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697B1 - 착탈체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체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697B1
KR101495697B1 KR20110047215A KR20110047215A KR101495697B1 KR 101495697 B1 KR101495697 B1 KR 101495697B1 KR 20110047215 A KR20110047215 A KR 20110047215A KR 20110047215 A KR20110047215 A KR 20110047215A KR 101495697 B1 KR101495697 B1 KR 101495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dium
cartridge
detachable
main body
devel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47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2611A (ko
Inventor
요시아키 사카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2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79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maintena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억 매체의 착탈체로부터의 탈락을 저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피(被)착탈 장치(U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착탈체의 본체(TC1)와, 착탈체(TC)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61)와, 상기 착탈체의 본체(TC1)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기억 매체(61)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억 매체의 지지부(51)와, 상기 착탈체의 본체(TC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규제체(72b)이며, 상기 착탈체의 본체(TC1)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기억 매체(61)가 상기 기억 매체의 지지부(51)에 대하여 이탈하는 이탈 방향에 대하여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기억 매체의 상기 이탈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기 규제체(72b)를 구비한 착탈체(TC)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착탈체 및 화상 형성 장치{ATTACHING AND DETACHING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착탈체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소비되는 현상제를 보급하기 위한 현상제의 수용 용기나, 소모하는 부재를 교환, 보수하기 위해 착탈 교환이 가능한 착탈체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현상제의 수용 용기 등의 착탈체에 있어서, 내부의 현상제의 유무나 착탈체의 내부의 회전 부재의 회전 횟수 등의 착탈체에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를 구비한 구성에 관하여, 이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로서의 일본국 특개2004-133481호 공보에는, 토너 카트리지의 입구부(7)를 개폐하는 유연한 수지제의 덮개(11)에, 외주(外周)를 원통 형상의 플랜지부(2)로 둘러싸인 원판 형상의 저부의 중앙으로부터 탭(3)이 연장되어 있으며, 저부에는 IC칩(15)이 탑재된 도넛형의 회로 기판(12)이 지지되고, 탭(3)의 선단에 형성된 덮개 착탈용 구(球) 형상의 부분에서 회로 기판(12)의 빠짐이 방지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4-133481호 공보(「0003」∼「0005」,「0021」∼「0022」, 도 1, 도 18, 도 19)
본 발명은, 기억 매체의 착탈체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1]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착탈체는,
피(被)착탈 장치에 장착되는 착탈체의 본체와,
착탈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와,
상기 착탈체의 본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기억 매체를 지지하는 기억 매체의 지지부와,
상기 착탈체의 본체에 장착되는 규제체이며, 상기 착탈체의 본체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기억 매체가 상기 기억 매체의 지지부에 대하여 이탈하는 궤적 상에 배치되는 상기 규제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착탈체는,
피착탈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착탈체의 본체와,
착탈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와,
상기 착탈체의 본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기억 매체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억 매체의 지지부와,
상기 착탈체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규제체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체가 상기 착탈체의 본체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 매체가 상기 기억 매체의 지지부에 대하여 이탈하는 이탈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1] 또는 [2]에 기재된 착탈체에 있어서,
상기 착탈체는,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 가능한 내부 공간과, 상기 현상제를 상기 내부 공간에 도입 가능한 개구(開口)를 갖고,
상기 규제체는,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4] [1] 또는 [2]에 기재된 착탈체에 있어서,
상기 기억 매체의 지지부에 대하여, 수용체를 통해 지지되는 상기 기억 매체와,
상기 기억 매체의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이탈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수용체이며,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이탈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기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를 상기 이탈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이며, 상기 수용체가 장착된 경우에, 상기 수용체에 수용된 상기 기억 매체의 상기 수용체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상기 안내부를 갖는 상기 기억 매체의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5]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착탈체에 의해 구성된 현상제의 수용 용기와,
상기 현상제의 수용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의해 구성된 상기 피착탈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2], [4],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억 매체가 착탈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규제체와 덮개를 별체(別體)로 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런트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토너 카트리지가 도 3에 나타낸 장착 위치로부터 이탈 가능 위치로 회전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카트리지 홀더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분리된 상태의 요부 설명도.
도 6은 카트리지 홀더에 토너 카트리지가 삽입되고 이탈 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요부 설명도.
도 7은 카트리지 홀더에 삽입된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8은 카트리지 홀더를 좌측 상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1의 카트리지 홀더 및 토너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며, 도 9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홀더에 삽입된 상태의 설명도,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회전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1의 유입구부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0의 (a)는 유입구 셔터가 폐쇄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0의 (b)는 유입구 셔터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 1의 유입구 시일(seal)의 단부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11의 (a)는 단면도, 도 11의 (b)는 사시단면도.
도 12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며, 도 12의 (a)는 좌측 상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12의 (b)는 좌측 하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13은 토너 카트리지를 후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14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의 개폐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4의 (a)는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가 폐쇄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4의 (b)는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5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15의 (a)는 도 12의 (a)의 XVA-XVA선 단면도,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유출구 부분의 요부 확대도.
도 16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12의 (a)의 XVI-XVI선 단면도.
도 17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기억 매체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7의 (a)는 카트리지 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설명도, 도 17의 (b)는 카트리지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설명도.
도 18은 토너 카트리지의 기억 매체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8의 (a)는 측면도, 도 18의 (b)는 좌측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18의 (c)는 좌측 후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18의 (d)는 도 18의 (a)의 XVIIID-XVIIID선 단면도.
도 19는 카트리지 본체의 기억 매체의 지지부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9의 (a)는 측면도, 도 19의 (b)는 좌측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19의 (c)는 좌측 후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19의 (d)는 도 19의 (a)의 XIXD-XIXD선 단면도.
도 20은 기억 매체의 설명도이며, 도 20의 (a)는 기억 매체가 수용체에 지지된 상태의 측면도, 도 20의 (b)는 기억 매체가 수용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 도 20의 (c)는 기억 매체가 수용체에 지지된 상태를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20의 (d)는 기억 매체가 수용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20의 (e)는 도 20의 (a)의 이면측에서 본 도면, 도 20의 (f)는 도 20의 (b)의 이면측에서 본 도면.
도 21은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21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b)는 도 21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c)는 도 21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측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d)는 도 21의 (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측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e)는 도 21의 (d)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측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f)는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는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22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b)는 도 22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c)는 도 22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측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d)는 도 22의 (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측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e)는 도 22의 (d)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측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f)는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3은 시일끼리의 단부의 설명도이며, 도 23의 (a)는 실시예 1의 시일의 설명도, 도 23의 (b)는 종래의 시일의 설명도.
