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991A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991A
KR20080067991A KR1020080053625A KR20080053625A KR20080067991A KR 20080067991 A KR20080067991 A KR 20080067991A KR 1020080053625 A KR1020080053625 A KR 1020080053625A KR 20080053625 A KR20080053625 A KR 20080053625A KR 20080067991 A KR20080067991 A KR 20080067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s
elastic piece
pai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215B1 (ko
Inventor
신스케 한다
가츠노리 미야조노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가장자리(402 ; 102)와, 상기 가장자리(402 ; 102)에 가로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삽입 볼록부(12 ; 103)와, 각 상기 삽입 볼록부(12 ; 103)의 표면(4a ; 103a) 및 이면(4b ; 103b)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도전부(8 ; 8B ; 103a, 103b)를 가지는 판 모양의 접속 부재(4 ; 100 ; 100L)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6)가, 절연성의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13)에 의해 유지된 금속제의 컨택트 형성체(14 ; 14A ; 14B ; 14B' ; 14C ; 14C' ; 14D ; 14E ; 14F ; 14G ; 14H ; 14J)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컨택트 형성체14 ; 14A ; 14B ; 14B' ; 14C ; 14C' ; 14D ; 14E ; 14F ; 14G ; 14H ; 14J)는 4개의 벽(4l, 42, 43, 44 ; 41D, 42D, 43D, 44D)으로 이루어지는 박스 모양부(33 ; 33D)와, 상기 박스 모양부(33 ; 33D) 중 적어도 1개의 벽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34 ; 34B ; 34 ; 34L)를 포함한다. 상기 4개의 벽(41, 42, 43, 44 ; 41D, 42D, 43D, 44D)은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12 ; 103)가 소정의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45)를 구획한다. 상기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34 ; 34B ; 34K ; 34L)는 상기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12 ; 103)의 상기 도전부(8 ; 8B ; 103a, 103b)와 접촉하는 접촉부(475 ; 475A ; 475B ; 475C ; 475D ; 475E ; 475F ; 475G ; 475J)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기 커넥터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과, 하우징에 유지된 금속제의 컨택트(contact)를 가지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下記)한 문헌 1 참조).
문헌 1 : 일본 특개2000-331732호 공보(공개일 : 2000년 11월 30일).
컨택트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S자 모양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굴곡부와, 굴곡부의 선단에 설치된 돌기 모양의 접촉부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는 회로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도체 패턴에 접촉하여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굴곡부가 탄성 변형하고, 굴곡부로부터 도체 패턴에 탄성 반발력이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와 도체 패턴 사이에 접압(接壓)이 생기고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에 접촉부와 틈새를 두고 대향하는 받이부를 형성하고, 접촉부와 받이부와의 사이에 삽통(揷通)된 회로 기판을 상기 받이부에 수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이 접촉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도 체 패턴과 접촉부와의 접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회로 기판의 발열 등에 기인하여 하우징이 고온으로 되면, 하우징의 수지가 연화하여 받이부가 변형할 우려가 있다. 받이부가 변형하면, 받이부에 수용된 회로 기판의 위치가 어긋나 버린다. 이 경우, 접촉부와 도체 패턴과의 접압이 내려가서 접촉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 기판 등에 대한 접압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 기재 발명은, 가장자리와, 상기 가장자리에 가로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삽입 볼록부와, 각 상기 삽입 볼록부의 표면 및 이면(裏面)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도전부(導電部)를 가지는 판 모양의 접속 부재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connector)가: 절연성(絶緣性)의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된 금속제의 컨택트 형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 형성체는 4개의 벽으로 이루어지는 박스 모양부와, 상기 박스 모양부 중 적어도 1개의 벽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contact)를 포함하며, 상기 4개의 벽은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가 소정의 삽입 방향에 따라서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를 구획하고, 상기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는 이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가 연장하여 설치되는 벽에 의해서 지지되는 탄성편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부는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슬릿에 의해서 구획된 한 쌍의 부분과, 이들 한 쌍의 부분 중 삽입 방향측의 단부로서의 선단부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의 상기 도전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4개의 벽은 상기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 의 주위를 전체에 걸쳐서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를 박스 모양부로 감싸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로부터 접압을 받는 삽입 볼록부를 이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박스 모양부에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와 도전부와의 접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박스 모양부는 금속제이므로,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는 온도 조건(예를 들면, 최고로 백수십도)에서 열에 의해 연화하여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의 온도 조건에 관계없이, 삽입 볼록부를 받는 박스 모양부가 열에 기인하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삽입 볼록부를 받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압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에 슬릿에 의해서 구획된 한 쌍의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의 한 쌍의 부분을 서로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탄성편부가 삽입 볼록부와 접촉할 때의 탄성편부의 가요성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삽입 볼록부와의 접압이 너무 높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한 쌍의 부분의 선단을 접속부로 접속하고 있음으로 인해서 한 쌍의 부분의 선단을 함께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부분의 강성이 너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탄성편부의 피로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분은 각각 상기 선단부측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좁아지게 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이다.
청구항 3 기재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분은 각각 상기 소정의 삽입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컬(curl)되는 만곡부와, 이 만곡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며 상기 소정의 삽입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상기 탄성편부가 지지되어 있는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지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상기 소정의 삽입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상기 탄성편부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벽에 근접하도록 경사지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각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 각각의 경계부에 각 상기 접촉부가 형성되고, 각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는 상기 선단부측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좁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경사부의 선단에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의 탄성변형에 따르는 접촉부의 가동량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의 제1 경사부로부터 제2 경사부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경사부의 선단이 삽입 볼록부에 걸려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각 상기 경계부는 상기 삽입 볼록부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되어 있으며, 각 상기 경계부의 정상부에 상기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경계부를 삽입 볼록부와 미끄러지게 접촉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각 경계부와 삽입 볼록부와의 접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 발명은, 판 모양의 접속 부재와, 상기 접속 부재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장자리 부에 가로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삽입 볼록부와, 각 상기 삽입 볼록부의 표면 및 이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도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된 금속제의 컨택트 형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 형성체는 4개의 벽으로 이루어지는 박스 모양부와, 상기 박스 모양부 중 적어도 1개의 벽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를 포함하며, 상기 4개의 벽은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가 소정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를 구획하고, 상기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는 이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가 연장하여 설치되는 벽에 의해서 지지되는 탄성편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부는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슬릿에 의해서 구획된 한 쌍의 부분과, 이들 한 쌍의 부분 중 삽입 방향측의 단부로서의 선단부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의 상기 도전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4개의 벽은 상기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의 주위를 전체에 걸쳐서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접속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를 박스 모양부로 감싸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로부터 접압을 받는 삽입 볼록부를 이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박스 모양부에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와 도전부와의 접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박스 모양부는 금속제이므로,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는 온도 조건(예를 들 면, 최고로 백수십도)에서 열에 의해 연화하여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의 온도 조건에 관계없이, 삽입 볼록부를 받는 박스 모양부가 열에 기인하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삽입 볼록부를 받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압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에는 슬릿에 의해서 구획된 한 쌍의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의 한 쌍의 부분을 서로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탄성편부가 삽입 볼록부와 접촉할 때의 탄성편부의 가요성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삽입 볼록부와의 접압이 너무 높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한 쌍의 부분의 선단을 접속부로 접속하고 있음으로 인해서 한 쌍의 부분의 선단을 함께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부분의 강성이 너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탄성편부의 피로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압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액정 표시 장치(1)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나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1)는 케이스(2)와, 액정 패널(3)과, 접속 부재로서의 회로 기판(4)과, 형광관으로서의 냉음극관(5)과, 복수의 전기 커넥터(6)와, 인버터 회로(7)를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4)과 회로 기판(4)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기 커넥터(6)에 의해서,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
액정 패널(3)은 비자발광(非自發光)식의 표시 패널로서, 케이스(2)의 정면의 개구에 장착되어 있다. 액정 패널(3)의 표면(3a)은 케이스(2)의 전방(前方)을 향하고 있고, 배면(3b)은 케이스(2)의 후방을 향하고 있다.
회로 기판(4)은 액정 패널(3)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케이스(2) 내에 고정된 판 모양의 부재이다. 이 회로 기판(4)은 액정 패널(3)의 배면(3b)에 대향하는 표면(4a)과, 표면(4a)에 대해서 반대 측을 향하는 이면(4b)을 포함하고 있다. 회로 기판(4)의 이면(4b)에 도전부(導電部)로서의 도체 패턴(8)이 형성되어 있다.
냉음극관(5)은 액정 패널(3)의 백 라이트(back light)이다. 냉음극관(5)은 액정 패널(3)의 배면(3b)과 회로 기판(4)의 표면(4a)과의 사이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도 1에 있어서, 2개의 냉음극관(5)만을 도시). 냉음극관(5)의 수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3)의 크기 1인치 당 2개이다.
각 냉음극관(5)은 케이스(2)의 상하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액정 패널(3)에 광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각 냉음극관(5)의 길이 방향은 케이스(2)의 좌우 방향(지면에 수직 방향)에 따르고, 또한 액정 패널(3)의 배면(3b)과 평행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냉음극관(5) 및 커넥터(6)는 각각 2개만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6)는 냉음극관(5)과 회로 기판(4)의 도체 패턴(8)과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커넥터(6)는 각 냉음극관(5)의 한 쌍의 단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각 커넥터(6)는 회로 기판(4)의 표면(4a)에서부터 액정 패널(3)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인버터 회로(7)는 냉음극관(5)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회로 기판(4)의 이면(4b)에 장착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7)와 각 냉음극관(5)은 회로 기판(4)의 도체 패턴(8) 및 대응하는 커넥터(6)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회로 기판(4), 냉음극관(5) 및 커넥터(6)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편의적으로, 케이스(2)의 좌우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X방향(X)로서, 케이스(2)의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을 Y방향(Y)로서, 케이스(2)의 전후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Z방향(Z)로서 설명한다.
또, X방향(X)의 한쪽을 제 1 X방향(X1)으로 하고, X방향(X)의 다른 한쪽을 제 2 X방향(X2)로 한다. 또, Y방향(Y)의 한쪽을 제 1 Y방향(Y1)으로 하고, Y방향(Y)의 다른 한쪽을 제 2 Y방향(Y2)로 한다. 또, Z방향(Z)의 한쪽을 제 1 Z방향(Z1)으로 하고, Z방향(Z)의 다른 한쪽을 제 2 Z방향(Z2)으로 한다.
또, 간단히 X방향(X)라고 할 때는 제 1 및 제 2 X방향(X1), X2를 총칭하며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 단지 Y방향(Y)라고 할 때는 제 1 및 제 2 Y방향(Y1), Y2를 총칭하며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 간단히 Z방향(Z)라고 할 때는 제 1 및 제 2 Z방향(Z1), Z2를 총칭하며 말하는 것으로 한다.
냉음극관(5)은 X방향(X)에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고, X방향(X)로 연장하는 통 모양의 본체부(9)와, 본체부(9)의 한 쌍의 단부(9a)의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단자로서의 아우터 리드(10)를 포함하고 있다(도 2에 있어서, 한쪽의 단부(9a) 측만을 도시).
본체부(9)는, 예를 들면, 직경이 수mm ~ 수십mm정도의 유리제의 부재이다. 아우터 리드(10)는 연철(軟鐵) 등의 금속제의 축 모양의 도전 부재이고, 본체부(9)의 단부(9a)로부터 X방향(X)로 돌출하고 있다. 아우터 리드(10)의 직경은, 예를 들면 1mm정도, 길이는 수mm정도이다. X방향(X)에 관한 본체부(9)의 중간부는 서포트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유지된다.
