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435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435A
KR20080103435A KR1020080047580A KR20080047580A KR20080103435A KR 20080103435 A KR20080103435 A KR 20080103435A KR 1020080047580 A KR1020080047580 A KR 1020080047580A KR 20080047580 A KR20080047580 A KR 20080047580A KR 20080103435 A KR20080103435 A KR 20080103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bstrates
display
display are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9373B1 (ko
Inventor
노부꼬 후꾸오까
마사노리 이마까와
아리히로 다께다
히로까즈 모리모또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10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6Spacers having different siz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3415Drop filling proc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구조 오브젝트는 스페이서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주변 영역에 배치된다. 이런 식으로, 주변 영역에서의 카운터 기판의 기판 표면이 액정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만히 경사진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과 주변 영역 간의 셀 갭에서의 차이로 인한 표시의 불균일성을 방지할 수 있다.
기판, 액정층, 표시 영역, 주변 영역, 접착제, 스페이서, 구조 오브젝트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출원은 2007년 5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136812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 인용된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ODF법(one drop fill method)에 따라 기판들을 서로 고정(stick)함으로써 형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이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유리 기판들 사이에 삽입되고, 접착제를 이용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균일한 셀 갭(액정층의 두께)을 달성하기 위해, 기판들 사이에는 고른 결정 사이즈를 갖는 플라스틱 구슬이 분산되어 있다. 최근에는, 기판상에 돌출부(스페이서)를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셀 갭을 유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높은 정확도를 갖는 높이로 선택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 스페이서를 상이한 적층 구조를 갖는 기판의 중앙부와 주변부에 배치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기판들 사이의 불균일성을 제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388463호 참조).
한편, 기판들을 서로 고정하는 방법은 진공 주입법 및 ODF법을 포함한다. 진공 주입법에 따르면, 기판들 중 하나에 접착제를 배치하고, 그 가운데에 액정 인렛(inlet)을 형성한다. 2개의 기판들이 서로 어셈블링된 후, 액정 인렛으로부터 기판들 사이의 공기를 비우면서 접착제를 압착하여 부하가 기판 표면상에 작용하게 하거나, 진공 상태가 설정되게 함으로써 셀 갭이 형성된다.
반면에, ODF법에 따르면, 기판들 중 하나에 배치된 접착제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 소정량의 액정이 드롭되고, 2개의 기판들은 진공 상태로 서로 어셈블링된다. 그 후, 2개의 기판들과 접착제의 내벽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접착제가 압착되도록 대기압이 복구된다. 그 결과, 기판들 사이에 소정의 셀 갭이 형성된다.
최근에는, 택트 타임을 줄이고, 물질들의 이용 효율을 개선하며, 셀 갭에서 더 높은 정확도를 이루는 등의 그 능력으로 인해 ODF법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예를 들어, 미심사청구된 일본 공개 특허 출원 Hei 5-232481 참조).
하지만,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전극 배선, 컬러 필터들의 컬러링 층 등이 밀집 형성된 표시 영역과, 그 표시 영역의 주변(주변 영역) 간의 불규칙성의 정도가 상당히 다르다. 이로 인해, 기판상에 형성된 스페이서들이 균일한 높이를 가지면, 표시 영역에서의 스페이서들은 대향 기판에 접촉하지만, 주변 영역에서의 스페이서들은 대향 기판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페이서들이 기능하는 부분과 스페이서들이 기능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한다.
기판들이 이런 상태로 서로 어셈블링되면, 주변 영역에서의 셀 갭은 표시 영역에서의 셀 갭보다 얇아진다. 더욱이, 주변 영역에 가까이 위치한 표시 영역 부분에서는, 기판들 중 하나가 변형되고, 셀 갭이 부분적으로 얇아진다. 그 결과, 주변 영역에 가까이 위치한 표시 영역 부분에서의 셀 갭은 표시 영역의 중앙부에서의 셀 갭과 달라지고, 이러한 차이는 표시의 비균일성으로 인식된다. 특히, ODF법에서는, 기판이 서로 어셈블링될 때 기판 표면에 압력이 고르게 인가된다. 따라서, 접착제를 압착하는 방식이 균일하지 않게 되기가 쉽기 때문에 스페이서들이 기판들 사이의 공간을 균일하게 지지하지 않을 때 이러한 문제는 보다 분명해진다.
