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2789A - 의장 패널 - Google Patents

의장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2789A
KR20080072789A KR1020077020175A KR20077020175A KR20080072789A KR 20080072789 A KR20080072789 A KR 20080072789A KR 1020077020175 A KR1020077020175 A KR 1020077020175A KR 20077020175 A KR20077020175 A KR 20077020175A KR 20080072789 A KR20080072789 A KR 20080072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esign panel
film
black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297B1 (ko
Inventor
가즈히로 니시가와
타케시 아사쿠라
요시히로 카이
Original Assignee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2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4Normally black display, i.e. the off state being bl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안쪽에, 대기시에 표시면(3a)이 흑색인 디스플레이장치(3)를 배치할 수 있게 구성되고, 표시면을 시인할 수 있게 하는 개구(2a)가 형성된 전자기기용 케이스체(2)에, 개구를 덮도록 부착된 의장 패널(1)로서, 개구보다도 큰 면적을 가진 투명 지지 기판(11)과, 투명 지지 기판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설치된 편광필름(14)과, 편광필름보다도 케이스체 부착 측에 설치된 1/4 파장 위상차 필름(15)과, 투명 지지 기판보다도 케이스체 부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체에 접촉 가능한 부분을 흑색으로 착색하는 흑색 착색부(13)을 갖추어, 정보 표시시에는 바깥쪽에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시인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대기시에는 바깥쪽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시인할 수 없도록 은폐한다.

Description

의장 패널{DESIGN PANEL}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의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 전자기기에서는, 그 안쪽에 디스플레이장치가 배치되고, 당해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을 바깥쪽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의 전체면을 덮도록, 유리나 플라스틱판 등의 투명 패널이 바깥쪽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기기에서는, 패널이 투명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과 투명 패널을 보유지지하는 상기 전자기기용 케이스체의 상기 개구 주위의 프레임 부분과의 식별이 그 투명 패널을 넘어 용이하게 될 수가 있다. 근래에 들어 상기 전자기기에서는, 사용자의 디자인에 대한 요망이 나날이 강해져서, 디스플레이장치가 문자나 그림 등의 정보를 표시면에 표시하고 있을 때에, 그 표시면과 상기 프레임 부분이 한눈에 식별할 수 없도록 하는, 즉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을 은폐하는 것이 의장적으로 대단히 유용하다.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을 은폐하는 제1의 방법으로는, 상기 투명 패널 대 신 투과율이 낮은, 예컨대 흑색계의 스모그 패널을 채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제1의 방법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기시(정보 비표시시)에, 그 표시면과 상기 프레임 부분과의 식별을 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를 위해서는 투과율을 상당히 낮게 해야만 하게 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 표시시에 그 표시면이 어둡게 보이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을 은폐하는 제2의 방법으로는, 상기 투명 패널 상에 시야각이 좁아지게(예컨대, 정면만으로) 되도록 조정하는 특수 필름(예컨대, 3M사 제 라이트 콘트롤 필름) 등을 첩부(貼付)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제2의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대기시에, 정면 이외의 각도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과 상기 프레임 부분을 한눈에 식별할 수 없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경우, 당연히 정면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과 상기 프레임 부분과의 식별이 용이하기 때문에, 충분히 의장성(意匠性)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게 된다. 또, 이 특수 필름에서도 투명 패널보다 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 표시시에 화면이 어둡게 보이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면으로부터의 각도 이외에서는 화상을 보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을 반드시 정면을 향하도록 하지 않으면 그 표시면을 볼 수가 없어, 취급하기 어려운 면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함에 있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 표시시에는, 바깥쪽으로부터 그 표시면이 시인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디스플레이장치의 대기시에는, 그 표시면을 은폐할 수 있는 의장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의 의장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태양에 의하면, 안쪽에, 대기시에 표시면이 흑색인 디스플레이장치를 배치할 수 있게 구성됨과 더불어, 당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표시면을 바깥쪽에서 시인할 수 있게 하는 개구가 형성된 전자기기용 케이스체에, 상기 개구의 전체면을 덮도록 바깥쪽에서 부착될 수 있는 의장 패널로서,
상기 개구의 바깥쪽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개구보다도 큰 면적을 가진 투명 지지 기판과,
상기 투명 지지 기판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설치되어, 입사하는 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필름과,
상기 편광필름보다도 케이스체 부착 측에 설치되어, 직선 편광된 광을 원편광으로 변환하는 1/4 파장 위상차 필름과,
상기 투명 지지 기판보다도 케이스체 부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체에 접촉 가능한 부분을 흑색으로 착색하는 흑색 착색부를 갖고서,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1/4 파장 위상차 필름에 의해 은폐부가 구성되어, 당해 은폐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 표시시에는 바깥쪽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시인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대기시에는 바깥쪽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시인될 수 없도록 은폐할 수 있는 의장 패널을 제공한다.
