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951A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951A
KR20080055951A KR1020087009897A KR20087009897A KR20080055951A KR 20080055951 A KR20080055951 A KR 20080055951A KR 1020087009897 A KR1020087009897 A KR 1020087009897A KR 20087009897 A KR20087009897 A KR 20087009897A KR 20080055951 A KR20080055951 A KR 20080055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assage
chamber
discharge
separ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2846B1 (ko
Inventor
요시노리 이노우에
히로카즈 메사키
마사야 사카모토
아츠히로 스즈키
아키노부 가나이
도모지 다루타니
나오키 고에다
오사무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8005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9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04B49/225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with throttling valves or valves varying the pump inlet opening or the outlet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63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with an auxiliary valve, controlled by
    • F04B2027/1872Discharg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압축기는, 분리실에 도입된 냉매 가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기와,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모으는 고리형 공간과, 분리된 오일을 저장하는 저유실을 구비한다. 상기 오일 분리기는, 냉매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실에 형성되는 원통공에 형성되고, 그 원통공에는 원통공을 상기 토출실로부터 구획하는 덮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 분리기는, 도입 통로를 개재하여 상기 냉매 가스를 상기 토출실로부터 상기 분리실에 도입한다. 상기 고리형 공간은, 상기 덮개의 주위에 형성되고, 오일 통로를 개재하여 상기 저유실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저유실은, 상기 토출실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크랭크실에 연통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이 발명은, 예를 들어, 토출 가스 중에 함유되는 오일을 분리하고, 분리된 오일을 저압 영역으로 되돌리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에는, 오일 저장실을 구비한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압축기의 리어 하우징에는, 그 리어 하우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오일 분리실이 형성되고, 그 오일 분리실의 하방이고, 또한 리어 하우징의 후단부에 오일 저장실이 외부에 돌출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에는, 오일 분리실과 오일 저장실을 연통하는 투공 (透孔)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리어 하우징에는, 미스트상의 오일을 함유하는 압축 냉매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실이 형성됨과 함께, 그 토출실과 오일 분리실을 연통하는 유입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오일 분리실에는 토출공이 접속되고, 이 토출공에는 오일 분리실로부터 토출실로의 냉매 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 유닛이 장착되어 있다.
역지 밸브 유닛은, 오일 분리실에 돌출되는 파이프부를 구비하고, 파이프부와 오일 분리실이 오일 분리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리어 하우징에는, 역지 밸브 유닛에 구비된 대좌부의 고리형 포트와 오일 저장실을 연통하는 가스 복귀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 복귀 통로는 투공보다 소직경 (약 1㎜) 이고, 오일 저 장실에 들어온 냉매 가스를, 고리형 포트를 포함하는 토출 경로로 되돌리는 통로로서 기능한다.
상기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토출실 내의 압축 냉매 가스는 유입 통로를 통과하여 오일 분리실로 흘러든다. 오일 분리실로 흘러든 냉매 가스는, 파이프부의 외주면에 충돌하고, 그 외주면의 주위를 선회함으로써,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상의 오일이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오일은 오일 분리실의 바닥 부분에 모여, 투공의 입구로부터 오일 저장실로 흘러든다.
오일 저장실의 오일은, 오일 복귀 통로로부터 크랭크실 등으로 되돌려진다. 오일이 분리된 냉매 가스는 파이프부 및 역지 밸브 등을 통과하고, 토출 파이프를 통과하여 외부 냉매 회로에 공급된다. 냉매 가스의 토출 경로와 오일 저장실 사이에는 가스 복귀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일 분리실과 토출 경로 사이의 차압 ΔP 에 의해 냉매 가스의 흐름이 발생한다. 오일 분리실에서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된 오일은, 이 흐름을 타고 투공을 통과하여 즉시 오일 저장실로 흘러든다.
특허 문헌 2 에는, 오일 분리실을 구비한 사판식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압축기의 리어측 실린더 블록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의 내부에는 사이클론식의 오일 분리실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압축기는, 오일 분리실에 인접하는 통공 (通孔) 을 구비하고, 통공은 리어측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머플러실과 연통되어 있다. 오일 분리실의 하방에는 분리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1 차 오일 고임실이 형성되어 있다. 오일 분리실 및 1 차 오일 고임실의 측 방에는 주오일 고임실이 형성되어 있다. 주오일 고임실의 저부의 밸브 시트면에는, 저압 영역인 사판실에 연통되는 오일 환류공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일 환류공의 개구에는 스프링용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리드 밸브가 구비되고, 리드 밸브는 고압 영역과 저압 영역의 차압에 따라 변형되어, 그 오일 환류공을 흐르는 오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토출실로부터 머플러실에 유입된 고압의 압축 냉매 가스는, 상기 통공을 개재하여 오일 분리실에 도입된다. 오일 분리실에 도입된 냉매 가스는, 오일 분리실의 둘레벽을 따라 선회하고,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상의 오일이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오일은, 1 차 오일 고임실에 회수되고, 고압 영역과 저압 영역의 차압에 의해 통공을 경유하여 주오일 고임실 내에 저장된다.
리드 밸브의 개방도는 고압 영역과 저압 영역의 차압에 따라 제어되고, 예를 들어, 차압이 작을 때에는, 리드 밸브의 개방도는 커지고, 주오일 고임실로부터 오일 환류공을 경유하여 사판실에 환류되는 오일량은 많아진다. 차압이 클 때에는, 리드 밸브의 개방도는 작아지고, 주오일 고임실로부터 오일 환류공을 경유하여 사판실에 환류되는 오일량은 적어진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압축기에 있어서는, 차압 ΔP 에 의해 냉매 가스의 흐름을 발생시켜, 오일 분리실에서 분리한 오일을 직접 오일 저장실로 보낼 수 있지만, 소직경의 투공 (약 1㎜) 을 형성할 필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공 칼날 도구의 파손 등의 가공상의 제약을 고려하면, 오일 저장실을 오일 분리실의 바로 옆에 배치해야 한다. 오일 저장실과 오일 분리실을 바로 옆에 배치하면 리어 하우징이 커지고, 그 결과, 압축기가 대형화된다.
특허 문헌 2 에 개시된 압축기에서는, 리드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고압 영역인 오일 분리실과 저압 영역인 사판실의 차압에 의해, 1 차 오일 고임실로부터 주오일 고임실로 오일을 보내는 구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차압에 의해 리드 밸브의 개방도를 조정하는 것은, 리드 밸브 재료의 스프링 상수 등의 생산상의 편차를 생각하면 매우 어렵다. 이 때문에, 차압에 따라 리드 밸브의 개방도가 적정하게 조정되지 않아, 고압 영역으로부터 저압 영역으로 고압 냉매 가스를 보내고자 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리드 밸브의 개방도가 커져 있을 우려도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1 차 오일 고임실과 주오일 고임실을 연통하는 통공을 경유하여 고압 냉매 가스가 사판실에 들어오지 않도록 통공을 조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가공상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주오일 고임실을 1 차 오일 고임실의 바로 옆에 배치해야 한다. 따라서, 특허 문헌 1 과 마찬가지로 압축기가 대형화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의 어느 압축기에서도, 오일 분리 장치 및 분리된 오일의 저장실 배치의 자유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18610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40158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오일을 함유하는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가 제공된다. 그 압축기는, 토출실과, 토출 통로와, 덮개와, 오일 분리기와, 도입 통로와, 오일 고임부와, 저유실과, 오일 통로를 구비한다. 상기 토출실에는, 압축된 냉매 가스가 토출된다. 상기 토출 통로는, 상기 토출실 내에 형성된다. 상기 덮개는, 상기 토출 통로에 형성되어, 그 토출 통로를 상기 토출실로부터 구획한다. 상기 오일 분리기는, 상기 토출 통로에 형성되고, 상기 오일 분리기와 상기 덮개 사이에는 분리실이 형성된다. 상기 오일 분리기는, 상기 분리실에 도입된 냉매 가스로부터 오일을 분리한다.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냉매 가스를 상기 토출실로부터 상기 분리실에 도입한다. 상기 오일 고임부는, 상기 덮개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모은다. 상기 저유실은, 상기 분리된 오일을 저장하고, 상기 토출실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압축기 내의 저압 영역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오일 통로는, 상기 오일 고임부를 상기 저유실에 연통시킨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3 은 도 2 의 3-3 선을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15 의 (a) 는 제 9 ∼ 제 1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압축기의 개략 단면도이고, 15 의 (b) 는 다른 변형예에 관련된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16 은 제 1 별례에 관련된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도 17 은 제 2 별례에 관련된 압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이하, 단순히 압축기라고 한다) 를 도 1 ∼ 도 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의 하우징은, 실린더 블록 (11) 의 전단에 접합된 프론트 하우징 부재 (12) 와, 실린더 블록 (11) 의 후단에 밸브·포트 형성체 (13) 를 개재하여 접합된 리어 하우징 부재 (14) 를 구비한다. 실린더 블록 (11) 과 프론트 하우징 부재 (12) 로 둘러싸인 영역에는 크랭크실 (15) 이 구획되어 있다. 크랭크실 (15) 내에는, 구동축 (16) 이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 (16) 은, 차량에 적재된 엔진 (17) 에 작동 연결되어, 엔진 (17) 으로부터의 동력 공급에 의해 회전한다.