도 24는 실시예 1의 회수 홈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24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4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를 향해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체적인 예로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낸 방향 또는 나타낸 측을 각각, 전방, 후방, 우방, 좌방, 상방, 하방, 또는 전측, 후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紙面)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안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 있어서, 용이한 이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당하게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U)에서는, 전면(前面) 하부에, 매체의 일례로서의 기록 시트(S)가 수용되는 급지부의 일례로서의 급지 트레이(TR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U)의 상면에는, 화상이 기록된 시트(S)가 배출되는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배출 트레이(TR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 우부에는, 후술하는 착탈체의 일례이며, 현상제의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TC)를 조작할 때에, 개폐되는 개폐부의 일례로서의 프런트 커버(U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프린터(U)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일례로서의 프린터 본체(U1)를 갖고 있다. 상기 프린터 본체(U1)는, 제어부의 일례로서의 컨트롤러(C)와,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화상 처리부(GS), 잠상 형성 회로의 일례로서의 레이저 구동 회로(DL), 및 전원 장치(E) 등을 갖고 있다. 전원 장치(E)는, 대전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CR), 현상 부재의 일례로서의 현상 롤러(Ga) 및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러(Tr) 등에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화상 처리부(GS)는, 외부의 정보 송신 장치의 일례로서의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된 인쇄 정보를 잠상 형성용 화상 정보로 변환해서 미리 설정된 시기, 즉 타이밍에 레이저 구동 회로(DL)에 출력한다. 레이저 구동 회로(DL)는, 입력된 화상 정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잠상 형성 장치(LH)에 출력한다. 실시예 1의 잠상 형성 장치(LH)는, 좌우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잠상 기입 소자의 일례로서의 LED가 선(線) 형상으로 배치된 장치, 소위 LED 헤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 본체(U1)의 후부(後部)에는, 회전하는 상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감광체(PR)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PR)의 주위에는, 감광체(PR)의 회전 방향을 따라, 대전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CR), 잠상 형성 장치(LH), 현상 장치(G), 전사기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Tr), 상 유지체용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감광체 클리너(CL)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상기 대전 롤(CR)에는, 대전 롤(CR) 표면을 청소하는 대전기용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 클리너(CRc)가 대향, 접촉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 장치(G)는,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 용기(V)를 갖는다. 상기 현상 용기(V) 내에는, 감광체(PR)에 대향해서 배치된 상기 현상 롤(Ga)과,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순환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부재(Gb, Gc)와, 반송 부재(Gb, Gc)에 의해 교반된 현상제를 현상 롤(Ga)에 공급하는 공급 부재(Gd)와, 현상 롤(Ga) 표면의 현상제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층 두께 규제 부재(Ge)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현상 용기(V)의 전측 상면에는, 보급부의 일례로서의 현상제 보급구(V1)가 형성되어 있고, 현상제 보급구(V1)에는, 현상제 반송로의 일례로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현상제 보급로(V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보급로(V3) 내부에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보급 오거(V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보급로(V3)의 전단(前端)에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착탈부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홀더(KH)가 연결되어 있어, 토너 카트리지(TC)로부터의 현상제가 유입된다. 따라서, 현상 장치(G)에서의 현상제의 소비량에 따라, 보급 오거(V4)가 구동하면, 토너 카트리지(TC)로부터 현상제가 현상 장치(G)에 보급된다.
회전하는 감광체(PR)의 표면은, 대전 영역(Q1)에 있어서 대전 롤(CR)에 의해 대전되고, 잠상 형성 위치(Q2)에 있어서 잠상 형성 장치(LH)로부터 출사되는 잠상 형성 광에 의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정전 잠상은 현상 영역(Q3)에 있어서 현상 롤(Ga)에 의해 가시상의 일례로서의 토너 상으로 현상되고, 감광체(PR) 및 전사 롤(Tr)의 대향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영역(Q4)에 있어서 전사 롤(Tr)에 의해 매체의 일례로서의 기록 시트(S)에 전사된다. 감광체(PR) 표면의 잔류 토너는, 전사 영역(Q4)의 하류측의 청소 영역의 일례로서의 클리닝 영역(Q5)에 있어서 청소 부재의 일례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CB)에 의해 제거되어, 감광체 클리너(CL) 내부에 회수된다.
또한,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CB)의 대향하는 측에는 비산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필름 시일(FS)이 설치되어 있고, 필름 시일(FS)은 감광체 클리너(CL) 내에 회수된 토너가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 있어서, 프린터 본체(U1)의 하부에는, 급지 트레이(TR1)에는, 매체 취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픽업 롤(Rp)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픽업 롤(Rp)에 의해 취출된 기록 시트(S)는, 매체 취급 부재의 일례로서의 리타드 롤 및 급지 롤을 갖는 취급 롤(Rs)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서, 시트 반송로(SH)를 따라 반송되고, 전사 영역(Q4)의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된 시기 조절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에 의해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전사 영역(Q4)에 반송된다.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전원 장치(E) 등으로부터 전사 전압이 인가되는 전사 롤(Tr)은, 전사 영역(Q4)을 통과하는 기록 시트(S)에 감광체(PR) 위의 토너 상을 전사한다.
상기 전사 영역(Q4)에 있어서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 시트(S)는, 토너 상이 미정착의 상태로 정착 장치(F)에 반송된다. 상기 정착 장치(F)는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한 쌍의 정착 롤(Fh, Fp)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정착 롤(Fh, Fp)의 압접 영역에 의해 정착 영역(Q6)이 형성된다. 상기 정착 장치(F)에 반송된 기록 시트(S)는, 정착 영역(Q6)에 있어서 한 쌍의 정착 롤(Fh, Fp)에 의해 토너 상이 정착된다. 정착 토너 상이 형성된 기록 시트(S)는, 매체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의 시트 가이드(SG1, SG2)에 의해 가이드되어,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롤(R1)로부터 프린터 본체(U1) 상면의 상기 배출 트레이(TRh)에 배출된다.
(카트리지 홀더(KH)의 설명)
도 3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런트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는 토너 카트리지가 도 3에 나타낸 장착 위치로부터 이탈 가능 위치로 회전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 도 3, 도 4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프린터(U)의 프런트 커버(U1a)를, 도 1에 나타낸 통상 위치로부터, 도 3, 도 4에 나타낸 조작 위치에 이동시키면, 현상제의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TC) 및 토너 카트리지(TC)가 지지되는 용기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홀더(KH)가 외부에 노출된다.
도 5는 카트리지 홀더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분리된 상태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 홀더에 토너 카트리지가 삽입되고 이탈 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7은 카트리지 홀더에 삽입된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 홀더를 좌측 상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이다.
도 3, 도 4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홀더(KH)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일례이며, 피착탈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 본체(U1)에 지지되어 있고, 전면 부재의 일례로서의 프런트 패널(1)을 갖는다. 상기 프런트 패널(1)에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착탈되는 원형 구멍 형상의 개구(1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a)의 하단에는, 개폐 부재의 통과부의 일례로서, 하방으로 오목한 셔터 통과부(1b)가 형성되고, 개구(1a)의 좌방에는, 노치 형상의 돌출부 통과부(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 도 8에 있어서, 프런트 패널(1)의 내부에는, 용기 지지부의 본체의 일례로서의 홀더 본체(2)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홀더 본체(2)는, 착탈체의 수용부의 일례로서, 카트리지 착탈 방향인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원통 형상의 오목부에 의해 구성된 카트리지 수용부(3)를 갖는다.