또한, 셀 갭은 액정의 주입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인렛으로부터 액정을 주입하도록 구성된 진공 주입법에서는, 액정이 액정 셀 내에 부피를 초과해 거의 주입되지 않는다. 액정이 과도하게 주입되더라도,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과도 부분을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주입법은 비정상적인 셀 갭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에 반해, ODF법에서는, 접착제에 의해 둘러싸인 폐쇄 영역상에 인렛없이 액정이 드롭되고, 그 후에 기판들이 서로 어셈블링된다. 따라서, 드롭된 액정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셀 갭이 커진다. 한편, 드롭된 액정량이 부적당한 경우에는, 액정의 부족으로 인해 셀 갭이 작아지고,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ODF법은 액정 셀의 주입량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균일하지 않은 셀 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의 주입량의 불균일성을 극복하면서 표시 영역과 주변 영역 간의 셀 갭에서의 차이로 인한 표시의 불균일성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기판들을 포함한다. 액정층은 2개의 기판들 사이의 틈(clearance)에 삽입된다. 2개의 기판들의 표면상에는 표시 영역이 제공된다. 표시 영역의 주위에는 주변 영역이 제공된다. 주변 영역에서는, 기판들 사이의 틈이 바깥쪽으로 점차 넓어진다. 액정을 주입할 때에는 ODF법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들 사이의 틈이 주변 영역에서 바깥쪽으로 점차 넓어진다. 이런 식으로, 표시 영역으로부터 주변 영역으로 셀 갭이 완만히 변한다. 따라서, 표시 영역과 주변 영역 간의 셀 갭에서의 차이로 인한 표시의 불균일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정의 주입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틈이 넓어진 주변 영역의 존에 과도 액정이 채워진다. 그 결과, 액정의 주입량의 불균일성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표시 영역(300)이 어레이 기판(100)상에 제공된다. 주변 영역(400)은 표시 영역(300) 주위에 제공된다. 주변 영역(400)에서는, 접착제(120)가 고르게 배치되어 표시 영역(300)을 둘러싼다. 액정을 주입할 때에는, ODF법에 따라 접착제(12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소정량의 액정이 드롭된다. 그 후, 어레이 기판(100)과 다른 대향 기판이 서로 어셈블링된다.
어레이 기판(100)상에는, m개의 스캔 라인(Y1-Ym)(이하에서는, 총괄하여 스캔 라인 Y로 지칭함)과, n개의 신호 라인(X1-Xn)(이하에서는, 총괄하여 신호 라인 X로 지칭함)이 서로 직교하게 배열된다. 픽셀 TFT(박막 트랜지스터)(140), 투명 픽셀 전극(131), 보조 커패시터(150)가 각 교차부 상에 배치된다. 반도체층으로서 비결정 실리콘(a-Si)을 적용한 TFT가 픽셀 TFT(140)에 이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픽셀 TFT(140)의 드레인 단자가 신호 라인(X)에 접속되고, 픽셀 TFT(140)의 소스 단자가 보조 커패시터(150)와 픽셀 전극(131)에 병렬 접속되며, 픽셀 TFT(140)의 게이트 단자가 스캔 라인(Y)에 접속된다. 카운터 전극(173)은 픽셀 전극(131) 모두에 대향 배치되고, 액정층(500)이 그 사이에 삽입된다.
