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568B1 - 토너 잔량 측정장치,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잔량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토너 잔량 측정장치,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잔량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568B1
KR100628568B1 KR1020040090281A KR20040090281A KR100628568B1 KR 100628568 B1 KR100628568 B1 KR 100628568B1 KR 1020040090281 A KR1020040090281 A KR 1020040090281A KR 20040090281 A KR20040090281 A KR 20040090281A KR 100628568 B1 KR100628568 B1 KR 10062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remaining amount
correction coefficients
amount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985A (ko
Inventor
김영민
박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568B1/ko
Priority to US11/267,213 priority patent/US7499657B2/en
Publication of KR2006004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토너 카트리지에 수용된 토너 잔량을 측정하기 위한 토너 잔량 측정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 잔량 측정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잔량 측정장치는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보정 계수와, 카운트된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를 사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토너 잔량이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는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토너 잔량을 실제값에 가깝도록 측정할 수 있다.
토너 잔량, 토너 카트리지, 보정 계수, 수명, 전사효율

Description

토너 잔량 측정장치,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 잔량 측정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the remaining toner, Image forming appara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remaining to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토너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태일 때의 측단면도,
도 3은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른 전사효율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너 잔량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20. 급지카세트 130. 인쇄엔진
150. 토너 카트리지 160. 조작패널
170. 디스플레이부 180. 제어부
182. 계수 메모리 186. 연산부
190.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 200. 토너 잔량 측정장치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제가 담겨 있는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을 고려하여 토너의 잔량을 실제값에 가깝게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토너 잔량 측정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 잔량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카세트, 현상제가 담겨있는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가시화상을 형성하며 이 가시화상을 공급된 용지로 전사시키는 인쇄엔진, 용지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용지상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인쇄엔진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는 인쇄작업시 현상제로 사용되는 토너의 사용량 또는 잔량을 측정한다.
토너 카트리지에 담긴 토너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 상에 일정한 프로세스에 의해 현상이 되며, 감광체 상에 현상된 토너는 일정한 전사장치에 의해 전사매체로 전사가 이루어진다. 전사가 된 이후 감광체는 일정한 클리닝과정을 거쳐 대전이 되어 다시 정전 잠상이 형성되고 토너의 현상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렇게 용지에 전사된 토너는 정착유닛을 거쳐 적정한 열과 압력에 의해 정착과정을 거친 후, 배지작업이 이루어져 하나의 출력과정이 완성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서, 토너 잔량을 측정하는 한 방법은 인쇄엔진의 토너 카트리지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토너 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필요시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감지하여 사용자에서 알려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토너 감지 센서와 이에 관련된 검출 회로부가 추가로 요구되며,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토너 잔량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방법으로, 새 토너 카트리지를 교환한 후부터 인쇄된 용지의 페이지 수를 카운트하여 일정 페이지 이상의 용지가 인쇄되었으면 토너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토너가 모두 소모되었음을 알려주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한 페이지의 용지를 인쇄하는데 필요한 토너 양이 평균적으로 4% ~ 5% 커버리지(Coveryge)를 전제로 하여 계산된 것이다. 여기서, 4% ~ 5% 커버리지(Coveryge)란 한장의 용지 전체에 인쇄되는 토너의 양을 100%라 할 때, 용지에 인쇄된 토너의 양이 4% ~ 5%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용지에 인쇄되는 화상은 점, 선, 문자, 텍스트, 도표, 이미지 등 다양한 화상 패턴을 가지므로, 용지에 공급되는 토너의 양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 카트리지 공급사에서 보증하는 인쇄 페이지 수 만큼 사용하지 못하거나, 반대로 보증인쇄 페이지 수를 인쇄하고도 토너가 남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토너 잔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트 카운팅 방식을 적용한다. 도트 카운팅 방식에서는 한 장을 인쇄할 때마다 그 장에 사용된 도트 수를 카운팅하거나 또는, 다수 용지의 인쇄시 카운팅된 도트 수를 계속 누적시킨다. 그리고, 누적된 도트의 데이터를 기준 장당 소모량으로 나누면 인쇄작업에서 소모한 인쇄매수(Pj)를 산출할 수 있다.
인쇄가능매수(Pr)는 인쇄작업시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토너 잔량 즉, 잔여 인쇄가능매수(Pr-m)에서 현재 인쇄작업시 사용한 JOB당 인쇄매수(Pj)를 빼서 산출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가능매수(Pr) = 잔여 인쇄가능매수(Pr-m) - Job당 인쇄매수(Pj)
여기서, Job당 인쇄매수 = Job당 토너 소모량 ÷ 기준 장당 소모량(환경별)이고, 기준 장당 소모량은 A4 용지에 대해 5% 커버리지를 기준으로 한다.
