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830A - 컨택트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컨택트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830A
KR20110037830A KR1020100070843A KR20100070843A KR20110037830A KR 20110037830 A KR20110037830 A KR 20110037830A KR 1020100070843 A KR1020100070843 A KR 1020100070843A KR 20100070843 A KR20100070843 A KR 20100070843A KR 20110037830 A KR20110037830 A KR 20110037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luorescent tube
substrate
connecto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739B1 (ko
Inventor
겐이치 시모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7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온도 변화에 따른 형광관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컨택트나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컨택트. 컨택트는 베이스부와, 형광관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베이스부에 연속되며, 프린트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형광관의 길이 방향으로 접촉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와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프린트 기판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과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따라 베이스부와 연결부와 접촉부를 나열하였다.

Description

컨택트 및 커넥터{CONTACT AND CONNECTOR}
본 발명은 컨택트 및 그것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자와 고정 하우징과 가동 (可動) 하우징과 덮개체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4657호 (단락 0017, 0020, 0021, 0024) 참조).
단자는 고정부와 리드 지지 고정부와 기판 접촉부와 신축 흡수부를 갖는다. 고정부는 고정 하우징에 고정된다. 리드 지지 고정부는 대략 소리 굽쇠 형상으로서, 형광관의 리드선에 접촉하여 리드선을 지지한다. 기판 접촉부는 인버터 기판의 일부분에 접촉한다. 신축 흡수부는 형광관의 길이 방향으로 리드 지지 고정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부와 리드 지지 고정부를 연결한다.
고정 하우징은 단자를 수용하며, 단자의 고정부가 고정됨과 함께, 인버터 기판의 일부분을 받아들인다.
가동 하우징은 고정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덮개체는 가동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서술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인버터 기판과 형광관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 하우징의 기판 삽입구에 인버터 기판의 일부를 삽입하여, 인버터 기판을 단자의 기판 접촉부에 접촉시킨다.
다음으로, 덮개체를 회전시켜 덮개체를 열고, 가동 하우징의 상방으로부터 단자의 리드 지지 고정부에 형광관의 리드선을 접촉시킨다.
그 후, 덮개체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덮개체를 닫는다. 이 때, 덮개체의 내면은 리드 지지 고정부를 가압하고, 리드 지지 고정부는 리드선을 사이에 끼운다. 그 결과, 인버터 기판과 형광관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인버터 기판으로부터 형광관에 전력이 공급되어 형광관이 점등한다.
형광관이 점등하면, 형광관에 열이 발생하고, 그 열에 의해 형광관이 그 길이 방향으로 열팽창한다.
형광관의 열팽창에 따라 단자의 신축 흡수부가 형광관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기 때문에, 형광관의 열팽창에 단자의 리드 지지 고정부가 추종하여, 형광관의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
상기 서술한 커넥터의 단자에서는, 커넥터의 높이 방향을 따라 리드 지지 고정부, 신축 흡수부, 고정부, 기판 접촉부가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의 높이 치수가 커져 커넥터의 저배화(低背化)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과제는 온도 변화에 따른 형광관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컨택트나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는, 형광관의 전극과 기판을 도통시키는 컨택트에 있어서, 베이스부와, 상기 형광관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연속되며,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형광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촉부가 나열되어 있는 컨택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컨택트의 구성에 의하면, 기판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과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따라 베이스부와 연결부와 접촉부가 나열되어 있으므로, 컨택트의 상하 방향 (기판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의 치수가 작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가 판 형상이고, 그 연결부의 판 두께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이 평행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 (端部) 의 폭이 중앙부의 폭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의 중앙부가 절곡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는, 형광관의 전극과 기판을 도통시키는 컨택트로서, 베이스부와, 상기 형광관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연속되며,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형광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촉부가 나열되어 있는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부가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기판의 