도 9는 실시예 1의 카트리지 홀더 및 토너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며, 도 9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홀더에 삽입된 상태의 설명도,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로 회전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카트리지 수용부(3)는, 원판 형상의 후단벽(3a)과, 후단벽(3a)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벽(筒壁)(3b)을 갖는다. 상기 후단벽(3a)의 중앙부에는,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구동 커플링(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 ~ 도 9에 있어서, 상기 통벽(3b)의 우상부에는, 판독 지지부의 일례로서, 통벽(3b)의 내주면(3c)에 대하여 우방 및 우상방으로 오목한 리더(reader) 지지부(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더 지지부(8)에는, 정보의 판독 기입 장치의 일례로서, 정보를 송수신하고, 정보의 판독, 기입이 가능한 CRUM 리더(9)가 지지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상기 CRUM 리더(9)는, 접촉 단자의 일례로서, 통벽(3b)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판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 커넥터(9a)를 갖는다.
도 5 ~ 도 9에 있어서, 상기 통벽(3b)의 하부에는, 개폐 수용부의 일례로서, 통벽(3b)의 내주면(3c)에 대하여 하방, 즉 통벽(3b)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셔터 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8에 있어서, 상기 셔터 수용부(11)의 저부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오목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1a)에는, 식별부의 일례로서, 본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구성된 본체측의 하드 키(1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셔터 수용부(11)의 우측면에는, 이동 규제부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좌방으로 단차 형상으로 형성된 백래시 채움부(backlash stuffing section)(1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상기 셔터 수용부(11)의 좌측면에는, 정지부의 일례로서,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면(1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면(11d)의 하방에는, 낙하한 현상제의 수용부의 일례로서, 하방으로 오목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된 토너 포켓(11e)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토너 포켓(11e)의 전후 방향의 폭은, 후술하는 토너 카트리지(TC)의 유출구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5 ~ 도 9에 있어서, 상기 통벽(3b)의 좌부(左部)에는, 돌출부의 수용부의 일례로서, 통벽(3b)의 내주면(3c)에 대하여 좌방, 즉 통벽(3b)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원호 형상의 돌출부의 수용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실시예 1의 유입구부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0의 (a)는 유입구 셔터가 폐쇄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0의 (b)는 유입구 셔터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 도 8에 있어서, 상기 통벽(3b)의 셔터 수용부(11)와 돌출부 수용 오목부(12) 사이에는, 통벽(3b)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유입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10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부(13)에는,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 전후 한 쌍의 셔터 가이드(13a, 13b)가 형성되어 있고, 셔터 가이드(13a, 13b) 사이에는, 유입구의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유입구 셔터(14)가 통벽(3b)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 도 8, 도 10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부(13)는, 상기 셔터 가이드(13a, 13b) 사이에 형성되고, 통벽(3b)의 내주면(3c)보다 한 단계 낮고, 또한 셔터 수용부(11)의 오목부(11a)의 상면에 대하여 한 단계 높은 단차 형상으로 형성된 유입면(13c)을 갖는다.
도 8 ~ 도 10에 있어서, 상기 유입면(13c)에는, 유입구(13d)가 형성되어 있고, 유입구부(13)에는, 유입구(13d)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유입로(13e)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로(13e)의 하단은, 상기 현상제 보급로(V3)의 상류단에 접속되어 있다.
도 11은 실시예 1의 유입구 시일의 단부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11의 (a)는 단면도, 도 11의 (b)는 사시단면도이다.
도 9, 도 10, 도 11에 있어서, 상기 유입면(13c)의 상면에는, 제 1 누출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 유입구(13d)에 대응하는 개구(15a)가 형성된 유입구 시일(15)이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유입구 시일(15)은, 탄성 재료의 일례로서의 우레탄 고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유입면(13c)과 유입구 셔터(14) 사이에 끼워져서 탄성 변형하고, 유입면(13c)과 유입구 셔터(14)의 극간을 막아,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한다. 도 11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유입구 시일(15)의 우단부는, 스토퍼면(11d)보다 우방으로 돌출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경사면의 일례로서의 유입구 시일(15)의 우단면(15b)은,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고, 하방으로 감에 따라 좌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우단면(15b)은, 중력 방향 및 원통면(3b)의 직경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도 5 ~ 도 8에 있어서, 카트리지 수용부(3)에는, 구동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 좌방으로 연장되는 모터 지지 플레이트(16)가 지지되어 있고, 모터 지지 플레이트(16)에는, 구동원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모터(17)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모터 지지 플레이트(16)의 하방에는, 전달계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기어 지지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 지지부(18)에는, 카트리지 모터(17)로부터의 구동을, 구동 커플링(4)이나 보급 오거(V4) 등에 전달하는 도시 생략한 복수의 치차를 갖는 치차열(齒車列), 소위 기어열이 지지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설명)
도 12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며, 도 12의 (a)는 좌측 상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12의 (b)는 좌측 하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토너 카트리지를 후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의 개폐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4의 (a)는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가 폐쇄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4의 (b)는 토너 카트리지의 셔터가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15의 (a)는 도 12의 (a)의 XVA-XVA선 단면도, 도 15의 (b)는 도 15의 (a)의 유출구 부분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12의 (a)의 XVI-XVI선 단면도이다.
도 5 ~ 도 16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홀더(KH)에 착탈되는 토너 카트리지(TC)는, 현상제의 용기 본체의 일례이며, 착탈체의 본체의 일례로서, 삽입 방향, 즉 착탈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갖는 원통 형상의 카트리지 본체(TC1)와, 덮개 부재의 일례로서, 카트리지 본체(TC1)의 전단을 막는 카트리지 커버(TC2)를 갖는다.
상기 카트리지 본체(TC1)는, 삽입 방향의 전방, 즉 전후 방향의 후단에 형성된 저벽의 일례로서의 원판 형상의 후단벽(22)과, 후단벽(2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벽(23)으로 이루어지는 통부(筒部)(22+23)를 갖는다. 도 16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 본체(TC1)의 전단에는, 카트리지 커버(TC2)로 막히는 개구(23a)가 형성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TC1)와 카트리지 커버(TC2)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현상제의 수용부의 일례로서, 현상 장치(G)에 보급되는 새로운 현상제가 수용되는 토너 카트리지(TC)의 내부 공간(TC3)이 구성되어 있다.
도 13, 도 16에 있어서, 상기 후단벽(22)의 중앙부에는, 전측으로 오목한 원통 형상의 전달 수용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전달 수용부(22a)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2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용부(22a)에는, 누출 방지용 부재의 일례로서의 커플링 시일(24)을 통해, 피전달 부재의 일례로서, 구동 커플링(4)에 맞물리는 종동 커플링(25)이 개구(2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종동 커플링(25)은, 토너 카트리지(TC)가 카트리지 홀더(KH)에 장착되었을 경우에, 구동 커플링(4)에 맞물려, 구동이 전달된다.
