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609A - 복합 전자 부품 - Google Patents

복합 전자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609A
KR20080066609A KR1020080003463A KR20080003463A KR20080066609A KR 20080066609 A KR20080066609 A KR 20080066609A KR 1020080003463 A KR1020080003463 A KR 1020080003463A KR 20080003463 A KR20080003463 A KR 20080003463A KR 20080066609 A KR20080066609 A KR 20080066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electrode
electrode layer
hot
electronic compon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1405B1 (ko
Inventor
켄타로 요시다
타카히로 사토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40Structural combinations of fixed capacitors with other electric elements, the structure mainly consisting of a capacitor, e.g. RC combin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H01C1/148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the terminals embracing or surrounding the resis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8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stacked between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Details of via holes for interconnecting th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01F2017/0026Multilayer LC-fil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85Multilayer, e.g. LTCC, HTCC, green sheets

Abstract

본 발명의 복합 전자 부품은 전극층을 포함하는 제 1 적층부와, 제 1 적층부에 겹치고, 그라운드 전극이 형성된 그라운드 전극층과, 핫 전극이 형성된 핫 전극층을 적어도 1층씩 포함하는 제 2 적층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적층부에서, 제 1 적층부에 가장 가까운 그라운드 전극층과 제 1 적층부의 사이에는 핫 전극층이 개재하고 있고, 또, 제 1 적층부에 가장 가까운 그라운드 전극층의 그라운드 전극 중, 핫 전극으로부터 제 1 적층부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있지 않는 비노출 부분의 폭보다도 좁은 협소부로 되어 있다.
Figure P1020080003463
복합 전자 부품, 부유 용량, 핫 전극층, 그라운드 전극, 적층부

Description

복합 전자 부품{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적층형의 복합 전자 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기술의 분야에서의 복합 전자 부품은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6426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복합 전자 부품은 인덕터부와 콘덴서부가 적층된 것이며, 콘덴서부는 2층의 그라운드 전극층과 그 사이에 끼워진 1층의 핫 전극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의 복합 전자 부품에는 이하에 제시하는 것과 같은 부유 용량의 문제가 있었다. 콘덴서부의 그라운드 전극층이 핫 전극층보다도 인덕터부측에 있기 때문에, 이 그라운드 전극층과 인덕터부의 사이에 비교적 큰 부유 용량이 생기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발명자들은 핫 전극층을, 그라운드 전극층보다도 인덕터부측에 배치해 보았다. 그렇지만, 그렇게 하여도 그라운드 전극과 인덕터부(제 1 적층부) 사이의 부유 용량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부유 용량을 보다 저감할 수 있는 복합 전자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자 부품은 전극층을 포함하는 제 1 적층부와, 제 1 적층부에 겹치고, 그라운드 전극이 형성된 그라운드 전극층과, 핫 전극이 형성된 핫 전극층을 적어도 1층씩 포함하는 제 2 적층부를 구비하고, 제 2 적층부에서, 제 1 적층부에 가장 가까운 그라운드 전극층과 제 1 적층부의 사이에는 핫 전극층이 개재하고 있고, 또, 제 1 적층부에 가장 가까운 그라운드 전극층의 그라운드 전극 중, 핫 전극으로부터 제 1 적층부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있지 않는 비노출 부분의 폭보다도 좁은 협소부로 되어 있다.
이 복합 전자 부품에 있어서는 그라운드 전극층과 제 1 적층부의 사이에는 핫 전극층이 개재하고 있다. 그 때문에, 그라운드 전극층의 그라운드 전극과 제 1 적층부의 전극층의 사이에 생기는 부유 용량이, 핫 전극층의 핫 전극에 의해서 저감되어 있다. 더욱이, 그라운드 전극의 노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협소부로 되어 있고, 노출 부분의 면적 축소화가 도모되기 때문에, 상기 부유 용량이 효과적으로 저감되어 있다.
제 1 적층부는 인덕터가 형성된 인덕터부인 형태이어도 좋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자 부품은 L형 전자부품이 된다.
