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357A -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 Google Patents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357A
KR20080057357A KR1020087014107A KR20087014107A KR20080057357A KR 20080057357 A KR20080057357 A KR 20080057357A KR 1020087014107 A KR1020087014107 A KR 1020087014107A KR 20087014107 A KR20087014107 A KR 20087014107A KR 20080057357 A KR20080057357 A KR 20080057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blow molding
trunk
molding container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9447B1 (ko
Inventor
노부오 야마나카
다카오 기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802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073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79688A external-priority patent/JP410737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8005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 B65D35/08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from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0Flexible squeeze tubes, e.g. for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7/00Standing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안정하게 거꾸로 세운 자립기능을 발휘하고, 외관형상에 변화를 주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큰 표시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양호한 수납효율을 얻으며, 또한 바닥시일부의 양쪽으로 돌출하는 정도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안정하게 거꾸로 세운 진열을 가능하게 하고, 볼품 있는 외관을 얻고, 효과적인 표시를 얻고, 다수를 효율적으로 격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사용감이 좋은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를 얻는다. 두께가 얇은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로서, 대략 타원통형상의 몸통부(1)의 상단에, 적어도 몸통부(1)의 상단부를 형성하여 둘레에 형성한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를 통해, 상단에 입구통부(8)를 형성한 절두원추통형상의 어깨부 (6)를, 탄성반전 함몰변위 가능하게, 위쪽으로 돌출한 형태로 연이어 형성하고, 몸통부(1)의 하단을 짧은 지름방향으로 편평하게 찌그러뜨려서 바닥시일부(3)로 용착성형하여 이루어지고, 안정하고 확실하게 거꾸로 세운 자립기능과, 변화에 풍부한 외관과, 넓은 표시면과, 효율 좋은 격납과, 양호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POUCH-LIKE BLOW MOLDED CONTAINER}
본 발명은 블로우성형용기에 의해 두께가 얇고 또한 비교적 대형으로 성형된 합성수지제의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상내용물의 교체용 합성수지제 용기로서는, 합성수지제 필름을 접어 용착 조립한 파우치용기나,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73927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어깨부를 몸통부내로 반전하여 함몰변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거꾸로 세운 진열을 가능하게 한 튜브용기가 알려지고 있다.
필름으로 형성된 교체용 용기로서의 파우치용기는, 제조비용이 염가인 동시에, 폐기처분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 자기형상유지능력이 낮고, 이 때문에 골판지내에 수납하거나, 가게 앞의 진열, 나아가서는 교체시의 취급이 불안정하게 되기 쉽고, 또한 여러 부분에 형성되는 용착시일부가, 용기의 돌출부분이 되기 때문에, 이 돌출부분인 용착시일부가 필름에 의해 형성된 파우치용기에 대한 촉감을 매우 열악하게 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73927호에 나타난 종래기술은, 전체를 튜브용기로서 구성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자기형상 유지능력을 확보하고, 또한 어깨부를 몸 통부내에 반전 함몰변위 가능하게 하여, 거꾸로 세운 자세의 자기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그 취급상태를 필름에 의해 형성된 파우치용기에 비교해서 훨씬 양호한 것으로 하며, 또한 용착시일부가 바닥시일부만이므로 용착시일부가 튜브용기 취급시의 촉감을 나쁘게 하는 것이 거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73927호에 나타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몸통부가 원통형이기 때문에, 그 외관형상에 변화를 갖게 하기 어렵고, 이 때문에 용기 전체의 외관형상이 단순하고 볼품 없는 것으로 된다고 하는 불만이 있었다.
