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144A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144A
KR20080099144A KR1020080041046A KR20080041046A KR20080099144A KR 20080099144 A KR20080099144 A KR 20080099144A KR 1020080041046 A KR1020080041046 A KR 1020080041046A KR 20080041046 A KR20080041046 A KR 20080041046A KR 20080099144 A KR20080099144 A KR 20080099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ntainer
discharge port
imag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314B1 (ko
Inventor
기요시 사코
다쿠지 마츠모토
가즈히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 보급 용기의 유출구에서의 막힘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배출구(31b)를 가지며,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31)와, 회전축(52)과, 상기 회전축(52)에 지지된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반송 부재 본체(53)를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31) 내에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를 상기 배출구(31b)에 반송하여 배출시키는 현상제 반송 부재(51)와, 상기 반송 부재 본체(53)의 상기 배출구(31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구(31b)에 진입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막힘 방지 부재(58)를 구비한 현상제 보급 용기(TCy, TCm, TCc, TCk).
Figure P1020080041046
현상제 반송 부재, 막힘 방지 부재, 상 유지체, 전사기

Description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 방식의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 표면에 형성된 잠상(潛像)을 현상 장치에서 현상하고, 현상된 가시상을 매체에 전사, 정착함으로써 화상 형성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현상 장치에는, 화상 형성에 의해 사용된 현상제가, 현상제 보급 용기, 소위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보급된다.
상기 현상제 보급 용기에 관한 기술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 기재의 기술이 공지이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평7-287448호 공보)에는, 수평 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토너 방출구(43)를 갖는 토너 박스(26)의 내부에, 토너 방출구(4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토너 방출구(43)측에 토너를 반송하는 제 1 교반 부재(55)를 배치하고, 토너 방출구(4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교반 부재(55)와는 별체의 필름 형상의 제 2 교반 부재(56)를 배치하고, 제 2 교반 부재(56)에 의해 토너 방출구(43)로 부터 현상제를 배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는, 상기 제 2 교반 부재(56)의 폭(L2)이, 상기 토너 방출구(43)의 폭(L1)보다도 길어, 토너 방출구(43)에 진입하지 않고, 방해판(65)으로 제 2 교반 부재(56)를 스쳐서 튀기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상기 제 2 교반 부재(56)의 폭(L2)이, 상기 토너 방출구(43)의 폭(L1)보다도 짧고, 또한 제 2 교반 부재(56)의 회전축(53)으부터의 길이(R4)가 토너 박스(26)의 내벽면까지의 반경 방향 치수(R3)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회전시에 제 2 교반 부재(56)의 상면을 토너 방출구(43)의 상단(上端)으로 스치는 구성도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환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경우,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검출하는 경우, 특허문헌 1기재의 기술과 같이 비용이 드는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저비용화하기 위해서, 토너 카트리지 내의 반송 부재의 누적 구동 시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토너의 유동성이 색이나 제조 시기, 환경 등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토너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막히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 1 기재의 기술에서, 저비용화를 위해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 2 교반 부재가 내벽면까지의 거리와 같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구의 막힘을 방지하는 효과는 낮아진다. 이 때문에, 단위 시간당 공급량이 안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어, 종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나 설계의 자유도가 제약되면서도, 공급측을 상방에 배치하고 피공급측을 하방에 배치하여, 중력에 의한 낙하로 반송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7-287448호 공보(단락번호「0028」∼「0039」, 도 7∼도 9)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현상제 보급 용기의 유출구에서의 막힘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현상제 보급 용기는,
배출구를 가지며,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된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반송 부재 본체를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를 상기 배출구에 반송하여 배출시키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구에 진입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막힘 방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현상제 보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 길이(free length)가,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상기 막힘 방지 부재 이외의 부분의 자유 길이와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현상제 보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 길이가, 상기 막힘 방지 부재와 인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부분의 자유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제 보급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막힘 방지 부재는 (i) 반송 부재 본체에 형성된 슬릿(slit)부 및 (ii) 슬릿부의 기단(基端)으로부터 반송 부재 본체의 측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선에 의해 획정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 위치에서의 용기 본체 내벽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R로 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슬릿부의 기단측 단부(端部)까지의 거리를 A로 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단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r로 한 경우에, A≤R<r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현상제 반송 용기에 있어서,
배출구의 회전축 회전 방향 상류단 에지(edge)로부터 배출구의 회전축 회전 방향 하류단 에지까지의 폭을 B로 하고, 상기 슬릿부의 기단측 단부로부터 상기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단측 단부까지의 길이를 B'로 한 경우에, B'≥B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현상 반송 용기에 있어서,
성장 방지부가 상기 슬릿부의 기단에 형성되어 있고,
그 성장 방지부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사용 중에 슬릿부가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潛像)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보급되는 새로운 현상제가 수용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제 보급 용기와,
상기 현상 장치에서 현상된 가시상을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기와,
상기 매체에 전사된 가시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막힘 방지 부재로 현상제 보급 용기의 유출구에서의 막힘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막힘 방지 부재를 임의의 자유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막힘 방지 부재로 현상제를 반송하면서, 배출구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어, 확실히 현상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배출구에서 막힘 방지 부재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배출구에서의 현상제를 분쇄할 수 있어,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막힘 방지 부재로 현상제 보급 용기의 유출구에서의 막힘을 확실히 방지하여, 안정되게 현상제를 공급할 수 있어, 화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예(이하, 실시예로 기재함)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측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여,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내는 방향 또는 나타내는 측을 각각, 전방, 후방, 우방, 좌방, 상방, 하방, 또는, 전측, 후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의 뒤에서 앞으로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안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앞에서 뒤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이해의 용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절히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이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3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U)는,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의 일례로서의 기록 매체(S)가 수용되는 급지(給紙) 용기(TR1)가 하부에 수용되어 있고, 상면에는 용지 배출부(TRh)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U)의 상부에는 조작부(UI)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프린터(U)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 전측에 설치된 개폐 가능한 개폐부의 일례로서의 프론트 커버(U2)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U1)의 측면에 설치된 개폐 가능한 개폐부의 일례로서의 사이드 커버(U3)를 갖는다. 상기 프론트 커버(U2)는 현상제의 보급이나 고장난 부재의 교환이나 용지가 걸린 기록 매체(S)를 제거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내부를 개방할 때에 개방되고, 상기 사이드 커버(U3)는 현상제 보급 용기, 소위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을 행할 때에 개방된다.