판 두께 방향에서 상기 기판을 사이에 끼우는 클립 형상으로서, 상기 고정 하우징은 상기 기판의 일부분을 받아들이는 기판 삽입부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접촉부와 상기 형광관의 전극의 접촉력을 조정하는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 변화에 따른 형광관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컨택트나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기초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2 개의 컨택트 중 일방의 컨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배면판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 도이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커넥터로부터 고정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5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형광관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내는 커넥터에 형광관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XI-X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9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컨택트가 고정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9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도 9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가동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9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고정 하우징의 측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은 가동 하우징이 고정 하우징에 임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가동 하우징의 임시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은 가동 하우징이 고정 하우징에 로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4, 도 5, 도 7, 도 8, 도 11, 도 13, 도 15, 도 16, 도 17, 도 18 중에는, 형광관 (21) 의 전체가 도시되어 있지 않고, 형광관 (21) 의 일단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각 실시형태에서는, 형광관 (21) 의 길이 방향 (L) 을 컨택트 (3, 3', 303, 303', 403, 403') 또는 커넥터 (101, 201, 301, 401) 의 전후 방향, 프린트 기판 (22, 322) 의 평면 (22a, 322a) 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이하 「수직 방향」이라고 한다 : D2) 을 컨택트 (3, 3', 303, 303', 403, 403') 또는 커넥터 (301, 401) 의 상하 방향, 형광관 (21) 의 길이 방향 (L) 및 수직 방향 (D2) 과 직교하는 제 1 방향 (D1) 을 컨택트 (3, 3', 303, 303', 403, 403') 또는 커넥터 (301, 401) 의 좌우 방향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 (101) 를 도 1 ∼ 도 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01) 는, 1 쌍의 컨택트 (3, 3') 를 구비하고, 컨택트 (3, 3') 를 개재하여 형광관 (21) 과 프린트 기판 (기판 : 22) 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3) 는 베이스부 (31) 와 접촉부 (33) 와 접속부 (34) 와 연결부 (35) 를 갖는다. 컨택트 (3) 는 도전성 및 탄성을 갖는 1 개의 금속판에 타발 (打拔)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 (31) 는 대략 판 형상이다. 베이스부 (31) 는 형광관 (21) 의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촉부 (33) 는 형광관 (21) 의 전극 (211 : 도 1 참조) 을 사이에 끼운다. 접촉부 (33) 는 제 1 접촉편 (331) 과 제 2 접촉편 (332) 과 위치 결정편 (333) 을 갖는다. 제 1 접촉편 (331) 은 평판 형상이다. 제 2 접촉편 (332) 은 대략 S 자형으로서, 유입부 (誘入部 : 332a) 와 스프링부 (332b) 를 갖는다. 유입부 (332a) 는 제 1 접촉편 (331) 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유입부 (332a) 는 전극 (211) 을 후술하는 전극 수용 공간 (334) 으로 유입시킨다. 유입부 (332a) 의 하부는 스프링부 (332b) 의 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제 1 접촉편 (331) 에 밀려져 있다. 스프링부 (332b) 의 상부는 유입부 (332a) 의 하부에 연속되며, 스프링부 (332b) 의 하부는 제 1 접촉편 (331) 의 하단에 연속된다. 위치 결정편 (333) 은 제 1 접촉편 (331) 의 중간부에 연속되며, 제 1 방향 (D1)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접촉편 (331) 의 위치 결정편 (333) 보다 윗 부분과 제 2 접촉편 (332) 의 위치 결정편 (333) 보다 윗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전극 수용 공간 (334) 이다. 전극 수용 공간 (334) 에는 형광관 (21) 의 전극 (211 : 도 1 참조) 이 수용된다. 전극 (211) 이 전극 수용 공간 (334) 에 수용되었을 때, 전극 (211) 은 제 1, 제 2 접촉편 (331, 332) 사이에 끼워짐과 함께 위치 결정편 (333) 에 지지되어 전극 (211) 의 수직 방향 (D2) 의 위치가 결정된다.
접속부 (34) 는 2 개의 제 1 접속편 (341, 341) 과 1 개의 제 2 접속편 (342) 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개의 제 1 접속편 (341, 341) 은 각각 대략 L 자형으로 절곡되고, 제 2 접속편 (342) 은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1 접속편 (341, 341), 제 2 접속편 (342) 은 각각 베이스부 (31) 의 하부에 연속된다. 2 개의 제 1 접속편 (341, 341) 의 일방은 베이스부 (31) 의 전부에 위치하고, 타방은 베이스부 (31) 의 후부에 위치하며, 제 2 접속편 (342) 은 베이스부 (31) 의 중간부에 위치한다. 제 1 접속편 (341) 은 납땜부 (341a) 를 갖는다. 제 2 접속편 (342) 은 납땜부 (342a) 를 갖는다. 납땜부 (341a, 342a) 는 각각 프린트 기판 (22 : 도 1 참조) 의 패드 (도시 생략) 에 납땜된다.