핫 전극층에는 복수의 핫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그라운드 전극의 협소부는 이웃하는 2 개의 핫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좋다.
그라운드 전극은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고, 그라운드 전극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 상에 협소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좋다.
그라운드 전극의 협소부의 폭이, 그라운드 전극의 양 단부의 폭 이하인 형태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유 용량을 보다 저감할 수 있는 복합 전자 부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로서 주어지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된 것이 아닌 이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들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적용 범위는 이후에 주어진 자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시들은 단지 예시로서 주어졌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들 및 변형들이 이러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유 용량을 보다 저감할 수 있는 복합 전자 부품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양호하다고 생각되는 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자 부품으로서, 적층형 필터(길이 2.0mm×폭 1.0mm×두께 0.7mm)를 예로 이하의 설명을 진행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전자 부품(1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복합 전자 부품(10)은 인덕터와 배리스터로 각각 구성된 4 개의 L형 필터 소자가 병렬로 형성된 적층형 필터 어레이 부품이다. 복합 전자 부품(10)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소체(12), 4쌍의 단자 전극{(14a, 16a)과, (14b, 16b)과, (14c, 16c)과, (14d, 16d)}, 및, 1쌍의 그라운드 단자 전극(18a, 18b)을 구비하고 있다.
단자 전극(14a, 14b, 14c, 14d)은 소체(12)의 측면인 제 1 면(12a)에 순차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소체(12)의 적층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단자 전극(16a, 16b, 16c, 16d)은 소체(12)에 대하여 제 1 면(12a)과 반대측의 측면인 제 2 면(12b)에 순차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소체(12)의 적층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하고 있다. 단자 전극(14a, 14b, 14c, 14d)과 단자 전극(16a, 16b, 16c, 16d)은 각각 한 쌍의 단자 전극을 이루고 있고, 서로 대향하도록 소체(12)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단자 전극(18a)은 소체(12)에 대하여 제 1 면(12a) 및 제 2 면(12b)과 직교하는 측면인 제 3 면(12c)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소체(12)의 적층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그라운드 단자 전극(18b)은 소체(12)에 대하여 제 3 면(12c)과 반대측의 측면인 제 4 면(12d)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소체(12)의 적층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하고 있다. 그라운드 단자 전극(18a)과 그라운드 단자 전극(18b)은 각각 한 쌍의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이루고 있고, 서로 대향하도록 소체(12)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소체(12)에는 복수의 기능층이 적층되어 있고, 소체(12)는 이들 복수의 기능층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제 1 적층부(인덕터부; A)와 제 2 적층부(배리스터부; B)를 갖고 있다. 소체(12)에 있어서의 제 1 적층부(A)와 제 2 적층부(B)는 각각 다른 기능을 갖는 기능층이 적층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소체(12)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소체를 층마다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소체(12)의 제 1 적층부(A)에는 복수의 기능층(20, 21, 22, 23, 24, 25, 22, 23, 26)이 순차로 적층되어 있다. 각 기능층(20 내지 26)은 그 두께는 약 20 ㎛이고, 전기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기능층(20 내지 26)의 재료로는 ZnO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기능층을 구성하는 세라믹 재료는 ZnO 외에, 첨가물로서 Pr, K, Na, Cs, Rb 등의 금속 원소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각 기능층(20 내지 26)의 구성 재료로서,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소체(12)의 제 2 적층부(B)에는 복수의 기능층(27, 28, 29, 30, 31)이 순차로 적층되어 있다. 각 기능층(27 내지 31)은 그 두께는 약 60 ㎛이고, 유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층(27 내지 31)은 전류전압 비직선 특성(nonlinear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을 발현하는 유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기능층(20 내지 26)의 재료에는 ZnO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이 세라믹 재료 중에는 첨가물로서, Pr 및 Bi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원소, Co 및 Al이 더 포함되어 있다.
