출명령이 입력될 때 현상제공급 펌프(118)의 DC모터(114)를 구동하여 현상제공급운전 모드와 현성제회수운전 모드를 수행한 후 이 때 검출된 회전속도를 토대로 현상제유로(111)의 누수 및/또는 막힘과 같은 이상상태를 검출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프린터(100)가 온된 후 정착기(도시하지 않음)의 정착롤러(도시하지 않음)를 프린팅 대기온도로 가열하도록 웜업될 때, 또는 입력부를 통해 이상상태 검출명령이 입력될 때,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DC모터(114)가 액체 현상제(148)를 현상제 카트리지(150)의 하우징(101)에서 현상기(126)의 현상쳄버(127)로 공급하도록 정회전 신호를 모터 제어유니트(129)에 출력하여 DC모터(114)를 정회전시킨다. 이 때, 엔진제어 유니트(130)에서 모터 제어유니트(129)에 출력되는 PWM 신호는 50%의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50% 듀티값(도 5)을 가진다.
DC모터(114)가 정회전 구동된 후,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센싱부(131)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를 카운팅하여 현상제공급 펌프(118)의 회전속도, 즉 DC모터(114)의 제1 회전속도를 계산하고, 이를 회전속도 저장부(151)에 저장하고 DC모터(114)를 정지한다. 이 때, DC모터(114)의 제1 회전속도는 DC모터(114)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148)가 현상제공급 펌프(118)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1 시간(T1), 예를들면, 약 1∼2sec가 경과한 후부터 검출신호를 카운팅하여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제1 시간(T1) 전에는 현상제공급 펌프(118)가 공기만을 펌핑하기 때문에 액체현상제(148)를 펌핑하는 DC모터(114)의 정확한 회전속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 다음,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DC모터(114)가 액체현상제(148)를 현상기(126)의 현상쳄버(127)에서 현상제 카트리지(150)의 하우징(101)으로 회수하도록 역회전 신호를 모터 제어유니트(129)에 출력하여 DC모터(114)를 역회전시킨다. 이 때, 엔진제어 유니트(130)에서 모터 제어유니트(129)에 출력되는 PWM 신호는 정회전시와 마찬가지로 50% 듀티값을 가진다.
DC모터(114)가 역회전 구동된 후,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센싱부(131)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를 카운팅하여 DC모터(114)의 제2 회전속도를 계산하고, 이를 회전속도 저장부(151)에 저장하고 DC모터(114)를 정지한다. 이 때, DC모터(114)의 제2 회전속도는 DC모터(114)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148)가 현상제유로(111)의 제1 및 제2 연결튜브(122, 123)에서 현상제 카트리지(150)의 하우징(101)으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 예를들면, 약 10sec가 경과하기 전에 검출신호를 카운팅하여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제2 시간(T2) 후에는 현상제공급 펌프(118)에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액체현상제(148)를 펌핑하는 DC모터(114)의 정확한 회전속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계산된 DC모터(114)의 제1 및 제2 회전속도와 회전속도 저장부(151)에 저장된 기준 회전속도, 즉 2250±5% RPM를 비교하여 하나 라도 기준 회전속도를 벗어나면 아래 표1과 같이 현상제유로(11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프린터(10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RPM 현상제유로 상태
제1 및 제2 회전속도 2250±5% 이내 정상
제1회전속도 2250±5% 이상 제1 연결튜브 누수 또는 잉크없음
제1회전속도 2250±5% 이하 제2 연결튜브 막힘
제2 회전속도 2250±5% 이상 제2 연결튜브 누수
제2 회전속도 2250±5% 이하 제1 연결튜브 막힘
본 발명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200)는 엔진제어 유니트(130)의 명령에 따라 표1에 예시한 현상제유로(111)의 이상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155)는 현상제유로(111)의 이상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60), 및/또는 현상제유로(111)의 이상상태를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170)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프린터(100)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200)는 현상제공급 펌프(118)의 DC모터(114)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현상제공급운전 모드와 현성제회수운전 모드를 수행하고 이 때 검출된 제1 및 제2 회전속도를 토대로 현상제유로(111)의 누수 및/또는 막힘과 같은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현상제공급 펌프(118)의 DC모터(114)를 현상제공급운전 모드와 현성제회수운전 모드 중 한 모드로 구동하여 이 때 검출된 제1 또는 제2 회전속도를 토대로 현상제유로(111)의 누수 및 막힘과 같은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200)가 적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린터(100)가 온된후 웜업될 때,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상상태 검출명령이 입력될 때,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이상상태 검출모드임을 판단하고(S1), DC모터(114)가 액체현상제(148)를 현상제 카트리지(150)의 하우징(101)에서 현상기(126)의 현상쳄버(127)로 공급하도록 정회전 신호와 50% 듀티값를 갖는 PWM 신호를 모터 제어유니트(129)에 출력하여 DC모터(114)를 정회전시킨다(S2).