연결부 (35) 는, 형광관 (21) 의 길이 방향 (L) 으로 접촉부 (33) 가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 (31) 와 접촉부 (33) 를 연결한다. 연결부 (35) 는 판 형상으로서, 수직 방향 (D2) 과 길이 방향 (L) 에 직교하는 제 1 방향 (D1) 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 (35) 의 판 두께 방향은 길이 방향 (L) 과 평행이다. 연결부 (35) 의 양 단부의 폭 (수직 방향 (D2) 의 길이) 은 연결부 (35) 의 중앙부의 폭 (수직 방향 (D2) 의 길이) 보다 크다. 또, 연결부 (35) 의 제 1 방향 (D1) 의 중앙부를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연결부 (35) 에 절곡부 (351) 를 형성하였다.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 (31) 와 연결부 (35) 와 접촉부 (33) 가 제 1 방향 (D1) 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컨택트 (3') 의 형상은 컨택트 (3) 를 거울에 비추었을 때 그 거울에 비추어진 컨택트의 형상 (컨택트 (3) 의 좌우가 반대가 된 형상) 과 동일하므로, 컨택트 (3) 와 공통되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컨택트 (3') 의 설명을 생략한다.
컨택트 (3, 3') 의 제 1, 제 2 접속편 (341, 342) 의 납땜부 (341a, 342a) 를 리플로우 납땜 등의 방법에 의해 프린트 기판 (22) 의 패드에 납땜함으로써, 컨택트 (3, 3') 는 프린트 기판 (22) 에 실장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광관 (21) 의 일단부의 1 쌍의 전극 (211 : 도 1 에서는 일방의 전극 (211) 밖에 보이지 않는다) 은 컨택트 (3, 3') 에 접속되는데, 형광관 (21) 의 타단부의 1 쌍의 전극 (도시 생략) 은 형광관 (21) 의 타단부측에 배치된 컨택트 (3, 3') 와 동일한 구조의 컨택트 (도시 생략) 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컨택트 (3, 3') 의 사용 방법,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컨택트 (3, 3') 의 제 1, 제 2 접속편 (341, 342) 의 납땜부 (341a, 342a) 를 각각 프린트 기판 (22) 의 패드에 납땜한다.
다음으로, 형광관 (21) 의 전극 (211, 211) 을 각각 컨택트 (3, 3') 의 제 1 접촉편 (331) 과 제 2 접촉편 (332) 사이에 삽입하여, 위치 결정편 (333) 에 부딪히게 한다. 전극 (211) 을 제 1 접촉편 (331) 과 제 2 접촉편 (332) 사이에 삽입할 때, 전극 (211) 은 제 2 접촉편 (332) 의 유입부 (332a) 에 의해 전극 수용 공간 (334) 으로 유입된다. 전극 수용 공간 (334) 에 수용된 전극 (211) 은 제 1, 제 2 접촉편 (331, 332) 사이에 끼워짐과 함께, 위치 결정편 (333) 에 지지되어 전극 (211) 의 수직 방향 (D2) 의 위치가 결정된다.
제 2 접촉편 (332) 은 항상 제 1 접촉편 (331) 에 밀려져 있으므로, 전극 (211) 과 접촉부 (33) 사이에 큰 접촉력이 생겨, 전극 수용 공간 (334) 에 수용된 전극 (211) 은 제 1 접촉편 (331), 제 2 접촉편 (332) 사이에 확실하게 끼워진다.
전극 (211) 이 전극 수용 공간 (334) 에 수용되면, 프린트 기판 (22) 과 형광관 (21) 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프린트 기판 (22) 으로부터 형광관 (21) 에 전력이 공급되어 형광관 (21) 이 점등한다.
형광관 (21) 의 점등 중, 형광관 (21) 에 열이 발생하고, 그 열에 의해 형광관 (21) 이 그 길이 방향 (L) 으로 열팽창하였을 때, 그 팽창량에 따라 컨택트 (3, 3') 의 연결부 (35, 35) 가 휘고, 접촉부 (33, 33) 가 형광관 (21) 의 열팽창에 추종한다.
형광관 (21) 을 소등하였을 때, 형광관 (21) 의 온도 저하에 따라 형광관 (21) 이 그 길이 방향 (L) 으로 수축되고, 컨택트 (3, 3') 의 연결부 (35, 35) 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고, 접촉부 (33, 33) 가 형광관 (21) 의 수축에 추종한다.
