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505A - 진동 제동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동 제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505A
KR20080053505A KR1020087009211A KR20087009211A KR20080053505A KR 20080053505 A KR20080053505 A KR 20080053505A KR 1020087009211 A KR1020087009211 A KR 1020087009211A KR 20087009211 A KR20087009211 A KR 20087009211A KR 20080053505 A KR20080053505 A KR 20080053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emulsion
braking
vibration damping
acrylic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861B1 (ko
Inventor
요시히코 야스이
히로시 스즈키
다이 나가이시
Original Assignee
니혼 도쿠슈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도쿠슈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filed Critical 니혼 도쿠슈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3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reformed graft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03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진동 제동 특성과 열 건조 특성이 우수하고, 수직 표면의 진동 제동 코팅막의 늘어짐을 충분히 억제하여, 다양한 구조물의 진동 제동재에 유용한 진동 제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이 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부터 형성된 중심부와 아크릴계 공중합체 (B)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를 갖는 입자를 포함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A) 와 (B)중 하나 이상이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의 공중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 발포제 및 무기안료를 포함하는 진동 제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 제동 조성물 {VIBRATION DAMP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진동 제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물의 진동과 소음을 방지하여, 지속적인 조용함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진동 제동재의 원료로서 유용한 진동 제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진동 제동재는 지속적인 조용함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물의 소음과 진동을 방지하는데 이용되고, 운송 수단의 객실 바닥재에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으며, 또한 그 중에서도 차량, 선박, 항공기, 전자 기기, 건물, 건설 기기에 적용된다. 진동 흡수 성능과 소리 흡수 성능을 가진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플레이트 제품과 시트 제품과 같은 성형품은 이러한 진동 제동재에 사용되는 원료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성형품을 복잡한 형태를 가지는 진동이나 소음발생 위치에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가동성을 개선시켜 진동 제동 특성을 충분히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즉, 예를 들어, 무기 분말 함유 아스팔트 시트는 자동차 객실 바닥재에 설치되나, 이러한 시트는 열 융합에 의해 위치가 보장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가동성 등의 개선이 요구되며, 예를 들어, 진동 제동재를 위한 다양한 조성물과 진동 제동재의 형성을 위한 중합체에 대해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코팅형 진동 제동재(코팅재)는 이러한 성형품의 대체재로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다음의 진동 제동 코팅재는 다양하게 제안된다 : 진동 제동 코팅재는 분무기로 제동 처리를 필요로 하는 위치에 분무되거나 임의의 방법으로 그곳에 적용되며, 그렇게 형성된 코팅막은 진동 흡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합성 수지 분말을 아스팔트, 고무 및 합성수지와 같은 매개재와 배합하여, 수득된 코팅막의 경도가 개선된 수성 진동 코팅재뿐 아니라, 차량 내부 부품에 적절히 사용되는 물질로 필러로서 활성 탄소가 합성수지 에멀젼에 분산된 진동 코팅재까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제품은 충분히 만족스러운 진동 제동 성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진동 제동 성능을 더 충분히 나타내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통상의 코팅형 진동 제동재에 대해, 특정 비율로 상이한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진 두 종류 이상의 중합체의 수성 분산액 혼합물에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수성 진동 제동 조성물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1-152028호 (page 2)에 언급됨). 상기 조성물에서, 비융화성 중합체의 수성 분산액 혼합물이 사용되고, 상용화제가 비융화성을 보상하기 위해 첨가되며, 그에 따라 진동 제동 특성의 온도 피크는 완만해 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에서, 상용화제는 진동 제동 코팅막에 남아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조성물은 진동 제동 성능을 충분히 나타내기 위한 개선 여지를 가진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중심부와 아크릴계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를 가진 입자를 포함하는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에 대하여, 이러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5-105133호 (page 2)에 언급됨). 이러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은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진동 제동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술은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이러한 에멀젼이 더 우수한 진동 제동 성능을 나타내고, 그에 따라 다양한 구조물의 진동 제동재로서 더 바람직하게 사용되기 위한 개선 여지를 가진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당 업계의 상황을 고려하여 만들었다. 본 발명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진동 제동 특성과 열 건조 특성이 우수하고; 수직 표면의 진동 제동 코팅막의 늘어짐을 충분히 억제하여; 다양한 구조물의 진동 제동재에 유용한 진동 제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본 발명자들은 진동 제동 조성물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해왔다. 본 발명자들은 진동 제동 조성물이 아크릴계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중심부와 아크릴계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를 가진 입자를 포함하는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을 포함하는 경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두 종류 이상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조합으로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과 비교하여, 이러한 진동 제동 조성물이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진동 제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명시했다. 본 발명자들은 중심부와 껍질부를 구성하는 이러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중 하나 이상이 메타크릴산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경우, 메타크릴산은 에멀젼 중합에 의해 공중합체 내에 균일하게 중합되며 분자 사슬간의 상호작용은 개선되고, 그에 따라 공중합체에서 응집은 증가하여, 진동 제동 특성이 주목할만하게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이러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이 발포제와 무기 안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진동 제동 코팅막은 균일한 기포 구조를 가지고 두꺼운 막이 되며, 그에 따라 충분한 열 건조 특성 또는 높은 진동 제동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고, 또한 조성물이 낮은 온도에서 적용된 후 막발포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에 따라, 상기 기술한 과제들이 훌륭히 해결되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본 발명의 진동 제동 조성물은 수성 코팅형 진동 제동재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 발포제 및 무기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이 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부터 형성된 중심부와 아크릴계 공중합체 (B)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를 갖는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A) 와 (B)중 하나 이상이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의 공중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진동 제동 조성물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진동 제동 조성물은 진동 조성 제동재용 에멀젼, 발포제 및 무기 안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성분 각각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진동 제동 조성물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가 희생되지 않는 경우, 또 다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제동 조성물에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은 중심부와 껍질부를 가진 입자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또한 "중심-껍질형 입자"로 표기). 이러한 입자는 일반적으로 매질에 분산된 형태로 존재한다. 즉, 매질과 매질에 분산된 중심-껍질형 입자를 지니는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이 바람직하다. 매질은 수성 매질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성 매질의 예는 물과 물에 혼합된 용매, 물과 혼합가능한 용매를 포함한다. 그들 중, 본 발명의 진동 제동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코팅재의 사용에 기인할 수 있는 환경 영향성 또는 안전성 관점에서 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에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전의 전체량 100중량%에 대해, 중심-껍질형 입자의 비율은 70 중량% 이하이다. 비율이 70 중량% 초과인 경우,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의 점도는 너무 높아지며, 그에 따라 에멀젼은 충분한 분산 안정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응집된다. 비율은 60 중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한 중심-껍질형 입자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로부터 형성된 중심부와 아크릴계 공중합체(B)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를 갖는 입자이다. 이러한 입자는 중심부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껍질부를 형성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B)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결합 구조의 대표적인 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와 (B)가 완전히 서로 융화되는 구조 (균일한 구조),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 (A)와 (B)가 완전히 서로 융화되지 않는 불균일하게 형성된 구조 (중심-껍질 결합 구조와 마이크로도메인 구조)를 포함한다. 모든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특성이 충분히 나타나고 안정한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 후자의 중심-껍질 결합 구조를 지니는 중심-껍질형 입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한 중심-껍질 결합 구조는 중심부 표면이 껍질부로 덮인 형태를 가진다. 이 경우, 중심부 표면이 껍질부로 완벽하게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중심부 표면은 완전히 덮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껍질 결합 구조는 중심부 표면이 메시형 (mesh-like) 상태로 덮인 형태 또는 중심부가 어떤 곳에서는 덮이지 않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중심-껍질형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10 nm 내지 1 μm가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 직경이 10 nm 미만인 경우,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의 점도는 너무 높아질 수 있거나,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은 충분한 분산 안정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응집될 수 있다. 평균 입자 직경이 1 μm 초과인 경우, 이러한 에멀젼은 더 이상 에멀젼이 아니다. 평균 입자 직경은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 nm이다.