크랭크실 (15) 에 있어서, 구동축 (16) 상에는 래그 플레이트 (18) 가 그 회전축 (16) 과 일체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크랭크실 (15) 내에는 사판 (19) 이 수용되어 있다. 사판 (19) 은 구동축 (16) 에 지지되고, 구동축 (16) 의 축선을 따라 구동축 (16) 상을 슬라이딩할 수 있음과 함께 구동축 (16) 에 대해 경동 가능하다. 래그 플레이트 (18) 와 사판 (19) 사이에는, 힌지 기구 (20) 가 개재되어 있다. 사판 (19) 은 힌지 기구 (20) 를 개재하여 래그 플레이트 (18) 및 구동축 (16) 과 동기하여 회전할 수 있음과 함께, 구동축 (16) 의 축선 방향에 대한 이동을 수반하면서 경동 가능하다. 또, 사판 (19) 의 경사각은 후술하는 용량 제어 밸브 (21) 에 의해 제어된다.
실린더 블록 (11) 내에는, 복수 (도 1 에 있어서는, 하나만 나타낸다) 의 실린더 보어 (11a) 가 형성되어 있고, 각 실린더 보어 (11a) 내에는 편두형의 피스톤 (22) 이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각 피스톤 (22) 은 슈 (23) 를 개재하여 사판 (19) 의 외주부에 계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 (16) 의 회전 에 수반하는 사판 (19) 의 회전 운동이, 슈 (23) 를 개재하여 피스톤 (22) 의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실린더 보어 (11a) 의 배면측 (도 1 에서는 우방) 에는, 피스톤 (22) 과 밸브·포트 형성체 (13) 로 둘러싸이는 압축실 (24) 이 구획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 부재 (14) 내에는, 흡입실 (25) 이 구획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흡입실 (25) 의 주위에 있어서 토출실 (26)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흡입실 (25) 내의 냉매 가스는, 피스톤 (22) 이 상사점 위치에서 하사점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밸브·포트 형성체 (13) 에 형성된 흡입 포트 (27) 및 흡입 밸브 (28) 를 개재하여 압축실 (24) 에 흡입된다. 압축실 (24) 에 흡입된 냉매 가스는, 피스톤 (22) 이 하사점 위치에서 상사점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소정의 압력까지 압축되고, 그리고 밸브·포트 형성체 (13) 에 형성된 토출 포트 (29) 및 토출 밸브 (30) 를 개재하여 토출실 (26) 에 토출된다.
하우징 내에는, 추기 통로 (31) 및 급기 통로 (32) 가 형성되어 있다. 추기 통로 (31) 는 크랭크실 (15) 로부터 흡입실 (25) 에 냉매 가스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급기 통로 (32) 는 토출실 (26) 내의 토출 냉매 가스를 크랭크실 (15) 에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급기 통로 (32) 도중에는, 용량 제어 밸브 (21)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용량 제어 밸브 (21) 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통로 (32) 를 개재하여 크랭크실 (15) 에 도입되는 고압 냉매 가스의 도입량과, 추기 통로 (31) 를 개재하여 크랭크실 (15) 로부터 도출되는 냉매 가스의 도출량의 밸런스가 제어되 어, 크랭크실 (15) 내의 압력이 결정된다.
이로써, 피스톤 (22) 을 사이에 둔 크랭크실 (15) 내의 압력과 압축실 (24) 내의 압력의 차이가 변경되고, 사판 (19) 의 구동축 (16) 에 대한 경사 각도가 변경된다. 이 결과, 피스톤 (22) 의 스트로크, 즉 압축기의 토출 용량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크랭크실 (15) 의 내압이 저하되면 사판 (19) 의 경사 각도가 증대되어, 압축기의 토출 용량이 증대된다. 도 1 의 2 점 쇄선으로 나타낸 사판 (19) 은 경사 각도가 최대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반대로, 크랭크실 (15) 의 내압이 상승하면 사판 (19) 의 경사 각도가 감소되어, 압축기의 토출 용량이 감소된다. 도 1 의 실선으로 나타낸 사판 (19) 은 경사 각도가 최소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 부재 (14) 의 상부에는 원통공 (33) 이 토출실 (26) 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통공 (33) 은, 토출실 (26) 내에 형성된 토출 통로를 형성한다. 원통공 (33) 은, 구동축 (16) 의 축선과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다. 원통공 (33) 의 축 방향 중앙부에는 원통상의 오일 분리기 (35)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오일 분리기 (35) 는, 원통부 (35a) 를 전방으로 향하고, 원통부 (35a) 보다 직경이 큰 대좌부 (35b) 를 원통공 (33) 에 끼워맞춤으로써 원통공 (33) 에 고정되어 있다. 또, 원통공 (33) 의 축 방향 중앙부로부터 안측 (도 2 에 있어서 우측) 에는, 오일 분리기 (35) 에 인접하여 역지 밸브 (36) 가 수용되어 있다. 역지 밸브 (36) 는 외부 냉매 회로 (48) 로부터 토출실 (26) 로의 냉매의 역류를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원통공 (33) 의 입구부 (도 2 에 있어서 좌측) 에는, 원통공 (33) 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경공 (33a) 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원통공 (33) 의 내벽면 (33b) 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공 (33) 의 입구부에는, 토출실 (26) 과 원통공 (33) 을 구획하는 덮개 (34) 가 장착되어 있다. 덮개 (34) 는 플랜지부 (34a) 와 외환부 (34b) 를 갖고, 덮개 (34) 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 (34a) 와 외환부 (34b) 에 의해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34) 는, 외환부 (34b) 를 원통공 (33) 의 내벽면 (33b) 에 끼워맞추고, 플랜지부 (34a) 를 확경공 (33a) 에 끼워맞춤으로써 원통공 (33) 에 고정된다. 또한, 플랜지부 (34a) 의 축선 방향의 두께 치수 e 는, 확경공 (33a) 의 축선 방향의 깊이 치수 f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e < f).
덮개 (34) 와 오일 분리기 (35) 와 원통공 (33) 의 내벽면 (33b) 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분리실 (42) 이 형성된다. 토출실 (26) 과 분리실 (42) 은, 도입 통로 (40) 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고, 도입 통로 (40) 를 통해 토출실 (26) 로부터 분리실 (42) 로 토출 냉매 가스가 도입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입 통로 (40) 는, 분리실 (42) 에 도입되는 토출 냉매 가스의 유선 (流線) 이, 분리실 (42) 의 내벽면 (33b) 의 횡단면원의 대략 접선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입 통로 (40) 를 통과하여 분리실 (42) 로 도입된 토출 냉매 가스는, 내벽면 (33b) 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선회한다.
분리실 (42) 에 있어서는, 내벽면 (33b) 과 오일 분리기 (35) 의 원통부 (35a) 사이의 공간을 내벽면 (33b) 을 따라 토출 냉매 가스가 선회함으로써, 토출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오일이 토출 냉매 가스로부터 원심 분리된다. 오일이 분리된 토출 냉매 가스는, 분리실 (42) 로부터 오일 분리기 (35) 내부의 관로 (35c) 를 통과하여 역지 밸브 (36) 에 도입되고, 배출 통로 (41) 를 통과하여 토출 플랜지 (43) 쪽으로 배출된다. 또한, 관로 (35c) 는 오일 분리기 (35) 를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고, 덮개 (34) 와 대향하는 선단부의 위치에서 분리실 (42) 에 개구되어 있다. 분리된 오일은 분리실 (42) 바닥 부분의 덮개 (34) 하부 부근에 모인다.
덮개 (34) 가 원통공 (33) 에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는, 덮개 (34) 외주면의 단차부와, 분리실 (42) 내벽면 (33b) 의 단차부 사이에 고리형 공간 (37) 이 형성된다. 고리형 공간 (37) 은, 덮개 (34) 의 주위에 형성된 단면 사각형의 고리형 홈이다. 고리형 공간 (37) 은, 분리실 (42) 에 연통되는 오일 고임부로서 기능한다.
또, 덮개 (34) 의 하부에 위치하고 또한 덮개 (34) 의 외환부 (34b) 와 끼워맞추어지는 분리실 (42) 의 내벽면 (33b) 에는, 일정한 폭의 단차 (33c) 가 형성되고, 이 단차 (33c) 에 의해 분리실 (42) 과 고리형 공간 (37) 을 연통시키는 조임 통로 (38) 가 형성된다. 따라서, 토출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되어 분리실 (42) 의 바닥 부분에 모인 오일 (G) 은, 조임 통로 (38) 를 통과하여 고리형 공간 (37) 쪽으로 흐른다.