형광관 (21) 의 신축시, 컨택트 (3, 3') 의 연결부 (35, 35) 가 변형되는데, 연결부 (35) 의 양 단부의 폭은 연결부 (35) 의 중앙부의 폭보다 크고, 또한 연결부 (35) 의 중앙부에 절곡부 (351)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 (35) 가 변형되었을 때 연결부 (35) 의 중앙부의 절곡부 (351) 에도 응력이 생겨, 연결부 (35) 의 양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방향 (D1) 을 따라 베이스부 (31) 와 연결부 (35) 와 접촉부 (33) 가 나열되어 있으므로, 컨택트 (3, 3') 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형광관 (21) 이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되어, 전극 (211) 이 길이 방향 (L) 으로 이동하였을 때, 컨택트 (3, 3') 의 연결부 (35) 가 길이 방향 (L) 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접촉부 (33) 가 전극 (211) 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형광관 (21)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35) 가 판 형상이므로, 종래 커넥터 단자의 지그재그 형상의 신축 흡수부에 비해, 컨택트 (3, 3') 의 굽힘 가공시에 연결부 (35) 의 불필요한 변형을 지그 등에 의해 방지할 필요가 없고, 컨택트 (3, 3') 의 굽힘 가공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연결부 (35) 의 양 단부의 폭은 연결부 (35) 의 중앙부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연결부 (35) 의 양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컨택트 (3, 3') 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35) 의 중앙부에 절곡부 (351)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 (35) 가 휘었을 때에 절곡부 (351) 에도 응력이 생기므로, 연결부 (35) 의 양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컨택트 (3, 3') 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접촉편 (332) 을 제 1 접촉편 (331) 에 항상 미는 프리로드가 제 2 접촉편 (332) 에 가해지고 있으므로, 전극 (211) 을 제 1 접촉편 (331) 과 제 2 접촉편 (332) 사이에 삽입하였을 때 큰 접촉력이 생긴다. 따라서, 컨택트 (3, 3') 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전극 (211) 과 접촉부 (33) 의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도 4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201) 는 컨택트 (3, 3') 와 고정 하우징 (5) 을 구비한다.
고정 하우징 (5) 은 컨택트 (3, 3') 를 수용한다. 고정 하우징 (5) 은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일체 형성되며, 배면부 (52) 와 측면부 (53, 53) 와 상면부 (55, 55) 와 저면부 (56) 를 갖는다.
측면부 (53, 53) 와 저면부 (56)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57) 이 형성되어 있다. 상면부 (55) 의 하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55a) 이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 (56) 의 양 측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의 누름부 (56a)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201) 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컨택트 (3, 3') 의 제 1, 제 2 접속편 (341, 342 : 도 1 참조) 의 납땜부 (341a, 342a : 도 1 참조) 를 제외한 부분을 슬릿 (57) 에 압입한다. 그 결과, 컨택트 (3, 3') 는 고정 하우징 (5) 에 고정된다. 저면부 (56) 의 누름부 (56a) 는 제 1, 제 2 접속편 (341, 342) 의 납땜부 (341a, 342a) 를 제외한 부분이 측면부 (53) 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누른다. 상면부 (55) 의 홈 (55a) 에는 컨택트 (3, 3') 의 베이스부 (31) 의 상부가 삽입된다.
컨택트 (3, 3') 의 납땜부 (341a, 342a) 를 프린트 기판 (22) 에 납땜함으로써, 커넥터 (201) 가 프린트 기판 (22) 에 실장된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함과 함께, 도시되지 않은 흡착식 반송 장치의 노즐을 사용하여 고정 하우징 (5) 의 상면부 (55, 55) 를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201) 를 프린트 기판 (22) 상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2 개의 컨택트 (3, 3') 가 1 개의 고정 하우징 (5) 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2 개의 컨택트 (3, 3') 를 1 개의 유닛으로서 취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도 5 ∼ 도 8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 (301) 는 컨택트 (303, 303') 와 고정 하우징 (305) 을 구비한다.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303) 의 베이스부 (3031) 는 수직 방향 (D2)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 (3034) 는 프린트 기판 (기판 : 322) 의 삽입부 (3222) 를 사이에 끼운다. 접속부 (3034) 는 클립 형상으로서, 제 1 스프링편 (3345) 과 제 2 스프링편 (3346) 과 제 1 연결편 (3347) 과 제 2 연결편 (3348) 을 갖는다. 제 1 스프링편 (3345) 은 삽입부 (3222) 의 상면에 접촉한다. 제 2 스프링편 (3346) 은 삽입부 (3222) 의 하면에 접촉한다. 제 1 연결편 (3347) 은 제 1 스프링편 (3345) 과 제 2 스프링편 (3346) 을 연결한다. 제 2 연결편 (3348) 은 제 1 연결편 (3347) 과 베이스부 (3031) 를 연결한다. 또한, 컨택트 (303') 의 형상은 컨택트 (303) 를 거울에 비추었을 때 그 거울에 비추어진 컨택트의 형상 (컨택트 (303) 의 좌우가 반대가 된 형상) 과 동일하므로, 컨택트 (303) 와 공통되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컨택트 (303') 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 (305) 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케이스체 형상이다. 고정 하우징 (305) 은 컨택트 (303, 303') 와 프린트 기판 (322) 의 삽입부 (3222) 를 수용한다. 고정 하우징 (305) 은 정면부 (3051) 와 배면부 (3052) 와 측면부 (3053, 3053) 와 저면부 (3056) 를 갖는다. 정면부 (3051) 의 상부에는 절결 (3051a) 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 (3051a) 은 정면부 (3051) 와 형광관 (21) 의 간섭을 피한다. 정면부 (3051) 의 하부에는 기판 삽입부 (3051b) 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 삽입부 (3051b) 는 프린트 기판 (322) 의 삽입부 (3222) 를 받아들인다. 고정 하우징 (305) 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 (3057)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301) 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컨택트 (303, 303') 의 베이스부 (3031) 를 고정 하우징 (305) 에 고정시키면 된다.
