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212B1 - 현상제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212B1
KR101477212B1 KR1020100053745A KR20100053745A KR101477212B1 KR 101477212 B1 KR101477212 B1 KR 101477212B1 KR 1020100053745 A KR1020100053745 A KR 1020100053745A KR 20100053745 A KR20100053745 A KR 20100053745A KR 101477212 B1 KR101477212 B1 KR 101477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moved
develop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304A (ko
Inventor
가즈히로 사이토
이와오 구리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3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7Toner discharging opening covered by arcuate shu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2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lidable sealing member, e.g. shu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5Stirring member in developer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으로 현상제 보급 용기의 식별을 하면서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용기 본체가 피착탈부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서의 당해 용기 본체의 삽입 방향 하류측의 벽면에, 상기 삽입 방향 상류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방향과 동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착탈부에 설치된 상기 삽입 방향 상류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가 들어가는 회전 정지부이며, 상기 용기 본체가 이탈 가능 위치와 이탈 불가능 위치로 회전하는 회전각에 대응하는 중심각을 적어도 가지는 동심 원호 형상의 상기 회전 정지부를 구비한 현상제 수용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현상제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제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형성에 따라 소비되는 현상제를 보급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 용기, 소위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기술로서, 이하의 특허문헌 1~3에 기재된 기술이 종래 공지이다.
특허문헌 1로서의 일본국 특개평8-171330호 공보에는, 현상 용기인 토너 용기(4a)의 상면에 볼록부(4e)를 형성하고, 현상제 보급 용기(8)의 측벽부(8d)에 볼록부(4e)와 끼워맞추는 오목부(8e)를 형성함으로써, 실수로 다른 종류의 토너가 수용된 현상제 보급 용기를 장착해도, 오목부(8e)와 볼록부(4e)가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다른 종류의 토너가 실수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현상제가 중력에 의해 낙하해서 유출하는 유출부측이 토너 용기(4a)에 장착되고, 유출부의 근방에 오목부(8e)가 설치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로서의 일본국 특개2001-281948호 공보에는, 토너 수용부(11)를 가지는 현상 장치(10)와, 감광체 유닛(20)을 조합시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 U자 형상의 걸어맞춤 부재(30, 30a)에 의해 2개의 유닛을 연결한 상태로 장착함으로써, 소정의 위치에 세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으로서의 일본국 특개2005-250375호 공보에는, 토너 카트리지(36, 38, 40, 42)를 식별하기 위한 무선 통신 태그(72)를 장착할 때, 무선 통신 태그(72)에 돌기 형상의 걸기 클로(hook claw)(74)를 복수 형성하고, 카트리지 본체(44)의 둘레 벽부에 걸기 클로(74)에 대응하는 걸기 구멍(78)을 형성함으로써, 실수로 다른 토너 카트리지(36, 38, 40, 42)에 무선 태그(72)를 장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8-171330호 공보(「0026」~「0028」, 도 1, 도 6) 일본국 특개2001-281948호 공보(「0012」~「0013」, 도 3, 도 4) 일본국 특개2005-250375호 공보(「0078」~「0081」, 도 6~도 8)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으로 현상제 수용 용기의 식별을 하면서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1]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현상제 수용 용기는,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이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피착탈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또한 상기 피착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피착탈부로부터 이탈 가능한 이탈 가능 위치와 상기 피착탈부로부터 이탈 불가능한 이탈 불가능 위치로 적어도 회전 가능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또한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개폐 부재이며,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에 연동해서 이동되어,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가능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개폐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피착탈부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서의 당해 용기 본체의 삽입 방향 하류측의 벽면에, 상기 삽입 방향 상류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방향과 동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착탈부에 설치된 상기 삽입 방향 상류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따라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볼록부가 들어가는 회전 정지부이며,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가능 위치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회전하는 회전각에 대응하는 중심각을 적어도 가지고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볼록부에 접촉되는 상기 동심 원호 형상의 상기 회전 정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현상제 수용 용기는,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이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피착탈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또한 상기 피착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피착탈부로부터 이탈 가능한 이탈 가능 위치와 상기 피착탈부로부터 이탈 불가능한 이탈 불가능 위치로 적어도 회전 가능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또한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개폐 부재이며,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에 연동해서 이동되어,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가능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개폐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피착탈부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서의 당해 용기 본체의 삽입 방향 하류측의 벽면에, 상기 삽입 방향 상류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방향과 동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착탈부에 설치된 상기 삽입 방향 상류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따라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볼록부가 들어가는 회전 정지부이며,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된 후에 상기 동심 원호 형상의 원호의 한쪽의 단부에 상기 볼록부가 접촉되는 상기 회전 정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1] 또는 [2]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중심에 대해 측방(側方)에 위치되어도 된다.
[4] [1] 또는 [2]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중심에 대해 측방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정지부의 상기 동심 원호 형상에서의 상단면과 하단면은, 상기 상단면 쪽이 상기 회전 중심을 향함에 따라 중력 방향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5] [1] 또는 [2]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접촉 단자와 접촉되어 정보가 적어도 판독되는 정보 기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가 이탈 가능 위치로부터 이탈 불가능 위치를 향해 회전될 때에, 상기 정보 기억 부재가 상기 접촉 단자에 접촉한 후에, 상기 회전 정지부가 상기 볼록부에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6] [1] 또는 [2]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방향과 동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동심 원호 형상의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7] [1] 또는 [2]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통 형상의 통벽과 상기 통벽의 일단측에 지지된 저벽을 구비한 원통 형상의 통부와, 당해 원통 형상의 통부의 타단을 폐쇄하는 덮개 부재를 가지고,
상기 개폐 부재 및 상기 정보 기억 부재는 상기 통벽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원통 형상의 통부의 저벽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8] [1] 또는 [2]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했을 경우에, 상기 유출구는 상기 통 형상의 상기 통벽의 직경 방향에 대해 중력 방향 하방으로 경사져 형성되어도 된다.