도 16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TC)의 내부 공간(TC3)에는,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후술하는 유출구(31a)로 반송하는 카트리지 오거(26)가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오거(2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26a)를 갖고, 축부(26a)의 후단은, 종동 커플링(25)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본체(TC1) 및 카트리지 커버(TC2)의 외표면에는, 돌출부의 일례이며, 연동 폐쇄부의 일례로서,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27)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리브(27)는, 돌출부 수용 오목부(12)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TC)가 카트리지 수용부(3)에 장착된 상태에서 돌출부 수용 오목부(12)에 수용되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구 셔터(14)의 좌상단면에 인접한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9, 도 12 ~ 도 15에 있어서, 통벽(23)의 하단부에는, 셔터 수용부(11)에 대응하고, 통벽(23)의 외주면(23a)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인 하방으로 돌출하는 유출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도 13에 있어서, 유출구부(31)에는, 유출구의 일례로서, 통벽(23)의 내면과 외면을 접속하는 유출구(3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31a)는, 도 9의 (b)에 나타낸 장착 위치에 있어서 유입구(13d)에 접속된다. 실시예 1의 유출구(31a)는, 도 9,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벽(23)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고, 도 9의 (b)에 나타낸 장착 위치에 있어서, 유출구(31a)가 중력 방향 하방에 가까운 경사 각도로 된다. 따라서, 경사 각도가 수평에 가까울 경우, 즉 경사 각도가 얕을 경우에 비해, 유출구(31a)로부터 유출하는 현상제가 유출구(31a)의 벽면에 부착, 퇴적하기 어려워져, 막히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도 9, 도 14의 (b), 도 15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유출구부(31)에는, 오목부의 일례로서, 통부(22+2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유출구(31a)의 양측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회수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회수 홈(32)은, 도 9, 도 15의 (b)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감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회수 홈(32)의 외단(外端)은, 시계 방향의 하류부(32a)에 있어서, 유출구부(31)의 외주면(31b)에 대한 각도가 예각으로 설정되어 있고, 시계 방향의 상류부(32b)에 있어서, 외주면(31b)에 대한 각도가 둔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회수 홈(32)의 전후 방향의 폭은, 유출구(31a)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유출구(31a)의 전후 방향의 폭의 전역(全域)을 커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9, 도 14의 (b), 도 15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유출구부(31)에서는, 유출구(31a)의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외주면(31b)보다 직경 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 프레임(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TC)에서는, 돌출 프레임(33)의 외단에 비해, 회수 홈(32)의 외단(32a, 32b)이, 직경 방향에서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5의 (b)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유출구부(31)에서는, 누출 안내부의 일례로서, 시계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에는,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 직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시일 가이드면(3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유출구부(31)의 둘레 방향의 하류단은, 소위 모따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출구(31a)의 둘레 방향의 양 단부나, 회수 홈(32)의 둘레 방향의 양 단부에도, 시일 가이드면(34)과 마찬가지로, 모따기된 형상의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 ~ 도 15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유출구부(31)에는, 개폐 안내부의 일례로서, 전후 양 단부에,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통벽(2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카트리지 셔터 가이드(36)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9, 도 12 ~ 도 15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부(31)에는,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 유출구(31a)를 개폐하는 카트리지 셔터(41)가 지지되어 있다. 카트리지 셔터(41)는, 유출구부(31)의 외주면(31b)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 통벽 형상의 셔터 본체(42)를 갖고, 셔터 본체(42)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셔터 수용부(11)의 길이에 대응해서 설정되어 있다. 셔터 본체(42)의 전후 양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43)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43)에는, 카트리지 셔터 가이드(36)의 상면에 접촉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안내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셔터(41)는, 도 14의 (a)에 나타낸 유출구(31a)가 폐쇄된 폐쇄 위치와, 도 14의 (b)에 나타낸 유출구(31a)가 개방된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9, 도 15의 (a)에 있어서, 셔터 본체(42)의 우단부에는, 피규제부의 일례로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우벽(右壁)(44)이 형성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TC)가 카트리지 홀더(KH)에 장착된 상태에서, 백래시 채움부(11c)에 우벽(44)이 대향하고, 토너 카트리지(TC)의 회전시, 특히 도 9의 (b)에 나타낸 장착 위치의 일례로서의 로크 위치로부터 도 9의 (a)에 나타낸 이탈 가능 위치의 일례로서의 언로크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에, 백래시 채움부(11c)와 우벽(44)이 접촉하여, 카트리지 셔터(41)의 좌우 방향의 이동량, 소위 유격이나 백래시라 불리는 만큼의 이동이, 백래시 채움부(11c)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비해, 저감된다.
도 12의 (b)에 있어서, 셔터 본체(42)의 외면(42a)에는, 셔터 수용부(11)의 오목부(11a)에 대응해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볼록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의 (b)에 있어서, 볼록부(46)에는, 피식별부의 일례로서, 본체측의 하드 키(11b)에 대응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된 카트리지측의 하드 키(46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측의 하드 키(11b)의 개수 및 길이와, 카트리지측의 하드 키(46a)의 오목부의 형상이 일치할 경우에는, 하드 키(11b, 46a)끼리가 간섭하지 않고,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되어, 프린터(U)에 대응하는 토너 카트리지(TC)라고 식별된다. 한편, 본체측의 하드 키(11b)의 개수 및 길이와, 카트리지측의 하드 키(46a)의 오목부의 형상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하드 키(11b, 46a)끼리가 간섭하여, 토너 카트리지(TC)를 안쪽까지 삽입할 수 없어, 프린터(U)에 대응하지 않는 토너 카트리지(TC)라고 식별된다.
도 9, 도 15에 있어서, 상기 셔터 본체(42)와, 유출구부(31) 사이에는, 제 2 누출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 유출구(31a)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유출구 시일(47)이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유출구 시일(47)은, 셔터 본체(42)의 내면에 붙여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유출구 시일(47)은, 탄성 재료의 일례로서 우레탄 고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유출구 시일(47)의 상면은, 카트리지 홀더(KH)에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된 상태에서, 유입구 시일(15)의 상면에 대응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도 15의 (b)에 있어서, 유출구 시일(47)은, 카트리지 셔터(41)가 폐쇄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유출구부(31)에 탄성 변형된 상태로 접촉하도록 두께가 설정되어 있어서, 유출구(31a) 및 회수 홈(32)이 밀폐되어, 현상제의 누출이 방지되어 있다.
