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554B1 - 현상제 수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수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554B1
KR101030554B1 KR1020080042239A KR20080042239A KR101030554B1 KR 101030554 B1 KR101030554 B1 KR 101030554B1 KR 1020080042239 A KR1020080042239 A KR 1020080042239A KR 20080042239 A KR20080042239 A KR 20080042239A KR 101030554 B1 KR101030554 B1 KR 101030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ntainer
image
cartridg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689A (ko
Inventor
가즈히로 사이토
마사노리 무라세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27Au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 수용기로부터의 현상제의 공급을 안정화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수평 방향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31t)를 가지며, 수평 방향의 폭이 연직(鉛直) 방향의 높이에 비해서 큰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31)와, 회전 중심(52)이 상기 배출구(31t)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수용 용기(31)의 일단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수용 용기(31) 내부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51)와, 상기 반송 부재(51)의 단부(端部)에 지지되어, 상기 반송 부재(51)를 회전 구동하는 반송 부재용 구동 전달 부재(6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TCy, TCm, TCc, TCk)).
Figure R1020080042239
반송 부재용 구동 전달 부재, 상 유지체, 현상제 수용기

Description

현상제 수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ER STORAGE CAS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제 수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 방식의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 표면에 형성된 잠상(潛像)을 현상 장치에서 현상하고, 현상된 가시상을 매체에 전사, 정착함으로써 화상 형성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형성에 의해 소비된 현상제를 보급하기 위해서, 교환식의 현상제 수용기, 소위 토너 카트리지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상기 현상제 수용기를 사용하여 현상제를 보급하는 기술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3 기재의 기술이 공지이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평4-139469호 공보)에는, 현상제 수용기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1021)의 토너가, 하방의 리저브 탱크(1022)에 공급되고, 리저브 탱크(1022) 내를 순환하여 교반된 토너의 일부를, 공급구(1048)로부터 현상 수단(53)에 공급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기재의 카트리지(1021)에서는, 반송 부재(1024)에 구동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커플 링(1025)에 대해서, 토너 보급구(1023c)는 커플링측의 단부(端部)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와, 커플링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에 배치된 카트리지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일본국 특허공개 평11-84846호 공보)에는, 현상 롤러(40)의 상방에 배치된 현상제 수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호퍼(hopper)(43)로부터, 토너 공급 롤러(50, 51)로 현상실(44)에 현상제를 낙하, 반송하는 동시에, 토너 호퍼(43)의 벽면을 따라 배치된 시트(55)에 의해 토너 호퍼(43) 내에서 굳어진 토너를 분쇄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종래의 구성에서는, 카트리지와 현상제 보급 장치의 접속부나, 현상제 반송 장치와 현상 장치의 접속부에서는, 강제적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반송되어 오는 현상제의 공급 압력에 의해 반송되고 있다. 종래의 구성에서는, 접속 부분에서의 현상제의 막힘에 의해, 단위 시간당 현상제 공급량이 안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나 설계의 자유도가 제약되면서도, 공급측을 상방에 배치하고 피공급측을 하방에 배치하여, 중력에 의한 낙하로 반송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3(일본국 특허공개 평7-287448호 공보)에는, 수평 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토너 방출구(43)를 갖는 토너 박스(26)의 내부에, 토너 방출구(4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토너 방출구(43)측에 토너를 반송하는 제 1 교반 부재(55)를 배치하고, 토너 방출구(4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교반 부재(55)와는 별체의 필름 형상의 제 2 교반 부재(56)를 배치하고, 제 2 교반 부재(56)에 의해 토너 방출구(43)로부터 현상제를 배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에는, 상기 제 2 교반 부재(56)의 폭(L2)이, 상기 토너 방출구(43)의 폭(L1)보다도 길어, 토너 방출구(43)에 진입하지 않고, 방해판(65)으로 제 2 교반 부재(56)를 스쳐서 튀기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상기 제 2 교반 부재(56)의 폭(L2)이, 상기 토너 방출구(43)의 폭(L1)보다도 짧고, 또한, 제 2 교반 부재(56)의 회전축(53)으로부터의 길이(R4)가 토너 박스(26)의 내벽면까지의 반경 방향 치수(R3)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회전시에 제 2 교반 부재(56)의 상면을 토너 방출구(43)의 상단으로 스치는 구성도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환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경우,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 시기를 검출하는 경우, 특허문헌 1 기재의 기술과 같이 비용이 드는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저비용화하기 위해서, 토너 카트리지 내의 반송 부재의 누적 구동 시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토너의 유동성이 색이나 제조 시기, 환경 등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토너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막히는 경우가 있어, 막힘을 방지하고, 토너를 안정 공급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특허문헌 3 기재의 기술에서, 저비용화를 위해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 2 교반 부재가 내벽면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구의 막힘을 방지하는 효과는 낮아진다. 이 때문에, 단위 시간당 공급량이 안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어, 종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나 설계의 자유도가 제약되면서도, 공급측을 상방에 배치하고 피공급측을 하방에 배치하여, 중력에 의한 낙하로 반송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3 기재의 기술과 같이, 카트리지를 원통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연직 방향의 높이가 수평 방향의 폭보다도 큰 세로로 긴 구성으로 한 경우, 카트리지가 창고에서 보관되거나, 장시간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되지 않으면,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의 자중(自重)으로 압축되어, 덩어리 형상이 되고, 소위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4-139469호 공보(제 4 페이지 좌측 상란 제 8 행∼제 6 페이지 좌측 하란 제 4 행, 도 3∼도 6, 도 11, 도 12)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11-84846호 공보(「0049」∼「0054」, 도 2, 도 4)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평7-287448호 공보(단락번호「0028」∼「0039」, 도 7∼도 9)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현상제 수용기로부터의 현상제의 공급을 안정화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현상제 수용기는, 수평 방향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가지며, 수평 방향의 폭이 연직(鉛直) 방향의 높이에 비해서 큰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와, 회전 중심이 상기 배출구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수용 용기의 일단(一端)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수용 용기 내부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상기 반송 부재의 단부(端部)에 지지되어, 상기 반송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전달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측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의 일단벽과는 다른 타단측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를 막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타단측 지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기에 있어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수용 용기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반송 부재 본체를 갖는 상기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潛像)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보급되는 새로운 현상제가 수용된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기와, 상기 현상 장치에서 현상된 가시상을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기와, 상기 매체에 전사된 가시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현상제의 덩어리를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배출구측에 치우쳐서 배치된 반송 부재로 배출구로부터 안정되게 현상제를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반송 부재의 회전시의 비틀림이나 흔들림이 적은 부분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회전축의 흔들림을 적게 할 수 있어, 현상제의 공급을 안정화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가요성을 갖는 반송 부재 본체에 의한 교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배출구로부터의 현상제의 공급을 안정화할 수 있어, 화질의 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예(이하, 실시예로 기재함)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측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내는 방향 또는 나타내는 측을 각각 전방, 후방, 우방, 좌방, 상방, 하방, 또는, 전측, 후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의 뒤에서 앞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안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앞에서 뒤를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이해의 용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절히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이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3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U)는, 화상이 기록되는 매체의 일례로서의 기록 매체(S)가 수용되는 급지(給紙) 용기(TR1)가 하부에 수용되어 있고, 상면에는 용지 배출부(TRh)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U)의 상부에는 버튼 입력 등의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UI)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프린터(U)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 전측에 설치된 개폐 가능한 개폐부의 일례로서의 프론트 커버(U2)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U1)의 측면에 설치된 개폐 가능한 개폐부의 일례로서의 사이드 커버(U3)를 갖는다. 상기 프론트 커버(U2)는 상 유지체 카트리지, 현상 장치, 고장난 부재의 교환, 청소 보수나 용지가 걸린 기록 매체(S)를 제거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내부를 개방할 때에 개방되고, 상기 사이드 커버(U3)는 현상제 보급 용기, 소위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을 행할 때에 개방된다.
도 3에서, 프린터(U)의 사이드 커버(U3)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면, 프린터(U)의 사이드가 개방되어, 현상제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TCy, TCm, TCc, TCk))가 취급 가능하게 된다.
도 2에서, 프린터(U)는 프린터(U)의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C)와, 제어부(C)에 의해 작동을 제어하는 화상 처리부(IPS), 상(像) 기입 장치 구동 회로(DL) 및 전원 장치(E) 등을 갖고 있다. 전원 장치(E)는, 후술의 대전기(帶電器)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러(CRy∼CRk), 현상제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현상 롤러 및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러(T1y∼T1k) 등에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화상 처리부(IPS)는 외부의 화상 정보 송신 장치 등으로부터 입력된 인쇄 정보를, K(블랙), Y(옐로우), M(마젠타), C(시안)의 4색의 화상에 대응한 잠상 형성용의 화상 정보로 변환하여,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 기입 장치 구동 회로(DL)에 출력한다. 상 기입 장치 구동 회로(DL)는, 입력된 각 색의 화상 정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잠상 기입 장치(ROS)에 출력한다. 상기 잠상 기입 장치(ROS)는 구동 신호에 따라, 각 색의 화상 기입용의 화상 기입 광의 일례로서의 레이저빔(Ly, Lm, Lc, Lk)을 출사한다.
도 2에서, 상기 잠상 기입 장치(ROS)의 전방(+X방향)에는 Y(옐로우), M(마젠타), C(시안), K(블랙) 각 색의 가시상의 일례로서의 토너상을 형성하는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 UK)가 배치되어 있다.
K(블랙)의 가시상 형성 장치(UK)는 회전하는 상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감광체(Pk)를 갖는다. 상기 감광체(Pk)의 주위에는, 대전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CRk), 감광체 표면의 정전(靜電)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Gk), 감광체(Pk) 표면에 잔류한 현상제를 제거하는 상 유지체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감광체 클리너(CLk)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Pk)는 대전 롤(CRk)과 대향하는 대전 영역에서 대전 롤(CRk)에 의해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 후, 잠상 형성 영역에서 레이저빔(Lk)에 의해 잠상이 기입된다. 기입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Gk)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에서 정전 잠상이 가시상화된다.