스캔 라인 구동 회로(121), 신호 라인 구동 회로(122) 및 카운터 전극 구동 회로(123)가 주변 영역(400)에 배치된다. 스캔 라인 구동 회로(121)는 스캔 라 인(Y)에 접속되어 제각각의 스캔 라인을 순차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신호 라인 구동 회로(122)는 신호 라인(X)에 접속되어 제각각의 신호 라인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카운터 전극 구동 회로(123)는 보조 커패시터(150)와 카운터 전극(173)에 접속되어 소정의 전위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스페이서(600)가 표시 영역(300)과 주변 영역(400)에 배치된다. 스페이서(600)는 균일한 높이를 갖는 원주형 돌출부로 어레이 기판(100)상에 형성된다. 표시 영역(300)에서는, 각각의 스페이서(600)가 신호 라인(X)과 스캔 라인(Y)의 각 교차부 부근에 형성된다. 주변 영역(400)에서는, 각각의 스페이서(600)가 신호 라인(X)과 접착제(120)의 교차부 부근, 또는 스캔 라인(Y)과 접착제(120)의 교차부 부근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어레이 기판(100)에 대향하는 카운터 기판(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300)에서는, 차광층(210)이 신호 라인(X)에 대응되게 선형적으로 형성된다. 컬러 필터(211)는 차광층들(210) 사이에 형성된다. 컬러 필터들은 적(R), 녹(G) 및 청(B) 순으로 반복 형성된다. 한편, 차광층(220)은 주변 영역(400)에 대응되게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된다. 카운터 기판(200)상의 주변 영역(400)에서는, 어레이 기판(100)상의 스페이서(60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조 오브젝트(230)가 형성된다.
도 3은 도 2의 A-A' 섹션에 대응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대향 배치된 어레이 기판(100)과 카운터 기판(200), 및 2개의 기판들 사이의 틈에 삽입된 액정층(500)을 포함한다. 주변 영 역(400)에서는, 카운터 기판(200)의 기판 표면이 액정층(5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만히 경사진다. 이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어레이 기판(100)에서는, 절연층(102)이 유리 기판(101)상에 형성된다. 편광판(103)은 액정층(500)에 대향하는 유리 기판(101)의 표면상에 배치된다. 균일한 높이를 갖는 원주형 스페이서(600)는 표시 영역(300)과 주변 영역(400) 모두에서 절연층(102)상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픽셀 TFT에 접속될 보조 커패시터 라인, 투명 전극 등이 절연층(102)상에 형성된다. 한편, 표시 영역(300)상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도시되지 않음)는 어레이 기판(100)의 편광판(103)에 가까이 배치된다.
카운터 기판(200)에서는, 신호 라인(X)에 대응되게 유리 기판(201)상의 표시 영역(300)에 차광층(210)이 형성된다. 컬러 필터(211)는 차광층들(210) 사이에 형성된다. 컬러 필터(211)는 패터닝 정확도로 인한 광 누출 또는 색상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차광층(210)과 부분적으로 겹친다. 차광층(220)은 유리 기판(201)상의 주변 영역(400)에 형성된다. 편광판(203)은 액정층(500)에 대향하는 유리 기판(201)의 표면상에 배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차광층(210 및 220)과 컬러 필터(211)를 피복하기 위해 보호층과 카운터 전극이 적층된다.
구조 오브젝트(230)는 어레이 기판(100)상의 스페이서(600)에 대향되게 주변 영역(400)의 차광층(220)상에 형성된다. 컬러 필터(211)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가 구조 오브젝트(230)에 이용된다.
표시 영역(300)에서는, 스페이서(600)가 양쪽 기판들을 지지한다. 한편, 주 변 영역(400)에서는, 스페이서(600)와 구조 오브젝트(230)가 양쪽 기판들을 지지한다. 그 결과, 유리 기판(201)의 기판 표면은 액정층(5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만히 경사진다. 다시 말해, 주변 영역(400)에서는, 유리 기판(201)의 표면이 유리 기판층(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만히 경사져 있다. 즉, 주변 영역(400)에서는, 유리 기판(201)과 유리 기판(101) 사이의 틈이 바깥쪽으로 점차 증가한다. 예컨대, 주변 영역(400)에서는, 유리 기판(201)이 10°각도로 표시 영역에 대해 경사진다. 이런 식으로, 셀 갭은 표시 영역(300)으로부터 주변 영역(400)으로 완만히 증가한다. 따라서, 셀 갭은 주변 영역(400)에 가까이 위치한 표시 영역(300) 부분에서 급격히 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표시의 불균일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영역(400)에서는, 유리 기판(201)과 유리 기판(101) 사이의 틈이 바깥쪽으로 넓어져, 이러한 기판들 사이에 새로운 영역(이하에서는, 액정 과도 영역(700)으로 지칭함)을 발생시킨다.