한편, Job당 토너 소모량은 토너 전사량과 폐토너 발생량을 나타낸 것이므로, 인쇄가능매수(Pr)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인쇄가능매수 (Pr) = 잔여 인쇄가능매수(Pr-m) - [(토너 전사량 + 폐토너 발생량)/ 기준 장당 소모량]
한편, 토너 전사량은 각 페이지당 도트수(Ndot)와, 도트당 토너전사량 및 웨이팅 팩터(Weighting factor, Solid / Text / Gray)의 곱을 합산한 것으로서,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토너 전사량 = Σ(x·Ndot·dot당 토너전사량)
여기서, x는 웨이팅 팩터로서, 점, 선, 문자, 텍스트, 도표, 이미지 등 인쇄 데이터의 다양한 화상정보에 따라 다른 가중치를 갖는다.
상기 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토너 잔량 즉, 잔여 인쇄가능매수(Pr)는 Job당 토너 소모량을 계산해야 산출 가능하며, 결국 토너 전사량과 폐토너 발생량을 구해야 토너 잔량의 계산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토너 잔량 측정방법은 토너 전사량이나 폐토너량의 정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계산치에 의해 연산되는 정보를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또는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실제값에 대한 오차가 커 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이 진행되면 토너스트레스, 부품의 열화 및 마모 등에 의해 토너소모량의 경시변화가 발생한다. 토너스트레스는 갈수록 증가하여 원래 토너 카트리지 교체시 신선한 토너가 가진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해 화질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현상효율, 대전특성(Q/M)이 변화하여 토너소모량의 경시변화가 발생한다. 특히, 현상과정시 토너소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전사효율이 변함으로 인해 폐토너 발생량도 마찬가지로 변하게 된다. 한편, 토너 카트리지의 현상롤러나 공급롤러, 감광체, 대전롤러 등의 중요부품 역시 그 특성이 저하되어 위의 문제점을 가중시키는 한 요인이 된다.
또한, 인쇄 데이터의 농도에 따라, 또는 인쇄 환경에 따라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게 되어 실제 값과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서 토너 잔량 측정값이 실제값과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 오차가 클 경우 토너잔량, 부품의 수명, 폐토너량 등에 대한 정보가 잘못됨으로 사용자는 정확한 토너 교체 시기를 알 수 없게 되며 따라서, 인쇄되는 화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쇄시 여러 변수를 고려한 보정 계수를 제시하여, 토터 카트리지에 수용된 토너 잔량을 실제값에 가깝게 계산하는 토너 잔량 측정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 잔량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잔량 측정장치는,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보정 계수와 카운트된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를 사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토너 잔량이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는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정 계수는 각각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토너전사량 보정 계수(k1) 및 복수의 폐토너량 보정 계수(k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정 계수는 단면인쇄 또는 양면인쇄를 구분하여 적용되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급지방식 보정 계수(k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의 보정 계수가 저장되는 계수 메모리;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 및 페이지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및 상기 계수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보정 계수와, 상기 카운팅부에 의해 카운트된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를 사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토너 잔량을 상기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계수 메모리는 인쇄 데이터의 해상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해상도 보정 계수(k4)를 더 저장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해상도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해상도 보정 계수를 더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한 다.
또한, 상기 계수 메모리는 인쇄 데이터의 농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농도 보정 계수(k5)를 더 저장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농도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농도 보정 계수를 더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계수 메모리는 토너절약모드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토너절약모드 보정 계수(k6)를 더 저장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토너절약모드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토너절약모드 보정계수를 더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계수 메모리는 온도 및 습도 중의 최소한 어느 하나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환경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환경 보정 계수(e)를 더 저장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온도 및 습도 중의 최소한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환경 보정 계수를 더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한다.
상기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잔량 측정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토너 잔량을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 상기 토너 카트리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고유 정보 및 토너 잔량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저장되는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 상 기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각각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값을 갖는 토너 전사량 보정 계수(k1)와, 폐토너량 보정 계수(k2)와, 급지방식 보정계수(k3)와, 카운트된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를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토너 잔량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토너 잔량을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각각 미리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해상도 보정 계수(k4), 인쇄데이터의 설정 농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농도 보정 계수(k5), 토너절약모드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토너절약모드(k6), 온도 및 습도 중의 최소한 어느 하나의 환경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환경 보정 계수(e) 중 최소한 어느 하나를 더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복수의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기 위한 조작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보정 계수와, 상기 카운트된 도트수를 사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토너 잔량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너 잔량 측정방법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상기 선택 단계는, 복수의 토너전사량 보정 계수(k1)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 계; 복수의 폐토너량 보정 계수(k2)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단면인쇄 또는 양면인쇄를 구분하여 적용되는 복수의 급지방식에 대한 보정 계수(k3)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택 단계는 미리 설정된 인쇄 데이터의 해상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해상도 보정 계수(k4)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택 단계는 미리 설정된 인쇄 데이터의 농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농도 보정 계수(k5)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택 단계는 미리 설정된 토너절약모드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토너절약모드(k6)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택 단계는 온도 및 습도 중의 최소한 어느 하나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환경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환경 보정 계수(e)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잔량 측정방법은 상기 산출된 토너 잔량을 외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토너 잔량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본체(110), 인쇄매체인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카세트(120), 현상제로 가시화상을 형성하고 이 가시화상을 공급된 용지로 전사시키는 인쇄엔진(130), 용지 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용지상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140), 조작패널(160), 토너 잔량 측정장치(200)를 포함한다.