냉음극관(5)은 대응하는 커넥터(6)에 장착될 때, 아우터 리드(10)의 지름 방향에 상당하는 장착 방향(M1)에 따라서 이동된다. 장착 방향(M1)은, 예를 들면, 제 1 Z방향(Z1)에 상당한다. 또, 각 냉음극관(5)은 대응하는 커넥터(6)로부터 떼어낼 때, 장착 방향(M1)과는 반대의 떼어냄 방향(M2)에 따라서 이동된다. 장착 방향(M1)은, 예를 들면, 제 2 Z방향(Z2)에 상당한다.
회로 기판(4)은 인버터 회로(도시하지 않음) 등이 고정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주체부(主體部)(401)와, 주체부(401)의 가장자리(402)에 가로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삽입 볼록부(12)를 포함하고 있다(도 2에 있어서, 2개의 삽입 볼록부(12)를 도시).
가장자리(402)는 회로 기판(4) 중 제 1 X방향(X1) 측의 단부(11)를 구성하고 있다. 각 상기 삽입 볼록부(12)는 각 커넥터(6)에 대응하도록 Y방향(Y)에 가로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이면(4b)에 도체 패턴(8)이 설치되어 있다.
각 삽입 볼록부(12)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 볼록부(12)는 대응하는 커넥터(6)에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과 커넥터(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삽입 방향(P1)은, 예를 들면, 제 1 X방향(X1)에 상당한다.
각 삽입 볼록부(12)는 대응하는 커넥터(6)에 대하여, 삽입 방향(P1)과는 반대의 발취(拔取) 방향(P2)에 따라서 뽑아 내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과 대응하는 커넥터(6)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된다. 발취 방향(P2)은, 예를 들면, 제 2 X방향(X2)에 상당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회로 기판(4)에는 제 2 X방향(X2) 측의 가장자리에도 동일하게 복수의 삽입 볼록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 볼록부(12)에 커넥터(6)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4) 중 제 1 X방향(X1) 측의 삽입 볼록부(12)에 접속된 전기 커넥터(6)에는 인버터 회로(7)에 의해서 정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또, 회로 기판(4) 중 제 2 X방향(X2) 측의 삽입 볼록부(12)에 접속된 전기 커넥터(6)에는 인버터 회로(7)에 의해서 부(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각 커넥터(6)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1개의 커넥터(6)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커넥터(6)는, 예를 들면, X방향(X), Y방향(Y) 및 Z방향(Z)에 관한 길이가, 각각, 10mm ~ 15mm 정도로 되어 있다. 커넥터(6)는 절연성의 하우징(13)과, 이 하우징(13)에 유지된 금속제의 컨택트 형성체(14)와, 이 컨택트 형성체(14)를 조작하 기 위한 조작 부재(15)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은 커넥터(6)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하우징(13)은 Y방향(Y)에 대해서 대략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하우징(13)은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이고, 대략 박스 모양을 이루고 있다. Z방향(Z)에 관한 하우징(13)의 일단부(13a) 가운데, X방향(X)에 관해서 냉음극관(5)에 가까운 쪽의 부분에는 도입 공동(16)이 구획되어 있다. 도입 공동(16)은 냉음극관(5)의 대응하는 단부(9a)를 하우징(13)에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13)의 일단부(13a) 가운데, X방향(X)에 관해서 냉음극관(5)으로부터 먼 쪽의 부분에는 수입 공동(17)이 구획되어 있다. 이 수입 공동(17)은 냉음극관(5)의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장착 방향(M1)에 따라서 받아들이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하우징(13)의 일단부(13a) 및 조작 부재(15)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수입 공동(17)은 둘레벽(18)과 바닥벽(19)에 의해서 구획되고 있다.
둘레벽(18)은 X방향(X)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부(20, 21)와, Y방향(Y)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3 측부(22)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측부(20)는 도입 공동(16)과 수입 공동(17)과의 사이를 나누고 있다. Y방향(Y)에 관한 제 1 측부(20)의 중간부가 절개되어, 삽통구(揷通口)(23)로 되어 있다. 삽통구(23)는 떼어냄 방향(M2)으로 개방되고 있고,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삽통할 수 있다.
제 2 측부(21)에는 제 2 Z방향(Z2) 측으로 개방된 오목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조작 부재(15)의 일부를 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제 3 측부(22)에는 관통 구멍(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의 각각 있어서, 하나의 관통 구멍(24)만을 도시). 바닥벽(19)은 제 1 ~ 제 3 측부(20, 21, 22)의 각각과 이어져 있고, 수입 공동(17)의 바닥을 구획하고 있다.
도 5는 도 3의 V-V선에 따르는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하우징(13)의 일단부(13a)와는 반대 측의 타단부(13b)에 수용 공간(25)이 구획되어 있다. 수용 공간(25)은 컨택트 형성체(14)의 후술하는 박스 모양부(33)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수용 공간(25)은 Y방향(Y)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26a, 26b)과, X방향(X)에 관한 측벽(26a, 26b)의 일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벽(前壁)(27)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전벽(27)에는 회로 기판(4)의 삽입 볼록부(12)가 삽통되는 삽통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하우징(13)에는 연통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29)은 하우징(13)의 일단부(13a)와 타단부(13b)와의 사이를 관통하고 있고, 수용 공간(25)과 수입 공동(17)을 연통하고 있다. 연통 구멍(29)은 Z방향(Z)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 연통 구멍(29)에 컨택트 형성체(14)의 후술하는 주체부(30)가 삽통되어 있다.
도 7은 컨택트 형성체(14)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컨택트 형성체(14)는 냉음극관(5)의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회로 기판(4)의 도체 패턴(8)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이들 아우터 리드(10)와 도체 패턴(8)과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컨택트 형성체(14)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금속 등의 도전 부재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금속판 부재를 예시할 수 있다. 이 금속판 부재의 판 두께는, 예를 들면 0.2mm 정도이다. 상기 금속판 부재는 표면 및 이면의 각각 도금 가공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형성체(14)는 Y방향(Y)에 대략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컨택트 형성체(14)는 주체부(30)와, 주체부(30)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형광관 접속용 컨택트로서의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와, 주체부(30)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박스 모양부(33)와, 박스 모양부(33) 내에 설치된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로서의 기판 접속용 컨택트(34)를 포함하고 있다.
주체부(30)는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35)와, 상부(35)에 대해서 제 1 Z방향(Z1) 측에 위치하는 중간부(36)와, 중간부(36)에 대해서 제 1 Z방향(Z1) 측에 위치하는 하부(37)를 포함하고 있다.
상부(35)는 Z방향(Z)에 따라서 보아 U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Y방향(Y)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부분(35a, 35b)에 대응하는 제 1 탄성편부(31, 32)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중간부(36)는, Y방향(Y)에 관해서, 상부(35)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Y방향(Y)에 관한 중간부(36)의 한 쌍의 단부의 각각은 하우징(13)에 마찰 걸어 맞춤하기 위한 걸어 맞춤 볼록부(38)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주체부(30)는 하우징(13)에 유지되어 있다. 구체 적으로는, 주체부(30)는 하우징(13)의 연통 구멍(29)에 삽통되어 있다. 또, 주체부(30)의 각 걸어 맞춤 볼록부(38)가 연통 구멍(29)의 둘레면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마찰 접촉하고 있다.
연통 구멍(29)의 둘레면에는 Y방향(Y)으로 늘어선 한 쌍의 레일(39)이 Z방향(Z)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일(39)에 상부(35)의 대응하는 부분(35a, 35b)이 각각 끼워져 있다.
레일(39)에는 제 2 Z방향(Z2) 측의 단부에 계단부(39a)가 형성되어 있다. 계단부(39a)에 상기 한 쌍의 부분(35a, 35b) 중 대응하는 부분(35a, 35b)을 각각 받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주체부(30)가 제 2 Z방향(Z2)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또, 레일(39)에 걸어 맞춤 볼록부(39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분(35a, 35b)의 제 1 X방향(X1) 측의 단가장자리를 받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주체부(30)가 제 1 Z방향(Z1)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특징 중 하나는 기판 접속용 컨택트(34)가 박스 모양부(33)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기판 접속용 컨택트(34)가 박스 모양부(33)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박스 모양부(33)는 4개의 벽으로서의 제 1 벽(41), 제 2 벽(42), 제 3 벽(43) 및 제 4 벽(44)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 제 4 벽(41 ~ 44)은 각각 직사각형의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 제 4 벽(41 ~ 44)은 전체적으로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제 1 및 제 2 벽(41, 42)은 Z방향(Z)에 서로 대향하여 서로 대략 평행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벽(41, 42)은 삽입 볼록부(12)(회로 기판(4))의 표면(4a) 및 이면(4b)의 각각과 서로 대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주요부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 3 및 제 4 벽(43, 44)은 Y방향(Y)에 서로 대향하여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다. 제 3 및 제 4 벽(43, 44)은 제 1 및 제 2 벽(41, 42)의 쌍방과 대략 직교하고 있다. 이들 제 3 및 제 4 벽(43, 44)은 삽입 볼록부(12) 중 Y방향(Y)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 가장자리(4c, 4d)와 서로 대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 제 4 벽(41 ~ 44)에 의해서, 삽입 오목부(45)(삽입 공간)가 구획되어 있다. 대응하는 삽입 볼록부(12)를 삽입 오목부(45)에 대해서 삽입 방향(P1)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이 대응하는 삽입 볼록부(12)를 삽입 오목부(45)에 삽입할 수 있다.
또, 대응하는 삽입 볼록부(12)를 삽입 오목부(45)에 대해서 삽입 방향(P1)과는 반대의 발취 방향(P2)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이 대응하는 삽입 볼록부(12)를 삽입 오목부(45)로부터 발취할 수 있다.
제 1 벽(41)은 주체부(30)의 하부(37)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 2 X방향(X2)에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제 3 벽(43)은 제 1 Y방향(Y1)에 관한 제 1 벽(41)의 선단으로부터, 제 1 Z방향(Z1)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 2 벽(42)은 제 1 Z방향(Z1)에 관한 제 3 벽(43)의 선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 2 Y방향(Y2)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 4 벽(44)은 제 2 Y방향(Y2)에 관한 제 1 벽(41)의 선단으로부터 제 1 Z방향(Z1)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 1 ~ 제 4 벽(41 ~ 44)은 각각 삽입 오목부(45)의 입구(91)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 1 단부(411, 421, 43l, 441)와, 삽입 오목부(45)의 입구(91)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 2 단부(412, 422, 432, 442)를 가지고 있다.
각 제 1 단부(411, 421, 431, 441)는 삽입 볼록부(12)에 관한 삽입의 입구(91) 측의 단부로 되어 있다. 각 제 2 단부(412, 422, 432, 442)는 삽입 볼록부(12)에 관한 삽입의 입구(91)와는 반대 측의 단부로 되어 있다.
기판 접속용 컨택트(34)는 박스 모양부(33)의 4개의 벽(41 ~ 44)의 적어도 1개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판 접속용 컨택트(34)는 제 2 벽(42)의 제 2 단부(422)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기판 접속용 컨택트(34)는 세로로 긴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 접속용 컨택트(34)는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대응하는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이 도체 패턴(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기판 접속용 컨택트(34)는 제 2 벽(42)의 제 2 단부(422)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는 고정편부(46)와, 고정편부(46)의 선단부로부터 U자 모양으로 절곡된 탄성편부(47)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편부(46)는 기판 접속용 컨택트(34)가 연장하여 설치되는 제 2 벽(42)에 적어도 일부가 밀착하도록 접어 겹쳐져 있다. 고정편부(46) 가운데, 제 2 벽(42)에 접속되는 기단부(基端部) 측의 일부가 제 2 단부(422)로부터 조금 떠 있다. 고정편 부(46)의 중간부는 제 2 벽(42)과 밀착하여 제 2 X방향(X2)으로 연장하고 있다.
탄성편부(47)는 전체가 매끄럽게 만곡한, 이른바 컬(curl) 스프링 타입의 탄성편부이다. 탄성편부(47)는 고정편부(46)의 선단부로부터, U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삽입 방향(P1)으로 향하여 연장되고 있고, 고정편부(46)의 선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휘어짐이 생긴다.