도 1 에 있어서, 실린더 블록 (11) 의 상면에는 토출 플랜지 (43) 가 외부에 돌출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토출 플랜지 (43) 의 내부에는, 고압 유체실 (44) 과 저압 유체실 (45) 이 형성되고, 그들 유체실 (44, 45) 사이에는 조임부 (46) 가 형성되어 있다. 저압 유체실 (45) 의 하방에는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유실 (47) 이 형성되어 있다.
고압 유체실 (44) 은 배출 통로 (41) 를 개재하여 분리실 (42) 에 연통되어 있고, 저압 유체실 (45) 은 도시되지 않은 포트를 개재하여 외부 냉매 회로 (48) 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실 (42) 로부터 배출된 토출 냉매 가스는, 배출 통로 (41) 를 통과하여 고압 유체실 (44) 에 도입되고, 조임부 (46) 를 경유하여 저압 유체실 (45) 에 유입된다.
저유실 (47) 과 고리형 공간 (37) 은 오일 통로 (39) 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실 (42) 과 저유실 (47) 은, 조임 통로 (38), 고리형 공간 (37) 및 오일 통로 (39) 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저유실 (47) 은, 도시되지 않은 오일 복귀 통로를 개재하여 저압 영역인 크랭크실 (15) 등에 연통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압축된 냉매 가스가 토출실 (26) 로부터 토출되면, 그 토출 냉매 가스는 도입 통로 (40) 를 통과하여 분리실 (42) 로 도입된다. 분리실 (42) 로 도입된 토출 냉매 가스는, 내벽면 (33b) 과 오일 분리기 (35) 의 원통부 (35a) 사이의 공간을 내벽면 (33b) 을 따라 선회하면서, 원통부 (35a) 의 선단을 향해 흐른다. 이 때, 토출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상의 오일은,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오일은, 선회하는 냉매 가스의 영향을 받아 분리실 (42) 내를 선회하는데, 일부가 자중에 의해 분리실 (42) 의 내벽면 (33b) 을 따라 낙하하여, 분리실 (42) 바닥 부분의 덮개 (34) 의 하부 부근에 모인다.
오일이 분리된 토출 냉매 가스는, 오일 분리기 (35) 의 원통부 (35a) 의 선단부로부터 관로 (35c) 를 통과하여 역지 밸브 (36) 에 도입된다. 오일이 분리된 토출 냉매 가스는, 역지 밸브 (36) 에 도입된 후, 배출 통로 (41) 를 통과하여 토출 플랜지 (43) 쪽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토출 플랜지 (43) 의 고압 유체실 (44) 에 도입된 토출 냉매 가스는, 저압 유체실 (45) 에 유입되고, 그리고 토출 포트를 개재하여 외부 냉매 회로 (48) 에 공급된다.
분리실 (42) 의 바닥 부분에 모인 오일 (G) 은, 조임 통로 (38) 를 통과하여 고리형 공간 (37) 쪽으로 흐른다. 고리형 공간 (37) 과 저유실 (47) 은 연통되어 있고, 저유실 (47) 은, 토출실 (26) 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저압 영역인 크랭크실 (15) 등과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분리실 (42) 과 저유실 (47) 사이에는 차압 ΔP 가 발생하고 있다. 즉, 토출실 (26) 과 연통되는 분리실 (42) 내의 압력은, 저유실 (47) 내의 압력보다 크다. 이 차압 ΔP 의 작용에 의해, 분리실 (42) 로부터 고리형 공간 (37) 으로 흘러든 오일은, 고리형 공간 (37) 을 상승하고, 오일 통로 (39) 를 통과하여 저유실 (47) 쪽으로 흘러든다.
저유실 (47) 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은, 도시되지 않은 오일 복귀 통로를 통과하여 크랭크실 (15) 등으로 되돌아가고, 압축기의 슬라이딩 부분의 윤활에 사용 된다.
이상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이점이 얻어진다.
(1) 토출실 (26) 내의 원통공 (토출 통로) (33) 에 오일 분리기 (35) 를 배치하고, 원통공 (33) 의 입구부를 덮개 (34) 로 막음으로써 분리실 (42) 을 형성한다. 그리고, 덮개 (34) 의 주변에 고리형 공간 (37) 을 형성함과 함께, 그 고리형 공간 (37) 과 분리실 (42) 을 연통시키는 조임 통로 (38) 를 형성한다. 이로써, 분리실 (42) 에 모인 오일 (G) 을, 분리실 (42) 과 저유실 (47) 사이의 차압 ΔP 를 이용하여, 고리형 공간 (37) 을 통과하여 분리실 (42) 보다 상방에 있는 저유실 (47) 쪽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리형 공간 (37) 및 그 고리형 공간 (37) 과 저유실 (47) 을 연통시키는 오일 통로 (39) 의 통로 직경을 자유롭게 설정하여 가공할 수 있다. 이 결과, 저유실 (47) 의 배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압축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2) 고리형 공간 (37) 과 분리실 (42) 을 연통시키는 조임 통로 (38) 를 형성함으로써, 분리실 (42) 로부터 저유실 (47) 로의 고압 토출 냉매 가스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오일 (G) 만을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3) 토출실 (26) 과 분리실 (42) 사이에 덮개 (34) 를 장착함으로써, 분리된 오일 (G) 을 토출실 (26) 쪽으로 유출시키지 않고 분리실 (42) 바닥 부분의 덮개 (34) 의 하부 부근에 모을 수 있다. 이 결과, 모인 오일 (G) 을 효율적으로 저유실 (47) 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4) 덮개 (34) 의 외주면 및 분리실 (42) 의 내벽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의해 고리형 공간 (37) 이 형성되므로, 고리형 공간 (37) 을 형성하기 위해서 특별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아, 가공이 간단하고, 가공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5) 분리실 (42) 의 내벽면 (33b) 에 단차부 (33c) 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분리실 (42) 과 고리형 공간 (37) 을 연통시키는 조임 통로 (38) 가 형성되므로, 가공이 간단하고, 가공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를 도 4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리실 (42) 과 고리형 공간 (37) 을 연통시키는 조임 통로의 형태를 변경한 것으로서, 그 밖의 구성은 공통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앞서의 설명에서 사용한 부호를 일부 공통으로 사용하고,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변경된 지점만 설명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임 통로 (51) 는, 덮개 (34) 의 축심선에 대해 수직 방향 (도 4 에서 상하 방향) 으로 연장되도록 덮개 (34) 의 외환부 (34b) 의 최하부에 형성된 관통공 (52)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임 통로 (51) 에 의해 분리실 (42) 과 고리형 공간 (37) 이 연통된다. 따라서, 토출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되어 분리실 (42) 의 바닥 부분에 모인 오일 (G) 은, 조임 통로 (51) 를 통과하여 고리형 공간 (37) 쪽으로 흐른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 ∼ (4) 의 이점에 추가로 이하의 이점이 얻어진다.
(1) 덮개 (34) 의 외환부 (34b) 에 관통공 (52) 을 형성함으로써, 분리실 (42) 과 고리형 공간 (37) 을 연통시키는 조임 통로 (51) 가 형성된다. 조임 통로 (51) 를 형성하기 위해서 압축기의 하우징을 가공할 필요가 없고, 덮개 (34) 만 가공하면 되므로 가공이 간단하다.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를 도 5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 (34) 와 오일 분리기 (35) 의 형태를 변경한 것으로서, 그 밖의 구성은 공통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앞서의 설명에서 사용한 부호를 일부 공통으로 사용하고,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변경된 지점만 설명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에 있어서는, 분리실 (42) 과 토출실 (26) 을 구획하는 덮개 (62) 가, 오일 분리기 (35) 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부재 (61) 는, 분리실 (42) 과 토출실 (26) 을 구획하는 덮개 (62) 와, 오일 분리기 (35) 의 기능을 갖는 원통부 (63) 와, 원통부 (63) 를 유지하는 대좌부 (64)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재 (61) 의 내부에는 관로 (65) 가 형성되고, 관로 (65) 는 후방에 (도 5 에서 우방에) 개구되어 있다.
부재 (61) 의 대좌부 (64) 를, 관로 (65) 의 개구측에 역지 밸브 (36) 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 5 와 같이 원통공 (33) 에 삽입한다. 대좌부 (64) 를 내벽면 (33b) 에 끼워맞추고, 덮개 (62) 의 외환부 (62b) 를 내벽면 (33b) 에 끼워맞추고, 플랜지부 (62a) 를 확경공 (33a) 에 끼워맞춤으로써, 부재 (61) 는 원통공 (33)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 (62a) 의 축선 방향의 두께 치수 e 는, 확경공 (33a) 의 축선 방향의 깊이 치수 f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e < f).