[9]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에 형성된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보급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2],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삽입 방향 상류측으로 오목한 원호 형상의 회전 정지부를 가지지 않는 구성에 비해, 간이한 구성으로 현상제 수용 용기의 식별을 하면서 회전 범위를 규제할 수 있다.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회전 정지부가 회전 중심에 대해 측방(側方)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 비해, 회전 정지부의 용기 본체 내부측에 토너가 모이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모인 토너도 떨어지기 쉽다.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회전 정지부의 상단면 쪽이 상기 회전 중심을 향함에 따라 중력 방향 하방으로 경사지지 않는 구성에 비해, 회전 정지부의 용기 본체 내부측에 토너가 모이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상단면측에 모인 토너도 떨어지기 쉽다.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정보 기억 부재가 접촉 단자에 접촉하기 전에 회전 정지부가 볼록부에 접촉하는 구성에 비해, 정보 기억 부재와 접촉 단자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수용 용기의 종류가 달라도 현상제 수용 용기의 다른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통부가 회전될 때에 있어서의 개폐 부재의 개폐와 정보 기억 부재의 접촉 단자의 접촉 및 이간이 불량 없이 행해지도록, 개폐 부재 및 정보 기억 부재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유출구가 중력 방향 하방으로 경사져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유출구에서 현상제가 막히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런트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토너 카트리지가 도 3에 나타낸 이탈 불가능 위치로부터 이탈 가능 위치로 회전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카트리지 홀더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분리된 상태의 요부 설명도.
도 6은 카트리지 홀더에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요부 설명도.
도 7은 카트리지 홀더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 불가능 위치로 회전한 상태의 설명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 단면도.
도 9는 토너 카트리지를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
도 10은 토너 카트리지의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
도 11은 토너 카트리지의 분해도.
도 12는 도 9의 XII-XII선 단면도.
도 13은 도 8의 토너 카트리지 부분의 단면도.
도 14는 이탈 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 설명도.
도 15는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 설명도.
도 16은 실시예 1의 변경예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
도 17은 실시예 2의 현상제 수용 용기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
이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구체적인 예로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여,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낸 방향 또는 나타낸 측을 각각, 전방(前方), 후방(後方), 우방(右方), 좌방(左方), 상방(上方), 하방(下方), 또는 표측, 이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 안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紙面)의 이(裏)측으로부터 표(表)측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안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측으로부터 이측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이용한 설명에서, 용이한 이해를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당하게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U)에서는, 전면(前面) 하부에, 매체의 일례로서의 시트(S)가 수용되는 급지부의 일례로서의 급지 트레이(TR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U)의 상면에는, 화상이 기록된 시트(S)가 배출되는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배출 트레이(TR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 우측부에는, 후술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를 조작할 때에 개폐되는 개폐부의 일례로서의 프런트 커버(U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다.
도 2에서, 프린터(U)는 제어부의 일례로서의 컨트롤러(C)와,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화상 처리부(IPS), 잠상 형성 회로의 일례로서의 레이저 구동 회로(DL), 및 전원 장치(E) 등을 가지고 있다. 전원 장치(E)는, 후술하는 대전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CR), 현상 부재의 일례로서의 현상 롤러(Ga) 및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전사 롤러(Tr) 등에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화상 처리부(IPS)는, 외부의 정보 송신 장치의 일례로서의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된 인쇄 정보를 잠상 형성용의 화상 정보로 변환해서 미리 설정된 시기, 즉 타이밍에 레이저 구동 회로(DL)에 출력한다. 레이저 구동 회로(DL)는, 입력된 화상 정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잠상 형성 장치(LH)에 출력한다. 실시예 1의 잠상 형성 장치(LH)는, 좌우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잠상 기입 소자의 일례로서의 LED가 선 형상으로 배치된 장치, 소위 LED 헤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U)의 뒷 부분에는, 회전 구동하는 상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감광체(PR)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PR)의 주위에는, 감광체(PR)의 회전 방향을 따라, 대전 롤(CR), 잠상 형성 장치(LH), 현상 장치(G), 전사 롤(Tr), 상 유지체용의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감광체 클리너(CL)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 상기 대전 롤(CR)에는, 대전 롤(CR) 표면을 청소하는 대전기용의 청소기의 일례로서의 대전 롤 클리너(CRc)가 대향,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 장치(G)는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 용기(V)를 가진다. 상기 현상 용기(V) 내에는, 감광체(PR)에 대향하여 배치된 현상제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현상 롤(Ga)과,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순환 반송하는 한 쌍의 순환 반송 부재(Gb, Gc)와, 순환 반송 부재에 의해 교반된 현상제를 현상 롤(Ga)에 반송하는 공급 부재(Gd)와, 현상 롤(Ga) 표면의 현상제의 층두께를 규제하는 층두께 규제 부재(Ge)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현상 용기(V) 전측 상면에는, 보급부의 일례로서의 현상제 보급구(V1)가 형성되어 있고, 현상제 보급구(V1)에는, 현상제 반송로의 일례로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현상제 보급로(V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보급로(V3) 내부에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보급 오거(V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보급로(V3)의 전단(前端)에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착탈되는 피착탈부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홀더(KH)가 연결되어 있어, 토너 카트리지(TC)로부터의 현상제가 유입한다. 따라서, 현상 장치(G)에서의 현상제의 소비량에 따라, 보급 오거(V4)가 구동하면, 토너 카트리지(TC)로부터 현상제가 현상 장치(G)에 보급된다.
회전하는 감광체(PR)의 표면은, 대전 영역(Q1)에서 대전 롤(CR)에 의해 대전되고, 잠상 형성 위치(Q2)에서 잠상 형성 장치(LH)로부터 출사(出射)하는 잠상 형성 광에 의해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정전 잠상은 현상 영역(Q3)에서 현상 롤(Ga)에 의해 가시 상의 일례로서의 토너 상으로 현상되고, 감광체(PR) 및 전사 롤(Tr)의 대향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영역(Q4)에서 전사 롤(Tr)에 의해 매체의 일례로서의 기록 시트(S)에 전사된다. 감광체(PR) 표면의 잔류 토너는, 전사 영역(Q4)의 하류측의 청소 영역의 일례로서의 클리닝 영역(Q5)에서 청소 부재의 일례로서의 클리닝 브레이드(CB)에 의해 제거되어, 감광체 클리너(CL) 내부에 회수된다.
또한, 상기 클리닝 브레이드(CB)의 대향하는 쪽에는 비산(飛散)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필름 시일(film seal)(FS)이 설치되어 있고, 필름 시일(FS)은 감광체 클리너(CL) 내에 회수된 토너가 바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서, 프린터(U)의 하부의 급지 트레이(TR1)에는, 매체 취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픽업 롤(Rp)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픽업 롤(Rp)에 의해 취출된 기록 시트(S)는, 매체 분리 부재의 일례로서의 리타드 롤(retard roll) 및 급지 롤을 가지는 분리 롤(Rs)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서, 시트 반송로(SH)를 따라 배치된 매체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시트 반송 롤(Ra)에 의해 반송되고, 전사 영역(Q4)의 시트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된 시기 조절 부재의 일례로서의 레지스터 롤(Rr)에 의해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전사 영역(Q4)에 반송된다.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전원 장치(E) 등으로부터 전사 전압이 인가되는 전사 롤(Tr)은, 전사 영역(Q4)을 통과하는 기록 시트(S)에 감광체(PR) 상의 토너 상을 전사한다.