또한, 몸통부가 원통형이기 때문에, 그 바깥표면은 어떤 방향에서 보더라도 대략 같은 크기가 되고, 이 때문에 상품명이나 장식모양을 크고 효과적으로 표시하는 데 대폭적인 제한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몸통부가 원통형이기 때문에, 골판지 등의 수납용기내에, 병렬로 정렬시켜 수납한 경우에, 인접한 튜브용기 사이의 필요 없는 공간이 크고, 이 때문에 수납효율이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몸통부가 원통형이기 때문에, 바닥시일부의 폭은 몸통부의 1.6배가 되어, 일반의 튜브용기와 같은 정도로 바닥시일부의 옆끝단이 옆쪽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반드시 촉감의 장점이 충분히 발휘된다고 단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외관형상에 변화를 주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큰 표시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양호한 수납효율을 얻고, 또한 바닥시일부의 옆쪽으로의 돌출 정도를 작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여, 볼품 있는 외관을 얻을 수 있고, 효과적인 표시를 얻을 수 있으며, 여러개를 효율적으로 격납할 수 있고, 그리고 사용감이 좋은 블로우성형에 의해 성형된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블로우성형에 의해 얇은 두께로 성형된 합성수지제의 1차성형품으로부터 성형되는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인 것,
대략 타원통형상을 한 몸통부의 상단에, 적어도 몸통부의 상단가장자리를 형성하여 둘레에 형성된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를 통해, 대략 원추절두통형상을 한 어깨부를, 몸통부내에 탄성반전 함몰변위 가능하게, 위쪽으로 돌출한 형태로 연이어 형성하는 것,
이 어깨부의 상단에 입구통부를 세워 형성하는 것,
또한 몸통부의 하단을, 이 몸통부의 짧은 지름에 따르는 방향인 전후방향으로부터, 편평하게 찌그러뜨려 바닥시일부로 용착 성형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대략 타원" 이란, 타원, 긴 원, 나아가서는 럭비볼 형상의 원형을 포함하는 적당히 편평하게 된 원형의 전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는, 어깨부를 위쪽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블로우성형하여, 이 블로우성형품의 하단부를 절단 제거하여 1차성형품을 성형하고, 이 1차성형품에 내용물을 충전한 상태에서, 바닥시일부를 성형함으로써 완성한다.
1차성형품에 내용물을 충전하여, 바닥시일부를 성형할 때는, 어깨부를 몸통부내에 반전 함몰변위시킨 상태로 해 둔다.
이것은, 어깨부를 위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인 채로, 내용물을 충전하여 바닥시일부를 성형하여 버리면, 진열 등을 위해,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하기 위해, 어깨부를 몸통부내로 반전 함몰변위시킬 때에, 상승하는 내부압력 때문에, 어깨부를 반전 함몰변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 어깨부의 반전 함몰변위량은,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보다도 상부에 위치한 부분의 전부를,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보다도 하부에 위치시키는 치수로 미리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부를 반전 함몰변위시킨 상태에서,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를 거꾸로 세우면,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가 확실히 안정한 다리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된다.
바닥시일부는,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가 블로우성형품이고, 또한 몸통부가 대략 타원 통형상인 동시에, 이 몸통부의 하단을 몸통부의 짧은 지름에 따르는 방향인 전후방향으로부터 편평하게 찌그러뜨려 용착시일하기 때문에, 이 바닥시 일부 옆끝단의, 편평하게 찌그러 뜨리는 것에 의한 옆쪽으로의 돌출정도가, 몸통부의 가로폭, 즉 몸통부의 긴 지름을 따르는 폭에 비해 작게 되고, 몸통부의 하단부의 긴 지름을, 아래끝단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지게 함으로써, 바닥시일부의 측단을 옆쪽으로 돌출시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는, 몸통부가 대략 타원통형상의 블로우성형품이기 때문에, 용기로서의 기능에 악영향이 생기지 않고, 몸통부의 긴 지름을 따르는 가로폭을 부분적으로 변화시켜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몸통부가 대략 타원통형상이기 때문에, 몸통부의 전후 바깥표면은, 그 면적이 큰 것이 되고, 따라서 몸통부의 전후 바깥표면을 표시면으로 이용함으로써 큰 표시면적을 얻을 수 있다.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는, 그 몸통부가 대략 타원통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용기를 골판지 상자 등에 병렬로 정렬 수납할 때에, 전후방향에 인접하여 정렬된 용기열끼리를, 한쪽의 용기열의 용기 사이에 형성되는 빈틈에, 다른 쪽의 용기열의 용기의 측부분을 끼운 상태로 함으로써 인접한 용기 사이의 필요 없는 공간이 대폭 적어진다.