기능층(27 내지 31)은 Pr에 더하여 Co를 포함하기 때문에, 우수한 전류전압 비직선 특성, 높은 유전율(ε)을 갖는다. Al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저저항이 된다. 기능층(27 내지 31)은 더욱 특성의 향상을 목적으로서, 첨가물로서 상술한 것 이외의 금속 원소 등(예를 들면, Cr, Ca, Si, K 등)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실제의 소체(12)에서는 기능층(20 내지 26)과 기능층(27 내지 31)은 서로간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다음에, 소체(12)의 제 1 적층부(A)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복수의 기능층(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극층; 21, 22, 23, 24, 25, 22, 23, 26)의 한쪽의 주면 상에는 각각, 팔라듐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체 패턴(41, 42, 43, 44, 45, 42, 43, 46)이 4 개씩 형성되어 있다. 4 개의 도체 패턴(41)은 각각, 기능층(20 내지 26)의 적층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한 쌍의 그라운드 단자 전극(18a 내지 18b)의 대향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체 패턴(42 내지 46)도, 각각 4 개씩, 한 쌍의 그라운드 단자 전극(18a 내지 18b)의 대향 방향에 병치되어 있다.
도체 패턴(41, 46)은 단자 전극 인출을 위해 형성되어 있고, 도체 패턴(42 내지 45)은 인덕턴스를 크게 하기 위해서 코일 형상을 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체 패턴(42 내지 45)은 대략 직사각형의 변을 따라 형성된 コ자 모양을 하고 있다.
4 개의 도체 패턴(41)의 일단(41a)은 각각, 도 1에 도시하는 제 1 면(12a)의 일부를 형성하는 기능층(21)의 한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하는 단자 전극(14a, 14b, 14c, 14d)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4 개의 도체 패턴(41)의 타단(41b)은 스루홀 도체를 통하여 4 개의 도체 패턴(42)의 일단(42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4 개의 도체 패턴(42)의 타단(42b)은 스루홀 도체를 통하여 4 개의 도체 패턴(43)의 일단(43a)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4 개의 도체 패턴(43)의 타단(43b)은 스루홀 도체를 통하여 4 개의 도체 패턴(44)의 일단(44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4 개의 도체 패턴(44)의 타단(44b)은 스루홀 도체를 통하여 4 개의 도체 패턴(45)의 일단(45a)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4 개의 도체 패턴(45)의 타단(45b)은 스루홀 도체를 통하여 4 개의 도체 패턴(42)의 일단(42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4 개의 도체 패턴(42)의 타단(42b)은 스루홀 도체를 통하여 4 개의 도체 패 턴(43)의 일단(43a)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4 개의 도체 패턴(43)의 타단(43b)은 스루홀 도체를 통하여 4 개의 도체 패턴(46)의 일단(46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4 개의 도체 패턴(46)의 타단(46b)은 각각, 도 1에 도시하는 제 2 면(12b)의 일부를 형성하는 기능층(26)의 1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하는 단자 전극(16a, 16b, 16c, 16d)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체(12)의 적층 방향에 이웃하는 도체 패턴(42 내지 46)끼리가 각각 직렬로 접속되어, 4 개의 인덕터 도체(48a, 48b, 48c, 48d)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소체(12)의 제 2 적층부(B)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적층부(B)는 5층의 기능층(27 내지 31)으로 구성되어 있다. 5층의 기능층(27 내지 31)중,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기능층(29)에는 그 주면에 그라운드 전극(51)이 패턴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기능층(29)과 상하에서 이웃하는 2층의 기능층(28, 30) 각각에는 그 주면에 2 개의 핫 전극(52A, 52B, 53A, 53B)이 패턴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전극(51)과 핫 전극(52A, 52B, 53A, 53B)은 소성 후에 있어서 약 50 ㎛만큼 이격하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그라운드 전극(51)이 형성된 기능층(29)을 그라운드 전극층이라고 부른다. 