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948A -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948A
KR20080080948A KR1020080019280A KR20080019280A KR20080080948A KR 20080080948 A KR20080080948 A KR 20080080948A KR 1020080019280 A KR1020080019280 A KR 1020080019280A KR 20080019280 A KR20080019280 A KR 20080019280A KR 20080080948 A KR20080080948 A KR 20080080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ge
pixel unit
voltage converter
photoelectric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7464B1 (ko
Inventor
도시아끼 오노
도모유끼 노다
히데까즈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6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comprising control or output lines used for a plurality of functions, e.g. for pixel output, driving, reset or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25/778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comprising amplifiers shared between a plurality of pixels, i.e. at least one part of the amplifier must be on the sensor array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촬상 장치는 화소 유닛 배열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화소 유닛은 복수의 광전 변환부와,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공통인 전하-전압 변환기와,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의해 발생된 전하를 전하-전압 변환기에 전송하는 복수의 전송부와,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신호선에 출력하는 출력부와, 전하-전압 변환기의 전위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화소 유닛은 전하-전압 변환기에서 설정된 전위에 따라 선택되거나 또는 비선택된다. 구동부는 선택된 화소 유닛내의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의해 발생된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선택된 화소 유닛을 비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서, 출력부가 신호선에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화소 유닛 배열을 구동한다.
화소 유닛 배열, 촬상 장치, 광학계, 화상 데이터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7295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CMOS 이미지 센서와 같은 촬상 장치에서 화소 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택 트랜지스터가 배제되고, 복수의 광전 변환부가 리세트 트랜지스터 및 증폭 트랜지스터를 공유하는 화소 유닛이 제안되어 왔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72950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신호가 판독될 때마다, 전면 선택 신호선(global selection signal line)이 낮은 전위로 설정되고, 전체 화소 유닛의 리세트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전체 화소 유닛이 비선택된다. 그 다음, 전면 선택 신호선이 높은 전위로 설정되고, 선택된 화소 유닛의 리세트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선택된 화소 유닛만이 선택된다. 즉, 전면 선택 신호선의 전위를 빈번하게 전환할 필요가 있다. 전면 선택 신호선은 전체 화소 유닛에 접속된다. 이로 인해, 화소 유닛의 수가 증가할 때, 선의 기생 용량이 증가되고, 충전/방전 시간이 길어진다. 그러므로, 화소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판독시에 전위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긴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화소 유닛으로부터 고속으로 신호 를 판독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화소 유닛으로부터 고속으로 신호를 판독할 수 있는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 유닛을 갖는 화소 유닛 배열과, 화소 유닛 배열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로서, 각각의 화소 유닛은 복수의 광전 변환부와,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공통인 전하-전압 변환기와,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의해 발생된 전하를 전하-전압 변환기에 전송하는 복수의 전송부와, 전하-전압 변환기에 전송된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신호선에 출력하는 출력부와, 전하-전압 변환기의 전위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화소 유닛은 설정부에 의해 전하-전압 변환기에서 설정된 전위에 따라 선택되거나 또는 비선택되며, 구동부는 선택된 화소 유닛내의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의해 발생된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선택된 화소 유닛을 비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서, 출력부가 신호선에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화소 유닛 배열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촬상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촬상 장치와, 촬상 장치의 화소 배열에 광을 유도하는 광학계와, 촬상 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소 유닛으로부터 고속으로 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전형적인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기술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모든 MOS 트랜지스터는 N형이다. MOS 트랜지스터는 High 게이트 전위에서 턴온되고, Low 게이트 전위에서 턴오프된다.
촬상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유닛 배열 PA 및 구동부(103)를 포함한다.
구동부(103)는 화소 유닛 배열 PA의 주변에 배치된다. 구동부(103)는 화소 유닛 배열 PA에서의 복수의 화소 유닛을 구동한다. 구동부(103)는, 예를 들면, 화소 유닛 배열 PA를 수직 방향으로 주사하는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이다.
도 1은 각 열의 열 신호선(10)에 출력된 신호를 판독하는 판독 회로와, 판독 회로를 수평 방향으로 주사하는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를 도시하지 않는다.
화소 유닛 배열 PA는 행 및 열 방향으로 배열(2차원 배열)된 복수의 화소 유닛(1, 21, ...)을 포함한다.