예를 들어, 평균 입자 직경은 다음 과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에멀젼을 증류수에 희석한 다음 충분히 교반 및 혼합한다. 그 다음, 약 10 mL의 혼합물을 유리셀에 채우고 동적 광산란 광도계 NICOMP 380 (Particle Sizing Systems Inc.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상기 기술한 중심-껍질형 입자에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두 종, 즉, 아크릴계 공중합체 (A)와 아크릴계 공중합체 (A)와 다른 아크릴계 공중합체(B)가 사용된다. 상기 공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 SP값 (용해도 계수), 사용된 단량체의 종류 및 단량체의 비율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특성에서 다르다. 그들 중, 공중합체 (A)와 (B)는 아래에 언급할 유리전이 온도와 SP값 중 하나 이상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부를 구성하는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A)가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B)의 유리 전이 온도 (TgB)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 (TgA)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 (Tg)에서 이러한 차이는 진동 제동 조성물이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더 높은 진동 제동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TgA와 TgB간의 차이는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그에 따라, 진동 제동 특성은 특히 20 내지 60℃의 실시 범위 내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차이가 15℃ 미만이면, 진동 제동 특성은 20℃ 또는 60℃에서 불충분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 차이는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특히 25℃ 이상이 바람직하다. 실시 범위 내에서 진동 제동 특성은 그 차이가 너무 크면 불충분할 수 있다. 그러므로, TgA와 TgB간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며, 특히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0℃이하이다.
특히,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유리 전이 온도 (TgA)는 0℃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진동 제동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진동 제동 코팅막은 더 우수한 건조 특성을 지니며, 따라서 코팅 막 표면의 팽창 또는 균열이 더 충분히 억제될 수 있다. 즉, 매우 우수한 진동 제동 특성을 가진 진동 제동재가 형성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유리 전이 온도 (TgA)는 더 바람직하게는 5℃이상이다.
상기에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유리 전이 온도 (TgA)가 0℃ 이상이며,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B)의 유리 전이 온도 (TgB)보다 높고, TgA와 TgB간의 차이가 15℃ 이상인 구현예를 포함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Tg는 이미 공지된 것을 근거로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단량체 성분의 종류나 비율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Tg는 다음의 계산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식 1]
Figure 112008027346510-PCT00001
(식 중, Tg' 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Tg (절대온도)를 나타내고;
W1', W2', 및 … Wn' 각각은 모든 단량체 성분에 대한 각 단량체의 질량 분율을 나타내고;
T1, T2, 및 … Tn 각각은 각 단량체 성분으로 제조된 동종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절대 온도)를 나타냄)
또한 상기 기술한 중심부를 구성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SP값은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B)의 값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SP값의 차이는 진동 제동 조성물이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더 높은 진동 제동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A)와 (B)사이의 SP값의 차이는 더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35 이상이다. 더욱이, 그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SP값 (δ)은 다음과 같은 짧은 식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식 2]
Figure 112008027346510-PCT00002
(식 중,
δ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SP값을 나타내고;
Δel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각 단량체 성분의 증발에너지의 계산 값 (kcal/mol)을 나타내고;
∑Δel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성분의 계산 값의 총 값을 나타내고;
ΔVm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각 단량체 성분의 분자 부피의 계산 값(ml/mol)이고;
∑ΔVm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성분의 계산 값의 총 값이고;
x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각 단량체 성분의 몰 분포임)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중심-껍질형 입자에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B)에 대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중량비 ((A)/(B))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30 내지 90이다. 중심부를 구성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비가 상기 기술한 범위보다 작은 경우, 가열에 의한 건조 후 기포의 생성 (코팅막의 팽창)이 불충분하게 억제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아크릴 공중합체 (A)의 비가 상기 기술한 범위보다 큰 경우, 건조에 의한 가열 후 균열의 생성은 불충분하게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는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40 내지 70이다.
그 다음,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A)와 (B)의 제조에 사용된 단량체 성분에 대하여 더 설명하겠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와 (B)가 상기 기술한 점에서 다른 한, 동일한 종류의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A)와 (B)중 하나 이상이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메타크릴산은 분자 사슬 간의 에멀젼 중합 상호작용에 의하여 공중합체로 균일하게 중합되며, 이로써 공중합체에서 응집이 증가하여 진동 제동 특성이 주목할만하게 개선된다.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A)와 (B) 모두가 단량체 성분으로서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메타크릴산의 비율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사용된 단량체 성분의 전체량 100 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이다. 메타크릴산의 비율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진동 제동 특성은 불충분하게 나타날 수 있다. 비율은 더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이상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이다. 또한, 비율은 2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한 단량체 성분은 메타크릴산 이외의 또 다른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단량체의 예는 아크릴산, 크로톤산,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푸마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펜틸 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 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 메타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닐 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헥사데실 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포르메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히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프탈레이트,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과 같은 (메트)아크릴산 (염) 단량체, 및 그의 염 또는 그의 에스테르화 생성물이 포함된다. 그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염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염, 암모늄염, 유기 아민염 등이다. 금속염을 형성하는 금속원자의 예는 리튬, 나트륨, 및 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원자인 1가의 금속 원자;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 원자인 2가 금속 원자; 및 알루미늄 및 철과 같은 3가 금속 원자를 포함한다. 유기 아민염의 바람직한 예는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알카놀아민, 및 트리에틸아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A)에서, 상기 기술한 (메트)아크릴산 (염) 단량체의 비율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A)에 사용된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에 대해, 10 내지 100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은 30 내지 80중량%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B)에서, 상기 기술한 (메트)아크릴산 (염) 단량체의 비율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B)에 사용된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에 대해, 10 내지 100 중량%가 바람직하다. 그 비율은 50 내지 100 중량%가 더 바람직하다.