도 3에서, 프린터(U)의 사이드 커버(U3)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면, 프린터(U)의 사이드가 개방되어, 현상제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TCy, TCm, TCc, TCk)가 취급 가능하게 된다.
도 2에서, 프린터(U)는 프린터(U)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C)와, 제어부(C)에 의해 작동을 제어하는 화상 처리부(IPS), 상(像) 기입 장치 구동 회로(DL) 및 전원 장치(E) 등을 갖고 있다. 전원 장치(E)는, 후술의 대전기(帶電器)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러(CRy∼CRk), 현상제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현상 롤러 및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러(T1y∼T1k) 등에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화상 처리부(IPS)는 외부의 화상 정보 송신 장치 등으로부터 입력된 인쇄 정보를, K(블랙), Y(옐로우), M(마젠타), C(시안)의 4색의 화상에 대응한 잠상 형성용의 화상 정보로 변환하여,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 기입 장치 구동 회로(DL)에 출력한다. 상 기입 장치 구동 회로(DL)는, 입력된 각 색의 화상 정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잠상 기입 장치(ROS)에 출력한다. 상기 잠상 기입 장치(ROS)는, 구동 신호에 따라, 각 색의 화상 기입용의 화상 기입 광의 일례로서의 레이저빔(Ly, Lm, Lc, Lk)을 출사한다.
도 2에서, 상기 잠상 기입 장치(ROS)의 우방(+Y방향)에는 Y(옐로우), M(마젠타), C(시안), K(블랙) 각 색의 가시상의 일례로서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 UK)가 배치되어 있다.
K(블랙)의 가시상 형성 장치(UK)는 회전하는 상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감광체(Pk)를 갖는다. 상기 감광체(Pk)의 주위에는, 대전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CRk), 감광체 표면의 정전(靜電)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Gk), 감광체(Pk) 표면에 잔류한 현상제를 제거하는 상 유지체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감광체 클리너(CLk)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Pk)는 대전 롤(CRk)과 대향하는 대전 영역(Q1k)에서 대전 롤(CRk)에 의해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 후, 잠상 형성 영역에서 레이저빔(Lk)에 의해 잠상이 기입된다. 기입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Gk)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에서 정전 잠상이 가시상화된다.
실시예 1의 블랙의 가시상 형성 장치(UK)는 감광체(Pk), 대전기(CRk), 감광체 클리너(CLk)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교환 가능한 상 유지체 카트리지와, 현상 장치(Gk)에 의해 구성된 교환 가능한 현상 카트리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른 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도, 블랙의 가시상 형성 장치(UK)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상 유지체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4개의 가시상 형성 장치(UY∼UK)는 착탈 가능한 프레임(Ut), 소위 교환 프레임(Ut)에 지지되어 있고, 4개의 가시상 형성 장치(UY∼UK)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상기 감광체(Py∼Pk)의 전방에는, 개폐부(U2)에 지지된 기록 매체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벨트 모듈(BM)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 모듈(BM)은, 기록 매체 유지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매체 반송 벨트(B)와, 매체 반송 벨트(B)를 지지하는 구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구동 롤(Rd), 종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종동 롤(Rj)을 포함하는 유지 반송 부재 지지계의 일례로서의 벨트 지지 롤(Rd+Rj)과, 각 감광체(Py∼Pk)에 대향해서 배치된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T1y, T1m, T1c, T1k)과, 유지 반송 부재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벨트 클리너(CLb)와, 상기 종동 롤(Rj)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기록 매체(S)를 매체 반송 벨트(B)에 흡착시키는 기록 매체 흡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매체 흡착 롤(Rk)을 갖는다. 상기 매체 반송 벨트(B)는 상기 벨트 지지 롤(Rd+Rj)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상 농도 센서(SN1)는 소정의 시기에, 제어부(C)의 화상 농도 조정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형성되는 농도 검출용의 화상, 소위 패치 화상의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화상 농도 조정 수단은, 상기 화상 농도 검출 부재에서 검출된 화상 농도에 의거하여 대전기(CRy∼CRk)나 현상 장치(Gy∼Gk), 전사 롤(T1y∼T1k)에 인가하는 전압의 조정, 잠상 기입 광(Ly∼Lk)의 강도의 조정을 행함으로써, 화상 농도의 조정이나 보정, 소위, 프로세스 컨트롤을 행한다.