실시예 1의 블랙의 가시상 형성 장치(UK)는 감광체(Pk), 대전기(CRk), 감광 체 클리너(CLk)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교환 가능한 상 유지체 카트리지와, 현상 장치(Gk)에 의해 구성된 교환 가능한 현상 카트리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른 색의 가시상 형성 장치(UY, UM, UC)도, 블랙의 가시상 형성 장치(UK)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상 유지체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4개의 가시상 형성 장치(UY∼UK)는 착탈 가능한 프레임(Ut), 소위 교환 프레임(Ut)에 지지되어 있고, 4개의 가시상 형성 장치(UY∼UK)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상기 감광체(Py∼Pk)의 전방(+X방향)에는, 개폐부(U2)에 지지된 기록 매체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벨트 모듈(BM)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 모듈(BM)은, 기록 매체 유지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매체 반송 벨트(B)와, 매체 반송 벨트(B)를 지지하는 구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구동 롤(Rd), 종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종동 롤(Rj)을 포함하는 유지 반송 부재 지지계의 일례로서의 벨트 지지 롤(Rd+Rj)과, 각 감광체(Py∼Pk)에 대향해서 배치된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T1y, T1m, T1c, T1k)과, 유지 반송 부재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벨트 클리너(CLb)와, 상기 종동 롤(Rj)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기록 매체(S)를 매체 반송 벨트(B)에 흡착시키는 기록 매체 흡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매체 흡착 롤(Rk)을 갖는다. 단, 매체 흡착 롤(Rk)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고, 생략 가능하다. 상기 매체 반송 벨트(B)는 상기 벨트 지지 롤(Rd+Rj)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상 농도 센서(SN1)는 소정의 시기에, 제어부(C)의 화상 농도 조정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형성되는 농도 검출용의 화상, 소위 패치 화상의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화상 농도 조정 수단은 상기 화상 농도 검출 부재에서 검출된 화상 농도에 의거하여 대전기(CRy∼CRk)나 현상 장치(Gy∼Gk), 전사 롤(T1y∼T1k)에 인가되는 전압의 조정, 잠상 기입 광(Ly∼Lk)의 강도의 조정을 행함으로써, 화상 농도의 조정이나 보정, 소위, 프로세스 컨트롤을 행한다.
매체 반송 벨트(B)의 하방에 배치된 급지 용기(TR1)의 기록 매체(S)는, 급지 부재(Rp)에 의해 꺼내져, 기록 매체 반송로(SH)에 반송된다.
기록 매체 반송로(SH)의 기록 매체(S)는, 기록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매체 반송 롤(Ra)에 의해 반송되어, 급지 시기 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에 보내진다. 레지스터 롤(Rr)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종동 롤(Rj)과 매체 흡착 롤(Rk)의 대향 영역인 기록 매체 흡착 위치(Q6)에 상기 기록 매체(S)를 반송한다. 상기 기록 매체 흡착 위치(Q6)에 반송된 기록 매체(S)는,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에 정전 흡착된다.
상기 매체 반송 벨트(B)에 흡착된 기록 매체(S)는, 상기 감광체(Py∼Pk)와 접촉하는 상기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상기 전사 영역(Q3y, Q3m, Q3c, Q3k)에서 매체 반송 벨트(B)의 이면측에 배치된 전사 롤(T1y, T1m, T1c, T1k)에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 회로(E)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에서 토너의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사 전압이 인가된다.
다색 화상의 경우, 상기 각 감광체(Py∼Pk) 위의 토너상은 상기 전사 롤(T1y, T1m, T1c, T1k)에 의해 매체 반송 벨트(B) 위의 기록 매체(S)에 겹쳐서 전 사된다. 또한, 단색 화상, 소위, 모노크롬 화상의 경우, 감광체(Pk) 위에 K(블랙)의 토너상만이 형성되고, 이 K(블랙)의 토너상만이 전사기(T1k)에 의해 기록 매체(S)에 전사된다.
토너상 전사 후의 감광체(Py∼Pk)는 감광체 클리너(CLy∼CLk)에 의해 표면에 잔류한 토너가 회수되어 청소되고, 다시 대전 롤(CRy∼CRk)에 의해 대전된다.
상기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S)는, 정착기의 일례로서의 정착 장치(F)의 가열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열 롤(Fh)과, 가압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가압 롤(Fp)이 압접(壓接)하여 형성되는 정착 영역(Q5)에서 정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S)는, 매체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롤러(Rh)로부터 매체 배출부(TRh)에 배출된다.
기록 매체(S)가 이격된 후의 상기 매체 반송 벨트(B)는 상기 벨트 클리너(CLb)에 의해 청소된다.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
도 4는 현상제 수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가 착탈되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도이며, 도 5의 (a)는 경사 후방에서 본 상태의 설명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화살표 V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가 제거되고 또한 일부의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도이며, 도 6의 (a)는 경사 후방에서 본 상태의 설명도, 도 6의 (b)는 도 6의 (a)의 화살표 VI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를 경사 후측 하방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9는 토너 카트리지가 삽입되고 또한 셔터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유출구 부분의 요부 단면 설명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Y, M, C, K의 각 색마다 설치된 부재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y, m, c, k의 첨자를 생략해서 설명한다.
도 4∼도 8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우측 내부에는, 현상제 반송 장치(1)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반송 장치(1)는 프레임(2)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프레임 본체(2a)와, 상기 프레임 본체(2a)의 상단으로부터 우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정상 벽부(2b) 및 저(底)벽부(2c)를 갖는다. 상기 정상 벽부(2b) 및 저벽부(2c) 사이에는, 정상 벽부(2b) 및 저벽부(2c)에 평행하게 배치된 3개의 칸막이 벽부(2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2a)의 전후 양단에는, 전단(前端)벽부(2e) 및 후단(後端)벽부(2f)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도 8에서, 상기 정상 벽부(2b) 및 칸막이 벽부(2d)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회전 규제부(2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규제부(2g)의 하방의 프레임 본체(2a)에는, 구동 전달 부재용 개구(2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구동 전달 부재용 개구(2h)의 하방에는, 용기측 개폐 부재 고정부의 일례로서, 각(角)구멍 형상의 카트리지 셔터 고정부(2i)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도 8에서, 상기 각 구동 전달 부재용 개구(2h)의 전측에는, 외측(우측)으로 연장되는 판 스프링(SP)이 지지되어 있다.
도 4, 도 6의 (a)에서, 상기 전단 벽부(2e)에는, 고정부의 일례로서의 로크부(2j)가 형성되어 있고, 로크부(2j)의 하방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기억 부재 접속부의 일례로서의 CRUM 커넥터부(2k)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a)에서, 상기 CRUM 커넥터부(2k)의 후방의 프레임 본체(2a)에는, 전측 안내부의 일례로서, 판형상 전측 가이드부(2m)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2)의 정상 벽부(2a), 칸막이 벽부(2d) 및 저벽부(2c)에 끼워진 공간에 의해, 아래부터 순차적으로 Y, M, C, K의 토너 카트리지(TCy, TCm, TCc, TCk)가 장착되는 4개의 카트리지 장착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3)에는, 각각, 토너 카트리지(TCy, TCm, TCc, TCk)가 수용 가능한 카트리지 수용 용기(4)(도 6의 (a)에서는 C색과 K색만 도시하고, Y색과 M색은 도시 생략)가, 후단의 회전 중심부(4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9에서, 상기 카트리지 수용 용기(4)의 저부에는, 안내부의 일례로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4b)가 배치되어 있다. 도 4에서, 상기 카트리지 수용 용기(4)의 전단부 상면에는, 장착시 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 이등변 삼각 형상의 위치 결정용 절제부(4c)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도 6에서, 상기 카트리지 수용 용기(4)의 우단벽에는, 내측으로 진입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장착 감각 작용부(4d)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 상기 프레임(2)의 각 카트리지 장착부(3)의 후단부에는, 토너 카트리지(TCy, TCm, TCc, TCk)로부터의 현상제가 유입되는 유입구(6)(도 6의 (a)에는 Y의 유입구만 도시)가 형성된 유입구 형성부(5)가 설치되어 있다. 유입구 형성부(5)에는,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한 쌍의 셔터 가이드부(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a), 도 7에서, 상기 유입구 형성부(5)에는, 폐색(閉塞) 부재 걸림부의 일례로서, 외방(우방)으로 경사하여 형성되고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셔터 로크부(5b)(도 6의 (a)에는, M색만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유입구 형성부(5)의 셔터 가이드부(5a)에는, 유입구 폐색 부재의 일례로서의 본체측 셔터(7)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본체측 셔터(7)는 도 6의 (a)의 Y색의 본체측 셔터(7)에 나타내는 유입구(6)가 개방된 개방 위치와, 도 7이나 도 6의 (a)의 M색의 본체측 셔터(7)에 나타내는 유입구가 폐쇄된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본체측 셔터(7)의 전단면은, 외측으로 나와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한 상기 셔터 로크부(5b)에 접촉하여, 이동이 규제, 즉, 폐쇄 위치에서 로크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현상기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6의 (b)에서, 상기 프레임(2)의 프레임 본체(2a)의 내측면에는, 상기 유입구(6)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측으로 오목한 본체측 반송로 형성 오목부(8)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도 8에서, 상기 프레임(2)의 내측면에는, 각 본체측 반송로 형성 오목부(8)에 대응하여, 반송로 형성 부재(9)(도 6의 (b)에서는 C색과 K색만 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측 반송로 형성 오목부(8)와 상기 반송로 형성 부재(9)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의 원통 형상의 공간에 의해 현상제 반송로(11)가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서, 상기 현상제 반송로(11)는 유입구(6)의 위치로부터 현상 장치(Gy∼Gk)까지 연장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로(11)는 직선 형상이 아니고, 유입구(6)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입측 수평 반송부(11a)와, 유입측 수평 반송부(11a)로부터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경사하는 경사 반송부(11b)와, 경사 반송부(11b)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현상 장치(Gy∼Gk)에 연장되는 현상측 수평 반송부(11d)를 갖는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b), 도 6의 (b), 도 10에서, 상기 반송로 형성 부재(9)의 전단측에는, 현상측 수평 반송부(11d)를 구성하는 현상 장치 접속부(9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현상 장치 접속부(9a)에는, 유출구 폐색 부재의 일례로서의 유출구 셔터(1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 셔터(12)는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스프링(13)에 의해 항시 전방의 폐쇄 위치에 가압되고 있고, 도 6에 나타내는 현상제 반송로(11)의 유출구(11f)를 폐색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커버(U2)가 개방되어, 교환 프레임(Ut)의 제거에 의해 현상 장치(Gy∼Gk)가 제거될 때에는, 상기 스프링(13)에 의해 유출구 셔터(12)가 폐색 위치로 이동하여 현상제의 누출이 방지된다. 한편, 교환 프레임의 장착에 의해 현상 장치(Gy∼Gk)가 부착될 때에는, 현상 장치(Gy∼Gk)의 피접속부(16)(도 6 참조)에 의해 밀려서, 유출구 셔터(12)가 이동하고, 피접속부(16)에 현상 장치 접속부(9a)가 끼워져, 유출구(11f)로부터 현상 장치(Gy∼Gk)에 현상제의 보급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유입구 부분의 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6의 (b), 도 11, 도 12에서, 상기 현상제 반송로(11) 내에는, 만곡한 현상제 반송로(11)를 따라 현상제 반송 부재(1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0∼도 12에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17)는 회전축(17a)과, 상기 회전축(17a)의 외주부에 형성된 나선 형상의 반송 날개(17b)를 갖는다.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부재(17)는 가요성을 갖는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회전에 따라 현상제 반송로(11)를 따른 형상으로 만곡하면서 현상제의 일례로서의 토너를 반송한다. 도 11에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17)의 상기 유입구(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회전축(17a)보다도 큰 직경의 대경부(17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경부(17d)에는 막힘 방지 부재 장착부(17e)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b), 도 6의 (b)에서, 상기 프레임(2)의 후단부에는, 보급용 구동계의 일례로서의 각 색마다의 보급용 모터(19)가 지지되어 있다. 도 10에서, 상기 보급용 모터(19)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축(19a)에 지지된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구동 기어(20)가,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17)의 후단에 지지된 피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기어(17g)에 구동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17)를 구동하여 토너를 반송시킨다. 도 6∼도 8에서, 상기 구동 기어(20)에는, 현상제 수용기용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 구동 전달 부재용 개구(2h)의 전측 부분에 배치된 카트리지 구동 기어(20a)가 맞물려 있다. 상기 카트리지 구동 기어(20a)는, 외주의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1, 도 12에서, 상기 현상제 반송 부재(17)의 상기 막힘 방지 부재 장착부(17e)에는, 막힘 방지 부재(21)의 일단부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막힘 방지 부재(21)는, 가요성을 갖는 박막 형상, 소위, 필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막힘 방지 부재(21)는 현상제 반송로(11)의 내주면에 탄성 변형하여 휜 상태로 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막힘 방지 부재(21)의 선단이 상기 유입구(6)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탄성 복원에 의해 막힘 방지 부재(21)가 연장되어, 현상제 반송로(11)로부터 유입구(6)에 진입하고, 유입구(6)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막힘 방지 부재(21)는 현상제 반송로(11) 내에서, 회전축(17a)에 감기도록 탄성 변형하고, 반송 날개(17b) 사이에 수용되어, 파손되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호 2∼21을 부여한 각 부재에 의해,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1)가 구성되어 있다.