메타크릴산의 비율은 "(메트)아크릴산 (염) 단량체의 비율" 에 포함되지 않는다. "중량%"로 표시되는 값은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에 포함된 전체 입자의 평균값이다.
상기 기술한 단량체 성분은 메타크릴산 또는 상기 기술한 (메트)아크릴산 (염)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또 다른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단량체의 예는 스티렌, 디비닐벤젠, α-메틸 스티렌, 비닐톨루엔, 에틸 비닐벤젠,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및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또 다른 단량체의 비율은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이다.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의 pH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이다. 에멀젼의 pH는 암모니아수, 수용성 아민, 알칼리 수산화물 수용액 등을 에멀젼에 첨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의 점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0 mPa·s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0 mPa·s이다. 점도는 25℃ 및 20 rpm 조건에서 B 타입 회전 점도계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은 보통 에멀젼 중합 방법을 사용하는 다단계 중합으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이 다단계 중합으로 생성된 구현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이 다중 단계에서 상이한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진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는 에멀젼 중합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의 제조 방법에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B)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는 중합 단계에 앞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부터 형성된 중심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는 에멀젼 중합 단계 수행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용 에멀젼의 제조 방법에서, 상이한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진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는 에멀젼 중합 단계는 다중 단계에서 수행되며, 첫 번째 단계에서 에멀젼 중합 단계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여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마지막 단계 에멀젼 중합 단계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B)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여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 제동 조성물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또한 다중 단계에서 상이한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진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는 에멀젼 중합 단계의 수행에 의해 제조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을 갖는 진동 제동 조성물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이 아크릴계 공중합체 (B)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는 에멀젼 중합 단계에 앞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부터 형성된 중심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는 에멀젼 중합 단계의 수행으로 제조된 진동 제동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한 제조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 및/또는 보호 콜로이드의 존재 하에서, 수성 매질에서 단량체 성분의 에멀젼 중합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부터 형성된 중심부를 형성하는 (1)단계, 및 중심부를 포함하는 에멀젼 내로의 단량체 성분의 추가 에멀젼 중합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B)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를 형성하는 (2)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중심-껍질 결합 구조를 포함한 입자를 포함하는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은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기술한 제조 방법은 중심부를 구성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껍질부를 구성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B)의 융화성, 이러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소수성 수준 (SP값), 이러한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등을 조절하는데 특히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중심-껍질 구조를 가진 입자를 포함하는 이상적인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기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부터 형성된 중심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부터 형성된 중심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는 에멀젼 중합 단계에서 형성되며, 아크릴계 공중합체 (B)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B)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는 에멀젼 중합 단계에서 중심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그에 따라,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은 보다 효과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에멀젼 중합 단계가 세 개 이상의 단계로 수행되는 경우, 다음의 구현예가 바람직하다. 첫 번째 단계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부터 형성된 중심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을 사용하는 에멀젼 중합 단계가 수행되며, 마지막 단계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B)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을 사용하는 에멀젼 중합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또 다른 단계, 즉, 첫 번째 단계와 마지막 단계 사이의 에멀젼 중합단계는 에멀젼 중합단계가 상기 기술한 순서로 진행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기술한 "상이한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진 단량체 성분"은 이러한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된 동종중합체가 상이한 유리 전이 온도 (절대 온도)를 가진 상태를 만족하는 단량체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기술한 제조 방법에서 수성 매질과 단량체 성분은 상기 기술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 기술한 제조 방법에서 계면활성제는 에멀젼 중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 중합체 계면활성제 및 반응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 종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기술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칼륨 도데실 설페이트, 및 암모늄 알킬 설페이트와 같은 알킬 설페이트 염; 나트륨 도데실 폴리글리콜 에테르 설페이트; 나트륨 설포리시노에이트; 술폰화 파라핀 염과 같은 알킬 설포네이트; 나트륨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와 같은 알킬 설포네이트, 및 알칼리 페놀 히드록시에틸렌의 알칼리 금속 설페이트; 고급 알킬 나프탈렌 설포네이트; 나프탈렌 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라우레이트, 트리에탄올 아민 올레에이트, 및 트리에탄올 아민 아비에테이트와 같은 지방산염; 폴리옥시알킬 에테르의 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페닐 에테르의 황산 에스테르; 숙신산 디알킬 에스테르의 황산염;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소르비탄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족 에스테르; 글리세롤 의 모노라우레이트와 같은 지방족 모노글리세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 옥사이드와 지방족 아민, 지방족 아미드, 또는 지방족 산의 응축물을 포함한다.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염, 에스테르형 디알킬 암모늄염, 아미드형 디알킬 암모늄염, 및 디알킬이미다졸륨염을 포함한다.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알킬 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알킬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 알킬 카복시 메틸 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알킬 아미드 프로필 베타인, 및 알킬 히드록시 설포베타인을 포함한다.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중합체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중합체 계면활성제의 예는 폴리비닐 알코올 및 그의 변형 생성물; (메트)아크릴산 수용성 중합체;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수용성 중합체; 히드록시포필 (메트)아크릴산 수용성 중합체;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포함한다.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계면 활성제 중, 환경 관점에서 노닐페닐형이 아닌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기술한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또는 사용되는 단량체 성분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사용된 단량체 성분의 전체 양 100 중량부에 대해, 0.3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5 내지 5 중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한 보호 콜로이드의 예는 부분적으로 비누화된 폴리비닐 알코올, 완전히 비누화된 폴리비닐 알코올, 및 변형된 폴리비닐 알코올과 같은 폴리비닐 알코올;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염과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 구아검과 같은 천연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콜로이드는 단독으로 또는 계면활성제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보호 콜로이드의 사용량은 사용 조건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콜로이드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사용된 단량체 성분의 전체 양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이하의 비율이 바람직하며, 3 중량부 이하의 비율이 더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술한 제조 방법에서 에멀젼 중합의 개시를 위하여 사용된다. 