매체 반송 벨트(B)의 하방에 배치된 급지 용기(TR1)의 기록 매체(S)는, 급지 부재(Rp)에 의해 꺼내져, 기록 매체 반송로(SH)에 반송된다.
기록 매체 반송로(SH)의 기록 매체(S)는, 기록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매체 반송 롤(Ra)에 의해 반송되어, 급지 시기 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에 보내진다. 레지스터 롤(Rr)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종동 롤(Rj)과 매체 흡착 롤(Rk)의 대향 영역인 기록 매체 흡착 위치(Q6)에 상기 기록 매체(S)를 반송한다. 상기 기록 매체 흡착 위치(Q6)에 반송된 기록 매체(S)는,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에 정전 흡착된다.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에 흡착된 기록 매체(S)는, 상기 감광체(Py∼Pk)와 접촉하는 상기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상기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서 매체 반송 벨트(B)의 이면측에 배치된 전사 롤(T1y, T1m, T1c, T1k)에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에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다색 화상의 경우, 상기 각 감광체(Py∼Pk) 위의 토너상은 상기 전사 롤(T1y, T1m, T1c, T1k)에 의해 매체 반송 벨트(B) 위의 기록 매체(S)에 겹쳐서 전사된다. 또한, 단색 화상, 소위, 모노크롬 화상의 경우, 감광체(Pk) 위에 K(블랙)의 토너상만이 형성되고, 이 K(블랙)의 토너상만이 전사기(T1k)에 의해 기록 매체(S)에 전사된다.
토너상 전사 후의 감광체(Py∼Pk)는 감광체 클리너(CLy∼CLk)에 의해 표면에 잔류한 토너가 회수되어 청소되고, 다시 대전 롤(CRy∼CRk)에 의해 대전된다.
상기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S)는, 정착기의 일례로서의 정착 장치(F)의 가열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 롤(Fh)과, 가압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롤(Fp)이 압접(壓接)하여 형성되는 정착 영역(Q5)에서 정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S)는, 매체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롤러(Rh)로부터 매체 배출부(TRh)에 배출된다.
기록 매체(S)가 이격된 후의 상기 매체 반송 벨트(B)는 상기 벨트 클리너(CLb)에 의해 청소된다.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
도 4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가 착탈되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도이며, 도 5의 (a)는 경사 후방에서 본 상태의 설명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화살표 V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Y, M, C, K의 각 색마다 설치된 부재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에서 각 부호에 y, m, c, k의 첨자를 부여하여 기재하고,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첨자를 생략한다.
도 4, 도 5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우측 내부에는, 현상제 반송 장치(1)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반송 장치(1)는, 프레임(2)을 가지며, 프레임(2)에는, 아래부터 순서대로 Y, M, C, K의 토너 카트리지(TCy, TCm, TCc, TCk)가 장착되는 4개의 카트리지 장착부(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도 5에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3)에는, 각각, 토너 카트리지(TCy, TCm, TCc, TCk)가 수용 가능한 카트리지 수용 용기(4)(도 5의 (a)에서는 C색과 K색의 것만 도시하고, Y색과 M색의 것은 도시 생략)가, 후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도 4에 나타낸 꺼냄 위치에서 착탈할 수 있고, 프린터(U) 사용시에는, 꺼냄 위치로부터 카트리지 수용 용기(4)를 내측으로 회전시킨 후, 토너 카트리지(TCy∼TCk)만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낸 장착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5에서, 상기 각 카트리지 장착부(3)의 후단부에는, 토너 카트리지(TCy, TCm, TCc, TCk)로부터의 현상제가 유입하는 유입구(6)(도 5의 (a)에는 Y의 유입구만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카트리지 장착부(3)의 유입구(6)의 부분에는, 유입구 폐색(閉塞) 부재의 일례로서의 셔터 부재(7)(도 5의 (a)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셔터 부재(7)는 도 5의 (a)의 Y색의 셔터 부재(7)로 나타내는 유입구(6)가 개방된 개방 위치와, 도 5의 (a)의 M색의 셔터 부재(7)로 나타내는 유입구가 폐쇄된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의 (a), 도 5의 (b)에서, 상기 프레임(2)에는, 상기 유입구(6)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측으로 오목한 본체측 반송로 형성 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의 내측면에는, 각 본체측 반송로 형성 오목부(8)에 대응하여, 반송로 형성 부재(9)(도 5의 (b)에서는 C색과 K색만 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측 반송로 형성 오목부(8)와 상기 반송로 형성 부재(9)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원통 형상의 현상제 반송로(11)가 구성되어 있다. 도 6에서, 상기 현상제 반 송로(11)는 상기 현상 장치(Gy∼Gk)를 향해서 연장되어 있고,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로(11)는 직선 형상이 아니라, 유입구(6)로부터 연장되는 유입측 수평 반송부(11a)와, 유입측 수평 반송부(11a)로부터 상방으로 경사하는 경사 반송부(11b)와, 경사 반송부(11b)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현상 장치(Gy∼Gk)에 연장되는 현상측 수평 반송부(11d)를 갖는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현상기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5의 (b), 도 6에서, 상기 반송로 형성 부재(9)의 전단측에는, 현상측 수평 반송부(11d)를 구성하는 현상 장치 접속부(9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현상 장치 접속부(9a)에는, 유출구 폐색 부재의 일례로서의 유출구 셔터(1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 셔터(12)는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스프링(13)에 의해 상시 전방의 폐쇄 위치에 가압되고 있고, 도 6에 나타낸 현상제 반송로(11)의 유출구(11f)를 폐색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커버(U2)가 개방되어, 현상 장치(Gy∼Gk)가 제거될 때에는, 상기 스프링(13)에 의해 유출구 셔터(12)가 폐색 위치로 이동하고, 현상 장치(Gy∼Gk)가 부착되면, 유출구 셔터(12)가 이동하여, 상기 현상 장치(Gy∼Gk)의 피접속부(16)(도 6 참조)에 현상 장치 접속부(9a)가 끼워져, 유출구(도시 생략)로부터 현상 장치(Gy∼Gk)에 현상제의 보급이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유입구 부분의 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5의 (b), 도 6, 도 7에서, 상기 현상제 반송로(11) 내에는, 만곡한 현상제 반송로(11)를 따라 현상제 반송 부재(1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도 8에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17)는 회전축(17a)과, 상기 회전축(17a)의 외주부에 형성된 나선 형상의 반송 날개(17b)를 갖는다.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부재(17)는, 가요성을 갖는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회전에 의해 현상제 반송로(11)를 따른 형상으로 만곡하면서 현상제의 일례로서의 토너를 반송한다. 도 7에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17)의 상기 유입구(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회전축(17a)보다도 큰 직경인 대경부(17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경부(17d)에는 막힘 방지 부재 장착부(17e)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b)에서, 상기 프레임(2)의 후단부에는, 보급용 구동계의 일례로서의 각 색마다의 보급용 모터(19)가 지지되어 있다. 도 6에서, 상기 보급용 모터(19)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축(19a)에 지지된 구동 기어(20)가,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17)의 후단에 지지된 기어(17g)에 구동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17)를 구동하여 토너를 반송시킨다.