본 발명은,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를 벽을 반전시켜서 접은 구조로 한 것을 부가한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어깨부를 몸통부내에 반전 함몰변위시킬 때에 있어서, 몸통부의 상단에는 자기형상을 안정하게 유지하는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어깨부는 이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를 지지점으로서 반전 함몰변 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깨부의 반전 함몰변위동작은, 안정하게 확실히 행하여지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어깨부를 절두원추통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어깨부와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를, 평판형상의 정상벽부로 연이어 형성한 것을 부가한 것이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어깨부를 몸통부내로 반전 함몰변위시킬 때에, 탄성변형하는 정상벽부와 어깨부를 연이어 형성한 부분이 원형이기 때문에, 탄성변형에 따라 발생한 내부응력이, 연이어 형성한 부분의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되고, 이에 따라 어깨부는 변형하는 일 없이, 안정하고 확실하게 반전 함몰변위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어깨부의 하단의 지름을, 몸통부의 짧은 지름보다도 조금 작은 치수로 설정한 것을 부가한 것이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어깨부 하단의 지름을 가능한 한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깨부의 탄성반전 변위에 따르는 입구통부의 승강변위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어깨부의 반전 함몰변위상태에서는,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에 안정한 다리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고, 반대로 어깨부의 돌출상태에서는, 몸통부에 대하여 입구통부를 충분히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액을 다른 용기로 교체하는 동작을 하기 쉽게 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몸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이 몸통부의 짧은 지름의 2분의 1 거리만큼 아래 위치인 부분에, 안쪽으로 함몰만곡 성형된 가로홈을 둘레에 형성한 것을 부가한 것이다.
이 청구항 4 또는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몸통부를 전후방향으로부터 편평하게 찌그러뜨린 상태에서, 가로홈을 접는 선으로 하여, 이 가로홈보다도 상부 위치의 부분, 즉 몸통부의 상단부, 어깨부(경우에 따라서는, 정상벽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입구통부의 일체부분을, 몸통부에 포개는 것에 의해,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전체를 편평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몸통부의 적어도 일부에, 다른 부분 보다도 긴 지름이 작은 잘룩한 부분을 형성한 것을 부가한 것이다.
이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잘룩한 부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몸통부의 외관이, 변화가 풍부한 볼품 있는 것이 됨과 동시에, 핸들링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벽의 구조를 안쪽으로부터 순서대로, 내층과 중간층과 외층을 적층한 적어도 3층 구조로 한 것을 부가한 것이다.