탄성편부(47)는 발취 방향(P2)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컬하는 만곡부(471)와, 만곡부(471)로부터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연장하는 주체부(472)를 포함하고 있다.
만곡부(471)의 기단부는 고정편부(46)의 선단부에 이어져 있음과 동시에, 제 2 벽(42)의 제 1 단부(421)에 지지되어 있다. 만곡부(471)의 선단은 제 1 X방향(X1)을 향하고 있고, 주체부(472)가 접속되어 있다.
주체부(472)는 삽입 방향(P1)으로 진행됨에 따라 제 2 벽(42)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경사진 제 1 경사부(473)와, 제 1 경사부(473)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고, 삽입 방향(P1)으로 진행됨에 따라 제 2 벽(42)에 근접하도록 경사진 제 2 경사부(474)를 포함하고 있다.
도 9는 도 7의 화살표 IX방향에 따라서 본 박스 모양부(33)의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 1 경사부(473)는 삽입 방향(P1)에 진행됨에 따라 가로 폭이 좁아져 있다. 제 1 경사부(473)의 선단은 탄성편부(47) 가운데 제 2 벽(42)으로부터의 높이가 가장 서로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 제 1 경사부(473)의 선단에 접촉부(475)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475)는 삽입 볼록부가 삽입 오목 부(45)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 볼록부의 도체 패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경사부(474)는 제 1 경사부(473)의 선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경사부(473, 474)의 경계부는 매끄럽게 만곡하는 산(山)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2 경사부(474)의 선단은 이 제 2 경사부(474)의 중간부에 대해서 컬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경사부(474)의 선단은 고정편부(46)와 접촉했을 때에, 이 고정편부(46)에 걸리기 어려워져 있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탄성편부(47)는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연장하는 슬릿(slit)(476)에 의해서 구획된 한 쌍의 부분(477, 478)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부분(477, 478)은 제 1 경사부(473)의 선단 측의 일부와 제 2 경사부(474)를 포함하고 있다.
슬릿(476)은 탄성편부(47)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부분(477, 478)은 서로 독립하여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들 한 쌍의 부분(477, 478)의 선단이 탄성편부(47)의 선단을 구성하고 있다.
한쪽의 부분(477) 및 다른 한쪽의 부분(478)의 선단은 탄성편부(47)가 휘어질 때에 고정편부(46)를 통하여 제 2 벽(42)에 간접적으로 받게 되도록 되어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 4 벽(44)이 제 2 벽(42)에 대해서 제 2 Z방향(Z2)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편부(53, 54)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편부(53, 54)는 X방향(X)에 간격을 두고 늘어서 있고, 제 1 Z방향(Z1)에 관한 제 4 벽(44)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각 규제편부(53, 54)는 제 4 벽(44)에 대해 서 대략 직교하고 있고, 고정편부(46)에 제 1 Z방향(Z1) 측으로부터 맞닿아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와 회로 기판(4)의 삽입 볼록부(12)가 소정의 접압(接壓)을 가지고 접촉했을 때에, 삽입 볼록부(12)가 받는 반력이 제 1 벽(41) 및 제 4 벽(44)을 통하여 규제편부(53, 54)에 전해져, 고정편부(46)에 받게 된다.
제 3 및 제 4 벽(43, 44)에는 각각 안내 돌기(55, 5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 돌기(55, 56)는 삽입 볼록부(12)의 삽입 오목부(45)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것으로, 탄성편부(47)의 휘어짐을 규제한다.
안내 돌기(55, 56)는 각각 대응하는 제 3 및 제 4 벽(43, 44)의 일부를 삽입 오목부(45) 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작은 조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내 돌기(55, 56)는 삽입 방향(P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다. 탄성편부(47)가 자유 상태(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안내 돌기(55, 56)는 제 1 및 제 2 벽(41, 42)의 대향 방향(B)에 관해서, 만곡부(471)의 선단과 대략 늘어서 있다. 각 안내 돌기(55, 56)는 만곡부(471)의 선단에 비해 제 1 벽(41)에 근접해 있다.
각 안내 돌기(55, 56) 가운데, 삽입 방향(P1)에 관한 상류 측의 단부는 제 1 벽(4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굽혀져 있고, 제 1 벽(41)과의 간격이 넓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를 안내 돌기(55, 56)와 제 1 벽(41)과의 사이에 삽입하기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제 3 및 제 4 벽(43, 44)에는 각각 하우징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걸어 맞춤 돌기(57, 58)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 맞춤 돌기(57, 58)는 각각 대 응하는 제 3 및 제 4 벽(43, 44)으로부터 삽입 오목부(45)와는 반대 측으로 돌출하는 작은 조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Z방향(Z1)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걸어 맞춤 돌기(57)는 하우징(13)의 측벽(26a)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59)에 걸려져 있고, 하우징(13)에 대해서 제 2 Z방향(Z2)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걸어 맞춤 돌기(5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측벽(26b)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59)에 걸려져 있다.
도 10은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5의 XI-XI선에 따르는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아우터 리드(10)가 컨택트 형성체(14)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는 대응하는 냉음극관(5)의 아우터 리드(10)와 탄성 접촉하도록 장착되고, 이것에 의해 이 아우터 리드(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들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는 Y방향(Y)에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탄성편부(31, 32)는 주체부(30)의 상부(35)의 대응하는 부분(35a, 35b)으로부터 각각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는 Y방향(Y)으로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수입 공동(17)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는 각각 제 1 편부(61)와 제 2 편부(62)를 포함하고 있다.
각 제 1 편부(61)는 주체부(30)의 상부(35)의 대응하는 부분(35a, 35b)으로부터 제 2 Z방향(Z2)에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각 제 2 편부(62)는 대응하는 제 1 편부(61)의 선단부(61b)로부터 접어 겹쳐져 있고, 제 1 Z방향(Z1)에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Y방향(Y)에 관해서, 한 쌍의 제 1 편부(61)는 서로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고, 한 쌍의 제 2 편부(62)는 서로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편부(61)는 기단부(61a)를 지점으로 하여, 서로 탄력적으로 근접, 이격할 수 있다. 자유 상태(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각 제 1 편부(61)는 서로 평행하게 늘어서 있다.
각 제 1 편부(61)의 선단부(61b)에는 후술하는 확개(擴開) 조작부(72)와 맞물림하기 위한 걸어 맞춤부(63)가 설치되어 있다. 각 걸어 맞춤부(63)는 작은 조각으로 이루어지고, 대응하는 제 1 편부(61)의 선단부(61b)로부터 제 1 X방향(X1)로 돌출하고 있다.
각 제 2 편부(62)는 대응하는 제 1 편부(61)의 선단부(61b)에 이어지는 접어 겹침부(64)와 ,제 1 조임부(65)와, 아우터 리드(10)를 지름 방향으로 끼워 지지하기 위한 협지부(挾持部)로서의 직선 모양부(66)(접촉부)와, 제 2 조임부(67)와, 선단부(68)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접어 겹침부(64)의 서로 대향 하는 일측면은 장착 방향(M1)으로 진행됨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접어 겹침부(64)의 서로 대향하는 일측면은 아우터 리드(10)의 장착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조임부(65)는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가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로부터 떼어냄 방향(M2)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한 쌍의 접어 겹침부(64)에 이어져 있다.
한 쌍의 제 1 조임부(65) 사이의 간격은 한 쌍의 접어 겹침부(64)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가 서로 근접했을 때, 한 쌍의 제 1 조임부(65) 사이의 간격은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좁게 된다.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는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하면서, 이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가 장착 방향(M1)에 상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각 직선 모양부(66)는 대응하는 제 1 조임부(65)로 이어져 있고, 자유 상태에 있어서 장착 방향(M1)에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한 쌍의 제 2 조임부(67)는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가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로부터 장착 방향(M1) 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한 쌍의 제 2 조임부(67)는 대응하는 직선 모양부(66)로 각각 이어져 있다.
한 쌍의 제 2 조임부(67) 사이의 간격은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가 서로 근접했을 때에 있어서, 한 쌍의 제 2 조임부(67) 사이의 간격은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좁게 된다.
한 쌍의 선단부(68)는 대응하는 제 2 조임부(67)에 이어져 있고, 대응하는 제 1 편부(61)에 각각 가압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 사이의 간격을 좁힌다.
한 쌍의 선단부(68)는 X방향(X)에 따라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ハ자형 형상을 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선단부(68)는 제 1 Z방향(Z1)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서 로의 간격이 넓어져 있다. 각 선단부(68)의 제 1 Z방향(Z1) 측의 선단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되고 있고, 대응하는 제 1 편부(61)와 매끄럽게 걸어 맞춤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여, 조작 부재(15)는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에 의한 아우터 리드(10)의 협지와, 이 협지의 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 부재(15)는 하우징(13)의 수입 공동(17)에 끼워 넣어져 있고, 제 1 및 제 2 Z방향(Z1, Z2)(장착 방향(M1) 및 떼어냄 방향(M2))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
조작 부재(15)는 Y방향(Y)에 대칭인 형상을 이루는 수지 성형품이다. 이 조작 부재(15)는 Y방향(Y)에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부분(69, 70)과, 이들 한 쌍의 부분(69, 7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71)와, 연결부(71)에 설치된 한 쌍의 확개 조작부(72)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부분(69, 70)은 수입 공동(17) 내에서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부분(69, 70)은 둘레벽(18)의 한 쌍의 제 3 측부(22)에 끼워져 있다.
한쪽의 부분(69)과 연결부(71)와의 사이 및 다른 한쪽의 부분(70)과 연결부(71)와의 사이에는 각각 제 2 Z방향(Z2)으로 개방된 노치(notch)(73)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73)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부분(69, 70)을 각각 휘어지기 쉽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 부재(15)를 수입 공동(17) 내에 삽통하기 쉽게 하고 있다.
커넥터(6)에는 제 1 및 제 2 유지 기구(74, 75)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유지 기구(74)는 조작 부재(15)를 확개 위치(도 11 참조)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확개 위치는 조작 부재(15)가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 사이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넓히고 있을 때의 위치를 말한다.
또, 확개 위치는 아우터 리드(10)를 무삽입력으로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이들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 사이의 간격을 조작 부재(15)의 확개 조작부(72)에 의해서 확계하고 있는 위치로도 할 수 있다.
제 1 유지 기구(74)는 조작 부재(15)의 한 쌍의 부분(69, 70)의 외측면(69a, 70a)에 각각 형성된 제 1 홈 모양부(76)와, 둘레벽(18)의 한 쌍의 제 3 측부(22)의 각각 설치되어 대응하는 제 1 홈 모양부(76)에 걸어 맞춤하는 걸어 맞춤부(77)를 포함하고 있다.
걸어 맞춤부(77)는 둘레벽(18)의 한 쌍의 제 3 측부(22) 각각에 형성되어 있고, 확개 위치에 있어서, 제 1 홈 모양부(76)에 끼워져 있다.
도 12는, 아우터 리드(10)가 컨택트 형성체(14)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제 2 유지 기구(75)는 조작 부재(15)를 확개 해제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확개 해제 위치는 조작 부재(15)가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 사이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좁히고 있을 때의 위치를 말한다.
제 2 유지 기구(75)는 조작 부재(15)의 한 쌍의 부분(69, 70)의 외측면(69a, 70a)의 각각 형성된 제 2 홈 모양부(78)와, 둘레벽(18)의 한 쌍의 제 3 측부(22)의 각각 설치되어 대응하는 제 2 홈 모양부(78)에 걸어 맞춤하는 걸어 맞춤부(77)를 포함하고 있다.