도 7, 도 8에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17)의 상기 막힘 방지 부재 장착부(17e)에는, 막힘 방지 부재(21)의 일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막힘 방지 부재(21)는 가요성을 갖는 박막 형상, 소위, 필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막힘 방지 부재(21)는 현상제 반송 부재(17)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입구(6)에 진입하고,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유입구(6)에 부착된 현상제를 분쇄하여 유입구(6)에서의 막힘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부호 2∼21을 부여한 각 부재에 의해,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1)가 구성되어 있다.
(현상제 보급 용기의 설명)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3, 도 4, 도 9, 도 10에서, 실시예 1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TCy∼TCk)는 일단측에 현상제 보충용의 개구가 형성된 박스 형상의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와,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개구에 대향하는 개구가 형성된 박스 형상의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를 갖는다. 도 10에서,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와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사이는, 칸막이 부재(33)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도 10에서, 상기 칸막이 부재(33)는 판형상 수지제의 칸막이 부재 본체(33a)를 가지며, 칸막이 부재 본체(33a) 양면에는, 판형상의 탄성 재료제의 밀폐 부재(33b, 33c)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 부재(33)에는, 회전축 지지용 관통 구멍(33d)이 형성되어 있고, 폐기 현상제 수용기(32)측의 밀폐 부재(33c)에는, 상기 회전축 관통 구멍(33d)의 단부에 대응하여, 링 형상 밀폐 부재(33e)를 통해서 축단 지지 부재(33f)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밀폐 부재(33b, 33c) 및 링 형상 밀폐 부재(33e)는 고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폐 부재(33b, 33c)는 판형상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칸막이 부재 본체(33a)의 바깥 둘레를 테두리를 붙이듯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2색 성형에 의 해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링 형상 밀폐 부재(33e)를 생략하고, 상기 축단 지지 부재(33f)를 칸막이 부재 본체(33a)에 일체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토너 카트리지(TCy∼TCk) 전측의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내부에는, 상기 칸막이 부재(33)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 의해, 화상 형성 동작시에 감광체 클리너(CLy∼CLk)나 벨트 클리너(CLb)에서 회수된 폐기 현상제를 수용하는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32a)이 구성되어 있다. 도 4, 도 9, 도 10에서,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전측(前側) 우부(右部)에는 핸들 고정부(32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9에서,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전단(前端) 좌상부(左上部)에는,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32a)과 외부를 접속하는 폐기 현상제 유입구(32c)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서,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32a)에는, 폐기 현상제 유입구(32c)의 후방에, 가압 부재 지지부(32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폐기 현상제 유입구(32c)에는, 폐기 현상제 유입구(32c)를 개폐하는 유입구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폐기 현상제 셔터(34)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폐기 현상제 셔터(34)와, 상기 가압 부재 지지부(32d)의 사이에는,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셔터용 스프링(36)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셔터용 스프링(36)에 의해 폐기 현상제 셔터(34)는 도 4, 도 9에 나타낸 폐기 현상제 유입구(32c)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에 가압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감광체 클리너(CLy∼CLk) 등으로부터 연장되는 폐기 현상제 반송로가 셔터용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폐기 현상제 셔터(34)를 내부에 밀어넣어, 폐기 현상제 반송로로부터 폐기 현상제 수용실(32a) 에 폐기 현상제가 유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4, 도 9, 도 10에서,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전면에는, 폐기 현상제 유입구(32c)의 외주를 둘러싸는 유입구 누출 방지 부재(37)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유입구 누출 방지 부재(37)는, 소위 스펀지 형상의 발포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핸들 고정부(32b)에는, 토너 카트리지(TCy ∼TCk)를 조작할 때에 이용자가 파지(把持)하는 파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핸들(38)이 회전 중심(38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핸들(38)은 판 스프링부(38b)를 가지며, 핸들 고정부(32b)에 대해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핸들(38)이 가압되고 있다. 