DC모터(114)가 정회전 구동된 후,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DC모터(114)가 구동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148)가 현상제공급 펌프(118)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1 시간(T1), 예를들면, 약 1∼2sec가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S3).
S3 단계에서 판단결과, 약 1∼2sec가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센싱부(131)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를 카운팅하여 현상제공급 펌프(118)의 회전속도, 즉 DC모터(114)의 제1 회전속도를 계산한다(S4).
그 다음,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계산된 제1 회전속도를 회전속도 저장부(151)에 저장하고, DC모터(11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5).
DC모터(114)가 정지된 후,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DC모터(114)가 액체현상제(148)를 현상기(126)의 현상쳄버(127)에서 현상제 카트리지(150)의 하우징(101)으로 회수하도록 역회전 신호와 50% 듀티값을 갖는 PWM 신호를 모터 제어유니트(129)에 출력하여 DC모터(114)를 역회전시킨다(S6).
DC모터(114)가 역회전 구동된 후,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DC모터(114)가 구동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148)가 현상제유로(111)의 제1 및 제2 연결튜브(122, 123)에서 현상제 카트리지(150)의 하우징(101)으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 예를들면, 약 10sec가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S7).
S7단계에서 판단결과, 약 10sec가 경과한것으로 판단되면, S9단계로 이동하여 DC모터(114)를 정지시키고, 약 10sec가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센싱부(131)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를 카운팅하여 DC모터(114)의 제2 회전속도를 계산한다(S8).
그 후,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계산된 제2 회전속도를 회전속도 저장부(151)에 저장하고 DC모터(114)를 정지시킨다(S9).
이어서,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계산된 DC모터(114)의 제1 및 제2 회전속도가 회전속도 저장부(151)에 저장된 기준 회전속도, 예를들면 2250±5% RPM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10).
S10단계에서 판단결과 제1 및 제2 회전속도가 2250±5% RPM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현상제유로(111)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프린터(100)의 동작을 정지하고 표1에 예시한 바와 같은 이상상태를 디스플레 이부(160)를 통해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스피커(170)를 통해 외부에 소리로 경고한다(S13).
S10단계에서 판단결과 제1 및 제2 회전속도가 2250±5% RPM 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다시 제1 및 제2 회전속도가 2250±5% RPM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11).
S11단계에서 판단결과 제1 및 제2 회전속도가 2250±5% RPM 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현상제유로(111)가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프린터(100)가 정상상태임을 디스플레이부(160) 및/또는 스피커(170)를 통해 외부에 알린다(S12).
S11단계에서 판단결과 제1 및 제2 회전속도가 2250±5% RPM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현상제유로(111)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프린터(100)의 동작을 정지하고 표1에 예시한 바와 같은 이상상태를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스피커(170)를 통해 외부에 소리로 경고한다(S13).
스피커(170)가 경고음을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60)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를 통해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프린터(100)에 대해 필요한 보수조치를 취하게 된다.
(실시예2)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200')를 사용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를 도시한다.
이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는 화상형성 유니트(11)와 현상제 공급 시스템(21)을 포함한다.