여기서, 투명 지지 기판의 「안쪽」이라 함은, 본 의장 패널이 상기 케이스체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스체 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향하는 측을 말하고, 투명 지지 기판의 「바깥쪽」이라 함은, 그 반대 측, 즉 본 의장 패널이 상기 케이스체에 부착되었을 때에 밖으로 향하는 측을 말한다.
또, 「접촉 가능한 부분」이라 함은, 본 의장 패널이 상기 케이스체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스체에 접촉하는 부분을 말하는바,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개구에 접하는 부분은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편광판을 가진 액정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상기 편광필름이 상기 편광판과 흡수축이 같아지게 되도록 배치할 수 있는 제1태양에 기재된 의장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태양에 의하면, 상기 편광필름은, 상기 투명 지지 기판의 상기 안쪽 면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는, 제1태양 또는 제2태양의 의장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태양에 의하면, 상기 흑색 착색부가 상기 편광필름보다도 케이스체 부착 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태양 또는 제2태양에 기재된 의장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태양에 의하면, 상기 흑색 착색부가, 상기 1/4 파장 위상차 필름에 인쇄된 층인 제4태양에 기재된 의장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태양에 의하면, 상기 흑색 착색부가, 상기 흑색 착색부의 바깥쪽 면에 인접하는 상기 투명 지지 기판 또는 상기 1/4 파장 위상차 필름과, 상기 케이스체를 점착 가능한 흑색의 양면 점착 테이프인 제4태양에 기재된 의장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태양에 의하면, 상기 흑색 착색부가, 상기 1/4 파장 위상차 필름의 상기 바깥쪽 면 또는 안쪽의 면에 인접해서 설치된 필름 부재인 제3태양에 기재된 의장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태양에 의하면, 가장 바깥쪽 면이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개구 측의 외면과 면일치로 될 수가 있는 제1태양 또는 제2태양에 기재된 의장 패널을 제공한다.
여기서, 「면일치」라 함은, 의장 패널이 케이스체의 개구 측 외면에 단차 없이 부착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제9태양에 의하면, 상기 은폐부가,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1/4 파장 위상차 필름과의 사이에 1/2 파장 위상차 필름을 더 구비하고 있는 제1태양 또는 제2태양에 기재된 의장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태양에 의하면, 상기 편광필름은, 상기 투명 지지 기판의 상기 내측 면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상기 은폐부는,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1/4 파장 위상차 필름 사이에 1/2 파장 위상차 필름을 더 구비하고 있는 제1태양 또는 제2태양에 기재된 의장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의장 패널을 보유지지하는 전자기기용 케이스체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흑색 착색부를 갖고 있고, 또 개구의 부분에는 은폐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의 대기시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과 상기 프레임 부분과는 본 의장 패널 너머로 일체화되어 보여져, 시각적으로 식별(시인)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관찰자)로부터는, 의장 패널 바깥쪽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시각적으로 판별할 수가 없어, 본 의장 패널이 흑색창의 의장으로 취급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의 대기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존재가 의식되지 않는, 편편해진 흑색창의 의장을 연출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 표시시에는, 전자기기용 케이스체의 바깥쪽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의 화상이 부상(浮上)하도록 된 의장성이 뛰어난 연출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은폐부의 편광판 필름을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의 편광판과 흡수축이 같아지도록 배치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 표시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보다 많이 투과시킬 수가 있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편광필름을 투명 지지 기판의 안쪽 면에 인접해서 설치하면, 의장 패널의 가장 바깥쪽에는 투명 지지 기판이 위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표면의 흠집 내성 및 평활성이 뛰어나다. 또, 편광필름의 단차(段差)가 생기지 않아, 벗겨질 걱정도 없게 된다.
또, 흑색 착색부를 편광 필름보다도 케이스체 부착 측에 설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대기시의 흑색과 합치된 색으로 보이기가 쉬워, 디스플레이와 본 의장 패널과의 경계가 식별하기 어렵게 되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흑색 착색부를 1/4 파장 위상차 필름에 인쇄함으로써, 흑색 착색부의 두께를 얇게 할 수가 있어, 그 만큼 본 의장 패널의 두께를 얇게 할 수가 있다.