도 4, 도 10에서, 상기 핸들(38)의 전면 좌측부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고정부의 일례로서의 로크(lock)부(39)에 걸리는 피고정부의 일례로서의 클로 형상의 피로크부(38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도 3이나 도 4의 C색의 토너 카트리지(TCc)에 나타내는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피로크부(38c)가 판 스프링부(38b)의 가압력에 의해 로크부(39)에 걸려서 고정(로크)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도 3에 나타낸 장착 위치로부터 도 4에 나타낸 꺼냄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우선, 핸들(38)을 파지하여 회전, 구체적으로는 핸들 고정부(32b)와 핸들(38)을 잡음으로써, 피로크부(38c)와 로크부(39)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걸림, 즉 로크가 해제되면,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카트리지 수용 용기(4)를 회전시킴으로써 꺼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 도 9, 도 10에서,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 전측 하면에는, 토너 카트리지(TCy∼TCk)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미사용인지, 내부의 현상제가 비었는지, 누적 사용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와 같은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부재(41), 소위, CRUM, Customer Replaceable Unit Memory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기억 부재(41)는 단자부(41a)를 갖고 있고,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단자부에 접속되어, 정보의 기입 등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4, 도 9∼도 11에서,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후측의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내부에는, 상기 칸막이 부재(33)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 의해, 화상 형성 동작시에 현상기(Gy∼Gk)에 보급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a)이 형성되어 있다.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후단 우측 하부에는,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a)으로 통하고 또한 상기 현상제 반송 장치(1)의 유입구(6)에 접속되는 배출구의 일례로서의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후단벽(31c)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지지 관통 구멍(31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단벽(31c)의 내면의 축지지 관통 구멍(31d)의 외주에는, 축지지 관통 구멍(31d)을 통해서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a)으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링 형상 밀폐 부재(46)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도 9에서,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상면에는, 토너 카트리지(TCy ∼TCk)에 관한 정보가 기재된 정보 기재 부재(47), 소위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도 10에서, 상기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에는,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셔터(48)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셔터(48)는 셔터 본체(48a)와, 셔터 본체(48a)의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측에 부착된 고무제의 밀폐 부재, 소위 밀봉 부재(48b)와, 고정용 돌기(48c)를 갖는다. 상기 고정용 돌기(48c)는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장착될 때에, 카트리지 수용 용기(4)가 내측으로 회전하여 수납된 상태에서, 현상제 반송 장치(1)의 프레임(2)에서, 유입구(6)의 후방에 형성된 셔터 고정부(49)(도 5 참조)에 끼워, 카트리지 셔터(48)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수용 용기(4)가 내측으로 회전하여 수납되면, 셔터 고정부(49)에 고정용 돌기(48c)가 걸려서 고정되고,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카트리지 셔터(48)에 대해서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가 개폐된다.
도 12는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아지테이터(agitator)의 회전축의 설명도이며, 도 12의 (a)는 사시도,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화살표 XII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9∼도 11에서,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a) 내부에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아지테이터(5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51)는 회전축(52)과, 회전축(52)에 지지된 반송 부재 본체로서의 필름 부재(53)를 갖는다. 도 12에서, 상기 회전축(5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기 둥 형상의 회전축 본체(52a)를 갖는다. 상기 회전축 본체(52a)의 일단부에는, 상기 칸막이 부재(33)의 축단 지지 부재(33f)에 끼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일단측 피지지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 본체(52a)의 타단부에는,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축지지 관통 구멍(31d)을 관통하여 외부에 돌출하는 타단측 피지지부(5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 본체(52a)의 일측면에는,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한 복수의 교반부(52d)가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교반부(52d)와는 다른 회전축 본체(52a)의 일측면에는, 반송 부재 본체 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 2개의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52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52e)의 좌우 양측에는, 버섯의 형상으로 형성된 반송 부재 본체 고정부의 일례로서의 필름 고정부(52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아지테이터(51)는 회전축(52)이, 편평 형상의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a)의 중심부가 아니라,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측에 편심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도 9, 도 10에서, 상기 타단측 피지지부(52c)에는, 구동 기어(54)가 고정 지지되어, 회전축(52)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도 13은 실시예 1의 아지테이터의 반송 부재 본체의 일례로서의 필름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10, 도 11, 도 13에서, 상기 필름 부재(53)는 장방형의 박막 형상의 필름 본체(53a)를 갖는다. 필름 본체(53a)의 회전축(52)에 지지되는 기단부에는, 상기 회전축(52)의 2개의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52e)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 결정 구멍(53b, 5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구멍(53b, 53c)은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한쪽이 둥근 구멍(53b)으로 구성되고, 다른 쪽이 긴 구멍(5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구멍(53b, 53c)의 양측에는, 상기 필름 고정부(52f)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피고정 구멍(5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고정 구멍(53d)은 슬릿의 중앙부에 둥근 구멍이 설치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필름 고정부(52f)의 관통시에 탄성 변형하여 통과하는 동시에, 통과 후에는 필름 고정부(52f)의 버섯 형상의 선단부에 의해 빠짐 방지가 된다.