핫 전극(52A, 52B, 53A, 53B)이 형성된 기능층(28, 30)중, 그라운드 전극층(29)으로부터 제 1 적층부(A)측의 기능층(28)을 제 1 핫 전극층(28)이라고 칭하고, 다른 한쪽의 기능층(30)을 제 2 핫 전극층이라고 부른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그라운드 전극(51) 및 핫 전극(52A, 52B, 53A, 53B)의 형상과 이들 위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3은 적층된 기능층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제 1 핫 전극층(28)과 그라운드 전극층(29)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그라운드 전극층(29)과 제 2 핫 전극층(30)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핫 전극층(28)의 2 개의 핫 전극(52A, 52B)은 동일 형상을 갖고 있고, 모두 용량 전극부(52a)와 인출 전극부(52b)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핫 전극층(28)에 형성된 2 개의 핫 전극(52A, 52B)의 각 용량 전극부(52a)는 동일 형상을 갖고, 제 1 핫 전극층(28)의 장변 방향(도 3의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네 모서리가 곡선적으로 모떼기되어 있다. 이들 2 개의 용량 전극부(52a)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핫 전극층(28)의 중심선(C1)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또한, 각각이 이 중심선(C1)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2 개의 용량 전극부(52a)는 제 1 핫 전극층(28)의 단변 방향(도 3의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핫 전극층(28)의 중심선(C2)에 대해서도 대칭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즉, 제 1 핫 전극층(28)의 2 개의 용량 전극부(52a)는 중심선(C1)에 대해서 대칭 형상이 되어 있고, 또한, 중심선(C2)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핫 전극(52A, 52B)의 각 인출 전극부(52b)는 대응하는 용량 전극부(52a)로부터 소체(12)의 제 2 면(12b)에 대응하는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등폭 라인형의 부분이고, 일단 경사 방향으로 끌려나온 후, Y 방향을 따라서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제 2 면(12b)에 형성된 단자 전극(16b, 16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 전극층(29)의 그라운드 전극(51)은 X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2 개의 본체부(51a, 51b)와, 본체부(51a, 51b)에서 양 가장자리까지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51c, 51d)와, 본체부(51a, 51b)의 사이에서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접속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51a, 51b)는 각각, 상술한 핫 전극(52A, 52B)의 용량 전극부(52a)에 대응하는 영역에, 용량 전극부(52a)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51a, 51b)는 그라운드 전극층(29)의 장변 방향(도 3의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이 되고 있고,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1)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본체부(51a, 51b)는 중심선(C1)에 대해서 대칭 형상이 되어 있고, 또한, 중심선(C2)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핫 전극(52A, 52B)의 용량 전극부(52a)와, 그라운드 전극(51)의 본체부(51a, 51b)가, 중첩하고 있다. 본체부(51a, 51b)의 Y 방향에 관한 폭은 모두 D1로 되어 있다.
단부(51c, 51d)는 본체부(51a, 51b)를 끼우도록 중심선(C1)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본체부(51a, 51b)로부터 그라운드 전극층(29)의 양 가장자리까지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의 부분이다. 단부(51c, 51d)는 본체부(51a, 51b)에서 소체(12)의 제 3 면(12c) 및 제 4 면(12d)까지 전극을 끌어내는 인출 전극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단부(51c)는 제 3 면(12c)에 형성된 그라운드 단자 전극(18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단부(51d)는 제 4 면(12d)에 형성된 그라운드 단자 전극(18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양 단부(51c, 51d)의 Y 방향에 관한 폭은 모두 D1보다 좁은 D2로 되어 있다.