상기 전사 영역(Q4)에서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 시트(S)는, 토너 상이 미정착의 상태로 정착 장치(F)에 반송된다. 상기 정착 장치(F)는 정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한 쌍의 정착 롤(Fh, Fp)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정착 롤(Fh, Fp)의 압접(壓接) 영역에 의해 정착 영역(Q6)이 형성된다. 상기 정착 장치(F)에 반송된 기록 시트(S)는, 정착 영역(Q6)에서 한 쌍의 정착 롤(Fh, Fp)에 의해 토너 상이 정착된다. 정착 토너 상이 형성된 기록 시트(S)는, 매체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의 시트 가이드(SG1, SG2)에 의해 가이드되어,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롤(R1)로부터 프린터 본체(U1) 상면의 상기 배출 트레이(TRh)에 배출된다.
(카트리지 홀더의 설명)
도 3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런트 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는 토너 카트리지가 도 3에 나타낸 이탈 불가능 위치로부터 이탈 가능 위치로 회전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 도 3, 도 4에서, 실시예 1의 프린터(U)의 프런트 커버(U1a)를, 도 1에 나타낸 통상 위치로부터, 도 3, 도 4에 나타낸 조작 위치로 이동시키면, 토너 카트리지(TC) 및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 홀더(KH)가 외부에 노출된다.
도 5는 카트리지 홀더로부터 토너 카트리지가 분리된 상태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 홀더에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7은 카트리지 홀더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가 이탈 불가능 위치로 회전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3, 도 4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일례로서의 프린터 본체(U1)에 지지된 카트리지 홀더(KH)는, 전면 부재의 일례로서의 프런트 패널(1)을 가진다. 상기 프런트 패널(1)에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착탈되는 원형 구멍 형상의 개구(1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a)의 하단에는, 개폐 부재 통과부의 일례로서, 하방으로 오목한 셔터(shutter) 통과부(1b)가 형성되고, 개구(1a)의 좌방에는, 노치 형상의 돌출부 통과부(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 도 8에서, 프런트 패널(1)의 내부에는 착탈부 본체의 일례로서의 홀더 본체(2)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홀더 본체(2)는, 피착탈부의 일례로서, 카트리지 착탈 방향인 전후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원통 형상의 오목부에 의해 구성된 카트리지 수용부(3)를 가진다.
도 5에서, 카트리지 수용부(3)는, 원판 형상의 후단벽(3a)과, 후단벽(3a)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벽(筒壁)(3b)을 가진다. 상기 후단벽(3a)의 중앙부에는, 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구동 커플링(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 커플링(4)의 좌방에는, 볼록부의 일례로서,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 상류측인 전방으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6, 7)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 도 8에서, 상기 통벽(3b)의 우상부(右上部)에는, 판독 유지부의 일례로서, 통벽(3b)의 내주면(3c)에 대해 우상방으로 오목한 리더 지지부(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더 지지부(8)에는, 정보 판독 기입 장치의 일례로서, 정보를 송수신하고, 정보의 판독, 기입이 가능한 CRUM 리더(9)가 지지되어 있다. 도 8에서, 상기 CRUM 리더(9)는, 접촉 단자의 일례로서, 통벽(3b)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판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 커넥터(9a)를 가진다.
도 5 ~ 도 8에서, 상기 통벽(3b)의 하부에는, 개폐 수용부의 일례로서, 통벽(3b)의 내주면(3c)에 대해 하방, 즉 통벽(3b)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셔터 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벽(3b)의 좌측부에는, 돌출부 수용부의 일례로서, 통벽(3b)의 내주면(3c)에 대해 좌방, 즉 통벽(3b)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원호 형상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8에서, 상기 통벽(3b)의 셔터 수용부(11)와 돌출부 수용 오목부(12) 사이에는, 통벽(3b)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유입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상기 유입구부(13)에는,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 전후 한 쌍의 셔터 가이드(13a, 13b)가 형성되어 있고, 셔터 가이드(13a, 13b)의 사이에는, 유입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유입구 셔터(14)가 통벽(3b)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 도 8에서, 상기 유입구부(13)는, 상기 셔터 가이드(13a, 13b) 사이에 형성되고, 통벽(3b)의 내주면(3c)보다 한 단(一段) 낮고, 또한 셔터 수용부(11)의 상면(11a)에 대해 한 단 높은 단차(段差) 형상으로 형성된 유입면(13c)을 가진다.
도 8에서, 상기 유입면(13c)에는, 유입구 셔터(14)의 하방에 유입구(13d)와, 유입구(13d)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유입로(13e)가 형성되고 있고, 유입로(13e)의 하단은 상기 현상제 보급로(V3)의 상류단(上流端)에 접속되어 있다.
도 5 ~ 도 8에서, 카트리지 수용부(3)에는, 구동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 좌방으로 연장되는 모터 지지 플레이트(16)가 지지되어 있고, 모터 지지 플레이트(16)에는, 구동원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모터(17)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모터 지지 플레이트(16)의 하방에는, 전달계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기어 지지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 지지부(18)에는, 카트리지 모터(17)로부터의 구동을, 구동 커플링(4)이나 보급 오거(V4) 등에 전달하는 도시 생략한 복수의 치차(齒車)를 가지는 치차열, 소위 기어열(gear train)이 지지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설명)
도 9는 토너 카트리지를 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토너 카트리지의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토너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XII-XII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토너 카트리지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이탈 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15는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토너 카트리지의 요부 설명도이다.