또, 흑색 착색부를 흑색의 양면 점착 테이프로 함으로써, 별도의 흑색 착색부를 만드는 공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게 되어, 비용을 줄임과 더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흑색 착색부를 1/4 파장 위상차 필름의 바깥쪽 또는 안쪽의 면에 인접해서 설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대기시의 흑색과 합치된 색으로 보이기 쉬워, 디스플레이와 본 의장 패널과의 경계가 식별하기 어렵게 되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의장 패널의 가장 바깥쪽 면을 케이스체의 개구 측의 외면과 면일치 되도록 하면, 한층 더 의장 패널과 케이스체가 일체화되어 보여져, 더 의장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의장 패널을 케이스체로부터 벗겨지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또, 은폐부의 편광필름와 1/4 파장 위상차 필름과의 사이에 1/2 파장 위상차 필름을 더 구비하도록 하면, 인간의 시감도(視感度)가 가장 높은 550nm 부근의 파장의 광에 더해, 400nm 부근의 저파장 영역 및 750nm 부근의 장파장 영역의 광이 장치 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어, 한층 더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을 이용한 휴대전화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A 단면 개략도,
도 2는, 액정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을 이용한 휴대전화기의 일부 확대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을 이용한 휴대전화기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대기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을 이용한 휴대전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표시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을 이용한 휴대전화기의 일부 확대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의 편광판 및 1/4 파장 위상차 필름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 편광판과의 편광방향의 위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의 편광판, 1/2 파장 위상차 필름 및, 1/4 파장 위상차 필름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 편광판과의 편광방향의 위치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과,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의 광의 반사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의장 패널을 이용한 휴대전화기의 일부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계속하기 전에, 첨부도면에서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을 이용한 휴대전화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그 A-A 단면의 개략도이다.
의장 패널(1; 도 1b 중의 사선부)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수지로 형성된 케이스체(2)의 일부 표면에 설치된 개구(2a)를 바깥쪽에서 덮도록 개구(2a) 주위의 프레임 부분(2b)에 보유지지되어, 양면 점착 테이프(4)에 의해 첩부되어 있다. 케 이스체(2)의 개구(2a)는, 케이스체(2)의 안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장치(3)의 표시면(3a)을 바깥쪽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의장 패널(1)은 개구(2a)보다도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장치(3)의 표시면(3a)과 공기층(4)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체(2)의 개구(2a) 측의 상부면(외면; 2c)은, 의장 패널(1)의 상부면(1a)과 면일치(面一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개구(2a) 및 프레임 부분(2b)은, 케이스체(2)의 개구(2a) 측의 상부면(2c)으로부터 패어져 있고, 그 패인 곳에 의장 패널(1)이 끼워져 있다. 이에 따라, 의장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의장 패널(1)이 케이스체(2)로부터 벗겨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는, 대기시(待機時), 즉 표시면(3a)에 문자나 그림 등의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때에, 표시면(3a)이 흑색인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이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3)가 휴대전화기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당해 휴대전화기의 비사용시에 표시면(3a)이 흑색 한가지 색일 때가 「대기시」이다. 이와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는, 예컨대 노말리 블랙(normally black)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전압이 걸려있지 않을 때에 투과율, 또는 반사율이 최소(화면이 흑색으로 되는 상태) 로 되어, 전압을 가하면 투과율이 올라가도록 설계된 액정 디스플레이장치]를 채용해서, 대기시에 전압을 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현될 수가 있다. 또, 예컨대 노말리 화이트 방식의 액정디스플레이[전압이 걸려있지 않을 때에 투과율, 또는 반사율이 최대(화면이 백색으로 되는 상태)로 되어, 전압을 가하면 투과율이 내려가도록 설계된 액정디스플레이장치]를 채용해서, 대기시에 미약(微弱) 전압을 가하도록 함 으로써도 실현될 수가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3)에 노말리 블랙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경우에는, 전압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흑색이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헛되이 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디스플레이장치(3)에 노말리 화이트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경우에는, 노말리 블랙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비해 흑색의 콘트라스트가 좋다고 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한층 더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3)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디스플레이장치(3)는, 광원(31)과 반사판(32) 및 확산판(33)을 갖춘 조명부(41)와, 2매의 기판(35, 39) 사이에 투명전극막(36, 38)을 매개로 액정(37)을 밀봉하는 액정 셀(42)과, 액정 셀(42)을 사이에 끼우도록 각각 배치된 하부 편광판(34) 및 상부 편광판(40)과, 액정(37)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액정 구동제어회로(43)로 구성되어 있다.
광원(31)에서 출사된 광은, 일부가 반사판(32)에서 반사된 후, 확산판(33)에서 확산되어, 균일한 조명 분포를 가진 조명광(51)으로 된다. 조명광(51)은 액정 셀(42)의 전체를 조명한다. 하부 편광판(34)은 조명광(51)의 특정한 편광성분만을 투과해서 직선 편광으로 변환시킨다. 액정(37)에는, 예컨대 트위스티드 네마틱(TN) 액정이 이용되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으나 투명전극막(36, 38)과 액정(37)과의 경계면에 배광처리(背光處理)가 실시되어 있다. 액정(37)은 직선 편광된 광을 선광하는 작용을 갖고, 그 선광성(旋光性)은 인가된 전압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상 부 편광판(40)에 의해 출사광(52)의 광량을 제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액정 구동장치 회로(43)에 의해 액정(37)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화상 표시력(畵像表示力)을 갖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을 이용한 휴대전화기의 일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의장 패널(1)은, 투명 지지 기판(11)과, 투명 지지 기판(11)의 하부면(11a) 전체 면에 형성된 은폐부(12)와, 케이스체(2)의 개구(2a) 주위의 프레임 부분(2b)의 형상에 맞춰 은폐부(12)의 하부면에 설치된 흑색 착색부(13)를 갖고 있다.