접속부(51e)는 중심선(C1)상에 있어서 한 쌍의 본체부(51a, 51b)의 사이에 개재하여, 본체부(51a)와 본체부(51b)의 사이를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의 부분이다. 즉, 접속부(51e)는 양 본체부(51a, 51b)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 접속부(51e)의 Y 방향에 관한 폭은 상술한 단부(51c, 51d)와 같은 D2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그라운드 전극층(29)의 그라운드 전극(51)은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상(직사각형상)을 갖고 있고, 그 양 단부(51c, 51d)를 연결하는 중심선(가상선) C1상에 접속부(51e)가 형성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핫 전극층(30)의 2 개의 핫 전극(53A, 53B)은 제 1 핫 전극층(28)과 마찬가지로 동일 형상을 갖고 있고, 모두 용량 전극부(53a)와 인출 전극부(53b)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핫 전극층(30)에 형성된 2 개의 핫 전극(53A, 53B)의 각 용량 전극부(53a)는 제 1 핫 전극층(28)의 핫 전극(52A, 52B)의 용량 전극부(52a)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핫 전극(53A, 53B)은 각각, 제 2 핫 전극층(30)의 장변 방향(도 3의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이 되어 있고, 그 네 모서리를 곡선적으로 모떼기할 수 있다. 이들 2 개의 용량 전극부(53a)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핫 전극층(30)의 중심선(C1)을 따라서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또한, 각각이 이 중심선(C1)에 대해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2 개의 용량 전극부(53a)는 제 2 핫 전극층(30)의 단변 방향(도 3의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핫 전극층(30)의 중심선(C2)에 대해서도 대칭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즉, 제 2 핫 전극층(30)의 2 개의 용량 전극부(53a)는 중심선(C1)에 대해서 대칭 형상이 되어 있고, 또, 중심선(C2)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핫 전극(53A, 53B)의 각 인출 전극부(53B)는 대응하는 용량 전극부(53a)로부터 소체(12)의 제 2 면(12b)에 대응하는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등폭 라인형의 부분이고, 일단 경사 방향으로 끌려나온 후, Y 방향을 따라서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제 2 면(12b)에 형성된 단자 전극(16a, 16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발명자들이 본 발명에 상도하기 전의 시작 단계에서의 복합 전자 부품의 제 2 적층부의 핫 전극과 그라운드 전극의 위치 관계에 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시작 단계에서의 복합 전자 부품의 제 2 적층부(B)의 일부분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부호 54는 그라운드 전극층(29)에 형성된 시작 단계에서의 그라운드 전극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작 단계에서의 그라운드 전극(54)은 X 방향으로 균일한 폭 D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을 갖고 있다. 요컨대, 그라운드 전극(54)은 제 1 핫 전극층(28)의 핫 전극(52A, 52B)에 대응하는 영역(54a, 54b)의 폭, 핫 전극(52A, 52B)보다 외측의 영역(54c, 54d)의 폭, 및, 핫 전극(52A, 52B) 사이의 영역(54e)의 폭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발명자들은 이러한 그라운드 전극(54)에서는 제 1 적층부(A)의 전극층(21, 22, 23, 24, 25, 22, 23, 26)과의 사이에, 비교적 큰 부유 용량이 생겨 버리는 문제에 관해서, 깊이 연구를 거듭한 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것과 같은 그라운드 전극(51)에 상도하였다. 즉, 발명자들은 시작 단계의 그라운드 전극(54)에서는 그라 운드 전극(54)중, 핫 전극(52A, 52B)으로부터 제 1 적층부(A)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 부분(즉, 영역(54c), 영역(54d) 및 영역(54e))의 면적이 크기 때문에, 이 노출 부분(54c, 54d, 54e)과 제 1 적층부(A)의 사이에 큰 부유 용량이 발생하고 있다는 지견을 얻고, 이 노출 부분(54c, 54d, 54e)의 폭을, 노출되어 있지 않는 비노출 부분(즉, 영역(54a) 및 영역(54b))의 폭보다도 좁게 한 그라운드 전극(51)을 발견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상술한 그라운드 전극(51)은 핫 전극(52A, 52B)으로부터 제 1 적층부(A)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 부분(양 단부(51c, 51d) 및 접속부(51e))가, 노출되어 있지 않는 비노출 부분(본체부(51a, 51b))의 폭보다도 좁은 협소부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노출 부분의 협소부에 대응하는 양 단부(51c, 51d) 및 접속부(51e)의 폭(D2)이, 상기 비노출 부분에 대응하는 본체부(51a, 51b)의 폭(D1)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그리고, 그라운드 전극(51)에, 이러한 협소부(51c, 51d, 51e)를 형성함으로써, 핫 전극(52A, 52B)으로부터 제 1 적층부(A)측으로 노출한다(즉, 제 1 적층부(A)의 인덕터 도체(48a, 48b, 48c, 48d)와 직접 대면한다) 그라운드 전극(51)의 면적이 유의하게 축소되고, 그 결과, 상기 부유 용량이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더욱이, 상기 부유 용량의 저감에 의해, 복합 전자 부품(10)의 4 개의 필터 소자의 배리스터 부분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의 불균일이 억제되는 것이, 이하에 제시하는 발명자들에 의한 실험의 결과로부터 분명해졌다.