ODF법에서는, 접착제(120)가 기판의 주변 영역(400)에 코팅된다. 표시 영역(300)에 액정을 드롭한 후, 2개의 기판들이 진공 상태로 서로 어셈블링된다. 그 후, 대기압을 복구함으로써 기판들이 서로 접착 및 밀봉된다. 이런 이유로, 대기압에 의해 2개의 기판들에 압력이 고르게 가해지고, 이 기판들 사이에 위치한 스페이서들(600)이 수축된다. 따라서, 과도한 액정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과도 액정이 액정 과도 영역(700)에 채워지기 때문에, 셀 갭에서의 변화를 억제하고, 표시 영역(300)에서 균일한 셀 갭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의 불균일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정 주입량의 불균일성도 극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영역(400)에서 액정층(5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만히 경사지게 카운터 기판(200)의 기판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영역(300)으로부터 주변 영역(400)으로 완만히 셀 갭을 변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주변 영역(400)에 가까이 위치한 표시 영역(300) 부분에서의 셀 갭의 급격한 변화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300)과 주변 영역(400) 간의 셀 갭에서의 차이로 인한 표시의 불균일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정의 주입량이 과도할 때, 과도 액정이 액정 과도 영역(700)에 채워진다. 따라서, 셀 갭에서의 변화를 억제하고, 액정 주입량의 불균일성을 극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유사하다.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카운터 기판(200)의 기판 표면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들을 서로 고정하기 전에는 경사져 있지 않다는 점이다. 컬러 필터(211), 차광층(210), 투명 전극 등은 카운터 기판(200)상의 표시 영역(300)에 밀집 형성된다. 따라서, 불규칙성의 정도는 주변 영역(400)에 비해 상당히 다르다. 표시 영역(300)에서는, 스페이서(600)가 카운터 기판(200)과 접촉하게 되지만, 주변 영역(400)에서는, 스페이서(600)가 카운터 기판(200)과 접촉하게 되지 않는다. 기판을 지지하는 부분과, 기판을 지지하지 않는 부분은 카운터 기판(200)상의 적층된 구조에 기인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들을 서로 고정한 후에는, 주변 회로(400)에 서의 셀 갭이 표시 영역(300)에서의 셀 갭보다 얇아진다. 또한, 주변 영역(400)에 가까이 위치한 표시 영역(300) 부분에서는, 셀 갭이 부분적으로 두꺼워지도록 기판들 중 하나가 반동을 일으킨다. 그 결과, 주변 영역(400)에 가까이 위치한 표시 영역(300) 부분에서의 셀 갭은 표시 영역(300)의 중앙부에서의 셀 갭과 다르게 된다. 이러한 차이가 표시의 불균일성으로 인식된다. 특히, ODF법에서는, 접착제를 압착하는 방식이 균일하지 않게 되기가 쉽기 때문에 스페이서들이 기판들 사이의 공간을 균일하게 지지하지 않을 때 이러한 문제가 보다 분명해지도록, 기판들을 서로 고정할 때 기판 표면에 압력이 고르게 가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주변 영역(400)에서 스페이서(600)와 구조 오브젝트(230)의 이용에 의해 기판들을 지지함으로써 기판들 사이의 틈이 바깥쪽으로 완만히 증가한다. 이런 식으로, 주변 영역(400)에 가까이 위치한 표시 영역(300) 부분에서의 셀 갭은 ODF법에 따라 기판들이 서로 고정될 때에도 급격히 변하지 않는다.