이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에 요구되는 기능, 특성, 물성 등에 따라서, 각층의 성형재료인 합성수지재료를 선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용기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정상벽부와 어깨부를 연이어 형성한 부분에, 만곡벽구조의 반전용리브를 둘레에 형성한 것을 부가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반전둘레리브가 만곡벽구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벽의 만곡방향, 즉 어깨부의 반전 함몰변위방향으로의 반전둘레리브의 탄성변형이 무리 없이 원활히 행하여지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중간층을, 가스배리어성이 높은 합성수지재료로 성형한 것을 부가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가스배리어성이 높은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중간층을 재생합성수지재료로 성형한 것을 부가한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재생합성수지재료의 효과 있는 이용을 간단하게 또는 안전하게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어깨부가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반전함몰 변위하기 때문에, 어깨부가 반전함몰 변위한 상태에서는,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의 상단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용기부분은 없고, 이로써 용기를 거꾸로 세울 때에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가 확실하게 다리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가 타원 통형상이기 때문에, 몸통부의 전후방향으로부터 편평하게 찌그러뜨려 용착 성형된 바닥시일부는, 그 양측 끝단의 돌출정도가 작고, 또한 블로우성형품이기 때문에, 몸통부의 하단부의 긴 지름을 따르는 폭을, 편평하게 찌그러뜨렸을 때에, 그 폭이 다른 부분보다도 커지지 않는 치수가 되도록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로써 바닥시일부가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에 대한 촉감을 나쁘게 하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몸통부가 타원 통형상이기 때문에, 원통형상의 경우에 비교해서, 용기의 외관에 변화를 줄 수 있어, 그 만큼 볼품 있는 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몸통부가 타원 통형상이기 때문에, 짧은 지름을 따른 방향을 향한 바깥표면이,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부피에 비하여 큰 것으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식, 설명 등의 표시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몸통부가 타원 통형상이기 때문에, 인접 정렬한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끼리를, 서로 갈지자 걸음형상으로 배열함으로써 인접한 용기사이의 필요 없는 공간을 충분히 작게 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용기의 수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어깨부의 몸통부내로의 반전 함몰변위를 항상 일정하고, 확실하게 그리고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를 거꾸로 세운 자세에서의 진열이 안정한 것으로 되고, 이에 따라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를 안정하게 진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어깨부의 탄성반전 변위에 따르는 입구 통부의 승강변위량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에 안정한 다리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내용액을 다른 용기에 교체하는 작업을 양호하게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4 또는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또는, 몸통부 하단이 개방한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1차성형품의 부피감소화를 충분히 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폐기, 또는 용기제조회사로부터 상품제조회사로의 수송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외관 및 핸들링에 바람직하고, 그리고 볼품 있는 변화를 줄 수 있어, 이에 따라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상품가치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에 요구되는 특성, 기능, 물성에 대응하여 합성수지재료를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를 무리 없이 간단히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깨부의 탄성반전 변형을, 무리 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를 무리 없이 손쉽게 취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깨부의 몸통부내로의 반전 함몰변위를, 안정한 자기형상유지능력을 발휘하는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안정하게 확실히 행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를 거꾸로 세운 자세에서의 진열이 안정한 것으로 되고, 이로써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를 안정하게 진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는, 성형재료인 합성수지재료 1g당, 40cc 이상의 부피를 형성하도록 블로우성형에 의해 두께가 얇고 또한 대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대략 타원통형상의 몸통부(1)의 상단에, 중앙을 개구한 평판형상의 정상벽부(4)를, 몸통부(1)와의 사이에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를 형성하여 연이어 형성하고, 이 정상벽부(4)의 중앙개구 가장자리에 대략 절두원추통형상을 한 어깨부(6)를, 몸통부(1)내에 탄성반전 함몰변위 가능하게 위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연이어 형성하며, 이 어깨부(6)의 상단에, 캡(14)에 의해 개폐되는 입구통부(8)를 세워형성하고, 그리고 몸통부(1)의 하단을 바닥시일부(3)로 용착시일성형하여 구성되어 있다.
정상벽부(4)와 어깨부(6)를 연이어 형성한 부분에는, 어깨부(6)의 하단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이고, 탄성변형하기 쉽도록 만곡벽구조가 된 반전둘레리브(7)(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정상벽부(4)와 어깨부(6)를 연이어 형성한 부분에 반전둘레리브(7)가 형성되는 것, 및 어깨부(6)가 타원통형상이 아니라, 절두원추통형상인 것에 의해, 이 어깨부(6)는 안정하게 또한 확실히 반전 함몰변위할 수가 있는 것이지만, 어깨부(6)가 반전 함몰변위하였을 때, 도 5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어깨부(6)의 반전 함몰변위와 함께, 정상벽부(4)도 약간 그 중앙부를 함몰변위시키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를 거꾸로 세운 자세로 안정하게 놓는 경우에는,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가 다리부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대략 평탄한 정상벽부(4)가 존재하기 때문에, 안정한 자립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된다.