조작 부재(15)가 확개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걸어 맞춤부(77)는 제 2 홈 모양부(78)에 끼워져 있다. 걸어 맞춤부(77)는 제 1 유지 기구(7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제 2 유지 기구(7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한 쌍의 부분(69, 70)의 내측면(69b, 70b)은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를 사이에 두어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내측면(69b, 70b) 가운데, 제 2 Z방향(Z2)에 관한 선단이 경사 모양 캠면이 되고 있다. 이러한 경사 모양 캠면은 제 2 Z방향(Z2)으로 나아감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이 경사 모양 캠면이 가압부(79)로 되어 있다. 한 쌍의 가압부(79)는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의 대응하는 제 1 편부(61)의 선단부(61b)를 가압할 수 있다.
조작 부재(15)가 확개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한 쌍의 가압부(79)가 대응하는 선단부(61b)를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에 의한 아우터 리드(10)의 협지력을 늘릴 수 있다. 또,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의 피로에 의한 협지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조작 부재(15)가 확개 위치(도 11 참조)로부터 제 1 Z방향(Z1)에 따라서 확개 해제 위치(도 12 참조)로 변위하는 경우에 한 쌍의 가압부(79)가 대응하는 선단부(61b)를 가압한다. 이 가압에 의해,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가 서로 근접한다.
도 4 및 도 12를 참조하여, 연결부(71)는 제 1 X방향(X1)에 관한 한 쌍의 부분(69, 70)의 선단들을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71)에는 수입 공동(17)으로부터 제 1 X방향(X1)으로 돌출하는 돌출부(80)가 형성되고 있다. 이 돌출부(80)는 확개 해제 위치에 있어서, 둘레벽(18)의 오목부(21a)로 받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한 쌍의 확개 조작부(72)는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의 대응하는 걸어 맞춤부(63)와 각각 걸어 맞춤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 사이의 간격을 확개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확개 조작부(72)는 연결부(71)의 내측면(71a)으로부터 한 쌍의 탄성편부(31, 32) 측(지면의 앞쪽)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한 쌍의 확개 조작부(72)는 각각 제 1 Z방향(Z1)에 관한 선단에 설치된 제 1 경사 모양 캠면(81)과, 제 2 Z방향(Z2)에 관한 선단에 설치된 제 2 경사 모양 캠면(82)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제 1 경사 모양 캠면(81)은 조작 부재(15)를 제 1 Z방향(Z1)에 따라서 수입 공동(17) 내에 끼울 때에 한 쌍의 걸어 맞춤부(63)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제 1 경사 모양 캠면(81)은 제 1 Z방향(Z1)에 나아감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제 1 경사 모양 캠면(81)은 조작 부재(15)가 제 1 Z방향(Z1)으로 변위할 때에 대응하는 걸어 맞춤부(63)에 맞닿는 것에 의해, 한 쌍의 걸어 맞춤부(63) 사이의 간격을 넓힌다.
한 쌍의 제 2 경사 모양 캠면(82)은 조작 부재(15)가 확개 해제 위치(도 12 참조)로부터 확개 위치(도 11 참조)로 변위할 때에 대응하는 걸어 맞춤부(63)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제 2 경사 모양 캠면(82)은 한 쌍의 걸어 맞춤부(63) 사이의 간격을 넓힌다. 한 쌍의 제 2 경사 모양 캠면(82)은 제 2 Z방향(Z2)에 나아감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도 13은, 제 1 Z방향(Z1)에 따라서 본 커넥터(6)의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각 확개 조작부(72)는 제 2 X방향(X2)을 향하는 일측면(72a)이 대응하는 제 1 탄성편부(31, 32)와 대향하고 있다. 이들 일측면(72a)은 대응하는 제 1 탄성편부(31, 32)가 제 1 X방향(X1) 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둘레벽(18)의 제 1 측부(20) 가운데 제 1 X방향(X1)을 향하는 일측면(20a)이 각 제 1 탄성편부(31, 32)와 대향하고 있다. 일측면(20a)은 각 제 1 탄성편부(31, 32)가 제 2 X방향(X2) 측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이상의 개략 구성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냉음극관의 아우터 리드와 회로 기판의 도체 패턴과의 전기적인 접속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우선,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6)의 삽입 오목부(45)와 회로 기판(4)의 삽입 볼록부(12)를 X방향(X)으로 서로 대향 시킨다. 다음으로, 삽입 볼록부(12)를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삽입 오목부(45) 측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커넥터(6)의 삽입 오목부(45)에 회로 기판(4)의 삽입 볼록부(12)가 슬라이드 삽입된다. 탄성편부(47)의 접촉부(475)가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 때, 회 로 기판(4)의 삽입 볼록부(12)는 탄성편부(47)와 제 1 벽(41)에 끼워진다.
또,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돌기(55, 56)는 삽입 볼록부(12)의 이면(4b)을 받는다. 이 때, 삽입 볼록부(12)는 안내 돌기(55, 56)와, 기판 접속용 컨택트(34)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 1 벽(41)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의 두께 방향(A)에 관하여 삽입 볼록부(12)가 위치 결정하게 된다.
삽입 볼록부(12)가 그 두께 방향(A)에 관하여 위치 결정하게 되는 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의 삽입에 수반하는 탄성편부(47)의 휘어짐이 소정량으로 규제된다. 바꾸어 말하면, 삽입 볼록부(12)가 탄성편부(47)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 각 안내 돌기(55, 56)는 삽입 볼록부(12)가 삽입 오목부(45) 내에서 삽입 볼록부(12)의 병렬 방향(Y방향(Y))에 대해서 기우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가 비집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안내 돌기(55, 56)에 의해서, 삽입 볼록부(12)의 한 쌍의 측 가장자리(4c, 4d)가 양쪽 지지로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안내 돌기(55, 56)가 삽입 볼록부(12)로부터의 하중을 받게 된다.
도 14b를 참조하여, 회로 기판(4)이 받는 접압은 박스 모양부(33)에 의해서 받게 된다. 회로 기판(4)의 가장자리(402)는 하우징(13)의 전벽(前壁)(27)에 맞닿아 받게 되어, 삽입 방향(P1)에 관하여 위치 결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각 커넥터(6)의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의 각각에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제 1 탄성편부(31, 32)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확보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조작 부재(15)를 확개 위치로 유지해 둔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확개 조작부(72)가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 사이의 간격을 넓힌다.
이 상태에서, 대응하는 냉음극관의 본체부를 손 또는 치구(治具)(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파지하고, 아우터 리드(10)를 조작 부재(15)와 장착 방향(M1)에 대향시킨다. 그리고, 아우터 리드(10)를 장착 방향(M1)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아우터 리드(10)를 수입 공동(17) 내의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 사이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조작 부재(15)를 제 1 Z방향(Z1)으로 움직여, 조작 부재(15)를 확개 위치로부터 도 12에 나타내는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확개 조작부(72)에 의한 한 쌍의 걸어 맞춤부(63)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그 결과,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를 탄성적으로 협지한다.
이 때,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는 상기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 접촉하고, 직선 모양부(66)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냉음극관의 아우터 리드(10)는 컨택트 형성체(14)를 통하여 회로 기판의 도체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한 쌍의 제 1 조임부(65) 사이의 간격 및 한 쌍의 제 2 조임부(67) 사이의 간격은 각각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의 직경보다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부재(15)가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가압부(79)가 대응하는 선단부(61b)를 가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가압부(79)가 이러한 선단부(61b)를 서로 근접시킨다. 이것에 의해, 직선 모양부(66)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에 의한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의 협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조작 부재(15)가 확개 해제 위치로 변위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제 1 편부(61)의 기단부(61a)는 대응하는 제 2 편부(62)의 선단부(68)를 가압하여, 이러한 선단부(68)를 서로 근접시킨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선단부(68)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것에 의해,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에 의한 아우터 리드(10)의 협지력이 더욱 높아진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작업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우선, 아우터 리드(10)와 대응하는 컨택트 형성체(14)와의 접속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부재(15)를 확개 해제 위치(도 12 참조)로부터 제 2 Z방향(Z2)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확개 위치(도 11 참조)로 변위시킨다.
조작 부재(15)를 확개 위치로 변위시킬 때, 한 쌍의 확개 조작부(72)의 제 2 경사 모양 캠면(82)은 대응하는 걸어 맞춤부(63)에 걸어 맞추고, 이들 한 쌍의 걸어 맞춤부(63) 사이의 거리를 넓힌다. 한 쌍의 걸어 맞춤부(63) 사이의 거리가 넓혀짐에 따라,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한 쌍의 직선 모양부(66)와 대응하는 아우터 리드(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냉음극관의 본체부를 손 또는 치구 등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아우 터 리드(10)를 떼어냄 방향(M2)으로 이동시켜, 이 아우터 리드(10)를 수입 공동(17)으로부터 취출한다.
각 커넥터(6)로부터 냉음극관을 떼어낸 후는 커넥터(6)를 회로 기판으로부터 떼어낸다. 구체적으로는,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볼록부(12)가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이 삽입 볼록부(12)를 커넥터(6)에 대해서 발취 방향(P2)으로 슬라이드시켜, 삽입 오목부(45)로부터 삽입 볼록부(12)를 뽑아내어, 도 14a 상태로 한다.
이상의 이유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12)를 박스 모양부(33)로 감싸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 접속용 컨택트(34)로부터 접압을 받는 삽입 볼록부(12)를 이 기판 접속용 컨택트(34)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박스 모양부(33)에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접속용 컨택트(34)와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과의 접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박스 모양부(33)는 금속제이므로, 전기 커넥터(6)가 사용되는 온도 조건(예를 들면, 최고로 백수십도)에 있어서, 열에 의해 연화하여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의 온도 조건에 관계없이, 삽입 볼록부(12)를 받는 박스 모양부(33)가 열에 기인하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삽입 볼록부(12)를 받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압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박스 모양부(33)의 제 2 벽(42)으로부터 기판 접속용 컨택트(34)를 연장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박스 모양부(33) 가운데 도체 패턴(8)과 대향하여 근접하고 있는 개소로부터 기판 접속용 컨택트(34)를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접속용 컨택트(34)의 탄성편부(47)에 접촉부(475)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가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탄성편부(47)와 도체 패턴(8)과의 사이의 접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접압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 탄성편부(47)를 제 2 벽(42)에서 지지하고 있는 것에 의해, 탄성편부(47)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 2 벽(42)에서 확실히 받을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47)가 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가 충분한 가요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삽입 오목부(45)에 삽입 볼록부(12)가 삽입됨에 따라, 탄성편부(47)가 충분히 탄성 변형할 수 있어,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과 확실히 탄성 접촉할 수 있다. 또, 고정편부(46)가 제 2 벽(42)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하여 따르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제 2 벽(42)을 보강할 수 있다.