도 15의 (b)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유출구 시일(47)은, 둘레 방향의 끝, 즉 좌단이 카트리지 셔터(41)의 좌단보다 좌방으로 돌출하도록 둘레 방향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유출구 시일(47)의 좌단면(47a)에는, 제 2 경사면의 일례로서,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고, 유입구 시일(15)의 우단면(15b)에 대응해서, 하방으로 감에 따라 좌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좌단면(47a)은, 중력 방향 및 통벽(23)의 직경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각 시일(15, 47)은, 탄성 변형하지 않는 자유 길이의 상태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에 따른 합계의 길이가,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되어서 카트리지 셔터(41)의 우벽(44)과 백래시 채움부(11c)가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충분하게 길게 설정되어 있다. 즉, 토너 카트리지(TC)가 카트리지 홀더(KH)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시일(15, 47)의 단면(端面)(15b, 47a)끼리가 탄성 변형된 상태로 둘레 방향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로 접촉하여, 시일(15, 47)끼리의 사이에 극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7은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의 기억 매체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7의 (a)는 카트리지 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설명도, 도 17의 (b)는 카트리지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설명도이다.
도 18은 토너 카트리지의 기억 매체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8의 (a)는 측면도, 도 18의 (b)는 좌측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18의 (c)는 좌측 후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18의 (d)는 도 18의 (a)의 XVIIID-XVIIID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카트리지 본체의 기억 매체의 지지부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19의 (a)는 측면도, 도 19의 (b)는 좌측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19의 (c)는 좌측 후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19의 (d)는 도 19의 (a)의 XIXD-XIXD선 단면도이다.
도 9, 도 13, 도 17 ~ 도 19에 있어서, 카트리지 본체(TC1)의 외표면에는, 기억 매체의 지지부의 일례로서, CRUM 리더(9)에 대응하여, CRUM 지지부(51)가 지지되어 있다. 도 17의 (b), 도 18, 도 19에 있어서, CRUM 지지부(51)는, 제 1 안내부의 일례로서, 둘레 방향의 양쪽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52)을 갖는다. 가이드 레일(52)끼리의 사이에는, 제 2 안내부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에 의해 구성된 가이드 리브(5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52) 및 가이드 리브(53)의 후방에는, 고정부의 일례로서의 스냅 피트 고정부(54)가 배치되어 있다. 도 18의 (d), 도 19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냅 피트 고정부(54)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54a)와, 고정부 본체의 일례로서, 관통구(54a)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클로(claw) 형상의 고정 클로(54b)를 갖는다.
도 17 ~ 도 19에 있어서, 카트리지 본체(TC1)의 전단부의 외표면에는, 규제체의 고정부의 일례로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클로부(56)가 둘레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20은 기억 매체의 설명도이며, 도 20의 (a)는 기억 매체가 수용체에 지지된 상태의 측면도, 도 20의 (b)는 기억 매체가 수용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 도 20의 (c)는 기억 매체가 수용체에 지지된 상태를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20의 (d)는 기억 매체가 수용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전방에서 비스듬히 본 설명도, 도 20의 (e)는 도 20의 (a)의 이면측에서 본 도면, 도 20의 (f)는 도 20의 (b)의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 ~ 도 20에 있어서, 상기 CRUM 지지부(51)에는, 기억 매체의 일례로서의 CRUM(61)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CRUM(61)은, 기억 소자 등의 전기 회로의 소자(61a)가 배치된 평판 형상의 기판(61b)과, CRUM 리더(9)의 커넥터(9a)에 대응해서 기판(61b)의 외표면에 형성된 단자부(61c)를 갖고, 단자부(61c)가 CRUM 리더(9)의 커넥터(9a)에 접촉하면,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해져, 소자(61a)에 기억된 토너 카트리지(TC)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현상제가 비어있는지의 여부의 정보나 카트리지 오거(26)의 회전 횟수 등의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1의 CRUM(61)은, CRUM 지지부(51)에 대하여, 수용체의 일례로서의 CRUM 홀더(62)를 통해 지지된다. CRUM 홀더(62)는, CRUM(61)의 기판(61b)의 주위를 둘러싸는 크기로 형성된 프레임 형상의 홀더 본체(63)를 갖는다. 홀더 본체(63)는, 전측의 전부(前部)(63a)와, 전부(63a)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부(63b) 및 우부(63c)와, 좌부(63b) 및 우부(63c)의 후단끼리를 접속하는 후부(63d)를 갖는다. 상기 좌부(63b) 및 우부(63c)의 외표면에는, 피안내부의 일례로서, 가이드 레일(52)에 대응해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피가이드부(64)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52)에 피가이드부(64)가 안내됨으로써, CRUM 홀더(62)가 카트리지 본체(TC1)에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52)의 연장선 상이, CRUM 홀더(62)의 이동 궤적으로 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피가이드부(64)는, CRUM 홀더(62) 전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전후 방향의 길이가 필요 최소한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좌부(63b) 및 우부(63c)의 내표면에는, 매체 유지부의 일례로서, 내측으로 돌출해서 CRUM(61)의 기판(61b)의 이면측을 지지하는 CRUM 유지부(66)가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우부(63c)는, 전부(63a), 좌부(63b) 및 후부(63d)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CRUM(61)은, CRUM 홀더(62)의 내측, 즉 CRUM 지지부(51)의 가이드 리브(53)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삽입시에, CRUM 유지부(66)에 접촉한 상태에서 더 압입함으로써, CRUM 홀더(62)를 탄성 변형시켜서 장착된다. CRUM 유지부(66)에 지지되면, 기판(61b)이 좌부(63b) 및 우부(63c)에서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됨과 함께, 전부(63a) 및 후부(63d)에서 외측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후부(63d)에는, 피고정부의 일례로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스냅 피트 고정부(54)의 관통구(54a)의 내부에 삽입 가능한 스냅 피트 피고정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스냅 피트 피고정부(68)에는, 고정 클로(54b)가 끼워지는 피고정 구멍(68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7 ~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CRUM(61)은, CRUM 홀더(62)에 내측으로부터 삽입되어서 장착됨과 함께, 피가이드부(64)가 가이드 레일(52)에 가이드되어서 전방으로부터 CRUM 지지부(51)에 삽입된다. 그리고, 스냅 피트 피고정부(68)나 고정 클로(54b)가 탄성 변형하여, 스냅 피트 피고정부(68)의 피고정 구멍(68a)에 스냅 피트 고정부(54)의 고정 클로(54b)가 끼워짐으로써, CRUM 홀더(62)가 CRUM 지지부(51)에 고정된다.