덮개 (62) 와 원통부 (63) 와 대좌부 (64) 와 내벽면 (33b) 으로 둘러싸이는 도너츠상의 공간에, 분리실 (42) 이 형성된다. 토출실 (26) 과 분리실 (42) 은, 도입 통로 (40) 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다. 부재 (61) 의 원통부 (63) 에는, 분리실 (42) 과 관로 (65) 를 연통하는 가스 통로공 (63a) 이 관로 (65) 의 중심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분리실 (42) 에 개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스 통로공 (63a) 은 관로 (65) 의 중심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덮개 (62) 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 (62a) 와 외환부 (62b) 에 의해 단차부가 형성된다. 부재 (61) 가 원통공 (33) 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덮개 (62) 의 외주면의 단차부와 원통공 (33) 의 내벽면 (33b) 의 단차부 사이에 오일 고임부로서의 고리형 공간 (37) 이 형성된다. 고리형 공간 (37) 은, 덮개 (62) 의 주위에 형성된 단면 사각형의 고리형 홈이다. 고리형 공간 (37) 은, 분리실 (42) 에 연통되는 오일 고임부로서 기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에 있어서, 토출실 (26) 로부터 토출된 냉매 가스는, 도입 통로 (40) 를 통과하여 분리실 (42) 로 도입된다. 분리실 (42) 로 도입된 토출 냉매 가스는, 내벽면 (33b) 과 원통부 (63) 사이의 공간을 내벽면 (33b) 을 따라 선회하면서, 원통부 (63) 의 전방을 향해 흐른다. 이 때, 토출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미스트상의 오일은,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오일은, 선회하는 냉매 가스의 영향을 받아 분리실 (42) 내를 선 회하는데, 일부가 자중에 의해 분리실 (42) 의 내벽면 (33b) 을 따라 낙하하여, 분리실 (42) 바닥 부분의 덮개 (62) 의 하부 부근에 모인다.
오일이 분리된 토출 냉매 가스는, 원통부 (63) 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 통로공 (63a) 을 통과하여 내부의 관로 (65) 에 유입된 후, 역지 밸브 (36) 에 도입된다. 역지 밸브 (36) 에 도입된 토출 냉매 가스는, 배출 통로 (41) 를 통과하여 토출 플랜지 (43) 쪽으로 배출된다.
분리실 (42) 의 바닥 부분에 모인 오일 (G) 은, 조임 통로 (38) 를 통과하여 고리형 공간 (37) 쪽으로 유입되고, 분리실 (42) 과 저장실 (47) 사이의 차압 ΔP 의 작용에 의해, 고리형 공간 (37) 을 상승하여 신속하게 저유실 (47) 쪽으로 흘러든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1) ∼ (5) 의 이점에 추가로 이하의 이점이 얻어진다.
(1) 분리실 (42) 과 토출실 (26) 을 구획하는 덮개 (62) 와, 오일 분리기 (35) 의 기능을 가지는 원통부 (63) 및 대좌부 (64) 가, 단일의 부재 (61) 를 구성하도록 일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또 조립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낸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에 있어서의 고리형 공간의 형성 방법을 변경한 것으로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에 있어서, 리어 하우징 부재 (14) 에 형성된 원통공 (33) 의 입구부의 내벽면 (33b) 에는, 단면 사각 형상의 고리형 홈 (71) 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홈 (71) 은 오일 통로 (39) 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덮개 (72) 는 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외경을 갖는 통상의 외환부 (72a) 를 구비하고, 플랜지부를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덮개 (72) 의 외환부 (72a) 를 내벽면 (33b) 에 끼워맞춤으로써, 고리형 홈 (71) 과 외환부 (72a) 의 외주면 사이에 오일 고임부로서의 고리형 공간 (37) 이 형성된다. 이 고리형 공간 (37) 은, 분리실 (42) 에 연통되는 오일 고임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고리형 홈 (71) 은, 리어 하우징 부재 (14) 대신에, 외환부 (72a) 의 외주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고리형 공간 (37) 의 형성에 있어서 리어 하우징 부재 (14) 또는 덮개 (72) 의 어느 일방에만 고리형 홈 (71) 을 가공하면 되므로, 가공 공정수의 삭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낸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에 있어서의 오일 고임부로서의 고리형 공간의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서,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에 있어서, 덮개 (74) 와, 원통부 (75) 및 대좌부 (76) 로 이루어지는 오일 분리기 (35) 는, 일체 형성된 부재 (73) 로서 구성된다. 부재 (73) 는, 오일 분리기 (35) 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 (77) 의 개구측 (도면의 우측) 에 역지 밸브 (36) 를 장착한 상태에서 원통공 (33) 에 배치된다. 덮개 (74) 는 플랜지상으로 형성되고, 원통부 (75) 는 대직경부 (75a) 와 소직경부 (75b) 를 갖고, 소직경부 (75b) 는 덮개 (74) 와 대직경부 (75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원통공 (33) 은, 토출실 (26) 에 개구하는 측에 있어서, 대직경의 확경공 (33a) 을 갖는다. 이 확경공 (33a) 은, 축 방향에 관해서, 원통부 (75) 의 대직경부 (75a)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부재 (73) 와 원통공 (33) 의 확경공 (33a) 및 내벽면 (33b) 으로 구획되는 분리실 (78) 에 있어서의 덮개 (74) 측의 영역은, 다른 것보다 확대된 고리형 공간 (79) 을 형성한다. 고리형 공간 (79) 은, 분리실 (78) 에 연통되는 오일 고임부로서 기능한다.
부재 (73) 는, 대좌부 (76) 가 내벽면 (33b) 에, 덮개 (74) 가 확경공 (33a) 에, 각각 압입되어 있음으로써, 원통공 (33) 에 고정된다. 관로 (77) 의 중심 축선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스 통로공 (75c) 은, 소직경부 (75b) 에 4 지점 배치 형성되고, 분리실 (78) 에 개구된다. 가스 통로공 (75c) 의 배치 형성 위치는 가능한 한 대직경부 (75a) 에 접근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일 통로 (39) 는 오일 고임부인 고리형 통로 (79) 의 최상부에 직접 개구되어 있는데, 분리실 (78) 내의 고압 냉매 가스가 저유실 (47)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소정의 조임을 추가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토출실 (26) 과 분리실 (78) 을 연통하는 냉매 가스의 도입 통로 (40) 는, 원통공 (33) 을 형성하는 리어 하우징 부재 (14) 에 관로 (77) 의 중심 축선에 대해 경사져 형성되고, 원통부 (75) 의 대직경 부 (75a) 를 지향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에서는, 토출실 (26) 로부터 도입 통로 (40) 를 개재하여 분리실 (78) 에 도입된 고압의 냉매 가스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대직경부 (75a) 의 주위를 선회하고, 냉매 가스 중에 함유되는 오일이 원심 분리된다. 분리된 오일은, 고리형 공간 (79) 내에서 선회하면서 덮개 (74) 및 확경공 (33a) 의 벽면 부근에 모인다. 오일의 일부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고리형 공간 (79) 의 하부 (도 7 의 하방) 에도 퇴적된다.
고리형 공간 (79) 의 상부 (도 7 의 상방) 벽면 부근에 선회하면서 모이는 오일 (G) 은, 차압에 의해 오일 통로 (39) 를 통과하여 저유실 (47) 로 흐른다. 또한, 고리형 공간 (79) 의 하부 벽면에 퇴적되어 있는 오일 (G) 은 고리형 공간 (79) 내의 선회류에 의해 서서히 빨려들어가, 오일 통로 (39) 로부터 저유실 (47) 로 순차 배출된다.
분리실 (78) 에 있어서 오일이 분리된 냉매 가스는, 가스 통로공 (75c) 으로부터 관로 (77) 로 유입되고, 냉매 가스의 압력에 따라 역지 밸브 (36) 를 도 7 의 우방으로 밀어젖혀, 배출 통로 (41) 로부터 외부 냉매 회로 (48) (도 1 참조) 로 흐른다.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3 실시형태의 이점에 추가로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1) 고리형 공간 (79) 을 원통공 (33) 의 반경 방향을 향해 확대함으로써, 오일 (G) 이 모이는 덮개 (74) 및 확경공 (33a) 의 벽면의 위치가 가스 통로공 (75c) 으로부터 멀어진다. 따라서, 분리된 오일 (G) 이 냉매 가스에 의해 관로 (77) 로 따라 들어오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냉매 회로 (48) 로 흐르는 냉매 가스의 오일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2) 가스 통로공 (75c) 을, 오일 분리기 (35) 를 구성하는 원통부 (75) 의 소직경부 (75b) 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가스 통로공 (75c) 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관로 (77) 로 유입되는 냉매 가스의 압손을 저감시킬 수 있다.