중합 개시제는 그 물질이 열에 의해 분해되고 라디칼 분자를 생성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수용성 개시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개시제의 예는 칼륨 퍼설페이트, 암모늄 퍼설페이트, 및 나트륨 퍼설페이트와 같은 퍼설페이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및 4,4'-아조비스(4-시아노펜탄산)과 같은 수용성 아조 화합물; 과산화수소와 같은 열 분해 개시제; 과산화수소와 아스코르브산, t-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와 론갈라이트, 칼륨 퍼설페이트와 금속염, 및 암모늄 퍼설페이트와 나트륨 히드로겐설파이트와 같은 산화 환원 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중합 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사용된 단량체 성분의 전체 양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2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2 내지 1 중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환원제는, 필요하다면, 에멀젼 중합을 가속시키기 위해 상기 기술한 중합 개시제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환원제의 예는 아스코르브산, 타르타르산, 구연산, 그리고 포도당과 같은 환원성 유기 화합물; 및 나트륨 티오설페이드, 나트륨 설파이트, 나트륨 바이설파이트, 및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와 같은 환원성 무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환원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사용된 단량체 성분의 전체 양 100 중량부에 대해, 0.05 내지 1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A) 또는 (B)의 평균 분자량의 조절을 위해 에멀젼 중합시 필요하다면 상기 기술한 제조 방법에서 연쇄 전달제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연쇄 전달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쇄 전달제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연쇄 전달제의 예는 헥실 메르캅탄, 옥틸 메르캅탄, n-도데실 메르캅탄, t-도데실 메르캅탄, n-헥사데실 메르캅탄, 및 n-테트라데실 메르캅탄과 같은 알킬 메르캅탄; 사염화탄소, 사브롬화탄소, 및 에틸렌 브로마이드와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2-에틸헥실 메르캅토아세테이트, 2-에틸헥실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트리데실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메르캅토카르복실산 알킬 에스테르; 메톡시부틸 메르캅토아세테이트 및 메톡시부틸 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메르캅토카르복실산 알콕시알킬 에스테르; 2-메르캅토에틸 옥타노에이트와 같은 카르복실산 메르캅토알킬 에스테르; α-메틸스티렌 이합체, 테르피놀렌, α-테르피넨, γ-테르피넨, 디펜텐, 아니솔, 및 알릴 알코올을 포함한다. 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중, 헥실메르캅탄, 옥틸메르캅탄,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n-헥사데실메르캅탄, 및 n-테트라데실메르캅탄과 같은 알킬메르캅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사슬 이동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에 사용된 단량체 성분의 전체 양 100 중량부에 대해, 2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며, 1.0 중량부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제조 방법에서 에멀젼 중합 조건을 고려하면, 중합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0 내지 100℃가 바람직하며, 40 내지 95℃가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중합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1 내지 15시간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의 첨가 방식, 중합 개시제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괄적인 첨가, 지속적인 첨가, 다단계 첨가 등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 방식은 적당한 결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제조 방법에서, 본질적으로, 중심부와 껍질부는 같은 공정에서 형성된다. 필요하다면, 첨가제 또는 반응 조건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 및/또는 보호 콜로이드는 상기 기술한 단계 (2)의 에멀젼 중합에서 첨가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 제동 조성물은 가열-건조 단계에서 코팅막 표면의 건조가 진행되고 코팅막 내부의 잔류 습기가 증발될 때, 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에 의한 건조시에 발포하는 발포제가 진동 제동 조성물에 포함되고 코팅막 내부의 잔류 습기는 기포 형성과 동시에 증발한다. 그에 따라, 이러한 기포가 방지된다. 코팅막의 두께는 진동 제동 조성물이 발포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증가한다. 그래서, 진동 제동 성능 또한 개선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가열에 의한 건조 동안 발포되는 발포제를 포함하는 진동 제동 조성물을 포함한다.
발포제의 종류는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 조성물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발포제의 예는 디아조아미노 벤졸, 아조이소부틸 니트릴, 벤졸 설포히드라지드, 아조디카본아미드, P-P'-옥시벤졸 설포히드라지드, 벤질 모노히드라졸과 같은 유기 발포제; 및 열 팽창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한다. 열 팽창 마이크로캡슐은 수성 코팅재에서 우수한 안정성으로 인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진동 제동 조성물에서, 발포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진동 제동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3.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진동 제동 조성물에서 무기 안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칼슘 카보네이트, 카올린, 실리카, 탈크, 점토, 바륨설페이트, 알루미나, 산화철, 산화 티타늄, 유리 분말, 마그네숨 카보네이트,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석탄회, 및 규조토와 같은 무기 안료; 유리 박편, 펄라이트, 및 운모와 같은 박편 무기 안료; 및 산화 금속 위스커, 유리 섬유와 같은 섬유 무기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박편 무기 안료는 코팅막 내부의 층 구조형성에 의해 진동 에너지를 감소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므로, 높은 종횡비를 가진 운모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박편 무기 안료의 사용은 진동 제동 특성을 더 충분히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무기 안료가 박편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구현예를 포함한다. 이 경우, 무기 안료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칼슘 카보네이트, 카올린, 실리카, 및 탈크와 같은 무기 안료는 이러한 박편 무기 안료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술한 무기 안료의 혼합량은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 100 중량부에 대해, 50 내지 70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즉, 진동 제동 조성물은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 100중량부에 대해, 무기 안료의 50 내지 7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안료가 5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진동 제동 조성물은 열 건조 특성 또는 진동 제동 특성을 불충분하게 나타낼 수 있다. 무기 안료가 70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코팅막의 강도 감소로 인하여 가열에 의한 건조 후 균열이 생성되거나 기판에 대한 점착성 감소로 인해 코팅막이 기판으로부터 쉽게 벗겨질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 조성물은 무기 안료 100 내지 550 중량부를 포함한다. 그들 중,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 100 중량부에 대해 박편 무기 안료는 30 내지 15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박편 무기 안료는 40 내지 120 중량부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진동 제동 조성물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가 희생됨에도 불구하고,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 발포제, 및 무기 안료 이외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다른 성분의 예는 용매; 가소제; 안정제; 증점제; 습윤제; 방부제; 기포 억제제; 유기 안료; 글래스 비드 (bead); 글래스 벌룬 (balloon); 플라스틱 비드 (bead); 플라스틱 벌룬 (balloon); 부동제; 분산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곰팡이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및 정전기방지제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그들 중, 진동 제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필러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한 다른 성분은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 등과 함께, 예를 들어, 나비 믹서, 유성식 믹서, 나선형 믹서, 반죽기, 및 용해기를 사용하여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다른 성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음의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용매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부틸 셀로솔브, 부틸 카르비톨, 및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용매의 혼합량은 진동 제동 조성물 중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의 고체 농도가 상기 기술한 범위 내인 것과 같이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코올,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폴리카르복실산 수지는 상기 기술한 증점제로 언급될 수 있다. 증점제의 혼합량은,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의 고체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체 0.01 내지 4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05내지 1.5 중량부가 더 바람직하고, 0.1 내지 1 중량부가 더욱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노랑색 한사, 노랑색 벤진, 청색 구리 프탈로시아닌, 적색 퀴나크리돈은 상기 기술한 유기 안료로서 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트륨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및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와 같은 무기 분산제와 폴리카르복실산 분산제와 같은 유기 분산제는 상기 기술한 분산제로 기술될 수 있다.