(현상제 보급 용기의 설명)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수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13의 (a)는 우측 앞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3의 (b)는 좌측 앞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 도, 도 13의 (c)는 좌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3의 (d)는 우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의 현상제 수용기의 설명도이며, 도 14의 (a)는 평면부,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화살표 XIV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4의 (c)는 도 14의 (a)의 XIVC-XIVC선 단면도, 도 14의 (d)는 도 14의 (a)의 XIVD-XIVD선 단면도, 도 14의 (e)는 도 14의 (a)의 XIVE-XIVE선 단면도, 도 14의 (f)는 도 14의 (b)의 XIVF-XIVF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1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3, 도 4, 도 13∼도 15에서, 실시예 1의 현상제 수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TCy∼TCk)는, 수평 방향의 폭이 연직 방향의 높이에 비해서 큰 편평 형상의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TCy∼TCk)는 일단측에 현상제 보충용의 개구가 형성된 박스 형상의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와,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개구에 대향하는 개구가 형성된 박스 형상의 폐기 현상제 수용기(32)를 갖는다. 도 14에서,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와 폐기 현상제 수용기(32) 사이는, 칸막이 부재(33)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즉, 교환이 필요한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와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를 별개로 설치하지 않고 일체적으로 교환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와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소형화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와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를 각각 밀폐하지 않고, 1개의 칸막이 부재(33)로 구획함으로써, 소형화할 수 있고, 부품 점수를 저하시켜, 저비용화되고 있다. 또한, 한정된 화상 형성 장치(U) 내의 공간에서, 최대한의 현상제 수용량을 확보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체가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의 설명)
도 16은 실시예 1의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의 6면도로서, 도 16의 (a)는 평면도, 도 16의 (b)는 도 16의 (a)의 화살표 XVI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6의 (c)는 도 16의 (a)의 화살표 XVIC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6의 (d)는 도 16의 (a)의 화살표 XVID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6의 (e)는 도 16의 (a)의 화살표 XVIE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6의 (f)는 도 16의 (e)의 화살표 XVIF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도 16에서,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후측의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는 정상벽(31a), 저벽(底壁)(31b), 우측벽(31c), 좌측벽(31d) 및 일단벽의 일례로서의 후단벽(31e)을 갖는다. 상기 각 벽(31a∼31e)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이 구성되어 있고, 벽이 형성되어 있지않은 전단부에는 개구(31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전단부에는 연결부(31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1h)의 우측부 및 좌측부에는, 노치(notch) 형상의 연결용 오목부(31h1, 31h2)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 연결용 오목부(31h1)와 좌측 연결용 오목부(31h2)는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장착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1h)의 내면에는, 개구 폐쇄 부재 지지부의 일례로서, 단차 형상의 칸막이 부재 지지부(31h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1h)의 상면 및 하면에는 4개소의 연결 구멍(31j)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1h)의 후방의 정상벽(31a)의 외표면에는, 후방에 정점을 갖는 이중의 이등변 삼각 형상의 장착시 피위치 결정부(31k)가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시 피위치 결정부(31k)는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4)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위치 결정용 절제부(4c)에 끼워져 위치 결정된다. 즉, 토너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 및 위치 맞춤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쉽게 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점이 삽입 방향인 후방에 배치된 이등변 삼각 형상의 장착시 피위치 결정부(31k)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상벽(31a)의 후단부의 좌측부에는, 장착 위치 규제부의 일례로서, 토너 카트리지(TCy∼TCk) 장착시에 상기 회전 규제부(2g)가 끼워지는 장착 위치 회전 피규제부(31m)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 위치 회전 피규제부(31m)는 좌단으로부터 우측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31m1)와, 경사부(31m1)의 우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31m2)를 갖는다.
도 16의 (f)에서, 상기 저벽(31b)의 하면에는, 피안내부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3개의 피가이드 리브(31n)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가이드 리브(31n)의 후단부에는, 경사 안내부(31n1)가 형성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4)에 수용될 때에 가이드 리브(4b)에 가이드되 어, 카트리지 수용 용기(4)에 대한 상대 위치가 소정 위치로 가이드된 상태로 장착된다. 즉,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카트리지 수용 용기(4)에의 직진 삽입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피가이드 리브(31n)와 가이드 리브(4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6의 (a), 도 16의 (c)에서, 상기 우측벽(31c)에는, 외방으로 돌출하는 반구 형상 돌기에 의해 구성된 장착 감각 작용 걸어맞춤부(31c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 감각 작용 걸어맞춤부(31c1)는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4)에 수용되는 도중에서, 장착 감각 작용부(4d)에 접촉하여 탄성 변형시키고, 또한 밀어넣은 상태에서 탄성 복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장착하는 작업자에게, 장착감, 소위, 클릭감을 부여하여, 장착된 것을 감각적으로 인식시킨다. 즉,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장착된 것을 이용자가 인식하기 쉽게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장착 감각 작용 걸어맞춤부(31c1)와 장착 감각 작용부(4d)가 설치되어 있다.
도 16의 (a)에서, 좌측벽(31d)의 후단부 상측에는, 상기 장착 위치 회전 피규제부(31m)의 전후 방향의 폭에 대응해서 형성된 외형이 원호 형상인 부재 통과부(31p)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재 통과부(31p)는 토너 카트리지 장착시에, 카트리지 구동 기어(20a)가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벽면에 충돌,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그 밖의 좌측벽(31d)의 외형 부분에 대해서, 오목한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좌측벽(31d)의 후단부 하측에는, 개폐 부재 통과부의 일례로서, 유입구 형성부(5)에 간섭하지 않도록, 외형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셔터 통과부(31q)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 통과부(31q)의 외형은, 좌단벽(31d)의 전측 부분에 비해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 통과부(31q)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는, 개폐 부재 이동부의 일례로서, 외방으로 돌출하는 셔터 이동용 돌기(31r)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 이동용 돌기(31r)는 토너 카트리지 장착시에, 셔터 로크부(5b)를 내측으로 밀어서 탄성 변형시키고, 본체측 셔터(7)의 로크를 떼어내면 규제 해제 부재로서의 기능도 겸하고 있다. 또한, 셔터 이동용 돌기(31r)는 본체측 셔터(7)의 전단면에 접촉하고,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본체측 셔터(7)를 눌러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16의 (b)에서, 상기 셔터 통과부(31q)의 후단부에는, 우측으로 돌출하는 배출구 형성부(31s)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 형성부(31s)에는,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으로 통하고 또한 상기 현상제 반송 장치(1)의 유입구(6)에 접속되는 배출구의 일례로서의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서, 상기 배출구 형성부(31s)에는, 개폐 부재 안내부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트리지 셔터 가이드부(31u)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의 (b)에서, 상기 배출구 형성부(31s)의 후단부에는, 개폐 부재 원활 장착부의 일례로서, 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슬로프 형상으로 구성된 셔터 장착 가이드부(31s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 형성부(31s)의 상측 전부(前部)에는, 개폐 부재 탈락 방지부의 일례로서, 노치 형상의 셔터 탈락 방지 오목부(31s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 형성부(31s)에는, 현상제 저장부의 일례로서,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의 전측에 인접해서 3개의 저장 오목부(31s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 오목부(31s3)는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착탈시에, 유입구(6)와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본체측 셔터(7)의 이동에 의한 유입구(6)의 개폐나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의 개폐시에 누출되려는 현상제가 1차 저장되어, 화상 형성 장치(U) 내로의 누출이나 내부 오염을 방지한다.
또한, 도 16의 (b)에서, 상기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의 주위에는, 누출 방지부의 일례로서, 외방으로 돌출하는 에지(edge) 형상의 밀봉용 리브(31t1)가 형성되어 있다. 즉, 후술하는 카트리지 셔터(48)의 사이에서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에서의 밀폐성을 향상시킨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밀봉용 리브(31t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 도 16의 (e)에서, 상기 후단벽(31e)의 외표면에는, 좌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후단벽(31e)을 관통하는 축지지 구멍(31v)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 도 16의 (d)에서,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후단벽(31e)의 내표면에는 링 형상의 베이스부에 의해 형성된 밀폐 부재 부착부(31w)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도 16에서, 후단벽(31e)의 좌측부에는, 용기 종류 판별부의 일례로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종류 판별 돌기(31x)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류 판별 돌기(31x)는, 후술하는 기어(61)에 대응해서 형성된 원호부(31x1)와, 원호부(31x1)의 소정 위치로부터 좌방으로 연장되는 판별부(31x2)를 갖는다. 상기 판별부(31x2)는 Y, M, C, K의 색마다, 형성되는 위치와 수가 달라, 카트리지 수용 용기(4)의 후단벽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색이 일치한 경우에만 돌기(31x)와 오목부가 끼워져,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4y∼4k)에 장착될 수 있고, 색이 다른 경우에는 걸려서 장착될 수 없어, 잘못하여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다른 색의 카트리지 수용 용기(4)에 수용하는 것이 방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장착 오류를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류 판별 돌기(31x)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류 판별 돌기(31x)는 금형을 사용해서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를 일체 성형할 때에, 부싱(bushing)에 의해 각 색마다의 종류 판별 돌기(31x)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설명)
도 17은 실시예 1의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사시도로서, 도 17의 (a)는 우측 앞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7의 (b)는 좌측 앞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7의 (c)는 좌측 뒤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7의 (d)는 우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1의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6면도로서, 도 18의 (a)는 평면도, 도 18의 (b)는 도 18의 (a)의 화살표 XVIII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8의 (c)는 도 18의 (a)의 화살표 XVIIIC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8의 (d)는 도 18의 (a)의 화살표 XVIIID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8의 (e)는 도 18의 (a)의 화살표 XVIIIE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8의 (f)는 도 18의 (e)의 화살표 XVIIIF 방향에서 본 도면이 다.