상기 필름 본체(53a)의 자유 단부측의 에지부에는, 후측, 즉,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측을 향해서 경사하여 형성된 주(主) 반송 슬릿부(56)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 반송 슬릿부(56)의 기단측 단부에는, 사용 중에 슬릿이 성장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둥근 구멍 형상의 슬릿 성장 방지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 반송 슬릿부(56)의 사이에는, 복수의 부(副) 반송 슬릿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 반송 슬릿부(57)는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로부터 떨어질수록 큰 슬릿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 본체(53a)의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막힘 방지 부재(58)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막힘 방지 부재(58)는, (i) 회전축(52)의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슬릿부(58a) 및 (ii) 한 쌍의 슬릿부(58a)의 기단에서 반송 부재 본체의 기단(1변)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가상선에 의해 획정되어, 막힘 방지 부재(58)의 슬릿부(58a)의 기단측 단부에도 슬릿 성장 방지부(58b)가 형성되어 있다.
(막힘 방지 부재의 길이 관계의 설명)
도 14는 실시예 1의 막힘 방지 부재와 보급 현상제 배출구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14의 (a)는 막힘 방지 부재가 현상제 배출구로부터 돌출한 상태의 설명도, 도 14의 (b)는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 길이의 설명도, 도 14의 (c)는 실시예 1의 변경예의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 길이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1의 막힘 방지 부재와 보급 현상제 배출구의 길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 도 13, 도 14의 (a), 도 14의 (b)에서, 실시예 1의 필름 부재(53)에서, 막힘 방지 부재(58) 부분의 회전축(52)으로부터 자유단측 단부(58c)까지의 길이인 자유 길이는, 막힘 방지 부재(58) 이외의 부분의 자유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힘 방지 부재(58)의 자유 길이를 다른 부분에 비해서 길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5에서, 상기 막힘 방지 부재(58)의 자유 길이를 r로 하고, 회전축(5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까지의 거리를 R로 한 경우에, R<r로 설정되어 있다. 즉, 자유 길이가 길어, 도 11, 도 14,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부재(53)가 휜 상태로 회전하고, 내부의 보급용 현상제를 교반하여 반송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6은 실시예 1의 슬릿부(58)의 기단에서 막힘 방지 부재(58)의 자유단까지의 길이와 보급 현상제 배출구의 길이의 관계를 설명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15에서, 실시예 1에서는, 아지테이터(5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막힘 방지부(58)의 슬릿부(58a)의 기단측 단부, 즉, 슬릿 성장 방지부(58b)까지의 거리를 A로 한 경우에, A<R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의 회전축(52) 회전 방향 상류단 에지(P2)로부터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의 회전축(52) 회전 방향 하류단 에지(P1)까지의 폭을 B로 하여 슬릿부(58a)의 기단측 단부(58b)로부터 막힘 방지 부재(58)의 자유단측 단부(58c)까지의 길이를 B'로 한 경우에, B'≥B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아지테이터(51)는, A<R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축(52)의 회전에 따라, 막힘 방지 부재(58)의 자유단측 단부(58c)가 상류단 에지(P2)로부터 벗어날 때에,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에 진입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양이, 도 15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A≥R의 경우에 비하여 커진다. 또한, 실시예 1의 아지테이터는, B'≥B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축(52)의 회전에 따라, 막힘 방지 부재(58)의 자유단측 단부(58c)가 상류단 에지(P2)로부터 벗어나서 탄성 복원력으로 튕기듯이 고속으로 이동할 때에, 도 16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B'<B의 경우에 비하여, 고속으로 이동하는 범위가 커진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U)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에 의해, 현상 장치(Gy∼Gk)의 토너가 소비되면,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아지테이터(51)가 회전하여,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로부터 토너가 유입구(6)에 토너를 배출한다. 유입구(6)에 공급된 현상제는, 현상제 반송 장 치(1)의 현상제 반송 부재(17)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어 보급된다.
실시예 1의 아지테이터(51)에서는,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에 대응하여 배치된 막힘 방지부(58)가, 아지테이터(51)의 회전에 따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에 진입한다.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 에 부착된 현상제는, 주기적으로 진입하는 막힘 방지 부재(58)에 의해 제거되어, 덩어리 형상으로 성장한 현상제가 있던 경우에는, 분쇄되어 막힘이 방지된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A<R<r 또한 B'≥B로 설정되어 있고,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의 넓은 범위를 고속으로 이동하고 또한 바깥쪽으로 크게 돌출함으로써,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에 부착된 현상제는 확실히 제거되어, 막힘이 확실히 방지된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H06)을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FAX나 복사기 또는 이들 전부 또는 복수의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색 현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단색, 소위, 모노크롬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서, A, R, r, B', B는 실시예에서 예시한 관계를 만족하 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나 사양에 따라 임의의 길이 관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막힘 방지 부재(58)는 필름 부재(53)에 슬릿부(58a)를 형성함으로써 설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름 부재(53)와는 별개의 부재에 의해 막힘 방지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아지테이터는, 회전축(52)과 필름 부재(53)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과 나선 형상의 반송 날개를 갖는 구성으로 하거나, 소위, 코일 스프링 형상의 구성 등, 종래 공지의 임의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현상제 보급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TCy ∼TCk)를 예시했지만, 현상제 보급 용기의 구성은, 실시예에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폐기 현상제 수용실이 생략된 현상제 보급 용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급 현상제 배출구로부터의 현상제의 배출 방향이 경사 방향이 아니라, 횡방향 또는 중력 방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서, 현상제 반송 장치(1)의 구성은, 실시예 예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현상제 보급 용기에서 배출된 현상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교반하는 저장 용기, 소위 리저브 탱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현상제 반송 장치(1)를 생략하고, 현상 장치(Gy∼Gk)에 인접하여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배치하도록 구성하는 것 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이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 설명도.