에틸렌 글리콜과 프로필렌 글리콜은 상기 기술한 부동제로 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소포제는 상기 기술한 소포제로 기술될 수 있다.
다원자가 금속 화합물은 상기 기술한 다른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원자가 금속 화합물은 진동 제동 조성물의 안정성, 분산가능성, 열 건조 특성 또는 진동 제동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진동 제동재의 진동 제동 특성을 개선한다. 다원자가 금속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원자가 금속 화합물의 예는 산화아연, 염화아연, 및 황산아연을 포함한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다원자가 금속 화합물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미세 입자, 수성 분산, 에멀젼화 분산 또는 그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그들 중, 다원자가 금속 화합물은 수성 분산 또는 에멀젼화 분산의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며, 진동 제동 조성물에서 분산가능성이 개선되기 때문에 에멀젼화 분산이 더 바람직하다. 다원자가 금속 화합물의 사용량은 진동 제동 조성물에서 고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0.05 내지 3.5 중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진동 제동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조성물이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 발포제, 무기 물질, 필요하다면, 또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진동 제동 조성물은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각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 조성물은 기판 위에 코팅되고 건조되어 진동 제동재로서 담당하는 코팅막을 제공한다. 기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기판과 진동 제동 조성물로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솔, 롤러, 주걱, 공기분무기, 비공기분무기, 모타르 분무기, 직물분무기 등이 코팅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 조성물의 코팅양은 의도된 적용, 예상된 성능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진동 제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표면 중량이 건조시(후)에 1.0 내지 7.0 kg/m2이고, 더 바람직하게 2.0 내지 6.0 kg/m2를 가진 코팅막으로 코팅된다. 본 발명의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의 사용은 건조시에 팽창이나 균열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수직 표면에서 늘어짐을 거의 야기하지 않는 코팅막의 수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진동 제동 조성물이 건조, 및 건조된 후 표면 중량이 2.0 내지 6.0 kg/m2를 지니도록 코팅되는 진동 제동 조성물의 코팅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진동 제동 조성물의 코팅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진동 제동재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진동 제동 조성물이 수성 진동 제동재로 사용되는 진동 제동 조성물의 사용법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한 진동 제동 조성물이 기판 위에 코팅되고 건조되어 코팅막을 형성하는 경우에서 사용되는 조건에 따라, 가열에 의한 건조 또는 대기 온도에서의 건조 둘 다 채택될 수 있다. 그러나, 효율 관점에서, 가열에 의한 건조가 본 발명의 진동 제동 조성물이 우수한 열 건조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선호되고,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가열에 의한 건조 온도는 80 내지 210℃가 바람직하며, 90 내지 180℃가 더 바람직하고, 120 내지 170℃가 더욱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진동 제동 조성물의 적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진동 제동 조성물은 우수한 열 건조 특성, 진동 제동 특성 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차량, 선박, 항공기, 전기 기기, 건물과 건설 기기뿐 아니라 운송수단의 객실 바닥재와 같은 적용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 제동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형태를 가진다. 진동 제동 조성물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열 건조 특성과 진동 제동 특성이 우수하고 진동 제동 코팅막의 수직면에서 늘어짐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구조물의 진동 제동재로 사용되는 원료로 특히 유용하다.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방식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기술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에서, 다르게 서술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부" 와 "%"는 각각, "중량부" 와 "중량%"를 나타낸다.
다음의 합성예 등에서 SP값, 유리 전이 온도 (Tg), 및 점성은 각각, 상기 기술한 절차에 의해 결정되었다.
막의 백탁도는 다음의 절차에 의해 결정되었다;
수득된 에멀젼을 50.00 mm (길이) x 100.00 mm (너비) x 2.00 mm (높이)의 주형 내에 채우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그 다음, 에멀젼을 140℃에서 구워 합성 수지막을 형성하였다. 그렇게 수득된 합성 수지막의 투명도를 시각적으로 관찰하였다.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
합성예 1
교반기, 환류 콘덴서, 온도계, 질소 가스 주입파이프 및 적하 깔때기가 장착된 중합 용기를 탈이온수(76부)로 채웠다. 그 다음, 질소 가스 스트림 내에서 교반시키면서, 용기의 내용물을 70℃의 내부 온도로 가열하였다. 적하 깔때기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2.8부), 스티렌 (40.0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2.5부), 부틸 아크릴레이트 (12.2부), 아크릴산 (2.0부), 메타크릴산 (0.5부), 미리 조절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에스테르 염의 20% 수용액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Hitenol NF-08" 제품) (15부), 및 탈이온수 (10부)로 구성된 단량체 에멀젼 1로 채웠다.
단량체 에멀젼 1을 70℃로 조절된 중합 용기에 적가하여 반응을 진행시켰다. 온도를 80℃까지 올리고, 내부 온도를 80℃로 유지하며 단량체 에멀젼 1을 용기에 균일하게 2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동시에, 칼륨 퍼설페이트 5% 수용액 (7부)와 나트륨 히드로설파이트 2% 수용액 (17.5부)를 2시간에 걸쳐 용기에 균일하게 적가하였다. 이러한 적가로, 중심부를 형성하는 에멀젼이 형성되었다. 적가를 완료한 후, 반응을 75℃에서 한 시간 동안 지속하였다. 그에 따라, 단량체 성분 각각이 완전히 소비되었다.