몸통부(1)의 상단으로부터, 몸통부(1)의 짧은 지름의 약 절반거리만큼 내려간 부분에는, 함몰만곡성형된 가로홈(2)(도 13 참조)이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통부(1)를 전후방향으로부터 편평하게 찌그러뜨린 상태에서, 이 가로홈(2)을 구부린 선으로 하여, 가로홈(2)보다도 상위의 부분을, 편평한 몸통부(1)에 포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편평하게 찌그러뜨려 접은 상태에서는, 충분한 부피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폐기시의 취급이 대단히 양호하게 되고, 또한 바닥시일부(3)를 성형하지 않은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1차성형품을, 용기제조회사로부터 상품제조회사로 수송할 때에, 수송효과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몸통부(1)의 전후 양 표면에는, 인몰드 라벨이나 실크인쇄 등의 수단에 의해 표시(12)가 실시되어 있다.
이 몸통부(1)의 전후 양 표면은, 몸통부(1)가 대략 타원통형상이기 때문에,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부피에 비하여 면적이 크고, 이로써 공간상의 제약을 심하게 받는 일 없이, 자유롭게 표시(12)를 실시할 수 있어, 높은 표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표시면적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서, 가로홈(2)을 형성하지 않고, 표시면 을 용기전면으로 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대략 타원통형상의 몸통부(1)의 상단에, 벽을 반전하여 포갠 구조의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를 통해, 대략 타원 원추통형상의 어깨부(6)를, 몸통부(1)내에 탄성반전 함몰변위가능하게, 위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연이어 형성하고, 이 어깨부(6)의 상단에, 캡(14)에 의해 개폐되는 입구통부(8)를 세워형성하며, 그리고 몸통부(1)의 하단을 전후방향으로부터 편평하게 찌그러뜨려, 바닥시일부(3)로 용착시일 성형하여 구성되어 있다.
몸통부(1)와 어깨부(6) 사이에 형성된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는, 어깨부 (6)가 반전함몰 변위하였을 때에, 안정한 다리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벽을 반전시켜 포갠 구조를 하고 있는데,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의 실시예의 경우, 몸통부(1)의 상단에 세운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도 9에 나타낸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의 실시예의 경우, 어깨부(6)를 위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얇은 두께로 블로우성형된 블로우성형품의 하단부를 절단제거하고 나서, 몸통부(1)와 어깨부(6)의 연이어 형성하는 부분을, 어깨부(6)와 함께 몸통부(1)내로 밀어 넣고, 이 상태에서 반전하여 포개진 연이어 형성한 부분을 열성형수단 등에 의해, 포개진 벽구조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로 성형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는, 몸통부(1)의 상단에 폭이 좁은 바깥날밑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고, 어깨부(6)를 위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또한 몸통부(1)와 어깨부(6)를 연이어 형성한 부분을, 몸통부(1)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얇은 두께로 블로우성형된 블로우성형품의 하단부를 절단제거하고 나서, 몸통부(1)와 어깨부(6)를 연이어 형성한 부분을, 상하로부터 편평하게 찌그러뜨려, 이 상태로 열성형수단 등에 의해, 포개진 벽구조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로 성형한다.
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는, 벽을 반전하여 포개진 상태로 열성형한 것만이라도 좋은 것이지만, 겹쳐진 부분을 용착 또는 접착함으로써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의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몸통부(1)의 전후 양 표면에는, 인몰드 라벨이나 실크인쇄 등의 수단에 의해 표시(12)가 실시되어 있다.