도 4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가 착탈되는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도로서, (a)는 경사 후방에서 본 상태의 설명도, (b)는 (a)의 화살표 V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현상기 관계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유입구 부분의 요부 확대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사시도.
도 10은 실시예 1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단면 설명도.
도 12는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아지테이터 회전축의 설명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a)의 화살표 XIIB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13은 실시예 1의 아지테이터의 반송 부재 본체의 일례로서의 필름 부재의 설명도.
도 14는 실시예 1의 막힘 방지 부재와 보급 현상제 배출구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a)는 막힘 방지 부재가 현상제 배출구로부터 돌출한 상태의 설명도, (b)는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 길이의 설명도, (c)는 실시예 1의 변경예의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 길이의 설명도.
도 15는 실시예 1의 막힘 방지 부재와 보급 현상제 배출구의 길이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6은 실시예 1의 슬릿부(58)의 기단에서 막힘 방지 부재(58)의 자유단까지의 길이와 보급 현상제 배출구의 길이 관계를 설명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b : 배출구
31 : 용기 본체
51 : 현상제 반송 부재
52 : 회전축
53 : 반송 부재 본체
58 : 막힘 방지 부재
58a : 슬릿부
58c : 자유단측 단부
A :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상기 슬릿부의 기단측 단부까지의 거리
B : 배출구의 회전축 회전 방향 상류단 에지에서 회전축 회전 방향 하류단 에지까지의 폭
B' : 상기 슬릿부의 기단측 단부에서 상기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단측 단부까지의 길이
F : 정착기
Gy, Gm, Gc, Gk : 현상 장치
P1 : 배출구의 회전축 회전 방향 상류단 에지
P2 : 회전축 회전 방향 하류단 에지
Py, Pm, Pc, Pk : 상 유지체
r :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 길이
R : 용기 본체 내벽에서 상기 회전축의 중심까지의 거리
S : 매체
T1y, T1m, T1c, T1k : 전사기
TCy, TCm, TCc, TCk : 현상제 보급 용기
U : 화상 형성 장치

Claims (7)

  1. 배출구를 가지며,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된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반송 부재 본체를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현상제를 상기 배출구에 반송하여 배출시키는 현상제 반송 부재와,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구에 진입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막힘 방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 길이(free length)가,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상기 막힘 방지 부재 이외의 부분의 자유 길이와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 길이가, 상기 막힘 방지 부재와 인접하는 영역에서의 상기 반송 부재 본체의 부분의 자유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 방지 부재는 (i) 반송 부재 본체에 형성된 슬릿부 및 (ii) 슬릿부의 기단(基端)으로부터 반송 부재 본체의 측부까지 연장되는 가상선에 의해 획정되고,
    상기 배출구의 위치에서의 용기 본체 내벽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R로 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슬릿부의 기단측 단부(端部)까지의 거리를 A로 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단측 단부까지의 거리를 r로 한 경우에, A≤R<r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보급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배출구의 회전축 회전 방향 상류단 에지(edge)로부터 배출구의 회전축 회전 방향 하류단 에지까지의 폭을 B로 하고, 상기 슬릿부의 기단측 단부로부터 상기 막힘 방지 부재의 자유단측 단부까지의 길이를 B'로 한 경우에, B'≥B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성장 방지부가 상기 슬릿부의 기단에 형성되어 있고,
    그 성장 방지부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사용 중에 슬릿부가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반송 용기.
  7.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潛像)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보급되는 새로운 현상제가 수용된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제 보급 용기와,
    상기 현상 장치에서 현상된 가시상을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기와,
    상기 매체에 전사된 가시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80041046A 2007-05-07 2008-05-0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43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22738 2007-05-07
JP2007122738A JP4595959B2 (ja) 2007-05-07 2007-05-07 現像剤補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144A true KR20080099144A (ko) 2008-11-12
KR101043314B1 KR101043314B1 (ko) 2011-06-22

Family

ID=3996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046A KR101043314B1 (ko) 2007-05-07 2008-05-01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21524B2 (ko)
JP (1) JP4595959B2 (ko)
KR (1) KR101043314B1 (ko)
CN (1) CN101303555B (ko)
AU (1) AU2008200459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4281A (ja) * 2006-05-10 2007-11-22 Fuji Xerox Co Ltd 粉体供給器、粉体供給器への粉体充填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8005392B2 (en) 2007-02-20 2011-08-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with pressing member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er cartridge
JP4553061B1 (ja) * 2009-10-06 2010-09-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17467B2 (ja) * 2009-10-07 2013-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918127B2 (ja) 2009-11-04 2012-04-18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40694B2 (ja) * 2010-03-17 2013-02-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分散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トナー分散機構
JP2011257692A (ja) * 2010-06-11 2011-12-22 Sharp Corp トナー搬送装置、それを備えた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
JP5660312B2 (ja) * 2011-01-26 2015-01-2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搬送装置、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998430B2 (ja) * 2011-04-26 2016-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13084340A1 (ja) * 2011-12-08 2013-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室、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020954B2 (ja) * 2012-04-26 2016-11-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201344B2 (en) * 2012-05-20 2015-12-01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ontainer
JP6547340B2 (ja) * 2015-03-12 2019-07-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搬送部材、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32703A (ja) * 2015-07-30 2017-02-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6888352B2 (ja) * 2017-03-17 2021-06-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88447B2 (ja) * 2017-07-11 2021-06-16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061285B2 (ja) * 2018-05-25 2022-04-28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379148B2 (ja) * 2019-12-26 2023-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7494013B2 (ja) 2020-05-28 2024-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552243B2 (ja) * 2020-10-16 2024-09-1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粉体崩し装置、粉体収容装置、粉体搬送装置および粉体利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8081B2 (ja) 1992-09-22 1999-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現像装置及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3271848B2 (ja) 1994-04-15 2002-04-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トナーボックス