화소 유닛(1)은 복수의 광전 변환부(2, 3)와, 전하-전압 변환기(8)와, 복수 의 전송부(4, 5)와, 출력부(7)와, 설정부(6)를 포함한다. 즉, 화소 유닛(1)에서, 출력부(7) 및 설정부(6)는 복수의 화소(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대해 공통으로 제공된다.
복수의 광전 변환부(2, 3)는 제1 광전 변환부(2) 및 제2 광전 변환부(3)를 포함한다. 제1 광전 변환부(2)는 입사광에 대응하는 전하를 발생시켜서 축적한다. 제1 광전 변환부(2)는, 예를 들면, 음전하(전자)를 축적하는 포토다이오드(PD)이다. 제2 광전 변환부(3)는 입사광에 대응하는 전하를 발생시켜서 축적한다. 제2 광전 변환부(3)는, 예를 들면, 음전하(전자)를 축적하는 포토다이오드(PD)이다.
전하-전압 변환기(8)는 복수의 광전 변환부(2, 3)에 대해 공통으로 제공된다. 전하-전압 변환기(8)는 (후술되는) 출력부(7)의 입력부로서 기능한다. 전하-전압 변환기(8)는 복수의 광전 변환부(2, 3)에 의해 발생된 전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보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하-전압 변환기(8)는 복수의 광전 변환부(2, 3)에 의해 발생된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전압)를 보유한다. 전하-전압 변환기(8)는, 예를 들면, FD(floating diffusion)이다.
복수의 전송부(4, 5)는 복수의 광전 변환부(2, 3)에 의해 발생된 전하를 전하-전압 변환기(8)에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송부(4, 5)는 상이한 타이밍에 활성화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광전 변환부(2, 3)에 의해 발생된 전하를 상이한 타이밍에서 전하-전압 변환기(8)에 전송한다. 복수의 전송부(4, 5)는 제1 전송부(4) 및 제2 전송부(5)를 포함한다. 제1 전송부(4)는 제1 광전 변환부(2)에서 축적된 전하를 사전결정된 타이밍에서 전하-전압 변환기(8)에 전송한다. 제1 전송부(4)는, 예를 들면, 전송 MOS 트랜지스터이다. 제2 전송부(5)는 제2 광전 변환부(3)에서 축적된 전하를 사전결정된 타이밍에서 전하-전압 변환기(8)에 전송한다. 제2 전송부(5)는, 예를 들면, 전송 MOS 트랜지스터이다.
출력부(7)는 전하-전압 변환기(8)에 전송된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열 신호선(10)에 출력한다. 출력시에, 출력부(7)는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증폭한다. 출력부(7)는, 예를 들면, 증폭 MOS 트랜지스터이다.
설정부(6)는 전하-전압 변환기(8)의 전위를 설정한다. 설정부(6)는 전하-전압 변환기(8)의 전위를 제1 전위(도 4에서 V1)로 설정함으로써 선택 상태를 설정하고, 전하-전압 변환기(8)의 전위를 제2 전위(도 4에서 V2)로 설정함으로써 비선택 상태를 설정한다. 설정부(6)는, 예를 들면, 리세트 MOS 트랜지스터이다. 제1 전위는 출력부(MOS 트랜지스터)(7)를 턴온하며, 제1 광전 변환부(2)를 리세트하는데 필요한 전위보다 높을 필요가 있다. 제2 전위는 출력부(MOS 트랜지스터)(7)를 턴오프하며, "'예를 들면, 열 신호선(10)의 전위' + '출력부(7)(증폭 NMOS 트랜지스터)를 턴온하는 임계 전압'"보다 낮을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 유닛(1)은 설정부(6)에 의해 전하-전압 변환기(8)에서 설정된 전위에 따라 선택되거나 또는 비선택된다.
나머지 화소 유닛(21) 등은 화소 유닛(1)과 동일하다는 점에 유의하라.
촬상 장치(100)의 구동부(103)의 동작에 대해, 도 2 및 3을 참조하여 기술할 것이다. 도 2는 구동부(103)의 전자 셔터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구동부(103)의 구동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종축은 화소 유닛의 위 치를 나타내고, 횡축은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3에서, 횡축은 타이밍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신호 판독이 제n 블록에서 행해지고, 축적 전하의 스위핑(sweeping)이 제m 블록에서 행해진다. 각각의 화소 유닛에 포함된 복수의 광전 변환부가 출력부(증폭 NMOS 트랜지스터)를 공유하며, 복수의 행의 판독은 1 수평 기간 HT에 수행된다. 그러므로, 동일한 수평 기간 HT에서 판독을 실행하는 복수의 행이 블록으로서 표현된다.