또, 탄성편부(47) 가운데 만곡부(471)로부터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연장하는 주체부(472)에 접촉부(475)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는 접촉부(475)의 가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주체부(472)의 제 1 경사부(473)의 선단에 접촉부(475)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는 접촉부(475)의 가동량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 탄성편부(47)의 제 1 경사부(473)로부터 제 2 경사부(474)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경사부(473)의 선단이 삽입 볼록부(12)에 걸리 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47)가 휘어졌을 때, 제 2 경사부(474)의 선단이 고정편부(46)를 통하여 제 2 벽(42)에 받게 된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가 필요 이상으로 휘어 탄성편부(47)의 응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탄성편부(47)에 슬릿(476)에 의해 구획된 한 쌍의 부분(477, 478)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부분(477, 478)의 선단이 탄성편부(47)의 선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의 한 쌍의 부분(477, 478)을 서로 독립하여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편부(47)가 삽입 볼록부(12)와 접촉했을 때의 탄성편부(47)의 가요성을 높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삽입 볼록부(12)와의 접압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박스 모양부(33)의 제 3 및 제 4 벽(43, 44)의 각각에 형성된 안내 돌기(55, 56)에 의해서, 삽입 볼록부(12)의 삽입 오목부(45)로의 삽입이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가 삽입 방향(P1)에서부터 어긋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 볼록부(12)가 탄성편부(47) 중 본래의 접촉 개소(접촉부(475))와 다른 개소에서 접촉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상 예정하고 있는 것과 다른 모양으로 탄성편부(47)가 탄성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편부(47)에 과대한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편부(47)의 피로를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제 3 및 제 4 벽(43, 44)의 각각 안내 돌기(55, 56)을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이러한 안내 돌기(55, 56)에서 삽입 볼록부(12)의 한 쌍의 측 가장자 리(4c, 4d)를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삽입 볼록부(12)를 제 1 및 제 2 벽(41, 42)과 평행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각 안내 돌기(55, 56)가 삽입 볼록부(12)의 이면(4b)을 받는 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의 두께 방향(A)에 관해서 삽입 볼록부(12)가 위치 결정하게 된다. 삽입 볼록부(12)가 두께 방향(A)에 위치 결정하게 되는 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의 삽입에 수반하는 대응하는 탄성편부(47)의 휘어짐이 소정량으로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에 의한 탄성편부(47)의 변형량이 과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탄성편부(47)의 피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안내 돌기(55, 56)가 삽입 볼록부(12)로부터의 하중을 받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가 안내 돌기(55, 56)에 의해서 확실히 지지된다. 그 결과, 판 모양의 회로 기판(4)이 삽입 볼록부(12)의 병렬 방향에 관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12)는 제 1 벽(41)과 안내 돌기(55, 56)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안내 돌기(55, 56)와 제 1 벽(41)에서 삽입 볼록부(12)를 끼우는 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의 위치 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컨택트 형성체(14)에 형광관 접속용 컨택트로서의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31, 32)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1개의 컨택트 형성체(14)를 이용하여, 냉음극관(5)과 회로 기판(4)과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 형성체(14)를 단일의 금속판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전기 커넥터(6)의 부품수를 줄여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탄성편부(47)의 제 2 굴곡부(5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방향(P1)에 상당할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의 삽입 오목부(45)로의 삽입시에, 삽입 볼록부(12)의 선단이 탄성편부(47)의 선단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47)의 접촉부(475)는 컨택트 형성체의 재료로서의 판재를 만곡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 면이고, 프레스 성형시에 할 수 있는 절단면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기 전에 도금을 해 둠으로써, 접촉부(475)를 도금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판재를 절단한 절단면을 접촉부로 하고 있지 않으므로, 절단 가공의 후에 도금을 하여 접촉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탄성편부(47)의 제조에 노력이 들지 않는다.
또, 삽입 방향(P1)과 직교하는 Y방향(Y)에 폭이 넓은 컬 타입 스프링을 이용하여 접촉부(475)를 형성하고 있다. 그 결과,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삽입되는 삽입 볼록부(12)와의 접촉에 의해, 탄성편부(47)가 좌굴(挫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접속용 컨택트(34)의 탄성편부(47)의 접촉부(475)를 2개로 분할하여 독립하여 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러한 접촉부(475)의 가요성을 높일 수 있고,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의 이동에 추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접촉부(475)와 도체 패턴(8)과의 접촉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상의 이유로, 회로 기판(4)의 도체 패턴(8)을 통하여, 기판 접속용 컨택트(34)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 기판 접속용 컨택트(34)와 회로 기판(4)의 도체 패턴(8)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각 커넥터(6)와 회로 기판(4)의 삽입 볼록부(12)와의 접속에 납땜을 이용할 필요가 없고, 지구 환경 보전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것에 더하여, 코스트가 드는 납땜 작업이 불필요하여 비용 절감 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각 실시 형태의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1 ~ 도 14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부(47A)의 한 쌍의 부분(477A, 478A) 중 삽입방향측의 단부로서의 선단을 서로 접속시키는 접속부(83)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한 쌍의 부분(477A, 478A)의 선단들을 접속부(83)에서 접속하고 있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부분(477A, 478A)의 선단들을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부분(477A, 478A)의 선단을 서로 동반하여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부분(477A, 478A)의 강성(剛性)이 너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탄성편부(47A)의 피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벽(41)으로부터도 회로 기판용 컨택트(34B)가 연장하여 설치된 컨택트 형성체(14B)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회로 기판용 컨택트(34B)의 탄성편부(47B)는 제 1 벽(41)의 제 1 단부(411)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탄성편부(47)와 대향 방향(B)에 대칭인 형상을 이룬다.
탄성편부(47B)는 제 1 벽(41)의 제 1 단부(411)로부터 U자 모양으로 절곡되 어, 삽입 방향(P1)을 향하여 연장하고 있다. 이 탄성편부(47B)는 탄성편부(47)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발취 방향(P2)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컬하는 만곡부(471B)와, 만곡부(471B)로부터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연장하는 주체부(472B)를 포함하고 있다.
만곡부(471B)의 기단부는 제 1 벽(41)의 제 1 단부(411)에 이어져 있고, 이 제 1 단부(411)에 지지되어 있다.
주체부(472)의 제 1 경사부(473B)는 삽입 방향(P1)에 진행됨에 따라 제 1 벽(4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 1 경사부(473B)의 선단에 접촉부(475B)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경사부(474B)는 제 1 경사부(473B)의 선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삽입 방향(P1)에 진행됨에 따라 제 1 벽(41)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탄성편부(47B)는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연장하는 슬릿(476B)에 의해서 구획된 한 쌍의 부분(477B, 478B)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부분(477B, 478B)은 제 1 경사부(473B)의 선단 측의 일부와 제 2 경사부(474B)를 포함하고 있다.
슬릿(476B)은 탄성편부(47B)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부분(477B, 478B)은 서로 독립하여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들 한 쌍의 부분(477B, 478B)의 선단이 탄성편부(47B)의 선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제 3 벽(43) 및 제 4 벽(44)의 각각 있어서 안내 돌기가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제 3 벽(43)의 한 쌍의 안내 돌기(55, 55B)는 제 1 및 제 2 벽(41, 42)의 서 로의 대향 방향(B)에 이격하여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대향 방향(B)에 관하여, 탄성편부(47, 47B)의 만곡부(471, 471B) 사이에 한 쌍의 안내 돌기(55, 55B)가 배치되어 있다.
제 4 벽(44)의 한 쌍의 안내 돌기(56, 56B)는 대향 방향(B)에 이격하여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대향 방향(B)에 관하여, 탄성편부(47, 47B)의 굴곡부(471, 471B) 사이에 한 쌍의 안내 돌기(56, 56B)가 배치되어 있다.
안내 돌기 55, 56은 제 1 벽(41)과 평행하게 늘어서 있다. 마찬가지로, 안내 돌기 55B, 56B는 제 1 벽(41)과 평행하게 늘어서 있다.
또, 회로 기판(4)의 삽입 볼록부(12)의 표면(4a)에 도체 패턴(8B)이 형성되어 있다. 도체 패턴(8B)은 도체 패턴(8)과 두께 방향(A)에 대략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의 구성에 의해 삽입 볼록부(12)가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될 때, 한 쌍의 안내 돌기 55, 55B 및 한 쌍의 안내 돌기 56, 56B에 의해서, 삽입 볼록부(12)가 협지된다(도 18에 있어서, 한 쌍의 안내 돌기 55, 55B만 도시).
삽입 볼록부(12)는 한 쌍의 안내 돌기 55, 55B 및 한 쌍의 안내 돌기 56, 56B에 각각 끼면서,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은 탄성편부(47)의 접촉부(475)에 소정의 접압을 가지고 접촉한다. 또,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B)은, 탄성편부(47B)의 접촉부(475B)에 소정의 접압을 가지고 접촉한다. 이 때, 삽입 볼록부(12)는 한 쌍의 탄성편부(47, 47B)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협지된다. 탄성편부(47B)의 주체부(472B)의 선단은 제 1 벽(41)에 직접 받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탄성편부(47B)에 U자 모양의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B)가 충분한 가요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삽입 오목부(45)에 삽입 볼록부(12)가 삽입됨에 따라, 탄성편부(47B)의 U자 모양의 부분이 충분히 탄성 변형할 수 있어,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B)과 확실히 탄성 접촉할 수 있다.
또, 제 3 벽(43)의 한 쌍의 안내 돌기(55, 55B) 및 제 4 벽(44)의 한 쌍의 안내 돌기(56, 56B)의 각각이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12)를 사이에 둔다. 이것에 의해, 대향 방향(B)에 관한 삽입 볼록부(12)의 위치 결정을 보다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또, 제 1 벽(41)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회로 기판용 컨택트(34B)와, 제 2 벽(42)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회로 기판용 컨택트(34)의 각각에 관하여, 삽입 볼록부(12)의 삽입에 기인하는 탄성 변형량이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기판 접속용 컨택트(34, 34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회로 기판(4)의 삽입 볼록부(12)를 한 쌍의 탄성편부(47, 47B)에서 탄성적으로 사이에 둘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4)의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 8B)과의 접압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 삽입 볼록부(12)의 이면(4b)와 표면(4a)의 쌍방에 도체 패턴(8, 8B)을 설치하여 이들 2개의 탄성편부(47, 47B)와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47B)와 제 1 벽(41)과의 사이에 고정편부(46)와 동일한 고정 편부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부(47)가 폐지되어, 탄성편부(47B)만이 설치된 컨택트 형성체(14B')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탄성편부는 제 1 벽(41)에서부터만 연장하여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12)는 제 2 벽(42)과 안내 돌기 55B, 56B에 의해서 끼워진다(도 19b에 있어서, 한쪽의 안내 돌기 56B만 도시)
또,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부(47C)를 가지는 컨택트 형성체(14C)를 설치하여도 좋다. 컨택트 형성체(14C)가 도 8의 컨택트 형성체(14)와 다른 것은, 탄성편부(47C)가 제 2 벽(42)의 제 1 단부(421)로부터 직접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이 경우, 탄성편부(47C)의 제 2 경사부(474C)는 탄성편부(47C)가 휘어질 때,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벽(42)에 직접 받게 된다.
또,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벽(41)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탄성편부(47B) 및 제 2 벽(42)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탄성편부(47C)를 구비하는 컨택트 형성체(14C')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삽입 오목부(45)에 삽입 볼록부(12)가 삽입되었을 때,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부(47B)의 접촉부(475B)가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B)에 접촉한다. 또, 탄성편부(47C)의 접촉부(475C)가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에 접촉한다.
탄성편부(47B)의 선단은 제 1 벽(41)에 직접 받게 된다. 탄성편부(47C)의 선 단은 제 2 벽(42)에 직접 받게 된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컨택트 형성체(14D)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22 및 도 22의 XXIIIA-XXIIIA선에 따르는 단면도인 도 23a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특징 중 하나는 컨택트 형성체(14D)의 탄성편부(47D)가 제 2 X방향(X2)을 향하여 연장하고 있는 점이다.
컨택트 형성체(14)의 박스 모양부(33D)는 주체부(30)의 하부(37)로부터 제 2 X방향(X2)에 따라서 연장하는 천판부(天板部)(84)를 가지고 있다. 제 1 Y방향(Y1)에 관한 천판부(84)의 선단으로부터 제 3 벽(43D)이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1 Z방향(Z1)에 관한 제 3 벽(43D)의 선단으로부터, 제 2 벽(42D)이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2 Y방향(Y2)에 관한 제 2 벽(42D)의 선단으로부터 제 4 벽(44D)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2 Z방향(Z2)에 관한 제 4 벽(44D)의 선단으로부터 제 1 벽(41D)이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벽(41D)은 천판부(84)의 아래쪽(제 1 Z방향(Z1) 측)에 겹쳐져 있어, 서로 보강하고 있다.