도 5 ~ 도 7, 도 12, 도 14, 도 16, 도 17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카트리지 커버(TC2)는, 원판 형상 전벽(前壁)(71)과, 통부의 일례로서 전벽(71)의 외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커버 통부(72)를 갖는다. 도 16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카트리지 커버(TC2)는, 통벽(23)의 전단과의 사이에 배치된 누출 방지용 부재의 일례로서의 커버 시일(73)을 통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벽(71)에는, 조작부의 일례로서, 전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74)이 형성되어 있고, 핸들(74)의 상하 양측에는, 조작 오목부의 일례로서, 조작자가 손가락을 넣기 위해 토너 카트리지(TC)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오목한 반원추 형상의 핸들 오목부(7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있어서, 상기 핸들(74)의 중앙부에는, 축 지지부의 일례로서, 토너 카트리지(TC)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오목한 원형 구멍 형상의 구덩이 형상의 베어링부(74a)가 형성되어 있고, 카트리지 오거(26)의 축부(26a)의 전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7, 도 18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카트리지 커버(TC2)의 커버 통부(72)에는, 규제체의 피고정부의 일례로서, 클로부(56)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구(7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카트리지 커버(TC2)의 커버 통부(72)의 후단에는, 규제체의 일례로서, CRUM 홀더(62) 전측에 인접,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CRUM 홀더(62)의 전방, 즉 빠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링 형상의 빠짐 방지부(72b)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프린터(U)에서는, 카트리지 홀더(KH)에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될 경우, 유출구부(31) 및 카트리지 셔터(41)의 위치가 셔터 수용부(11)의 위치에 맞춰져서, 토너 카트리지(TC)가, 카트리지 홀더(KH)에 삽입되어, 도 5에 나타낸 이탈 위치로부터 도 6에 나타낸 이탈 가능 위치의 일례로서의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토너 카트리지(TC)가 프린터(U)에 대응할 경우에, 카트리지측의 하드 키(46a)와 본체측의 하드 키(11b)가 끼워져, 삽입이 가능해지고, 대응하여 있지 않을 경우에는, 하드 키(11b, 46a)가 간섭하여, 언로크 위치까지 이동할 수 없다. 즉, 프린터(U)에 대응하지 않는 토너 카트리지(TC)를 잘못해서 장착하는 오장착이 방지되어 있다.
카트리지 홀더(KH)에 삽입된 토너 카트리지(TC)가, 도 6, 도 9의 (a)에 나타낸 언로크 위치로부터, 도 7, 도 9의 (b)에 나타낸 로크 위치를 향해 회전하게 되면, 카트리지 셔터(41)가, 셔터 수용부(11)와 유입면(13c)의 단차의 스토퍼면(11d)에 접촉해서 회전이 규제되어서 셔터 수용부(11)에 머무른 상태로, 카트리지 본체(TC1)가 회전한다. 즉, 카트리지 셔터(41)는, 이동 방향의 일례로서의 둘레 방향으로, 유출구부(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도 9의 (a), 도 14의 (a)에 나타낸 유출구(31a)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도 9의 (b), 도 14의 (b)에 나타낸 유출구(31a)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이 때에, 카트리지 홀더(KH)의 유입구 셔터(14)는, 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유출구부(31)에 밀려서, 도 9의 (a), 도 10의 (a)에 나타낸 유입구(13d)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도 9의 (b), 도 10의 (b)에 나타낸 유입구(13d)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 위치의 일례로서의 로크 위치로 이동하면, 유출구(31a)와 유입구(13d)가 개방됨과 함께, 유출구(31a)와 유입구(13d)가 접속되어 현상제가 보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이 때, 토너 카트리지(TC)에 지지된 CRUM(61)의 단자부(61c)가, CRUM 리더(9)의 커넥터(9a)에 접촉하여 도통해서, CRUM(61)에 대하여 정보의 송수신, 즉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이 가능해진다.
토너 카트리지(TC)를 교환하거나, 보수 점검 등으로 토너 카트리지(TC)를 분리할 경우에는, 토너 카트리지(TC)를, 도 7, 도 9의 (b), 도 14의 (b) 등에 나타낸 로크 위치로부터, 도 6, 도 9의 (a), 도 14의 (a) 등에 나타낸 언로크 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이 때에, 카트리지 셔터(41)는, 셔터 수용부(11)에서 회전 방향으로 이동 불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회전하는 유출구부(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이 때에, 유입구 셔터(14)는, 회전하는 토너 카트리지(TC)의 리브(27) 등에 밀려서, 도 9의 (b), 도 10의 (b)에 나타낸 개방 위치로부터 도 9의 (a), 도 10의 (a)에 나타낸 폐쇄 위치로 이동해서 유입구(13d)를 폐쇄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TC)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이동하면, 각 셔터(14, 41)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여, 유입구(13d) 및 유출구(31a)가 폐쇄된다.
그리고,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 토너 카트리지(TC)는, 카트리지 홀더(KH)로부터 분리 가능해진다.
(토너 카트리지의 회전과 시일의 관계의 설명)
도 21은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21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b)는 도 21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c)는 도 21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측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d)는 도 21의 (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측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e)는 도 21의 (d)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측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f)는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의 (a), 도 14의 (a), 도 21의 (a)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TC)가 언로크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스토퍼면(11d)이나 카트리지 셔터(41)의 좌단에 대하여 서로 돌출하는 시일(15, 47)의 단면(15b, 47a)끼리가 탄성 변형된 상태로 접촉한다. 이 때,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TC)에서는, 시일 가이드면(34)이 형성되어 있고, 시일(15, 47)끼리 접촉하는 위치에서는, 상방에 극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일(15, 47)의 단면의 위치에 있어서, 탄성 변형하는 시일(15, 47)의 단부가 상방으로 만곡하도록 탄성 변형하는 것이 허용되어 있다.
도 21의 (a) ~ 도 21의 (c)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TC)가 언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를 향해 이동을 개시하면, 시일(15, 47)의 단부가 상방으로 만곡하도록 변형하고 있는 부분에, 회전하는 토너 카트리지(TC)의 시일 가이드면(34)이 다다르면, 시일 가이드면(34)에 안내되어서 시일(15, 47)이 하방으로 밀려내려가, 유출구부(31)의 외주면(31b)에 접촉한다. 따라서, 시일 가이드면(34)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유출구부(31)의 모서리가 모따기가 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 비해, 시일(15, 47)이 유출구부(31)의 모서리에 접촉해서 파손하는 것이 저감되어, 장수명화되어 있다. 도 21의 (d) ~ 도 21의 (f)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유출구(31a)나 회수 홈(32)이, 시일(15, 47)끼리가 접촉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에, 단부의 가이드면이 시일(15, 47)을 하방으로 밀어내리도록 안내하여, 파손이 저감된다.
도 22는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이동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22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b)는 도 22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c)는 도 22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측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d)는 도 22의 (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측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e)는 도 22의 (d)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측으로 더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f)는 토너 카트리지가 언로크 위치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2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TC)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로 이동할 경우도, 도 21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수 홈(32)이나 유출구(31a)의 가이드면에서 시일(15, 47)이 하방으로 안내되어, 파손이 저감된다.
특히, 토너 카트리지(TC)가 언로크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 유출구 시일(47)이나 카트리지 셔터 가이드(36) 등에서의 마찰에 따라, 카트리지 셔터(41)에, 토너 카트리지(TC)의 회전 방향인 도 22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카트리지 셔터(41)가, 토너 카트리지(TC)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백래시가 크면, 유출구 시일(47)이 유입구 시일(15)에 대하여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시일(15, 47) 사이에 극간이 형성될 우려가 있고, 극간을 통해, 현상제가 누출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카트리지 셔터(41)가 이동하려고 하면, 백래시 채움부(11c)가 카트리지 셔터(41)의 우벽(44)에 접촉하여, 카트리지 셔터(41)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시일(15, 47)끼리가 이간하기 어려워, 극간의 발생이 저감되어 있어, 시일(15, 47)끼리가 줄어든 상태로 유지되기 쉬워, 현상제의 누출이 저감되어 있다.