도 13∼도 15, 도 17, 도 18에서, 토너 카트리지(TCy∼TCk) 전측의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는 후방에 개방된 개구(32a)를 갖는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폐기측 용기 본체(32b)를 갖는다. 상기 폐기측 용기 본체(32b)의 내부에는, 화상 형성 동작시에 감광체 클리너(CLy∼CLk)나 벨트 클리너(CLb)로 회수된 폐기 현상제를 수용하는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32c)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 도 18에서, 상기 폐기측 용기 본체(32b)의 후단부에는,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연결부(31h)의 내측에 끼워져, 연결되는 피연결부(32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연결부(32d)에는, 연결부(31h)의 연결 구멍(31j)에 끼워 연결되는 클로부(32e)가 형성되어 있다. 즉, 장착된 상태에서는 빠지기 어렵고, 또한, 분해 가능하게 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결 구멍(31j)과 클로부(32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연결부(32d)에는, 우측 연결용 오목부(31h1)와 좌측 연결용 오목부(31h2)에 각각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된 우측 연결용 볼록부(32f1) 및 좌측 연결용 볼록부(32f2)를 갖는다. 따라서, 장착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우측 연결용 오목부(31h1)와 좌측 연결용 오목부(31h2)의 형상이 다른 것에 대응하여, 우측 연결용 볼록부(32f1) 및 좌측 연결용 볼록부(32f2)의 형상도 다르다. 즉,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와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조립 오류를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른 형상의 우측 연결용 오목부(31h1) 및 좌측 연결용 오목부(31h2)와, 거기에 대응된 다른 형상의 우측 연결용 볼록부(32f1) 및 좌측 연결용 볼록부(32f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우측 연결용 볼록부(32f1) 및 좌측 연결용 볼록부(32f2)는, 연결시에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연결부(31h)의 외면과 거의 동일면이 되도록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31h)에 연결된 상태에서,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연결부(31h)와,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연결용 볼록부(32f1, 32f2)를 걸쳐서 고정 테이프(Tp)(도 13 참조)가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고정 테이프(Tp)가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외주에만 부착되어, 테이프(Tp)에 의한 고정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결용 볼록부(32f1, 32f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 도 17, 도 18에서, 상기 폐기측 용기 본체(32b)의 전측 우부(右部)에는, 조작 부재 고정부의 일례로서, 돌기 형상의 회전 중심부(32g1)를 갖는 핸들 고정부(32g)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7의 (d), 도 18에서, 상기 핸들 고정부(32g)의 후면에는, 미끄럼 방지용의 요철(32g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의 (a)에서, 상기 핸들 고정부(32g)의 우측 하부에는, 판 스프링 지지부(32g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 고정부(32g2)의 후방에는, 핸들 고정부(32g)의 후면을 이용자가 전방으로 누를 때에 손가락을 넣어서 조작하기 위한 조작 공간(32g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 고정부(32g)의 하방에는, 기억 부재 장착부의 일례로서, CRUM 장착부(32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CRUM 장착부(32h)에는, 기억 부재 보호부의 일 례로서, 보호 리브(32h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 리브(32h1)에는, 기억 부재 장착 안내부의 일례로서, 기억 부재 장착 가이드(32h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7의 (b), 도 17의 (c), 도 18에서, CRUM 장착부(32h)의 후단부에는, 기억 부재 고정부의 일례로서, 클로 걸어맞춤부(32h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 고정부(32g)의 좌방에는, 폐기 현상제 유입구(32j)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폐기 현상제 유입구(32j)는 둥근 구멍부(32j1)와, 둥근 구멍부(32j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빠짐 방지 장착시 통과부(32j2)를 갖는다.
상기 폐기 현상제 유입구(32j)의 주위에는, 누출 방지 부재 보호부의 일례로서, 폐기 현상제 유입구(32j)를 둘러싸도록 누출 방지 부재 보호 리브(32k)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폐기 현상제 유입구(32j)의 후방의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32c)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가압 부재 지지부(32m)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 지지부(32m)는 가압 부재 일단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후단벽(32m1)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 지지부(32m)의 전측 부분에는, 단차 형상의 빠짐 방지부(32m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7의 (b), 도 17의 (c), 도 18에서, 폐기측 용기 본체(32b)의 좌측 외표면에는, 미끄럼 방지용의 요철(32n)이 형성되어 있다. 즉,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제거할 때에, 미끄러져 낙하시켜서, 파손이나 현상제에 의한 오염 등을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용자가 파지(把持)할 가능성이 높은 폐기측 용기 본체(32b)의 좌측 외표면에, 미끄럼 방지용의 요철(32n)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용 요철(32n)의 하방에는, 전측 피안내부의 일례로서, 도 6의 (a)에 나타낸 상기 전측 가이드부(2m)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전측 피가이드부(32p)가 형성되어 있다. 즉,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장착시에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의 직진성을 높인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측 가이드부(2m)와 전측 피가이드부(32p)가 설치되어 있다.
도 17의 (c), 도 17의 (d)에서,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32c)의 내부의 좌측 상방에는, 후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피연결부(32d)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지 않는 장착 오류시 간섭부(32q)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의 설명)
도 19는 실시예 1의 칸막이 부재의 사시도로서, 도 19의 (a)는 우측 앞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9의 (b)는 우측 뒤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 도 15, 도 19에서, 타단측 지지 부재 또는 개구 폐쇄 부재의 일례로서의 상기 칸막이 부재(33)는 각(角)판 형상의 칸막이 부재 본체(33a)를 갖는다. 상기 칸막이 부재 본체(33a)의 전후 양면에는, 칸막이 부재 본체(33a)의 바깥 둘레를 테두리를 붙이듯이, 밀폐부(33b, 3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 부재 본체(33a)에는, 타단측 회전 지지부의 일례로서, 중앙에서 좌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전측 축 지지부(33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측 축 지지부(33d)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중공(中空)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1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축 삽입 구멍(33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 부재 본체(33a)의 좌측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장착 오류시 피간섭부(33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칸막이 부재 본체(33a)가 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밀폐부(33b, 33c)가 고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칸막이 부재 본체(33a)와 밀폐부(33b, 33c)는 2색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즉, 칸막이 부재(33)의 생산성을 높인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칸막이 부재 본체(33a)와 밀폐부(33b, 33c)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의 비용을 저감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밀폐가 필요한 바깥 둘레 부분에만 밀폐부(33b, 33c)를 형성하고, 불필요한 부분에 밀폐부(33b, 33c)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칸막이 부재(33)는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연결부(31h) 내면의 단차 형상의 칸막이 부재 지지부(31h3)에 후측 밀폐부(33c)를 눌러서 탄성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가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에 장착되면,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피연결부(32d)의 후단에 전측 밀폐부(33b)가 눌러져서 탄성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과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32c)은 서로 밀폐된 상태로 구획된다. 즉, 밀폐성을 향상시킨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밀폐부(33b, 33c)의 두께 및 경도는 최적화되어 있다. 또한, 부품 점수를 줄여서 저비용화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밀폐부(33b, 33c)는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가 장착된 상태로,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와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에 대해서, 칸막이 부재(33)를 상하 반대로 장착한 상태에서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를 장착하고자 한 경우, 장착 오류시 간섭부(32q)와, 장착 오류시 피간섭부(33f)가 접촉해서 간섭하여, 조립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칸막이 부재(33)의 조립 오류를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장착 오류시 간섭부(32q)와 장착 오류시 피간섭부(33f)가 설치되어 있다.
(폐기 현상제 셔터의 설명)
도 20은 실시예 1의 폐기 유입구 셔터의 사시도로서, 도 20의 (a)는 우측 앞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20의 (b)는 우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0의 (c)는 좌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 도 15, 도 20에서,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폐기 현상제 유입구(32j)에는, 폐기 현상제 유입구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 폐기 유입구 셔터(34)가 장착되어 있다. 도 20에서, 상기 폐기 유입구 셔터(34)는 전측이 막힌 원통 형상의 폐기 유입구 셔터 본체(34a)를 갖는다. 상기 폐기 유입구 셔터 본체(34a)에는, 빠짐 방지부의 일례로서,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을 갖는 판 스프링부(34b)를 갖는다. 상기 판 스프링부(34b)의 후단에는, 빠짐 방지용 클로부(34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폐기 유입구 셔터(34)는 폐기 현상제 유입구(32j)에 삽입시에는 판 스프링부(34b)가 탄성 변형해서 삽입되고, 빠짐 방지부(32m2)를 빠짐 방지용 클로부(34c)가 통과하면 판 스프링부(34b)가 탄성 복원하여 전방으로의 탈락이 방지, 즉, 빠짐이 방지된다.