제 1 벽(41D)의 제 2 단부(412D)로부터 탄성편부(47D)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탄성편부(47D)는 상기 제 2 단부(412D)로부터 U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고, 발취 방향(P2)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탄성편부(47D)는 제 1 벽(41D)의 제 2 단부(412D)로 이어지는 만곡부(471D)와, 만곡부(471D)로부터 발취 방향(P2)에 따라서 연장하는 주체부(472D)를 포함하고 있다. 만곡부(471D)는 삽입 방향(P1)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컬하고 있다. 만곡부(471D)의 기단부는 천판부(84)에 따르게 되어 있다. 탄성편부(47D)는 제 1 벽(41D)의 제 2 단부(412D)를 지점으로 하여 휘어질 수 있다.
주체부(472)는 발취 방향(P2)에 진행됨에 따라 제 1 벽(41D)에 근접하도록 경사지는 제 1 경사부(473D)와, 제 1 경사부(473D)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고, 발취 방향(P2)에 진행됨에 따라 제 1 벽(41D)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경사지는 제 2 경사부(474D)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경사부(473D)는 만곡부(471D)의 선단에 이어져 있고, 발취 방향(P2)에 진행됨에 따라 대략 일정한 구배로 경사져 있다. 이 제 1 경사부(473D)의 선단에 접촉부(475D)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경사부(474D)는 제 1 경사부(473D)의 선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경사부(473D, 474D)의 경계부는 매끄럽게 만곡하는 산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2 벽(42D)의 제 1 단부(421D)에는 안내편(86)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편(86)은 삽입 볼록부(12)의 삽입 오목부(45)로의 삽입을 안내하는 것이고, 또, 삽입 볼록부(12)의 선단이 제 2 경사부(474D)의 선단에 걸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D)가 좌굴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안내편(86)은 제 2 벽(42D)으로부터 발취 방향(P2)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컬하고 있다. 탄성편부(47D)를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보았을 때에, 안내편(86)이 제 2 경사부(474D)의 선단을 가리고 있다.
제 2 벽(42D)에는 탄성편부(47D)의 휘어짐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편부(85)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편부(85)는 제 1 경사부(473D)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고, 제 1 경사부(473D)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제 1 벽(41D)과 대향 방향(B)으로 대향하고 있다. 제 1 경사부(473D)가 이 규제편부(85)에 받게 되는 것에 의해, 제 1 경사부(473D)가 제 2 벽(42D) 측에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제 1 벽(41D)에는 탄성편부(47D)의 접촉부(475D)를 향하여 돌출하는 가압 볼록부(87)가 형성되고 있다. 가압 볼록부(87)은 편평한 면을 가지고 있고, 탄성편부(47D)의 접촉부(475D)와 대향하고 있다.
회로 기판(4)의 삽입 볼록부(12)는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도 23b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12)는 가압 볼록부(87)와 탄성편부(47D)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편부(47D)와 제 1 벽(41D)에 의해서,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12)가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는 가압 볼록부(87)에 받게 되면서, 접촉부(475D)와 탄성적으로 압접한다. 이 때, 회로 기판(4)으로부터 반력을 받은 탄성편부(47D)는 규제편부(85)에 받게 된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D)의 휘어짐이 규제된다. 또, 탄성편부(47D)의 제 2 경사부(474D)의 선단은 제 2 벽(42D)에 직접 받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탄성편부(47D)가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D)가 충분한 가요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삽입 오목부(45)에 삽입 볼록부(12)가 삽입됨에 따라, 탄성편부(47D) 가 충분히 탄성 변형할 수 있고,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8)과 확실히 탄성 접촉할 수 있다.
또, 탄성편부(47D) 가운데 발취 방향(P2)으로 연장하는 주체부(472D)에 접촉부(475D)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D)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는 접촉부(475D)의 가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경사부(473D)의 선단에 접촉부(475D)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D)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는 접촉부(475D)의 가동량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 제 1 경사부(473D)로부터 제 2 경사부(474D)를 연장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경사부(473D)의 선단이 삽입 볼록부(12)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47D)와, 탄성편부(47D)가 연장하여 설치되는 제 1 벽(41D)에 의해서,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12)를 탄성적으로 협지할 수 있다.
또, 탄성편부(47D)가 규제편부(85)에 의해서 받게 되는 것에 의해, 탄성편부(47D)의 탄성 변형을 규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와의 접압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가압 볼록부(87)가 삽입 볼록부(12)를 받는 것에 의해, 회로 기판(4)의 삽입 볼록부(12)가 그 두께 방향(A)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삽입 볼록부(12)와 접촉부(475D)와의 접압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탄성편부(47D)의 제 2 경사부(474D)의 선단이 제 2 벽(42D)에 의해서 직접 받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D)가 필요 이상으로 휘어져 탄성편부(47D)의 응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4a에 나타내는 컨택트 형성체(14E)를 설치하여도 좋다. 컨택트 형성체(14E)가 도 23a의 컨택트 형성체(14D)와 다른 것은 주로 이하의 점이다. 즉, 탄성편부(47E)의 주체부(472E)의 제 1 경사부(473E)가, 발취 방향(P2)으로 진행됨에 따라 제 1 벽(41D)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경사져 있는 점과, 제 1 경사부(473E)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는 제 2 경사부(474E)가 발취 방향(P2)으로 진행됨에 따라 제 1 벽(41D)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는 점이다.
삽입 볼록부(12)는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삽입 오목부(45) 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도 24b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는 탄성편부(47E)의 주체부(472E)와 제 2 벽(42D)에 의해서 끼워진다. 삽입 볼록부(12)는 제 2 벽(42D)의 가압편부(87E)에 받게 된다. 이 때, 도체 패턴(8)이 탄성편부(47E)의 접촉부(475E)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제 2 경사부(474E)의 선단은 제 1 벽(41D)에 직접 받게 된다.
이 경우, 제 1 경사부(473E)의 선단에 접촉부(475E)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E)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는 접촉부(475E)의 가동량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 제 2 경사부(474E)가 발취 방향(P2)으로 진행됨에 따라 제 1 벽(41D)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경사부(473E)의 선단이 삽입 볼록부(12)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47E)와, 탄성편부(47E)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제 2 벽(42D)에 의해서,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12)를 탄성적으로 협지할 수 있다.
또, 도 25a에 나타내는 컨택트 형성체(14F)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컨택트 형성체(14F)가 도 23a에 나타내는 컨택트 형성체(14D)와 다른 것은, 주로, 탄성편부(47F)가 제 2 벽(42D)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고 있는 점이다.
탄성편부(47F)는 제 2 벽(42D)의 제 2 단부(422D)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U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발취 방향(P2)으로 연장하고 있다.
탄성편부(47F)는 제 2 벽(42D)의 제 2 단부(422D)로 이어지는 만곡부(471F)와, 만곡부(471F)의 선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주체부(472F)를 포함하고 있다.
만곡부(471F)는 제 2 벽(42)의 제 2 단부(422D)에 이어져, 삽입 방향(P1)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컬하고 있다. 주체부(472F)는 만곡부(471F)의 선단으로부터 발취 방향(P2)에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주체부(472F)는 발취 방향(P2)에 진행됨에 따라 제 2 벽(42D)에 근접하도록 경사지는 제 1 경사부(473F)와, 제 1 경사부(473F)의 선단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발취 방향(P2)으로 진행됨에 따라 제 2 벽(42D)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경사지는 제 2 경사부(474F)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경사부(473F)의 선단에 접촉부(475F)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벽(42)에 가압 볼록부(87F)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 볼록부(87F)는 접촉부(475F)와 대향 방향(B)으로 대향하고 있다.
삽입 볼록부(12)는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삽입 오목부(45) 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도 25b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는 탄성편부(47F)와 제 2 벽(42D)에 의해서 끼워진다. 삽입 볼록부(12)는 제 2 벽(42D)의 가압 볼록부(87F)에 받게 되면서, 도체 패턴(8)이 탄성편부(47E)의 접촉부(475E)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또, 제 2 경사부(474F)의 선단은 제 1 벽(41D)에 의해서 직접 받게 된다.
또, 도 26a에 나타내는 컨택트 형성체(14G)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컨택트 형성체(14G)가 도 25a에 나타내는 컨택트 형성체(14F)와 다른 것은, 주로, 이하의 점이다.
즉, 탄성편부(47G)의 제 1 경사부(473G)가 발취 방향(P2)으로 진행됨에 따라 제 2 벽(42D)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경사져 있는 점과, 제 2 경사부(474G)가 발취 방향(P2)으로 진행됨에 따라 제 2 벽(42D)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는 점이다.
삽입 볼록부(12)는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삽입 오목부(45) 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도 26b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는 탄성편부(47G)의 주체부(472G)와 제 1 벽(41D)에 의해서 끼워진다. 삽입 볼록부(12)는 제 1 벽(41D)의 가압 볼록부(87)에 받게 되어, 도체 패턴(8)이 탄성편부(47G)의 접촉부(475G)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 때, 제 2 경사부(474G)의 선단은 제 2 벽(42D)에 의해서 직접 받게 된다.
또, 도 27a에 나타내는 컨택트 형성체(14H)를 설치하여도 좋다. 컨택트 형성체(14H)가 도 24a에 나타내는 컨택트 형성체(14E)와 다른 것은 컨택트 형성체(14G)(도 26a참조)가 더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12)는, 도 2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탄성편부(47E, 47G)에 탄성적으로 협지된다. 탄성편부(47E)의 접촉부(475E)는 삽입 볼록부(12)의 표면(4a)에 형성된 도체 패턴(8B)에 접촉한다. 탄성편부(47G)의 접촉부(475G)는 삽입 볼록부(12)의 이면(4b)에 형성된 도체 패턴(8)에 접촉한다.
또, 도 28a에 나타내는 컨택트 형성체(14J)를 설치하여도 좋다. 컨택트 형성체(14J)가 도 8에 나타내는 컨택트 형성체(14)와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은, 주로 이하의 점이다. 즉, 탄성편부(47J)의 슬릿(476J)이 탄성편부(47J)의 길이 방향에 관해서 탄성편부(47J)의 대략 전역(全域)에 걸쳐 연장하고 있는 점이다.
슬릿(476J)은 탄성편부(47J)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슬릿(476J)은 탄성편부(47J)의 만곡부(471J)의 기단부로부터 제 2 경사부(474J)의 선단에 걸쳐 연장하고 있다. 탄성편부(47J)는 슬릿(476J)에 의해서 구획된 한 쌍의 부분(477J, 478J)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부분(477J, 478J)은 각각 만곡부(471J)와, 제 1 경사부(473J)와, 제 2 경사부(474J)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부분(477J, 478J)은 서로 독립하여 탄성 변형할 수 있다.
한 쌍의 부분(477J, 478J)의 각각의 선단은 접속부(83J)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83J)의 선단은 고정편부(46)를 향하여 컬하고 있고, 이 고정편부(46)와 매끄럽게 접촉할 수 있다.
도 28a 및 도 28b를 참조하여, 한쪽의 부분(477J)의 가로 폭은 만곡부(471J) 에 있어서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 한쪽의 부분(477J)의 홈 폭은 제 1 경사부(473J)에 있어서, 삽입 방향(P1)에 진행됨에 따라 좁아지고 있다. 또, 한쪽의 부분(477J)의 가로 폭은, 제 2 경사부(474J)에 있어서, 삽입 방향(P1)에 진행됨에 따라 좁아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한쪽의 부분(478J)의 가로 폭은, 만곡부(471J)에 있어서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 다른 한쪽의 부분(478J)의 홈 폭은, 제 1 경사부(473J)에 있어서, 삽입 방향(P1)에 진행됨에 따라 좁아지고 있다. 또, 다른 한쪽의 부분(478J)의 가로 폭은, 제 2 경사부(474J)에 있어서, 삽입 방향(P1)에 진행됨에 따라 좁아지고 있다.
만곡부(471J)에 있어서의 슬릿(476J)의 폭(C1)은 일정하게 되어 있다. 제 1 경사부(473J)에 있어서의 슬릿(476J)의 폭(C2)은 삽입 방향(P1)으로 진행됨에 따라 좁아지고 있다. 제 2 경사부(474J)에 있어서의 슬릿(476J)의 폭(C3)은 삽입 방향(P1)으로 진행됨에 따라 좁아지고 있다.