실험으로서는 도 3에 도시한 배치 관계를 갖는 제 2 적층부를 구비하는 복합 전자 부품과 동등한 전자부품(#1)과, 도 4에 도시한 배치 관계를 갖는 제 2 적층부를 구비하는 복합 전자 부품과 동등한 전자부품(#2)을 사용하고, 이들의 전자부품(#1, #2; 길이 2.0mm×폭 1.0mm×두께 0.7mm(제 2 적층부 두께 0.5mm))의 핫 전극과 그라운드 전극의 사이의 정전 용량을 각각 CH1 내지 4로서 측정하였다. 또, 전자부품 #1, #2의 배리스터부를 구성하는 유전성 재료에는 ZnO, Pr6O11, CoO, Cr2O3, CaCO3, SiO2, K2CO3 및 Al2O3를 포함하는 재료(유전율 456)를 채용하였다. 또한, 각 전자부품의 핫 전극의 용량 전극부의 치수는 0.6mm(전자부품의 장변 방향에서의 길이)×0.35mm(전자부품의 단변 방향에서의 길이)로 하였다.
그 측정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제시하는 것과 같았다. 표 1의 전자부품(#1)의 CH1, CH2, CH3, CH4는 각각, 도 3에 도시하는 핫 전극(52A, 52B, 53A, 53B)에서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고 있다. 표 1의 전자부품(#2)의 CH1, CH2, CH3, CH4는 각각, 도 4에 도시하는 핫 전극(52A, 52B, 53A, 53B)에서의 정전 용량에 대응하고 있다.
전자부품(#1) 정전 용량(pF) 전자부품(#2) 정전 용량(pF)
CH1 22.3 CH1 22.3
CH2 22.9 CH2 28.2
CH3 23.2 CH3 27.8
CH4 22.5 CH4 22.5
이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전자부품(#1)에 있어서는 CH1 내지 CH4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이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전자부품(#2)에 있어서는 CH1 내지 CH4 중, CH2, CH3의 정전 용량이 다른 2 개의 CH에 비하여 커지고 있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부품(#1)에서는 그라운드 전극의 노출 부분의 면적의 축소화가 도모되고 있기 때문에 정전 용량의 균일화가 도모되고 있고, 한편, 전자부품(#2)에서는 그라운드 전극의 노출 부분의 면적의 축소화가 도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전 용량의 불균일이 생기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복합 전자 부품(10)에 있어서는 제 2 적층부(B)의 그라운드 전극(51)에, 상기 협소부(51c, 51d, 51e)를 형성함으로써, 핫 전극(52A, 52B)으로부터 제 1 적층부(A)측으로 노출하는 그라운드 전극(51)의 면적이 유의하게 축소되고, 상기 부유 용량이 효과적으로 저감되어 있다.