그렇게 수득된 중심부를 형성하는 에멀젼의 SP값을 측정하고, 유리 전이 온도 (TgA)는 중심부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조성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표 1은 이러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 다음, 또 다른 적하 깔때기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3부), 스티렌 (10.0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5.8부), 부틸 아크릴레이트 (36.4부), 아크릴산 (2.0부), 메타크릴산 (0.5부), 미리 조정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에스테르 염의 20% 수용액 (DAI-ICH KOGYO SEIYAKU CO., LTD., "Hitenol NF-08" 제품) (15부), 및 탈이온수 (10부)로 구성된 단량체 에멀젼 2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단량체 에멀젼 2를 중심부를 형성하는 에멀젼에 적가하여 반응을 진행시켰다. 단량체 에멀젼 2를 내부 온도를 80℃로 유지하며 2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동시에, 칼륨 퍼설페이트 5% 수용액 (7부)과 나트륨 히드로겐설파이트 2% 수용액 (17.5부)을 2 시간에 걸쳐 혼합물에 균일하게 적가하였다. 이러한 적가로, 껍질부가 형성되어 중심-껍질형 입자가 수득되었다. 적가를 완료한 후, 반응을 75℃에서 1 시간 동안 지속하였다. 그에 따라, 단량체 각각은 완전히 소비되었다. 그 다음, 반응 용액을 25℃로 냉각하고, 25%의 암모니아수 적정량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에 따라,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수득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의 고체 농도, pH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막의 백탁도는 시각적 관찰에 의해 평가하였다. 껍질부의 SP값을 측정하고 유리 전이 온도 (TgB)는 껍질부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조성에 근거해 측정하였다. 표 1은 이러한 결과를 나타낸다.
합성예 2 내지 5, 비교 합성예 1 및 2
표 1 또는 2에서 나타낸 것처럼 중심부와 껍질부의 형성을 위해 사용된 단량체 성분의 조성이 변화되는 것을 제외하고,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은 합성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하였다.
이러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은 합성예 1에서 수행된 바와 같이, 다양한 물리적 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표 1은 그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 합성예 3
표 1에서 나타난 것처럼 중심부 형성에 사용된 단량체 성분의 조성이 변화되는 것과 껍질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은 합성예 1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하였다.
이러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은 합성예 1에서 수행된 바와 같이, 다양한 물리적 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표 1은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08027346510-PCT00003
표 1에서 기재 사항은 다음과 같다.
MM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St: 스티렌
2EHA: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BA: 부틸 아크릴레이트
EA: 에틸 아크릴레이트
AA: 아크릴산
TgA/TgB (℃) : 중심부(A)의 유리 전이 온도 (℃)/ 껍질부(B)의 유리 전이 온도 (℃)
WA/WB 비: 껍질부(B)에 대한 중심부(A)의 중량비 (%/%)
ΔSP (B-A) : 껍질부(B)의 SP값으로부터 중심부(A)의 SP값을 빼서 계산된 값
ΔSP (B-A)가 작아지면, 융화성은 비교적 더 우수해진다. 한편으로, 융화성은 ΔSP (B-A)가 커지면 비교적 더 나빠진다.
"진동 제동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내지 2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진동 제동 조성물은 표 2에서 나타낸 조성에서 상기 기술한 합성예 및 비교 합성예에서 얻어진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을 이용하는 코팅재의 제조에 의해 수득되었다.
수득된 진동 제동 조성물 각각은 건조 후 중량이 m2 당 4kg이도록 30 x 300 x 1.6 mm인 리드 (reed)형상 시이트 강철에 주걱으로 코팅하였다. 그 다음, 코팅된 조성물을 140℃에서 45분 동안 건조시켰다. 그에 따라, 진동 제동 측정용 시편이 제작되었다.
진동 제동 측정용 시편 각각을 20℃, 40℃, 및 60℃ 분위기에서 손실 계수값을 측정하였다. 표 3은 그 결과를 나타낸다. 손실 계수값은 중간점 여기 방법에 근거해 기계적 임피던스 (impedance) 1 내지 1000 Hz에서 각 공명점의 하프 밴드 너비로부터 계산하였다. 그 다음, 200Hz에서 손실 계수 값은 보간법에 의해 결정되었다. 손실 계수값이 클수록, 진동 제동 에너지의 감소 효과는 더 높아진다.
[표 2]
Figure 112008027346510-PCT00004
[표 3]
Figure 112008027346510-PCT00005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된 중심-껍질형 구조를 가진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을 이용하는 실시예 1 내지 5에서 큰 손실 계수 값이 넓은 온도 범위 내에서 수득되었다.
대조적으로, 20℃ 및 60℃에서의 손실 계수 값은 낮았고, 진동 제동 효과를 나타내는 온도 범위는 껍질부 (균일 입자 구조를 가짐)를 갖지 않는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을 이용하는 비교예 3에서 좁았다.
메타크릴산을 포함하지 않는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을 이용하는 비교예 1과 2의 각 온도 범위에서 손실 계수값과 진동 제동 효과는 낮았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진동 제동 조성물은 건조 후 중량이 m2 당 1kg (건조 후 표면 중량은 1.0 kg/m2였음)이도록 30 x 300 x 1.6 mm인 리드 (reed)형상 시이트 강철에 주걱으로 코팅하였다. 그 다음, 코팅된 조성물을 140℃에서 45분간 건조시켰다. 그에 따라, 진동 제동 측정용 시편이 제조되었다. 상기 시편을 이용하여, 20℃, 40℃, 및 60℃ 분위기에서 손실 계수값을 측정하였다. 표 4는 그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7 내지 10
각각의 조성물이 건조 후 표면 중량이 표 4에서 명시된 값을 나타내도록 코팅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진동 제동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20℃, 40℃, 및 60℃ 분위기에서 손실 계수값을 측정하였다. 표 4는 그 결과를 나타낸다.
[표 4]
Figure 112008027346510-PCT00006
건조 후 표면 중량이 1.0 kg/m2이였던 실시예 6에서, 진동 제동 특성이 가장 낮았다. 그러나, 건조 후 표면 질량이 2.0 내지 6.0 kg/m2이였던 실시예 7 내지 9에서, 진동 제동 특성의 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진동 제동 특성은 실시예 9에서 최상이었다. 건조 후 표면 중량이 7.5 kg/m2인 실시예 10에서, 건조 특성 이 불충분했기 때문에 진동 제동 조성물의 특성이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11 내지 15
칼슘 카보네이트와 운모의 양이 각각 표 5에 기재된 양으로 변화되었던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를 행하여 진동 조성물을 얻고 20℃, 40℃, 및 60℃ 분위기에서 손실 계수값을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표 5는 그 결과를 나타낸다.