도 28b 및 도 28c를 참조하여, 제 1 경사부(473J) 및 제 2 경사부(474J)의 서로의 경계부에 팽출부(膨出部)(92, 93)가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92)는 제 1 경사부(473J) 및 제 2 경사부(474J)의 서로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한쪽의 부분(477J)에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93)는 제 1 경사부(473J) 및 제 2 경사부(474J)의 서로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다른 한쪽의 부분(478J)에 형성되어 있다.
각 팽출부(92, 93)는 각각 제 1 벽(41) 측으로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발취 방향(P2)에 따라서 보았을 때, 각 팽출부(92, 93)는 원호 모 양을 이루고 있다. 각 팽출부(92, 93)에 삽입 볼록부와 접촉하는 접촉부(475J)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각 팽출부(92, 93)를 삽입 볼록부와 매끄럽게 접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팽출부(92, 93)와 삽입 볼록부의 접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이유로, 컨택트 형성체(14J)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탄성편부(47J)의 한 쌍의 부분(477J, 478J)이 서로 독립하여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2)와 접촉하는 각 팽출부(92, 93)의 가요성을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삽입 볼록부(12)와의 접압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부분(477J, 478J)의 선단들을 접속부(83J)에서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부분(477J, 478J)의 선단들을 동반하여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편부(47J)의 탄성 변형량이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탄성편부(47J)의 피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12)의 도체 패턴이 적어도 l개의 탄성편부의 접촉부에 접촉하면 좋다. 따라서, 삽입 볼록부(12)의 표면 및 이면 중 적어도 한쪽에 도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 도 2의 커넥터(6)를 복수 준비하고, 이러한 커넥터(6)를 도 29a 및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일의 홀더(94)로 일괄하여 유지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삽입 볼록부(12)를 대응하는 삽입 오목부(45)에 일괄하여 끼워 넣을 수 있다.
홀더(94)는 판 모양을 이루고 있고, 복수의 삽통 구멍(95)이 가로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각 삽통 구멍(95)에 대응하는 커넥터(6)의 하우징(13)이 삽통된다. 각 하우징(13)의 외주에는 칼라(collar)부(9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칼라부(96)가 대응하는 삽통 구멍(95)의 둘레면에 각각 압입 고정되어 있다. 홀더(94)로부터 각 하우징(13)의 일부가 돌출하고 있어, 각 삽입 오목부(45)가 드러나 있다.
또한, 홀더(94)를 각 상기 실시 형태의 각각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의 유지에 이용하여도 좋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로 기판(4)에 대신하여, 도 30에 나타내는 접속 부재로서의 그랜드 바(grand bar)(100)를 이용하여도 좋다. 그랜드 바(100)는 금속제의 판 모양의 부재이고, 전체가 도전부(導電部)로 되어 있다. 그랜드 바(100)는 직사각형 모양의 주체부(101)와, 주체부(101)의 가장자리(102)에 가로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삽입 볼록부(103)를 포함하고 있다(도 30에 있어서, 2개의 삽입 볼록부(103)만을 도시).
가장자리(102)는 그랜드 바(100) 중 제 1 X방향(X1) 측의 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각 상기 삽입 볼록부(103)는 각 커넥터(6)에 대응하도록 Y방향(Y)에 가로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 볼록부(103)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103a) 및 이면(103b)의 쌍방이 도전부로 되어 있다. 표면(103a)은 박스 모양부의 제 1 벽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고, 이면(103b)은 박스 모양부의 제 2 벽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 다.
각 삽입 볼록부(103)의 한 쌍의 측 가장자리(103c, 103d)의 한쪽(103c)은 박스 모양부의 제 3 벽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고, 다른 한쪽(103d)은 박스 모양부의 제 4 벽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 볼록부(103)는 대응하는 커넥터(6)의 삽입 오목부(45)에 삽입 방향(P1)에 따라서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삽입 볼록부(103)와 탄성편부(47)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랜드 바(100)에 의해서, 복수의 전기 커넥터(6)의 그랜드 바 접속용 컨택트(34K)가 일괄하여 병렬로 접속된다. 주체부(101)는 액정 표시 장치의 금속 프레임(104)에 접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로서의 그랜드 바 접속용 컨택트(34K)는 그랜드 바(100)를 통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금속 프레임(104)(도전재 프레임)에 접지된다.
이상의 이유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그랜드 바 접속용 컨택트(34K)와 그랜드 바(100)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랜드 바(100)는 각 상기 실시 형태의 각각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와의 접속에 이용하여도 좋다.
또, 그랜드 바(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접속 부재(도전판)로서의 급전 바를 이용하여도 좋다. 도 31을 참조하여, 급전 바(100L)가 그랜드 바(100)와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은 주로 이하의 점이다. 즉, 급전 바(100L)의 주체부(101)에 인버터 회로(7L)가 접속되어 있고, 인버터 회로(7L)로부터의 전력이 급전 바(100L)를 통하여,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로서의 급전 바 접속용 컨택트(34L)에 공급된다. 인버터 회로(7L)에 의해서 인가되는 전압은 정전위(正電位) 또는 부전위(負電位)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급전 바(100L)로부터 급전 바 접속용 컨택트(34L)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급전 바(100L)는 각 상기 실시 형태의 각각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와의 접속에 이용하여도 좋다.
또,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4)의 도체 패턴(8)을 금속 프레임(104)에 접지하여도 좋다. 기판 접속용 컨택트(34)는 도체 패턴(8)을 통하여 금속 프레임(104)에 접지된다.
또한, 각 상기 실시 형태의 각각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를 도체 패턴(8)을 통하여 금속 프레임(104)에 접지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을 외음극관 등의 다른 형광관과의 접속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엣지 라이트(edge light)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형태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상기의 내용을 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개변(改變)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생각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레임의 범위와 그 균등한 범위로 해야 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2006년 6월 27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특원2006-176802호 및 2007년 6월 6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특원2007-150656호에 대응하고 있고, 이러한 출원의 전개시는 여기에 인용에 의해 조합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삽입 볼록부를 박스 모양부로 감싸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로부터 접압을 받는 삽입 볼록부를 이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박스 모양부에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와 도전부와의 접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박스 모양부는 금속제이므로, 전기 커넥터가 사용되는 온도 조건(예를 들면, 최고로 백수십도)에서 열에 의해 연화하여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의 온도 조건에 관계없이, 삽입 볼록부를 받는 박스 모양부가 열에 기인하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삽입 볼록부를 받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압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회로 기판, 냉음극관 및 커넥터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일단부 및 조작 부재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에 따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컨택트 형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주요부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화살표 IX방향에 따라서 본 박스 모양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한 쌍의 제 1 탄성편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5의 XI-XI선에 따르는 주요부의 단면도로서, 아우터 리드가 컨택트 형성체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아우터 리드가 컨택트 형성체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1 Z방향에 따라서 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각각 커넥터와 회로 기판과의 접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컨택트 형성체를 삽입 방향에 따라서 보았을 때의 주요부의 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삽입 오목부에 삽입 볼록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19b는 도 19a의 삽입 오목부에 삽입 볼록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20b는 도 20a의 삽입 오목부에 삽입 볼록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21b는 도 21a의 삽입 오목부에 삽입 볼록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23a는 도 22의 XXIIIA-XXIII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23b는 도 23a의 삽입 오목부에 삽입 볼록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24b는 도 24a의 삽입 오목부에 삽입 볼록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25b는 도 25a의 삽입 오목부에 삽입 볼록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26b는 도 26a의 삽입 오목부에 삽입 볼록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27b는 도 27a의 삽입 오목부에 삽입 볼록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사시 단면도이고, 도 28b는 도 28a의 화살표 XXVIIIB에 따라서 본 주요부의 도이며, 도 28c는 도 28a의 화살표 XXVIIIC에 따라서 본 주요부의 도이다.
도 2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모식적인 평면도이고, 도 29b는 도 29a의 XXIXB-XXIX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액정 표시 장치 2 케이스
3 액정 패널 3a (액정 패널의)표면
3b (액정 패널의)배면 4 회로 기판(접속 부재)
4a (삽입 볼록부의)표면 4b (삽입 볼록부의)이면
4c (삽입 볼록부의) 측 가장자리
4d (삽입 볼록부의) 측 가장자리
5 냉음극관(형광관) 6 전기 커넥터
7 인버터 회로 7L 인버터 회로
8 도체 패턴(도전부) 8B 도체 패턴(도전부)
9 (냉음극관의) 본체부 9a (냉음극관의) 단부
10 아우터 리드(단자) 11 (회로 기판의) 단부
12 삽입 볼록부 13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13a (하우징의) 일단부 13b (하우징의) 타단부
14 컨택트 형성체 14A 컨택트 형성체
14B 컨택트 형성체 14B' 컨택트 형성체
14C 컨택트 형성체 14C' 컨택트 형성체
14D 컨택트 형성체 14E 컨택트 형성체
14F 컨택트 형성체 14G 컨택트 형성체
14H 컨택트 형성체 14J 컨택트 형성체
15 조작 부재 16 도입 공동
17 수입 공동 18 둘레벽
19 바닥벽 20 제 1 측부
21 제 2 측부 21a 오목부
22 제 3 측부 23 삽통구
24 관통 구멍 25 수용 공간
26a 측벽 26b 측벽
27 전벽 28 삽통 구멍
29 연통 구멍 30 (컨택트 형성체의) 주체부
31 제 1 탄성편부(형광관 접속용 컨택트)
32 제 1 탄성편부(형광관 접속용 컨택트)
33 박스 모양부 33D 박스 모양부
34 기판 접속용 컨택트(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
34B 기판 접속용 컨택트(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
34K 그랜드 바 접속용 컨택트(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
34L 급전 바 접속용 컨택트(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
35 상부 35a (상부의) 한쪽의 부분
35b (상부의) 다른 한쪽의 부분 36 중간부
37 하부 38 걸어 맞춤 볼록부
39 레일 39a 단부
39b 걸어 맞춤 볼록부
41 제 1 벽(탄성편부가 연장하여 설치(지지)되어 있는 벽)
41D 제 1 벽
42 제 2 벽(탄성편부가 연장하여 설치(지지)되어 있는 벽)
42D 제 2 벽 43 제 3의 벽
43D 제 3의 벽 44 제 4의 벽
44D 제 4의 벽 45 삽입 오목부
46 고정편부 47 탄성편부
47A 탄성편부 47B 탄성편부
47C 탄성편부 47D 탄성편부
47E 탄성편부 47F 탄성편부
47G 탄성편부 47J 탄성편부
53 규제편부 54 규제편부
55 안내 돌기 55B 안내 돌기
56 안내 돌기 56B 안내 돌기
57 걸어 맞춤 돌기 58 걸어 맞춤 돌기
59 걸림 오목부 61 제 1 편부
61a 기단부 61b 선단부
62 제 2 편부 63 걸어 맞춤부
64 접어 겹침부 65 제 1 조임부
66 직선 모양부 67 제 2 조임부
68 선단부 69 한 쌍의 부분의 한쪽
69a 외측면 70 한 쌍의 부분의 다른 한쪽
70a 외측면 71 연결부
71a 내측면 72 확개 조작부
73 노치 74 제 1 유지 기구
75 제 2 유지 기구 76 제 1 홈 모양부
77 걸어 맞춤부 78 제 2 홈 모양부
79 가압부 80 돌출부
81 제 1 경사 모양 캠면 82 제 2 경사 모양 캠면
83 접속부 83J 접속부
84 천판부 85 규제편부
86 안내편 87 가압 볼록부
87E 가압 볼록부 87F 가압 볼록부
91 입구 92 팽출부(경계부)
93 팽출부(경계부) 94 홀더
95 (홀더의) 삽통 구멍 96 (하우징의) 칼라부
100 그랜드 바(접속 부재, 도전판)
100L 급전 바(접속 부재, 도전판)
101 (그랜드 바의) 주체부 102 (그랜드 바의) 가장자리
103 삽입 볼록부 l03a (삽입 볼록부의) 표면(도전부)
103b (삽입 볼록부의) 이면(도전부)
103c (삽입 볼록부의) 측 가장자리
103d (삽입 볼록부의) 측 가장자리
104 금속 프레임 401 (회로 기판의) 주체부
402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부 411 (제 1 벽의) 제 1 단부
411D (제 1 벽의) 제 1 단부 412 (제 2 벽의) 제 2 단부
412D (제 2 벽의) 제 2 단부 421 (제 2 벽의) 제 1 단부
421D (제 2 벽의) 제 1 단부 422 (제 2 벽의) 제 2 단부
422D (제 2 벽의) 제 2 단부 431 (제 3 벽의) 제 1 단부
432 (제 3 벽의) 제 2 단부 441 (제 4 벽의) 제 1 단부
442 (제 4 벽의) 제 2 단부 471 만곡부
471A 만곡부 471B 만곡부
471C 만곡부 471D 만곡부
471E 만곡부 471F 만곡부
471G 만곡부 471J 만곡부
472 주체부 472A 주체부
472B 주체부 472C 주체부
472D 주체부 472E 주체부
472F 주체부 472G 주체부
472J 주체부 473 제 1 경사부
473A 제 1 경사부 473B 제 1 경사부
473C 제 1 경사부 473D 제 1 경사부
473E 제 1 경사부 473F 제 1 경사부
473G 제 1 경사부
473J 제 1 경사부(선단이 좁아지게 되는 부분)
474 제 2 경사부 474A 제 2 경사부
474B 제 2 경사부 474C 제 2 경사부
474D 제 2 경사부 474E 제 2 경사부
474F 제 2 경사부 474G 제 2 경사부