상기 부유 용량은 제 1 적층부(A)에 가장 가까운 그라운드 전극층에 의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제 2 적층부(B)가 복수의 그라운드 전극층(29)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제 1 적층부(A)에 가장 가까운 그라운드 전극층의 그라운드 전극에 상기 협소부(51c, 51d, 51e)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협소부(51c, 51d, 51e)의 폭은 본체부(51a, 51b)보다 좁은 폭의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증감할 수 있다. 협소부(51c, 51d, 51e) 중의 접속부(51e)의 폭을, 양 단부(51c, 51d)의 폭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노출 부분의 면적을 축소할 수 있고, 한층 더 부유 용량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 전극의 접속부가, 반드시, 양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 상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전극의 접속부의 위치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그라운드 전극(51A)에서는 본체부(51a)와 본체부(51b)를 접속하는 접속부(51f)는 본체부(51a, 51b)의 한쪽의 가장자리를 따르고 있다. 요컨대, 접속부(51f)는 그 Y 방향에 관한 위치가, 상술한 그라운드 전극(51)의 접속부(51e)와 비교하면, 도 5의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경되어 있다. 이러한 그라운드 전극(51A)을 갖는 그라운드 전극층(29)을 구비한 복합 전자 부품이어도, 복합 전자 부품(10)과 같이 상술한 이유에 의해 부유 용량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소부로서 블랭크부(51g)를 구비하는 그라운드 전극(51B)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그라운드 전극(51B)에서는 상술한 그라운드 전극(51)의 본체부(51a, 51b) 및 단부(51c, 51d)만이 패터닝되어 있고, 본체부(51a)와 본체부(51b)의 사이에는 패터닝되어 있지 않을 블랭크부(51g)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그라운드 전극(51B)을 갖는 그라운드 전극층(29)을 구비한 복합 전자 부품이더라도, 복합 전자 부품(10)과 같이 상술한 이유에 의해 부유 용량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그라운드 전극(51B)에서는 그라운드 전극(51)의 접속부(51e)에 상당하는 부분에 노출 부분이 없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유 용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합 전자 부품으로서, L형 적층형 필터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적절하게 π형 적층형 필터로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의 복합 전자 부품을, 배리스터 기능을 갖는 필터로서 설명하였지만, 콘덴서 기능을 갖는 필터(LC 필터)로서의 이용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많은 방법들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모든 이러한 변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전자 부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복합 전자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적층된 기능층의 평면도.
도 4는 시작 단계에서의 복합 전자 부품의 배리스터부의 일부분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상술한 실시형태와는 다른 형태의 그라운드 전극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상술한 실시형태와는 다른 형태의 그라운드 전극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복합 전자 부품 12 : 소체
12a : 제 1 면 12b : 제 2 면
14a, 14b, 14c, 14d, 16a, 16b, 16c, 16d : 단자 전극
18a, 18b : 그라운드 단자 전극
21, 22, 23, 24, 25, 26 : 전극층
28 : 제 1 핫 전극층 29 : 그라운드 전극층
41, 42, 43, 44, 45, 46 : 도체 패턴 52A, 52B : 핫 전극

Claims (5)

  1. 복합 전자 부품에 있어서,
    전극층을 포함하는 제 1 적층부, 및
    상기 제 1 적층부에 겹치고, 그라운드 전극이 형성된 그라운드 전극층과 핫 전극이 형성된 핫 전극층을 적어도 1층씩 포함하는 제 2 적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적층부에서, 상기 제 1 적층부에 가장 가까운 상기 그라운드 전극층과 상기 제 1 적층부의 사이에는 상기 핫 전극층이 개재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제 1 적층부에 가장 가까운 상기 그라운드 전극층의 상기 그라운드 전극 중, 상기 핫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적층부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있지 않는 비노출 부분의 폭보다도 좁은 협소부로 되어 있는, 복합 전자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층부는 인덕터가 형성된 인덕터부인, 복합 전자 부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핫 전극층에는 복수의 상기 핫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전극의 상기 협소부는 이웃하는 2 개의 상기 핫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복합 전자 부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전극은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그라운드 전극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 상에 상기 협소부가 형성되어 있는, 복합 전자 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전극의 상기 협소부의 폭이, 상기 그라운드 전극의 양 단부의 폭 이하인, 복합 전자 부품.