다음으로, 커넥터 (301) 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배면판 (23) 에 형성된 창구멍( 도시 생략) 에 고정 하우징 (305) 의 하부를 삽입하고, 고정 하우징 (305) 의 플랜지부 (3057) 를 배면판 (23) 의 창구멍의 주변부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정면부 (3051) 의 기판 삽입부 (3051b) 에 프린트 기판 (322) 의 삽입부 (3222) 를 삽입한다. 기판 삽입부 (3051b) 에 삽입부 (3222) 를 삽입하면, 삽입부 (3222) 는 접속부 (3034) 의 제 1 스프링편 (3345) 과 제 2 스프링편 (3346) 사이에 상하 방향에서 끼워진다 (도 7 참조).
마지막으로, 형광관 (21) 의 2 개의 전극 (211) 을 각각 컨택트 (303, 303') 의 제 1 접촉편 (331) 과 제 2 접촉편 (332) 사이에 삽입한다. 전극 (211) 을 제 1 접촉편 (331) 과 제 2 접촉편 (332) 사이에 삽입하면, 전극 (211) 은 제 2 접촉편 (332) 의 유입부 (332a) 에 의해 하방으로 유입되어, 위치 결정편 (333) 에 부딪친다.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함과 함께, 고정 하우징 (305) 을 사용하여 컨택트 (303, 303') 를 배면판 (23) 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컨택트 (303, 303') 의 접속부 (3034) 가 프린트 기판 (322) 의 삽입부 (3222) 를 사이에 끼우므로, 납땜하지 않고 커넥터 (301) 를 프린트 기판 (322) 에 접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도 9 ∼ 18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의 커넥터 (401) 는 컨택트 (403, 403') 와 고정 하우징 (405) 과 가동 하우징 (407) 을 구비한다. 또한, 컨택트 (403´) 의 형상은 컨택트 (403) 를 거울에 비추었을 때 그 거울에 비추어진 컨택트의 형상 (컨택트 (403) 의 좌우가 반대가 된 형상) 과 동일하므로, 컨택트 (403) 와 공통되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컨택트 (403') 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403) 의 접촉부 (4033) 는 제 1 접촉편 (331) 과 제 2 접촉편 (4332) 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접촉편 (4332) 의 유입부 (332a) 에는 대략 C 자형의 걸어맞춤부 (4334) 가 연속된다. 제 2 접촉편 (4332) 의 스프링부 (4332b) 는 대략 U 자형으로 굴곡된 절곡부 (4332c) 를 갖는다. 절곡부 (4332c) 에 의해 스프링부 (4332b) 의 스프링 길이가 길어져 있다. 제 2 접촉편 (4332) 에는 프리로드가 가해져 있지 않다.
컨택트 (403) 의 접속부 (4034) 는 제 1 접속편 (4341) 과 제 2 접속편 (4342) 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접속편 (4341) 은 납땜부 (4341a) 를 갖는다. 제 1 접속편 (4341) 은 베이스부 (31) 의 하부에 연속된다. 제 2 접속편 (4342) 은 납땜부 (4342a) 를 갖는다. 제 2 접속편 (4342) 은 제 1 접속편 (4341) 에 연속된다.
도 9,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 (405) 은 배면부 (4052) 와 측면부 (4053, 4053) 와 저면부 (4056) 를 갖는다. 배면부 (4052) 에 후술하는 가동 하우징 (407) 의 배면부 (4712) 의 하부가 접촉함으로써, 컨택트 (403, 403') 의 연결부 (35) 의 길이 방향 (L) 으로의 과도한 변형이 저지된다. 측면부 (4053) 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의 내면에는 오목부 (4053a)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4053a) 는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고, 오목부 (4053a) 의 일단은 고정 하우징 (405) 의 정면에 도달해 있다. 측면부 (4053) 의 하부에는 압입 홈 (4053b) 이 형성되어 있다. 압입 홈 (4053b) 은 오목부 (4053a) 에 통해 있다. 압입 홈 (4053b) 은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고, 압입 홈 (4053b) 의 일단은 고정 하우징 (405) 의 정면에 도달해 있다. 측면부 (4053) 의 상부의 내면에는 로크 홈 (4053d) 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홈 (4053d) 은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면부 (4053) 의 상부에는 각기둥 형상부 (4057) 가 형성되어 있다. 각기둥 형상부 (4057) 는 측면부 (4053) 의 후부에 위치한다. 각기둥 형상부 (4057) 의 내면에 오목부 (4057a) 가 형성되고, 오목부 (4057a) 의 일단이 각기둥 형상부 (4057) 의 정면에 도달해 있다.
