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055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055B1
KR101276055B1 KR1020070119886A KR20070119886A KR101276055B1 KR 101276055 B1 KR101276055 B1 KR 101276055B1 KR 1020070119886 A KR1020070119886 A KR 1020070119886A KR 20070119886 A KR20070119886 A KR 20070119886A KR 101276055 B1 KR101276055 B1 KR 10127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amount
bottle
calculat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187A (ko
Inventor
임영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055B1/ko
Priority to US12/264,451 priority patent/US7912385B2/en
Priority to CN2008101803204A priority patent/CN101441424B/zh
Publication of KR20090053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현상제량을 감지하는 현상제센서와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로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갖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현상유닛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바틀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에 있어서, 제1인쇄도트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제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현상제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제바틀로부터 상기 현상유닛으로 현상제가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공급된 현상제량을 기초로 제2인쇄도트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인쇄도트수와 상기 제2인쇄도트수를 기초로 제3인쇄도트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3인쇄도트수를 통해 상기 현상제바틀의 현상제잔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인쇄도트수를 기초로 한 현상제잔량과 실제 현상제잔량과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제잔량 산출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LEVEL CALCUL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제잔량 산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현상기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바틀이 장착되는 구조의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제잔량 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화상데이타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을 현상제를 이용하여 가시화상으로 현상한 후 현상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 및 정착시켜 원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를 감광체로 공급하는 현상기를 가지며, 현상기에 현상제를 보충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을 갖는다. 이 중에는 현상제가 저장된 현상제바틀이 현상기에 별도로 장착되어 현상기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종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타를 인쇄한 후 현상기 내부의 현상제잔량을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상기의 교체시기를 예측하고, 인쇄신호를 인가할 화상데이타 량을 결정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종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 기준 용량당 인쇄할 수 있는 기준인쇄도트수를 설정하고, 이 기준인쇄도트수를 기초로 현상제의 잔량을 산출하였다.
그런데, 종래 화상형성장치가 인쇄도트수를 기준으로 현상제의 잔량을 표시하는 경우 현상제잔량이 남아 있다고 사용자에게 표시하였으나 실제 현상기 내부에는 현상제가 없어 갑자기 인쇄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가능도트수를 기준으로 현상제잔량을 산출한 제1그래프(A)와 실제 현상제잔량을 도시한 제2그래프(B)의 기울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제1그래프(A)에서 10%의 잔량이 남아있다고 한 경우(X점) 실제로는 현상제에 현상제가 없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현상제잔량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인쇄시호를 인가하였으나 갑자기 현상기 교체 메시지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인쇄환경과 인쇄매체의 종류, 화상형성장치가 위치한 환경의 온도와 습도, 현상전압과 전사전압 등에 의해 1도트에 도포되는 현상제의 량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현상제바틀과 현상기가 분리되어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구조적으로 현상제바틀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되는 측에 현상제잔량 감지센서등을 설치할 수 없어 현상롤러 측에 현상제잔량 감지센서 등을 설치한다. 이 경우, 현상롤러 측에서 현상제바틀 내부의 현상제잔량을 정확히 감지하기 힘드므로 현상제잔량을 정확히 산출하기는 더욱 어려운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기 내부의 현상제잔량과 인쇄도트수와의 관계를 통해 현상기와 현상제바틀이 분리되어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을 정확하게 산출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제잔량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현상제량을 감지하는 현상제센서와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로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갖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현상유닛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바틀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에 있어서, 제1인쇄도트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제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현상제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제바틀로부터 상기 현상유닛으로 