(3) 부재 (73) 를 압입에 의해 원통공 (33) 에 고정시켰기 때문에, 덮개 (74) 의 두께 및 대좌부 (76) 의 두께를 얇게 해도 안정적인 고정 상태가 보증된다. 따라서, 분리실 (78) 을 길게 형성하여, 오일의 분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시일 부재가 불필요하여,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 8 에 나타낸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 (34) 의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에 있어서, 원통공 (33) 의 내벽면 (33b) 은 그 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직경을 갖고, 토출실 (26) 에 개구된다. 덮개 (80) 는 얇은 철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지고, 원통상의 외환부 (81) 를 갖는다. 또한, 덮개 (80) 의 재료는 철판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강성이 있는 재료로 치환할 수 있으며,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외환부 (81) 는 리어 하우징 부재 (14) 의 상부 (도 8 의 상방) 에 배치 형성된 오일 통로 (39) 와 대응하는 위치에 조임 통로 (82) 를 구비하고, 덮개 (80) 가 내벽면 (33b) 에 압입에 의해 고정되었 을 때, 오일 통로 (39) 와 조임 통로 (82) 가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 에 있어서, 조임 통로 (82) 와 오일 통로 (39) 는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조임 통로 (82) 가 조임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크기이면, 오일 통로 (39) 는 가공하기 쉽고, 또한 오일이 흐르기 쉽도록 조임 통로 (82) 보다 대직경으로 형성해도 된다. 덮개 (80) 의 토출실 (26) 측단면부터 조임 통로 (82) 까지의 길이는, 토출실 (26) 과 하기 분리실 (83) 사이의 시일 기능을 갖는 길이가 필요한데, 그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하여, 조임 통로 (82) 의 입구를 관로 (35c) 의 입구 (35d) 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지 밸브 (36) 를 장착한 오일 분리기 (35) 의 대좌부 (35b) 가 원통공 (33) 에 압입되고, 또한 덮개 (80) 의 외환부 (81) 가 원통공 (33) 에 압입됨으로써, 오일 분리기 (35) 와 덮개 (80) 사이에 분리실 (83) 이 형성됨과 함께, 덮개 (80) 의 외환부 (81) 의 내주면을 따라 오일 고임부 (84) 가 형성된다. 이 오일 고임부 (84) 는, 분리실 (83) 에 연통되는 오일 고임부로서 기능한다.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에서는, 토출실 (26) 의 고압 냉매 가스가 도입 통로 (40) 를 통과하고, 오일 분리기 (35) 의 원통부 (35a) 에 공급되어, 그 주위를 선회하면서 덮개 (80) 측으로 이행함으로써 오일이 원심 분리된다. 오일이 분리된 냉매 가스는 입구 (35d) 로부터 관로 (35c) 로 유입되고, 그 압력에 의해 역지 밸브 (36) 를 밀어젖혀, 배출 통로 (41) 로 흐른다.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된 오일 (G) 은 냉매 가스의 선회류의 영향을 받아, 오일 고임부 (84) 의 주위를 선회함과 함께 일부가 자중에 의해 오일 고임부 (84) 의 하부 (도 8 의 하방) 에 모인다. 따라서, 선회하는 오일 중, 도 8 의 상부에 존재하는 오일 (G) 이 차압에 의해 조임 통로 (82) 를 통과하여 오일 통로 (39) 에 흐르고, 저유실 (47) (도 1 참조) 로 배출된다.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1) 오일 고임부 (84) 를 선회하는 오일 (G) 이 차압에 의해 오일 통로 (39) 로 배출되므로, 저유실 (47) 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 압축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덮개 (80) 를 얇게 형성하였으므로, 분리실 (83) 을 길게 하여, 분리된 오일이 관로 (35c) 로 냉매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 에 나타낸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에 있어서의 덮개의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서, 제 1 실시형태 및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에 있어서, 토출 통로를 구성하는 원통공 (33) 의 내벽면 (33b) 에 계속되는 확경공 (33a) 에 의해 단차가 형성되고, 저유실 (47) (도 1 참조) 에 연통되는 오일 통로 (39) 가 확경공 (33a) 의 단차부 부근에 개구되어 있다는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와 동일하다. 덮개 (85)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와 마찬가지로 철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판재인데, 다른 재료 및 가공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덮개 (85) 는 유저 (有底) 통상으로 형성되고, 대직경의 플랜지부 (85a) 와, 내벽면 (33b) 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외환부 (85b) 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 (85) 의 플랜지부 (85a) 를 분리실 (83) 의 확경공 (33a) 에, 외환부 (85b) 를 분리실 (83) 의 내벽면 (33b) 에 각각 압입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외환부 (85b) 의 외주면과 확경공 (33b) 의 내주면 사이에 고리형 공간 (86) 이 형성된다. 또, 덮개 (85) 의 하부 (도 9 의 하방) 로서, 플랜지부 (85a) 와 외환부 (85b) 를 연결하는 세로벽에는, 조임 통로 (87) 가 천공 형성되고, 조임 통로 (87) 는 분리실 (83) 과 고리형 공간 (86) 을 연통한다. 이 고리형 공간 (86) 은, 분리실 (83) 에 연통되는 오일 고임부로서 기능한다.
제 7 실시형태에서는, 토출실 (26) 의 고압 냉매 가스가 도입 통로 (40) 를 통과하여, 오일 분리기 (35) 의 원통부 (35a) 에 공급되고, 그 주위를 선회하면서 덮개 (85) 측으로 이행함으로써 오일이 원심 분리된다. 오일이 분리된 냉매 가스의 흐름은 제 1 실시형태 및 제 6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된 오일 (G) 은 냉매 가스의 선회류를 받아, 외환부 (85b) 의 내주위를 선회함과 함께 일부가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외환부 (85b) 의 하부 (도 8 의 하방) 에 모이기 쉬워진다. 외환부 (85b) 의 하부에 모인 오일 (G) 은 조임 통로 (87) 를 개재하여 고리형 공간 (86) 에 유입되고, 다시 고리형 공간 (86) 으로부터 차압에 의해 오일 통로 (39) 를 거쳐 저유실 (47) (도 1 참조) 로 배출된다. 따라서,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이점이 조합된 상승적인 이점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0 에 나타낸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에서는, 오일 분리기 (90) 가 리어 하우징 부재 (14) 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 10 에 있어서, 압축기의 구동축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출 통로 (88) 의 내벽 (89) 은 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직경을 갖는다. 원통상의 오일 분리기 (90) 는, 토출 통로 (88) 내에 돌출되도록 리어 하우징 부재 (14) 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 부재 (14) 는, 분리실 (93) 과 고압 유체실 (44) 을 연통하는 배출 통로 (91) 를 구비하고, 배출 통로 (91) 는, V 자형으로 굴곡되는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배출 통로 (91) 는, 오일 분리기 (90) 의 축선을 따라 오일 분리기 (90) 의 선단으로부터 리어 하우징 부재 (14) 의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관로 (90b) 와, 그 관로 (90b) 로부터 리어 하우징 부재 (14) 의 경사진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다. 관로 (90b) 는, 오일 분리기 (90) 의 선단에 개구된 입구 (90a) 를 갖는다. 또한, 내벽 (89) 의 상부 (도 10 의 상방) 에는 적당한 조임 기능을 부여한 오일 통로 (39) 가 개구된다.
토출 통로 (88) 의 내벽 (89) 에 판상의 덮개 (92) 가 압입에 의해 고정된다. 덮개 (92) 의 배치 위치는 그 내단면이 오일 통로 (39) 의 개구부와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덮개 (92) 와 오일 분리기 (90) 사이의 공간은 분리실 (93) 로서 형성되고, 또, 덮개 (92) 의 내단면과 내벽 (89) 으로 구획된 오일 고임부 (94) 가 형성된다. 이 오일 고임부 (94) 는, 분리실 (93) 에 연통되는 오일 고임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역지 밸브 (36) 는, 배출 통로 (91) 혹은 외부 냉매 회로 (48) 에 이르는 적절한 위치의 통로 내에 형성하면 된다.
제 8 실시형태에서는, 토출실 (26) 내의 고압 냉매 가스가 도입 통로 (40) 로부터 오일 분리기 (90) 의 외주면에 공급되어, 덮개 (92) 의 방향으로 나선상으로 선회하면서 이행하는 과정에서 오일이 원심 분리된다. 오일이 분리된 냉매 가스는 입구 (90a) 로부터 관로 (90b) 및 배출 통로 (91) 를 통과하여 외부 냉매 회로 (48) 로 배출된다. 오일 고임부 (94) 에서 선회하여 상부에 존재하는 오일 (G) 은, 차압에 의해 오일 통로 (39) 로부터 저유실 (47) 로 배출된다.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이점에 추가로, 오일 분리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 점수 및 장착 공정수를 대폭 삭감하여, 구성도 간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낸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일부 구성을 변경한 것이므로,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에서는, 원통공 (33) 에, 조임 통로 (38) 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 (33c) 가 형성되고, 덮개 (34) 의 측면을 바라보는 고리형 공간에 오일 통로 (39) 가 연통되어 있는데,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저유실 (47) 로부터 저압 영역인 흡입실 (25) 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환류로를 갖는다.