투명 지지 기판(11)은, 유리나 플라스틱 패널 등의 투명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투명 지지 기판(11)을 형성하는 유리 부재로는, 일반적으로 투명성이 뛰어난 소다유리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물리적, 화학적으로 강화된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이용하는 의장 패널로는, 취급성을 고려해서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화유리를 강화처리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물리적 강화방법과 화학적 강화방법이 있다. 물리적 강화방법은, 담금질 원리를 이용하여, 급냉에 의해 유리 표면과 유리 내부에 온도차를 생기게 해서 압축 응력을 갖게 하는 강화 방법이다. 화학적 강화방법은, 질산칼륨 용액 중에 침지해서, 유리 표면의 나트륨 이온과 용액 중의 칼륨 이온을 치환해서, 유리 표면과 유리 내부에서 이온 반경이 다른 양쪽 이온을 존재시킴으로써, 압축응력을 갖게 하는 강화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의장 패널(1)로는, 장치의 박형 화라고 하는 기술적 트랜드의 관점에서 박판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화학 강화방법을 이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투명 지지 기판(11)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으로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투명 수지로는, 폴리아크릴 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 폴리아릴레이트나 놀볼넨계의 "ARTON"(주식회사 JSR의 상품명), "ZEONOR"(일본 제온의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은폐부(12)는, 바깥쪽에서 순차로,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3)의 상부 편광판(40)과 흡수축이 같아지도록 구성되어, 입사하는 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필름(14)과, 편광필름(14)의 흡수축과 광학축이 45° 또는 135°(도 10a에서는 135°의 상태를 나타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1/4 파장의 위상 지연을 부여함으로써, 직선 편광된 광을 원편광(圓偏光)으로 변환시키는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을 구비하고 있다.
은폐부(12)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광필름(14)이 투명 지지 기판(11)의 하부면(11a) 전체면에 첩부되어, 편광필름(14)의 하부면(14a) 전체 면에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을 첩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투명 지지 기판(11)이 의장 패널(1)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투명 지지 기판(11)의 바깥쪽 면(11b)에 하드코팅처리를 실시할 수가 있다. 이 하드코팅처리로는, 디핑법, 롤코팅법, 분사법 등에 의해 아크릴계 또는 실록산계의 수지를 1 ~ 10㎛ 정도의 막두께로 코팅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은폐부(12)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광 필름(14)과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으로 투명 지지 기판(11)을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되어도 좋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광필름(14)와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이 투명 지지 기판(11)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이 경우, 투명 지지 기판(11)에는 광학적 등방성(等方性)이 필요하다.
편광필름(14)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PVA)과 그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로 구성되는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편광필름(14)에는, 단체 투과율 40% 이상, 편광도 99% 이상의 광학 특성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은, 인간의 시감도가 가장 높은 550nm의 파장의 1/4의 길이에 해당되는 137nm의 위상차 값을 갖는다.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릴레이트(PAR), 놀볼넨계의 "ARTON"(주식회사 JSR의 상품명), "ZEONOR"(일본 제온 상품명) 등의 필름을 미리 설정된 연신조건으로 제막하여 원하는 위상차 값을 얻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흑색 착색부(13)는, 예컨대, 케이스체(2)의 개구(2a) 주위의 프레임 부분(2b)의 형상에 일치시켜,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에 직접 인쇄된 흑색 잉크이어도 좋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별개의 기재필름(16)에 인쇄된 흑색 잉크이어도 좋다. 별개의 기재필름(16)은, 도 6에서는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의 하부면(15a)에 첩합시켰으나,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의 상부면(15b)에 전체면 점착제로 첩합되어도 좋다 . 또, 이 경우, 흑색 착색부(13)는, 도 6에서는 별개의 기재 필름(16)의 상부면(16b)에 인쇄되었으나, 하부면(16a)에 인쇄되어도 좋다. 즉, 흑색 착색부(13)는, 편광필름(14)보다도 디스플레이장치(3) 측, 즉 케이스체 부착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 좋다.