도 14의 (c), 도 15에서,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가압 부재 지지부(32m)에는, 상기 폐기 유입구 셔터(34)의 후단을 항시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의 셔터용 스프링(36)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폐기 유입구 셔터(34)는 통상시는, 셔터용 스프링(36)의 가압과, 빠짐 방지부(32m2) 및 빠짐 방지용 클로부(34c)에 의해, 도 4, 도 13의 (a)에 나타낸 폐기 현상제 유입구(32j)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장착되면, 상기 감광체 클리너(CLy∼CLk) 등으로부터 연장되는 폐기 현상제 반송로(HGh)(후술하는 도 26 참조)가 셔터용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폐기 현상제 셔터(34)를 내부에 밀어넣어, 폐기 현상제 반송로(HGh)로부터 폐기 현상제 수용실(32c)에 폐기 현상제가 유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유입구 셔터 본체(34a)의 전면에는, 원형상의 오목부에 의해 구성된 안내 오목부(34a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오목부(34a1)는 폐기 현상제 반송로(HGh)의 전단부(HGh1)의 전단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볼록부와 접촉하여, 전단부(HGh1)를 유입구 셔터 본체(34a)의 중심부에 안내한다. 따라서, 덜컹거림 등에 의해 폐기 현상제 반송로(HGh)의 전단부(HGh1)가 유입구 셔터 본체(34a)의 중심부로부터 벗어나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즉, 현상제 반송로와 확실히 접속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내 오목부(34a1)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13의 (a), 도 15에서,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기(32)의 전면에는, 누출 방지 부재 보호 리브(32k)의 내측 또한 폐기 현상제 유입구(32c)의 외주를 둘러싸는 위치에, 유입구 누출 방지 부재(37)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유입구 누출 방지 부재(37)는, 소위 스펀지 형상의 발포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누출 방지 부재 보호 리브(32k)에 의해 유출구 누출 방지 부재(37)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유출구 누출 방지 부재(37)의 두께는, 상기 누출 방지 부재 보호 리브(32k)의 돌출량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유출구 누출 방지 부재(37)의 파손을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누출 방지 부재 보호 리브(32k)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이 있는 유출 구멍 누출 방지 부재(37)에 형성된 개구(37a)는, 누출을 저감하기 위해서, 폐기 현상제 유입구(32j)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현상제의 누출에 의한 오염을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출 구멍 누출 방지 부재(37)의 개구(37a)가 폐기 현상제 유입구(32j)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조작용의 핸들 설명)
도 21은 실시예 1의 핸들의 설명도로서, 도 21의 (a)는 우측 앞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1의 (b)는 좌측 앞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21의 (c)는 좌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1의 (d)는 우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1의 (e)는 전방에서 본 도면, 도 21의 (f)는 도 21의 (e)의 화살표 XXIF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1의 (g)는 도 21의 (e)의 화살표 XXIG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1의 (h)는 도 21의 (e)의 화살표 XXIH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1의 (i)는 도 21의 (e)의 화살표 XXII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1의 (j)는 도 21의 (i)의 화살표 XXIJ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도 13∼도 15, 도 21에서,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기(32)의 핸들 고정부(32g)에는,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조작할 때에 이용자가 파지하는 파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핸들(38)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핸들(38)은 판형상의 핸들 본체(38a)와, 핸들 본체(38a)의 상단 및 우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단벽(38b) 및 우측벽(38c)을 갖는다.
상기 우측벽(38c)에는,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카트리지 수용 용기(4)에 대한 상대 위치(전측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후측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구멍 형상의 표시부(38c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핸들(38)의 색(예를 들면, 백색)과, 그 밖의 부재의 색을 다른 색(예를 들면, 흑색)으로 함으로써, 백색의 핸들에 오목부 형상의 표시부를 형성하는 경우, 즉, 표시부의 색과 핸들 본체의 색이 동일한 경우에 비하여, 구멍 형상의 표시부(38c1)를 통해서 안에 있는 다른 부재의 색이 보이기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커져, 인식하기 쉬워진다. 즉, 이용자가 표시부(38c1)를 보기 쉽게 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구멍 형상의 표시부(38c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벽(38b)의 좌단부에는, 상측의 회전 중심부(32g1)에 끼워지는 회전 중심 오목부(38b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 본체(38a)의 하단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암(arm) 형상의 하측 회전 중심 형성부(38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중심 형성부(38d)에는, 상기 회전 중심 오목부(38b1)의 연직 하방에 형성되고 또한 하측의 회전 중심부(32g1)에 끼워지는 회전 중심 오목부(38d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38)은 회전 중심부(32g1) 및 회전 중심 오목부(38b1, 38d2)에 의해, 핸들 고정부(32g)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핸들(38)을 핸들 고정부(32g)에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게 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탄성 변형 가능한 회전 중심 형성부(38d)가 설치되어 있어, 장착시에는, 회전 중심 형성부(38d)가 일시적으로 탄성 변형하여, 회전 중심부(32g1)에 장착된다.
도 21의 (c), 도 21의(d)에서, 상기 핸들 본체(38a)의 후면 하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부(38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 스프링부(38e)는 선단부가 핸들 고정부(32g)의 판 스프링 지지부(32g3)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즉, 부품 점수를 적게 하여 저비용화 및 조립성 향상이라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판 스프링부(38e)를 핸들(38)에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별도의 부재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다.
상기 핸들 본체(38a)의 전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요철(38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 본체(38a)의 전면 좌부(左部)에는, 장착시 걸림 고정부의 일례로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걸림 고정부(38g)가 형성되고, 걸림 고정부(38g)에는 좌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프레임(2)의 로크부(2j)에 걸리는 걸림 클로부(38g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38)의 전면과 핸들 고정부(32g)의 후면을 잡도록 이용자가 파지한 경우에, 핸들(38)이 회전하여, 판 스프링부(38e)가 탄성 변형하지만, 이용자가 파지를 정지하면 탄성 복원에 의해 핸들(38)이 도 13에 나타낸 통상 위치로 돌 아간다. 도 4에서, C색의 토너 카트리지(TCc)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핸들(38)이 통상 위치로 돌아가기 때문에, 걸림 클로부(38g1)가 로크부(2j)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어, 핸들(38)을 파지하지 않고 토너 카트리지(TCc)의 이동이 규제, 즉, 로크된다. 한편, 핸들(38)을 잡고 회전시키면, 걸림 클로부(38g1)가 로크부(2j)로부터 이탈하여 로크가 해제되어, 토너 카트리지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착탈 조작시에 조작 설명서 등을 읽지 않아도 용이하게 착탈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핸들(38)과 핸들 고정부(32g) 사이에서 잡고, 회전하는 형상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이용자가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제거하려고 한 경우에는 제거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 분해되지 않도록 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후방으로 밀려고 하여 잡은 경우에 자연히 회전해서 로크가 해제되고, 잡고 있지않은 경우에는, 판 스프링부(38e)에 의해 로크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도 13, 도 15에서,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기(32)의 CRUM 장착부(32h)에는, 토너 카트리지(TCy∼TCk)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미사용인지, 내부의 현상제가 비어있는지, 누적 사용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와 같은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부재(41), 소위, CRUM, Customer Replaceable Unit Memory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기억 부재(41)는 기판을 포함하여, 기억 부재 장착 가이드(32h2)에 가이드되고 또한 보호 리브(32h1) 내부에 배치되는 박형(薄型) 형상의 CRUM 본체(41a)를 갖는다. 즉, 기억 부재(41)를 보호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 보호 리브(32h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억 부재(41)를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게 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억 부재 장착 가이드(32h2)가 설치되고, CRUM 본체(41a)가 박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억 부재(41)에는,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부(41b)가 설치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TCy∼TCk) 장착시에, 상기 CRUM 커넥터부(2k)(도 6의 (a) 참조)에 끼워져 접속되어, 정보의 기입 등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CRUM 본체(41a)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클로부(41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로부(41c)는 클로 걸어맞춤부(32h3)에 끼워져 빠짐 방지된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재생시 등에서는, 클로부(41c)와 클로 걸어맞춤부(32h3)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기억 부재(41)를 분리할 수 있다. 즉, 기억 부재(41)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클로부(41c)와 클로 걸어맞춤부(32h3)가 설치되어 있다.
도 14의 (c), 도 14의 (f), 도 15에서,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밀폐 부재 부착부(31w)에는, 축지지 구멍(31v)을 통하여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으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링 형상 밀폐 부재(46)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링형상 밀폐 부재(46)를 부착하기 쉽게 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베이스 형상의 밀폐 부재 부착부(31w)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 도 15에서,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상면에는, 토너 카트리지(TCy∼TCk)에 관한 정보가 기재된 정보 기재 부재(47), 소위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카트리지 셔터의 설명)
도 22는 실시예 1의 카트리지 셔터의 설명도로서, 도 22의 (a)는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2의 (b)는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22의 (c)는 평면도, 도 22의 (d)는 도 22의 (c)의 화살표 XXIID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2의 (e)는 도 22의 (c)의 화살표 XXIIE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2의 (f)는 도 22의 (c)의 화살표 XXIIF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2의 (g)는 도 22의 (c)의 화살표 XXIIG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2의 (h)는 도 22의 (g)의 화살표 XXIIH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도 15, 도 22에서,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카트리지 셔터가이드부(31u)에는,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셔터(48)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셔터(48)는 셔터 본체(48a)와, 셔터 본체(48a)의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측에 부착된 고무제의 밀폐 부재, 소위 밀봉 부재(48b)를 갖는다.
도 22에서, 셔터 본체(48a)의 좌우 양측에는, 개폐 부재측 피안내부의 일례로서, 형성된 셔터 가이드부(31u)에 지지되는 셔터 피가이드부(48c)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 본체(48a)의 후단에는, 카트리지 셔터(48)가 폐쇄된 상태에서 셔터 가이드부(31u)의 후단에 걸려서, 이동이 규제되는 걸림 피규제부(48c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 본체(48a)의 전측 우측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에 의해 구성된 탈락 방지 볼록부(48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탈락 방지 볼록부(48d)는 셔터 탈락 방지 오목부(31s2)에 끼워져, 의도하지 않은 외력(外力)으로 카트리지 셔 터(48)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 카트리지 셔터(48)가 이동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셔터 가이드부(31u)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탈락 방지 볼록부(48d)와 셔터 탈락 방지 오목부(31s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셔터 본체(48a)의 전단에는, 개폐 부재 원활 피부착부의 일례로서,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경사하는 슬로프 형상으로 구성된 셔터 부착 피가이드부(48e)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 부착 피가이드부(48e)와 셔터 부착 가이드부(31s1)에 의해, 카트리지 셔터(48)는 셔터 가이드부(31u)에 장착시에 걸리기 어려워, 원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 셔터(48)를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셔터 부착 피가이드부(48e)와 셔터 부착 가이드부(31s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셔터 본체(48a)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고정용 돌기(48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용 돌기(48f)는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장착될 때에, 카트리지 수용 용기(4)가 내측으로 회전하여 수납된 상태로, 현상제 반송 장치(1)의 프레임(2)의 카트리지 셔터 고정부(2i)에 끼워져, 카트리지 셔터(48)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수용 용기(4)가 내측으로 회전하여 수납되면, 셔터 고정부(2i)에 고정용 돌기(48c)가 걸려서 고정되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카트리지 셔터(48)에 대해서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가 개폐된다. 즉,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장착시에, 카트리지 셔 터(48)와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가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셔터 고정부(2i)와 고정용 돌기(48c)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부재의 설명)
도 23은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아지테이터(agitator)의 회전축의 설명도로서, 도 23의 (a)는 사시도, 도 23의 (b)는 도 23의 (a)의 화살표 XXIII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9, 도 14, 도 15에서,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 내부에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아지테이터(5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51)는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회전축(52)과, 회전축(52)에 지지된 반송 부재 본체로서의 필름 부재(53)를 갖는다. 도 23에서, 상기 회전축(5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각 기둥 형상의 회전축 본체(52a)를 갖는다. 상기 회전축 본체(52a)의 타단부(전단부)에는, 상기 칸막이 부재(33)의 축삽입 구멍(33e)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타단측 피지지부(52b)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 피지지부(52b)의 선단은 축삽입 구멍(33e)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선단측일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조립성을 향상시킨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전축(52)이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개구(31g)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선단측이 가늘어지는 타단측 피지지부(52b)를 설치하여, 회전축(52)을 칸막이 부재(33)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 본체(52a)의 일단부(후단부)에는,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 용 기(31)의 축지지 관통 구멍(31e)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일단측 피지지부(5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단측 피지지부(52c)의 기단부(基端部)에는, 장착부(52c1)가 형성되어 있고, 장착부(52c1)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52c2)와, 후방 연장부(52c2)의 후단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원기둥부(52c3)를 갖는다.