도 11 에 있어서, 원통공 (33) 의 내벽면 (33b) 은, 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 한 직경을 갖고, 토출실 (26) 에 개구된다. 덮개 (95) 는 원통공 (33) 의 직경에 대응하는 원주상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고, 덮개 (95) 의 외주면 (95a) 에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형의 홈 (96) 이 형성되어 있다. 홈 (96) 은 오일 환류로 (97) 의 일부인 오일 중간 통로 (100) 를 구성하고, 오일 환류로 (97) 에 있어서의 오일 조임부에 상당한다. 홈 (96) 은 선반에 의한 절삭 가공 혹은 프레스에 의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된다. 덮개 (95) 는 압입에 의해 원통공 (33) 에 고정되어, 분리실 (42) 을 구획한다. 덮개 (95) 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홈 (96) 과 분리실 (42) 의 내벽면 (33b) 에 의해 둘러싸이는 밀폐상의 오일 중간 통로 (100) 가 형성된다.
오일 환류로 (97) 는, 홈 (96) 및 내벽면 (33b) 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상의 오일 중간 통로 (100) 와, 저유실 (47) 을 홈 (96) 에 연통시키는 오일 상류 통로 (98) 와, 홈 (96) 을 흡입실 (25) 에 연통시키는 오일 하류 통로 (99) 를 포함한다. 도 11 에서는 일부만 나타내었으나, 오일 상류 통로 (98) 및 오일 하류 통로 (99) 는 리어 하우징 부재 (14) 에 형성되어 있다. 오일 상류 통로 (98) 및 오일 하류 통로 (99) 의 통로 단면적은, 오일 중간 통로 (100) 의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 중간 통로 (100) 는 오일 환류로 (97) 에 있어서의 오일 조임부로서 기능한다. 오일 조임부로서의 조임 효과는 홈 (96) 의 통로 단면적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홈 (96) 의 통로 단면적은 압축기의 성능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오일 상류 통로 (98) 및 오일 하류 통로 (99) 의 통로 단면적은 생산 기술상의 적용 가능성에 따라서 설정해도 된다. 오일 환류로 (97) 를 통과하는 오일은, 오일 중간 통로 (100) 에 있어서 홈 (96) 을 덮는 내벽면 (33b) 을 따라 흐른다.
이하, 제 9 실시형태의 이점을 갖는다.
(1) 저유실 (47) 로부터 흡입실 (25) 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환류로 (97) 를 형성하고 있는데, 덮개 (95) 의 외주면 (95a) 에 홈 (96) 을 가공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오일 환류로 (97) 의 일부인 오일 중간 통로 (100) 를 형성할 수 있다. 덮개 (95) 를 통과하는 오일 환류로 (97)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환류로 (97) 의 처리가 용이해진다.
(2) 오일 조임부는, 그 조임 효과에 의해 저유실 (47) 로부터 흡입실 (25) 로의 오일의 공급량을 결정하고, 오일 조임부에 의해 저유실 (47) 로부터 흡입실 (25) 로의 냉매 가스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다.
(3) 오일 조임부가 오일 중간 통로 (100)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 중간 통로 (100) 를 형성하기 쉬움과 함께 오일 조임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통로 단면적이 작은 오일 조임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오일 조임부의 정밀도를 설정하기 쉽다.
(4) 오일 중간 통로 (100) 가 홈 (96) 이기 때문에, 오일 중간 통로 (100) 가 오일 조임부에 상당하고, 오일 조임부의 통로 단면적을 양호한 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내벽면 (33b) 을 따르는 오일 조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오일 환류로 (97) 에 있어서의 오일 조임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제 10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9 실시형태에 관 련된 압축기에 있어서의 덮개와 오일 중간 통로의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서, 제 1 실시형태 및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덮개 (101) 는 원통공 (33) 에 압입되어 있는데, 덮개 (101) 의 외주면 (101a) 에 홈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분리실 (42) 의 내벽면 (33b) 중, 외주면 (101a) 이 맞닿는 부위에는 고리형의 홈 (102) 이 형성되어 있다. 즉, 고리형의 홈 (102) 은 리어 하우징 부재 (14) 에 형성되어 있다. 홈 (102) 은 오일 환류로 (97) 의 일부인 오일 중간 통로 (100) 를 구성하고, 오일 환류로 (97) 에 있어서의 오일 조임부에 상당한다. 홈 (102) 은 선반에 의해 절삭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된다. 덮개 (101) 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홈 (102) 과 덮개 (101) 의 외주면 (101a) 에 의해 둘러싸이는 밀폐상의 오일 중간 통로 (100) 가 형성된다.
오일 환류로 (97) 는, 오일 중간 통로 (100) 와, 저유실 (47) 을 홈 (102) 에 연통시키는 오일 상류 통로 (98) 와, 홈 (102) 을 저압 영역인 흡입실 (25) 에 연통시키는 오일 하류 통로 (99) 를 포함한다. 오일 상류 통로 (98) 및 오일 하류 통로 (99) 는 도 13 에서는 일부만 나타낸다. 홈 (102) 의 통로 단면적은 오일 상류 통로 (98) 및 오일 하류 통로 (99) 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다. 오일 중간 통로 (100) 는 오일 환류로 (97) 에 있어서의 오일 조임부로서 기능한다. 오일 환류로 (97) 를 통과하는 오일은, 오일 중간 통로 (100) 에 있어서 홈 (102) 을 덮는 덮개 (101) 의 외주면 (101a) 을 따라 흐른다.
제 10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이점 (2), (3) 과 동등한 이점을 갖는다. 또, 저유실 (47) 로부터 흡입실 (25) 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환류로 (97) 를 형성하고 있는데, 내벽면 (33b) 에 홈 (102) 을 가공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오일 중간 통로 (100)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오일 중간 통로 (100) 를 형성하기 쉽기 때문에 오일 환류로 (97) 의 처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오일 조임부로서의 오일 중간 통로 (100) 가 홈 (102) 에 의해 형성되므로, 오일 조임부의 통로 단면적을 양호한 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오일 조임부가 외주면 (101a) 을 따라 형성되므로, 오일 환류로 (97) 에 있어서의 오일 조임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4 에 나타내는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덮개 (105) 는,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덮개와 오일 중간 통로의 구성을 변경한 것으로서, 제 1 실시형태 및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에 나타내는 덮개 (105) 는 직경 방향으로 내부를 횡단하는 관통공 (106) 을 갖고 있다. 관통공 (106) 은 직선상으로서, 관통공 (106) 은 오일 환류로 (97) 의 일부인 오일 중간 통로 (100) 를 구성하고, 오일 환류로 (97) 에 있어서의 밀폐상의 오일 조임부에 상당한다. 관통공 (106) 의 양단의 개구는 덮개 (105) 의 외주면 (105a) 에 각각 배치 형성되고, 양 개구는 내벽면 (33b) 에 있어서의 오일 상류 통로 (98) 및 오일 하류 통로 (99) 의 개구 위치에 대응하는 위 치에 존재한다. 따라서, 덮개 (105) 를 원통공 (33) 에 압입할 때, 관통공 (106) 의 방향을 오일 상류 통로 (98) 및 오일 하류 통로 (99) 의 개구 위치에 맞추고 나서 덮개 (105) 를 원통공 (33) 에 압입한다. 또한, 이 관통공 (106) 은, 예를 들어, 드릴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된다.
관통공 (106) 의 통로 단면적은 오일 상류로 (98) 및 오일 하류 통로 (99) 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다. 이는, 관통공 (106) 을 오일 환류로 (97) 에 있어서의 오일 조임부로서 기능시키기 때문이다. 오일 환류로 (97) 를 통과하는 오일은, 오일 중간 통로 (100) 에 있어서 관통공 (106) 내를 흐른다.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는,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이점 (2), (3) 과 동등한 이점을 갖는다. 또, 저유실 (47) 로부터 저압 영역인 흡입실 (25) 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환류로 (97) 를 형성하고 있는데, 덮개 (105) 에 관통공 (106) 을 가공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오일 중간 통로 (100) 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환류로 (97) 의 처리가 용이해진다.
또, 오일 조임부로서의 오일 중간 통로 (100) 가 관통공 (106) 에 의해 형성되므로, 오일 조임부의 통로 단면적을 양호한 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덮개 (105) 의 내부를 통과하는 오일 조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덮개 (105) 의 외주면 (105a) 에 오일 조임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리어 하우징 부재 (14) 에 대한 덮개 (105) 의 압입에 의한 고정을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오일 환류로 (97) 에 있어서의 오일이 분리실 (72) 이나 토출실 (25) 로 새기 어렵다.