또한, 도 14, 도 15는 각각, 이탈 가능 위치 또는 이탈 불가능 위치에서 카트리지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전방에서 본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 ~ 도 15에서, 상기 카트리지 홀더(KH)에 착탈되는 토너 카트리지(TC)는, 용기 본체의 일례로서, 삽입 방향 또는 착탈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카트리지 본체(21)를 가진다. 상기 카트리지 본체(21)는, 삽입 방향의 앞쪽 또는 전후 방향의 후단에 형성된 저벽의 일례로서의 원판 형상의 후단벽(22)과, 후단벽(2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벽(23)으로 이루어지는 통부(22+23)를 가진다. 도 10, 도 12에서, 상기 후단벽(22)의 중앙부에는, 전측에 오목한 원통 형상의 전달 수용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전달 수용부(22a)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2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서, 상기 전달 수용부(22a)에는, 누출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커플링 시일(24)을 통해, 피전달 부재의 일례로서, 구동 커플링(4)에 맞물리는 종동 커플링(25)이 개구(2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8, 도 10, 도 12 ~ 도 15에서, 후단벽(22)에는, 회전 정지부의 일례로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6, 7)에 대응하여, 삽입 방향 또는 장착 방향 상류측인 전방에 오목한 형상의 위치 결정 홈(26, 27)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위치 결정 홈(26, 27)은, 후단벽(22)의 중심부인 개구(22a)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위치 결정 돌기(6, 7)와 끼워맞춤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원호 형상의 각 위치 결정 홈(26, 27)의 중심각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TC)가 도 4, 도 14에 나타낸 이탈 가능 위치의 일례로서의 언록(unlock) 위치와, 도 3, 도 15에 나타낸 이탈 불가능 위치의 일례로서의 위치 결정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회전각에 대응하는 중심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다만, 이탈 가능 위치로부터 위치 결정 위치와는 반대측으로 소정 각도 크게 설정시켜도 된다. 또한, 원호 형상의 각 위치 결정 홈(26, 27)의 중심각은 동일하게 설정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탈 불가능 위치의 다른 예로서는, 이탈 가능 위치로부터 위치 결정 위치를 향해 회전되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위치 결정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위치로서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나, 이탈 가능 위치로부터 위치 결정 위치와는 반대측을 향해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 등이 있다.
도 14,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돌기(6, 7)는, 도 14에 나타낸 언록 위치에서, 위치 결정 돌기(6, 7)가 끼워지는 위치 결정 홈(26, 27)의 원호의 상단측에서 회전 중심을 향하는 직경 방향의 상단면(26b, 27b)에 접촉한 상태, 혹은 약간 간격을 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위치 결정 위치에서는, 위치 결정 홈(26, 27)의 원호의 하단측에서 회전 중심을 향하는 직경 방향의 하단면(26a, 27a)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실시예 1의 위치 결정 홈(26, 27)은, 토너 카트리지(TC)가 언록 위치나 위치 결정 위치 등으로 회전될 때의 회전 중심에 대해 측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회전 중심은 종동 커플링(25)이 개구(2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회전 중심과 대략 동일하다. 도 14에 나타낸 언록 위치에서, 상단면(26b, 27b)이 대략 수평, 소위 시계의 9시 방향에 설정되어 있고, 도 15에 나타낸 위치 결정 위치에서, 하단면(26a, 27a)이 대략 수평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15에 나타낸 위치 결정 위치에서는, 상단면(26b, 27b)은, 회전 중심을 향함에 따라, 중력 방향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5, 도 8 ~ 도 11, 도 13 ~ 도 15에서, 통벽(23)의 상단에는, 기억 부재 유지부의 일례로서, 통벽(23)의 외주면(23a)에 대해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CRUM 유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CRUM 유지부(31)에는, 정보 기억 부재의 일례로서, 플레이트 형상의 회로 기판에 의해 구성된 CRUM(Customer Replaceable Unit Memory)(3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CRUM(32)에는, 토너 카트리지(TC)의 대응 기종이나, 내부의 현상제의 초기의 충전량, 현상제가 사용됨에 따라 줄어들어 가는 잔량, 및 현상제가 비워짐에 가까워졌는지의 여부나 현상제가 비어있는지의 여부 등의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도 9, 도 10에서, 상기 CRUM(32)은, 접촉 단자의 일례로서, CRUM 리더(9)의 커넥터(9a)가 접촉하는 커넥터부(32a)를 가지고, 도 15에 나타낸 위치 결정 위치에서 커넥터(9a)에 접촉하여, CRUM(32)에 기억된 정보가 판독 기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CRUM(32)의 커넥터부(32a)와 CRUM 리더(9)의 커넥터(9a)의 접촉에 관해서, 더 상세하게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위치 결정 위치를 향해 회전되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로서 위치 결정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위치에서, CRUM(32)의 커넥터부(32a)가 CRUM 리더(9)의 커넥터(9a)에 접촉하고, 그 후 토너 카트리지(TC)가 위치 결정 위치를 향해 더 회전되면, 토너 카트리지(TC)의 위치 결정 홈(26, 27)의 하단면(26a, 27a)이 위치 결정 돌기(6, 7)에 접촉하여, 토너 카트리지(TC)의 회전 방향의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상기 통벽(23)의 CRUM 유지부(31)의 우측부에는, 간섭 방지부의 일례로서, 외주면(23a)에 대해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커넥터 릴리프부(relief part)(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릴리프부(33)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카트리지 수용부(3)에 삽입될 때에, 통벽(23)이 CRUM 리더(9)의 커넥터부(9a)에 접촉하여, 커넥터(9a)가 파손 등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도 8 ~ 도 11에서, 통벽(23)의 하단부에는, 셔터 수용부(11)에 대응하여, 통벽(23)의 외주면(23a)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 방향인 하방으로 돌출하는 유출구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도 13에서, 유출구부(36)에는, 통벽(23)의 내면과 외면을 접속하는 유출구(36a)가 형성되고 있고, 도 8, 도 15에 나타낸 위치 결정 위치에서 유입구(13d)에 접속된다. 실시예 1의 유출구(36a)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출구(36a)는 통벽(23)의 직경 방향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어, 유출구(36a)로부터 유출하는 현상제가 유출구(36a)에서 막히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도 9, 도 10에서, 유출구부(36)에는, 안내부의 일례로서, 하단의 전후 양단 가장자리에, 전후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오고 또한 통벽(2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셔터 가이드(36b, 36c)가 형성되어 있고, 셔터 가이드(36b, 36c)에는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유출구 셔터(37)가 지지되어 있다. 도 11, 도 13에서, 유출구 셔터(37)는, 유출구(36a)에 대향하는 면에 누출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시일(37a)이 지지되어 있다.