KR1020080003463A 2007-01-12 2008-01-11 복합 전자 부품 KR100961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04903 2007-01-12
JP2007004903A JP4506759B2 (ja) 2007-01-12 2007-01-12 複合電子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609A true KR20080066609A (ko) 2008-07-16
KR100961405B1 KR100961405B1 (ko) 2010-06-09

Family

ID=3961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463A KR100961405B1 (ko) 2007-01-12 2008-01-11 복합 전자 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29077B2 (ko)
JP (1) JP4506759B2 (ko)
KR (1) KR100961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0247B2 (ja) * 2008-06-11 2014-10-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32343B1 (ko) * 2009-05-12 2011-05-09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고전압 mlcc 및 이를 이용한 dc-링크 커패시터 모듈
US10510343B2 (en) * 2014-06-11 2019-12-17 Ademco Inc. Speech recognitio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0148A (ja) * 1989-07-28 1991-03-15 Murata Mfg Co Ltd 積層型lcr素子
JPH07220906A (ja) 1994-02-02 1995-08-18 Murata Mfg Co Ltd 複合機能素子
JPH0917643A (ja) * 1995-06-27 1997-01-17 Murata Mfg Co Ltd チップ積層セラミックフィルタおよび複合部品
JP2991175B2 (ja) * 1997-11-10 1999-12-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JPH11251152A (ja) * 1998-03-03 1999-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17311A (ja) * 1998-03-03 1999-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89728B2 (ja) * 1999-10-18 2004-0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配線基板および高周波回路
JP2003051729A (ja) * 2001-08-06 2003-02-21 Tdk Corp 積層型フィルタアレイ
TWI270195B (en) 2003-07-30 2007-01-01 Innochips Technology Complex laminated chip element
JP4442154B2 (ja) * 2003-08-13 2010-03-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アレイ部品
JP2006013154A (ja) * 2004-06-25 2006-01-12 Tdk Corp 積層型電子部品
JP2006041820A (ja) * 2004-07-26 2006-02-09 Tdk Corp 積層型フィルタアレイ
JP2006041081A (ja) 2004-07-26 2006-02-09 Mitsubishi Materials Corp 複合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31943A (ko) 2004-10-11 2006-04-14 삼성전기주식회사 바리스터-lc필터 겸용 복합소자
JP2006140173A (ja) 2004-11-10 2006-06-01 Maruwa Co Ltd 複合電子部品
JP2006311506A (ja) * 2005-03-29 2006-11-09 Kyocera Corp Lcフィルタおよび多連型lcフィルタ
JP4246716B2 (ja) 2005-05-02 2009-04-02 Tdk株式会社 積層型フィルタ
JP4276649B2 (ja) * 2005-09-27 2009-06-10 Tdk株式会社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及び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の実装構造
JP4150394B2 (ja) * 2005-09-29 2008-09-17 Tdk株式会社 積層型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4238251B2 (ja) 2006-01-20 2009-03-18 Tdk株式会社 積層型フィルタ
JP2007195060A (ja) 2006-01-20 2007-08-02 Tdk Corp 積層型フィルタ
JP4266380B2 (ja) 2006-02-21 2009-05-20 Tdk株式会社 積層型フィルタ
JP4415986B2 (ja) * 2006-12-07 2010-02-17 Tdk株式会社 積層型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06759B2 (ja) 2010-07-21
US7529077B2 (en) 2009-05-05
JP2008172096A (ja) 2008-07-24
KR100961405B1 (ko) 2010-06-09
US20080170351A1 (en)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556B1 (ko) 적층형 콘덴서
KR101401636B1 (ko) 적층 콘덴서
US7974072B2 (en) Multilayer capacitor array
JP4225507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4374041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4650530B2 (ja) Lc複合部品
JP2004516676A (ja) 電気的な多層半導体および該素子を備えている障害防止回路
KR101382154B1 (ko) 적층형 전자 부품
KR20080027736A (ko) 적층 콘덴서
JPH01295407A (ja) インダクター及びインダクターを含む複合部品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961405B1 (ko) 복합 전자 부품
KR20010021239A (ko) Lc 노이즈 필터
JP2006190774A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00332559A (ja) バンドパスフィルタ
KR101598644B1 (ko) 다층 컴포넌트
JP4287807B2 (ja) 積層型コンデンサ
KR101396649B1 (ko) 칩 인덕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2670490B2 (ja) インダクター及びインダクターを含む複合部品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6500989B2 (ja) 回路基板、これを用いたフィルタ回路およびキャパシタンス素子
KR20050014094A (ko) 다양한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적층 칩 소자
JP4525223B2 (ja) Lc複合フィルタ部品
JP2003168945A (ja) Lcノイズ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06841B1 (ko) 저 esl를 가지면서 esr이 제어된 3단자형 커패시터
JP2001110638A (ja) 積層電子部品
CA2350191A1 (en) Bus bar with frequency-filtering geome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