도 23에서, 상기 회전축 본체(52a)의 일측면에는,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한 복수의 교반부(52d)가 외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현상제를 교반하는 성능을 높여서 공급을 안정화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반부(52d)가 설치되어 있다.
교반부(52d)와는 다른 회전축 본체(52a)의 일측면에는, 반송 부재 본체 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 2개의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52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52e)의 좌우 양측에는, 버섯 형상으로 형성된 반송 부재 본체 고정부의 일례로서의 필름 고정부(52f)가 형성되어 있다.
도 24는 실시예 1의 아지테이터의 반송 부재 본체의 일례로서의 필름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9, 도 14, 도 15, 도 24에서, 상기 필름 부재(53)는 장방형의 박막 형상의 필름 본체(53a)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저비용화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저비용의 PET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내주면에 휜 상태로 접촉하면서 회전하고, 현상제를 효율적으로 교반, 반송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시예 1에서는, 필름으로서 1OO ㎛ 정도의 두께의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필름이 너무 얇으면, 너무 유연하여 현상제를 밀어서 교반하는 힘이 약해지고, 너무 두꺼우면 소음이 발생한다.
필름 본체(53a)의 회전축(52)에 지지되는 기단부에는, 상기 회전축(52)의 2개의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52e)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 결정 구멍(53b, 5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구멍(53b, 53c)은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한쪽이 둥근 구멍(53b)으로 구성되고, 다른 쪽이 긴 구멍(5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구멍(53b, 53c)의 양측에는, 상기 필름 고정부(52f)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피고정 구멍(5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고정 구멍(53d)은, 슬릿의 중앙부에 둥근 구멍이 설치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필름 고정부(52f)의 관통시에 탄성 변형해서 통과하는 동시에, 통과 후에는 필름 고정부(52f)의 버섯 형상의 선단부에 의해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 구멍(53b, 53c) 및 피고정 구멍(53d)과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52e), 필름 고정부(52f)는 필름 부재(53)가 표리 반대로 회전축(52)에 장착되지 않도록, 위치 결정 구멍(53b), 위치 결정 구멍(53c), 피고정 구멍(53d)끼리의 축방향의 배치 간격이 모두 다른 간격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회전축(52)과 필름 부재(53)의 조립 오류를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위치 결정 구멍(53b, 53c) 및 피고정 구멍(53d)과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52e), 필름 고정부(52f)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필름 본체(53a)의 자유단부측의 에지부에는, 후측, 즉,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측을 향해서 경사하는 주(主) 반송 절삭부(56)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 반송 절삭부(56)의 기단측 단부에는, 사용 중에 절 삭이 성장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둥근 구멍 형상의 절삭 성장 방지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 반송 절삭부(56)의 사이에는, 복수의 부(副) 반송 절삭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 반송 절삭부(57)는 보급 현상제 배출구(31b)로부터 떨어질수록 큰 절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에 수용된 현상제를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를 향해서 효율적으로 반송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 반송 절삭부(56) 및 배출구(31t)로부터 떨어질수록 절삭이 커지는 부 반송 절삭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름 본체(53a)의 회전축(52)의 축방향을 따라서,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막힘 방지부(58)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막힘 방지부(58)는 회전축(52)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한 쌍의 절삭부(58a)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막힘 방지 부재(58)의 절삭부(58a)의 기단측 단부에도 절삭 성장 방지부(5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막힘 방지부(58)는 회전축(52)의 회전을 따라 주기적으로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에 진입하여,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에 부착된 현상제를 분쇄한다. 즉, 중력 방향으로부터 경사한 측방으로 배출되는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에서의 현상제의 막힘을 방지하여, 공급을 안정화시킨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막힘 방지부(5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시에 현상제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절삭이 성장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큰 힘이 작용하기 쉬운 절삭이 큰 주 반송 절삭부(56) 및 막힘 방지부(58)에는, 절삭 성장 방지부(56a, 58b)가 형성 되어 있다.
실시예 1에서는, 필름 본체(53a)는 휜 상태로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자유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막힘 방지부(58)는 휜 상태로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동시에, 다른 필름 본체(53a)보다도 자유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아지테이터(51)는 축지지 관통 구멍(31v) 및 축삽입 구멍(33e)이 편평 형상의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의 중심부가 아니고,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측에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52)이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측에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휜 필름 부재(53)에 의해, 아지테이터(51)의 회전축이 힘을 받는다. 이 때, 아지테이터(51)의 회전축(52)은, 후단부에서 캔틸레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며, 자유단측인 전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수평한 면 내에서 이동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회전축(52)의 전단측이, 칸막이 부재(33)를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내벽에 대해서 수직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칸막이 부재(33)는 가압하는 힘과, 밀폐부(33b, 33c)의 높은 마찰 저항에 의해,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와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를 분해할 때에, 칸막이 부재(33)가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로부터 자연히 분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도 25는 실시예 1의 반송 부재용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기어의 6면도로서, 도 25의(a)는 측면도, 도 25의 (b)는 도 25의 (a)의 화살표 XXV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5의 (c)는 도 25의 (a)의 화살표 XXVC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5의 (d)는 도 25의 (a)의 화살표 XXVD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5의 (e)는 도 25의 (a)의 화살표 XXVE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5의 (f)는 도 25의 (e)의 화살표 XXVF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도 15, 도 25에서,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의 후단에서는, 반송 부재용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일단측 피지지부(52c)의 후단부에 카트리지 기어(61)가 장착되어 있다. 도 25에서, 상기 카트리지 기어(61)는 외주에 기어 이가 형성된 원반 형상의 기어 본체(61a)와, 기어 본체(61a)의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피장착부(61b)를 갖는다.
상기 피장착부(61b)는 내부에, 상기 일단측 피지지부(52c)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6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장착부(61b)의 전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피장착 오목부(6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 오목부(61d)는 후방 연장부(52c2) 및 원기둥부(52c3)를 안내하여 끼우는 장착 안내부(61d1)와, 상기 원기둥부(52c3)보다도 폭이 좁은 협폭부(狹幅部)를 갖는 장착 고정부(61d2)를 갖는다. 따라서, 한 쌍의 피장착 오목부(61d)에 회전축(52)의 장착부(52c1)를 맞춤으로써 위상을 회전축(52)과 카트리지 기어(61)의 위상을 맞출 수 있다. 즉, 아지테이터(51)를 소정의 위상에 맞춰서 장착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피장착 오목부(61d)와 장착부(52c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위상이 맞은 상태에서, 일단측 피지지부(52c)의 장착부(52c1) 중의 어느 한 쪽이, 장착 고정부(61d2)에 밀려들어가, 소위 스냅(snap) 피트로 장착됨으로써 고정된다. 즉, 아지테이터(51)를 카트리지 기어(61)에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장착 고정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전축(52)에는 축의 양측에 스냅 피트 고정용의 후방 연장부(52c2) 및 원기둥부(52c3)를 설치하여 양쪽 대응 가능하게 하면서, 카트리지 기어(61)에는 한쪽만 스냅 피트 고정용의 장착 고정부(61d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기어(61)는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구동 기어(20a)에 맞물려서 구동이 전달되어, 아지테이터(51)가 회전 구동된다.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방법의 설명)
도 26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방법의 설명도로서, 도 26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에 착탈되는 도중의 설명도, 도 26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의 안까지 삽입된 삽입 위치에서의 설명도, 도 26의 (c)는 카트리지 수용 용기가 내측으로 회동(回動)하여 수용된 수용 위치에서의 설명도, 도 26의 (d)는 도 26의 (c)에 나타내는 상태에 대해서 토너 카트리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 도 3, 도 4, 도 26의 (a)에서,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장착되는 경우, 사이드 커버(U3)가 개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수용 용기(4)가 비스듬히 회동한 상태로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삽입된다. 이 때 토너 카트리지(TCy∼TCk)는, 저부의 피가이드 리브(31n)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4)의 가이드 리브(4b)에 가이드되어 소정 위치에 삽입된다.
도 26의 (b)에서,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4)의 안까 지 삽입되면, 장착 감각 작용 걸어맞춤부(31c1)와 장착 감각 작용부(4d)가 접촉하여, 장착감이 얻어지는 동시에, 장착시 피위치 결정부(31k)가 위치 결정용 절제부(4c)에 끼워져 삽입이 완료된다. 이 때, 프레임(2)의 회전 규제부(2g)는 부재 통과부(31p)의 상방을 통과하여, 장착 위치 회전 피규제부(31m)의 경사부(31m1)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도 26의 (b)에 나타낸 상태에서, 이용자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4)를 밀어서, 내측으로 회동시키면,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좌벽부(31d)에 접촉하는 판 스프링(SP)의 힘에 대항하여, 도 2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3) 내에 수용된다.
이 때, 회전 규제부(2g)는 장착 위치 회전 피규제부(31m)의 경사부(31m1)에 진입하여, 경사부(31m1)와 후방 연장부(31m2)의 접속부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카트리지 기어(61)는, 카트리지 구동 기어(20a)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 셔터(48)의 고정용 돌기(48f)가 카트리지 셔터 고정부(2i)에 끼워져,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도 26의 (c)에 나타낸 수용 위치에서는,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셔터 이동용 돌기(31r)가, 셔터 로크부(5b)를 내측으로 눌러서 탄성 변형시켜서, 본체측 셔터(7)의 로크가 해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측 셔터(7)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개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셔터 로크부(5b) 및 셔터 이동용 돌기(31r)가 설치되고,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장착될 때에 로크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6의 (c)에 나타낸 상태에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조작 공간(38g4)에 손가락을 넣어, 미끄럼 방지용의 요철(32g2)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된 핸들 고정부(32)의 후면을 전방으로 누름으로써, 도 26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전방의 장착 위치로 이동한다. 카트리지 셔터(48)는 고정용 돌기(48f)로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이동하기 때문에,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가 개방된다. 이 때, 본체측 셔터(7)는 셔터 이동용 돌기(31r)에 의해 로크가 해제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배출구 형성부(31s)의 전단부에 의해 밀려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유입구(6)도 개방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와 유입구(6)가 접속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전방의 장착 위치로 이동하면, 회전 규제부(2g)는 후방 연장부(31m2)의 후단부에 위치하여, 회전 규제부(2g)가 후방 연장부(31m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규제된다. 이 때문에, 판 스프링(SP)에 의해 카트리지 수용 용기(4)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에 저항하여,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후단부가 회동 불가능하게 규제된다. 따라서, 도 26의 (b)∼도 26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규제부(2g)는 장착 위치 회전 피규제부(31m)의 경사부(31m1)와 후방 연장부(31m2)를 따른 궤적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실시예 1에서는,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외방으로 회전하거나 하여, 유입구(6)와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의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전 규제부(2g)나 장 착 위치 회전 피규제부(31m)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6의 (c)에 나타낸 삽입 위치로부터 도 26의 (d)에 나타낸 장착 위치로 이동할 때에, 카트리지 기어(61)가 카트리지 구동 기어(20a)에 맞물려서, 구동력이 전달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 카트리지 구동 기어(20a)는 부재 통과부(31p)에 의해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에 접촉, 간섭하지 않고 카트리지 기어(61)에 맞물린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전측 피가이드부(32p)가, 프레임(2) 전측 가이드부(2m)에 끼워져, 덜컹거림 등이 적게 소정 위치로 가이드된다. 또한,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전측 가이드부(2m)와 전측 피가이드부(32p)의 걸림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어, 토너 카트리지(TCy∼TCk) 전측의 회전이 규제된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전측 가이드부(2m)와 전측 피가이드부(32p)는 직진성 좋게 가이드하는 목적에 더하여,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외방으로 회전하거나 하여, 유입구(6)와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의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때,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에서는, 유입구 셔터(34)가 폐기 현상제 반송로(HGh)에 의해 밀려서 내측으로 이동하여,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32c)에 폐기 현상제가 유입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때, 안내 오목부(34a1)에 의해 유입구 셔터(34)에 폐기 현상제 반송로가 확실히 안내되어, 폐기 현상제 반송로(HGh)와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32c)이 접속된다.