현상제가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공급된 현상제량을 기초로 제2인쇄도트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인쇄도트수와 상기 제2인쇄도트수를 기초로 제3인쇄도트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3인쇄도트수를 통해 상기 현상제바틀의 현상제잔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된 현상제량이 기준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현상제바틀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된 현상제량을 기초로 상기 제2인쇄도트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상제의 공급 전후를 상기 현상제센서로 감지하고 그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제2인쇄도트수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출된 현상제바틀의 현상제잔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오퍼레이션판넬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UI)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표시되는 현상제의 잔량은 선형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인쇄도트수는 상기 현상유닛의 누적인쇄도트수이고, 상기 제2인쇄도트수는 상기 현상제바틀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량의 인쇄가능도트수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매체에 현상제를 도포하여 화상데이타를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감광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제잔량을 감지하는 현상제센서와, 상기 현상롤러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포함하는 현상기와; 상기 현상기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바틀과; 상기 현상기의 제1인쇄도트수를 산출하고, 상기 현상제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현상제바틀로부터의 현상제 공급량을 제2인쇄도트수로 변환하고 상기 제1인쇄도트수와 상기 제2인쇄도트수를 기초로 제3인쇄도트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3인쇄도트수를 이용하여 상기 현상제바틀의 총현상제잔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상제센서는,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공급롤러 사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상제센서의 감지결과 상기 현상유닛 내부의 현상제잔량이 기준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현상제바틀은 상기 현상유닛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량을 인쇄가능도트수로 변환하고 이를 현상제의 소모량으로 간주하여 현상제잔량을 산출하므로 실제 현상제소모량에 보다 가깝게 현상제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케이싱(100)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300)와, 화상형성부(300)의 현상유닛(320)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바틀(400)과, 화상데이타를 인쇄가능한 인쇄데이타로 변환하는 이미지처리부(500)와, 현상제바틀(400)의 현상제잔량을 산출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본체케이싱(100)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각 구성들을 보호한다. 본체케이싱(100)은 현상제바틀(400)이 장착되는 바틀수용부(110)와, 사용자가 현상제바틀을 교체할 수 있도록 바틀수용부(110)를 외부로 개방하는 프론트도어(120)를 포함한다. 바틀수용부(110)는 현상제바틀(400)과 현상유닛(320)이 상호 결합하여 안정적 으로 현상제가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본체케이싱(10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쇄신호를 인가받는 입력부(미도시)와, 인쇄환경과 인쇄동작, 현상제바틀의 현상제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마련된다. 통상 입력부와 표시부는 본체케이싱(100)의 외부의 오퍼레이션판넬(미도시)에 함께 배치된다.
화상형성부(300)는 인쇄신호가 인가된 화상데이타를 인쇄매체에 가시화한다. 화상형성부(300)는 감광체(310)와, 감광체(310)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유닛(320)과, 감광체(310)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부(330)와, 감광체(310) 상의 현상제가 중간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부(340)와, 중간전사벨트부(340)의 현상제를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부(350)와, 인쇄매체의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부(360)를 포함한다.
감광체(310)는 인쇄매체에 현상제를 도포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310)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을 코팅하여 마련된다. 광도전성 물질층은 노광부(330)에 의해 노광될 경우 광에 반응하여 화상데이타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한편, 감광체(310)의 일측에는 감광체(310)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하는 대전롤러(311)가 마련된다.
현상유닛(320)은 현상기프레임(321)과, 감광체(310)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롤러(323)와, 현상롤러(323)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325)와, 현상제바틀(40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공급롤러(325) 측으로 공급하는 오거(327)와, 현상 기프레임(321) 내의 현상제잔량을 감지하는 현상제센서(322)를 포함한다.
현상기프레임(321)은 본체케이싱(100)에 결합되며 현상제바틀(400)로부터 현상제가 유입되는 유입구(321a)를 포함한다. 현상기프레임(321)은 본체케이싱(100)과 일체로 마련되거나, 본체케이싱(10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현상롤러(323)는 공급롤러(325)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감광체(310)의 정전잠상에 공급한다. 현상롤러(323)에는 표면의 현상제를 감광체(310)로 공급하기 위해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현상전압이 인가된다. 여기서, 현상전압은 대전롤러(311)의 대전전압에 의해 감광체(310) 표면이 갖게 되는 표면전압 보다는 높고 노광부(330)에 의해 노광된 정전잠상의 표면전압보다는 낮게 마련된다. 이에 의해 현상롤러(323) 표면의 현상제가 전위차에 의해 감광체(310)의 정전잠상에 부착되게 된다.