도 7의 표는 제1 실시예(표에서 "예 1"로 표시됨)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예(표에서 "비교예"로 표시됨)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각각의 표시 영역에서 측정된 셀 갭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의 수평축상의 숫자들은 표시 영역의 중앙부로부터 단부에 이르는 위치들의 표준값을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값 0은 중앙부에서의 좌표에 대응하고, 값 110은 단부에서의 좌표에 대응한다. 2 세션의 측정치 결과들이 이 표에 나타나 있다.
도 7에 도시된 "비교예"에서는, 표시 영역(300)의 단부에서의 셀 갭이 크게 반동된다. 이러한 양상은 주변 영역(400)에서의 스페이서(600)가 카운터 기 판(200)을 지지하는데 실패하고, 대신에 압착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반해, 도 7에 도시된 "예 1"에서는, 셀 갭이 대체로 균일한 모습을 띤다. 이와 같이, 기판들을 서로 고정할 때 주변 영역에 가까이 위치한 표시 영역 부분에서 셀 갭이 급격히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 명확하다. 또한, "예 1"의 표시 영역에서는 표시의 불균일성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구나,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ODF법 중에 액정의 주입량이 과도할 때에는 셀 갭이 증가하고, 액정이 부족할 때에는 셀 갭이 작아지고, 기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예는 액정의 주입량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셀 갭이 균일하지 않게 될 위험성이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의 주입량이 과도한 경우에도, 과도 액정이 주변 영역(400)에서 액정 과도 영역(700)에 채워진다. 따라서, 액정의 주입량의 불균일성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에서의 기판 표면에 대한 국부적인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저온 기포의 발생 또는 손가락으로 표시 영역의 표면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등과 같은 압축 변형에 대한 저향력이 개선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스페이서(600)보다 높은 구조 오브젝트(110)가 주변 영역(400)에 배치된다는 점이다. 구조 오브젝 트(110)는 어레이 기판(100)상에 배치된다. 이 구조 오브젝트(110)는 스페이서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양쪽 기판들이 표시 영역(300)에서는 스페이서(600)에 의해 지지되고, 주변 영역(400)에서는 구조 오브젝트(11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런 식으로, 제2 실시예에서는, 주변 영역(400)에서의 카운터 기판(200)의 기판 표면이 액정층(5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만히 경사진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600)보다 높은 구조 오브젝트(110)를 배치함으로써 주변 영역(400)에서의 카운터 기판(200)의 기판 표면이 액정층(5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만히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600)보다 높은 구조 오브젝트(110)가 어레이 기판상에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구조 오브젝트(110)를 카운터 기판(200)상에 배치하여 카운터 기판(200)을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서의 구조 오브젝트(110)는 스페이서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접착제에 경화제를 첨가한 강화 접착제를 이용해 기판들을 지지할 수도 있다.