US5506665A (en) 1994-05-12 1996-04-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having detachable toner box for use i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H0844207A (ja) 1994-07-27 1996-02-1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287475A (ja) * 1994-11-08 2002-10-03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JP3364632B2 (ja) 1994-11-08 2003-01-0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US5890034A (en) * 1997-02-28 1999-03-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artridge for use in the developing device
JP2000003118A (ja) 1998-06-17 2000-01-07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感光体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方法
JP3347677B2 (ja) 1998-10-29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収納容器の分解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
JP2000250296A (ja) 1999-02-24 2000-09-14 Brother Ind Ltd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100501A (ja) 1999-09-28 2001-04-13 Brother Ind Ltd 現像装置及び現像器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456810B1 (en) 1999-07-14 2002-09-2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having toner agitator agitating toners in toner container and transferring toner to developing chamber
JP3523547B2 (ja) 1999-10-01 2004-04-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を備えた現像装置
JP2001194887A (ja) 2000-01-07 2001-07-1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318517A (ja) 2000-05-12 2001-11-16 Murata Mach Ltd 現像器
JP3543302B2 (ja) 2000-06-26 2004-07-14 京セラ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トナー搬送手段
JP2002040788A (ja) 2000-07-28 2002-02-06 Seiko Epson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攪拌器
JP2002040786A (ja) 2000-07-28 2002-02-06 Seiko Epson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6526245B1 (en) 2000-08-29 2003-02-2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3462860B2 (ja) 2001-02-09 2003-11-0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攪拌部材及びトナー供給容器
JP2003156927A (ja) 2001-11-21 2003-05-30 Canon Inc トナー供給容器及びトナー攪拌翼
JP2003186294A (ja) 2001-12-18 2003-07-03 Canon Inc 現像剤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4301975A (ja) 2003-03-31 2004-10-28 Minolta Co Ltd 現像装置
KR100492122B1 (ko) 2003-07-02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100529334B1 (ko) * 2003-07-04 200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2005031299A (ja) 2003-07-10 2005-02-03 Fuji Denki Gazo Device Kk 現像ユニットおよびこのユニットを備えた非磁性一成分接触現像方式の画像形成装置
JP3962363B2 (ja) 2003-07-11 2007-08-2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385318B2 (ja) 2003-10-31 2009-12-16 富士電機デバイ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正帯電型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43911B2 (ja) 2003-12-16 2010-03-3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505275B2 (ja) 2004-07-12 2010-07-2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558515B2 (en) * 2004-07-14 2009-07-07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E602006010935D1 (de) 2005-04-26 2010-01-21 Ricoh Kk Entwicklervorrichtung, Bilderzeugungsvorrichtung und Prozesskartusche mit der Entwicklervorrichtung
KR20070016890A (ko) * 2005-08-05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7298908A (ja) 2006-05-08 2007-11-15 Fuji Xerox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
JP2007304281A (ja) 2006-05-10 2007-11-22 Fuji Xerox Co Ltd 粉体供給器、粉体供給器への粉体充填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479693B2 (ja) 2006-06-02 2010-06-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供給器、粉体供給器の製造方法、及び粉体供給器の再生方法
JP3915845B2 (ja) 2006-09-22 2007-05-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5115015B2 (ja) * 2007-04-20 2013-01-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5130783B2 (ja) * 2007-05-15 2013-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00459A1 (en) 2008-11-27
KR101043314B1 (ko) 2011-06-22
US20080279594A1 (en) 2008-11-13
JP2008276139A (ja) 2008-11-13
US8121524B2 (en) 2012-02-21
JP4595959B2 (ja) 2010-12-08
AU2008200459B2 (en) 2010-06-17
CN101303555B (zh) 2012-03-21
CN101303555A (zh)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314B1 (ko)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8276139A5 (ko)
KR101030554B1 (ko) 현상제 수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5660447B2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755867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5811452B2 (ja) 画像形成装置
JP4924005B2 (ja) 現像剤搬送装置、現像装置、可視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139031A (ja) 画像形成装置、補給用トナー収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860281B2 (ja) 画像形成装置
US72543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plenishment developer device
JP5130784B2 (ja)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1644908B (zh) 显影剂补给盒、图像形成方法以及图像形成装置
JP3982735B2 (ja) 回転型現像装置または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8989635B2 (en) Intermediate hop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11694247B (zh) 调色剂容器、调色剂补给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2009098547A (ja)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423947B2 (ja) トナー容器、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62951B2 (ja)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129023B2 (ja)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08138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7040903A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40805A (ja) 現像剤補給回収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