구동부(103)는 전자 셔터 동작에 의해 신호 전하의 축적 시간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03)는 각각의 광전 변환부를 리세트함으로써 각각의 광전 변환부의 전하 축적 동작을 개시하고, 각각의 광전 변환부에 축적된 전하를 전하-전압 변환기에 전송함으로써 각각의 광전 변환부의 전하 축적 동작을 종료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결정된 블록(제n 블록)에서의 축적(판독)의 종료 및 다른 블록(제m 블록)에서의 축적의 개시는 1 수평 기간 HT에 실행된다. 축적된 전하의 스위핑(광전 변환부의 리세트)으로부터 신호 판독까지의 시간이 축적 시간이다. m 및 n이 적절한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임의의 축적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구동부(103)는 선택된 화소 유닛(제n 블록)("판독"에 의해 표시됨)(도 3)내의 복수의 광전 변환부(2, 3)에 의해 발생된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출력부(7)가 열 신호선(10)에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화소 유닛 배열 PA를 구동한다. 이러한 경우, 구동부(103)는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선택된 화소 유닛(제n 블록)을 비선택하는 동작("FDLow"에 의해 표시됨)을 수행하지 않고서, 출력부(7)가 열 신호 선(10)에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화소 유닛 배열 PA를 구동한다. 또한, 구동부(103)는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설정부(6)가 전하-전압 변환기(8)의 전위를 리세트하도록 하는 동작("FDHigh"에 의해 표시됨)을 통해, 출력부(7)가 열 신호선(10)에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화소 유닛 배열 PA를 구동한다.
그 다음, 구동부(103)는, 출력부(7)가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열 신호선(10)에 연속적으로 출력한 후, 복수의 화소 유닛(제n 블록 및 제m 블록)("FDLow"에 의해 표시됨)을 비선택하도록, 화소 유닛 배열 PA를 구동한다.
구동부(103)는,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가 연속적으로 출력된 후, 복수의 화소 유닛이 비선택되기 전에, 비선택된 화소 유닛(제m 블록)에서의 복수의 광전 변환부(2, 3)를 리세트하도록, 화소 유닛 배열 PA를 구동한다.
촬상 장치(100)의 구동부(103) 동작의 상세에 대해,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기술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Vres는 전면 선택 신호선(9)에 입력된 전위의 레벨을 나타낸다. Presa는 제n 블록 및 제m 블록을 제외한 모든 블록의 리세트 구동선(11)(도 1 참조)에 입력된 펄스이다. Pres는 제n 블록의 리세트 구동선(11)에 입력된 펄스이다. Presr은 제m 블록의 리세트 구동선(11)에 입력된 펄스이다. Ptx1은 제n 블록의 제1 전하 전송 구동선(12)(도 1 참조)에 입력된 펄스이다. Ptx2는 제n 블록의 제2 전하 전송 구동선(13)(도 1 참조)에 입력된 펄스이다. Ptxr1은 제m 블록의 제1 전하 전송 구동선(12)에 입력된 펄스이다. Ptxr2는 제m 블록의 제2 전하 전송 구동선(13)에 입력된 펄스이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도 4의 구동 타이밍과 도 5의 구동 타이밍 사이의 비교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선택 트랜지스터가 없는 화소 유닛에서 판독될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조건은 다음과 같다. 구동부(103)는 선택된 블록의 전하-전압 변환기(8)를 높은 전위(V1)로 설정하고, 비선택된 블록의 전하-전압 변환기(8)를 낮은 전위(V2)로 설정하도록, 화소 유닛 배열 PA를 구동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선택된 블록의 출력부(트랜지스터)(7)는 턴온되고, 비선택된 블록의 출력부(트랜지스터)(7)는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선택된 블록의 신호는 열 신호선(10)에 출력될 수 있다.