별개의 기재필름(16)에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 필름, 폴리아릴레이트(PAR), 놀볼넨계의 "ARTON"(주식회사 JSR의 상품명), "ZEONOR"(일본 제온의 상품명) 등의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인쇄층의 재질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텔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폴리에스텔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텔계 수지, 알키드 수지 등의 수지를 바인더로 하고, 흑색의 안료를 착색재로 함유하는 착색잉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인쇄층의 형성방법으로는, 옵셋인쇄법, 그라비아인쇄법, 스크린인쇄법, 잉크제트법 등의 통상적인 인쇄법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흑색 착색부(13)는, 양면 점착 테이프(4)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즉, 양면 점착 테이프(4)가 흑색의 양면 점착 테이프이어도 좋다. 이 흑색 양면 점착 테이프는, 흑색 필름(예컨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에 흑색의 안료를 분산시킨 것)을 심재로 해서 그 양면에 흑색안료를 혼합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공(塗工)한 것을 프레임 부분(2b)의 형상에 맞춰 펀칭가공을 해서 만들면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의장 패널(1)에 의하면, 사용자(관찰자)는 디스플레이장치(3)의 대기시, 표시면(3a)이 흑색으로 이루어지고서, 그 주위의 프레임 부분(2b)이 흑색 착색부(13)에 의해 흑색으로 착색되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검은 창과 같이 보여, 양자의 식별이 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의장 패널(1)의 아래쪽에 있는 디스플레이장치(3)의 존재를 의식시키지 않는, 편편해진 흑색 창의 의장을 연출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3)의 점등시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체(2)의 바깥쪽에서 디스플레이장치(3)가 시인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3)의 표시면(3a)의 화상이 부상하도록 된 의장성이 뛰어난 연출을 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기는, 디스플레이장치(3)의 상부 편광판(40)의 상부면에, 1/4 파장의 위상을 진행시키는 1/4 파장 위상차판이 첩부되면, 광원(31)으로부터의 광이 상부 편광판(40)에 의해 직선 편광될 때에 광량이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밝은 화상을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의 의장 패널을 이용해서 실행한 비교 평가를 아래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도 3b에 도시된 구성의 의장 패널을 사용.
투명 지지 기판 : 두께 1mm의 메타아크릴레이트(PMMA)의 양면에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자외선 경화수지를 두께 5㎛이 되도록 디핑 코팅한 것을 사용.
편광 필름 : 편광도 99.5%, 단체(單體) 투과율 43%의 광학특성을 가짐과 더불어, 투명 지지 기판의 하부면에 흡수축(吸收軸)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 편광판 의 흡수축 45°와 같아지도록 투명 아크릴계 점착제로 전체면 첩부.
1/4 파장 위상차 필름 : 편광필름의 하부면에, 그 흡수축을 편광필름의 흡수축과 45°기울여, 투명 아크릴계 점착제로 전체면 첩부.
흑색 착색부 : 위상차 필름의 하부면에, 잉크제트법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레임 형상과 대응하도록 흑색 잉크로 인쇄.
(실시예 2)
도 6에 도시된 구성의 의장 패널을 사용.
투명 지지 기판 : 두께 0.7mm의 폴리카보네이트(PC)의 양면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자외선 경화수지를 두께 3㎛로 되도록 디핑 코팅한 것을 사용.
편광필름 : 편광도 99.5%, 단체 투과율 43%의 광학특성을 가짐과 더불어, 투명 지지 기판의 하부면에 흡수축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 편광판의 흡수축 135°와 같아지도록 투명 아크릴계 점착제로 전체면 첩부.
흑색 착색부 : 두께 100㎛의 광학적으로 등방성의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에 그라비아인쇄법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레임 형상에 일치시켜 흑색 인쇄. 그 필름을 편광필름의 하부면에 투명 아크릴계 점착제로 전체면 첩부.
1/4 파장 위상차 필름 : 상기 필름의 하부면에, 그 흡수축을 편광필름의 흡수축과 45°기울여, 투명 아크릴계 점착제로 전체면 첩부.
(비교예)
도 1b에 도시된 구성의 의장 패널을 사용.
의장 패널 : 두께 1mm의 메타아크릴레이트(PMMA)에 흑색안료를 분산시킨 흑색계의 스모그 패널을 사용.
(평가 항목)
디스플레이장치의 대기시 : 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면과 프레임 부분의 식별의 가부.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 표시시 :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인성.
[표 1]
디스플레이장치의 대기시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 표시시
실시예 1 식별 불가 O
실시예 2 식별 불가 O
비교예 식별 가 X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대기시에는, 바깥쪽에서 그 표시면이 시인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 표시시에는, 그 표시면을 은폐할 수 있는 의장 패널을 제공할 수가 있다.
(제2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A)를 설명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A)을 이용한 휴대전화기의 일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A)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A)은, 은폐부(12) 대신,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광판(14)과 1/4 파장 위상차 필름(15)과의 사 이에 1/2 파장 위상차 필름(17)을 구비하는 은폐부(12A)를 갖고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과 다르다. 그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과 마찬가지이다.