이 몸통부(1)의 전후 양 표면은, 몸통부(1)가 대략 타원통형상이기 때문에 면적이 넓고, 따라서 공간상의 제약을 심하게 받는 일 없이, 자유롭게 표시(12)를 실시할 수 있어, 높은 표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와 어깨부(6) 사이에 평판형상의 정상벽부(4)를 형성함과 동시에, 어깨부(6)를 절두원추통형상으로 구성하고, 그리고 정상벽부(4)와 어깨부(6)를 연이어 형성한 부분에, 어깨부(6)의 하단가장자리를 따라서 원형으로, 탄성변형하기 쉽도록 만곡벽구조가 된 반전둘레리브(7)(도 5 참조)를 형성하고, 그리고 바닥시일부 (3)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정상벽부(4)와 어깨부(6)를 연이어 형성한 부분에 반전둘레리브(7)가 형성되어 있는 것, 및 어깨부(6)가 대략 타원통형상이 아니라, 절두원추통형상인 것에 의해, 이 어깨부(6)는, 안정하고 또한 확실하게 반전함몰 변위할 수 있다.
몸통부(1)의 상단으로부터, 몸통부(1)의 짧은 지름의 약 절반거리만큼 내려간 부분에는, 함몰만곡 성형된 가로홈(2)(도 13 참조)이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통부(1)를 전후방향으로부터 편평하게 찌그러뜨린 상태에서, 이 가로홈(2)을 구부린 선으로 하여, 가로홈(2)보다도 상위의 부분을, 편평한 몸통부(1)에 포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편평하게 찌그러뜨려 접은 상태에서는, 충분한 부피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폐기시 취급이 매우 양호하게 되고, 또한 바닥시일부(3)를 성형하지 않은,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1차성형품을 용기제조회사로부터 상품제조회사로 수송할 때에 수송효과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도 14는,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적층벽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는 부분확대 종단면도로서, 안쪽으로부터 내층(9), 중간층(10), 그리고 외층(11)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내층(9)은 내(耐)내용물성을 고려하고, 중간층(10)은 배리어성이나 골재기능을 고려하고, 그리고 외층(11)은 인쇄성, 촉감 그리고 내마모성 등을 고려하여, 각각 적합한 합성수지재료를 선정한다.
예컨대, 내층(9)과 외층(11)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수지재료로 성형하고, 중간층(10)을 에틸렌비닐알콜공중합체, 메타크실렌기함유 폴리아미드, 에틸렌나프탈레이트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주지의 가스배리어성이 높은 합성수지재료로 성형하여, 배리어성이 높은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중간층(10)을, 재생수지재료로 성형함으로써, 고가인 합성수지재료비의 대폭적인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적층구조는, 적어도 내층(9), 중간층(10), 외층(11)의 3층이 존재하고 있으면 좋고, 가스배리어층과 재생재층을 중간층(10)으로 존재시키거나, 혹은 각 층간에 접착제층을 설치하는 등, 그 적층구조는 적당히 선택가능하다.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구통부(8)의 개구끝단을 손끝으로 잡아 비틀어 뗄 수 있게 일체로 형성된 잡아떼는편(13)으로 폐쇄하고, 몸통부(1)의 중앙부에 긴 지름을 다른 부분보다도 짧게 한 잘룩한 부분(15)을 형성하고 있다.