인쇄엔진(130)은 대전체(151)에 의해 표면이 일정한 전위로 대전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152),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152)에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레이저스캐닝유닛(132), 감광체(152)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유닛, 감광체(152)에 접하면서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전사시키는 전사롤러(134)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감광체(152)와 현상유닛은 소모품으로서, 수명이 다한 경우 교체할 수 있도록 하나의 세트로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하 토너 카트리지(150)라 칭한다. 한편, 토너 카트리지(150) 내부에는 토너와 같은 현상제가 담겨 있으며, 토너를 감광체(152)에 공급하는 현상롤러(153) 및 공급롤러(154), 현상롤러(153)와 접촉하면서 일정한 두께로 토너를 규제시키기 위한 토너층 규제부재(미도시), 토너 카트리지 내부의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기(155)를 포함한다.
정착유닛(140)은 화상을 전사받은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상에 정착시키며, 히팅롤러(141)와 가압롤러(142)를 포함한다.
조작패널(160)은 사용자의 명령 또는 선택을 입력하도록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된다.
토너 잔량 측정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170),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190),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조작패널(160) 부근에 설치되며, 특히 후술할 제어부(180)에 의해 산출된 토너 잔량이 표시된다.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190)에는 인쇄작업 후 제어부(180)에 의해 산출되는 토너 잔량 즉, 인쇄가능매수(Pr)가 저장된다.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190)는 쓰기/지우기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제조 코스트를 줄이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190)는 토너 카트리지(150)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190)에는 또한, 토너 카트리지(150)의 고유 정보, 사용이력등이 저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토너 잔량 데이터 메모리(190)는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토너 잔량 데이터 메모리(190)에는 토너 카트리지(150)의 고유 정보, 사용이력등이 저장되지는 않는다.
제어부(180)는 외부 컴퓨터(미도시)에서 인터페이스(181)를 통해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인쇄를 수행하도록 인쇄엔진(130)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의 각 요소들을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인쇄작업시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190)에 저장된 기존의 토너 잔량 데이터 정보를 읽고, 인쇄작업을 하면서 토너사용량 및 폐토너량을 계산하여 Job당 인쇄매수(Pj)를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토너 잔량 즉 인쇄가능매수(Pr)를 산출한다. 그리고, 인쇄작업 후 산출된 토너 잔량을 다시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190)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인쇄가능매수(Pr)는 인쇄작업시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토너 잔량 즉, 잔여 인쇄가능매수(Pr-m)에서 현재 인쇄작업시 사용한 JOB당 인쇄매수(Pj)를 빼서 산출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가능매수(Pr) = 잔여 인쇄가능매수(Pr-m) - Job당 인쇄매수(Pj) -- (1)
여기서, Job당 인쇄매수 = Job당 Toner 소모량 ÷ 기준 장당 소모량(환경별)이고, 기준 장당 소모량은 A4 용지에 대해 5% 커버리지를 기준으로 한다.
한편, Job당 토너 소모량은 토너 전사량과 폐토너 발생량(환경별)을 나타낸 것이므로, 인쇄가능매수(Pr)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인쇄가능매수 (Pr)
= 잔여 인쇄가능매수(Pr-m) - Job당 인쇄매수(Pj)
= 잔여 인쇄가능매수(Pr-m) - [Job당 토너 소모량 / 기준 장당 소모량].
= 잔여 인쇄가능매수(Pr-m) - [(토너 전사량 + 폐토너 발생량)/ 기준 장당 소모량] -- (2)
한편, 토너 전사량은 각 페이지당 도트수(Ndot)와, 모드별 보정계수(k) 및 웨이팅 팩터(Weighting factor, Solid / Text / Gray)의 곱을 합산한 것으로서,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토너 전사량 = Σ(x·k·e1·Ndot·dot당 토너전사량) -- (3)
여기서, k(k1, k3 ~k6)는 모드별 보정 계수로서, 토너 카트리지(150)의 수명에 따른 가중치 및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른 변경된 값을 적용하여 실제 사용되는 토너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e는 환경별 보정계수로서 환경에 따른 가중치를 두어 실체 발생되는 토너 전사량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x는 웨이팅 팩터로서, 점, 선, 문자, 텍스트, 도표, 이미지 등 인쇄 데이터의 다양한 화상정보에 따라 다른 가중치를 갖는다.
한편, 폐토너 발생량은 토너 카트리지(150)의 수명에 따른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실제 발생되는 폐토너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보정 계수(k2, k3)와, 환경조건에 따라 변경된 값을 갖는 환경 보정계수(e2)와, 감광체 회전시간 및 시간당 BG량의 곱으로서,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폐토너 발생량 =k·e2·감광체회전시간·시간당 BG량 -- (4)
여기서, BG는 용지구간과 비용지구간의 합이므로, 폐토너 발생량 계산시 용지구간은 용지가 감광체에 공급되는 시간을, 비용지구간은 감광체 구동모터의 회전시간을 고려하여 계산한다.