축적된 전하를 스위핑(광전자 변환부를 리세트)하기 위한 제2 조건은 다음과 같다. 구동부(103)는 전하-전압 변환기(8)를 높은 전위로 설정한 후, 복수의 전송부(4, 5)를 턴온하도록, 화소 유닛 배열 PA를 구동한다. 축적된 전하의 스위핑을 수행하는 제m 블록은, 신호 전하의 판독을 수행하는 제n 블록과는 상이하다. 즉, 제m 블록은 비선택된 블록이다. 제n 블록의 신호가 판독될 경우, 제m 블록의 전하-전압 변환기(8)는 낮은 전위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m 블록의 전하-전압 변환기(8)는 축적된 전하를 스위핑하는 동작시에 높은 전위(V1)로 설정되고, 제n 블록의 신호 전하를 판독시에 낮은 전위(V2)로 설정되어야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구동 타이밍은 이들 조건을 충족시킨다.
다음, 도 5에서의 비교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동 타이밍에 대해 상세히 기 술할 것이다.
Vres가 높은 전위(V1)에 있는 기간 T1a에, Presr 및 Ptxr1은 High로 된다. 제m 블록의 제1 광전 변환부(2)에 축적된 전하가 스위핑(리세트)된다.
Vres가 낮은 전위(V2)에 있는 기간 T2a에, Presr, Presa 및 Pres는 High로 된다. 모든 블록의 전하-전압 변환기(8)는 낮은 전위로 설정되어, 블록이 비선택된다.
그 다음, Vres가 높은 전위(V1)에 있는 기간 T3a에, Pres는 High로 된다. 제n 블록의 전하-전압 변환기(8)는 높은 전위(V1)로 설정(리세트)되어, 블록이 선택된다.
기간 T4a에, Ptx1은 High로 되어, 제n 블록의 제1 광전 변환부(2)에 축적된 전하를 열 신호선(10)으로 판독한다. 이 때, Ptx1이 High로 되기 전과 후에, 열 신호선(10)의 전위의 상관 이중 샘플링이 실행됨으로써, 제n 블록의 제1 광전 변환부(2)에 축적된 전하의 양이 검출된다.
Vres가 높은 전위(V1)에 있는 기간 T5a에, Presr 및 Ptxr2가 High로 된다. 제m 블록의 제2 광전 변환부(3)에 축적된 전하가 스위핑(리세트)된다.
Vres가 낮은 전위(V2)에 있는 기간 T6a에, Presr, Presa 및 Pres가 High로 된다. 모든 블록의 전하-전압 변환기(8)가 낮은 전위(V2)로 설정되어, 블록이 비선택된다.
그 다음, Vres가 높은 전위(V1)에 있는 기간 T7a에, Pres가 High로 된다. 제n 블록의 전하-전압 변환기(8)가 높은 전위(V1)로 설정(리세트)되어, 블록이 선 택된다.
기간 T8a에, Ptx2가 High로 되어, 제n 블록의 제2 광전 변환부(3)에 축적된 전하가 열 신호선(10)으로 판독된다. 이 때, Ptx2가 High로 되기 전과 후에, 열 신호선(10)의 전위의 상관 이중 샘플링이 실행됨으로써, 제n 블록의 제2 광전 변환부(3)에 축적된 전하의 양이 검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구동 타이밍에, 제n 블록의 제1 광전 변환부(2) 및 제2 광전 변환부(3)로부터 전하를 판독하기 위한 수평 기간 HTa에서, 전면 선택 신호선(9)의 전위 Vres가 2회 전환된다. 전면 선택 신호선(9)은 모든 화소 유닛에 접속된다. 이로 인해, 화소 유닛의 수가 증가할 때, 선의 기생 용량이 증가되고, 충전/방전 시간이 길어진다. 그러므로, 화소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판독시에 전위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긴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화소 유닛으로부터 고속으로 신호를 판독하는 것이 어렵다.
제n 블록의 전하 판독 동작을 위한 신호 Ptx1 또는 Ptx2가 High로 되는 기간 직전에, 제m 블록의 전하 스위핑 동작 및 전위 Vres의 전환이 행해진다. 전하 스위핑 동작 또는 전위 Vres의 전환에 의해 과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면, 전원 전압 또는 화소의 접지 전위가 변동된다. 이것은 그 직후의 전하 판독 동작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보다 구체적으로, 셰이딩(shading)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동 타이밍을, 도 5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동 타이밍과 비교하면서 기술할 것이다.