공급롤러(325)는 오거(327)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현상롤러(323) 측으로 공급한다. 통상 공급롤러(325)는 현상롤러(323)와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마찰대전에 의해 현상제를 현상롤러(323)에 부착시킨다.
오거(327)는 현상제바틀(400)로부터 자중에 의해 유입된 현상제를 공급롤러(325) 측으로 이송한다. 오거(327)는 현상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회전축을 따라 복수의 회전날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거(327)는 현상유닛(320)의 크기와 현상제유입구(321a)와 현상롤러(323)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325)와 오거(327)는 구동부(329)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 다. 현상롤러(323), 공급롤러(325), 오거(327)는 복수의 기어열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구동부(329)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될 경우 함께 회전되도록 제어되거나, 별도로 구동력이 각각 전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구동부(329)의 구동시간에 의해 현상롤러(323) 측으로 공급되는 현상제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현상제센서(322)는 현상롤러(323)와 공급롤러(325) 사이에 마련되어 현상롤러(323)와 공급롤러(325) 사이의 현상제잔량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부(600)로 알려준다. 현상제센서(322)는 현상롤러(323)에서 감광체(310)로 도포되는 현상제량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현상롤러(323)와 공급롤러(325) 사이에 적재된 현상제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현상롤러(323)와 공급롤러(325) 사이에 적재된 현상제량이 적을 경우 공급롤러(325)로부터 현상롤러(323)로 적은 양의 현상제가 공급되고, 또한 감광체(310)의 정전잠상에도 적은 양의 현상제가 도포되기 때문에 인쇄매체에 흐리게 화상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준레벨 이상의 해상도를 유지하기 위해 현상제센서(322)는 현상롤러(323)와 공급롤러(325) 사이에 기준레벨 이상의 현상제잔량이 유지되도록 한다.
현상제센서(322)는 공급롤러(325)와 현상롤러(323) 사이의 현상제잔량을 기준레벨과 로우레벨로 나누어 감지한다. 기준레벨은 기준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현상제잔량을 나타내고, 로우레벨은 현상제바틀(400)에 현상제잔량이 없음을 유추할 수 있는 현상제잔량이다.
현상제센서(322)는 현상제잔량의 감지결과 현상제잔량이 기준레벨 이하인 경우 제어부(600)로 신호를 보내 공급롤러(325)와 오거(327)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 도록 한다. 또한, 현상제센서(322)는 공급롤러(325)를 통해 현상제의 공급이 있는 경우 2차 현상제잔량을 감지하여 공급롤러(325)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현상제센서(322)는 산출된 공급된 현상제량을 제어부(600)로 알려준다.
현상제센서(322)는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한 현상제의 높이를 감지하는 광센서로 구현되거나, 현상제의 무게를 감지하여 현상제잔량을 산출하는 무게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현상제센서(322)가 광센서로 구현될 경우 광센서는 현상기 내부의 상이한 높이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광부(330)는 후술할 이미지처리부(500)에서 전송된 인쇄데이타에 따라 감광체(310)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부(330)는 광원의 크기에 따라 소정 크기의 스팟에 해당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스팟에 현상제가 도포될 경우 1도트가 된다.