상기 식 (1) ~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인쇄작업시 소모되는 토너량 즉, Job당 인쇄매수(Pj)를 결정짓는 JOB당 토너 전사량 및 폐토너 발생량은 인쇄시 각각의 조건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며, 이러한 조건에 맞게 인쇄시 사용되는 토너를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조건에 맞게 인쇄시 사용되는 토너를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 다양한 보정 계수를 적용하며 구체적으로, 카운팅부(184), 연산부(186) 및 상기 다양한 보정 계수가 저장되는 계수 메모리(182)를 포함한다.
카운팅부(184)는 제어부(180)로 전송되어진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 및 페이지수를 계산한다.
연산부(186)는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190)에 저장되어 있느 기존의 토너 잔량 데이터를 읽고, 계수 메모리(182)에 저장된 복수의 보정 계수(k) 중 인쇄조건 에 맞는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보정 계수와 상기 카운팅부(184)에 의해 카운트된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Ndot)를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한다. 또한, 연산부(186)는 인쇄작업후 상기 산출된 토너 잔량을 다시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190)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계수 메모리(182)에는 토너 카트리지(150)가 사용된 정도 즉,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미리 설정된 토너 소모량에 관계된 보정 계수가 저장된다. 한편, 계수 메모리(184)에는 토너 소모량 계수 뿐만 아니라 주위의 환경 또는 다양한 모드별로 각기 변경된 값을 갖는 보정 계수가 저장된다. 보정 계수(k, e)는 수명 및 여러 조건에 의해 화상을 인쇄할 때 소모된 실제 토너 소모량을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얻은 최적의 값으로 결정된다.
각 모드별 보정 계수(k, e)는 토너 카트리지(150)의 사용 정도(수명)에 따른 보정 계수 k1 및 k2, 급지 방식에 따른 보정 계수 k3, 해상도에 관계된 보정 계수k4, 출력농도에 관계된 보정 계수 k5, 토너절약모드에 관계된 보정 계수 k6, 화질강화에 관계된 보정 계수 k7, 주위 환경조건에 관계된 보정 계수 e로 구분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k1은 수명에 따른 토너소모량의 변화 정도이고, k2는 수명에 따른 폐토너량의 변화 정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이 진행되면 토너스트레스, 부품의 열화 및 마모 등에 의해 토너소모량의 경시변화가 발생한다. 토너스트레스는 갈수록 증가하여 원래의 신선한 토너가 가진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해 화질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현상효율, 대전특성(Q/M)이 변화하여 토 너소모량의 경시변화가 발생한다. 특히, 현상과정시 토너소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전사효율이 변함으로 인해 폐토너 발생량도 마찬가지로 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수명에 따른 전사효율이 변함으로 인해 k1, k2의 값을 적용하는 방법을 실험을 통해 얻어진 값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험에서 프로세서 속도는 120mm/sec이고, 현상기의 수명은 15,000매인 것을 적용하며, 단면인쇄모드일 때를 기준으로 한다. 한편, 본 실험에서 사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각 부품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토너 카트리지(150)에 담긴 토너는 폴리에스터 계열 레진과, 실리카(Silica) 2%, 카본블랙(Carbon Black) 4%정도 혼합된 합성 블랙 토너(Black Toner)이다. 상기 토너는, 평균입경 8.0㎛, 미분(입경 5㎛ 이하)토너 함유율 20%, 대입경(입경 15㎛ 이상)토너 함유율 0.8%, 유리전이온도(Tg) 65℃, 비중 약 0.4 g/㎤이다.
현상롤러(153)는 ¢6㎜ 축 외부에 ¢14.0~¢14.10㎜ 정도 외경의 니트릴부다디엔 러버(NBR : nitrile-budadiene rubber)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환경저항은 상온(23℃, 55%)기준 약 0.5-1㏁(500V-DC인가 측정), 표면조도(Ra)는 약2.0㎛(Mahr장비), 마찰계수는 약 0.3, 표면경도(ASKER-A 측정기준)는 약 49°에 해당된다.
공급롤러(154)는 ¢11.5㎜ 외경의 전도성 실리콘 폼(Conductive Silicon Foam) 재질로서, 상온기준 저항 약 0.1㏁, 경도(Asker C측정기준)약 30°이다. 현상롤러(154)와 역방향 회전하면서 마찰대전 된다.
미도시된 현상제층 규제요소(Doctor-Blade)는 스테인레스 강(sus : steel use stainless)을 재질로 하여 두게 0.08㎜을 사용하여 현상롤러(153)와 탄성접촉 하고, sus를 지지하는 금속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교반기(155)는 양측에 스크류 형상의 오거(미도시)가 일정거리 만큼 부착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지지축 상에 토너를 공급하는 목적의 PET-Film이 부착되었다.