본 제2실시형태에서, 은폐부(12A)의 1/2 파장 위상차 필름(17)은,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광필름(14)의 흡수축과 광학축와가 θ°(예컨대 17.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 10b에서는, 은폐부(12A)의 편광판 필름(14)과 디스플레이장치(3)의 상부 편광판(40)의 흡수축을 135°기울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2 파장 위상차 필름(17)는, 인간의 시감도가 가장 높은 550nm의 파장의 1/2의 길이에 해당되는 275nm의 위상차 값을 갖는다. 1/2 파장 위상차 필름(17)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릴레이트(PAR), 놀볼넨계의 "ARTON"(주식회사 JSR의 상품명), "ZEONOR"(일본 제온의 상품명) 등의 필름을 미리 설정된 연신조건으로 제막(製膜)하여 원하는 위상차 값을 얻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본 제2실시형태에서,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은, 편광필름(14)의 흡수축과 광학축이 2θ +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본 제2실시형태에서는, 1/2 파장 위상차 필름(17)과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의 조합에 의해 넓은 대역 위상차 판을 구성하고,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저파장 영역 및 장파장 영역의 광의 반사율을 한결같이 낮게 억제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은폐부(12A)의 편광판 필름(14)은, 디스플레이장치(3)의 상부 편광판(40)과 흡수축이 같아지도록 배치하면, 디스플레이장치(3)의 정보 표시시에 디스플레이장치(3)의 광원(31)으로부터의 광을 보다 많이 투과시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예컨대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3) 측에도 1/4 파장 위상차 필름(41)과 1/2 파장 위상차 필름(42)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1/4 파장 위상차 필름(41)은, 은폐부(12A)의 편광필름(14)의 흡수축과 광학축이 2θ + 45°±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하고, 1/2 파장 위상차 필름(42)은, 은폐부(12A)의 편광필름(14)의 흡수축과 광학축이 θ ±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과,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A)의 광의 반사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의 그래프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의 광의 반사특성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A)의 광의 반사특성을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에서는, 은폐부(12)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간의 시감도가 가장 높은 550nm 부근의 파장의 광의 반사율이 특히 낮아져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3)의 대기시에 인간의 눈에는, 의장 패널(1)의 아래쪽에 있는 디스플레이장치(3)의 존재를 의식하게 하지 않는, 편편해진 흑색 창과 같이 보여져 의장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에서는, 400nm 부근의 저파장 영역 및 750nm 부근의 장파장 영역의 광의 반사율이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저파장 영역 및 장파장 영역의 광의 일부가 의장 패널(1A)을 투과해서, 근소하기는 하지만 보라색이 들어 보인다.
이에 대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 널(1A)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에 비해, 400nm 부근의 저파장 영역에서부터 750nm 부근의 장파장 영역에 걸쳐 광의 반사율이 한결같이 낮게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의장 패널(1A)에 의하면, 저파장 영역 및 장파장 영역의 광이 의장 패널(1A)을 투과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의장 패널(1A)를 보다 더 흑색창과 같이 보여져,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여러 가지 태양으로 실시가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에서는 케이스체(2)의 일부에 형성된 개구(2a)를 막도록 의장 패널(1)을 설치하였으나,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체(2)의 개구(2a) 측의 상부면(2c)의 전체를 덮도록 의장 패널(1)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케이스체(2)의 표면 전체를 의장 패널(1)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도면 중에서는 의장 패널(1)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삼각형이나 원형, 별모양 등이어도 좋다.
한편, 상기 여러 가지 실시형태 중의 임의의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의 가진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의장 패널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보를 표시할 때는, 바깥쪽에서 그 표시면을 시인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디스플레이장치의 대기시에는, 그 표 시면을 은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의장 패널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관련해서 충분히 기재하였으나, 이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로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중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되는, 2005 년 11 월 8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05-323479호의 명세서, 도면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개시된 내용은, 전체로서 참조되어 본 명세서 중에 반영될 수 있다.