도 8에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유출구 셔터(37)의 두께는, 셔터 수용부(11)와 유입면(13c)의 단차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 도 11, 도 13 ~ 도 15에서, 통벽(23)의 좌측부에는, 돌출부의 일례이고, 연동 폐쇄부의 일례로서, 직경 방향 외측 방향인 좌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38)는, 돌출부 수용 오목부(12)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TC)가 카트리지 수용부(3)에 장착된 상태에서 돌출부 수용 오목부(12)에 수용된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5 ~ 도 7, 도 9, 도 11, 도 12에서, 토너 카트리지(TC)의 삽입 방향 또는 착탈 방향인 전후 방향에 대해, 카트리지 본체(21)의 삽입 방향의 후방 또는 전후 방향의 전단(前端)에는, 덮개 부재의 일례로서, 통부(22+23)의 전단을 폐쇄하는 카트리지 커버(39)가 장착되어 있다. 도 11, 도 12에서, 상기 카트리지 커버(39)는, 카트리지 본체(21)의 통벽(23)의 전단과의 사이에 배치된 누출 방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커버 시일(39a)을 통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커버(39)에는, 조작부의 일례로서, 전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39b)이 형성되고 있고, 핸들(39b)의 상하 양측에는, 조작 오목부의 일례로서, 토너 카트리지(TC)의 삽입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오목한 반원추 형상의 핸들 오목부(39c)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서, 상기 핸들(39b)에는, 축 지지부의 일례로서, 토너 카트리지(TC)의 삽입 방향에 대해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오목한 원형 구멍 형상의 오목 형상의 베어링부(39d)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 도 11에서, 카트리지 커버(39)의 외주면에는, 위치 맞춤부의 일례로서, 리브(38)에 대응해서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앞 리브(39e)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커버(39)를 카트리지 본체(21)에 조립할 경우에, 리브(38)와 앞 리브(39e)가 일치하도록 위치맞춤을 해서 조립함으로써, 핸들(39b)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본체(21)와, 카트리지 커버(39)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실(40)이 구성되어 있다.
도 8, 도 11 ~ 도 15에서, 현상제 수용실(40)의 내부에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애지테이터(agitator)(41)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애지테이터(41)는, 토너 카트리지(TC)의 삽입 방향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42)을 가진다. 회전축(42)의 후단(42a)은, 종동 커플링(25)에 연결되어 있고, 전단(42b)은, 베어링부(39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모터(17)로부터의 구동이 전달되면, 회전축(42)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42)은 중앙부(42c)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기둥(角柱)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42c)의 각기둥의 일면(一面)측에는, 반송 부재용의 고정부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떨어진 전후 한 쌍의 버섯 형상의 필름 고정 돌기(4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름 고정 돌기(42d)의 반대측의 면인 다른 면에는, 중앙부(42c)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rod) 형상의 교반부(42e)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42)의 회전 시에 일체로 회전하여, 현상제 수용실(40) 내의 현상제를 교반하거나, 덩어리 형상의 현상제를 부수거나 한다.
도 11, 도 12에서, 상기 회전축(42)의 필름 고정 돌기(42d)에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 박막 형상의 가요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 반송 필름(43)이 지지되어 있다. 도 11에서, 상기 반송 필름(43)은, 중앙부에 형성된 피고정부의 일례로서의 장착 구멍(43a)이 필름 고정 돌기(42d)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회전축(42)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도 12에서, 토너 카트리지(TC)의 삽입 방향에 대해 반송 필름(43)의 후단부에는, 전달 수용부(22a)에 대응해서 절제(切除)된 사다리꼴 형상의 뒤 절제부(43b)가 형성되고, 토너 카트리지(TC)의 삽입 방향에 대해 전단부에는 핸들 오목부(39c)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의 앞 절제부(43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42)이 회전하면, 반송 필름(43)은, 통벽(23)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탄성 변형한 상태로, 현상제를 유출구(36a)를 향해 반송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반송 필름(43)은, 회전축(42)의 직경 방향의 한 쪽뿐만아니라 양측에 형성되어 있어, 1회전으로 2회 유출구(36a)에 현상제가 반송되어, 유출구(36a)로부터 유출하는 현상제의 단위시간당의 양, 소위 디스펜스 레이트(dispense rate)가 안정하기 쉽다.
(실시예 1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프린터(U)에서는, 토너 카트리지(TC)가 카트리지 홀더(KH)에 장착될 경우, 도 5에 나타낸 이간 위치로부터 뒤 방향인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6에 나타낸 장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유출구부(36) 및 유출구 셔터(37)의 위치와 셔터 수용부(11)의 위치가 일치하고, 또한 리브(38)나 앞 리브(39e)의 위치와 돌출부 수용 오목부(12)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되지 않는다. 특히, 유출구부(36)와 유출구 셔터(37)와 셔터 수용부(11)의 좌우 방향, 둘레 방향의 폭이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어, 도 15에 나타낸 위치 결정 위치에서 실수로 장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 위치로 이동할 때, 위치 결정 돌기(6, 7)가, 위치 결정 홈(26, 27)에 끼워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기종이나 토너 카트리지(TC)에 수용된 현상제의 색이나 종류 등에 따라, 위치 결정 돌기(6, 7)나 위치 결정 홈(26, 27)의 위치나 개수가 상이한 경우, 위치 결정 돌기(6, 7)가 위치 결정 홈(26, 27)에 끼워지지 않고 간섭하여, 잘못된 토너 카트리지(TC)가 장착되는 경우가 방지되어 있다.
도 6, 도 14에서, 토너 카트리지(TC)가 카트리지 홀더(KH)에 장착되면, 구동 커플링(4)과 종동 커플링(25)이 맞물린 상태로 되고, 유출구부(36) 및 유출구 셔터(37)가 셔터 수용부(11)에 수용된 상태로 된다. 이 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돌기(6, 7)는 위치 결정 홈(26, 27)의 상단면(26b, 27b)에 근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도 6, 도 14에 나타낸 장착 위치이고, 또한 언록 위치로부터, 도 7, 도 15에 나타낸 위치 결정 위치를 향해 토너 카트리지(TC)를 회전시키면, 위치 결정 돌기(6, 7)와 위치 결정 홈(26, 27)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 위치로 토너 카트리지(TC)가 이동하면, 위치 결정 돌기(6, 7)가 위치 결정 홈(26, 27)의 하단면(26a, 27a)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 위치로의 이동이 완료한다. 따라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6, 7)와 위치 결정 홈(26, 27)의 끼워맞춤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TC)의 오장착과, 회전 위치의 규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 도 13에서, 토너 카트리지(TC)가 언록 위치로부터 위치 결정 위치로 이동할 때, 유출구부(36)는 유입면(13c)에 대향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에 대해, 유출구 셔터(37)는 셔터 수용부(11)와 유입면(13c)의 단차에 접촉해서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유출구 셔터(37)는, 유출구부(36)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도 13에 나타낸 유출구(36a)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도 8에 나타낸 유출구(36a)가 개방된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 때, 유입구 셔터(14)는, 이동하는 유출구부(36)의 좌단면에 밀려서, 도 5에 나타낸 유입구(13d)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도 8에 나타낸 유입구(13d)가 개방된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 때, 유입구 셔터(14)는, 유입구부(36)와 리브(38) 및 앞 리브(39e)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TC)가 위치 결정 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하면, 각 셔터(14, 37)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유출구(36a)와 유입구(13d)가 접속되어, 토너 카트리지(TC) 내의 현상제가 현상 장치(G)에 보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위치 결정 위치에서는, 유출구부(36)가, 유입구부(13)의 셔터 가이드(13a, 13b)에 의해 전후가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어, 토너 카트리지(TC)가 전방으로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 소위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위치에서, 화상 형성에 따라, 카트리지 모터(17)로부터 구동이 전달되면, 애지테이터(41)나 보급 오거(V4)가 회전하여, 현상제 수용실(40) 내의 현상제가 유출구(36a)로부터 유출하여, 현상제 보급로(V3)를 통해 현상 장치(G)에 보급된다.