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체를 일체의 성형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및 취급이 용이하고, 또한 잘룩한 부분(15)이 있기 때문에,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외관이, 변화가 풍부한 볼품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잘룩한 부분(15)의 존재에 의해,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의 핸들링도 하기 쉬워 진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입구통부(8)에 대해서도,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캡(14)에 의해 개폐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체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거꾸로 세운 진열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일부 파단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화살표 A부분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한 전체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일부 파단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화살표 D부분의 1실시형태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서 화살표 D부분의 다른 실시형태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한 전체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 및 도 11에서 화살표 B부분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 및 도 11에서 화살표 C부분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 및 도 1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부피감소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체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Claims (7)

  1. 블로우성형에 의해 얇은 두께로 성형된, 합성수지제의 1차성형품으로부터 성형되는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로서, 타원통형상을 한 몸통부(1)의 상단에, 적어도 해당 몸통부(1)의 상단가장자리를 형성하여 둘레에 형성된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를 통해, 절두원추통형상을 한 어깨부(6)를, 상기 몸통부(1)내에 탄성반전 함몰변위 가능하게, 위쪽으로 돌출한 형태로 연이어 형성하고, 상기 어깨부(6)의 상단에 입구통부(8)를 세워형성하며, 또한 상기 몸통부(1)의 하단을 이 몸통부(1)의 짧은 지름을 따르는 방향인 전후방향으로부터 편평하게 찌그러뜨려 바닥시일부(3)에 용착성형하고, 상기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6)를, 벽을 반전시켜 포갠 구조로 하여 이루어지는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어깨부(6)를 절두원추통형상으로 성형하고, 상기 어깨부 (6)와 둘레가장자리 모서리부(5)를, 평판형상의 정상벽부(4)로 연이어 형성한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어깨부(6) 하단의 지름을, 몸통부(1)의 짧은 지름보다도 작은 치수로 설정한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몸통부(1)의, 상단으로부터 해당 몸통부(1) 의 짧은 지름의 2분의 1 거리만큼 아래에 위치한 개소에, 안쪽으로 함몰만곡성형된 가로홈(2)을 둘레에 형성한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몸통부(1)의 적어도 일부에, 다른 부분보다도 긴 지름이 작은, 잘룩한 부분(15)을 형성한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벽의 구조를 안쪽으로부터 순서대로 내층(9)과 중간층(10)과 외층(11)을 적층한 적어도 3층구조로 한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7. 제 3 항에 있어서, 몸통부(1)의, 상단으로부터 해당 몸통부(1)의 짧은 지름의 2분의 1 거리만큼 아래에 위치한 개소에, 안쪽으로 함몰만곡성형된 가로홈(2)을 둘레에 형성한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KR1020087014107A 2002-06-20 2003-06-19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KR100929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80210A JP4107378B2 (ja) 2002-06-20 2002-06-20 パウチ状ブロー成形容器
JP2002179688A JP4107377B2 (ja) 2002-06-20 2002-06-20 パウチ状ブロー成形容器
JPJP-P-2002-00180210 2002-06-20
JPJP-P-2002-00179688 2002-06-20
PCT/JP2003/007783 WO2004000671A1 (ja) 2002-06-20 2003-06-19 パウチ状ブロー成形容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182A Division KR100929269B1 (ko) 2002-06-20 2003-06-19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357A true KR20080057357A (ko) 2008-06-24
KR100929447B1 KR100929447B1 (ko) 2009-12-02

Family

ID=300022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107A KR100929447B1 (ko) 2002-06-20 2003-06-19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KR1020047003182A KR100929269B1 (ko) 2002-06-20 2003-06-19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182A KR100929269B1 (ko) 2002-06-20 2003-06-19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1870345B1 (ko)
KR (2) KR100929447B1 (ko)
CN (1) CN100482546C (ko)
AU (1) AU2003244305A1 (ko)
DE (2) DE60334581D1 (ko)
TW (2) TW200400904A (ko)
WO (1) WO20040006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20050146A1 (it) * 2005-05-20 2006-11-21 Fidia Farmaceutici Fillers riassorbibili costituiti da liposomi e acido ialuronico e o suoi derivati
ATE504182T1 (de) 2005-05-31 2011-04-15 Siemens Entpr Communications Lokalisierungssystem und lokalisierungsverfahren sowie mobiler positionsdatensender
CN102951329B (zh) * 2012-11-26 2015-10-28 中山环亚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柔性热封式倒放瓶
CH707854A2 (de) 2013-03-20 2014-09-30 Alpla Werke Extrusionsblasgeformte Tube.