도 9, 도 14,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 (407) 은 가동 하우징 본체 (471) 와 1 쌍의 로크 아암 (472) 을 갖는다. 가동 하우징 (407) 은 수직 방향 (D2) 및 길이 방향 (L) 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 하우징 (405) 에 장착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 (407) 은 컨택트 (403, 403') 의 접촉부 (4033) 와 형광관 (21) 의 전극 (211) 의 접촉력을 조절한다.
가동 하우징 본체 (471) 은 대략 각통 형상으로서, 정면부 (4711) 와 배면부 (4712) 와 측면부 (4713, 4713) 와 칸막이 (4714) 를 갖는다. 정면부 (4711) 에는 1 쌍의 절결 (4711a) 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 (4711a) 은 정면부 (4711) 와 형광관 (21) 의 전극 (211) 의 간섭을 피한다. 측면부 (4713) 의 내면에는 가압면 (4713a) 과 비접촉면 (4713b) 과 경사면 (4713c) 을 갖는다 (도 9 참조). 경사면 (4713c) 은 가압면 (4713a) 과 비접촉면 (4713b) 을 연결하고 있다. 칸막이 (4714) 는 가동 하우징 (407) 내의 공간을 2 개의 컨택트 전극 수용 공간 (471a) 으로 구획하고 있다.
로크 아암 (472) 의 하부는 가동 하우징 본체 (471) 의 하부에 연속된다. 로크 아암 (472) 의 하부 이외의 부분과 가동 하우징 본체 (471) 의 외면 사이에는 간극이 있어, 로크 아암 (472) 의 하부 이외의 부분은 제 1 방향 (D1) 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로크 아암 (472) 의 외측의 측면에는 로크 걸기부 (47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로크 아암 (472) 의 배면에는 볼록부 (472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 참조).
다음으로, 커넥터 (401) 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컨택트 (403, 403') 의 베이스부 (31) 와 접속부 (4034) 의 납땜부 (4341a, 4342a) 를 제외한 부분을 고정 하우징 (405) 의 정면으로부터 측면부 (4053) 의 압입 홈 (4053b) 에 압입하여, 컨택트 (403, 403') 를 고정 하우징 (405) 에 고정시킨다. 이 때, 오목부 (4053a) 에 의해 연결부 (35) 와 고정 하우징 (405) 의 간섭이 회피된다 (도 12 참조).
컨택트 (403, 403') 를 고정 하우징 (405) 에 고정시키면, 고정 하우징 (405) 의 상방으로부터 가동 하우징 (407) 을 고정 하우징 (405) 에 삽입한다. 가동 하우징 (407) 의 로크 아암 (472) 의 볼록부 (472b) 가 고정 하우징 (405) 의 각기둥 형상부 (4057) 의 오목부 (4057a) 의 위치에 이르면, 볼록부 (472b) 가 오목부 (4057a) 에 끼워 넣어져, 가동 하우징 (407) 이 고정 하우징 (405) 에 임시 고정된다.
볼록부 (472b) 를 오목부 (4057a) 에 끼워 넣음으로써 가동 하우징 (407) 의 고정 하우징 (405) 에 대한 장착이 완료된다. 이 때,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 (407) 의 컨택트 전극 수용 공간 (471a) 에는, 컨택트 (403, 403') 의 접촉부 (4033) 의 상부가 수용되어 있다. 또, 가동 하우징 (407) 의 가압면 (4713a) 의 하단은 컨택트 (403, 403') 의 걸어맞춤부 (4334) 에 접촉하고 있다. 가동 하우징 (407) 의 비접촉면 (4713b) 은 컨택트 (403, 403') 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다음으로, 커넥터 (401) 의 사용 방법,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커넥터 (401) 를 프린트 기판 (도시 생략) 에 실장한다. 커넥터 (401) 의 프린트 기판에 대한 실장은, 고정 하우징 (405) 에 고정된 컨택트 (403, 403') 의 납땜부 (4341a) 를 프린트 기판에 납땜하여 이루어진다. 커넥터 (401) 가 프린트 기판에 실장되었을 때, 가동 하우징 (407) 은 임시 고정 위치 (도 9 참조) 에 있다.