Vres가 높은 전위(V1)에 있는 기간 T1에, Pres가 High로 된다. 제n 블록의 전하-전압 변환기(8)가 높은 전위(V1)로 설정(리세트)되어, 블록이 선택된다.
기간 T2에, Ptx1이 High로 되어, 제n 블록의 제1 광전 변환부(2)에 축적된 전하를 열 신호선(10)으로 판독한다. 이 때, Ptx1이 High로 되기 전과 후에, 열 신호선(10)의 전위의 상관 이중 샘플링이 실행됨으로써, 제n 블록의 제1 광전 변환부(2)에 축적된 전하의 양이 검출된다.
Vres가 높은 전위(V1)에 있는 기간 T3에, Pres가 High로 된다. 제n 블록의 전하-전압 변환기(8)가 다시 높은 전위로 설정(리세트)되어, 블록이 선택된 채로 유지된다.
기간 T4에, Ptx2가 High로 되어, 제n 블록의 제2 광전 변환부(3)에 축적된 전하를 열 신호선(10)으로 판독한다. 이 때, Ptx2가 High로 되기 전과 후에, 열 신호선(10)의 전위의 상관 이중 샘플링이 실행됨으로써, 제n 블록의 제2 광전 변환부(3)에 축적된 전하의 양이 검출된다.
Vres가 높은 전위(V1)에 있는 기간 T5에, Presr, Ptxr1 및 Ptxr2가 High로 된다. 제m 블록의 제1 광전 변환부(2) 및 제2 광전 변환부(3)에 축적된 전하가 스위핑(리세트)된다.
Vres가 낮은 전위(V2)에 있는 기간 T6에, Presr, Presa 및 Pres가 High로 된다. 모든 블록의 전하-전압 변환기(8)가 낮은 전위로 설정되어, 블록이 비선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타이밍에, 제n 블록의 제1 광전 변환부(2) 및 제2 광전 변환부(3)로부터 전하를 판독하기 위한 수평 기간 HT에서, 전면 선택 신호선(9)의 전위 Vres가 단지 1회만 전환된다. 이것은 화소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판독시에 전위 전환을 위한 시간을 단축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평 기간 HT는 비교예의 수평 기간 HTa보다 짧을 수 있다(도 6 참조). 따라서, 화소 유닛으로부터 고속으로 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제m 블록의 제1 광전 변환부(2) 및 제2 광전 변환부(3)의 전하 스위핑 동작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이것은 화소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판독시에 전하 스위핑 동작의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평 기간 HT는 비교예의 수평 기간 HTa보다 짧을 수 있다(도 6 참조). 따라서, 화소 유닛으로부터 고속으로 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
더욱이, 전면 선택 신호선(9)의 충전/방전의 회수도 감소되기 때문에, 소비 전류가 감소된다.
제n 블록의 전하 판독 동작을 위한 신호 Ptx1 또는 Ptx2가 High로 되는 기간 이후에, 제m 블록의 전하 스위핑 동작 및 전위 Vres의 전환이 행해진다. 이로 인해, 전하 스위핑 동작 또는 전위 Vres의 전환에 의해 과도 전류가 흐르고, 전원 전압 또는 화소의 접지 전위가 변동되는 경우에도, 전하 판독 동작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셰이딩을 감소시켜, 만족할만한 화상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기간 T6에, 구동부(103)는 전체 화소 유닛을 비선택하지 않고, 적어도 선택된 화소 유닛을 비선택하도록 화소 유닛 배열 PA를 구동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촬상 장치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서, 2개의 광전 변환부가 출력부(증폭 MOS 트랜지스터)를 공유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화소 유닛에서 4개의 광전 변환부가 출력부(증폭 MOS 트랜지스터)를 공유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하 스위핑 동작 및 전위 Vres의 전환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블록의 신호가 판독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하 스위핑 동작 및 전위 Vres의 전환은 4 블록의 신호가 판독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m 블록의 제1 광전 변환부(2)에서의 축적 전하를 스위핑하는 동작의 기간 T51은, 제m 블록의 제2 광전 변환부(3)에서의 축적 전하를 스위핑하는 동작의 기간 T52와는 별도의 기간일 수 있다. 각각의 광전 변환부의 축적 시간은, 전하 스위핑 동작으로부터 전하 판독 동작까지의 시간이다. 즉, 기간 T51이 기간 T52와는 별도인 경우, 제1 광전 변환부(2)의 축적 시간 및 제2 광전 변환부(3)의 축적 시간은 쉽게 동일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100)를 이용한 촬상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시스템(90)은 광학계, 촬상 장치(100) 및 신호 처리부를 주로 포함한다. 광학계는 셔터(91), 촬영 렌즈(92) 및 조리개(93)를 주로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는 촬상 신호 처리 회로(95), A/D 변환기(96), 화상 신호 처리부(97), 메모리부(87), 외부 I/F부(89), 타이밍 발생기(98), 전체 제어/연산부(99), 기록 매체(88) 및 기록 매체 제어 I/F부(94)를 주로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는 기록 매체(88)를 항상 갖지 않아도 된다.