현상제바틀(400)은 현상유닛(3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의 현상제를 현상유닛(320)로 공급한다. 현상제바틀(4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가 유출되는 유출구(410)와, 현상제바틀(400)이 본체케이싱(100)의 바틀수용부(110)에 장착될 때 유출구(410)를 개방하는 셔터(미도시)를 포함한다. 현상제바틀(400)은 내부에 충진된 현상제의 자중에 의해 현상제를 현상유닛(320)로 공급한다. 현상제바틀(400)은 현상제의 유출이 보다 용이하도록 바닥면이 소정 경사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미지처리부(500)는 화상데이타에 대한 인쇄신호가 인가되면 화상데이타를 인쇄가능한 인쇄데이타로 변환한다. 인쇄데이타는 노광부(330)가 광원의 ON/OFF를 통해 감광체(310)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비트단위의 신호로 표현된다. 이 때, 광원에 ON신호가 인가될 때의 1개신호를 1도트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처리부(500)에서 변환된 인쇄데이타에 의해 화상데이타에 대한 총 인쇄도트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이미지처리부(500)와 현상제센서(322)로부터 수신한 현상제 공급량을 기초로 현상제바틀(400)의 현상제잔량을 산출한다. 제어부(600)는 현상제바틀(400)이 본체케이싱(100)에 장착되면 현상제 기준량당 인쇄가능 도트수를 기초로 최대인쇄가능도트수(MC)를 산출한다. 그리고, 화상데이타에 대한 인쇄가 완료될 때마다 이미지처리부(500)로부터 수신된 인쇄도트수(PC)를 누적하여 누적인쇄도트수(AC)를 산출하고, 산출된 누적인쇄도트수(AC)를 최대인쇄가능도트수(MC)로부터 감한 량을 최대인쇄가능도트수(MC)로 나눈 값을 현상제잔량(DQ)으로 산출한다.
한편, 제어부(600)는 누적인쇄도트수(AC)를 기초로 현상제잔량(DQ)을 산출할 경우 실제 현상제바틀(400) 내부의 현상제량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차이를 보정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600)는 공급롤러(325)에 의해 현상롤러(323) 측으로 공급되는 현상제 공급량을 인쇄가능도트수(PPC)로 산출하고, 산출된 인쇄가능도트수(PPC)를 총누적인쇄도트수(DC)에 합산한다. 이는, 통상 기준량당 현상제사용량보다 실제 현상제사용량이 많아 실제 현상제잔량과 누적인쇄도트를 기준으로 한 현상제잔량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현상롤러(323)로 공급된 현상제도 현상제바틀(400)을 기준으로 소모된 량으로 계산하여 그 차이값을 보정해주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현상제잔량감지방법을 도4 내지 도6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화상데이타에 대한 인쇄신호가 인가되면 화상형성부(300)는 화상데이타를 인쇄매체에 가시화한다(S110). 이 때, 이미지처리부(500)는 화상데이타로부터 변환된 인쇄데이타로부터 인쇄도트수(PC)를 산출하고, 산출된 인쇄도트수(PC)를 제어부(600)로 알려준다(S120). 제어부(600)는 이미지처리부(500)로부터 수신된 인쇄도트수(PC)를 누적된 누적인쇄도트수(AC)와 합산하여 총누적인쇄도트수(DC)를 산출한다(S130).
그리고, 현상제바틀(400)의 최대인쇄가능도트수(MC)에 산출된 총누적인쇄도트수(DC)를 감한 결과를 최대인쇄가능도트수(MC)로 나누어 현상제잔량을 % 단위로 산출한다(S140).
한편, 감광체(310)로 현상롤러(323)가 현상제를 도포하고 나면, 현상제센서(322)는 후속 인쇄를 위해 현상롤러(323)와 공급롤러(325) 사이의 1차현상제잔량(DQ)을 감지한다(S150). 현상제센서(322)는 감지된 1차 현상제잔량이 기설정된 로우레벨보다 낮은지 판단한다(S160). 여기서, 1차 현상제잔량이 로우레벨보다 낮은 것은 공급롤러(325)로부터 더 이상의 현상제 공급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감지된 1차 현상제잔량이 현상제바틀(400)와 현상유닛(320) 전체의 총현상제잔량이 된다.