또한, 상기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걸림 고정부(38g)의 걸림 클로부(38g1)가, 로크부(2j)의 앞에서 접촉하여 핸들(38)이 회전한 후, 걸림 클로부(38g1)가 로크부(2j)의 위치에 근접하면 판 스프링부(38e)에 의해 되돌아가, 걸림 클로부(38g1)가 로크부(2j)에 걸린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로크가 걸린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TCy∼TCk)는 장착 위치에서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로크가 걸리고, 상하 방향은 내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꺼낼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커넥터부(41b)가 CRUM 커넥터부(2k)에 접속되어, 기억 부재(41)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하여, 갱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토너 카트리지의 분해 방법의 설명)
도 26의 (d)에서,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분해하는 경우, 분해하고자 하여 이용자가 핸들(38)을 잡으면, 핸들(38)이 회동하여, 걸림 클로부(38g1)가 로크부(2j)로부터 이탈하여, 로크가 벗겨진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핸들(38)을 잡은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후방으로 밀어서 이동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카트리지 기어(61)나 폐기 현상제 반송로, 커넥터부(41b) 등의 맞물림이나 연결이 해제된다.
이 때, 본체측 셔터(7)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셔 터 이동용 돌기(31r)에 의해 밀려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유입구(6)가 폐쇄된다. 또한, 이동 불가능한 카트리지 셔터(48)에 대해서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도 폐쇄된다.
도 26의 (d)에 나타낸 장착 위치로부터 도 26의 (c)에 나타낸 수용 위치로 이행하면, 전측 가이드부(2m)와 전측 피가이드부(32p)가 떨어진다. 또한, 회전 규제부(2g)가 경사부(31m1)와 후방 연장부(31m2)의 접속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전측 가이드부(2m)와 전측 피가이드부(32p)나, 회전 규제부(2g)와 장착 위치 회전 피규제부(31m)에 의한 회전의 규제가 작용하지 않으므로, 판 스프링(SP)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카트리지 수용 용기(4)가 외측으로 회전한 위치인 도 26의 (b)에 나타낸 삽입 위치로 이동한다. 즉, 실시예 1에서는,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판 스프링(SP)이 설치되어 있다.
도 26의 (b)에 나타낸 삽입 위치에서는,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끼우고 빼기 가능하기 때문에,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빼내어, 분해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재생 방법)
도 13∼도 15에서, 사용 완료된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재이용, 소위, 재생하기 위해서는, 우선,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테이프(TP)를 떼어내어, 연결 구멍(31j)과 클로부(32e)에 의한 연결을 해제한다. 이 때,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32c)에는 폐기 현상제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가 중력 방향 하측이 되는 상태로 제거함으로써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현상제 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 칸막이 부재(33)는 필름 부재(53)에 의한 가압력으로 자연히 제거되는 것이 저감되고 있으므로,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에 현상제가 조금 남아있는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고, 칸막이 부재(33)가 제거되어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이 저감된다.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가 제거된 후, 칸막이 부재(33)에 대해서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를 하측으로 한 상태로 칸막이 부재(33)를 회전축(52)의 축방향으로 빼내도록 제거함으로써,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 (31f)에 남은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스냅 피트로 장착된 아지테이터(51)를 제거함으로써 분해할 수 있다. 분해 후는, 각 부재를 청소하고, 상기 아지테이터(51)를 장착 후,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에 새로운 현상제를 수용하고, 칸막이 부재(33),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를 순차적으로 장착하여, 테이프(TP)를 감음으로써 토너 카트리지(TCy∼TCk)가 재생된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U)에서는, 화상 형성 동작에 의해, 현상 장치(Gy∼Gk)의 토너가 소비되면,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의 현상제가 유입구(6)로부터 공급된다. 공급된 현상제는, 현상제 반송 장치(1)의 현상제 반송 부재(17)의 회전에 의해 반송되어 보급된다. 이 때, 화상 형성에 따라, 상 유지체 클리너(CLy∼CLk)에 의해 회수된 폐기 현상제는,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32c)에 회수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TCy∼TCk)에서는, 편평 형상으로 형성된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에 수용된 현상제는, 자중(自重)에 의해 굳어지는 현상, 소위 블로킹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는 동시에, 아지테이터(51)에 의한 교반시에 용이하고도 확실히 덩어리가 분쇄된다. 또한, 상기 아지테이터(51)는 후단에 카트리지 기어(61)가 지지되고 또한, 후단측에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가 배치되어 있어, 구동 전달시에 아지테이터(51)의 회전축(52)의 비틀어짐이나 흔들림이 적어지고, 토너 카트리지(TCy∼TCk)로부터 현상제 반송 장치(1)에의 현상제의 배출이 안정화된다. 또한, 아지테이터(51)의 회전 중심(52)이 중심에서 치우쳐 있기 때문에, 회전 중심과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의 내주면과의 거리가 회전에 따라 변동하고, 필름 부재(53)의 휨이 변동한다. 상기 필름 부재(53)의 휨의 변동에 의해, 필름 부재(53)가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 내에서 튀는 동작이 발생하여, 현상제의 교반성이 향상하여, 덩어리가 적어지고, 현상제의 공급이 안정화된다. 특히, 실시예 1의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는 내부의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이 단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 부재(53)가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 내에서 튀는 동작이 현저히 발생한다.
또한, 아지테이터(51)의 회전축(52)은, 타단측인 전측이 칸막이 부재(33)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타단측이 지지되어 있지않은 경우에 비해서 회전축(52)의 요동이 적어, 공급이 안정화된다. 또한, 막힘 방지부(58)가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에 주기적으로 진입하여, 측방에 배치된 보급 현상제 배출구(31t)에서 현상제가 막히기 어려워 공급이 안정화된다. 또한, 막힘 방지 부재(21)가 주기적으로 유입구(6)에 진입하기 때문에, 측방에 배치된 유입구(6)에서 현상제가 막히기 어려워 공급이 안정화된다.
또한, 실시예 1의 프린터(U)에서는,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재생하기 위해서 분해할 때에, 칸막이 부재(33)가 필름 부재(53)에 의한 가압력으로 자연히 제거되는 것이 저감되고 있어,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31f)에 현상제가 조금 남아있는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고, 칸막이 부재(33)가 제거되어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이 저감된다. 또한, 칸막이 부재(33)를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칸막이 부재(33)에 대해서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칸막이 부재(33)를 회전축(52)의 축방향으로 빼냄으로써 용이하게 제거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회전축(52)이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보다도 길고, 개구(31g)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 변동이 없는 축지지 구멍(31v)으로부터 멀어, 요동이 커지고, 가압력이 커진다. 즉, 칸막이 부재(33)가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에 가압되는 힘이 커져, 제거되기 어려워져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H01)∼(H09)를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FAX나 복사기 또는 이들 전부 또는 복수의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색 현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단색, 소위, 모노크롬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 유지체로부터 매체에 직접 전사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 전사체를 사용하는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서, 막힘이 발생하기 어려운 경우, 막힘 방지 부재(21, 58)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31)와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의 양쪽을 갖는 현상제 수용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32)는 생략 또는 별도 유닛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현상제 반송로(11)는 완곡한 구성으로 했지만, 직선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현상제 반송 부재(17)도 가요성이 있는 수지 재료가 아니라, 강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유입구(6)를 통해서 수평 방향에 가까운 경사 방향으로 토너가 유입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중력 방향 또는 중력 방향에 가까운 경사 방향으로 토너가 유입되는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서, 구동 전달 부재로서 기어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위 커플러(커플링)와 같은 종래 공지의 구동 전달 부재가 사용 가능하다.
(H07) 상기 실시예에서, 회전축(52)은 배출구(31t)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앙부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H08) 상기 실시예에서, 상 유지체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를 갖는 가시상 형성 장치(UY∼UK)를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 유지체 카트리지만 착탈 가능하고, 현상 장치는 본체 고정으로 하거나, 가시상 형성 장치(UY∼UK) 전체를 본체 고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9) 상기 실시예에서, 아지테이터(51)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창고에서의 보관시나 화상 형성 동작 종료시에, 현상제 배출구(31t)에 막힘 방지 부재(58)를 진입시킨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상제 배출구(31t)에 현상제가 블로킹되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블로킹된 현상제를 분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이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 설명도.
도 4는 현상제 수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가 착탈되는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도로서, 도 5의 (a)는 경사 후방에서 본 상태의 설명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화살표 V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가 제거되고 또한 일부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설명도로서, 도 6의 (a)는 경사 후방에서 본 상태의 설명도, 도 6의 (b)는 도 6의 (a)의 화살표 VI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7은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측면도.
도 8은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를 경사 후측 하방에서 본 설명도.
도 9는 토너 카트리지가 삽입되고 또한 셔터가 개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유출구 부분의 요부 단면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 및 현상기 관계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장치의 유입구 부분의 요부 확대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현상제 수용기의 사시도로서, 도 13의 (a)는 우측 앞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3의 (b)는 좌측 앞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3의 (c)는 좌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3의 (d)는 우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실시예 1의 현상제 수용기의 설명도로서, 도 14의 (a)는 평면부,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화살표 XIV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4의 (c)는 도 14의 (a)의 XIVC-XIVC선 단면도, 도 14의 (d)는 도 14의 (a)의 XIVD-XIVD선 단면도, 도 14의 (e)는 도 14의 (a)의 XIVE-XIVE선 단면도, 도 14의 (f)는 도 14의 (b)의 XIVF-XIVF선 단면도.