다음으로, 형광관 (21) 의 전극 (211) 을 컨택트 (403, 403') 의 접촉부 (4033) 를 구성하는 제 1 접촉편 (331) 과 제 2 접촉편 (4332) 사이에 삽입한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 (407) 에 절결 (4711a)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하우징 (407) 과 전극 (211) 의 간섭이 회피된다.
그 후,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 (35 : 도 9 참조) 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가동 하우징 (407) 을 전방 (도 17 의 좌방) 으로 슬라이드시켜, 가동 하우징 (407) 의 볼록부 (472b) 를 고정 하우징 (405) 의 오목부 (4057a) 로부터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 (407) 을 하방으로 압입한다. 가동 하우징 (407) 을 하방으로 압입하였을 때, 가동 하우징 (407) 의 로크 아암 (472) 이 가동 하우징 본체 (471) 쪽으로 휘기 때문에, 로크 걸기부 (472a) 가 고정 하우징 (405) 의 측면부 (4053) 의 내면에 올라타고, 그 후, 도 10,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 (472) 의 로크 걸기부 (472a) 가 측면부 (4053) 의 로크 홈 (4053d) 에 끼워 넣어져, 가동 하우징 (407) 은 고정 하우징 (405) 에 로크된다. 또, 가동 하우징 (407) 의 가압면 (4713a) 은 컨택트 (403, 403') 의 걸어맞춤부 (4334) 를 가압하고, 제 2 접촉편 (4332) 이 전극 (211) 을 제 1 접촉편 (331) 에 민다. 그 결과, 컨택트 (403, 403') 의 접촉부 (4033) 가 형광관 (21) 의 전극 (211) 에 강하게 접촉하여, 형광관 (21) 과 프린트 기판이 도통한다.
형광관 (21) 을 커넥터 (401) 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먼저, 가동 하우징 (407) 의 로크 아암 (472) 을 가동 하우징 본체 (471) 쪽으로 쓰러뜨리고, 로크 걸기부 (472a) 를 로크 홈 (4053d) 으로부터 제거하고, 그 후, 가동 하우징 (407) 을 상방으로 끌어 올린다. 상방으로 끌어 올려진 가동 하우징 (407) 의 볼록부 (472b) 는 컨택트 (403, 403') 의 연결부 (35) 의 스프링력에 의해 고정 하우징 (405) 의 오목부 (4057a) 에 끼워 넣어져 (도 16 참조), 가동 하우징 (407) 은 고정 하우징 (405) 에 임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403, 403') 의 제 2 접촉편 (4332) 이 제 1 접촉편 (331) 으로부터 떨어지고, 형광관 (21) 의 전극 (211) 이 접촉부 (4033) 사이에 끼워지지 않게 되므로, 형광관 (21) 을 용이하게 커넥터 (401) 로부터 빼낼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함과 함께, 도시되지 않은 흡착식 반송 장치를 사용하여 고정 하우징 (405) 또는 가동 하우징 (407) 의 상면을 흡착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401) 를 프린트 기판 (도시 생략)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 2 개의 컨택트 (403, 403') 를 1 개의 유닛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또, 가동 하우징 (407) 을 고정 하우징 (405) 에 대하여 임시 고정 상태 (도 9 참조) 로 하면, 컨택트 (403, 403') 의 접촉부 (4033) 사이에 형광관 (21) 의 전극 (211) 이 끼워지지 않게 되어, 형광관 (21) 을 커넥터 (401) 에 대하여 용이하게 삽입 발출할 수 있다.
또한, 가동 하우징 (407) 을 도 9 에 나타내는 임시 고정 위치로부터 도 10 에 나타내는 로크 위치까지 낮추면, 가동 하우징 (407) 은 고정 하우징 (405) 에 로크되어 가동 하우징 (407) 이 상방으로 잘 빠지지 않게 됨과 함께, 컨택트 (403, 403') 의 접촉부 (4033) 가 형광관 (21) 의 전극 (211) 을 강하게 사이에 끼우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접촉부 (4033) 와 전극 (211) 의 높은 접촉 안정성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 (35) 는 판 형상이고, 연결부 (35) 의 판 두께 방향을 길이 방향 (L) 과 평행하게 하였는데, 예를 들어 연결부를 기둥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 (35) 의 양 단부의 폭이 중앙부의 폭보다 크게 하였는데, 예를 들어 연결부의 폭을 중앙부의 폭과 동일하게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 (35) 의 중앙부를 절곡하였는데, 연결부 (35) 의 중앙부를 절곡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101), 커넥터 (201, 301, 401) 를, 양 단부에 각각 2 개의 전극 (211) 을 갖는 형광관 (21 : 예를 들어 열음극 형광관) 과 프린트 기판 (22, 322) 의 전기적 접속에 적용하였는데, 본 발명의 컨택트 및 커넥터를, 양 단부에 각각 1 개의 전극을 갖는 형광관 (예를 들어 냉음극 형광관) 과 프린트 기판의 전기적 접속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설명으로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13)

  1. 형광관의 전극과 기판을 도통시키는 컨택트로서,
    베이스부;
    상기 형광관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촉부;
    상기 베이스부에 연속되며,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형광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촉부가 나열되어 있는 컨택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판 형상이고, 그 연결부의 판 두께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이 평행인 컨택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 (端部) 의 폭이 중앙부의 폭보다 큰 컨택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중앙부가 절곡되어 있는 컨택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중앙부가 절곡되어 있는 컨택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중앙부가 절곡되어 있는 컨택트.