Claims (10)

  1. 안쪽에, 대기시에 표시면(3a)이 흑색인 디스플레이장치(3)를 배치할 수 있게 구성됨과 더불어 당해 디스플레이장치(3)의 상기 표시면(3a)을 바깥쪽에서 시인할 수 있게 하는 개구(2a)가 형성된 전자기기용 케이스체(2)에, 상기 개구(2a)의 전체 면을 덮도록 바깥쪽에서 부착할 수 있도록 된 의장 패널로서,
    상기 개구(2a)의 바깥쪽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개구(2a)보다도 큰 면적을 가진 투명 지지 기판(11)과,
    상기 투명 지지 기판(11)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설치되어, 입사하는 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편광필름(14)과,
    상기 편광필름(14)보다도 케이스체 부착 측에 설치되어, 직선 편광된 광을 원편광으로 변환하는 1/4 파장 위상차 필름(15)과,
    상기 투명 지지 기판(11) 보다도 케이스체 부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체(2)에 접촉 가능한 부분을 흑색으로 착색하는 흑색 착색부(13)를 갖고서,
    상기 편광필름(14)과 상기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에 의해 은폐부(12, 12A)를 구성하여, 당해 은폐부(12, 12A)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3)의 정보 표시시에는 바깥쪽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3)가 시인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3)의 대기시에는 바깥쪽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3)가 시인될 수 없게 은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는, 편광판(40)을 가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편광필름(14)이 상기 편광판(40)과 흡수축이 같아지게 되도록 배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14)이, 상기 투명 지지 기판(11)의 상기 안쪽의 면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 패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착색부(13)가, 상기 편광필름(14) 보다도 케이스체 부착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착색부(13)가, 상기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에 인쇄된 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착색부(13)가, 상기 흑색 착색부(13)의 바깥쪽 면에 인접하는 상기 투명 지지 기판(11) 또는 상기 1/4 파장 위상차 필름(15)과 상 기 케이스체(2)를 점착시킬 수 있는 흑색의 양면 점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 패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착색부(13)가, 상기 1/4 파장 위상차 필름(15)의 상기 바깥쪽 면 또는 안쪽 면에 인접해서 설치된 필름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 패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장 바깥쪽 면이 상기 케이스체(2)의 상기 개구(2a) 측의 외면과 면일치하게 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 패널.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부(12A)가, 상기 편광필름(14)과 상기 1/4 파장 위상차 필름(15) 사이에 1/2 파장 위상차 필름(17)을 더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 패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14)이, 상기 투명 지지 기판(11)의 상기 안쪽 면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상기 은폐부(12A)가, 상기 편광필름(14)과 상기 1/4 파장 위상차 필름(15)과의 사이에 1/2 파장 위상차 필름(17)을 더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 패널.
KR1020077020175A 2005-11-08 2006-11-07 의장 패널 KR101157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3479 2005-11-08
JP2005323479 2005-11-08
PCT/JP2006/322154 WO2007055189A1 (ja) 2005-11-08 2006-11-07 意匠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789A true KR20080072789A (ko) 2008-08-07
KR101157297B1 KR101157297B1 (ko) 2012-06-15

Family

ID=3802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175A KR101157297B1 (ko) 2005-11-08 2006-11-07 의장 패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47877B2 (ko)
EP (1) EP1947627B1 (ko)
JP (1) JP4987699B2 (ko)
KR (1) KR101157297B1 (ko)
CN (1) CN100592353C (ko)
TW (1) TWI410707B (ko)
WO (1) WO2007055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7699B2 (ja) * 2005-11-08 2012-07-25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意匠パネル
JP5026163B2 (ja) * 2007-06-26 2012-09-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268962B1 (ko) * 2008-03-21 2013-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064365B1 (ko) * 2008-05-30 2011-09-14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터치입력기능 부가 보호패널의 실장구조 및 실장방법
KR101322951B1 (ko) * 2009-03-27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4629146B2 (ja) * 2009-03-31 2011-02-09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機器用隠蔽フィルム、それを使用する機器、及び、機器の被隠蔽部の隠蔽方法
JP5594713B2 (ja) * 2009-03-31 2014-09-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WO2011005972A1 (en) 2009-07-10 2011-01-13 Panduit Corp. 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a short conductive path to compensation
TW201145132A (en) * 2010-03-11 2011-12-16 Alps Electric Co Ltd Translucent inputting device
KR101706101B1 (ko) 2010-04-20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09816B1 (ko) * 2010-12-17 2013-09-23 제일모직주식회사 광학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JP5877991B2 (ja) * 2011-01-19 2016-03-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2756579B (zh) * 2011-04-28 2015-12-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镜片及其印刷方法
JP5739241B2 (ja) * 2011-06-07 2015-06-24 株式会社有沢製作所 立体画像表示装置
CN102289101A (zh) * 2011-06-13 2011-12-2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显示模块及液晶显示器
JP5530419B2 (ja) * 2011-11-25 2014-06-25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TWI486835B (zh) * 2012-05-08 2015-06-01 Htc Corp 觸控顯示裝置
US8875998B2 (en) * 2012-07-23 2014-11-04 Sherry Brennan Middle class america card
JP2014199336A (ja) * 2013-03-29 2014-10-2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液晶表示体用偏光板
KR20140122433A (ko) * 2013-04-10 2014-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형상 변형 방법
JP2014206684A (ja) * 2013-04-15 2014-10-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画像表示装置
JP2016065928A (ja) * 2014-09-24 2016-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5079256A (ja) * 2014-11-11 2015-04-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画像表示装置