화상형성 유니트(11)와 현상제 공급 시스템(21)의 구성 및 작용은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200')를 제외하고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종래의 프린터(1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200')는 제1 및 제2 센싱부(132, 133; 또는 132', 133'(도 3a, 도 3b 및 도4)), 회전속도 저장부(151'), 콘트롤러(125'), 및 알림부(155')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센싱부(132, 133; 또는 132', 133')는 각각, 현상제공급 펌프(118')와 현상제회수 펌프(119)에 설치된다. 제1 및 제2 센싱부(132, 132; 또는 132', 133')의 구성과 작용은 도 3a, 도 3b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센싱부(131, 또는 13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속도 저장부(151')는 현상제공급 펌프(118')의 정회전 및 역회전시와 현상제회수 펌프(119)의 정회전시의 기준 회전속도, 즉 제1 DC모터(114')의 정회전 및 역회전시와 제2 DC모터(116)의 정회전시의 기준 회전속도, 예를들면 2250±5% RPM(즉, 2137∼2363RPM)을 저장한다.
콘트롤러(125')는 모터제어 유니트(129')와 엔진제어 유니트(130')를 구비한다.
모터제어 유니트(129')는 제1 및 제2 센싱부(132, 133)에서 출력된 제1 및 제2 전압 검출신호(INT1, INT2)를 엔진제어 유니트(130')에 출력하고, 엔진제어 유 니트(13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의 구동을 제어한다.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현상기(26)의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 현상기(26)의 전반적이 동작을 제어하고,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제어신호(CTRL1, CTRL2), 즉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의 속도를 가변시키는 PWM신호, 및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신호, 및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의 동작시작 및 멈춤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신호를 모터제어 유니트(129')에 출력하여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프린터(100')가 온된 후 웜업될 때 또는 외부에서 제어패널과 같은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이상상태 검출명령이 입력될 때 현상제공급 펌프(118')와 현상제회수 펌프(119)의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를 구동하여 현상제공급운전 모드와 현상제회수운전 모드를 수행한 후 이 때 검출된 회전속도를 토대로 현상제유로의 누수 및/또는 막힘과 같은 이상상태를 검출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프린터(100')가 온된 후 정착기(도시하지 않음)의 정착롤러(도시하지 않음)를 프린팅 대기온도로 가열하도록 웜업될 때 또는 입력부를 통해 이상상태 검출명령이 입력될 때,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정회전 신호를 모터 제어유니트(129')에 출력하여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를 정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현상제공급 펌프(118')는 액체현상제(48)를 현상제 카트리지(15)에서 현 상기(26)의 현상쳄버(27)로 공급하고 현상제회수 펌프(119)는 액체현상제(48)를 현상기(26)의 회수쳄버(28)에서 현상제 카트리지(15)로 회수하는 현상제공급운전 모드가 수행된다. 이 때, 엔진제어 유니트(130')에서 모터 제어유니트(129')에 출력되는 PWM 신호는 50%의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50% 듀티값(도 5)을 가진다.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가 정회전 구동된 후,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제1 및 제2 센싱부(132, 133)에서 출력되는 제1 및 제2 회전속도 검출신호를 카운팅하여 현상제공급 펌프(118')의 제1 회전속도와 현상제회수 펌프(119)의 제1 회전속도, 즉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의 제1 회전속도를 계산하고, 이를 회전속도 저장부(151')에 저장하고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를 정지한다. 이 때,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의 제1 회전속도는 각각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가 구동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48)가 현상제 공급펌프(118'), 현상쳄버(27) 및 회수쳄버(18), 현상제회수 펌프(119)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제3 시간(T3), 예를들면, 약 4∼5sec가 경과한 후 제1 및 제2 검출신호를 카운팅하여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제3 시간(T3) 전에는 현상제회수 펌프(119)가 공기만을 펌핑하기 때문에 액체현상제(48)를 펌핑하는 제2 DC모터(116)의 정확한 회전속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 다음,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제1 DC모터(114')가 액체현상제(48)를 현상기(26)의 현상쳄버(27)에서 현상제 카트리지(15)로 회수하는 현상제회수운전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1 DC모터(114')에 대해 역회전 신호를 모터 제어유니트(129')에 출력하여 제1 DC모터(114')를 역회전시킨다. 이 때, 엔진제어 유니트(130')에서 모 터 제어유니트(129')에 출력되는 PWM 신호는 제1 DC모터(114')의 정회전시와 마찬가지로 50% 듀티값을 가진다. 또한, 이 때, 현상제 공급운전시 제2 DC모터(116)의 동작으로 액체현상제(48)가 회수쳄버(28)로부터 현상제 카트리지(15)로 회수되었고 또 이미 제3 및 제4 연결튜브(24, 20)의 이상상태를 판단하는 제2 DC모터(116)의 제1 회전속도가 검출되었으므로, 제2 DC모터(116)는 구동되지 않는다.