현상제센서(322)는 1차현상제잔량이 기설정된 로우레벨보다 적은 경우 제어부(600)로 알리고, 제어부(600)는 1차현상제잔량에 대응하는 인쇄가능도트수를 산 출하고, 산출된 인쇄가능도트수를 기초로 현상제잔량을 산출한다(S165). 일례로, 로우레벨이 10%인 경우 인쇄도트수를 기초로 산출한 현상제잔량은 15%이나, 1차 현상제잔량이 9%인 경우 9%를 현상제잔량으로 표시한다.
한편, 현상제센서(322)에서 감지된 1차현상제잔량이 기설정된 로우레벨보다 많은 경우 현상제센서(322)는 기준레벨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170). 기준레벨은 설정된 해상도를 나타낼 수 있는 최소량의 현상제잔량이다. 1차현상제잔량이 기준레벨과 로우레벨 사이인 경우 현상제센서(322)는 제어부(600)로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600)는 구동부(329)를 구동하여 공급롤러(325)와 오거(327)가 현상제를 현상롤러(323) 측으로 공급하도록 한다(S185).
이 때, 현상제가 오거(327)와 공급롤러(325)를 통해 현상롤러(323) 측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면 공급된 현상제의 부피만큼 현상제바틀(400)로부터 현상제가 유입된다. 이 때, 현상제의 공급량은 구동부(329)의 구동시간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현상제센서(322)는 현상제가 공급되면 2차 현상제잔량을 감지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600)로 알려준다(S190). 제어부(600)는 현상제센서(322)로부터 수신된 현상제공급량을 기초로 인쇄도트수와 현상제잔량과의 관계를 설정한다(S200). 즉, 제어부(600)는 현상제공급량을 인쇄가능도트수(PPC)로 산출하고, 산출된 인쇄가능도트수(PPC)를 기산출한 총누적인쇄도트수(DC)에 합하여 보정누적인쇄도트수(AC)를 산출한다(S210). 그리고, 보정누적인쇄도트수(AC)를 기초로 보정현상제잔량(CDQ)을 산출한다(S220).
즉, 제어부(600)는 공급롤러(325)를 통해 공급된 현상제공급량을 소모된 현상제량으로 간주하고, 실제 현상제소모량과 인쇄도트수를 기초로 설정된 현상제소모량과의 차이값을 보정한다. 이 경우, 보정현상제잔량그래프(C)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도트수를 기초로 산출된 현상제잔량그래프(A)와 실제 현상제소모량 그래프(B)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종래 실제 현상제잔량이 소모되는 인쇄매수(b)와 인쇄도트수를 기초로 산출된 인쇄매수(a) 사이의 차이(a-b)는 크게 줄어들게 된다(a-c).
한편, 제어부(600)는 각 단계에 걸쳐 산출된 현상제바틀(400)의 현상제잔량을 표시부(미도시)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장치(미도시)의 유저인터페이스(UI)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상제잔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컬러화상형성장치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모노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도트수를 기초로 한 현상제잔량을 보정하기 위해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량을 기초로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인쇄농도에 따라 소정개수의 인쇄도트수를 누적도트수에 합하여 보정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도트수를 기초한 현상제잔량과 실제 현상제잔량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산출된 현상제잔량과 인쇄도트수를 기초한 현상제잔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100 : 본체케이싱
200 : 급지부 300 : 화상형성부
400 : 현상제바틀 500 : 이미지처리부
600 : 제어부

Claims (10)

  1.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현상제량을 감지하는 현상제센서와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로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갖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현상유닛으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바틀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에 있어서,
    제1인쇄도트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제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현상제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현상제바틀로부터 상기 현상유닛으로 현상제가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공급된 현상제량을 기초로 제2인쇄도트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인쇄도트수와 상기 제2인쇄도트수를 기초로 제3인쇄도트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3인쇄도트수를 통해 상기 현상제바틀의 현상제잔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현상제량이 기준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현상제바틀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된 현상제량을 기초로 상기 제2인쇄도트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현상제의 공급 전후를 상기 현상제센서로 감지하고 그 차이값을 기초로 상기 제2인쇄도트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현상제바틀의 현상제잔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오퍼레이션판넬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UI)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현상제의 잔량은 선형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쇄도트수는 상기 현상유닛의 누적인쇄도트수이고, 상기 제2인쇄도 트수는 상기 현상제바틀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량의 인쇄가능도트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8. 인쇄매체에 현상제를 도포하여 화상데이타를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감광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제잔량을 감지하는 현상제센서와, 상기 현상롤러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포함하는 현상기와;
    상기 현상기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바틀과;