도 23은 시일끼리의 단부의 설명도이며, 도 23의 (a)는 실시예 1의 시일의 설명도, 도 23의 (b)는 종래의 시일의 설명도이다.
도 23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시일(15, 47)에서는, 단면(15b, 47a)이, 중력 방향(81)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가령, 도 2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01, 02)의 단면이 중력 방향을 따르고 있을 경우, 극간이 발생하면, 현상제가 극간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지만, 도 2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구성에서는, 시일(15, 47) 사이에 극간이 발생해도, 중력 방향에서 본 경우에 단면(15b, 47a)끼리가 부분적으로 중복한 상태로 되기 쉽다. 즉, 중력 방향(81)으로 낙하하는 현상제는, 단면(15b, 47a)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시일(15, 47)의 하방으로 통과하기 어려워져 있어, 현상제의 누출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시일(15, 47)의 단면(15b, 47a)은, 직경 방향(82)에 대해서도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어, 가령 극간이 발생해도, 직경 방향(82)에서 본 경우에, 단면(15b, 47a)끼리가 부분적으로 중복한 상태로 되기 쉽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TC)의 회전 중의 원심력 등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제가 존재해도, 외부에 누출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스토퍼면(11d)의 하방, 즉 유입구 시일(15)의 단면(15b)의 하방에는, 토너 포켓(11e)이 형성되어 있어, 가령 시일(15, 47)끼리의 사이로부터 현상제가 낙하해도, 토너 포켓(11e)에 의해 회수된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토너 포켓(11e)의 전후 방향의 폭이, 유출구(31a)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 현상제의 토너 포켓(11e)의 밖으로의 낙하가 저감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제의 누출에 따라, 프린터(U)나 토너 카트리지(TC)가 더럽혀지는 것이 저감되어, 프린터(U)의 내부에 누출한 현상제가 진입해서 오작동의 원인으로 되거나, 프린터(U)의 외부에 현상제가 새어나와 이용자의 손이나 옷이 더럽혀지거나, 바닥면이 더럽혀지는 등의 문제의 발생이 저감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회전과 회수 홈의 관계의 설명)
도 21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TC)가 로크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 유출구(31a)가 통과할 때에, 유출구(31a)의 현상제가 시일(15, 47)의 표면에 부착된다. 도 22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TC)가 언로크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 유출구(31a)의 회전 방향인 도 22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회수 홈(32)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유출구(31a)가 통과한 영역에서 시일(15, 47)에 현상제가 부착된 채로 되고, 토너 카트리지(TC)가 도 21, 도 22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에, 유출구부(31)의 끝이나 돌출 프레임(33) 등으로 문질러 깎이는 형태로, 외부로 누출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유출구(31a)의 회전 방향인 반시계 방향에 대하여 양측, 특히 하류측인 좌측에 회수 홈(32)이 설치되어 있고, 회수 홈(32)이 통과할 때에, 유출구(31a)로부터 시일(15, 47)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가 문질러내져, 회수 홈(32) 내에 회수된다. 따라서, 현상제가 외부에 누출하는 것이 저감된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회수 홈(32)의 하류단부(32a)가 외주면(31b)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어, 언로크 위치를 향해 토너 카트리지(TC)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시일(15, 47)에 부착된 현상제를 긁어내서 회수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로크 위치를 향해 토너 카트리지(TC)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둔각으로 설정된 상류단부(32b)가 시일(15, 47)을 문지르듯이 접촉하고 있어, 둔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비해, 시일(15, 47)이 파손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토너 카트리지(TC)가 로크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에도, 유출구(31a)의 하류측, 즉 우측의 회수 홈(32)에서는, 현상제를 회수 가능하고, 로크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에 회수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현상제의 누출이 더 저감되어 있다.
도 24는 실시예 1의 회수 홈 부분의 요부 설명도이며, 도 24의 (a)는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4의 (b)는 토너 카트리지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를 향해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4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는, 회수 홈(32)의 외단(32a, 32b)이 돌출 프레임(33)의 외단에 비해, 직경 방향에서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 유입구 시일(15)의 직경 방향의 탄성 변형량, 즉 유입구 시일(15)이 수축하는 양이, 회수 홈(32) 부분에서, 돌출 프레임(33) 부분보다 작아져 있다. 따라서, 도 24의 (a),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TC)가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에, 도 2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구(13d) 및 유출구(31a)에 현상제(86)가 남아있을 경우, 돌출 프레임(33)이 통과할 때에,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구(13d)측의 상부의 현상제(86)가 긁어내진다. 따라서, 회수 홈(32)이 유입구(13d)의 위치를 통과할 때에는, 돌출 프레임(33)보다 내측에 배치된 회수 홈(32)의 외단(32a, 32b)에서, 유입구(13d)의 상부의 현상제, 즉 누출하거나, 유입구 시일(15)의 표면에 부착하거나 하지 않은 현상제를 잘못해서 긁어내서 회수해 버리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CRUM의 착탈의 설명)
도 17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TC)에서는, CRUM(61)이 수용된 CRUM 홀더(62)는 토너 카트리지 본체(TC1)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삽입됨과 함께, 카트리지 커버(TC2)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커버(TC2)의 빠짐 방지부(72b)가 전방에 배치되어서, CRUM 홀더(62)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스냅 피트 고정부(54)의 파손이나 제조 오차에 의한 탈락 등이 있어도, CRUM(61)의 토너 카트리지(TC)로부터의 탈락이 저감된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 ~ (H014)를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사기, FAX, 혹은 이들 복수 또는 모든 기능을 갖는 복합기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U)는, 단색의 현상제가 사용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색 이상의 다색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때, 토너 카트리지(TC) 내부에 수용되는 현상제의 색이나, 현상제의 조성이나 융점, 유동성 등의 토너의 종류, 토너 카트리지의 발송처 등의 차이에 따라, 하드 키(11b, 46a)를 설치해서 식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CRUM 홀더(62)를 통해 CRUM(61)을 카트리지 본체(TC1)에 장착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CRUM 홀더(62)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CRUM 홀더(62)의 구성은 실시예에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나 사양 등에 따라 외형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CRUM 홀더(62)를, 소위 스냅 피트 구조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TC1)에 고정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고, CRUM 출입구(67)의 위치를 바꾸거나, 피가이드부(64)의 형상이나 길이를 변경하는 등, 임의의 변경이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CRUM(61)의 탈락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체를, 카트리지 커버(TC2)에 형성하는 구성, 즉 규제체와 카트리지 커버를 공통화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CRUM(61)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체와, 카트리지 커버를 별개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규제체의 형상도 통벽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O링이나 브래킷 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회수 홈(32)을 유출구(31a)의 양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나 사양 등에 따라, 현상제의 누출이 문제로 되기 쉬운 어느 한 쪽만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회수 홈(32)의 전후 방향의 폭은, 유출구(31a)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 또는 좁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7)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회수 홈(32)은, 언로크 위치를 향해 회전할 경우에 예각으로 시일(15, 47)에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직각이나 둔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H08)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포켓(11e)의 폭은, 유출구(31a)보다 큰 폭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짧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토너 포켓(11e)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H09)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 프레임(33)을 설치하고, 회수 홈(32)의 외단(32a, 32b)이 유출구(31a) 부분보다 내측으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 프레임(33)을 생략하거나 해서, 회수 홈(32)의 외단(32a, 32b)을 유출구(31a)의 외주면(31b)과 동일 또는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정하고, 회수 홈(32)과 시일(15, 47)의 접촉 압력을 크게 하여, 더 확실하게 회수하기 쉽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0)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시일(15, 47)의 양쪽을, 스토퍼면(11d)이나 카트리지 셔터(41)의 좌단보다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한 쪽을, 스토퍼면(11d)이나 카트리지 셔터(41)의 좌단보다 돌출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H01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시일(15, 47)의 단부에 경사지는 면(15b, 47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력 방향을 따른 면이나 직경 방향을 따른 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백래시 채움부(11c)를 설치해서 카트리지 셔터(41)의 백래시를 저감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드 키(11b, 46a)를 이용해서 카트리지 셔터(41)의 백래시를 저감하는 구성, 즉 백래시 채움부(11c)를 생략하고, 하드 키에 백래시 채움부의 기능을 갖게 해서 공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회수 홈(32)의 전후 방향의 폭은, 유출구(31a)의 전후 방향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폭이어도 되고, 복수 단위로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H01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토너 카트리지(TC)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토너 카트리지(TC)는 타원 형상, 사각 형상, 그 외의 다각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23a : 개구