제1 DC모터(114')가 역회전 구동된 후,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제1 센싱부(132)에서 출력되는 제1 검출신호를 카운팅하여 제1 DC모터(114')의 제2 회전속도를 계산하고, 이를 회전속도 저장부(151')에 저장하고 제1 DC모터(114')를 정지시킨다. 이 때, 제1 DC모터(114')의 제2 회전속도는 제1 DC모터(114')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48)가 제1 및 제2 연결튜브(22, 23)에서 현상제 카트리지( 15)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제2 시간(T2), 예를들면, 약 10sec가 경과하기 전에 검출신호를 카운팅하여 계산한다.
엔진제어 유니트(130')는, 계산된 제1 DC모터(114')의 제1 및 제2 회전속도와 제2 DC모터(116)의 제1 회전속도를 회전속도 저장부(151')에 저장된 기준 회전속도, 즉 2250±5% RPM와 비교하여 하나 라도 기준 회전속도를 벗어나면, 아래 표2과 같이 현상제유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프린터(10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RPM 현상제유로 상태
현상제공급 펌프의 제1 DC모터 제1 및 제2 회전속도 2250±5% 이내 정상
제1회전속도 2250±5% 이상 제1 연결튜브 누수 또는 잉크없음
제1회전속도 2250±5% 이하 제2 연결튜브 막힘
제2 회전속도 2250±5% 이상 제2 연결튜브 누수
제2 회전속도 2250±5% 이하 제1 연결튜브 막힘
현상제회수 펌프의 제2 DC모터 제1회전속도 2250±5% 이내 정상
제1회전속도 2250±5% 이상 제3 연결튜브 누수
제1회전속도 2250±5% 이하 제4 연결튜브 막힘
알림부(155')는 제1 실시예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200)와 마찬가지로, 엔진제어 유니트(130')의 명령에 따라 표2에 예시한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60'), 및/또는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170')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200')가 적용된 프린터(100')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S2' 내지 S5'단계에서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를 정회전한 후 제3 시간(T3) 경과 후 제1 및 제2 DC모터(114', 116)의 제1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저장한다는 점과, S10'과 S11'단계에서 제1 DC모터(114')의 제1 및 제2 회전속도와 제2 DC모터(116)의 제1 회전속도를 기준 회전속도와 비교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200)가 적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100)의 이상상태 검출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조립 또는 제작상의 결함, 현상제 슬러지의 침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액체현상제 누설 및/또는 막힘과 같은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액체현상제 누설 및/또는 막힘에 따른 화상품질 저하와 주변 구성부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4)

  1. 현상기와 현상제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현상제유로, 및 상기 현상제유로에 배치되고 액체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상기 현상기로 공급하고 회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상제 펌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센싱부;
    상기 현상제 펌프의 기준 회전속도를 저장하는 회전속도 저장부; 및
    상기 현상제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계산된 상기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와 상기 회전속도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현상제 펌프의 기준 회전속도를 토대로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속도 저장부는 정상상태에서 상기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선결된 PWM 듀티값을 갖는 PWM 신호에 의해 제어하여 얻은 회전속도값을 기준 회전속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WM 듀티값은 50%이며,
    상기 기준 회전속도는 2250±5%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가 2250±5% RPM을 벗어날 때 상기 현상제유로가 이상상태인것으로 판단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현상제 펌프가 액체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상기 현상기로 공급하는 제1 운전모드와 상기 현상제 펌프가 액체현상제를 상기 현상기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제2 운전모드 중 적 어도 한 운전모드에서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펌프는 하나의 현상제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1 운전모드에서는 상기 현상제 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펌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1 시간(T1)이 경과한 후에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현상제 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상기 현상제유로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시간은 각각 1∼2sec 및 10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펌프는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1 운전모드에서는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와 상기 현 상제 회수펌프를 모두 구동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와 상기 현상제 회수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회수펌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3 시간(T3)이 경과한 후에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와 상기 현상제 회수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만 구동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유로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2 시간(T3, T2)은 각각 4∼5sec 및 10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12. 액체현상제를 사용하여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기를 구비하는 화상형성 유니트;