대전롤러(151)는 ¢6㎜ 축 외부의 ¢12㎜ 외경의 NBR로 이루어져 있으며, 환경저항은 상온기준 1㏁, 표면조도 Ra=2.0㎛ 마찰계수 0.3, 표면경도(ASKER-A 측정기준) 50°에 해당된다.
도 4는 일반적인 토너 카트리지(150)의 수명에 따른 전사효율을 도시한 것이다. 토너 카트리지 수명의 초, 중, 말기에 따라 일정하게 전사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수명초기는 2,500매 정도, 수명중기는 7,500매 정도, 수명말기는 14,000매 정도 인쇄된 때를 나타낸다. 그런데, 전사효율이 저하되면 폐토너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150)의 수명 진행에 따라 용지에 대한 단위면적당 토너현상량(M/A)이 증가하기 때문에 토너소모량은 증가하게 된다.
이 점에 착안하여 인쇄작업시 토너소모량 및 폐토너량을 사용시점별로 다르게 설정하여 가중치를 둔다.
하기의 표1, 표2, 표3은 토너 카트리지의 진행된 수명에 따른 토너소모량(=토너전사량) 및 폐토너량의 차이를 실험에 의한 데이터 값을 제시한 것으로서, 수명이 1,000매, 5,000매, 10,000매일 경우의 장당 토너전사량 및 장당 폐토너량을 측정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1,000매 시점 장당 토너전사량 장당 폐토너량
0.021497 0.002482
k1, k2 1.0 1.0
5,000매 시점 장당 토너전사량 장당 폐토너량
0.028421 0.002647
k1a, k2a 1.322091 1.066479
10,000매 시점 장당 토너전사량 장당 폐토너량
0.030211 0.002857
k1b, k2b 1.405359 1.151088
표1을 참조하면, 1,000매 시점에서 장당 토너전사량은 0.021497g, 장당폐토너량은 0.002482g이다. 1,000매 시점에서는 본래 가지고 있는 토너 및 각종 부품의 특성이 새것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k1, k2값을 정한다.
표2를 참조하면, 5,000매 시점에서 장당 토너전사량은 0.028421g, 폐토너량은 0.002647g이다. 따라서, 수명에 따른 전사량에 대한 가중치 보정 계수의 값(k1a = 5,000매 시점의 장당 토너전사량/1,000매 시점의 장당 토너전사량)은 1.32이고, 폐토너량에 대한 가중치 보정 계수의 값(k2a = 5,000매 시점의 장당 폐토너량/1,000매 시점의 장당 폐토너량)은 1.07이다.
표3을 참조하면, 10,000매 시점에서 장당 토너전사량은 0.030211g, 폐토너량은 0.002857g이다. 따라서, 수명에 따른 장당 토너전사량에 대한 가중치 보정 계수의 값(k1b = 10,000매 시점의 장당 전사량/1,000매 시점의 장당 전사량)은 1.41이고, 폐토너량에 대한 가중치 보정 계수의 값(k2b = 10,000매 시점의 장당 폐토너량/1,000매 시점의 장당 폐토너량)은 1.15이다.
이렇게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토너전사량 및 폐토너량은 상대적인 비율로 가중치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190)에 저장된 정 보를 바탕으로 토너 전사량을 구하는 식 (3)에서,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 2,500매 까지는 정해진 값 k1=1, k2=1을 적용하고, 2,500매 ~ 7,500매 까지는 k1a=1.32,k2b=1.07을 적용하고, 7,500매 ~ 15,000매 까지는 k1b=1.41, k2b=1.15를 적용하여 Job당 토너 소모량을 산출하여 토너 잔량의 예측에 정확성을 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을 단순히 3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나 그 실시방법 및 특성에 따라 더욱 자세하게 여러단계로 구분이 가능하며, 이런 변수는 많을수록 더욱 정확한 토너 잔량의 예측이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토너 카트리지 수명에 따른 전사효율을 고려한 보정 계수 k1, k2을 적용하여 토너 잔량인 인쇄가능매수(Pr)를 실제값에 가깝도록 예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가 양면인쇄를 하는 경우에도,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른 토너전사량 및 폐토너량은 달라지게 된다.
다음의 표는 단면인쇄모드일 때의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한 재질의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양면인쇄모드일 때 수명에 따른 토너전사량 및 폐토너량을 실험에 의해 구한 데이터를 제시한 것이다.
1,000매 시점 장당 토너전사량 장당 폐토너량
양면 인쇄시 0.024471 0.002757
단면 인쇄시 0.021497 0.002482
k3a 1.138361 1.111069
5,000매 시점 장당 토너전사량 장당 폐토너량
양면 인쇄시 0.034156 0.003156
단면 인쇄시 0.028421 0.002647
k3b 1.201801 1.19241
10,000매 시점 장당 토너전사량 장당 폐토너량
양면 인쇄시 0.038459 0.003912
단면 인쇄시 0.030211 0.002857
k3c 1.273041 1.369241
표4를 참조하면, 1,000매 시점에서 양면인쇄시 장당 토너전사량은 0.024471g이고, 장당 폐토너량은 0.002757g이다. 따라서, 양면인쇄모드일때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른 전사량에 대한 가중치 보정 계수의 값(k3a = 양면인쇄시 전사량/단면인쇄시 전사량)는 1.13이고, 폐토너량에 대한 가중치 보정 계수의 값은 1.11임을 알 수 있다.