[표 5]
Figure 112008027346510-PCT00007

Claims (9)

  1.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 발포제 및 무기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이 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부터 형성된 중심부와 아크릴계 공중합체 (B)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를 갖는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A) 와 (B)중 하나 이상이 메타크릴산을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의 공중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진동 제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이 다중 단계에서 상이한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진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는 에멀젼 중합 단계의 수행에 의해 제조되는 진동 제동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이 아크릴계 공중합체 (B)로부터 형성된 껍질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는 에멀젼 중합 단계에 앞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A)로부터 형성된 중심부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을 이용하는 에멀젼 중합 단계의 수행에 의해 제조되는 진동 제동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에 의한 건조 동안 발포되는 발포제를 포함하는 진동 제동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동 제동재용 에멀젼 100 중량부에 대해 50 내지 700 중량부의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진동 제동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 안료가 박편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진동 제동 조성물.
  7. 진동 제동 조성물이 수성 진동 제동재로서 사용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진동 제동 조성물의 사용방법.
  8. 진동 제동 조성물을 건조 후 표면 중량 1.0 내지 7.0 kg/m2를 갖도록 코팅하고, 건조시키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진동 제동 조성물의 코팅방법.
  9. 제 8 항의 진동 제동 조성물의 코팅방법에 의해서 수득 가능한 진동 제동재.
KR1020087009211A 2005-09-20 2006-09-19 진동 제동 조성물 KR101308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72602 2005-09-20
JPJP-P-2005-00272602 2005-09-20
PCT/JP2006/318897 WO2007034933A1 (en) 2005-09-20 2006-09-19 Vibration damping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505A true KR20080053505A (ko) 2008-06-13
KR101308861B1 KR101308861B1 (ko) 2013-09-13

Family

ID=3788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211A KR101308861B1 (ko) 2005-09-20 2006-09-19 진동 제동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64286B2 (ko)
EP (1) EP1926778B1 (ko)
JP (1) JP5112299B2 (ko)
KR (1) KR101308861B1 (ko)
CN (1) CN101268143B (ko)
DE (1) DE602006019282D1 (ko)
WO (1) WO20070349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909A (ko) * 2017-10-11 2019-04-1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수용성 감쇠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115A (ja) * 2006-08-10 2008-02-21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アクリル系水性エマルジョン
EP2650315A1 (en) * 2007-03-30 2013-10-16 Nippon Shokubai Co., Ltd. Emulsion for damping member
WO2009085960A2 (en) * 2007-12-20 2009-07-09 Dct Holdings, Llc Multi-component polymeric structure for addressing 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in structures
JP5172458B2 (ja) * 2008-05-09 2013-03-27 株式会社日本触媒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組成物
JP5260187B2 (ja) * 2008-08-27 2013-08-14 株式会社日本触媒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制振材配合物
EP2295517A4 (en) * 2008-05-09 2011-05-18 Nippon Catalytic Chem Ind EMULSION COMPOSITION FOR VIBRATING DAMPING MATERIALS
JP5558734B2 (ja) * 2009-03-31 2014-07-23 シーシーアイ株式会社 制振塗料組成物
JP2010235882A (ja) * 2009-03-31 2010-10-21 Cci Corp 制振塗料組成物
CN101875787B (zh) * 2009-11-17 2012-07-25 武汉工业学院 酞菁铜聚合物薄膜吸声材料及其制备方法
JP5685001B2 (ja) * 2010-04-26 2015-03-18 株式会社日本触媒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及び制振材配合物
WO2011162740A1 (en) 2010-06-21 2011-12-29 Basf Se Sound damp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pplication and use
US8623463B2 (en) 2010-07-22 2014-01-07 Basf Se Sound deadener composition with emulsion polymer stabilized by protective colloids
EP2595841B1 (de) * 2010-07-22 2014-06-04 Basf Se Antidröhnmasse mit durch schutzkolloid stabilisiertem emulsionspolymerisat
US20120043493A1 (en) 2010-08-19 2012-02-23 Basf Se Sound deadener composition with emulsion polymer and fluorinated compound
EP2420412B1 (de) 2010-08-19 2013-07-31 Basf Se Antidröhnmasse mit Emulsionspolymerisat und fluorierter Verbindung
EP2450407A3 (de) 2010-11-08 2013-01-23 Basf Se Antidröhnmasse enthaltend Polypropylencarbonat
CN104334621B (zh) 2012-05-22 2018-02-16 巴斯夫欧洲公司 具有无溶剂聚丙烯酸酯粘合剂的非水性吸声化合物
EP2674091A1 (en) 2012-06-13 2013-12-18 Nitto Europe N.V Honeycomb-based high temperature structural damper
US8877848B1 (en) * 2013-07-26 2014-11-04 Ppg Industries Ohio, Inc. Aqueous vibration damping compositions
US9536513B2 (en) * 2013-08-06 2017-01-03 Basf Se Polymer dispersions and sound deadener compositions with emulsion polymer from two-stage preparation
US10744962B2 (en) 2013-12-11 2020-08-18 Basf Se Anti-drumming compounds with high molecular weight emulsion polymers
MX2016014228A (es) 2014-04-29 2017-02-14 Basf Se Composicion insonorizante no acuosa que contiene un aglutinante no pulverulento de poliacrilato y un compuesto radicalmente polimerizable.