    액체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기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현상제유로와, 상기 현상제유로에 배치되고 액체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상기 현상기로 공급하고 회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상제 펌프를 구비하는 현상제공급 유니트; 및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이상상태 검출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상태 검출유니트는 상기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센싱부, 상기 현상제 펌프의 기준 회전속도를 저장하는 회전속도 저장부, 및 상기 현상제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계산된 상기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와 상기 회전속도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현상제 펌프의 기준 회전속도를 토대로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속도 저장부는 정상상태에서 상기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선결된 PWM 듀티값을 갖는 PWM 신호에 의해 제어하여 얻은 회전속도값을 기준 회전속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WM 듀티값은 50%이며,
    상기 기준 회전속도는 2250±5%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가 2250±5% RPM을 벗어날 때 상기 현상제유로가 이상상태인것으로 판단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현상제 펌프가 액체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상기 현상기로 공급하는 제1 운전모드와 상기 현상제 펌프가 액체현상제를 상기 현상기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제2 운전모드 중 적어도 한 운전모드에서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펌프는 하나의 현상제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1 운전모드에서는 상기 현상제 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펌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1 시간(T1)이 경과한 후에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현상제 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상기 현상제유로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시간(T1, T2)은 각각 1∼2sec 및 10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펌프는 현상제공급 펌프와 현상제회수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1 운전모드에서는 상기 현상제공급 펌프와 상기 현상제회수 펌프를 모두 구동하고 상기 현상제공급 펌프와 상기 현상제회수 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상기 현상제회수 펌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3 시간(T3)이 경과한 후에 상기 현상제공급 펌프와 상기 현상제회수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만 구동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가 동작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상기 현상제유로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2 시간(T3, T2)은 각각 4∼5sec 및 10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현상제 카트리지와 현상기를 연결하는 현상제유로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회전속도와 기준 회전속도를 토대로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는,
    액체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상기 현상기로 공급하는 제1 운전모드로 상기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및 액체현상제를 상기 현상기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 회수하는 제2 운전모드로 상기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운전모드로 상기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는 각각, 50% PWM 듀티 값을 갖는 PWM신호를, 상기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펌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운전모드로 상기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운전모드로 상기 현상제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에서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펌프는 하나의 현상제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상제 펌프를 구동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펌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1 시간(T1)이 경과한 후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상제 펌프를 구동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상기 현상제유로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시간(T1, T2)은 각각 1∼2sec 및 10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펌프는 현상제 공급펌프와 현상제 회수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와 상기 현상제 회수펌프를 모두 구동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와 상기 현상제 회수펌프를 구동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회수펌프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제3 시간(T3)이 경과한 후에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와 상기 현상제 회수펌프의 제1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만 구동하고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를 구동한 시점에서 액체현상제가 상기 현상제 유로에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로 완전히 회수되는 시점까지의 제2 시간(T2)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현상제 공급펌프의 제2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2 시간(T3, T2)은 각각 4∼5sec 및 10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는,
    검출된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1 및 제2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와 기준 회전속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상제 펌프의 제1 및 제2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회전속도를 벗어날 때 상기 현상제유로가 이상상태인것으로 판단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회전속도는 2250±5%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단계는,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현상제유로의 이상상태를 소리로 알리는 단계중 적어도 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방법.