여기에서,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TC)에서는, 위치 결정 홈(26, 27)이 현상제 수용실(40)의 내측으로 오목해 있고, 가요성의 반송 필름(43)이 위치 결정 홈의 하단벽(26a, 27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탄성 변형한 상태로 회전하고, 상단벽(26b, 27b)에 대응하는 내면에 도달해서 탄성 복원을 하면, 상단벽(26b, 27b)에 대응하는 내면에 반송 필름(43)이 접촉하지 않는 공간, 소위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가령, 위치 결정 위치에서, 상단벽(26b, 27b)이, 회전축(42)을 향함에 따라 상방 또는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단벽(26b, 27b)에 대응하는 내면에 축적하는 현상제가 사용되지 않고, 현상제의 낭비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위치 결정 홈(26, 27)이, 이탈 불가능 위치에서, 카트리지 본체(21)의 회전 중심인 원반 형상의 후단벽(22)의 중심에 대해 측방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단벽(26b, 27b)에 대응하는 내면이 회전축(42)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있어, 중력이나, 반송 필름(43)의 통과시나 모터 구동시의 진동 등에 의해, 자연히 현상제 수용실(40) 내부로 낙하하기 쉽고, 사용되지 않는 현상제의 발생이 저감되어 있다. 즉, 현상제가 위치 결정 홈(26, 27)의 내측 부분에 모이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 1에서는, 커넥터 릴리프부(33)는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현상제가 축적하는 것이 저감되어 있다.
현상제 수용실(40) 내의 현상제가 없어진 등으로, 토너 카트리지(TC)를 제거할 경우, 우선 토너 카트리지(TC)를, 도 7, 도 8, 도 15 등에 나타낸 위치 결정 위치로부터, 도 6, 도 14 등에 나타낸 언록 위치를 향해 회전시킨다.
위치 결정 위치로부터 언록 위치를 향해 토너 카트리지(TC)가 회전하면, 위치 결정 돌기(6, 7)와 위치 결정 홈(26, 27)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언록 위치로 이동하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돌기(6, 7)가 위치 결정 홈(26, 27)의 상단면(26b, 27b)에 근접, 접촉하여, 언록 위치로의 이동이 완료한다.
또한, 도 8, 도 13에서, 토너 카트리지(TC)가 위치 결정 위치로부터 언록 위치로 이동할 경우, 유출구 셔터(37)는, 셔터 수용부(11)에서 회전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회전하는 유출구부(36)에 대해 유출구 셔터(37)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유입구 셔터(14)는 회전하는 토너 카트리지(TC)의 리브(38) 등에 밀려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TC)가 위치 결정 위치로부터 언록 위치로 이동하면, 각 셔터(14, 37)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여, 유입구(13d) 및 유출구(36a)가 폐쇄된다.
그리고, 언록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유출구부(36)가 셔터 가이드(13a, 13b)로부터 떨어져 있고, 위치 결정이 해제되어 있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TC)가 전방인 이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TC)가 분리되어,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6은 실시예 1의 변경예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6에서, 실시예 1의 변경예에서는, 프린터(U)와는 다른 기종의 프린터에 대응하는 토너 카트리지(TC′)는, 실시예 1의 토너 카트리지(TC)의 위치 결정 홈(26, 27)에 대해, 위치 결정 홈(26′, 27′)이 원판 형상의 후단벽(22)의 직경 방향으로 시프트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 홈(26′, 27′)의 위치의 변경에 따라, 위치 결정 돌기(6, 7)의 위치도, 위치 결정 홈(26′, 27′)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이나 실시예 1의 변경예의 토너 카트리지(TC, TC′)에서, 예를 들면 토너 카트리지(TC, TC′)를, 일본뿐만아니라 유럽이나 북미, 아시아 등에 출하하는 등으로 발송처가 다르거나,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상대편 브랜드 생산으로 복수 기종 출시하는 경우가 있다. 즉, 대응하는 프린터(U)의 사양이 다른 경우가 있고, 프린터(U)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TC, TC′)의 내부에 조성이나 제법(製法), 융점, 유동성 등이 다른 현상제가 수용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어떤 기종에 대응하는 토너 카트리지(TC)가 다른 프린터(U)의 기종에 대응해 있지 않을 경우가 있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토너 카트리지(TC, TC′)마다, 다른 위치에, 위치 결정 홈(26, 27, 26′, 27′)을 형성하여, 토너 카트리지(TC, TC′)의 종류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TC′)를 대응하지 않는 프린터(U)에 장착하려고 했을 경우에는, 위치 결정 돌기(6, 7)가 위치 결정 홈(26′, 27′)에 끼워지지 않고 간섭하여, 장착 위치까지 토너 카트리지(TC, TC′)가 삽입되지 않아, 다른 토너 카트리지가 오장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실시예 2]
도 17은 실시예 2의 현상제 수용 용기의 설명도이며, 실시예 1의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2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위(相違)해 있지만, 다른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도 17에서,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TC″)에서는, 실시예 1의 위치 결정 홈(26, 27)을 대신하여, 회전 정지부의 일례로서, 위치 결정 홈(26, 27)이 접속된 형상에 대응하는 부채 형상의 공통 홈(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통 홈(51)에는, 칸막이 부재의 일례로서, 토너 카트리지(TC)의 종류나 화상 형성 장치의 기종 등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 형상의 칸막이 블록(52)이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 돌기(6, 7)에 대응하는 칸막이 블록(52)을 장착함으로써, 위치 결정 홈(26, 27)이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예 2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2의 토너 카트리지(TC)에서는, 장착할 칸막이 블록(52)을 교환함으로써, 임의의 기종의 화상 형성 장치, 임의의 종류의 토너 카트리지(TC)에 대응 가능해지는 동시에, 카트리지 본체(21)가 공통화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TC)를 기종이나 종류마다 별개로 제작할 경우에 비해, 제작 비용이 저감되고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H01)~(H010)을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를 예시했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사기, FAX, 혹은 이들의 복수 또는 모든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프린터(U)는, 단색의 현상제가 사용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색 이상의 다색의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때, 토너 카트리지(TC) 내부에 수용되는 현상제의 색이나, 현상제의 조성이나 융점, 유동성 등의 토너의 종류, 토너 카트리지의 출하처 등의 차이에 따라, 위치 결정 홈(26, 27)의 원호의 직경 또는 원호 길이를 바꾸는 것이 가능해서, 토너 카트리지(TC)의 식별이나, 대응하지 않는 기종의 프린터나 대응하지 않는 색의 카트리지 수용부(3)에 오장착하는 것이 방지된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리브(38)나 앞 리브(39e)를 설치하고 있지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유입구 셔터(14)는 탄성 부재의 일례로서의 스프링을 사용해서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토너 카트리지(TC)의 길이나 폭 등은, 설계나 사양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애지테이터(41)의 구성은, 실시예에 예시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임의의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H06) 상기 실시예에서, 상단벽(26b, 27b)은, 회전 중심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있지만, 수평이나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07) 상기 실시예에서, 위치 결정 돌기(6, 7)의 개수나 위치, 위치 결정 홈(26, 27)의 개수나 위치는, 설계나 