표5를 참조하면, 5,000매 시점에서 양면인쇄시 장당 토너전사량은 0.034156g이고, 장당 폐토너량은 0.003156g이다. 따라서, 양면인쇄모드일때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른 전사량에 대한 가중치 보정 계수의 값(k3b = 양면인쇄시 전사량/단면인쇄시 전사량)는 1.20이고, 폐토너량에 대한 가중치 보정 계수의 값은 1.19임을 알 수 있다.
표6을 참조하면, 수명종료 근처인 10,000매 시점에서 양면인쇄시 장당 토너전사량은 0.038459g이고, 장당 폐토너량은 0.003912g이다. 따라서, 양면인쇄모드일때 수명에 따른 전사량에 대한 가중치 보정 계수의 값(k3c = 양면인쇄시 전사량/단면인쇄시 전사량)는 1.27이고, 폐토너량에 대한 가중치 보정 계수의 값은 1.36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양면인쇄모드일 때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른 전사량에 대한 가중치 보정 계수의 값(k3)은 상대적인 비율 1.13, 1.20, 1.27 로 가중치를 가지면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양면인쇄 수행시 식 (3) 및 식 (4)에 양면인쇄일때의 가중치 보정 계수 k3를 적용하면 실제 토너 잔량을 예측하는데 있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k4는 해상도(dpi : dot per inch)에 따른 보정 계수로서 다음 표 7과 같이 설정된다.
해상도(dpi) 600dpi 1200dpi
보정계수(k4) 1 1.5
제어부(180)가 계수 메모리(182)에 저장된 복수의 해상도 보정 계수(k4)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조작패널(160)에서 해상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조작패널(160)뿐만 아니라, 미도시된 컴퓨터에서도 농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k5는 농도에 따른 보정 계수로서, 용지에 인쇄되는 화상의 농도 즉, 연한상태(light), 보통상태(medium), 진한상태(dark)에 따라 다음 표 8과 같이 설정된다.
출력농도 medium light dark
보정계수(k5) 1 0.8 1.2
제어부(180)가 계수 메모리(182)에 저장된 복수의 농도 보정 계수(k5)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조작패널(160)에서 농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컴퓨터에서도 농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k6는 토너절약모드에 따른 보정 계수로서, 토너절약모드의 선택 여부에 따라 다음 표 9와 같이 설정된다.
토너절약선택 off on
보정계수(k6) 1 0.7
제어부(180)가 계수 메모리(182)에 저장된 복수의 토너절약모드 보정 계수(k6)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토너절약모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컴퓨터에서도 토너절약모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k7은 인쇄되는 화상의 개별 도트 강화 보정계수로서 다음 표 10과 같이 설정된다.
화질강화 normal text image
보정계수(k7) 1 0.7 1.1
제어부(180)가 계수 메모리(182)에 저장된 복수의 도트 강화 보정계수(k6)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트 강화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컴퓨터에서도 토너절약모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e는 주위 환경조건에 따른 보정 계수로서, 온도 및 습도에 따라 결정되는 환경 상태 즉, 저온저습, 상온상습, 고온고습 상태에 따라 다음 표 11과 같이 설정된다.
주위 환경조건 저온저습 상온 상습 고온 고습
토너 전사량(e1) 0.9 1 1.2
폐토너량(e2) 1.2 1 1.5
여기서, 저온 저습은 대략 10℃, 10%, 상온 상습은 23℃, 55%, 고온 다습은 30℃, 80%를 기준으로 하였다. 제어부(180)가 계수 메모리(182)에 저장된 복수의 환경 보정 계수(e)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0)는 주위 온도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모드별 보정 계수는 2~3단계로 구분되어 설정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더 세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 수명이 5,000정도 시점에(k1=1.32, k2=1.07), 양면인쇄(토너 전사량은 k3=1.20,폐토너량은 k3=1.19), 해상도가 1,200dpi(k1=1.5), 농도는 보통상태(k5=1), 토너절약모드 선택상태(k=0.7), 화질강화는 normal(k7=1), 환경은 상온, 상습(e1=e2=1)일 경우 식 (3)에 의해,
토너 전사량 = Σ(x·1.32·1.20·1.5·1·0.7·1·1·Ndot·dot당 토너전사량)
= Σ(x·1.66·Ndot·dot당 토너전사량)
이고, 식 (4)에 의해,
폐토너 발생량 = 1.07·1.19·1·감광체회전시간·시간당 BG량
= 1.27·감광체회전시간·시간당 BG량
이 된다. 따라서, 토너 전사량에 대한 가중치는 1.66이고, 폐토너 발생량에 대한 가중치는 1.27이 되므로, 이를 적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잔량 측정방법에 대한 설명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인쇄작업을 시작하기 전, 인쇄작업시 제어부(180)가 계수 메모리(182)에 저장된 각 조건에 맞는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조작패널(160)에서 모드별 보정 계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는 조작패널(160) 뿐만 아니라 외부 컴퓨터(미도시)에서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S10). 한편, 제어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설치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주위 환경을 인식하여, 계수 메모리(182)에 저장된 각 환경 조건에 맞는 보정 계수(e)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11)
사용자의 조작패널(160) 입력, 또는 외부 컴퓨터(미도시)의 명령에 따라, 제어부(180)가 인쇄엔진(130)에 프린트 또는 복사 명령을 인가하면 인쇄 동작을 시작한다(S12).