US11613417B2 (en) 2021-02-19 2023-03-28 Winpak Ltd. Container for foodstuff storage and dispens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014714Y1 (ko) * 1962-07-11 1965-05-27
BE788345A (fr) * 1971-09-20 1973-01-02 Baxter Laboratories Inc Recipient pour solution parenterale, moule par soufflage, et methode pour la fabrication de ce recipient
JPS5217267A (en) 1975-06-25 1977-02-09 Nobuyasu Yabuta Continuous filtering & pressing device for soft mud matters
JPS5217267U (ko) * 1975-07-24 1977-02-07
US4126249A (en) 1976-02-17 1978-11-21 Lever Brothers Company Collapsible tubes
US4526823A (en) * 1982-01-22 1985-07-02 American Can Company Laminate structure for collapsible dispensing container
JPS6077868A (ja) * 1984-07-20 1985-05-02 凸版印刷株式会社 押出しチユ−ブ容器
AU595173B2 (en) 1985-01-08 1990-03-29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The Method and use for site-specific activation of substances
JPH0356546U (ko) * 1989-10-09 1991-05-30
JPH04115145U (ja) * 1991-03-29 1992-10-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チユーブ状の味噌容器
JP3527790B2 (ja) * 1995-03-24 2004-05-17 株式会社資生堂 樹脂製チューブ容器
JP4117638B2 (ja) 1999-10-19 2008-07-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チューブ容器一次成形品およびチューブ容器
JP3887727B2 (ja) * 1999-11-30 2007-02-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
JP2002200876A (ja) * 2000-11-01 2002-07-16 Tanaka Design Office:Kk ペーパースタンド
AR034176A1 (es) * 2000-11-08 2004-02-04 Graham Packaging Pet Tech Metodo de produccion de un envase plastico de forma en tubo comprimible, articulo intermedio para utilizacion en la formacion de un envase plastico de forma en tubo comprimible, y envase plastico de forma en tubo comprimible
JP2002193232A (ja) * 2000-12-21 2002-07-10 Fuji Seal Inc 液体充填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4805B1 (en) 2008-12-03
WO2004000671A1 (ja) 2003-12-31
DE60325054D1 (de) 2009-01-15
EP1514805A1 (en) 2005-03-16
CN100482546C (zh) 2009-04-29
EP1514805A4 (en) 2007-02-14
TW200400904A (en) 2004-01-16
AU2003244305A1 (en) 2004-01-06
TWI298699B (ko) 2008-07-11
KR100929447B1 (ko) 2009-12-02
DE60334581D1 (de) 2010-11-25
CN1602270A (zh) 2005-03-30
TW200817243A (en) 2008-04-16
TWI313244B (ko) 2009-08-11
EP1870345B1 (en) 2010-10-13
EP1870345A1 (en) 2007-12-26
KR100929269B1 (ko) 2009-11-27
KR20050012713A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0611B1 (en) Synthetic resin bottle
JPH08244747A (ja) 樹脂ボトル
WO1994008860A1 (en) Refill container
KR100929447B1 (ko) 파우치형상 블로우성형용기
JP2002193232A (ja) 液体充填容器
WO2018008494A1 (ja) 合成樹脂製容器
JPH06278744A (ja) 詰め替え用容器
JP4107377B2 (ja) パウチ状ブロー成形容器
JP3860376B2 (ja) 縮減構造を有する容器
JP4448380B2 (ja) 自立袋
JP4107378B2 (ja) パウチ状ブロー成形容器
JP2007045451A (ja) 自立袋
JP4028216B2 (ja) 減容化可能なボトル
JP4077254B2 (ja) パウチ状ブロー成形容器
JPH07267234A (ja) 折り畳み可能なブロー成形ボトル
JP4117638B2 (ja) チューブ容器一次成形品およびチューブ容器
JP4941913B2 (ja) パウチ状ブロー成形容器
JP3380924B2 (ja) 折り畳み可能なプラスチック容器
JP4111808B2 (ja) 自立袋
JP4212911B2 (ja) 自立袋
JP3875440B2 (ja) 超薄肉容器
JP4133192B2 (ja) 自立袋
JP2023163996A (ja) 容器ホルダー
JP4210102B2 (ja) 自立袋
JP2003246310A (ja) シー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