KR1020040056795A 2004-07-21 2004-07-21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KR100599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795A KR100599114B1 (ko) 2004-07-21 2004-07-21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US11/060,467 US7263302B2 (en) 2004-07-21 2005-02-18 Detector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developer passage,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CNB2005100779632A CN100403184C (zh) 2004-07-21 2005-06-16 探测显影剂通道中的异常的探测器、成像装置及探测方法
EP05253776A EP1621939A1 (en) 2004-07-21 2005-06-17 Detector detecting abnormality in liquid developer supply for an image form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795A KR100599114B1 (ko) 2004-07-21 2004-07-21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504A KR20060008504A (ko) 2006-01-27
KR100599114B1 true KR100599114B1 (ko) 2006-07-12

Family

ID=3499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795A KR100599114B1 (ko) 2004-07-21 2004-07-21 현상제유로 이상상태 검출장치,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63302B2 (ko)
EP (1) EP1621939A1 (ko)
KR (1) KR100599114B1 (ko)
CN (1) CN10040318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5724A (ja) * 2004-11-18 2006-06-08 Pentax Corp 現像液搬送手段及び湿式画像形成装置
KR101101819B1 (ko) * 2007-06-29 2012-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858519B2 (ja) * 2008-09-26 2012-01-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粉体搬送装置
EP2806228B1 (en) * 2012-01-18 2020-06-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er
JP6540176B2 (ja) * 2015-04-09 2019-07-1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8604077B (zh) * 2016-04-28 2021-04-23 惠普深蓝有限责任公司 液体电子照相打印机及其显影单元干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9422A (en) * 1872-07-16 Improvement in combined knob-latches and locks
US1382711A (en) * 1920-11-06 1921-06-28 Bakovich Joseph Self-leveling apparatus
JPS5820429B2 (ja) * 1975-05-12 1983-04-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ノウドケンチホウホウ
US4166702A (en) * 1975-05-12 1979-09-04 Ricoh Company, Ltd. Device for detecting a toner concentration in a developing solution
US4398818A (en) * 1980-10-03 1983-08-16 Xerox Corporation Liquid toner fountain for the development of electrostatic images
JPH0197976A (ja) * 1987-10-09 1989-04-17 Olympus Optical Co Ltd 現像異常検知装置
US5623715A (en) * 1994-08-23 1997-04-22 Clark; Lloyd D. Liquid toner concentra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H08267786A (ja) 1995-03-31 1996-10-15 Citizen Watch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吸引量制御方法
KR0168225B1 (ko) 1995-06-30 1999-05-01 김주용 회전식 공판인쇄기의 잉크공급 및 회수장치와 그 방법
KR19980040818A (ko) 1996-11-29 1998-08-17 김광호 잉크 젯 프린터의 자기진단 수행방법
JPH11265122A (ja) * 1998-01-08 1999-09-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9990081052A (ko) 1998-04-24 1999-11-15 윤종용 잉크젯프린터의 과부하시 전원 차단장치 및 방법
JP2000284447A (ja) * 1999-03-30 2000-10-13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現像機の処理補充液検出装置
KR100396575B1 (ko) 2002-01-22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화상현상시스템
US7010251B2 (en) * 2002-12-02 2006-03-0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Toner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KR100611969B1 (ko) 2003-12-12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공급 및 회수방법
KR20060027956A (ko) * 2004-09-24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 균일공급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18677A1 (en) 2006-01-26
KR20060008504A (ko) 2006-01-27
CN100403184C (zh) 2008-07-16
EP1621939A1 (en) 2006-02-01
US7263302B2 (en) 2007-08-28
CN1725118A (zh)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514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detects abnormality condition in feeding of toner
US61546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consumable product such as a replaceable toner cartridge
US7263302B2 (en) Detector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developer passage,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US95577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termination of amount of waste toner
JP2006235382A (ja) 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997213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86430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02575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29131A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065128A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55758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6337830A (ja) 湿式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97083B2 (ja) 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03906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056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0422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57215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H06175496A (ja) 画像形成装置
JP5599110B2 (ja) 画像形成装置
JP3486086B2 (ja) 画像形成装置
JP5733613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189557A (ja) 湿式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補充トナー液補給装置
KR20050110447A (ko) 초음파를 이용한 액체 현상제 교반장치, 그것을 갖는 습식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그 액체 현상제 교반방법
JP2009288755A (ja) 現像装置、該現像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容器の傾き検出方法
JP4019465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トナー残量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