셔터(91)는 광학 경로상에서 촬영 렌즈(92)의 앞에 제공되어, 노출을 제어한다.
촬영 렌즈(92)는 입사 광을 굴절시켜서, 촬상 장치(100)에 피사체(object)를 촬상한다.
조리개(93)는 광학 경로상에서 촬영 렌즈(92)와 촬상 장치(100) 사이에 제공되어, 촬영 렌즈(92)로부터 촬상 장치(100)로 유도되는 광의 양을 조절한다.
촬상 장치(100)는 화소 유닛 배열 PA상에 형성된 피사체 화상을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 장치(100)는 화소 유닛 배열 PA로부터 화상 신호를 판독하여 출력한다.
촬상 신호 처리 회로(95)는 촬상 장치(100)에 접속되어, 촬상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처리한다.
A/D 변환기(96)는 촬상 신호 처리 회로(95)에 접속되어, 촬상 신호 처리 회로(95)로부터 출력되는 처리된 화상 신호(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신호 처리부(97)는 A/D 변환기(96)에 접속되어, A/D 변환기(96)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디지털 신호)에 대한 보정과 같은 다양한 연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부(87), 외부 I/F부(89), 전체 제어/연산부(99) 및 기록 매체 제어 I/F부(94)에 공급된다.
메모리부(87)는 화상 신호 처리부(97)에 접속되어, 화상 신호 처리부(97)로 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외부 I/F부(89)는 화상 신호 처리부(97)에 접속된다. 화상 신호 처리부(97)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는 외부 I/F부(89)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전송된다.
타이밍 발생기(98)는 촬상 장치(100), 촬상 신호 처리 회로(95), A/D 변환기(96) 및 화상 신호 처리부(97)에 접속되어, 이들에게 타이밍 신호를 공급한다. 촬상 장치(100), 촬상 신호 처리 회로(95), A/D 변환기(96) 및 화상 신호 처리부(97)는 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동작한다.
전체 제어/연산부(99)는 타이밍 발생기(98), 화상 신호 처리부(97) 및 기록 매체 제어 I/F부(94)에 접속되어, 이들을 제어한다.
기록 매체(88)는 기록 매체 제어 I/F부(94)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화상 신호 처리부(97)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는 기록 매체 제어 I/F부(94)를 통해 기록 매체(88)에 기록된다.
전술한 구성은, 촬상 장치(100)가 만족할만한 화상 신호를 얻는 경우, 만족할만한 화상(화상 데이터)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형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개시된 전형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의 영역은, 그러한 모든 변형,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2는 구동부의 전자 셔터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구동부의 구동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도 6은 도 4의 구동 타이밍과 도 5의 구동 타이밍 사이의 비교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이용한 촬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 화소 유닛
2, 3 : 광전 변환부
4, 5 : 전송부
6 : 설정부
7 : 출력부
8 : 전하-전압 변환기
100 : 촬상 장치
103 : 구동부
PA : 화소 유닛 배열

Claims (6)

  1.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 유닛을 갖는 화소 유닛 배열과, 상기 화소 유닛 배열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화소 유닛은 복수의 광전 변환부와, 상기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공통인 전하-전압 변환기와, 상기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의해 발생된 전하를 상기 전하-전압 변환기에 전송하는 복수의 전송부와, 상기 전하-전압 변환기에 전송된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신호선에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전하-전압 변환기의 전위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화소 유닛은 상기 설정부에 의해 상기 전하-전압 변환기에서 설정된 전위에 따라 선택되거나 또는 비선택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선택된 화소 유닛내의 상기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의해 발생된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상기 선택된 화소 유닛을 비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서, 상기 출력부가 상기 신호선에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화소 유닛 배열을 구동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선택된 화소 유닛내의 상기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의해 발생된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상기 출력부가 상기 신호선에 연속적으로 출력한 후, 적어도 상기 선택된 화소 유닛을 비선택하도록 상기 화소 유닛 배열을 구동하는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선택된 화소 유닛내의 상기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의해 발생된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상기 출력부가 상기 신호선에 연속적으로 출력한 후, 상기 복수의 화소 유닛을 비선택하도록 상기 화소 유닛 배열을 구동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선택된 화소 유닛내의 상기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의해 발생된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상기 설정부가 상기 전하-전압 변환기의 전위를 리세트하도록 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출력부가 상기 신호선에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화소 유닛 배열을 구동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선택된 화소 유닛내의 상기 복수의 광전 변환부에 의해 발생된 전하에 기초하는 신호를 상기 출력부가 상기 신호선에 연속적으로 출력한 후, 상기 선택된 화소 유닛이 비선택되기 전에, 비선택된 화소 유닛내의 상기 복수의 광전 변환부를 리세트하도록, 상기 화소 유닛 배열을 구동하는 촬상 장치.