US10933605B2 (en) 2016-07-22 2021-03-02 The Gill Corporation Vibration damping system
JP7022118B2 (ja) 2016-09-20 2022-02-17 エーブリー デニソン コーポレイション 多層テープ
EP3521390A4 (en) * 2016-09-30 2020-05-27 Nippon Shokubai Co., Ltd. RESIN COMPOSITION FOR VIBRATION DAMPING COATING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EP3538400B1 (de) 2016-11-08 2020-12-09 Basf Se Antidröhnmasse mit emulsionspolymerisat mit alkyleniminseitenketten
CN110072894A (zh) 2016-11-30 2019-07-30 巴斯夫欧洲公司 用于声音阻尼应用的水性聚合物乳液
WO2019137853A1 (en) * 2018-01-09 2019-07-18 Basf Se Compositions comprising polymerizable vinyl compounds, inorganic or organic fillers and their use
US11059264B2 (en) 2018-03-19 2021-07-13 Avery Dennison Corporation Multilayer constrained-layer damping
US11643569B2 (en) 2018-05-03 2023-05-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providing substrate coated with a cured damping coating and coated substrate so provided
EP3793819B1 (en) 2018-05-17 2023-08-30 Avery Dennison Corporation Partial coverage multilayer damping laminate
WO2020032022A1 (ja) * 2018-08-06 2020-02-13 株式会社日本触媒 制振材用樹脂組成物
US20230383094A1 (en) 2020-10-14 2023-11-30 Basf Se Anti-drumming compositions with emulsion polymer, high density filler, dispersing aid and volume contraction or low volume expansion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55758A (ko) 1959-09-11 1900-01-01
DE3034949A1 (de) 1980-09-17 1982-05-06 Hoechst Ag, 6000 Frankfurt Waessrige kunststoffdispersio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hre anwendung und aus der kunststoffdispersion hergestellte folie
DE3038471A1 (de) 1980-10-11 1982-06-03 Hoechst Ag, 6000 Frankfurt Kunstharz-kompositio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hre anwendung und aus der komposition hergestellte folie
US4916171A (en) 1984-07-25 1990-04-10 Rohm And Haas Company Polymers comprising alkali-insoluble core/alkali-soluble shell and copositions thereof
JPS61171776A (ja) 1985-01-28 1986-08-02 Nippon Carbide Ind Co Ltd アクリル樹脂エマルジヨン被覆用組成物
DE3688458T2 (de) 1985-12-26 1994-01-13 Denki Kagaku Kogyo Kk Polymerzusammensetzung.
JPH0759681B2 (ja) 1987-02-06 1995-06-28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水性被覆組成物
US5008324A (en) 1989-04-11 1991-04-16 Rohm And Haas Company Novel damping compositions
DE4013318A1 (de) 1990-04-26 1991-10-31 Teroson Gmbh Zweischichtige besch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U1777337A1 (ru) 1990-06-11 1994-07-30 Охтинск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ластполимер" Акриловый сополимер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вибропоглоща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US5405879A (en) 1991-04-05 1995-04-11 Nippon Carbide Kogyo Kabushiki Kaisha Aqueous dispersion of acrylic polymer
JP2904995B2 (ja) 1991-04-05 1999-06-1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重合体の水性分散液
DE4142691A1 (de) 1991-12-21 1993-06-24 Roehm Gmbh Heisssiegelbare kunststoff-folien ii
US5262232A (en) 1992-01-22 1993-1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ibration damping constructions using acrylate-containing damping materials
JP3286033B2 (ja) 1993-08-20 2002-05-27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水性被覆用組成物
US6288174B1 (en) 1995-07-07 2001-09-11 Mitsubishi Rayon Co., Ltd. Powdery material and modifier for cementitious material
JP3804703B2 (ja) 1997-05-22 2006-08-02 三井化学株式会社 水性塗料用樹脂組成物
JPH10316866A (ja) 1997-05-22 1998-12-02 Mitsui Chem Inc 重合体粒子
JP3951356B2 (ja) 1997-05-26 2007-08-01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制振性水性塗料組成物
JP3946215B2 (ja) * 1998-07-01 2007-07-1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アクリル系重合体微粒子
JP3621885B2 (ja) 1998-07-01 2005-02-1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アクリル系重合体微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プラスチゾル
JP3942284B2 (ja) 1998-09-10 2007-07-11 日本特殊塗料株式会社 塗布型制振材塗装後の工程間放置におけるフクレ防止方法
JP4447708B2 (ja) * 1999-11-26 2010-04-07 セメダイン株式会社 水系制振材組成物
JP3913444B2 (ja) 2000-05-23 2007-05-09 アイシン化工株式会社 防音アンダーコート用アクリルゾル
DE60309641T2 (de) 2002-09-26 2007-09-13 Nippon Shokubai Co. Ltd. Verdickungsmittel für schwingungsdämpfer auf wasserbasis
JP2004115665A (ja) * 2002-09-26 2004-04-15 Nippon Shokubai Co Ltd 水系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
JP4124714B2 (ja) 2002-09-26 2008-07-23 株式会社日本触媒 水系制振材用増粘剤
JP2005105133A (ja) 2003-09-30 2005-04-21 Nippon Shokubai Co Ltd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
KR100775564B1 (ko) 2003-09-30 2007-11-09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제진재용 수성 에멀젼
JP2005105106A (ja) * 2003-09-30 2005-04-21 Nippon Shokubai Co Ltd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16473B2 (ja) 2003-10-27 2010-02-17 アサヒゴム株式会社 制振性組成物
JP3938371B2 (ja) 2003-11-25 2007-06-27 アイシン化工株式会社 水性制振塗料組成物
JP4543676B2 (ja) 2003-12-24 2010-09-15 Dic株式会社 制振性水性塗料組成物
JP2005187605A (ja) 2003-12-25 2005-07-14 Dainippon Ink & Chem Inc 制振塗料用合成樹脂エマルジョン
WO2007055550A1 (en) 2005-11-14 2007-05-18 Kolon Industries Inc. Acrylic polymer beads and so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909A (ko) * 2017-10-11 2019-04-1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수용성 감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6778A1 (en) 2008-06-04
CN101268143B (zh) 2011-09-21
EP1926778A4 (en) 2009-11-11
CN101268143A (zh) 2008-09-17
US20090048357A1 (en) 2009-02-19
EP1926778B1 (en) 2010-12-29
US8664286B2 (en) 2014-03-04
WO2007034933A1 (en) 2007-03-29
JP5112299B2 (ja) 2013-01-09
DE602006019282D1 (de) 2011-02-10
KR101308861B1 (ko) 2013-09-13
JP2009508972A (ja)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861B1 (ko) 진동 제동 조성물
JP5030778B2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
JP5030780B2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
KR100775564B1 (ko) 제진재용 수성 에멀젼
JP5030779B2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
JP2010106168A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及び制振材配合物
JP2008133357A (ja) 制振材用重合体水性分散液、制振材用塗料及び制振材
JP4124714B2 (ja) 水系制振材用増粘剤
JP2005105133A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
JP2005105106A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70432B2 (ja) 加熱乾燥用エマルション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制振材組成物
JP5289803B2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
JP5685002B2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及び制振材組成物
JP2012126775A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樹脂組成物及び制振材
JP5828655B2 (ja) 塗料用樹脂組成物
JP2016191065A (ja)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及び制振材配合物
JP2008133394A (ja) 発泡性制振材用水性塗料及び制振材
JP2004107518A (ja) 建材用エマルション塗料
WO2024058241A1 (ja) 制振材用樹脂組成物
JP6164833B2 (ja) 制振材用樹脂、制振材用組成物及び塗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