474J 제 2 경사부(선단이 좁아지게 되는 부분)
475 접촉부
475A 접촉부 475B 접촉부
475C 접촉부 475D 접촉부
475E 접촉부 475F 접촉부
475G 접촉부 475J 접촉부
476 슬릿 476B 슬릿
476J 슬릿
477 (슬릿에 의해 구획된) 한 쌍의 부분의 한쪽
477A (슬릿에 의해 구획된) 한 쌍의 부분의 한쪽
477B (슬릿에 의해 구획된) 한 쌍의 부분의 한쪽
477J (슬릿에 의해 구획된) 한 쌍의 부분의 한쪽
478 (슬릿에 의해 구획된) 한 쌍의 부분의 다른 한쪽
478A (슬릿에 의해 구획된) 한 쌍의 부분의 다른 한쪽
478B (슬릿에 의해 구획된) 한 쌍의 부분의 다른 한쪽
478J (슬릿에 의해 구획된) 한 쌍의 부분의 다른 한쪽
A (삽입 볼록부의) 두께 방향
B (제 1 및 제 2 벽의) 대향 방향
M1 장착 방향 M2 떼어냄 방향
P1 삽입 방향
P2 발취 방향(삽입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
X X방향 X1 제 1 X방향
X2 제 2 X방향 Y Y방향
Y1 제 1 Y방향 Y2 제 2 Y방향
Z Z방향 Z1 제 1 Z방향
Z2 제 2 Z방향

Claims (5)

  1. 가장자리와, 상기 가장자리에 가로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삽입 볼록부와, 각 상기 삽입 볼록부의 표면 및 이면(裏面)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도전부(導電部)를 가지는 판 모양의 접속 부재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connector)가,
    절연성(絶緣性)의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된 금속제의 컨택트 형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 형성체는, 4개의 벽으로 이루어지는 박스 모양부와, 상기 박스 모양부 중 적어도 1개의 벽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contact)를 포함하며,
    상기 4개의 벽은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가 소정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를 구획하고,
    상기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는 이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가 연장하여 설치되는 벽에 의해서 지지되는 탄성편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부는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슬릿에 의해서 구획된 한 쌍의 부분과, 이들 한 쌍의 부분 중 삽입 방향측의 단부로서의 선단부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의 상기 도전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4개의 벽은 상기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의 주위를 전체에 걸쳐서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분은 각각 상기 선단부측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좁아지게 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분은 각각 상기 소정의 삽입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컬(curl)되는 만곡부와, 이 만곡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상기 소정의 삽입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상기 탄성편부가 지지되어 있는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지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어 상기 소정의 삽입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상기 탄성편부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는 벽에 근접하도록 경사지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며,
    각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 각각의 경계부에 각 상기 접촉부가 형성되고,
    각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는 상기 선단부측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좁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각 상기 경계부는 상기 삽입 볼록부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되어 있으며, 각 상기 경계부의 정상부에 상기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판 모양의 접속 부재와,
    상기 접속 부재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장자리부에 가로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삽입 볼록부와, 각 상기 삽입 볼록부의 표면 및 이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도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유지된 금속제의 컨택트 형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 형성체는 4개의 벽으로 이루어지는 박스 모양부와, 상기 박스 모양부 중 적어도 1개의 벽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를 포함하며,
    상기 4개의 벽은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가 소정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를 구획하고,
    상기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는 이 접속 부재 접속용 컨택트가 연장하여 설치되는 벽에 의해서 지지되는 탄성편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부는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슬릿에 의해서 구획된 한 쌍의 부분과, 이들 한 쌍의 부분 중 삽입 방향측의 단부로서의 선단부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의 상기 도전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4개의 벽은 상기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대응하는 상기 삽입 볼록부의 주위를 전체에 걸쳐서 둘러싸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의 접속구조.
KR1020080053625A 2006-06-27 2008-06-09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 KR100995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6802 2006-06-27
JPJP-P-2006-00176802 2006-06-27
JPJP-P-2007-00150656 2007-06-06
JP2007150656A JP4152425B2 (ja) 2006-06-27 2007-06-06 電気コネクタ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267A Division KR100916405B1 (ko) 2006-06-27 2007-06-25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991A true KR20080067991A (ko) 2008-07-22
KR100995215B1 KR100995215B1 (ko) 2010-11-17

Family

ID=386174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267A KR100916405B1 (ko) 2006-06-27 2007-06-25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
KR1020080053625A KR100995215B1 (ko) 2006-06-27 2008-06-09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267A KR100916405B1 (ko) 2006-06-27 2007-06-25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91695B2 (ko)
EP (1) EP1873867A3 (ko)
JP (1) JP4152425B2 (ko)
KR (2) KR100916405B1 (ko)
TW (1) TWI3506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726B1 (ko) 2006-09-28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와램프 모듈의 조립방법
EP2012176A1 (en) * 2007-07-02 2009-01-07 Hee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connection apparatus of direct type backlight unit
KR100982938B1 (ko) * 2008-04-01 2010-09-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회로기판의 결합구조
KR101014605B1 (ko) * 2008-04-01 2011-0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실장형 터미널과 회로기판의 결합구조
JP5172471B2 (ja) 2008-04-04 2013-03-2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4495231B2 (ja) * 2008-06-16 2010-06-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4495229B2 (ja) * 2008-06-16 2010-06-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5215763B2 (ja) * 2008-07-29 2013-06-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WO2010032563A1 (ja) * 2008-09-17 2010-03-25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中継コネクタ、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TWI387699B (zh) * 2008-10-28 2013-03-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燈座
KR101503695B1 (ko) * 2009-02-05 2015-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상기 램프 소켓의 제조 방법
CN201717490U (zh) * 2010-01-06 2011-01-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927740U (zh) * 2010-06-14 2011-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灯管连接器
US8956019B2 (en) * 2012-08-27 2015-02-17 Ideal Industr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grounding an electrical device via a lampholder
DE202013011920U1 (de) 2013-07-09 2014-10-23 Ptr Messtechnik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Gehäusezwischenelement für eine elektrische Baueinheit
CN109197732A (zh) * 2018-09-12 2019-01-15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给培养缸中斑马鱼胚胎或幼鱼换液的容器
CN113169483B (zh) * 2018-12-27 2023-07-0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多极连接器组
JP7279681B2 (ja) * 2020-04-10 2023-05-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4436A (en) * 1958-02-17 1962-03-06 Gen Motors Corp Receptacle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4157785A (en) * 1977-10-31 1979-06-12 Carrier Corporation Safety connection for a retrofit flue damper
JPS6133385A (ja) 1984-07-24 1986-0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厚円盤形ブイ
JPS62259366A (ja) * 1986-05-02 1987-11-11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の機能組込型配線装置
JP2632384B2 (ja) 1988-09-09 1997-07-23 住化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光学活性な[s]−(+)−3−(2,3−エポキシプロポキシ)−4−モルホリノ−1,2,5−チアジアゾールの製造法
JPH067503B2 (ja) 1989-03-31 1994-01-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0515368A (ja) 1991-07-05 1993-01-26 Nagase Seikagaku Kogyo Kk 新規プルラナー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30887B2 (ja) * 1992-12-10 1998-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ブスバー用ジョイント端子の製造方法及びジョイント端子
EP0709930A3 (en) * 1994-10-28 1997-09-10 Whitaker Corp Capacitive track coupling for crosstalk reduction
JP3497615B2 (ja) * 1995-07-12 2004-02-16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
JPH1069928A (ja) 1996-08-29 1998-03-10 Amp Japan Ltd 電気端子
US6196884B1 (en) 1997-07-22 2001-03-06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Female metal terminal that stably connects with male metal terminal
JPH1140234A (ja) 1997-07-22 1999-02-12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雌端子金具
JPH1186928A (ja) 1997-09-11 1999-03-30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接続端子
JPH11214058A (ja) 1998-01-29 1999-08-06 Yazaki Corp 雌端子
JP2000331732A (ja) 1999-05-19 2000-11-30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DE19944280C1 (de) * 1999-09-15 2001-02-01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Buchsenkontakt mit Führungssteg
JP2002184479A (ja) 2000-12-18 2002-06-28 Jst Mfg Co Ltd 雌圧着端子
JP2006176802A (ja) 2004-12-21 2006-07-06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水素化及び脱水素化による固相反応を利用した高強度マグネシウム合金の製造方法
KR100540214B1 (ko) 2005-07-20 2005-12-29 주식회사 연호전자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JP4755489B2 (ja) 2005-11-28 2011-08-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0616B (en) 2011-10-11
TW200822462A (en) 2008-05-16
KR20080000519A (ko) 2008-01-02
US7591695B2 (en) 2009-09-22
EP1873867A3 (en) 2010-01-13
EP1873867A2 (en) 2008-01-02
JP4152425B2 (ja) 2008-09-17
KR100916405B1 (ko) 2009-09-07
KR100995215B1 (ko) 2010-11-17
US20080207063A1 (en) 2008-08-28
JP2008034365A (ja)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21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의 접속 구조
TWI437779B (zh) 複合電性連接器、複合電性連接器用的支架、螢光管的連接構造及螢光管的連接方法
JP4681026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5660756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11095059B2 (en) Connector
CN106463885A (zh) 连接器
US9160087B2 (en) Board connecting terminal
US9356373B2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 plate-shaped object
KR20090054904A (ko) 편평한 단자용 커넥터
CN100530827C (zh) 复合接触件
CN109256632A (zh) 卡缘连接器
CN112956083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的制造方法
KR100742599B1 (ko)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US8647137B2 (en) Connector
JP4495230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ユニット
KR102395625B1 (ko) 리지드 얼라인먼트 기능을 갖는 고속 신호 전송 커넥터
KR20080095758A (ko) 커넥터용 흡착커버
KR101568419B1 (ko) 전기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0033887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KR20110037830A (ko) 컨택트 및 커넥터
JP2009146677A (ja) バックライト用コネクタ
KR20090106357A (ko) 형광관의 장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