사양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H08) 상기 실시예에서, CRUM(32)과 CRUM 리더(9)는, 커넥터(9a, 32a)를 접촉시키는 접촉형의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무선 통신형의 CRUM 및 CRUM 리더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CRUM(32) 및 CRUM 리더(9)를 설치하는 위치는, 실시예에 예시한 위치로 한정되지 않고, 설계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H09)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 출하 시에는, 프린터(U)와 토너 카트리지(TC, TC′, TC″)를 별개의 패키지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토너 카트리지(TC~TC″)를 프린터(U)에 미리 장착한 상태, 소위 프리인스톨한 상태로 패키징하여, 패키지 용적을 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리인스톨했을 경우에는, 토너 카트리지(TC~TC″)가 이탈 가능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수송시의 흔들림 등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TC~TC″)가 빠져 떨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토너 카트리지(TC~TC″)의 탈락(脫落)을 방지하기 위해, 토너 카트리지(TC~TC″)를 이탈 가능 위치로부터 조금 회전시킨 상태로 해두어, 토너 카트리지(TC~TC″)가 카트리지 수용부(3)에 걸려서 탈락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 때, 각 셔터(14, 37)를 폐쇄 위치에 유지해서 현상제가 누출하지 않도록 하면서, 이탈 가능 위치로부터 시프트된 위치에 토너 카트리지(TC~TC″)를 유지한다. 또한, 이탈 가능 위치로부터 조금 회전시키는 방향으로서는, 이탈 불가능 위치측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보통은 사용되지 않는 이탈 불가능 위치와는 반대측으로 회전시켜 두는 것도 가능하다.
카트리지 수용부(3)에 거는 방법으로서는, 돌기를 설치하거나, 열용착이나 압착,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프리인스톨된 최초만 걸리거나 밀착, 접착되어, 작업자가 프리인스톨된 위치로부터 회전시키면 박리하거나, 파손하여, 이후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트리지 수용부(3)나 토너 카트리지(TC~TC″)의 일부를 탄성 변형시켜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프리인스톨된 위치에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토너 카트리지(TC~TC″)는, 이탈 가능 위치와, 이탈 불가능 위치와, 프리인스톨된 상태의 초기 유지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0) 상기 실시예에서, 원호 형상의 위치 결정 홈(26, 27, 26′, 27′)의 원호 길이나 위치는, 설계나 사양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TC, TC′)의 식별이나 오장착 방지의 목적으로, 원호 길이나 직경 방향의 위치, 직경 방향의 홈의 폭, 홈의 깊이, 홈의 개수 등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3…피착탈부 6, 7…볼록부
21…용기 본체 22…벽면
26, 27…회전 정지부 26a ,27a…둘레 방향 타단
26b, 27b…둘레 방향 일단, 단면 36a…유출구
37…개폐 부재 G…현상 장치
PR…상 유지체 TC, TC′, TC″…현상제 수용 용기
U…화상 형성 장치 U1…화상 형성 장치 본체

Claims (9)

  1.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이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피착탈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또한 상기 피착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피착탈부로부터 이탈 가능한 이탈 가능 위치와 상기 피착탈부로부터 이탈 불가능한 이탈 불가능 위치로 적어도 회전 가능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또한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개폐 부재이며,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에 연동해서 이동되어,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가능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개폐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피착탈부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서의 당해 용기 본체의 삽입 방향 하류측의 벽면에, 상기 삽입 방향 상류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방향과 동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착탈부에 설치된 상기 삽입 방향 상류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따라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볼록부가 들어가는 회전 정지부이며,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가능 위치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회전하는 회전각에 대응하는 중심각을 적어도 가지고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볼록부에 접촉하는 상기 동심 원호 형상의 상기 회전 정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
  2. 내부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이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피착탈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또한 상기 피착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피착탈부로부터 이탈 가능한 이탈 가능 위치와 상기 피착탈부로부터 이탈 불가능한 이탈 불가능 위치로 적어도 회전 가능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또한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유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개폐 부재이며,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에 연동해서 이동되어,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가능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개폐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피착탈부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서의 당해 용기 본체의 삽입 방향 하류측의 벽면에, 상기 삽입 방향 상류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방향과 동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착탈부에 설치된 상기 삽입 방향 상류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따라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볼록부가 들어가는 회전 정지부이며,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된 후에 상기 동심 원호 형상의 원호의 한쪽의 단부에 상기 볼록부가 접촉되는 상기 회전 정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중심에 대해 측방(側方)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중심에 대해 측방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정지부의 상기 동심 원호 형상에서의 상단면과 하단면은, 상기 상단면 쪽이 상기 회전 중심을 향함에 따라 중력 방향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접촉 단자와 접촉되어 정보가 적어도 판독되는 정보 기억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가 이탈 가능 위치로부터 이탈 불가능 위치를 향해 회전될 때에, 상기 정보 기억 부재가 상기 접촉 단자에 접촉한 후에, 상기 회전 정지부가 상기 볼록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 방향과 동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현상제 수용 용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동심 원호 형상의 다른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통 형상의 통벽과 상기 통벽의 일단측에 지지된 저벽을 구비한 원통 형상의 통부와, 당해 원통 형상의 통부의 타단을 폐쇄하는 덮개 부재를 가지고,
    상기 개폐 부재 및 정보 기억 부재는 상기 통벽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정지부는 상기 원통 형상의 통부의 저벽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이탈 불가능 위치로 이동했을 경우에, 상기 유출구는 상기 통 형상의 상기 통벽의 직경 방향에 대해 중력 방향 하방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 용기.