제어부(180)의 카운팅부(184)는 인쇄데이터의 한 페이지에 대해 도트수를 카운팅하여 저장한다(S13). 또한, 카운팅부(184)에서 페이지에 대해서도 카운팅을 수행한다(S14).
제어부(180)의 연산부(186)는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 농도, 화상등의 조건에 따라 계수 메모리(182)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보정 계수(k, e)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보정 계수와 상기 카운트된 도트수를 이용하여 장당 토너 전사량을 산출하고 이를 저장한다(S15).
인쇄할 마지막 페이지인가를 판단하여(S16), 아니면 상기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마지막 페이지이면 제어부(180)의 연산부(186)는 상기 장당 토너 전사량을 누적 합산하여, 식 (3)의 토너 전사량 및 식 (4)의 폐토너 발생량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식 (2)와 같이 Job당 인쇄매수(Pj)를 산출한다(S17).
그 후, 제어부(180)의 연산부(186)는 상기 산출된 Job당 인쇄매수(Pj)와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190)에 저장되어 있는 잔여 인쇄가능매수(Pr-m)을 읽어들여 식 (1)과 같이 인쇄가능매수(Pr)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인쇄가능매수(Pr)를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S)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S18).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토너 잔량인 상기 인쇄가능매수(Pr)를 바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인쇄가능매수(Pr)가 일정 기준치 이하이면 토너 로우(toner low)나 토너 엠프티(toner empty) 신호를 띄우게 되어 사용자에게 소모품의 품질이 저하되니 교체를 유도하도록 알려주도록 한다(S19).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컴퓨터 드라이브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한페이지를 인쇄하여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종료를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Job당 인쇄매수(Pj) 산출시 페이지당 토너 전사량을 산출하여 이를 누적 합산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페이지당 도트수를 카운트한 것을 저장하고 누적하며, 이 누적된 도트수에 각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Job당 인쇄매수(Pj)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보정 계수를 적용하여 토너 잔량을 실제값에 가깝도록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면모드와 양면모드일 때에도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토너 잔량을 실제값에 가깝도록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화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정확한 토너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도, 화상 농도, 온도 및 습도와 같은 환경 요인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에 따라 변경되는 값을 적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므로 토너 잔량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Claims (20)

  1. 토너 카트리지에 수용된 토너 잔량을 측정하기 위한 토너 잔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보정 계수와, 카운트된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를 사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토너 잔량이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는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는 각각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토너전사량 보정 계수(k1) 및 복수의 폐토너량 보정 계수(k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는 단면인쇄 또는 양면인쇄를 구분하여 적용되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복수의 급지방식 보정 계수(k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의 보정 계수가 저장되는 계수 메모리;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 및 페이지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상기 계수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보정 계수와, 상기 카운팅부에 의해 카운트된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를 사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토너 잔량을 상기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메모리는 인쇄 데이터의 해상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해상도 보정 계수(k4)를 더 저장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해상도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해상도 보정 계수를 더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메모리는, 인쇄 데이터의 농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농도 보정 계수(k5)를 더 저장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농도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농도 보정 계수를 더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메모리는, 토너절약모드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토너절약모드 보정 계수(k6)를 더 저장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토너절약모드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토너절약모드 보정계수를 더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메모리는, 온도 및 습도 중의 최소한 어느 하나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환경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환경 보정 계수(e)를 더 저장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온도 및 습도 중의 최소한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환경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환경 보정 계수를 더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토너 잔량을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장치.