EP3121806A4 (en) * 2015-02-26 2017-11-29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JP2017090637A (ja) * 2015-11-09 2017-05-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部材
JP6696223B2 (ja) * 2016-02-29 2020-05-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部材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6669542B2 (ja) * 2016-03-15 2020-03-1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フロ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33523B1 (ko) * 2016-04-18 2024-02-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JP7280009B2 (ja) * 2016-04-18 2023-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7280008B2 (ja) * 2016-04-18 2023-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17194672A (ja) * 2016-04-18 2017-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8008498A1 (ja) * 2016-07-06 2018-01-1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半透過反射板、及び、電気機器
WO2018008497A1 (ja) * 2016-07-06 2018-01-1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I643541B (zh) * 2017-08-05 2018-12-0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殼體、該殼體的製作方法及具有該殼體的電子裝置
JP6996389B2 (ja) * 2018-03-28 2022-01-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20210032979A (ko) * 2018-07-12 2021-03-25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색상 매칭을 위해 구성된 데드프론트
JP2019105855A (ja) * 2019-02-27 2019-06-2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0173386A (ja) * 2019-04-12 2020-10-22 住友化学株式会社 着色層付光学部材、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7441030B2 (ja) * 2019-10-31 2024-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光学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電子モジュール、光学モジュール及び機器
CN114761840A (zh) * 2019-11-28 2022-07-15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层叠体、光学设备和图像显示装置
JP6947279B2 (ja) * 2019-12-03 2021-10-1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着色剤を選択する方法
JP6947278B2 (ja) * 2019-12-03 2021-10-1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着色剤を選択する方法
CN114761233A (zh) * 2019-12-03 2022-07-15 王子控股株式会社 粘着片、粘着片的制造方法及选择着色剂的方法
JP2021015305A (ja) * 2020-11-10 2021-02-1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0125B2 (ja) * 1998-07-23 2005-08-31 住友化学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00008520A1 (fr) 1998-08-04 2000-02-17 Kaneka Corporation Dispositif d'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a ecran tactile, et ecran tactile
JP2000111896A (ja) * 1998-08-04 2000-04-2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
JP3313337B2 (ja) * 1999-05-13 2002-08-1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低反射タッチパネル
JP2001222230A (ja) 2000-02-10 2001-08-17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用カバーレンズの製造方法、表示装置用カバーレンズ、カバーレンズ付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JP2002031717A (ja) * 2000-07-14 2002-01-31 Nippon Mitsubishi Oil Corp 円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480349B (en) * 2001-01-09 2002-03-21 Au Optronics Corp Light-shielding method and structure for display periphery
JP2003255847A (ja) * 2002-03-04 2003-09-10 Seiko Epson Corp 両面粘着シート及びカバーウインドウ
JP4021925B2 (ja) * 2004-02-20 2007-12-1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窓の保護パネル及び保護パネルの製造方法
JP4523330B2 (ja) 2004-05-11 2010-08-11 株式会社リコー 電源回路及びその電源回路を有する機器
TWI380900B (zh) * 2004-09-17 2013-01-01 Sumitomo Chemical Co 光學疊層體
TWI413809B (zh) * 2004-12-27 2013-11-01 Dainippon Ink & Chemicals 光學薄膜、橢圓偏光板、圓偏光板、液晶顯示元件、及該光學薄膜之製法
JP4987699B2 (ja) * 2005-11-08 2012-07-25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意匠パネル
JP5049033B2 (ja) * 2007-03-08 2012-10-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55189A1 (ja) 2007-05-18
CN101180666A (zh) 2008-05-14
US7847877B2 (en) 2010-12-07
EP1947627A1 (en) 2008-07-23
US20090033824A1 (en) 2009-02-05
EP1947627B1 (en) 2013-10-23
JPWO2007055189A1 (ja) 2009-04-30
KR101157297B1 (ko) 2012-06-15
TWI410707B (zh) 2013-10-01
JP4987699B2 (ja) 2012-07-25
EP1947627A4 (en) 2011-01-19
TW200732748A (en) 2007-09-01
CN100592353C (zh)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297B1 (ko) 의장 패널
WO2018008497A1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334470B1 (ko) 액정표시장치
TWI274204B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light guider for display devices
EP2169450B1 (en) Display protection plate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9173509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hanging the appearance of an object mounted behind a mirror
CN101872035B (zh) 一种液晶屏的硬屏偏光板
CN101852943B (zh) 一种液晶屏的偏光板
KR20040004147A (ko) 표시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JP2008083262A (ja) 携帯型表示装置用保護板
WO2018008498A1 (ja) 表示装置、電子機器、半透過反射板、及び、電気機器
JP2008083423A (ja) 携帯型表示装置用保護板
CN117280274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2003098545A (ja) 両面表示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EP3650928A1 (en) Display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system
CN110016300B (zh) 显示屏保护膜
EP1483796A1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JP3811395B2 (ja) 意匠性の高い半透過反射板、半透過反射板付き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透過反射液晶表示装置
JP3690202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4057442A (ja) 表示装置
TWM282181U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0275632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0193971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CN117706837A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JP2006235409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