통상, 주변 영역은 표시 기능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주변 영역을 정보 장치의 케이싱에 위치시켜 액정 장치를 매립함으로써 제품 외관 및 다른 디자인 요인에 대한 역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어레이 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액정 표시 장치의 카운터 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A-A' 섹션을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기판들을 서로 고정하기 전의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기판들을 서로 고정한 후의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서의 셀 갭을 나타내는 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어레이 기판 120 : 접착제
121 : 스캔 라인 구동 회로 122 : 신호 라인 구동 회로
123 : 카운터 전극 구동 회로 200 : 카운터 기판
300 : 표시 영역 400 : 주변 영역
600 : 스페이서

Claims (3)

  1. 액정 표시 장치로서,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기판들;
    상기 2개의 기판들 사이의 틈(clearance)에 삽입된 액정층;
    상기 2개의 기판들의 표면상에 제공되는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 주위에 제공되고, 상기 2개의 기판들 사이의 틈이 바깥쪽으로 점차 넓어지는 주변 영역;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틈에 고르게 배치되어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페이서가 상기 2개의 기판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구조 오브젝트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스페이서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2개의 기판들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스페이서가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보다 높은 구조 오브젝트가 상기 주변 영역에 제공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80047580A 2007-05-23 2008-05-22 액정 표시 장치 KR100979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36812A JP5288729B2 (ja) 2007-05-23 2007-05-23 液晶表示装置
JPJP-P-2007-00136812 2007-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435A true KR20080103435A (ko) 2008-11-27
KR100979373B1 KR100979373B1 (ko) 2010-08-31

Family

ID=4007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580A KR100979373B1 (ko) 2007-05-23 2008-05-22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88416B2 (ko)
JP (1) JP5288729B2 (ko)
KR (1) KR100979373B1 (ko)
TW (1) TWI3791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2944B2 (ja) 2009-02-04 2014-03-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322059B2 (ja) * 2009-09-30 2013-10-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4999127B2 (ja) * 2010-06-18 2012-08-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セントラル 液晶表示装置
KR101730995B1 (ko) * 2010-10-22 2017-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5572562B2 (ja) 2011-01-19 2014-08-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844072B2 (ja) * 2011-06-09 2016-01-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520896B2 (ja) 2011-08-08 2014-06-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577308B2 (ja) 2011-08-25 2014-08-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9405153B2 (en) * 2011-08-25 2016-08-02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837370B2 (ja) * 2011-09-06 2015-12-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845035B2 (ja) 2011-09-28 2016-01-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16093031A (zh) * 2020-12-31 2023-05-09 华为技术有限公司 板级结构及通信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504B2 (ja) * 1992-02-20 2001-04-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H0887018A (ja) * 1994-09-20 1996-04-02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08129183A (ja) * 1994-11-01 1996-05-21 A G Technol Kk 液晶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92412A (ja) * 1995-04-20 1996-11-05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TW475087B (en) * 1997-09-12 2002-02-01 Toshiba Corp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011725B2 (ja) * 1998-04-24 2007-11-21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1021902A (ja) * 1999-07-09 2001-01-26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3388463B2 (ja) 1999-10-29 2003-03-24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JP2002357835A (ja) * 2001-03-28 2002-12-13 Toshiba Corp 液晶表示モジュール
JP4047078B2 (ja) * 2002-06-17 2008-02-13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4062038A (ja) * 2002-07-31 2004-02-26 Nec Lcd Technologies Ltd 液晶表示装置
JP4335632B2 (ja) * 2003-09-30 2009-09-3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839437B2 (ja) * 2004-02-09 2006-11-0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および液晶表示素子
TWI315003B (en) * 2004-06-18 2009-09-2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071750A (ja) * 2004-08-31 2006-03-16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4738124B2 (ja) * 2005-09-30 2011-08-03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8058375A (ja) 2006-08-29 2008-03-13 Canon Inc 反射型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反射型液晶表示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03120A (en) 2009-01-16
TWI379134B (en) 2012-12-11
JP5288729B2 (ja) 2013-09-11
KR100979373B1 (ko) 2010-08-31
JP2008292670A (ja) 2008-12-04
US20080291382A1 (en) 2008-11-27
US7688416B2 (en) 201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373B1 (ko) 액정 표시 장치
TWI407188B (zh) 液晶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79202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303341B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US11237435B2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substrate
JP2001117105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926050B2 (ja) 液晶表示装置
WO2010058502A1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62138A (ja) 液晶表示装置
US2006021510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photo spacers
JP2015022120A (ja) 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11640B1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40168581A1 (en) Lcd pane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lcd panel
KR20120100475A (ko) 액정 표시 장치
JPH11183915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JP2005141199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セルとその製造方法
US20070024799A1 (en) Display device
JP2007025066A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3998775B2 (ja) 液晶表示素子装置
US74468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20003792A (ja) 液晶パネル、連成液晶パネル、及び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8083327A (ja) 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2004077703A (ja) 液晶表示装置
JP2004045614A (ja)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2007010706A (ja)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