  7. 형광관의 전극과 기판을 도통시키는 컨택트로서,
    베이스부와,
    상기 형광관의 전극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연속되며,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형광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촉부가 나열되어 있는 컨택트; 및
    상기 컨택트를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부가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가 상기 기판의 판 두께 방향으로 상기 기판을 사이에 끼우는 클립 형상이고,
    상기 고정 하우징은 상기 기판의 일부분을 받아들이는 기판 삽입부를 갖는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접촉부와 상기 형광관의 전극과의 접촉력을 조정하는 가동(可動)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접촉부와 상기 형광관의 전극과의 접촉력을 조정하는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판 형상이고, 그 연결부의 판 두께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이 평행인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의 폭이 중앙부의 폭보다 큰 커넥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중앙부가 절곡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100070843A 2009-10-06 2010-07-22 컨택트 및 커넥터 KR101177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2516 2009-10-06
JP2009232516A JP2011081991A (ja) 2009-10-06 2009-10-06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830A true KR20110037830A (ko) 2011-04-13
KR101177739B1 KR101177739B1 (ko) 2012-08-28

Family

ID=4382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843A KR101177739B1 (ko) 2009-10-06 2010-07-22 컨택트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081795A1 (ko)
JP (1) JP2011081991A (ko)
KR (1) KR101177739B1 (ko)
CN (1) CN1020350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1439A (zh) * 2008-03-13 2011-02-09 夏普株式会社 灯连接器、背光源装置和液晶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9370A (ja) * 2004-03-09 2005-09-22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JP4753705B2 (ja) * 2005-12-16 2011-08-24 日本端子株式会社 冷陰極管用コネクタ
KR101294012B1 (ko) * 2006-04-03 201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홀더, 전원공급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CN101473398B (zh) * 2006-06-30 2012-05-16 夏普株式会社 放电管、管头、照明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CN200987024Y (zh) * 2006-11-24 2007-12-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JP4335931B2 (ja) * 2007-02-16 2009-09-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JP4298766B2 (ja) * 2007-06-21 2009-07-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組立体とそ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CN201078663Y (zh) * 2007-08-03 2008-06-25 亚帝欧光电股份有限公司 连接器
TWI350931B (en) * 2007-09-12 2011-10-2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structure
KR101385226B1 (ko) * 2007-11-21 2014-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100114727A (ko) * 2009-04-16 2010-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소켓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1795A1 (en) 2011-04-07
CN102035091A (zh) 2011-04-27
JP2011081991A (ja) 2011-04-21
KR101177739B1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9466B2 (en) Connector
JP5360271B1 (ja) 電気コネクタ
KR101279249B1 (ko) 커넥터
US8727798B2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normal force in electrical connector
JPH1092526A (ja) 接点支持体
JP3166119B2 (ja) 基板用可動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端子
JP2008034217A (ja) 接続装置
JP2003168533A (ja) 電気コネクタ端子
JPH08124638A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及びその電気コンタクト
JP2010061971A (ja) 接続装置の基板接続構造
US7713079B2 (en) Card edge connector
US6454588B1 (en) Contact of socket connector
KR101177739B1 (ko) 컨택트 및 커넥터
JP2009199823A (ja) 接続用ソケット
US20050277332A1 (e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JP2007305531A (ja) 配線基板用コネクタ
US20230361516A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flexible printed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printed board unit
JP3083783U (ja) プローブ式電気コネクタ
KR200453649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JP2003022851A (ja) コネクタ
JP2005243403A (ja) コネクタ
JP2005228716A (ja) 電子部品用ソケット
KR100995276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JP2024019779A (ja) コネクタ
JP2001143795A (ja) 無半田fpc/ffc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