    상기 현상기의 제1인쇄도트수를 산출하고, 상기 현상제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현상제바틀로부터의 현상제 공급량을 제2인쇄도트수로 변환하고 상기 제1인쇄도트수와 상기 제2인쇄도트수를 기초로 제3인쇄도트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3인쇄도트수를 이용하여 상기 현상제바틀의 총현상제잔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센서는,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공급롤러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센서의 감지결과 상기 현상기 내부의 현상제잔량이 기준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현상제바틀은 상기 현상기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119886A 2007-11-22 2007-11-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KR101276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886A KR101276055B1 (ko) 2007-11-22 2007-11-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US12/264,451 US7912385B2 (en) 2007-11-22 2008-11-0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level calculating method of the same
CN2008101803204A CN101441424B (zh) 2007-11-22 2008-11-24 成像设备及其显影剂程度计算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886A KR101276055B1 (ko) 2007-11-22 2007-11-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187A KR20090053187A (ko) 2009-05-27
KR101276055B1 true KR101276055B1 (ko) 2013-06-14

Family

ID=4066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886A KR101276055B1 (ko) 2007-11-22 2007-11-22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12385B2 (ko)
KR (1) KR101276055B1 (ko)
CN (1) CN1014414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5175B2 (en) * 2008-11-25 2011-05-1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ontainer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ssing toner consumption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6168921B2 (ja) * 2013-08-30 2017-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70850B2 (ja) * 2014-03-04 2017-07-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488181B2 (ja) * 2015-04-28 2019-03-20 株式会社沖データ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873619B2 (ja) * 2016-07-05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1404A (ja) * 2004-05-25 2006-01-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171232A (ja) * 2004-12-14 2006-06-29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3917A (en) * 1995-10-25 1999-07-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cartridge having a developer container detachably mountable on such apparatus
US6591070B1 (en) * 1999-10-29 2003-07-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same
JP2004354666A (ja) 2003-05-29 2004-12-16 Seiko Epson Corp トナー消費量演算装置および方法と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1404A (ja) * 2004-05-25 2006-01-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171232A (ja) * 2004-12-14 2006-06-29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41424B (zh) 2013-03-06
CN101441424A (zh) 2009-05-27
US7912385B2 (en) 2011-03-22
KR20090053187A (ko) 2009-05-27
US20090136244A1 (en)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88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658429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alculating a printable number of sheets and a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the apparatus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data representing a present amount of developer
JP5258415B2 (ja) 画像形成装置
JP5366477B2 (ja) 画像形成装置
JP512837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27605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현상제잔량 산출방법
JP2009116120A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32991A (ja) 画像形成装置
JP472446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28568B1 (ko) 토너 잔량 측정장치,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잔량 측정방법
JP6019980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KR100636155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토너량 최적화 방법
JP2007292803A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制御方法
JP2008090087A (ja) 画像形成装置
JP4570722B2 (ja) 画像記録装置
JP6142579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119170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濃度制御プログラム
JP478173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96275A (ja) 画像形成装置
JP4617131B2 (ja) 画像形成装置
JP6056405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60040986A (ko) 화상형성장치
JP4776979B2 (ja) 画像形成装置
JP524615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09261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