51 : 기억 매체의 지지부
52 : 안내부
61 : 기억 매체
62 : 수용체
72b : 규제체
TC : 착탈체, 현상제의 수용 용기
TC1 : 착탈체의 본체
TC2 : 덮개 부재
TC3 : 내부 공간
U : 화상 형성 장치
U1 : 피착탈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Claims (5)

  1. 피(被)착탈 장치에 장착되는 착탈체의 본체와,
    착탈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와,
    상기 착탈체의 본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기억 매체를 지지하는 기억 매체의 지지부와,
    상기 착탈체의 본체에 장착되는 규제체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체는,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과 상기 현상제를 상기 내부 공간에 도입 가능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 규제체는, 상기 착탈체의 본체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기억 매체가 상기 기억 매체의 지지부에 대하여 이탈하는 이탈 방향의 궤적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2. 피착탈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착탈체의 본체와,
    착탈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와,
    상기 착탈체의 본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기억 매체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억 매체의 지지부와,
    상기 착탈체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규제체를 구비하고,
    상기 착탈체는,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과 상기 현상제를 상기 내부 공간에 도입 가능한 개구를 가지며,
    상기 규제체는, 상기 착탈체의 본체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기억 매체가 상기 기억 매체의 지지부에 대하여 이탈하는 이탈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체는,
    상기 이탈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상기 기억 매체의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이탈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기억 매체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억 매체의 지지부는, 상기 수용체를 상기 이탈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고, 상기 수용체가 장착된 경우에, 상기 수용체에 수용된 상기 기억 매체가 상기 수용체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 가능한 안내부를 갖고,
    상기 기억 매체는, 상기 수용체를 통해서 상기 기억 매체의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착탈체에 의해 구성된 현상제의 수용 용기와,
    상기 현상제의 수용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의해 구성된 상기 피착탈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20110047215A 2010-10-25 2011-05-19 착탈체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495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9081A JP5120438B2 (ja) 2010-10-25 2010-10-25 着脱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0-239081 2010-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611A KR20120042611A (ko) 2012-05-03
KR101495697B1 true KR101495697B1 (ko) 2015-02-25

Family

ID=4597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47215A KR101495697B1 (ko) 2010-10-25 2011-05-19 착탈체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61637B2 (ko)
JP (1) JP5120438B2 (ko)
KR (1) KR101495697B1 (ko)
CN (1) CN102455623B (ko)
AU (1) AU2011202088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5595B2 (ja) * 2013-03-27 2016-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38460B2 (ja) * 2013-08-20 2018-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317009B2 (en) * 2014-02-19 2016-04-19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an externally readable monitoring module on a rotating customer replaceable component in an operating device
JP2018077448A (ja) * 2016-09-26 2018-05-17 株式会社沖データ トナー収納器、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10809520B (zh) 2017-10-13 2021-10-0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包括锁定机构的耗材
JP2022011871A (ja) 2020-06-30 2022-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935A (ja) 2000-04-19 2001-11-02 Canon Inc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30123887A1 (en) 2002-01-03 2003-07-03 Xerox Corporation Adertising from the customer replaceable unit memory of a copier or printer cartridge
US20080124133A1 (en) 2006-11-09 2008-05-29 Hideo Yoshizawa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20219A (ja) 2008-07-14 2010-01-28 Sharp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900A (ja) 1997-02-28 1998-09-08 Indigo Nv 印刷機のピストン内蔵型インキカートリッジ
JP2005055579A (ja) * 2003-08-01 2005-03-03 Canon Inc 離間保持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072603B2 (en) 2003-08-01 2006-07-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holding member
JP2004133481A (ja) 2003-12-01 2004-04-30 Ricoh Co Ltd トナー収納容器、プリント基板及び画像形成装置
JP4803828B2 (ja) 2006-11-09 2011-10-2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369738B2 (en) 2008-09-09 2013-02-05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70840B2 (ja) * 2008-09-29 2013-03-2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4412421B1 (ja) * 2009-06-11 2010-02-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935A (ja) 2000-04-19 2001-11-02 Canon Inc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30123887A1 (en) 2002-01-03 2003-07-03 Xerox Corporation Adertising from the customer replaceable unit memory of a copier or printer cartridge
US20080124133A1 (en) 2006-11-09 2008-05-29 Hideo Yoshizawa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20219A (ja) 2008-07-14 2010-01-28 Sharp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611A (ko) 2012-05-03
CN102455623A (zh) 2012-05-16
AU2011202088B2 (en) 2012-11-08
JP2012093459A (ja) 2012-05-17
AU2011202088A1 (en) 2012-05-10
US8761637B2 (en) 2014-06-24
CN102455623B (zh) 2016-05-18
US20120099892A1 (en) 2012-04-26
JP5120438B2 (ja)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350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1529949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1477212B1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TWI413876B (zh) 顯影劑儲存容器及影像形成裝置
JP4437476B2 (ja) 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補給方法
JP4134061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が装着される画像形成装置
US7738817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6835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容器離脱方法
JP509254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495697B1 (ko) 착탈체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30554B1 (ko) 현상제 수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2103516A (ja)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61113B2 (ja)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40674B2 (ja)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59716B2 (ja)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553061B1 (ja)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092049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