  6. 촬상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촬상 장치와,
    상기 촬상 장치에 광을 유도하는 광학계와,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
KR1020080019280A 2007-03-02 2008-02-29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KR100967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53340A JP4058459B1 (ja) 2007-03-02 2007-03-02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JP-P-2007-00053340 2007-03-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653A Division KR20100033399A (ko) 2007-03-02 2010-03-15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948A true KR20080080948A (ko) 2008-09-05
KR100967464B1 KR100967464B1 (ko) 2010-07-07

Family

ID=392436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280A KR100967464B1 (ko) 2007-03-02 2008-02-29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KR1020100022653A KR20100033399A (ko) 2007-03-02 2010-03-15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653A KR20100033399A (ko) 2007-03-02 2010-03-15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80211950A1 (ko)
EP (1) EP1965585B1 (ko)
JP (1) JP4058459B1 (ko)
KR (2) KR100967464B1 (ko)
CN (1) CN10125756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7037B2 (en) 2007-03-02 2010-08-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method that continuously outputs a signal based on electric charges generated by a selected pixel unit without performing an operation of deselecting the selected pixel unit
KR101467624B1 (ko) * 2011-01-31 2014-12-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 촬상 시스템, 및 촬상 장치의 구동 방법
CN111699676A (zh) * 2018-02-09 2020-09-22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成像装置和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9375B2 (ja) * 2006-12-28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2009021809A (ja) * 2007-07-11 2009-01-29 Canon Inc 撮像装置の駆動方法、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4548519B2 (ja) * 2007-10-16 2010-09-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源装置
JP5164531B2 (ja) 2007-11-13 2013-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5014114B2 (ja) * 2007-12-28 2012-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5215681B2 (ja) * 2008-01-28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5111157B2 (ja) * 2008-02-27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及び光電変換装置を用いた撮像システム
JP5371463B2 (ja) 2008-02-28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126291B2 (ja) 2010-06-07 2013-01-23 株式会社ニコン 固体撮像素子
WO2012027290A1 (en) 2010-08-23 2012-03-01 Red. Com, Inc. High dynamic range video
JP5854673B2 (ja) 2011-07-12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5794686B2 (ja) 2011-08-10 2015-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9294283B2 (en) 2011-08-31 2016-03-22 Q-Tag Ag Methods and devices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an article during transporting said article
JP5864990B2 (ja) 2011-10-03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6071183B2 (ja) 2011-10-20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5967915B2 (ja) 2011-12-09 2016-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5839998B2 (ja) 2012-01-10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5979882B2 (ja) 2012-01-13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5954997B2 (ja) 2012-01-18 2016-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5893572B2 (ja) * 2012-03-01 2016-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5923061B2 (ja) 2013-06-20 2016-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2015015596A (ja) 2013-07-04 2015-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6216229B2 (ja) 2013-11-20 2017-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素子及び撮像システム
JP6579774B2 (ja) 2015-03-30 2019-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6494368B2 (ja) 2015-03-30 2019-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6632242B2 (ja) 2015-07-27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US11758304B2 (en) 2018-10-01 2023-09-12 Tech Idea Co., Ltd. Imag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9194B2 (ja) * 1996-09-17 2004-10-20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3907778B2 (ja) * 1997-04-08 2007-04-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
US6115066A (en) * 1997-06-12 2000-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age sensor with direct digital correlated sampling
JP3579251B2 (ja) 1998-06-02 2004-10-20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JP4083909B2 (ja) 1998-06-02 2008-04-30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US6043478A (en) * 1998-06-25 2000-03-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ctive pixel sensor with shared readout structure