도 15는 실시예 1의 현상제 보급 용기의 분해도.
도 16은 실시예 1의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보급 현상제 수용 용기의 6면도로서, 도 16의 (a)는 평면도, 도 16의 (b)는 도 16의 (a)의 화살표 XVI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6의 (c)는 도 16의 (a)의 화살표 XVIC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6의 (d)는 도 16의 (a)의 화살표 XVID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6의 (e)는 도 16의 (a)의 화살표 XVIE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6의 (f)는 도 16의 (e)의 화살표 XVIF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7은 실시예 1의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사시도로서, 도 17의 (a)는 우측 앞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7의 (b)는 좌측 앞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7의 (c)는 좌측 뒤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7의 (d)는 우측 뒤 경사 상 방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실시예 1의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6면도로서, 도 18의 (a)는 평면도, 도 18의 (b)는 도 18의 (a)의 화살표 XVIII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8의 (c)는 도 18의 (a)의 화살표 XVIIIC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8의 (d)는 도 18의 (a)의 화살표 XVIIID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8의 (e)는 도 18의 (a)의 화살표 XVIIIE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8의 (f)는 도 18의 (e)의 화살표 XVIIIF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9는 실시예 1의 칸막이 부재의 사시도로서, 도 19의 (a)는 우측 앞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9의 (b)는 우측 뒤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20은 실시예 1의 폐기 유입구 셔터의 사시도로서, 도 20의 (a)는 우측 앞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20의 (B)는 우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0의 (c)는 좌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1은 실시예 1의 핸들의 설명도로서, 도 21의 (a)는 우측 앞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1의 (b)는 좌측 앞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21의 (c)는 좌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1의 (d)는 우측 뒤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21의 (e)는 전방에서 본 도면, 도 21의 (f)는 도 21의 (e)의 화살표 XXIF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1의 (g)는 도 21의 (e)의 화살표 XXIG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1의 (h)는 도 21의 (e)의 화살표 XXIH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1의 (i)는 도 21의 (e)의 화살표 XXII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1의 (j)는 도 21의 (i)의 화살표 XXIJ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2는 실시예 1의 카트리지 셔터의 설명도로서, 도 22의 (a)는 경사 상방 에서 본 사시도, 도 22의 (b)는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22의 (c)는 평면도, 도 22의 (d)는 도 22의 (c)의 화살표 XXIID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2의 (e)는 도 22의 (c)의 화살표 XXIIE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2의 (f)는 도 22의 (c)의 화살표 XXIIF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2의 (g)는 도 22의 (c)의 화살표 XXIIG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2의 (h)는 도 22의 (g)의 화살표 XXIIH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3은 실시예 1의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아지테이터의 회전축의 설명도로서, 도 23의 (a)는 사시도, 도 23의 (b)는 도 23의 (a)의 화살표 XXIIIB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24는 실시예 1의 아지테이터의 반송 부재 본체의 일례로서의 필름 부재의 설명도.
도 25는 실시예 1의 반송 부재용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기어의 6면도로서, 도 25의(a)는 측면도, 도 25의 (b)는 도 25의 (a)의 화살표 XXVB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5의 (c)는 도 25의 (a)의 화살표 XXVC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5의 (d)는 도 25의 (a)의 화살표 XXVD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5의 (e)는 도 25의 (a)의 화살표 XXVE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5의 (f)는 도 25의 (e)의 화살표 XXVF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6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방법의 설명도로서, 도 26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에 착탈되는 도중의 설명도, 도 26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의 안까지 삽입된 삽입 위치에서의 설명도, 도 26의 (c)는 카트리지 수용 용기가 내측으로 회동하여 수용된 수용 위치에서의 설명 도, 도 26의 (d)는 도 26의 (c)에 나타내는 상태에 대해서 토너 카트리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수용 용기
31g : 개구
31t : 배출구
33 : 타단측 지지 부재
51 : 반송 부재
52 : 회전 중심
52 : 회전축
53 : 반송 부재 본체
61 : 반송 부재용 구동 전달 부재
F : 정착기
Gy, Gm, Gc, Gk : 현상 장치
Py, Pm, Pc, Pk : 상 유지체
S : 매체
T1y, T1m, T1c, T1k : 전사기
TCy, TCm, TCc, TCk : 현상제 수용기
U : 화상 형성 장치

Claims (11)

  1. 수평 방향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가지며, 수평 방향의 폭이 연직(鉛直) 방향의 높이에 비해서 큰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수용 용기와,
    회전 중심이 상기 배출구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수용 용기의 일단(一端)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수용 용기 내부의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상기 반송 부재의 단부(端部)에 지지되어, 상기 반송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전달 부재, 및
    타단측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수용 용기와 구획되는 폐기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부재측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의 일단벽과는 다른 타단측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를 막고 또한 상기 반송 부재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타단측 지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수용 용기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반송 부재 본체를 갖는 상기 반송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5.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潛像)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보급되는 새로운 현상제가 수용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기와,
    상기 현상 장치에서 현상된 가시상을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기와,
    상기 매체에 전사된 가시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潛像)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보급되는 새로운 현상제가 수용된 제 3 항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기와,
    상기 현상 장치에서 현상된 가시상을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기와,
    상기 매체에 전사된 가시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의 잠상(潛像)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보급되는 새로운 현상제가 수용된 제 4 항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기와,
    상기 현상 장치에서 현상된 가시상을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기와,
    상기 매체에 전사된 가시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배출구 형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의 상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단면은,
    상기 배출구의 주변으로 만곡(彎曲) 형상을 갖고,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 중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배출구의 반대측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형성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유입구와 접속하는 평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KR1020080042239A 2007-05-15 2008-05-07 현상제 수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30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29343 2007-05-15
JP2007129343A JP5130783B2 (ja) 2007-05-15 2007-05-15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689A KR20080101689A (ko) 2008-11-21
KR101030554B1 true KR101030554B1 (ko) 2011-04-21

Family

ID=4002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239A KR101030554B1 (ko) 2007-05-15 2008-05-07 현상제 수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873308B2 (ko)
JP (1) JP5130783B2 (ko)
KR (1) KR101030554B1 (ko)
CN (1) CN101308348B (ko)
AU (1) AU2007242927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5959B2 (ja) * 2007-05-07 2010-12-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036920A (ja) 2007-07-31 2009-02-1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8103195B2 (en) * 2007-12-20 2012-01-24 Ricoh Company, Ltd. Toner agitating unit, toner hopp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86851B2 (ja) * 2007-12-27 2010-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32336B2 (ja) * 2008-06-20 2013-11-0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00189471A1 (en) * 2009-01-29 2010-07-2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llect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8634743B2 (en) * 2009-03-27 2014-01-21 Fuji Xerox Co., Ltd. Detachable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007942A (ja) 2010-06-23 2012-01-12 Fuji Xerox Co Ltd 位置測定装置
JP5998430B2 (ja) * 2011-04-26 2016-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20981B2 (ja) * 2012-02-02 2014-06-11 シャープ株式会社 中間ホッパー及び画像形成装置
JP5520980B2 (ja) 2012-02-02 2014-06-11 シャープ株式会社 中間ホッパー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4017357A1 (ja) * 2012-07-24 2014-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20728B2 (ja) * 2012-07-24 2014-02-1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66284B2 (ja) * 2012-12-07 2017-01-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9317009B2 (en) * 2014-02-19 2016-04-19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an externally readable monitoring module on a rotating customer replaceable component in an operating device
JP6888447B2 (ja) 2017-07-11 2021-06-16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9976A (en) * 1994-04-08 1996-02-06 Ricoh Company, Ltd. Toner replenishing device for a developing devic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6088561A (en) * 1996-10-22 2000-07-11 Ricoh Company, Ltd. Toner cartridge, image formation apparatus comprising toner cartridge, and method of recycling the toner cartridge
US20010038762A1 (en) * 1997-06-19 2001-11-08 Yutaka Ban Ton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579A (ja) * 1988-11-25 1990-06-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現像装置
JPH07113796B2 (ja) 1990-10-01 1995-12-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供給装置におけ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4293067A (ja) * 1991-03-22 1992-10-16 Ricoh Co Ltd 現像装置
US5402216A (en) 1992-12-28 1995-03-28 Mita Industrial Co., Ltd. Mechanism for opening/closing a toner falling aperture
JP3271848B2 (ja) 1994-04-15 2002-04-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トナーボックス
JP3141317B2 (ja) * 1995-04-05 2001-03-0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が着脱自在に装着される現像装置
JP3227394B2 (ja) * 1996-10-25 2001-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JPH1184846A (ja) 1997-09-04 1999-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一成分現像装置
JP3524810B2 (ja) * 1998-12-15 2004-05-10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を備えた現像装置
JP3885439B2 (ja) * 1999-12-24 2007-02-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747720B2 (ja) 1999-12-24 2006-02-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2002040786A (ja) * 2000-07-28 2002-02-06 Seiko Epson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2268344A (ja) * 2001-03-06 2002-09-18 Fuji Xerox Co Ltd 現像剤補給装置
JP4323818B2 (ja) * 2003-01-22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4276994B2 (ja) * 2004-11-15 2009-06-1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08079B2 (ja) * 2005-04-28 2011-06-2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7298908A (ja) * 2006-05-08 2007-11-15 Fuji Xerox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
JP4910775B2 (ja) * 2007-02-28 2012-04-0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9976A (en) * 1994-04-08 1996-02-06 Ricoh Company, Ltd. Toner replenishing device for a developing devic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6088561A (en) * 1996-10-22 2000-07-11 Ricoh Company, Ltd. Toner cartridge, image formation apparatus comprising toner cartridge, and method of recycling the toner cartridge
US20010038762A1 (en) * 1997-06-19 2001-11-08 Yutaka Ban Toner supply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76063A1 (en) 2011-03-31
US8055164B2 (en) 2011-11-08
JP5130783B2 (ja) 2013-01-30
JP2008286861A (ja) 2008-11-27
CN101308348A (zh) 2008-11-19
KR20080101689A (ko) 2008-11-21
US20080286014A1 (en) 2008-11-20
CN101308348B (zh) 2011-06-22
AU2007242927A1 (en) 2008-12-04
US7873308B2 (en) 2011-01-18
AU2007242927B2 (en)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554B1 (ko) 현상제 수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4595959B2 (ja) 現像剤補給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30784B2 (ja)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175607B2 (en) Developer container including a convex portion, a rotator, and a recess
JP2008276139A5 (ko)
US8594539B2 (en) Outlet recess for a powder contain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00133304A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US2012009988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2237112B1 (en) Developer storing body,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495697B1 (ko) 착탈체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9098547A (ja)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129336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