다음으로, 제 9 ∼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변형예에 대해 도 15 의 (a) 및 도 15 의 (b) 에 따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 1 실시형태 및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의 (a) 에 나타내는 덮개 (110) 는, 원통상의 외환부 (111) 를 갖고, 그 외환부 (111) 는, 예를 들어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외환부 (111) 의 축 방향 중간부에는 직경 방향 중심을 향하여 굴곡된 소직경부가 형성되고, 소직경부와 대응하는 외환부 (111) 의 외주면에는 홈 (112) 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110) 가 원통공 (33) 에 압입된 상태에서, 밀폐상의 홈 (112) 이 오일 상류 통로 (98) 및 오일 하류 통로 (99) 와 일치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오일 환류로 (97) 가 구성된다.
도 15 의 (b) 에 나타내는 덮개 (115) 는, 원통공 (33) 에 대해 압입이 아니라 스냅링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원통공 (33) 은 덮개 (115) 의 직경에 대응하는 대직경부 (331) 와, 덮개 (115) 의 직경보다 작은 소직경부 (332) 를 갖고, 대직경부 (331) 와 소직경부 (332) 사이에는 단차 (333) 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115) 는 원주상이고, 덮개 (115) 의 외주면 (115a) 의 축 방향 양측에는 시일용 홈 (117) 이 형성되고, 시일용 홈 (117) 사이에는, 오일 중간 통로 (100) 로서의 홈 (116)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직경부 (331) 의 내벽면 (331a) 의 개구 근처에는 스냅링용의 고리형 홈 (334) 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115) 의 시일용 홈 (117) 에 시일 부재 (118) 를 장착하고, 덮개 (115) 를 단차 (333) 에 부딪칠 때까지 대직경부 (331) 에 삽입한다. 그리고, 스냅링 (119) 을 고리형 홈 (334) 에 장착함으로써, 덮개 (115) 의 원통공 (33) 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시일 부재 (118)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오일 환류로 (97) 의 오일이 분리실 (42) 이나 토출실 (26) 로 새는 경우는 거의 없다.
다음으로, 그 밖의 별례에 대해 도 16 및 도 17 에 따라 설명한다. 도 16 에 나타내는 제 1 별례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구성과 일부 공통된다. 제 1 및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1 별례에서는 원통공 (33) 에 조임 통로 (38) 를 형성하기 위한 단차 (33c) 가 형성되고, 덮개 (120) 의 외주면을 향하는 고리형 공간에 오일 통로 (39) 가 연통되는 것 외에, 저유실 (47) 로부터 저압 영역인 흡입실 (25) 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환류로 (97) 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공 (33) 의 입구부 (도 16 에 있어서 좌측) 에는, 원통공 (33) 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경공 (33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입구부에, 토출실 (26) 과 원통공 (33) 으로 형성된 토출 통로를 구획하는 덮개 (120) 가 장착되어 있다. 덮개 (120) 는 플랜지부 (120a) 와 외환부 (120b) 를 갖고, 덮개 (120) 의 외주면 (120c) 에는 플랜지부 (120a) 와 외환부 (120b) 에 의해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120) 는, 외환부 (120b) 를 원통공 (33) 의 내벽면 (33b) 에 끼워맞추고, 플랜지부 (120a) 를 확경공 (33a) 에 끼워맞춤으로써 원통공 (33) 에 고정되어 있다. 외환부 (120b) 와 확경공 (33a) 에 의해 고리형 공간 (37) 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 (120a) 에 대응하는 덮개 (120) 의 외주면 (120c) 에는, 고리형의 홈 (121) 이 형성되어 있다. 홈 (121) 은 오일 환류로 (97) 의 일부인 오일 중간 통로 (100) 를 구성하고, 오일 환류로 (97) 에 있어서의 오일 조임부에 상당한다.
덮개 (120) 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홈 (121) 과 확경공 (33a) 의 내벽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밀폐상의 오일 중간 통로 (100) 가 형성된다. 오일 환류로 (97) 는, 홈 (121) 및 내벽면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상의 오일 중간 통로 (100) 와, 저유실 (47) 과 홈 (121) 을 연통하는 오일 상류 통로 (98) 와, 홈 (121) 과 저압 영역인 흡입실을 연통하는 오일 하류 통로 (99) 를 포함한다. 이 제 1 별례에 의하면, 토출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되어 분리실 (42) 의 바닥 부분에 모인 오일 (G) 은, 조임 통로 (38) 를 통과하여 고리형 공간 (37) 쪽으로 흐르고, 다시 오일 통로 (39) 를 통과하여 저유실 (47) 로 공급된다. 저유실 (47) 의 오일은 오일 환류로 (97) 를 통과하여 흡입실 (25) 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도 17 에 나타내는 제 2 별례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별례는, 제 2 실시형태 및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의 구성과 일부 공통된다. 제 2 및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 2 별례에서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125) 에 조임 통로 (127) 가 형성되고, 덮개 (125) 의 외주면 (125c) 을 향하는 고리형 공간 (37) 에 오일 통로 (39) 가 연통되는 것 외에, 저유실 (47) 로부터 저압 영역인 흡입실 (25) 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환류로 (97) 가 형성되 어 있다.
원통공 (33) 의 입구부 (도 17 에 있어서 좌측) 에는, 원통공 (33) 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경공 (33a) 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 (125)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 (125a) 와 외환부 (125b) 를 갖고, 덮개 (125) 의 외주면 (125c) 에는 플랜지부 (125a) 와 외환부 (125b) 에 의해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125) 의 외환부 (125b) 는 원통공 (33) 에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부 (125a) 에 대응하는 외주면 (125c) 에는, 고리형의 홈 (126) 이 형성되어 있다. 홈 (126) 은 오일 환류로 (97) 의 일부인 오일 중간 통로 (100) 를 구성하고, 오일 환류로 (97) 에 있어서의 오일 조임부에 상당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임 통로 (127) 는, 덮개 (125) 의 외환부 (125b) 의 최하 위치에 형성됨과 함께 덮개 (125) 의 축선에 대해 수직 방향 (도 17 에서 상방향) 으로 연장되는 관통공 (128)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임 통로 (127) 는, 분리실 (42) 을 고리형 공간 (37) 에 연통시킨다. 따라서, 토출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되어 분리실 (42) 의 바닥 부분에 모인 오일 (G) 은, 조임 통로 (127) 를 통과하여 고리형 공간 (37) 쪽으로 흐르고, 다시 오일 통로 (39) 를 통과하여 저유실로 공급된다. 저유실의 오일은 오일 환류로 (97) 를 통과하여 흡입실로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취지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제 1 ∼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토출 통로를 압축기의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배치 형성하고, 이 토출 통로 내에 오일 분리기를 배치 형성해도 된다.
제 1 ∼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덮개는, 제 5 ∼ 제 8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입에 의해 둥근 구멍에 고정되어도 된다.
제 3 및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좌부 (64, 76) 를 원통공 (33) 에 압입에 의해 고정시키고, 덮개 (62, 74) 의 외주면에 시일 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부재 (61, 73) 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시일 부재는 덮개 (62, 74) 의 외주면에 한정하지 않고, 원통공 (33) 의 내벽면 (33b) 에 형성한 단차부와 덮개 (62, 74) 의 단면 사이에 형성해도 된다.
제 1 ∼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일 통로 (39) 는 오일 고임부의 하부에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자중에 의해 하부에 모이는 오일을 배출하기 쉬워진다.
제 1 ∼ 제 8 실시형태에서는, 분리실의 상방에 저유실을 형성하였는데, 저유실을 분리실의 옆 혹은 하방 등, 가장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 1 ∼ 제 5 실시형태 및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 토출 통로를 구성하는 둥근 구멍의 내벽면, 덮개의 외주면 또는 그 쌍방에 형성된 단차가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및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통로공 (63a, 75c) 은 관로 (65, 77) 의 중심 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중심선축과 교차하는 방향이면, 중심 축선에 대해 직각 이외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 가스 통로공 (63a, 75c) 은 4 지점에 형성한 것을 나타내었는데, 4 지점 이외의 복수 지점에 배치 형성할 수 있다.
제 1 ∼ 제 4 실시형태 및 제 7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의 주변에 형성되는 고리형 공간의 단면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였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 삼각형이어도 되고 단면 원형이어도 되고 단면 타원형이어도 된다. 요점은, 오일을 통과시킬 수 있으면, 고리형 공간은 어떠한 단면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제 1, 제 3 및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의 하부에 형성되는 조임 통로를, 분리실의 내벽면에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하였는데, 덮개의 외환부에 단차를 설치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 덮개 (92) 를 두껍게 하거나, 덮개 (92) 에 플랜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덮개 (92) 의 일부가 오일 통로 (39) 의 개구부쪽으로 돌출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오일 통로 (39) 의 개구부를 작게 하여, 조임 효과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제 9 ∼ 제 11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오일 조임부를 간단하게 형성하기 위해서, 오일 환류로에 있어서의 오일 중간 통로를 오일 조임부로서 기능시키고 있으나, 반드시 오일 중간 통로가 오일 조임부로서 기능하지 않아도 되고, 오일 조임 통로는 오일 환류로 도중에 자유롭게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오일 상류 통로나 오일 하류 통로에 오일 조임부를 형성해도 된다.