JP2000224482A (ja) * 1999-01-28 2000-08-11 Ind Technol Res Inst 共用読出し構造を有するアクティブイメージセンサ
US7180544B2 (en) * 2001-03-05 2007-02-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lid state image sensor
CN100347859C (zh) * 2001-03-05 2007-11-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固体摄象装置
US7277130B2 (en) * 2001-12-21 2007-10-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age pick-up device and camera system comprising an image pick-up device
US7489352B2 (en) * 2002-11-15 2009-02-10 Micron Technology, Inc. Wide dynamic range pinned photodiode active pixel sensor (APS)
JP3988189B2 (ja) * 2002-11-20 2007-10-10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4298276B2 (ja) * 2002-12-03 2009-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
JP4355148B2 (ja) * 2003-02-28 2009-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4231322B2 (ja) * 2003-04-08 2009-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7196304B2 (en) * 2004-01-29 2007-03-27 Micron Technology, Inc. Row driver for selectively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imager pixel
JP2005229373A (ja) * 2004-02-13 2005-08-25 Sony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2006217338A (ja) * 2005-02-04 2006-08-17 Sharp Corp 増幅型固体撮像装置
JP4340640B2 (ja) * 2005-04-20 2009-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増幅型固体撮像装置
EP1788797B1 (en) * 2005-11-18 2013-06-26 Canon Kabushiki Kaisha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JP2007228460A (ja) * 2006-02-27 2007-09-06 Mitsumasa Koyanagi 集積センサを搭載した積層型半導体装置
JP4185949B2 (ja) * 2006-08-08 2008-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及び撮像装置
JP4194633B2 (ja) * 2006-08-08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4058459B1 (ja) 2007-03-02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7037B2 (en) 2007-03-02 2010-08-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method that continuously outputs a signal based on electric charges generated by a selected pixel unit without performing an operation of deselecting the selected pixel unit
KR101467624B1 (ko) * 2011-01-31 2014-12-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 촬상 시스템, 및 촬상 장치의 구동 방법
US9001246B2 (en) 2011-01-31 2015-04-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an imaging system, and a driving method of an imaging apparatus using correction data applied to pixels of same color
CN111699676A (zh) * 2018-02-09 2020-09-22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成像装置和电子设备
US11606518B2 (en) 2018-02-09 2023-03-14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699676B (zh) * 2018-02-09 2023-06-20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成像装置和电子设备
US11943549B2 (en) 2018-02-09 2024-03-26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57563B (zh) 2010-09-08
US20100066884A1 (en) 2010-03-18
KR100967464B1 (ko) 2010-07-07
CN101257563A (zh) 2008-09-03
EP1965585A2 (en) 2008-09-03
JP4058459B1 (ja) 2008-03-12
JP2008219423A (ja) 2008-09-18
EP1965585B1 (en) 2014-10-22
US20080211950A1 (en) 2008-09-04
EP1965585A3 (en) 2012-03-21
KR20100033399A (ko) 2010-03-29
US7787037B2 (en) 201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464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JP5203913B2 (ja) 光電変換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光電変換装置の駆動方法
US8063967B2 (en) Solid-state image sensor and imaging system
JP4403387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2017055322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6341675B2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撮像システム
US20150281610A1 (en)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US20090079856A1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JP2005094240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US8300122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camera system, and signal reading method
US20120262613A1 (en)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JP4661212B2 (ja) 物理情報取得方法および物理情報取得装置並びに半導体装置
US20080068471A1 (en)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JP2008005155A (ja) 増幅型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電子情報機器
JP5068223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電子情報機器
JP5210833B2 (ja) 固体撮像装置
JP4380716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5177198B2 (ja) 物理情報取得方法および物理情報取得装置
JP2007324873A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11166511A (ja) 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及び駆動方法
JP2022099911A (ja) イメージセンサ
JP2009005015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2008245245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駆動方法、及び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