  9.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 표면에 형성된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보급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현상제 수용 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053745A 2009-06-11 2010-06-08 현상제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477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0298 2009-06-11
JP2009140298A JP4412421B1 (ja) 2009-06-11 2009-06-11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304A KR20100133304A (ko) 2010-12-21
KR101477212B1 true KR101477212B1 (ko) 2014-12-29

Family

ID=4173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745A KR101477212B1 (ko) 2009-06-11 2010-06-08 현상제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417157B2 (ko)
EP (1) EP2261751A3 (ko)
JP (1) JP4412421B1 (ko)
KR (1) KR101477212B1 (ko)
CN (1) CN101923306B (ko)
AU (1) AU2010202431B2 (ko)
BR (1) BRPI1001836A2 (ko)
CA (1) CA2706949A1 (ko)
MX (1) MX2010006423A (ko)
MY (1) MY169603A (ko)
RU (1) RU2461034C2 (ko)
TW (1) TWI4274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7536A (ja) * 2009-11-19 2011-06-0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
JP2012008485A (ja) * 2010-06-28 2012-01-12 Fuji Xerox Co Ltd 着脱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120438B2 (ja) * 2010-10-25 2013-01-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着脱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77766A (ja) * 2011-02-25 2012-09-13 Ricoh Co Ltd 粉体収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引出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JP5747590B2 (ja) * 2011-03-18 2015-07-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017475B1 (ja) * 2011-04-15 2012-09-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コンテナ
JP5708924B2 (ja) * 2011-04-26 2015-04-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SG10201502306RA (en) 2011-11-25 2015-05-28 Ricoh Co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042791B2 (en) * 2012-03-27 2015-05-26 Fuji Xerox Co., Ltd. Powder accommodation contain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JP5211253B2 (ja) * 2012-06-08 2013-06-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11254B2 (ja) * 2012-06-08 2013-06-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コンテナ
US9317009B2 (en) * 2014-02-19 2016-04-19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an externally readable monitoring module on a rotating customer replaceable component in an operating device
US9389582B2 (en) * 2014-06-02 2016-07-12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magnets of varying angular offset for toner level sensing
US9519243B2 (en) 2014-06-02 2016-12-13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magnets of varying angular offset for toner level sensing
JP6585345B2 (ja) * 2014-12-19 2019-10-02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58396B2 (ja) * 2016-08-10 2020-03-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55716B2 (ja) * 2016-09-14 2021-04-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収容器、現像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MY201943A (en) 2016-09-30 2024-03-25 Canon Kk Toner cartridge and toner supplying mechanism
JP7039226B2 (ja)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US10474060B1 (en) 2018-07-05 2019-11-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level sensing using rotatable magnets having varying angular offset
US10429765B1 (en) 2018-07-05 2019-10-0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ontainer for a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magnets of varying angular offset for toner level sensing
US10451997B1 (en) 2018-07-20 2019-10-2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level detection measuring an orientation of a rotatable magnet having a varying orientation relative to a pivot axis
US10451998B1 (en) 2018-07-20 2019-10-2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level detection measuring an orientation of a rotatable magnet having a varying radius
US10345736B1 (en) 2018-07-20 2019-07-0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level detection measuring a radius of a rotatable magnet
WO2020046321A1 (en) * 2018-08-30 2020-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materials replenishment
CN112262347B (zh) * 2018-08-30 2023-11-1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打印颗粒输入凹部的触点
WO2020046338A1 (en) * 2018-08-30 2020-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act pads for a print particle replenishment device
US11614698B2 (en) * 2018-08-30 2023-03-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aled print particle transfer interface
WO2020046308A1 (en) * 2018-08-30 2020-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ting interface gaskets
US11305547B2 (en) 2018-08-30 2022-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ical contacts coupled to guide structures
JP7484519B2 (ja) 2020-07-15 2024-05-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532219B2 (ja) * 2020-11-10 202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および取付けユニ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8754A (ja) * 1995-03-07 1996-09-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KR980000356A (ko) * 1996-06-12 1998-03-30 김광호 식기 세척기
JP2000231252A (ja) * 1999-02-09 2000-08-22 Fuji Xerox Co Ltd トナー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7596B2 (ja) 1993-12-28 2003-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受け入れ装置
JPH08171330A (ja) 1994-12-16 1996-07-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JPH1124530A (ja) * 1997-07-04 1999-01-29 Oki Data:Kk 画像形成装置
JP2001109349A (ja) * 1999-10-06 2001-04-20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3752950B2 (ja) * 2000-02-29 2006-03-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1281948A (ja) * 2000-04-03 2001-10-10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248411A (ja) * 2002-02-26 2003-09-05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3295593A (ja) 2002-04-05 2003-10-15 Canon Inc 現像剤補給装置、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4483349B2 (ja) * 2004-03-08 2010-06-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4455360B2 (ja) * 2005-02-09 2010-04-21 株式会社リコー ユニット及びそのユニッ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5352984B2 (ja) * 2007-10-22 2013-11-2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42356B2 (ja) * 2009-09-15 2011-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8754A (ja) * 1995-03-07 1996-09-2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KR980000356A (ko) * 1996-06-12 1998-03-30 김광호 식기 세척기
JP2000231252A (ja) * 1999-02-09 2000-08-22 Fuji Xerox Co Ltd トナー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0123799A (ru) 2011-12-20
EP2261751A3 (en) 2012-11-21
EP2261751A2 (en) 2010-12-15
JP4412421B1 (ja) 2010-02-10
US8417157B2 (en) 2013-04-09
MY169603A (en) 2019-04-22
US20100316414A1 (en) 2010-12-16
AU2010202431B2 (en) 2011-09-29
BRPI1001836A2 (pt) 2011-07-05
CA2706949A1 (en) 2010-12-11
CN101923306A (zh) 2010-12-22
KR20100133304A (ko) 2010-12-21
MX2010006423A (es) 2010-12-13
RU2461034C2 (ru) 2012-09-10
CN101923306B (zh) 2014-11-19
JP2010286655A (ja) 2010-12-24
TWI427444B (zh) 2014-02-21
AU2010202431A1 (en) 2011-01-06
TW201100983A (en) 201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212B1 (ko) 현상제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US8594539B2 (en) Outlet recess for a powder contain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U201120255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260422A1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787462B2 (ja) 粉体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EP3088963B1 (en) Developer supplier, develop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3135402B (zh) 图像形成装置
US9684263B2 (en) Developer supplier, develop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included in the developer supplier
US20160313674A1 (en) Developer supplier, develop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included in the developer supplier
US8761637B2 (en) Attaching and detaching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008485A (ja) 着脱体及び画像形成装置
US9665041B2 (en) Developer supplier, develop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included in the developer supplier
US2016031367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eveloper container, and the developer container
JPH0547959U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