제 1 ∼ 제 11 실시형태에서는, 압축기를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로서 설명하였으나, 압축기는 고정 용량형이어도 되고, 와블식이어도 상관없다. 또, 압축기는 사판식에 한정하지 않고, 스크롤식이나 베인식 등이어도 된다.

Claims (17)

  1. 오일을 함유하는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된 냉매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실과,
    상기 토출실 내에 형성되는 토출 통로와,
    상기 토출 통로에 형성되고, 그 토출 통로를 상기 토출실로부터 구획하는 덮개와,
    상기 토출 통로에 형성되는 오일 분리기로서, 그 오일 분리기와 상기 덮개 사이에 분리실이 형성되는 오일 분리기와,
    상기 냉매 가스를 상기 토출실로부터 상기 분리실에 도입하기 위한 도입 통로로서, 상기 오일 분리기가 상기 분리실에 도입된 냉매 가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도입 통로와,
    상기 덮개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모으는 오일 고임부와,
    상기 분리된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유실로서, 상기 토출실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압축기 내의 저압 영역에 연통되어 있는 저유실과,
    상기 오일 고임부를 상기 저유실에 연통시키는 오일 통로를 구비하는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통로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축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고임부는, 상기 덮개의 외주면과 상기 토출 통로의 내벽면 사이에 형성된 고리형 공간인 압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공간은 조임 통로를 개재하여 상기 분리실에 연통되는 압축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고임부는, 상기 덮개의 외주면 및 상기 토출 통로의 내벽면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압축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분리기와 상기 덮개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분리기는, 상기 덮개와 대향하도록 상기 분리실에 개구되는 관로를 갖고, 그 관로는 외부 냉매 회로에 연통되는 압축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 및 상기 토출 통로를 형성하는 리어 하우징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오일 분리기는 상기 리어 하우징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리어 하우징과는 별도로 형성되는 압축기.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분리기와 상기 덮개는 일체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분리기는, 외부 냉매 회로에 연통되는 관로와, 그 관로를 상기 분리실에 연통시키는 가스 통로공을 갖고, 가스 통로공은 상기 관로의 중심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선을 갖고, 상기 가스 통로공이 형성된 오일 분리기의 부위는, 분리실과의 사이의 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오일 분리기의 기타 부위에 비교하여 작은 외경을 갖는 압축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플랜지부와, 플랜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상의 외환부를 갖고, 상기 오일 고임부는 상기 외환부의 외주면과 상기 토출 통로의 내벽면 사이에 형성된 고리형 공간으로서, 그 고리형 공간이 조임 통로를 개재하여 상기 분리실에 연통되는 압축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및 상기 오일 분리기의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토출 통로에 압입되는 압축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실에 모인 오일을 상기 저압 영역으로 공급하는 오일 환류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오일 환류로는, 상기 토출 통로의 내벽면과 상기 덮개의 외주면 사이 또는 상기 덮개의 내부를 통과하는 오일 중간 통로를 갖는 압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환류로는 추가로, 상기 저유실을 상기 오일 중간 통로에 연통시키는 오일 상류 통로와, 상기 오일 중간 통로를 상기 저압 영역에 연통시키는 오일 하류 통로와, 오일 조임부를 포함하는 압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조임부는 상기 오일 중간 통로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기.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중간 통로는, 상기 덮개의 외주면 및 상기 내벽면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되는 홈인 압축기.
KR1020087009897A 2006-03-29 2007-03-20 압축기 KR100912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9907 2006-03-29
JP2006089907 2006-03-29
JPJP-P-2006-00147585 2006-05-29
JP2006147585 2006-05-29
JP2006342055 2006-12-20
JPJP-P-2006-00342055 2006-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951A true KR20080055951A (ko) 2008-06-19
KR100912846B1 KR100912846B1 (ko) 2009-08-18

Family

ID=3854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897A KR100912846B1 (ko) 2006-03-29 2007-03-20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91296B2 (ko)
EP (2) EP2719898B1 (ko)
JP (1) JP4840363B2 (ko)
KR (1) KR100912846B1 (ko)
CN (1) CN101356367B (ko)
WO (1) WO20071111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9815A1 (ko) * 2015-07-14 2017-01-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양두 사판식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7685A (ja) * 2008-02-21 2009-09-03 Toyota Industries Corp 斜板式圧縮機
KR101099117B1 (ko) * 2009-06-26 2011-12-27 주식회사 두원전자 체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JP5341827B2 (ja) 2010-06-21 2013-11-13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5692177B2 (ja) * 2012-07-19 2015-04-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6097051B2 (ja) * 2012-11-07 2017-03-15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圧縮機
JP5920367B2 (ja) * 2013-07-18 2016-05-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片頭ピストン式可変容量型圧縮機
ES2707630T3 (es) 2013-11-04 2019-04-04 Carrier Corp Circuito de refrigeración con separación de aceite
KR102018259B1 (ko) * 2014-02-24 2019-09-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JP6241440B2 (ja) * 2014-06-18 2017-12-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18884A (en) * 1969-07-29 1973-05-31 Hydrovane Compressor Rotary compressors
US4290345A (en) * 1978-03-17 1981-09-22 Sankyo Electric Company Limited Refrigerant compressors
US4283997A (en) * 1978-08-22 1981-08-18 Sankyo Electric Company Limited Refrigerant compressors
US5159820A (en) * 1989-07-05 1992-11-03 Nippondenso Co., Ltd. Oil separator integrally mounted on compressor
JP3120537B2 (ja) 1992-02-28 2000-1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往復動型圧縮機
JPH07332239A (ja) * 1994-06-03 1995-12-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JP3085514B2 (ja) * 1995-06-08 2000-09-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圧縮機
TW400919U (en) * 1996-03-12 2000-08-01 Toyoda Automatic Loom Works Variable volume capacity typed compressor
JPH09324758A (ja) * 1996-06-06 1997-12-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カムプレート式圧縮機
JPH10281060A (ja) * 1996-12-10 1998-10-2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JP3509560B2 (ja) 1998-06-15 2004-03-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のオイル分離構造
JP2002285982A (ja) * 2001-03-26 2002-10-03 Toyota Industries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およびスクロール型圧縮機の潤滑油供給方法
KR100426347B1 (ko) * 2002-01-02 2004-04-06 이왕수 환경친화형 액상소화액
JP2004211662A (ja) 2003-01-08 2004-07-29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のオイル分離構造
JP2004218610A (ja) * 2003-01-17 2004-08-05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
JP2004293543A (ja) 2003-03-13 2004-10-21 Sanden Corp 圧縮機
JP4211477B2 (ja) * 2003-05-08 2009-01-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冷媒圧縮機のオイル分離構造
JP2005120970A (ja) * 2003-10-20 2005-05-12 Toyota Industries Corp 冷媒圧縮機
JP2007162561A (ja) * 2005-12-13 2007-06-28 Toyota Industries Corp 冷媒圧縮機
JP4894357B2 (ja) * 2006-06-02 2012-03-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9815A1 (ko) * 2015-07-14 2017-01-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양두 사판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91296B2 (en) 2015-03-31
CN101356367B (zh) 2010-09-08
EP2719898B1 (en) 2017-07-19
EP2719898A3 (en) 2014-07-02
JPWO2007111194A1 (ja) 2009-08-13
EP2000672A1 (en) 2008-12-10
US20100018386A1 (en) 2010-01-28
EP2000672B1 (en) 2015-05-06
JP4840363B2 (ja) 2011-12-21
EP2719898A2 (en) 2014-04-16
KR100912846B1 (ko) 2009-08-18
WO2007111194A1 (ja) 2007-10-04
EP2000672A4 (en) 2013-06-26
CN101356367A (zh)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846B1 (ko) 압축기
KR0133251B1 (ko) 베인 압축기
KR100748915B1 (ko) 냉매 압축기
US5645405A (en) Reciprocating type compressor with muffling chambers
US8038415B2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EP0926341A2 (en) Oil recovery device for compressors
KR20080026634A (ko) 압축기
KR20040071579A (ko) 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WO2007077856A1 (ja) 圧縮機
US20070175239A1 (en) Refrigerant compressor
EP1811174A2 (en) Oil separation structure in compressor
JP5413851B2 (ja) 冷媒圧縮機
JP6135573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EP1930591A2 (en) Compressor having a mechanism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lubrication oil
US8215924B2 (en) Oil separating structur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606641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오일분리구조
CN106662087B (zh) 压缩机
KR101099117B1 (ko) 체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KR20020023517A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조립체
CN216922510U (zh) 卧式涡旋压缩机
CN115523148A (zh) 一种压缩机的回油结构、压缩机和空调器
KR20040023069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CN115539392A (zh) 卧式涡旋压缩机
CN115298438A (zh) 离心分离式油分离器
JP2008025476A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