  11.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
    상기 토너 카트리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고유 정보 및 토너 잔량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저장되는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각각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값을 갖는 토너 전사량 보정 계수(k1)와, 폐토너량 보정 계수(k2)와, 급지방식 보정계수(k3)와, 카 운트된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를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며, 산출된 상기 토너 잔량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토너잔량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토너 잔량을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 미리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해상도 보정 계수(k4), 인쇄데이터의 설정 농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농도 보정 계수(k5), 토너절약모드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토너절약모드(k6), 온도 및 습도 중의 최소한 어느 하나의 환경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환경 보정 계수(e) 중 최소한 어느 하나를 더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복수의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기 위한 조작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카운팅부를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의 도트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연산부를 이용하여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에 따라 가중치를 갖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보정 계수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보정 계수와 상기 카운트된 도트수를 사용하여 토너 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토너 잔량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 선택은,
    복수의 토너전사량 보정 계수(k1)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복수의 폐토너량 보정 계수(k2)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단면인쇄 또는 양면인쇄를 구분하여 적용되는 복수의 급지방식에 대한 보정 계수(k3)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 선택은,
    미리 설정된 인쇄 데이터의 해상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해상도 보정 계수(k4)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 선택은,
    미리 설정된 인쇄 데이터의 농도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농도 보정 계수(k5)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 선택은,
    미리 설정된 토너절약모드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토너절약모드(k6)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 선택은,
    온도 및 습도 중의 최소한 어느 하나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환경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복수의 환경 보정 계수(e)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방법.
  20.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토너 잔량을 외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잔량 측정방법.
KR1020040090281A 2004-11-08 2004-11-08 토너 잔량 측정장치,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잔량 측정방법 KR10062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281A KR100628568B1 (ko) 2004-11-08 2004-11-08 토너 잔량 측정장치,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잔량 측정방법
US11/267,213 US7499657B2 (en) 2004-11-08 2005-11-07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quantity of residual tone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281A KR100628568B1 (ko) 2004-11-08 2004-11-08 토너 잔량 측정장치,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잔량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985A KR20060040985A (ko) 2006-05-11
KR100628568B1 true KR100628568B1 (ko) 2006-09-26

Family

ID=3631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281A KR100628568B1 (ko) 2004-11-08 2004-11-08 토너 잔량 측정장치,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잔량 측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99657B2 (ko)
KR (1) KR100628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2333A1 (en) * 2007-05-21 2008-11-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7747180B2 (en) * 2007-05-30 2010-06-29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printed pages remaining in a toner cartridge
US8655201B2 (en) * 2010-06-14 2014-02-1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5194645A (ja) * 2014-03-31 2015-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215589A (ja) * 2014-04-21 2015-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残量推定方法
JP6544997B2 (ja) * 2015-05-28 2019-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画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93203B2 (ja) * 2016-03-22 2020-05-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ライフ残量検知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用プログラム
JP2017220160A (ja) * 2016-06-10 2017-12-1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使用量予測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8185353A (ja) * 2017-04-24 2018-11-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消耗品寿命推測装置、寿命推測処理決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717440B2 (ja) * 2017-11-30 2020-07-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20117217A1 (en) 2018-12-04 2020-06-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device functionalities
WO2020117218A1 (en) 2018-12-04 2020-06-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device functionalities
JP7310382B2 (ja) * 2019-07-10 2023-07-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9556A (en) * 1994-01-12 1995-10-17 Xerox Corporation Toner consumption rate gauge for printers and copiers
JPH09258620A (ja) * 1996-03-19 1997-10-03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232612B1 (ko) 1997-09-10 1999-12-01 구자홍 프린터용 드럼의 잔여수명 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4077965B2 (ja) * 1998-11-27 2008-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188863B1 (en) * 1999-07-23 2001-02-13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transfer assist apparatus
JP2001134062A (ja) * 1999-11-10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378169B1 (ko) 2001-08-11 200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Trc 제어방법
US6606462B2 (en) * 2002-01-11 2003-08-12 Xerox Corporation Reliability model based copy count correction with self modification during system recovery for predictive diagnostics
US20030215248A1 (en) * 2002-05-17 2003-11-20 Xerox Corporation Machine post-launch process optimization through customer replaceable unit memory programming
JP2004109998A (ja) 2002-08-30 2004-04-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容器に搭載されるメモリユニット、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206525B2 (en) * 2003-12-26 2007-04-17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 toner counter and a calculation method of toner consum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985A (ko) 2006-05-11
US7499657B2 (en) 2009-03-03
US20060098995A1 (en)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9657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quantity of residual tone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a device
US83318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veloper remainder amount detection feature
US7499655B2 (en)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colorization counter and ordinary counter
US658429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alculating a printable number of sheets and a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the apparatus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data representing a present amount of developer
US2004004280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eveloper remainder displaying method and system
JP4077965B2 (ja) 画像形成装置
JP5366477B2 (ja) 画像形成装置
EP1930783A2 (en) Toner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319826B2 (en) Method of optimizing amount of toner of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200723310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残量検出方法
US2006015847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724464B2 (ja) 画像形成装置
US5771420A (en) Life detecting system for detecting the useful life of a process unit
US79123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level calculating method of the same
US20060099002A1 (en) Fix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fixing unit
JP6019980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US642705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dicating the residue of toner and the deficiency of toner
JP4630605B2 (ja) 画像形成装置
JP4570722B2 (ja) 画像記録装置
KR20060040986A (ko) 화상형성장치
JP2007052297A (ja) 画像形成装置
JP4617131B2 (ja) 画像形成装置
JP4298103B2 (ja) 画像形成装置
JPH09301551A (ja) 画像形成装置
JP3962516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